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3811B1 -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811B1
KR102673811B1 KR1020160111685A KR20160111685A KR102673811B1 KR 102673811 B1 KR102673811 B1 KR 102673811B1 KR 1020160111685 A KR1020160111685 A KR 1020160111685A KR 20160111685 A KR20160111685 A KR 20160111685A KR 102673811 B1 KR102673811 B1 KR 10267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odulator
nanoantennas
polarization
beam spli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806A (ko
Inventor
정병길
장재덕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811B1/ko
Priority to US15/483,135 priority patent/US11092672B2/en
Priority to EP17188524.7A priority patent/EP3290951B1/en
Publication of KR2018002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806A/ko
Priority to US17/379,546 priority patent/US1177455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8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2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flexible sheet or membrane, e.g. for varying the foc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42Simultaneous measurement of distance and other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01S7/4815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using multiple 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7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relating to scan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1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dichroic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2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by controlled diffraction or phased-array beam ste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1Two-dimensional analogue d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50Phase-only mod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이 개시된다. 광 스캐닝 장치는 제1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광을 제1 변조기로 입사시키고,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는 제2 광을 제2 변조기로 입사시킨다. 제1 및 제2 변조기에 의해 제1 광의 조사 방향과 제2 광의 조사 방향이 독립적으로 조절된다.

Description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Optical scanning device and LIDAR system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device}
본 개시는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을 이용한 객체 감지 시스템으로 라이다(LIDAR) 시스템이 있다. 라이다 시스템은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의 준말로 광을 대기중 또는 표적 물체에 발사하여 반사광을 측정함으로써 객체의 위치, 속도 등을 알아내거나 대기현상을 측정할 수 있다.
최근, 지능형 자동차 및 스마트카 분야에서는 돌발상황에 대한 차량의 능동적 대처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즉, 보행자의 급작스런 출현을 인지하거나, 어두운 야간에 조명의 범위를 벗어난 곳에 대한 장애물을 사전에 감지하거나, 우천시 전조등 조명의 약화로 인한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또는 도로 파손을 사전에 감지하는 등,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을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능형 자동차에서 라이다 장치는 객체 감지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라이다 시스템은 광의 조사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여러 방향의 객체를 탐지할 수 있다. 라이다 시스템의 구현하기 위해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광 스캐닝 기술이 요구된다.
적어도 둘 이상의 파장 영역의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광 스캐닝 장치 및 라이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제1 파장 영역 성분 및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광에서 제1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광은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상기 광에서 제2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2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빔 분할부;
상기 제1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변조기; 및
상기 제2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변조기;을 포함하는 광 스캐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변조기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은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반사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출사된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2 광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은 제1 편광을 가지고, 상기 제2 광은 제2 편광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1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2 광은 반사하는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조기는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조기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스캐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 각각은 채널 전극 및 상기 채널 전극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서브 채널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스캐닝 장치는, 상기 광원과 상기 빔 분할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단면(Cross section) 크기를 조절하는 광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장 영역은 850nm 내지 9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장 영역은 1300nm 내지 15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제1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광 및 제2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2 광을 조사하되, 상기 제1 광의 조사 방향 및 상기 제2 광의 조사 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광 스캐닝 장치;
상기 제1 광이 객체에서 반사된 광 및 상기 제2 광이 객체에서 반사된 광을 측정하는 광 측정 장치;
상기 광 측정 장치의 측정 결과로부터 상기 객체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LIDAR system)이 제공된다.
상기 광 스캐닝 장치는,
제1 파장 영역 성분 및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광에서 제1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광은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상기 광에서 제2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2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빔 분할부;
상기 제1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변조기; 및
상기 제2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변조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조기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은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반사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출사된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반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2 광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은 제1 편광을 가지고, 상기 제2 광은 제2 편광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1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2 광은 반사하는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조기는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조기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스캐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 각각은 채널 전극 및 상기 채널 전극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서브 채널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장 영역은 850nm 내지 9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장 영역은 1300nm 내지 15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장이 서로 다른 제1 광과 제2 광의 진행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광 스캐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광 스캐닝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광 스캐닝 장치가 제1 광과 제2 광의 진행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라이다 시스템의 측정 자유도 및 측정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 스캐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제1 변조기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제1 변조기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변조기가 제1 광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구동 유닛이 제1 및 제2 나노 안테나들에 인가하는 전위가 변경됨에 따라 제1 및 제2 광의 조사 방향이 변경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빔 분할부가 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서 나타낸 광원과 빔 분할부 사이에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광학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라이다 장치 및 거리 측정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임의로 선정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들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부”, “...모듈”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도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대상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대상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대상을 다른 대상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 스캐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 스캐닝 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S1), 상기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광에서 제1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광(L1)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상기 광에서 제2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2 광(L2)은 상기 제1 방향(y축 방향)과 다른 제2 방향(z축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빔 분할부(B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 스캐닝 장치는 빔 분할부(BD)로부터 출사된 제1 광(L1)이 입사되는 것으로, 제1 광(L1)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제1 광(L1)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변조기(OPA1) 및 빔 분할부(BD)로부터 출사된 제 2 광(L2)이 입사되는 것으로, 제2 광(L2)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제2 광(L2)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변조기(OPA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LS)은 복수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LS)이 조사하는 광은 제1 파장 영역 성분을 가지는 제1 광(L1) 및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가지는 제2 광(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L1, L2)은 각각 단색 광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광(L1, L2)은 각각 서로 다른 파장 스펙트럼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광(L1)의 스펙트럼 피크가 형성되는 파장과 제2 광(L2)의 스펙트럼 피크가 형성되는 파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광원(LS)은 셋 이상의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광원(LS)을 하나로 표현했지만, 광원(LS)은 둘 이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원(LS)은 제1 광(L1)을 조사하는 제1 광원 및 제2 광(L2)을 조사하는 제2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LS)으로부터 조사된 제1 광(L1) 및 제2 광(L2)은 빔 분할부(BD)에 입사될 수 있다. 빔 분할부(BD) 제1 광(L1)과 제2 광(L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빔 분할부(BD)는 광원(LS)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분할할 수 있다. 빔 분할부(BD)는 광원(LS)으로부터 조사된 광 가운데 제1 광(L1)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제2 광(L2)은 제2 방향(z축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방향 사이의 각도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90도 가 아닐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빔 분할부(BD)는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크로익 미러는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빔 분할부(BD)는 광원(LS)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영역 성분을 가진 제1 광(L1)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를 통과하고,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가진 제2 광(L2)은 상기 다이크로익 미러에서 반사될 수 있다. 빔 분할부(BD)에 포함된 다이크로익 미러의 배치 각도에 따라 제1 광(L1)이 진행하는 제1 방향과 제2 광(L2)이 진행하는 제2 방향 사이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빔 분할부(BD)는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를 포함할 수도 있다. 편광 빔 스플리터(PBS)는 소정의 편광 성분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빔 분할부(BD)는 광원(LS)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편광 성분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LS)은 제1 광(L1)이 제1 편광을 가지게 하고, 제2 광(L2)은 제2 편광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편광은 서로 다른 방향의 편광일 수 있다. 빔 분할부(BD)는 제1 편광을 가진 제1 광(L1)은 투과시키고, 제2 편광을 가진 제2 광(L2)은 반사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빔 분할부(BD)는 제1 파장 영역 성분을 가진 제1 광(L1)과 제2 파장 성분을 가진 제2 광(L2)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빔 분할부(BD)에 포함된 편광 빔 스플리터의 배치 각도에 따라 제1 광(L1)이 진행하는 제1 방향과 제2 광(L2)이 진행하는 제2 방향 사이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빔 분할부(BD)로부터 출사된 제1 광(L1)은 제1 변조기(OPA1)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변조기(OPA1)는 제1 광(L1)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제1 광(L1)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빔 분할부(BD)로부터 출사된 제2 광(L2)은 제2 변조기(OPA12)에 입사될 수 있다. 제2 변조기(OP2)는 제2 광(L2)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제2 광(L2)의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변조기(OPA1)는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조기(OPA2)는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N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노 안테나(NA1)는 제1 파장 성분의 광과 공진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제1 파장 성분의 광의 위상을 변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변조기(OPA1)는 제1 파장 성분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광(L1)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나노 안테나(NA2)는 제2 파장 성분의 광과 공진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제2 파장 성분의 광의 위상을 변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변조기(OPA2)는 제2 파장 성분 영역을 포함하는 제2 광(L2)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제1 변조기(OPA1)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제1 광 변조기(OPA1)의 실시예는 제2 변조기(OPA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변조기(OPA1)는 기판(SUB)과 기판(SUB)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L1)은 제1 변조기(OPA1)의 표면에서 반사될 때,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위상이 변조될 수 있다. 제1 광(L1)의 위상이 변경됨에 따라 제1 광(L1)의 파면 모양이 변경되고, 제1 광(L1)의 파면 모양이 변경됨에 따라 제1 광(L1)이 진행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 각각은 하나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 각각은 하나의 채널 전극(CHE) 및 채널 전극(CHE)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서브 채널 전극(SUCHE)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전극(CHE)에 수직한 복수의 서브 채널 전극(SUCHE)이 나란하게 배열됨으로써 제1 나노 안테나(NA1)는 척추와 비슷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채널 전극(CHE) 및 서브 채널 전극(SUCHE)은 금(Au) 또는 구리(Cu)와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전극(CHE)과 서브 채널 전극(SUCHE) 사이에는 알루미늄층, 산화 알루미늄 층, 투명 금속(ITO) 층 등이 추가로 더 마련될 수 있다. 제1 나노 안테나(NA1)는 제1 파장 성분의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파장 성분의 파장 값에 따라 제1 나노 안테나(NA1)의 폭(W1)과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축적되는 전하 운반체(Charge Carrier)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파장 성분의 파장 값에 따라 제2 나노 안테나(NA1)의 폭과 제2 나노 안테나(NA2)에 축적되는 전하 운반체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제1 나노 안테나(NA1)는 입사광 가운데 소정의 편광을 가지는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노 안테나(NA1)는 채널 전극(CHE)과 수직한 방향, 즉 서브 채널 전극(SUCHE)과 나란한 방향의 편광 성분을 가지는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변조기(OPA1)는 입사광 가운데 서브 채널 전극(SUCHE)과 나란한 방향의 편광 성분을 가지는 광은 공진 현상에 의해 위상을 변조하고, 채널 전극(CHE)과 나란한 방향의 편광 성분을 가지는 광은 단순 반사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나타낸 제1 변조기(OPA1)의 표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나타낸 제1 광 변조기(OPA1)의 실시예는 제2 변조기(OPA2)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변조기(OPA1)는 기판(SUB)과 기판(SUB)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나노 안테나(NA1)는 도 2에서 나타낸 서브 채널 전극(SUCHE)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나노 안테나(NA1)는 제1 파장 성분의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파장 성분의 파장 값에 따라 제1 나노 안테나(NA1)의 폭(W2)과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축적되는 전하 운반체(Charge Carrier)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파장 성분의 파장 값에 따라 제2 나노 안테나(NA1)의 폭과 제2 나노 안테나(NA2)에 축적되는 전하 운반체의 농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및 제2 변조기(OPA1, OPA2)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시예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나노 안테나(NA1, NA2)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변조기(OPA1, OPA2)는 광의 위상을 변조할 수 있는 메타 표면 광학 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변조기(OPA1)에서 위상이 변조됨으로써 진행방향이 변경된 제1 광(L1)은 제2 변조기(OPA2)에 입사될 수 있다. 제2 변조기(OPA2)의 제2 나노 안테나(NA2)는 제2 파장 성분의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하므로, 제2 변조기(OPA2)에서 제1 광(L1)은 단순 반사될 수 있다. 즉, 제2 변조기(OPA2)에서 제1 광(L1)은 반사 외에 다른 위상 변화가 거의 없을 수 있다. 제2 변조기(OPA2)에서 반사된 제1 광(L1)은 빔 분할부(BD)를 투과하여 광 스캐닝 장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제1 광(L1)은 제2 변조기(OPA2)에서는 단순 반사되기 때문에, 제1 광(L1)이 광 스캐닝 장치 외부로 조사되는 방향은 제1 변조기(OPA1)가 제1 광(L1)의 위상을 어떻게 변조하느냐에 의존할 수 있다.
제2 변조기(OPA2)에서 위상이 변조됨으로써 진행방향이 변경된 제2 광(L2)은 제1 변조기(OPA1)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변조기(OPA1)의 제1 나노 안테나(NA1)는 제1 파장 성분의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하므로, 제1 변조기(OPA1)에서 제2 광(L2)은 단순 반사될 수 있다. 즉, 제1 변조기(OPA1)에서 제2 광(L2)은 반사 외에 다른 위상 변화가 거의 없을 수 있다. 제1 변조기(OPA1)에서 반사된 제2 광(L2)은 빔 분할부(BD)에서 다시 반사되어 광 스캐닝 장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제2 광(L2)은 제1 변조기(OPA1)에서는 단순 반사되기 때문에, 제2 광(L2)이 광 스캐닝 장치 외부로 조사되는 방향은 제2 변조기(OPA2)가 제2 광(L2)의 위상을 어떻게 변조하느냐에 의존할 수 있다.
도 4는 제1 변조기(OPA1)가 제1 광(L1)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변조기(OPA1)는 제1 변조기(OPA1)에 포함된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1 구동 유닛(DU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DU1)은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같은 크기의 전위를 인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구동 유닛(DU1)은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 각각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위를 인가할 수도 있다. 제1 구동 유닛(DU1)이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인가하는 전위의 크기에 의존하여,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저장된 전하 운반체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저장된 전하 운반체의 농도에 따라,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가 제1 광(L1)의 위상을 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변조기(OPA1)로부터 출사되는 제1 광(L1)의 진행 방향은 제1 구동 유닛(DU1)이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인가하는 전위에 의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변조기(OPA2)로부터 출사되는 제2 광(L2)의 진행 방향은 제2 구동 유닛이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NA2)에 인가하는 전위에 의존할 수 있다.
도 5는 제1 및 제2 구동 유닛(DU1, DU2)이 제1 및 제2 나노 안테나들(NA1, NA2)에 인가하는 전위가 변경됨에 따라 제1 및 제2 광(L1, L2)의 조사 방향이 변경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 스캐닝 장치는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1 구동 유닛(DU1) 및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NA2)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2 구동 유닛(DU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유닛(DU1)이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인가하는 전위를 변경함으로써 제1 광(L1)이 광 스캐닝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제2 구동 유닛(DU2)이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NA2)에 인가하는 전위를 변경함으로써 제2 광(L2)이 광 스캐닝 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광 스캐닝 장치는 제1 광(L1) 및 제2 광(L2)의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제1 및 제2 변조기(OPA1, OPA2)를 움직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반사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부재들의 움직임에 필요한 공간이 절약되면서 광 스캐닝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 유닛(DU1)이 인가하는 전위와 제2 구동 유닛(DU2)이 인가하는 전위를 조절함으로써, 제1 광(L1)의 진행방향과 제2 광(L2)의 진행 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빔 분할부(BD)가 편광 빔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원(LS)으로부터 출사되는 광 가운데 제1 광(L1)은 x방향 편광(Px)을 가지고, 제2 광(L2)은 z방향 편광(Pz)을 가질 수 있다. 빔 분할부(BD)에 포함된 편광 빔 스플리터는 x방향 편광(Px)을 가지는 제1 광(L1)은 투과시키고, z방향 편광(Pz)을 가지는 제2 광(L2)은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변조기(OPA1)는 제1 광(L1)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변조기(OPA1)는 x방향 편광(Px)을 가지는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변조기(OPA1)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포함된 서브 채널 전극의 형성 방향은 x축 방향과 평행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제1 나노 안테나(NA1)에 포함된 채널 전극의 형성 방향은 z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변조기(OPA1)는 제2 광(L2)은 다른 위상 변조 없이 단순 반사 시킬 수 있다.
제2 변조기(OPA2)는 제2 광(L2)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변조기(OPA2)는 x방향 편광(Py)을 가지는 광의 위상을 선택적으로 변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변조기(OPA2)의 제2 나노 안테나(NA2)에 포함된 서브 채널 전극의 형성 방향은 y축 방향과 평행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나타낸 광원(LS)과 빔 분할부(BD) 사이에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광학계(O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 스캐닝 장치는 광원(LS)과 빔 분할부(BD) 사이에 마련되어 광원(LS)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단면(Cross section) 크기를 조절하는 광학계(O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계(OS)는 복수의 렌즈(LE1, LE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광원(LS)으로부터 오목 렌즈(LE1)와 볼록 렌즈(LE2)가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했다. 이 경우, 광의 단면이 확대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서 나타낸 광학계(OS)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원(LS)으로부터 볼록 렌즈(LE2)와 오목 렌즈(LE1)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의 단면이 축소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광학계(OS)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광학계(OS)에 포함될 수 있는 렌즈의 개수 및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광학계(OS)는 광학 렌즈가 아닌 메타 표면을 이용한 박형 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계(OS)는 광원(LS)과 빔 분할부(BD) 사이 뿐만 아니라 빔 분할부(BD)와 제1 변조기(OBA1) 사이, 빔 분할부(BD)와 제2 변조기(OBA2) 사이, 제1 변조기(OBA1)와 제2 변조기(OBA2)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 스캐닝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로 다른 파장 영역 성분을 가지는 제1 및 제2 광(L1, L2)의 조사 방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광 스캐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광 스캐닝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9는 광 스캐닝 장치(100)를 포함하는 라이다(LIDAR)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 시스템(1000)은 광 스캐닝 장치(100)와, 광 스캐닝 장치(100)로부터 조사된 제1 광(L1)이 객체(OB)에서 반사된 광 및 제2 광(L2)이 객체(OB)에서 반사된 광을 측정하는 광 측정 장치(200) 및 광 측정 장치의 측정 결과로부터 객체(OB)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스캐닝 장치(100)는 제1 광(L1)의 조사 방향과 제2 광(L2)의 주사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1 광(L1)은 제1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고, 제2 광(L2)은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영역은 850nm 내지 950nm 의 파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파장 영역은 라이다 시스템(1000)의 측정 해상도 면에서는 유리하지만, 대기 중 물 입자에 의한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눈(snow)에 의한 산란 효과가 상대적으로 잘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L1)은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객체를 정교하게 분석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제2 파장 영역은 1300nm 내지 1550nm 의 파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파장 영역은 라이다 시스템(1000)의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대기 중 물 입자에 의한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눈(snow)에 의한 산란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L2)은 먼 거리에 있는 객체를 분석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광 스캐닝 장치(100)는 제1 구동 유닛(DU1)이 제1 변조기(OPA1)의 제1 나노 안테나(NA1)에 인가하는 전위와 제2 구동 유닛(DU2)이 제2 변조기(OPA2)의 제2 나노 안테나(NA2)에 인가하는 전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1 광(L1)의 진행방향과 제2 광(L2)의 진행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광 스캐닝 장치(100)가 제1 광(L1)의 진행방향과 제2 광(L2)의 진행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라이다 시스템의 측정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다.
광 측정 장치(200)는 광을 수광하여 전기 신호를 내보내는 수광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측정 장치(200)는 애벌런치 포토 다이오드(Avalanche Photo Diode;APD) 또는 싱글 포톤 애벌런치 다이오드(Single Photon Avalanche Diode;SPAD)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측정 장치(200)는 APD 또는 SPAD중 어떤 수광소자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AFE(Analog Front End), TDC(Time Digital Counter) 등의 구체적 회로 구성을 다르게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광 측정 장치(200)는 수광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는 다른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0)는 광 측정 장치(200)의 측정 결과로부터 객체(OB)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TOF(Time of flight) 방식에 의해 객체(OB)와 라이다 시스템(10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도플러 효과에 의한 반사광의 진동수 변이(shift)를 계산함으로써, 객체(OB)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장이 서로 다른 제1 광과 제2 광의 진행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광 스캐닝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광 스캐닝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광 스캐닝 장치가 제1 광과 제2 광의 진행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라이다 시스템의 측정 자유도 및 측정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술한 지문 센서 및 지문 센서의 구동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LS : 광원
BD : 빔 분할부
OPA1, OPA2 : 제1, 제2 변조기
NA1, NA2 : 제1, 제2 나노 안테나
100 : 광 스캐닝 장치
200 : 광 측정 장치
300 : 프로세서
1000 : 라이다 시스템

Claims (20)

  1. 제1 파장 영역 성분 및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광에서 제1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광은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상기 광에서 제2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2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빔 분할부;
    상기 제1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변조기; 및
    상기 제2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변조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조기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은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반사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출사된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광 스캐닝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2 광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를 포함하는 광 스캐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제1 편광을 가지고, 상기 제2 광은 제2 편광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1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2 광은 반사하는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를 포함하는 광 스캐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기는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되는 광 스캐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기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는 광 스캐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되는 광 스캐닝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 각각은 채널 전극 및 상기 채널 전극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서브 채널 전극을 포함하는 광 스캐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빔 분할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단면(Cross section) 크기를 조절하는 광학계;를 더 포함하는 광 스캐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영역은 850nm 내지 9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장 영역은 1300nm 내지 15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광 스캐닝 장치.
  11. 제1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광 및 제2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제2 광을 조사하되, 상기 제1 광의 조사 방향 및 상기 제2 광의 조사 방향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광 스캐닝 장치;
    상기 제1 광이 객체에서 반사된 광 및 상기 제2 광이 객체에서 반사된 광을 측정하는 광 측정 장치;
    상기 광 측정 장치의 측정 결과로부터 상기 객체의 위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 스캐닝 장치는,
    제1 파장 영역 성분 및 제2 파장 영역 성분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광에서 제1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1 광은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고, 상기 광에서 제2 파장 영역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2 광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빔 분할부;
    상기 제1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1 변조기; 및
    상기 제2 광이 입사되는 것으로, 상기 제2 광의 위상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제2 변조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변조기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광은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반사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출사된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반사되도록 구성되는 라이다 시스템(LIDAR system).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광은 통과시키고 상기 제2 광은 반사시키는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제1 편광을 가지고, 상기 제2 광은 제2 편광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빔 분할부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1 광은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상기 제2 광은 반사하는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PBS)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기는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1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는 상기 제2 편광을 가지는 광을 변조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다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조기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조기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스캐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1 구동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2 나노 안테나에 전위를 인가하는 제2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1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1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2 변조기에서 변경되는 상기 제2 광의 진행 방향은 상기 제2 구동 유닛이 인가하는 전위에 의해 결정되는 라이다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나노 안테나 각각은 채널 전극 및 상기 채널 전극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서브 채널 전극을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영역은 850nm 내지 9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장 영역은 1300nm 내지 1550nm의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KR1020160111685A 2016-08-31 2016-08-31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Active KR10267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685A KR102673811B1 (ko) 2016-08-31 2016-08-31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US15/483,135 US11092672B2 (en) 2016-08-31 2017-04-10 Optical scanning device and LIDAR system including the same
EP17188524.7A EP3290951B1 (en) 2016-08-31 2017-08-30 Optical scanning device and lidar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7/379,546 US11774558B2 (en) 2016-08-31 2021-07-19 Optical scanning device and LIDAR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685A KR102673811B1 (ko) 2016-08-31 2016-08-31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806A KR20180024806A (ko) 2018-03-08
KR102673811B1 true KR102673811B1 (ko) 2024-06-10

Family

ID=5985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685A Active KR102673811B1 (ko) 2016-08-31 2016-08-31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092672B2 (ko)
EP (1) EP3290951B1 (ko)
KR (1) KR102673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588B1 (ko) * 2017-07-10 2022-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스캐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EP3460520B1 (en) * 2017-09-25 2023-07-19 Hexagon Technology Center GmbH Multi-beam laser scanner
US11085996B2 (en) 2018-03-23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scanning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9225965A1 (en) 2018-05-24 2019-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dar device
KR102718125B1 (ko) * 2018-05-24 2024-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다 장치
KR20200069096A (ko) * 2018-12-06 2020-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KR102754869B1 (ko) * 2018-12-11 202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스캐닝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KR102297399B1 (ko) * 2019-11-12 2021-09-03 주식회사 엠쏘텍 듀얼 파장을 이용한 라이다 장치
US11681033B2 (en) * 2020-05-07 2023-06-20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Enhanced polarized light collection in coaxial LiDAR architecture
KR102547049B1 (ko) * 2021-02-05 2023-06-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광 시야각 플래시 라이다 장치
CN115047432B (zh) * 2021-03-09 2025-03-11 深圳迈塔兰斯科技有限公司 一种双光谱超表面、点云产生器件及激光雷达发射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2997A (ja) * 2005-08-04 2007-08-23 Victor Co Of Japan Ltd 反射型液晶表示素子及び投射型表示装置
US20130242400A1 (en) * 2012-03-16 2013-09-19 Long Chen Optical beam sweep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487A (en) 1994-04-14 1997-02-04 Omron Corporation Dichroic mirror for separating/synthesizing light with a plurality of wavelengths and optical apparatus and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H0815560A (ja) 1994-04-14 1996-01-19 Omron Corp 複数の波長の光を分離又は合成する光学装置
JP3400534B2 (ja) 1994-05-24 2003-04-2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走査型光学顕微鏡
KR100251045B1 (ko) 1997-07-05 2000-05-01 윤종용 다이크로익 미러를 구비한 초소형 광분리장치 및그 제조 방법과 그에 따른 광분리 방법
US8493445B2 (en) 2006-05-31 2013-07-23 Sigma Space Corp Scanner/optical system for three-dimensional lidar imaging and polarimetry
US8120754B2 (en) 2009-02-19 2012-02-21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pparatus
US8736818B2 (en) 2010-08-16 2014-05-27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Electronically steered flash LIDAR
JP5653715B2 (ja) * 2010-10-27 2015-01-14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ーザ測量機
KR101669219B1 (ko) * 2010-12-30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변조기 및 이를 채용한 광학장치
US20130208256A1 (en) 2012-02-10 2013-08-15 Optical Air Data Systems, Llc. LDV with Diffractive Optical Element for Transceiver Lens
KR101908304B1 (ko) 2012-08-10 2018-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거리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장치
DE102012109481A1 (de) * 2012-10-05 2014-04-10 Faro Technologies, Inc. Vorrichtung zum optischen Abtasten und Vermessen einer Umgebung
US9726818B1 (en) * 2013-05-30 2017-08-08 Hrl Laboratories, Llc Multi-wavelength band optical phase and amplitude controller
KR102176592B1 (ko) * 2014-05-16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안테나 전극을 포함하는 공간 광변조기, 및 상기 공간 광변조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632216B2 (en) * 2015-02-03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modulating device having gate structure
US10061020B2 (en) * 2015-09-20 2018-08-28 Qualcomm Incorporate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ystem with dual beam steering
EP3356854B1 (en) * 2015-09-28 2024-03-27 Baraja Pty Ltd Spatial profiling system and method
WO2017095817A1 (en) * 2015-11-30 2017-06-08 Luminar Technologies, Inc. Lidar system with distributed laser and multiple sensor heads and pulsed laser for lidar system
US11106030B2 (en) * 2016-05-11 2021-08-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tical distance measurement system using solid state beam steering
US9904081B2 (en) * 2016-06-20 2018-02-27 Raytheon Company LCWG steered laser transmitter and situational awareness sensor with wavelength conver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2997A (ja) * 2005-08-04 2007-08-23 Victor Co Of Japan Ltd 反射型液晶表示素子及び投射型表示装置
US20130242400A1 (en) * 2012-03-16 2013-09-19 Long Chen Optical beam swee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49190A1 (en) 2021-11-11
US11774558B2 (en) 2023-10-03
US20180059223A1 (en) 2018-03-01
EP3290951A1 (en) 2018-03-07
EP3290951B1 (en) 2019-06-19
KR20180024806A (ko) 2018-03-08
US11092672B2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3811B1 (ko) 광 스캐닝 장치 및 광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라이다 시스템
US12096121B2 (en) Precision reflectivity and ambient light removal for a geiger mode/single photon active sensor system
US12117553B2 (en) LIDAR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objects
US12162475B2 (en) Automotive auxiliary LADAR sensor
US20220276352A1 (en) Optical package for a lidar sensor system and lidar sensor system technical field
EP3724687B1 (en) Lidar systems including a gallium and nitrogen containing laser light source
KR102714940B1 (ko) Lidar 시스템 및 방법
CN112969937A (zh) Lidar系统和方法
KR20140145481A (ko) 차량용 tof 카메라
US20230305160A1 (en) Multimodal detection with integrated sensors
CN112771406A (zh) 具有加热元件的电光系统
WO2024049500A2 (en) Multimodal detection with integrated sensors
US20230047931A1 (en) Coaxial lidar system using a diffractive waveguide
US20210349244A1 (en) Transmitter having a light modulator fo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JP7462989B2 (ja) 出射装置
US20250102681A1 (en) Multimodal detection with integrated sensors
US20230185085A1 (en) Self-illuminating distortion harp
WO2024163003A1 (en) Lidar integrated vehicle lights
JP2021110868A (ja) 受光装置及び電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8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