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499B1 - Armrest device for a car - Google Patents
Armrest device for a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0499B1 KR102670499B1 KR1020210162903A KR20210162903A KR102670499B1 KR 102670499 B1 KR102670499 B1 KR 102670499B1 KR 1020210162903 A KR1020210162903 A KR 1020210162903A KR 20210162903 A KR20210162903 A KR 20210162903A KR 102670499 B1 KR102670499 B1 KR 102670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frame
- vehicle
- console
- holder device
- sl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는 좌우 양방향으로 펼쳐져 면적이 확장되는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와 누름 조작을 통해 외부로 오픈되는 컵 홀더부로 구성된 메인 프레임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체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로 구성된 메인 고정부와, 상기 메인 고정부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차량의 콘솔 영역에 장착하는 콘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section consisting of an open auxiliary plate that expand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xpand the area, and a cup holder section that opens to the outside through a push operation, and is fastened to the main frame section, A main fixing part consisting of a slide part that moves the main fram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the main frame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console mounting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main fixing part and mounts the main frame in the console area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으로 펼쳐져 면적이 확장되는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n open auxiliary plate that expands in two directions to expand the area.
장시간 운전을 하는 버스나 택시 운전사, 영업용 차량 운전자, 택배 기사, 화물차 기사들은 장거리 주행에 따라 불편한 자세로 장시간 노출되어 있어 피로누적으로 인한 근육통, 관절염,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팔절임 등과 같이 직업병으로 인한 고충이 점점 심화되어가고 있다.Bus or taxi drivers, commercial vehicle drivers, courier drivers, and truck drivers who drive for long periods of time are exposed to uncomfortable postures for long periods of time due to long-distance driving, resulting in occupational diseases such as muscle pain due to accumulated fatigue, arthritis, and amputation in the arm due to blood circulation disorders. The grievances are getting worse.
공개특허 10-2016-0064470호는 차량 도어의 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차량 도어의 상부 트림과 하부 트림 사이에 구비되고, 측면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접 혀지도록 중앙 부위가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수직 방향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판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하판 및 상기 상판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팔이 놓여지도록 평탄한 상면을 갖는 덮개를 포함한다.Publication Patent No. 10-2016-0064470 relates to an arm holder for a vehicle door, which includes an upper plate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ims of the vehicle door and having a convex shape in the center so that it can be fold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side; , a lower plat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supporting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folded due to a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ver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flat upper surface so that an arm can be placed. Includes.
공개특허 10-2015-0024163호는 운전자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상부는 상호 연결되며, 하부는 종으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프레임; T'자 형으로 상호 결합하는 수평지지대 및 수직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 직지지대는 상기 콘솔박스 또는 운전석 측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중앙 부위에 만곡부가 형성되고 하부 측면이 상 기 후방프레임에 고정되는 암레스트 지지대; 및 상하로 상호 결합하는 거치대 본체 및 쿠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 기 거치대 본체의 배면이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박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ublication Patent No. 10-2015-0024163 relates to an armrest for a driver, the upper part of which is interconnected, the lower part of which is formed longitudinally parallel to each other,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and each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A fixing frame consisting of fixing brackets; It consists of a horizontal support and a vertical support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T' shape, and the vertical support has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sole box or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an arm whose lower side is fixed to the rear frame. rest support; and a holder main body and a cushion member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the back of the holder main body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of a lower arm holder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석 일측의 차량 중앙부 콘솔 영역에 전후 슬라이드 및 회전이 가능한 팔 거치대를 설치함에 따라 장시간 운전으로 지친 운전자의 신체적 피로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that allows a driver who is tired from driving for a long time to recover from physical fatigue by installing an arm holder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back and forth in the console area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on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석 일측의 차량 중앙부 콘솔 영역에 양방향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팔 거치대를 설치함에 따라 차량 내에서 음식물 섭취나 노트북 이용이 가능한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vehicle arm holder device that allows eating or using a laptop in the vehicle by installing an arm holder including an auxiliary plate that can be expanded in both directions in the console area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on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는 좌우 양방향으로 펼쳐져 면적이 확장되는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와 누름 조작을 통해 외부로 오픈되는 컵 홀더부로 구성된 메인 프레임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체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로 구성된 메인 고정부와, 상기 메인 고정부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차량의 콘솔 영역에 장착하는 콘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section consisting of an open auxiliary plate that expand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xpand the area, and a cup holder section that opens to the outside through a push operation, and is fastened to the main frame section, A main fixing part consisting of a slide part that moves the main fram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the main frame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console mounting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main fixing part and mounts the main frame in the console area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는 분리된 두 개의 플레이트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 및 타측에 힌지(hinge) 방식으로 결합되어 여닫이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 auxiliary plate is composed of a pair of two separated plates, and one side of each plate is hing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portion and is mounted in a mann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컵 홀더부는 다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며, 누름 조작을 통해 외부로 오픈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부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p holder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or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frame portion.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대응되는 지지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 내에 구비된 라인 형태의 레일 홈과, 하부로 연장된 측면부 양단에 절곡부가 구비된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슬라이드 유닛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유닛의 절곡부가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반복적인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 unit includes a support plate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part, a line-shaped rail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a slide unit provided with bends at both ends of a side extending downward, and an upper part of the slide unit. It includes a slide base, and the bent portion of the slide unit is capable of repeated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rail groove.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슬라이딩 베이스 상부에 구비된 회전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40 ~ 150°의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part includes a rotating guide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art of the sliding base, and the rotating guide member is capable of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140 to 150°.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대응되는 지지용 플레이트 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두 개로 분리된 슬라이딩 유닛과, 'ㅅ'형태의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연결된 회전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슬라이딩 유닛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 상부에 연결된 회전 가이드 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 part includes a guide rail provided in a support plate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part, a sliding unit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is separated into two, and a sliding unit connected to the sliding unit through a 'ㅅ' shaped connecting member. It includes a rotation guide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liding units.
상기 콘솔 장착부는 좌우 양방향으로 오픈되는 투 도어 타입 콘솔 덮개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며, 다수의 볼트 홀이 구비되며, 상기 볼트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메인 고정부와 결착되는 상부 라인과, 높이 조절 가능한 나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콘솔 덮개에 고정되는 하부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one end of a two-door type console cover that open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lt holes, and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main fixing portion through a bolt inserted into the bolt hole. A fixing member including a line and a height-adjustable screw is provided, and a lower line is fixed to the console cover through the fixing member.
상기 콘솔 장착부는 상하부로 오픈되는 원 도어 타입 콘솔 덮개의 양단에 고정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는 날개 형태의 탈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 부재의 걸림 턱이 상기 콘솔 덮개 양측 하단에 걸쳐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ole mounting unit includes a wing-shaped detachable member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fixed to both ends of a one-door type console cover that opens at the top and bottom, and the hooking protrusion of the detachable member is secured to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console cover. Do it as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는 운전석 일측의 차량 중앙부 콘솔 영역에 전후 슬라이드 및 회전이 가능한 팔 거치대를 설치함에 따라 장시간 운전으로 지친 운전자의 신체적 피로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vehicle arm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helping a driver who is tired from driving for a long time to recover from physical fatigue by installing an arm holder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ng back and forth in the console area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on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는 운전석 일측의 차량 중앙부 콘솔 영역에 양방향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팔 거치대를 설치함에 따라 차량 내에서 음식물 섭취나 노트북 이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eating or using a laptop in the vehicle by installing an arm holder including an auxiliary plate that can be expanded in both directions in the console area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on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메인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메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거치대 장치의 메인 고정부에 보호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콘솔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걸이 거치대 장치가 차량의 콘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진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ain frame portion of the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the main fixing part of the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main fixing part of the arm r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of the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photographic diagrams showing the vehicle armrest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console of a vehicle.
13 and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a vehicle arm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 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pecified, events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100)는 메인 프레임부(110), 메인 고정부(120) 및 콘솔 장착부(13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vehicle arm holder device 100 consists of a main frame part 110, a main fixing part 120, and a console mounting part 130.
메인 프레임부(110)는 좌우 양방향으로 펼쳐져 면적이 확장되는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110a) 및 누름 조작을 통해 외부로 오픈되는 컵 홀더부(110b)를 포함한다. 메인 고정부(120)는 메인 프레임부(110)와 체결되어 메인 프레임부(1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120a) 및 메인 프레임부(110)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120b)로 구성되며, 메인 프레임부(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콘솔 장착부(130)는 메인 고정부(120)와 체결되어 메인 프레임부(110)를 차량의 콘솔 영역에 장착하는 탈착부(130a)를 포함한다.The main frame portion 110 includes an open auxiliary plate 110a that spread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xpand the area, and a cup holder portion 110b that opens to the outside through a push operation. The main fixing part 12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part 110 and includes a slide part 120a that moves the main frame part 1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rotating part 120b that rotates the main frame part 110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composed of, and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unit 110. Additionally,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130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130a that is fastened to the main fixing portion 120 and mounts the main frame portion 110 to the console area of the vehicl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메인 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2 및 도 3의 (a)는 메인 프레임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의 (b)는 메인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S.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ain frame portion of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of FIGS. 2 and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main frame portion, and FIGS. 2 and 3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frame par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부(200)는 좌우 양방향으로 펼쳐져 면적이 확장되는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210) 및 누름 조작을 통해 외부로 오픈되는 컵 홀더부(22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main frame part 200 is provided with an open auxiliary plate 210 that spread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xpand the area, and a cup holder part 220 that opens to the outside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210)는 분리된 두 개의 플레이트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플레이트 일측은 메인 프레임부(200)의 일측 및 타측에 힌지(hinge) 방식(230)으로 결합되어 여닫이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210)가 닫힘 상태인 경우 도 2와 같이 각각의 플레이트는 메인 프레임부(200) 중앙부에서 맞닿는다. 한편,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210)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각각의 플레이트가 좌우 양방향으로 펼쳐져 면적이 확장된다.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부(200) 상단의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210)가 좌우로 펼쳐짐에 따라 차량 내에서 음식물 섭취나 노트북 사용 등이 가능한 면적이 확보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open auxiliary plate 210 consists of a pair of two separated plates, and one side of each plat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portion 200 by a hinge method 230,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It can be installed with When the open auxiliary plate 210 is in a closed state, each plate contacts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portion 200 as shown in FIG. 2 . Meanwhile, when the open auxiliary plate 210 is in the open state, each plate spread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expanding the area, as shown in FIG. 3. In this way, as the open auxiliary plate 210 on the top of the main frame portion 200 is expanded to the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secure an area for eating or using a laptop in the vehicle.
또한, 컵 홀더부(220)는 메인 프레임부(200)의 일단의 홈을 통해 내부에 수용되며, 누름 조작을 통해 외부로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컵 홀더부(220)는 다수의 관통구(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두개의 관통구(220a)가 형성된 모양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관통구(220a)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부(200) 일단에 수용된 컵 홀더부(220)가 누름 조작에 의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차량 운전 시 기존 컵 홀더 이외에 물병이나 커피잔 등을 추가적으로 컵 홀더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up holder portion 220 is accommodated inside through a groove at one end of the main frame portion 200, and can be mounted in a form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ush operation. The cup holder portion 220 exposed to the outsid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0a. Here, only the shape in which two through holes 220a are formed is shown, but the number of through holes 220a can be changed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n this way, the cup holder portion 220 accommodated at one end of the main frame portion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a pressing operation, thereby enabling the use of an additional cup holder such as a water bottle or coffee cup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up holder when driving the vehicle. can be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메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메인 고정부에 장착된 슬라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 (b) 및 도 (c)는 각각 평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fixing part of the arm res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lide part mounted on the main fixing part. Figures 4 (a), (b), and (c) show a top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고정부(400)의 메인 프레임부(도 2의 '200')와 대응되는 지지용 플레이트(410), 지지용 플레이트(410) 내에 구비된 라인 형태의 레일 홈(420) 및 레일 홈(420)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4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4, the support plate 410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part ('200' in Figure 2) of the main fixing part 400, and the line-shaped rail groove 420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410. ) and a slide member 425 that reciprocates along the rail groove 420.
지지용 플레이트(410)는 내에 구비된 레일 홈(420)은 분리된 두 개의 라인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라인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드 부재(425)는 일정 높이를 갖는 슬라이드 유닛(430) 및 슬라이드 유닛(430) 상부에 결합된 슬라이드 베이스(44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유닛(430) 은 하부로 연장된 측면부의 양단에 절곡부가 구비되며, 'A'와 같이 절곡부가 레일 홈(420)에 끼움 결합되어 레일 홈(42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반복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슬라이드 부재(425)가 부드럽게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유닛(430) 측면에 다수의 베어링(445)이 구비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부재(425)가 이동하는 슬라이딩 길이는 130 ~ 17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il groove 420 provided within the support plate 410 is composed of two separated lines, and each line is arranged in parallel at a certain interval. The slide member 425 includes a slide unit 430 having a certain height and a slide base 44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lide unit 430. The slide unit 430 is provided with bent parts at both ends of the side part extending downward, and the bent parts, like 'A',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 420, allowing repeated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long the rail groove 420. do. At this time, a plurality of bearings 445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lide unit 430 so that the slide member 425 can move smoothly. Here, the sliding length along which the slide member 425 moves is preferably set to 130 to 170 mm.
또한, 지지용 플레이트(410) 일단에는 하부에 결합되는 콘솔 장착부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 홈(450)을 더 포함한다. 나사 홈(450)은 지지용 플레이트(410)의 장축 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41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450 for fastening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450 may be arranged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41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메인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메인 고정부에 장착된 슬라이드부, 높이 조절부 및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b) 및 도 (c)는 각각 평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main fixing part of the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lide part, height adjusting part, and rotating part mounted on the main fixing part. Figures 5 (a), (b), and (c) show a top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고정부(500)는 메인 프레임부(도 2의 '200')와 대응되는 지지용 플레이트(510), 지지용 플레이트(510) 중앙 상단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520), 가이드 레일(520)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유닛(530), 슬라이딩 유닛(530) 상단에 결합된 회전 가이드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유닛(530)은 분리된 두 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유닛(530) 상부에는 분리된 두 개의 유닛을 연결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ㅅ'형태의 연결 부재(540)가 구비된다. 'ㅅ'형태의 연결 부재(540) 상부에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는 회전 가이드 부재(550)가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main fixing part 500 includes a support plate 510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part ('200' in Figure 2), and a guide rail 520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plate 510. , a sliding unit 530 moving along the guide rail 520, and a rotation guide member 550 coupled to the top of the sliding unit 530. At this time, the sliding unit 530 is composed of two separate units, and a 'ㅅ' shaped connecting member 540 that connects the two separated units and is height adjustabl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iding unit 530. . A rotation guide member 550 that rotates by a certain angle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ㅅ' shaped connecting member 540.
회전 가이드 부재(55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40 ~ 150°의 회전 각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member 550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t a certain angle, and can preferably be adjusted to have a rotation angle of 140 to 150°.
또한, 두 개의 유닛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연결 부재(540) 상부에 연결된 회전 가이드 부재(550)의 높이가 조절된다. 예컨대, 두 개의 유닛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각각의 유닛에 연결된 연결 부재(540)가 벌어지면서 회전 가이드 부재(550)가 낮게 위치된다. 반대로, 두 개의 유닛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각각의 유닛에 연결된 연결 부재(540)가 모아지면서 회전 가이드 부재(550)가 높게 위치된다. Additionally, the height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55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54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units.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wo units increases, the connection members 540 connected to each unit spread and the rotation guide member 550 is positioned low. Conversely, as the distance between two units becomes closer, the connection members 540 connected to each unit are brought together and the rotation guide member 550 is positioned high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 거치대 장치의 메인 고정부에 보호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main fixing part of the arm r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팔 거치대 장치(600)는 메인 고정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을 오픈시키는 보호 커버(610)를 포함한다. 보호 커버(610)는 유연성을 가지며, 내후성, 내오존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EVA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6, the arm holder device 600 includes a protective cover 610 that opens the guide rail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ain fixing part. The protective cover 610 is preferably made of an EVA material that is flexible and has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ozone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콘솔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 및 도 8의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이며, 도 9는 사진도이다.FIGS. 7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of the vehicle arm re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7 and 8,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side view,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There are also photos.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콘솔 장착부(700)는 콘솔 덮개의 일단과 결합되며, U자형 단면으로 일단에 결합 홈(720)을 포함한다. 콘솔 장착부(700)의 상부 라인(710a)는 볼트 홀이 구비되어 볼트 홀에 삽입되는 볼트(730)를 통해 메인 고정부의 지지용 플레이트(705)에 탈착이 가능하다(도 8 참조). 이때, 볼트 홀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7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sole cover, has a U-shaped cross section, and includes a coupling groove 720 at one end. The upper line 710a of the console mounting part 700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pport plate 705 of the main fixing part through a bolt 730 inserted into the bolt hole (see FIG. 8). At this time, a plurality of bolt holes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콘솔 장착부(700)의 하부 라인(710b)에는 높이 조절 가능한 나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740)가 구비된다. 도 7 및 도 8과 같은 콘솔 장착부(700)는 좌우 양방향으로 오픈되는 투 도어 타입 콘솔 덮개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결합 홈(720)을 콘솔 덮개(750)의 일단에 끼운 후 고정 부재(7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콘솔 장착부(700)를 콘솔 덮개(7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A fixing member 740 including a height-adjustable screw is provided on the lower line 710b of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700.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700 shown in FIGS. 7 and 8 can be used by being fixed to a two-door type console cover that open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ure 9,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700 can be fixed to the console cover 750 by inserting the coupling groove 720 into one end of the console cover 750 and t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xing member 74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콘솔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의 (a)는 평면도이며, (b)는 사시도이다.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of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is a plan view and (b) is a perspective view.
도 10을 참조하면, 콘솔 장착부(1000)는 메인 고정부의 보호 커버(1010) 양단에 콘솔 덮개를 고정 결합하는 탈착 부재(1020)를 포함한다. 탈착 부재(1020)는 보호 커버(1010)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날개 형태로 구비되며, 보호 커버(1010)의 장축 방향을 따라 라인 형태로 형성된다. 탈착 부재(1020)는 콘솔 덮개의 하단에 고정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며, 탈착 부재(1020)의 걸림 턱이 콘솔 덮개 하단에 걸려 밀착 고정되도록 탈착 부재(10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탈착 부재(1020)는 보호 커버(10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보호 커버(1020) 일단에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호 커버(1010) 양단에 체결된 탈착 부재(1020) 사이의 거리는 170 ~ 230mm의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하므로, 콘솔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0, the console mounting unit 1000 includes a detachable member 1020 that securely couples the console cover to both ends of the protective cover 1010 of the main fixing unit. The detachable member 10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wing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protective cover 1010 and is formed in a line shape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cover 1010. The detachable member 1020 includes a hook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nsole cover, and the angle of the detachable member 102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hook of the detachable member 1020 is hooked to the bottom of the console cover and tightly fixed. Additionally, the detachable member 1020 is detachable from the protective cover 1010 and can be used by attaching it to only one end of the protective cover 1020. The distance between the removable members 1020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protective cover 1010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170 to 230 mm, so installa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nsole.
도 11은 도 10의 콘솔 장착부가 장착된 콘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도이다. FIG. 11 is a photograph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sole area where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of FIG. 10 is mounted.
도 11을 참조하면, 콘솔 장착부는 도 11의 (a)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열리는 원 타입 콘솔 덮개(103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콘솔 장착부 양단에 구비된 날개 형태의 탈착 부재(1020)가 콘솔 덮개(1030) 양단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또한, 콘솔 장착부 일단의 탈착 부재(1020)를 분리하고, 타단에만 탈착 부재(1020)를 부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1의 (b)와 같이 좌우 양방향으로 오픈되는 투 도어 타입 콘솔 덮개(1040)의 경우, 탈착 부재(1020)를 콘솔 덮개(1040)의 일단에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can be mounted on a circular type console cover 1030 that ope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a) of FIG. 11. At this time, the wing-shaped detachable members 102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are fixed and mounted on both ends of the console cover 1030. Additionally, the console mounting portion can be used with the detachable member 1020 removed from one end and the detachable member 1020 attached only to the other e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wo-door type console cover 1040 that open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b) of Figure 11, the detachable member 1020 can be used by fixing only one end of the console cover 1040.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메인 프레임부(1200)가 좌우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메인 프레임부의 회전 각도는 130 ~ 160°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콘솔에 회전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운전석이나 보조석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편리함이 증대되고 메인 프레임부 상단의 보조 플레이트 개방 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Figure 12 shows the main frame unit 1200 being rotated left and right,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frame unit can be adjusted from 130 to 160°. In this way, as the rotation function is added to the vehicle's console, it can be rotated toward the driver's seat or passenger seat, increasing the driver's convenience and increasing efficiency when opening the auxiliary plate at the top of the main frame.
도 13은 메인 프레임부(1200)가 전후 슬라이딩 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슬라이딩 길이는 130 ~ 160mm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4는 메인 프레임부(12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차량의 콘솔에 슬라이딩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팔 거치대 장치를 장착함에 따라 운전자의 체형이나 상태에 맞게 슬라이딩 기능 또는 높낮이 조절 기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다.Figure 13 shows the main frame unit 1200 sliding back and forth, and the sliding length can be adjusted from 130 to 160 mm. Additionally, Figure 14 shows the height of the main frame unit 1200 being adjusted. In this way, by installing an arm rest device capable of sliding and height adjustment on the console of the vehicle, the driv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sliding function or heigh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body type or condi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600 :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110, 200, 1200 : 메인 프레임부
120, 400, 500 : 메인 고정부 130, 700, 1000 : 콘솔 장착부
110a : 보조 플레이트 110b, 220 : 컵 홀더부
120a : 슬라이드부 120b : 회전부
130a : 탈착부 210 :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
230 : 힌지(hinge) 방식 410, 510, 705 : 지지용 플레이트
420 : 레일 홈 425 : 슬라이드 부재
430, 530 : 슬라이드 유닛 445 : 베어링
450 : 나사 홈 520 : 가이드 레일
540 : 연결 부재 550 : 회전 가이드 부재
610 : 보호 커버 720 : 결합 홈
710a : 상부 라인 710b : 하부 라인
730 : 볼트 740 : 고정 부재
750 : 콘솔 덮개 1010 : 보호 커버
1020 : 탈착 부재 1030 : 콘솔 덮개100, 600: Vehicle arm holder device 110, 200, 1200: Main frame part
120, 400, 500: Main fixing part 130, 700, 1000: Console mounting part
110a: Auxiliary plate 110b, 220: Cup holder portion
120a: slide part 120b: rotating part
130a: Removable portion 210: Open auxiliary plate
230: Hinge method 410, 510, 705: Support plate
420: Rail groove 425: Slide member
430, 530: Slide unit 445: Bearing
450: Screw groove 520: Guide rail
540: Connection member 550: Rotation guide member
610: Protective cover 720: Combination groove
710a: upper line 710b: lower line
730: Bolt 740: Fixing member
750: console cover 1010: protective cover
1020: Removable member 1030: Console cover
Claims (8)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체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로 구성된 메인 고정부; 및
상기 메인 고정부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부를 차량의 콘솔 영역에 장착하는 콘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대응되는 지지용 플레이트 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두 개로 분리된 슬라이딩 유닛; 및
'ㅅ'형태의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유닛과 연결된 회전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슬라이딩 유닛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 상부에 연결된 회전 가이드 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A main frame section consisting of an open auxiliary plate that expand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xpand the area, and a cup holder section that opens to the outside through a push operation;
A main fixing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main frame and consists of a slide part that moves the main frame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and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the main frame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t includes a console mounting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main fixing part and mounts the main frame part to the console area of the vehicle,
The slide part
A guide rail provided in a support plate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portion;
a sliding unit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nd is divided into two; and
It includes a rotation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sliding unit through a 'ㅅ' shaped connection member, and the height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liding units. A vehicle arm hol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개방형 보조 플레이트는 분리된 두 개의 플레이트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일측 및 타측에 힌지(hinge) 방식으로 결합되어 여닫이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auxiliary plate is composed of a pair of two separated plates, and one side of each plate is hing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and is mounted in an opening and closing manner. Arm holder device.
다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며, 누름 조작을 통해 외부로 오픈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부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p holder unit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and is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or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frame portion.
상기 메인 프레임부와 대응되는 지지용 플레이트;
상기 지지용 플레이트 내에 구비된 라인 형태의 레일 홈;
하부로 연장된 측면부 양단에 절곡부가 구비된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슬라이드 유닛 상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유닛의 절곡부가 상기 레일 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반복적인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lide unit
A support plate corresponding to the main frame portion;
A line-shaped rail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plate;
A slide unit provided with bends at both ends of the side portion extending downward; and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slide bas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lide unit, wherein a bent portion of the slide unit can repeated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rail groove.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 상부에 구비된 회전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40 ~ 150°의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ng part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rotation guide memb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lide base, wherein the rotation guide member is capable of rotating 140 to 15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좌우 양방향으로 오픈되는 투 도어 타입 콘솔 덮개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며,
다수의 볼트 홀이 구비되며, 상기 볼트 홀에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메인 고정부와 결착되는 상부 라인; 및
높이 조절 가능한 나사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를 통해 상기 콘솔 덮개에 고정되는 하부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ole mounting unit
It includes a coupling groove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wo-door type console cover that open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 upper lin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lt holes and connected to the main fixing part through bolts inserted into the bolt holes; and
An arm holder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fixing member including a height-adjustable screw, and a lower line fixed to the console cover through the fixing member.
상하부로 오픈되는 원 도어 타입 콘솔 덮개의 양단에 고정되는 걸림 턱을 포함하는 날개 형태의 탈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 부재의 걸림 턱이 상기 콘솔 덮개 양측 하단에 걸쳐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ole mounting unit
A vehicle arm comprising a wing-shaped detachable member including a locking jaw fixed to both ends of a one-door type console cover that opens at the top and bottom, wherein the locking jaw of the detachable member is secured to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console cover. Holder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903A KR102670499B1 (en) | 2021-11-24 | 2021-11-24 | Armrest device for a car |
PCT/KR2022/018371 WO2023096281A1 (en) | 2021-11-24 | 2022-11-21 | Arm rest devic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903A KR102670499B1 (en) | 2021-11-24 | 2021-11-24 | Armrest device for a c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199A KR20230076199A (en) | 2023-05-31 |
KR102670499B1 true KR102670499B1 (en) | 2024-05-30 |
Family
ID=8653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2903A Active KR102670499B1 (en) | 2021-11-24 | 2021-11-24 | Armrest device for a ca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0499B1 (en) |
WO (1) | WO2023096281A1 (en)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2875A (en) * | 1998-08-11 | 2000-02-22 | Kasai Kogyo Co Ltd | Console box for automobile |
JP2001321244A (en) | 2000-05-16 | 2001-11-20 | Inoac Corp | Armrest with table |
KR100322919B1 (en) | 1992-10-13 | 2002-06-20 | 필립스 에스. 윌슨 | Rotating Pull Out Container Holder Assembly for Vehicle |
JP2003135206A (en) | 2001-10-30 | 2003-05-13 | Ito Seisakusho:Kk | Armrest for vehicle |
US20040206858A1 (en) | 2001-06-19 | 2004-10-21 | Rockafellow Brent D | Adjustable armrest |
US20070262632A1 (en) * | 2006-01-18 | 2007-11-15 | Collins & Aikman Products Co. | Sliding Armrest |
KR100802827B1 (en) | 2006-10-17 | 2008-02-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Center Console Armrest |
US20100117428A1 (en) | 2008-11-06 | 2010-05-13 | Grammer Ag | Scissors-type frame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bstructure of a vehicle seat |
KR101601504B1 (en) | 2014-10-17 | 2016-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ulti using armrest for vehicle |
KR101734266B1 (en) | 2015-07-13 | 2017-05-11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nsole arm-rest for vehicle |
KR101974038B1 (en) | 2018-11-23 | 2019-05-02 | (주)퍼맥스 | Arm-rest unit of chai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8697Y1 (en) * | 1996-07-13 | 1998-10-15 | 양재신 | Multi-use armrest for a rear seat |
KR100579640B1 (en) * | 2004-06-17 | 2006-05-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djustable Armrest |
KR101192467B1 (en) * | 2010-12-22 | 2012-10-17 | 한일이화주식회사 | Console box structure hav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
KR101263464B1 (en) * | 2011-06-29 | 2013-05-10 | 주식회사 제이씨텍 | Buffer cushion for Desk sticking type Posture correction |
KR20150024163A (en) | 2013-08-26 | 2015-03-06 | 장호준 | Armrest for Driver |
KR20160064470A (en) | 2014-11-28 | 2016-06-08 |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 Armrest for door of vehicle |
KR20190002070U (en) * | 2018-02-05 | 2019-08-14 |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Sub armrest |
-
2021
- 2021-11-24 KR KR1020210162903A patent/KR102670499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11-21 WO PCT/KR2022/018371 patent/WO202309628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2919B1 (en) | 1992-10-13 | 2002-06-20 | 필립스 에스. 윌슨 | Rotating Pull Out Container Holder Assembly for Vehicle |
JP2000052875A (en) * | 1998-08-11 | 2000-02-22 | Kasai Kogyo Co Ltd | Console box for automobile |
JP2001321244A (en) | 2000-05-16 | 2001-11-20 | Inoac Corp | Armrest with table |
US20040206858A1 (en) | 2001-06-19 | 2004-10-21 | Rockafellow Brent D | Adjustable armrest |
JP2003135206A (en) | 2001-10-30 | 2003-05-13 | Ito Seisakusho:Kk | Armrest for vehicle |
US20070262632A1 (en) * | 2006-01-18 | 2007-11-15 | Collins & Aikman Products Co. | Sliding Armrest |
KR100802827B1 (en) | 2006-10-17 | 2008-02-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Center Console Armrest |
US20100117428A1 (en) | 2008-11-06 | 2010-05-13 | Grammer Ag | Scissors-type frame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bstructure of a vehicle seat |
KR101601504B1 (en) | 2014-10-17 | 2016-03-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ulti using armrest for vehicle |
KR101734266B1 (en) | 2015-07-13 | 2017-05-11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nsole arm-rest for vehicle |
KR101974038B1 (en) | 2018-11-23 | 2019-05-02 | (주)퍼맥스 | Arm-rest unit of 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199A (en) | 2023-05-31 |
WO2023096281A1 (en) | 2023-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06770A1 (en) | Seat cushion shell unit and shell-type seat for vehicle | |
US6857698B2 (en) | Seat side impact resistance mechanism | |
US4991907A (en) | Automobile seat head rest device | |
US20080034552A1 (en) | Hinge for a motor vehicle | |
US20090001785A1 (en) | Integrated Lumbar and Active Head Rest System | |
US9789789B2 (en) | Vehicular seat | |
BR102014001648A2 (en) | vehicle seat assembly, top seat backrest bracket assembly and vehicle seat backrest assembly | |
BR102015025313A2 (en) | IMPROV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RESOURCES FOR COMFORT SUPPORTS | |
US7950712B2 (en) |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 |
US10166895B2 (en) | Seatback comfort carrier | |
CN106891788B (en) | Rear panel lower clip anchor for dynamic events | |
WO2003026926A2 (en) | Removable and vertically adjusta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seat backrest | |
CN103167970B (en) | Rotatable child safety seat | |
CN107487246B (en) | Comfortable bracket for chair back | |
US6736459B1 (en) | Spring element seat | |
KR102670499B1 (en) | Armrest device for a car | |
US20180099598A1 (en) | Seat with integrated table | |
US7753424B2 (en) | Armres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door | |
RU2684811C2 (en) | Seat, in particular passenger seat | |
KR100860887B1 (en) | Cab seats for electric cars | |
EP2634039A1 (en) | Motor vehicle rear seat | |
EP1442935B1 (en) | Overhead luggage bin structure | |
KR20050047594A (en) | Lumbar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 | |
JP2006181157A (en) | Seat back supporting device | |
CN107685663B (en) | Integrated panel arm suppor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