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76B1 - One-stop cup automatic cleaning device - Google Patents
One-stop cup automatic clea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3376B1 KR102663376B1 KR1020210143545A KR20210143545A KR102663376B1 KR 102663376 B1 KR102663376 B1 KR 102663376B1 KR 1020210143545 A KR1020210143545 A KR 1020210143545A KR 20210143545 A KR20210143545 A KR 20210143545A KR 102663376 B1 KR102663376 B1 KR 102663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unit
- main body
- cups
- was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43 non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or tableware, e.g. nature or quant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 내에 놓여진 컵의 재질이 자동판별되며, 컵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세척, 건조 및 살균온도와 작동시간이 설정되고, 컵의 세척, 건조 및 살균처리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동시에 컵이 내부에 보관되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세척부터 보관까지 원스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material of the cup placed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determined, the appropriat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temperature and operating time are set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up, and th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of the cup are performed sequentially while the cup is inside. It relates to a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that is stored in and can be used as a one-stop from cleaning to storage using a single device.
Description
컵이 자동세척, 건조, 살균처리되어 보관까지 되는 세척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is about a cleaning and storage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dries, sterilizes, and stores cups.
일반적으로 컵은 물이나 음료를 마시기 위한 용기로 사용되며,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금속 등 여러 가지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컵은 자판기나 음식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후 컵은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세척하였으나 많은 양을 세척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현재에는 식기세척기를 통해 세척을 하고 있다.Cups are generally used as containers for drinking water or beverages, and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plastic, and metal. These cups are widely used in vending machines and restaurants, and after use, the cups are washed manually by manager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washing large quantities, so they are currently washed in a dishwasher.
그러나, 식기세척기는 컵을 전용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므로 컵을 세척하기에는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식기와의 충돌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컵은 특성상 표면에 더러운 물질 또는 세척하기 어려운 물질이 묻어있는 경우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식기와 동일한 정도로 컵을 세척하게 되므로 물의 낭비가 클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을 허비하게 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dishwasher is not a device specifically for washing cups,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for washing cups, but also has a high risk of being damaged by collision with dishes.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cups do not often have dirty or difficult-to-clean surfaces on their surfaces, conventional dishwashers wash cups to the same extent as dishes, which not only wastes a lot of water but also wastes a lot of time. There was a problem with power being was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1712호 "컵 세척기"에 사용이 완료된 컵을 살균 세척하여 보관함으로써 컵의 청결성 및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하였다. 그러나 컵의 재질에 적합하지 않은 온도에서 세척, 건조, 살균과정을 거쳐 컵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며, 관리자가 직접 온도와 작동시간을 설정하더라도 재질에 적합한 온도를 일일이 확인하여 설정하기 번거로웠다. 그리고 적절한 온도와 시간동안 컵의 살균이 완전히 되지 않아 식중독 및 질병을 일으키는 균이나 바이러스가 컵을 통해 전파될 우려가 발생하였으며, 장치 내부에서 컵을 하나씩 이동시켜 세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갖추어지면서 장치의 크기가 커져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 Patent No. 10-0881712 "Cup Washer" was invented to greatly improve the cleanliness and usability of cups by sterilizing and washing used cups and storing them. However, after washing, drying, and sterilizing at a temperature unsuitable for the material of the cup, the cup became deformed or damaged and became unusable. Even if the manager directly sets the temperature and operating time, it is inconvenient to manually check and set the temperature appropriate for the material. It was raw. Also, because the cups were not completely sterilized 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ime, there was a risk that bacteria or viruses that cause food poisoning and disease could be spread through the cups. As the device was equipped to move the cups one by one inside the device and go through a cleaning and drying process, As the size of the device grew, there was a problem that space for installation had to be considered.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내에 놓여진 컵의 재질이 자동판별되며, 컵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세척, 건조 및 살균온도와 작동시간이 설정되고, 컵의 세척, 건조 및 살균처리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동시에 컵이 내부에 보관되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세척부터 보관까지 원스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material of the cup placed in the device, set appropriat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temperatures and operating time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up, and perform th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of the cup sequentially. The goal is to provide a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that is stored inside and can be used as a one-stop from cleaning to storage using a single device.
본 발명의 세척보관장치는 복수의 컵이 내부에 나열되어 보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컵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금속, 유리,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판별되는 감지부;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세기와 온도로 상기 컵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세기와 온도로 상기 컵에 열풍을 분사하는 건조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작동시간으로 상기 컵을 향해 자외선 램프를 조사하는 살균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 건조부 및 살균부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The washing an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cups are arranged and stored; A detec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rradiating a laser to the cup to determine whether it is metal, glass, or plastic; a washing unit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unit and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cup at a preset intensity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a dry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spraying hot air onto the cup at a preset intensity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and a steriliz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irradiating an ultraviolet lamp toward the cup at a preset operating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The cleaning unit, drying unit, and sterilizing unit are sequentially executed. .
또한, 상기 감지부는, 레이저가 비투과되어 반사되는 경우 금속으로 판별하며, 레이저가 투과되는 경우 유리로 판별하고, 레이저가 난반사되는 경우 플라스틱으로 판별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laser is metal if it is non-transmitted and reflected, determines that the laser is glass if it is transmitted, and determines that it is plastic if the laser is diffusely reflected.
또한, 상기 본체부에 나열된 복수의 상기 컵에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상기 컵이 구분되는 식별부; 상기 건조부가 실행완료된 후 상기 컵의 외관이 촬영되어 상기 식별번호별 상기 컵의 현재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부; 상기 컵의 최초이미지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에 저장된 상기 현재이미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최초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컵의 이상을 판별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이상감지알림을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unit for distinguishing the cups by assigning identification numbers to the plurality of cups listed in the main body; a photographing unit that photographs the exterior of the cup after the drying unit completes execution and stores a current image of the cup for each identification number; a storage unit where the initial image of the cup is stored;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n abnormality in the cup by comparing the current image stored in the photographing unit with the firs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s an abnormality detection notific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현재이미지가 확인되고, 판단된 교체필요여부에 따라 상기 현재이미지와 매칭되어 피드백 학습된다.In addition, the current image is confirmed by the manager, and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current image according to the judged need for replacement and learns feedback.
또한, 상기 세척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살균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미세먼지, 식중독, 전염성 질병 정보에 의해 살균방식이 결정된다.Additionally, the sterilization method of the washing unit, drying unit, and sterilizing unit is determined by information on fine dust, food poisoning, and infectious diseases received from the outside.
컵의 소재에 적합한 세척, 건조 및 살균온도와 작동시간을 자동제어하여, 컵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고, 컵의 세척, 건조 및 살균시간을 컵의 재질에 따라 최적화함으로써 장치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하나의 장치에서 세척부, 건조부 및 살균부가 순차적으로 수행됨으로써, 기존의 여러 장치들이 각각 존재하는 것과 달리 공간적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temperature and operating time appropriate for the material of the cup,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cup are prevented, and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the device are improved by optimizing th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time of the cup according to the cup material. I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drying, and sterilizing units are sequentially performed in one device, space usage can be minimized, unlike existing devices where several devices exist separately.
또한, 레이저 투과 및 난반사 여부로 컵의 재질을 금속, 유리,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자동 구분함으로써 사용자가 컵의 재질에 대해 별도의 설정이 없어도 자동으로 구별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맞춤형 살균 환경을 설정할 수 있어 관리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the material of the cup as metal, glass, or plastic based on laser transmission and diffuse reflection, the user can automatically distinguish the cup material without any separate settings and set a customized sterilization environment accordingly. Convenience for administrators can be improved.
또한, 컵의 외관을 비교 판독하여 자동으로 컵의 이물질이나 파손 및 찌그러져 변형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컵의 이상이 감지되면 관리자에게 이를 알 수 있게 하여 컵의 관리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comparing and reading the appearance of the cup,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tect foreign substances, damage, or distorted state of the cup. When an abnormality in the cup is detected, it can notify the manager,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up management. .
또한, 장치 내부에 놓여진 복수의 컵에 개별 식별번호가 부여되며, 이상이 감지된 해당 컵의 식별번호와 현재이미지가 관리자단말기에 함께 송출되어 관리자가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컵의 위치를 바로 찾아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individual identification numbers are assigned to multiple cups placed inside the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current image of the cup in which an abnormality is detected are sent together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use the identification number to immediately locate the cup and create a new one. It can be replaced with
또한, 외부 데이터로부터 전달받은 미세먼지, 식중독, 전염성 질병 정보를 기반으로 건조부의 열풍 세기와 온도를 조절하고, 살균부의 자외선 램프 조사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살균제어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뉴스정보나 관련소식을 확인하지 못 하더라도 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반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based on fine dust, food poisoning, and infectious disease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data, sterilization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hot air intensity and temperature of the drying section and the ultraviolet lamp irradiation time of the sterilizing section, and the manager can provide news information or related news.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information about this can be reflec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의 외부데이터와 연동되어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eiving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data.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장치 내 판별된 컵의 재질에 따라 적합한 세척, 건조 및 살균온도와 작동시간이 자동설정되고, 컵의 세척, 건조 및 살균처리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동시에 컵이 내부에 보관되어 단일 세척보관장치를 이용하여 세척부터 보관까지 원스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세척보관장치'라 약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appropriate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temperatures and operating times ar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up determined in the device, and washing, drying, and sterilization of the cup are performed sequentially while the cup is stored inside. The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one-stop from cleaning to storage using a single cleaning and storage device will be briefly abbreviated as 'cleaning and stora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인 세척보관장치는 본체부(100), 감지부(200), 세척부(300), 건조부(400), 살균부(500), 식별부(600), 촬영부(700), 저장부(800),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세척보관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컵을 세척, 건조, 살균 및 보관까지 원스탑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컵의 재질을 판독하여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척, 건조, 살균 온도 및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살균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ashing and storage devi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본체부(100)는 사각박스 형태의 내부에 복수 개의 컵이 뒤집어진 상태로 겹쳐지지 않게 한 층으로 나열되어 보관되며, 다른 구성들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갖추어지는 구성이다. 특히, 본체부(100)는 금속, 유리, 플라스틱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동일한 복수의 컵이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여 세척, 건조, 살균시 적합한 조건으로 실행되도록 한다. 상세히, 본체부(100)는 사각박스의 전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본체(110)와, 본체(110) 내부에 층층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컵이 놓여지는 선반대(120) 및 본체(110) 내 바닥면에 설치되며 세척시 떨어지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받이(130)가 포함된다. The
본체(110)는 전방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통해 내부가 보이도록 전면이 유리로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져, 내부에 보관된 컵을 세척, 건조 및 살균처리 시 작업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터치입력될 수 있도록 갖추어져, 세척, 건조, 살균시 설정온도와 작동시간을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체(110)는 관리자가 세척보관장치의 작동 확인 및 제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작업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선반대(120)는 본체(110) 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좌우 대칭되게 선반받침대가 고정될 수 있으며, 선반받침대의 상부에 얹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선반대(120)는 상면에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규칙적으로 형성되거나 컵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컵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갖추어진다. 이로 인해 선반대(120)의 상면에 엎어진 상태로 놓여진 컵이 세척수 분사시 압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아 복수의 컵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안전하게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선반대(120)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져 컵 세척시 세척수를 하방으로 흐르게 하여 물받이(130)에 물이 모여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상세히, 물받이(130)는 본체(110) 내 하면과 대응되도록 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출구 측으로 기울어지게 갖추어진다. 이때, 물받이(130)는 내측면에 수위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저장된 세척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130)는 일측 하면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며, 수위측정센서에서 기준수위가 넘었다고 감지되면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물받이(130)는 세척수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수가 물받이(130)에서 넘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detail, the
감지부(200)는 컵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금속, 유리,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판별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감지부(200)는 컵의 재질을 판별하기 위해 복수의 컵 중 어느 하나에 레이저를 조사하며, 레이저의 투과여부와 반사여부에 따라 제어부(900)에서 판단될 수 있다. 먼저, 감지부(200)는 레이저가 비투과되어 반사되는 경우 금속으로 판별되며, 레이저가 투과되는 경우 유리로 판별되고, 레이저가 난반사되는 경우 플라스틱으로 판별된다. 상세히, 난반사는 표면으로 들어온 빛이 반사 될 때, 다수의 방향들로 반사되는 빛 반사를 말한다.The detect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irradiate a laser to the cup to determine whether it is metal, glass, or plastic. This detection unit 200 irradiates a laser to one of the plurality of cups to determine the material of the cup, and the
이와 같은 감지부(200)는 레이저가 조사되는 컵이 배치된 후면에 광전센서를 장착하여 거리와 빛의 밝기 변화를 감지해 투명한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금속근접센서로 금속과 비금속을 분류할 수 있으며, 사운드센서를 통해 플라스틱과 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유리컵의 소리가 플라스틱컵의 소리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소리감지센서로 300이상 400미만일 경우 플라스틱 컵으로 판단하고, 400이상인 경우 유리컵으로 판단한다.This detection unit 200 can identify transparent objects by mounting a photoelectric sensor on the back of the cup where the laser is irradiated, and detecting changes in distance and brightness of light. In addition, metal proximity sensors can be used to classify metals and non-metals, and sound sensors can be used to classify plastics and glass. At this time, because the sound of the glass cup is relatively louder than the sound of the plastic cup, if the sound is between 300 and less than 400, it is judged as a plastic cup, and if it is over 400, it is judged as a glass cup.
세척부(300)는 본체부(100) 내에 진열된 복수의 컵에 세척수가 분사되어 세척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세척부(300)는 컵이 진열된 층마다 좌우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갖추어진다. 이때, 분사노즐은 세척수가 직선형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배출되도록 회전되어 광범위로 확산되며 분사각도가 변화되면서 세척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척부(300)는 세척시 사용되는 세제와 물이 섞인 세척수가 분사된 후 건조 전 헹굼시 사용되는 물이 분사되어 컵에 묻은 세제를 씻겨낸 상태에서 건조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세히, 세척부(300)는 감지부(200)에서 판독된 컵의 재질에 따라 설정온도와 작동시간이 자동 설정된다. 유리 컵의 경우 세척온도 50-60℃, 헹굼온도 65-75℃로 설정되며 작동시간 30-40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스테인리스 컵의 경우 세척온도 65-75℃, 헹굼온도 70-80℃로 설정되며 작동시간 20-30분으로 설정된다. 플라스틱 컵의 경우 세척온도 55-65℃, 헹굼온도 55-65℃로 설정되며 작동시간 30-40분으로 설정된다. In detail, the
건조부(400)는 본체부(100) 내에 세척된 복수의 컵에 열풍이 분사되어 건조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건조부(400)는 본체부(100) 내 하부에 열풍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 내 하부에서 상부로 열풍이 상승하여 선반대(120)의 메쉬망을 통과하여 진열된 컵을 모두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부(400)는 본체부(100)의 하부 양측에 열풍기가 설치되어 건조시간을 단축시킴으로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건조부(400)는 세척부(300)에서 헹굼 작업 수행이 완료된 직후 바로 작동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drying
상세히, 건조부(400)는 감지부(200)에서 판독된 컵의 재질에 따라 설정온도와 작동시간이 자동 설정된다. 유리 컵의 경우 건조온도 65-75℃, 작동시간 20-30분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금속의 예시로 스테인리스 컵의 경우 건조온도 85-90℃, 작동시간 15-20분으로 설정되며, 플라스틱 컵의 경우 건조온도 55-65℃, 작동시간 20-30분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건조부(400)는 세척온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단시간 빠르게 건조되며 물자국이 형성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 건조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쬐어 컵의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detail, the drying
살균부(500)는 본체부(100)의 상면 또는 내벽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컵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며 살균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살균부(500)는 UV-C 파장이 방출되어 각종 세균 살균 효과가 있으며, 살균 및 소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살균부(500)는 자외선이 금속이나 플라스틱 컵에는 투과되지 않아 살균을 요하는 부분에 직접 쏘여야 살균 효과가 나타나므로, 해당 재질의 컵을 살균하고자 할 경우 컵의 내면이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terilizing unit 500 is configured to sterilize the cup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cup using an ultraviolet lamp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r inner wall of the
이를 위해 살균부(500)는 엎어진 상태의 컵을 살균처리한 이후 관리자가 직접 컵을 정위치로 회전시켜 놓아 컵의 내면이 상부의 자외선 램프에 의해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살균부(500)는 자외선 살균효과가 습도에 반비례하여 컵을 건조시키지 않고 그대로 자외선에 노출되면 자외선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살균효과를 위해 권장되는 살균시간은 10W 사용시 40분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To this end, the sterilizing unit 500 sterilizes the cup in an overturned state, and then the manager directly rotates the cup to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is exposed to ultraviolet rays by the ultraviolet ray lamp at the top. In addition, in the sterilizing unit 500, the ultraviolet sterilizing effec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humidity, so if the cup is exposed to ultraviolet rays without drying, the ultraviolet sterilizing effect cannot be expected, and the recommended sterilizing time for the sterilizing effect is maintained at more than 40 minutes when using 10W. shall.
식별부(600)는 본체부(100)에 층마다 나열된 복수의 컵의 위치별로 개별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컵을 구분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식별부(600)는 컵의 식별번호에 의해 관리자가 해당 컵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찾을 수 있도록 도우며, 관리자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식별부(600)는 XY (X:행, Y:열)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은 하단에서 첫번째행 1열을 나타내고 23은 하단에서 두번째행 3열을 나타낸다.The identification unit 600 is configured to identify the cups by assigning individual identification numbers to each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ups arranged in each layer in the
촬영부(700)는 살균부(500)에서 작동완료된 후 복수의 컵의 외관이 촬영되어 현재이미지(710)가 저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촬영부(700)는 본체부(100)의 내측 상면과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컵을 동시에 촬영하거나 식별번호 별 따로 외관을 촬영하여 현재이미지(710)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700)는 개별 촬영시 물체 감지 센서에 의해 컵의 해당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컵이 놓여진 경우에만 촬영을 진행하며, 빈 자리는 인식하지 않아 불필요한 이미지촬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저장부(800)는 컵의 현재이미지(710)와 비교 판단하기 위해 최초이미지(810)가 저장되는 구성이다. 이때, 저장부(800)는 컵의 재질 별 최초이미지(810)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부(200)에서 판별된 컵의 재질에 해당되는 최초이미지(810)가 제어부(9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800)는 세척이 완료된 컵에 이물질이 묻어 있거나 파손된 컵 또는 찌그러진 변형된 컵을 감지할 수 있도록 최초이미지(810)가 저장된다.The storage unit 800 stores the initial image 810 for comparison with the current image 710 of the cup.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800 preferably stores the first image 810 for each cup material, and the first image 810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of the cup determined by the detection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제어부(900)는 세척보관장치의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여 컵의 세척, 건조, 살균 및 보관까지 실행되도록 한다. 제어부(900)는 감지부(200)에서 레이저의 투과여부 및 난반사여부에 따라 재질을 판별한다. 이때, 제어부(900)는 감지부(200)에서 레이저 비투과로 감지되면 금속으로 판단하며, 투과로 감지되면 유리로 판단하고 난반사로 감지되면 플라스틱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특히, 제어부(900)는 촬영된 현재이미지(710)와 최초이미지(810)를 비교 판독하여 컵의 이상을 감지해 관리자단말기(10)로 이상감지알림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900)는 최초이미지(810)와 달리 현재이미지(710)에서 컵의 잔여 이물질이 있거나 파손 또는 찌그러진 변형된 상태로 인해 컵의 이상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00)는 해당 컵의 식별번호(610)와 현재이미지(710) 및 이상감지알림(910)을 관리자단말기(10)로 전달하여 관리자가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여기서 관리자단말기(10)는 앱(APP)을 이용하여 세척보관장치와 무선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이상감지알림(910)에 의해 관리자단말기(10)를 확인한 후 현재이미지(710)를 확인하여 컵의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가 컵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관리자단말기(10)로 교체필요버튼을 누름동작하여 관리자가 직접 식별번호(610)에 해당하는 컵을 새 것으로 교체한다. 이와 달리, 관리자가 컵의 교체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관리자단말기(10)로 교체불필요버튼을 누름동작하여 해당 컵이 계속 사용될 수 있도록 보관을 유지한다.Here, the manager terminal 10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ashing and storage device using an app, and the manager checks the manager terminal 10 by the abnormality detection notification 910 and then checks the current image 710 to place the cup. You can decide whether to replace it. If the manager determines that the cup needs to be replaced, the manager presses the replacement button on the manager terminal 10 and replaces the cup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610 with a new one. On the other hand, if the manager determines that replacement of the cup is unnecessary, he or she presses the no-replacement button on the manager terminal 10 and stores the cup so that it can continue to be used.
이때, 제어부(900)는 관리자에 의해 현재이미지(710)가 판단된 교체필요여부를 현재이미지(710)와 매칭하여 피드백 학습하며, 교체불필요로 판단된 유사한 이미지가 확인된 경우 관리자단말기(10)로 이상감지알림(910)을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900)는 불필요한 이상감지알림(910)이 관리자단말기(1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컵 이상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관리자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제어부(900)는 외부데이터와 연결되어 미세먼지, 식중독, 전염성 질병 정보를 전달받아 건조부(400)의 열풍의 세기와 온도를 제어하여,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고온의 열풍으로 살균처리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900)는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와 질병을 유발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질병관리청, 기상청, 뉴스 등)을 통해 전달받아 기존 실제 사용되는 열풍의 세기보다 높게 강으로 출력되도록 하며, 열풍의 온도는 90℃의 고온으로 컵이 살균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 관리자단말기
100 : 본체부
110 : 본체
120 : 선반대
130 : 물받이
200 : 감지부
210 : 레이저
300 : 세척부
400 : 건조부
500 : 살균부
600 : 식별부
610 : 식별번호
700 : 촬영부
710 : 현재이미지
800 : 저장부
810 : 최초이미지
900 : 제어부
910 : 이상감지알림10: Administrator terminal
100: main body
110: main body
120: shelf stand
130: water pan
200: detection unit
210: laser
300: Washing unit
400: drying section
500: Sterilization department
600: identification unit
610: identification number
700: Filming Department
710: Current image
800: storage unit
810: First image
900: Control unit
910: Abnormality detection notification
Claims (5)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컵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레이저가 투과되는 경우 유리로 판별하며, 레이저가 난반사되는 경우 플라스틱으로 판별하며, 레이저가 비투과되어 반사되는 경우 금속으로 판별하며, 사운드센서를 통해 소리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유리컵으로 판단하며 소리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플라스틱컵으로 분류하는 감지부;
상기 본체부의 내벽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세기와 온도로 상기 컵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세기와 온도로 상기 컵에 열풍을 분사하는 건조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의 판별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작동시간으로 상기 컵을 향해 자외선 램프를 조사하는 살균부;
상기 본체부에 나열된 복수의 상기 컵 각각에 해당되는 위치의 행 및 열에 해당되는 숫자의 나열을 통해 좌표형태로 상기 컵 각각에 해당되는 식별번호를 부여시켜 관리자가 상기 컵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식별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 상면 및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부가 실행완료된 후 상기 컵의 외관이 촬영되어 상기 식별번호별 상기 컵의 현재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부;
상기 컵 각각의 최초이미지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에 저장된 상기 현재이미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최초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컵 중 이상이 있는 컵을 판별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이상감지알림을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 건조부 및 살균부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며,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이상감지알림이 송출되고 관리자가 이상이 있는 컵의 현재이미지를 확인하여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자단말기로 교체필요버튼을 누르고, 이상이 있는 컵의 교체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불필요버튼을 누르며,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에 의해 교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컵의 현재이미지를 통해 피드백 학습하여 교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된 컵의 현재이미지와 유사한 다른 컵의 현재이미지가 확인된 경우 관리자단말기로 이상감지알림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ups are arranged and stored therein;
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if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cup and the laser is transmitted, it is judged as glass, if the laser is diffusely reflected, it is judged as plastic, and if the laser is non-transmitted and reflected, it is judged as metal. A detec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cup as a glass cup if the sound is above the standard level and classifies it as a plastic cup if the sound is below the standard level;
a washing unit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cup at a preset intensity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a dry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spraying hot air onto the cup at a preset intensity an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a steriliz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irradiating an ultraviolet lamp toward the cup at a preset operating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nsing unit;
By assigning a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ups in the form of coordinates by listing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rows and columns of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ups listed in the main body,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of the cups. identification unit;
a photographing unit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body unit, where the exterior of the cup is photographed after the drying unit is completed and a current image of the cup for each identification number is stored;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initial image of each cup;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mpares the current image stored in the photographing unit with the first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determine which of the cups has an abnormality and sends an abnormality detection notification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The washing unit, drying unit, and sterilizing unit are sequentially executed,
An abnormality detection notification is sent to the manager terminal, and if the manager checks the current image of the defective cup and determines that replacement is necessary, he or she presses the replacement required button on the manager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replacement of the defective cup is unnecessary, replacement is not necessary. By pressing the button,
The control unit learns feedback through the current image of the cup judged to be unnecessary by the manager and sends an abnormality detection notific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the current image of another cup similar to the current image of the cup judged unnecessary to be replaced is confirmed. A one-stop automatic cleaning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by preventing it from doing so.
상기 세척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살균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미세먼지, 식중독, 전염성 질병 정보에 의해 살균방식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스탑 자동 세척보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one-stop automatic cleaning and storage device wherein the sterilization method of the cleaning unit, the drying unit, and the sterilizing unit is determined by information on fine dust, food poisoning, and infectious diseases received from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545A KR102663376B1 (en) | 2021-10-26 | 2021-10-26 | One-stop cup automatic cleaning device |
PCT/KR2021/016876 WO2023074989A1 (en) | 2021-10-26 | 2021-11-17 | One-stop automatic washing and storag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545A KR102663376B1 (en) | 2021-10-26 | 2021-10-26 | One-stop cup automatic clean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9400A KR20230059400A (en) | 2023-05-03 |
KR102663376B1 true KR102663376B1 (en) | 2024-05-03 |
Family
ID=8616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545A Active KR102663376B1 (en) | 2021-10-26 | 2021-10-26 | One-stop cup automatic cleaning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3376B1 (en) |
WO (1) | WO2023074989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17235A1 (en) * | 2008-04-07 | 2011-01-27 | Premark Feg L.L.C. | Dishwasher and method for cleaning wash ware |
JP2012500046A (en) | 2008-08-14 | 2012-01-05 | プレ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 Conveyor dishwasher and method of operating it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12230A1 (en) * | 1998-03-20 | 1999-09-23 | Aeg Hausgeraete Gmbh | Dishwash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KR200363483Y1 (en) * | 2004-07-06 | 2004-10-02 | 이제완 | Cup washing apparatus |
KR100881712B1 (en) | 2007-07-13 | 2009-02-06 | 최기창 | Cup washer |
KR102529110B1 (en) * | 2016-10-24 | 2023-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method of displaying dishwashers condition of home appliance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same |
DE102017223226A1 (en) * | 2017-12-19 | 2019-06-19 | Henkel Ag & Co. Kgaa | Use of external information when operating a household appliance |
KR102060142B1 (en) * | 2018-04-12 | 2019-12-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with improved washing, drying, sterilizing function |
KR20210039026A (en) * | 2019-10-01 | 2021-04-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artificial intelligence dish washer and method for washing dish using the same |
KR102119076B1 (en) * | 2019-10-14 | 2020-06-04 | 주식회사 탑소닉 | Dishwasher with function contro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2021
- 2021-10-26 KR KR1020210143545A patent/KR102663376B1/en active Active
- 2021-11-17 WO PCT/KR2021/016876 patent/WO202307498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17235A1 (en) * | 2008-04-07 | 2011-01-27 | Premark Feg L.L.C. | Dishwasher and method for cleaning wash ware |
JP2012500046A (en) | 2008-08-14 | 2012-01-05 | プレ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 Conveyor dishwasher and method of operating 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9400A (en) | 2023-05-03 |
WO2023074989A1 (en)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68956B2 (en) | Clean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for treating containers for human excretions | |
US12133619B2 (en) | Verification of cleaning process efficacy | |
US20170079471A1 (en) | Optical quality control methods | |
TW464517B (en) | Sterilization system | |
KR101589689B1 (en) | Individual identifiable auto hand sterilized device and sanitation managing method using thereof | |
US20230115378A1 (en) |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 |
JP2009505801A (en) | Automatic configurable chemical dispensing system for cleaning machines | |
EP2638325A2 (en) | A cooking device, and a procedure for cooking food | |
US7040039B1 (en) | Clothes dryer with lint detector | |
KR101939793B1 (en) |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for baby products | |
CN111712173A (en) | Method, domestic dishwasher and system for operating a domestic dishwasher | |
KR102663376B1 (en) | One-stop cup automatic cleaning device | |
US20200281437A1 (en) |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rticles to be cleaned | |
KR20180072890A (en) | Open type shoe sterilizer | |
CN105431071B (en) | Cleaning device with the door handle being illuminated | |
KR20090076511A (en) | Automatic washing sterilization dryer and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fluorescent substance of residual detergent | |
KR102060142B1 (en) | A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with improved washing, drying, sterilizing function | |
KR20110007803A (en) | Coin Operated Hand Sterilizer | |
EP3243090B1 (en) | Sensing device | |
CN110279876A (en) | Electric sterilizer | |
WO2020033291A1 (en) |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commercial dishwasher, dishwasher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dishwasher | |
JP7177530B2 (en) | Dishwasher | |
US20240298870A1 (en) | Dishwasher for treating washware | |
KR102677658B1 (en) | Tableware drying device with sterilizationg and drying fuction | |
KR20190013249A (en) | Sterilization cra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