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993B1 - Connector assembly having protect plate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having protect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2993B1 KR102662993B1 KR1020160125717A KR20160125717A KR102662993B1 KR 102662993 B1 KR102662993 B1 KR 102662993B1 KR 1020160125717 A KR1020160125717 A KR 1020160125717A KR 20160125717 A KR20160125717 A KR 20160125717A KR 102662993 B1 KR102662993 B1 KR 1026629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ctive plate
- housing
- cap
- plug
- protection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탭 단자를 구비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p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t may include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on plate.
Description
아래의 설명은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description below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with a protective plate.
현재 차량의 엔진 성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다양한 편의장치가 탑재되는 등 고급화 및 다기능화 추세에 따라, 차량 내에는 많은 전장품 및 제어기들이 탑재되고 있고, 각종 전장품에 대한 전원선, 제어 신호선, 제어기들 간의 통신선 등을 포함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비롯하여 케이블 등이 소정의 배열로 설치되고 있다.Currently, as the engine performance of vehicles improves and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re installed, along with the trend of becoming more advanced and multifunctional, many electrical components and controllers are installed in vehicles, including power lines, control signal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between controllers for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Cables, including wiring harnesses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특히, 각종 전장품을 비롯하여 제어기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 또는 케이블 등의 일끝 단에는 커넥터가 장착되고, 이 커넥터는 전장품의 정격용량 및 사용전선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In particular, a connector is installed at one end of a wiring harness or ca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various electrical equipment and controllers, and these connectors are manufactured in different shapes depending on the rated capac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wires used.
이에, 인-라인에서 각종 와이어링 하네스 등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커넥터를 조립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Accordingly, as a number of connectors for connecting various wiring harnesses, etc. are assembled in-line, the number of working hours increas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3개의 커넥터가 마련되고, 3개의 커넥터 중 제1커넥터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이고, 제2커넥터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제3커넥터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플러그 구조로서 조립된다.For example, in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내부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일 측에 제2 커넥터부가 결합되는 제1 커넥터부가 내설된 본체,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제1 커넥터부와 제2 커넥터부의 접속단자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 및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를 동시에 인출하거나 삽입되게 양측 슬라이딩 가이드 부재를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회동가능하게 형성된 레버부재가 포함된 커넥터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형성된 상기 케이블 커버가 포함하는 케이블 커버를 갖는 커넥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below,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inside, a first connector part to which a second connector part is coupled to one side, is inserted or pulled out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first connector part and the second connector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nnector including a sliding guide member that couples or separates the connection terminals and a lever member that is coupled and rotatable to connect both sliding guide members to simultaneously withdraw or insert both sliding guide members, and is form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connector having a cable cover included in the cable cover is disclos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커넥터의 제조 후 차량 등에 장착하기 위한 이송과정에서 다수의 탭 단자 중의 일부가 휘어지거나, 절단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some of the tab terminals were damaged, such as being bent or cut,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for mounting the connector on a vehicle, etc. after manufacturing the connector.
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탭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캡을 마련하는 경우, 제조시 보호 캡을 장착하고, 차량으로의 장착시 이 보호 캡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 수가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when providing a protective cap to protect the tab terminal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rotective cap during manufacturing and removing the protective cap when installing it on the vehicle is required,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steps. There was also a problem.
또한, 차량의 장착 후, 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 탭 단자가 손상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Addition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ab terminal was damaged when the connector was disconnected after being mounted on the vehicle.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의 경우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기는 하지만, 보호판과 간섭되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호판의 벽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Meanwhile, Patent Document 3 below discloses a connector provided with a protection plate. In the case of such a connector, although it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 order to form a structure that interferes with the protection plate, the thickness of the wall of the protection plate becomes thick,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space efficiency is reduced.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호판을 마련하여 커넥터의 이송시 탭 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one embodiment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nnector that prevents damage to the tab terminal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connector by providing a protective plate.
일 실시 예의 목적은 보호판을 마련하여 커넥터의 조립 및 분해 과정에서 탭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prevents deformation of the tab terminal during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connector by providing a protective plate.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하면서 탭 단자를 보호할 수 있는 커넥터의 결합 및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a connector that can easily connect or disconnect a cap housing and a plug housing while protecting a tab terminal.
일 실시 예의 목적은 공간 효율성이 높고, 소형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is highly space efficient and can be miniaturized.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또는 분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urpose of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that can reduce the force required to engage and/or disengage the connector assembly.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탭 단자를 구비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ap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t may include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on plate.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and the protection plate include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a plug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side wall,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형상 변형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plug engaging portion may be changed on a plane including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on plate.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plug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a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가 변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변형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deformation receiving space formed adjacent to the plug engaging portion within a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lug engaging portion may be deformed.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lug engaging portion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탄성을 갖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를 구비한 제 1 후크; 및 상기 제 1 후크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 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g engaging portion includes a first hook having an elastic hook body and a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ook body to prevent the fixing protrusion from being separated; And it may include a second hook having a shape symmetrical to the first hook.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제 1 후크의 후크 바디와, 상기 제 2 후크의 후크 바디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는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may move within a movement space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hook body of the first hook and the hook body of the second hook.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p housing includes a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for maintaining the protective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ective plate further includes a cap locking portion for engaging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and the plug housing includes the protective plate. It may include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support lever.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용 돌기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보호판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lug housing from the cap housing, the protection plate may not move at an initial stage when the separation protrusion presses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p housing includes a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for maintaining the protective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tective plate may include a cap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hooked to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there is.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is of a variable type, and the plug housing may include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 상기 레버 바디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보호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 및 상기 레버 바디부 또는 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용 돌기와 오버랩되는 작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includes a lever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ever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protection plate; and an a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lever body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and overlapping the separation protrus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action portion.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바디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 슬라이딩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lever sliding space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lever body portion can be moved.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이탈 방지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돌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내측으로 벤딩 가능한 가변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ap housing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and prevents the protection plate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protection plate includes a protrusion lock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e protrusion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in a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may be provided in a variable form capable of b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plate.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이탈 방지 돌기의 하단에 걸리기 위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이탈 방지 돌기를 넘어서 삽입될 때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rusion locking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for engaging the lower end of the anti-separation protrusion; and a ben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bent when the protection plate is inserted beyo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상기 돌기 걸림부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protrusion locking portion may have a U-shape.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상기 보호판의 측벽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may not have a portion protruding inward or outward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최대 두께는 0.8~1.0mm일 수 있다.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may be 0.8 to 1.0 mm.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의 이송시 탭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tab terminal when the connector is transported while the protection plate is mounted in the cap housing.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결합 또는 분리과정에서 탭 단자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are coupled or separated while the protective plate is mounted in the cap housing, so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hat may be inflicted on the tab terminal during the coupling or separation process is obtained. Lose.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보호판이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탭 단자를 가이드 하여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are coupled or separated while the protective plate that protects the tab terminal is mounted in the cap housing, so the protective plate guides and couples the tab terminal that is inserted or separated from the plug housing. Alternatively,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realize separation is also obtained.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캡 하우징, 보호판 및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두 구성이 탈부착 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결합 가능한 단자들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개수의 단자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종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커넥터 어셈블리를 소형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is no need to form additional spac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ny two components of the cap housing, protection plate, and plug housing are detachable,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be coupled in the same space increases. By doing so, space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other words, since the longitudinal area occupied by the entire connector assembly can be reduced in order to connect the same number of terminals,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miniaturized.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rce required for coupling and disassembly of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reduc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하우징 및 보호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초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Figure 3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p housing and the protective plate in a combined stat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plug housing fastened to the protection plate.
Figures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plug housing to the cap housing.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fully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the initial process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cap housing.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mediate process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cap housin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cap housing.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mediate process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late.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late.
Figure 12 is a view showing the plug housing completely pulled out from the cap housing.
이하에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캡 하우징 및 보호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캡 하우징에 보호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2의 절개선 I-I를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and FIG. 3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 housing and a protective plate in a combined stat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 of Figure 2 with the protective plate coupled to the cap hous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보호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커넥터 어셈블리(1)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보호판(20)에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홀의 각각에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자의 각각이 삽입될 수 있다. 보호판(20)은, 상기 복수 개의 단자가 곧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작업 과정에서 상기 복수 개의 단자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단자가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는, 다수의 탭 단자를 구비한 캡 하우징(10), 캡 하우징(10)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20), 보호판(20)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30), 플러그 하우징(30)에 장착되는 레버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에 의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The
상기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는 어느 특정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캡 하우징(10), 보호판(20), 플러그 하우징(30), 레버 하우징(40)에 마련된 각각의 구성 요소의 유기적 결합에 따른 구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상기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는 캡 하우징(10), 보호판(20), 플러그 하우징(30), 레버 하우징(40)에 마련된 각각의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기능에 따라 보호판(20)의 상승 또는 하강시 보호판의 상승 또는 하강을 실현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강 부재는 상기 캡 하우징(10)으로 인입되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0)에 의하여 상기 보호판(20)의 초기 상태의 결합이 해지되어 상기 보호판(20)이 하강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상승 부재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30)의 상승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보호판(20)이 상승하여 초기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승 부재 및 하강 부재는 동일 구성 요소이더라도 상기 보호판(20)의 상승 시 작용하는 구성인 경우 상승 부재에 대응하며, 상기 보호판(20)의 하강 시 작용하는 구성인 경우 하강 부재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rising member and the lowering member do not refer to any specific component, but rather are an organic combination of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캡 하우징(10)은, 보호판(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 방지 돌기(11)와, 보호판(20)을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초기 상태)로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판 지지 레버(12)와, 보호판(20)의 상승 또는 하강시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공간이 마련된 레버 후퇴 공간(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탈 방지 돌기(11)는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보호판(2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11)는 캡 하우징(10)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부는 평평한 형상을 포함하고, 상부는 경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될 때, 이탈 방지 돌기(11)의 상부의 경사진 형상을 통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될 때,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부의 평평한 형상에 의해 캡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판(20)의 측벽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보호판(20)의 측벽의 두께는 예를 들어 0.8~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보호판 지지 레버(12)는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보호판(2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보호판 지지 레버(12)는 캡 하우징(10)의 내벽, 예를 들면, 내부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121)와, 레버 바디부(121)로부터 돌출된 받침부(122)와, 레버 바디부(121) 또는 받침부(122)에 연결되는 작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바디부(121), 받침부(122) 및 작용부(1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바디부(121)는, 가변형으로 마련되어, 캡 하우징(10)의 내측면 및 레버 바디부(121) 사이에 형성된 레버 후퇴 공간(13) 내에서 변형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받침부(122)의 상부는 평평한 형상을 포함하고, 하부는 경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부(123)는 받침부(122)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부(123)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은 경사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에 마련된 다수의 탭 단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탭 단자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플러그 하우징(30)이 삽입되기 전까지 캡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L)만큼 이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보호판(20)은 플러그 하우징(30)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일정 거리(L) 내에서 캡 하우징(10) 내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보호판(20)은 작용부(12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21)과, 받침부(122)에 지지 가능한 캡 걸림부(22)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23)와, 레버 바디부(121)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 슬라이딩 공간(25)과, 플러그 걸림부(23)가 변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변형 수용 공간(26)과, 이탈 방지 돌기(11)에 걸릴 수 있는 돌기 걸림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수용 홈(21)은, 보호판(20)의 바닥벽의 테두리부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홈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용 홈(21)은, 보호판(20)의 바닥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호판(20) 중 수용 홈(2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받침부(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호판(20)의 바닥벽 중 받침부(122)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캡 걸림부(22)라고 할 수도 있다. 캡 걸림부(22)는, 보호판(20)의 바닥벽 중 보호판(20)의 삽입 방향(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서 받침부(122)와 오버랩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 걸림부(22)의 구조에 의하면, 캡 하우징(10)의 바닥부로부터 보호판(20)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간섭 구조물을 보호판(20)의 외측에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 걸림부(22)가 보호판(20)의 외측에 형성될 경우에는, 캡 걸림부(22)를 지지하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보호판(20)의 외측에 위치되어야 하고,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에 일정한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하지만,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이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The receiving
레버 슬라이딩 공간(25)은 보호판(20)의 측벽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슬라이딩 공간(25)은 보호판(20)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레버 슬라이딩 공간(25)은,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보호판(20) 중 캡 걸림부(2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호판(20)의 측벽이 얇은 판재 형상을 갖더라도, 보호판(20) 및 보호판 지지 레버(12) 상호간 간섭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플러그 걸림부(23)는, 플러그 하우징(30)의 측벽에 돌출된 고정용 돌기(33, 도 4 참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는, 보호판(20)의 측벽 내에 가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는 예를 들어, 보호판(20)의 테두리 중 수용 홈(21)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는 고정용 돌기(33)와의 간섭에 따라서 보호판(20)의 측벽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걸림부(23)가 보호판(20)의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걸림부(23)가 보호판(20)의 측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될 경우에는, 플러그 걸림부(23)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보호판(20)의 측벽 및 캡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일정한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하지만,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이상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플러그 걸림부(23)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변형 수용 공간(26)은, 예를 들어, 플러그 걸림부(23)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변형 수용 공간(26)은, 보호판(20)의 측벽 중 플러그 걸림부(23)가 형성된 부분의 주변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보호판(20)의 측벽이 얇은 판재 형상을 갖더라도, 보호판(20) 및 플러그 하우징(30) 상호간 간섭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돌기 걸림부(27)는, 이탈 방지 돌기(11)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는, 보호판(20)의 측벽 내에 가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는 이탈 방지 돌기(11)와의 간섭에 따라서 보호판(20)의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돌기 걸림부(27)는,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단에 걸릴 수 있는 수평부(271)와, 수평부(271)가 이탈 방지 돌기(11)와 간섭될 때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271) 및 벤딩부(272)는 예를 들어, 보호판(20)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걸림부(27)는, 도 3과 같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플러그 하우징(30)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각각 이동시켜 캡 걸림부(22)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분리시키는 분리용 돌기(32)와, 플러그 걸림부(23)에 걸리는 고정용 돌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용 돌기(32) 및 고정용 돌기(33) 각각의 하부는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레버 하우징(40)은 조작자가 캡 하우징(10)에 플러그 하우징(30)을 결합 또는 분리시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캡 하우징(10), 보호판(20), 플러그 하우징(30) 및 레버 하우징(4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세라믹 수지 등 절연성과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30)을 결합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의 결합방법으로서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 하우징(10) 내에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초기 상태)로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20)을 장착한다.As a method of coupling the
이러한 장착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작시 작업자가 보호판(20)을 캡 하우징(10) 내에 밀어넣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This mounting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pushing the
즉, 도 2에 도시된 캡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에서 보호판(20)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단순 삽입에 의해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에 의해 저지되지만, 이탈 방지 돌기(11)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면을 구비하므로, 작업자가 압압하는 것에 의해 보호판(20)은 이탈 방지 돌기(11)를 용이하게 통과한다. 보호판(20)이 이탈 방지 돌기(11)를 통과한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0)의 보호판 지지 레버(12)에 보호판(20)의 바닥벽에 형성된 캡 걸림부(22)가 걸려서 캡 하우징(10)의 내측 바닥벽과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캡 하우징(10)에 내장된 다수의 탭 단자의 일부분(선단)이 보호판(20)에 형성된 다수의 홈에 각각 삽입된 상태(초기 상태)일 수 있다. That is,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되면, 보호판(20)의 돌기 걸림부(27)가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를 넘어가는 과정에서, 보호판(20)의 내측으로 휘어진 후에 다시 복원되면서, 돌기 걸림부(27)의 수평부(271)의 상단은 이탈 방지 돌기(11)의 하단에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돌기 걸림부(27)가 이탈 방지 돌기(11)를 완전히 넘어간 위치에서, 보호판(20)의 캡 걸림부(22)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받침부(122)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으로 더 이상 진입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상태(초기 상태)로 유지되면서,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 At a position where the
도 4 내지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도 3 상태의 이후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의 결합 과정에서 도 2의 절개선 II-II를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에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mbined after the state of FIG. 3. Figures 4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I of Figure 2 during each joining process.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plug housing fastened to the protection plate, Figure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plug housing to the cap housing, and Figure 6 shows the plug housing fully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This is a drawing that represent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걸림부(23)는, 예를 들어, 제 1 후크(231a), 제 2 후크(231b), 이동 공간(232) 및 진입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4 , the
제 1 후크(231a)의 헤드부 및 제 2 후크(231b)의 헤드부 각각의 상부는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 1 상측 경사부 및 제 2 상측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후크(231a)의 헤드부 및 제 2 후크(231b)의 헤드부 각각의 하부는 내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 1 하측 경사부 및 제 2 하측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 1 하측 경사부 및 제 2 하측 경사부의 기울기는, 제 1 상측 경사부 및 제 2 상측 경사부의 기울기보다 완만할 수 있다. 제 1 후크(231a)의 후크 바디 및 제 2 후크(232b)의 후크 바디는, 보호판(20)의 측벽 내에 마련된 변형 수용 공간(26) 내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portions of the head portion of the
이동 공간(232)은, 제 1 후크(231a)의 후크 바디 및 제 2 후크(231b)의 후크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고정용 돌기(33)는 이동 공간(23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The moving
진입부(233)는, 제 1 후크(231a)의 헤드부 및 제 2 후크(231b)의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플러그 하우징(30)이 보호판(20)에 체결될 때, 고정용 돌기(33)가 진입하는 부분이다. The
도 3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으로 삽입되면, 먼저 플러그 하우징(30)의 고정용 돌기(33)가 보호판(20)의 플러그 걸림부(23)를 변형시키면서, 도 4와 같이 이동 공간(232)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의 분리용 돌기(32)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작용부(123)에 맞닿을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3, when the
도 4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으로 보다 삽입되면, 도 5a와 같이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되기 전에 분리용 돌기(32)는 작용부(123)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수용 홈(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레버 바디부(121)는 외측으로 휘어지고, 결과적으로,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받침부(122, 도 2 참조)는, 캡 걸림부(22, 도 2 참조)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분리용 돌기(32)에 의해,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보호판(20)으로부터 분리되면, 도 5b와 같이 보호판(20)이 초기 위치로부터 벗어나서 캡 하우징(10)으로 하강하면서,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된다. In the state of FIG. 4, when the
이와 같이, 고정용 돌기(33)가 플러그 걸림부(23)에 간섭되는 과정과, 분리용 돌기(32)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밀어내는 과정과,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가 플러그 하우징(30)에 결합되는 과정이 서로 동시에 시작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과정이 동시에 시작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 하우징(30)을 보호판(20) 및 캡 하우징(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 in which the fixing
도 5b와 같이 캡 걸림부(22)와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분리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으로 보다 삽입되면, 도 6과 같이, 보호판 지지 레버(12)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 밀착되면서, 각각의 탭 단자는 플러그 하우징(30)에 수용되고,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B, when the
도 7a 내지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12는 각각의 결합 과정에서 도 2의 절개선 II-II를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초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A to 12 are diagrams showing a separation proces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7A to 12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I of FIG. 2 during each joining process. Figures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the initial process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cap housing,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mediate process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cap housing, a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plug housing being separated from the cap housing.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mediate process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late, Figure 11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protection plate, and Figure 12 is a drawing showing the plug housing being completely pulled out from the cap housing. This is a drawing showing what it looks like.
먼저 도 6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0)이 보호판(20) 및 캡 하우징(10)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도 7a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이동하면, 분리용 돌기(32)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외측으로 가압하기 전에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는 플러그 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러그 하우징(30)이 도 7a의 거리 D만큼 상승하는 동안에는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0)을 분리시키는 힘만 요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6, in a state in which the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서 분리용 돌기(32)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작용부(123, 도 3 참조)를 외측으로 가압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과정에서 고정용 돌기(33)는 이동 공간(232)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용 돌기(33)가 이동 공간(232)의 상단에 맞닿기 전까지, 보호판(20)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7B, as the
도 7b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8과 같이 고정용 돌기(33)는 보호판(20)의 플러그 걸림부(23)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이때부터 보호판(20)은 플러그 하우징(30)과 함께 상승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ure 7b, when the
이와 같이, 캡 하우징(10)의 탭 단자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0)을 분리시키는 과정과, 분리용 돌기(32)가 보호판 지지 레버(12)를 밀어내는 과정과, 고정용 돌기(33)가 플러그 걸림부(23)에 간섭하여 보호판(20)을 상승시키는 과정이 서로 동시에 시작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과정이 동시에 시작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 하우징(30)을 캡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도 8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9와 같이 분리용 돌기(32)는 작용부(123, 도 3 참조)를 완전히 넘어가고, 보호판 지지 레버(12)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 보호판(20)의 캡 걸림부(22, 도 3 참조)는, 보호판 지지 레버(12)의 받침부(122, 도 3 참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경우 도 3과 같이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 도 3 참조)는 보호판(20)의 돌기 걸림부(27)에 걸리게 됨으로써,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으로부터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서 일정거리(L)만큼 이격된 초기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8, when the
도 9의 상태, 다시 말하면, 보호판(20)이 캡 하우징(10)의 이탈 방지 돌기(11, 도 3 참조)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10과 같이 고정용 돌기(33)는, 보호판(20)의 플러그 걸림부(23)를 변형시키면서 도 11과 같이 상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러그 하우징(30)은 보호판(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9,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도 11의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30)이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부로 더욱 이동하면, 도 12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0)은 캡 하우징(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서 일정 거리(L) 이격된 상태로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FIG. 11,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캡 하우징(10)과 플러그 하우징(30)의 분리과정에 의해 캡 하우징(10) 내에 장착된 보호판(20)은 캡 하우징(10)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캡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By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이상의 실시 예는 예를 들어, 핀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ACU 커넥터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으나, ACU 커넥터 어셈블리 이외의 다른 종류의 커넥터 어셈블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abov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for example, an ACU connector assembly that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pin deformation,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connector assemblies other than the ACU connector assembly.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의 이송시 탭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결합 또는 분리과정에서 탭 단자에 가해질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이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을 결합 또는 분리하므로, 보호판이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탭 단자를 가이드 하여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캡 하우징, 보호판 및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두 구성이 탈부착 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동일한 공간에서 결합 가능한 단자들의 숫자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개수의 단자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가 차지하는 종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커넥터 어셈블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tab terminal when the connector is transported while the protection plate is mounted in the cap housing.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are coupled or separated while the protective plate is mounted in the cap housing, so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hat may be inflicted on the tab terminal during the coupling or separation process is obtained. Lose.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are coupled or separated while the protective plate that protects the tab terminal is mounted in the cap housing, so the protective plate guides and couples the tab terminal that is inserted or separated from the plug housing. Alternatively,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realize separation is also obtained.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re is no need to form additional spac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ny two components of the cap housing, protection plate, and plug housing are detachable,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be coupled in the same space increases. By doing so, space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other words, since the longitudinal area occupied by the entire connector assembly can be reduced in order to connect the same number of terminals,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miniaturized. According to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rce required for coupling and disassembly of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reduced.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설명된 구조 및/또는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components such as the described structure and/or device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are us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with substitutions or substitutions.
Claims (21)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형상 변형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shape of the plug engaging portion is deformed on a plane including a side wall of the protection plate.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A connector assembly wherein the plug engaging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a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서 상기 플러그 걸림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가 변형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변형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The protective plate is,
The connector assembly further includes a deformation receiving space formed adjacent to the plug engaging portion within a side wall of the protection plat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lug engaging portion is deformable.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두께와 동일한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lug engag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on plate.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걸림부는,
탄성을 갖는 후크 바디와, 상기 후크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를 구비한 제 1 후크; 및
상기 제 1 후크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 2 후크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The plug engaging part,
a first hook having an elastic hook body and a head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hook body to prevent the fixing protrusion from being separated;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cond hook having a shape symmetrical to the first hook.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제 1 후크의 후크 바디와, 상기 제 2 후크의 후크 바디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는 이동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The fixing protrusion is movable within a moving space defined by a space between the hook body of the first hook and the hook body of the second hook.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The cap housing includes a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for maintaining the protective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ective plate further includes a cap locking portion for engaging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The plug housing is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용 돌기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보호판이 이동하지 않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9,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protection plate does not move at an initial stage when the separation protrusion presses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dur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plug housing from the cap housing.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to 7,
The cap housing includes a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for maintaining the protective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ective plate is formed on a bottom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includes a cap locking portion for engaging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of a variable type,
The plug housing is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
상기 레버 바디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보호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 및
상기 레버 바디부 또는 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용 돌기와 오버랩되는 작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2,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a lever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ever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protection plate;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n a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lever body portion or the support portion and overlapping the separation protrus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
상기 레버 바디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보호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 및
상기 레버 바디부 또는 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용 돌기와 오버랩되는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바닥벽에 형성되고, 상기 작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cap housing includes a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for maintaining the protective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ective plate includes a cap locking portion for engaging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of a variable typ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of a variable typ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a lever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ever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protection plate; and
An a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ever body or the support portion and overlaps the separation protrus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The protective plate is,
The connector assembly is formed on the bottom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receiving the action portion.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호판 지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에 걸리기 위한 캡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를 가압 및 변형시켜 상기 캡 걸림부와 보호판 지지 레버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 지지 레버는,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레버 바디부;
상기 레버 바디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보호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 및
상기 레버 바디부 또는 받침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용 돌기와 오버랩되는 작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보호판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바디부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 슬라이딩 공간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cap housing includes a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for maintaining the protective plat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tective plate includes a cap locking portion for engaging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of a variable typ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of a variable typ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separation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cap locking portion and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by pressing and deforming the protection plate support lever,
The protective plate support lever is,
a lever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ever body portion and supporting the protection plate; and
An a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ever body or the support portion and overlaps the separation protrusion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The protective plate is,
The connector assembly further includes a lever sliding space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protection plat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lever body portion can be moved.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하우징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이탈 방지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돌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판의 내측으로 벤딩 가능한 가변형으로 제공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cap housing includes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an inner wall of the cap housing and prevents the protection plate from separation,
The protective plate includes a protrusion locking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The protrusion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and is provided in a variable form that can be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plate.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이탈 방지 돌기의 하단에 걸리기 위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이 상기 이탈 방지 돌기를 넘어서 삽입될 때 휘어질 수 있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6,
The protrusion locking part,
a horizontal portion to be caught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nd
A connector assemb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including a bending portion that can be bent when the protection plate is inserted beyo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상기 돌기 걸림부는, U자 형상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6,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protrusion locking portion has a U-shape.
상기 돌기 걸림부는,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6,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protrusion locking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a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의 측벽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갖지 않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A connector assembly wherein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does not have a portion protruding inward or outward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캡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탭 단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보호판에 장착되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탭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 홀을 포함하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돌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용 돌기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플러그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의 측벽의 최대 두께는 0.8~1.0mm인 커넥터 어셈블리.A cap housing with a plurality of tab terminals;
a protective plate mounted within the cap housing to protect the tab terminal; and
Includes a plug housing mounted on the protective plate,
The plug housing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ective plate is,
a bottom wall including a terminal hole into which the tab terminal can be inserted;
a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and
It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de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includes a plug engag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fixing protrusion,
A connector assembly where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side wall of the protective plate is 0.8 to 1.0 m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60092859 | 2016-07-21 | ||
KR1020160092859 | 2016-07-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0934A KR20180010934A (en) | 2018-01-31 |
KR102662993B1 true KR102662993B1 (en) | 2024-05-03 |
Family
ID=6108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5717A Active KR102662993B1 (en) | 2016-07-21 | 2016-09-29 | Connector assembly having protect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29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8477B1 (en) * | 2018-03-19 | 2024-03-19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EP3544125B1 (en) | 2018-03-19 | 2022-12-07 | Tyco Electronics AMP Korea Co., Ltd. |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male connector |
CN216214329U (en) * | 2020-10-06 | 2022-04-05 |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 connector assembl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881B1 (en) | 2012-09-06 | 2013-10-23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37580B2 (en) * | 1997-08-18 | 2001-12-10 | 住友電装株式会社 | Lever connector |
KR101682244B1 (en) | 2010-04-29 | 2016-12-02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Having a cable cover Connector |
KR101091660B1 (en) | 2010-09-30 | 2011-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utomotive Combination Connectors |
KR101575390B1 (en) * | 2012-04-27 | 2015-12-09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Connector having protect plate |
KR101342165B1 (en) * | 2012-05-11 | 2013-12-1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101396303B1 (en) * | 2012-09-06 | 2014-05-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
2016
- 2016-09-29 KR KR1020160125717A patent/KR1026629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881B1 (en) | 2012-09-06 | 2013-10-23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Connector having terminal guid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0934A (en) | 2018-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330B1 (en) | Connector having protect plate | |
US9124079B2 (en) | Electric junction box | |
US9905977B2 (en) | Motor terminal, motor terminal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motor using the same | |
US7147505B2 (en) | Connector assembly with strain relief member | |
MX2008016359A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2662993B1 (en) | Connector assembly having protect plate | |
JP6836918B2 (en) | Protector and wire harness | |
JP5390278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102633432B1 (en) | Connector assembly having protect plate | |
CN101877469B (en) |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type closing structure | |
EP2637900B1 (en) | Electric wire fixing device | |
JP2017123746A (en) | Protector and wire harness including the same | |
EP3822127B1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JP5135173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EP2874175B1 (en) | Fuse holder and fuse cover with fixing structure | |
US20200091647A1 (en) | Connector | |
KR102402303B1 (en) | A connector | |
CN103378452B (en) | Connector with protection board | |
KR20100006922U (en) | Vehicular junction box | |
EP3796477B1 (en) | Electric wire cover | |
JP5859321B2 (en) | Wire container | |
JP5510898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20090008889U (en) | Connector hanving cover for protecting of terminal | |
JP2016220308A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KR20120085051A (en) | Multipolar connector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