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9567B1 -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 Google Patents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567B1
KR102669567B1 KR1020230197496A KR20230197496A KR102669567B1 KR 102669567 B1 KR102669567 B1 KR 102669567B1 KR 1020230197496 A KR1020230197496 A KR 1020230197496A KR 20230197496 A KR20230197496 A KR 20230197496A KR 102669567 B1 KR102669567 B1 KR 10266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means
sli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7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천근
Original Assignee
주학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학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학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9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5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56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자동 점등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야간 시 자동으로 발광부가 점등되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에 있어서, 텍스트 및 그래픽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 및 어두운 환경 또는 야간 시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구비된 발광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is started. The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text and graphic informa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is automatically turned on at night;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means that senses a dark environment or a nighttime situation and lights up to easily identif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Description

자동 점등 표시장치{AUTOMATIC LIGHTING INDICATOR}Automatic lighting indicator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본 발명은 자동 점등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조건 시 자동으로 표시장치의 발광수단이 작동하여 표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평상시에는 발광수단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정보를 안내하되 야간 등 발광수단의 점등이 필요할 경우 자동으로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운용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인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To be more specific,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display device automatically operates at a specific time or under certain conditions to confirm display information,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is not turned on in normal times. An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that guides display information but automatically turns on the light emitting means when it is necessary, such as at night, thereby reducing manpower loss and energy waste by eliminating the need for managers to directly operate and manage the light emitting means. It's about.

일반적으로, 특정 정보를 사람들에게 인식시키는 수단으로는 해당 정보에 대한 각종 정보(위치, 도로명, 특정 지역으로 향하는 길 등)의 안내를 위한 정보 표시 장치(표지판, 안내판 등)가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information display devices (signs, information boards, etc.) are used as a means of making people aware of specific information to provide guidance o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location, road name, route to a specific area, etc.) about the information.

예를 들어, 건물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시설물의 내부에는 "비상구"나, 주차장인 경우에는 "나가는 곳" 및 "CCTV 설치안내" 등 사용자들인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가 설치됨은 물론, 음식점, 상점, 회사 기관 등에서는 여러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호 등이 쓰여진 간판 등이 설치되어 사용된다.For example, inside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display devices are installed so that users can recognize them, such as "emergency exits", "exit points" and "CCTV installation information" in the case of parking lots, as well as restaurants, stores, etc. In companies and organizations, signs with company names, etc. are installed and used to draw people's attention.

이러한 종래의 표시장치들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형광등이나 램프같은 발광 수단이 점등하여 빛을 발광하게 됨에 따라 표시장치를 식별하게 된다.In these conventional display devices, when power is supplied, a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a fluorescent lamp or lamp turns on to emit light, thereby identifying the display device.

즉, 통상의 발광수단이 구비된 표시장치는 주간에는 발광수단이 점등되지 않고 야간에만 발광수단이 점등되어 표시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발광수단은 관리자가 직접 수동으로 전원을 ON/OFF 하는 방법으로 관리하는게 일반적이다.In other words, in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normal light emitting means, the light emitting means does not turn on during the day, but turns on only at night so that the display information can be identified. These light emitting means are manually turned on/off by the administrator. It is common to manage it by turning it OFF.

하지만, 이와 같이 관리자가 수동적으로 발광수단을 점등시키다 보니 관리자의 실수에 의해 불필요하게 주간에도 발광수단이 점등되거나 야간에도 발광수단이 점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the manager manually turns on the light emitting mea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is unnecessarily turned on during the day or does not turn on at night due to the manager's mistake.

이로 인해, 상시 관리자가 배치되어야 함으로써 인력 손실이 발생하고, 에너지 손실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a permanent manager must be assigned, resulting in loss of manpower and economic loss due to energy loss.

따라서, 관리자의 수동적 관리를 하지 않고도 특정 시간 및 특정 조건, 예를 들어, 야간시 자동으로 발광수단이 점등될 수 있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turn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at a specific time and under certain conditions, for example, at night, without manual management by an administrato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4714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087471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조건 시 자동으로 표시장치의 발광수단이 작동하여 표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평상시에는 발광수단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정보를 안내하되 야간 등 발광수단의 점등이 필요할 경우 자동으로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운용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인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display information to be confirmed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display device at a specific time or under certain conditions,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is turned on in normal times. It guides the display information without turning on the light, but automatically turns on the light emitting means when it is necessary, such as at night. This reduces manpower loss and energy waste by eliminating the need for managers to directly operate and manage the light emitting means. It provides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야간 시 자동으로 발광부가 점등되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에 있어서, 텍스트 및 그래픽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 및 어두운 환경 또는 야간 시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구비된 발광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is automatically turned on at night, comprising: a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text and graphic information;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means that senses a dark environment or a nighttime situation and lights up to easily identif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정보표시부는, 형틀을 이루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ncludes a frame forming a frame; and an information display panel disposed within the frame and display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정보표시부 내부에 설치되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 상기 발광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상기 발광수단이 기설정된 환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o emit ligh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to automatically light up in response to a preset environment.

또한,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정보표시부의 주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llumin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surrounding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또한, 상기 발광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timer module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to turn on at a preset time.

또한, 상기 타이머모듈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조도센서와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원판에 상기 조도센서로 빛이 수광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된 타임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r module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and a time disk installed adjacent to the illuminance sensor,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unit, and having a slit formed on the disk to allow light to be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인버터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iving unit may be either an inverter motor or a stepping motor.

또한, 상기 타임디스크는,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수광된 광량에 따라 기설정된 야간 시간에만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주간 시간에는 상기 타임디스크의 슬릿 범위내에서 회전하고, 기설정된 야간 시간에는 상기 타임디스크가 폐쇄된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disk rotates within the slit range of the time disk during preset daytime hours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can be turned on only at preset night tim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and during preset nighttime hours. In time, the time disk may be configured to rotate within a closed range.

또한, 상기 슬릿은, 사용자가 슬릿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타임디스크의 폐쇄면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릿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lit may further include a slit adjuster so that the user can variably adjust the length of the slit to adjust the range of the closed surface of the time disk.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타임디스크의 폐쇄면에서 슬릿으로 넘어가는 경계부분은 점차적으로 수광되는 광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반투명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lucent member that gradually increases transparency at a boundary portion extending from the closed surface of the time disk to the slit to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또한, 상기 반투명부재는, 점차적으로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투명소재의 판재에 빗금의 조밀도가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lucent member may be formed with a gradually lower density of hatches on a transparent material plate so that transparency gradually increases.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타임디스크의 폐쇄면에서 슬릿으로 넘어가는 경계부분은 점차적으로 수광되는 광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slit may be formed so that the open area of the boundary portion passing from the closed surface of the time disk to the slit gradually increases in order to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또한, 상기 슬릿은, 점차적으로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점차적으로 홀의 크기가 커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광홀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lit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ight-receiving holes whose sizes are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open area is gradually increased.

또한, 상기 수광홀은, 복수 개가 원형으로 타공된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ght receiving holes may have a plurality of circular perforations.

또한, 상기 수광홀은, 복수 개가 띠 형상으로 타공된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a plurality of the light receiving holes may be perforated in a strip shape.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조건 시 자동으로 표시장치의 발광수단이 작동하여 표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평상시에는 발광수단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정보를 안내하되 야간 등 발광수단의 점등이 필요할 경우 자동으로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운용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인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splay information to be checked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display device at a specific time or under certain conditions. In normal times, the display information is guided without the light emitting means being turned on, but at night, etc. By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means when it is necessary, the manager does not have to directly operate and manage the light emitting means, thereby reducing manpower loss and reducing energy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타이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슬릿조절부가 구비된 타임디스크 도면이다.
도 6은 반투명부재가 구비된 타임디스크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수광홀이 형성된 타임디스크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mer module.
Figure 5 is a diagram of a time disk equipped with a slit adjuster.
Figure 6 is a diagram of a time disk equipped with a translucent member.
Figures 7 and 8 are diagrams of a time disk with a light receiving hole formed there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본 발명의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조건 시 자동으로 표시장치의 발광수단이 작동하여 표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평상시에는 발광수단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정보를 안내하되 야간 등 발광수단의 점등이 필요할 경우 자동으로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운용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인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splay information to be checked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display device at a specific time or under certain conditions. In normal times, the display information is guided without the light emitting means being turned on, but the display information is illuminated at night, etc. This relates to an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that can reduce manpower loss and energy waste by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means when lighting is necessary,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managers to directly operate and manage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의 사시도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크게 정보표시부(100) 및 발광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n automatically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n information display unit 100 and an emission control unit 200.

먼저, 정보표시부(100)는 실질적으로 정보 및 안내 문구와 같은 텍스트 또는 그래픽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으로, 표시장치의 외형 형틀을 이루는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 내부에 배치되고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00 is a part where text or graphic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nd guidance text is displayed, and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110 and the frame 110, which forms the external form of the display device,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이러한 상기 프레임(110)은 설정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 소재의 각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ame 110 is preferably made of a square pipe made of metal in order to maintain the set strength.

상기 프레임(110)은 사각형 형태의 형틀을 이루기 위해 일자형 각관이 용접되어 사각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The frame 110 may be formed by welding straight square pipes to form a square frame.

한편, 상기 프레임(110) 내부공간에는 상기 정보표시패널(120)이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may be arranged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10.

이때, 상기 정보표시패널(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전면과 후면에 상호간 이격되어 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110 with space provid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프레임(110) 내부공간에는 후술하는 발광제어부(200)가 내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buil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10.

이러한, 상기 정보표시패널(120)은 통상의 안내판 또는 간판과 같이 플라스틱 소재의 패널에 정보가 인쇄되거나 시트지가 부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may be made of a plastic panel with information printed on it or a sheet attached, like a typical information board or signboard.

또한, 상기 프레임 일측, 예컨대 상측 부분에는 설치장소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rame, for example, the upper part,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11 for mounting at an installation location.

다음으로, 발광제어부(200)는 어두운 환경 또는 야간 시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표시부(100)에 표시된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발광수단(210)이 구비된 부분이다.Next,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00 is a part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means 210 that detects a dark environment or at night and lights up to easily identif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00.

상기 발광제어부(200)는 상기 정보표시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210), 상기 발광수단(21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20) 및 상기 발광수단(210)이 기설정된 환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00 includes a light emitting means 210 for emitting light installed insid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00, a power supply unit 2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and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 may include a control unit 230 that controls the light to be automatically turned on in response to a preset environment.

상기 발광수단(210)은 빛을 발광하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LED장치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ans 210 is a means for emitting light, and may be, for example, an LED device.

즉, PCB상에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설치된 LED 바 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110) 중 상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LED가 점등되면 빛이 하향되어 상기 정보표시패널(120) 전체를 비출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t is in the form of an LED bar with a plurality of LED elements installed on a PCB,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10 so that when the LED is turned on, the light is directed downward to illuminate the entire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It can be done.

상기 전원공급부(220)는 상기 발광수단(210)을 점등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통상의 AC어댑터 또는 DC어댑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20 is a part that supplies power to light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and may be made of a regular AC adapter or DC adapter.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220)는 기본적으로는 AC어댑터 또는 DC어댑터로 이루어지되, 전원공급이 중단될 경우 예비 전력원으로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20 is basically composed of an AC adapter or a DC adapter, but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as a spare power source in case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즉, 평상시에는 AC어댑터 또는 DC어댑터를 통해 발광수단(210)을 점등시키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하고, 전원공급이 중단된 정전 상황 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수단(210)이 점등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normal times,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can be turned on through an AC adapter or DC adapter while simultaneously charging the battery, and in a power outage situation where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can be turned 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발광수단(210)을 특정 상황 및 조건에서 발광될 수 있도록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부분이다.The control unit 230 is a part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so that it can emit light in specific situations and conditions.

이러한 제어부(230)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110) 내부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control unit 230 can b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제어부(230)는 도 9에서와 같이 프레임(110)의 외부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제어부(230)가 프레임(110)의 외부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유지보수 관리자가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시켜 향후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230 may be placed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 9.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unit 230 is placed in the external space of the frame 110, it is difficult for the maintenance manager to access it. It can also be placed in an easy location to facilitate future maintenance work.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발광수단(210)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설정 데이터베이스(DB)가 저장되는 메모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may include software and hardware components that control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and may include a memory device in which a preset settings database (DB) is stored.

한편, 상기 발광제어부(200)는 상기 정보표시부(100)의 주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240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surrounding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00.

상기 조도센서(240)는 상기 프레임(110) 또는 상기 정보표시패널(120) 중 어느 한 곳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주변 광량을 수광하여 주변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The illuminance sensor 24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either the frame 110 or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and is a sensor for detecting ambient brightness by receiving ambient light.

즉, 상기 조도센서(240)를 통해 감지된 센싱값은 상기 제어부(23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230)에서 취득된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발광수단(210)을 점등시킬지 또는 어느정도의 밝기로 발광수단(210)을 점등시킬지 판단한 후 발광수단(210)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sensing value sens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2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30, and based on the sensing value acquired by the control unit 230,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or to what brightness level.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light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can be controlled.

이처럼, 본 발명의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주간에는 발광수단(210)이 점등되지 않고 정보표시패널(120)에 표시된 정보를 식별하도록 하되, 야간 등 어두운 환경에서는 상기 조도센서(240)를 통해 수광된 광량값을 기반으로 발광수단(210)이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without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during the day, but in a dark environment such as at night, the light receiv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240 is used to identif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120.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is controlled to automatically turn on based on the light quantity value.

이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발광수단(210)의 전원을 ON/OFF 하지 않더라도 정해진 설정 상황에 자동으로 발광수단(210)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인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is,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directly turn on/off the power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automatically emits light in a predetermined setting situation,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energy waste and manpower los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점등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타이머모듈의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mer module.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조도센서(240)를 통해 수광된 주변 광량을 토대로 발광수단(210)이 점등되도록 제어되지만, 특정한 상황, 예컨대, 순간적으로 주변에서 발생하는 빛이 수광됨으로써 조도센서(240)로 수광되는 빛이 기설정범위 이상일 경우 야간 상황임에도 발광수단(210)이 점등되지 않는 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as another embodiment, the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turns on based on the amount of ambient light receiv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240, but a specific In a situation, for example, when the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is above a preset range by momentarily receiving light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does not turn on even at night.

이를 위해, 상기 발광제어부(200)는 기본적으로는 조도센서(240)로 수광되는 빛의 광량을 토대로 발광수단(210)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되, 시간설정에 따라 야간시간, 즉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발광수단(210)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00 basically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to turn on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but at night time according to the time setting, that is, at a preset time. It may include a timer module 250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to turn on.

상기 타이머모듈(25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50a) 및 상기 조도센서(240)와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250a)의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원판에 상기 조도센서(240)로 빛이 수광될 수 있도록 슬릿(251)이 형성된 타임디스크(25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mer module 25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driving unit 250a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and the illuminance sensor 240,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unit 250a, and transmits light to the disk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240. It may include a time disk 250b in which a slit 251 is formed so that the light can be received.

즉, 상기 타이머모듈(250)은 시간의 흐름에 맞춰 상기 구동부(250a)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타임디스크(250b)가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timer module 250 rotates the time disk 250b throug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unit 250a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이때, 상기 구동부(250a)는 저속 회전 및 특정 회전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인버터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50a may be either an inverter motor or a stepping motor capable of rotating at low speed and at a specific rotation 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타이머모듈(250)은 하루 24시간에 맞춰 초저속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타임디스크(250b)의 1회전 사이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imer module 250 can be set to rotate at ultra-low speed 24 hours a day, allowing one rotation cycle of the time disk 250b.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초저속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감속기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reducer configuration may be added to enable ultra-low speed rotation.

또한, 스텝핑 모터를 통해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한번씩 해당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t may be rotated by the corresponding angle once at a preset time interval through a stepping motor.

이러한, 상기 타임디스크(250b)는 상기 조도센서(240)를 통해 수광된 광량에 따라 기설정된 야간 시간에만 상기 발광수단(210)이 점등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주간 시간에는 상기 타임디스크(250b)의 슬릿(251) 범위내에서 회전하고, 기설정된 야간 시간에는 상기 타임디스크(250b)가 슬릿(251)을 제외한 범위인 폐쇄된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time disk 250b is configur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can be turned on only at a preset night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240, and at a preset daytime time. The time disk 250b may rotate within a range of the slit 251, and at a preset night time, the time disk 250b may rotate within a closed range excluding the slit 251.

즉, 상기 타임디스크(250b)에 형성된 슬릿(251)은 주간시간(예: 오전6시~오후6시)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형성되고, 야간시간(예: 오후6시~오전6시)에 해당하는 영역은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slit 251 formed in the time disk 250b is formed only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daytime hours (e.g., 6 a.m. to 6 p.m.), and is formed only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night time (e.g., 6 p.m. to 6 a.m.).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in a closed form.

즉, 상기 타이머모듈(250)은 하루 24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타임디스크(250b)가 1회전할 경우, 주간시간에는 슬릿(251)이 형성된 영역 범위 내에서 회전하고, 야간시간에는 슬릿(251)이 형성되지 않은 폐쇄된 영역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time disk 250b rotates once based on 24 hours a day, the timer module 250 rotates within the area where the slit 251 is formed during the daytime, and the slit 251 during the nighttime. This can be made to rotate within the bounds of an unformed closed area.

즉, 상기 타이머모듈(250)을 통해 단순히 조도센서(240)의 수광되는 광량 정보만으로 발광수단(210)이 점등되도록 하지 않고, 설정된 시간동안 타임디스크(250b)의 슬릿(251)을 통해 물리적으로 조도센서(240)로 수광되는 빛을 차단함으로써 야간 시 주변으로부터 유입되는 불필요한 광량에 의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is not turned on simply with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through the timer module 250, but is physically turned on through the slit 251 of the time disk 250b for a set time. By blocking the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unnecessary amount of light coming from the surroundings at night.

도 5는 슬릿조절부가 구비된 타임디스크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of a time disk equipped with a slit adjuster.

상기 슬릿(251)은 사용자가 슬릿(251)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타임디스크(250b)의 폐쇄면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릿조절부(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lit 251 may further include a slit adjuster 252 so that the user can variably adjust the length of the slit 251 to adjust the closed surface range of the time disk 250b.

즉, 상기 슬릿조절부(252)는 슬릿(251)의 영역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계절에 따라 밤의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경우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슬릿(2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lit adjusting unit 252 is a part that allows the area of the slit 251 to be reduced or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night is long or short depending on the season,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lit 251. It was done so that it could be done.

즉, 상기 슬릿조절부(252)는 상기 슬릿(251)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이동하여 슬릿(251)의 영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낮의 길이가 길고 밤의 길이가 짧은 계절일 경우 슬릿(251)의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조절하고, 반대로 낮의 길이가 짧고 밤의 길이가 긴 계절일 경우 슬릿(251)의 영역을 축소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slit control unit 252 is installed in the slit 251 and can variably adjust the area of the slit 251 by sliding. In the season when the day is long and the night is short, the slit ( 251) can be adjusted to expand the area, and conversely, if it is a season where the day length is short and the night length is long, the area of the slit 251 can be adjusted to shrink.

도 6은 반투명부재가 구비된 타임디스크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of a time disk equipped with a translucent member.

상기 슬릿(251)은 상기 타임디스크(250b)의 폐쇄면에서 슬릿(251)으로 넘어가는 경계부분은 점차적으로 수광되는 광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반투명부재(2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slit 251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lucent member 253 at the boundary portion that passes from the closed surface of the time disk 250b to the slit 251 to gradually increase transparency in order to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It can be.

이러한 상기 반투명부재(253)는 점차적으로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투명소재의 판재에 빗금의 조밀도가 점차적으로 낮게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lucent member 253 may be formed with a gradually lower density of hatches on a transparent material plate so that transparency gradually increases.

즉, 상기 반투면부재(253)는 빗금의 조밀도가 높으면 빛이 투과하는 투과율이 낮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투명도가 낮게 되어 조도센서(240)로 수광되는 빛이 적음으로써 기설정된 야간시간에서 주간시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발광수단(210)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면서 소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density of the hatching of the semi-transparent surface member 253 is high, the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passes through is lowered, and as a result, the transparency is lowered and less light is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thereby changing the time from the preset night time to the day time. At the passing point,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may be gradually lowered and turned off.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슬릿(251)은 상기 타임디스크(250b)의 슬릿(251)에서 폐쇄면으로 넘어가는 경계부분은 점차적으로 수광되는 광량을 작게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투명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반투명부재(2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contrary, the slit 251 is a translucent member ( 253) may be further provided.

즉, 상기 반투면부재(253)는 빗금의 조밀도가 낮으면 빛이 투과하는 투과율이 높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투명도가 높게 되어 조도센서(240)로 수광되는 빛이 상대적으로 많음으로써 기설정된 주간시간에서 야간시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발광수단(210)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점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density of the hatching of the semi-transparent surface member 253 is low, the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passes through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transparency becomes high, and the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is relatively large, so that the light is received at a preset daytime time. When transitioning to night time,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may be gradually increased and turned on.

도 7 내지 도 8은 수광홀이 형성된 타임디스크 도면이다.Figures 7 and 8 are diagrams of a time disk with a light receiving hole formed there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슬릿(251)은 상기 타임디스크(250b)의 폐쇄면에서 슬릿(251)으로 넘어가는 경계부분은 점차적으로 수광되는 광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oundary portion of the slit 251 from the closed surface of the time disk 250b to the slit 251 can be formed to have an open area that gradually increases in order to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ere is.

이를 위해, 상기 슬릿(251)은 점차적으로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점차적으로 홀의 크기가 커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광홀(254)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lit 251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ight-receiving holes 254 whose sizes are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open area gradually increases.

이때, 상기 수광홀(254)은 복수 개가 원형으로 타공된 형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ght receiving holes 254 may have a plurality of circular perforations.

즉, 원형으로 타공된 복수 수광홀(254)의 홀 직경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서 조도센서(240)로 수광되는 빛이 적음으로써 기설정된 야간시간에서 주간시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발광수단(210)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면서 소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s the hol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circularly perforated light receiving holes 254 gradually increases, the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decreases, so that at the time when the preset night time changes from the preset night time to the day time,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The brightness of can be gradually lowered and the lights can be turned off.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슬릿(251)은 점차적으로 개방면적이 작아지도록 점차적으로 홀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광홀(254)이 형성될 수 있다.Also, on the contrary, the slit 251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holes 254 in which the size of the holes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the open area is gradually reduced.

즉, 원형으로 타공된 복수 수광홀(254)의 홀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면서 조도센서(240)로 수광되는 빛이 많아짐으로써 기설정된 주간시간에서 야간시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발광수단(210)의 밝기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면서 점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s the hole diameter of the plurality of circularly perforated light receiving holes 254 gradually decreases, the light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240 increases, so that at the time when the preset daytime time changes from the preset daytime time to the nighttime time, the light emitting means 210 It can be made to light up as its brightness gradually increases.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서, 수광홀(254')은 복수 개가 띠 형상으로 타공된 형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holes 254' may be perforated in a strip shape.

즉, 상기 수광홀(254')은 복수 개의 띠 형상의 홀이 타공되되, 점차적으로 홀 면적이 커지거나, 점차적으로 홀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light receiving hole 254' may b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strip-shaped holes so that the hole area gradually increases or the hole area gradually decreases.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자동 점등 표시장치는, 특정 시간 또는 특정 조건 시 자동으로 표시장치의 발광수단이 작동하여 표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평상시에는 발광수단이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정보를 안내하되 야간 등 발광수단의 점등이 필요할 경우 자동으로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직접 운용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인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means of the display device automatically operates at a specific time or under certain conditions to check the display information, so that the dis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ans is not turned on in normal times. However, by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means when it is necessary to turn on the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at night, manpower loss can be reduced and energy waste can be reduced by eliminating the need for managers to directly operate and manage the light emitting mean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0: 정보표시부 110: 프레임
111: 거치부 120: 정보표시패널
200: 발광제어부 210: 발광수단
220: 전원공급부 230: 제어부
240: 조도센서 250: 타이머모듈
250a: 구동부 250b: 타임디스크
251: 슬릿 252: 슬릿조절부
253: 반투명부재 253a: 빗금
254, 254': 수광홀
100: information display unit 110: frame
111: Holder 120: Information display panel
200: light emission control unit 210: light emission means
220: power supply unit 230: control unit
240: Illuminance sensor 250: Timer module
250a: driving unit 250b: time disk
251: slit 252: slit adjustment unit
253: Translucent member 253a: hatched
254, 254': Light receiving hole

Claims (15)

야간 시 자동으로 발광부가 점등되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에 있어서,
텍스트 및 그래픽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부와,
어두운 환경 또는 야간 시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정보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구비된 발광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표시부는,
형틀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정보가 표시된 정보표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표시패널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상호간 이격되어 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정보표시패널은, 플라스틱 소재의 패널에 정보가 인쇄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정보표시부 내부에 설치되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수단이 기설정된 환경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수단은, LED 소자가 설치된 LED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프레임 중 상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LED 소자가 점등되면 빛이 하향되어 상기 정보표시패널을 비추도록 하며,
상기 발광제어부는,
상기 정보표시부의 주변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와,
기설정된 시간에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타이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머모듈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조도센서와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원판에 상기 조도센서로 빛이 수광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된 타임디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인버터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타임디스크는,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수광된 광량에 따라 기설정된 야간 시간에만 상기 발광수단이 점등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주간 시간에는 상기 타임디스크의 슬릿 범위내에서 회전하고, 기설정된 야간 시간에는 상기 타임디스크가 폐쇄된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슬릿은,
사용자가 슬릿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타임디스크의 폐쇄면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릿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릿은,
상기 타임디스크의 폐쇄면에서 슬릿으로 넘어가는 경계부분은 점차적으로 수광되는 광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슬릿은,
점차적으로 개방면적이 커지도록 점차적으로 홀의 크기가 커지게 형성된 복수 개의 수광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광홀은,
복수 개가 원형으로 타공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점등 표시장치.
In an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is automatically turned on at night,
A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text and graphic information,
It includes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means that detects the situation in a dark environment or at night and lights up to easily identify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he frame that forms the form,
It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panel placed inside the frame and display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is arranged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frame with space provid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consists of information printed on a plastic panel,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A light emitt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to emit ligh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to automatically light up in response to a preset environment,
The light emitting means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LED bar with LED elements installe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frame so that when the LED element is turned on, the light is directed downward to illuminate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surrounding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t includes a timer module that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ans to turn on at a preset time,
The timer module is,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lluminance sensor,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unit, and includes a time disk with a slit formed on the disk to allow light to be received by the illuminance sensor,
The driving unit,
Either an inverter motor or a stepping motor,
The time disk is,
The time disk rotates within the slit range of the time disk during preset daytime hours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ans can be turned on only at preset night tim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time disk is closed during preset nighttime hours. It is made to rotate within the specified range,
The slit is,
It further includes a slit adjuster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range of the closed surface of the time disk by variab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lit,
The slit is,
The boundary portion from the closed surface of the time disk to the slit is made to gradually increase the open area to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e slit i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holes are formed in which the size of the holes gradually increases so that the open area gradually increases,
The light receiving hole is,
An automatic lighting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a plurality of circular perforat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97496A 2023-12-29 2023-12-29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Active KR1026695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7496A KR102669567B1 (en) 2023-12-29 2023-12-29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7496A KR102669567B1 (en) 2023-12-29 2023-12-29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9567B1 true KR102669567B1 (en) 2024-05-30

Family

ID=9127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7496A Active KR102669567B1 (en) 2023-12-29 2023-12-29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956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714B1 (en) 2006-12-08 2008-12-18 박정현 Identification display for improved safety
KR20090022438A (en)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동인피엠에스 Temporary fence and evacuation induction lamp with display device
KR101111070B1 (en) * 2010-05-03 2012-02-16 김도신 Lighting Signboard
KR102210534B1 (en) * 2020-10-19 2021-02-01 주식회사 포시 Low power advertising appparatus
KR102411280B1 (en) * 2021-02-15 2022-06-22 주식회사 현진시닝 Lighting apparatus for funeral ceremonies with advertisement mea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714B1 (en) 2006-12-08 2008-12-18 박정현 Identification display for improved safety
KR20090022438A (en)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동인피엠에스 Temporary fence and evacuation induction lamp with display device
KR101111070B1 (en) * 2010-05-03 2012-02-16 김도신 Lighting Signboard
KR102210534B1 (en) * 2020-10-19 2021-02-01 주식회사 포시 Low power advertising appparatus
KR102411280B1 (en) * 2021-02-15 2022-06-22 주식회사 현진시닝 Lighting apparatus for funeral ceremonies with advertisement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180B2 (en) Electronic illuminated house sign
KR101302606B1 (en) Traffic sign board having led display and illumination
US20020020090A1 (en) Changeable address display
KR100691742B1 (en) Tunnel entry war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1492578B1 (e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the road sign and the traffic safety sign
KR100719913B1 (en) Road traffic safety signs
KR102669567B1 (en) Automatic lighting indicator
KR102336634B1 (en) Glowing road sign
KR101285352B1 (en) Power saving road sign board using a minority of led and light guide plate
KR102196308B1 (en) School-zone light panel device and system
JP5996950B2 (en) Heterogeneous display function signboard device for evacuation guidance and display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30135577A (en) Prepares the printed oled illuminant of printing method the sign board
KR20100001250U (en) Messag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street lamp
KR100972039B1 (en) An outdoor billboard control system using solar that has linkage
JP2007050173A (en) Fire extinguisher box
KR101285351B1 (en) Power saving road sign board using a minority of led and light guide plate
KR20050037818A (en) Road sign plate apparatus having a back-light
KR200338581Y1 (en) Road sign plate apparatus having a LED back-lighting device
JP5603312B2 (en) Self-luminous sign for power failure
KR101150991B1 (en) Automatic advertizement panel with emergency lighting and exit guide function
KR101663485B1 (en) Street lamp having display
CN102017802B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lighting control system
JP2008202365A (en) Safety pilot lamp
KR20190045752A (en) Smart sign for preventing crime
KR102074206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building information us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