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370B1 - Electric signal converter - Google Patents
Electric signal conve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7370B1 KR102667370B1 KR1020240013794A KR20240013794A KR102667370B1 KR 102667370 B1 KR102667370 B1 KR 102667370B1 KR 1020240013794 A KR1020240013794 A KR 1020240013794A KR 20240013794 A KR20240013794 A KR 20240013794A KR 102667370 B1 KR102667370 B1 KR 102667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pair
- ramp
- pulse
- signa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01000584583 Homo sapiens Receptor activity-modifying protein 1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2100030697 Receptor activity-modifying protei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1000584590 Homo sapiens Receptor activity-modifying protein 2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30696 Receptor activity-modifying protein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25—Discriminating pulses
- H03K5/1252—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신호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펄스폭 변조를 통해 변조되는 한쌍의 아날로그 출력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전기 신호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의 정전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 신호 변환기로서,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와 장비 제어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 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펄스발생기로부터 입력받는 제1 및 제2 펄스신호 각각에 대한 입력 레벨과 시간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펄스폭 변조(PWM)를 통해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로 개별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에 출력하는 신호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의 기울기를 가진 제1 및 제2 램프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램프신호 사이의 기설정된 갭타임 구간에 대응되는 노이즈 제거용 직류신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that can individually adjust the rise and fall times of a pair of analog output signals modulated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through an interface. For this purpose, it is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for preventing power outages of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an interface formed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and an equipment control device, and an input from a pulse generator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A signal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e input level and time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received, and separately converts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into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PWM). and a signal control module that converts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through the interface,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includes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having slop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It includes a direct current signal for noise removal corresponding to a preset gap time perio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신호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펄스폭 변조를 통해 변조되는 한쌍의 아날로그 출력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전기 신호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that can individually adjust the rise and fall times of a pair of analog output signals modulated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through an interface.
기존의 순간정전 재기동 릴레이는 전자접촉기 조작코일의 전원이 순간정전 또는 순간 전압강하 되었을 때 순간 정전 재기동릴레이 접점이 동작하여 전자접촉기를 다시 작동시켜 주었다.The existing instantaneous power failure restart relay operates when the power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perating coil experiences a momentary power failure or momentary voltage drop, and the instantaneous power failure restart relay contact operates to restart the magnetic contactor.
이러한 방식은 전자접촉기가 순간적으로 개폐 동작을 하면서 전자접촉기 접점에서 아크를 발생시켜 화재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This method may cause a fire hazard by generating an arc at the contact poin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whil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momentarily opens and closes.
또한, 여러 전자접촉기가 개폐동작을 함으로써 노이즈가 발생되며 이러한 노이즈가 전자설비에 영향을 주어 2차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noise is generated as several magnetic contactors open and close, and this noise can affect electronic equipment and cause secondary problems.
UPS를 이용한 정전압 제어 전원장치가 매우 안정적이고 좋지만 전자설비가 한 장소에 있지 않고 여러 곳에 분산 설치되어 있어 UPS를 설비마다 설치하거나 배터리 교환 및 유지관리시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많은 설비에 설치하는 것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lthough the constant voltage control power supply using a UPS is very stable and good, it is difficult to install it in many facilities because the electronic equipment is not in one place but is dispersed in various places, so it costs a lot of money to install the UPS in each facility or to replace and maintain the battery.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스폭 변조를 통해 변조되는 한쌍의 아날로그 출력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전기 신호 변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for individually adjusting the rise and fall times of a pair of analog output signals modulated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through an interface. It is for.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의 정전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 신호 변환기로서,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와 장비 제어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 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펄스발생기로부터 입력받는 제1 및 제2 펄스신호 각각에 대한 입력 레벨과 시간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펄스폭 변조(PWM)를 통해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로 개별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에 출력하는 신호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의 기울기를 가진 제1 및 제2 램프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램프신호 사이의 기설정된 갭타임 구간에 대응되는 노이즈 제거용 직류신호를 포함한다.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for preventing power outages of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enabl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and the equipment control device. an interface formed to do so, a signal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e input level and time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input from a pulse generator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and pulse width modulation (PWM)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It includes a signal control module that individually converts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nd outputs them to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through the interface,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has different directions.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having a slope of and a direct current signal for noise removal corresponding to a preset gap time perio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신호 변환기는 펄스폭 변조를 통해 변조되는 한쌍의 아날로그 출력신호의 상승 및 하강 시간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에서 발생하는 정전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r allows the rise and fall times of a pair of analog output signals modulated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to be individually adjusted through an interface, thereby preventing power outages occurring in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 변환기(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인터페이스(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를 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신호 제어 모듈(300)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신호 제어 모듈(30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및 제2 램핑 제어부(310, 320) 각각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interface 100 in detail.
3A and 3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1 and A2.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of a pre-registered signal setting list.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of FIG. 1.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amping control units 310 and 320 of FIG.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ings. These examples are merely presented as example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n case of conflict,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definitions The description will take precedence.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oposed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dditionally, “uni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수집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수집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Collection codes (1st, 2nd, etc.) for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llection codes do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does not clearly state a specific order in context. It may be carried out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above.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신호 변환기(10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는 인터페이스(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도 3a 및 도 3b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를 조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신호 제어 모듈(300)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mbodiment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interface 100, and FIGS. 3A and 3B ar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is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an example of adjusting the analog output signals (A1, A2),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of a pre-registered signal setting list, and Figure 5 is an implementation of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of Figure 1.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기 신호 변환기(1000)는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의 정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100), 신호 감지 모듈(200) 및 신호 제어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r 1000 includes an interface 100, a signal detection module 200, and a signal control in order to prevent power outage of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10_1, 10_2). It may include a module 300.
먼저, 인터페이스(100)는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와 장비 제어 장치(20) 사이에 배치되고,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와 장비 제어 장치(20)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First, the interface 100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10_1, 10_2) and the equipment control device 2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10_1, 10_2) and the equipment control device 20. It can be formed to be connectable.
예를 들면,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는 동일한 산업현장에서 서로 다른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비로서, 예컨대, 컨베이어 장비와 포장기계 장비일 수 있다. 또한, 장비 제어 장치(20)는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를 전자제어신호를 통해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10_1, 10_2) is equipment driven by different power in the same industrial field, and may be, for example, conveyor equipment and packaging machine equipment. Additionally, the equipment control device 20 may refer to a device that controls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10_1, 10_2) through electronic control signal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00)는 전원커넥터(110), 신호커넥터(120), 구동전압 커넥터(130), 제1 램프제어 커넥터(140) 및 제2 램프제어 커넥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interface 100 includes a power connector 110, a signal connector 120, a driving voltage connector 130, a first lamp control connector 140, and a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 150. It can be included.
구체적으로, 전원커넥터(110)는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에 공급전류 및 공급전압을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5핀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커넥터(110)는 제1 전압출력 단자, 제1 전류출력 단자, 공통단자, 제2 전압출력 단자, 제2 전류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wer connector 110 may be formed as a 5-pin terminal to individually output supply current and supply voltage to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10_1, 10_2). For example, the power connector 110 may include a first voltage output terminal, a first current output terminal, a common terminal, a second voltage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current output terminal.
다음으로, 신호커넥터(120)는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에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를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2핀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커넥터(120)는 제1 PWM 단자와 제2 PWM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signal connector 120 may be formed as a 2-pin terminal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1, A2) can be individually output to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10_1, 10_2). For example, the signal connector 120 may include a first PWM terminal and a second PWM terminal.
다음으로, 구동전압 커넥터(130)는 전기 신호 변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5핀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전압은 24VDC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전압 커넥터(130)는 전압 입력 단자, 한쌍의 CAN통신 단자, 한쌍의 전압 제어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driving voltage connector 130 may be formed as a 5-pin terminal for receiving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Here, the driving voltage may be 24VDC. For example, the driving voltage connector 130 may include a voltage input terminal, a pair of CA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pair of voltage control terminals.
다음으로, 제1 램프제어 커넥터(140)는 제1 아날로그 출력신호(A1)를 조절하기 위한 제1 펄스신호(P1)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4핀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램프제어 커넥터(140)는 제1 INCR 펄스신호 단자, 제1 DECR 펄스신호 단자, RESET 단자 및 공통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first lamp control connector 140 may be formed as a 4-pin terminal to receive the first pulse signal (P1) for controlling the first analog output signal (A1). For example, the first lamp control connector 140 may include a first INCR pulse signal terminal, a first DECR pulse signal terminal, a RESET terminal, and a common terminal.
다음으로, 제2 램프제어 커넥터(150)는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2)를 조절하기 위한 제1 펄스신호(P2)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4핀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램프제어 커넥터는 제2 INCR 펄스신호 단자, 제2 DECR 펄스신호 단자, RESET 단자 및 공통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 150 may be formed as a 4-pin terminal to receive the first pulse signal (P2) for controlling the second analog output signal (A2). For example, the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 may include a second INCR pulse signal terminal, a second DECR pulse signal terminal, a RESET terminal, and a common terminal.
이러한 인터페이스(100)에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를 조정하기 위하여,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510, 520), 제1 및 제2 한쌍의 램프 다이얼 유닛(530~560) 및 제1 및 제2 프리셋버튼 유닛(570, 580)이 배치될 수 있다. This interface 100 includes a pair of dip switch units 510 and 520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lamp dial units 530 to 560 to adjust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1 and A2. And first and second preset button units 570 and 580 may be disposed.
다음으로, 신호 감지 모듈(200)은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연결된 펄스발생기(30)로부터 입력받는 제1 및 제2 펄스신호(P1, P2) 각각에 대한 입력 레벨 및 입력 시간을 감지할 수 있다. Next, the signal detection module 200 can detect the input level and input time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P1 and P2) received from the pulse generator 30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100. .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펄스신호(P1, P2) 각각은 기준 전압 레벨을 기준으로 증가 입력 시간 동안 양의 레벨을 가진 제1 구형파신호(SPI1)와 기준 전압 레벨을 기준으로 감소 입력 시간 동안 음의 레벨을 가진 제2 구형파신호(SPI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P1, P2) is a first square wave signal (S PI1 ) and a reference voltage having a positive level during the increase input time based on the reference voltage level. It may include a second square wave signal (S PI2 ) having a negative level during the decrease input time based on the level.
다음으로, 신호 제어 모듈(300)은 입력 레벨 및 입력 시간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펄스신호(P1, P2)를 펄스폭 변조(PWM)를 통해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로 개별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Next,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converts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P1, P2) into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1)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PWM) based on the input level and input time. , A2) can be converted individually.
여기서,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 각각은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의 기울기를 가진 제1 및 제2 램프신호(SRAMP1, SRAMP2)와 제1 및 제2 램프신호(SRAMP1, SRAMP2)의 기설정된 갭타임 구간(TGAP)에 대응되는 노이즈 제거용 직류신호(SDC)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1, A2) each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S RAMP1 , S RAMP2 ) with slopes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FIGS. 3A and 3B. It may include a direct current signal (S DC ) for noise removal corresponding to a preset gap time section (T GAP ) of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S RAMP1 , S RAMP2 ).
이때, 신호 제어 모듈(300)은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를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에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may output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1 and A2 to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10_1 and 10_2 through the interface 100.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제어 모듈(300)은 인터페이스(100)에 배치된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510, 520)에 대한 각 스위칭 온오프 조합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 각각에 대한 출력 레벨 범위와 제1 및 제2 펄스신호(P1, P2) 각각에 대한 기준 전압 레벨을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generates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 The output level range for each of A1 and A2) and the reference voltage level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P1 and P2) can be individually set according to a pre-registered signal setting list.
여기서,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510, 520) 각각은 서로 개별적으로 스위칭 온오프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CONFIG_1~CONFIG_4)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pair of dip switch units 510 and 52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switches (CONFIG_1 to CONFIG_4) that are individually switched on and off.
이때,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별 온오프 상태정보, 온오프 상태별 출력 레벨 범위 정보, 온오프 상태별 기준 전압 레벨 정보가 리스트화된 테이블일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pre-registered signal setting list may be a table listing on-off state information for each switch, output level range information for each on-off state, and reference voltage level information for each on-off state.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제어 모듈(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된 원격 관리 장치(600)에 질의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응답받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transmits an inquiry signal to a remote management device 600 connected to communication through a network, and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the switching remote control is performed. It can operate in mode.
여기서,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는 원격 관리 장치(600)를 통해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510, 520)을 스위칭시킬 수 있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Here, the switching remote control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that can switch a pair of dip switch units 510 and 520 through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600.
이때, 원격 관리 장치(600)는 통신이 가능하고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이 설치가능한 관리자 단말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600 may be an administrato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capable of installing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remote control mod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제어 모듈(300)은 원격 관리 장치(600)로부터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에 따라 전송받는 산업현장 구동장비별 평균 공급전압 및 공급전류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에 따라 스위칭조합을 선정하고 해당 스위칭조합에 따라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510, 520)을 자동으로 스위칭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creates a list of pre-registered signal settings based on the average supply voltage and supply current for each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remote control mode from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600. Accordingly, a switching combination can be selected and a pair of dip switch units (510, 520)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mbin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제어 모듈(300)은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로부터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연결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510, 520)에 대한 스위칭 동작을 제한시키도록 락킹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controls a pair of dip switch units 510 when the time connected from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10_1 and 10_2 through the interface 100 exceeds a preset time. , 520) can be locked to limit the switching oper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제어 모듈(300)은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를 촬영하는 카메라(50)를 통해 촬영된 장비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장비 장애 이미지에 기초하여, 경보 메시지를 원격 관리 장치(600)에 전송하는 동시에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510, 520)에 대한 스위칭 락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sends an alarm message based on an equipment failure image confirmed from an equipment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50 that photographs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10_1 and 10_2. While transmitting to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600, the switching locking state for the pair of dip switch units 510 and 520 can be releas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제어 모듈(300)은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10_1, 10_2)에 배치된 환경 감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장애 환경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 각각에 대한 출력 레벨 범위를 최대값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is based on a disturbance environmental state measured through an environmental detection sensor (not shown) disposed in a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10_1, 10_2), and the first and second 2 The output level range for each analog output signal (A1, A2)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maximum valu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제어 모듈(300)은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출력되는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1, A2)에 대한 신호그래프를 작성함에 따라 암호화하여 원격 관리 장치(600)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creates a signal graph for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1 and A2 output through the interface 100, and encrypts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600. ) can be provided.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6은 도 1의 신호 제어 모듈(300)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of FIG. 1.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신호 제어 모듈(300)은 제1 및 제2 램핑 제어부(310, 320), 제1 및 제2 프리셋 설정부(330, 340) 및 기울기 제한 설정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6, the signal control module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ramping control units 310 and 320, first and second preset setting units 330 and 340, and a slope limit setting unit ( 350).
먼저, 제1 램핑 제어부(310)는 제1 램프제어 커넥터(140)에 연결된 제1 한쌍의 램프 다이얼 유닛(530, 540)을 통해 제1 아날로그 출력신호(A1)의 제1 및 제2 램프신호(SRAMP1, SRAMP2)에 대한 기울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First, the first ramping control unit 31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of the first analog output signal A1 through the first pair of lamp dial units 530 and 540 connected to the first lamp control connector 140. The slope for (S RAMP1 , S RAMP2 )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다음으로, 제2 램핑 제어부(320)는 제2 램프제어 커넥터(150)에 연결된 제2 한쌍의 램프 다이얼 유닛(550, 560)을 통해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A2)의 제1 및 제2 램프신호(SRAMP1, SRAMP2)에 대한 기울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Next, the second ramping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lamps of the second analog output signal A2 through the second pair of lamp dial units 550 and 560 connected to the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 150. The slope for the signals (S RAMP1 , S RAMP2 )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다음으로, 제1 프리셋 설정부(330)는 제1 램프제어 커넥터(140)에 연결된 제1 프리셋버튼 유닛(570)을 통해 제1 펄스신호(P1)에 대한 기준 전압 레벨을 리셋시킬 수 있다. Next, the first preset setting unit 330 may reset the reference voltage level for the first pulse signal P1 through the first preset button unit 570 connected to the first lamp control connector 140.
다음으로, 제2 프리셋 설정부(340)는 제2 램프제어 커넥터(150)에 연결된 제2 프리셋버튼 유닛(580)을 통해 제2 펄스신호(P2)에 대한 기준 전압 레벨을 리셋시킬 수 있다. Next, the second preset setting unit 340 may reset the reference voltage level for the second pulse signal P2 through the second preset button unit 580 connected to the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 150.
다음으로, 기울기 제한 설정부(350)는 제1 및 제2 램프제어 커넥터(140, 150)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램프신호(SRAMP1, SRAMP2)에 대한 기울기를 기설정된 기울기 제한구간으로 제한시킬 수 있다. Next, the slope limit setting unit 35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amp control connectors 140 and 150, and sets the slope for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S RAMP1 and S RAMP2 ) to a preset slope limit. It can be limited to a section.
여기서, 기설정된 기울기 제한구간은 0.25s/V ~ 25s/V의 전압 기울기, 0.25s/mA ~ 25s/mA의 전류 기울기 및 0.04s/% ~ 4s/% PWM출력 기울기일 수 있다. Here, the preset slope limit section may be a voltage slope of 0.25s/V to 25s/V, a current slope of 0.25s/mA to 25s/mA, and a PWM output slope of 0.04s/% to 4s/%.
도 7은 도 6의 제1 및 제2 램핑 제어부(310, 320) 각각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amping control units 310 and 320 of FIG. 6.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및 제2 램핑 제어부(310, 320) 각각은 증가 변조 유닛(311), 감소 변조 유닛(312) 및 직류출력 유닛(313)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7,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amping control units 310 and 320 may include an increase modulation unit 311, a decrease modulation unit 312, and a direct current output unit 313. .
먼저, 증가 변조 유닛(311)은 제1 및 제2 펄스신호 중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예컨대, P1)가 제1 직류 레벨(+)로 인식되는 제1 램프 타임(TRAMP1)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예컨대, P1)를 제1 램프 신호(SRAMP1)로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First, the increase modulation unit 311 is based on the first ramp time (T RAMP1 ) at whic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e.g., P1) is recognized as the first DC level (+), Any one pulse signal (eg, P1) can be modulated and output as a first ramp signal (S RAMP1 ).
다음으로, 감소 변조 유닛(312)은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예컨대, P1)가 제2 직류 레벨(-)로 인식되는 제2 램프 타임(TRAMP2)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예컨대, P1)를 제2 램프 신호(SPWM2)로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Next, the reduction modulation unit 312 converts any one pulse signal (e.g., P1) based on the second ramp time (T RAMP2 ) at which one pulse signal (e.g., P1) is recognized as the second direct current level (-). , P1) can be modulated and output with the second ramp signal (S PWM2 ).
여기서, 제1 및 제2 램프신호(SRAMP1, SRAMP2)의 최대 레벨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Here, the maximum level sizes of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S RAMP1 and S RAMP2 ) may be the same.
다음으로, 직류출력 유닛(313)은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예컨대, P1)를 입력받지 않는 갭타임 구간(TGAP) 동안 제1 램프 신호(SRAMP1)의 최대 레벨에 대응되는 노이즈 제거용 직류신호(SDC)를 출력할 수 있다. Next, the direct current output unit 313 generates direct current for noise removal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level of the first ramp signal (S RAMP1 ) during the gap time period (T GAP ) in which no pulse signal (e.g., P1) is input. A signal (S DC ) can be output.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실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only a few examples of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ors are described,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i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_1, 10_2: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
100: 인터페이스
200: 신호 감지 모듈
300: 신호 제어 모듈
1000: 전기 신호 변환기 10_1, 10_2: A pair of industrial drive equipment
100: interface
200: signal detection module
300: signal control module
1000: Electrical signal converter
Claims (8)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와 장비 제어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가능 하도록 형성된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펄스발생기로부터 입력받는 제1 및 제2 펄스신호 각각에 대한 입력 레벨과 시간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 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펄스폭 변조(PWM)를 통해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로 개별적으로 변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에 출력하는 신호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의 기울기를 가진 제1 및 제2 램프신호와 상기 제1 및 제2 램프신호 사이의 기설정된 갭타임 구간에 대응되는 노이즈 제거용 직류신호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 변환기.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to prevent power outages of a pair of industrial driving equipment,
An interface formed to en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and the equipment control device;
a signal detection module that detects the input level and tim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input from the pulse generator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and
It includes a signal control module that individually converts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into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PWM) and outputs them to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through the interface;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includes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having slope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DC signal for noise removal corresponding to a preset gap time perio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Including, electrical signal converters.
상기 신호 제어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배치된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에 대한 각 스위칭 온오프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 각각에 대한 출력 레벨 범위와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 각각에 대한 기준 전압 레벨을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는 서로 개별적으로 스위칭 온오프되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 변환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gnal control module is
Based on each switching on-off combination for a pair of dip switch units disposed on the interface, an output level range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and a reference voltage fo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Set the level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re-registered signal setting list,
The pair of dip switch units includes first to fourth switches that are individually switched on and off.
상기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는 스위치별 온오프 상태정보, 온오프 상태별 출력 레벨 범위 정보, 온오프 상태별 기준 전압 레벨 정보가 리스트화된 테이블인, 전기 신호 변환기.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re-registered signal setting list is a table listing on-off state information for each switch, output level range information for each on-off state, and reference voltage level information for each on-off state.
상기 신호 제어 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된 원격 관리 장치에 질의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응답받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는 상기 원격 관리 장치를 통해 상기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을 스위칭시킬 수 있는 동작 모드이며,
상기 원격 관리 장치는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이 설치가능한 관리자 단말인, 전기 신호 변환기.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ignal control module operates in a switching remote control mode based on a response signal received as an inquiry signal is transmitted to a remote management device communicated through a network,
The switching remote control mode is an operation mode that can switch the pair of dip switch units through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is a manag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capable of installing a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witching remote control mode.
상기 신호 제어 모듈은 상기 원격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스위칭 원격 제어 모드에 따라 전송받는 산업현장 구동장비별 평균 공급전압 및 공급전류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신호설정 리스트에 따라 선정된 스위칭조합에 따라 상기 한쌍의 딥스위치 유닛을 자동으로 스위칭시키는, 전기 신호 변환기.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ignal control module controls the pair according to a switching combination selected according to a pre-registered signal setting list, based on the average supply voltage and supply current for each industrial field drive equipmen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remote control mode from the remote management device.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that automatically switches the dip switch unit.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에 공급전류 및 공급전압을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5핀 단자로 형성된 전원 커넥터;
상기 한쌍의 산업현장 구동장비에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2핀 단자로 형성된 신호 커넥터;
상기 전기 신호 변환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을 입력받고 내부 통신이 가능하도록 5핀 단자로 형성된 구동전압 커넥터;
상기 제1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제1 펄스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4핀 단자로 형성된 제1 램프제어 커넥터; 및
상기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제2 펄스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4핀 단자로 형성된 제2 램프제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신호 변환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terface includes a power connector formed with a 5-pin terminal to individually output supply current and supply voltage to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a signal connector formed of a 2-pin terminal to individually output the first and second analog output signals to the pair of industrial field driving equipment;
a driving voltage connector formed of a 5-pin terminal to receive a driving voltage for driving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er and enable internal communication;
a first lamp control connector formed of a 4-pin terminal to receive a first pulse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st analog output signal; and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comprising a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 formed of a 4-pin terminal to receive a second pulse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analog output signal.
상기 신호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램프제어 커넥터에 연결된 제1 한쌍의 램프 다이얼 유닛을 통해 제1 아날로그 출력신호의 상기 제1 및 제2 램프신호에 대한 기울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1 램핑 제어부;
상기 제2 램프제어 커넥터에 연결된 제2 한쌍의 램프 다이얼 유닛을 통해 제2 아날로그 출력신호의 상기 제1 및 제2 램프신호에 대한 기울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2 램핑 제어부;
상기 제1 램프제어 커넥터에 연결된 제1 프리셋버튼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펄스신호에 대한 기준 전압 레벨을 리셋시키는 제1 프리셋 설정부;
상기 제2 램프제어 커넥터에 연결된 제2 프리셋버튼 유닛을 통해 상기 제2 펄스신호에 대한 기준 전압 레벨을 리셋시키는 제2 프리셋 설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램프제어 커넥터에 연결되고, 각 램프신호에 대한 기울기를 기설정된 설정범위 구간으로 제한시키는 기울기 제한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기울기 제한구간은 0.25s/V ~ 25s/V의 전압 기울기, 0.25s/mA ~ 25s/mA의 전류 기울기 및 0.04s/% ~ 4s/% PWM출력 기울기인, 전기 신호 변환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signal control module includes a first ramping control unit that individually adjusts the slope of the first analog output signal for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through a first pair of ramp dial units connected to the first ramp control connector;
a second ramping control unit that individually adjusts the slope of the second analog output signal for the first and second ramp signals through a second pair of ramp dial units connected to the second ramp control connector;
a first preset setting unit that resets the reference voltage level for the first pulse signal through a first preset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lamp control connector;
a second preset setting unit that resets the reference voltage level for the second pulse signal through a second preset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 and
A slope limit set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amp control connectors and limiting the slope for each lamp signal to a preset setting range section,
The preset slope limit section is a voltage slope of 0.25s/V to 25s/V, a current slope of 0.25s/mA to 25s/mA, and a PWM output slope of 0.04s/% to 4s/%,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상기 제1 및 제2 램핑제어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 중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가 제1 직류 레벨로 인식되는 제1 램프 타임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를 제1 램프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증가 변조 유닛;
상기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가 제2 직류 레벨로 인식되는 제2 램프 타임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를 제2 램프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하는 감소 변조 유닛;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펄스신호를 입력받지 않는 갭타임 구간 동안, 상기 제1 램프 신호의 최대 레벨에 대응되는 상기 노이즈 제거용 직류신호를 출력하는 직류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 변환기.
In clause 7,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amping controllers operates to ramp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to a first ramp based on a first ramp time at whic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ulse signals is recognized as the first DC level. an incremental modulation unit that modulates and outputs a signal;
a reduction modulation unit that modulates the one pulse signal into a second ramp signal and outputs it, based on a second ramp time at which the one pulse signal is recognized as a second direct current level; and
An electrical signal converter comprising a DC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noise removal D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level of the first ramp signal during a gap time period in which no pulse signal is inp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3794A KR102667370B1 (en) | 2024-01-30 | 2024-01-30 | Electric signal conver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13794A KR102667370B1 (en) | 2024-01-30 | 2024-01-30 | Electric signal conver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7370B1 true KR102667370B1 (en) | 2024-05-20 |
Family
ID=9128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13794A Active KR102667370B1 (en) | 2024-01-30 | 2024-01-30 | Electric signal conver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737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7050B1 (en) | 1995-11-01 | 2000-09-15 |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communicatio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
US20100205343A1 (en) * | 2005-04-15 | 2010-08-12 | Rambus, Inc. | Generating interface adjustment signals in a device-to-device interconnection system |
-
2024
- 2024-01-30 KR KR1020240013794A patent/KR1026673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7050B1 (en) | 1995-11-01 | 2000-09-15 |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 communicatio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
US20100205343A1 (en) * | 2005-04-15 | 2010-08-12 | Rambus, Inc. | Generating interface adjustment signals in a device-to-device interconnec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992550B (en) | Control device and collection flow box | |
US9124101B2 (en) | Power supply having selectable operation based on communications with load | |
EP2474875B1 (en) | Power supply device | |
EP3096430B9 (en) | Electric vehicle and power supply circuit for a vehicle control device with alternating current charging thereof | |
US8115338B2 (en) | Emergency power unit | |
US20220126720A1 (en) | Intelligent charging pile for robot | |
US20220231535A1 (en) | Offline uninterruptible power sour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CN104025708A (en) |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light-emitting means with a sudden load cariation | |
KR102667370B1 (en) | Electric signal converter | |
EP4199291A1 (en) | Power electronic device on direct-current side of photovoltaic system, and tes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CN112072741B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one-key starting of household energy storage system | |
CN114466481B (en) |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no-load of LED constant-voltage driving power supply and LED driver | |
US20220234463A1 (en) |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08628228A (en) |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kind of intellect controller, electrical equipment | |
CN210350835U (en) |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device | |
CN116195166A (en) | Inverter with bistable switching unit | |
CN211266804U (en) | Control system based on normal motor direct start | |
KR2016015047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in electric vehicle having function of power failure | |
CN215154052U (en) | On-off control loop and switch group | |
CN211427161U (en) | Flow automatic controller control device | |
CN219144018U (en) | Relay fast switching control circuit | |
CN217060784U (en) | Switching circuit and intelligent switch | |
US20230305502A1 (en) | Intelligent switch | |
CN222321124U (en) | Distributed DC power supply system | |
CN214591168U (en) | Vehicle high-voltage to low-voltage DC-DC power supply with wide input voltage r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