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085B1 -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가지는 입력 버퍼 회로 - Google Patents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가지는 입력 버퍼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5085B1 KR102665085B1 KR1020220015867A KR20220015867A KR102665085B1 KR 102665085 B1 KR102665085 B1 KR 102665085B1 KR 1020220015867 A KR1020220015867 A KR 1020220015867A KR 20220015867 A KR20220015867 A KR 20220015867A KR 102665085 B1 KR102665085 B1 KR 1026650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buffering
- intrinsic
- complementary
- hysteres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2358 sourc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368 Device malfun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5—Clock input buff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only
- H03K19/018507—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521—Interface arrangements of complementary type, e.g. CMO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5—Bistables with hysteresis, e.g. Schmitt trig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신 센싱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비교 버퍼링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예를 적용한 도 1의 버퍼링 신호쌍의 히스테리시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다른 일예를 적용한 도 1의 버퍼링 신호쌍의 히스테리시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4)
-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쌍을 버퍼링하여 버퍼링 신호쌍으로 제공하는 입력 버퍼 회로로서, 상기 입력 신호쌍은 진성 입력 신호와 상보 입력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버퍼링 신호쌍은 진성 버퍼링 신호와 상보 버퍼링 신호로 구성되는 상기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쌍을 수신하여 중간 신호쌍을 발생하되, 상기 중간 신호쌍은 진성 중간 신호와 상보 중간 신호로 구성되는 수신 센싱부로서, 상기 진성 중간 신호와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레벨의 상하 관계는 상기 진성 입력 신호와 상기 상보 입력 신호의 레벨의 상하 관계에 의존되는 상기 수신 센싱부;
상기 중간 신호쌍을 버퍼링하여 상기 버퍼링 신호쌍을 발생하는 비교 버퍼링부로서,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는 상기 진성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높음에 따라 제1 논리 상태로 제어되며,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는 상기 진성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높음에 따라 제2 논리 상태로 제어되되, 상기 제2 논리 상태는 상기 제1 논리 상태와 상반되는 상기 비교 버퍼링부; 및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 및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링 신호쌍이 정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될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는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 및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가 정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되고,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는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를 지연하여 지연 신호로 발생하는 지연 유닛;
제1 파워 전압과 상기 진성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는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지연 신호의 상기 제1 논리 상태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파워 전압과 상기 상보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는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지연 신호의 상기 제2 논리 상태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센싱부는
수신 공통 단자;
상기 제1 파워 전압과 상기 수신 공통 단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수신 공통 단자의 전압 레벨을 상기 제1 파워 전압쪽으로 제어하는 수신 바이어싱 유닛;
진성 수신 트랜지스터 및 상보 수신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입력 수신 유닛으로서, 상기 진성 수신 트랜지스터는 상기 수신 공통 단자와 상기 진성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보 수신 트랜지스터는 상기 수신 공통 단자와 상기 상보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입력 수신 유닛; 및
제2 파워 전압에 연결되는 소싱 유닛으로서, 상기 진성 중간 신호와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류를 소싱하는 소싱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버퍼링부는
상기 진성 중간 신호와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을 비교 버퍼링하여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비교 버퍼링 유닛; 및
상기 진성 중간 신호와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을 비교 버퍼링하여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비교 버퍼링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 전압은
전원 전압이며,
상기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각각은
피모스 타입의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쌍을 버퍼링하여 버퍼링 신호쌍으로 제공하는 입력 버퍼 회로로서, 상기 입력 신호쌍은 진성 입력 신호와 상보 입력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버퍼링 신호쌍은 진성 버퍼링 신호와 상보 버퍼링 신호로 구성되는 상기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쌍을 수신하여 중간 신호쌍을 발생하되, 상기 중간 신호쌍은 진성 중간 신호와 상보 중간 신호로 구성되는 수신 센싱부로서, 상기 진성 중간 신호와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레벨의 상하 관계는 상기 진성 입력 신호와 상기 상보 입력 신호의 레벨의 상하 관계에 의존되는 상기 수신 센싱부;
상기 중간 신호쌍을 버퍼링하여 상기 버퍼링 신호쌍을 발생하는 비교 버퍼링부로서,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는 상기 진성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높음에 따라 제1 논리 상태로 제어되며,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는 상기 진성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높음에 따라 제2 논리 상태로 제어되되, 상기 제2 논리 상태는 상기 제1 논리 상태와 상반되는 상기 비교 버퍼링부; 및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 및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링 신호쌍이 정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될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는
기입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버퍼링 신호쌍이 정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되며, 상기 기입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버퍼링 신호쌍이 부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는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를 선택 극성으로 지연하여 선택 지연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지연 유닛으로서, 상기 선택 지연 신호는 상기 기입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지연되는 신호이며, 상기 기입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반전 및 지연되는 신호인 상기 선택 지연 유닛;
제1 파워 전압과 상기 진성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는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선택 지연 신호의 상기 제1 논리 상태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파워 전압과 상기 상보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는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선택 지연 신호의 상기 제2 논리 상태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지연 유닛은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 예비 신호로 발생하는 극성 선택 수단으로서, 상기 지연 예비 신호는 상기 기입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동일한 위상의 신호이며, 상기 기입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반전되는 신호인 상기 극성 선택 수단; 및
상기 지연 예비 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선택 지연 신호로 발생하는 지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 전압은
전원 전압이며,
상기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각각은
피모스 타입의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쌍을 버퍼링하여 버퍼링 신호쌍으로 제공하는 입력 버퍼 회로로서, 상기 입력 신호쌍은 진성 입력 신호와 상보 입력 신호로 구성되며, 상기 버퍼링 신호쌍은 진성 버퍼링 신호와 상보 버퍼링 신호로 구성되는 상기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쌍을 수신하여 중간 신호쌍을 발생하되, 상기 중간 신호쌍은 진성 중간 신호와 상보 중간 신호로 구성되는 수신 센싱부로서, 상기 진성 중간 신호와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레벨의 상하 관계는 상기 진성 입력 신호와 상기 상보 입력 신호의 레벨의 상하 관계에 의존되는 상기 수신 센싱부;
상기 중간 신호쌍을 버퍼링하여 상기 버퍼링 신호쌍을 발생하는 비교 버퍼링부로서,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는 상기 진성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높음에 따라 제1 논리 상태로 제어되며,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는 상기 진성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이 상기 상보 중간 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높음에 따라 제2 논리 상태로 제어되되, 상기 제2 논리 상태는 상기 제1 논리 상태와 상반되는 상기 비교 버퍼링부; 및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 및 상기 상보 버퍼링 신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링 신호쌍이 정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될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는
기입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버퍼링 신호쌍이 정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되며, 상기 기입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버퍼링 신호쌍이 부방향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도록 구동되되, 차단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버퍼링 신호쌍의 부방향 히스테리시스를 차단하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 제어부는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를 선택 극성으로 지연하여 선택 지연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지연 유닛으로서, 상기 선택 지연 신호는 상기 기입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지연되는 신호이며, 상기 기입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반전 및 지연되는 신호인 상기 선택 지연 유닛;
제1 파워 전압과 상기 진성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는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선택 지연 신호의 상기 제1 논리 상태에 응답하여 턴온되되, 상기 기입 신호 및 상기 차단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턴온이 차단되는 상기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파워 전압과 상기 상보 중간 신호 사이에 형성되는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로서, 상기 선택 지연 신호의 상기 제2 논리 상태에 응답하여 턴온되되, 상기 기입 신호 및 상기 차단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턴온이 차단되는 상기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지연 유닛은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를 수신하여 지연 예비 신호로 발생하는 극성 선택 수단으로서, 상기 지연 예비 신호는 상기 기입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동일한 위상의 신호이며, 상기 기입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진성 버퍼링 신호에 대해 반대 위상의 신호인 상기 극성 선택 수단; 및
상기 지연 예비 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선택 지연 신호로 발생하는 지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 전압은
전원 전압이며,
상기 진성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상보 히스테리시스 트랜지스터 각각은
피모스 타입의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5867A KR102665085B1 (ko) | 2022-02-08 | 2022-02-08 |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가지는 입력 버퍼 회로 |
US17/957,384 US12176897B2 (en) | 2022-02-08 | 2022-09-30 | Input buffer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hysteresis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5867A KR102665085B1 (ko) | 2022-02-08 | 2022-02-08 |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가지는 입력 버퍼 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9745A KR20230119745A (ko) | 2023-08-16 |
KR102665085B1 true KR102665085B1 (ko) | 2024-05-13 |
Family
ID=8752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5867A Active KR102665085B1 (ko) | 2022-02-08 | 2022-02-08 |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가지는 입력 버퍼 회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2176897B2 (ko) |
KR (1) | KR10266508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71437A1 (en) | 2001-04-18 | 2002-1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ise tolerant input buffer |
KR100535249B1 (ko) | 2004-06-15 | 2005-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레벨 쉬프터를 이용한 고속 동작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입력 버퍼 |
US20120146718A1 (en) * | 2005-08-26 | 2012-06-14 | Micron Technology, Inc. | High performance input receiver circuit for reduced-swing input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43878B2 (ja) * | 1995-08-30 | 1998-04-22 | 日本電気株式会社 | 入力バッファ回路 |
KR100202184B1 (ko) * | 1996-07-19 | 1999-06-15 | 구본준 | 입력 버퍼 |
KR101096197B1 (ko) * | 2009-05-19 | 2011-12-2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다단 차동증폭회로 및 반도체 장치의 입력버퍼 |
-
2022
- 2022-02-08 KR KR1020220015867A patent/KR102665085B1/ko active Active
- 2022-09-30 US US17/957,384 patent/US1217689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71437A1 (en) | 2001-04-18 | 2002-1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noise tolerant input buffer |
KR100535249B1 (ko) | 2004-06-15 | 2005-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레벨 쉬프터를 이용한 고속 동작 저전압 차동 신호 방식입력 버퍼 |
US20120146718A1 (en) * | 2005-08-26 | 2012-06-14 | Micron Technology, Inc. | High performance input receiver circuit for reduced-swing inpu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9745A (ko) | 2023-08-16 |
US12176897B2 (en) | 2024-12-24 |
US20230253966A1 (en) | 2023-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28285B2 (en) | Input/output circuit and method | |
US5726589A (en) | Off-chip driver circuit with reduced hot-electron degradation | |
US8643404B1 (en) | Self-calibration of output buffer driving strength | |
US10502781B2 (en) | Detection circuits, detection method, and electronic systems for I/O output status | |
US7295050B2 (en) | Power-up reset circuit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 |
US20220173732A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0967099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 |
US7982493B1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output driving force | |
US8330486B2 (en) | Data line termination circuit | |
US1060861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 range voltage translation | |
KR102665085B1 (ko) |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가지는 입력 버퍼 회로 | |
JP2007517419A (ja) | バッファにおける伝搬遅延及びプロセス及び温度の影響を低減する方法 | |
US2011022235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at high speed | |
US9494958B2 (en) | Semiconductor apparatus | |
US20150280712A1 (en) | Data output circuit of semiconductor apparatus | |
US20160161969A1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20070285134A1 (en) | AC-DC input buffer | |
US9800244B2 (en) | Inverter circuits with first and second drivability dependent on first or second time period | |
US7221182B2 (en) | Open drain type output buffer | |
KR102696943B1 (ko) | 레벨 시프터 및 반도체 장치 | |
US6831478B2 (en) | Open drain type output buffer | |
US20250088189A1 (en) | Pull-down circuit, pull-up circuit, and voltage supply circuit including pull-down circuit and pull-up circuit | |
US11521660B2 (en) | Integrated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100766378B1 (ko) | 반도체 메모리의 파워 오프 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 |
US6930541B2 (en) | Voltage clamper capable of controlling a voltage drop according to an external input volt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