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2639B1 -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639B1
KR102662639B1 KR1020160108157A KR20160108157A KR102662639B1 KR 102662639 B1 KR102662639 B1 KR 102662639B1 KR 1020160108157 A KR1020160108157 A KR 1020160108157A KR 20160108157 A KR20160108157 A KR 20160108157A KR 102662639 B1 KR102662639 B1 KR 102662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area
ray imaging
camera image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4560A (en
Inventor
이호준
배근태
김주환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247,22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02229B2/en
Priority to EP16186173.7A priority patent/EP3155969B1/en
Publication of KR2017002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60A/en
Priority to US16/921,367 priority patent/US11382585B2/en
Priority to US17/861,829 priority patent/US116788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63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21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movement of the focal sp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lurality of sour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64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particular type of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76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motor-assisted motion of the source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32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mosai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을 포함하는 각종 엑스선 촬영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엑스선 촬영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엑스선 조사 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가 장착된 엑스선 소스;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엑스선 촬영 영역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엑스선 촬영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이 상기 추출된 엑스선 촬영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 X-ray imag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setting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X-ray imaging, including an X-ray irradiation area, using camera images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X-ray imaging, are provided.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that captures a camera image; An X-ray source equipped with a collimator that adjusts the X-ray irradiation area;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X-ray imaging areas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for the X-ray imaging protocol; and a control unit that extracts an X-ray imaging area mapped to the selected X-ray imaging protocol from the camera image and controls the collimator so that the X-ray radiation area corresponds to the extracted X-ray imaging area.

Description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X-ray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n X-ray imag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엑스선 영상 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분석하여 대상체의 내부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대상체를 구성하는 조직에 따라 엑스선의 투과성이 다르므로 이를 수치화한 감쇠계수(attenu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내부구조를 영상화할 수 있다.An X-ray imaging device is a device that radiates X-rays to an object and analyzes the X-rays that pass through the object to determin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bject. Since the penetrability of X-rays varies depending on the tissues that make up the objec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bject can be imaged using the attenuation coefficient that quantifies this.

엑스선 조사 영역은 콜리메이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바, 대상체가 엑스선에 불필요하게 피폭되거나 엑스선이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엑스선 촬영 부위, 대상체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X-ray irradiation area can be adjusted by a collimator. In order to prevent the object from being unnecessarily exposed to X-rays or being irradiated with X-rays,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set the X-ray irradiation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need.

엑스선 조사 영역이 촬영 부위보다 좁은 경우, 엑스선 검출 영역이 촬영 부위보다 좁은 경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한 번의 촬영으로 원하는 부위를 모두 촬영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not possible to image all desired areas in one shot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narrower than the imaging area or when the X-ray detection area is narrower than the imaging area.

이 경우, 촬영 부위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대해 엑스선 촬영을 하여 획득된 복수의 엑스선 영상을 스티칭(stitching)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부위에 대한 하나의 엑스선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US 20090086885 A1
In this case, one X-ray image for the desired region can be obtained by dividing the imaging area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stitching the plurality of X-ray images obtained by performing X-ray imaging for each region.
(Patent Document 1) US 20090086885 A1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을 포함하는 각종 엑스선 촬영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엑스선 촬영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n X-ray imag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setting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X-ray imaging, including an X-ray irradiation area, using camera images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X-ray imaging, ar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엑스선 조사 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가 장착된 엑스선 소스;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엑스선 촬영 영역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엑스선 촬영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이 상기 추출된 엑스선 촬영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that captures a camera image; An X-ray source equipped with a collimator that adjusts the X-ray irradiation area;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X-ray imaging areas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for the X-ray imaging protocol; and a control unit that extracts an X-ray imaging area mapped to the selected X-ray imaging protocol from the camera image and controls the collimator so that the X-ray radiation area corresponds to the extracted X-ray imaging area.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맵핑될 엑스선 촬영 영역에 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receive a selection from the user regarding an X-ray imaging area to be mapped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에 관한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대상체의 형상을 갖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을 지정하는 촬영영역 창을 상기 그래픽 객체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graphic object having the shape of an object to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the X-ray imaging area, and displays an imaging area window designating the X-ray imaging area over the graphic object.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촬영영역 창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면, 상기 조절된 촬영영역 창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저장부에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으로 저장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maging area window is adjus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may store an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adjusted position and size of the imaging area window in the storage unit as the X-ray imaging area. there is.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추출된 엑스선 촬영 영역을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amera image and displays the extracted X-ray imaging area by overlapping it on the camera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프로토콜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 영상의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protocol list for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X-ray imaging protocol, and may display the camera image when a command to display the camera imag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 상기 설정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may receive settings for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and the storage unit may map and store the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상기 제어부는,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When an X-ray imaging protocol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X-ray imaging by apply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to the selected X-ray imaging protocol.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상기 엑스선 조사 조건을 맵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사이즈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graphic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settings for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an object;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put; A filming unit that takes camera images; and a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the siz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and performs X-ray imaging by apply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to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상체의 사이즈 및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상기 엑스선 조사 조건을 맵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may map and store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and the X-ray imaging protocol.

상기 제어부는,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및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When an X-ray imaging protocol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X-ray imaging by applying an X-ray irradiation condition mapped to the selected X-ray imaging protocol and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엑스선 조사영역에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장착된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에 표시된 상기 가시광선이 조사된 광 조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 조사 영역의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와 상기 광 조사 영역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X-ray source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unit that captures a camera image and a light source that irradiates visible light to an X-ray irradiation area;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in the camera image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a position in the image and determines that calibration is necessary if the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area do not match;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ibration when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고,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display a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위치, 형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if at least one of the positions, shapes, and sizes of the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nd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o not match each oth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차이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 calibration parameter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nd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calculated calibration paramete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calibr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calibration paramete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를 추출하여 디텍터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추출된 디텍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의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extracts a detector boundary line by extracting a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source are aligned based on the area window and the extracted detector boundary li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구성하는 복수의 꼭지점과 상기 디텍터 경계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들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가 정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X-ray detector and 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중심과 상기 디텍터 경계선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가 정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source are aligned when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텍터 경계선과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상기 카메라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detector boundary line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y overlapping them on the camera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소스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를 정렬시키기 위한 엑스선 소스 또는 엑스선 디텍터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 movement dista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X-ray source or X-ray detector to align the X-ray source and the X-ray dete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 또는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소스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X-ray source or the X-ray detector based on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or direction.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 또는 이동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may display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or direction of movemen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위치 또는 크기에 대한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that displays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t the calculated X-ray irradiation area or a position of the calculated light irradiation area, and receives a command to adjust the position or size of the can do.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된 조절 명령에 의해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계선을 벗어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eviates from the boundary line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X-ray detector is mounted due to the input adjustment comm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area outside the boundary lin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복수의 엑스선 영상을 스티칭하여 하나의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엑스선 조사 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가 장착된 엑스선 소스;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분할 영역 창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X-ray imaging device that generates one X-ray image by stitching a plurality of X-ray images for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 a display unit that overlaps and displays a plurality of divided area windows indicating sizes and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n the camera imag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llimator to adjust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llimator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llimator so that the width of the X-ray radiation area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윤곽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윤곽과 배경 사이의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extract the outline of the object from the camera image and determine the width of the X-ray radiation area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extracted outline and the background.

상기 엑스선 소스로부터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복수의 AEC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AEC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EC sensors that control the amount of X-rays emitted from the X-ray source, and the controller may selec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EC sensors based on the adjusted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복수의 엑스선 영상을 스티칭하여 하나의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고,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이 오버랩(overlap)되는 오버랩 영역이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that generates one X-ray image by stitching a plurality of X-ray images for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captures a camera imag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amera imag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based on the camera image, whether an overlap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verlap is located in a preset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랩 영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오버랩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overlap area so that the overlap area is not located in the preset area.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상기 오버랩 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오버랩 영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overlap area over the camera image and output a warning to the user when the overlap area is located in the preset area.

상기 오버랩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to move the overlap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엑스선 촬영 영역을 맵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엑스선 촬영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이 상기 추출된 엑스선 촬영 영역에 대응되도록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mapping and storing an X-ray imaging area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X-ray imaging protocol; extracting an X-ray imaging area mapped to the selected X-ray imaging protocol from the camera image; It may include controlling a collimator so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corresponds to the extracted X-ray imaging area.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맵핑될 엑스선 촬영 영역에 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Mapping and storing the X-ray imaging area includes receiving input from the user to select an X-ray imaging area to be mapped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It may include mapping and storing the X-ray imaging area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according to the input.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상기 엑스선 조사 조건을 맵핑시켜 저장하고;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사이즈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displa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settings for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an object; mapping and storing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put; capture camera footage; Recognize the siz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and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X-ray imaging by apply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to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엑스선 조사영역에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엑스선 소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에 표시된 상기 가시광선이 조사된 광 조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 조사 영역의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와 상기 광 조사 영역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irradiating visible light to an X-ray irradiation area; capture camera footage;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X-ray radiation area in the camera image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source; extracting a light irradiation area irradiated with visible light displayed in the camera image, and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extracted light irradiation area in the camera image; If the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does not match the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area, it is determined that calibration is necessary,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ibration is displayed.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를 추출하여 디텍터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추출된 디텍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extracting a detector boundary line by extracting a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X-ray detector is moun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source are aligned based on the calculated X-ray irradiation area or an there is.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위치 또는 크기에 대한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displaying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t the calculated X-ray irradiation area or at a position of the calculated light irradiation area; It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command to adjust the position or size of the X-ray radiation area window from the user.

상기 입력된 조절 명령에 의해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계선을 벗어난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eviates from a boundary line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X-ray detector is mounted due to the input adjustment command, displaying an area outside the boundary lin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복수의 분할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분할 영역 창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capturing a camera image; Overlapp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 windows indica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n the camera image;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collimator to adjust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controlling the collimator may include controlling the collimator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Controlling the collimator may include controlling the collimator so that the width of the X-ray radiation area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상기 조절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별로 복수의 AEC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EC sensor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based on the width of the adjusted X-ray irradiation area.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은,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고; 및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스티칭 촬영이 수행될 복수의 분할 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이 오버랩(overlap)되는 오버랩 영역이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capturing a camera image; displaying the camera image; and overlapp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segmented areas where stitching photography will be performed on the camera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an overlap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verlap is located in a preset area.

상기 오버랩 영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오버랩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ving the overlap area when the overlap area is located in the preset area.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을 포함하는 각종 엑스선 촬영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엑스선 촬영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X-ray imag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aspect, various parameters related to X-ray imaging, including an X-ray irradiation area, can be set using a camera image and X-ray imaging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2b는 엑스선 소스에 장착된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3a는 콜리메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블레이드를 AA'단면으로 자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엑스선 소스를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AEC 센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엑스선 소스에서 엑스선 조사 영역을 나타내는 광이 조사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카메라 영상에 광 조사 영역이 포함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광 조사 영역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디텍터를 정렬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엑스선 디텍터의 경계를 벗어난 예를 도시한다.
도 17내지 도 19는 촬영 프로토콜에 따른 촬영 영역을 미리 설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촬영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추출된 촬영 영역이 표시된 카메라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대상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미리 저장되는 대상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대상체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대상체 사이즈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스티칭 영상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스티칭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촬영 영역이 분할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은 각 분할 영역들 사이의 오버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오버랩 영역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 및 도 33은 스티칭 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4a내지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각 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및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AEC 센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a내지 도 39c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엑스선 소스의 틸트 각도를 제어하여 스티칭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도 40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 및 도 42는 일부 분할 촬영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티칭 촬영이 중단된 이후 재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엑스선 조사 영역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디텍터의 얼라인 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영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분할 촬영의 중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티칭 촬영을 재개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버랩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A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b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ub-display device mounted on an X-ray source.
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limator.
Figure 3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de cut along the AA' cross-sec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X-ray source seen from the front.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AEC sensors that can be used in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A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at light representing an X-ray irradiation area is irradiated from an X-ray source.
FIG.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light irradiation area is included in a camera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isplaying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ased on the light irradiation area.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reated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reated through image processing.
11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aligning an X-ray source and an X-ray detector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X-ray imaging device deviates from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17 to 19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pre-setting a shooting area according to a shooting protocol.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Figure 21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a shooting area corresponding to a shooting protocol from a camera image.
Figure 22 is a diagram showing a camera image showing the extracted shooting area.
Figure 23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pre-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an object.
Figure 24 is a diagram showing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an object that is stored in advance.
Figure 2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n which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set for each object size.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size of an object based on a camera image.
Figure 2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itched image.
Figure 2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hooting area is divided to perform stitching shooting.
Figure 29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lap area between each divided area.
Figures 30 and 31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verlap area.
Figures 32 and 33 are diagrams for a case where a user directly designates a stitching area.
FIGS. 34A to 3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that allows a user to set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each divided area in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37 and 38 are diagrams showing a screen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n AEC sensor in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39A to 39C are diagrams for performing stitching imaging by controlling the tilt angle of the X-ray source in the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0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a camera image.
Figures 41 and 42 are diagrams illustrating control when re-photography is performed after stitching photography is stopped while some segment photography is not completed.
Figure 4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verifying an X-ray irradiation area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ligning an X-ray source and an X-ray detector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tting an imaging protocol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stop segmented imaging according to movement of an object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7 is a flowchart for a case of resuming stitching imaging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8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overlap area in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esetting the size of an object in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an X-ray imag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asp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이며, 도 2b는 엑스선 소스에 장착된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외관은 엑스선 영상 장치의 일 예시로서 엑스선 소스가 검사실의 천장에 연결된 실링(ceiling) 타입의 엑스선 영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A is an exterior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t is also a degree. The exterior shown in FIG. 2A is an example of an X-ray imaging device and relates to a ceiling type X-ray imaging device in which an X-ray source is connected to the ceiling of an examination room.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110), 대상체 사이즈의 설정을 위한 화면, 촬영 프로토콜의 설정을 위한 화면, 촬영부(120)가 촬영한 영상,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대상체 사이즈의 설정을 위한 명령, 촬영 프로토콜의 설정을 위한 명령,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을 위한 명령 등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입력부(160) 및 대상체 사이즈, 촬영 프로토콜, 엑스선 조사 조건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70) 및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X-ray ima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 a display unit 150 that displays images captured by , a screen for sett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etc., a command for setting the object size, a command for setting a shooting protocol, a command for setting An input unit 160 that receives control commands from the user, a storage unit 170 that stores information on object size, imaging protocol, and 140).

또한,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X-ray imag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0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엑스선 소스(110)의 엑스선 조사 타이밍, 엑스선 조사 조건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엑스선 디텍터(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X-ray irradiation timing an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of the there is.

또한, 제어부(140)는 촬영 프로토콜 및 대상체(P)의 위치에 따라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가 장착된 장착부(14, 24)의 위치 또는 자세를 제어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mounting units 14 and 24 on which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is mounted according to the imaging protocol and the location of the object P.

제어부(14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는바, 후자의 경우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칩 상에 집적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memory storing a program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the later-described operation,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stored program.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single processor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In the latter case, the plurality of processors may be integrated on one chip or may be physically separated.

제어부(140)가 복수의 프로세서 및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 메모리, 프로세서들 중 일부는 워크 스테이션(180)에, 다른 일부는 서브 유저인터페이스(80, 도 2a 참조)나 이동 캐리지(40, 도 2a 참조) 기타 다른 장치 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워크 스테이션(180)에 마련된 프로세서는 의료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처리 등의 제어를 수행하고,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이동 캐리지에 마련된 프로세서는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ors and a plurality of memories, some of these memories and processors are installed in the work station 180, and other parts are installed in the sub-user interface 80 (see FIG. 2A) or the moving carriage 40. , see Figure 2a),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in other devices. For example, the processor provided in the workstation 180 performs control such as image processing to generate medical images, and the processor provided in the sub-display device or moving carriage operates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Control related to movement can be performed.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면, 외부의 서버(310), 의료 장치(320) 및 휴대용 단말(330; 스마트폰, 태브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 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The X-ray imaging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external devices (e.g., external servers 310, medical devices 320, and portable terminals 330; smartphones, tablet PCs, wearable devices, etc.)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It can be connected to transmit or receive data.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내부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또한, 통신부(130)가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달하여 제어부(140)로 하여금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엑스선 영상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0, allowing the control unit 140 to control the X-ray ima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t is also possible.

또한,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장치를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장치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에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이 프로그램은 제어부(140)의 동작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can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reby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40.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may proces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4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 program capable of controlling the X-ray imaging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external device, and this program may include commands that perform some or all of the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140.

프로그램은 휴대용 단말(330)에 미리 설치될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33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는 해당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The program may be pre-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330, o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330 may download and install the program from a server that provides the application. A server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may inclu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stored.

도 2a를 참조하면, 엑스선 영상 장치(100)가 배치되는 검사실 천장에는 가이드 레일(30)이 설치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캐리지(40)에 엑스선 소스(110)를 연결하여 대상체(P)에 대응되는 위치로 엑스선 소스(11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 캐리지(40)와 엑스선 소스(110)는 절첩 가능한 포스트 프레임(50)을 통해 연결되어 엑스선 소스(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 guide rail 3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n examination room where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s placed, and an By connecting, the X-ray source 110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P, and the moving carriage 40 and the X-ray source 110 are connected through a foldable post frame 50 to The height can be adjusted.

엑스선 소스(11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바, 자동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엑스선 소스(110)가 움직일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의 구동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X-ray source 110 can move automatically or manually. When it moves automatically, the X-ray imag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X-ray source 110. .

엑스선 소스(110)가 위치하는 공간과 차폐막(B)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는 워크스테이션(180)이 마련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80)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81)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2)가 마련될 수 있다. A workstation 180 may be provided in a space where the X-ray source 110 is located and a space separated by a shielding film (B). The workstation 18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81 that receives user commands and a display unit 182 that displays information.

입력부(181)는 촬영 프로토콜, 엑스선 조사 조건, 엑스선 조사 타이밍, 엑스선 소스(110)의 위치 제어 등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81)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81 may receive commands for imaging protocol, X-ray irradiation conditions, X-ray irradiation timing, and position control of the X-ray source 110. The input unit 181 may include a keyboard, mouse, touch screen, voice recognizer, etc.

디스플레이부(182)는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 엑스선 영상,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82 may display a screen for guiding user input, an X-ray image, and a scree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한편, 도 1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50) 및 입력부(160)는 워크 스테이션(18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81) 및 입력부(182)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80)에 마련된 서브 디스플레이부(81) 및 서브 입력부(82)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태블릿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50 and input unit 160 described in FIG. 1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unit 181 and an input unit 182 provided in the work station 180, and a sub display provided in the sub display device 80. It may be implemented as a unit 81 and a sub-input unit 82, and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display unit and an input unit provided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tablet PC or smartphone.

엑스선 디텍터(200)는 스탠드(20)나 테이블(10)에 고정된 고정형 엑스선 디텍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장착부(14, 2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portable x-ray detect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는 데이터 전송 방식과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유선 타입 또는 무선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X-ray detector 200 may be implemented as a fixed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x-ray detector. Portable X-ray detectors can be implemented as a wired or wireless type depending o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power supply method.

엑스선 디텍터(200) 역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바, 자동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장착부(14, 24)를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의 구동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X-ray detector 200 can also be moved automatically or manually. When it moves automatically, the X-ray imag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art such as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mounting parts 14 and 24. there is.

엑스선 디텍터(200)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엑스선 디텍터(200)는 사용자에 의해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두 경우 모두 엑스선 디텍터(2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미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The X-ray detector 200 may or may not be included as a component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n the latter case, the X-ray detector 200 may be registered with the X-ray imaging device 100 by the user. Additionally, in both cases, the X-ray det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can receive control signals or transmit image data.

엑스선 소스(110)의 일 측면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80)가 마련될 수 있고, 워크 스테이션(180)의 입력부(181) 및 디스플레이부(182)가 수행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A sub display device 8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X-ray source 110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receive commands from the user, and the input unit 181 and the display unit 182 of the work station 180 may be provided.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may be performed in the sub-display device 80.

제어부(140) 및 통신부(130)의 구성 요소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워크스테이션(180)과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엑스선 소스(110)에 마련된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80)에 포함될 수 있다.If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orkstation 180, they may be included in the sub-display device 80 provided in the X-ray source 110.

사용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 입력부(82)를 조작하거나 서브 디스플레이부(81)를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엑스선 촬영에 관한 각종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related to X-ray imaging by manipulating the sub-input unit 82 or touching the sub-display unit 81 as shown in FIG. 2B.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브 입력부(82)나 서브 디스플레이부(81)를 통해 엑스선 소스(110)의 이동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the moving position of the X-ray source 110 through the sub input unit 82 or the sub display unit 81.

도 2a는 검사실의 천장에 연결된 고정식 엑스선 영상 장치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C-암(arm) 타입 엑스선 영상 장치, 모바일 엑스선 영상 장치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의 엑스선 영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FIG. 2A shows a fixed X-ray imaging device connected to the ceiling of an examination room, the may include an X-ray imaging device.

한편, 엑스선 소스(11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 엑스선 튜브에서 발생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Meanwhile, the X-ray source 110 may include an X-ray tube that generates X-rays, a collimator that adjusts the irradiation area of the X-rays generated from the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는 콜리메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블레이드를 AA'단면으로 자른 측단면도이다.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llimator, and Figure 3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ade taken along the AA' cross-section.

도 3a를 참조하면, 콜리메이터(113)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113a, 113b, 113c, 113d)를 포함하며, 블레이드는 밴드갭(bandgap)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엑스선을 흡수할 수 있다. 블레이드가 이동하면서 엑스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콜리메이터(113)는 각각의 블레이드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the collimator 113 includes at least one movable blade (113a, 113b, 113c, and 113d), and the blade is made of a material with a high bandgap and can absorb X-rays. The X-ray irradiation range can be adjusted as the blade moves, and the collimator 113 may further include a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each blade.

제어부(140)는 설정된 조사 영역에 상응하는 각 블레이드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블레이드를 산출된 이동량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콜리메이터(113)에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movement amount of each blade corresponding to the set irradiation area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llimator 113 to move the blade by the calculated movement amount.

일 예로, 콜리메이터(113)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4개의 블레이드(113a,113b,113c,11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113a)와 제3블레이드(113c)는 x축의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제2블레이드(113b)와 제4블레이드(113d)는 y축의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As an example, the collimator 113 may include four blades 113a, 113b, 113c, and 113d having a square shape. The first blade 113a and the third blade 113c can move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x-axis, and the second blade 113b and the fourth blade 113d can move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y-axis.

또한, 4개의 블레이드(113a,113b,113c,113d)가 각각 개별적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블레이드(113a)와 제3블레이드(113c)가 한 세트, 제2블레이드(113b)와 제4블레이드(113d)가 한 세트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the four blades (113a, 113b, 113c, and 113d) to move individually, and the first blade (113a) and the third blade (113c) are one set, and the second blade (113b) and the fourth blade are one se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blades 113d to move as a set.

4개의 블레이드에 의해 형성되는 슬롯(R)을 통해 엑스선이 조사되며, 슬롯(R)에 엑스선을 통과시킴으로써 콜리메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롯(R)을 콜리메이션 영역이라 하기로 하고, 엑스선 조사 영역은 콜리메이션 영역(R)을 통과한 엑스선이 대상체(1) 또는 엑스선 디텍터(200)에 입사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X-rays are irradiated through slots (R) formed by four blades, and collimation can be performed by passing the X-rays through the slots (R).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lot R is referred to as a collimation area,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the area where the Do what it means.

도 3b를 참조하면, 콜리메이터(113)는 엑스선 튜브(111)의 전방에 배치 된다. 여기서, 엑스선 튜브(111)의 전방은 엑스선이 조사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엑스선 튜브(111)의 초점(2)으로부터 조사되는 엑스선은 콜리메이터(113)에 의해 그 조사 영역(E)이 제한되고, 산란이 감소된다. Referring to FIG. 3B, the collimator 113 is placed in front of the X-ray tube 111. Here, the front of the X-ray tube 111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X-rays are irradiated. The irradiation area E of the X-rays irradiated from the focus 2 of the X-ray tube 111 is limited by the collimator 113, and scattering is reduced.

엑스선 튜브(111)로부터 조사된 엑스선 중 블레이드(113a, 113b, 113c, 113d)에 입사된 엑스선은 블레이드에 흡수되고, 콜리메이션 영역 (R)을 통과한 엑스선은 엑스선 디텍터(200)에 입사된다. 여기서는 대상체가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Among the X-rays irradiated from the Here, the explanation is made assuming the case where there is no object.

엑스선이 콘빔(conebeam) 형태로 퍼져 나가는 경우에는 콜리메이션 영역 (R)보다 엑스선 조사 영역(E)이 넓다. 제어부(140)는 두 영역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콜리메이션 영역(R)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범위의 엑스선 조사 영역(E)에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When X-rays spread in the form of a conebeam, the X-ray irradiation area (E) is wider than the collimation area (R). The control unit 140 can irradiate X-rays to the X-ray irradiation area E in a desired range by adjusting the collimation area 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전술한 예시에서는 콜리메이터(113)가 사각형의 블레이드를 네 개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에 불과하고, 콜리메이터(113)에 포함되는 블레이드의 개수나 형상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In the above example, the collimator 113 is described as having four square blade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X-ray imaging device 100, and the number or shape of the blades included in the collimator 113 does not vary.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도 4는 엑스선 소스를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ure 4 is a view of the X-ray source seen from the front.

도 4를 참조하면, 엑스선 소스(110)의 전방에는 콜리메이터(113)가 배치되고 콜리메이터(113)와 인접한 영역에 촬영부(120)가 내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collimator 113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X-ray source 110, and an imaging unit 120 may be built in an area adjacent to the collimator 113.

촬영부(120)는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등의 카메라로 구현되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짧은 간격으로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hotographing unit 120 is implemented with a camera such as a CCD camera or a CMOS camera and can capture video.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shoot still images at short intervals.

엑스선 소스(110)가 대상체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는 반면, 촬영부(120)는 대상체의 실사 영상을 촬영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엑스선 소스(110)가 촬영하는 영상은 엑스선 영상이라 하고, 촬영부(120)가 촬영하는 영상은 카메라 영상이라 하여 구분하기로 한다. 카메라 영상에는 대상체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카메라 영상은 대상체(1)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촬영될 수도 있고, 대상체(1)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촬영될 수도 있다.While the X-ray source 110 captures an X-ray image of the object, the imaging unit 120 captures a live image of the object. In an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 image captured by the X-ray source 110 will be referred to as an X-ray image,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unit 120 will be referred to as a camera image. The camera image may or may not include the object. That is, the camera image may be captured with the object 1 locat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200, or may be captured without the object 1 present.

촬영부(120)는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부위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엑스선 소스(110)가 엑스선을 조사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촬영부(120)가 엑스선 소스(110)에 장착되면, 엑스선 영상에 나타난 영역과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영역 사이의 오프셋이 작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메라 영상을 보고 엑스선 영상과 관련된 설정을 수행하기가 더 용이해질 수 있다. 촬영부(120)의 장착 위치는 엑스선 영상에 나타난 영역과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영역 사이의 오프셋을 최소화하되, 엑스선 촬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The imaging unit 120 may be placed at a location where the X-ray imaging area of the object can be photographed. For example, the X-ray source 110 may be mou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X-rays are irradiated. When the imaging unit 120 is mounted on the X-ray source 110, the offset between the area shown in the It can become easie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imaging unit 120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minimizes the offset between the area shown in the X-ray image and the area shown in the camera image, but does not affect the X-ray imaging.

콜리메이터(113)의 전면에는 하우징(110a)이 형성될 수 있는바, 하우징(110a)은 투명 수지나 유리와 같은 소재로 구성되어 엑스선 튜브(111)로부터 조사되는 엑스선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A housing 110a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ollimator 113. The housing 110a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resin or glass to minimize the effect on the X-rays irradiated from the X-ray tube 111.

또한, 콜리메이터(113)의 전면에 형성된 하우징에는 십자 형태의 가이드 라인(GL)이 표시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0)에 내장된 콜리메이터 램프가 엑스선 조사 영역(E)에 가시광선을 조사하면, 가이드 라인(GL)의 그림자가 엑스선 조사 영역(E)의 중심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가이드 라인(GL)의 그림자를 보고 엑스선 조사 영역(E)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cross-shaped guide line GL may be displayed on the housing formed on the front of the collimator 113. When the collimator lamp built in the X-ray source 110 radiates visible light to the You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by looking at the shadow of (GL).

촬영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a)의 안쪽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10a)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하우징(110a)의 둘레에 마련된 베젤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대상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이면 촬영부(120)가 장착되는 위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The photographing unit 120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0a as shown in FIG. 4 . Alternatively, it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a, and in this case, it may be mounted on a bezel provided around the housing 110a. However,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또한, 촬영부(120)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엑스선 소스(110)의 전방 좌우 양측에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120)가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현되면, 카메라 영상의 깊이 정보도 획득할 수 있고,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인식의 정확도 및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각종 정보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photographing unit 120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stereo camera. In this case, cameras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 front of the X-ray source 110. If the photographing unit 120 is implemented as a stereo camera, depth information of the camera image can also be obtained, and depth information can be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image recognition and the reliability of various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camera image.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AEC 센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AEC sensors that can be used in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대상체의 과도한 피폭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노출 제어(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24) 내에는 엑스선의 선량을 감지하는 AEC 센서 모듈(26)이 마련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스탠드(20)의 장착부(24)를 이용하여 설명하나, 테이블(10)의 장착부(14)에도 AEC 센서 모듈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X-ray imaging apparatus 100 may perform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to prevent excessive radiation exposure of the object. To this end, as shown in FIG. 5A, an AEC sensor module 26 that detects the dose of X-rays may be provided within the mounting unit 24. In this example, the explanation is made using the mounting part 24 of the stand 20, but of course, the AEC sensor module can also be provided in the mounting part 14 of the table 10.

도 5a는 장착부(24)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AEC 센서 모듈(26)은 장착부(24)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엑스선의 선량을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복수의 AEC 센서(26a, 26b, 26c)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AEC 센서는 이온화 챔버(ionization chamber)로 구현될 수 있다. Figure 5a is a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24 viewed from the front. The AEC sensor module 26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unit 24 an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EC sensors 26a, 26b, and 26c that independently detect the dose of X-rays. As an example, each AEC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n ionization chamber.

AEC 센서가 엑스선 촬영 부위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에 가장 정확한 자동 노출 제어가 가능하다. 엑스선 촬영 부위의 중심을 AEC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키거나, 엑스선 촬영 부위의 중심에 위치하는 AEC 센서를 선택하기 위해, 장착부(24)의 표면에는 복수의 AEC 센서(26a, 26b, 26c)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Ma, Mb, Mc)가 마련될 수 있다. The most accurate automatic exposure control is possible when the AEC senso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X-ray image area. In order to position the center of the X-ray imaging are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EC sensor or to select an AEC senso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X-ray imaging area, a plurality of AEC sensors 26a, 26b, and 26c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24 Markers (Ma, Mb, Mc) indicating the location may be provided.

도 5a에서는 AEC 센서가 상단에 두 개, 하단에 한 개로 총 세 개 마련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AEC 센서가 세 개보다 적은 개수로 마련되거나 많은 개수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AEC 센서의 배치도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In Figure 5a, a total of three AEC sensors are provided, two at the top and one at the bottom,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fewer or more AEC sensors than three. , the placement of AEC sensors may also be implemented differently.

도 5b를 참조하면, AEC 센서 모듈(26)은 엑스선 디텍터(2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200)의 전방은 엑스선이 입사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5b는 엑스선 디텍터(200)의 전방에 배치된 AEC 센서 모듈(26)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Referring to FIG. 5B, the AEC sensor module 26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200. The front of the X-ray detector 200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X-rays are incident. FIG. 5B is a side view of the AEC sensor module 26 dispos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200.

AEC 센서에 엑스선이 입사되면 전류가 발생되고, AEC 센서는 발생된 전류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 전달되는 신호는 증폭 및 디지털화된 신호일 수 있다. When X-rays are incident on the AEC sensor, a current is generated, and the AEC sensor can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urrent to the control unit 140.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0 may be an amplified and digitized signal.

제어부(140)는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입사되고 있는 엑스선의 선량이 임계 선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엑스선의 선량이 임계 선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튜브(111)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기(101)에 컷-오프(cut-off)신호를 전송하여 엑스선의 발생을 중단시킬 수 있다. Based on the transmitted signal,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ly incident X-ray dose exceeds the threshold dose. If the X-ray dose exceeds the critical dose, the generation of X-rays can be stopped by transmitting a cut-off signal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101 that supplies high voltage to the X-ray tube 111.

한편, AEC 센서 모듈(26)의 전면에는 엑스선의 산란을 방지하는 그리드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엑스선 소스(110)에서 조사된 엑스선 중 일부는 엑스선 디텍터(200)까지 도달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 입자나 대상체의 구성 물질에 부딪히면서 원 경로에서 벗어나 산란될 수 있다. 이러한 산란 엑스선이 엑스선 디텍터(200)에 입사되면 엑스선 영상의 대조도가 저하되는 등 엑스선 영상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Meanwhile, it is possible to place a grid on the front of the AEC sensor module 26 to prevent scattering of X-rays. Some of the X-rays irradiated from the When these scattered X-rays are incident on the X-ray detector 200, the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the X-ray image, such as lowering the contrast of the X-ray image.

그리드는 엑스선을 흡수하는 납(Pb)과 같은 차폐 물질이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조사된 엑스선 중 원래 방향으로 진행하는 엑스선 즉, 직진하는 엑스선은 차폐 물질 사이를 통과하여 엑스선 디텍터(200)에 입사되고, 산란 엑스선은 차폐 물질에 부딪혀 흡수된다.The grid has a structure in which a shielding material such as lead (Pb) that absorbs X-rays is arranged, and among the irradiated X-rays, the X-rays traveling in the original direction, that is, the Then, the scattered X-rays hit the shielding material and are absorbed.

차폐 물질은 선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격자(cross) 구조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 물질은 엑스선의 조사 방향과 유사하게 기울어져 집속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평행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The shielding material may be arranged linearly or in a grid (cross) structure. Additionally, the shielding material may be arranged in a focused manner at an angle similar to the X-ray irradiation direction, or may be arranged in parallel.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착부(24) 내부에는 그리드를 기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그리드의 각도나 중심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that can mechanically move the grid may be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unit 24.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r center position of the grid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river from the outside.

한편, 당해 예시에서는 AEC 센서 모듈(26)이 장착부(24)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AEC 센서 모듈(26)이 엑스선 디텍터(200)에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is example, the AEC sensor module 26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24, bu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EC sensor module 26 to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X-ray detector 200.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150a)에는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창(151)과 워크리스트(155)가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 setting window 151 and a worklist 155 for sett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50a of the display unit 150.

워크리스트(155)는 스터디를 선택할 수 있는 스터디 리스트(155a) 및 촬영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토콜 리스트(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디는 서로 관련된 엑스선 영상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스터디 리스트(155a)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터디가 선택되면, 선택된 스터디에 적용될 촬영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는 프로토콜 리스트(155b)가 표시된다.The worklist 155 may include a study list 155a from which a study can be selected and a protocol list 155b from which an imaging protocol can be selected. A study may refer to a set of X-ray images related to each other. When one study is selected from the study list 155a, a protocol list 155b is displayed from which the imaging protocol to be applied to the selected study can be selected.

촬영 프로토콜마다 엑스선 촬영 영역이 달라지고, 엑스선 촬영 영역마다 적절한 엑스선 조사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촬영 프로토콜은 엑스선 촬영 부위, 대상체의 자세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전체 바디 AP(Anterior Psterior), 전체 바디 PA(Psterior Anterior), 전체 바디 LAT를 포함할 수 있고, 흉부(chest)에 대해서도 AP, PA, LAT 방식으로 촬영하는 촬영 프로토콜이 있을 수 있으며, 다리(leg)와 같은 롱 본(long bone)에 대해서도 AP, PA, LAT 방식으로 촬영하는 촬영 프로토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립 복부 촬영(Abdomen Erect)도 촬영 포로토콜에 포함될 수 있다.The X-ray imaging area varies for each imaging protocol, and appropriat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y vary for each X-ray imaging area. The imaging protocol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X-ray imaging area, the posture of the object, etc., and may include, for example, full body AP (Anterior Psterior), full body PA (Psterior Anterior), and full body LAT, and chest There may also be an imaging protocol for imaging using the AP, PA, and LAT methods, and for long bones such as legs, there may also be an imaging protocol for imaging using the AP, PA, and LAT methods. Additionally, standing abdominal imaging (Abdomen Erect) may also be included in the imaging protocol.

설정 창(151)에는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어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버튼, 아이콘 등의 객체를 모두 그래픽 객체라 할 수 있다. The settings window 151 may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rough which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set.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that can set various X-ray irradiation conditions. In this embodiment, all objects such as buttons and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used to provide information or receive control commands from the user may be referred to as graphic objects.

설정 창(151)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은 사용자로부터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데 사용되므로, 각각의 엑스선 조사 조건에 대응되는 버튼들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graphic objects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are used to receive a command to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rom the user, they can be implemented as buttons corresponding to each X-ray irradiation condition.

예를 들어, 관전압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관전압 설정 버튼(151a), 관전류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관전류 설정 버튼(151b) 및 엑스선 노출 시간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노출시간 설정 버튼(151c)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버튼을 선택하여 엑스선 조사 조건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버튼의 선택은 입력부(160)의 종류에 따라 클릭 또는 터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tube voltage setting button 151a for receiving the tube voltage setting, the tube current setting button 151b for receiving the tube current setting, and the exposure time setting button 151c for receiving the X-ray exposure time setting are displayed. It can be. The user can select each button to set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to a desired value. Selection of a button may be made by clicking or touching depending on the type of input unit 160.

실시예에 따라서 관전압 설정 버튼(151a)은 관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나 관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버튼을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관전류 설정 버튼(151b)은 관전류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나 관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버튼을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노출시간 설정 버튼(151c)은 노출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나 노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버튼을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ube voltage setting button 151a may individually include a button for increasing the tube voltage or a button for decreasing the tube voltage, and the tube current setting button 151b may include a button for increasing the tube current or a button for decreasing the tube current. Each button may be individually included, and the exposure time setting button 151c may individually include a button for increasing the exposure time or a button for shortening the exposure time.

또한, 엑스선 촬영을 스탠드(20)에서 수행할 것인지 또는 테이블(10)에서 수행할 것인지에 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촬영위치 설정 버튼(151d), 환자의 사이즈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환자 사이즈 선택 버튼(151e), 콜리메이터(113) 사이즈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콜리메이트 설정 버튼(151f), AEC 센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AEC 선택 버튼(151g), 감도(sensitivity)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감도 설정 버튼(151h), 농도(density)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i), 그리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그리드 선택 버튼(151j), 필터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필터 선택 버튼(151k), 초점 크기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초점 선택 버튼(151r)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ing position setting button 151d for receiving settings regarding whether to perform X-ray imaging on the stand 20 or the table 10, and a patient size selection button for receiving a selection regarding the patient size. (151e), collimator setting button (151f) to receive settings for collimator (113) size, AEC selection button (151g) to receive settings for AEC sensor, and receive settings for sensitivity. sensitivity setting button (151h), button (151i) for receiving density settings, grid selection button (151j) for receiving grid selection, filter selection button for receiving filter selection. (151k), a focus selection button (151r) for receiving a selection for the focus size, etc. may be further displayed.

이들 버튼은 그림이나 문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형상에 커서를 이동시켜 클릭하거나, 또는 형상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택된 형상에 대응되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se buttons can be implemented as shapes made up of pictures, letters, symbols, etc., and the user can select one shape by moving the cursor to the relevant shape and clicking on it, or by touching the shape and manipulating the shape accordingly. You can change the corresponding settings.

한편, 환자 사이즈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사이즈에 디폴트(default)로 맵핑되어 있는 엑스선 조사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70)는 환자 사이즈 별 엑스선 조사 조건이 맵핑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selection for a patient size is inpu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as default to the corresponding size may be set.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170 may store a database in which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patient size are mapped.

사용자가 환자 사이즈를 선택하면, 해당 사이즈에 디폴트로 맵핑된 관전압, 관전류 및 노출 시간 등의 엑스선 조사 조건이 설정 창(151)에 표시된다.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은 그대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각 엑스선 조사 조건에 대응되는 버튼을 선택하여 재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사용자는 설정 창(151)에 표시된 디폴트 엑스선 조사 조건을 참조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patient siz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such as tube voltage, tube current, and exposure time mapped to the corresponding size by default are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The mappe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applied as is, or the user can select a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X-ray irradiation condition and reset i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t this time, the user can reset it by referring to the defaul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또한, 촬영 프로토콜마다 엑스선 촬영 영역이 달라지고, 엑스선 촬영 영역마다 적절한 엑스선 조사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조사 조건은 워크리스트(155)에서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 및 설정 창(151)에서 선택된 대상체 사이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X-ray imaging area varies for each imaging protocol, and appropriat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y vary for each X-ray imaging area. Accordingly,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maging protocol selected in the worklist 155 and the object size select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이상 설명한 설정 창(151)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나 배치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이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고, 이들 이외에 다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가 더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예시와 다른 배치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types and arrangements of graphic objects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described above are all exemplary, and some of them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designer's selection, and additional graphic objects for changing other settings may be provid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different arrangement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촬영 버튼(151l)을 선택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설정을 초기화하고자 할 때에는 리셋 버튼(151m)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setting of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is completed, the user can select the photographing button 151l to perform X-ray imaging, and when the user wishes to initialize the settings, the user can select the reset button 151m.

한편, 엑스선 촬영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엑스선 소스(110)가 엑스선 디텍터(200)를 향해 있는 상태에서 촬영부(120)가 카메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엑스선 디텍터(200) 또는 엑스선 디텍터(200)가 장착된 장착부(14, 24)는 대상체(1)에 가려져 카메라 영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대상체(1)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전방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 영상이 촬영되면, 카메라 영상에 엑스선 디텍터(200) 또는 엑스선 디텍터(200)가 장착된 장착부(14, 24)가 나타날 수 있다. 촬영된 카메라 영상(15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창(151)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X-ray imaging, the imaging unit 120 may capture a camera image with the X-ray source 110 facing the X-ray detector 200. In this case, the X-ray detector 200 or the mounting units 14 and 24 on which the X-ray detector 200 is mounted may be obscured by the object 1 and may not appear in the camera image. Conversely, when the camera image is captured while the object 1 is not locat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200, the X-ray detector 200 or the mounting units 14 and 24 equipped with the It may appear. The captured camera image 152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ettings window 151, as shown in FIG. 7.

도 6에 도시된 워크리스트(155)와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영상(152)은 상호 스위칭될 수 있다. 워크리스트(155)가 표시된 상태에서 카메라 영상 버튼(I)이 선택되면, 워크리스트(152)가 카메라 영상(152)으로 전환되고, 카메라 영상(152)이 표시된 상태에서 닫힘 버튼(152b)이 선택되면, 카메라 영상(152)이 워크리스트(155)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이 스티칭 촬영을 필요로 하는 것이면, 자동으로 카메라 영상(152)으로 전환되고 후술하는 스티칭 촬영과 관련된 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The worklist 155 shown in FIG. 6 and the camera image 152 shown in FIG. 7 may be switched to each other. When the camera image button (I) is selected while the worklist 155 is displayed, the worklist 152 is converted to the camera image 152, and the close button 152b is selected while the camera image 152 is displayed. When this happens, the camera image 152 can be converted to the worklist 155. Alternatively, if the selected shooting protocol requires stitching shooting, the screen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the camera image 152 and screens related to stitching shoot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layed.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영상(152)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200) 또는 장착부(24) 상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엑스선 디텍터(200)가 장착부(24) 내에 장착되어 카메라 영상에는 장착부(24)가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may be displayed overlapping on the X-ray detector 200 or the mounting unit 24 shown in the camera image 152. In this example, the X-ray detector 200 is mounted within the mounting unit 24, and the mounting unit 24 is displayed in the camera image.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은 엑스선 소스(110)로부터 조사되는 엑스선이 엑스선 디텍터(200)에 도달하는 영역, 즉 엑스선 조사 영역(E)을 나타내는 도구이다. 제어부(140)는 후술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엑스선 조사 영역(E)을 계산하고,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E)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E)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을 카메라 영상(152)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의 크기 및 위치는 카메라 영상(152)에 나타난 장착부(24)에 상대적인 것으로 한다.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is a tool that indicates the area where X-rays irradiated from the X-ray source 110 reach the X-ray detector 200, that is, the X-ray irradiation area E.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X-ray irradiation area (E) according to an algorithm described later, and provides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calculated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indicating the size and location of may be displayed on the camera image 152. Her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are relative to the mounting portion 24 shown in the camera image 152.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조작명령을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의 위치, 크기 또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입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콜리메이터(113)를 제어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E)을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size, or shape of the X-ray radiation area window B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160, an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input operation comm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E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collimator 113 according to .

장비의 다양한 오차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과 실제 엑스선 조사 영역(E)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이 실제 엑스선 조사 영역(E)의 위치나 크기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이 실제 엑스선 조사 영역(E)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Due to various errors in the equipment,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actual X-ray irradiation area 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location or size of the actual X-ray irradiation area E. Accordingly, the X-ray imaging apparatus 100 may perform a procedure to verify whether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shown in FIG. 7 accurately reflects the actual X-ray irradiation area E.

우선, 디스플레이부(150)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method of displaying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on the display unit 150 will be described.

제어부(140)는 미리 저장된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 사이의 거리, 콜리메이터(113)에 의해 형성된 슬롯(R)의 형태와 면적, 엑스선 튜브(111)에서부터 콜리메이터(113)의 슬롯(R)까지의 거리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미리 저장된 정보들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on the display unit 150 using pre-store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X-ray source 110 and the ) can be stored in advance or calculated from pre-stored information.

제어부(140)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장착부(24)의 표면에 형성되는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서 산출하는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글로벌 좌표계 상의 좌표에 해당한다. 제어부(140)에서 산출한 엑스선 조사영역(E)의 좌표정보는 적어도 엑스선 조사영역(E)의 꼭지점의 좌표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40 can use this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24.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40 correspond to coordinates on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of the space where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s locate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t least the coordinates of a vertex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카메라 영상(152)에 엑스선 조사영역을 나타내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이 중첩되어 표시되고, 중첩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은 2차원 좌표계를 따르므로, 제어부(140)는 산출한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정보를 2차원의 영상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로 변환한다.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indicating th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is converted into coordinates that follow the two-dimensional image coordinate system.

또한,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영상(152)은 촬영부(120)에서 획득한 영상으로, 촬영부(120)의 좌표계와 글로벌 좌표계가 다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정보를 2차원의 영상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좌표계를 카메라 좌표계로 변환하여야 한다. 즉, 글로벌 좌표계를 카메라 좌표계로 변환하고, 카메라 좌표계로 변환된 3차원 좌표정보를 2차원의 영상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로 변환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image 152 shown in FIG. 7 is an image acquired by the imaging unit 120, and since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imaging unit 120 and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are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the X-ray irradiation area E In order to convert 3D coordinate information into coordinates that follow a 2D image coordinate system,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must be converted to a camera coordinate system. In other words,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must be converted to a camera coordinate system, and the 3D coordinate information converted to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must be converted to coordinates that follow the 2D image coordinate system.

글로벌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X, Y, Z)와 2차원의 영상좌표계를 따르는 좌표(x, y)사이의 변환식은 하기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기의 수학식 1로 표현된 글로벌 좌표계와 영상좌표계의 관계를 이용하여 엑스선 디텍터(200)에 형성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3차원 좌표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의 2차원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환된 2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카메라 영상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conversion equation between coordinates (X, Y, Z) following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and coordinates (x, y) following the two-dimensional image coordinate system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and the image coordinate system expressed in Equation 1 below to set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med in the X-ray detector 200 to the It can be converted to two-dimensional coordinates of window (B1). Using the converted two-dimensional coordinates, the control unit 140 can display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by overlapping it with the camera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수학식 1><Equation 1>

상기 수학식 1에서, x, y는 2차원의 이미지 센서의 좌표, 즉 영상 좌표계의 좌표를 나타내고, X, Y, Z는 글로벌 좌표계의 좌표를 나타낸다.In Equation 1, x and y represent the coordinates of the two-dimensional image sensor, that is,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coordinate system, and X, Y, and Z represent the coordinates of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상기 수학식 1에서, 우변의 첫 번째 행렬은 촬영부(120)의 초점거리(focal length)와 주점(principal point)과 같은 촬영부(120) 내부 파라미터를 그 원소로 포함한다. 상기 수학식1에서 fx, fy는 촬영부(120)의 초점거리(focal length)를 나타내고, cx, cy는 촬영부(120)의 주점을 나타낸다.In Equation 1, the first matrix on the right side includes internal parameters of the imaging unit 120, such as the focal length and principal point of the imaging unit 120, as its elements. In Equation 1, fx and fy represent the focal length of the imaging unit 120, and cx and cy represent the main point of the imaging unit 120.

상기 수학식 1에서, 우변의 두 번째 행렬은 글로벌 좌표계를 카메라 좌표계와 일치시키기 위한 행렬로, 촬영부(120)의 설치 방향 등과 같은 촬영부(120)의 외부 파라미터를 그 원소로 포함한다. In Equation 1, the second matrix on the right side is a matrix for matching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with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and includes external parameters of the photographing unit 120, such a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120, as its elements.

수학식 1에서 A는 카메라 좌표계의 z축을 회전축으로 갖는 회전각도(roll)를 나타내고, B는 카메라 좌표계의 x축을 회전축으로 갖는 회전각도(pitch)를 나타내고, C는 카메라 좌표계의 y축을 회전축으로 갖는 회전각도(yaw)를 나타낸다. 그리고, t1, t2, t3는 카메라 좌표계와 글로벌 좌표계 사이의 병진이동거리를 각각 나타낸다.In Equation 1, A represents the rotation angle (roll) having the z-axis of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as the rotation axis, B represents the rotation angle (pitch) having the x-axis of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as the rotation axis, and C has the y-axis of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as the rotation axis. Indicates the rotation angle (yaw). And, t 1 , t 2 , and t 3 represent the translation distance between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and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respectively.

도 8a는 엑스선 소스에서 엑스선 조사 영역을 나타내는 광이 조사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카메라 영상에 광 조사 영역이 포함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광 조사 영역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8A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at light representing an X-ray irradiation area is irradiated from an This diagram shows an example of displaying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ased on the area.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reated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reated through image processing.

도 8a를 참조하면, 엑스선 소스(110)에 포함된 광원,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 램프는 엑스선 조사 영역(E)과 동일한 영역에 가시광선(VL)을 조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A , a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X-ray source 110, for example, a collimator lamp, may irradiate visible light (VL) to the same area as the X-ray irradiation area (E).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광선(VL)에 의해 장착부(24) 표면에 생성되는 광 조사 영역(L)은 카메라 영상(152)에도 나타난다. 제어부(140)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카메라 영상(152)으로부터 광 조사 영역(L)의 경계를 추출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광 조사 영역(L)의 경계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은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 B2)을 구별하기 위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좌표정보에 의해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은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이라 하고,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생성된 조사영역 창(B2)은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이라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B, the light irradiation area (L) creat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24 by visible light (VL) also appears in the camera image 152. The control unit 140 extracts the boundary of the light irradiation area (L) from the camera image 152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creates an X-ray irradiation area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extracted light irradiation area (L) as shown in FIG. 9. A window (B2) can be created. The generate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may be displayed overlapping the camera image 152.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X-ray irradiation area windows B1 and B2, in an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generated by coordinate information is called the first The irradiation area window B2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1, B2)이 실제 엑스선 조사영역(E)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콜리메이터 램프에 의한 광 조사 영역(L)을 실제 엑스선 조사영역(E)과 일치시키고, 촬영부(120)의 주점, 초점거리, 설치 각도 등과 같은 카메라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거친다.The X-ray imag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light irradiation area by a collimator lamp so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s B1 and B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ccurately represent the actual X-ray irradiation area E. A calibr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match (L) with the actual X-ray irradiation area (E) and determine camera parameters such as the main point, focal length, installation angle, etc. of the imaging unit 120.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오류가 없었다면,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일치한다. 따라서,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B1)과 제2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이 일치하지 않으면,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40)는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B1)과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이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If there were no errors in this calibration process,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created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created through image processing match as shown in FIG. 10. Therefore, if the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and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do not match,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rror occurred in the above-described calibration process.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a process of comparing whether the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and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match, thereby verifying whether an error occurred in the above-described calibration process. do.

전술한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 B2)의 위치, 형태 및 크기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음을 나타내므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 등을 통해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영상(152)에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B1)과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을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 B2)이 상호 일치하지 않음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다시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positions, shapes, and sizes of the 150), etc., a message requesting calibration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and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overlapping on the camera image 152, it is intuitive that the two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it as The user can check the message and perform the above-described calibration process again.

또한,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 외에도, 전술한 두 가지 방법으로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이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 정도를 산출하여 역으로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산출된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150)에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캘리브레이션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displaying a message requesting the performance of calibration,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degree of discrepancy 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two methods are inconsistent and sets calibration parameters to resolve the discrepancy. can also be calculat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erform calibr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calibration parameters, and it is also possible to guide the user's calibration by displaying the calibration parameters on the display unit 150.

제어부(140)는 상기 불일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불일치를 해소하는데 필요한, 촬영부(120)의 초점거리 및 주점을 산출하고, 글로벌 좌표계와 카메라 좌표계 간의 변환에 필요한 변수들을 산출할 수 있다. Based on the discrepancy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calculate the focal length and main point of the photographing unit 120, which are necessary to resolve the discrepancy, and calculate variables necessary for conversion between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and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촬영부(120)의 초점과 엑스선 튜브(111)의 초점이 다르므로, 이로 인해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불일치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셋 보상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렇게 산출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거나, 산출된 파라미터들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캘리브레이션을 도울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disclosed embodiment, since the focus of the imaging unit 120 and the focus of the X-ray tube 111 are different, offset may occur. The control unit 140 may use the discrepancy information to calculate parameters necessary for offset compensa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automatically perform calibration using the parameters calculated in this way or display the calculated parameters on the display unit 150 to assist the user in calibration.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엑스선 촬영에 앞서,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를 정렬(align)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의 정렬은 엑스선 조사영역의 중심과 디텍터(200)의 중심을 일치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Meanwhile, the X-ray ima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erform a process of aligning the X-ray source 110 and the X-ray detector 200 prior to X-ray imaging. Alignment of the X-ray source 110 and the X-ray detector 200 can be performed by aligning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th the center of the detector 200.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도 11 내지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디텍터를 정렬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1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aligning an X-ray source and an X-ray detector of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전술한 좌표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엑스선 조사영역의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을 생성하고,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을 촬영부(120)에서 획득한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하여 표시한다.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through a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coordinate information or a method of extracting the boundary of the The area window B3 is displayed by overlapping it with the camera image 152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또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140)는 전술한 좌표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카메라 영상(152)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나타내는 디텍터 경계선(B4)을 생성하고, 생성된 디텍터 경계선(B4)을 촬영부(120)에서 획득한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당해 예시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200)가 장착부(24)의 내부에 장착된 경우에는 카메라 영상(152)에 나타난 장착부(24)를 엑스선 디텍터(200) 대신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X-ray detector 200 by using the above-described coordinate information or by extracting the boundary of the A detector boundary line (B4) indicating the boundary of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detector boundary line (B4) is displayed by overlapping it with the camera image 152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When the X-ray detector 200 is mounted inside the mounting unit 24 as in this example, the mounting unit 24 shown in the camera image 152 can be used instead of the X-ray detector 200.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과 디텍터 경계선(B4)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을 실선으로 표시하고, 디텍터 경계선(B4)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구분하였다.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displayed overlapping the camera image 152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nd thu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11 to 15,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is indicated with a solid line, and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is indicated with a dotted line.

도 13 및 도 14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디텍터 경계선(B4)과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이 함께 표시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13 and 14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display unit 15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네 개의 꼭지점과 그에 각각 대응하는 디텍터 경계선(B4)의 네 개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g)이 모두 같은 경우,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와 엑스선 소스(110)가 정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spacing (g) between the four vertic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four vertices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corresponding thereto are all the same, the control unit 14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etector 200 and the X-ray source 110 are aligned.

또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c1)과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c2)이 일치하면,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와 엑스선 소스(110)가 정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4, when the center c1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center c2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coincid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110) can be judged to be aligned.

제어부(1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네 개의 꼭지점과 그에 대응하는 디텍터 경계선(B4)의 네 개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g2, g3, g4, g5)이 서로 다르거나,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c1)과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c2)이 일치하지 않으면, 엑스선 디텍터(200)와 엑스선 소스(110)가 정렬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네 개의 꼭지점과 그에 대응하는 디텍터 경계선(B4)의 네 개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들(g2, g3, g4, g5)을 산출하고, 산출된 간격들을 일치시킬 수 있는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intervals (g2, g3, g4, g5) between the four vertic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four vertices of the corresponding detector boundary line B4. If they are different, or if the center (c1)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center (c2)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do not match,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here i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intervals (g2, g3, g4, g5) between the four vertic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four vertices of the corresponding detector boundary line B4. The moving distance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that can match the given intervals can be calculated.

제어부(140)는 이렇게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간격들을 일치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match the intervals by moving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alculated moving distance and moving direction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a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You can also guide.

또는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중심(C1)과 디텍터 경계선의 중심(C2) 사이의 간격(g1)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간격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영역의 중심과 디텍터 경계선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는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렇게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거리에 따라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의 중심과 디텍터 경계선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gap (g1) between the center (C1) of the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or X-ray detector 200 that can be matched can be calculated. The control unit 140 moves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ing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can be matched.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거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alculated moving direction or moving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You can also guide.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은 텍스트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152) 위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3), 디텍터 경계선(B4) 및 불일치하는 꼭지점 사이의 간격들 또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중심(C1)과 디텍터 경계선의 중심(C2) 사이의 간격을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vement distance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may be displayed in text, and as shown in FIG. 15, an ) and the spacing between mismatched vertices or the spacing between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C1) and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C2) can also be displayed as an image.

한편, 사용자는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가 정렬되면, 미리 정해진 조작명령을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위치, 크기 또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경계를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그 위치, 크기 또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X-ray source 110 and the X-ray detector 200 are aligned,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160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You can adjust the size or shape. For example, the position, size, or shap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can be adjusted by dragging the border.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을 조절하는 중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이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선을 벗어날 수도 있다. While the user is adjusting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may deviate from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엑스선 디텍터의 경계를 벗어난 예를 도시한다. FIG. 1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X-ray imaging device deviates from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일부가 카메라 영상(152)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도 엑스선 디텍터(200)는 장착부(24)의 내부에 장착되어 카메라 영상(152)에는 장착부(24)만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나는지 여부는 장착부(24)의 경계를 벗어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 a por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may exceed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shown in the camera image 152. In this example, the X-ray detector 200 is mounted inside the mounting part 24, and only the mounting part 24 appears in the camera image 152. In this case, whether it exceeds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can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it exceeds the boundary of the mounting unit 24.

도 16에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일부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전체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FIG. 16 shows a case where a part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is outside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but the entire Of course.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에까지 엑스선이 조사되면, 불필요한 엑스선 과조사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이 카메라 영상(152)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나면, 엑스선 과조사를 방지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B3-2)을 엑스선 디텍터(200) 경계 내에 존재하는 영역(B3-1)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If X-rays are irradiated to an area beyond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unnecessary X-ray overirradiation may occur. 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exceeds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shown in the camera image 152, the control unit 140 operates the X-ray detector 200, as shown in FIG. )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the area B3-1 existing within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to inform the user.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 경계 내에 존재하는 영역(B3-1)을 녹색으로 표시하고,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B3-2)을 적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엑스선 조사영역이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났음을 알릴 수 있다. 참고로, 도 15의 예시에서는 디텍터(200) 경계 내부에 존재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경계선을 실선으로, 엑스선 디텍터(200) 경계를 벗어난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경계선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구분하고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area B3-1 within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in green, and displays the area B3-2 outside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in red. The user may be notified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outside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For reference, in the example of FIG. 15, the bord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existing inside the boundary of the detector 200 is drawn with a solid line, and the border of the They are marked and distinguished.

색의 차이 또는 점선과 실선의 차이를 통해 엑스선 조사영역이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고, 사운드를 통해 알릴 수도 있고, 입력부(160)의 진동을 통해 알릴 수도 있다. 즉,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났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자극에 기초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Notifying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outside the boundary of the It may be possible. That is, the X-ray imaging device 100 can notify the user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s outside the boundary of the there is.

한편,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이 카메라 영상(152)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140)는 전술한 디텍터 경계선(B4)과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상호 위치 관계를 비교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exceeds the boundary of the The mutual position relationship of B3) can be compared.

엑스선 조사 영역(E)에 대해 엑스선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엑스선 조사 영역은 엑스선 촬영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영역이 지정되면, 제어부(140)는 콜리메이터(113)를 제어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E)과 지정된 엑스선 촬영 영역을 일치시킬 수 있다.Since X-ray imaging is performed on the X-ray irradiation area E, the X-ray irradiation area may correspond to the X-ray imaging area. When an X-ray imaging area is designated,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ollimator 113 to match the X-ray radiation area E with the designated X-ray imaging area.

엑스선 촬영 영역은 엑스선 촬영 시에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촬영 프로토콜마다 미리 촬영 영역을 설정해두고, 이후에 엑스선 촬영 시에는 촬영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촬영 영역이 자동으로 지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directly designate the X-ray imaging area when taking an do.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7 내지 도 19는 촬영 프로토콜에 따른 촬영 영역을 미리 설정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17 to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pre-setting a photographing area according to a photographing protocol, and Figure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프로토콜 별로 촬영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촬영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shown in Figure 17, the shooting area can be set in advance for each shooting protocol. The description of the imaging protocol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촬영 프로토콜 별로 촬영 영역을 미리 설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0)는 프로토콜 설정 창(154)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토콜 설정 창(154)에는 프로토콜 리스트(154c)가 포함될 수 있다.In order to preset a shooting area for each shooting protocol,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 protocol setting window 154. The protocol setting window 154 may include a protocol list 154c.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프로토콜 리스트(154c) 중에서 촬영 영역을 설정하고자 하는 촬영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The user can use the input unit 160 to select a shooting protocol for which he/she wants to set a shooting area from the protocol list 154c.

촬영 영역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해, 대상체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대상체 모델(154b)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대상체 모델(154b) 위에 표시된 촬영 영역 창(154a)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하여 선택한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촬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는 대상체가 인체인 것으로 하여 대상체 모델(154b)이 인체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였다. 대상체 모델(154b)은 대상체의 개략적인 실루엣을 나타내면 되고 구체적인 구조까지 표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input the settings of the capturing area, an object model 154b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objec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user may select the capturing area window 154a displayed on the object model 154b. You can set the shooting area for the selected shooting protocol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size. In this example, the object is assumed to be a human body and the object model 154b is assumed to have the shape of a human body. The object model 154b can only represent a rough silhouette of the object and does not need to express a detailed structure.

일 예로, 촬영 영역 창(154a)의 엣지 또는 꼭지점에 커서(C)를 위치시켜 선택한 후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촬영 영역 창(154a)의 크기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ze or position of the capturing area window 154a can be adjusted by placing the cursor C on the edge or vertex of the capturing area window 154a, selecting it, and then dragging.

촬영 영역 창(154a)의 형상은 당해 예시에서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이외에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 다른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The shape of the capturing area window 154a may be square as in the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also have other shapes other than squares, such as polygons, circles, or ovals.

촬영 프로토콜 별 촬영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 예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의 얼굴부터 무릎 위까지의 영역을 전체 바디 AP로 설정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의 목부터 허리까지의 영역을 흉부 AP로 설정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f setting the shooting area for each shooting protocol, as shown in FIG. 18, the area from the subject's face to the top of the knees is set as the entire body AP, and as shown in FIG. 19, the area from the subject's neck to the waist is set as the entire body AP. The area can be set as chest AP.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촬영 영역은 그에 대응되는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되어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고, 프로토콜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 the set shooting area is mapped to the corresponding shooting protocol and stored in the protocol database (DB), and the protocol databas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또한, 촬영 프로토콜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이 함께 맵핑되어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엑스선 조사 조건은 촬영 프로토콜 별로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도 있다.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map and stor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imaging protocol. In this case,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y be preset for each imaging protocol or may be set by the user.

엑스선 촬영 시에, 촬영 프로토콜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저장부(170)로부터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촬영 영역을 검색하고, 검색된 촬영 영역에 대한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During X-ray imaging, when an imaging protocol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40 may search the storage unit 170 for an imaging area mapped to the selected imaging protocol and perform X-ray imaging on the searched imaging area.

또한, 엑스선 조사 조건이 함께 맵핑되어 저장된 경우에는, 저장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are mapped and stored together, X-ray imaging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store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도 21은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촬영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추출된 촬영 영역이 표시된 카메라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1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a capture area corresponding to a capture protocol from a camera image, and FIG. 22 is a diagram showing a camera image with the extracted capture area displayed.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기 전, 사용자는 촬영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고, 촬영부(120)는 대상체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전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메라 영상(152)을 촬영할 수 있다. Before performing X-ray imaging, the user may select an imaging protocol, and the imaging unit 120 may capture the camera image 152 with the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200.

제어부(140)는 저장부(170)에서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촬영 영역을 검색하고, 카메라 영상(152)으로부터 촬영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search the storage unit 170 for a shooting area mapped to the selected shooting protocol and extract the shooting area from the camera image 152.

제어부(140)는 물체 인식 알고리즘 등의 이미징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카메라 영상(152)으로부터 촬영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영상(152)에 엣지 검출(edge detection)을 적용하여 대상체의 실루엣 또는 형태를 추출하고, 머리-발끝 길이(신장), 머리나 어깨의 폭, 다리 길이 등 촬영 영역의 인식에 필요한 몇 가지 특징을 검출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대상체의 세부적인 특징이 모두 인식되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높이, 너비 등이 인식되면,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특징을 검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extract a capture area from the camera image 152 by applying imaging processing such as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For example, edge detection is applied to the camera image 152 to extract the silhouette or shape of the object, and to recognize the shooting area such as head-to-toe length (height), head or shoulder width, and leg length. Several necessary features can be detected. In this example, even if all detailed features of the object are not recognized, if the approximate height, width, etc. are recognized, necessary features can be detected based on this.

다른 예로, 대상체가 있을 때의 카메라 영상과, 대상체가 없을 때의 카메라 영상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상체의 형태를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고, 대상체의 패턴 검출, 얼굴 인식 등 다양한 이미징 프로세싱 기술을 적용하여 촬영 영역 추출의 효율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shape of an object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mera image when the object is present and the camera image when the object is not present, and capture images by applying various imaging processing technologies such as pattern detection and face recognition of the object.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region extraction can be improved.

제어부(140)가 카메라 영상(152)으로부터 촬영 영역을 추출하면, 제어부(140)는 콜리메이터(113)를 제어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E)을 촬영 영역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촬영 영역에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콜리메이터(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촬영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역이 한 번의 엑스선 촬영으로 커버되지 않는 범위인 경우에는 촬영 영역을 분할하여 스티칭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control unit 140 extracts the imaging area from the camera image 152, 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collimator 113 to make the X-ray irradiation area E correspond to the imaging area. That is, the collimator 113 can be controlled so that X-rays are irradiated to the imaging area. At this time, if it is necessary to move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ing area. Additionally, if the imaging area is not covered by a single X-ray imaging, stitching imaging can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imaging area.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추출된 촬영 영역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대상체(1)의 어느 영역을 촬영하게 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can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which area of the object 1 is to be photographed by displaying the extracted captured area overlaid on the camera image 152 as shown in FIG. 22. there is.

도 23은 대상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미리 저장되는 대상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e-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an object, and 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an object stored in advance.

대상체의 사이즈에 따라 최적의 엑스선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엑스선 조사 조건이 달라질 수 있고, 대상체의 사이즈에 따라 엑스선 피폭 허용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대상체의 사이즈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엑스선 조사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대상체의 사이즈를 사용자가 직접 분류할 수 있다.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obtaining an optimal X-ray im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bject, and the allowable X-ray exposure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object. Accordingly, the X-ray ima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and the user can directly classify the size of the object.

도 23의 예시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대상체 사이즈 설정 창(156)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대상체 모델(154b)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사이즈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신장, 어깨 높이 및 다리 길이를 지정하여 특정 사이즈에 맵핑할 수 있다. 신장, 어깨 높이 및 다리 길이는 특정값으로 지정될 수도 있고, 일정 범위로 지정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23,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n object size setting window 156.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object model 154b, and the user can classify the size of the object using the input unit 160. As a specific example, you can specify height, shoulder height, and leg length to map to a specific size. Height, shoulder height, and leg length may be specified as specific values or within a certain range.

사용자가 신장, 어깨 높이 및 다리 길이를 지정하기 위해 직접 수치를 입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대상체 모델(154b)의 엣지를 상하좌우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으며, 머리 높이에 대응되는 라인(LH), 어깨 높이에 대응되는 라인(LS), 다리 길이에 대응되는 라인(LL)을 상하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The user may directly enter values to specify height, shoulder height, and leg length, or may input values by dragging the edges of the object model 154b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up, down, left, and right, and input values corresponding to head height. You can also input the line (L H ), the line corresponding to shoulder height (L S ), and the line corresponding to leg length (L L ) by dragging them up and down.

사용자에 의해 분류된 대상체 사이즈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 사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대상체 사이즈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object size classified by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object size database, as shown in FIG. 24, and the object size databas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대상체 사이즈는 대인(Large), 중인(Medium), 소인(Small), 소아(child), 영아(baby)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더 세분화될 수도 있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Object size may be classified as large, medium, small, child, infant, etc., but the embodiment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further refined or vice versa.

도 25는 대상체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5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n which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set for each object size.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150a)에는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창(151)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체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a setting window 151 for sett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50a of the display unit 150. The user can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object size.

설정 창(151)에는 대상체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창(151) 상단에는 미리 구분된 대상체 사이즈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태그(Large, Medium, Small, Child, Baby)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조작하여 식별 태그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대상체 사이즈에 대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활성화될 수 있다. The settings window 151 may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can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object size. For example, at the top of the settings window 151, identification tags (Large, Medium, Small, Child, Baby) that can identify pre-classified object sizes may be displayed, and the user can identify them by manipulating the input unit 160. When one of the tags is selected, a menu for sett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the selected object size may be activated.

사용자가 커서(C)를 이동시켜 중인 사이즈에 대응되는 식별 태그(Medium)를 선택하면, 이와 연동되어 설정 창(151)의 우측에 중인 사이즈의 대상체 모델(154b)이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moves the cursor (C) and selects the identification tag (Mediu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ze, the object model 154b of the medium size may b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tting window 151 in conjunction with this.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는 대상체 사이즈가 선택되면, 선택된 대상체 사이즈에 대해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When the object size for which X-ray irradiation conditions are to be set is selected,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the selected object size may be activated.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면, 선택된 대상체 사이즈에 대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각종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관전압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a), 관전류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b) 및 엑스선 노출 시간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c)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버튼을 선택하여 엑스선 조사 조건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graphic user interface is activated, various graphic objects that can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the selected object size are displayed. For example, a button 151a for receiving settings for tube voltage, a button 151b for receiving settings for tube current, and a button 151c for receiving settings for X-ray exposure time may be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each button to set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to a desired value.

또한, 엑스선 촬영을 스탠드(20)에서 수행할 것인지 또는 테이블(10)에서 수행할 것인지에 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d), 콜리메이터 사이즈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f), AEC 센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g), 감도(sensitivity)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h), 농도(density)에 대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i), 그리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j), 필터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k), 초점 사이즈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151r)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a button 151d for receiving settings regarding whether to perform X-ray imaging on the stand 20 or the table 10, a button 151f for receiving settings for the collimator size, and a button 151f for receiving settings for the collimator size. Button (151g) for receiving a selection, a button (151h) for receiving settings for sensitivity, a button (151i) for receiving settings for density, and a button for receiving grid selections (151h). A button 151j for inputting a selection for a filter, a button 151k for receiving a selection for a filter, and a button 151r for receiving a selection for a focus size may be further displayed.

대상체 사이즈 버튼(151e)은 식별 태그의 선택과 연동될 수 있는바, 일 예로, 사용자가 중인 사이즈에 대응되는 식별 태그(Medium)를 선택한 경우에는 대상체 사이즈 버튼(151e)에 포함된 중인 사이즈 아이콘이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object size button 151e may be linked to the selection of an identification tag.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n identification tag (Medium)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ize, the current size icon included in the object size button 151e It may be displayed with emphasis.

대상체의 사이즈 별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프리셋 버튼(151n)을 선택하여 설정을 종료할 수 있고, 설정을 초기화하고자 할 때에는 리셋 버튼(151m)을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setting of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the object is completed, the user can select the preset button 151n to end the setting, and when the user wants to initialize the setting, the user can select the reset button 151m.

도 25에 도시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도 24의 구성과 다른 구성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graphic user interface shown in FIG. 25 is only an examp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X-ray imaging device 100, and it is obvious that the graphic user interface can be displayed i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24.

한편,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은 대상체 사이즈 뿐만 아니라 촬영 프로토콜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대상체 사이즈마다 촬영 프로토콜 별로 세분화하여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인 사이즈에 대해 전체 바디 PA, AP, LAT, 흉부 PA, AP, LAT, 다리 PA, AP, LAT 별로 나누어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나머지 사이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setting of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done by considering not only the size of the object but also the imaging protocol. In this cas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set by subdividing each object size by imaging protocol. For example, for adult sizes,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set by dividing them into full body PA, AP, LAT, chest PA, AP, LAT, leg PA, AP, and LAT, and can be set similarly for the remaining sizes.

또한, 촬영 프로토콜의 특성 상 스티칭 촬영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대상체 모델을 기준으로 스티칭 영역을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에 대해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Additionally, when stitching imaging must be performed due to the nature of the imaging protocol,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stitching area based on the object model and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divided area.

대상체 사이즈 별로 설정된 엑스선 조사 조건 역시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고, 일 예로 대상체 사이즈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X-ray irradiation conditions set for each object size may als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nd, for example, may be stored together in an object size database.

도 26은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대상체 사이즈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size of an object based on a camera image.

촬영부(120)가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면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체 사이즈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photographing unit 120 captures a camera image, the control unit 140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size of the object by analyzing the camera image.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물체 인식 알고리즘 등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카메라 영상(152)으로부터 대상체(1)의 다리 시작 지점과 발끝, 어깨, 머리 등을 인식하고, 인식 결과 및 SID(Source to Image Distance) 또는 SOD(Source to Object Distance)를 고려하여 다리 길이, 어깨 높이,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applies image processing such as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to recognize the leg start point, toe, shoulder, head, etc. of the object 1 from the camera image 152, and provides the recognition result and SID ( You can calculate leg length, shoulder height, and height by considering Source to Image Distance (Source to Image Distance) or SOD (Source to Object Distance).

또는,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에 엣지 검출을 적용하여 대상체의 실루엣을 추출하고,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실루엣 크기와 SID(Source to Image Distance) 또는 SOD(Source to Object Distance)를 고려하여 대상체의 대략적인 사이즈를 추정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40 applies edge detection to the camera image to extract the silhouette of the object, and considers the silhouette size and SID (Source to Image Distance) or SOD (Source to Object Distanc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You can also estimate the approximate size of .

예를 들어, 촬영부(120)를 기준으로 한 카메라 좌표계, 엑스선 영상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글로벌 좌표계 및 카메라 영상의 2차원 좌표계 사이의 관계를 미리 저장하고, 이들 좌표계 사이의 변환을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에 표시된 대상체 실루엣의 실제 공간에서의 사이즈를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based on the imaging unit 120,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of the space where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s located, and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of the camera image are stored in advance, and the transformation between these coordinate systems is performed. Using this, the size of the object silhouette displayed in the camera image in real space can be calculated.

제어부(140)는 추정된 대상체 사이즈에 대응되는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저장부(17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엑스선 조사 조건에 따라 엑스선 소스(11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search the storage unit 170 for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object size and control the X-ray source 110, etc. according to the retrieve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한편, 제어부(140)가 대상체 사이즈를 판단하면, 해당 사이즈에 디폴트로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이 설정 창(151)에 표시될 수 있다.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은 그대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각 엑스선 조사 조건에 대응되는 버튼을 선택하여 재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사용자는 설정 창(150a)에 표시된 디폴트 엑스선 조사 조건을 참조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object siz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as default to the corresponding size may be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The mappe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applied as is, or the user can reset them by selecting a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X-ray irradiation condition. At this time, the user can reset the settings by referring to the defaul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0a.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부위가 엑스선 조사 영역(E) 또는 엑스선 디텍터(200)가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는 영역인 검출 영역보다 넓은 경우, 엑스선 촬영 부위를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해 따로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As mentioned earlier, if the X-ray imaging area of the object is wider than the X-ray irradiation area (E) or the detection area, which is the area where the X-ray detector 200 can detect X-ray imaging can be performed separately.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 대상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을 각각 촬영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을 얻는 것은 파노라마 촬영, 스티칭 촬영, 분할 촬영 등의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촬영을 스티칭 촬영이라 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을 분할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분할 엑스선 영상이라고 하고, 복수의 분할 엑스선 영상을 합성하여 생성된 하나의 영상을 스티칭 영상이라 하기로 한다. Dividing the X-ray imaging target area of an object into a plurality of regions, photograp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combining them to obtain one image may be referred to by various terms such as panoramic imaging, stitching imaging, and segmented imag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such shooting will be referred to as stitching shooting,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will be referred to as a divided area. Additionally, the X-ray image for each divided area is referred to as a segmented X-ray image, and an image generat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egmented X-ray images is referred to as a stitched imag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스티칭 촬영에 관련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stitching photograph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7은 스티칭 영상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8은 스티칭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촬영 영역이 분할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9는 각 분할 영역들 사이의 오버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2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itched image, FIG. 2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hooting area divided to perform stitching shooting, and FIG. 29 is a drawing showing an overlap area between each divided area.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엑스선 촬영 부위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해 따로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7, the X-ray imaging device 100 may divide the X-ray imaging area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perform X-ray imaging separately for each divided region.

제어부(140)는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영상, 즉 분할 엑스선 영상(X1, X2, X3)을 스티칭하여 엑스선 촬영 부위 전체가 나타나는 하나의 스티칭 영상(X123)을 생성할 수 있다. 당해 실시예에서는 스티칭 촬영을 수행할 전체 영역을 스티칭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140 may stitch the X- ray images for each divided area, that is , the segmented X-ray images (X 1 , .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area where stitching photography is to be performed is referred to as a stitching area.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이 스티칭 촬영에 대응되는 것이면, 워크리스트(155)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 영상(152)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촬영 영역이 스티칭 영역으로 자동으로 지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스티칭 영역을 자동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균등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의 검출 영역의 높이 및 엑스선 조사 영역(E)의 최대 높이 중 작은 값에 기초하여 균등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f the selected shooting protocol corresponds to stitching shooting, the worklist 155 may be converted to the camera image 152 as shown in FIG. 28.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esignate the imag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ing protocol as the stitching area. The control unit 140 may automatically divide the stitching are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equal division.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equal division based on the smaller of the height of the detection area of the X-ray detector 200 and the maximum height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구체적인 예로, 스티칭 영역(S)의 높이 즉, 스티칭 영역의 시작 지점을 나타내는 탑 라인(LT)과 스티칭 영역의 끝 지점을 나타내는 버틈 라인(LB) 사이의 거리를 엑스선 디텍터(200) 검출 영역의 높이로 나누었을 때, 정수로 나누어 떨어지면 그 해가 분할 영역의 개수 즉, 스티칭 촬영에 사용되는 분할 엑스선 영상의 개수가 될 수 있다. 반면에, 정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분할 영역의 개수는 그 해보다 한 개 더 많아지고 각각의 분할 영역의 높이는 엑스선 디텍터(200) 검출 영역의 높이보다 작게 된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height of the stitching area (S),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line (L T )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the stitching area and the bottom line (L B ) indicating the end point of the stitching area, is defined as the detection area of the X-ray detector 200. When divided by the height, if it is divided by an integer, the solution can be the number of segmented areas, that is, the number of segmented X-ray images used for stitching imaging.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divisible by an integer, the number of divided areas becomes one more than the solution and the height of each divided area become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detection area of the X-ray detector 200.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칭 영역(S)이 3개의 분할 영역(S1, S2, S3)으로 분할된 경우에는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3개의 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한 후 이들을 스티칭하여 하나의 스티칭 엑스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8, when the stitching area S is divided into three divided areas S 1 , S 2 , S 3 , three segmented X-ray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area are generated. After taking the images, they can be stitched to create a single stitched X-ray image.

분할 엑스선 영상들을 스티칭하기 위해 각 분할 엑스선 영상들 사이 경계 부분을 정합시킬 수 있고, 이 정합을 위해 분할 엑스선 영상들 사이의 일정 영역이 오버랩되도록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분할 영역이 지정되면 제어부(140)는 분할 영역에 엑스선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바, 이 때, 엑스선은 인접한 분할 영역 쪽으로 미리 설정된 크기만큼 더 확장하여 조사될 수 있다. In order to stitch the segmented X-ray images, the boundary between each segmented X-ray image can be matched, and for this registration, the When a divided area is designated, the controller 140 controls X-rays to be irradiated to the divided area. At this time, the

도 29의 예시에서는 제1분할 영역(S1)과 제2분할 영역(S2) 사이에 제1-2오버랩 영역(O12)이 위치하고, 제2분할 영역(S2)과 제3분할 영역(S3) 사이에 제2-3오버랩 영역(O23)이 위치하도록 엑스선을 조사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29, the 1-2 overlap area (O 12 )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divided area (S 1 ) and the second divided area (S 2 ), and the second divided area (S 2 ) and the third divided area X-rays may be irradiated so that the 2nd-3rd overlap area (O 23 ) is located between (S 3 ).

오버랩 영역(O12, O23)에는 엑스선이 중복 조사되는바, 오버랩 영역에 생식기나 심장과 같이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민감 부위에 중복 조사를 피하기 위해 오버랩 영역을 다른 부위로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X-rays are repeatedly irradiated to the overlap area (O 12 , O 23 ), and if a radiation-sensitive area such as the genitals or heart is located in the overlap area, the control unit 140 irradiates the overlap area to avoid overlapping irradiation to the sensitive area. It can be moved to another part or a warning can be output to the user.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가 위치하는지 여부 역시 카메라 영상(152)에 물체 인식 알고리즘 등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길이 중 중심 부위에 위치하며 허벅지가 나뉘어지는 부분을 생식기가 위치하는 부위로 판단할 수 있고, 겨드랑이 부위 또는 어깨로부터 약 20cm 이하의 부위를 심장이 위치하는 부위로 판단할 수 있다. Whether or not an area sensitive to radiation is located can also be determined by applying image processing such as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camera image 152. For example, the par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ength from head to toe, where the thighs are divided, can be judged as the area where the genitals are located, and the armpit area or the area about 20 cm or less from the shoulder is considered the area where the heart is located. You can judge.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그 위치 정보 또는 형태 정보는 저장부(1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추가 또는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Information about a radiation-sensitive area,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r shap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70, and may also be added or changed by the user.

경고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거나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랩 영역을 디스플레이부(150)에 직접 표시해주는 것도 가능하고, 민감 부위에 오버랩 영역이 위치한다는 것을 텍스트로 표시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가 전달되기만 하면 되고, 경고를 출력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When outputting a warning, it can be output visually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or audibly through a speaker provided in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n the case of visual output,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overlap area directly on the display unit 150 as shown in FIG. 29,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in text that the overlap area is located in the sensitive area. As long as the above information is delivere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way the warning is output.

또한, 오버랩 영역(O12, O23)은 정합 과정에서 왜곡될 수 있고, 스티칭 영상에서 오버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화질은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랩 영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오버랩 영역이 엑스선 영상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화질 열화를 피해야 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verlap areas O 12 and O 23 may be distorted during the registration process,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 area in the stitched image may deteriorate. Therefore,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overlap area,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overlap area is an important part of the X-ray image and deterioration in image quality should be avoided.

도 30 및 도 31은 오버랩 영역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30 and 31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overlap area.

전술한 도 29에서 제1-2오버랩 영역(O12)이 심장 부위에 위치하고, 제2-3오버랩 영역(O23)이 생식기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In FIG. 29 described above, it is assumed that the 1-2 overlap area (O 12 ) is located in the heart area, and the 2-3 overlap area (O 23 ) is located in the genital area.

제어부(14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할 영역(S1)의 하단 경계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1-2오버랩 영역(O12)을 심장 부위보다 아래쪽으로 위치시키고(①→①'), 제2분할 영역(S2)의 하단 경계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2-3오버랩 영역(O23)을 생식기 부위보다 아래쪽으로 위치(②→②')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30, the control unit 140 moves the lower border of the first division area (S 1 ) downward to position the 1-2 overlap area (O 12 ) below the heart area (① → ① '), the lower border of the second division area (S 2 ) can be moved downward to position the 2-3 overlap area (O 23 ) lower than the genital area (②→②').

스티칭 영역(S)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은 그대로이므로, 스티칭 영역(S)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분할 영역(S1)의 하단 경계의 이동에 의해 제1분할 영역(S1)의 크기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검출 영역 또는 엑스선 최대 조사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제2분할 영역(S2)의 하단 경계의 이동에 의해 제2분할 영역(S2)의 크기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검출 영역 또는 엑스선 최대 조사 영역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분할 영역(S1) 또는 제2분할 영역(S2)을 재분할거나, 전체 스티칭 영역(S)을 더 작게 재분할한 후 오버랩 영역을 다시 제어할 수 있다. Since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stitching area (S) remain the same, the stitching area (S) itself does not change.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first division area (S 1 ) exceeds the size of the detection area or maximum X-ray irradiation area of the X-ray detector 200 due to movement of the lower boundary of the first division area (S 1 ), or If the size of the second split area (S 2 ) exceeds the size of the detection area or maximum X-ray irradiation area of the S 1 ) or the second division area ( S 2 ) can be re-divided, or the entire stitching area (S) can be re-divided into smaller pieces and then the overlap area can be controlled again.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가 오버랩 영역에 위치함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오버랩 영역이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152d)를 카메라 영상(152) 위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를 회피하여 오버랩 영역을 재설정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오버랩 영역을 이동시키거나, 복수의 분할 영역의 경계선을 이동시킴으로써 오버랩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visually or audibly output that a radiation-sensitive area is located in the overlap area,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adjust the overlap area. In this case, by displaying the radiation-sensitive area 152d on the camera image 152 as shown in FIG. 31, the user can be guided to avoid the radiation-sensitive area and reset the overlap area. For example, the user may reset the overlap area by moving the overlap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or moving the boundary line of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도 32 및 도 33은 스티칭 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Figures 32 and 33 are diagrams for a case where a user directly designates a stitching area.

전술한 예시에서는,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에 따라 미리 맵핑된 촬영 영역이 스티칭 영역(S)으로 지정되는 것으로 하였다. 스티칭 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xample, the pre-mapped imaging area is designated as the stitching area (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maging protocol.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specify the stitching area directly.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카메라 영상(152)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스티칭 영역의 시작 지점을 지정하는 탑 라인(Top line, LT)과 스티칭 영역의 끝 지점을 지정하는 버틈 라인(Bottom Line, LB)을 카메라 영상(152) 위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영상(152)을 보고, 스티칭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분할 촬영 횟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0)는 카메라 영상(152)에 탑 라인 및 버틈 라인을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분할 촬영 횟수를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엑스선의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다.The camera image 152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2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s shown in FIGS. 32 and 33. The display unit 150 overlaps the top line (L T ), which designates the start point of the stitching area, and the bottom line (L B ), which designates the end point of the stitching area, on the camera image 152. It can be displayed. The user can view the camera image 152 and intuitively know the number of split shots required to obtain a stitched image. That is,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top line and bottom line overlapping the camera image 152, allowing the user to conveniently and intuitively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split shots. Through this, over-irradiation of X-rays can be prevented.

최초 표시되는 탑 라인(LT)과 버틈 라인(LB)은 카메라 영상(152)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고, 촬영 프로토콜이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The initially displayed top line (L T ) and bottom line (L B ) may be displayed at any position in the camera image 152, or, when a shooting protocol is selected, may be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hooting protocol. .

임의의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버틈 라인(LB)이 카메라 영상(152)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대상체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발끝의 위치는 카메라 영상(152)의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버틈 라인(LB)이 카메라 영상(152)의 하단부에 위치하면 입력부를 조작하여 버틈 라인(LB)을 이동시켜야 하는 사용자의 작업 로드를 줄여줄 수 있다. When displayed at a random location, the bottom line (L B )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mera image 152. Since the position of the to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mera image 152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object, if the bottom line (L B )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mera image 152, manipulate the input unit to select the bottom line (L B ). It can reduce the user's workload that needs to be moved.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40)가 카메라 영상(152)에 물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부위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표시된 탑 라인(LT)과 버튼 라인(LB)의 위치를 참고하여 다시 스티칭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When display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oting protocol,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such as applying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camera image 152 to recognize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hooting protocol. In this case, the user can designate the stitching area again by referring to the positions of the displayed top line (L T ) and button line (L B ).

또는, 탑 라인(LT)과 버틈 라인(LB) 중 어느 하나만 표시되고, 분할 촬영 횟수의 지정에 의해 나머지 하나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hat only one of the top line (L T ) and the bottom line (L B ) is displayed, and the position of the remaining one is determined by specifying the number of split shots.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조작하여 탑 라인(LT)과 버틈 라인(LB)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0)는 커서(C)를 표시할 수 있고, 커서(C)는 사용자의 입력부(160)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화면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s of the top line (L T ) and bottom line (L B ) by manipulating the input unit 160. To guide the user's opera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 cursor C, and the cursor C may move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60.

입력부(160)가 마우스, 트랙볼 또는 키보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마우스, 트랙볼 또는 키보드를 조작하여 탑 라인(LT) 또는 버틈 라인(LB)의 이동 명령을 입력하면 커서(C)가 그 조작에 대응되는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 이동한다. 입력부(160)가 터치 패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이 움직이는 방향 및 사용자의 손이 움직인 이동량에 따라 커서(C)가 이동한다. In the case where the input unit 160 is a mouse, trackball, or keyboard, when the user operates the mouse, trackball, or keyboard and inputs a command to move the top line (L T ) or bottom line (L B ), the cursor (C) responds to the operation. Mov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amount of movement. When the input unit 160 is a touch pad, the cursor C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hand moves an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user's hand.

일 예로, 도 32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탑 라인(LT) 또는 버틈 라인(LB)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탑 라인(LT)과 버틈 라인(LB)은 상하 방향 또는 대상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티칭 영역(S)은 탑 라인(LT)과 버틈 라인(LB)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즉, 탑 라인(LT)과 버튼 라인(LB) 사이의 영역이 스티칭 영역(S)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2 and 33, the user can drag the top line (L T ) or the bottom line (L B ) to move it to a desired position. The top line (L T ) and bottom line (L B )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titching area (S) may be defined by the top line (L T ) and the bottom line (L B ). That is, the area between the top line (L T ) and the button line (L B ) may be the stitching area (S).

또는, 탑 라인(LT)과 버틈 라인(LB)이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사용자가 이동된 탑 라인(LT)과 버튼 라인(LB)의 위치를 참고하여 다시 스티칭 영역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f the top line (L T ) and bottom line (L B ) are moved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hooting protocol, the user can move them again by referring to the positions of the moved top line (L T ) and button line (L B ).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a stitching area.

스티칭 영역(S)이 지정되면, 제어부(140)는 스티칭 영역(S)을 자동으로 분할할 수 있다. 스티칭 영역(S)의 자동 분할에 관한 설명한 전술한 예시와 같다. When the stitching area S is designated, the control unit 140 can automatically divide the stitching area S. I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xample regarding automatic division of the stitching area S.

제어부(140)는 탑 라인(LT)과 버틈 라인(LB)이 이동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균등 분할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칭 영역(S)이 4개의 분할 영역(S1, S2, S3, S4)으로 분할된 경우에는 점선 등의 가이드 라인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에 1부터 4까지 번호를 병기하여 총 몇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었는지, 해당 분할 영역이 몇 번째 영역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equal division in real time whenever the top line (L T ) and the bottom line (L B ) move and display the resul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2, when the stitching area (S) is divided into four division areas (S 1 , S 2 , S 3 , S 4 ), guide lines such as dotted lines are used to separate each section. Areas can be divided, and numbers from 1 to 4 are written on the guidelines dividing each area,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many areas are divided in total and what number the divided area is.

제1 가이드라인 ①은 1회의 엑스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이고, 제2 가이드라인 ②은 2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이고, 제3 가이드라인 ③은 3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이고, 제4 가이드라인 ④은 4회의 분할 촬영으로 획득 가능한 최대 영역의 하한일 수 있다.The first guideline ① is the lower limit of the maximum area that can be obtained with one X-ray imaging, the second guideline ② is the lower limit of the maximum area that can be obtained with two divided imaging, and the third guideline ③ is obtained with three divided imaging. It is the lower limit of the maximum possible area, and the fourth guideline ④ may be the lower limit of the maximum area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four divided shots.

또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틈 라인(LB)을 탑 라인(LT) 쪽으로 드래그한 경우, 제어부(140)는 다시 실시간으로 균등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티칭 영역(S)이 줄어들어 3개의 분할 영역(S1, S2, S3)으로 분할된 경우에는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라인에 1부터 3까지의 번호를 병기하여 총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33 , when the user drags the bottom line (L B ) toward the top line (L T ), the control unit 140 can perform equal division again in real time. If the stitching area (S) is reduced and divided into 3 division areas (S 1 , S 2 , S 3 ), numbers 1 to 3 are written on the guide line dividing each area, dividing it into a total of 3 areas. I can tell you that it has been done.

또한, 분할 영역의 개수가 달라졌음을 나타내기 위해, 제4가이드 라인을 제1가이드 라인 내지 제3가이드 라인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4가이드 라인을 점선으로 표시하거나, 더 흐리게 표시하거나,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order to indicate that the number of division areas is different,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fourth guide line separately from the first to third guide lines. For example, the fourth guide line can be distinguished by displaying it as a dotted line, making it more blurred, or displaying it in a different color.

스티칭 영역에 대한 지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적용 버튼(152a)을 선택할 수 있고, 적용 버튼(152a)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카메라 영상(152) 위에 후술하는 분할 영역 창(W1, W2, W3)을 표시할 수 있다. Once the designation of the stitching area is completed, the user can select the apply button 152a, and when the apply button 152a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split area windows (W1, W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camera image 152. , W3) can be displayed.

또한, 분할 영역 창(W1, W2, W3)이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탑 라인(LT) 또는 버틈 라인(LB)에 대한 이동 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다시 가이드 라인이 표시되는 이전 화면으로 전환되어 스티칭 영역(S) 또는 분할 영역에 대한 재설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partition window (W1, W2, W3) is displayed, if the user inputs a movement command for the top line (L T ) or bottom line (L B ) again, the previous screen where the guide line is displayed returns to the screen. It may be converted to enable resetting of the stitching area (S) or division area.

사용자가 스티칭 영역(S)을 직접 지정한 경우에도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버랩 영역에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경고하거나 자동으로 오버랩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스티칭 영역(S)을 직접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버랩 영역에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경고하거나 자동으로 오버랩 영역을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스티칭 영역(S)에 대한 분할을 입력할 때 카메라 영상(152) 위에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를 표시함으로써 오버랩 영역이 해당 부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입력을 가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Even when the user directly designates the stitching area (S), a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radiation-sensitive area is located in the overlap area, and issue a warning or automatically control the overlap area.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directly divide the stitching area (S). In this case, a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a radiation-sensitive area is located in the overlap area, and a warning is given to this, the overlap area is automatically controlled, or the camera image is displayed when the user enters a division for the stitching area (S). (152) By marking the radiation-sensitive area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guide the input so that the overlap area is not located in that area.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40)가 스티칭 영역(S)을 균등 분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각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각 분할 영역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자의 일 실시예로서, 각 분할 영역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각각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티칭 영역(S)을 세 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고자 하는 경우, 제1분할 영역(S1)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제2분할 영역(S2)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및 제3분할 영역(S3)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지정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as explained that the control unit 140 equally divides the stitching area S.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ize of each divided area can be adjusted differently. It is possible,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directly set the size of each partition. As an example of the latter, it is possible to receive input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each divided area, respectively. For example, if you want to divide the stitching area (S) into three partitions,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first partition area (S1),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second partition area (S2), and the third partition area (S1) You can specify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the partition area (S3).

사용자가 부피가 큰 엑스선 소스를 직접 움직여 스티칭 영역을 지정할 경우, 스티칭 영역을 세밀하게 지정하기가 어렵고 사용자의 작업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다.If a user designates a stitching area by directly moving a bulky X-ray source, it may be difficult to specify the stitching area in detail and the user's work fatigue may increase.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해 분할 촬영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분할 촬영 영역에 따라 엑스선 소스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촬영 영역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작업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By designating a split imaging area using images captured by a camera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X-ray source according to the designated divided imaging area, the imaging area can be set in detail and the user's work fatigue can be reduced.

또한, 분할 촬영이 중복되는 영역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대상체의 중요 신체 기관에 엑스선이 반복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X-rays from being repeatedly irradiated to important body organs of the subject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adjusting the overlapping areas of segmented imaging.

도 34a 내지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각 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설정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34A to 3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that allows a user to set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each divided area in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기존에는 분할 영역의 폭이 콜리메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엑스선 조사 영역에 따라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대상체에 있어서도 각 분할 영역마다 대상체가 차지하는 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모든 분할 영역에 대해 동일한 폭의 엑스선 조사 영역을 적용할 경우, 엑스선의 불필요한 과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Previously, the width of the divided area was fixed according to the X-ray irradiation area determined by the collimator. However, 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is different for each divided region even in one object, if an X-ray irradiation area of the same width is applied to all divided regions, unnecessary over-irradiation of X-rays may occur.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각각의 분할 영역 별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 영역은 콜리메이션 영역에 의해 결정되므로, 엑스선 조사 영역을 조절한다는 것은 콜리메이션 영역의 조절을 의마한다.Accordingly, the X-ray ima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adjust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each divided area. Since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determined by the collimation area, adjusting the X-ray irradiation area means controlling the collimation area.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152) 위에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분할 영역 창(W1, W2, W3)이 표시될 수 있다. 제1분할 영역 창(W1)은 제1분할 영역에 대응되고, 제2분할 영역 창(W2)은 제2분할 영역에 대응되며, 제3분할 영역 창(W3)은 제3분할 영역에 대응된다. As shown in FIG. 34A, division area windows W1, W2, and W3 corresponding to each division area may be displayed on the camera image 152. The first partition window W1 corresponds to the first partition area, the second partition window W2 corresponds to the second partition area, and the third partition window W3 corresponds to the third partition area. .

또는,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분할 영역 창들을 일부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분할 영역(S1)과 제2분할 영역(S2) 사이의 오버랩 영역(O12), 제2분할 영역(S2)과 제3분할 영역(S3) 사이의 오버랩 영역(O23)이 나타나도록 제1분할영역 창(W1)과 제2분할 영역 창(W2)이 중첩될 수 있고, 제2분할 영역 창(W2)과 제3분할 영역(W3)이 중첩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4b, it is possible to display adjacent partition windows with some overlap. That is, the overlap area (O 12 )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rea (S1) and the second partition area (S2), and the overlap area (O 23 )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area (S2) and the third partition area (S3). The first partition window W1 and the second partition window W2 may overlap, and the second partition window W2 and the third partition window W3 may overlap to appear.

분할 영역 창의 크기는 분할 영역의 크기와 대응되는바, 분할 영역의 폭은 콜리메이터(113)에 의해 조절되는 엑스선 조사 영역(E)의 폭과 대응된다. 분할 영역의 높이는 제어부(140) 또는 사용자에 의한 분할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콜리메이터(113)는 결정된 분할 영역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divided area window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divided area, and the width of the divided area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adjusted by the collimator 113. The height of the divided are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division by the control unit 140 or the user, and the collimator 113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height of the divided area.

당해 실시예에서는 분할 영역의 높이 뿐만 아니라 폭도 조절 가능하다. 사용자는 분할 영역 창(W1, W2, W3)의 좌우 경계를 좌우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분할 영역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height but also the width of the divided area can be adjusted. The user can input a control command to adjust the width of the partition area by dragging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of the partition window (W1, W2, W3) left and right.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의 몸통 부분에 대응되는 분할 영역에 대해서는 몸통 전체가 엑스선 조사 영역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제1분할 영역 창(W2)의 좌측 경계를 좌측으로, 우측 경계를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5, for the segmente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rso portion of the object, the left border of the first segmented area window W2 is shifted to the left and the right border to the left so that the entire torso can be included in the X-ray irradiation area. You can expand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by dragging to the right.

또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의 다리 부분에 대응되는 분할 영역에 대해서는 다리를 제외한 배경은 엑스선 조사 영역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제3분할 영역 창(W3)의 좌측 경계를 우측으로, 우측 경계를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축소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36, for the segmented area corresponding to the leg portion of the object, the left border of the third segmented area window W3 is moved to the right and to the right so that the background excluding the legs can be excluded from the X-ray irradiation area. You can reduce the width of the X-ray radiation area by dragging the border to the left.

각 분할 영역 별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적용 버튼(152a)을 선택할 수 있고, 적용 버튼(152a)이 선택되면 저장부(170)는 설정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Once the setting for the width of the Information can be stored.

설정 창(151)에는 분할 영역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창(151) 상단에는 분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탭(151p)이 표시될 수 있고, 각각의 식별 탭(151p-1, 151p-2, 151p-3)에는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식별 태그(#1, #2, #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60)를 조작하여 식별 탭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분할 영역에 대해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The settings window 151 may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can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divided area. For example, at the top of the settings window 151, an identification tab 151p may be displayed to identify the partition area, and each identification tab 151p-1, 151p-2, and 151p-3 may display each partition. Identification tags (#1, #2, #3) corresponding to the area may be display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160 and selects one of the identification tabs,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can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the selected segment area may be activated.

활성화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각종 버튼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예시에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락하도록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various buttons displayed on the activ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is the same as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각 분할 영역에 대한 콜리메이터 사이즈, 즉 엑스선 조사 영역의 사이즈는 설정 창(151)에 표시된 콜리메이터 설정 버튼(151f)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콜리메이터 설정 버튼(151f)을 선택하여 콜리메이터 사이즈를 조절하면, 우측에 표시된 카메라 영상(152)이 이와 연동되어 분할 영역 창(W1, W2, W3)의 폭이 함께 조절될 수 있다.The collimator size for each divided area, that is, the siz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can also be adjusted using the collimator setting button 151f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At this time, if the collimator size is adjusted by selecting the collimator setting button 151f, the camera image 152 displayed on the right can be linked with it and the width of the divided area windows W1, W2, and W3 can be adjusted together.

반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 영역 창(W1, W2, W3)의 경계를 좌우로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조절하면, 설정 창(151)에 표시된 버튼(151f)이 이와 연동되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영역 창(W1)의 경계를 드래그하여 제1분할 영역(S1)에 대한 콜리메이터 사이즈를 14x17로 축소한 경우 설정 창(151)에 표시된 콜리메이터 설정 버튼(151f)도 14x17의 사이즈를 표시할 수 있다. Conversely, as described above, if you adjust the width of the . For example, if the collimator size for the first division area (S1) is reduced to 14x17 by dragging the boundary of the division window (W1), the collimator setting button (151f)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is also reduced to a size of 14x17. It can be displayed.

한편, 제어부(140)가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에 엣지 검출 등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대상체의 실루엣을 추출하고, 대상체의 실루엣과 배경 사이의 경계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ntroller 140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may apply image processing such as edge detection to the camera image to extract the silhouette of the object and control the width of the X-ray radiation area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silhouette of the object and the background.

예를 들어, 대상체의 실루엣과 배경의 경계가 현재 엑스선 조사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축소시켜 불필요한 과조사를 방지할 수 있고, 대상체의 실루엣과 배경의 경계가 현재 엑스선 조사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확장시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boundary between the object's silhouette and the background is located inside the current X-ray irradiation area, unnecessary over-irradiation can be prevented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object's silhouette and the background is within the current When located outside the area,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expanding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모든 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조사 영역의 사이즈 및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촬영 버튼(151l)을 선택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설정을 초기화하고자 할 때에는 리셋 버튼(151m)을 선택할 수 있다. Once the settings of the siz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the You can choose.

도 37 및 도 3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AEC 센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s 37 and 38 are diagrams showing a screen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n AEC sensor in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선량의 자동 제어를 위해 AEC 센서(26a, 26b, 26c)가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 부위에 따라 복수의 AEC 센서(26a, 26b, 26c) 중 전부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일부가 사용될 수도 있는바, AEC 센서에 대한 선택 역시 분할 영역 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EC sensors 26a, 26b, and 26c may be used for automatic control of X-ray dose. Depending on the X-ray imaging area, all or some of the plurality of AEC sensors 26a, 26b, and 26c may be used, and selection of the AEC sensor may also be made for each divided area.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분할 영역 창(W1, W2, W3) 내부에는 복수의 AEC 센서(26a, 26b, 26c)의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을 기하학적 위치 등록할 수 있다. 기하학적 위치 등록은 영상 내 각 점을 실 세계의 위치와 매칭시키는 것이다. 이 때, 전술한 카메라 좌표계, 글로벌 좌표계 및 영상 좌표계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7,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representing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AEC sensors 26a, 26b, and 26c may be displayed inside each partition window W1, W2, and W3.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140 may register the geometric position of the camera image. Geometric position registration matches each point in an image with a position in the real world. At this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global coordinate system, and image coordinate system described above can be used.

또한,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의 위치에 따른 AEC 센서(26a, 26b, 26c)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 상에 AEC 센서(26a, 26b, 26c)를 위치 정합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영상과 AEC 센서(26a, 26b, 26c)를 위치 정합시키고, AEC 센서(26a, 26b, 26c)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영상 상에 중첩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acquire the positions of the AEC sensors 26a, 26b, and 26c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X-ray detector 200. The control unit 140 may position the AEC sensors 26a, 26b, and 26c on the camera image.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to align the image and the AEC sensors 26a, 26b, and 26c and superimpose graphic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AEC sensors 26a, 26b, and 26c on the image.

예를 들어, 복수의 그래픽 객체는 복수의 AEC 센서 각각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복수의 AEC 센서 버튼(153a-1, 153b-1, 153c-1, 153a-2, 153b-2, 153c-2, 153a-3, 153b-3, 153c-3)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graphic objec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AEC sensor buttons (153a-1, 153b-1, 153c-1, 153a-2, 153b-2, 153c-) that can receive selection input for each of a plurality of AEC sensors. 2, 153a-3, 153b-3, 153c-3).

사용자는 각각의 분할 영역 별로 사용될 AEC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할 영역 창(W1)의 복수의 AEC 센서 버튼(153a-1, 153b-1, 153c-1) 중 사용할 AEC 센서에 대응되는 버튼을 선택하면 이와 연동되어 설정 창(151)의 AEC 선택 버튼(151g)에도 그 선택이 반영되어 표시된다. Users can select the AEC sensor to be used for each partition. As shown in FIG. 37, when you select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AEC sensor to be used among the plurality of AEC sensor buttons 153a-1, 153b-1, and 153c-1 in the first division window W1, a settings window is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selection is also reflected and displayed in the AEC selection button 151g at (151).

반대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창(151)의 AEC 선택 버튼(151g)을 이용하여 AEC 센서에 대한 선택을 입력하면 이와 연동되어 복수의 AEC 센서 버튼(153a-2, 153b-2, 153c-2)에도 그 선택이 반영되어 표시된다. Conversely, as shown in FIG. 38, when a selection for an AEC sensor is entered using the AEC selection button 151g of the settings window 151, a plurality of AEC sensor buttons 153a-2, 153b-2, and 153c are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selection is reflected and displayed in -2).

AEC 센서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선택된 AEC 센서에 대응되는 AEC 센서 버튼의 색상이 변하거나 테두리가 진해지거나 점멸되는 등의 방식으로 강조되어 해당 AEC 센서가 선택되었음을 반영할 수 있다. 또는, 점선과 실선으로 선택된 AEC 센서와 선택되지 않은 AEC 센서를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AEC 센서 버튼에 온/오프가 텍스트로 표시되고 온으로 표시된 AEC 센서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가 오프로 바뀌고, 오프로 표시된 AEC 센서 버튼을 선택하면 텍스트가 온으로 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AEC 선택 버튼(151g) 상단의 체크 박스를 선택하여 복수의 AEC 센서 전체를 온/오프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a selection for an AEC sensor is input, the color of the AEC sensor butt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AEC sensor may change, the border may become darker, or the border may be highlighted by flashing, etc. to reflect that the corresponding AEC sensor has been selected.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selected and unselected AEC sensors with dotted and solid lines. Alternatively, on/off is displayed as text on the AEC sensor button, and when the AEC sensor button marked as on is selected, the text changes to off, and when the AEC sensor button marked as off is selected, the text changes to on.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turn on/off all multiple AEC sensors by selecting the check box at the top of the AEC selection button (151g).

선택된 AEC 센서는 엑스선 촬영이 수행될 때 온되고, 선택되지 않은 AEC 센서는 엑스선 촬영이 수행될 때 오프될 수 있다. 반대로, 온 상태가 디폴트로 설정된 경우에는, 선택된 AEC 센서가 오프되고 선택되지 않은 AEC 센서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lected AEC sensor may be turned on when X-ray imaging is performed, and the unselected AEC sensor may be turned off when X-ray imaging is performed. Conversely, when the on state is set to defaul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elected AEC sensor to be turned off and the unselected AEC sensor to remain on.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152) 위에 표시된 AEC 센서 버튼과 설정 창(151)에 표시된 버튼(151g)이 서로 연동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AEC 센서의 위치를 좀 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EC sensor button displayed on the camera image 152 and the button 151g displayed in the settings window 151 are linked to each other,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AEC sensor selected by the user.

또한, 엑스선 촬영 시 대상체(1)에 의해 엑스선 디텍터(200) 또는 장착부(14, 24)가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AEC 센서의 위치를 직접 확인할 수 없다. 당해 예시에 따르면, 카메라 영상(152)에 각각의 AEC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 대상체와 AEC 센서 사이의 위치 관계를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알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the X-ray detector 200 or the mounting portions 14 and 24 are obscured by the object 1 during X-ray imaging, the user cannot directly check the location of the AEC sensor. According to this example, by displaying a graphic object indicating the position of each AEC sensor on the camera image 152,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know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object and the AEC sensor.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조절한 경우에는, 조절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고려하여 AEC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이 좁아진 경우에는 AEC 센서 중 일부만 선택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AEC sensor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djusted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narrowed, only some of the AEC sensors can be selected.

또는, 제어부(140)가 각 분할 영역의 크기 또는 각 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AEC 센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 영역 외부에 위치하거나, 사용이 불필요한 AEC 센서를 선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152)에 경계 검출 등의 이미징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대상체(1)의 윤곽을 검출할 수 있고, 대상체(1)의 윤곽 외부에 위치하는 AEC 센서는 오프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for the control unit 140 to automatically select the AEC sensor based on the size of each divided area or the siz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each divided are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exclude from selection AEC sensors that are located outside the X-ray irradiation area or that are unnecessary.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the outline of the object 1 by applying imaging processing such as boundary detection to the camera image 152, and the AEC sensor located outside the outline of the object 1 may be turned off. You can do it.

대상체(1)의 외부에 위치하는 AEC 센서가 오프되지 않은 경우, 대상체(1)를 통과하지 않은 엑스선을 바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AEC 센서는 엑스선의 선량이 미리 설정된 선량을 빨리 초과하게 된다. 이 경우,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선량이 부족해 엑스선 영상의 화질이 열화될 수 있다. When the AEC sensor located outside the object 1 is not turned off, X-rays that do not pass through the object 1 can be immediately received. Therefore, the X-ray dose of the AEC sensor quickly exceeds the preset dose. In this case, the image quality of the X-ray image may deteriorate due to the insufficient amount of X-rays irradiated to the object.

따라서 제어부(140)는 대상체 밖에 있는 AEC 마커를 오프시킴으로써, 엑스선 영상의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can prevent image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X-ray image by turning off the AEC marker outside the object.

제어부(140)가 AEC 센서를 선택한 경우에도, 어떤 AEC 센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설정 창(151)의 AEC 선택 버튼(151g) 및 카메라 영상(152)의 AEC 센서 버튼에 표시할 수 있다.Even when the control unit 140 selects an AEC sensor, which AEC sensor has been selected can be displayed on the AEC selection button 151g of the settings window 151 and the AEC sensor button of the camera image 152.

각 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조사 영역 및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이 완료되고 촬영 버튼(151l)이 선택되면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스티칭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9a 내지 도 39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egment are set and the capture button 151l is selected, the Stitching shooting can be performed.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39A to 39C.

도 39a내지 도 39c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엑스선 소스의 틸트 각도를 제어하여 스티칭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 관한 도면이다. 당해 실시예에서는 엑스선 디텍터(200)를 스탠드(20)에 장착하여 촬영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Figures 39A to 39C are diagrams for performing stitching imaging by controlling the tilt angle of the X-ray source in the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case of taking pictures by mounting the X-ray detector 200 on the stand 20 is taken as an example.

우선 엑스선 영상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전에 영상 획득부(110)를 통해 획득한 영상과 엑스선 영상 사이의 위치 대응 관계를 계산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작업이 수행된다. 제어부(120)는 미리 수행된 캘리브레이션 작업 결과에 기초하여 엑스선 발생부(130)가 제1분할 영역에 엑스선을 조사하게 되는 제1위치 또는 제1각도, 제2분할 영역에 엑스선을 조사하게 되는 제2위치 또는 제2각도 및 제3분할 영역에 엑스선을 조사하게 되는 제3위치 또는 제3각도를 계산한다. First, before operating the X-ray imaging device 100, a calibration task is performed to calculate the position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unit 110 and the X-ray image. Based on the results of a calibration operation performed in advance, the control unit 120 sets the first position or first angle at which the X-ray generator 130 radiates X-rays to the first division area and the Calculate the third position or third angle at which X-rays will be irradiated to the second position or second angle and the third division area.

스티칭 촬영을 수행하기에 앞서, 엑스선 소스(110)는 엑스선 디텍터(2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임을 전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실 내에 스탠드(20)와 테이블(10)이 모두 존재하고, 사용자가 스탠드(20)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어부(140)는 엑스선 소스(110)를 스탠드(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탠드(20)에 대응되는 엑스선 소스(110)의 위치는 미리 저장될 수 있다. Before performing stitching imaging, it can be assumed that the X-ray source 110 ha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X-ray detector 200. For example, when both the stand 20 and the table 10 exist in the examination room, and the user selects the stand 20, the control unit 140 moves the X-ray source 11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 20. It can be moved to . The position of the X-ray source 110 corresponding to the stand 20 may be stored in advance.

또는, 스탠드(20)에 대응되는 위치까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엑스선 소스(110)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manually move the X-ray source 110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 20.

일 예로, 스티칭 영역(S)이 3 개의 영역(S1, S2, S3)으로 분할된 경우 도 3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소스(110)의 틸트 각도를 제1분할 영역(S1)에 대응되는 각도로 조절하여 제1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고,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할 영역(S2)에 대응되는 각도로 조절하여 제2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고, 도 3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분할 영역(S3)에 대응되는 각도로 조절하여 제3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엑스선 소스(11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titching area S is divided into three areas S1, S2, and S3 , the tilt angle of the A first split X-ray image is taken by adjusting the angle, and a second split Likewise, a third split X-ray image can be captured by adjusting the ang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split area S 3 .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X-ray source 110 from the ground may be fixed.

제어부(140)는 엑스선 소스(110)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각도로 엑스선 소스(110)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adjust the tilt angle of the X-ray source 110 to an angle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region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motor that adjusts the tilt angle of the X-ray source 110.

또한, 제어부(140)는 제1분할 영역, 제2분할 영역 및 제3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조사 영역의 사이즈에 맞게 콜리메이터(1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칭 영역이 균등 분할되어 각 분할 영역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 제2블레이드(113b)와 제4블레이드(113d)의 위치는 고정할 수 있고, 분할 영역의 폭 또는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이 다르게 설정된 경우에는 제1블레이드(113a) 및 제3블레이드(13c)의 위치도 제어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ollimator 113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the first split area, second split area, and third split area. For example, when the stitching area is divided equally and the height of each divided area is the same, the positions of the second blade 113b and the fourth blade 113d can be fixed, and the width of the divided area or the width of the If set differently, the positions of the first blade 113a and the third blade 13c can also be controlled.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이 디폴트 값보다 확장된 경우에는 제1블레이드(113a)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3블레이드(113c)는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expanded than the default value, the first blade 113a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third blade 113c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또한, 제1분할 영역, 제2분할 영역 및 제3분할 영역에 대한 엑스선 조사 조건이 각각 다르게 설정된 경우에는 각 분할 영역에 대한 촬영 시에 엑스선 소스(110) 또는 엑스선 디텍터(200)를 설정된 조사 조건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the first split area, the second split area, and the third split area are set differently, the X-ray source 110 or the It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다른 예로, 엑스선 소스(110)의 높이를 제1분할 영역(S1)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하여 제1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고, 제2분할 영역(S2)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하여 제2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고, 제3분할 영역(S3)에 대응되는 높이로 조절하여 제3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엑스선 소스(110)의 틸트 각도는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height of the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second split X-ray image and then shoot a third split X-ray image by adjusting the height to correspond to the third split area S 3 . At this time, the tilt angle of the X-ray source 110 may be fixed.

또 다른 예로, 엑스선 소스(110)의 높이와 틸트 각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s another exampl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adjust the height and tilt angle of the X-ray source 110.

두 예시 모두 엑스선 디텍터(200)는 각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가 장착된 장착부(24)를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both examples, the X-ray detector 200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area. In order to move the X-ray detector 200, the control unit 140 may move the mounting unit 24 on which the X-ray detector 200 is moun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area.

각각의 분할 영역이 지정되면,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 상에서 지정된 각 분할 영역의 중심과 엑스선 디텍터(200)의 중심이 대응되게 하는 엑스선 디텍터(200)의 실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도 11 내지 도 15에 관한 설명과 같이,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를 정렬시키는 과정을 적용할 수도 있다.When each divided area is designated, the control unit 140 may calculate the actual position of the X-ray detector 200 such that the center of each designated divided area on the camera image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X-ray detector 200.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 the process of aligning the X-ray source 110 and the X-ray detector 200 may be applied.

한편, 스티칭 촬영의 경우, 하나로 스티칭되어야 하는 복수의 엑스선 영상을 따로 촬영하기 때문에, 각 분할 촬영 시점 사이에 대상체가 움직이면 엑스선 영상의 화질에 열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티칭 촬영 시에는 각 분할 촬영 시점 사이에 대상체의 자세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Meanwhile, in the case of stitched imaging, since a plurality of X-ray images that must be stitched into one are separately photographed, the image quality of the X-ray image deteriorates if the object moves between each segmented imaging time. Therefore, when stitching shooting,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object between each split shooting tim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0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1 및 도 42는 일부 분할 촬영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티칭 촬영이 중단된 이후 재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의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a camera image, and Figures 41 and 42 show control in the case of performing re-photography after stitching photography is stopped while partial segment photography has not been completed. This is the drawing shown.

분할 촬영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촬영부(120)는 카메라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카메라 영상은 실시간으로 제어부(14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카메라 영상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Even while segmented shooting is being performed, the photographing unit 120 can capture camera images, and the captured camera images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0 in real time. Additionally, the captured camera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n real time.

또한, 촬영된 카메라 영상은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된 카메라 영상은 사용자로부터 삭제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저장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미리 설정된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오래된 영상부터 자동으로 삭제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aptured camera imag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In this case, stored camera images may be stored until a dele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or when a preset time elapses or the preset storage capacity is exceeded, the oldest images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이전 분할 엑스선 영상의 촬영 시점에 대응되는 카메라 영상(152')과 현재 카메라 영상(152)을 비교하여 두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이전 분할 엑스선 영상이 제2분할 엑스선 영상이고, 현재 촬영하고자 하는 것은 제3분할 엑스선 영상인 것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40, the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camera image 152' corresponding to the shooting point of the previous segmented X-ray image with the current camera image 152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object shown in the two camera images. You can. In this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previous segmented X-ray image is the second segmented X-ray image, and the one to be currently captured is the third segmented X-ray image.

예를 들어, 대상체의 움직임은 두 영상 사이의 차이(d)를 분석하여 검출할 수 있다. 제2분할 촬영 시의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와 현재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를 비교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vement of an object can be detect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d) between two images. Movement can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during the second split shooting with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urrent camera image.

검출된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3분할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더라도 제2분할 엑스선 영상과의 정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정합 불가능 상황임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고하거나, 자동으로 스티칭 촬영을 중단할 수 있다. If the detected movement is greater than a preset standard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matching with the second split X-ray image is impossible even if the third split X-ray image is captur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can visually or audibly warn that registration is impossible, or automatically stop stitching photography.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으로 크거나, 그 밖에 대상체의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위급해지는 등의 이유로 분할 촬영이 일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이 중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filming may be stopped while some of the segmented filming is not performed due to reason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object being greater than the standard value or the state of the object becoming unstable or critical.

예를 들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할 엑스선 영상(X1)과 제2분할 엑스선 영상(X2)이 촬영된 후, 제3분할 영역(S3)에 대한 엑스선 촬영이 수행되기 전에 촬영이 중단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제1분할 엑스선 영상(X1)과 제2분할 엑스선 영상(X2)을 미리 스티칭하여 제1분할 영역과 제2분할 영역에 대한 스티칭 영상(X12)을 생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3분할 엑스선 영상이 획득된 이후에 제1분할 엑스선 영상(X1), 제2분할 엑스선 영상(X2) 및 제3분할 엑스선 영상(X3)을 한꺼번에 스티칭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1, after the first split X-ray image (X 1 ) and the second split X-ray image (X 2 ) are photographed, X-ray imaging is performed on the third split area (S 3 ) Filming may be stopped before it starts. In this example, it is shown that the first split X-ray image (X 1 ) and the second split X-ray image (X 2 ) are stitched in advance to generate a stitched image ( After the third split X-ray image is acquired, it is also possible to stitch the first split X-ray image (X 1 ), the second split X-ray image (X 2 ), and the third split X-ray image (X 3 ) all at once.

저장부(170)에는 제1분할 엑스선 영상(X1)과 제2분할 엑스선 영상(X2)이 저장되고, 뿐만 아니라 제1분할 촬영 또는 제2분할 촬영 당시에 촬영된 카메라 영상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 영상에는 스티칭 촬영을 위한 분할 영역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후에 스티칭 촬영이 재개될 경우 저장된 분할 엑스선 영상이나 카메라 영상을 불러올 수 있도록, 식별 태그와 함께 저장할 수 있고, 식별 태그는 스터디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디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는 대상체 이름, 날짜/촬영시각 및 촬영 프로토콜 중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고, 이들과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일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70 stores the first split X-ray image (X 1 ) and the second split X-ray image ( there is. Information about the segmented area for stitching photography may also be stored in the camera image. When stitching photography is resumed later, the saved segmented X-ray image or camera image can be saved with an identification tag so that it can be retrieved, and the identification tag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the study.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a study may be one of the subject name, date/photography time, and imaging protocol, a combination of these, or information set by the user regardless of these.

스티칭 촬영이 중단된 이후에 다시 동일한 스티칭 촬영이 재개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카메라 영상을 검색하여 불러올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현재 재개하고자 하는 스티칭 촬영에 대응되는 식별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When the same stitching shooting is resumed after the stitching shooting is stopped, the control unit 140 can search for and load the camera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To this end, the user can input an identification tag corresponding to the stitching shoot he or she currently wishes to resume.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에는 현재의 카메라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그 위에 저장부(170)로부터 불러온 카메라 영상 즉, 이전 분할 촬영 시점에서 촬영된 카메라 영상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2, the current camera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camera image retrieved from the storage unit 170, that is, the camera image captured at the time of the previous segmented shooting, is superimposed on it. can be displayed.

당해 예시에 따르면, 제2분할 촬영 시에 촬영된 카메라 영상(152')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중첩된 카메라 영상을 참조하여 대상체의 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다. 두 영상이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두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의 차이를 사용자가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대상체의 현재 자세를 제2분할 촬영 시의 자세와 일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camera images 152' captured during the second split shooting may be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and the user may guide the posture of the object by referring to the overlapping camera images. Because the two images overlap, the user can clearly see the difference in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two images, and can guide the current posture of the object to match the posture during the second split shooting.

가이드에 따라 대상체의 자세가 이전 분할 촬영 시의 자세와 일치하면, 즉, 대상체의 현재 자세가 제2분할 촬영 시의 자세와 일치하면, 제3분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세의 일치 여부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어부(140)가 전술한 바와 같은 움직임 검출 기준에 따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전 카메라 영상(152')에서의 대상체 실루엣과 현재 카메라 영상(152)에서의 대상체 실루엣이 일치하면 자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전 분할 촬영 시의 자세와 현재 자세가 일치함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엑스선 촬영 버튼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제어부(140)가 자동으로 분할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If the postur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guide matches the posture during the previous split imaging, that is, if the current posture of the object matches the posture during the second split imaging, the third split imaging can be performed. Her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visually determine whether the posture matches,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ntrol unit 140 to determine it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criteria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f the object silhouette in the previous camera image 152' matches the object silhouette in the current camera image 152,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ostures match. In addition, the user can visually or audibly output the fact that the posture during the previous segmented imaging matches the current posture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X-ray imaging button, or the control unit 140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segmented imaging.

제3분할 촬영을 수행하면 제3분할 엑스선 영상(X3)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제1분할 엑스선 영상(X1)과 제2분할 엑스선 영상(X2) 또는 이들을 스티칭한 스티칭 영상(X12)을 불러와 제3분할 엑스선 영상(X3)과 스티칭하여 전체 스티칭 영역(S)에 대한 스티칭 영상(X123)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third-segment imaging is performed, a third-segment X-ray image (X 3 ) can be obtained. The control unit 140 retrieves the first split X-ray image (X 1 ) and the second split X-ray image ( A stitching image (X 123 ) for the entire stitching area (S) can be generated by stitching with

또는, 스티칭 촬영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경우가 아니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전 분할 촬영 시에 획득된 카메라 영상을 현재의 카메라 영상 위에 중첩하여 대상체의 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even if stitching photography is not interrupted and then resumed,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image acquired during the previous segmented shooting can be superimposed on the current camera image to guide the posture of the object.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움직임이 커서 다음 분할 촬영을 진행할 수 없는 경우, 스티칭 촬영을 중단하지 않고 이전 분할 촬영 시에 획득된 카메라 영상(152')을 현재의 카메라 영상(152) 위에 중첩하여 대상체의 자세를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f the patient's movement is large and the next segmented imaging cannot be performed, the camera image 152' acquired during the previous segmented imaging is converted into the current camera image 152 without stopping the stitching imaging.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osture of an object by superimposing it on top.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엑스선 영상 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은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X-ray imag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X-ray imaging device.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엑스선 조사 영역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4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verifying an X-ray irradiation area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생성한다(410). 제어부(140)는 미리 저장된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위치 및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3,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410). The control unit 140 may obtain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using pre-store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제어부(140)는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 사이의 거리, 콜리메이터(113)에 의해 결정된 엑스선이 조사되는 슬롯(R)의 형태와 면적, 엑스선 튜브(111)에서부터 슬롯(R)까지의 거리 등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미리 저장된 정보들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X-ray source 110 and the X-ray detector 200, the shape and area of the slot (R) to which the Information such as the distance to can be stored in advance or calculated from pre-stored information.

제어부(140)는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엑스선 디텍터(200)에 형성되는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서 산출하는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글로벌 좌표계 상의 좌표에 해당한다. The control unit 140 can use this information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formed in the X-ray detector 200.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140 correspond to coordinates on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of the space where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s located.

촬영부(120)에서 획득한 카메라 영상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이 중첩되어 표시되고, 중첩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은 2차원 좌표계를 따르므로, 제어부(140)는 산출한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정보를 2차원의 영상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로 변환하여야 한다.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is displayed overlapping the camera image acquired by the imaging unit 120, and the overlapping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follows a two-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so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3D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must be converted into coordinates that follow the 2D image coordinate system.

또한, 촬영부(120)의 좌표계와 글로벌 좌표계가 다르므로, 전술한 것처럼, 엑스선 조사영역(E)의 3차원 좌표정보를 2차원의 영상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좌표계를 카메라 좌표계로 변환하여야 한다. 즉, 글로벌 좌표계를 카메라 좌표계로 변환하고, 카메라 좌표계로 변환된 3차원 좌표정보를 2차원의 영상 좌표계를 따르는 좌표로 변환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imaging unit 120 and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are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vert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E) into coordinates that follow the two-dimensional image coordinate system,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It must be converted to . In other words,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must be converted to a camera coordinate system, and the 3D coordinate information converted to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must be converted to coordinates that follow the 2D image coordinate system.

이렇게 변환된 2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카메라 영상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Using the converted two-dimensional coordinates, the control unit 140 can display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by overlapping it with the camera image of the display unit 150.

또한, 제어부(140)는 촬영부(120)에서 획득한 콜리메이터(113)의 광조사영역 이미지(L)에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을 생성한다(411).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image processing on the light irradiation area image (L) of the collimator 113 obtained by the imaging unit 120 to generate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Do (411).

전술한 것처럼,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1)을 표시할 수도 있고, 촬영부(120)에서 획득한 카메라 영상에 나타나는 광조사야(L)의 경계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추출하여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을 표시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boundary of the light irradiation field L appearing in the camera image acquired by the imaging unit 120 may be image processed.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can be displayed by extracting through .

제어부(140)는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이 일치하지 않으면(412의 아니오),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413).I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generated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2 generated through image processing do not match (No in 412),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calibration (413). .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실제 엑스선 조사영역(E)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콜리메이터 램프와 반사경을 조절하여 광조사 영역을 실제 엑스선 조사영역과 일치시키고, 촬영부(120)의 주점, 초점거리, 설치 각도 등과 같은 카메라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거친다.The X-ray ima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adjusts the collimator lamp and the reflector so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ccurately represents the actual It matches the irradiation area and goes through a calibration process to determine camera parameters such as the main point of the imaging unit 120, focal length, installation angle, etc.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오류가 없었다면,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은 일치한다. 따라서,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이 일치하지 않으면,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f there were no errors in this calibration process,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reated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reated through image processing match. Therefore, if the X-ray irradiation area created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generated through image processing do not match,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rror occurred in the above-described calibration process.

따라서, 제어부(140)는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B1)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 창(B2)이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에 오류가 발생했는지 검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140 performs a process of comparing whether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1 created us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Perform a process to verify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전술한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한 엑스선 조사영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음을 나타내므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 등을 통해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확인하고 다시 전술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X-ray irradiation areas created using the two methods described above do not match, this indicates that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calibration process, and the control unit 140 sends a message requesting calibration to b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etc. can be displayed. The user can check the message and perform the above-described calibration process again.

또한, 제어부(140)는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 외에도, 전술한 두 가지 방법으로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이 불일치하는 경우, 불일치 정도를 산출하여 역으로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카메라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불일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불일치를 해소하는데 필요한, 촬영부(120)의 초점거리 및 주점을 산출하고, 글로벌 좌표계와 카메라 좌표계 간의 변환에 필요한 변수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촬영부(120)의 초점과 엑스선 튜브(111)의 초점이 다르므로, 이로 인해 오프셋이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불일치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셋 보상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렇게 산출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거나, 산출된 파라미터들을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캘리브레이션을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displaying a message requesting calibration,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degree of discrepancy 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s generated by the two methods described above are inconsistent and sets camera parameters to resolve the discrepancy. can also be calculated. Based on the discrepancy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calculate the focal length and main point of the photographing unit 120, which are necessary to resolve the discrepancy, and calculate variables necessary for conversion between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and the camera coordinate system. Additionally, in the disclosed embodiment, since the focus of the imaging unit 120 and the focus of the X-ray tube 111 are different, offset may occur. The control unit 140 may use the discrepancy information to calculate parameters necessary for offset compensa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automatically perform calibration using the parameters calculated in this way or display the calculated parameters on the display unit 150 to assist the user in calibration.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엑스선 소스와 엑스선 디텍터의 얼라인 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4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ligning an X-ray source and an X-ray detector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4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표시하고(420), 엑스선 조사영역을 표시한다(421).As shown in FIG. 44,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on the display unit 150 (420) and displays the X-ray irradiation area (421).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전술한 좌표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엑스선 조사영역의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통해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을 생성하고, 생성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을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display the X-ray irradiation area,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the The area window B3 can be displayed by overlapping it with the camera image 152.

또한,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전술한 좌표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추출하여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나타내는 디텍터 경계선(B4)을 생성하고, 생성된 디텍터 경계선(B4)을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isplay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the control unit 140 extracts the boundary of the A boundary line (B4) can be created, and the generated detector boundary line (B4) can be displayed by overlapping it with the camera image 152.

카메라 영상(152)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과 디텍터 경계선(B4)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서로 구분될 수도 있고, 점선과 실선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displayed overlapping in the camera image 152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or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제어부(140)는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과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이 일치하는지 결정하고(422), 일치하지 않으면(422의 아니오),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과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의 불일치 정도에 기초하여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423). 또한, 이동방향도 함께 산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산출된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에 따라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켜 정렬시킨다(424).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422) whether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and the center of the The moving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and the X-ray detector 200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gree of discrepancy between the centers of the area window B3 (423). Additionally, the direction of movement can also be calculated, and the control unit 140 moves and aligns the X-ray source 110 and the X-ray detector 2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and direction (424).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네 개의 꼭지점과 그에 각각 대응하는 디텍터 경계선(B4)의 네 개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이 모두 같은 경우,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와 엑스선 소스(110)가 정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intervals between the four vertices of the It can be judged that it is sorted.

또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과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이 일치하면(422의 예), 제어부(140)는 엑스선 디텍터(200)와 엑스선 소스(110)가 정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coincide (example of 422),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at the X-ray detector 200 and the X-ray source 110 are aligned. there is.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네 개의 꼭지점과 그에 대응하는 디텍터 경계선(B4)의 네 개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거나,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과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으면, 엑스선 디텍터(200)와 엑스선 소스(110)가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네 개의 꼭지점과 그에 대응하는 디텍터 경계선의 네 개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들(g2, g3, g4, g5)을 산출하고, 산출된 간격들을 일치시킬 수 있는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렇게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간격들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intervals between the four vertices of the If the centers of B4) do not match,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X-ray detector 200 and the X-ray source 110 are not align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intervals (g2, g3, g4, g5) between the four vertices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four vertices of the corresponding detector boundary line, and uses the calculated intervals The movement distance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X-ray source 110 or X-ray detector 200 that can be matched can be calculated. The control unit 140 may match the intervals by moving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based on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Alternatively, the calculated moving direction and moving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You can also guide.

또는,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과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 사이의 간격(g1)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간격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과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는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렇게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킴으로써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과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엑스선 조사 영역과 엑스선 디텍터(200)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상기 산출된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interval g1 between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and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and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based on the calculated interva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moving direction or moving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The control unit 140 moves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The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can be aligned. Through this, the actual X-ray irradiation area and the center of the X-ray detector 200 can be aligned. Alternatively, the calculated moving direction and moving distance of the X-ray source 110 or the You can also guide.

제어부(140)는 디텍터 경계선(B4)의 중심과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중심이 일치하면, 엑스선 조사영역의 조절명령을 수신하고(425),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중 디텍터 경계선(B4)을 벗어난 부분이 존재하면(426의 예), 디텍터 경계선(B4)의 경계를 벗어난 부분을 표시한다(427).When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a command for adjusting the If there is a part of (B3) outside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example of 426), the part outside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is displayed (427).

사용자는 엑스선 소스(110)와 엑스선 디텍터(200)가 정렬되면, 미리 정해진 조작명령을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의 위치, 크기 또는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X-ray source 110 and the The shape can be adjusted.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을 조절하는 중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이 디텍터 경계선(B4)을 벗어날 수도 있다.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에까지 엑스선이 조사되면, 불필요한 엑스선 과조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B3)이 디텍터 경계선(B4)을 벗어나면, 엑스선 과조사를 방지하기 위해, 디텍터 경계선(B4)을 벗어난 영역(B3-2)을 디텍터 경계선(B4) 내에 존재하는 영역(B3-1)과 다르게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디텍터 경계선(B4) 내에 존재하는 영역을 녹색으로 표시하고, 디텍터 경계선(B4)을 벗어난 영역을 적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엑스선 조사영역이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났음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색의 차이가 아닌 점선과 실선의 차이로 엑스선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난 영역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While the user is adjusting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3) may deviate from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If X-rays are irradiated to an area beyond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unnecessary X-ray overirradiation may occur. Accordingly, when the )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area (B3-1) that exists within it to inform the us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area within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in green, and displays the area outside the detector boundary line B4 in red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within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It can be notified that it is out of bounds.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notification about an area outside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200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tted line and the solid line rather than the difference in color.

색의 차이나 점선과 실선의 차이를 통해 엑스선 조사영역이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났음을 알리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고, 사운드를 통해 알릴 수도 있고, 입력부(160)의 진동을 통해 알릴 수도 있다. 즉,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이 디텍터(200)의 경계를 벗어났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자극에 기초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Notifying that the X-ray irradiation area is outside the boundary of the detector 200 through a difference in color or a difference between a dotted line and a solid line is just an example, and may be notified through sound or through vibration of the input unit 160. . In other words, the X-r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notifies the user that the can be notified to

도 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영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Figure 4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tting an imaging protocol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5를 참조하면, 촬영 프로토콜 별 촬영 영역을 설정한다(430). 촬영 영역의 설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50)는 촬영 프로토콜 설정 창(154)을 표시할 수 있다. 촬영 프로토콜 설정 창(154)에는 프로토콜 리스트(154c)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5, a shooting area is set for each shooting protocol (430). Setting of the shooting area can be don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 shooting protocol setting window 154. The shooting protocol setting window 154 may include a protocol list 154c.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프로토콜 리스트(154c) 중에서 촬영 영역을 설정하고자 하는 촬영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다. 촬영 영역의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해, 대상체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대상체 모델(154b)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대상체 모델(154b) 위에 표시된 촬영 영역 창(154a)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하여 선택한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촬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촬영 프로토콜 별로 설정된 촬영 영역은 저장부(170)에 저장된다.The user can use the input unit 160 to select a shooting protocol for which he/she wants to set a shooting area from the protocol list 154c. In order to input the settings of the capturing area, an object model 154b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objec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user may select the capturing area window 154a displayed on the object model 154b. You can set the shooting area for the selected shooting protocol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size. The shooting area set for each shooting protoco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이후,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기 전에 촬영부(120)를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을 촬영한다(431). 엑스선 촬영과 촬영 프로토콜 별 촬영 영역 사이에는 시간 차가 존재할 수 있다. Thereafter, before performing X-ray imaging, a camera image is captured using the imaging unit 120 (431). There may be a time difference between X-ray imaging and the imaging area for each imaging protocol.

촬영 프로토콜을 선택한다(432).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Select a shooting protocol (432). Selection of the shooting protocol may be made by user input.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촬영 영역을 검색한다(433). 촬영 영역의 검색은 제어부(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이 흉부 PA인 경우에는 흉부 PA에 맵핑되어 저장된 촬영 영역을 검색한다. The imaging area mapped to the selected imaging protocol is searched (433). Search of the shooting area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40. For example, if the selected imaging protocol is chest PA, the imaging area mapped and stored in chest PA is searched.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촬영 영역을 추출한다(434).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물체 인식 알고리즘 등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카메라 영상(152)으로부터 촬영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영상(152)에 엣지 검출(edge detection)을 적용하여 대상체의 실루엣 또는 형태를 추출하고, 머리-발끝 길이(신장), 머리나 어깨의 폭, 다리 길이 등 촬영 영역의 인식에 필요한 몇 가지 특징을 검출할 수 있다. The shooting area is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 (434).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extract the capture area from the camera image 152 by applying image processing such as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For example, edge detection is applied to the camera image 152 to extract the silhouette or shape of the object, and to recognize the shooting area such as head-to-toe length (height), head or shoulder width, and leg length. Several necessary features can be detected.

촬영 영역에 엑스선을 조사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한다(435). 제어부(140)가 카메라 영상(152)으로부터 촬영 영역을 추출하면, 제어부(140)는 콜리메이터(113)를 제어하여 엑스선 조사 영역(E)을 촬영 영역에 대응시킬 수 있고,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엑스선 소스(110)나 엑스선 디텍터(200)를 촬영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역이 한 번의 엑스선 촬영으로 커버되지 않는 범위인 경우에는 촬영 영역을 분할하여 스티칭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X-ray imaging is performed by radiating X-rays to the imaging area (435). When the control unit 140 extracts the imaging area from the camera image 152,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collimator 113 to correspond to the X-ray radiation area E to the imaging area, and the X-ray source 110 or When the X-ray detector 200 needs to be moved, the X-ray source 110 or the X-ray detector 200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ing area. Additionally, if the imaging area is not covered by a single X-ray imaging, stitching imaging can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imaging area.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움직임에 따라 분할 촬영의 중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당해 예시에서는 스티칭 촬영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며, 스티칭 영역은 제1분할 영역, 제2분할 영역 및 제3분할 영역으로 나뉘는 것으로 한다. Figure 4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stop segmented imaging according to movement of an object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is example, stitching photography is performed, and the stitching area is divided into a first divided area, a second divided area, and a third divided area.

도 46을 참조하면, 촬영부(120)를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을 촬영한다(440). 촬영부(120)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동영상일 수 있고, 엑스선 촬영이 완료될 때까지 카메라 영상도 촬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6, a camera image is captured using the photographing unit 120 (440). The imaging unit 120 may capture video in real time, and camera images may also be captured until X-ray imaging is completed.

제1분할 촬영을 수행한다(441). 이를 위해, 엑스선 소스(110)의 위치 또는 틸트 각도를 제1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 또는 각도로 제어할 수 있고, 엑스선 디텍터(200)의 위치를 제1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segment imaging is performed (441). To this end, the position or tilt angle of the X-ray source 110 can be controlled to a position or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vision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there is.

대상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442).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현재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와 제1분할 촬영 시의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를 비교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detected (442).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movement by comparing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urrent camera image with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during the first split shooting.

검출된 대상체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443의 예)에는 분할 촬영을 수행하여도 제1분할 엑스선 영상과 제2분할 엑스선 영상의 정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을 중단시킬 수 있다. If the movement of the detected object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example 443), it is determined that matching the first split X-ray image and the second split X-ray image is impossible even if segmented imaging is performed, and the imaging may be stopped.

검출된 대상체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아닌 경우(443의 아니오)에는 제2분할 촬영을 수행한다(444). If the movement of the detected object is not greater than the preset standard value (No in 443), second segment imaging is performed (444).

대상체의 움직임을 검출한다(445). 제어부(140)는 현재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와 제2분할 촬영 시의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를 비교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detected (445).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movement by comparing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urrent camera image with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during the second split shooting.

검출된 대상체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446의 예)에는 분할 촬영을 수행하여도 제2분할 엑스선 영상과 제3분할 엑스선 영상의 정합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촬영을 중단시킬 수 있다. If the movement of the detected object is greater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example of 446), it is determined that registration of the second split X-ray image and the third split X-ray image is impossible even if segmented imaging is performed, and the imaging may be stopped.

검출된 대상체의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아닌 경우(446의 아니오)에는 제3분할 촬영을 수행한다(447).If the movement of the detected object is not more than the preset standard value (No in 446), third segment imaging is performed (447).

또는, 촬영을 중단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대상체의 자세를 가이드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guide the posture of the object by outputting a warning to the user without stopping the shooting.

제3분할 촬영까지 완료되면, 촬영된 제1분할 엑스선 영상, 제2분할 엑스선 영상 및 제3분할 엑스선 영상을 스티칭하여 하나의 스티칭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third split X-ray image is completed, one stitched image can be created by stitching the captured first split X-ray image, second split X-ray image, and third split X-ray image.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티칭 촬영을 재개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Figure 47 is a flowchart for a case of resuming stitching imaging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의 움직임이 기준치 이상으로 크거나, 그 밖에 대상체의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위급해지는 등의 이유로 분할 촬영이 일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이 중단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ilming may be stopped while some of the segmented filming is not performed due to reason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object being greater than the standard value or the state of the object becoming unstable or critical.

스티칭 촬영이 중단될 때에 저장부(170)에는 이미 촬영된 분할 엑스선 영상이 저장되고, 뿐만 아니라 분할 촬영 당시에 촬영된 카메라 영상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 영상에는 스티칭 촬영을 위한 분할 영역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When stitching photography is stopped, the already photographed segmented X-ray imag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and the camera image captured at the time of segment imaging can also be stored together. Information about the segmented area for stitching shooting can also be stored in the camera image.

그리고, 이후에 다시 스티칭 촬영이 재개되면(450), 제어부(140)는 저장부(170)에 재개된 스티칭 촬영에 맵핑되어 저장된 카메라 영상을 검색하여 불러올 수 있다.Then, when stitching shooting is resumed again (450), the control unit 140 can search for and load the camera image that is mapp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to the resumed stitching shooting.

디스플레이부(150)는 이전 카메라 영상을 현재 카메라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451). 사용자는 오버레이된 카메라 영상을 참조하여 대상체의 자세를 가이드할 수 있다. 두 영상이 오버레이되어 있기 때문에, 두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자세의 차이를 사용자가 명확히 파악할 수 있고, 대상체의 현재 자세를 제2분할 촬영 시의 자세와 일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the previous camera image by overlaying it on the current camera image (451). The user can guide the posture of the object by referring to the overlaid camera image. Because the two images are overlaid, the user can clearly see the difference in the posture of the object shown in the two images and can guide the current posture of the object to match the posture during the second split shooting.

도 4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버랩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Figure 48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overlap area in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8을 참조하면, 스티칭 촬영이 수행될 스티칭 영역을 지정한다(460). 스티칭 영역은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의해 지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지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선택된 촬영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촬영 영역이 스티칭 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8, the stitching area where stitching photography will be performed is designated (460). The stitching area can be designated by direct input from the user, or automatically by selecting a shooting protocol. That is, the imag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ing protocol may be designated as the stitching area.

스티칭 영역을 분할한다(461).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스티칭 영역의 크기 및 엑스선 디텍터(200)의 검출 영역의 크기를 고려하여 균등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Divide the stitching area (46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equal division by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titching area and the size of the detection area of the X-ray detector 200.

오버랩 영역이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62).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가 위치하는지 여부 역시 물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길이 중 중심 부위에 위치하며 허벅지가 나뉘어지는 부분을 생식기가 위치하는 부위로 판단할 수 있고, 겨드랑이 부위 또는 어깨로부터 약 20cm 이하의 부위를 심장이 위치하는 부위로 판단할 수 있다.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1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추가 또는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verlap area is located in a radiation-sensitive area (462). Whether a radiation-sensitive area is located can also be determined by applying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For example, the par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ength from head to toe, where the thighs are divided, can be judged as the area where the genitals are located, and the armpit area or the area about 20 cm or less from the shoulder is considered the area where the heart is located. You can judge. Information about areas sensitive to radiation can b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70, and can also be added or changed by the user.

오버랩 영역이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에 위치하면(462의 예), 오버랩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463). 오버랩 영역의 조절은 제어부(140)가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제어부(140)가 오버랩 영역이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해당 분할 영역의 경계를 조절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에 방사선에 민감한 부위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If the overlap area is located in a radiation-sensitive area (example 462), the overlap area can be adjusted (463). Adjustment of the overlap area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control unit 140, or can be adjusted based on user input. In the former case, the control unit 140 can adjust the boundaries of the corresponding division areas so that the overlap area can avoid areas that are sensitive to radiation. In the latter case, the location of the area sensitive to radi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to guide the user's input.

도 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대상체의 사이즈를 미리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Figure 4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esetting the size of an object in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9를 참조하면, 대상체 사이즈를 설정하고 저장한다(470).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150)는 대상체 사이즈 설정 화면(155)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대상체 모델(154b)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입력부(160)를 이용하여 대상체의 사이즈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신장, 어깨 높이 및 다리 길이를 지정하여 특정 사이즈에 맵핑할 수 있다. 신장, 어깨 높이 및 다리 길이는 특정값으로 지정될 수도 있고, 일정 범위로 지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분류된 대상체 사이즈는 대상체 사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대상체 사이즈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대상체 사이즈는 대인(Large), 중인(Medium), 소인(Small), 소아(child), 영아(baby)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더 세분화될 수도 있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9, the object size is set and stored (470). As an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n object size setting screen 155.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object model 154b, and the user can classify the size of the object using the input unit 160. As a specific example, you can specify height, shoulder height, and leg length to map to a specific size. Height, shoulder height, and leg length may be specified as specific values or within a certain range. The object size classified by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object size database, and the object size databas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Object size may be classified as large, medium, small, child, infant, etc., but the embodiment of the X-ray imaging device 100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further refined or vice versa.

대상체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하고 이를 저장한다(47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창(150a)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체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 가능한 엑스선 조사 조건은 관전압, 관전류 및 노출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엑스선 촬영 위치(촬영 스탠드, 촬영 테이블), 콜리메이터 사이즈, AEC 센서 위치, 감도, 농도, 그리드 등에 대한 조건도 설정 가능하다. 설정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대상체 사이즈 별로 저장부(170)에 저장된다.X-ray irradiation conditions are set for each object size and stored (471).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 setting window 150a through which X-ray irradiation conditions can be set. The user can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object siz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that can be set may include tube voltage, tube current, and exposure time, and conditions for The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0 for each object size.

대상체 사이즈와 엑스선 조사 조건이 설정된 이후, 엑스선 촬영을 위해 대상체가 엑스선 디텍터(200)의 전면에 위치하면 촬영부(120)가 카메라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체 사이즈를 판단한다(472).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카메라 영상에 엣지 검출을 적용하여 대상체의 실루엣을 추출하고,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실루엣 크기와 SID(Source to Image Distance) 또는 SOD(Source to Object Distance)를 고려하여 대상체의 대략적인 사이즈를 추정할 수 있다.After the object size an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are set, when the object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X-ray detector 200 for X-ray imaging, the imaging unit 120 can capture a camera image. Then, the control unit 140 analyzes the camera image and determines the object size (47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extracts the silhouette of an object by applying edge detection to the camera image, and considers the silhouette size and Source to Image Distance (SID) or Source to Object Distance (SOD)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Thus, the approximate size of the object can be estimated.

대상체 사이즈에 대응되는 엑스선 조사 조건을 검색한다(473). 그리고, 검색된 엑스선 조사 조건에 따라 엑스선 소스를 제어한다(474). 또한, 대상체 사이즈에 대응되어 저장된 엑스선 조사 조건이 엑스선 디텍터(200)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디텍터(200)를 더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X-ray irradiation conditions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ize are searched (473). Then, the X-ray sour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etrieve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474). In addition, of course, if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store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ize include conditions related to the X-ray detector 200, the X-ray detector 200 can be further controlled.

전술한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동작들 중 일부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이거나 CD-ROM, DVD 등의 광 기록 매체일 수 있다. 다만, 기록 매체의 종류가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X-ray imag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may be stored as a program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ROM, floppy disk, or hard disk, or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or DVD. However, the type of recording medium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기록 매체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고, 워크스테이션,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모바일 기기가 인터넷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딩할 수 있다.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ncluded in a server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or program, and a workstation, sub-display device, or mobile device may connect to this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he Internet and download the program.

예를 들어,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50)와 입력부(160)가 모바일 기기에 포함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가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에 실행시키면 전술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bove-described display unit 150 and input unit 160 are included in a mobile device, if the mobile device downloads and installs a program and then runs it, the above-described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

프로그램에는 전술한 제어부(140)의 동작 중 일부를 실행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한 바, 이 경우에는 모바일 기기가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rogram may also include steps for executing 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140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mobile device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it to the X-ray imaging device 100.

또는,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어떤 제어 명령을 입력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전송하고, 제어부(140)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엑스선 영상 장치(1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mobile device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what control command the user inputted to the X-ray imaging apparatus 100, and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X-ray ima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상기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above and the attached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100: 엑스선 영상 장치
110: 엑스선 소스
111: 엑스선 튜브
120: 촬영부
140: 제어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입력부
200: 엑스선 디텍터
100: X-ray imaging device
110: X-ray source
111: X-ray tube
120: Filming Department
140: control unit
150: Display unit
160: input unit
200: X-ray detector

Claims (50)

이동 가능한 테이블에 배치된 대상체의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엑스선을 생성하고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촬영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영상, 상기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에 대응하는 촬영 영역 및 상기 엑스선 소스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테이블에서 획득되는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 배치된 대상체의 촬영 영역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의 카메라 영상 및 상기 카메라 영상 상의 상기 촬영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엑스선을 생성하고, 상기 엑스선 소스로부터 제2 거리에 위치한 테이블에 배치된 대상체를 향해 상기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엑스선 소스를 제어하는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 camera that captures a camera image of an object placed on a movable table;
An X-ray source that generates and irradiates X-rays;
Memory to store shooting protocols;
display; and
receive information regarding selection of said imaging protocol;
Photographing an object placed on the table based on a camera image using depth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an imaging area corresponding to selection of the imaging protocol, and a camera image acquired on a table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X-ray source.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area,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a camera image of the object and an indicator indicating the capture area on the camera image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An X-ray imag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generating the X-rays and controlling the X-ray source to irradiate the X-rays toward an object placed on a table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from the X-ray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맵핑될 엑스선 촬영 영역에 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receives a selection from a user regarding an X-ray imaging area to be mapped for each of the X-ray imaging protoco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에 관한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대상체의 형상을 갖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을 지정하는 촬영영역 창을 상기 그래픽 객체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
An X-ray imag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graphic object having the shape of an object to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the X-ray imaging area, and displays an imaging area window designating the X-ray imaging area over the graphic object.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촬영영역 창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면, 상기 조절된 촬영영역 창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저장부에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으로 저장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Whe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imaging area window is adjusted through the input unit, an area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adjusted position and size of the imaging area window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the X-ray imaging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추출된 엑스선 촬영 영역을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X-ray imag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amera image and displays the extracted X-ray imaging area by overlapping it on the camera imag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프로토콜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 영상의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display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a protocol list for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X-ray imaging protocol, and displays the camera image when a command to display the camera imag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을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
상기 설정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맵핑하여 저장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put unit,
Receive settings for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The storage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maps and stores the set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ontrol unit,
When an X-ray imaging protocol is selected, an X-ray imaging device performs X-ray imaging by apply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to the selected X-ray imaging protocol.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상기 엑스선 조사 조건을 맵핑시켜 저장하는 저장부;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사이즈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settings for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the object;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put;
A filming unit that takes camera images;
An X-ray imag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the siz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and performs X-ray imaging by apply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to the recognized size of the objec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를 표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display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대상체의 사이즈 및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상기 엑스선 조사 조건을 맵핑시켜 저장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storage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maps and stores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and the X-ray imaging protoco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및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when an X-ray imaging protocol is selected, performs X-ray imaging by applying the selected X-ray imaging protocol and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to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및 엑스선 조사영역에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장착된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에 표시된 상기 가시광선이 조사된 광 조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 조사 영역의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와 상기 광 조사 영역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n X-ray source equipped with a photographing unit for capturing camera images and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visible light to an X-ray irradiation area;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in the camera image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a position in the image and determines that calibration is necessary if the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area do not match; and
An X-ray imaging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ibration when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고,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display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a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position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and displays a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posi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are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위치, 형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etermines that calibration is necessary whe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s, shapes, and sizes of the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nd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o not match each oth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1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제2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차이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calculates calibration parameter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nd the second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when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산출된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display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the calculated calibration parameter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캘리브레이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performs the calibr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calibration parameter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를 추출하여 디텍터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추출된 디텍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rol unit,
A detector boundary line is extracted by extracting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X-ray detector is mounted,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source are aligned based on the detector boundary lin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구성하는 복수의 꼭지점과 상기 디텍터 경계선을 구성하는 복수의 꼭지점 사이의 간격들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가 정렬된 것으로 판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etermines that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source are aligned when the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vertices forming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nd the plurality of vertices forming the detector boundary line all match.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중심과 상기 디텍터 경계선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가 정렬된 것으로 판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etermines that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source are aligned when the center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detector boundary lin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텍터 경계선과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상기 카메라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9,
The display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the detector boundary line and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by overlapping them on the camera imag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소스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를 정렬시키기 위한 엑스선 소스 또는 엑스선 디텍터의 이동 거리 또는 이동 방향을 산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2,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calculates a moving dista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an X-ray source or an X-ray detector to align the X-ray source and the X-ray detecto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 또는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소스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를 이동시키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3,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moves the X-ray source or the X-ray detector based on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or direction.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산출된 이동 거리 또는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3,
The display is,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or dir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위치 또는 크기에 대한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display unit,
Displaying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t the calculated X-ray irradiation area or the location of the calculated light irradiation area,
The X-ray ima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to adjust the position or siz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from the user.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된 조절 명령에 의해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계선을 벗어난 영역을 표시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26,
The display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when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eviates from the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X-ray detector is mounted, according to the input adjustment command, displays the area outside the boundary.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복수의 엑스선 영상을 스티칭하여 하나의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엑스선 조사 영역을 조절하는 콜리메이터가 장착된 엑스선 소스;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분할 영역 창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In the X-ray imaging device that generates one X-ray image by stitching a plurality of X-ray images for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 X-ray source equipped with an imaging unit that acquires camera images and a collimator that adjusts the X-ray irradiation area;
a display unit that overlaps and displays a plurality of divided area windows indicating sizes and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n the camera image; and
An X-ray imag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collimator to adjust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28,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controls the collimator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28,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controls the collimator so that the width of the X-ray radiation area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체의 윤곽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윤곽과 배경 사이의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결정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30,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extracts the outline of the object from the camera image and determines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extracted outline and the background.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소스로부터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제어하는 복수의 AEC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AEC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use 28,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AEC sensors that control the amount of X-rays emitted from the X-ray source,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select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EC sensors based on the width of the adjusted X-ray irradiation area.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복수의 엑스선 영상을 스티칭하여 하나의 엑스선 영상을 생성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이 오버랩(overlap)되는 오버랩 영역이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In the X-ray imaging device that generates one X-ray image by stitching a plurality of X-ray images for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 filming unit that takes camera imag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camera image; and
An X-ray imag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n overlap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verlap is located in a preset area based on the camera image.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버랩 영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오버랩 영역을 이동시키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33,
The control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moves the overlap area so that the overlap area is not located in the preset area.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상기 오버랩 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오버랩 영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출력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33,
The display unit,
An X-ray imaging device that displays the overlap area by overlapping it on the camera image and outputs a warning to the user when the overlap area is located in the preset area.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According to claim 35,
The X-ray ima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to move the overlap area.
촬영 프로토콜을 저장하고;
상기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가능한 테이블에 배치된 대상체의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한 카메라 영상, 상기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에 대응하는 촬영 영역 및 엑스선을 생성하고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한 테이블에서 획득되는 카메라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 배치된 대상체의 촬영 영역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의 카메라 영상 및 상기 카메라 영상 상의 상기 촬영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엑스선을 생성하고, 상기 엑스선 소스로부터 제2 거리에 위치한 테이블에 배치된 대상체를 향해 상기 엑스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엑스선 소스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Save the imaging protocol;
receive information regarding selection of the imaging protocol;
A camera image using depth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a camera that captures a camera image of an object placed on a movable table, an imag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maging protocol, and an X-ray source locat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n imaging area of an object placed on the table based on a camera image acquired from the table;
Controlling a display to display a camera image of the object and an indicator indicating the capture area on the camera image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맵핑될 엑스선 촬영 영역에 관한 선택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엑스선 촬영 프로토콜 별로 상기 엑스선 촬영 영역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37,
Saving the shooting protocol includes:
Receiving a selection from the user regarding an X-ray imaging area to be mapped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A control method of an X-ray imaging device comprising mapping and storing the X-ray imaging area for each X-ray imaging protocol according to the input.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엑스선 조사 조건의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대상체의 사이즈 별로 상기 엑스선 조사 조건을 맵핑시켜 저장하고;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사이즈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에 맵핑된 엑스선 조사 조건을 적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Displa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settings for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the object;
mapping and storing the X-ray irradiation conditions for each siz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put;
capture camera footage;
Recognize the size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A control method of an X-ray imag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X-ray imaging by applying X-ray irradiation conditions mapped to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대상체의 사이즈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39,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엑스선 조사영역에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엑스선 소스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에 표시된 상기 가시광선이 조사된 광 조사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광 조사 영역의 상기 카메라 영상에서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위치와 상기 광 조사 영역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으면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Visible light is radiated to the X-ray irradiation area;
capture camera footage;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X-ray radiation area in the camera image based 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X-ray source;
extracting a light irradiation area irradiated with visible light displayed in the camera image, and calculating a position of the extracted light irradiation area in the camera image;
A method of controlling an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를 추출하여 디텍터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 창과 상기 추출된 디텍터 경계선에 기초하여 상기 엑스선 디텍터와 상기 엑스선 소스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1,
extracting a detector boundary line by extracting a boundary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X-ray detector is mounted;
X-rays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source are aligned based on the calculated X-ray irradiation area or an Control method for video devices.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엑스선 조사 영역 또는 상기 계산된 광 조사 영역의 위치에 엑스선 조사영역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의 위치 또는 크기에 대한 조절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1,
displaying an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at the calculated X-ray irradiation area or at a position of the calculated light irradiation area;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command to adjust the position or size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from a user.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조절 명령에 의해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창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엑스선 디텍터 또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가 장착된 장착부의 경계선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경계선을 벗어난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3,
If the X-ray irradiation area window deviates from the boundary line of the X-ray detector shown in the camera image or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control method.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복수의 분할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분할 영역 창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capture camera footage;
Overlapp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 windows indica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n the camera image;
Controlling the collimator to adjust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5,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idth of the X-ray irradiation area,
Controlling the collimator includes:
A control method of an X-ray imaging device including controlling the collimator according to the input command.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이 상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대상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콜리메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5,
Controlling the collimator includes:
Controlling the collimator so that the width of the X-ray radiation area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object shown in the camera image.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엑스선 조사 영역의 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별로 복수의 AEC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5,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EC sensor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based on the width of the adjusted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고; 및
상기 카메라 영상 위에 스티칭 촬영이 수행될 복수의 분할 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이 오버랩(overlap)되는 오버랩 영역이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capture camera footage;
displaying the camera image; and
Overlapp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where stitching photography will be performed on the camera image;
A control method of an X-ray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overlap area where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overlap is located in a preset area.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 영역이 상기 미리 설정된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오버랩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49,
A method of controll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moving the overlap area when the overlap area is located in the preset area.
KR1020160108157A 2015-08-25 2016-08-25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ctive KR102662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47,225 US10702229B2 (en) 2015-08-25 2016-08-25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6186173.7A EP3155969B1 (en) 2015-08-25 2016-08-29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6/921,367 US11382585B2 (en) 2015-08-25 2020-07-06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7/861,829 US11678852B2 (en) 2015-08-25 2022-07-11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877 2015-08-25
KR1020150119879 2015-08-25
KR20150119879 2015-08-25
KR20150119877 2015-08-25
KR20150120577 2015-08-26
KR1020150120578 2015-08-26
KR20150120578 2015-08-26
KR1020150120577 2015-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60A KR20170024560A (en) 2017-03-07
KR102662639B1 true KR102662639B1 (en) 2024-05-03

Family

ID=5713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157A Active KR102662639B1 (en) 2015-08-25 2016-08-25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2639B1 (en)
CN (1) CN10647376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998A (en) * 2017-05-23 2018-12-07 上海西门子医疗器械有限公司 Adjusting method, device, X-ray equipment and the storage medium in X-ray exposure region
JP6808592B2 (en) * 2017-08-10 2021-01-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CN111417344B (en) * 2017-11-28 2024-06-04 佳能医疗系统株式会社 X-ray diagnosis apparatus and X-ray tube holding apparatus
CN108095746A (en) * 2017-12-21 2018-06-01 安徽省星灵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light concentrator and automatic beam photosystem
CN109602429A (en) * 2018-12-05 2019-04-12 余姚德诚科技咨询有限公司 Low emissivity amount digital contrast instrument
KR102203530B1 (en) * 2018-12-05 2021-01-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x-ray imag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721014B2 (en) 2019-11-15 2023-08-08 GE Precision Healthcar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field-of-view preview
CN114529499A (en) * 2020-11-23 2022-05-24 上海西门子医疗器械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exposure area of X-ray imaging and storage medium
CN113729741A (en) * 2021-09-07 2021-12-03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Human body region detection device, human body region detection system, imag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EP4417130A1 (en) * 2021-10-25 2024-08-21 Canon Kabushiki Kaisha Radiographic device, and radiographic system
KR20250063916A (en) * 2023-10-30 2025-05-09 주식회사 로움텍 Digital x-r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automatically setting irradiation information of x-ray based on distance from object and photographing part of obje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8968A1 (en) 2007-02-15 2008-08-21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radiation image projection method
US20090086885A1 (en) * 2007-09-27 2009-04-02 Fujifilm Corporation Radi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343523A1 (en) * 2012-06-20 201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28071A1 (en) 2012-08-27 2015-08-13 Koninklijke Philips N.V. Patient-specific and automatic x-ray system adjustment based on optical 3d scene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4192A (en) * 1996-02-29 1997-09-09 Hitachi Medical Corp X-ray photography device
JP5549407B2 (en) * 2010-06-17 2014-07-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ray inspection equipment
CN102970929A (en) * 2010-07-26 2013-03-13 富士胶片株式会社 Radiographic imaging device, radiographic imaging system, and radiographic imaging method
KR20130010425A (en) * 2011-07-18 2013-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X-ray device and x-ray radiation are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8968A1 (en) 2007-02-15 2008-08-21 Canon Kabushiki Kaisha Radiatio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radiation image projection method
US20090086885A1 (en) * 2007-09-27 2009-04-02 Fujifilm Corporation Radi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343523A1 (en) * 2012-06-20 201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28071A1 (en) 2012-08-27 2015-08-13 Koninklijke Philips N.V. Patient-specific and automatic x-ray system adjustment based on optical 3d scene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73760A (en) 2017-03-08
KR20170024560A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639B1 (en)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1678852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57495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35201B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346725B2 (en) X-ray imaging system and X-ray imaging apparatus operating method
EP3501604B1 (en)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KR102713073B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173022B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5658920U (en) X-ray apparatus
KR20190021027A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74435A (en) X-ray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x-ray detector
JP2014121364A (en) Radiation tomographic apparatus and program
WO2016124554A1 (en) Object localization in projective x-ray images by geometric considerations
JP2020506741A (en) Computed tomography and localiza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to be imaged
JP2010239997A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US12324691B2 (e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entering with augmented reality
JP4337708B2 (en) Irradiation center positioning pointer,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is pointer, and therapeutic radiation irradiation apparatus
KR102407494B1 (en)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15869551A (en) Positioning method, processing device, radiotherapy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2500494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arget detection region of ionization chamber, and storage medium
CN116350359A (en) Method for guiding position adjustment of imag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medical system
CN117653156A (en) Exposure feedback area display method and device, medical imag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8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