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264B1 - Conveyor system using cylinder - Google Patents
Conveyor system using cylin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9264B1 KR102669264B1 KR1020230161136A KR20230161136A KR102669264B1 KR 102669264 B1 KR102669264 B1 KR 102669264B1 KR 1020230161136 A KR1020230161136 A KR 1020230161136A KR 20230161136 A KR20230161136 A KR 20230161136A KR 102669264 B1 KR102669264 B1 KR 1026692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onveyor
- moving
- seating
- width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3 craw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5—Control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에 부재를 투입하고 반출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부재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라인을 형성하며, 인가된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무한궤도 이동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일측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급된 부재를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 상에 안착시키는 부재투입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 상의 부재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부재반출부 및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가 주행하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for moving the member inputted to the conveyor in one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unloading the member onto the conveyor. A crawler moving part that forms a moving line on the other side and travels in an endless orbit by the applied power, is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and seats the supplied member on the crawler moving part. It includes a member input unit, a member discharg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crawler moving unit and carrying out the member on the crawler moving unit to the outside, and a conveyor driving unit that applies power to cause the crawler moving unit to travel; , the conveyor driving unit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pneumatic cylin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 부재를 투입하고 반출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부재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More specifically, it is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for moving a member inputted to a conveyor in one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unloading a member onto a conveyor.
일반적으로 부재의 제조라인에는 정밀하고 안정적인 생산방식을 위해 대부분이 자동화 공정라인을 이용하여 생산하고 있고, 이러한 자동화 생산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부재 공급을 위한 컨베이어가 통상적으로 적용되게 된다.In general, most production lines for materials are produced using automated process lines for precise and stable production methods, and for such automated production, conveyors for supplying materials are generally applied.
또한,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소재 이동을 위해서는 다수의 부재를 컨베이어 상에 적재한 후에 모터의 회전을 on/off 제어하여 적재된 부재를 소정위치로 이동시켜 이를 파지하고서 다른 공정으로 옮기도록 이용하고, 이러한 소재의 정밀 간격 이동용 구동 및 이송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ove materials in an automated production line, a number of members are loaded on a conveyor and then the rotation of the motor is controlled on/off to move the loaded member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grasp them, and then move them to another process. Various types of technologies related to driving and transport devices for moving materials at precise intervals are being developed.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에 부재를 투입하고 반출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부재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for moving a member placed on a conveyor in one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putting a member on and off a convey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에 부재를 투입하고 반출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부재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라인을 형성하며, 인가된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무한궤도 이동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일측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급된 부재를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 상에 안착시키는 부재투입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 상의 부재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부재반출부 및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가 주행하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for moving the member inputted to the conveyor in one direction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unloading the member onto the conveyor. A crawler moving part that forms a moving line on the other side and travels in an endless orbit by the applied power, is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and seats the supplied member on the crawler moving part. It includes a member input unit, a member discharg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crawler moving unit and carrying out the member on the crawler moving unit to the outside, and a conveyor driving unit that applies power to cause the crawler moving unit to travel; , the conveyor driving unit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pneumatic cylin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인가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레일구동축,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레일회전축,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과 상기 컨베이어 레일회전축을 에워싼 채,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주행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 상에 형성되되, 이격되어 배치된 채, 부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안착편을 구비하는 부재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rawler moving part of the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or rail drive shaft formed on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crawler moving part and rotated by applied power, and the crawler moving part A conveyor rail rotation axis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d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a belt unit surrounding the conveyor rail drive axis and the conveyor rail rotation axis, and runn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on the belt unit. It may be provided with a member seat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ating pieces that are formed and spaced apart and provide a space for the member to be se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은, 일측단에 형성되되,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 및 상기 컨베이어 레일회전축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폭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에 장착되되,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부 및 상기 축 구동부와 연동되되, 상기 축 구동부와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을 매개하며, 상기 축 구동부와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의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연동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of the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one end and has a gear portion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the conveyor rail The rotation shaft i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and the conveyor driving part is mounted on the crawling moving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conveyor rail driving shaft and rotates the conveyor rail driving shaft. and an interlocking drive uni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shaft drive unit, mediates the shaft drive unit an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determines whether the shaft drive unit an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re interlo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기 축 구동부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제1 실린더부, 상기 제1 실린더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변화되는 제1 길이변화부 및 상기 제1 길이변화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길이변화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고,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동 구동부는,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링크축 및 상기 링크축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링크축의 중심과 편향되게 연장되며, 상기 이동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며, 공압으로 구동되는 제2 실린더부, 상기 제2 실린더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변화되는 제2 길이변화부 및 상기 제2 길이변화부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2 길이변화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기어부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길이변화부의 길이가 제1 길이인 경우, 상기 기어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인 경우, 상기 기어부와 체결 해제될 수 있다.The shaft driving unit of the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ylinder unit driven by pneumatics, a first length chang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unit and changing its length, and the first length change unit. 1. It has a moving rotation ax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length change part, wherein the first length change part changes its length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oving rotation axis is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interlocking drive unit includes a link shaft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a link extending from the link shaft, extending deviated from the center of the link shaft, and having an extension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rotation shaft. unit, a second cylinder unit connected to the link unit and driven by pneumatic pressure, a second length chang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cylinder unit to change length, and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length change unit, wherein the second It has a locking part that is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gear par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length change part, and the locking part is fastened to the gear part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length change part is a first length, and the first length is If the second length is shorter, it may be disengaged from the gea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기 링크축은,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에 종속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체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링크축과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로부터 체결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은 회전되지 않은 채, 상기 링크축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nk shaft of the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ordinate to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when the engag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gear portion, and when the engaging portion is disengaged from the gear portion, the link shaft is subordinate to the conveyor rail driving shaft. The position can be moved independently from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the extension portion causes the link shaft an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to rotate when the locking portion is rotated relative to the moving rotation axis while the lock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gear portion. When the unit is rotated relative to the moving rotation axis in a state in which it is disengaged from the gear unit, the link shaft may be rotated without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being rot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상기 부재투입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투입본체부, 상기 투입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폭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하는 제1 폭방향이동레일, 상기 제1 폭방향이동레일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폭방향이동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며,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폭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하는 제2 폭방향이동레일을 구비하는 투입승강부, 상기 제2 폭방향이동레일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폭방향이동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 폭방향이동부,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투입회동부 및 상기 투입회동부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부재를 그립하는 부재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재그립부는, 이격거리가 변화되는 제1 그립편 및 제2 그립편으로 구성되어, 부재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고, 상기 부재반출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반출본체부, 상기 반출본체부에 연결되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승강되는 반출승강부, 상기 반출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출승강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반출회동부 및 상기 반출회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 상으로 연장되는 반출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출안착부는, 상기 반출회동부에 연결되되, 상기 벨트부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상기 반출회동부로부터 상기 벨트부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안착다리부 및 상기 안착다리부의 끝단에 형성된 채, 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출안착부는, 상기 벨트부의 상면과 인접한 인접위치와, 상기 반출승강부 및 상기 반출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벨트부 상으로부터 탈출하는 탈출위치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e member input unit of the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ain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input main unit, wherein the width of the crawler moving unit is A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rail forming a rail along the direction, a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rail and positioned along the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rail, the first width direction an input/elevating uni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astern section, the second width-direction moving rail having a second width-direction moving rail that elevates and lowers based on the first width-direction moving part and forming a rai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A second width direction movable part connected to a width direction movable rail and positioned along the second width direction movable rail,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width direction movable part, and based on the second width direction movable part. It is provided with a putting and rotating part that rotates and a member grip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tting and rotating part and grips the member, and the member grip part is composed of a first grip piece and a second grip piece whose separation distance is changed. , gripping or releasing the grip of a member, and the member carrying out part includes a carrying out main body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a carrying out lifting part connected to the carrying out main body and raised and lower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the carrying out. I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and has a carrying out rotating part that rotates based on the carrying out lifting part, and a carrying out seating part connected to the carrying out rotating part and extending onto the belt part, wherein the carrying out seating part is connected to the carrying out rotating part. However, a seating le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arrying out and rotating portion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portion and a seat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er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seating leg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 seating contact part, and the carrying out and seating part can reciprocate between an adjacent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part and an escape position that is moved by the carrying out lifting and lowering part and the carrying out rotating part to escape from the belt part.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기 반출안착부와 이웃한 안착편 상의 부재 유무를 센싱하는 부재센싱부 및 상기 부재센싱부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부재반출부, 상기 부재투입부 및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편은, 인접위치의 상기 반출안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출안착부가 인접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싱부에 의한 상기 제1 안착편으로의 부재 안착이 센싱 되기까지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1 모드, 상기 제1 모드 후, 상기 반출안착부가 상기 인접위치에서 상기 탈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반출승강부 및 상기 반출회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제1 모드 후, 부재공급부 상의 부재를 상기 부재투입부와 이웃한 제3 안착부 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부재투입부를 제어하는 제3 모드가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3 모드는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ber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ember on a seating piece adjacent to the carrying out seating unit, and the member carrying unit, the member carrying out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of the member sensing unit.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ember input unit and the conveyor driving unit, wherein the first seating piec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and seating unit at an adjacent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elivery and seating unit at an adjacent position. In this state, a first mode in which the conveyor driving unit is driven until the seating of the member on the first seating piece by the first sensing unit is sensed, and after the first mode, the carrying out seating unit escapes from the adjacent position. After the second mode and the first mode in which the carrying out lifting part and the carrying out rotating part are driven to move to the position, the member insertion part is moved to move the member on the member supply part onto the third seating part adjacent to the member input part. The third controlling mode is implemented sequentially, and the second mode and the third mode can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컨베이어 구동장치가 모터류로 구동되어 기계적인 위치 지정이 정밀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압실린더로 피치 동작을 구동시켜 보다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existing conveyor driving devices are driven by motors and thus cannot provide precise mechanical positioning, the pitch movement can be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to enable more precise position contro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재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재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mber input portion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mber carrying unit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conveyor driving unit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or delete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ereby creating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1, 이하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에 부재(P)를 투입하고 반출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에 투입된 부재(P)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1)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nveyor system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unloading a member (P) onto the conveyor, It is a conveyor system (1)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to move the member (P)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은, 무한궤도 이동부(10), 부재투입부(20), 부재반출부(30) 및 컨베이어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rawler moving unit 10, a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는, 상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라인을 형성하며, 인가된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주행할 수 있다.The crawler moving unit 10 forms a moving line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can travel in an endless orbit by the applied power.
상기 부재투입부(20)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길이방향 일측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급된 부재(P)를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The
상기 부재반출부(30)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길이방향 타측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 상의 부재(P)를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The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40)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가 주행하도록 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40)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는,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 컨베이어 레일회전축(13), 벨트부(15) 및 부재안착부(17)를 구비할 수 있다.The crawler moving unit 10 may include a conveyor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인가된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conveyor
상기 컨베이어 레일회전축(13)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conveyor rail rotation axis 13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unit 10 and can be rotated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상기 벨트부(15)는,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과 상기 컨베이어 레일회전축(13)을 에워싼 채,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의 회전에 따라 주행할 수 있다.The
상기 부재안착부(17)는, 상기 벨트부(15) 상에 형성되되, 이격되어 배치된 채, 부재(P)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안착편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은, 일측단에 형성되되,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기어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veyor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 및 상기 컨베이어 레일회전축(13)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폭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conveyor
본 발명의 도면에는, 무한궤도 이동부(10)가 두개로 나누어져 있고, 컨베이어 구동부(40) 또한, 각 무한궤도 이동부(1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무한궤도 이동부(10)에 하나의 컨베이어 구동부(40)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wler moving unit 10 is divided into two, and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재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s 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ember input portion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부재투입부(20)는, 투입본체부(21), 제1 폭방향이동레일(22), 제1 폭방향이동부(23), 투입승강부(24), 제2 폭방향이동부(25), 투입회동부(26) 및 부재그립부(27)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상기 투입본체부(21)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put
상기 제1 폭방향이동레일(22)은, 상기 투입본체부(21)에 연결되되,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width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23)는, 상기 제1 폭방향이동레일(22)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폭방향이동레일(22)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width direction
상기 투입승강부(24)는,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23)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23)를 기준으로 승강하며,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폭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하는 제2 폭방향이동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25)는, 상기 제2 폭방향이동레일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폭방향이동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width
상기 투입회동부(26)는,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25)의 하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25)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insertion and
상기 부재그립부(27)는, 상기 투입회동부(26)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부재(P)를 그립할 수 있다.The
상기 부재그립부(27)는, 이격거리가 변화되는 제1 그립편(271) 및 제2 그립편(272)으로 구성되어, 부재(P)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할 수 있다.The
상기 부재그립부(27)에 의해 이동된 부재(P)는 상기 부재안착부(17)에 안착될 수 있다.The member P moved by the
또한, 상기 부재투입부(20)는 투입보조승강부(28) 및 투입보조안착부(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투입보조승강부(28)는, 상기 투입본체부(21)에 연결된 채, 상기 투입본체부(21)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The input
상기 투입보조안착부(29)는, 상기 투입보조승강부(28)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보조승강부(28)와 연동될 수 있다.The auxiliary
부재(P)는, 상기 부재그립부(27)에 의해 상기 부재안착부(17)로 바로 안착될 수 있으나, 보다 정확한 위치로의 안착을 위해, 상기 투입보조승강부(28)와 상기 투입보조안착부(29)가 구비될 수 있다.The member P can be directly seated on the
상기 부재그립부(27)에 그립된 부재(P)는, 하부측에 위치한 상기 투입보조안착부(29)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투입보조승강부(28)는 상승되어 위치될 수 있다.The member P gripped by the
또한, 상기 투입보조안착부(29)에 부재(P)가 안착되면, 상기 투입보조승강부(28)가 하강하여, 안착된 부재(P)가 상기 부재안착부(17)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ember P is seated on the inser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부재반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s 5 and 6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member carrying unit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부재반출부(30)는 반출본체부(31), 반출승강부(33), 반출회동부(35) 및 반출안착부(37)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상기 반출본체부(31)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arrying out
상기 반출승강부(33)는, 상기 반출본체부(31)에 연결되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The carrying out lifting
상기 반출회동부(35)는, 상기 반출승강부(33)에 연결되며, 상기 반출승강부(33)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carrying out and
상기 반출안착부(37)는, 상기 반출회동부(35)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15)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arrying out and seating
상기 반출안착부(37)는, 안착다리부(371) 및 안착접촉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rrying out and
상기 안착다리부(371)는, 상기 반출회동부(35)에 연결되되, 상기 벨트부(15)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상기 반출회동부(35)로부터 상기 벨트부(15)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상기 안착접촉부(373)는, 상기 안착다리부(371)의 끝단에 형성된 채, 부재(P)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반출안착부(37)는, 상기 벨트부(15)의 상면과 인접한 인접위치와, 상기 반출승강부(33) 및 상기 반출회동부(35)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벨트부(15) 상으로부터 탈출하는 탈출위치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e carrying out seating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veyor driving part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40)는, 도 7(a)부터 도 8(b)까지 순서로 순차적으로 반복 구현되며, 도 8(b)의 상태에서 제1 길이변화부(413)가 짧아지도록 위치 이동되어 도 7(a)의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의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40)는, 축 구동부(41) 및 연동 구동부(4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축 구동부(41)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10)에 장착되되,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과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상기 연동 구동부(43)는, 상기 축 구동부(41)와 연동되되, 상기 축 구동부(41)와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을 매개하며, 상기 축 구동부(41)와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의 연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interlocking
상기 축 구동부(41)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제1 실린더부(411), 상기 제1 실린더부(411)에 연결되어 길이가 변화되는 제1 길이변화부(413) 및 상기 제1 길이변화부(413)의 끝단에 연결되는 이동회전축(415)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길이변화부(413)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이동회전축(415)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연동 구동부(43)는, 링크부(431), 제2 실린더부(433), 제2 길이변화부(435) 및 걸림부(437)를 구비할 수 있다.The interlocking
상기 링크부(431)는,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링크축(431a) 및 상기 링크축(431a)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링크축(431a)의 중심과 편향되게 연장되며, 상기 이동회전축(415)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장부(431b)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실린더부(433)는, 상기 링크부(431)에 연결되며, 공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길이변화부(435)는, 상기 제2 실린더부(433)에 연결되어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걸림부(437)는, 상기 제2 길이변화부(435)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2 길이변화부(435)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기어부(111)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될 수 있다.The locking
상기 걸림부(437)는, 상기 제2 길이변화부(435)의 길이가 제1 길이인 경우, 상기 기어부(111)에 체결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인 경우, 상기 기어부(111)와 체결 해제될 수 있다.The locking
상기 링크축(431a)은 상기 걸림부(437)가 상기 기어부(111)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에 종속되고, 상기 걸림부(437)가 상기 기어부(111)에 체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상기 연장부(431b)는, 상기 걸림부(437)가 상기 기어부(11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회전축(415)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링크축(431a)과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부(437)가 상기 기어부(111)로부터 체결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회전축(415)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11)은 회전되지 않은 채, 상기 링크축(431a)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of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은 부재센싱부(50), 제어부(60) 및 알림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veyor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부재센싱부(50)는, 상기 반출안착부(37)와 이웃한 안착편 상의 부재(P) 유무를 센싱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부재센싱부(50)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부재반출부(30), 상기 부재투입부(20) 및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4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알림부(70)는, 소리 또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The
상기 복수의 안착편 중 제1 안착편(171)은, 인접위치의 상기 반출안착부(3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seating pieces, the
상기 제어부(60)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가 순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반출안착부(37)가 인접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부재센싱부(50)에 의한 부재(P) 유무가 센싱 되기까지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40)가 구동되는 모드이다.The firs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후, 상기 반출안착부(37)가 상기 인접위치에서 상기 탈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반출승강부(33) 및 상기 반출회동부(35)가 구동되도록 하는 모드이다.The second mode is a mode in which the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제1 모드 후, 부재(P)공급부 상의 부재(P)를 상기 부재투입부(20)와 이웃한 제3 안착부 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부재투입부(2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The third mode controls the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3 모드는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mode and the third mode may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상기 부재센싱부(50)는, 상기 부재안착부(17)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착편 중 제1 안착편(171)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센싱부(51) 및 상기 제1 안착편(171)과 이웃한 제2 안착편(172)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센싱부(52)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모드가 구현되는 중에, 상기 제1 센싱부(51)와 상기 제2 센싱부(52)에 의해 센싱된 값이 기 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4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value sensed by the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센싱부(51)와 상기 제2 센싱부(52)에 의해 센싱된 값이 기 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알림부(70)에 의해 소리 또는 빛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alue sensed by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it is stat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 P: 부재
10: 무한궤도 이동부 11: 컨베이어 레일구동축
13: 컨베이어 레일회전축 15: 벨트부
17: 부재안착부 20: 부재투입부
21: 투입본체부 22: 제1 폭방향이동레일
23: 제1 폭방향이동부 24: 투입승강부
25: 제2 폭방향이동부 26: 투입회동부
27: 부재그립부 28: 투입보조승강부
29: 투입보조안착부 30: 부재반출부
31: 반출본체부 33: 반출승강부
35: 반출회동부 37: 반출안착부
40: 컨베이어 구동부 41: 축 구동부
43: 연동 구동부 50: 부재센싱부
51: 제1 센싱부 52: 제2 센싱부
60: 제어부 70: 알림부1: Conveyor system driven by pneumatic cylinder P: Absent
10: Caterpillar moving part 11: Conveyor rail drive shaft
13: Conveyor rail rotation axis 15: Belt part
17: member seating portion 20: member insertion portion
21: Insertion main body 22: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rail
23: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part 24: insertion lifting part
25: second width direction moving part 26: insertion rotation part
27: member grip part 28: insertion auxiliary lifting part
29: Insertion auxiliary seating part 30: Member carrying out part
31: carry-out main body 33: carry-out lifting part
35: carry-out rotation part 37: carry-out seating part
40: conveyor driving part 41: shaft driving part
43: linked driving unit 50: member sensing unit
51: first sensing unit 52: second sensing unit
60: Control unit 70: Notification unit
Claims (7)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라인을 형성하며, 인가된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무한궤도 이동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일측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공급된 부재를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 상에 안착시키는 부재투입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타측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 상의 부재를 외부로 반출시키는 부재반출부; 및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가 주행하도록 동력을 인가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는, 공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구현되고,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인가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레일구동축,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레일회전축,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과 상기 컨베이어 레일회전축을 에워싼 채,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주행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 상에 형성되되, 이격되어 배치된 채, 부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의 안착편을 구비하는 부재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은, 일측단에 형성되되, 축방향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 및 상기 컨베이어 레일회전축은,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폭방향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에 장착되되,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축 구동부 및
상기 축 구동부와 연동되되, 상기 축 구동부와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을 매개하며, 상기 축 구동부와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의 연동 여부를 결정하는 연동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 구동부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제1 실린더부, 상기 제1 실린더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변화되는 제1 길이변화부 및 상기 제1 길이변화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이동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길이변화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고,
상기 이동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동 구동부는,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링크축 및 상기 링크축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링크축의 중심과 편향되게 연장되며, 상기 이동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며, 공압으로 구동되는 제2 실린더부,
상기 제2 실린더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변화되는 제2 길이변화부 및
상기 제2 길이변화부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제2 길이변화부의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기어부와 체결 또는 체결 해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길이변화부의 길이가 제1 길이인 경우, 상기 기어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인 경우, 상기 기어부와 체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
In the process of putting and unloading members on the conveyor,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to move the members put on the conveyor in one direction,
An endless orbit moving part that forms a moving line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travels in an endless orbit by the applied power;
a member insertion unit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unit and seating the supplied member on the crawler moving unit;
a member carry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crawler moving unit and carrying out the member on the crawler moving unit to the outside; and
It includes a conveyor driving unit that applies power so that the crawler moving unit travels,
The conveyor driving unit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a pneumatic cylinder,
The infinite orbit moving unit,
A conveyor rail drive shaf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awler mov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d by applied power,
A conveyor rail rotation axis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and rotated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A belt unit surrounding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the conveyor rail rotation axis and runn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A member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elt por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ieces that are spaced apart and provide a space for the member to be seate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is formed at one end and has a gear portion form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the conveyor rail rotation axis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The conveyor driving unit,
A shaft drive unit mounted on the crawler mov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to rotate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 interlocking drive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shaft drive unit, mediates the shaft drive unit an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determines whether the shaft drive unit an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re interlocked,
The shaft drive unit,
A first cylinder unit driven by pneumatic pressure, a first length chang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er unit to change length, and a moving rotation ax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length change unit,
The first length change portion changes its length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moving rotation axis is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interlocking driving unit,
A link portion including a link shaft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ink shaft and biased toward the center of the link shaft,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ing rotation shaft;
A second cylinder unit connected to the link unit and driven by pneumatic pressure,
A second length chang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cylinder part and changing its length,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length changing portion and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gear por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length of the second length changing portion,
The pneumatic cyli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gear portion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length change portion is a first length, and is disengaged from the gear portion when the second length is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Conveyor system driven by .
상기 링크축은,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에 종속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체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링크축과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기어부로부터 체결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컨베이어 레일구동축은 회전되지 않은 채, 상기 링크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ink shaft is dependent on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when the lock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gear portion, and can move its position independently from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when the locking portion is disengaged from the gear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causes the link shaft and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to rotate when the lock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gear portion and is rotated relative to the moving rotation axis. When the locking portion is disengaged from the gear portion,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rotated based on the moving rotation axis, the link shaft rotates without rotating the conveyor rail drive shaft.
상기 부재투입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투입본체부,
상기 투입본체부에 연결되되,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폭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하는 제1 폭방향이동레일,
상기 제1 폭방향이동레일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폭방향이동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를 기준으로 승강하며,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폭방향을 따라 레일을 형성하는 제2 폭방향이동레일을 구비하는 투입승강부,
상기 제2 폭방향이동레일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폭방향이동레일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 폭방향이동부,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투입회동부 및
상기 투입회동부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부재를 그립하는 부재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재그립부는,
이격거리가 변화되는 제1 그립편 및 제2 그립편으로 구성되어, 부재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고,
상기 부재반출부는,
상기 무한궤도 이동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반출본체부,
상기 반출본체부에 연결되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승강되는 반출승강부,
상기 반출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반출승강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반출회동부 및
상기 반출회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벨트부 상으로 연장되는 반출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출안착부는,
상기 반출회동부에 연결되되, 상기 벨트부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상기 반출회동부로부터 상기 벨트부의 상면으로 연장되는 안착다리부 및
상기 안착다리부의 끝단에 형성된 채, 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출안착부는,
상기 벨트부의 상면과 인접한 인접위치와, 상기 반출승강부 및 상기 반출회동부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벨트부 상으로부터 탈출하는 탈출위치를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member input part,
An input main bod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awler mov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rail connected to the input main body and forming a rai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A first width direction movement part connected to the first width direction movement rail and positioned along the first width direction movement rail,
An input device having a second width direction moving rail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part, being raised and lowered based on the first width direction moving part, and forming a rail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awler moving part. elevator section,
A second width direction movement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width direction movement rail and positioned along the second width direction movement rail,
An insertion and rotation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width direction movable part and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width direction movement part, and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and rotation portion and has a member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member,
The member grip part,
It consists of a first grip piece and a second grip piece whose separation distance changes, to grip or release the grip of the member,
The member carrying unit,
A carry-out main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awler mov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rry-out lifting unit connected to the carry-out main body and raised and lower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A carry-out rotation unit connected to the carry-out elevator part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carry-out lift part, and
It is connected to the carry-out rotation part and has a carry-out seating part extending onto the belt part,
The carry-out and seating part,
A seating leg part connected to the carrying out and rotating part and extending from the carrying out and rotating par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part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part, and
A seating contact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seating leg portion and having a seating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ember is formed,
The carry-out and seating part,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or system is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reciprocates between an adjacent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part and an escape position that is moved by the carrying out lifting part and the carrying out rotating part and escapes from the belt part.
상기 반출안착부와 이웃한 안착편 상의 부재 유무를 센싱하는 부재센싱부; 및
상기 부재센싱부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부재반출부, 상기 부재투입부 및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출안착부가 인접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부재센싱부에 의한 부재 유무가 센싱 되기까지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1 모드,
상기 제1 모드 후, 상기 반출안착부가 상기 인접위치에서 상기 탈출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반출승강부 및 상기 반출회동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제2 모드 및
상기 제1 모드 후, 부재공급부 상의 부재를 상기 부재투입부와 이웃한 제3 안착부 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부재투입부를 제어하는 제3 모드가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모드와 상기 제3 모드는 동시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6,
a member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ember on a seating piece adjacent to the delivery seating unit; and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ember discharging unit, the member input unit, and the conveyo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of the member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A first mode in which the conveyor driving unit is driven until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ember is sensed by the member sensing unit, with the carrying out and receiving unit located at an adjacent position,
After the first mode, a second mode in which the carrying out lifting part and the carrying out rotating part are driven so that the carrying out and receiving part is moved from the adjacent position to the escape position, and
After the first mode, a third mode is sequentially implemented for controlling the member input unit to move the member on the member supply unit onto a third seating unit adjacent to the member input unit,
A conveyor system driven by a pneumatic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de and the third mode are implemented simultaneous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61136A KR102669264B1 (en) | 2023-11-20 | 2023-11-20 | Conveyor system using cylin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61136A KR102669264B1 (en) | 2023-11-20 | 2023-11-20 | Conveyor system using cylin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9264B1 true KR102669264B1 (en) | 2024-05-28 |
Family
ID=9127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61136A Active KR102669264B1 (en) | 2023-11-20 | 2023-11-20 | Conveyor system using cylin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926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2114A (en) | 2019-01-24 | 2020-08-03 |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 The Pitch conveyor rotation driving device for precise spacing of automotive parts with high weight |
KR102347570B1 (en) * | 2021-08-03 | 2022-01-05 | 김성왕 | Parts automatic shooting supply system |
-
2023
- 2023-11-20 KR KR1020230161136A patent/KR1026692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2114A (en) | 2019-01-24 | 2020-08-03 |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 The Pitch conveyor rotation driving device for precise spacing of automotive parts with high weight |
KR102347570B1 (en) * | 2021-08-03 | 2022-01-05 | 김성왕 | Parts automatic shooting supply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32743B2 (en) | Accumulation and release conveyor | |
CN1055907A (en) | Conveyor system and carrying method thereof | |
CN108945133B (en) | Creeper tread assembly assembling device | |
US429830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loads | |
KR100715620B1 (en) | Road boundary stone cutting processing device | |
KR20120049690A (en) | Conveyer system | |
EP2262709B1 (en) | Material handling apparatus | |
JPS60204519A (en) | Workpiece feed level adjusting device | |
KR102669264B1 (en) | Conveyor system using cylinder | |
CN105712023A (en) | Wall and floor brick warehousing system convenient for realizing automatic storage and taking | |
CN105540233B (en) | A kind of cross-platform part flow arrangement of material | |
JP5150226B2 (en) | Corded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205708378U (en) | Facilitate implementation the Wall or floor tile warehousing system of automatization's access | |
KR20000059646A (en) | Pallet Inverting System | |
JP4951013B2 (en) | Large machine production transfer equipment | |
US4666030A (en) | Apparatus for arraying and conveying web-like material | |
US7201555B1 (en) | Pallet loader and separator | |
US7543827B2 (en) | Lifting device | |
KR102330954B1 (en) | Stacker Crane and Automatic Warehouse Load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140132874A (en) | Package delivery apparatus | |
JP4424099B2 (en) | Load support lifting device | |
JPH0646906Y2 (en) | Tire loading device | |
JP2903983B2 (en) | Conveyor equipment | |
JP2000271825A5 (en) | ||
JP4154672B2 (en) | Pallet plac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