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3719B1 -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 Google Patents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719B1
KR102673719B1 KR1020210048303A KR20210048303A KR102673719B1 KR 102673719 B1 KR102673719 B1 KR 102673719B1 KR 1020210048303 A KR1020210048303 A KR 1020210048303A KR 20210048303 A KR20210048303 A KR 20210048303A KR 102673719 B1 KR102673719 B1 KR 10267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wire
vest body
quick release
buck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2035A (en
Inventor
김한곤
Original Assignee
남태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태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719B1/en
Priority to PCT/KR2021/004782 priority patent/WO2022220321A1/en
Publication of KR2022014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0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71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8Ches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cean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베스트 바디; 사용자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베스트 바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어깨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연결하도록 로킹된 상부연결부재;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된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옆구리부를 연결하도록 로킹된 하부연결부재;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를 가로질러 연장된 부분이 서로 만나 구성되는 퀵릴리즈 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vest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A rear vest body placed behind the user; an upper connecting member locked to connect the left or right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o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nd locked to connect the side portion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lower connection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quick release string form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eeting each other at a portion extending across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wherein the first wire is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It relates to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body.

Description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본 발명은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ability.

낚시, 레져, 방검과 방탄 등 생활속 여러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조끼는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만 기술이 지속적으로 진보해왔으며, 이에 대한 기술들은 종래 다수가 존재하고 있다.Vests, which are useful in many areas of daily life, such as fishing, leisure, bulletproofing, and bulletproofing, have continued to advance in technology in the direction of making them easy to wear, and many technologies for this have existed in the past.

반대로 방탄조끼나 방검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경우, 또는 무거운 방탄재가 들어있는 조끼를 착용한 채로 해상에 추락하거나, 구명조끼를 입은채로 뒤집힌 선체 내부에 갇혀 부력에 의해 탈출하기가 어려운 응급 상황들에서는 조끼를 신속히 탈거할 필요가 있다.Conversely, if you are seriously injured while wearing a bulletproof vest or bulletproof vest, or if you fall into the sea while wearing a vest containing heavy bulletproof material, or if you are trapped inside an overturned ship while wearing a life jacket, it is difficult to escape due to buoyancy. In emergency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quickly remove the vest.

그러나, 응급상황에서 조끼를 신속하게 벗기 위한 기술들은 더디게 진보해왔으며, 가장 최근에 공개된 기술 중 하나로 긴급 탈의장치를 갖는 방탄복인 한국 등록 특허 10-1902144 가 있다.However, technologies for quickly removing vests in emergency situations have progressed slowly, and one of the most recently disclosed technologies is Korean patent 10-1902144, a body armor with an emergency doffing device.

해당 특허 기술 역시 버클이 쉽게 잠금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탈거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전면 베스트에 다수의 와이어들이 복잡하게 절곡된 채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patented technology is also designed to facilitate removal by allowing the buckle to be easily unlocked, but multiple wires on the front vest are intricately ben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때문에, 잠금 해제를 위해 손잡이를 당기는 방향과 와이어들의 연장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손잡이를 당기면 와이어가 중간 부재들에 걸려서 버클에 장력이 전달되지 않음으로 인해, 탈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is pulled to unlock it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s do not match, so when the handle is pulled, the wire gets caught in the intermediate members and tension is not transmitted to the buckle,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not smooth removal. .

또한, 베스트 전면에 다수의 와이어가 구비되어 있어 전면 베스트를 착용하기 편하게 좌우 파트로 나눌 수가 없기 때문에, 착용시 위에서 아래로 착용하거나 한쪽의 버클을 해제하여 착용하고 옆구리와 어깨의 버클을 로킹해야 하는 등 착용이 번거로운 문제도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re are multiple wires on the front of the vest, the front vest cannot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arts for ease of wearing, so when wearing it, you must wear it from top to bottom or release the buckle on one side and lock the buckle on the side and shoulder.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to wear.

뿐만 아니라, 손잡이와 손의 거리가 멀며, 손잡이의 설정된 견인 방향은 지면에 수직하나 실제 팔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은 지면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와이어에 힘이 완전히 전달되기가 어려워 탈거가 더 더디게 되는 문제 역시 상존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nd is far, and the set traction direction of the ha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ut the direction in which force is actually applied by the arm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ground, making it difficult to completely transmit force to the wire. The problem of slower decommissioning also exist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버클을 잠금 해제하는 와이어가 저항을 적게 받아 조끼가 신속하게 탈거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enable the vest to be quickly removed by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wire that unlocks the buckle.

또한, 본 발명은 손과 와이어의 손잡이의 거리를 가깝게 구성하여 손쉽게 조끼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vest by clo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 and the handle of the wire.

또한, 본 발명은 착용이 간편한 퀵릴리즈 시스템 조끼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ick release system vest that is easy to w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베스트 바디; 사용자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베스트 바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어깨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연결하도록 로킹된 상부연결부재;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된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옆구리부를 연결하도록 로킹된 하부연결부재;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를 가로질러 연장된 부분이 서로 만나 구성되는 퀵릴리즈 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est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A rear vest body placed behind the user; an upper connecting member locked to connect the left or right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o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nd locked to connect the side portion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lower connection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quick release string form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eeting each other at a portion extending across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wherein the first wire is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body.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지면을 기준으로40도 내지 70도를 이루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되지 않은 타측에서 만나 상기 퀵릴리즈 끈을 구성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wire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40 to 70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and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he quick release string can be formed by meeting on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where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not connected.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wire may be dispos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되지 않은 타측의 옆구리부에 고정되여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를 묶으며,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텐션이 소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pper connection member is fixed to th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hat is not connected to tie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tension maintaining unit that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bove a predetermined standard.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상기 제1와이어가 가로질러 연장되는 부분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와이어가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제1가이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first guide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body extending across the first wire among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nd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wire is inclined. It may include a tub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의 후면을 가로질러 연장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ay be arranged to extend acros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vest body.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의 옆구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된 상기 퀵릴리즈 끈이 통과하며, 통과한 상기 퀵릴리즈 끈이 사용자의 몸통 외측방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된 전방 가이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quick release strap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ont vest body and extends forward and downward from the rear vest body, and the passed quick release strap extends downward to the outer side of the user's torso. It may include a front guide tube that is as bent as possible.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버클연결부재로 연결된 상부 암버클; 및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나머지에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부 수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버클연결부재로 연결된 하부 암버클; 및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나머지에 어느 하나에 연결된 하부 수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상부 수버클에 연결되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하부 수버클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암버클과 하부 암버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버클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ncludes an upper arm buckle connected to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by a buckle connecting member; and an upper male buckle connected to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wherein the lower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lower female buckle connected to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hrough a buckle connecting member. And a lower male buckl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wherein the first wire is connected to the upper male buckle, and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to the lower male buckle, At least one of the upper arm buckle and the lower arm buckle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part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버클과 하부 수버클은 상기 전면베스트 또는 후면베스트에 버클연결부재로 연결된 수버클 바디; 및 상기 수버클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며, 암버클 내부로 인입되어 외측면이 암버클에 걸림 고정되는 한쌍의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한쌍의 탄성편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수버클 바디 중심에서 만나 수버클 바디 외측으로 연장되는 Y자 형의 와이어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pper male buckle and the lower male buckle include a male buckle body connected to the front vest or rear vest by a buckle connection member; and a pair of elastic pieces that extend from the male buckle body and are inserted into the female buckle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fastened to the female buckle.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elastic pieces. The connection may be a Y-shaped wire that meets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s or at the center of the male buckle body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male buckle body.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베스트 바디와 상기 후면 베스트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퀵릴리즈 지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퀵 릴리즈 지퍼는 제1톱니부; 상기 제1톱니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톱니부;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가 맞물리도록 제1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맞물린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가 분리되도록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하도록 안내하는 이탈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 quick release zipp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wherein the quick release zipper includes a first toothed portion; a second tooth portion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tooth portion; a slider provid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toothed portion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are engaged, or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to separate the engaged first and second toothed portions; and a separation guide part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tooth part and the second tooth part, and guiding the slider to deviate from one of the first tooth part and the second tooth part.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 유도부는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보조레일; 및 상기 보조레일에 구비되며,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상기 보조레일이 구비되지 않은 톱니부를 향해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여 상기 보조레일로부터 이탈시키는 유도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paration guide part includes an auxiliary rail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tooth part and the second tooth part; and a guide clip provided on the auxiliary rail, which presses the slider toward a toothed portion of the first toothed portion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auxiliary rail to separate the slider from the auxiliary rail.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베스트 바디는 전면 좌측 바디와 전면 우측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퀵 릴리즈 지퍼의 제1톱니부는 상기 전면 좌측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제2톱니부는 상기 전면 우측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ront vest body includes a front left body and a front right body, a first toothed portion of the quick release zipper is fixed to the front left body,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is fixed to the front right body. It can be fix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베스트 바디; 사용자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베스트 바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어깨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연결하도록 로킹된 상부연결부재;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된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옆구리부를 연결하도록 로킹된 하부연결부재;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의 전면에서 만나 구성되는 퀵릴리즈 끈;을 포함하고, 상기 퀵릴리즈 끈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된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est body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A rear vest body placed behind the user; an upper connecting member locked to connect the left or right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o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nd locked to connect the side portion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lower connection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quick release string configur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eeting at the front of the front vest body, wherein the quick release string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to which the upper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remov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on.

본 발명은 버클을 잠금 해제하는 와이어가 저항을 적게 받아 조끼가 신속하게 탈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wire that unlocks the buckle to receive less resistance, allowing the vest to be quick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손과 와이어의 손잡이의 거리를 가깝게 구성하여 손쉽게 조끼를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vest to be easily removed by clo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 and the wire handle.

또한, 본 발명은 착용이 간편한 퀵릴리즈 시스템 조끼를 제공하고자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quick release system vest that is easy to w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의 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의 전면도이다.
도 3은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에 이용되는 버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에 이용되는 가이드 튜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를 착용한 상태도이다.
도 6은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를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퀵 릴리즈 베스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퀵 릴리즈 베스트이다.
도 9는 상기 퀵 릴리즈 베스트에 어플리케이션 장착부가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11은 상기 퀵 릴리즈 베스트에 퀵릴리즈 지퍼가 구비될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is a rear view of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buckle used in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ability.
Figure 4 shows a guide tube used in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ing ability.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ability is worn.
Figure 6 shows the state of removing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offing ability.
Figure 7 shows a quick release v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a quick release v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quick release vest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mounting portion.
Figures 10 and 11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quick release vest is provided with a quick release zipp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ooked a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 및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퀼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사용자의 전면 흉부와 복부를 커버하는 전면베스트 바디(11)와, 사용자의 등을 커버하는 후면베스트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quill release system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ront vest body 11 that covers the user's front chest and abdomen, and a rear vest body 12 that covers the user's back. ) may include.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는 전면 좌측 바디(111)와 전면 우측 바디(1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면 좌측 바디(111)와 전면 우측 바디(112)는 버클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The front vest body 11 may be composed of a front left body 111 and a front right body 112, and the front left body 111 and the front right body 112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buckle. It can be.

전면 좌측 바디(111)와 전면 우측 바디(112)를 로킹하는 연결수단으로 도 2에는 버클만 게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퍼와 벨크와 후크와 클립과 끈 등 둘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As a connecting means for locking the front left body 111 and the front right body 112, only a buckle is shown in Figure 2,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a member that can selectively connect the two, such as a zipper, velk, hook, clip, and string. Ramen can be provided in any form.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퀼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어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인 상부연결부재(21, 31)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옆구리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인 하부연결부재(22, 3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ill release system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upper connecting members 21 and 31, which ar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shoulder portions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and the front vest. It may include lower connecting members 22 and 32, which ar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side portions of the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상기 상부연결부재(21, 31)와 상기 하부연결부재(22, 32)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측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21, 22, 31, 32)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한측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후면베스트 바디(12)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connecting members 21, 31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s 22, 32 can connect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and the connecting members ( On the remaining side where 21, 22, 31, and 32) are not connected,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can be directly connected.

즉, 도2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상부연결부재(21, 31)와 상기 하부연결부재(22, 32)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좌측 어깨부와 좌측 옆구리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반대로 우측 어깨부와 우측 옆구리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upper connecting members 21, 31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s 22, 32 are located on the left shoulder and left side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You can selectively connect the part, or conversely, you can selectively connect the right shoulder part and the right flank part.

상기 상부연결부재(21, 31)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버클연결부재(S)로 연결된 상부 암버클(31)과, 후면베스트 바디(12)에 버클연결부재(S)로 연결된 상부 수버클(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connecting members (21, 31) include an upper arm buckle (31)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with a buckle connecting member (S), and an upper upper arm buckle (31) connected to the rear vest body (12) with a buckle connecting member (S). It may include a male buckle (21).

또한, 상기 하부연결부재(22, 32)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버클연결부재(S)로 연결된 하부 암버클(32)과, 후면베스트 바디(12)에 버클연결부재(S)로 연결된 하부 수버클(2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nnecting members 22 and 32 are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and the front vest body 11 with a buckle connecting member (S), and the lower arm buckle 32 is connected to the rear vest body 12 with a buckle. It may include a lower male buckle 22 connected to the member (S).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버클연결부재(S)는 스트랩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이며, 후크나 링 또는 힌지 등 버클과 베스트 바디를 연결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S) is provided as a strap, but this is one of various embodiments, and can be provided in any form as long as it is a member that can connect the buckle and the vest body, such as a hook, ring, or hinge. .

반대로, 암버클(31, 32)이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12)에 연결되고, 수버클(21, 22)이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연결된 형태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와이어의 배치 상 반대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Conversely, it is possible to have the female buckles (31, 32) connected to the rear vest body (12) and the male buckles (21, 22)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wi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used. In terms of arrangement, it is preferable to connect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퀼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상기 상부 수버클(21)에 연결된 제1와이어(51)와, 상기 하부 수버클(22)에 연결된 제2와이어(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quill release system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ire 51 connected to the upper male buckle 21 and a second wire 52 connected to the lower male buckle 22. there is.

상기 제1와이어(51)와 상기 제2와이어(52)가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상부 수버클(21)과 상기 하부 수버클(22)이 상기 상부 암버클(31)과 상기 하부 암버클(32)로부터 로킹해제될 수 있다.When the first wire 51 and the second wire 52 are pulled by an external force, the upper male buckle 21 and the lower male buckle 22 are connected to the upper female buckle 31 and the lower female buckle. It can be unlocked from (32).

상기 수버클과 암버클의 및 와이어의 구체적인 연결관계는 도 3에서 후술한다.The specific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buckle and the female buckle and the wire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3.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퀼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상기 제1와이어(51)와 상기 제2와이어(52)가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연장된 부분이 옆구리부에서 서로 만나 구성되는 퀵릴리즈 끈(53) 및, 상기 퀵릴리즈 끈(53)의 단부에 구비된 손잡이(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quill release system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wire 51 and the second wire 52 extend across the center of the rear vest body 12 at the side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quick release string 53 configured to meet each other, and a handle 72 provided at an end of the quick release string 53.

즉, 상기 퀵릴리즈 끈(53)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좌측과 우측 중 버클이 연결되지 않은 측면에서 만날 수 있다.That is, the quick release strap 53 can mee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buckle.

상기 제1와이어(51)는 지면을 기준으로40도 내지 70도를 이루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52)는 지면을 기준으로5도 내지 30도를 이루면서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wire 51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40 to 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wire 52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You can.

이는, 사용자의 손과 퀼 릴리즈 끈(53) 및 손잡이(72)까지 거리를 최단 거리로 구성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손잡이(72)를 파지하고 그대로 팔을 펴면서 하측으로 견인하면 조끼가 탈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configur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hand and the quill release strap (53) and the handle (72) to be the shortest possible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the vest to be removed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72) and pulls it downward while straightening the arm. am.

또한, 사용자의 팔이 펴지면서 손이 이동하는 각도와 상기 제1와이어(51)가 배치된 각도를 유사하게 구성함으로써, 주변의 돌출된 구성에 의해 제1와이어(51)에 작용할 수 있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angle at which the user's hand moves as the user's arm is stretched and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wire 51 is disposed to be similar, the frictional force that can act on the first wire 51 due to the surrounding protruding structure is reduced. It can be minimized.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은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조끼를 탈거하여, 응급상황에서의 조끼를 탈거하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속도가 획기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remove the vest with a small amount of force, thereby dramatically shortening the speed at which the vest can be removed and the response to the situ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한편, 상기 상부 수버클(21)과 상기 상부 암버클(31)의 길이방향 축은 지면을 기준으로40도 내지 70도를 이루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51)와 동일 선상을 구성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수버클(22)과 상기 하부 암버클(32)의 길이방향 축은 지면을 기준으로5도 내지 30도를 이루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와이어(52)와 동일 선상을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ngitudinal axes of the upper male buckle 21 and the upper female buckle 31 ar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40 to 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as to form the same line as the first wire 51. Likewise, the longitudinal axes of the lower male buckle 22 and the lower female buckle 32 ar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so that they are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wire 52. It can be configured.

상기한 와이어와 버클의 배치를 통해, 와이어에 전달된 힘은 중간 마찰에 의해 상쇄됨이 없이 곧바로 수버클에 가해질 수 있다.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wire and buckle described abov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wire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male buckle without being canceled by intermediate fric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퀼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후면베스트 바디(12) 좌측과 우측 중 버클이 연결되지 않은 타측의 옆구리부에 고정되여 상기 제1와이어(51)와 상기 제2와이어(52)를 묶는 텐션 유지부(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quill release system v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ixed to th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to which the buckle is not connected,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51. It may further include a tension maintaining portion 71 that binds the second wire 52.

상기 텐션 유지부(71)는 상기 제1와이어(51)와 상기 제2와이어(52)의 텐션이 소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하여, 와이어가 처짐에 따라 손잡이(72)를 당기는 시간과 로킹해제되는 시간의 간극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를 방지한다.The tension maintaining unit 71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51 and the second wire 52 above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adjusts the pulling time and unlocking time of the handle 72 as the wire sags. Prevents the problem of the gap becoming too long.

처짐 방지를 위해, 상기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12)에 고정되며 상기 제1와이어(51)가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와이어(51)가 통과하는 제1가이드 튜브(61) 및,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와이어(52)가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와이어(52)가 통과하는 제2가이드 튜브(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prevent sagging, the quick release system vest is fixed to the rear vest body 12 and is arrang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wire 51 is inclined so that the first wire 51 passes through. It is fixed to the first guide tube 61 and the rear vest body 12 and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angle of the second wire 52, so that the second wire 52 passes through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tube 62.

또한, 상기 퀼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의 옆구리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12)에서 전방 하측으로 연장된 상기 퀵릴리즈 끈이 통과하는 전방 가이드 튜브(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uill release system ves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extends forward and downward from the rear vest body 12. It further includes a front guide tube 63 through which the quick release strap passes. can do.

상기 전방 가이드 튜브(63)는 사용자의 몸통 외측방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퀵릴리즈 끈(53)과 손잡이(72)가 자연스럽게 절곡되어 사용자의 손과 가까이 위치할 수 있으며, 퀵릴리즈 끈(53)이 견인될 때 주변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퀵릴리즈 끈(53)이 항상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The front guide tube 63 is bent to extend downward to the outer side of the user's torso, so that the quick release strap 53 and the handle 72 can be naturally bent and positioned close to the user's hand, and the quick release strap ( 53) has the excellent effect of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when being towed and ensuring that the quick release string 53 is alway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와이어(51)와 상기 제2와이어(52)가 후면베스트 바디(12)에 고정됨으로써, 신체 전면에서 와이어에 의한 걸림이 없어 일상적인 비응급상황에서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irst wire 51 and the second wire 52 are fixed to the rear vest body 12, thereby preventing the wire from being caught in the front of the body, thereby improving mobility in everyday non-emergency situations. It can be raised.

또한,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가 전면 좌측 바디(111)와 전면 우측 바디(112)로 나뉘어 중간 버클을 이용해 쉽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vest body 11 is divided into a front left body 111 and a front right body 112, so that it can be easily put on and taken off using the middle buckle.

왜냐하면, 상기 제1와이어(51)와 상기 제2와이어(52)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고정되면, 전면 좌측 바디(111)와 전면 우측 바디(112)가 자유롭게 개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wire 51 and the second wire 52 are fixed to the front vest body 11,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front left body 111 and the front right body 112 cannot be freely opened. Because it can happe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퀵릴리즈가 가능한 상기 수버클(MB)과 암버클(FB)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s of the quick-release male buckle (MB) and female buckle (F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요(凹) 형태의 암버클(FB)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12)에 연결되는 암버클 바디(301), 상기 암버클 바디(301)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12)에 연결되는 버클연결부재가 연결되는 길이 조절부(302) 및, 수버클의 탄성편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탄성편 삽입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cave-shaped arm buckle (FB) is formed on the arm buckle body 301,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or the rear vest body 12, and the arm buckle body 301,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or the rear vest body 12. (11)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length adjustment portion 302 to which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rear vest body 12 is connected, and an elastic piece insertion portion 303 into which the elastic piece of the male buckle is inserted and fastened.

이때, 길이 조절부(302)는 암버클 제1 삽입홀(302a)과 암버클 제2 삽입홀(302b)을 구비하여 각각에 버클연결부재의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삽입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302 has a first female buckle insertion hole 302a and a second female buckle insertion hole 302b, and can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each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철(凸) 형태의 수버클(MB)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12)에 연결되는 수버클 바디(201),The iron-shaped male buckle (MB) includes a male buckle body 201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or the rear vest body 12,

상기 수버클 바디(201)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12)에 연결되는 버클연결부재(S)가 연결되는 수버클 삽입홀(201a), 상기 수버클 바디(201)에서 연장 형성되며 탄성편 삽입부(303) 내부로 인입되어 외측면이 걸림 고정되는 제1탄성편(202)과 제2탄성편(203) 및, 상기 제1탄성편(202)과 제2탄성편(203) 사이에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지지편(204)을 포함할 수 있다.A male buckle insertion hole (201a) formed in the male buckle body 201 and connected to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S)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or the rear vest body 12, the male buckle body 201 ), the first elastic piece 202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203 are formed to extend from and are inserted into the elastic piece insertion portion 303 and the outer surface is locked and fixed, and the first elastic piece 202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It may include support pieces 204 formed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between the elastic pieces 203.

또한 상기 제1탄성편(202)과 제2탄성편(203)에는 와이어 고정홀(202a, 203a)이 형성되어, 와이어(Y, 51, 52)가 묶음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ire fixing holes 202a and 203a are formed in the first elastic piece 202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203, so that the wires Y, 51, and 52 can be bundled and fixed.

이때, 상기 와이어(Y, 51, 52)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202, 203)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수버클 바디(201) 중심에서 만나 수버클 바디 외측으로 연장되는 Y자 형의 와이어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s (Y, 51, 52) may be provided as Y-shaped wires that meet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s (202, 203) or at the center of the male buckle body 201 and extend outside the male buckle body. You can.

상기 길이 조절부(302)가 상기 암버클(FB)에만 구비된 이유로, 상기 길이 조절부(302)가 수버클(MB)에도 구비되는 경우 상기 와이어(Y, 51, 52)가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응급상황에서 신속 탈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Because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302 is provided only on the female buckle (FB), when the length adjustment portion 302 is also provided on the male buckle (MB), the wires (Y, 51, 52) maintain a constant tension.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o and can be difficult to quickly remove in an emergency situation.

반대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수버클(MB)에도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는 상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평소에는 버클연결부재(S)의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버클연결부재(S)가 베스트 바디에 고정되어 있되 정비시 버클연결부재(S)의 길이를 조절할 때는 베스트 바디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Conversely, the length adjustment unit may also be provided on the male buckle (MB).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S) is fixed to the vest body so that the length of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S) cannot be adjusted in general. However,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S) during maintenance, it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best body.

도 4는 상기 제1가이드 튜브(61)와 제2가이드 튜브(62) 및 전방 가이드 튜브(63)를 이루는 가이드 튜브(T)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guide tube (T) forming the first guide tube 61, the second guide tube 62, and the front guide tube 63.

상기 가이드 튜브(T)는 와이어(Y)가 통과하는 가이드 통로(602)를 형성하는 합성수지로 구비된 튜브 바디(6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합성섬유로 구비되되 인장강도와 강인성과 내열성이 뛰어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인 아라미드 (Aramid)로 구성될 수 있다.The guide tube (T) may include a tube body 601 made of synthetic resin that forms a guide passage 602 through which the wire (Y) passes, and the wire is made of synthetic fiber and has tensile strength and toughness. It may be composed of aramid, an aromatic polyamide fiber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상기 와이어는 강도 높은 합성섬유에 제한되지 않고, 천연섬유나 철사 등 버클을 순간적으로 견인하는 인력을 버틸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다.The wire is not limited to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but may be provided in any form, such as natural fibers or wires, as long as it is a member that can withstand the force of momentarily pulling the buckle.

도 5는 사용자가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를 착용한 상태를 볼 수 있으며, 이때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퀵릴리즈 끈(53)에 연결된 손잡이(72)를 하측으로 당기면 도 6과 같이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가 신속하게 탈거될 수 있다.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wearing a quick release system vest.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72 connected to the quick release strap 53 extend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is pulled downward, the quick release system vest is released as shown in Figure 6. Can be removed quickly.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로,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으로, 퀵릴리즈 끈(53)이 전면베스트 바디(11)까지 연장되지 않고,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옆구리부에 상기 텐션 유지부(71)에 의해 고정된 일례이다.Figure 7 shows a quick release system v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that the quick release strap 53 does not extend to the front vest body 11, but rather extends to the rear vest body 12. This is an example of the device being fixed to the side portion by the tension holding portion 7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72)가 후측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통상적인 비응급상황에서는 손에 퀵릴리즈 끈(53)이 걸리지 않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handle 72 is located close to the rear, the convenience of not having the quick release strap 53 caught in the hand can be provided in normal non-emergency situation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이다.Figure 8 is a quick release system v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버클(21')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연결되며 상부 암버클(31')은 후면베스트 바디(12)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수버클(22')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연결되며 하부 암버클(32')은 후면베스트 바디(12)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pper male buckle 21' is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the upper female buckle 31'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vest body 12, and the lower male buckle 22 ')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lower arm buckle 32'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vest body 12.

또한, 상기 제1와이어(51')와 상기 제2와이어(52')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의 전면에서 만나 퀵릴리즈 끈(53')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퀵릴리즈 끈(53')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2)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버클들이 연결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ire 51' and the second wire 52' may meet at the front of the front vest body 11 to form a quick release string 53', and the quick release string 53 ')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12 where the buckles are connected.

본 실시예 따르면, 사용자가 전방 일측애 있는 상기 퀵릴리즈 끈(53')을 타측으로 당겨 손쉽게 로킹을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easily unlock the device by pulling the quick release string 53' on one front side to the other side.

한편, 상기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12)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부력재, 방탄재, 방검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납하는 기실(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quick release system vest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vest body 11 or the rear vest body 12 and further includes an air chamber 81 for storing at least one of a buoyancy material, a bulletproof material, and an anti-splinter material. can do.

이하,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상기 퀵 릴리즈 베스트에 어플리케이션 장착부(15)가 구비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an embodiment in which the quick release vest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mounting portion 15 will be described.

상기 퀵 릴리즈 베스트는 수납부재, 생존물품, 디자인 부재, 조끼 커버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선택적으로 장탈착되는 어플리케이션 장착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quick release vest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mounting portion 15 on which an application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torage member, a survival item, a design member, and a vest cover is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착부(15)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와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12)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9에는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12)에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The application mounting unit 15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and Figure 9 shows an example provided on the rear vest body 12. 10 shows an example provided on the front vest body 11.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착부(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걸림부를 구비하며 표면에 벨크로가 고정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나 클립 등 다양한 형태의 탈부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mounting unit 1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as shown and fixed to the surface with Velcro,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types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methods such as hooks and clips can be used. there is.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된 가방이나 파우치로 구비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82)가 장탈착되도록 그 후면에 벨크로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착부(15)에 탈부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Likewise, the application member 82, which is provided as a bag or pouch shown in the drawing, is provided with Velcro on the back to enable attachment and detachment,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in any form as long as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application mounting unit 15. It is okay to do so.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퀵 릴리즈 베스트에 퀵 릴리즈 지퍼(9)가 구비될 일례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0, an example in which the quick release zipper 9 is provided in the quick release vest will be described.

상기 퀵릴리즈 지퍼(9)는 평소에는 일반적인 지퍼와 같이 사용하다가, 비상상황에서 조끼를 신속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quick release zipper (9) is used like a regular zipper in everyday life, but is designed to allow the vest to be quickly removed in an emergency situation.

구체적으로, 상기 퀵 릴리즈 지퍼(9)는 다수의 톱니로 이루어진 제1톱니부(91), 상기 제1톱니부(91)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양측 부재를 로킹하는 제2톱니부(92),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93) 및, 상기 슬라이더(93)에 연결된 지퍼 손잡이(94) 및,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에서 이탈하도록 안내하는 이탈 유도부(96)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quick release zipper 9 includes a first toothed portion 9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eeth, a second toothed portion 92 that selectively engages with the first toothed portion 91 to lock both members, and A slider 93 that slides on the first tooth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92 so that the first tooth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92 are selectively engaged, and the slider It may include a zipper handle 94 connected to (93) and a separation guide portion 96 that guides the slider to separate from the first tooth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92.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 유도부(96)는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93)가 이탈 유도부(96)를 지나게 되면 상기 이탈 유도부(96)가 구비된 톱니부에서 밀려나 이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 와의 마감부 결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는 외력에 의해 빠르고 쉽게 분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paration inducing part 96 may be provided at either end of the first toothed part 91 or the second toothed part 92, and the slider 93 causes the separation inducing part 96. When it passes, the separation inducing part 96 is pushed out and separated from the toothed part, and as a result, the binding of the finishing part between the first toothed part 91 and the second toothed part 92 is released and the first toothed part 96 is released. (91)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92) can be quickly and easily separated by external force.

상기 이탈 유도부(96)는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보조레일 (961), 상기 보조레일(961)에 구비되며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 중 상기 보조레일이 구비되지 않은 톱니부를 향해 절곡되어 돌출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93)를 가압하여 상기 보조레일(961)로부터 이탈시키는 가압부(962) 및, 상기 가압부(962)를 상기 보조레일(961)에 고정하는 한쌍의 가압부 고정부(9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on guide portion 96 is provided on an auxiliary rail 961 fixed to one of the first toothed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92, and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rail 961 and is provided on the first toothed portion. A pressurizing portion 962 that presses the slider 93 and causes it to separate from the auxiliary rail 961 by bending and protruding toward the toothed portion of the second toothed portion 92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auxiliary rail; , It may include a pair of pressing part fixing parts 963 that fix the pressing part 962 to the auxiliary rail 961.

상기 가압부(962)는 절곡된 형태의 클립으로 구비되며 상기 보조레일(961)에서 상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슬라이더(93)를 가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pressing portion 962 is preferably provided as a bent clip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auxiliary rail 961, but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pressurize the slider 93.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퀵 릴리즈 지퍼(9)의 작동 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mode of the quick release zipper 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좌측은 상기 슬라이더(93)는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가 맞물리도록 제1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상기 보조레일(961)에 구비된 가압부(962)에 의해 가압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left, the slider 93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toothed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92 are engaged, and the pressing portion 962 provided on the auxiliary rail 961 It shows the state before being pressurized by .

좌측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퍼 손잡이(94)를 상기 제1방향으로 더 견인하면, 우측과 같이 상기 가압부(962)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93)가 가압되면서 상기 보조레일(961)로부터 이탈하게 된다.In the left state, when the user further pulls the zipper handle 94 in the first direction, the slider 93 is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962 and separates from the auxiliary rail 961, as shown on the right. .

이에 따라,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의 마감 결속이 해제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가 서로 멀어지도록 힘을 가하면, 상기 제1톱니부(91)와 상기 제2톱니부(92)는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nal bond between the first tooth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92 is released, and the user moves the first tooth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92 away from each other. When a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first tooth portion 9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92 are separat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퀵 릴리즈 지퍼(9)는 상기 전면 베스트 바디(11)와 상기 후면 베스트 바디(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The quick release zipper 9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rear vest body 12.

상기 전면 좌측 바디(111)와 전면 우측 바디(112)에 구비된 경우 상기 제1톱니부(91)는 상기 전면 좌측 바디(111)에 고정되고, 상기 제2톱니부(92)는 상기 전면 우측 바디(112)에 고정될 수 있다.When provided on the front left body 111 and the front right body 112, the first toothed portion 91 is fixed to the front left body 111,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92 is fixed to the front left body 111. It may be fixed to the body 112.

또한, 상기 제1톱니부(91)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제2톱니부(92)는 상기 후면 베스트 바디(12)에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toothed portion 91 may be fixed to the front vest body 11,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92 may be fixed to the rear vest body 12.

상기 퀵 릴리즈 지퍼(9)는 전술한 퀵 릴리즈 끈과 관련된 실시예와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긴급성 및 사용 편의성에 따라 둘다 또는 둘 중 하나를 이용해 선택적인 방식으로 조끼를 탈거할 수 있다.The quick release zipper 9 can be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embodiments related to the quick release strap described above and applied to a quick release system vest, in which case the user can use both or one of the two depending on urgency and ease of use. The vest can be removed in an optional manner.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Even if the effect i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additionally have other effect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new effects that cannot be seen in the prior art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organic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can do.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different forms, and if implemented including the configura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y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전면베스트 바디 11 전면 좌측 바디 111
전면 우측 바디 112 후면베스트 바디 12
상부 수버클 21 하부 수버클 22
수버클 MB 수버클 바디 201
수버클 삽입홀 201a 제1탄성편 202
와이어 고정홀 202a 제2탄성편 203
와이어 고정홀 203a 지지편 204
상부 암버클 31 하부 암버클 32
암버클 FB 암버클 바디 301
길이 조절부 302 제1 삽입홀 302a
제2 삽입홀 302b 탄성편 삽입부 303
제1와이어 51 제2와이어 52
와이어 Y 퀵릴리즈끈 53
제1가이드 튜브 61 제2가이드 튜브 62
전방 가이드 튜브 63 가이드 튜브 T
튜브 바디 601 가이드 통로 602
텐션 유지부 71 손잡이 72
기실 81 버클연결부재 S
어플리케이션 장착부 15 어플리케이션 부재 82
퀵 릴리즈 지퍼 9 제1톱니부 91
제2톱니부 92 슬라이더 93
지퍼 손잡이 94 이탈 유도부 96
보조레일 961 가압부 962
가압부 고정부 963
Front vest body 11 Front left body 111
Front right body 112 Rear best body 12
Upper male buckle 21 Lower male buckle 22
Male Buckle MB Male Buckle Body 201
Male buckle insertion hole 201a first elastic piece 202
Wire fixing hole 202a second elastic piece 203
Wire fixing hole 203a support piece 204
Upper arm buckle 31 Lower arm buckle 32
Female buckle FB female buckle body 301
Length adjustment unit 302 first insertion hole 302a
Second insertion hole 302b elastic piece insertion portion 303
1st wire 51 2nd wire 52
Wire Y quick release strap 53
1st guide tube 61 2nd guide tube 62
Front guide tube 63 Guide tube T
Tube body 601 guide passage 602
Tension holding part 71 Handle 72
Air chamber 81 Buckle connection member S
Application mounting part 15 Application member 82
Quick release zipper 9 First toothed portion 91
Second tooth portion 92 Slider 93
Zipper handle 94 Breakaway guide 96
Auxiliary rail 961 Pressure part 962
Pressurizing part fixing part 963

Claims (13)

사용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베스트 바디;
사용자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베스트 바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어깨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연결하도록 로킹된 상부연결부재;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된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옆구리부를 연결하도록 로킹된 하부연결부재;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를 가로질러 연장된 부분이 서로 만나 구성되는 퀵릴리즈 끈;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텐션이 소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Front vest body placed in front of the user;
A rear vest body placed behind the user;
an upper connecting member locked to connect the left or right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o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nd locked to connect the side portion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lower connection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 quick release string form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extending across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meeting each other; and
It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unit that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bove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는 지면을 기준으로40도 내지 70도를 이루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되지 않은 타측에서 만나 상기 퀵릴리즈 끈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wire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n angle of 40 to 70 degrees relative to the ground,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he upper connecting member meets on the other side that is not connected to form the quick release string.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상기 제1와이어가 가로질러 연장되는 부분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와이어가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제1가이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paragraph 2,
A first guide tube fixed to a portion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extending across the first wire and dispos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wire is inclined.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후면베스트 바디의 후면을 가로질러 연장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arranged to extend across the rear side of the rear vest body.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납부재, 생존물품, 디자인 부재, 조끼 커버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선택적으로 장탈착되는 어플리케이션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one of the front best body and the rear best body
Further comprising: an application mounting unit in which an application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torage member, a survival item, a design member, and a vest cover is sel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버클연결부재로 연결된 상부 암버클; 및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나머지에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부 수버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부재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버클연결부재로 연결된 하부 암버클; 및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 중 나머지에 어느 하나에 연결된 하부 수버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는 상기 상부 수버클에 연결되며,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하부 수버클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암버클과 하부 암버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버클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An upper arm buckle connected to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by a buckle connection member; and
It includes an upper male buckl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he lower connection member is
A lower arm buckle connected to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by a buckle connection member; and
It includes a lower male buckl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he first wire is connected to the upper male buckle, and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to the lower male buckle,
At least one of the upper arm buckle and the lower arm buckle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part that adjusts the length of the buckle connection member.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버클과 하부 수버클은
상기 전면베스트 또는 후면베스트에 스트랩으로 연결된 수버클 바디; 및
상기 수버클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며, 암버클 내부로 인입되어 외측면이 암버클에 걸림 고정되는 한쌍의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는
상기 한쌍의 탄성편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한쌍의 탄성편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수버클 바디 중심에서 만나 수버클 바디 외측으로 연장되는 Y자 형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clause 8,
The upper male buckle and lower male buckle are
A buckle body connected to the front vest or rear vest with a strap; and
It includes a pair of elastic pieces extending from the male buckle body and being inserted into the female buckle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fastened to the female buckle,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A Y-shaped wir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elastic pieces, meeting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s or at the center of the male buckle body,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male buckle body.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베스트 바디와 상기 후면 베스트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퀵릴리즈 지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퀵 릴리즈 지퍼는
제1톱니부;
상기 제1톱니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톱니부;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가 맞물리도록 제1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맞물린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가 분리되도록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 및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어느 하나에서 이탈하도록 안내하는 이탈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quick release zipp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he quick release zipper is
First tooth portion;
a second tooth portion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tooth portion;
a slider provid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toothed portion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are engaged, or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to separate the engaged first and second toothed portions; and
A separation inducing part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toothed part and the second toothed part and guiding the slider to deviate from one of the first toothed part and the second toothed part;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유도부는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보조레일; 및
상기 보조레일에 구비되며,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2톱니부 중 상기 보조레일이 구비되지 않은 톱니부를 향해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여 상기 보조레일로부터 이탈시키는 유도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clause 10,
The departure inducing part
An auxiliary rail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toothed portion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and
A guide clip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rail and causes the slider to separate from the auxiliary rail by pressing the slider toward a toothed portion of the first tooth portion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auxiliary rail.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베스트 바디는 전면 좌측 바디와 전면 우측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퀵 릴리즈 지퍼의 제1톱니부는 상기 전면 좌측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제2톱니부는 상기 전면 우측 바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According to clause 10,
The front best body includes a front left body and a front right body,
The first toothed part of the quick release zipper is fixed to the front left body, and the second toothed part is fixed to the front right body.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사용자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베스트 바디;
사용자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베스트 바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어깨부의 좌측 또는 우측을 연결하도록 로킹된 상부연결부재;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된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와 후면베스트 바디의 옆구리부를 연결하도록 로킹된 하부연결부재;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 상기 하부연결부재가 로킹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의 전면에서 만나 구성되는 퀵릴리즈 끈;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의 텐션이 소정 기준 이상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와이어는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 또는 후면베스트 바디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퀵릴리즈 끈은 상기 전면베스트 바디의 좌측과 우측 중 상기 상부연결부재가 연결된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성이 개선된 퀵 릴리즈 시스템 조끼.
Front vest body placed in front of the user;
A rear vest body placed behind the user;
an upper connecting member locked to connect the left or right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lower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to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nd locked to connect the side portions of the front vest body and the rear vest body;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member so that the lower connection member can be unlocked when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 quick release string configured 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meeting at the front of the front vest body; and
It includes a tension maintaining unit that maintains the tension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bove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disposed to slope downwar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vest body or the rear vest body,
The quick release strap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vest body to which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A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ease of taking off.
KR1020210048303A 2021-04-14 2021-04-14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Active KR102673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03A KR102673719B1 (en) 2021-04-14 2021-04-14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PCT/KR2021/004782 WO2022220321A1 (en) 2021-04-14 2021-04-16 Quick-release systematic vest having improved remov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03A KR102673719B1 (en) 2021-04-14 2021-04-14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035A KR20220142035A (en) 2022-10-21
KR102673719B1 true KR102673719B1 (en) 2024-06-10

Family

ID=8364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303A Active KR102673719B1 (en) 2021-04-14 2021-04-14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73719B1 (en)
WO (1) WO2022220321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3392A1 (en) * 2009-06-11 2010-12-16 Joseph Anscher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US20150237922A1 (en) * 2014-02-27 2015-08-27 Source Vagabond Systems Ltd. Vest with quick release
CN111887545A (en) * 2020-09-04 2020-11-06 江苏驰马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Metal zipper with upper teeth stop and special functions and using method of zipp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8251B1 (en) * 2013-10-02 2015-05-26 National Molding, Llc. Quick release buckle
KR101872335B1 (en) * 2018-01-15 2018-06-28 주식회사 산청 Buckle assembly
KR102232808B1 (en) * 2020-12-29 2021-03-26 우일무역(주) One-touch buck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3392A1 (en) * 2009-06-11 2010-12-16 Joseph Anscher Quick release buckle assembly
US20150237922A1 (en) * 2014-02-27 2015-08-27 Source Vagabond Systems Ltd. Vest with quick release
CN111887545A (en) * 2020-09-04 2020-11-06 江苏驰马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Metal zipper with upper teeth stop and special functions and using method of zi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321A1 (en) 2022-10-20
KR20220142035A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699B2 (en) Shoulder strap for bag
US9668567B2 (en) Adjustable load carrier device
US8814020B2 (en) System for quick release of pack
US20100313327A1 (en) Cut away vest
US6948188B2 (en) Cutaway vests
US6421833B2 (en) Apparel having side-adjustable shoulder supports
JP6255044B2 (en) Restraint and lifting harness with attached release mechanism
US6527480B2 (en) Buoyancy compensator weight system
WO2010081169A2 (en) Utility pack
US12232597B2 (en) Modular belt system with pass-through for safety tie-in point
ITMI20061930A1 (en) BACKPACK WITH SLIDING SIDE MODULE
US20080153370A1 (en) Adjus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US20210127839A1 (en) Travel pillow
CN109640725A (en) Hood regulating mechanism
JP2009005765A (en) Full harness type safety belt
US20100269549A1 (en) Hand restraint device
KR102673719B1 (en) Quick release system vest with improved detachability
US6749370B1 (en) Buoyancy compensating jacket
US3672124A (en) Harness for attaching a horse to a vehicle
WO1994015496A1 (en) Load carrying harness
US6364729B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with front portion central pull system
KR101997386B1 (en) Belt hinge couple for convoy
US20140367952A1 (en) Hand strap for a skiing pole or similar
JP4332428B2 (en) Strap device with slidable ring holder
US20090159629A1 (en) Rucksack which may be switched to a front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