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3065B1 - 입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065B1
KR102673065B1 KR1020210106429A KR20210106429A KR102673065B1 KR 102673065 B1 KR102673065 B1 KR 102673065B1 KR 1020210106429 A KR1020210106429 A KR 1020210106429A KR 20210106429 A KR20210106429 A KR 20210106429A KR 102673065 B1 KR102673065 B1 KR 102673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mposition
oil
mixed
natu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530A (ko
Inventor
장윤정
Original Assignee
장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정 filed Critical 장윤정
Priority to KR102021010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0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0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씨트릭애씨드 및 콘스타치가 혼합된 제1 조성물, 2 ~ 5의 질량%로 혼합되는 식물성 글리세린, 8 ~ 15의 질량%로 혼합되는 계면활성제, 및 0.9 ~ 1.6의 질량%로 혼합되며, 천연에센셜오일을 함유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욕제 조성물{The bath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목욕시에 입욕제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대부분의 입욕제는 식물이나 한방 약재 등을 원료로 하여 약리 성분이나 향을 함유하며, 이는 욕조의 물과 어우러져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은 물론, 그의 약리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용자의 병을 치유하게 되는 의학적인 효능도 줄 수 있다.
입욕제는 욕조에 혼합시 거품을 형성하는 거품 및 발포성 입욕제, 꽃잎이나 약재를 이용한 티백 입욕제, 기능성 성분을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우더 입욕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줄 수 있는 에센셜오일 입욕제 등이 있다.
에센셜오일은 식물이나 허브의 잎, 줄기, 열매, 꽃, 목피, 뿌리 등 다양한 부분에서 추출한 소수성(물에 녹지 않는) 물질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원초적인 상태의 식물보다 훨씬 강한 향기를 가지고 높은 수준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유용성이 높은 향기를 가진 에센셜오일을 활용하여 입욕자의 몸과 마음의 균형을 회복시키고, 항상성(homeostasis) 유지에 도움이 되는 향기(香氣) 요법인 아로마테라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에센셜오일을 통해 입욕자의 기분을 좋게 하거나 기분을 진정시키고, 두통, 스트레스 완화 및 피부질환 개선 등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천연 에션설오일을 활용하여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나타내면서 피부에 안전하고 색감이 탁월한 천연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씨트릭애씨드 및 콘스타치가 혼합된 제1 조성물 2 ~ 5의 질량%로 혼합되는 식물성 글리세린, 8 ~ 15의 질량%로 혼합되는 계면활성제, 및 0.9 ~ 1.6의 질량%로 혼합되며, 천연에센셜오일을 함유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0.1~0.15 질량%의 천연곡물파우더를 더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천연곡물파우더는 민들레분말, 백년초, 청대, 살구씨분말, 파프리카분말 및/또는 딸기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5~10 질량%의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및 3~5 질량%의 데실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0.2 ~ 0.4 질량%의 천연에센셜오일, 0.3 ~ 0.5 질량%의 천연식물성추출물, 0.1~0.2 질량%의 비타민E, 및 0.3~0.5 질량%의 유기농식물성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농식물성오일은 로즈힙오일, 녹차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또는 동백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입욕제조성물은 천연 에션설오일을 활용하여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나타내면서 피부에 안전하고 색감이 탁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1 조성물의 성분비에 따른 수분 증가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천연에센셜오일을 함유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물에 혼합하여 사용되며, 이는 입욕(목욕, 족욕) 시에 욕조 내의 물(목욕물, 족욕물)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은 물론, 세안 시에 세숫물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식물성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및 제2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소듐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씨트릭애씨드(citric acid) 및 콘스타치(cornstarch)가 혼합된 혼합액일 수 있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45~55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백색의 결정성 고체로 '베이킹 소다' 라 불린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에서 목욕, 피부 및 헤어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pH 조절제로서, 화장품의 산과 염기의 균형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듐바이카보네이트는 각질 제거, 트러블 완화,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 피부 보호, 피부톤 개선 및 탈취 등의 효과가 있다.
씨트릭애씨드(citric acid)는 20~3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씨트릭애씨드는 동, 식물에서 널리 발견되는 약산성 물질로 '구연산'이라 불린다. 시트릭애씨드는 헤어스프레이나 데오드란트, 바디미스트와 같은 화장품용 스프레이와 기타 압축가스 제품 및 펌프 스프레이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제품, 메이크업, 립스틱, 목욕 제품, 비누 및 세제, 모발염색제, 헤어케어 및 스킨케어 제품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시트릭애씨드는 pH 조절제로서, 화장품의 산과 염기의 균형을 조절해 줄 수 있다. 또한, 시트릭애씨드는 제품의 산폐를 방지하고, 피부의 각질을 제거해 줄 수 있다.
콘스타치(cornstarch)는 10~20 중량%로 혼합될 수 있다. 콘스타치는 고운입자를 가진 옥수수 분말로 보습에 좋은 식물성 보습인자가 풍부하다. 이에 따라, 콘스타치는 피부를 보습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피지 분비를 조절하여 피부 트러블을 예방해 줄 수 있다. 또한, 각질 제거의 효과가 있다.
제1 조성물은 천연곡물파우더, 트레할로스, 알란토인 및 유기농시어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연곡물파우더는 0.1~0.2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천연곡물파우더는 민들레분말, 백년초, 청대, 살구씨분말, 파프리카분말 및/또는 딸기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민들레분말은 피부 트러블 진정 및 아토피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백년초는 보습 및 항산화 효과가 있다. 청대는 항균, 항염 및 항산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건선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살구씨분말은 피부 탄력 및 피부에 영양을 보충해줄 수 있다. 파프리카분말은 미백에 효과가 있으며, 아토피를 완화시켜줄 수 있다. 딸기 분말은 항상화 작용을 할 수 있다.
트레할로스는 0.1~0.15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트레할로스는 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알란토인은 0.1~0.15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알란토인은 천연성분으로 피부치유에 효과가 있다. 유기농시어버터 0.2~0.4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유기농시어버터는 보습에 효과적이다.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은 2~5의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식물성 글리세린은 코코넛오일이 비누화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된 부산물로 만들어진 알코올의 일종으로 '글리세롤'이라고도 불린다. 식물성 글리세린은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을 강화해 줄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8~15의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극성(친수성)및 무극성(친유성/소수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계면활성제는 천연에센셜오일과 같은 오일 성분을 용매에 가용화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SLSA: sodium lauryl sulfoacetate) 및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를 포함할 수 있다.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는 5~10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는 코코넛으로부터 합성한 저작극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는 거품이 풍부하고 보습력 및 세정력이 우수하다. 또한, 분자의 크기가 커서 피부에 침투하지 않으므로 피부에 안정적이다.
데실글루코사이드는 3~5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데실글루코사이드는 100% 천연 유래 성분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다. 데실글루코사이드는 각 물질의 계면에 흡착하여 잘 섞이도록 하는 활성물질 역할을 하고, 부드러운 세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데실글루코사이드는 천연 유래 성분임에도 거품이 풍부하고, 부드러워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피부와 눈에 안전하여 유아에게도 사용이 가능한 천연 성분이다. 또한, 데실글루코사이드는 생분해성이 높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잘되기 때문에, 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 성분이다.
제2 조성물은 0.9~1.6의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천연에센셜오일, 천연식물성추출물, 비타민E 및 유기농식물성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천연에센션오일은 0.2~0.4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천연에센셜오일은 편백나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천연에센셜오일은 편백나무의 입, 줄기 및/또는 뿌리 등을 용매 추출이나 압 착 추출 등의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에센셜오일은 편백나무의 잎을 정유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거나,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얻어질 수 있다.
입욕제 조성물에 있어서, 각 조성물들과 가용화제의 조합은 매우 중요하다. 각 조성물들 중 식물로 부터 얻어진 오일 성분을 가용화시킬 수 있는 물질로는 계면활성제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든 계면활성제가 천연에센셜오일을 가용화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가용화시킨다 하더라도 많은 양이 소모된다. 이때, 많은 양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 비율에 있어서 상기 천연에센셜오일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인 경우, 이의 사용에 따른 효 과(약리 효과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 등)가 미미할 수 있고, 0.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지고 제형 안정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천연에센셜오일의 ?t량을 천연에센션오일은 0.2~0.4 질량%로 조절함으로써,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우수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천연식물성추출물은 0.3~0.5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천연식물성추출물은 카모마일, 녹차, 병출, 티트리 및 다시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혼합물일 수 있다.
비타민 E는 0.1~0.2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비타민 E는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며, 피부의 신진대사를 도와주므로 주름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강한 항상화작용으로 입욕제의 산패를 방지해 보존 기간을 늘려줄 수 있다. 특히, 천연 비타민의 경우 화학비타민보다 항산화력이 40%이상 뛰어나다. 이에 따라, 오염, 햇빛,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를 빠르게 회복시켜줄 수 있다. 또한, 피부 콜라겐 층에 손상을 주어 주름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줄 수 있다.
유기농식물성오일은 0.3~0.5 질량%로 혼합될 수 있다. 유기농식물성오일은 로즈힙오일, 녹차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또는 동백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혼합물일 수 있다. 로즈힙오일은 피부질환을 예방해주며, 색소침착을 예방하여 피부톤을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다. 녹차씨오일은 피지를 조절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해주고, 피부 진정의 효과가 있다. 아보카도오일은 건성 피부에 효과적이며, 피부 재생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동백오일은 모든 피부에 사용이 가능하고, 자외선 차단의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천연에션설오일을 활용하여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낼 수 있으며, 피부에 안전하고 색감이 탁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는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1 내지 4]
하기의 [표 1]과 같이 제1 조성물의 조성 비율(성분 및 함량)을 다르게 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씨트릭애씨드 및 콘스타치의 조성 비율(성분 및 함량)을 다르게 하여 혼합하고, 0.6 질량%의 트레할로스, 알란토인 및 천연곡물파우더를 혼합하고, 시어버터를 60도 이하로 가열하여 혼합한 후, 교반함으로써, 각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제1 조성물 각각에 식물성 글리세린 3 중량%, 계면활성제 10 중량% 및 제2 조성물 1 중량%를 차례로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그 후, 구 형상의 몰드에 담아 모양을 만들고, 6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조된 조성물을 48시간 동안 추가 건조 숙성함으로써, 입욕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하기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중량%)는 입욕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구분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제1 조성물 소듐바이카보네이트 20 35 50 60
씨트릭애씨드 60 35 20 20
콘스타치 5 10 15 5
트레할로스, 알란토인 및 천연곡물파우더 0.6 0.6 0.6 0.6
식물성 글리세린 식물성 글리세린 3 3 3 3
계면활성제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및 데실글루코사이드 10 10 10 10
제2 조성물 천연에센셜오일, 천연식물성추출물,유기농식물성오일 및 비타민E 1 1 1 1
용매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피부 보습도 평가>
임상실험을 통하여, 각 실시예에 따른 피부 보습도를 평가하였다. 각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을 시험자에게 직접 20분 간 사용하게 하고, 사용 1시간 경과 후 경표피 수분 증가율을 조사하였다. 이 경우, 도 1과 같이 실시예 3에서 가장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었다.
<산폐도 및 수축도 평가>
산폐도 및 수축도 평가를 위하여, 12주 동안 37도의 태양광선 아래에서 각 실시예를 노출시켰다. 그 결과 [표 2]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산폐 및 수축이 진행되지 않았고, 실시예 1, 2 및 4의 경우 산폐가 진행되지는 않았으나, 수분 증발에 따른 극소량의 수축이 발견되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산폐도 평가 극소량 수축 산폐진행안됨 산폐진행안됨 극소량 수축
[실시예 5 내지 8]
하기의 [표 3]과 같이 계면활성제의 조성 비율(성분 및 함량)을 다르게 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제1 조성물의 조성비는 상기의 실시예 3과 같이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씨트릭애씨드 및 콘스타치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먼저, 제조된 제1 조성물에 식물성 글리세린 3 중량%를 혼합하고,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및 데실글루코사이드의 조성 비율(성분 및 함량)을 다르게 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제2 조성물 1 중량%를 첨가한 후 교반하였다. 그 후, 구 형상의 몰드에 담아 모양을 만들고, 6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조된 조성물을 48시간 동안 추가 건조 숙성함으로써, 입욕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하기 [표 3]에서, 각 성분의 함량(중량%)는 입욕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구분 성분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제1 조성물 소듐바이카보네이트 50 50 50 50
씨트릭애씨드 20 20 20 20
콘스타치 15 15 15 15
트레할로스, 알란토인 및 천연곡물파우더 0.6 0.6 0.6 0.6
식물성 글리세린 식물성 글리세린 3 3 3 3
계면활성제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1 3 7 9
데실글루코사이드 9 7 3 1
제2 조성물 천연에센셜오일, 천연식물성추출물, 유기농식물성오일 및 비타민E 1 1 1 1
용매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세정력 평가>
시험비닐에 립스틱을 칠한 후, 시험비닐을 각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이 담긴 욕조에 세척하는 방법으로 각 실시예에 따른 세정력을 평가하고, 세정 정도에 따라 1 내지 10까지 점수를 부여하였다. 세정력이 낮을 경우 1의 점수를 부여하고, 세정력이 우수할 경우 10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표 4]와 같이 세정력 평가 결과 실시예 7에서 가장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냈다.
구분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세정력 평가 3 7 9 3
<거품량 평가>
거품량 평가를 위하여, 각 실시예를 동일한 샤워타월에 동일한 양을 뭍힌 후 거품을 내었다. 그 후, 거품을 수거하여 거품량을 측정하였다. 거품량에 따라 1 내지 10까지 점수를 부여하였다. 거품량이 적을 경우 1의 점수를 부여하고, 거품량이 많을 경우 10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표 5]와 같이, 실시예 7에서 가장 많은 거품이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구분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세정력 평가 2 5 7 3
[실시예 9 내지 11]
실시예 9 내지 11에서는 하기의 [표 6]과 같이 천연에센셜오일의 조성 비율(성분 및 함량)을 다르게 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 제1 조성물의 조성비는 상기의 실시예 3과 같이 소듐바이카보네이트, 씨트릭애씨드 및 콘스타치의 비율을 조절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실시예 7과 같이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제조된 제1 조성물에 식물성 글리세린 3 중량% 및 계면활성제 10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다음, 각 실시예에 따라 천연에센셜오일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1 조성물, 식물성 글리세린 및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혼합물에 제2 조성물을 혼합하였다. 그 후, 구 형상의 몰드에 담아 모양을 만들고, 6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조된 조성물을 48시간 동안 추가 건조 숙성함으로써, 입욕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하기 [표 6]에서, 각 성분의 함량(중량%)는 입욕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구분 성분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제1 조성물 소듐바이카보네이트 50 50 50
씨트릭애씨드 20 20 20
콘스타치 15 15 15
트레할로스, 알란토인 및 천연곡물파우더 0.6 0.6 0.6
식물성 글리세린 식물성 글리세린 3 3 3
계면활성제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데실글루코사이드
10 10 10
제2 조성물 천연에센셜오일 0.1 0.3 0.5
천연식물성추출물,
유기농식물성오일 및 비타민E
0.7 0.7 0.7
용매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고객 선호도 평가>
임상실험을 통하여, 각 실시예에 다른 고객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각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을 100명의 실험자에게 직접 20분 간 사용하게 하고,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7]과 같이, 실시예 10의 경우, 고객 선호도가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이러하 결과로 실시예 10의 경우,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분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고객 선호도 평가
(명)
10 85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고체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욕제 조성물은 동그란 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포장용기에 복수개의 입욕제 조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황과 취향에 맞게 입욕제 조성물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족욕시에는 하나의 조성물, 반신욕 시에는 두 개의 조성물, 전신욕 시에는 세 개의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향기의 입욕제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입욕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경화제가 들어가지 않고, 48시간 이상 건조 숙성하는 방식으로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적어 민감한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2주 동안 27주의 태양광선 아래 노출시켰을 경우 산폐 및 수축이 진행되지 않도록 소듐바이카보네이트 45 ~ 55의 질량%, 씨트릭애씨드 20 ~ 30의 질량% 및 콘스타치 10 ~ 20의 질량%가 혼합된 제1 조성물;
2 ~ 5의 질량%로 혼합되는 식물성 글리세린;
8 ~ 15의 질량%로 혼합되는 계면활성제; 및
0.9 ~ 1.6의 질량%로 혼합되며, 천연에센셜오일을 함유하는 제2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조성물은,
민들레분말, 백년초, 청대, 살구씨분말, 파프리카분말 및 딸기분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0.1 ~ 0.15 질량%인 천연곡물파우더;
0.1 ~ 0.15의 질량%인 트레할로스;
0.1 ~ 0.15의 질량%인 알란토인; 및
0.2 ~ 0.4의 질량%인 유기농시어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정 정도에 따라 1 내지 10의 점수로 구분되고 시험비닐에 칠한 립스틱에 대한 세정력 시험 결과, 상기 세정력이 9가 되도록 5~10 질량%의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및
3~5 질량%의 데실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임상실험을 통해 아로마테라피의 고객 선호 평가에서 85명 이상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도록 0.2 ~ 0.4 질량%의 천연에센셜오일;
0.3 ~ 0.5 질량%의 천연식물성추출물;
0.1~0.2 질량%의 비타민E; 및
0.3~0.5 질량%의 유기농식물성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농시어버터는,
건조된 조성물의 수분증발을 막고 산폐 진행을 막도록 60도 이하로 가열한 후 다른 성분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농식물성오일은,
로즈힙오일, 녹차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또는 동백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입욕제 조성물.
KR1020210106429A 2021-08-12 2021-08-12 입욕제 조성물 Active KR102673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29A KR102673065B1 (ko) 2021-08-12 2021-08-12 입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29A KR102673065B1 (ko) 2021-08-12 2021-08-12 입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30A KR20230024530A (ko) 2023-02-21
KR102673065B1 true KR102673065B1 (ko) 2024-06-05

Family

ID=8532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429A Active KR102673065B1 (ko) 2021-08-12 2021-08-12 입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0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635B1 (ko) * 2015-09-02 2016-01-14 신혜경 천연 거품입욕제 및 천연 거품입욕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23B1 (ko) * 2015-04-08 2017-09-1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백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입욕제 조성물
KR102202440B1 (ko) * 2019-01-03 2021-01-13 신강봉 한방 입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입욕제 제조 방법
KR102277571B1 (ko) * 2019-07-09 2021-07-1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635B1 (ko) * 2015-09-02 2016-01-14 신혜경 천연 거품입욕제 및 천연 거품입욕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530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33898A (zh) 一种多重保湿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CN105816390A (zh) 一种角质调理型美白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1533331B1 (ko) 천연 미용액상비누의 제조방법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997620A (zh) 一种含中草药成分的卸妆油及其制备方法
CN105505635A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041886A (ko)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2227915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
KR102397885B1 (ko) 고체 클렌저 조성물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891292B (zh) 一种含有天然植物有效成分的祛斑亮肤滋养的保湿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102227916B1 (ko) 천연 재료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CN107496286B (zh) 一种淡化细纹补水滋润型水乳及其制备方法
RO120171B1 (ro) Produse cosmetice şi pentru igienă, procedeu de obţinere şi procedeu de aplicare a acestora
CN112076144A (zh) 一种柔和肌肤面部清洁粉及其制备方法
KR102673065B1 (ko) 입욕제 조성물
CN107955756B (zh) 一种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3154A (ko) 한방 여성청결제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227842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439111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267938B1 (ko) 병풀추출물, 지모초뿌리추출물, 살구씨오일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흡수를 증진시킨 수분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