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407B1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0407B1 KR102660407B1 KR1020170020382A KR20170020382A KR102660407B1 KR 102660407 B1 KR102660407 B1 KR 102660407B1 KR 1020170020382 A KR1020170020382 A KR 1020170020382A KR 20170020382 A KR20170020382 A KR 20170020382A KR 102660407 B1 KR102660407 B1 KR 1026604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ck
- steering device
- driven power
- housing
- lock scre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3 fluoro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97 ter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45—Screw drives
- B62D5/0448—Ball nu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03—Screw mechanisms with arrangements for taking up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볼너트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베어링의 외륜과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베어링을 지지하는 락스크류, 랙하우징과 기어하우징과의 맞닿는 결합면을 따라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에서 돌출되어 락스크류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락스크류를 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팩킹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driven power-assisted steering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ring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ball nut to support rotation, a lock screw coupled between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and a gear housing to support the bearing, a rack housing, and A rack-driven type that includes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along the m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ear housing, and a packing plate that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screw, a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lock screw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Power assisted steering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너트가 회전하면서 랙바를 슬라이딩시킬 때 랙바와 볼너트, 랙하우징 등을 통해 발생되는 축방향과 경방향의 진동에 의해 락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볼너트와 랙바 등을 통해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줄이며,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할 수 있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rack bar is slid while a ball nut rotates, the lock is moved by axial and radial vibrations generated through the rack bar, ball nut, rack housing, etc. This relates to a rack-driven power-assisted steering device that can prevent screws from loosening, reduc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hrough ball nuts and rack bars, and provide a comfortable steering feel to the driver.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일반적으로 유압 펌프의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조향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점차로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As a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for automobiles, a hydraulic power steering device using hydraulic pressure from a hydraulic pump is generally used, but recently, a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ing a motor is gradually becoming more common.
일반적인 전동식 조향장치는 조향휠부터 양측 바퀴에까지 이어지는 조향 계통 및 조향 계통에 조향 보조 동력을 공급하는 보조 동력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typical electric steering system includes a steering system that extends from the steering wheel to both wheels and an auxiliary power mechanism that supplies steering assistance power to the steering system.
보조 동력 기구는 운전자가 조향휠에 가하는 조향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향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 토크 센서로부터 전해지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전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향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벨트를 매개로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을 랙바에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xiliary power mechanism includes a torque sensor that detects the steering torqu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steering torqu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rque sensor. : Electronic Control Unit), which includes a motor that generates steering auxiliary power based on contro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a belt-type transmiss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auxiliary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to the rack bar through a bel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 일측에 랙 기어를 구비하는 랙바(140),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피니언축(110), 볼(220)을 매개로 외주스크류홈(145)과 맞물리는 볼너트(210), 볼너트(210)와 모터축(155)을 연결하는 벨트식 전동장치(160) 및 모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피니언축(110)은 조향축을 통해 조향휠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측에 일정 길이의 외주스크류홈(145)이 형성되어 있는 랙바(140)는 랙하우징(120)에 내장된다. The
벨트식 전동장치(160)는 모터축(155) 및 볼너트(210)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조향휠에 가해진 조향 토크에 비례하여 모터(150)에서 발생하는 조향 보조 동력을 볼너트(210)를 통해 랙바(140)에 전달한다.The belt-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외주면에 외주스크류홈(145)을 구비하는 랙바(140), 볼(220)이 순환하는 중간 경로(215)를 구비하는 볼너트(210), 상기 랙바의 외주스크류홈(145)과 중간 경로(215)에 접하면서 구름이동 하는 볼(220), 상기 볼너트(210)의 끝단에 부착되는 엔드 캡(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이와 같은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볼(220)이 랙바(140)의 외주스크류홈(145)과 볼너트(210)의 내주스크류홈과 접촉하면서 구름에 의한 이동에 의하여 랙바(140)를 슬라이딩시키게 된다.In this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경우에는 볼너트가 회전하면서 랙바를 슬라이딩시킬 때 랙바와 볼너트, 베어링, 랙하우징 등을 통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소음과 진동이 다른 부품들에 전달되어 체결된 부품들을 풀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prior ar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noise and vibration were generated through the rack bar, ball nut, bearing, rack housing, etc. when the ball nut rotated and the rack bar was slid, and this noise and vibration was transmitted to other parts.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delivered and fastened parts coming loose.
또한, 이렇게 전달된 소음과 진동이 다른 부품들의 진동 및 소음과 함께 운전자에게 전달되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noise and vibration transmitted in this way were transmitted to the driver along with the vibration and noise of other parts, deteriorating the driver's steering feel.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볼너트가 회전하면서 랙바를 슬라이딩시킬 때 랙바와 볼너트, 랙하우징 등을 통해 발생되는 축방향과 경방향의 진동에 의해 락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볼너트와 랙바 등을 통해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줄이며,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against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nd in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of an automobile, when the ball nut rotates and the rack bar is slid, the axial direction and tilt generated through the rack bar, ball nut, rack housing, etc.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lock screw from loosening due to directional vibration, reduce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and noise through the ball nut and rack bar, and provide a comfortable steering feeling to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볼너트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 베어링의 외륜과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베어링을 지지하는 락스크류, 랙하우징과 기어하우징과의 맞닿는 결합면을 따라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에서 돌출되어 락스크류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락스크류를 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팩킹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aring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ball nut to support rotation, a lock screw coupled between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and the gear housing to support the bearing, and a mating surface that contacts the rack housing and the gear housing.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along the seating portion, a packing plate that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screw, and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lock screw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볼너트가 회전하면서 랙바를 슬라이딩시킬 때 랙바와 볼너트, 랙하우징 등을 통해 발생되는 축방향과 경방향의 진동에 의해 락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볼너트와 랙바 등을 통해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ck screw from loosening due to axial and radial vibration generated through the rack bar, ball nut, rack housing, etc. when the ball nut rotates and slides the rack bar, and the ball nu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and noise through the and rack bars, etc.,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pleasant steering feeling to the driv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중 팩킹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중 팩킹플레이트가 기어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중 팩킹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팩킹플레이트가 기어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중 팩킹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ing plate among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cking plate is mounted on the gear housing of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acking plate in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cking plate of Figure 7 mounted on the gear housin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acking plate in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중 팩킹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 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중 팩킹플레이트가 기어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중 팩킹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팩킹플레이트가 기어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중 팩킹플레이트의 변형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ing plate among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cking plate is mounted on the gear housing among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and Figure 7 is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acking plate among the power assist steering devices.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cking plate of Figure 7 mounted on the gear housing, and Figure 9 is a rack-driven power ass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acking plate among the steering devices.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볼을 매개로 랙바(140)와 결합되는 볼너트(315)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309), 베어링(309)의 외륜과 기어하우징(305) 사이에 결합되어 베어링(309)을 지지하는 락스크류(307),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과의 맞닿는 결합면(303a, 305a)을 따라 안착되는 안착부(322)와, 안착부(322)에서 돌출되어 락스크류(307)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락스크류(307)를 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25)가 구비되어 있는 팩킹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러한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구동수단과 종동수단을 구비하는데, 구동수단은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제어되는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축(155)에 고정된 구동풀리, 구동벨트(335) 등으로 이루어진다.This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includes a driving means and a driven means. The driving means includes an electric motor controlled by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drive pulley fixed to the
또한, 종동수단은 랙바(140)를 감싸는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의 내부에 랙바(140)를 지지하는 볼너트(315)가 구비되고, 볼너트(315)의 외주면에 별도로 성형되거나 결합된 종동풀리(31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riven means is provided with a
전동모터와 연결된 구동풀리와, 랙바(140)와 연결된 종동풀리(3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 구동풀리와 종동풀리(310)에는 구동벨트(335)가 끼워져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볼너트(315)를 통해 랙바(140)에 전달하고, 볼너트(315)의 동작에 의하여 랙바(140)를 좌우로 이동시켜 조향 보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driving pulley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en
볼너트(315)는 볼을 매개로 랙바(140)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랙바(140)를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의 내측에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볼너트(315)의 외주면에는 볼너트(315)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309)이 장착되어 있다.The
볼너트(315)의 내주면과 랙바(140)의 외주면에는 랙바(140)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조향 보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동력전달구조가 마련되는데, 이 동력전달구조는 랙바(140)의 외주면에 반구형 단면의 나선형으로 마련된 외주스크류홈과, 이에 삽입되는 볼(미도시) 및, 외주스크류홈과 대응되게 볼너트(315)의 내주면에 반구형 단면의 나선형으로 마련된 내주스크류홈으로 이루어진다.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볼너트(315)는 내주면에 내주스크류홈이 형성된 중공관으로서, 외주면 양측에 종동풀리(310)가 밀착 설치되고, 이 볼너트(315)의 일단 외주측에는 베어링(309)이 설치되며, 이 베어링(309)의 외륜 끝단과 외주면 일단에는 락스크류(307)가 기어하우징(305)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어 베어링(309)을 지지하며 고정된다. The
그리고,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의 맞닿는 결합면(303a, 305b)에 결합되는 팩킹플레이트(320)에는 락스크류(307)를 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25)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어서, 락스크류(307)의 풀림을 방지하면서 베어링(309)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과 노이즈를 댐핑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팩킹플레이트(320)는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과의 맞닿는 결합면(303a, 305b)을 따라 안착되는 안착부(322)와, 안착부(322)에서 돌출되어 락스크류(307)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락스크류(307)를 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25)가 구비된다.The
즉,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에는 종동풀리와 볼너트(315)가 삽입되는 중공부와 구동풀리와 모터가 삽입되는 중공부가 동축상에 배열되며 이들 중공부들을 감싸는 형상으로 팩킹플레이트(320)의 안착부(322)가 형성된다.That is, the
그리고, 안착부(322)에는 내외측 끝단의 중심부위가 중심축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의 결합시 탄성 압축되는 엠보부(326)가 구비되어 있어서, 랙하우징(303)의 결합면과 기어하우징(305)의 결합면이 엠보부(326)를 탄성 압축시키면서 체결부재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안착부(322)에는 외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321)가 구비되는데, 플랜지부(321)에는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에 형성된 체결홀(303b, 305b)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관부(323)가 구비되어 있어서 팩킹플레이트(320)의 조립 위치가 정확히 셋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삽관부(323)는 플랜지부(3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제작되어 플랜지부(321)에 결합될 수도 있다.This
삽관부(323)가 별도 제작되어 플랜지부(321)에 결합되는 경우는, 삽관부(323)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에 형성된 체결홀(303b, 305b)에 삽입된다.When the
또한, 삽관부(323)가 플랜지부(3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는, 플랜지부(321)에서 랙하우징(303)쪽으로 돌출되어 체결홀(303b)에 삽입되며 플랜지부(321)에서 기어하우징(305)쪽으로 돌출되어 체결홀(305b)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삽관부 (323)를 관통하여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이 결합된다.In addition, when the
또는, 삽관부(323)가 플랜지부(3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플랜지부(321)에 랙하우징(303)에 형성된 체결홀(303b)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1삽관부(323a)와 기어하우징(305)에 형성된 체결홀(305b)에 삽입되도록 제1삽관부(323a)와 반대쪽으로 절곡된 제2삽관부(323b)가 구비된다.Alternatively, when the
즉, 플랜지부(321)의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에 형성된 체결홀(303b, 305b)과 대응되는 위치인 중앙부가 둘 이상 분할되어 분할된 플랜지부의 일부는 랙하우징(303)쪽으로 절곡되어 체결홀(303b)에 삽입되며, 나머지는 기어하우징(305)쪽으로 절곡되어 체결홀(305b)에 삽입되게 된다.That is,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303b and 305b formed in the
일예로, 도 9에는 플랜지부(321)가 4개로 분할되어 분할된 플랜지부 중 제1삽관부(323a)는 한쪽으로 절곡되어 랙하우징(303)에 삽입되며, 제2삽관부(323b)는 반대쪽으로 절곡되어 기어하우징(305)에 삽입되고, 여기서 분할된 플랜지부는 한쪽과 반대쪽으로 교대로 절곡되어 제1삽관부(323a)와 제2삽관부(323b)가 교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 example, in Figure 9, the
도 9의 (a)는 이러한 플랜지부(321)의 일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플랜지부(321)가 4개로 분할되어 절곡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랜지부(321)의 일부분에 대한 정면도로, 도 9의 (b)와 같이 플랜지부(321)를 분할한 후 각각을 한쪽과 반대쪽으로 절곡시켜 도 9의 (a)와 같이 플랜지부(321)에 제1삽관부(323a)와 제2삽관부(323b)가 형성되며 제1삽관부(323a)와 제2삽관부(323b)가 체결홀(303b, 305b)에 삽입된다.Figure 9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안착부(322)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325)는 락스크류(307)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안착부(322)의 내측 끝단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제1지지부(325a)가 형성되어 있다.The
제1지지부(325a)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의 결합시 락스크류(307)의 외측면에 탄성 압축되는 제2지지부(325b)가 구비되어 있다.The
제2지지부(325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25a)에서 원주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중심축 방향으로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데 벤딩되어 있어서 랙하우징(303)의 결합면(303a)과 기어하우징(305)의 결합면(305a)이 제2지지부(325b)를 탄성 압축시키면서 결합됨으로써 락스크류(307)의 회전 풀림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즉, 제2지지부(325b)가 제1지지부(325a)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의 양측으로 벤딩 형성됨으로써 락스크류(307)의 시계 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모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또한, 제1지지부(325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스크류(307)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지지부(325a)에는 경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에 중심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랙하우징(303)과 기어하우징(305)의 결합시 락스크류(307)의 외측면에 탄성 압축되는 제2지지부(325c)가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여기서, 제2지지부(325c)는 안착부(322)의 내측 끝단에서부터의 경방향 길이가 인접된 제2지지부(325c)와 다르게 형성되는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325c)는 안착부(322)의 내측 끝단에서부터의 경방향 길이가 짧은 것과 긴 것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교번으로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5c is formed in a radial length from the inner end of the
이렇게 서로 다른 길이의 제2지지부(325b)는 각각 락스크류(307)의 내측과 외측을 각각 지지하게 됨으로써 락스크류(307)의 회전 풀림 발생시 락스크류(307) 외측면의 내측과 외측의 회전을 고르게 지지하여 회전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The
이와 같은 팩킹플레이트(320)은 금속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NR(Natural Rubber), BR(Polybutadiene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Fluoro Elastom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댐핑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볼너트가 회전하면서 랙바(140)를 슬라이딩시킬 때 랙바와 볼너트, 랙하우징 등을 통해 발생되는 축방향과 경방향의 진동에 의해 락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볼너트와 랙바 등을 통해 진동과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0: 랙바 303: 랙하우징
305: 기어하우징 307: 락스크류
309: 베어링 310: 종동풀리
320: 팩킹플레이트 321: 플랜지부
323: 삽관부 325: 지지부140: Rack bar 303: Rack housing
305: gear housing 307: lock screw
309: bearing 310: driven pulley
320: Packing plate 321: Flange portion
323: intubation unit 325: support unit
Claims (13)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기어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락스크류;
랙하우징과 상기 기어하우징과의 맞닿는 결합면을 따라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락스크류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락스크류를 중심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팩킹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락스크류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안착부의 내측 끝단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랙하우징과 기어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락스크류의 외측면에 탄성 압축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 bearing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ll nut to support rotation;
A lock screw coupled between the outer ring of the bearing and the gear housing to support the bearing;
Packing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along the mating surface that contacts the rack housing and the gear housing, and a support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is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screw and supports the lock screw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plate;
Includes,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support portion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protruding so as to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screw,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part tha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elastically com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screw when the rack housing and the gear housing are coupled.
상기 안착부에는 내외측 끝단의 중심부위가 중심축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랙하우징과 기어하우징의 결합시 탄성 압축되는 엠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1,
A rack-driven power assistance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mbossed portion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and outer ends protrudes convexly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compressed when the rack housing and the gear housing are coupled.
상기 안착부에는 외측 끝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2,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an outer end.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랙하우징과 기어하우징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3,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tube portion inserted into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rack housing and the gear housing.
상기 플랜지부와 삽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4,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portion and the tube portion are formed integrally.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랙하우징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제1삽관부와, 상기 기어하우징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삽관부와 반대쪽으로 절곡된 제2삽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flange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tube part bent to be inserted into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rack housing, and a second tube part ben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tube part to be inserted into a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gear housing. A rack-driven power-assisted steering device.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서 원주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1,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both si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bent.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락스크류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1,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several number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ck screw.
상기 제1지지부에는 경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에 중심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랙하우징과 기어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락스크류의 외측면에 탄성 압축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10,
Rack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part at an end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and is elastically compres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 screw when the rack housing and the gear housing are coupled. type power assisted steering.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내측 끝단에서부터의 경방향 길이가 인접된 제2지지부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11,
A rack-driven power assist steer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has a radial length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that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adjacent second support portion.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내측 끝단에서부터의 경방향 길이가 짧은 것과 긴 것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교번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According to claim 12,
A rack-driven power auxiliary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short and long radial lengths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382A KR102660407B1 (en) | 2017-02-15 | 2017-02-15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0382A KR102660407B1 (en) | 2017-02-15 | 2017-02-15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4272A KR20180094272A (en) | 2018-08-23 |
KR102660407B1 true KR102660407B1 (en) | 2024-04-24 |
Family
ID=6345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0382A Active KR102660407B1 (en) | 2017-02-15 | 2017-02-15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040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592A (en) | 2021-02-15 | 2022-08-23 | (주) 와이즈엠글로벌 | Method to exchange between multiple tokens and to clear payment process in electronic wallet using decentralized identifier |
CN114526905B (en) * | 2021-12-31 | 2024-01-30 | 浙江翔宇密封件有限公司 | Sealing washer anti deformability detection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0327B1 (en) | 2015-04-14 | 2016-08-23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of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95351A (en) * | 1996-09-25 | 1998-04-14 | Suzuki Motor Corp | Holding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 |
KR100417963B1 (en) * | 2001-02-09 | 2004-02-11 | 주식회사 만도 | Oil seal of power steering device |
KR20110012344A (en) * | 2009-07-30 | 2011-02-09 | 주식회사 만도 | Hydraulic power assist steering in cars |
KR101381047B1 (en) * | 2011-05-25 | 2014-04-14 | 주식회사 만도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2017
- 2017-02-15 KR KR1020170020382A patent/KR1026604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0327B1 (en) | 2015-04-14 | 2016-08-23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of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4272A (en) | 2018-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99663B2 (en) |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381047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US8540258B2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US20120322566A1 (en) |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US10054190B2 (en) |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US11173950B2 (en) | Reducer of electric power-assisted steering apparatus | |
KR101450326B1 (en) | Belt Type Driveline and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9897148B2 (en) | Reducer of electric power-assisted steering apparatus | |
US10196084B2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00137170A (en) | Rack Driven Electric Power Steering Unit | |
US10351163B2 (en) |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US10196083B2 (en) | Bearing assembly of steering apparatus and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170040493A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208279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2660407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90064174A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US11148712B2 (en) |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393253B1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80094310A (en) | Fabrication in a body type damper apparatus for column-electric power steering | |
KR20120027624A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2232849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30084418A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452556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372792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189311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