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7252B1 - Flexi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252B1
KR102667252B1 KR1020180164057A KR20180164057A KR102667252B1 KR 102667252 B1 KR102667252 B1 KR 102667252B1 KR 1020180164057 A KR1020180164057 A KR 1020180164057A KR 20180164057 A KR20180164057 A KR 20180164057A KR 102667252 B1 KR102667252 B1 KR 10266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ligh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refl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5411A (en
Inventor
박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252B1/en
Publication of KR2020007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2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플레이트를 변경하여 광효율을 개선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며 이로써 장시간에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luminance by improving light efficiency by changing the functional plat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 {Flexible Display Device}Flexible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플레이트를 변경하여 광효율을 개선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light efficiency is improved by changing the functional plat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Recently, as we have entered a full-fledged information age, the field of displays that visually express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has developed rapidly, and in response to this, various flat panel displays with excellent performance in thinness, lightness, and low power consumption have been developed. Display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is rapidly replacing the existing cathode ray tube (CRT).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 Plasma Display Panel devices (PDP),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s (FE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etc.

이 중,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지 않으며 장치의 컴팩트화 및 선명한 컬러 표시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자발광 표시 장치가 경쟁력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고려되고 있다.Among these, self-luminous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are being considered as competitive applications because they do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are compact and display vivid colors.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각 서브 화소에서 자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구비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두 전극과,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수송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할 때 빛이 나는 발광층이 구비된다.Meanwhi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equipped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self-emits light in each sub-pixel,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two opposing electrodes and is locat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to emit light when transported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This I is provided with a light-emitting layer.

유기 발광 소자(유기발광 다이오드 등)는 전극 사이의 얇은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로 별도의 광원 유닛이 요구되지 않아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에 화소 구동 회로와 접속된 유기발광 소자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빛이 기판 또는 편광판 등을 통과하면서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re self-luminous devices that use a thin light-emitting layer between electrodes and do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unit, so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s includ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made into thin films.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nnected to a pixel driving circuit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an image is displayed as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passes through a substrate or a polarizing plate.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장치 없이 구현되기 때문에, 플렉서블(flexible), 벤더블(bendable),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로 구현되기에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without a separate light source device,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as a flexible, bendable, 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can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이에 따라,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는, TV 등의 전통적인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계기판, 자동차 앞유리, 미러(mirror)의 표시부 및 실내외 광고판 등 여러 분야로 그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 때 각각의 표시장치 사용 환경에 맞는 최적화가 필요하다.Accordingly,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containing self-luminous elements have a wide range of application not only in traditional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but also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mobile dashboards, automobile windshields, mirror displays, and indoor and outdoor billboards. is expanding. At this time, optimization tailored to the usage environment of each display device is necessary.

특히, 일정의 곡률이 있는 표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는 곡률이 반영되도록 표시 패널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의 상하부에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거나 특정의 기능을 위해 부가되는 구성에서도 가요성(flexibility)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a display device attached to a surface with a certain curvature requires flexibility not only in the display panel to reflect the curvature, but also in components add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display panel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or for a specific function. .

한편, 자동차의 앞유리에 적용되는 표시 장치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의 곡률 유지 등과 함께 투명한 유리에 표시가 이루어져 자연광 등이 강한 환경에서 표시 장치의 화상 시인을 위해 고휘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 경우, 표시 장치를 지속적인 고휘도로 사용 시 수명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고휘도에 따른 고전력이 요구되어 고휘도 고전력의 장시간 사용에 의한 표시 장치의 발열이 문제될 수도 있다.Meanwhile, display devices applied to windshields of automobiles display displays on transparent glass while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so high brightness is required for image visibility in environments with strong natural ligh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lifespan deteriora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continuously used at high brightness, and since high power is required for high brightness, heat gen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due to long-term use of high brightness and high power may be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하는 기능성 플레이트를 변경하여 광효율을 개선하여 휘도를 향상시키며 이로써 장시간에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luminance by improving light efficiency by changing the functional plat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구조 변경으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소비 전력 저감의 효과를 가지며 고휘도의 수명 증가를 꾀할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brightness of the device by changing the structur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increasing the lifespan of high bright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어레이부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기재의 배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흡수하는 금속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상기 어레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n array portion on the substrate, a metal plate located below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bsorbing light coming from a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A reflector may be inclu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metal plate to reflect light coming from a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oward the array unit.

상기 금속판은 적어도 일면에 흡광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plate may include a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on at least one side.

상기 흡광 코팅층은 적어도 블랙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black resin.

상기 반사판은 경면 처리된 백색 쉬트일 수 있다.The reflector may be a mirror-finished white sheet.

상기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에 대면한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구비된 흡광 코팅층은 서로 접할 수 있다.The reflector and the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facing the reflect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반사판과 상기 흡광 코팅층의 계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의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Light exiting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may be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eflector and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 투명 지지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transparent support film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reflector.

상기 어레이부 상부에 광각을 제어하는 광각 제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wide angle control film that controls the wide angle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ray unit.

상기 광각 제어 필름 상부에 투명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transparent cover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wide angle control film.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어레이부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기재의 배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흡수하는 금속판과,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상기 어레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상기 어레이부 상부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부터 나오는 광의 광각을 조절하는 광각 제어 필름 및 상기 광각 제어 필름 상부에 투명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a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n array portion on the substrate, and a metal plate located below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bsorbing light coming from a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a reflector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metal plate that reflects light coming out of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oward the array unit, and a wide-angle control film on the upper part of the array unit that adjusts the wide angle of the light coming ou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 transparent cover member may be included on the wide angle control film.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광이 흡수되는 계면측에 반사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반사판에서 광의 전면(前面) 출사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by further providing a reflector at the interface where light is absorbed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front of the reflector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luminance.

둘째, 표시 패널의 전면 출사량을 늘려 일정 휘도량에 대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저전력 구동에 따라 표시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by increasing the front emission amount of the display panel, power consumption for a certain amount of luminance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lifespan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low-power operation.

셋째, 소비 전력 감소에 따라 표시 패널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Thir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display panel can be reduced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넷째, 자동차와 같이 고휘도 특성이 요구되는 장치에서 광회수량을 늘려 고휘도 특성에 부응할 수 있다.Fourth, in devices that require high brightness characteristics, such as automobiles, the amount of light recovery can be increased to meet the high brightness characteristics.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제 1 내지 제 3 실험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first to third experimental examples.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play panel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echnology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the component name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specifications,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component names of the actual produ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nclud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a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In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cribing positional relationships, for example, 'on top', 'on top', 'on bottom', 'next to', etc.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parts is describ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immediately' or 'directly' is us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laining temporal relationships, for example, temporal relationships such as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When described, non-contiguous cases may be included unless 'immediately' or 'directly' is us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서로 동일 유사한 구성 요소 간에 구별을 하기 위하여 사용될 따름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 1~'로 수식되는 구성 요소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로 수식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할 수 있다.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 'second ~',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between identical and similar components. am. Therefore, the component modified as 'first ~'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the same as the component modified as 'second ~'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발명의 여러 다양한 실시예 내의 각각의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다양한 실시예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Each of the features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various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feasible.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어레이부를 갖는 플렉서블한 표시 패널(200)과, 상기 표시 패널(200)의 배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200)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흡수하는 금속판(300)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상기 어레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400)을 포함한다.1 and 2,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 flexible display panel 200 having an array portion on the substrate, and a rear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It includes a metal plate 300 that absorbs light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and a reflector 400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metal plate that reflects the light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oward the array unit. .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 상기 표시 패널(200)로부터 화상이 나오는 상측으로 광각 조절 필름(150) 및 커버 부재(100)가 더 구비된다.Additionally,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de angle adjustment film 150 and a cover member 100 ar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where an image appears.

커버 부재(100)는 시청자가 바라보는 표시면 측에 해당하며, 직접적으로 시청자의 터치 동작이 가해질 수 있는 구성이다. 도 1의 도시된 점선 내부 영역은 실제 영상이 투영되는 영역으로 액티브 영역(AA)이 되며, 그 외곽은 비표시 영역(NA)이다.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패널(200)에도 동일 대응 영역에 정의된다. 상기 커버 부재(100)는 시청자가 화상을 시인하는 표시면 상에 있으며, 화상을 일종의 투명 필름 또는 유리처럼 투과시키는 점에서 커버 윈도우(cover window) 혹은 커버 글래스(cover glass)라 불리기도 한다. 커버 부재(100)는 표시 패널(2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외부로 투과시킴과 아울러 표시 패널(200)의 표면 보호를 위해서 부착된다. 상기 커버 부재(100)는 비표시 영역(NA)에 차폐층을 구비하여, 액티브 영역(AA)은 투명부로, 비표시 영역(NA)은 차폐부로 나누어, 비표시 영역(NA) 하부의 구성이 시인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100)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크랙을 저감하기 위해, 영률(Young's modulus)이 큰 재질, 즉 고경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경도의 재질로 대표적으로 유리가 가능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유리 기판(기재)의 두께는 0.5mm 이상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깨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가 플렉서블, 벤더블 혹은 롤러블 표시 장치와 같이, 가요성이 있는 상태가 요구될 때는, 상기 커버 부재(100)의 재료를 0.1mm 이하의 얇은 두께의 유리로 하거나 혹은 일정 투과율 이상의 투명 플라스틱 기판 중 고경도의 재료로 한다.The cover member 100 corresponds to the display surface side viewed by the viewer and is configured to directly apply the viewer's touch action. The area inside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1 is the area where the actual image is projected and becomes the active area (AA), and the outside of the area is the non-display area (NA). The active area (AA) and non-display area (NA) are defined in the same corresponding area on the display panel 200. The cover member 100 is on the display surface through which the viewer sees the image, and is also called a cover window or cover glass in that it transmits the image like a kind of transparent film or glass. The cover member 100 is attached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200 to the outside and protect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0. The cover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shielding layer in the non-display area (NA), dividing the active area (AA) into a transparent part and the non-display area (NA) into a shielding part,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non-display area (NA) has a configuration. This can prevent recognition. The cover member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a high Young's modulus, that is, a material with high hardness, in order to reduce cracks due to external impact. Glass may be a representative material with high hardness, but the thickness of a typical glass substrate (substrate) is 0.5 mm or more, so there is a risk of breaking it when folded or bent. Therefore, when the display device is required to be flexible, such as a flexible, bendable or rollable display device, the material of the cover member 100 should be glass with a thin thickness of 0.1 mm or less or a material with a transmittanc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hardness among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s.

이 경우, 커버 부재(100) 측으로 화상이 나오는 것으로, 시청자가 바라보는 측에 상기 커버 부재(100)가 최상면이 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상기 커버 부재(100)의 최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안쪽의 구성들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기 위해 비표시 영역(NA)을 광각 제어 필름(150), 표시 패널(200), 지지 필름(220), 반사판(400) 및 금속판(300)보다는 더 큰 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is projected toward the cover member 100, and the cover member 100 will be placed so that the uppermost surface is on the side the viewer looks at.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cover member 100, the non-display area (NA) is comprised of a wide-angle control film 150, a display panel 200, and a support film 220 so that the relatively inner components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 it can be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reflector 400 and the metal plate 300.

또한, 광각 조절 필름(150)은 표시 패널(200)에서 표시된 화상의 시인 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광각 조절 구조물을 포함한다. 광각 조절 구조물은 원하는 시인 범위에 맞게 각도가 조절된 사다리꼴 형상의 패턴으로 상기 광각 조절 필름(15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사다리꼴 형상의 패턴은 차광성 소재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광각 조절 필름(150)은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표시 패널(200) 최상측이나 커버 부재(100) 안쪽면에 패턴화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wide-angle adjustment film 150 includes a wide-angle adjustment structure to adjust the viewing rang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00. The wide angle adjustment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the wide angle adjustment film 150 in a trapezoidal pattern with the angle adjusted to suit the desired viewing range. In most cases, the trapezoid-shaped pattern is formed from a light-blocking material. In some cases, the wide-angle adjustment film 150 may be provided in a pattern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00 rather than being separately configured.

상기 표시 패널(200)은,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 영역(AA: active area)을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에는 표시의 기본 단위인 화소(pixel)들이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액티브 영역의 주위에는 하나 이상의 비표시 영역(NA: Non-active are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탑재한 전자장치의 디자인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200 includes at least one active area (AA), and in the active area, pixels, which are basic units of display, are arranged in an array. One or more non-active areas (NAs) may be placed around the active area. That is, the non-display area may be adjacent to one or more sides of the display area.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may have a shape suitable for the design of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상기 표시 패널(200)은 도시된 형태와 같이 굴곡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내부 어레이를 봉지하여 전체 구성이 플렉서블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200 is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curve as shown, and the entire structure can be used in a flexible form by sealing the internal array.

상기 표시 영역 내의 각 화소는 화소 회로와 연관될 수 있다. 상기 화소 회로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기재(backplane) 상의 하나 이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 회로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동 회로와 통신하기 위해,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TFT(thin film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는 GIP(gate-in-panel)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몇몇 부품들은, 분리된 인쇄 회로 기판(250)에 탑재되고,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F(chip-on-film), TCP(tape-carrier-package) 등과 같은 신호전송필름(210)을 이용하여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연결 인터페이스(패드/범프, 핀 등)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은 다양한 신호를 생성하거나 액티브 영역내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요소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요소는 인버터 회로, 멀티플렉서, 정전기 방전(electro static discharge)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00)에서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연결 인터페이스의 구비로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200)의 비표시 영역 중 하단부는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필름(210)과 함께 인쇄 회로 기판(250)은 금속판(300) 배면측으로 접혀 커버 부재(100)에서 시인이 방지될 수 있다.Each pixel within the display area may be associated with a pixel circuit. The pixel circuit may include one or more switching transistors and one or more driving transistors on the backplan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Each pixel circu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gate line and a data line to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driving circuits, such as a gate driver and a data driver, located in the non-display area. The driving circuit may be implemented as a thin film transistor (TFT) in the non-display area. This driving circuit may be referred to as a gate-in-panel (GIP). In addition, some components, such as the data driver IC, are mounted on a separate printed circuit board 250, such as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chip-on-film (COF), tape-carrier-package (TCP), etc. It can be combined with a connection interface (pad/bump, pin, etc.) placed in the non-display area using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210. The display panel 200 may also include various additional elements for generating various signals or driving pixels in an active area. The additional elements may include an inverter circuit, multiplexer, electro static discharge circuit, etc. Due to the provision of the connection interface disposed in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200, the lower portion of the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more. The printed circuit board 250 along with the signal transmission film 210 can be fold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metal plate 300 to prevent visibility from the cover member 100.

한편, 상기 광각 조절 필름(150) 하측이며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기능성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기능성 부재는 플렉서블 표시장치(200)에 필요한 기계/기구적, 광학적 특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부재는 화소 구동 이외의 기능과 연관된 부가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성 부재는 터치 감지 기능, 사용자 인증 기능(예: 지문 인식), 멀티 레벨 압력 감지 기능,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 기능 등을 제공하는 부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재는, 표시 특성(예: 외부 광 반사, 색 정확도, 휘도 등)을 제어하는 편광판(polarizer)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성 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2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a functional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wide angle adjustment film 150 and above the display panel 200. Functional members may be provided to reinforce mechanical/mechan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0. The functional member may also include additional elements associated with functions other than pixel driving. For example, the functional member may include additional elements that provide a touch sensing function, a user authentication function (eg, fingerprint recognition), a multi-level pressure sensing function, a tactile feedback function, etc. Additionally, the functional member may include a polarizer that controls display characteristics (eg, external light reflection, color accuracy, luminance, etc.). The functional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0 using an adhesive.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금속판(300)을 살펴보면, 이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방열 금속을 금속 베이스층(300a)로 하며, 상기 금속 베이스층(300a)의 양 표면에 흡광 코팅층(310a, 310b)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금속판(300) 중 방열 금속 성분의 금속 베이스층(300a)이 휨성이 큰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을 지지하고 이의 구동에서 나오는 열을 하측에서 흡수하여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Looking at the metal plate 300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2, it uses a heat dissipating metal such as aluminum or aluminum alloy as a metal base layer 300a, and light absorption is present on both surfaces of the metal base layer 300a. It includes coating layers 310a and 310b. Through this, the metal base layer 300a of the metal plate 300, which is a heat dissipating metal component, supports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with high bendability and absorbs heat from its operation from the lower side, there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can be prevented.

상기 금속 베이스층(300a)은 지지 기능과 방열 기능을 위해 플렉서블 표시 장치보다 두껍게 형성하며 대략 그 두께는 0.2mm 이상 1mm 이하로 한다.The metal base layer 300a is formed thicker than tha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for support and heat dissipation functions, and its thickness is approximately 0.2 mm to 1 mm.

상기 흡광 코팅층(310a, 310b)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에서 하측으로 나오는 광이 표시에 기여하지 않는 잔여 광 성분으로 이를 흡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흡광 코팅층(310a, 310b)은 금속 베이스층(300a)보다 얇게 10㎛ 내지 0.1mm 미만의 두께로 형성하며, 블랙 수지(black resin)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흡광 코팅층(310a, 310b)은 잔여 광의 흡수뿐만 아니라 금속판(300)의 배면 측의 광이 시인되지 않게 하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유리 등에 부착하여 구성할 때, 배면측의 광이 유리 외측에 인식될 수 있어, 이러한 흡광 기능이 외관 면에서 중요하다.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s 310a and 310b are provided to absorb light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s a remaining light component that does not contribute to display.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s 310a and 310b ar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metal base layer 300a with a thickness of 10 μm to less than 0.1 mm, and are made of a material such as black resin. In particular,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s 310a and 310b are meaningful in that they not only absorb residual light but also prevent light from the rear side of the metal plate 300 from being visible. When construct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by attaching it to glass, etc., light on the back side can be recognized outside the glass, so this light absorption function is important in terms of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과 금속판(300) 사이의 반사판(400)을 구비한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Additionally,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gnificant feature in that it includes a reflector 400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nd the metal plate 300.

반사판(400)은 주 재료가 백색 안료 혹은 백색 염료 등의 백색 수지를 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반사판(400)은 0.1mm 이하의 얇은 쉬트 재질로, 절단 및 재단이 용이하여 금속 몰딩 등의 방식으로 성형되는 금속판(300)과 구분된다. 상기 반사판(400)에는 표면에 경면 처리가 이루어져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에서 하부로 빠져나온 잔여 광을 상부로 거울 반사시킬 수 있다. 즉,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에는 구비된 발광소자에서 출사되는 전면 출사광과 더불어, 상기 반사판(400)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을 함께 이용한다. 이로써,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광 회수량을 늘려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판(400)의 경면 처리는 상기 반사판(400)이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을 향하는 면에 이루어진다.The reflector 400 is made mainly of white resin such as white pigment or white dye. The reflector 400 is made of a thin sheet material of 0.1 mm or less and is easy to cut and cut, making it different from the metal plate 300 formed by methods such as metal molding. The surface of the reflector 400 is mirror-finished so that residual light that escapes from the bottom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can be mirror-reflected to the top. That is,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uses the fron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as well as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400. As a result, light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light recovery amoun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The mirror surface treatment of the reflector 400 is performed on the side of the reflector 400 fac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상기 반사판(400)에 경면 처리로 표면에 부분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은, 금, 구리 등의 금속 성분, 또는 니켈 또는 크롬 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백색 수지 대비 포함된 금속 성분의 양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금속판(300)과 다른 반사판(400)의 쉬트 특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The reflector 400 may partially include metal components such as aluminum, silver, gold, or copper, or a nickel or chrome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through a mirror finish, but the amount of metal components included compared to the white resin is relatively small, It does not affect the sheet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plate 300 and the other reflector plate 400.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금속판(300)은 금속 베이스층(300a)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요구되는 곡률에 맞게 금속 몰딩 등으로 커브드된 표면을 갖도록 단위 금속판(300) 단위로 성형된 후 상기 금속 베이스층(300a)의 양 표면에 흡광 코팅층(310a, 310b)을 형성한 것이다. 반면 반사판(400)은 0.1mm 두께 이하의 얇은 쉬트 혹은 필름 상으로 제조한 것으로, 복수개의 단위 반사판(400)을 포함하는 원장 단위로 공급된다.Looking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metal plate 300 is formed as a unit metal plate 300 so that the metal base layer 300a has a surface curved by metal molding to match the curvature required for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then the metal base layer (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s 310a and 310b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300a).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or 4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ilm with a thickness of 0.1 mm or less, and is supplied as 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reflectors 400.

체결 과정에서, 반사판(400)은 원장 단위에서 단위 반사판(400)으로 절단되며, 쉬트 혹은 필름이 갖는 가요성에 의해 체결 공정에서 곡면을 갖는 금속판(300)의 표면에 부착이 용이한 것이다.In the fastening process, the reflector 400 is cut into unit reflectors 400 from the ledger unit, and the flexibility of the sheet or film makes it easy to attach to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300 having a curved surface in the fastening process.

금속판을 복수개의 금속재료층을 적층시켜 형성한 구조 대비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은 금속판(300)과 반사판(400)의 계면에서 흡광 코팅층(310a)이 수행하는 흡광으로 잔여광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계면 반사를 더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순히 금속 재료층을 적층시키는 경우 반사광이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상부로 완전히 전량 전달되지 않고 금속 재료내에서 전반사 등으로 흡수되거나 혹은 금속판 하부로 일부 빠질 수 있어 금속판(300)의 복수 금속 적층 배치만으로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와 같은 광의 회수율을 얻을 수 없다. 구체적인 실험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Compared to a structur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 layers on a metal plate,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leakage of residual light through light absorption performed by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310a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etal plate 300 and the reflector plate 400. It can be prevented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more interface reflection. When simply stacking metal material layers, the reflected light is not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nd is absorbed by total reflection within the metal material, or some of it may fall into the lower part of the metal plate, resulting in a multi-metal stack arrangement of the metal plate 300.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the same light recovery rate as i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perimental example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과 상기 반사판(400) 사이에는 투명한 지지필름(22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지지 기능을 돕고, 반사판(400)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배면의 직접적인 오염을 방지하고 방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Meanwhile, a transparent support film 22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nd the reflector 400 to assist the support fun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 200), direct contamination of the back surface can be prevented and the heat dissipation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지지필름(220)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기재의 양면 중 발광소자가 있는 면(제1 면)의 반대편 면(제2 면)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필름(220)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탈레이트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 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또는 기타 적합한 폴리머의 조합으로 구성된 박형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220)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물질은 박형 유리, 유전체로 차폐된 금속 호일(metal foil), 다층 폴리머, 나노 파티클 또는 마이크로 파티클과 조합된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고분자 필름 등일 수 있다. 지지필름(220)은 지지력을 위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기재(도 4의 151 참조)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The support film 220 is attached to the sid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opposite to the side (first side) w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located. The support film 220 is made of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polycarbonate, polyarylate, poly It may be made of a thin film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polyether imide, polyether sulfonate, polyimide, polyacrylate, or other suitable polymers. Other suitable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form the support film 220 may be thin glass, dielectric-shielded metal foil, multilayer polymers, polymer films containing polymer materials in combination with nanoparticles or micro particles, etc. there is. The support film 220 may be thicker than the substrat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see 151 in FIG. 4) for support.

지지 필름(22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배면을 지지 필름(220)과 부착시킨 후에, 금속판(300) 및 반사판(400)과의 체결 공정을 진행한다.When the support film 220 is provided, the back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is attached to the support film 220, and then a fastening process with the metal plate 300 and the reflector 400 is performed.

이하,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사판과 금속판 표면의 흡광 코팅층의 의의를 살펴본다.Hereinafter, the significance of the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or and metal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experimental examples.

도 3a 내지 도 3c는 제 1 내지 제 3 실험예에 따른 단면도이다.3A to 3C are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first to third experimental examples.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각 실험예는 공통적으로 표시 패널(200) 상에 광각 조절 필름(150)과 커버 부재(100)를 갖고, 상기 표시 패널(200) 하측에 투명한 지지 필름(220)을 갖는다.3A to 3C, each experimental example has a wide angle adjustment film 150 and a cover member 100 on the display panel 200, and a transparent support film 220 below the display panel 200. has

제 1 실험예는 지지 필름(220) 하측에 금속 베이스층(300a)과 그 양면에 흡광 코팅층(310a, 310b)을 갖는 구성으로 금속판(300)을 부착하여 구비한 것이다.The first experimental example is provided by attaching a metal plate 300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film 220 and having a metal base layer 300a and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s 310a and 310b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ilm 220.

제 2 실험예는 지지 필름(220) 하측에 단일의 금속 베이스층(300a)을 구비한 것이다.The second experimental example is one in which a single metal base layer 300a is provided under the support film 220.

제 3 실험예는, 지지 필름(220) 하측에 백색 유광 쉬트의 반사판(400)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 금속 베이스층(300a)과 그 양면에 흡광 코팅층(310a, 310b)을 갖는 구성으로 금속판(300)을 부착하여 구비한 것이다.The third experimental example is a metal plate comprising a white glossy sheet reflector 400 below the support film 220, a metal base layer 300a below the support film 220, and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s 310a and 310b on both sides. It is provided by attaching (300).

표 1과 같이, 제 1 실험예의 측정 휘도는 537nit, 제 2 실험예의 측정 휘도는 540nit 및 제 3 실험예의 측정 휘도는 562nit로 관찰되었다. 이를 동일 휘도에서 소비 전류 관점에서 살펴보면, 제 2 실험예 대비 제 1 실험예에서 36mA의 소비 전류의 절감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Table 1, the measured luminance of the first experimental example was 537 nit, the measured luminance of the second experimental example was 540 nit, and the measured luminance of the third experimental example was 562 nit. Looking at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consumption at the same luminance, it was confirmed that a reduction in current consumption of 36 mA was possible in the first experimental example compared to the second 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중 제 1, 제 2 실험예에서 상대적으로 단일 금속층의 제 2 실험예에서 양면 흡광 코팅층을 구비한 제 1 실험예보다 측정 휘도가 약간 높은 점을 확인할 수 있으나, 실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자동차용 표시 장치에 적용 시 흡광 코팅층을 구비하지 않은 제 1 실험예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배면측으로 빠져나오는 누설 광이 관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mong the experimental examples, it can be seen that in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al examples, the measured luminance in the second experimental example with a single metal layer is slightly higher than in the first experimental example with a double-sided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but in reality, Figures 1 and 2 and Similarly, when applying to a display device for automobiles,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a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irst experimental example without a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leakage light escaping from the back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was observed.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제 1, 제 2 실험예의 낮은 휘도 특성과 누설 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3 실험예 구조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구성하였고, 이의 휘도 향상과 소비 전력 절감의 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third experimental example to solve the low brightness characteristics and leakage light problems of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al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the advantages of improving brightness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are achieved. was able to confirm.

구분division 측정 휘도[nit]Measured luminance [nit] 제 1 실험예 (양면 흡광코팅층을 갖는 금속판)First Experimental Example (Metal plate with double-sided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537537 제 2 실험예 (금속 베이스층 단일 금속판)Second Experimental Example (Single metal plate with metal base layer) 540540 제 3 실험예 (반사판+양면 흡광코팅층을 갖는 금속판)Third Experimental Example (Metal plate with reflector + double-sided light absorbing coating layer) 562562

이하,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we will look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panel 200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play panel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같이, 상기 표시 패널(200)은 기재(15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52),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가 적층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 상에 터치 센서부(155)가 위치한다. 상기 터치 센서부(155) 외로도 사용자 인증 기능(예: 지문 인식), 멀티 레벨 압력 감지 기능,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 기능 등을 제공하는 부가 요소들을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 상에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panel 200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152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ray 153 stacked on a substrate 151, and a touch sensor unit ( 155) is located. In addition to the touch sensor unit 155, additional elements that provide a user authentication function (e.g., fingerprint recognition), a multi-level pressure detection function, a tactile feedback function, etc. are further add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ray 153. It can be included.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52) 및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는, 기재(151)의 액티브 영역(AA)에 매트릭스 상으로 정의되는 복수개의 서브 화소마다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유기 발광 소자(OLED)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152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ray 153 include one or more thin film transistors (TFT) for each of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in a matrix in the active area (AA) of the substrate 151, and the thin film transistor It is made of connect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OLED). It will be described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4 .

기재(151)는 표시 패널(2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지지한다. 기재(151)는 투명한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151)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우, 플라스틱 필름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151)는 폴리이미드 계 고분자,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이 물질 중에서, 폴리이미드는 고온의 공정에 적용될 수 있고, 코팅이 가능한 재료이기에 플라스틱 기판으로 주로 이용된다. 기판(어레이 기판)은, 상기 기재(151) 위에 형성된 소자 및 기능 층, 예를 들어 스위칭 TFT, 스위칭 TFT와 연결된 구동 TFT, 구동 TFT와 연결된 유기발광소자, 보호막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칭되기도 한다.The substrate 151 supports various components of the display panel 200. The substrate 15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When the substrate 151 is made of plastic, it may be referred to as a plastic film or a plastic substrate. For example, the substrate 151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containing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based polymer, polyester-based polymer, silicone-based polymer, acrylic polymer, polyolefin-based polymer, and copolymers thereof. Among these materials, polyimide is mainly used as a plastic substrate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high-temperature processes and is a coatable material. The substrate (array substrate) is also referred to as a concept including elements and functional layers formed on the substrate 151, such as a switching TFT, a driving TFT connected to the switching TFT,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nnected to the driving TFT, a protective film, etc. .

경우에 따라 버퍼 층(buffer layer)(미도시)이 기재(15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층은 기재(151) 또는 하부의 층들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 층이다. 상기 버퍼 층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또는 이들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some cases, a buffer layer (not shown) may be located on the substrate 151. The buffer layer is a functional layer to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from impurities such as alkali ions leaking from the substrate 151 or lower layers. The buffer layer may be made of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a multilayer thereof.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52)는 게이트 전극(132), 게이트 절연막(112), 반도체 층(134), 층간 절연막(114),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 138)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130, TF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30, TFT)는 기재(151) 상의 액티브 영역(AA)에 구비된 복수개의 서브 화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152 is a thin film transistor 130 in which a gate electrode 132, a gate insulating film 112, a semiconductor layer 134,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4, and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6 and 138 are sequentially arranged. , TFT). The thin film transistor 130 (TFT) is provided in at least one sub-pixel provided in the active area AA on the substrate 151.

상기 반도체층(134) 및 게이트 전극(132)의 형성 순서는 바뀔 수 있다.The formation order of the semiconductor layer 134 and the gate electrode 132 may be changed.

상기 반도체 층(134)은 상기 기재(151) 또는 버퍼 층 상의 소정 부위에 위치한다. 반도체 층(134)은 폴리 실리콘(p-Si)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정의 영역이 불순물로 도핑될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 층(134)은 아몰포스 실리콘(a-Si)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펜타센 등과 같은 다양한 유기 반도체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반도체 층(134)은 산화물(oxide)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112)은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 등과 같은 절연성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절연성 유기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132)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 예컨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텅스텐(W), 금(Au)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layer 134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substrate 151 or the buffer layer. The semiconductor layer 134 may be made of polysilicon (p-Si), in which case a predetermined region may be doped with impurities. Additionally, the semiconductor layer 134 may be made of amorphous silicon (a-Si), or may be made of various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such as pentacene. Furthermore, the semiconductor layer 134 may be made of oxide. The gate insulating film 112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or may also be formed of an insulating organic material. The gate electrode 132 is made of various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magnesium (Mg), aluminum (Al), nickel (Ni), chromium (Cr), molybdenum (Mo), tungsten (W), gold (Au), or alloys thereof. etc. can be formed.

제 1 층간 절연막(114)은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 등과 같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절연성 유기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층간 절연막(114)의 선택적 제거로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이 노출되는 컨택 홀(contact hole)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4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Nx), or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organic material. By selectively remov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4, a contact hole exposing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may be formed.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 138)은 제 1 층간 절연막(114) 상에 전극용 물질로 단일층 또는 다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6 and 138 are formed of an electrode material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4 in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hape.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6, 138)을 덮으며, 무기 보호막(116) 및 평탄화 층(118)이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무기 보호막(116)과 평탄화 층(118)은 박막트랜지스터를 보호하고 그 상부를 평탄화한다. 무기 보호막(116)은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평탄화 층(118)은 BCB(Benzocyclobutene) 또는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유기 절연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기 보호막(116) 및 평탄화층(118)은 각각이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이중 혹은 다중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두 층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An inorganic protective film 116 and a planarization layer 118 may be position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covering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6 and 138.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 116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18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planarize the upper part thereof.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 116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such as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ide (SiOx),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18 may be formed of an organic insulating film such as Benzocyclobutene (BCB) or acryl.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 116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18 may each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ay be composed of double or multiple layers, and in some cases, either one of the two layers may be omitted.

상기 기재(151) 상의 각 서브 화소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130, TFT)와, 무기 보호막(116) 및 평탄화층(118)을 포함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52)라 한다.It is referred to as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152,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130, TFT) provided in each sub-pixel on the substrate 151, an inorganic protective film 116, and a planarization layer 118.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접속되는 유기발광소자(OLED)는 제1 전극(122), 유기발광 층(124), 제2 전극(126)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유기발광소자(OLED)는 평탄화 층(118) 및 무기 보호막(116) 내에 구비되는 접속 홀(148)을 통해 드레인 전극(138)과 접속된 제 1 전극(122), 제1 전극(122) 상에 위치한 유기발광 층(124) 및 유기발광 층(114) 상에 위치한 제2 전극(116)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may have a first electrode 122,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4, and a second electrode 126 sequentially disposed. That i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includes a first electrode 122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38 through a connection hole 148 provid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118 and the inorganic protective film 116. ) may be composed of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4 locat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4 and a second electrode 116 locat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14.

표시 패널(200)이 제 2 전극(126) 상부로 출사가 이루어지는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22)은 반사율이 높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포함되는 반사성 도전 물질은, 예를 들면, 은(Ag), 알루미늄(Al), 금(Au), 몰리브덴(Mo), 텅스텐(W), 크롬(Cr)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200 is a top emission type in which light is emitted above the second electrode 126, the first electrode 122 may include an opaque conductive material with high reflectivity. At this time, the reflective conductive material included may be, for example, silver (Ag), aluminum (Al), gold (Au), molybdenum (Mo), tungsten (W), chromium (Cr), or alloys thereof. .

뱅크(128)는 발광 영역을 오픈시키며 발광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뱅크(128)는 발광 영역과 대응되는 제1 전극(122)을 노출시키는 뱅크 홀을 가진다. 뱅크(128)는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x)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BCB, 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미드계 수지와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bank 128 opens the light emitting area and is formed in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light emitting area. Accordingly, the bank 128 has a bank hole that exposes the first electrode 122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The bank 128 may be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ide (SiOx), or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BCB, acrylic resin, or imide resin.

유기발광 층(124)이 뱅크(128)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122) 상에 위치한다. 유기발광 층(124)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 층(124)은, 단일 스택 내에 하나의 빛을 발광하는 단일 발광층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복수 스택을 포함하고 각 스택에 동일한 색의 단일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 스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색상의 표시를 위해 인접한 서브 화소들이 서로 다른 발광색을 발광하도록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발광층을 갖는 서브 화소들이 나란히 혹은 삼각형 형상 등의 배치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백색의 서브 화소들의 배치를 추가할 수 있다. 그 밖의 유기 발광층(124)의 배치 구조로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한 복수 스택을 적층하여 백색을 표현할 수 있다. 적층 구조로 백색을 표현할 경우에는 별도의 컬러 필터가 각 서브 화소에 더 부가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4 is located on the first electrode 122 exposed by the bank 128 .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4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 light-emit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dditionally,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4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ight-emitting layer structure that emits one light within a single stack, or may be composed of a multiple stack structure including multiple stacks and each stack including a single light-emitting layer of the same color. It can be configured. In this case, adjacent sub-pixels may be arranged to emit different colors to display various colors. For example, sub-pixels having red, green, and blue light-emitting layer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r in a triangular shape. In some cases, arrangement of white sub-pixels may be added. In addition, with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24, white can be expressed by stacking multiple stacks including light-emitting layers emitting different colors. When expressing white through a stacked structure, a separate color filter may be added to each sub-pixel.

제2 전극(126)이 유기발광층(124) 상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200)이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인 경우, 제2 전극(126)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uim Zinc Oxide; I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MgAg 등과 같은 반투과성 금속 혹은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져 유기발광 층(124)에서 생성된 광을 제2 전극(126) 상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26 is locat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4. When the display panel 200 is a top emission type, the second electrode 126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The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4 can be emit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126 by being formed or made of a semi-transparent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MgAg.

도 4에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152) 상에 적층 구성되는 제 1 전극(122), 유기발광 층(124) 및 제 2 전극(126)의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층상 구조와 더불어 그 상부에 캐핑층(미도시)까지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캐핑층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보호하고 제 2 전극(126)으로 나오는 광의 추출을 돕는다.In FIG. 4,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ray 153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of the first electrode 122,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24, and the second electrode 126 stack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152. In addition to the layered structure, it may include a capping layer (not shown) on top. The capping layer protect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helps extract light com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126.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 상에는 봉지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봉지층(140)은, 발광 재료와 전극 재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의 산소 및 수분 침투를 막는다. 유기발광소자(OLED)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발광 영역이 축소되는 화소 수축(pixel shrinkage) 현상이 나타나거나, 발광 영역 내 흑점(dark spot)이 생길 수 있다. 상기 봉지 층(encapsulation layer)(140)은 유리, 금속, 산화 알루미늄(AlOx) 또는 실리콘(Si) 계열 물질로 이루어진 무기막(142, 146)과 표시 패널(200)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평탄화 성능을 강화하는 유기막(144)의 교번 구성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유기막(144)의 성분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또는 실리콘옥시카본(SiOC)과 같은 유기 절연 재질일 수 있다. 이 때, 제 1, 제 2무기막(142, 146)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유기막(144)은 제 1 무기막(142)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봉지 층을 여러 겹의 박막 층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단일 층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이동 경로를 길고 복잡하게 하여, 유기발광소자 어레이(153)까지 수분/산소의 침투를 어렵게 만들려는 것이다.An encapsulation layer 140 is includ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ray 153. The encapsulation layer 140 prevents oxygen and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o prevent oxidation of the light emitting material and electrode material. When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OLED) is exposed to moisture or oxygen, pixel shrinkage, which reduces the light-emitting area, may occur, or dark spots may form within the light-emitting area. The encapsulation layer 140 is an inorganic layer 142, 146 made of glass, metal, aluminum oxide (AlOx), or silicon (Si)-based material, and the stress between each layer due to bending of the display panel 200. It acts as a buffer to alleviate and is formed by an alternating configuration of organic films 144 that enhance planarization performance. Here, the component of the organic layer 144 may be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crylic resin, epoxy resin, polyimide, polyethylene, or silicon oxycarbon (SiOC).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inorganic films 142 and 146 serve to block penetration of moisture or oxygen, and the organic film 144 serves to flatten the surface of the first inorganic film 142. The reason for forming the encapsulation layer as multiple thin film layers is to make the moisture/oxygen movement path longer and more complicated than a single layer, making it difficult for moisture/oxygen to penetrate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ray 153.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와 봉지층(140) 사이에 보호층이 더 형성되어, 봉지층(140)의 제조공정 중에 봉지층(140)의 측면이 벗겨지거나 균일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봉지층(14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봉지층(140)은 수분에 취약한 유기 발광 소자(OLED)에 필수적인 구성이기에,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의 구성으로 보기도 한다. 도 4는 봉지층(140)과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 구성으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로 나타내어 도시한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some cases, a protective layer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the encapsulation layer 140, so that the sides of the encapsulation layer 140 are peeled off or uneve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ncapsulation layer 140.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encapsulation layer 140 from being affected. In some cases, the encapsulation layer 140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OLED) that is vulnerable to moisture, so it may be viewed as a component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rray 153. FIG. 4 illustrat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ray 153 including an encapsulation layer 14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한편, 본 발명의 표시 패널(200)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 상에 시청자(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터치 센서부(155)를 더 구비한다.Meanwhile, the display pan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ouch sensor unit 155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ray 153 to recognize a viewer's (user) touch operation.

상기 터치 센서부(155)는 서로 교차하여 배열되며 어느 한쪽이 전압 신호가 인가되고 다른 한쪽이 전압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터치 배선(1154) 및 제 2 터치 배선(1152b와 동일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터치 배선(1154)과 제 2 터치 배선은 각각 터치 절연막(1158) 상에 다각형 혹은 원형의 동일 형상으로 패터닝된 주 패턴(1154e, 미도시)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인접한 주 패턴을 연결하기 위해 제 1, 제 2 브릿지 패턴(1154b, 1152b)이 서로 다른 층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 상에는 상기 제 1 브릿지 패턴(1154b)이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 바로 상부에 형성된 바를 나타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 상에 절연막이나 혹은 절연 기재를 더 구비하여 그 상부에 제 1 브릿지 패턴(1154b)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브릿지 패턴(1152b)은 제 2 터치 배선의 주 패턴과 동일층, 즉, 터치 절연막(1158) 상에 위치하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터치 배선(1154)의 주 패턴(1154e)은 상기 제 2 터치 배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구분된다.The touch sensor units 155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nd include a first touch wire 1154 and a second touch wire 1154 (same layer as 1152b), one of which receives a voltage signal and the other of which senses the voltage signal. . The first touch wire 1154 and the second touch wire each have main patterns 1154e (not shown) patterned in the same polygonal or circular shape on the touch insulating film 115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djacent main patterns are provided. For connection purposes, first and second bridge patterns 1154b and 1152b are shown on different layers. In the drawing, the first bridge pattern 1154b is shown formed directly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rray 153,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insulating film or an insulating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rray 153. A first bridge pattern 1154b may be provided on the top. The second bridge pattern 1152b is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main pattern of the second touch wire, that is, on the touch insulating film 1158, and may be formed as one piece. In this case, the main pattern 1154e of the first touch wire 1154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second touch wire.

커버 부재(100)와 상기 터치 센서부(155) 사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서로 합착 상태를 이룰 수 있다.An adhesive layer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ver member 100 and the touch sensor unit 155 to form a bonded state.

한편, 터치 센서부(155)에서 전압 신호 인가 및 신호 센싱을 위해 제 1 플렉서블 필름(미도시)이 제 1 터치 배선(1154) 및 제 2 터치 배선(1152b와 동일층)의 일단에 위치하는 터치 패드들(미도시)과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들은 상기 제 1 브릿지 패턴(1154b)와 동일층, 즉,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53)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flexible film (not shown)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touch wire 1154 and the second touch wire (same layer as 1152b) for voltage signal application and signal sensing in the touch sensor unit 155. It may be connected to pads (not shown). For example, the touch pads may be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bridge pattern 1154b, that is, on top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ray 153.

상기 표시 패널(200)의 강도 및/또는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지 층(미도시)이 상기 기재(151)의 하부, 즉, 표시면과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층은, 상기 기재(151)의 양면 중 유기발광소자가 있는 면(제1 면)의 반대편 면(제2 면)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 층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탈레이트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 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또는 기타 적합한 폴리머의 조합으로 구성된 박형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층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물질은 박형 유리, 유전체로 차폐된 금속 호일(metal foil), 다층 폴리머, 나노 파티클 또는 마이크로 파티클과 조합된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고분자 필름 등일 수 있다.To increase the strength and/or rigidity of the display panel 200, one or more support layer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151,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display surface. The support layer is attached to the side (second side) opposite to the side (first side)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located among both sides of the substrate 151. The support layer i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ether phthalate, polycarbonate, polyarylate, and polyether imide. It can be made of a thin film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polyether imide, polyether sulfonate, polyimide, polyacrylate, or other suitable polymers. Other suitable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form the support layer may be thin glass, dielectrically shielded metal foil, multilayer polymers, polymer films containing polymer materials in combination with nanoparticles or micro particles, etc.

한편, 상기 표시 패널(200)의 배면(하면)에는 도 1의 지지 필름(220), 반사판(400) 및 금속판(300)이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film 220, the reflector 400, and the metal plate 300 of FIG. 1 may be sequentially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0.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광이 흡수되는 계면측에 반사판을 더 구비함으로써, 반사판에서 광의 전면(前面) 출사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flector on the interface side where light is absorbed, thereby improv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front of the reflector, thereby improving brightness.

그리고, 표시 패널의 전면(前面: 표시 패널의 상부측) 출사량을 늘려 일정 휘도량에 대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저전력 구동에 따라 표시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emission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top side of the display panel), power consumption for a certain amount of luminance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lifespan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low-power operation.

또한, 소비 전력 감소에 따라 표시 패널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 이는 표시 장치의 발열량 저감에 의해 표시 장치 내에 구비되는 구성 요소들의 경시적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 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can be reduced 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is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lifespan of the display device by preventing damage over time to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display device.

자동차와 같이 고휘도 특성이 요구되는 장치에서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200)의 하부로 나오는 광 중 반사판(400)과 금속판(300)의 계면 사이에서 상부 반사를 유도하여, 잔여 광의 광회수량을 늘려 장치의 고휘도 특성에 부응할 수 있다.In devices that require high brightness characteristics, such as automobiles, the flexib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upper reflection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the reflector 400 and the metal plate 300 among the light coming from the bottom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200,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remaining ligh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recovery, it is possible to meet the high brightness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당업자에 의해 기술적으로 다양하게 연동 및 구동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thereof.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technically linked and driven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each embodiment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implemente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커버 부재 150: 광각 제어 필름
200: (플렉서블) 표시 패널 210: 신호전송필름
220: 지지 필름 250: 소스 인쇄회로기판
300: 금속판 300a: 금속 베이스층
310a: 제 1 흡광 코팅층 310b: 제 2 흡광 코팅층
400: 반사판
100: Cover member 150: Wide angle control film
200: (flexible) display panel 210: signal transmission film
220: Support film 250: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300: metal plate 300a: metal base layer
310a: first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310b: second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400: Reflector

Claims (14)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어레이부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기재의 배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흡수하는 금속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상기 어레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은 금속 베이스층, 및 상기 금속 베이스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흡광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흡광 코팅층은,
상기 반사판과 대면하게 상기 금속 베이스층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1 흡광 코팅층, 및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상기 금속 베이스층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 2 흡광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A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 substrate and an array unit on the substrate;
a metal plat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bsorbing light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a reflector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metal plate that reflects light coming from a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oward the array unit;
The metal plate includes a metal base layer and a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base layer,
The light absorbing coating layer is,
A first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base layer to face the reflector,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metal base layer, which is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 코팅층은 상기 금속판의 배면측으로 광이 비시인되게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is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allows light to be invisible to the rear side of the metal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 코팅층은 적어도 블랙 수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black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경면 처리된 백색 쉬트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reflector is a white sheet with a mirror finis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상기 제 1 흡광 코팅층은 서로 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reflector and the first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상기 흡광 코팅층의 계면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의 반사가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light exiting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reflect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reflector and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반사판 사이에 투명 지지 필름을 더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flexibl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support film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refl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부 상부에 광각을 제어하는 광각 제어 필름을 더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flexibl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ing a wide-angle control film for controlling the wide angle on the upper part of the array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제어 필름 상부에 투명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flexibl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ransparent cover member on top of the wide-angle control film.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어레이부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기재의 배면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흡수하는 금속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금속판 사이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 하측으로 나오는 광을 상기 어레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상기 어레이부 상부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부터 나오는 광의 광각을 조절하는 광각 제어 필름; 및
상기 광각 제어 필름 상부에 투명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은 금속 베이스층, 및 상기 금속 베이스층의 양면에 배치되는 흡광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흡광 코팅층은,
상기 반사판과 대면하게 상기 금속 베이스층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 1 흡광 코팅층, 및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상기 금속 베이스층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 2 흡광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A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 substrate and an array unit on the substrate;
a metal plat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bsorbing light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a reflector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and the metal plate that reflects light coming from a low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toward the array unit;
a wide-angle control film that adjusts the wide angle of light emitted from the flexible display panel on the upper part of the array unit; and
Includes a transparent cover member on top of the wide-angle control film,
The metal plate includes a metal base layer and a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base layer,
The light absorbing coating layer is,
A first light-absorbing coating layer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base layer to face the reflector,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metal base layer, which is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 코팅층은 상기 금속판의 배면측으로 광이 비시인되게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is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allows light to be invisible to the rear side of the metal pla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광 코팅층은 적어도 블랙 수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includes at least black resi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경면 처리된 백색 쉬트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reflector is a white sheet with a mirror finish.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상기 제 1 흡광 코팅층은 서로 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rein the reflector and the first light absorption coating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KR1020180164057A 2018-12-18 2018-12-18 Flexible Display Device Active KR1026672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57A KR102667252B1 (en) 2018-12-18 2018-12-18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57A KR102667252B1 (en) 2018-12-18 2018-12-18 Flexi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11A KR20200075411A (en) 2020-06-26
KR102667252B1 true KR102667252B1 (en) 2024-05-21

Family

ID=7113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57A Active KR102667252B1 (en) 2018-12-18 2018-12-18 Flexi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25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465B1 (en) * 2014-03-05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2747418B1 (en) * 2016-11-28 2024-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11A (en)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501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6629564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1971201B1 (en) Du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553875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CN108022951A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75688A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fabricationg the same
KR102673973B1 (en) Display Device
KR20200021188A (en) Display device
KR2024003722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00052167A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808046B1 (en) Display device
US20240036672A1 (en) Display device
KR20220041803A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6725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2039897B2 (en)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edge burn-in
KR10272350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50040372A1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5955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ver window of the same
EP4485125A1 (en) Display apparatus
EP4561323A1 (en) Display apparatus
KR20240036923A (en) Display Apparatus
US20240074287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237496A9 (en) Display apparatus
KR102783076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3319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