KR102674351B1 -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4351B1 KR102674351B1 KR1020220075094A KR20220075094A KR102674351B1 KR 102674351 B1 KR102674351 B1 KR 102674351B1 KR 1020220075094 A KR1020220075094 A KR 1020220075094A KR 20220075094 A KR20220075094 A KR 20220075094A KR 102674351 B1 KR102674351 B1 KR 1026743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enser
- adhesive
- dispensing
- gap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3 droplet dispen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34 spray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에서, 상기 디스펜싱 시스템은 디스펜싱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피 도포부의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점착제를 분사하는 제1 디스펜서, 및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의 갭(gap)에 단속적으로 점착제를 분사하는 제2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에 상기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디스펜서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갭에만 상기 점착제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2 디스펜서의 위치를 제어한다. In a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dispensing system includes a disp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e dispensing unit includes a first dispenser that continuously sprays the adhesive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ending position of the applied portion, and a second dispenser that intermittently sprays the adhesive in the gap between the starting position and the ending position. do.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enser so that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second dispenser to spray the adhesive only into the gap.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인(line) 디스펜싱과 젯(jet) 디스펜싱을 결합하여, 도포가 필요한 영역에 연속적으로 평탄화된 일정한 두께로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dispensing system that combines line dispensing and jet dispensing to apply a uniform thickness that is continuously flattened in the area requiring application. It relates to a hybrid dispensing system capable of applying an adhesive and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a에서와 같이 종래 피 도포부(3) 상의 소정 영역 또는 소정 라인을 따라 점착제(2)를 도포하여야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54679호에서와 같은 라인 디스펜서(1) 하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점착제(2)를 디스펜싱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As shown in Figure 1a, when the adhesive (2) must be applied along a predetermined area or predetermined line on the conventional application area (3), a line dispenser (1)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4679 is generally used. A technology of continuously dispensing the adhesive (2) using one is being applied.
이러한 라인 디스펜서(1)는 상기 점착제(2)를 연속으로 디스펜싱 하는 장치로서, 스크류(screw) 펌프와 같은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제(2)가 연속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된다. This line dispenser (1) is a device that continuously dispenses the adhesive (2), and is controlled to continuously spray the adhesive (2) using a pump such as a screw pump.
이에, 도 1a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인 디스펜서(1)를 상기 점착제(2)의 도포가 필요한 영역 또는 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 도포부(3) 상에 연속 도포를 수행한다. Accordingly,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1A, continuous application is performed on the applied
그러나, 이러한 연속 디스펜싱을 통한 점착제 도포의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인 디스펜서(1)의 분사가 시작되는 위치(starting position, SP)와 상기 라인 디스펜서(1)의 분사가 종료되는 위치(end position, EP) 사이에서 균일한 두께(t)를 유지하기 위한 정밀한 분사 제어가 어려우며, 이에 소정 길이 또는 소정 영역(L)에서 상기 라인 디스펜서(1)를 추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점착제(2)가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에서 일정 부분 서로 중첩되도록 분사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adhesive application through continuous dispensing, as shown in FIG. 1b, the starting position (SP) of the
이러한 중첩 분사를 통해, 상기 점착제(2)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나 라인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상기 중첩 영역에서 상기 도포되는 점착제(2)의 높이가 다른 영역에서의 두께(t)보다 증가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Through this overlapping spray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reas or lines where the
나아가, 이러한 두께의 증가 문제는, 최근 상기 점착제(2)가 분사되는 장비들이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추세에 어긋나며, 조립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Furthermore, this problem of increasing thickness runs counter to the recent trend in which equipment through which the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line) 디스펜싱과 젯(jet) 디스펜싱을 결합하여, 도포가 필요한 영역에 연속적으로 평탄화된 일정한 두께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조립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from this poin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line dispensing and jet dispensing to continuously flatten the adhesive to a constant thickness in the area requiring application. The aim is to provide a hybrid dispensing system that can improve assembly quality by dispens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dditionall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hybrid dispensing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싱 시스템은 디스펜싱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피 도포부의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점착제를 분사하는 제1 디스펜서, 및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의 갭(gap)에 단속적으로 점착제를 분사하는 제2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에 상기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디스펜서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갭에만 상기 점착제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2 디스펜서의 위치를 제어한다. A disp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disp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e dispensing unit includes a first dispenser that continuously sprays the adhesive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ending position of the applied portion, and a second dispenser that intermittently sprays the adhesive in the gap between the starting position and the ending position. do.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enser so that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second dispenser to spray the adhesive only into the gap.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스펜서는 상기 피 도포부에 접촉되어 상기 점착제를 라인 디스펜싱(line dispensing)하고, 상기 제2 디스펜서는 상기 피 도포부에 비접촉되며 상기 접착제를 젯 디스펜싱(jet dispensing)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spenser is in contact with the area to be applied to line dispensing the adhesive, and the second dispens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area to be applied and jet dispensing the adhesive.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펜서를 통한 젯 디스펜싱으로, 상기 갭에는 상기 점착제가 충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ap may be filled with the adhesive through jet dispensing through the second dispens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제는 실링(sealing)용 액체 실리콘(silicone)이고, 상기 피 도포부는 차량용 ECU(electronic control unit) 모듈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hesive may be liquid silicone for sealing, and the applied part may b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module for a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갭에 분사된 점착제를 통해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의 점착제가 평탄하게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 디스펜서를 상기 시작 위치에 정렬시키거나, 상기 제2 디스펜서를 상기 갭의 상부에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adhesive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is formed evenly through the adhesive sprayed into the gap, and aligns the first dispenser to the start position, or 2 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alignment unit that aligns the dispenser with the upper part of the gap.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상기 제1 디스펜서의 분사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디스펜서를 상기 제2 디스펜서로 교환하여 위치시키는 교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xchange unit that replaces the first dispenser with the second dispenser after the dispensing of the first dispenser ends.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펜싱 방법에서, 제1 디스펜서를 피 도포부의 시작 위치에 정렬시킨다. 상기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까지 상기 제1 디스펜서를 통해 점착제를 연속적으로 분사한다. 제2 디스펜서를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의 갭(gap)에 정렬시킨다. 상기 갭에 상기 제2 디스펜서를 통해 점착제를 단속적으로 분사한다. In the disp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dispenser is aligned to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area to be applied. The adhesive is continuously sprayed through the first dispenser from the starting position to the ending position. A second dispenser is aligned in the gap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The adhesive is intermittently sprayed into the gap through the second dispens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스펜서를 통해 점착제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디스펜서가 상기 피 도포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점착제를 라인 디스펜싱(line dispensing)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spraying the adhesive through the first dispenser, the adhesive may be line dispensed while the first dispenser is in contact with the application targ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디스펜서를 통해 점착제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디스펜서가 상기 피 도포부에 비접촉된 상태로 상기 점착제를 젯 디스펜싱(jet dispensing)하며, 상기 젯 디스펜싱을 통해 상기 갭에는 상기 점착제가 충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spraying the adhesive through the second dispenser, the adhesive is jet-dispens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ispens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application area, and through the jet dispensing. The gap may be filled with the adhesi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갭에 분사된 점착제를 통해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의 점착제가 평탄하게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dhesive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is formed evenly through the adhesive sprayed into the gap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디스펜싱 시스템에서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의 점착제 중첩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도 다른 위치에서와 동일한 두께로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increasing thickness due to adhesive overlap between the starting and ending positions in the conventional dispensing system is solved, and the adhesive is dispensed with the same thickness between the starting and ending positions as at other positions. It can be applied.
즉,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까지는 라인 디스펜싱을 통해 연속적으로 점착제를 도포하고,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의 갭(gap)에서만 젯 디스펜싱을 통해 점착제를 드롭(drop) 시키면서 일정한 두께로 점착제가 형성될 때까지 점착제를 분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모두 동일한 두께로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착제 도포 공정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adhesive is applied continuously through line dispensing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and the adhesive is dropped through jet dispensing only in the gap between the start and end positions, forming the adhesive at a constant thickness. By spraying the adhesive until the adhesive is applied, not only can the adhesive be applied to the entire thickness at the same thickness, but the adhesive application process time can also be minimized.
그리하여, 액체 실리콘과 같은 각종 모듈의 실링(sealing)에 사용되는 점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조립 품질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며,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by uniformly applying an adhesive used for sealing various modules, such as liquid silicone, assembly quality and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defects can be minimized.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라인 디스펜서를 이용한 디스펜싱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라인 디스펜서를 이용한 디스펜싱에서 점착제가 중첩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에서, 제1 디스펜서 및 제2 디스펜서를 이용한 디스펜싱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을 통한 디스펜싱에서 점착제의 분사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들이다.
도 6은 도 3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을 통해 차량용 ECU 모듈에 점착제를 분사한 상태의 예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dispensing using a lin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ure 1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dhesives overlap in dispensing using the line dispenser of Figure 1a.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ybrid disp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hybrid dispensing system of FIG. 2.
FIGS.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dispensing state using a first dispenser and a second dispenser in the hybrid dispensing method of FIG. 3.
Figures 5a to 5d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praying state of the adhesive in dispensing using the hybrid dispensing method of Figure 3.
Figure 6 is an example of an adhesive being sprayed onto a vehicle ECU module through the hybrid dispensing method of Figure 3.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ybrid dispen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10, 이하 디스펜싱 시스템이라 함)은 피 도포부(3)에 점착제를 디스펜싱(dispensing)하는 것으로, 디스펜싱 유닛(100), 제어부(200), 위치 정렬부(300) 및 판단부(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hybrid dispensing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sp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enses the adhesive to the applied
상기 디스펜싱 유닛(100)은 교환부(110), 제1 디스펜서(120) 및 제2 디스펜서(1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상기 피 도포부(3)에 도포가 필요한 영역 또는 라인으로 점착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상기 피 도포부(30)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점착제를 분사한다. The
이 경우, 상기 피 도포부(30)에 접촉한 상태란, 상기 제1 디스펜서(120)의 분사부(121, 도 4a 참조)에서 토출되는 상기 점착제가 상기 분사부(121)로부터 연속적으로 토출되므로, 상기 토출되는 점착제가 상기 피 도포부(30)에 연속적으로 접촉되며 분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applied portion 30 means that the adhesive discharged from the
즉, 상기 분사부(121) 자체가 상기 피 도포부(30)에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상기 점착제가 상기 피 도포부(30)에 직접 접촉되며 연속적으로 분사되는 상태인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상기 점착체를 상기 피 도포부(3)로 연속적으로 분사한다. That is, even if the
한편, 이상과 같이 상기 제1 디스펜서(120)가 상기 점착제를 상기 피 도포부(3)로 연속적으로 분사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기 설정된 경로로 이송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점착제는 상기 피 도포부(3) 상에서 라인 디스펜싱(line dispensing)된다. Meanwhile, in a state where the
이러한 라인 디스펜싱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예를 들어, 스크류 펌프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점착제를 연속적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나아가, 상기 제1 디스펜서(120)의 세부 구성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를 상기 피 도포부(3)로 연속적으로 토출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Furthermor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제2 디스펜서(130)는 상기 피 도포부(3)에 도포가 필요한 영역 또는 라인으로 점착제를 분사하되, 상기 피 도포부(3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 즉 비접촉 상태로 상기 점착제를 분사한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제2 디스펜서(130)는 비접촉 상태로 상기 점착제를 분사하는 것으로, 소위, 젯 디스펜싱(jet dispensing) 또는 드롭 디스펜싱(drop dispensing)을 수행한다. In this way, the
즉, 상기 제2 디스펜서(130)의 분사부(131, 도 4b 참조)는 상기 피 도포부(3)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점착제(132)를 젯 디스펜싱 또는 드롭 디스펜싱 하는 것으로, 이렇게 토출된 상기 점착제(132)가 상기 피 도포부(3)의 소정 영역 또는 라인 상에 적층된다. That is, the spraying part 131 (see FIG. 4b) of the
이상과 같은, 비접촉 방식의 불연속 디스펜싱을 통해 상기 점착제를 분사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디스펜서(130)는 예를 들어 압전 젯 디스펜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order to spray the adhesive through non-contact discontinuous dispensing as described above, the
이 경우, 상기 제2 디스펜서(130)의 세부 구성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를 상기 피 도포부(3)로 젯 디스펜싱 방식으로 토출하는 것이면 충분하다. In this cas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펜서들(120, 130)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점착제는, 예를 들어, 모듈 사이의 실링(sealing)과 접착을 유도하는 액체 실리콘(silicone)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사되는 점착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점착용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this case, the adhesive sprayed by the first and
상기 교환부(110)는 상기 제1 디스펜서(120)의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제2 디스펜서(130)를 동작시키거나, 반대로 상기 제2 디스펜서(130)의 동작이 종료된 후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들(120, 130)을 교환시켜 분사 위치로 위치시킨다. The
이 경우, 상기 교환부(110)는, 종래 공작기계에서의 공구 교환 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디스펜서들(120, 130)을 분사 위치로 교환하여 위치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위치 정렬부(300)는, 상기 제1 디스펜서(120) 및 상기 제2 디스펜서(130)를 상기 피 도포부(3) 상의 점착제의 도포 위치로 정렬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정렬 마커나 센서 등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들(120, 130)의 분사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한다. The
후술하겠으나,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며, 상기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는 소정의 갭(gap, G)이 형성되도록 이동된다. 이에, 상기 위치 정렬부(300)는 상기 제1 디스펜서(120)가 상기 시작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정렬시키고, 상기 제1 디스펜서(120)가 종료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인지 정보를 제공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또한, 상기 제2 디스펜서(130)의 경우, 상기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갭(G) 상에서 분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위치 정렬부(300)는 상기 제2 디스펜서(130)가 상기 갭(G) 상에 위치하도록 위치를 정렬시킨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상기 판단부(400)는 상기 갭(G) 상에 분사되는 상기 점착제가 주변의 점착제와 동일한 높이 또는 두께로 평탄하게 형성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The
즉,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통해서 분사된 점착제는 상기 갭(G) 상에서는 분사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디스펜서(130)를 통해 분사된 점착제가 상기 갭(G)을 메꾸는 형태로 분사되므로, 상기 갭(G)으로 분사된 점착제가 주변 영역에서 분사된 점착제의 높이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That is, the adhesive sprayed through the
이에, 상기 판단부(400)는 상기 점착제의 높이나 두께를 센싱하여, 주변 점착제와 상기 갭(G)에 제공된 점착제가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판단부(40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카메라 등의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스펜싱 유닛(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이를 위해 상기 위치 정렬부(300) 및 상기 판단부(400)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한다. Meanwhile, the
즉,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제1 디스펜서(120)가 상기 시작 위치에 위치하여 정렬되었다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1 디스펜서(120)가 상기 종료 위치에 위치하여 정렬되었다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디스펜서(12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펜서들(120, 130) 사이의 교환을 수행하는 상기 교환부(110)에 교환 동작의 명령을 제어한다. Additionally, the
나아가,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제2 디스펜서(130)가 상기 갭 상에 위치하여 정렬되었다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디스펜서(130)를 동작시킨다. 또한, 상기 판단부(400)에서 상기 제2 디스펜서(130)의 분사를 통해 상기 갭 상에 점착제가 평탄하게 형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펜서(13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Furthermore, the
이하에서는, 상기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10)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Below,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도 3은 도 2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에서, 제1 디스펜서 및 제2 디스펜서를 이용한 디스펜싱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을 통한 디스펜싱에서 점착제의 분사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들이다.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hybrid dispensing system of FIG. 2. FIGS.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dispensing state using a first dispenser and a second dispenser in the hybrid dispensing method of FIG. 3. Figures 5A to 5D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praying state of the adhesive in dispensing using the hybrid dispensing method of Figure 3.
우선, 도 3,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이하, 디스펜싱 방법이라 함)에서는, 상기 위치 정렬부(300)가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시작위치(SP)에 정렬시킨다(단계 S10). First, referring to FIGS. 3, 4A, and 5A, in the hybrid dispensing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spensing method), the
이 후, 도 3,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상기 시작위치(SP)에서 종료위치(EP)까지 도 5a의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제1 점착제(122)를 디스펜싱한다(단계 S20). Afterwards, referring to FIGS. 3, 4A, and 5A, the
이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디스펜서(120)는 상기 피 도포부(3)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시작위치(SP)로부터 상기 종료위치(EP)까지 상기 제1 점착제(122)를 디스펜싱 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A, the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통한 상기 제1 점착제(122)의 디스펜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식 연속 디스펜싱인 것으로, 상기 제1 점착제(122)는 연속적으로 상기 시작위치(SP)로부터 상기 종료위치(EP)까지 분사된다. As previously described, the dispensing of the
한편, 상기 시작위치(SP)와 상기 종료위치(EP)는 서로 동일하게 중첩되지 않으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갭(G)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Meanwhile, the start position (SP) and the end position (EP) do not overlap each other identically, and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G), as shown in FIG. 5A.
그리하여,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통한 상기 제1 점착제(122)의 분사는, 상기 갭(G)으로 정의되는 영역 또는 라인 상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Therefore, the injection of the
이 후,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교환부(110)는 상기 제1 디스펜서(120)를 상기 제2 디스펜서(130)로 교환하며, 상기 위치 정렬부(300)에 의해 상기 제2 디스펜서(130)가 상기 갭(G) 상에 그 위치가 정렬된다(단계 S30). There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4B, the
이 후, 도 3, 도 4b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 디스펜서(130)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2 디스펜서(130)는 상기 갭(G) 상에서 제2 점착제(132)를 디스펜싱한다(단계 S40). Afterwards, referring to FIGS. 3, 4B, and 5B, the
이 경우, 상기 제2 디스펜서(130)를 통한 상기 제2 점착제(132)의 디스펜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젯 디스펜싱인 것으로, 상기 제2 점착제(132)가 불연속적으로 드롭되며 상기 갭(G) 부분에 채워지게 된다. In this case, dispensing of the
한편, 상기 갭(G) 영역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2 디스펜서(130)는 상기 갭(G)을 균일하게 채우기 위해, 상기 갭(G) 영역 상부에서 소정 범위 이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ap (G) area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and in some cases, the
이러한 상기 제2 디스펜서(130)의 젯 디스펜싱은 상기 판단부(400)에서 상기 갭(G) 영역에서의 점착제가 평탄화되는 때까지 수행된다(단계 S50). Jet dispensing by the
즉,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갭(G)으로 분사되는 상기 제2 점착제(132)가 상기 시작위치(SP)로부터 상기 종료위치(EP)까지 분사되었던 상기 제1 점착제(122)와 동일한 높이 또는 두께(t)로 형성되는가의 여부가 상기 판단부(400)에 의해 판단되며, 이와 같이 평탄화가 종료되면(단계 S50), 상기 디스펜싱 공정을 종료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5C, the
한편, 상기 갭(G)으로 드롭 분사된 상기 제2 점착제(13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점착제(122)와 동일한 재료인 것으로, 소정의 점성을 가지는 액체이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변에 형성된 상기 제1 점착제(122)와 일체화된다. 그리하여,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갭(G)이 형성되었던 위치가 식별되지 않도록 평탄화(140)되어, 상기 피 도포부(3)의 도포가 수행된 영역 전체에서 균일하게 형성된다. Meanwhile, the
도 6은 도 3의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방법을 통해 차량용 ECU 모듈에 점착제를 분사한 상태의 예이다. Figure 6 is an example of an adhesive being sprayed onto a vehicle ECU module through the hybrid dispensing method of Figure 3.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디스펜싱 방법을 통해, 예를 들어 차량용 ECU(electronic control unit) 모듈을 피 도포부(3)로 점착제(140)를 도포한 결과가 예시되었다. In Figure 6, the result of applying the adhesive 140 to, for example, a vehicl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module as th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 도포부(3)의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점착제(140)는 동일한 높이로 평탄화되며 형성되고, 상기 점착제(140)가 형성되는 라인 상에는 별도의 단차나 높이 변화는 확인되지 않는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adhesive 140 is flattened and formed at the same height along the edge of the applied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를 통해, 균일한 높이로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링이나 조립을 보다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can be formed at a uniform height, and through this, sealing or assembly can be performed more uniformly and effective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 디스펜싱 시스템에서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의 점착제 중첩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도 다른 위치에서와 동일한 두께로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ickness due to adhesive overlap between the start and end positions in the conventional dispensing system is solved, and the thickness is the same between the start and end positions as at other positions. The adhesive can be applied with.
즉, 시작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까지는 라인 디스펜싱을 통해 연속적으로 점착제를 도포하고,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의 갭(gap)에서만 젯 디스펜싱을 통해 점착제를 드롭(drop) 시키면서 일정한 두께로 점착제가 형성될 때까지 점착제를 분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모두 동일한 두께로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착제 도포 공정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adhesive is applied continuously through line dispensing from the start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and the adhesive is dropped through jet dispensing only in the gap between the start and end positions, forming the adhesive at a constant thickness. By spraying the adhesive until the adhesive is applied, not only can the adhesive be applied to the entire thickness at the same thickness, but the adhesive application process time can also be minimized.
그리하여, 액체 실리콘과 같은 각종 모듈의 실링(sealing)에 사용되는 점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조립 품질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며,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by uniformly applying an adhesive used for sealing various modules, such as liquid silicone, assembly quality and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defects can be minimiz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patent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10 : 하이브리드 디스펜싱 시스템
100 : 디스펜싱 유닛 110 : 교환부
120 : 제1 디스펜서 130 : 제2 디스펜서
200 : 제어부 300 : 위치 정렬부
400 : 판단부10: Hybrid dispensing system
100: dispensing unit 110: exchange unit
120: first dispenser 130: second dispenser
200: Control unit 300: Position alignment unit
400: Judgment unit
Claims (10)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에 상기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디스펜서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갭에만 상기 점착제를 분사하도록 상기 제2 디스펜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갭에 분사된 점착제를 통해 상기 시작 위치와 상기 종료 위치 사이의 점착제가 평탄하게 형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1 디스펜서를 상기 시작 위치에 정렬시키거나, 상기 제2 디스펜서를 상기 갭의 상부에 정렬시키는 위치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싱 유닛은 상기 제1 디스펜서의 분사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디스펜서를 상기 제2 디스펜서로 교환하여 위치시키는 교환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펜싱 시스템. A first dispens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applied part from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applied part to the ending position and continuously sprays the adhesive by line dispensing, and the first dispenser in the gap between the starting position and the ending position. A dispensing unit including a second dispenser that is non-contact with the application area and intermittently sprays the adhesive using jet dispen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enser so that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second dispenser to spray the adhesive only into the gap;
a determination unit including a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adhesive between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is formed evenly through the adhesive sprayed into the gap; and
A position alignment unit that aligns the first dispenser to the starting position or aligns the second dispenser to the top of the gap,
The disp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exchange unit that replaces the first dispenser with the second dispenser after dispensing of the first dispenser ends.
상기 점착제는 실링(sealing)용 액체 실리콘(silicone)이고,
상기 피 도포부는 차량용 ECU(electronic control unit)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싱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dhesive is liquid silicone for sealing,
A dispensing system wherein the application unit is a vehicl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5094A KR102674351B1 (en) | 2022-06-20 | 2022-06-20 |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5094A KR102674351B1 (en) | 2022-06-20 | 2022-06-20 |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4064A KR20230174064A (en) | 2023-12-27 |
KR102674351B1 true KR102674351B1 (en) | 2024-06-13 |
Family
ID=8937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5094A Active KR102674351B1 (en) | 2022-06-20 | 2022-06-20 |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435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1314A (en) * | 2009-06-05 | 2010-12-15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Paste coating method and substrate having a paste pattern formed by the method |
KR101631527B1 (en) * | 2009-06-30 | 2016-06-20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Method for repairing paste pattern and substrate having paste pattern repaired by using the method |
KR20140072467A (en) * | 2012-12-05 | 2014-06-13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vehicle |
US9374905B2 (en) * | 2013-09-30 | 2016-06-21 | Illinois Tool Work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dispensing units of a dispenser |
DE102017100813A1 (en) | 2017-01-17 | 2018-07-19 | Weber Schraubautomaten Gmbh |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a screw |
-
2022
- 2022-06-20 KR KR1020220075094A patent/KR10267435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4064A (en) | 2023-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784268A (en) | Sealing agent drawing method | |
TWI673110B (en) | Coating device, coat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mber for display | |
KR100529687B1 (en) | Method of forming paste | |
CN103357556B (en) | Method and system for obliquely dispensing adhesive | |
US8272913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 |
CN101855593A (en) | Droplet coating device, droplet coating metho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 |
KR102674351B1 (en) | Hybrid dispensing system and hybrid dispens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60062B1 (en) | Applicator and application method | |
CN104722458A (en) |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alignment liquid of substrate | |
US20070151512A1 (en) | Sealant forming apparatus, sealant form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CN105903651B (en) |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a frame sealant | |
KR101441012B1 (en) | Paste application device and paste application method | |
KR100859082B1 (en) | Application method | |
JP2009500791A (en) | Method for forming at least one continuous line of viscous material between two components of an electronic assembly | |
KR102015793B1 (en) | Display panel, bonding agent dispensing apparatus and bonding agent dispensing method | |
JP2009254926A (en) |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 |
JP5745152B1 (en) | Liquid application device for bonding machine and liquid application method for bonding machine | |
TWI787551B (en) |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 |
JP2002098979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TW201731594A (en) | Film pattern writing method, coating film base material, and coating device | |
KR20150116625A (en) | Screen print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OCR printing in OCR bonding process | |
KR100735092B1 (en) |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LCD panel | |
JP3868453B2 (en) | Component mounting method | |
JP2007033589A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coating apparatus | |
KR100669094B1 (en) | Sealing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