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70443B1 - 캐비넷 장치 - Google Patents

캐비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443B1
KR102670443B1 KR1020210092814A KR20210092814A KR102670443B1 KR 102670443 B1 KR102670443 B1 KR 102670443B1 KR 1020210092814 A KR1020210092814 A KR 1020210092814A KR 20210092814 A KR20210092814 A KR 20210092814A KR 102670443 B1 KR102670443 B1 KR 10267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abinet device
assembly
floor frame
upper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258A (ko
Inventor
유대현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443B1/ko
Priority to PCT/KR2022/008371 priority patent/WO2023287027A1/en
Priority to US18/578,954 priority patent/US20240324776A1/en
Publication of KR2023001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4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7Furniture panels consisting of a frame with interchangeable insertable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8Decorative panels for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아웃케이스와는 별개로 제공되는 상면조립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조립체의 바닥은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캐비넷 장치가 제공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캐비넷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자유롭고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비넷 장치{cabinet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물품의 저장을 위한 기기 혹은, 여타 가전 제품의 외관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캐비넷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비넷 장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물건이나 식품 혹은, 제품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기구이다.
상기 캐비넷 장치는 서랍장이나 협탁, 금고 혹은, 보관함과 같이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가지면서 독립 사용이 가능한 기구나 가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냉장고나 세탁기와 같이 내부에 저장 공간을 가지는 가전 제품의 외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상기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다양한 디자인이나 색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도어의 외표면은 사용자가 요구하는데로 색상이나 디자인을 변경하여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07-0003397호(선행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3-0135485호(선행문헌 2), 공개특허 제10-2014-0102808호(선행문헌 3) 등에서와 같이 냉장고의 외관 중 도어의 전면을 유리패널로 형성하거나 혹은, 특정 색상이나 광택을 가지는 패널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선행문헌 1의 경우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한 쌍의 유리패널로 형성되는 장식패널을 구비하고, 이 장식패널의 중공부에 염료가 혼합된 물 등의 장식재를 주입하여 도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행문헌 2의 경우 도어의 외면에 장식패널을 구비하면서도 아웃 도어와 장식 패널 간의 틈새로 오물이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행문헌 3의 경우 다수의 홀을 가지는 금속 패널의 후측에 특정 색상을 가진 배면 패널을 배치하여 도어의 디자인이 변화되는 것처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각 선행문헌들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는 장식패널이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일 뿐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이나 측벽에 대한 디자인 변경을 하지는 않았다.
즉, 종래에는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이 양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도어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던 것이다.
또한, 캐비넷 장치 중 서랍장이나 협탁의 경우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해당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은 사용자의 시야에 쉽게 노출된다. 그러나, 상기 상부벽의 디자인은 양 측벽 디자인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외관에 대한 디자인의 다양화를 이룰 수 없었다.
특히, 최근에는 높이가 낮은 캐비넷 장치의 경우도 주변의 가구나 가전제품이 마련된 실내 환경에 맞춰 외관이 디자인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높이가 낮은 캐비넷 장치는 소형의 제품이기 때문에 외관(상부벽과 양 측벽)을 서로 교체형으로 구성하기 보다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외관의 색상을 다양하게 디자인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즉, 캐비넷 장치의 외관 디자인은 소비자(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색상이나 디자인의 조합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판매자(혹은, 제조자)의 선택에 따른 색상이나 디자인 조랍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캐비넷 장치는 외관을 금속 재질이나 목재 혹은, 합성 수지로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물론,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유리재질로 형성할 경우 더욱 고급화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유리재질로 형성한다면 사용의 부주의로 어느 한 부위가 파손되더라도 외관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상부벽과 양 측벽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캐비넷 장치의 경우 외관을 유리재질로 형성하기에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7-0003397호 공개특허 제10-2013-0135485호 공개특허 제10-2014-010280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각종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급화된 디자인 혹은, 색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는 아웃케이스를 가지는 캐비넷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와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널이 상면조립체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하면서도 상부패널의 깨짐 발생시 혹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해당 상부패널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면조립체의 둘레 부위에 대한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 측부벽 내에 매립 구조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캐비넷 장치는 상면이 아웃케이스와는 별개로 제공되는 상면조립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면조립체의 바닥은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캐비넷 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자유롭고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두 측부벽의 상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당기거나 미는 조작으로 상기 상면조립체가 이너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면조립체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은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캐비넷 장치의 상부벽에 대한 디자인을 고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바닥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부패널과 바닥프레임을 결합하는 홀더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브라켓은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브라켓은 상기 바닥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부패널의 바닥은 불투명한 색상의 도료가 프린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부패널의 바닥에는 불투명한 색상의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홀더브라켓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 홀더브라켓은 상부패널의 바닥면 중 적어도 두 둘레벽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은 상부패널의 서로 대칭되는 두 둘레벽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과 상부패널 간의 대향면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에는 부착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부착홈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부착할 수 있어서 접착제가 외부로 누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상면 중 선단 및 후단에는 둘레벽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어느 한 둘레벽 내면에는 받침턱이 형성되고, 홀더브라켓에는 받침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다른 한 둘레벽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걸림턱에 구속되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바닥프레임에 상부패널을 얹을 경우 상부패널은 상부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바닥에는 도구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걸림턱에 걸린 후크의 구속 해제를 위해 손이나 도구가 삽입될 수 있어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다른 한 둘레벽와 이격되게 위치된 이격벽이 형성되고, 이격벽에는 장착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홀더를 상기 장착공에 관통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홀더브라켓에는 홀더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격벽의 장착공을 관통한 장착홀더의 일부가 수용되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에는 조작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홀더를 이격벽의 장착공을 관통하여 홀더브라켓의 홀더걸림홈에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의 이격벽에는 유동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장착홀더의 일부가 조작공을 관통하여 설치될 경우 상기 장착홀더의 일부가 장착홀더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바닥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용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바닥프레임이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아웃케이스의 두 측부벽이 상면조립체의 상부패널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두 측부벽을 금속의 판재로 형성할 수 있어서 재료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의 상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고, 상면조립체의 바닥면에는 조립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가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조립홈 및 조립홀더가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가 비틀리도록 설치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조립홈은 이너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이너케이스의 상면 바닥에는 조립홈을 덮는 보호캡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케이스의 상면을 판재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이너케이스 내부로 조립홀더가 노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아래의 각종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 중 외부로의 노출 부위가 유리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상면에 대한 디자인의 고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부패널이 유리재질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홀더브라켓에 의해 바닥프레임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유리재질의 상부패널에 어느 한 색상이 페인팅되거나 혹은, 색상 필름이 부착되기 때문에 색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면조립체와 이너케이스의 상면 간 틈새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가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얹혀 고정된 상태에서 양 측면이 아웃케이스의 두 측부벽으로 가려진다. 이로써 상면조립체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면조립체는 아웃케이스에 매립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최대한 심미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과 바닥프레임 간의 조립 구조가 간단하여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널의 깨짐이 발생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 중 두 측벽부로부터 상부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 중 두 측벽부로부터 상부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이너케이스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상면측 구조를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조립홈을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조립홈을 저부에서 본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조립홈 저부에 보호캡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이너케이스의 상면측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상부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바닥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바닥프레임을 나타낸 저면도
도 16는 도 14의 “B”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의 걸림턱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8은 도 14의 “C”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1홀더브라켓의 상면측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1홀더브라켓의 설치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상면측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저면측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의 설치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상면조립체의 상부패널을 바닥프레임에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를 전방에서 본 상태도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장착홀더의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홀더장착부에 장착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제2이격벽의 후단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홀더장착부에 장착홀더가 장착된 상태를 제2이격벽의 전단측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제2홀더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 중 장착홀더에 의한 제2홀더브라켓의 조립 상태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외관 중 두 측벽부로부터 상부조립체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와 상면조립체(300)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외부로의 노출 부위가 유리재질로 형성되면서도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조립체(300)에 대한 디자인의 고급화가 가능하고, 파손 발생시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이너케이스(1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캐비넷 장치의 내부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전면이 개방되고 양 측면과 상하면 및 배면을 가지는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내부는 보관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너케이스(100)에 의해 보관 공간이 제공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100) 내의 보관 공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이나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금속 판재나, 합성수지 혹은, 여타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보관 공간은 도어(110)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10)는 서랍식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110)는 회전식의 도어나 미닫이식의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4 내지 도 1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상면조립체(3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조립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120)은 후술될 상면조립체(300)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120)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립홈(120)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중 전방 양측 및 후방의 어느 한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300)가 좌 혹은, 우측으로 비틀리거나 회전되어 정확히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조립홈(120)은 이너케이스(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 대칭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상면조립체(300)의 각 조립홀더(350)는 상면조립체(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 대칭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구조에 의해 상면조립체(300)의 전후 방향에 상관없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조립홈(12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연속된 구멍(121,1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구멍(121)에 조립홀더(350)를 삽입한 후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구멍(12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립홀더(350)가 원치않게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립홀더(350)는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홀더(350)의 하단 직경과 상기 조립홈(120)의 작은 구멍(122)의 직경은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중 각 조립홈(120)이 형성된 부위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면조립체(300)의 바닥과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은 서로 접촉 혹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은 판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립홈(12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이의 경우 상기 조립홈(120)을 통과하는 조립홀더(350)가 이너케이스(100) 내의 보관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바닥에는 조립홈(120)을 덮는 보호캡(13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아웃케이스(2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캐비넷 장치의 외부 몸체로 제공된다.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양 측면을 형성하는 두 측부벽(210) 및 바닥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웃케이스(200)는 상면조립체(300)의 상부패널(310)이나 도어(110)의 전면과는 달리 고급화된 디자인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성형의 용이함을 위해 금속 판재로 형성되거나 혹은, 사출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각종 부딪힘이 발생될 우려가 많음을 고려할 때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금속의 판재를 다단으로 절곡함으로써 두 측부벽(210)과 바닥부(220)가 서로 일체로 이루어진 아웃케이스(20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개방된 후면은 후면프레임(230)으로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후면프레임(230)은 상기 두 측부벽(21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캐비넷 장치의 상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두 측부벽(21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와의 결합을 위한 조립홀더(3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홀더(350)는 상하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조립홀더(350)는 조립홈(120)의 큰 구멍(121)으로 삽입되어 작은 구멍(12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홀더(350)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면조립체(300)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당기거나 미는 조작으로 상기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양 측면은 상기 두 측부벽(2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됨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아서 조립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12 내지 도 23은 상면조립체의 설명을 위한 각 상태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면조립체(300)의 각 구성요소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2와 같이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310)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320) 및 상부패널(310)과 바닥프레임(320)을 결합하는 홀더브라켓(330,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널(310)은 캐비넷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며, 디자인의 고급화를 위해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3과 같이 상기 상부패널(310)에는 색상을 가지는 필름(311)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색상 필름(311)의 부착으로써 상부패널(310)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색상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311)은 통상의 색상이나 문양을 가지는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불투명한 시트지로 형성됨으로써 상면조립체(310) 내의 구조물이나 형상이 투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필름(311)은 색상만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름(311)은 상기 상부패널(310)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름(311)이 원치않게 벗겨지거나 외부 노출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부패널(310)은 그 자체로 색상을 가지는 유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패널(310)의 바닥면에 어느 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패널(310)의 전면과 배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리 재질의 상부패널(310)에 의한 사용자의 베임과 같은 상처 발생이나 깨짐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프레임(320)은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몸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프레임(320)은 비노출 부위이기 때문에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혹은, 바닥면에는 상기 사출물로의 성형시 야기되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강도 보강용리브(32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혹은, 바닥면이 복수의 요철 부위를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중 선단 및 후단에는 둘레벽(322,32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둘레벽(322)과 제2둘레벽(323) 중 어느 한 둘레벽 내면에는 받침턱(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둘레벽(322)의 내면으로부터 받침턱(322a)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턱(322a)은 제1둘레벽(322)의 내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후술될 제1홀더브라켓(330)의 수용홈(331)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턱(322a)과 수용홈(331)의 구조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상부패널(310)을 얹을 경우 상부패널(310)의 선단측이 상부로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턱(322a)은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4와 도 15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다른 한 둘레벽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323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둘레벽(323)의 내면에는 걸림턱(323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323a)은 상기 제2둘레벽(32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 또는, 라운드 구조로 형성되면서 후술될 제2홀더브라켓(340)의 후크(341)가 걸려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323a)과 후크(341)의 구조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상부패널(310)을 얹을 경우 상부패널(310)의 후단측이 상부로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7과 도 18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에는 도구 삽입공(3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구 삽입공(324)은 도구(D)의 삽입을 위한 구멍으로써 상기 걸림턱(323a)의 직하방에 위치되면서 바닥프레임(320)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걸림턱(323a)에 걸린 후크(341)의 구속 해제를 위해 도구(예컨대, 일자 드라이버 등)가 삽입될 수 있어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구 삽입공(324)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상면에는 제2둘레벽(323)과 이격되게 위치된 이격벽(3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벽(326)은 제2둘레벽(323)과의 사이에 제2홀더브라켓(34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홀더브라켓(330,34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홀더브라켓(330,340)은 상부패널(310)을 바닥프레임(320)에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상부패널(310)의 경우 유리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결합 구조(예컨대, 단턱이나 구멍 혹은, 후크 등)를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파손의 우려가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홀더브라켓(330,340)의 추가 제공으로 상기 상부패널(310)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상부패널(310)이 바닥프레임(320)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홀더브라켓(330,340)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부패널(310)이 복수의 부위에서 바닥프레임(320)에 구속되도록 하여 상부패널(310)과 바닥프레임(32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홀더브라켓(330,340)을 과도히 많이 제공한다면 조립 작업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홀더브라켓(330,340)은 두 개로 제공되면서 각각이 상기 상부패널(310)의 바닥면 중 적어도 두 테두리 부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부패널(310)의 바닥면 중 선단측 테두리에 제1홀더브라켓(330)이 위치되고 후단측 테두리에는 제2홀더브라켓(340)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홀더브라켓(330,340)은 상기 상부패널(310)에 부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각 홀더브라켓(330,340)이나 바닥프레임(320)은 사출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패널(310)에 접착제(301)로 부착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첨부된 도 19 및 도 21과 같이 상기 각 홀더브라켓(330,340)의 바닥면에는 부착홈(332,342)이 형성되고, 첨부된 도 20 및 도 24와 같이 상기 접착제(301)는 상기 부착홈(332,342) 내에 도포 혹은,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접착제(301)의 두께는 상기 부착홈(332,342)의 깊이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홀더브라켓(330)과 제2홀더브라켓(340)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두 홀더브라켓(330,340)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부패널(310)을 바닥프레임(320)에 조립하는데의 어려움 혹은,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어느 한 홀더브라켓은 바닥프레임(320)에 단순히 걸리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 홀더브라켓은 바닥프레임(320)에 구속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제1홀더브라켓(330)에는 제1둘레벽(322)의 받침턱(322a)이 수용되도록 수용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홈(331)은 제1홀더브라켓(330)의 후단이 상부패널(310)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 혹은,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용홈(331)은 제1홀더브라켓(330)의 배면 중 일부를 전방으로 요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4와 같이 제2홀더브라켓(340)에는 제2둘레벽(323)의 걸림턱(323a)에 걸릴 수 있도록 후크(3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34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의 후단으로부터 각각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상면조립체(300)에 대한 조립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부패널(310)의 바닥면 둘레 중 선단에는 제1홀더브라켓(330)을 부착하고, 후단에는 제2홀더브라켓(340)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각 홀더브라켓(330,340)은 상부패널(310)과의 대향면에 형성된 부착홈(332,342) 내에 접착제(301)를 도포 또는, 부착한 후 상기 상부패널(310)에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310)에 부착된 제1홀더브라켓(330)은 바닥프레임(320)의 제1둘레벽(322)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제2홀더브라켓(340)은 제2둘레벽(323)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제1홀더브라켓(330)의 수용홈(331)에 제1둘레벽(322)의 받침턱(322a)을 삽입한 다음 상부패널(310)의 후단측을 하향 이동시켜 제2홀더브라켓(340)의 후크(341)를 제2둘레벽(323)의 걸림턱(323a)에 구속되도록 한다. 즉, 제1홀더브라켓(330)을 바닥프레임(320)의 제1둘레벽(322)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부패널(310)의 기울임 조작을 통해 제2홀더브라켓(340)이 바닥프레임(320)의 제2둘레벽(323)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25 및 도 26과 같다.
이로써 상부패널(310)은 각 홀더브라켓(330,340)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 각 조립홀더(350)를 조립함으로써 상면조립체(300)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홀더(350)는 끼워맞춤식의 결합이나 압입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바닥프레임(320)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넷 장치의 상면조립체(300)를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에 조립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아웃케이스(200) 내에 이너케이스(1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아웃케이스(220)의 양 측부벽(210) 상단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의 상태에서 상면조립체(300)를 준비한 후 상기 아웃케이스(200)와 이너케이스(10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상면조립체(300)는 양 측면과 전후면의 방향을 주의하여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조립홀더(350)를 상기 이너케이스(100) 상면의 각 조립홈(120)에 일치시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조립홀더(350)는 각 조립홈(120) 중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구멍(121)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상면조립체(300)의 바닥면(바닥프레임의 바닥면)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얹힌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상면조립체(30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조립홀더(350)의 상단은 각 조립홈(120) 중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구멍(122)에 위치되고, 이로써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부로 분리됨이 방지된다.
이후, 도어(110)와 후면프레임(230)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캐비넷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는 외부로의 노출 부위가 유리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비넷 장치의 상면에 대한 디자인의 고급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부패널(310)이 유리재질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홀더브라켓(330,340)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유리재질의 상부패널(310)에 어느 한 색상이 페인팅되거나 혹은, 색상 필름이 부착되기 때문에 색상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면조립체(300)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 간 틈새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상면조립체(300)가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얹혀 고정된 상태에서 양 측면이 아웃케이스(200)의 두 측부벽(210)으로 가려진다. 이로써 상면조립체(300)의 양 측면에 대한 마감 처리가 필요치 않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어서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면조립체(300)는 아웃케이스(200)에 매립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최대한 심미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각 홀더브라켓(330,340)과 바닥프레임(320) 간의 조립 구조가 간단하여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상부패널(310)의 깨짐이 발생되더라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 중 상면조립체(300)의 각 홀더브라켓(330,340)과 바닥프레임(320) 간의 결합 구조 중 구속을 위한 구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와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홀더브라켓(330,340)은 장착홀더(490)를 이용하여 바닥프레임(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27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7 및 도 28은 바닥프레임의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이고, 도 29 및 도 30은 제2이격벽에 장착공 및 유동방지턱이 형성된 상태이다.
상기 장착홀더(490)의 적용을 위해 상기 바닥프레임(320)에는 홀더장착부(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회피부(441)가 구비된다. 상기 회피부(441)는 상기 홀더장착부(440)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반대쪽에는 회피홈(441a)이 마련된다.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회피홈(441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홀더(490)의 파지부(492')가 안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회피홈(441a)은 상기 파지부(492')가 상기 제2이격벽(326)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지지턱(442)이 돌출된다.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장착홀더(490)의 후면과 마주보는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일면에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제2이격벽(326)과 바닥프레임(320)의 상면 간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지지턱(442)은 상기 장착홀더(490)의 후면을 향해 돌출되어서, 상기 장착홀더(4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장착홀더(49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턱(442)에는 지지홈(443)이 함몰된다. 상기 지지홈(443)은 상기 지지턱(442)의 아래쪽에 함몰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지지홈(443)은 대략 삼각형상이고, 여기에는 장착홀더(49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지지홈(443)에 끼워지면,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되는 과정에서 장착홀더(49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홀더장착부(440)에는 홀더장착홀(445)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장착홀(445)은 상기 홀더장착부(44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홀더장착홀(445)은 상기 제2이격벽(32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장착홀(445)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가 삽입되고, 삽입된 일부는 제2홀더브라켓(340)의 홀더걸림홈(343)(첨부된 도 35 및 도 36 참조)에 끼워진다. 즉,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은 제2위치에서 상기 바닥프레임(3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턱(442)의 반대편에는 유동방지부(447)가 돌출된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전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지지턱(442)과 함께 상기 전더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파손방지를 위해 상기 지지턱(442)과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홀더(49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장착홀더(490)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의 홀더걸림홈(343)에 각각 끼워지고, 끼워진 후에는 원형으로 복원되어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더(490)는 분리될 때도 역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더(490)의 골격은 홀더바디(491)가 구성한다. 상기 홀더바디(491)는 상하높이와 좌우폭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이때, 상기 홀더바디(491)에는 탄성변형부(495)가 구비되어서 상기 홀더바디(491)의 좌우폭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에는 손잡이(492)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492)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홀더바디(491)를 탄성변형시키게 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손잡이(492)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492)는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491)의 양쪽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492)를 동시에 파지하고 이들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면서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손잡이(492)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492)에는 파지부(4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92')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손잡이(492)에서 상기 손잡이(492)의 면적을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파지부(492')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면적을 넓혀준다. 상기 파지부(492')는 위쪽으로도 돌출되는데, 도 34에서 보듯이, 이 부분은 앞서 설명한 상기 홀더장착부(440)의 회피홈(441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491)와 상기 손잡이(492) 사이에는 체결홈(493a, 493b)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은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 양쪽에 각각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이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리면 상기 장착홀더(49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탄성변형부(495)를 좁히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폭 보다 짧아지면서 상기 장착홀더(490)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홀더바디(491)에는 탄성변형부(49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가 상기 홀더장착홀(445) 및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끼워지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전후방으로 상기 홀더바디(491)를 관통한 형상이 된다.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32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제1변형부(495a)와 제2변형부(495b)가 포함된다. 상기 제1변형부(495a)는 상대적으로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아래쪽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변형부(495a)와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연속된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변형부(495a)는 대략 원형상이고,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상기 제1변형부(495a) 보다 폭이 좁고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변형부(495b)는 상기 홀더바디(491)의 하부로 개방되어 상기 장착홀더(490)가 보다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될 때, 상기 제1변형부(495a) 보다 상기 제2변형부(495b)의 변형량이 더 많고, 상기 제2변형부(495b)에 인접한 상기 한 쌍의 체결홈(493a, 493b) 사이의 거리가 충분하게 좁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장착홀더(490)의 좌우 중심부(도 32의 점선 참조)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탄성변형부(495)는 좌측 손잡이(492) 보다 우측 손잡이(492)에 가깝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더(490)는 비대칭구조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우측 손잡이(492)를 좌측(도 32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상기 탄성변형부(495)의 폭이 좁아지고, 홀더바디(491)의 좌측부분은 우측 손잡이(492)를 지지해주는 부분이 된다.
이때, 상기 홀더바디(491)의 표면에는 홀더리브(491a)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리브(491a)는 상기 홀더바디(49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변형부(495)가 없는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더리브(491a)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상기 장착홀더(490)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내면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홀더(490)의 일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삽입되며, 상기 장착홀더(490)의 다른 일부인 체결홈(493a, 493b) 부분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체결홈(493a, 493b)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홀더(490)의 상부는 상기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동시에 끼워지고, 하부는 상기 하면테두리(43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3, 도 34 및 도 36에는 상기 장착홀더(490)의 홀더바디(491) 중 일부가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통과하여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홀더바디(491) 중 상부는 홀더장착홀(445)과 상기 홀더걸림홈(343)에 동시에 끼워지고, 손잡이(492) 부분은 상기 홀더장착홀(445)의 하부에 걸려 장착홀더(490)의 삽입정도가 제한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과 상기 상부패널(310)은 상기 바닥프레임(320)으로부터 멀어지는 전방으로 분리될 수 없고, 또한 좌우방향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과 상기 상부패널(310)은 위쪽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지만, 제1위치에서 상기 제1홀더브라켓(330)이 상기 바닥프레임(320)에 걸려 있으므로 위쪽으로도 분리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패널(310) 및 상기 제2홀더브라켓(340)의 조립체는 모든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장착홀(445)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턱(442)의 반대편에는 유동방지부(447)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동방지부(447)는 상기 지지턱(442)과 함께 상기 장착홀더(490)가 아래위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지지턱(442)의 지지홈(443)에는 장착홀더(49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돌기(미도시)가 삽입되므로, 상기 장착홀더(490)가 탄성변형되는 과정 및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홀더(49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프레임(320)의 바닥 중 상기 홀더장착부(440)의 선단측 부위에는 조작공(3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공(327)은 상부패널(310)이 각 홀더브라켓(330,340)에 의해 바닥프레임(320)에 임의조립(예컨대, 받침턱과 수용홈 간의 결합)된 상태에서 장착홀더(490)를 홀더장착부(440)에 장착할 경우 장착홀더(490)가 통과되는 구멍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캐비넷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100. 이너케이스 110. 도어
120. 조립홈 121,122. 구멍
200. 아웃케이스 210. 측부벽
220. 바닥부 230. 후면프레임
300. 상면조립체 301. 접착제
310. 상부패널 311. 필름
320. 바닥프레임 321. 강도 보강용리브
322. 제1둘레벽 322a. 받침턱
323. 제2둘레벽 323a. 걸림턱
324. 도구 삽입공 325. 제1이격벽
326. 제2이격벽 326a. 장착공
326b. 유동 방지턱 327. 조작공
330. 제1홀더브라켓 331. 수용홈
332. 부착홈 340. 제2홀더브라켓
341. 후크 342. 부착홈
343. 홀더걸림홈 350. 조립홀더
440. 홀더장착부 490. 장착홀더

Claims (19)

  1.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두 측부벽을 가지는 아웃케이스;
    상기 아웃케이스의 두 측부벽 사이의 위치되는 상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조립체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과,
    바닥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둘레에 위치되는 둘레벽 및 상기 둘레벽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된 이격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홀더브라켓은 상기 둘레벽과 이격벽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유리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에는 어느 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에는 어느 한 색상의 필름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브라켓은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면 중 적어도 두 둘레측 부위에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브라켓은 상기 상부패널의 서로 대칭되는 두 둘레측 부위에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브라켓과 상부패널 간의 대향면은 접착제로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홀더브라켓 중 상부패널과의 대향면에는 접착제의 도포 또는, 부착을 위한 부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9.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두 측부벽을 가지는 아웃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조립체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과,
    상면조립체의 바닥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조립홀더가 제공되고, 상면의 서로 마주보는 두 둘레에는 둘레벽이 각각 형성된 바닥프레임과,
    상기 상부패널의 바닥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둘레측 부위에 각각 부착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홀더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어느 한 둘레벽 내면에는 받침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홀더브라켓 중 어느 한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받침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다른 한 둘레벽 내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두 홀더브라켓 중 다른 한 홀더브러켓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부로의 유동이 구속되는 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둘레벽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상부패널을 얹을 경우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부로의 유동이 구속되는 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린 후크의 구속 해제를 위해 손이나 도구가 삽입되도록 상기 홀더브라켓으로부터 후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도구 삽입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벽에는 장착홀더가 관통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홀더브라켓에는 상기 장착공을 관통한 장착홀더의 일부가 수용되어 구속되는 홀더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 중 상기 이격벽의 인접 부위에는 상기 장착홀더의 장착 혹은, 분리를 위한 조작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이격벽에는 상기 장착홀더의 일부가 조작공을 관통하여 설치될 경우 상기 장착홀더의 일부가 상하 유동됨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 또는,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강도 보강용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조립체를 이루는 바닥프레임의 둘레벽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조립체의 양 측면은 상기 아웃케이스를 이루는 두 측부벽의 상단 사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조립홀더가 삽입 장착되는 조립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면 바닥에는 상기 조립홈을 덮는 보호캡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장치.
KR1020210092814A 2021-07-15 2021-07-15 캐비넷 장치 Active KR10267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14A KR102670443B1 (ko) 2021-07-15 2021-07-15 캐비넷 장치
PCT/KR2022/008371 WO2023287027A1 (en) 2021-07-15 2022-06-14 Cabinet device
US18/578,954 US20240324776A1 (en) 2021-07-15 2022-06-14 Cabine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814A KR102670443B1 (ko) 2021-07-15 2021-07-15 캐비넷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58A KR20230012258A (ko) 2023-01-26
KR102670443B1 true KR102670443B1 (ko) 2024-05-28

Family

ID=8511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814A Active KR102670443B1 (ko) 2021-07-15 2021-07-15 캐비넷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4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938B1 (ko) * 2003-04-30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트롤패널을 구비한 김치냉장고
JP2018122024A (ja) 2017-02-03 2018-08-09 河淳株式会社 収納家具
US20200326119A1 (en) 2019-04-15 2020-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255088B1 (ko) * 2020-04-08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158B1 (ko) 2005-07-01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KR100750869B1 (ko) * 2006-01-04 2007-08-22 이명식 유리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1134B1 (ko) 2012-06-01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장식 패널, 투명합성수지 패널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20140102808A (ko) 2013-02-15 2014-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03852B1 (ko) * 2018-03-08 2023-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938B1 (ko) * 2003-04-30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트롤패널을 구비한 김치냉장고
JP2018122024A (ja) 2017-02-03 2018-08-09 河淳株式会社 収納家具
US20200326119A1 (en) 2019-04-15 2020-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255088B1 (ko) * 2020-04-08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258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5276A (en) Angle iron for supporting plates, panels or other objects and cabinet formed using angle irons of this type
CN109154320B (zh) 用于家具和家居用品的底部件的具有前部致动的隐藏式接合系统
KR19990072995A (ko) 사슬형도어및부착기구를갖는캐비넷
US12144440B2 (en) Modular merchandising display
KR20170035677A (ko)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JP5071116B2 (ja) 引出し構造および収納家具
KR102670443B1 (ko) 캐비넷 장치
KR100776372B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20200118707A (ko) 수납함
CN102309239A (zh) 家居日用多功能钩把组件
US4355585A (en) Shelf builders
JP3218382U (ja) 連結構造を有するラックフレーム
KR102619584B1 (ko) 캐비넷 장치
JP3127037U (ja) 家具用把手
JP7237098B2 (ja) 家具システム
JP4227937B2 (ja) 浴室用収納棚
KR200475790Y1 (ko) 우드프레임이 구비된 강화유리 선반
US20240324776A1 (en) Cabinet device
JP4594490B2 (ja) 商品陳列棚
JPH0947329A (ja) トレイの取付構造
JPH11127994A (ja) 補助棚付引出し
KR20110107893A (ko) 가구용 수납함
KR101781830B1 (ko) 싱크대용 전면가이드
KR20070004356A (ko) 냉장고의 박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