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5567B1 -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 Google Patents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567B1
KR102665567B1 KR1020180042474A KR20180042474A KR102665567B1 KR 102665567 B1 KR102665567 B1 KR 102665567B1 KR 1020180042474 A KR1020180042474 A KR 1020180042474A KR 20180042474 A KR20180042474 A KR 20180042474A KR 102665567 B1 KR102665567 B1 KR 10266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load
upper link
coil spring
control device
link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262A (ko
Inventor
양행식
이성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5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5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3Lateral adjustment of thei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작업차량의 연결링크에 작업기를 부착하여 작업을 수행하면서 상기 작업기에 의하여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연결링크를 구동해 작업기의 경심을 조정하여 견인 부하를 조절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링크(40)의 상부링크(41)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상기 상부링크(41)를 거쳐 인가되는 상부링크브라켓(110);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130);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는 견인부하전달로드(140);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구동되며, 상기 연결링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AGRICULTURAL WORKING MACHINE WITH TRAILING LOA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작업차량의 연결링크에 작업기를 부착하여 작업을 수행하면서 상기 작업기에 의하여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연결링크를 구동해 작업기의 경심을 조정하여 견인 부하를 조절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후방의 3점 히치 등 연결링크(40)에 플로우(plow)나 로터베이트(rotavator), 레이크(rake), 해로우(harrow) 등 여러 종류의 작업기(50)를 부착하여 경운, 쇄토, 방제, 양수, 탈곡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40)는 견인조절레버(1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의 경심 등을 조절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농작업차량(1)의 연결링크(40)에 작업기(50)를 부착한 상태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에 따라 상기 견인조절레버(10)를 조작하여 상기 작업기(50)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의 연결링크(40)에 부착되는 작업기(50)는 토양의 상태 등에 따라 견인 부하를 발생시키면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플로우(plow, 쟁기)를 이용하여 경운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시 쟁기날이 토양 안쪽으로 파고드는 특성으로 인해 경심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나아가 경심이 깊어지면 작업기(50)의 견인 부하가 증가하면서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 슬립(slip)이 발생하거나 연료 소모가 늘어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엔진의 시동이 꺼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는 통상적으로 경운 작업 등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변화하는 견인 부하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부하조절장치는 작업 중 작업기(50)의 경심이 깊어지면서 견인 부하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작업기(50)가 부착되는 연결링크(40)를 승강하여 상기 작업기(50)의 견인 부하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2b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랙터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60)를 예시하고 있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견인부하조절장치(60)에서는 연결링크(40)에 부착되는 플로우(plow) 등 작업기(50)가 작업 중 토양에 의해 힘을 받게 되면서 상기 작업기(50)의 전방은 하측 방향으로, 상기 작업기(50)의 후방은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기(50)의 후방이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작업기(50)가 부착되는 연결링크(40)의 상부링크(41)로 힘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링크(41)가 상부링크 브라켓(42)에 구비되는 판스프링(61)을 밀게 된다(도 2b의 ①). 이때, 상기 판스프링(61)이 밀리면서(도 2b의 ②) 상기 판스프링(61)과 연동되는 연결레버(62)를 회전시키게 되고(도 2b의 ③), 이어서 상기 연결레버(62)의 회전에 의해 견인부하조절링크(63)가 구동되면서(도 2b의 ④), 상기 연결링크(40)의 승하강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기(50)의 견인 부하를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견인부하조절장치(60)에서 판스프링(61)은 탄성을 가지는 판상의 구조물로서, 재질 및 형상 등에 따라 탄성이 달라지는 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른 변형의 정도가 다르고, 또한 변형 이후 원상으로의 적절하게 회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판스프링(6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상기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의 작업 중 인가되는 토양, 먼지 등 이물질에 직접 노출되면서, 상기 이물질이 상기 판스프링(61) 주변에 끼어 상기 판스프링(61)의 작동을 방해하여 상기 견인부하조절장치(60)가 정상적으로 견인 부하를 조절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따를 수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001-0017741호(1001.03.05)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농작업차량(1)의 견인부하조절장치(60)에서 사용되는 판스프링(61) 등의 탄성체가 재질 및 형상 등에 따라 탄성 등의 특성이 달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른 변형 특성이 달라지거나 변형 이후 원상으로의 적절하게 회복되지 못하면서 견인 부하 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판스프링(61) 등의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 중 토양, 먼지 등 이물질에 직접 노출되면서, 상기 이물질이 상기 판스프링(61) 주변에 끼어 작동을 방해하면서 정상적으로 견인 부하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견인부하조절장치(6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은, 연결링크(40)의 상부링크(41)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상기 상부링크(41)를 거쳐 인가되는 상부링크브라켓(110);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130);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는 견인부하전달로드(140);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구동되며, 상기 연결링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은 힌지 구조를 이루어 연결핀(11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을 구동하여 상기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돌출부(141)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41)는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일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1종단구조물(160)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으로부터 인가되는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제1종단구조물(160)을 구동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타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2종단구조물(170), 및 상기 돌출부(141)에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상기 견인 부하를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양측 종단에 제1체결부(142) 및 제2체결부(143)를 구비하며, 상기 제2체결부(143)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143a)는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타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2종단구조물(170)에 안착되어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제2종단구조물(170)을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상기 제1체결부(142)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142a)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체결부재(142a) 또는 상기 제2체결부재(143a)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의 조절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농작업차량(1)의 유압하우징(70)에 내장되며, 상기 유압하우징(70)에는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의 구동을 위한 관통구(181)가 구비되는 차폐구조물(180)이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20)이 인입되는 개구(71)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에서는,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함에 있어서, 하우징(120)에 코일스프링(130)을 내장하여 차폐하고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견인부하전달로드(140)를 거쳐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인가하면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연동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를 이용하여 상기 견인 부하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견인 부하에 따라 판스프링(61) 등 탄성체의 변형 특성이 달라지거나 변형 후 원상으로 적절히 회복되지 못하면서 견인 부하 조절이 정성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 중 토양, 먼지 등 이물질이 축적되면서 상기 판스프링(61) 등 탄성체의 작동을 방해하여 견인 부하를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작업기(50)가 부착된 농작업차량(1)의 예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통상의 연결링크(40)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60)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사시도(도 3(a))와 주요 구성품에 대한 분해도(도 3(b))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는, 연결링크(40)의 상부링크(41)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상기 상부링크(41)를 거쳐 인가되는 상부링크브라켓(110),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130),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는 견인부하전달로드(140)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구동되며, 상기 연결링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은 힌지 구조를 이루어 연결핀(11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을 구동하여 상기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농작업차량(1)의 유압하우징(7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압하우징(70)에는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의 구동을 위한 관통구(181)가 구비되는 차폐구조물(180)이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20)이 인입되는 개구(71)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에서는,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함에 있어서, 하우징(120)에 코일스프링(130)을 내장하여 차폐하고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견인부하전달로드(140)를 거쳐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인가하면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연동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를 이용하여 상기 견인 부하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견인 부하에 따라 종래 판스프링(61) 등 탄성체의 변형 특성이 달라지거나 변형 후 원상으로 적절히 회복되지 못하면서 견인 부하 조절이 정성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 중 토양, 먼지 등 이물질이 축적되면서 상기 판스프링(61) 등 탄성체의 작동을 방해하여 견인 부하를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확대 단면도(도 4의 (A) 부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 상부링크브라켓(110)은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상부링크(41)를 거쳐 인가받아, 견인부하전달로드(140)를 거쳐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며, 이때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가 연동되어 구동되면서, 상기 연결링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20)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농작업차량(1)의 유압하우징(70)에 내장되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은 힌지 구조를 이루어 상기 유압하우징(70)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핀(11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을 구동하여 상기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견인부하조절링크(150)는 링크연결핀(112)을 통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는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링크(41)가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체결점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링크(41)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링크(41)를 거쳐 인가되는 견인 부하에 따른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나아가 이에 따른 견인 부하의 조절 정도가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내장하여 차폐함으로써, 외부 노출 시 작업 중 발생할 수있는 토양, 먼지 등 이물질의 축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130)은 통상적으로 우수한 복원력과 균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바, 종래의 판스프링(61) 등에 의하여 초래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농작업차량(1)의 유압하우징(70)에 내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20)이 상기 유압하우징(7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120)을 상기 유압하우징(70)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0)을 적절하게 차폐하기 위한 차폐구조물(180)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20)이 상기 유압하우징(70)에 내장되는 경우,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이 인입되는 개구(71)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구조물(180)이 구비되어 상기 개구(71)를 차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차폐구조물(180)에는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의 구동을 위한 관통구(181)가 구비되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의 구동을 통해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면서도 상기 하우징(120)으로 인입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돌출부(1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41)는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일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1종단구조물(160)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으로부터 인가되는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제1종단구조물(160)을 구동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시키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양측 종단에 제1체결부(142) 및 제2체결부(1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체결부(143)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143a)는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타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2종단구조물(170)에 안착되어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제2종단구조물(170)을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상기 제1체결부(142)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142a)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구동되면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재(142a), 제2체결부재(143a)는 고정용 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142), 제2체결부(143)는 상기 너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산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재(142a) 또는 상기 제2체결부재(143a)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의 조절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체결부재(142a) 또는 상기 제2체결부재(143a)의 체결 위치에 따라 견인 부하에 의한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압축 정도가 달라질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의 구동이 달라지게 되면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의 움직임도 달라지게 되면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의 조절 정도도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1체결부재(142a) 또는 상기 제2체결부재(143a)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의 조절 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타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2종단구조물(170) 및 상기 돌출부(141)에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공간(도 5의 (C))이 구비되어,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되더라도 제2종단구조물(170)이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상기 견인 부하를 완충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는, 견인부하에 의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제1종단구조물(160)을 구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기(50)가 작업 중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등 견인 부하에 의하여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의 충격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 견인부하조절링크(150)는 링크연결핀(112)을 통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결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견인부하조절링크(150)는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연결링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핀다.
먼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는,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상기 상부링크(41)를 거쳐 인가되는 상부링크브라켓(110),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130),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는 견인부하전달로드(140)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구동되며, 상기 연결링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는,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함에 있어서, 하우징(120)에 코일스프링(130)을 내장하여 차폐하고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견인부하전달로드(140)를 거쳐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인가하면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연동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를 이용하여 상기 견인 부하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견인 부하에 따라 판스프링(61) 등 탄성체의 변형 특성이 달라지거나 변형 후 원상으로 적절히 회복되지 못하면서 견인 부하 조절이 정성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 중 토양, 먼지 등 이물질이 축적되면서 상기 판스프링(61) 등 탄성체의 작동을 방해하여 견인 부하를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는,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상부링크(41)를 거쳐 상부링크브라켓(110)으로 인가되면(도 7의 (D)),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으로 인가된 견인 부하는 견인부하전달로드(140)를 거쳐 제1종단구조물(160)을 구동하면서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게 된다(도 7의 (G)). 또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은 링크연결핀(112)을 통해 견인부하조절링크(150)와 연동되는 바,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이 구동되면 이에 따라 상기 견인부하조절링크(150)도 구동되면서(도 7의 (E)), 연결링크(40)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는 링크 등을 구동하여(도 7의 (F)),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는, 작업기(50)가 작업 중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유발되는 견인 부하에 의해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되더라도 상기 견인 부하를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주게 된다.
즉,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당겨진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상부링크(41)를 거쳐 상부링크브라켓(110)으로 인가되면(도 8의 (H)), 상기 견인 부하는 견인부하전달로드(140)를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당기면서 제2종단구조물(170)을 구동하여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게 된다(도 8의 (J)). 또한,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이 구동되면 이에 연동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도 구동될 수 있으며(도 8의 (I)), 나아가 상기 작업기(50)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연결링크(40)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업차량(1)에서의 견인부하조절장치(100)에서는,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제1종단구조물(160)을 구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기(50)가 작업 중 반대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등 견인 부하에 의하여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의 충격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농작업차량 10 : 견인조절레버
40 : 연결링크 41 : 상부링크
42 : 상부링크브라켓 43 : 하부링크
50 : 작업기 60 : 견인부하조절장치
61 : 판스프링 62 : 연결레버
63 : 견인부하조절링크 70 : 유압하우징
71 : 개구
100 : 견인부하조절장치 110 : 상부링크브라켓
111 : 연결핀 112 : 링크연결핀
120 : 하우징 130 : 코일스프링
140 : 견인부하전달로드 141 : 돌출부
142 : 제1체결부 142a : 제1체결부재
143 : 제2체결부 143a : 제2체결부재
150 : 견인부하조절링크 160 : 제1종단구조물
170 : 제2종단구조물 180 : 차폐구조물(180)
181 : 관통구

Claims (8)

  1. 연결링크(40)의 상부링크(41)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링크(40)에 부착된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가 상기 상부링크(41)를 거쳐 인가되는 상부링크브라켓(110);
    하우징(120)에 내장되는 코일스프링(130);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인가되는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며, 돌출부(141)를 구비하는 견인부하전달로드(140);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과 연동되어 구동되며, 상기 연결링크(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를 조절하는 견인부하조절링크(150);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41)에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공간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되더라도 상기 코일스프링(130)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은 힌지 구조를 이루어 연결핀(11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을 구동하여 상기 견인 부하를 상기 코일스프링(130)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41)는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일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1종단구조물(160)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으로부터 인가되는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제1종단구조물(160)을 구동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타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2종단구조물(170)을 구비하며,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가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2종단구조물(170)이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압축하면서 상기 견인 부하를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양측 종단에 제1체결부(142) 및 제2체결부(143)를 구비하며,
    상기 제2체결부(143)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143a)는 상기 코일스프링(130)의 타측 종단에 위치하는 제2종단구조물(170)에 안착되어 상기 견인 부하에 의해 상기 제2종단구조물(170)을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는 상기 제1체결부(142)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142a)에 의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1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142a) 또는 상기 제2체결부재(143a)의 체결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기(50)에 의해 유발되는 견인 부하의 조절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농작업차량(1)의 유압하우징(70)에 내장되며,
    상기 유압하우징(70)에는 상기 견인부하전달로드(140)의 구동을 위한 관통구(181)가 구비되는 차폐구조물(180)이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20)이 인입되는 개구(71)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부하조절장치(100)가 구비된 농작업차량(1).
KR1020180042474A 2018-04-12 2018-04-12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Active KR102665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4A KR102665567B1 (ko) 2018-04-12 2018-04-12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4A KR102665567B1 (ko) 2018-04-12 2018-04-12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62A KR20190119262A (ko) 2019-10-22
KR102665567B1 true KR102665567B1 (ko) 2024-05-14

Family

ID=6842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74A Active KR102665567B1 (ko) 2018-04-12 2018-04-12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509B1 (ko) * 2020-06-17 2021-01-25 권기원 진동 방지구조를 갖는 근채 수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708A (ja) 2002-01-29 2003-08-0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ドラ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109802A (ja) * 2004-10-18 2006-04-27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ドラ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333741A (ja) * 2005-05-31 2006-12-14 Kubota Corp トラクタの作業機制御装置
KR101310088B1 (ko) 2010-08-17 2013-09-23 박기혁 트랙터용 경작기의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741B1 (ko) 2003-08-18 201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과 커패시터를구비하는 메모리 장치
KR102488452B1 (ko) * 2015-11-18 2023-01-13 주식회사 대동 트랙터의 견인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708A (ja) 2002-01-29 2003-08-0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ドラ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109802A (ja) * 2004-10-18 2006-04-27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ドラ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333741A (ja) * 2005-05-31 2006-12-14 Kubota Corp トラクタの作業機制御装置
KR101310088B1 (ko) 2010-08-17 2013-09-23 박기혁 트랙터용 경작기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62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637B1 (en) Subsoiling machine
US5228522A (en) Lift assist and cushion spring tool bar wheel for agricultural implements
US9609797B2 (en) Agricultural implement with pivoting tool frame
KR102665567B1 (ko) 견인부하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작업차량
US4142587A (en) Rotary cultivators
US9148988B2 (en) Depth control system
KR102050742B1 (ko)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CN114793520B (zh) 一种重金属污染耕地土壤修复的翻耕设备
WO2016040326A1 (en) Vibratory cable plow
US4363363A (en) Trip mechanism
US2638235A (en) Loading mechanism for offset tractors
KR102255434B1 (ko) 농업용 작업 차량
CA2536551C (en) Biased diagonal implement brace
US8544557B2 (en) Frame section pivot limiting device
EP2422598B1 (de) Bodenbearbeitungskombination
US2580265A (en) Mower structure
CN101395982A (zh) 农机耕整机械的中间传动装置
US3242993A (en) Mechanical tranction adjuster for farm vehicles
CA2808062C (en) Depth control system
CA2712334C (en) Depth control system
JP2006296244A (ja) 農作業機
US2551456A (en) Hitch device
KR20150063191A (ko) 트랙터용 써레
EP1175818A2 (de) Vorrichtung zum Steuern der Arbeitstiefe eines Bodenbearbeitungsgerätes, insbesondere eines Pfluges
KR20190063571A (ko) 경작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