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8712B1 - 포장용 완충 구조체 - Google Patents

포장용 완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712B1
KR102668712B1 KR1020220054274A KR20220054274A KR102668712B1 KR 102668712 B1 KR102668712 B1 KR 102668712B1 KR 1020220054274 A KR1020220054274 A KR 1020220054274A KR 20220054274 A KR20220054274 A KR 20220054274A KR 102668712 B1 KR102668712 B1 KR 10266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packaging
cardboard
folded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4624A (ko
Inventor
황기찬
Original Assignee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라이프패키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712B1/ko
Publication of KR20230154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624A/ko
Priority to KR1020240065148A priority patent/KR102781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7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는, 포장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이 상기 하면부에 비접촉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지지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완충 구조체{Cushioning structure for packaging}
본 발명은 포장용 완충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대상물의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켜 포장대상물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 또는 상품을 판매·유통하는 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재 또는 플라스틱재 상자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한다.
포장용 상자는 종이재 등의 판재를 미리 형성된 접음 라인을 따라 접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게 되며, 제조된 포장용 상자 내부에 제품 또는 상품을 위치시키고,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차폐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제조되게 되며, 그에 반해 포장되어야 할 제품 또는 상품은 매우 다양한 형상을 띠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포장용 상자 내부에 제품 또는 상품을 위치시키게 되면 빈 공간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빈 공간은 제품 또는 상품을 판매·유통하는 과정에서 제품 또는 상품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게 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제품 또는 상품의 파손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종래에는 에어팩 또는 에어셀 등과 같은 완충부재를 빈 공간에 채움으로써 제품 또는 상품의 파손 가능성을 저감시키고자 하였으나, 완충부재 만으로는 제품 또는 상품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포장용 상자 내부에 다양한 형상의 제품 또는 상품을 위치시키는 경우 유동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판매·유통하는 과정에서의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용 구조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나아가, 외부 포장용 상자로의 사용이 가능한 완충용 구조체에 대한 기술 개발도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대상물을 포장용 상자 내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포장대상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한 포장대상물의 파손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포장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는, 포장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이 상기 하면부에 비접촉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지지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지지완충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지지완충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하측단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하측단과 연결되되, 상기 상면부를 향하여 접혀지게 되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하측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포장대상물과 선접촉이 구현되도록 하여 상기 선접촉에 의한 상기 포장대상물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지지력향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우측면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상면부를 구성하는 제1 상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우측면부, 상기 제1 상면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상면부와 함께 상기 상면부가 구현되도록 하는 제2 상면부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판지에 의해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우측면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접힘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상면부를 구성하는 제1 상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우측면부, 상기 제1 상면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상면부와 함께 상기 상면부가 구현되도록 하는 제2 상면부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접힘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판지에 의해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고정돌출부는, 인접한 접음선의 단절을 유도하여 외측으로의 돌출이 담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및 상기 우측면부는, 제1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제1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완충부는, 제2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지지완충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및 상기 우측면부는, 제1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제1 판지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좌측면부의 경계 라인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의 경계 라인의 인접 영역이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제1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완충부는, 제2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제1 경사면의 외측 라인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외측 라인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지지완충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및 상기 우측면부는, 제1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제1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완충부는, 제2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접힘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지지완충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우측면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상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우측면부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며,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는, 상기 우측면부를 공유하여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와 동일한 구조체가 상기 상면부 상에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판지에 의해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에 의하면, 포장대상물을 포장용 상자 내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포장대상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의한 포장대상물의 파손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포장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포장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다른 판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의 모든 실시예는 포장대상물을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포장대상물을 공중부양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으며, 외부 포장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는 독립적일 수 있으나,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동시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100)는 판지(10)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하나는 포장대상물(P)의 하측 부분을 커버하고 다른 하나는 포장대상물(P)의 상측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100)는 상면부(110), 하면부(120), 좌측면부(130), 우측면부(140) 및 지지완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지(10)는 일반적으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골판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hylene : PP), 폴리카보네이트 (Poly carbonate : 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상면부(110)는 포장대상물(P)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H)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H)의 형상 및 개수 등은 상기 포장대상물의 종류, 크기 또는 형상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개구부(H)는 원통형 또는 구형의 포장대상물, 예를 들어, 캔, 병, 계란 등의 포장대상물을 위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하면부(120)는 상기 상면부(110)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면부(130) 및 상기 우측면부(140)는 상기 상면부(110)와 상기 하면부(120) 사이에 제공되는 내부공간(S)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완충부(150)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P)이 상기 하면부(120)의 내측면에 비접촉된 채 상기 내부공간(S)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완화 또는 완충되도록, 상기 내부공간(S)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완충부(150)는 대략 "V"자 형상으로 제1 경사면(152) 및 제2 경사면(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152)은 상기 내부공간(S)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면이며, 상기 제2 경사면(154)은 상기 내부공간(S)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른 일면 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152) 및 상기 제2 경사면(154)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P)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지지력향상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력향상부(156)는 상기 개구부(H)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P)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포장대상물(P)과의 선접촉에 의한 상기 포장대상물(P)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일종의 홀일 수 있다.
상기 지지력향상부(156)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포장대상물의 종류, 크기 또는 형상 등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포장용 완충 구조체(100)를 제작되는 원리 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100)는 도 2이 도시된 판지(10)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100)를 구성하는 상기 상면부(110), 상기 하면부(120), 상기 좌측면부(130), 상기 우측면부(140) 및 상기 지지완충부(150)는 상기 판지(10)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지(10)는 상기 제1 경사면(152), 상기 제2 경사면(154), 상기 상면부(110)를 구성하는 제1 상면부(112), 상기 좌측면부(130), 상기 하면부(120), 상기 우측면부(140), 상기 제1 상면부(112)와 중첩되어 상기 제1 상면부(112)와 함께 상기 상면부(110)가 구현되도록 하는 제2 상면부(114)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부(114)는 외측 라인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삽입부(1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15)는 상기 제2 상면부(110)가 상기 제1 상면부(110)에 중첩이 된 후, 상기 제1 상면부(110)와 상기 좌측면부(130)의 경계 부분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삽입홀(132)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삽입부(115)가 상기 삽입홀(132)에 삽입되면 상기 판지(10)를 이용한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100)의 제작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경사면(152)은 상기 삽입부(115)가 상기 삽입홀(13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라인으로부터 함입되어 제공되는 간섭방지부(158)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다른 판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판지(10')는 도 2에 도시된 판지(10)와 비교할 때 고정부(160') 및 고정돌출부(170')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고정부(160') 및 상기 고정돌출부(170') 이외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면부(120')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고정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지(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판지(10')는 상기 제1 경사면(152')과 상기 제2 경사면(154')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152')이 상기 제2 경사면(154')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출부(170')는 상기 판지(10')에 의해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160')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150')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170')는 인접한 접음선, 즉, 상기 제1 경사면(152')과 상기 제2 경사면(154')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단절을 유도하여 상기 제1 경사면(152')이 상기 제2 경사면(154')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의 돌출이 담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돌출부(170') 및 상기 고정부(160')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200)는 제1 판지(22) 및 제2 판지(24)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지(22) 및 상기 제2 판지(24)는 일반적으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골판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hylene : PP), 폴리카보네이트 (Poly carbonate : 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판지(22)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고 접착되는 과정을 통해 상면부(210), 하면부(220), 좌측면부(230) 및 우측면부(240)가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20)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고정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판지(2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지지완충부(250)는 상기 제2 판지(24)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완충부(250)는 제1 경사면(252)과 제2 경사면(254)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252)이 상기 제2 경사면(254)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270)는 인접한 접음선, 즉, 상기 제1 경사면(252)과 상기 제2 경사면(254)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단절을 유도하여 상기 제1 경사면(252)이 상기 제2 경사면(254)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의 돌출이 담보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270)는 상기 지지완충부(250)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260)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250)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돌출부(270) 및 상기 고정부(260)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포자용 완충 구조체(300)는 도 4와 비교할 때, 고정부(360) 및 고정돌출부(370)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고정부(360) 및 상기 고정돌출부(370) 이외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면부(310), 하면부(320), 좌측면부(330) 및 우측면부(340)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 판지(32)는, 상기 상면부(310)와 상기 좌측면부(330)의 경계 라인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상면부(310)와 상기 우측면부(340)의 경계 라인의 인접 영역이 관통되어 제공되는 고정부(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되어 제공되는 홀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판지(3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완충부(350)는 제2 판지(34)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내부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완충부(350)는 제1 경사면(352)의 외측 라인 및 제2 경사면(354)의 외측 라인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출부(3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370)는 상기 지지완충부(350)가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360)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350)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400)는 판지(40)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하나는 포장대상물의 하측 부분을 커버하고 다른 하나는 포장대상물의 상측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400)는 상면부(410), 하면부(420), 좌측면부(430), 우측면부(440) 및 지지완충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지(40)는 일반적으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골판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hylene : PP), 폴리카보네이트 (Poly carbonate : 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상면부(410)는 포장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H)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H)의 형상 및 개수 등은 상기 포장대상물의 종류, 크기 또는 형상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개구부(H)는 포장대상물이 데스크탑의 본체 등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되었다.
상기 지지완충부(450)는 상기 개구부(H)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이 상기 하면부(420)의 내측면에 비접촉된 채 상기 내부공간(S)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완화 또는 완충되도록, 상기 내부공간(S)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완충부(450)는 대략 "W"자 형상으로 제1 경사면(452),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456) 및 제2 경사면(4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452)은 상기 내부공간(S)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면이며, 상기 제2 경사면(454)은 상기 내부공간(S)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른 일면 일 수 있다.
상기 접힘면(456)은 상기 제1 경사면(452)의 하측단 및 상기 제2 경사면(454)의 하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상면부(410)를 향하여 접혀지게 되어 제공되는 일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456)은 상기 개구부(H)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하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포장용 완충 구조체(400)를 제작되는 원리 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400)는 도 7에 도시된 판지(40)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400)를 구성하는 상기 상면부(410), 상기 하면부(420), 상기 좌측면부(430), 상기 우측면부(440) 및 상기 지지완충부(450)는 상기 판지(40)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지(40)는 상기 제1 경사면(452), 상기 접힘면(456), 상기 제2 경사면(454), 상기 상면부(410)를 구성하는 제1 상면부(412), 상기 좌측면부(430), 상기 하면부(420), 상기 우측면부(440), 상기 제1 상면부(412)와 중첩되어 상기 제1 상면부(412)와 함께 상기 상면부(410)가 구현되도록 하는 제2 상면부(414)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부(414)는 외측 라인으로부터 돌출되어 제공되는 삽입부(41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415)는 상기 제2 상면부(410)가 상기 제1 상면부(412)에 중첩이 된 후, 상기 제1 상면부(412)와 상기 좌측면부(430)의 경계 부분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삽입홀(432)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삽입부(415)가 상기 삽입홀(432)에 삽입되면 상기 판지(40)를 이용한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400)의 제작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 제1 경사면(452)은 상기 삽입부(415)가 상기 삽입홀(43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라인으로부터 함입되어 제공되는 간섭방지부(458)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면부(420)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고정부(4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지(4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판지(40)는 상기 제1 경사면(452)과 상기 접힘면(456)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제2 경사면(454)과 상기 접힘면(456)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452) 및 상기 제2 경사면(454)이 상기 접힘면(456)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4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470)는 상기 판지(40)에 의해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400)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460)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450)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500)는 제1 판지(52) 및 제2 판지(54)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판지(52) 및 상기 제2 판지(54)는 일반적으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골판지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hylene : PP), 폴리카보네이트 (Poly carbonate : 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판지(52)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고 접착되는 과정을 통해 상면부(510), 하면부(520), 좌측면부(530) 및 우측면부(540)가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520)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고정부(5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5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판지(5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지지완충부(550)는 상기 제2 판지(54)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완충부(550)는 제1 경사면(552)과 상기 접힘면(556)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제2 경사면(554)과 상기 접힘면(556)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552) 및 상기 제2 경사면(554)이 상기 접힘면(556)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5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570)는 인접한 접음선, 즉, 상기 제1 경사면(552)과 상기 접힘면(556)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단절 및 상기 제2 경사면(554)과 상기 접힘면(556)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단절을 유도하여, 상기 제1 경사면(552), 상기 접힘면(556) 및 상기 제2 경사면(554)이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의 돌출이 담보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570)는 상기 지지완충부(550)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560)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S)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550)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를 제작하기 위한 판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100), 및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200)와 비교할 때, 포장대상물의 상측과 하측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는 계란 등의 포장대상물을 포장하기 위한 구조체로, 포장대상물을 공중부양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포장이 필요 없는 외부 포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는 판지(60)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판지(60)는 제1 경사면(652), 제2 경사면(654), 상면부(610), 좌측면부(630), 하면부(620), 우측면부(640)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는 상기 우측면부(640)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상면부(610), 상기 하면부(620), 상기 좌측면부(630) 및 상기 지지완충부(650)와 동일한 구조체가 상기 상면부(610) 상에 덮여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판지(60)는 우측면부(640)를 기준으로 양측이 대칭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면부(640)를 포함한 좌측 부분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우측 부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610) 상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선(611)이 형성된 개구부(H)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계란 등의 포장대상물의 상측과 하측을 안정적으로 커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면부(620)는 관통되어 제공되는 고정부(6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판지(6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판지(60)는 제1 경사면(652)과 제2 경사면(654)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652)이 상기 제2 경사면(654)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6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출부(670)는 상기 판지(60)에 의해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660)에 삽입되어 내부공간(S) 내에서의 지지완충부(650)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하측에 배치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의 일부 및 상측에 배치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의 나머지 일부는 삽입홀(632)에 삽입되는 삽입부(615)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632) 및 상기 삽입부(615)가 형성되는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하측에 배치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의 일부 및 상기 상측에 배치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600)의 일부일 수 있으나, 반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200, 300, 400, 500, 600: 포장용 완충 구조체
110, 210, 310, 410, 510, 610: 상면부
120, 220, 320, 420, 520, 620: 하면부
130, 230, 330, 430, 530, 630: 좌측면부
140, 240, 340, 440, 540, 640: 우측면부
150, 250, 350, 450, 550, 650: 지지완충부

Claims (14)

  1. 포장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이 상기 하면부에 비접촉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지지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완충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완충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하측단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하측단과 연결되되, 상기 상면부를 향하여 접혀지게 되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하측단을 지지하고,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우측면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접힘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상면부를 구성하는 제1 상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우측면부, 상기 제1 상면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상면부와 함께 상기 상면부가 구현되도록 하는 제2 상면부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접힘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판지에 의해 포장용 완충 구조체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포장대상물과 선접촉이 구현되도록 하여 상기 선접촉에 의한 상기 포장대상물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지지력향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출부는,
    인접한 접음선의 단절을 유도하여 외측으로의 돌출이 담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
  10. 삭제
  11. 삭제
  12. 포장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이 상기 하면부에 비접촉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지지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완충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완충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하측단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하측단과 연결되되, 상기 상면부를 향하여 접혀지게 되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힘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하측단을 지지하고,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및 상기 우측면부는,
    제1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제1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완충부는,
    제2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되,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접힘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접힘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지지완충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
  13. 포장대상물이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 제공되는 내부공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위치하는 좌측면부 및 우측면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이 상기 하면부에 비접촉된 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지지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완충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타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상기 일측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상기 포장대상물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우측면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는,
    판지에 형성된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따라 접혀지는 과정을 통해 제작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상면부, 상기 좌측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우측면부가 일측부터 타측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미리 정해진 접음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며,
    포장용 완충 구조체는,
    상기 우측면부를 공유하여 상기 상면부, 상기 하면부, 상기 좌측면부 및 상기 지지완충부와 동일한 구조체가 상기 상면부 상에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관통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판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만큼 절개된 후 압착되어 제공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존재하는 접음선의 인접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을 기준으로 접혀지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돌출부는,
    상기 판지에 의해 상기 포장용 완충 구조체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의 상기 지지완충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완충 구조체.
KR1020220054274A 2022-05-02 2022-05-02 포장용 완충 구조체 Active KR10266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74A KR102668712B1 (ko) 2022-05-02 2022-05-02 포장용 완충 구조체
KR1020240065148A KR102781877B1 (ko) 2022-05-02 2024-05-20 포장용 완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74A KR102668712B1 (ko) 2022-05-02 2022-05-02 포장용 완충 구조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5148A Division KR102781877B1 (ko) 2022-05-02 2024-05-20 포장용 완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624A KR20230154624A (ko) 2023-11-09
KR102668712B1 true KR102668712B1 (ko) 2024-05-23

Family

ID=887480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274A Active KR102668712B1 (ko) 2022-05-02 2022-05-02 포장용 완충 구조체
KR1020240065148A Active KR102781877B1 (ko) 2022-05-02 2024-05-20 포장용 완충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5148A Active KR102781877B1 (ko) 2022-05-02 2024-05-20 포장용 완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68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2266B1 (ko) 2024-07-16 2025-02-21 김태수 포장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17901B3 (es) * 1986-12-02 1991-11-16 Moncartons Spa Presentacion de contenedor de auto-fijacion
CH689554A5 (de) * 1994-02-15 1999-06-15 Schrack Components Ag Verpackung für mehrere hintereinander angeordnete Stückgüter.
JP3049996U (ja) * 1997-09-12 1998-06-30 株式会社エーワンパッケージ 物品用ホルダー
JP3437442B2 (ja) * 1998-04-27 2003-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緩衝構造付き段ボール箱
ATE314266T1 (de) * 2000-02-18 2006-01-15 Meadwestvaco Packaging Systems Kartonbehälter und zuschnit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2266B1 (ko) 2024-07-16 2025-02-21 김태수 포장용 박스
KR102810076B1 (ko) 2024-07-16 2025-05-20 김태수 다목적 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4738A (ko) 2024-05-28
KR20230154624A (ko) 2023-11-09
KR102781877B1 (ko) 202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8546B1 (en) Package for a beverage bottle and blank for such a package
KR20240074738A (ko) 포장용 완충 구조체
US12240665B2 (en) Packing box and cardboard structure
JP3488444B2 (ja) 瓶用包装箱
KR20210128049A (ko) 내용물 완충과 고정을 위한 내부 포장재 및 이의 제작모듈
US3207303A (en) Package for glasses or such fragile objects
KR102301199B1 (ko) 포장용 상자
US11866237B2 (en) Packaging container system with inserts
CN217515587U (zh) 用于形成包装盒内托的内托结构、包装盒内托、用于形成包装盒的结构和包装盒
JP7287790B2 (ja) 包装箱および該包装箱用のブランクシート
JP3204791U (ja) 包装箱
US8317018B2 (en) Cigar package
JP6595367B2 (ja) 包装箱
ES2926174T3 (es) Marco interior para un paquete de cigarrillos
KR102466462B1 (ko)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US6458396B1 (en) Hard taco shell protective packaging
US20250051090A1 (en) Protective Packaging For Items
JP6903829B1 (ja) 緩衝機能付包装箱
JP7344680B2 (ja) 包装体
KR102533722B1 (ko) 일체형 계란 포장 박스
US7992713B1 (en) Disk drive package
JP7437149B2 (ja) 包装用箱
KR102137070B1 (ko) 조립식 상자를 이용한 재활용 상자
JP3789114B2 (ja) 輸送箱
JP3115135U (ja) 梱包用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4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5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