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1470B1 -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470B1
KR102661470B1 KR1020180104782A KR20180104782A KR102661470B1 KR 102661470 B1 KR102661470 B1 KR 102661470B1 KR 1020180104782 A KR1020180104782 A KR 1020180104782A KR 20180104782 A KR20180104782 A KR 20180104782A KR 102661470 B1 KR102661470 B1 KR 10266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layer
deposition mask
base layer
lay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7129A (en
Inventor
김인배
김우영
황규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470B1/en
Priority to CN201910271989.2A priority patent/CN110872685B/en
Publication of KR2020002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47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23K26/382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02Local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10Moulds; Masks; Masterfor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 H10K71/166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physical vapour deposition [PVD], e.g. vacuum deposition or sputtering using selective deposition, e.g. using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층의 일면 전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도금층의 결정립이 커지도록 열처리하는 단계 및, 도금층 위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베이스층까지 관통하는 패턴홀을 뚫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 제조방법을 개시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plating laye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heat treating to increase the crystal grains of the plating layer, and irradiating a laser onto the plating layer to drill a pattern hole penetrating the base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s disclosed.

Description

증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증착 작업에 사용되는 증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position mask used in deposition operation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애노드와 캐소드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원리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애노드인 화소전극과 캐소드인 대향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삽입된 적층형 구조로 화소들이 이루어져 있다. 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capable of realizing color on the principle that holes and electrons injected from the anode and cathode recombin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o emit light. It has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ing layer is insert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which is the anode, and the counter electrode, which is the cathode. It is made up of pixels.

상기 각 화소들은 예컨대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 중 어느 하나의 서브 화소(sub pixel)가 될 수 있으며, 이들 3색 서브 화소의 색상 조합에 의해 원하는 컬러가 표현될 수 있다. 즉, 각 서브 화소마다 두 전극 사이에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한 색상의 빛을 발하는 발광층이 개재된 구조를 가지며, 이 3색광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한 단위 화소의 색상이 표현되는 것이다. Each of the pixels can be a sub-pixel of, for example, a red pixel, a green pixel, or a blue pixel, and a desired color can be expressed by combining the colors of these three color sub-pixels. That is, each sub-pixel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light of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is interposed between two electrodes, and the color of one unit pixel is expressed by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these three colors of light.

한편, 상기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극들과 발광층 등은 증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형성하고자 하는 박막층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홀을 가지는 마스크를 기판 위에 정렬하고, 그 마스크의 패턴홀을 통해 기판에 박막의 원소재를 증착하여 소망하는 패턴의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Meanwhile, the electrodes and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through deposition. That is, a mask having pattern holes identical to the pattern of the thin film layer to be formed is aligned on a substrate, and thin film raw materials are deposited on the substrate through the pattern holes of the mask to form a thin film with a desired pattern.

상기 마스크는 그 단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함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형태로 많이 사용되며, 상기 패턴홀은 레이저를 마스크 본체에 조사하여 구멍을 뚫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The mask is often used in the form of a mask frame assembly with a frame supporting its ends, and the pattern hole can be formed through laser processing by irradiating a laser to the mask body to create a hole.

그런데, 상기 레이저로 패턴홀을 뚫을 때, 해당 패턴홀 둘레에 돌기가 형성되어 패턴홀의 정확한 형상이 갖춰지지 않는 문제가 빈발하고 있어서,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통상 마스크는 압연 가공된 단단한 금속 재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단단한 금속 재질을 레이저로 뚫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 이런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마스크를 너무 무른 재질로 만들면 자중에 의한 처짐 변형이 생기기 쉬울 뿐 아니라, 열에 의한 비틀림 변형도 잘 생기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when drilling a pattern hole with the laser, a problem occurs frequently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around the pattern hole and the exact shape of the pattern hole is not obtained, so a method to suppress this problem is required. Normally, masks are made of a hard metal material that has been rolled, and it is known that these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early stages of drilling this hard metal material with a laser. However, if the mask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too soft, it is not only prone to sagging due to its own weight, but also prone to torsional deformation due to heat, which causes another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레이저에 의한 패턴홀 가공 시 돌기 발생에 의한 미가공홀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면서, 자중이나 열에 의한 변형도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도록 개선된 증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improved deposition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the risk of unprocessed holes due to protrusions during pattern hole processing with a laser, while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self-weight or heat. .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전체를 덮는 도금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도금층 및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다수의 패턴홀이 형성된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 외측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including a base layer and a plating layer that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mask body includes a pattern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attern holes penetrating the plating layer and the base layer. , providing a deposition mask including a support portion outside the pattern portion.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패턴부의 두께가 상기 지지부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The base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that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패턴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10 ~ 15㎛ 범위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15 μm,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20 ~ 50㎛ 범위일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 the range of 20 to 50 μm,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상기 베이스층과 도금층은 모두 INVAR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Both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may include INVAR material.

상기 도금층은 전주도금(electro plating)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ating layer may include an electro plating layer.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열팽창계수가 서로 겹치는 범위가 있을 수 있다.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may have overlappin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결정립 크기가 모두 1 ~ 10㎛ 범위일 수 있다.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may both have a grain size in the range of 1 to 10㎛.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에 용접될 수 있다. The support may be welded to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층의 일면 전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금층의 결정립이 커지도록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 위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베이스층까지 관통하는 패턴홀을 뚫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dditional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plating layer on on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heat treating the plating layer to increase crystal grains; and irradiating a laser onto the plating layer to create a pattern hole penetrating the base layer.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상대적으로 얇은 패턴부와 상대적으로 두꺼운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차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턴홀은 상기 패턴부에 형성할 수 있다. A step forming step of forming a relatively thin pattern portion and a relatively thick support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pattern hole may be formed in the pattern portion.

상기 단차 형성 단계는 습식 에칭으로 진행할 수 있다. The step forming step may be performed by wet etching.

상기 패턴부의 두께를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10 ~ 15㎛ 범위가 되게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15 ㎛,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상기 지지부의 두께를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20 ~ 50㎛ 범위가 되게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 the range of 20 to 50 μm,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상기 패턴부의 상기 도금층 두께를 줄이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correction step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lating layer of the pattern por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패턴부의 도금층에 대한 폴리싱 공정과 압연 공정 중 어느 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rrection step may include one of a polishing process and a rolling process for the plating layer of the pattern portion.

상기 베이스층과 도금층은 모두 INVAR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Both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may include INVAR material.

상기 도금층 형성 단계는 전주도금(electro plating)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The plating layer forming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an electro plating process.

상기 열처리 단계 후에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열팽창계수가 서로 겹치는 범위가 생길 수 있다.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may have a range in which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verlap with each other.

상기 열처리 단계 후에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결정립 크기가 모두 1 ~ 10㎛ 범위가 될 수 있다.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may both have a grain size in the range of 1 to 10 μm.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가공성이 좋은 도금층을 통해 레이저로 패턴홀을 형성하기 시작하므로 돌기에 의한 미가공홀 발생의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증착 마스크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서 변형에 대한 우려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안정적인 품질 확보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deposition mas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ttern holes are formed with a laser through a plating layer with good processability,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unprocessed holes due to protrusions, and also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deposition mask. can be properly maintained, so concerns about deformation can be resol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le quality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는 증착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증착 마스크가 포함된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마스크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평면도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마스크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대상 기판의 세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 마스크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착 마스크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deposition process using a deposition mask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sk frame assembly including the deposition mask of FIG.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ure 2.
FIGS. 4A to 4F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deposition mask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plan view of FIG. 4B).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position mask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arget substrate shown in FIG. 1.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deposition mask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deposition mask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e presence of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In cases where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at the same time,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in which they ar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 마스크(120)가 채용된 박막 증착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employing a deposition mask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막 증착 장치는 대상 기판(300) 상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 마스크(120)와, 챔버(400) 내에서 상기 대상 기판(300)을 향해 증착가스를 분출하는 증착원(2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the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includes a deposition mask 120 for forming a desired pattern on a target substrate 300, and a deposition source that ejects deposition gas toward the target substrate 300 within a chamber 400. (200) etc. are provided.

따라서, 챔버(400) 내에서 증착원(200)이 증착가스를 분출하면 해당 증착가스가 증착 마스크(120)의 패턴홀(121a;도 2 참조)를 통과하여 기판(300)에 달라붙으면서 소정 패턴의 박막을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deposition source 200 ejects deposition gas within the chamber 400, the deposition gas passes through the pattern hole 121a (see FIG. 2) of the deposition mask 120 and adheres to the substrate 300, forming a predetermined amount. A patterned thin film is formed.

여기서 상기 증착 마스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증착 마스크(120)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130) 및, 상기 프레임(130)에 증착 마스크(120)와 교차하며 지지된 장변스틱(110)을 포함하는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형태로 사용된다. Here, the deposition mask 120 includes a frame 130 supporting both ends of the deposition mask 120, as shown in FIG. 2, and a long side stick supported on the frame 130 while crossing the deposition mask 120. It is used in the form of a mask frame assembly 100 including (110).

즉, 상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는 프레임(130)과, 프레임(130)에 양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장변스틱(110) 및, 그 장변스틱(110)과 수직으로 교차하며 프레임(130)에 양단부가 고정된 복수의 증착 마스크(120)를 구비하고 있다. That is, the mask frame assembly 100 includes a frame 130, a plurality of long side sticks 110 whos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rame 130, and the long side sticks 110 that intersect perpendicularly to the frame 130.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eposition masks 120 whose both ends are fixed.

프레임(130)은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중앙에 개구부(132)가 형성된 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이 프레임(130)의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에 장변스틱(110)의 양단부가 용접으로 고정되며, 증착 마스크(100)의 양단부는 상기 장변스틱(110)이 용접되는 변과 수직인 한 쌍의 변에 용접으로 고정된다.The frame 130 forms the outer frame of the mask frame assembly 100 and has a square shape with an opening 132 at the center. Both ends of the long side stick 110 are fixed to a pair of opposing sides of the frame 130 by welding, and both ends of the deposition mask 100 are a pair perpendicular to the sides to which the long side stick 110 is welded. It is fixed to the side by welding.

상기 증착 마스크(120)는 길쭉한 스틱 형상의 부재들로서, 상기 개구부(132) 안에 위치되는 패턴부(121)에 다수의 패턴홀(121a)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에 용접된다. 참조부호 122는 지지부로서, 증착 마스크(120)를 프레임(130)에 용접할 때 이 지지부(122)를 잡고 길이방향으로 인장시킨 상태에서 용접하게 되며, 용접 후에는 프레임(300) 밖으로 돌출된 부분을 커팅으로 제거한다. 이 증착 마스크(120)를 큰 부재 하나로 만들 수도 있지만, 그럴 경우 자중에 의한 처짐 현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도면과 같이 다수개의 스틱 형상으로 분할해서 만든다. 상기 증착 마스크(120)의 재질로는 철-니켈 합금인 INVAR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deposition mask 120 is an elongated stick-shaped member, and a plurality of pattern holes 121a are formed in the pattern portion 121 located within the opening 132, and both ends of the frame 300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 is welded to. Reference numeral 122 denotes a support portion, and when welding the deposition mask 120 to the frame 130, the support portion 122 is held and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fter welding, the portion protrudes out of the frame 300. Remove by cutting. This deposition mask 120 can be made as one large member, but in that case, sagging due to its own weight may become severe, so it is made by dividing it into multiple stick shapes as shown in the drawing. INVAR, an iron-nickel alloy, etc. may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deposition mask 120, the detailed structure of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패턴홀(121a)은 증착 공정 시 증착 증기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이 패턴홀(121a)을 통과한 증착 증기가 상기 대상 기판(300;도 1 참조)에 달라붙으며 박막층을 형성하게 된다. The pattern hole 121a is a hole through which deposition vapor passes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The deposition vapor passing through the pattern hole 121a adheres to the target substrate 300 (see FIG. 1) and forms a thin film layer.

여기서 상기 패턴부(121)는 일정한 규격의 셀 단위로 나눠져 있지 않고 하나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을 셀 단위로 구획해주는 것이 상기 장변스틱(110)이다. 즉, 도면과 같이 증착 마스크(120)와 장변스틱(110)은 프레임(130)에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각 증착 마스크(120)의 패턴부(121)를 장변스틱(110)이 가로지르면서 셀 단위로 나눠주는 것이다. 그러니까 장변스틱(110)이 단위 셀들 사이의 경계선을 그어주는 셈이 된다. Here, the pattern portion 121 is not divided into cells of a certain standard but is long connected as one, and the long side stick 110 divides it into cells.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eposition mask 120 and the long side stick 110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crossing perpendicularly to the frame 130. Accordingly, the pattern portion 121 of each deposition mask 120 is connected to the long side stick ( 110) passes across it and divides it into cells. So, the long side stick 110 draws the boundary between unit cells.

한편, 상기 증착 마스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압연과 같은 단조 공정으로 제조된 베이스층(120a) 위를 전기주조(electro plating) 공정으로 형성된 도금층(120b)이 덮고 있는 2층 구조로 본체가 이루어져 있으며, 도금층(120b)은 패턴부(121)와 지지부(122)를 포함하여 베이스층(120a)의 일면 전체를 다 덮고 있다. 그리고, 패턴부(121)의 패턴홀(121a)은 상기 도금층(120b)과 베이스층(120a)을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the deposition mask 120 has a two-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a plating layer 120b formed through an electro plating process covers a base layer 120a manufactured through a forging process such as rolling, and the plating layer 120b is a pattern portion ( It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120a, including 121) and the support portion 122. And, the pattern hole 121a of the pattern portion 121 is formed penetrating the plating layer 120b and the base layer 120a.

이와 같이 증착 마스크(120)를 베이스층(120a)과 도금층(120b)의 2층 구조로 하는 이유는, 레이저에 의해 패턴홀(120a)이 원활하게 뚫리는 가공성과, 자중이나 열에 의한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기 위한 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기본적인 강성은 압연으로 제조된 베이스층(120a)이 주로 담당하고, 레이저에 의한 가공성은 전기주조로 형성된 도금층(120b)이 주로 담당하게 함으로써, 두 가지의 특성을 겸비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니까, 레이저로 패턴홀(121a)을 형성할 때에는 가공성이 좋은 도금층(120b)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천공이 원활하게 진행되게 함과 동시에, 적절한 강성도 유지하게 하여 변형에 대한 우려도 해소시킨 것이다.The reason why the deposition mask 120 has a two-layer structure of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lating layer 120b is that the pattern hole 120a can be smoothly opened by a laser and that deformation due to its own weight or heat does not occur easily. This is because all the necessary rigidity can be secured. In other words, the basic rigidity is mainly provided by the base layer 120a manufactured by rolling, and the processability by laser is mainly provided by the plating layer 120b formed by electroforming, so that both characteristics are combined. That is, when forming the pattern hole 121a with a laser,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plating layer 120b, which has good processability, so that the perforation proceeds smoothly and maintains appropriate rigidity, thereby eliminating concerns about deformation.

그리고, 패턴부(121)의 두께(D2)가 지지부(122)의 두께(D1) 보다 더 얇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렇게 양측 간에 단차가 생기게 한 것은 패턴홀(121a) 형성 시 분진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즉, 패턴부(121) 두께가 두꺼우면 패턴홀(121a)을 뚫을 때 비산되는 분진의 양도 그만큼 많아져서 레이저가 정확한 위치에 조사되는 것을 분진이 방해할 수도 있으므로, 패턴부(121) 두께를 상대적으로 줄여서 분진이 조금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D2 of the pattern portion 121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support portion 122, and the reason why the step is created between both sides is to reduce the generation of dust when forming the pattern hole 121a. . That is, if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art 121 is thick, the amount of dust scattered when drilling the pattern hole 121a increases accordingly, and the dust may prevent the laser from being irradiated to the correct location.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art 121 is relative. It is reduced to generate a little dust.

또한, 상기 베이스층(120a)와 도금층(120b)은 강성과 가공성에는 차이가 있지만, 결정립 크기나 열팽창계수와 같은 물성은 거의 유사한 수준이 된다. 이것은 전주도금 후에 고온 열처리에 의해 도금층(120b)의 결정립을 성장시킴으로써 구현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lating layer 120b have differences in rigidity and processability, physical properties such as grain size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re almost similar. This is implemented by growing crystal grains of the plating layer 120b through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after electroplating.

이와 같은 단차 형성과 전주도금 및 열처리를 포함한 증착 마스크(120)의 자세한 제조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그 전에 이 증착 마스크(120)로 증착할 수 있는 대상 기판(300)의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소개하기로 한다. The detaile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position mask 120, including such step formation, electroplating, and heat treatment, will be described later. Before that, an example of a target substrate 300 that can be deposited with the deposition mask 120 is shown in FIG. 6. It will be briefly introduced with reference to .

상기 증착 마스크(120)는 각종 박막 증착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층 패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The deposition mask 120 can be used for various thin film deposition purposes, for example, to form a light emitting layer pattern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증착 마스크(120)를 이용하여 박막을 증착할 수 있는 대상 기판(300)의 예로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of a target substrate 300 on which a thin film can be deposited using the deposition mask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판(320)상에 버퍼층(3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버퍼층(330) 상부로 박막트랜지스터(TFT)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6, a buffer layer 330 is formed on the base plate 320, and a thin film transistor (TFT) is provided on the buffer layer 330.

박막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331)과, 이 활성층(331)을 덮도록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332)과, 게이트 절연막(332) 상부의 게이트 전극(333)을 갖는다. A thin film transistor (TFT) has an active layer 331, a gate insulating film 332 formed to cover the active layer 331, and a gate electrode 333 on the gate insulating film 332.

게이트 전극(333)을 덮도록 층간 절연막(334)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막(334)의 상부에 소스전극(335a) 및 드레인 전극(335b)이 형성된다.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4 is formed to cover the gate electrode 333, and a source electrode 335a and a drain electrode 335b are formed on top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4.

소스전극(335a) 및 드레인 전극(335b)은 게이트 절연막(332) 및 층간 절연막(334)에 형성된 컨택홀에 의해 활성층(33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접촉된다.The source electrode 335a and the drain electrode 335b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source region and drain region of the active layer 331 through contact holes formed in the gate insulating film 332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334.

그리고, 상기 드레인 전극(335b)에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화소전극(321)이 연결된다. 화소전극(321)은 평탄화막(337)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화소전극(321) 위에 서브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화소정의막(Pixel defining layer: 338)이 형성된다. 참조부호 339는 증착 시 마스크(100)와의 간격을 유지하여 마스크(100) 접촉에 의한 기판(300)측 부재들의 손상을 막기 위한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스페이서(339)는 화소정의막(338)의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화소정의막(338)의 개구부에 유기 발광 소자(OLED)의 발광층(326)이 형성되고, 이들 상부에 대향전극(327)이 증착된다. 즉, 화소정의막(338)으로 둘러싸인 개구부가 적색화소(R), 녹색화소(G), 및 청색화소(B)와 같은 한 서브화소의 영역이 되며, 그 안에 해당 색상의 발광층(326)이 형성되는 것이다. And, the pixel electrode 321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335b. The pixel electrode 321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film 337, and a pixel defining layer (338) is formed on the pixel electrode 321 to partition the sub-pixel area. Reference numeral 339 denotes a spacer for maintaining the gap with the mask 100 during deposition to prevent damage to members on the substrate 300 side due to contact with the mask 100, and the spacer 339 is a part of the pixel defining film 338.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form. Then, a light-emitting layer 326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OLED)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pixel definition film 338, and a counter electrode 327 is deposited on top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OLED). That is, the opening surrounded by the pixel defining film 338 becomes the area of one sub-pixel, such as the red pixel (R), green pixel (G), and blue pixel (B),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326 of the corresponding color is therein. It is formed.

따라서, 예컨대 패턴홀(121)이 이 발광층(326)에 대응하도록 증착 마스크(120)를 준비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증착 과정을 통해 원하는 패턴의 발광층(326)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단위 셀은 한 유기발광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Therefore, for example, if the deposition mask 120 is prepared so that the pattern holes 121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layer 326, the light emitting layer 326 of a desired pattern can be formed through the deposition process as described in FIG. 1. Additionally, the above unit cell may correspond to the display area of on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이제 이와 같은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만들 수 있는 상기 증착 마스크(120)의 형성과정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ow,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deposition mask 120, which can make 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D.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으로 제조된 단단한 베이스층(120a)을 준비하여 작업대(10) 위에 올려놓는다. 베이스층(120a)의 재질은 Fe-Ni합금인 INVAR 재질이고, 열팽창계수는 -3.0 ~ -0.1ppm/℃, 결정립 크기는 1~10㎛ 정도가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4A, a hard base layer 120a manufactured by rolling is prepared and placed on the work table 10. The material of the base layer 120a is INVAR, a Fe-Ni alloy,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s -3.0 ~ -0.1ppm/℃, and the grain size is about 1~10㎛.

이어서, 도 4b 및 도 4c와 같이 습식 에칭(wet etching)을 진행하여 패턴부(121)를 지지부(122)에 비해 더 얇게 만든다. 이 과정을 단차 형성 단계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것은 전술한 대로 패턴홀(121a) 형성 시 분진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수행되는 공정이다. Next, wet etch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S. 4B and 4C to make the pattern portion 121 thinner than the support portion 122. This process will be referred to as the step formation step. As described above, this is a process performed to reduce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when forming the pattern hole 121a.

다음으로, 도 4d와 같이 단차가 형성된 베이스층(120a)의 일면 전체를 덮는 도금층(120b)을 형성한다. 이 도금층(120b) 역시 INVAR재질이며, 전주도금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전해액 중 애노드에 INVAR 재료를 설치하고 캐소드에 상기 일면이 노출되도록 베이스층(120a)을 설치한 후 통전하면, 그 베이스층(120a)의 일면에 INVAR 재료가 달라붙으면서 패턴부(121)와 지지부(122)를 모두 덮는 도금층(120b)이 형성된다. 도금층(120b)은 약 5~10㎛의 두께로 형성되며, 이렇게 2층이 형성된 후에 지지부(122) 두께(D1)는 20~50㎛, 패턴부(121)의 두께(D2)는 10~15㎛ 정도가 된다. 그리고, 이때 형성된 도금층(120b)은 결정립 크기가 수십nm 수준이고, 열팽창계수는 5.0 ~ 7.0ppm/℃ 수준으로 열에 매우 민감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렇게 베이스층(120a)과 도금층(120b)으로 형성된 2층 구조의 마스크 본체를 그대로 사용하면 레이저 조사에 대한 가공성은 좋지만 열에 의한 변형이 너무 잘 돼서 조립을 위한 용접 작업이나 실제 증착 작업 중에 심한 변형이 일어나기가 쉽다. Next, a plating layer 120b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120a where the step is formed, as shown in FIG. 4D. This plating layer (120b) is also made of INVAR material and is formed by electroplating. That is, when the INVAR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anode in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base layer (120a) is installed so that one side is exposed to the cathode and then energized, the INVAR material adheres to one side of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attern portion 121 A plating layer 120b is formed that covers both the and the support portion 122. The plating layer 120b is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5 to 10 ㎛, and after the two layers are formed, the thickness (D1) of the support part 122 is 20 to 50 ㎛, and the thickness (D2) of the pattern part 121 is 10 to 15 ㎛. It is about ㎛. In addition, the plating layer 120b formed at this time has a crystal grain size of several tens of nm and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5.0 to 7.0 ppm/℃, making it very sensitive to heat. Therefore, if the mask body with a two-layer structure formed of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lating layer 120b is used as is, the processability against laser irradiation is good, but the deformation due to heat is too easy, so severe damage is caused during welding work for assembly or actual deposition work. Deformation is easy to occur.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e와 같은 열처리 단계를 이어서 수행한다. 열처리는 상기 베이스층(120a)과 도금층(120b)이 형성된 증착 마스크(120)를 수소 및 질소 가스 분위기의 가열로 내에 장입해서 1시간 가량 550℃ 정도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베이스층(120a)의 결정립은 별 차이가 안 생기지만, 상기 도금층(120b)에서는 결정립이 급속히 성장하여 베이스층(120a)과 거의 같은 수준이 된다. 즉, 열처리 후에 베이스층(120a)과 도금층(120b) 모두 결정립의 크기가 1~10㎛ 정도가 된다. 이렇게 결정립 크기가 비슷해지면, 열팽창계수의 범위도 비슷해진다. 베이스층(120a)의 열팽창계수는 -3.0 ~ -0.1ppm/℃로 열처리 후에도 거의 변화가 없는데, 도금층(120b)은 열처리 전에 5.0 ~ 7.0ppm/℃ 수준이었다가 열처리 후에는 -1.0 ~ 1.0ppm/℃ 수준으로 떨어진다. 그러니까 베이스층(120a)과 도금층(120b) 각각의 열팽창계수 범위가 열처리 전에는 서로 완전히 동떨어져 있는 범위였다가, 열처리 후에는 겹치는 범위가 생길 정도로 유사해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도금층(120b) 자체의 열에 대한 민감도도 낮아질 뿐 아니라, 베이스층(120a)과의 차이도 줄어들어서, 용접이나 증착 시에 높은 열이 가해져도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Therefore, to prevent this, the heat treatment step as shown in Figure 4e is subsequently performed. Heat treatment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deposition mask 120 on which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lating layer 120b are formed into a heating furnace in a hydrogen and nitrogen gas atmosphere and heating it to about 550°C for about 1 hour. In this wa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ystal grains of the base layer (120a), but the crystal grains grow rapidly in the plating layer (120b) to almost the same level as the base layer (120a). That is, after heat treatment, the crystal grain size of both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lating layer 120b becomes about 1 to 10 μm. If the grain size becomes similar, the range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lso becomes similar.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base layer (120a) is -3.0 to -0.1 ppm/℃, with little change even after heat treatment, but the plating layer (120b) is at the level of 5.0 to 7.0 ppm/℃ before heat treatment, and -1.0 to 1.0 ppm/℃ after heat treatment. It drops to ℃ level. That is,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ranges of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lating layer 120b are completely separate from each other before heat treatment, but after heat treatment, they become similar enough to have overlapping ranges. In this case, not only does the sensitivity of the plating layer 120b itself to heat decrease, but the difference with the base layer 120a also decreases, so that deformation does not occur easily even when high heat is applied during welding or deposition.

이후,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조사기(20)를 가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금층(120b)을 통해 400~600nm 파장대의 레이저를 조사하며 패턴홀(121a)을 뚫어준다. 이때 레이저가 조사된 부위에 도금층(120b)과 베이스층(120a)이 함께 제거되면서 패턴홀(121a)이 형성되며, 그 패턴홀(121) 자리에 원래 있다가 레이저에 의해 제거되면서 비산된 분진들은 흡입기(미도시)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앞서 패턴부(121)의 두께(D2)를 줄여놨기 때문에, 분진의 발생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따라서 분진에 의해 레이저 패터닝이 방해받는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레이저에 의한 가공성이 좋은 도금층(120b)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홀(121a)을 뚫기 시작하므로, 패턴홀(121a)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는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즉, 만일 상대적으로 가공성이 좋지 않은 베이스층(120a)에 레이저를 조사해서 패턴홀(121a)을 뚫는다면, 레이저가 조사되는 표면 쪽에 패턴홀(121a) 둘레를 따라 돌기들이 삐죽삐죽 형성되는 현상이 빈발한다. 이렇게 되면 정밀한 패턴홀(121a) 형성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에 대한 가공성이 좋은 도금층(120b)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패턴홀(121a)을 뚫기 시작하므로, 레이저 조사면에 잘 생기던 돌기는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정밀한 패턴홀(121a) 형성이 가능해진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4F, the laser irradiator 20 is operated to irradiate a laser in the 400 to 600 nm wavelength range through the plating layer 120b at the desired location to drill a pattern hole 121a. At this time, the plating layer 120b and the base layer 120a are removed together from the area irradiated with the laser, forming a pattern hole 121a, and the dust that was originally in the place of the pattern hole 121 and scattered when removed by the laser is removed. It is inhaled by an inhaler (not show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Since the thickness D2 of the pattern portion 121 was previously reduced,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is relatively reduced, and thus the phenomenon of laser patterning being interrupted by dust rarely occurs. In addition, since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plating layer 120b, which has good laser processability, to start drilling the pattern hole 121a, the formation of protrusions around the pattern hole 121a rarely occurs. In other words, if a pattern hole (121a) is drilled by irradiating a laser to the base layer (120a), which has relatively poor processability, a phenomenon in which jagged protrusions are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pattern hole (121a) on the surface to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occurs. It happens frequently. This makes it difficult to form a precise pattern hole 121a.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pattern hole 121a is started by irradiating the laser to the plating layer 120b, which has good laser processability, so the protrusions that were easily formed on the laser irradiation surface are rarely generated, and thus a precise pattern hole is formed. (121a) formation becomes possible.

이렇게 형성된 증착 마스크(12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에 용접하여 고정시키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가 완성된다. 이때에는 지지부(122)의 베이스층(120a)이 프레임(130)에 용접되며, 열과 자중에 의한 변형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이미 열처리가 된 상태이므로, 이 용접 과정 중 또는 나중에 조립 완료 후 실제 증착 공정에 사용될 때 변형이 생기는 문제도 충분히 억제될 수 있다. When the deposition mask 120 formed in this way is welded and fixed to the frame 130 as shown in FIG. 2, the mask frame assembly 100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base layer 120a of the support portion 122 is welded to the frame 130, and has already been heat treated to withstand deformation due to heat and its own weight, so the actual deposi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during this welding process or later after assembly is completed. The problem of deformation when used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도 5는 이상에서 설명한 증착 마스크(120) 제조 과정을 정리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summari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position mask 120 described above.

도 5를 참조하여 제조 과정을 다시 정리하면, 먼저 압연으로 제조된 INVAR 재질의 베이스층(120a)을 준비한다(S1). Referring to FIG. 5,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ummarized again. First, a base layer 120a made of INVAR material manufactured by rolling is prepared (S1).

그리고, 습식 에칭을 통해 패턴부(121)과 지지부(122) 간의 두께 차이 즉, 단차를 형성한다(S2). Then, a thickness difference, that is,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pattern portion 121 and the support portion 122 through wet etching (S2).

이어서, 전주도금으로 베이스층(120a) 일면에 역시 같은 INVAR재질의 도금층(120b)을 형성한다(S3). Next, a plating layer 120b of the same INVAR materia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120a by electroplating (S3).

다음으로, 베이스층(120a)과 도금층(120b)이 형성된 증착 마스크(120)를 가열로에 장입해서 도금층(120b)의 결정립 크기와 열팽창계수 범위가 베이스층(120a)과 유사해지도록 열처리한다(S4). Next, the deposition mask 120 on which the base layer 120a and the plating layer 120b are formed is charged into a heating furnace and heat treated so that the grain size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range of the plating layer 120b are similar to those of the base layer 120a ( S4).

그리고는 레이저로 패턴부(121)에 패턴홀(121a)을 형성하며(S5), 패턴홀(121a)까지 형성된 증착 마스크(120)를 프레임(130)에 용접하여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100)를 조립한다(S6).Then, a pattern hole 121a is formed in the pattern portion 121 with a laser (S5), and the deposition mask 120 formed up to the pattern hole 121a is welded to the frame 130 to assemble the mask frame assembly 100. Do it (S6).

그러므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증착 마스크(120)를 제조하면, 가공성이 좋은 도금층(120b)을 통해 레이저로 패턴홀(121a)을 형성하기 시작하므로 돌기에 의한 미가공홀 발생의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증착 마스크(120)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서 변형에 대한 우려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f the deposition mask 120 is manufactured in this way, the pattern hole 121a is formed with a laser through the plating layer 120b, which has good processability, and the risk of unprocessed holes due to protrusions can be greatly reduced. Additionally, the rigidity of the deposition mask 120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thereby eliminating concerns about deformation.

한편, 도 7 및 도 8은 전술한 증착 마스크(120) 제조방법에서 변형 가능한 방식을 예시한 것이다. Meanwhile, FIGS. 7 and 8 illustrate possible variations in the above-described deposition mask 120 manufacturing method.

먼저, 도 7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차 형성 단계(S2)를 생략한 것이다. 즉, 단차 형성은 전술한 대로 레이저로 패턴홀(121a)을 뚫을 때 발생하는 분진의 양을 줄이기 위한 것인데, 만일 이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흡입기(미도시)의 성능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면 이 단차 형성 단계(S2)는 생략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조과정이 조금 더 간소화될 수 있고, 패턴부(121)와 지지부(122)는 같은 두께가 된다.First, Figure 7 omits the step forming step (S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step forma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when drilling the pattern hole 121a with a laser, as described above. If the performance of the aspirator (not shown) that suctions and removes this dust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this The step forming step (S2) may be omitted. Then,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attern portion 121 and the support portion 122 have the same thickness.

반대로 패턴부(121)의 두께를 전술한 실시예보다 더 얇게 하려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패턴부(121)의 두께 보정 단계(S4-1)를 추가할 수도 있다. 즉, 열처리 후에 패턴부(121)의 도금층(120b)을 습식 폴리싱(wet polishing)이나 압연(rolling)으로 더 얇게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도금층(120b)의 두께도 더 얇게 하여 분진 발생을 더 줄이려는 경우나, 여러 증착 마스크(120) 간의 두께 편차를 일정한 규격 이내로 더 정밀하게 맞추려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Conversely, if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121 is to be made thinn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thickness correction step (S4-1) of the pattern portion 121 may be added as shown in FIG. 8. That is, after heat treatment, the plating layer 120b of the pattern portion 121 is made thinner by wet polishing or rolling. This can be used when trying to further reduce dust generation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plating layer 120b thinner, or when trying to more precisely match the thickness deviation between several deposition masks 120 within a certain standard.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틱 형상의 복수 개로 분할된 증착 마스크(120)에 패턴홀(121a)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한 부재로 프레임(130)의 개구(132) 전체를 덮는 일체형 마스크인 경우나, 장변스틱(110) 없이 증착 마스크(120) 자체에 패턴홀(121a) 들이 셀 단위로 구획되어 있는 마스크인 경우의 제조에도 다 적용할 수 있다. 즉, 레이저를 직접 조사하여 패턴홀(121a)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본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ase of forming the pattern hole 121a in the deposition mask 12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ick-shaped pieces was exemplified, and the integrated mask covers the entire opening 132 of the frame 130 with one member. It can also be applied to manufacturing a mask in which pattern holes 121a are divided into cells in the deposition mask 120 itself without the long side stick 110. That is, of course, if the pattern hole 121a is formed by directly irradiating a las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of mask frame assembly.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증착 마스크와 제조방법에 의하면, 가공성이 좋은 도금층을 통해 레이저로 패턴홀을 형성하기 시작하므로 돌기에 의한 미가공홀 발생의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증착 마스크의 강성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어서 변형에 대한 우려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안정적인 품질 확보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pattern holes are formed with a laser through a plating layer with good processability,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unprocessed holes due to protrusions, and also 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deposition mask. Since it can be properly maintained, concerns about deformation can be resol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le quality of the produc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 작업대 20: 레이저조사기
100: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110: 장변스틱
120: 증착 마스크 120a: 베이스층
120b: 도금층 121: 패턴부
121a: 패턴홀 122: 지지부
130: 프레임
10: Workbench 20: Laser irradiator
100: Mask frame assembly 110: Long side stick
120: deposition mask 120a: base layer
120b: Plating layer 121: Pattern part
121a: pattern hole 122: support portion
130: frame

Claims (20)

압연공정으로 제조된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전체를 덮는 도금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도금층 및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다수의 패턴홀이 형성된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 외측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패턴부의 두께가 상기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은 증착 마스크.
A mask body comprising a base layer manufactured through a rolling process and a plating layer cover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The mask body includes a pattern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attern holes penetrating the plating layer and the base layer are formed, and a support portion outside the pattern portion,
The base layer is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10 ~ 15㎛ 범위인 증착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is in the range of 10 to 15 μm,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20 ~ 50㎛ 범위인 증착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is in the range of 20 to 50 μm,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도금층은 모두 INVAR재질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deposition mask in which both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include INVAR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전주도금(electro plating)층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deposition mask wherein the plating layer includes an electro p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열팽창계수가 서로 겹치는 범위가 있는 증착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have overlappin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결정립 크기가 모두 1 ~ 10㎛ 범위인 증착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both have crystal grain sizes in the range of 1 to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에 용접되는 증착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deposition mask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welded to a frame.
압연공정으로 제조되는 베이스층의 일면 전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금층의 결정립이 커지도록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 위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도금층 및 상기 베이스층을 관통하는 패턴홀을 뚫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 외측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차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턴부의 두께는 상기 지지부의 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패턴홀은 상기 패턴부에 형성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Forming a plating laye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manufactured through a rolling process;
heat treating the plating layer to increase crystal grains; and
Irradiating a laser onto the plating layer to drill a pattern hole penetrating the plating layer and the base layer;
It further includes a step forming step of forming a pattern portion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on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a support portion outside the pattern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wherein the pattern hole is formed in the pattern portion.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형성 단계는 습식 에칭으로 진행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step forming step is performed by wet etch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두께를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10 ~ 15㎛ 범위가 되게 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is in the range of 10 to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두께를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을 합해서 20 ~ 50㎛ 범위가 되게 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including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is in the range of 20 to 5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상기 도금층 두께를 줄이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further comprising a correction step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lating layer of the pattern por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단계는 상기 패턴부의 도금층에 대한 폴리싱 공정과 압연 공정 중 어느 한 공정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correction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ncluding one of a polishing process and a rolling process for the plating layer of the pattern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도금층은 모두 INVAR재질을 포함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wherein both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include INVAR materi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 형성 단계는 전주도금(electro plating) 공정으로 진행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plating layer forming step is performed by an electro plating proces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 후에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열팽창계수가 서로 겹치는 범위가 생기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n which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have overlappin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 후에 상기 베이스층과 상기 도금층은 결정립 크기가 모두 1 ~ 10㎛ 범위가 되는 증착 마스크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position mask in which,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the bas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both have crystal grain sizes in the range of 1 to 10 μm.
KR1020180104782A 2018-09-03 2018-09-03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26614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782A KR102661470B1 (en) 2018-09-03 2018-09-03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910271989.2A CN110872685B (en) 2018-09-03 2019-04-04 Deposition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782A KR102661470B1 (en) 2018-09-03 2018-09-03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29A KR20200027129A (en) 2020-03-12
KR102661470B1 true KR102661470B1 (en) 2024-04-29

Family

ID=6971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782A Active KR102661470B1 (en) 2018-09-03 2018-09-03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1470B1 (en)
CN (1) CN11087268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923A (en) * 2021-06-21 2022-12-2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and mask
KR20230139566A (en) * 2022-03-28 2023-10-05 스템코 주식회사 Mask for de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al plate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660B1 (en) * 2005-04-06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ask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CN107208250A (en) * 2015-01-05 2017-09-26 夏普株式会社 Mask, evaporation coating device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at mask is deposited is deposited
EP3993075A1 (en) * 2015-04-24 2022-05-04 Lg Innotek Co. Ltd Deposition mask
KR102401484B1 (en) * 2015-08-31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ask assembly,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JP2017071842A (en) * 2015-10-09 2017-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Film forming mask and film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5132861A (en) * 2015-10-13 2015-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Evaporation mask plate and evaporation device
KR102586048B1 (en) * 2016-01-12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ask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67467B1 (en) * 2016-11-22 2018-06-15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Mask integrated fram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7121918B2 (en) * 2016-12-14 2022-08-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Evaporation mask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vaporation mask device
KR20180087824A (en)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Frame integrated mask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2018127705A (en) *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Vapor deposition mask
JP6904718B2 (en) * 2017-02-10 2021-07-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Thin-film mask, thin-film 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thin-film mask manufactur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72685A (en) 2020-03-10
KR20200027129A (en) 2020-03-12
CN110872685B (en)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78116B (en) A kind of mask plate and its production method, mask plate assembly
US20210355572A1 (en) Mask and mask assembly
CN112670332B (en) Pixel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402998B1 (en) Deposition mask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CN109616587B (en) Display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10103332B2 (en) Evapora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isplay
JP2008210770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61470B1 (en)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110109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77066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OLED panel, flexible OLED display panel, and display
KR20200091052A (en) Mask fram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5789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KR102649143B1 (en) Mask frame assembl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25850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642345B1 (en) Division mask
JP5557653B2 (en)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531390B1 (en)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83755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t element
WO2016145810A1 (en) Oled substr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oled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2679609B1 (en)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30556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isplay device
JP2014041740A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0476019B2 (en)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92003B1 (en) Shadow mask for manufacturing ole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led using the same
JP4870933B2 (en) Self-luminous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self-luminous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