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628B1 - Water cooler - Google Patents
Water coo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0628B1 KR102670628B1 KR1020160159611A KR20160159611A KR102670628B1 KR 102670628 B1 KR102670628 B1 KR 102670628B1 KR 1020160159611 A KR1020160159611 A KR 1020160159611A KR 20160159611 A KR20160159611 A KR 20160159611A KR 102670628 B1 KR102670628 B1 KR 1026706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oling unit
- flow space
- refrigerant flow
- bas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기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냉수기본체; 및 물을 냉각하도록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냉수기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복수개의 물냉각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Start the water cooler.
A chilled wat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d water base body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cooling unit provided in the cold water base body to cool the water. It includes, and the cool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hilled water base body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ar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d water base body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passes and is coo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을 냉각하여 냉수로 만드는 냉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oler that cools water and turns it into cold water.
냉수기는 수도 등의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냉각하여 냉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A water cooler is a device that cool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tap, turns it into cold water, and supplies it to the user.
이를 위해서, 냉수기에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어 냉수기에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이 구비된다.For this purpose, the water cooler is equipped with a cooling unit that cool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and flowing into the water cooler.
냉수기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으로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나, 전기가 인가되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 등이 있다.Cooling units provided in water coolers include an evaporator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through which refrigerant flows, and a thermoelectric module that transfers heat from one side to the other when electricity is applied.
근래에는 냉수기에 유입된 물을 냉각유닛에 의해서 비교적 빠르게 냉각하여 원하는 소정 온도의 냉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수기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a water cooler that cools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cooler relatively quickly using a cooling unit to make cold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supply it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recognition of at least one of the above-mentioned needs or problems aris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냉수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a water cooler.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냉수기에 유입된 물을 냉수기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에 의해서 비교적 빠르게 냉각하여 원하는 소정 온도의 냉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ol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cooler relatively quickly by a cooling unit provided in the water cooler to make cold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supply it to the user.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 water cooler related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task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수기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냉수기본체; 및 물을 냉각하도록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냉수기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복수개의 물냉각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A cold wat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d water base body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cooling unit provided in the cold water base body to cool the water. It includes, and the cool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hilled water base body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ar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d water base body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passes and is cooled.
이 경우, 상기 냉각유닛은 물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상기 복수개의 물냉각유로가 형성되도록 나선형상으로 말린 상태로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ol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chilled water base body in a spiral-shaped state so that the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are formed in a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flow direction.
또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나선형상으로 말릴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oling unit may be rolled in a spiral shape around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은 전개되면 길이가 너비보다 길고 너비가 높이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Also, when the cooling unit is deployed, it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ere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and the width is longer than the height.
또한, 상기 냉각유닛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refrigerant flow space in which refrigerant flows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unit.
그리고, 상기 냉매유동공간은 상기 각 물냉각유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냉매유동공간의 부분이 배치되도록 상기 냉각유닛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frigerant flow space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unit such that portions of the refrigerant flow space a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water cooling passage.
또한, 상기 냉매유동공간은 상기 냉각유닛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frigerant flow sp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oling unit.
그리고, 상기 냉매유동공간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frigerant flow space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또한, 상기 냉매유동공간에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모세관과 냉매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에 연결되는 압축기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a capillary tube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and a compressor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a compressor included in the refrigerant cycle may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flow space.
그리고, 상기 모세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매유동공간에 소정 길이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illary tube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into the refrigerant flow space.
또한, 상기 냉수기본체는 상기 유입구와 냉각유닛이 구비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본체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cooler main body may include a main body member provided with the inlet and a cooling unit, and a cov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member to cover one open side of the main body member and provided with the outle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유닛에 의해서, 냉수기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냉수기본체에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복수개의 물냉각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cooler main body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can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cooler main body by the cool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기본체에 유입된 물을 냉각유닛에 의해서 비교적 빠르게 냉각하여 원하는 소정 온도의 냉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ld water base body can be cooled relatively quickly by the cooling unit to create cold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supplied to the user.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ater cooler can be improv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냉각유닛의 전개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4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oling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ure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ure 4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cooler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e embodiments most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This is to illustr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symbo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related components among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are indicated by numbers on the same or extended lines.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냉각유닛의 전개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unit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view taken along line Ⅰ-Ⅰ' in Figure 2.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4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ure 4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일실시예는 냉수기본체(200)와 냉각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cooler
냉수기본체(200)에는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11)와 배출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ld
유입구(211)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구(211)를 통해 냉수기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The
유입구(211)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예컨대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되며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나,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The water supply source connected to the
그러나,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구(21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수도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water supply sour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urce such as a tap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connected to the
배출구(221)는 연결관 등에 의해서 콕크나 파우셋 등의 물배출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기본체(200)에 유입되어 유동하면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배출구(221)를 통해 물배출장치로 유동한 후 물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The
냉수기본체(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와, 덮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d
본체부재(210)에는 전술한 유입구(211)와 냉각유닛(30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재(21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300)에 형성되는 후술할 냉매유동공간(310)에 연결되는 모세관(CP)과 압축기 연결관(TC)이 각각 통과하는 모세관 통과구멍(212)과 연결관 통과구멍(2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덮개(220)는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본체부재(2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220)가 본체부재(2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면, 냉수기(100) 내부의 청소가 필요할 때 본체부재(210)와 덮개(220)를 분리하여 냉수기(100)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덮개(220)에는 전술한 배출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The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20)에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일측단부가 밀봉되고 분리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덮개(220)가 본체부재(2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220)가 본체부재(2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덮개(220)가 본체부재(210)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면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the open one end of the
냉각유닛(300)은 물을 냉각하도록 냉수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The
냉각유닛(300)은 냉수기본체(200)의 적어도 일부에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가 형성되도록 냉수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유입구(211)를 통해 냉수기본체(200)에 유입된 물이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비교적 빠르게, 예컨대 순간적으로 냉각될 수 있기 때문에, 냉수기(10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비교적 빠르게 원하는 소정 온도의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cooler
냉각유닛(3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으로 말린 상태로 냉수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기본체(200)에는 적어도 일부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유동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으로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가 형성될 수 있다.The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 중 적어도 일부의 물냉각유로(PW)의 상부와 하부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300)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과 냉각유닛(300)과의 접촉면적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을 비교적 빠르게, 예컨대 순간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t least some of the water cooling passages (PW)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PW) may contact the
냉각유닛(3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기본체(200)의 유입구(211)와 배출구(221)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나선형상으로 말릴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닛(300)이 나선형상으로 말리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가 냉수기본체(2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the
냉각유닛(300)은 전개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L)가 너비(W)보다 길고 너비(W)가 높이(H)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닛(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선형상으로 말려서 냉수기본체(200)에 구비되면, 물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가 냉수기본체(20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When the
냉각유닛(30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310)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동공간(31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수기본체(200)에 형성된 각 물냉각유로(PW)의 상부와 하부에 냉매유동공간(310)의 부분이 배치되도록 냉각유닛(300)에 형성될 수 있다.A
이에 따라,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형성된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냉각유로(PW)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냉매유동공간(310)의 부분을 유동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cooling passage (PW) formed by the
이를 위해서, 냉매유동공간(310)은 냉각유닛(300)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냉매유동공간(310)은 직육면체 형상인 냉각유닛(300)에 대응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냉매유동공간(3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각유닛(300)에 대응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To this end, the
냉매유동공간(3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모세관(CP)이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capillary tube (CP) included in a refrigeration cycl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이에 따라, 모세관(CP)에서 팽창되어 온도가 하강된 냉매가 냉매유동공간(310)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수기본체(200)에 형성된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로부터 냉매유동공간(310)을 유동하는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whose temperature has decreased by expanding in the capillary tube (CP) may flow into the
모세관(CP)의 적어도 일부는 냉매유동공간(310)에 소정 길이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CP)의 일부는 냉매유동공간(310)에 연결되는 연결면(311)으로부터 연결면(311)과 마주보는 대향면(312)에 인접하게 연장되도록 냉매유동공간(310)에 대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apillary tube (CP) may be provided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length into the
이에 의해서, 대향면(312)에 인접한 냉매유동공간(310)의 부분에 유입된 냉매는 냉매유동공간(310) 전체를 유동하여 냉매유동공간(310)의 연결면(311)에 연결되는 후술할 압축기 연결관(TC)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part of the
따라서, 냉매가 냉매유동공간(310) 전체를 유동하여 냉매유동공간(310) 전체에 냉매가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수기본체(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이 비교적 고르게 냉각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refrigerant can flow throughout the
냉매유동공간(310)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모세관(CP)의 길이와 배치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가 냉매유동공간(310) 전체를 유동하여 냉매유동공간(310) 전체에 냉매가 채워져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수기본체(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이 비교적 고르게 냉각될 수 있는 길이와 배치형상이라면 어떠한 길이와 배치형상이라도 가능하다.The length and arrangement shape of the capillary tube (CP) inserted into the
냉매유동공간(310)에 연결된 모세관(CP)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냉수기본체(200)의 본체부재(210)에 형성된 모세관 통과구멍(212)을 통과하여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응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apillary tube (CP) connected to the
냉매유동공간(3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압축기 연결관(TC)이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 연결관(TC)은 냉매유동공간(310)의 전술한 연결면(311)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compressor connection pipe (TC)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may be connected to the
이에 따라, 냉매유동공간(310)을 유동하면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수기본체(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물냉각유로(PW)를 통과하는 물을 냉각한 냉매는 압축기 연결관(TC)을 통해 냉동사이클의 압축기로 유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that cools the water flowing in the
냉매유동공간(310)에 연결된 압축기 연결관(TC)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냉수기본체(200)의 본체부재(210)에 형성된 연결관 통과구멍(213)을 통과하여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에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compressor connection pipe (TC) connected to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를 사용하면, 냉각유닛에 의해서, 냉수기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냉수기본체에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복수개의 물냉각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냉수기본체에 유입된 물을 냉각유닛에 의해서 비교적 빠르게 냉각하여 원하는 소정 온도의 냉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냉수기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water 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can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cooler main body by the cooling unit, through which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ld water main body passes through and cools, The water flowing into the sieve can be cooled relatively quickly by the cooling unit to create cold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and supplied to the user, an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ater cooler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water cooler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냉수기 200 : 냉수기본체
210 : 본체부재 211 : 유입구
212 : 모세관 통과구멍 213 : 연결관 통과구멍
220 : 덮개 221 : 배출구
300 : 냉각유닛 310 : 냉매유동공간
311 : 연결면 312 : 대향면
PW : 물냉각유로 L : 길이
W : 너비 H : 높이
CP : 모세관 TC : 압축기 연결관100: water cooler 200: cold water base body
210: main body member 211: inlet
212: capillary through hole 213: connection pipe through hole
220: cover 221: outlet
300: Cooling unit 310: Refrigerant flow space
311: connection surface 312: opposing surface
PW: Water cooling passage L: Length
W : Width H : Height
CP: capillary tube TC: compressor connection tube
Claims (11)
물을 냉각하도록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냉수기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복수개의 물냉각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유닛은 물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상기 복수개의 물냉각유로가 형성되도록 나선형상으로 말린 상태로 상기 냉수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유닛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유동공간에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모세관과 냉매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에 연결되는 압축기 연결관이 연결되고,
상기 모세관의 일부는 상기 냉매유동공간에 연결되는 연결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면과 마주보는 대향면에 인접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냉매유동공간에 대각선으로 구비되며,
상기 모세관의 타부는 상기 연결관과 인접되게 배치되는 냉수기.A cold water main body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cooling unit provided in the cold water base body to cool the water; Includes,
The cooling unit is provided in the chilled water base body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ar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d water base body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passes and is cooled,
The cooling unit is provided in the chilled water base body in a spiral-shaped state so that the plurality of water cooling passages are formed with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water flow,
A refrigerant flow space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s formed in the cooling unit,
A capillary tube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cycle and a compressor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included in the refrigerant cycle ar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flow space,
A portion of the capillary tube is provided diagonally in the refrigerant flow space to extend from a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flow space adjacent to an opposing surface facing the connection surface,
A water cooler in which the other portion of the capillary tub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611A KR102670628B1 (en) | 2016-11-28 | 2016-11-28 | Water coo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611A KR102670628B1 (en) | 2016-11-28 | 2016-11-28 | Water coo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285A KR20180060285A (en) | 2018-06-07 |
KR102670628B1 true KR102670628B1 (en) | 2024-05-31 |
Family
ID=6262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9611A Active KR102670628B1 (en) | 2016-11-28 | 2016-11-28 | Water coo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06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4128B1 (en) * | 2019-03-26 | 2020-11-27 | (주)신우엠테크 | Instand cold water maker |
KR102180670B1 (en) * | 2019-07-02 | 2020-11-20 | 홍주리더스 주식회사 | Temparature control apparatus for cold wat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468Y1 (en) | 2004-09-24 | 2004-12-04 | 박현규 | Heat exchanger being used wasteheat |
JP2010107113A (en) * | 2008-10-30 | 2010-05-13 | Sanki Eng Co Ltd | Spiral heat exchanger and engine performance testing device |
KR101237078B1 (en) | 2011-01-28 | 2013-02-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for fixing pip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85265U (en) * | 1988-12-14 | 1990-07-04 | ||
JPH09126688A (en) * | 1995-10-27 | 1997-05-16 | Nisso Eng Kk | Scroll plate type heat exchanger |
KR200442899Y1 (en) * | 2007-02-26 | 2008-12-19 | 주식회사 영우워터라인 | Cooling water tank for water purifier with multi-stage temperature plate |
KR20100010771A (en) * | 2008-07-23 | 2010-02-02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Water purifier of providing cold and hot water |
KR20120063883A (en) * | 2010-12-08 | 2012-06-18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Cold water tank |
FR3020868B1 (en) * | 2014-05-07 | 2016-06-24 |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 SPIRAL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2016
- 2016-11-28 KR KR1020160159611A patent/KR1026706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468Y1 (en) | 2004-09-24 | 2004-12-04 | 박현규 | Heat exchanger being used wasteheat |
JP2010107113A (en) * | 2008-10-30 | 2010-05-13 | Sanki Eng Co Ltd | Spiral heat exchanger and engine performance testing device |
KR101237078B1 (en) | 2011-01-28 | 2013-02-2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for fixing pi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285A (en)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27505C2 (en) | Control system of temperature fluid | |
CN102470297B (en) | With the water purifier of ice machine | |
KR102698519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cold wat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
US8769980B2 (en) |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 |
KR101201101B1 (en) | Cold water tank | |
KR102670628B1 (en) | Water cooler | |
WO2016053481A1 (en) | Air conditioning and heat pump system with evaporative cooling system | |
KR20120063883A (en) | Cold water tank | |
KR20150025823A (en) | Ice maker | |
KR20130014113A (en) | Cool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upply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
KR101765666B1 (en) | Vertically separated tank structure | |
KR20140055284A (en) |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140001531A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water | |
KR101826874B1 (en) | Water purification supply apparatus | |
EP3130867A1 (en) | Heat pump type water heater system | |
JP4701022B2 (en) | Mold temperature controller | |
KR20190093401A (en) | Apparatus for making cold water and hot water | |
KR101647640B1 (en) | Water purification supply apparatus | |
KR20130035544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20120017153A (en) | Water tank | |
KR20190104723A (en) | Water purifier | |
KR102370327B1 (en) | Water purifier | |
KR101527543B1 (en) | Water purification supply apparatus | |
KR20140062847A (en) | Evaporator unit for water purifier integral vertical ellipse type | |
KR20200091222A (en) | Apparatus for cooling wa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4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6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