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589B1 - Partition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Google Patents
Partition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2589B1 KR102672589B1 KR1020240027762A KR20240027762A KR102672589B1 KR 102672589 B1 KR102672589 B1 KR 102672589B1 KR 1020240027762 A KR1020240027762 A KR 1020240027762A KR 20240027762 A KR20240027762 A KR 20240027762A KR 102672589 B1 KR102672589 B1 KR 102672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partition
- sensing
- powe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진동시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진동에 따라 회동 및 탄성변형되는 파티션식 진동감지부;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진동통전부; 및 진동 발생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타측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모듈형 차단부를 포함하는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and improve safety during vib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portion formed by electrically dividing a pair of mounting spaces through which a power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is inserte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erminal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line, and a plug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terminal body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space and forming a hollow portion into which a power plug is selectively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A power terminal unit made of an electric current-conducting material and provided in pairs; a connection suppor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power-side connection lin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body; A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that rotates and elastically deforms according to vibration; A vibration energizing part that selectively contacts and energizes both sides of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part to apply electric current; and a solenoid connected so that when vibration occur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and the vibration energizing unit are energized so that current is applied, and a plunger provided to press the power plug upward and separate from the hollow portion on the other side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Provides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that includes a modular block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진동시 안전성이 개선된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separation outlet,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separation outlet with a simplified configuration and improved safety in the event of vibration.
일반적으로, 콘센트에는 각종 전기기구의 코드 끝에 구비되는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과 연결되며 벽이나 바닥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면 코드를 통해 상기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된다.Generally, an outlet is equipped to insert a power plug provided at the end of a cord of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These outlets are connected to indoor electrical wiring and are installed on walls or floors. Accordingly, when the power plug is connected to the outle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appliance through a cord.
여기서, 상기 콘센트에는 일측이 외부의 접지면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플러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지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의 접지부가 상기 콘센트의 접지단자부에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옥내 배선에 이상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접지단자부를 통해 접지되어 콘센트가 연결된 전기기구의 파손 및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Here,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ground terminal on one side connected to an external ground plane, and the power plug is provided with a ground terminal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is, when the ground portion of the power plug is inter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portion of the outlet, even if an abnormal current occurs in the indoor wiring,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to which the outlet is connected can be prevented by being grounded through the ground terminal portion.
그리고, 상기 콘센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대가 구비되며, 한 쌍의 접지라인이 상기 걸림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각 상기 접지라인은 끝단부가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상기 걸림대를 관통하는 연장나사부재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연장나사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걸림대 사이에 클램핑 고정된다.Additionally, the outle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ba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portion, and a pair of ground lin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portion as it contacts the latching bar. At this time, each of the ground lines is clamped and fixed between the head portion of the extension screw member and the locking bar as the extension screw member penetrating the locking bar is screw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ground line peeled off.
한편, 국내에서는 2016년 경주 지진 등 크고 작은 지진의 발생으로 인한 안전 문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진에 대한 안전 인식 및 경각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일반 가정 및 공장에서 사용되는 상기 전기기구는 충격 및 흔들림에 취약한 정밀 기계인 경우가 많으며, 지진에 의한 진동 발생시 지진 화재 및 2차 안전사고의 위험가능성이 높은 현실이다.Meanwhile, in Korea, interest in safety issues is increasing due to the occurrence of large and small earthquakes, such as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and safety awareness and awareness of earthquakes are increasing. In addition, the electrical appliances used in general homes and factories are often precision machines that are vulnerable to shock and shaking, and when vibration occurs due to an earthquake, there is a high risk of earthquake fire and secondary safety accidents.
이를 위해, 지진에 의한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상기 전기기구의 전류차단장치 개발 및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모든 상기 전기기구에 상기 전류차단장치가 구비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며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To this end, development and research on current blocking devices for the above-mentioned electrical appliances that detect vibrations and shocks due to earthquakes and automatically block the flow of current are continuing. However, the current blocking devices are not equipped with all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appliances. In reality, it is difficult and economically inefficient.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지진 발생에 따른 화재 및 2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류차단장치가 구비된 상기 콘센트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outlet equipped with a current blocking device that can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prevent fires and secondary safety accidents caused by earthquak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진동시 안전성이 개선된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with a simplified configuration and improved safety during vibrat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진동에 따라 회동 및 탄성변형되는 파티션식 진동감지부;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진동통전부; 및 진동 발생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타측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모듈형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는 진동에 따라 회동되는 복수 쌍의 파티션과, 상기 파티션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파티션의 외곽에 상호 대향 배치되어 구비된 도전성 재질의 한 쌍의 무버와, 상기 무버의 외측을 탄발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통전부는 접속편이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무버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제1접속판과, 연결편이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무버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제2접속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편 및 상기 연결편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전선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formed by electrically dividing a pair of mounting spaces through which a power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connection line is inserte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erminal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line, and a plug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terminal body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space and forming a hollow portion into which a power plug is selectively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A power terminal unit made of an electric current-conducting material and provided in pairs; a connection suppor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power-side connection lin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body; A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that rotates and elastically deforms according to vibration; A vibration energizing part that selectively contacts and energizes both sides of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part to apply electric current; and a solenoid connected so that when vibration occur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and the vibration energizing unit are energized so that current is applied, and a plunger provided to press the power plug upward and separate from the hollow portion on the other side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A modular blocking unit including a, wherein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partitions that rotate according to vibration, a weight disposed inside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and a weight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It includes a pair of mover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pair of springs that elastically support the outside of the movers, wherein the vibration conductive part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iece and both ends are bent to surround one side of the pair of movers. 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late and a second connection plate on which connection pieces are formed and both ends of which are bent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movers, and one of the connection pieces and the connection pieces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n one side.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is provided, wherein one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a wir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콘센트 주변에서 진동 발생시 무게추의 타격으로 복수 쌍의 파티션이 회동하여 힌지 운동함으로써 파티션식 진동감지부가 진동통전부에 선택적으로 통전되며, 솔레노이드의 기자력을 통해 플런저가 상측으로 흡인되어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타격함에 따라 전원플러그와 전원단자부가 이격되어 전류 흐름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first, When vibration occurs around the outlet, a plurality of pairs of partitions rotate and hinge in motion due to the impact of the weight, so that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is selectively energized into the vibration conductor, and the plunger is drawn upward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causing the power plug to move upward. As a result of hitting, the power plug and power terminal may be separated and the current flow may be automatically blocked.
둘째, 파티션식 진동감지부가 진동 발생시 무게추의 타격으로 회동하여 힌지운동이 유지되는 복수 쌍의 파티션으로 구비됨에 따라 진동이 소멸되기 전까지 솔레노이드의 기자력을 통해 플런저 상향 흡인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전원플러그와 전원단자부가 이격되므로 2차 사고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Second, a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is provided with multiple pairs of partitions that rotate with the strike of the weight when vibration occurs and maintain the hinge movement, the upward suction state of the plunger is maintained through the magnetomotive force of the solenoid until the vibration is extinguished, thereby maintaining the power plug and power supply. Since the terminals are spaced apart, safety against secondary accidents can be further improved.
셋째, 파티션식 진동감지부 및 진동통전부가 감지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됨으로, 조립이 용이하면서 부품간 정확한 결합을 하여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감지케이스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and the vibration conduction unit are mounted inside the detection case and are provided as a single assembly, making assembly easy and accurately combining the parts to improve driving reliability. In addition, the detection case can be separated to be replaced or repaired. Since it can be reassembled and used, maintain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측 연결라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분해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example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ular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측 연결라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분해사시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separatio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top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separation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example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ns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9A and 9B.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ular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700)의 커버부(550)가 분리되어 하우징부(610)의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접지부재(560) 및 접지걸림대(570)가 생략되어 도시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될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700)와 콘센트(700)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2 to 9B show a state in which the cover portion 550 of the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portion 610 is exposed, and the grounding member 560 ) and the ground stopper 570 are preferably understood to be omit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sensing partition 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700 and the outle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도 1 내지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700)는 하우징부(610), 전원단자부(630), 접속지지부(620),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 그리고 진동통전부(647) 및 모듈형 차단부(6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9B, the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610, a power terminal portion 630, a connection support portion 620, and a partition-type plug. It includes a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a vibration conduction unit 647, and a modular blocking unit 68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610)는 한쌍의 장착공간(612)이 구획격벽(616)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장착공간(612)의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61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housing portion 610 is preferably formed by having a pair of mounting spaces 612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partition wall 616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ower insertion hole 611 into which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501a is inserted is formed through on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mounting spaces 6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6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장착공간(612)이 적어도 한쌍 이상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부(610)의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상기 구획격벽(616)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612)이 양측으로 구획되어 2개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the housing portion 61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box shape with an upper side open and at least one pair of mounting spaces 612 formed therein.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mounting space 612 is divided on both sides through the partition partition 616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610 to form two locations. Although explained and illustrated,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하우징부(61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부품 간의 합선 및 내부의 전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portion 610 is preferably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which can prevent short circuits between components fastened to each other and leakage of internal electricity.
또한, 상기 구획격벽(616)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612)이 적어도 두개 이상 복수개로 구획됨에 따라 구성부품들이 각 상기 장착공간(612) 내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복수개로 구비되더라도 상호간의 합선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mounting space 612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pieces through the partition wall 616, the component parts can be partition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each mounting space 612, and the power supply side Even if a plurality of connection lines 501a are provided, mutual short circuits can be prevented.
여기서, 상기 전원삽입홀(611)은 각 상기 장착공간(612)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삽입홀(611)은 상기 구획격벽(616)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ower insertion hole 611 is preferably formed on one side of each mounting space 6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ower insertion hole 611 is preferably formed left and right symmetrically around the partition wall 616. do.
이때, 각 상기 전원삽입홀(611)의 상측은 상기 장착공간(612)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며 하측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삽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격벽(616)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부재(560)가 면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부재(560)는 상기 하우징부(6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접지걸림대(570)에 통전나사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ide of each power insertion hole 611 communicates with one of the mounting spaces 612 and the low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501a is inserted. In addition,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grounding member 560 is seated in surface contac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616, and the grounding member 560 is the grounding member 56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610.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ing bar 570 through a conductive screw or the like.
이때, 상기 접지부재(560) 및 상기 접지걸림대(57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058411호, 제10-1862667호 및 제10-1881107호와 같은 선행 기술의 콘센트에 개시되어 있으며,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ing member 560 and the grounding stopper 570 is disclosed in prior art outlets such as the applicant's registered patents Nos. 10-2058411, 10-1862667, and 10-1881107. , Anyone with general knowledge in the relevant field can easily perform the procedure, so a more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이어서, 상기 장착공간(612)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접속지지부(620)가 수납 고정되며, 한쌍의 상기 접속지지부(620) 중 하나의 타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차단부 장착개구부(614)와, 나머지 상기 접속지지부(620)의 타측에는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 및 상기 진동통전부(647)가 수용되는 상기 감지케이스(65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진동부 장착개구부(6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connection support part 6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eceiv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612, and the modular blocking portion 6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one of the pair of connection supports 620. The detection case 651, which accommodate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and the vibration conductive unit 647, is inserted into the fixed blocking unit mounting opening 614 and the other side of the remaining connection support unit 620. It is preferable that a fixed vibration unit mounting opening 615 is formed.
한편, 상기 커버부(550)는 상기 하우징부(61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550)의 상면부에는 전원플러그(P1,P2)가 삽입되는 결합고정홈부(553)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고정홈부(553)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몸체부(PA) 외면 윤곽에 대응하거나 이보다 작은 내면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대칭되는 양측이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몸체부(PA) 외면과 부분적으로 형합됨에 따라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유동 또는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ver part 550 is preferably coupled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part 610. At this time, a coupling fixing groove 553 into which the power plugs P1 and P2 are inserted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50. In addition, the coupling fixing groove 553 may be formed with an inner contour corresponding to or smaller than the outer contour of the body PA of the power plugs P1 and P2, and at least symmetrical two sides of the power plugs P1 and P2. By partially mat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 of P2), movement or arbitrary separation of the power plugs (P1, P2)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결합고정홈부(553)의 바닥면에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각각 삽입되어 후술되는 플러그연결부(63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관통된 전원단자홀(55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부재(560)의 상단부가 관통 배치되는 한쌍의 접지단자홀(552)이 상기 결합고정홈부(553)의 바닥면에 상기 전원단자홀(551)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홀(551)은 후술되는 중공부(634)와 상하측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ower terminal hole 55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upling fixing groove 553 so that the power plugs P1 and P2 can be inserted into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g connection part 6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dditionally, a pair of ground terminal holes 552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ground member 560 penetrate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upling fixing groove 553 and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erminal hole 551. At this time, the power terminal hole 551 is preferably alig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llow portion 6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전원단자부(630)는 각 상기 장착공간(6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한쌍으로 대칭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부(630)는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되며, 단자몸체(631) 및 상기 플러그연결부(6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자몸체(631)는 상기 장착공간(6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상면부(631a)와 단자접촉면부(631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ower terminal units 630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mounting space 612, and are preferably provided symmetrically in pairs. At this time, the power terminal portion 630 is preferably made of a current-conducting material such as conductive metal such as brass, and includes a terminal body 631 and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At this time, the terminal body 6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61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501a, and includes a terminal upper surface portion 631a and a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desirable.
그리고, 상기 단자상면부(631a)는 상기 장착공간(612)의 일측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장착공간(612)의 일측 바닥면과 마주보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는 상기 단자상면부(631a)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erminal upper surface portion 631a is provided in a flat shape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612 to cover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612, and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top surface portion 631a extends and is bent downward from one end.
이때,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는 상기 전원삽입홀(611)이 형성된 각 상기 장착공간(612)의 폭방향 외측 내면에 대응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삽입홀(611)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삽입되면, 그 단부가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is preferably exten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inner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mounting space 612 where the power insertion hole 611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is inserted into the power insertion hole 611, its end contacts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플러그연결부(632)는 상기 단자몸체(631)로부터 상기 장착공간(612)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634)가 상기 플러그연결부(63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extends integrally from the terminal body 631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space 612, and the power plugs P1 and P2 are selectively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It is preferable that a hollow portion 634 is formed in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즉,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634)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632)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플러그연결부(632) 및 상기 단자몸체(631)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ower plugs (P1, P2)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63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the power plugs (P1, P2) ar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and the terminal.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via the body 631 and receive electricity.
이때, 상기 플러그연결부(632)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부(610)의 하면에는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630) 중 하나의 상기 중공부(634)의 하측과 대응되는 상기 진동부 장착개구부(615)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 장착개구부(615)는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하부 단면적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상기 중공부(634) 하측에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상기 차단부 장착개구부(6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610 where the plug connection part 632 is disposed, the vibration unit mounting opening 615 corresponds to the lower side of the hollow part 634 of one of the pair of power terminal parts 630. is formed through, and the vibration unit mounting opening 615 can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low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nsing case 651, and the modular blocking unit 680 is located below the remaining hollow part 634.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responding blocking unit mounting opening 614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지지부(620)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전원삽입홀(611)이 형성된 각 상기 장착공간(612)의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지지부(620)는 탄성편(627) 및 풀러(628)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onnection supports 620 are provided in at least one pair, and are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mounting space 612 where the power insertion hole 611 is form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support part 620 preferably includes an elastic piece 627 and a puller 628.
상세히, 상기 탄성편(627)은 각 상기 전원삽입홀(611)에 대응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각 상기 장착공간(612)의 일측 내에 상기 하우징부(610)의 전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상기 전원삽입홀(611)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61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탄성편(627)을 통해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측으로 가압된다.In detail, the elastic piece 627 is preferably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ower insertion holes 611,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610 within one side of each mounting space 612.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spaced apart and provided in pairs. Also, when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space 612 through the power insertion hole 611, it is pressed toward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through the elastic piece 627.
더욱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편(627)은 다중 절곡됨에 따라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과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가 안정적으로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에 접촉되는 상기 탄성편(6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의 삽입방향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외부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탄성편(627)의 말단부에 물림되어 상기 콘센트(700)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referring to FIG. 4, the elastic piece 627 is bent multiple times so that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501a and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can be stably pressed and contac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piece 627 in contact with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is bent upwardly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Therefore, even if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is pulled outwar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necessarily separated from the outlet 700 by being engaged with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piece 627.
이때, 이러한 상기 탄성편(627)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면서도 후술되는 상기 풀러(628)를 가압 조작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piece 627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with a certain elasticity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tainless steel thin plate or the like. Through this, while providing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501a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puller 62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ing force applied when pressing and operating. You can.
그리고, 상기 풀러(628)는 한쌍의 상기 전원삽입홀(611)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풀러삽입홀(611a)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탄성편(627)의 탄성에 의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의 구속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상기 탄성편(627)을 가압한다.In addition, the puller 628 is inserted through the puller insertion hole 611a formed through a pair of power insertion holes 611, and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501a is 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piece 627. The elastic piece 627 is pressed so that the constraint state is selectively released.
즉,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을 상기 콘센트(7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풀러(628)를 상기 장착공간(612) 상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풀러(628)의 일측 경사면에 의해 상기 탄성편(627)의 말단부가 상기 장착공간(612)의 일측으로 탄발 변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편(6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uller 628 is press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space 612 in order to separate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from the outlet 700, the elastic piece ( The distal end of 627) is elastically deformed to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612. Through this,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piece 627 can be separated from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and the restraint state can be released.
이때, 상기 풀러(628)를 상측으로 가압 조작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편(6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풀러(628)가 하향 가압되며, 상기 풀러(628)가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에 상기 탄성편(627)의 말단부가 인접 및 접촉되면서 물림 고정되며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puller 628 upward is released, the puller 628 is pressed down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iece 627, and the puller 628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It can be. Accordingly,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piece 627 is adjacent to and contacts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thereby being engaged and fixed, and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and the power connection line 501a can be stably contacted.
그리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501a)이 상기 단자접촉면부(631b)와 접촉되면, 상기 전원단자부(630) 및 상기 전원단자부(6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nd, when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501a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contact surface portion 631b,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portion 630 and the power plugs P1 and P2 that selectively contact the power terminal portion 630. can be connected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는 복수쌍의 파티션(642)과, 무게추(641)와, 한쌍의 무버(643)와, 한쌍의 스프링(646)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는 진동 발생시 진동에 따라 회동 및 탄성변형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to 7,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partitions 642, a weight 641, a pair of movers 643, and a pair of springs 646. ) is preferably included. In addition,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is preferably rotated and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when vibration occurs.
여기서, 상기 파티션(642)은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판형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파티션(642)의 일측은 고리모양의 중공홀이 형성됨으로써 후술되는 핀(67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진동 발생시 상기 파티션(642)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파티션(642)의 타측이 힌지 운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 쌍의 상기 파티션(642)은 제1파티션(642a), 제2파티션(642b), 제3파티션(642c), 제4파티션(642d)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rtition 642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nd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one side of the partition 642 has a ring-shaped hollow hole so that its position is fixed by being coupled to a pin 671 to be described later. You can. In addition, when vibration occurs,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642 hinges around one side of the partition 642.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irs of partitions 642 preferably include a first partition 642a, a second partition 642b, a third partition 642c, and a fourth partition 642d.
이어서, 상기 무게추(641)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 일정한 무게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추(641)는 상기 파티션(642)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진동에 따라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Next, the weight 641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so it is desirable to have a constant weight. The weight 641 is plac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642 and can be moved within the space defined by vibration.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무버(643)는 상기 파티션(642)의 외곽에 상호 대향 배치되며 도전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무버(643)는 상기 파티션(642)의 외측과 대향되는 판상의 도전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버(643)는 제1무버(643a), 제2무버(643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ir of movers 643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642 and are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 detail, the mover 643 may be provided with a plate-shaped conductive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642. At this time, the mover 643 preferably includes a first mover (643a) and a second mover (643b).
이어서, 상기 도전면부의 타측면에는 스프링삽입부(644) 및 스프링단턱(645)이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단턱(645)은 상기 도전면부의 타측면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삽입부(644)는 상기 스프링단턱(645)의 양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Next, it is preferable that a spring insertion portion 644 and a spring step 645 are formed to protrude on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surface portion. At this time, the spring step 645 is preferabl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surface portion, and the spring insertion portion 64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pring step 645.
한편, 한 쌍의 상기 스프링(646)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646)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단턱(645)에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646)의 양측은 상기 스프링삽입부(644)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버(643)는 상기 스프링(646)이 삽입되는 상기 스프링삽입부(64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air of springs 646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a certain elasticity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stainless steel thin plate or the like. Subsequently, one end of the spring 646 may be fastened to the spring step 645 and both sides of the spring 646 may be restrained by the spring insertion portion 644. Therefore, the mover 643 preferably includes the spring insertion portion 644 into which the spring 646 is inserted.
그리고, 진동 발생시 상기 무게추(641)가 상기 파티션(642)의 내측에 힘을 가하며, 상기 파티션(642)의 외측은 상기 무버(643)측으로 힌지 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무버(643)의 타측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646)이 압축 변형될 수 있다.And, when vibration occurs, the weight 641 applies force to the inside of the partition 642, and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642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mover 643 by making a hinge movement toward the mover 643. The spring 646 may be compressed and deformed.
한편, 상기 진동통전부(647)는 진동 발생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와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통전부(647)는 접속편(648a)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무버(643)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제1접속판(648)과, 연결편(649a)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무버(643)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제2접속판(649)을 포함된다. Meanwhile, when vibration occurs, the vibration conductive unit 647 contacts and conducts electricity with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so that current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vibration conductive portion 647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late 648 on which a connection piece 648a is formed and both ends of which are bent to surround one side of the pair of movers 643, and a connection piece 649a.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late 649 whose both ends are bent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movers 643.
더욱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접속판(648)의 상측에는 상기 전원단자부(630)의 상기 중공부(634) 하부와 접촉되는 상기 접속편(648a)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편(648a)의 일측은 상기 전원단자부(630)의 하측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단자부(630)에 형성된 상기 플러그연결부(632)의 하측과 상기 접속편(648a)이 접촉됨을 의미한다. 이어서, 상기 제1접속판(648)은 전기적 통전이 일어나기 위해 황동과 같은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referring to FIG. 5, the connection piece 648a, which contacts the lower part of the hollow portion 634 of the power terminal portion 630,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648. And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ece 648a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power terminal portion 630. That is, this means that the lower side of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formed in the power terminal portion 630 and the connection piece 648a are in contact. Next, the first connection plate 648 is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such as brass in order to conduct electrical conduction.
이어서, 상기 제2접속판(649) 상측에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연결되는 제1커넥터(660)가 연결되는 연결편(649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통전부(647) 및 상기 제2접속판(649)은 전기적 통전이 일어나 위해 상기 제1접속판(648)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a connection piece 649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649 to which the first connector 660, which is connected to the modular blocking portion 680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vibration conductive portion 647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649 are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conductive metal, such as the first connection plate 648, in order to conduct electrical current.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속편(648a) 및 상기 연결편(649a)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63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전선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connecting pieces 648a and 649a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630 on one side,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with a wire.
여기서, 상기 접속편(648a)의 일측은 상기 전원단자부(630)의 상기 플러그연결부(632)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649a)은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와 전선 연결됨을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편(648a)은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와 전선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편(649a)은 상기 플러그연결부(632)와 연결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에 속한다.He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ece 648a is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of the power terminal portion 630, and the connection piece 649a is connected to the modular blocking portion 680 with a wi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on piece 648a may be connected to the modular blocking portion 680 by a wire, and the connection piece 649a may b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These modifications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와 상기 진동통전부(647)는 절연체 재질의 감지케이스(651)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편(648a)과 상기 연결편(649a)이 관통되는 관통공(656)이 형성된 절연체 재질의 감지커버(65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Nex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and the vibration conduction unit 647 are accommodated inside a detection case 651 made of an insulator material, and the upper part of the detection case 651 is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on piece (648a) and a sensing cover (653)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through hole (656)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iece (649a) passes are provided.
상세히, 상기 감지케이스(651)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접속판(648) 및 상기 제2접속판(649)이 삽입지지되는 삽입공간(65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간은 제1삽입공간(652a)와 제2삽입공간(65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a side wall is formed inside the sensing case 651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and an insertion space 652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late 648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649 ar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his formation is desirable. Here, the insertion space preferably includes a first insertion space (652a) and a second insertion space (652b).
이어서, 일측의 상기 감지케이스(651)에 형성된 측벽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접속판(648)이 삽입지지될 수 있는 상기 제1삽입공간(652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판(648)이 삽입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제2접속판(649)이 삽입지지될 수 있는 상기 제2삽입공간(652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접속판(649)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first insertion space 652a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plate 648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inside the side wall formed in the sensing case 651 on one side, thereby forming the first connection plate (652a). 648)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652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late 649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plate 649 is preferably inserted.
또한,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내부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무게추격벽(670)이 상호 대향되어 구비되며, 복수 쌍의 상기 파티션(642)의 내측단부가 한 쌍의 상기 무게추격벽(670) 양측의 개방부를 커버함으로써 수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무게추(64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구획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pair of weight thrust walls 670 are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sensing case 651 to face each other, and the inner ends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partitions 642 are provided with a pair of weight thrust walls 670. ) A receiving space is formed by covering the openings on both sides, so that the weight 641 can be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Also,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accommodation space as the compartment space.
이어서, 상기 무게추격벽(670)은 진동에 따른 상기 무게추(641)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게추격벽(670)의 상호 대향되는 이격거리는 상기 무게추(641)의 직경보다 넓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격벽(670)은 제1무게추격벽(670a), 제2무게추격벽(670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Subsequently, the weight wall 670 may be made of a durable material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weight 641 due to vibration.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weight partition walls 670 facing each other may be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weight 641. Here, the weight catch wall 67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weight catch wall 670a and a second weight catch wall 670b.
이어서, 각 상기 파티션(642)의 일측은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복수 쌍의 상기 핀(67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티션(642)의 외측단부가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핀(671)은 제1핀(671a), 제2핀(671b), 제3핀(671c), 제4핀(671d)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one side of each partition 642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airs of pins 671 of the sensing case 651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partition 642 is rotated. At this time, the pin 671 preferably includes a first pin (671a), a second pin (671b), a third pin (671c), and a fourth pin (671d).
상세히, 상기 제1핀(671a) 및 상기 제3핀(671c)은 상기 제1무게추격벽(670a)과 상기 제2접속판(649)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핀(671a) 및 상기 제3핀(671c)은 서로 대칭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핀(671b) 및 상기 제4핀(671d)은 상기 제2무게추격벽(670b)과 상기 제1접속판(648)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핀(671b) 및 상기 제4핀(671d)은 서로 대칭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first pin (671a) and the third pin (671c)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eight catching wall (670a)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649), and the first pin (671a) and the The third fins 671c are preferably form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dditionally, the second pin 671b and the fourth pin 671d a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eight catching wall 670b and the first connection plate 648. The second fin (671b) and the fourth fin (671d) are preferably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핀(671a)에 상기 제1파티션(642a)이 결합되고, 상기 제2핀(671b)에 상기 제2파티션(642b)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핀(671c)에 상기 제3파티션(642c)이 결합되고, 상기 제4핀(671d)에 상기 제4파티션(642d)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642)의 길이는 상기 핀(671)에서 상기 제1무게추격벽(670a)과 제2무게추격벽(670b) 사이의 중심거리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partition (642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in (671a), and the second partition (642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n (671b). 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partition (642c) is coupled to the third pin (671c) and the fourth partition (642d) is coupled to the fourth pin (671d).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artition 642 is preferably equal to the center distance between the first weight catching wall 670a and the second weight catching wall 670b at the pin 671.
즉, 상기 핀(671)의 중심과 상기 무게추격벽(670)의 양끝단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파티션(642)이 상기 무게추격벽(670)의 양측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무게추(641)가 구획되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center of the pin 671 and both ends of the weight partition wall 670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the partition 642 covers both sides of the weight partition wall 670, so that the weight 641 It is possible to form the receiving space divided by.
이어서, 상기 파티션(642)의 외측에는 상기 무버(643)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버(643)의 도전단면은 상기 파티션(642)의 외측과 접하며 상기 무버(643)의 타측은 상기 무버홈(672)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646)은 상기 무버(643)의 타측과 상기 무버홈(672)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진동이 발생되기 전에는 상기 스프링(646)에 의해 상기 스프링삽입부(644)와 상기 무버홈(672)은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스프링(646)의 압축시 상기 스프링삽입부(644)와 상기 무버홈(672)은 접촉됨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r 643 is placed outside the partition 642. At this time, the conductive cross section of the mover 643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642, the other side of the mover 643 is disposed toward the mover groove 672, and the spring 646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643. It is preferably placed between the other side and the mover home 672. At this time, before vibration occurs, the spring insertion portion 644 and the mover groove 672 may be spaced apart by the spring 646. Meanwhile, when vibration occurs and the spring 646 is compres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insertion portion 644 and the mover groove 672 come into contact.
그리고,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무게추(641)가 좌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파티션(642a) 및 상기 제2파티션(642b)이 회동하여 힌지운동을 하여 상기 제1무버(643a)가 가압되면서 상기 스프링(646)이 압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무게추(641)가 우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3파티션(642c) 및 상기 제4파티션(642d)이 회동하여 힌지운동을 하여 상기 제2무버(643b)가 가압되면서 상기 스프링(646)이 압축될 수 있다.Then, when vibration occurs and the weight 641 moves to the left, the first partition 642a and the second partition 642b rotate and perform a hinge movement, so that the first mover 643a is pressed and the spring (646) is preferably compressed. On the other hand, when vibration occurs and the weight 641 moves to the right, the third partition 642c and the fourth partition 642d rotate and perform a hinge movement, and the second mover 643b is pressed and the spring (646) can be compressed.
이를 통해, 상기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진동 발생시 상기 무게추(641)가 좌우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게추(641)의 무게에 의해 상기 무게추(641)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무게추격벽(670) 양측을 커버하는 상기 파티션(642)의 내측에 힘을 가압함으로 상기 파티션(642)이 회동하여 힌지 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션(642)의 힌지 운동이 상기 무버(643)를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646)이 압축됨으로써 상기 무버(643)의 타측이 상기 진동통전부(647)에 접촉됨이 바람직하다.Through this, the weight 641 moves left and right when vibration occurs due to vibration and impac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641 moves by the weight of the weight 641. This allows the partition 642 to rotate and perform a hinged movement by applying force to the inside of the partition 642 covering both sides of the weight bearing wall 67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movement of the partition 642 presses the mover 643 and compresses the spring 646,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mover 6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ibration energizing part 647.
이때, 상기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진동이 소멸되는 경우 상기 무게추(641)의 이동에 의한 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압축된 상기 스프링(646)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스프링삽입부(644)가 상기 무버홈(672)에서 이탈됨으로 상기 무버(643)의 타측이 상기 진동통전부(647)에서 이탈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버(643)의 이동으로 상기 파티션(642)이 회동하여 상기 무게추격벽(670)의 양측을 커버함으로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무게추(641)가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vibration caused by the vibration and impact is eliminated, the for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weight 641 is not generated, so the spring insertion portion 644 is moved into the mover groov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ed spring 646.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side of the mover 643 is separated from the vibration energizing part 647 by separating from (672). In addition, as the mover 643 moves, the partition 642 rotates to cover both sides of the weight wall 670, so that the weight 641 can be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한편, 상기 감지커버(653)는 상기 감지케이스(651)에 형성된 상기 측벽의 상부를 덮고,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측벽에 대응되어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커버(653)는 하부가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상측을 덮으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detection cover 653 preferably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formed in the detection case 651, and has an edge protruding upward corresponding to the side wall of the detection case 651. Through this, the detection cover 653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ar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ensing case 651 and the upper part is open.
그리고, 상기 감지커버(653)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케이스(651)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측벽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부 및 관통부는 제외되어 다른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sensing case 651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ing cover 653,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sensing case 651 by forming a through portion on the side wall of the sensing case 651. Of course,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excluded and coupled using other coupling means.
한편, 상기 감지케이스(651)는 상기 하우징부(610)에 형성된 상기 진동부 장착개구부(615)에 삽입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하부면은 상기 진동부 장착개구부(615)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케이스(651)는 하부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측벽이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ensing case 651 is preferably inserted and fixed into the vibration unit mounting opening 615 formed in the housing unit 610. For this purpose, the lower surface of the sensing case 65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unit mounting opening 615. In addition, the sensing case 651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ide wall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이어서, 상기 감지케이스(651)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편(648a)과 상기 연결편(649a)이 관통되어 노출되는 관통공(656)이 형성된 절연체 재질의 상기 감지커버(65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Nex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cover 653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nsing case 651 and has a through hole 656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ece 648a and the connecting piece 649a penetrate and are exposed. .
상세히, 상기 감지커버(653)에는 상기 접속편(648a) 및 상기 연결편(649a)이 관통되는 상기 관통공(6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656)은 상기 접속편(648a)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656a) 및 상기 연결편(649a)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656b)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관통공(656a) 및 상기 제2관통공(656b)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detection cover 653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656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iece 648a and the connection piece 649a pass, and the through hole 656 allows the connection piece 648a to pass through. It is formed of a first through hole 656a penetrating and a second through hole 656b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ece 649a penetrates.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hrough hole 656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656b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접속편(648a)은 상기 제1관통공(656a)을 통과하여 상기 감지커버(653)의 상부에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632)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649a)은 상기 감지커버(653)의 상기 제2관통공(656b)을 통과하여 상기 감지커버(653)의 상부에 노출됨으로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ece 648a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656a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ection cover 653 to be connected to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and the connection piece 649a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cover 653. It is preferable that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656b of 653 and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ection cover 653, thereby connecting to the modular blocking unit 680.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649a)은 상기 제1커넥터(660)와 연결되며, 상기 제1커넥터(660)는 보조연결라인(662)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라인(662)은 제2커넥터(661)와 연결되어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와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onnection piece 649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660, and the first connector 660 is connected to an auxiliary connection line 662. Additionally,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66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661 and connected to the modular blocking unit 680.
이때, 상기 제1커넥터(660) 및 상기 제2커넥터(661)는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연결라인(662) 또한 통전 재질로 구비되되 외면부에 전열체 재질의 피복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or 660 and the second connector 661 are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nductive metal such as brass,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662 is also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bu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covering of the heat transfer element material is formed.
한편, 상기 연결편(649a)은 상기 제1커넥터(660)와 나사 및 피스가 포함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연결라인(662)은 일단이 상기 제1커넥터(66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커넥터(66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661)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에 포함되는 차단커버(683)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on piece 649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660 using screws and pieces,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662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66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660.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661. And, the second connector 661 can be coupled to the blocking cover 683 included in the modular blocking part 680.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는 진동 발생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와 상기 진동통전부(647)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차단부 장착개구부(614)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차단케이스(681), 상기 차단커버(683), 플런저(687) 및 솔레노이드(689)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the modular blocking unit 680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unit mounting opening 614 so that when vibration occur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640 and the vibration conductive unit 647 are energized to apply current. It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and preferably includes a blocking case 681, the blocking cover 683, a plunger 687, and a solenoid 689.
상세히, 상기 차단케이스(681)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플런저(687)가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플런저(687)를 하측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성수단(682)이 구비되되, 상기 탄성수단(682)은 바람직하게 후술되는 상기 솔레노이드(689)와 상기 플런저(687) 하단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정된 걸림단(687a) 사이에 개재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blocking case 681, and the plunger 687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ans 68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lunger 687 downward, and the elastic means 682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olenoid 689 and the plunger 68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stopping ends 687a determined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682)의 탄발복원력은 상기 솔레노이드(689)의 기자력보다 작은 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시 후술되는 상기 콘센트(700)의 전원차단으로 상기 플런저(687)가 상기 솔레노이드(689)측으로 용이하게 흡인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자력이 제거되면 상기 플런저(687)가 상기 탄성수단(682)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용이하게 하향 복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682 may be formed with a force smaller than the magnetomotive force of the solenoid 689. Therefore, when vibration occurs, the plunger 687 can be easily attracted to the solenoid 689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outlet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magnetomotive force is removed, the plunger 687 is moved to the elastic means 682. ) can be easily returned downward through the elastic resilience of ).
이때, 상기 차단케이스(681) 및 후술되는 상기 차단커버(683)는 상기 하우징부(61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와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 장착개구부(614)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며, 상기 차단케이스(681) 및 상기 차단커버(6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차단부 장착개구부(614)의 테두리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결합돌기(683c)가 돌설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ocking case 681 and the blocking cover 68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eferably formed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like the housing portion 610. In addition, the blocking unit mounting opening 614 is formed through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dular blocking unit 680, and the blocking unit is mounted on at least one of the blocking case 681 and the blocking cover 683. A coupling protrusion 683c may protrude to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opening 614 through a coupling means.
그리고, 상기 플런저(687)는 상기 중공부(634)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수단(682)을 통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687)는 상기 솔레노이드(689)의 중심홀(689c)과 상기 차단커버(683)에 형성된 관통홀(683d)을 통해 상기 중공부(634)와 동심으로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nger 687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below the hollow portion 634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storage space,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through the elastic means 682. In addition, the plunger 687 is preferably aligned concentrically with the hollow portion 634 through the central hole 689c of the solenoid 689 and the through hole 683d formed in the blocking cover 683.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689)는 상기 차단케이스(681)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플런저(687)의 상단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689)의 상측으로 양극단(689b) 및 음극단(689a)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양극단(689b)은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가 결합된 상기 장착공간(612)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단자부(63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음극단(689a)은 상기 차단커버(683)에 결합된 상기 제2커넥터(661)와 접촉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lenoid 689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case 681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plunger 687. An anode end 689b and a cathode end 689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trude above the solenoid 689. At this time, the positive end 689b is provided to contact the power terminal 630 disposed in the mounting space 612 to which the modular blocking part 680 is coupled, and the negative end 689a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c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contacts the second connector 661 coupled to (683).
이때, 상기 차단커버(683)는 상기 솔레노이드(689)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와 연결된 상기 제2커넥터(661)가 상기 음극단(689a)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단커버(683)에 상기 제2커넥터(661)가 연결되되, 상기 음극단(689a)이 관통되는 접지개구부(684)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개구부(684)와 이격된 상기 차단커버(683)의 타측에는 상기 양극단(689b)이 관통 돌출되어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630)와 접촉되는 돌출공(68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locking cover 683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olenoid 689, and blocks the second connector 661 connected to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to contact the negative terminal 689a. The second connector 661 is connected to the cover 683, and a ground opening 684 through which the cathode end 689a passes is form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otruding hole 685 through which the positive end 689b protrudes and contacts the power terminal 630 on one 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cover 683,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opening 684. .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시 상기 콘센트(700)는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630), 상기 솔레노이드(689),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 상기 진동통전부(647) 및 타측의 상기 전원단자부(630)가 연결되어 통전됨으로써,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는 작동된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when vibration occurs, the outlet 700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630 on one side, the solenoid 689,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the vibration energizing unit 647, and When the power terminal 630 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and energized, the modular blocking unit 680 is operated.
상세히, 상기 솔레노이드(689)에 전원이 인가되면 기자력이 발생하며 상기 플런저(687)가 상기 솔레노이드(689)의 내부로 흡인되면서 상측으로 급격하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687)의 상단부가 상기 중공부(634)의 내측으로 상향 인입되면서 상기 중공부(634)에 접촉된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강한 힘으로 상측으로 밀어낸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634)로부터 이탈되므로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olenoid 689, magnetomotive force is generated and the plunger 687 is drawn into the solenoid 689 and rapidly moves upward.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687 is drawn upward into the hollow part 634 and the power plugs P1 and P2 in contact with the hollow part 634 are pushed upward with strong force. Through this, the power plugs (P1, P2) are separated from the hollow portion 634, so the current can be automatically blocked.
즉,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634)에서 이탈되어 전기적 연결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전류가 차단되도록 작동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687)가 상향 이동되면 상기 탄성수단(682)이 압축된다.That i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odular blocking unit 680, the power plugs P1 and P2 are separated from the hollow part 634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released, thereby blocking the current. At this time, when the plunger 687 moves upward, the elastic means 682 is compressed.
여기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모듈형 차단부(6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중공부(634)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가 상기 결합고정홈부(55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7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전류가 차단됨을 즉각적으로 판단 후 후속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속 처리시까지 전류의 차단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Here, when the power plugs (P1, P2) are separated from the hollow portion 634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modular blocking portion 680, the body portion (PA) of the power plug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fixing groove portion 553. It protrudes outward.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body portion (PA) of the power plug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outlet 700, immediately determine that the current is blocked, and proceed with subsequent processing. Since the blocking state can be maintained, safe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상기 하우징부(610)의 주변에서 지진 및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가 힌지 운동을 하여 상기 진동통전부(647)에 선택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689)와 상기 접속단자부(130)의 통전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플런저(687)가 상기 솔레노이드(689)의 기자력에 의해 흡인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런저(687)의 흡인 상승에 의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634)에 삽입되더라도 재이탈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bration due to an earthquake or impact occurs around the housing unit 610,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performs a hinge movement to selectively contact the vibration conductive unit 647. maintain. Accordingly, since the energized state of the solenoid 689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30 is maintained, the plunger 687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it is attracted by the magnetomotive force of the solenoid 689. Through this, even if the power plugs (P1, P2) ar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634 due to the suction rise of the plunger 687, they can be removed again.
이때, 상기 하우징부(610)의 주변에서 지진 및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소멸되면 상기 스프링(646)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어 상기 진동통전부(647)와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660) 및 상기 제2커넥터(661)를 통해 연결되었던 한쌍의 전원단자부(630) 간의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689)의 기자력이 상실된다. At this time, when the vibra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impact around the housing unit 610 disappear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64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646, and the vibration energizing unit 64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It remains apart from (647). Accordingly, current flow between the pair of power terminal units 630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660 and the second connector 661 is blocked. Accordingly, the magnetomotive force of the solenoid 689 is lost.
그리고, 상기 플런저(687)는 상기 탄성수단(682)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상기 중공부(634) 내측으로 재삽입하면 상기 플러그연결부(632)와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전기적으로 다시 접촉됨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And, the plunger 687 is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682. Through this, when the power plugs (P1, P2) are re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634, the plug connection portion 632 and the power plugs (P1, P2) come into electrical contact again, causing current to flow.
이어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 및 상기 진동통전부(647)가 상기 감지케이스(651) 내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됨으로, 조립이 용이하면서 부품간 정확한 결합을 하여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케이스(651)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and the vibration current conduction unit 647 are mounted inside the detection case 651 and provided as one assembly, making assembly easy and driving reliability improved through accurate coupling between parts. Not only is this improved, but only the sensing case 651 can be separated and replaced or repaired and reassembled for use,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maintainability.
또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640)는 상기 하우징부(610)의 주변에서 지진 및 충격에 의한 진동 발생시, 상기 무게추(641)의 타격에 의한 상기 파티션(642)의 힌지 운동을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상기 중공부(634)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동작되어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지진 발생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만이 아닌, 외부 충격으로 인한 흔들림을 감지하여 전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bration due to an earthquake or impact occurs around the housing unit 610,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640 moves the hinge movement of the partition 642 by hitting the weight 641.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t as a device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power plugs (P1, P2) from the hollow portion 634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In other words, not only does it have the function of blocking the current flow when an earthquake occurs, but it can also prevent secondary safety accidents by detecting shaking caused by external shocks and stably blocking the current flow.
이때, 상기 구획격벽(616)에는 상기 제1커넥터(660)와 상기 제2커넥터(661)를 연결하는 상기 보조연결라인(662)이 수납되는 연통부(616a)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연결라인(662)이 상기 접지부재(560)와 간섭됨을 방지하므로 작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communication portion 616a accommodating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662 connecting the first connector 660 and the second connector 661 is recessed in the partition wall 616. Accordingly, the auxiliary connection line 662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ground member 560, and thus operational reli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equip,”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Rather than excluding a componen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llowing additional inclusion of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1a: 전원측 연결라인 610: 하우징부
620: 접속지지부 630: 전원단자부
634: 중공부 640: 파티션식 진동감지부
647: 진동통전부 651: 감지케이스
680: 모듈형 차단부 P1,P2: 전원플러그
700: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501a: Power side connection line 610: Housing portion
620: Connection support part 630: Power terminal part
634: Hollow part 640: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part
647: Vibration conduction unit 651: Detection case
680: Modular blocking part P1, P2: Power plug
700: Vibration detection partition type plug safety separation outlet
Claims (5)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진동에 따라 회동 및 탄성변형되는 파티션식 진동감지부;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의 양측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진동통전부; 및
진동 발생시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타측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모듈형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는 진동에 따라 회동되는 복수 쌍의 파티션과, 상기 파티션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파티션의 외곽에 상호 대향 배치되어 구비된 도전성 재질의 한 쌍의 무버와, 상기 무버의 외측을 탄발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통전부는 접속편이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무버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제1접속판과, 연결편이 형성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무버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제2접속판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편 및 상기 연결편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전선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A housing portion formed by electrically dividing a pair of mounting spaces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erminal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ide connection line, and a plug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terminal body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space and forming a hollow portion into which a power plug is selectively inser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A power terminal unit made of an electric current-conducting material and provided in pairs;
a connection support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viding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power-side connection lin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body;
A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that rotates and elastically deforms according to vibration;
A vibration energizing part that selectively contacts and energizes both sides of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part to apply electric current; and
A solenoid connected so that when vibration occur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detection unit and the vibration conductive unit are energized to apply current, and a plunger provided to press the power plug upward and separate from the hollow part on the other side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solenoid. Includes a modular blocking unit that includes,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partitions that rotate according to vibration, a weight disposed inside the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and a pair of mover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partition. and a pair of springs that elastically support the outside of the mover,
The vibration conductive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late on which a connection piece is formed and both ends of which are bent to surround one side of the pair of movers, and a second connection plate on which a connection piece is formed and both ends of which are bent so as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movers. Includes a connection plate,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plug safety disconnect outlet, wherein one of the connecting pieces and the connecting piece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on one side,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and a wire.
상기 파티션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는 절연체 재질의 감지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감지케이스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격벽이 상호 대향되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무게추가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격벽 양측에 복수 쌍의 상기 파티션의 각 내측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의 개방부를 커버하되 각 외측단부가 회동되도록 상기 감지케이스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파티션형 안전분리 콘센트.Regarding paragraph 1:
The partition-type vibration sensing unit and the vibration conductive unit are accommodated inside a sensing cas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t the center of the sensing case, a pair of partition walls with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and the weight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n both sides of a pair of said bulkheads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safety separation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ner end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partitions covers the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space and is coupled to the sensing case so that each outer end is rotated.
상기 감지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편과 상기 연결편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체 재질의 감지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케이스는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접속판 및 상기 제2접속판이 삽입지지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에는 상기 감지케이스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진동부 장착개구부가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파티션형 안전분리 콘센트.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part of the sensing case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iece and a sensing cov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iece passes,
The sensing case has side walls formed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inside, and an insertion spac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are inserted and supported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safety separation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a vibration unit mounting opening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nsing case is formed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 the plug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상기 무버는 상기 파티션과 대향되는 판상의 도전면부와, 상기 도전면부의 타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삽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파티션형 안전분리 콘센트.Regarding paragraph 1:
The mover is a vibration-sensing partition-type safety separation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ate-shaped conductive surface portion opposite the partition and a spring insertion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ductive surface portion and into which the spring is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27762A KR102672589B1 (en) | 2024-02-27 | 2024-02-27 | Partition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27762A KR102672589B1 (en) | 2024-02-27 | 2024-02-27 | Partition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2589B1 true KR102672589B1 (en) | 2024-06-05 |
Family
ID=9147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27762A Active KR102672589B1 (en) | 2024-02-27 | 2024-02-27 | Partition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258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8881A (en) * | 2005-05-15 | 2006-11-24 | Tadashi Ozawa | Vibration sensing type multi-tap |
JP2008172987A (en) * | 2007-01-09 | 2008-07-24 | Rumoma:Kk | Power supply interruption device and electrical outlet equipped with the same |
KR101862667B1 (en) | 2018-04-17 | 2018-05-31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socket apparatus with earthing plug |
KR20190019794A (en) * | 2017-08-17 | 2019-02-27 | 주식회사 두남 | Concent equipped with connection unit safely coupling with cable |
-
2024
- 2024-02-27 KR KR1020240027762A patent/KR1026725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8881A (en) * | 2005-05-15 | 2006-11-24 | Tadashi Ozawa | Vibration sensing type multi-tap |
JP2008172987A (en) * | 2007-01-09 | 2008-07-24 | Rumoma:Kk | Power supply interruption device and electrical outlet equipped with the same |
KR20190019794A (en) * | 2017-08-17 | 2019-02-27 | 주식회사 두남 | Concent equipped with connection unit safely coupling with cable |
KR101862667B1 (en) | 2018-04-17 | 2018-05-31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socket apparatus with earthing plu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081769A (en) | Electrical receptacle equipped with ground fault protection | |
US8366463B2 (en) |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 |
CN103384942B (en) | It is electrically coupled terminal and series terminal block | |
US8961208B2 (en) | Electrical wall bushing terminal | |
CA1081768A (en) | Ground fault receptacle with improved stationary contact mounting and backing | |
US8257116B2 (en) | Audio jack connector with an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 |
CN109638515B (en) | Short-circuit protection connector with self-detection structure | |
KR102672589B1 (en) | Partition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KR102626063B1 (en) | Sylinder switchover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 |
KR102185587B1 (en) | rail type temperature detecting and current breaking socket | |
CN109473803B (en) | Safety socket | |
CN208690659U (en) | Intelligent socket with pin insertion detection function | |
US10910752B2 (en) |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 |
KR102645855B1 (en) | Pendulum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KR102686732B1 (en) | Handle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KR102645858B1 (en) | Dome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KR102672585B1 (en) | Seesaw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KR102686735B1 (en) | Tumbler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CN209357977U (en) | socket and connector | |
KR20180060781A (en) | Camera module test device | |
KR102735540B1 (en) | ring type plug safe se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CN218351856U (en) | Socket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
KR102735544B1 (en) | cylinder type plug safe separating socket by vibration detection | |
CN207116857U (en) | A kind of connector of band from short-circuit mechanism | |
KR102626062B1 (en) | Disk switchover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