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60202B1 -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202B1
KR102660202B1 KR1020160161407A KR20160161407A KR102660202B1 KR 102660202 B1 KR102660202 B1 KR 102660202B1 KR 1020160161407 A KR1020160161407 A KR 1020160161407A KR 20160161407 A KR20160161407 A KR 20160161407A KR 102660202 B1 KR102660202 B1 KR 10266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layer
shock wave
substrate
dens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507A (ko
Inventor
윤대호
김명환
김지연
박익형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202B1/ko
Priority to US15/820,113 priority patent/US11800736B2/en
Publication of KR2018006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2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4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containing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윈도우 기판은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WINDOW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표시 장치를 이용한 가요성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평판 표시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전기 영동 표시 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들은 휘어지고 접히는 특성을 가지는 바, 접거나 마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가 간편하다. 이러한 가요성 표시 장치는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전자 책, 전자 신문 등과 같은 모바일 장비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품질의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윈도우 기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은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밀도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의 4% 이상이며,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탄성 계수의 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 내부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은 복수의 서브 전달층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 중 상기 유리 기판에 먼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 중 상기 유리 기판에 먼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의 1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달층들은 유기물, 유무기 복합재 및 금속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은 유기물 및 상기 유기물 내에 분산된 기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기공 밀도는 상기 유리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제공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합금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상기 윈도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구성 및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된 윈도우 기판 및 이러한 윈도우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충격파 전달층을 구비하지 않는 윈도우 기판들과, 충격파 전달층을 구비하는 윈도우 기판들의 펜 드랍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을 설명한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표시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바, 특히, 표시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 패널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윈도우 기판으로 지칭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의 사용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절연 기판이 필요한 곳에 전용(轉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에서의 소자가 실장되는 베이스 기판이나, 베이스 기판에 대향하는 대향 기판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기판 상에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윈도우 기판(WD)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윈도우 기판(WD)의 평면 상에서의 형상이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을 가졌다고 가정하고, 상기 장변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D1), 상기 단변의 연장 방향을 제2 방향(D2), 상기 장변과 단변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3)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및 타원 등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WD)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상기 각 형상의 꼭지점 부분들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 기판(WD)이 직사각 형상을 가질 때, 서로 인접한 직선 변들이 만나는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직사각 형상의 꼭지점 부분은 서로 인접한 그 양단이 서로 인접한 두 직선 변들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률은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률은 곡선이 시작되는 위치 및 곡선의 길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유리 기판(GLS), 충격파 전달층(SWT) 및 접착층(AD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양면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은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유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리 기판(GLS)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보로실리케이트,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의 내구성, 표면 평활성, 및 투명도가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리 물질은 다양한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리 기판(GLS)은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 및 이들의 산화물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은 Al2O3, Na2O, 및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은 B2O3, MgO, CaO, BaO, SnO2, ZrO2, Na2O, SrO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에 포함되는 물질 중 상기 Al2O3, Na2O, 및 SiO2는 다양한 조성비로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리 기판(GLS)은 1 mol% 내지 10 mol%의 Al2O3, 10 mol% 초과 15 mol% 이하의 Na2O, 및 65 mol% 내지 70mol%의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은 내충격성이 향상되도록 적절한 비율의 Al2O3 및 Na2O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리 기판(GLS)에 함유되는 Al2O3/Na2O는 1 이하일 수 있다. Al2O3/Na2O가 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리 기판(GLS)의 내충격성이 약화되고, 약한 충격에서 상기 유리 기판(GLS)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l2O3/Na2O는 0.2 내지 0.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Al2O3/Na2O는 0.3 내지 0.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에 포함되는 물질은 상술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른 물질 및 다양한 비율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은 다른 기존의 유리 기판(GLS)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 계수(elastic modulus)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부려지거나(curved), 접히거나(fold), 말릴(rolled)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부려지거나 접히거나 말리는 경우를 폴딩이나 벤딩되었다고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의 두께는 약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변형에 대한 반발력이 지나치게 커짐으로써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굽힘이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의 두께는 약 25㎛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의 두께가 약 25㎛ 미만인 경우, 상기 유리 기판(GLS)의 강도가 낮아 공정 시 상기 유리 기판(GLS)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리 기판(GLS)의 두께는 얇을수록 바람직하며, 강도 및 공정성이 부합되는 한도 내에서는 25㎛ 미만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은 약 50㎛ 내지 약 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파손되었다고 함은 파괴되거나, 흠 또는 균열이 형성되거나, 상기 흠 또는 상기 균열이 전파되거나, 파단되는 등, 본 발명에 개시된 상기 윈도우 기판(WD)이 의도된 목적에 따라 사용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은 두께를 갖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경우, 펜과 같은 좁은 단면적을 갖는 물체가 상기 유리 기판(GLS)의 상면을 충격하면, 상기 유리 기판(GLS)에 충격파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에 의하여 상기 유리 기판(GLS)과 상기 펜이 맞닿는 영역이 국부적으로 변형되며, 변형된 내측면인 상면보다 외측면인 배면에 큰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에 의해 상기 유리 기판(GLS)이 파손되는 굴곡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굴곡 파괴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내충격 특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리 기판(GLS)은 내충격 개선을 위해 이온 교환 공정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된 강화 유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온 교환 공정"이라는 의미는 상기 상기 유리 기판(GLS)의 변형점 이하의 온도에서 유리가 동일 원자가의 양이온과 유리의 표면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된 양이온과 교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리 내부의 양이온 (예를 들어, Na+, Li+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 외부로부터의 다른 양이온(예를 들어, K+와 같은 양이온)으로 교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온 교환 공정은 상기 유리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특정 깊이로 확장하는 압축 응력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에 압축 응력이 제공되는 경우, 흠(flaw)이 압축 응력이 0인 기준선과 압축 응력 그래프로 이루어진 영역 내에 존재 하는 한 굽힘에서의 높은 강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하다는 의미는 광 투과율이 80% 이상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광 투과율은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해지는 상기 충격파를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으면, 상기 충격파가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의 4%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탄성 계수의 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가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의 4% 이상이고,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탄성 계수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탄성 계수의 2% 이상이면,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해지는 상기 충격파가 상기 유리 기판(GLS)과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충격파가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으로 전달되면, 상기 충격파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외부로 발산, 예를 들면,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가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의 4% 미만이고,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탄성 계수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탄성 계수의 2% 미만이면, 상기 충격파가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유리 기판(GLS)과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상기 충격파가 상기 유리 기판(GLS)과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보강 간섭을 하는 경우, 상기 유리 기판(GLS)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두께는 1㎛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이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전달되는 상기 충격파를 외부로 충분히 발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상기 윈도우 기판(WD)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여 변형에 대한 반발력이 증가하여,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벤딩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유기물, 유무기 복합재, 금속 및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폴리비닐계 수지(polyvinyls resin), 폴리실록산계 수지(polysilolanes resin),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polymethacrylates resin),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olyesters resin),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polyether-esters resin), 폴리우레탄계 수지(polyurethanes resin), 불소계 고분자(fluorinated polymers), 불소계 공중합체(fluorinated copolymers), 폴리스티렌계 수지(polystyrenesresin),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polycarbonates resin), 폴리실라잔계 수지(polysilazanes resin), 및 폴리비닐카바졸계 수지(polyvinylcarbazoles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을 표시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ADL)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AD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파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을 통해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되고,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접착층(AD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매우 낮으므로,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된 상기 충격파는 상기 접착층(ADL) 내부에서 해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ADL)은 아크릴계(acrylics) 고분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고분자, 니트릴(nitriles) 고분자,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s), 부틸 고무(butyl rubber), 스티렌 블록공중합체(styrene block copolymers), 비닐 에테르(vinyl ethers) 고분자, 우레탄(urethane) 고분자, 및 에폭시(epoxy)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층(ADL)은 우레탄(urethane)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ADL)은 우레탄 고분자 및 고무를 포함하거나, 우레탄 고분자 및 아크릴 고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을 구비하여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점 충격에 의한 굽힘 변형이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부려지거나(curved), 접히거나(fold), 말릴(rolled) 수 있다. 즉,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의 외면의 일부가 상기 유리 기판(GLS)의 외면의 나머지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GLS)의 내면의 일부가 상기 유리 기판(GLS)의 내면의 나머지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하에서, “접힌다(폴딩된다)”, "벤딩된다"는 용어는 형태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원래의 형태로부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접히거나(folded), 벤딩되거나(bent) 휘거나(curved) 두루마리 식으로 말리는(rolled)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윈도우 기판(WD)은 유리 기판(GLS),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SWT),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상에 제공되는 접착층(ADL),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는 코팅층(CTL), 및 상기 코팅층(CTL) 상에 제공되는 커버층(CV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양면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해지는 상기 충격파를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을 표시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CT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크므로,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표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한 충격파는 상기 코팅층(CTL)을 통해 상기 유리 기판(GLS)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파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및 상기 접착층(ADL)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된 상기 충격파는 외부로 방출되거나, 상기 접착층(ADL) 내부에서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CTL)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금속 및 합금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산질화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이 상기 금속 및 합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팅층(CTL)은 광을 투과시킬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CTL)의 두께는 5㎚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의 두께가 5㎚보다 작으면, 상기 코팅층(CTL)이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을 강화하는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CTL)의 두께가 1㎛를 초과하면, 상기 코팅층(CTL)에 의하여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두께가 증가하면, 변형에 대한 반발력이 증가하여,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벤딩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양면 중 사용자에 면하는 방향의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코팅층(CT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층(CVL)은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면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나,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터치, 그 외 외부 물질과 접촉이 일어나는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에서 반사를 최소화하는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CVL)은 사용자의 손 자국(예를 들면, 지문 자국)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 방지층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층(CVL)이 반사 방지층, 또는 오염 방지층임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층(CVL)을 단일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층(CVL)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있어서, 커버층(CVL)이 사용자와 마주하는 면에 배치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사용자와 마주하지 않는 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 파손시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충격파 전달층을 구비하지 않는 윈도우 기판들과, 충격파 전달층을 구비하는 윈도우 기판들의 펜 드랍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 R1의 실험예는 70㎛의 두께를 가지고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50㎛의 두께를 가지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으로 펜드랍 테스트한 결과이다. 도 5에서, R2의 실험예는 70㎛의 두께를 가지고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50㎛의 두께를 가지는 접착층, 및 상기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제공되고 실리콘 질화물(Si3N4)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으로 펜드랍 테스트한 결과이다. 도 5에서, R3의 실험예는 70㎛의 두께를 가지고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50㎛의 두께를 가지는 접착층, 및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제공되고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를 포함하며 10㎛의 두께를 가지는 충격파 전달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으로 펜드랍 테스트한 결과이다. 도 5에서, R4의 실험예는 70㎛의 두께를 가지고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50㎛의 두께를 가지는 접착층,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제공되고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를 포함하며 10㎛의 두께를 가지는 충격파 전달층, 및 상기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제공되고 실리콘 질화물(Si3N4)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으로 펜드랍 테스트한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펜 드랍 테스트는 윈도우 기판의 점 충격에 의한 굽힘 변형을 테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펜 드랍 테스트는 특정 펜(소시에떼 빅(Societe Bic)사의 Fine BiC 펜)을 뚜껑이 덮인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기판의 표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자유 낙하시켜, 상기 윈도우 기판이 파손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상기 펜 드랍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윈도우 기판은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되는 층 또는 필름에 따라 내충격성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유리 기판 및 접착제층 만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R1)은 약 3.6㎝의 높이에서 상기 펜이 자유 낙하하는 경우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제공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R2)은 약 4.7㎝의 높이에서 상기 펜이 자유 낙하하는 경우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된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접착제층 사이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R3)은 약 7.3㎝의 높이에서 상기 펜이 자유 낙하하는 경우 파손될 수 있다. 즉, 상기 윈도우 기판(R3)은 적어도 약 7.3㎝의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펜을 약 7㎝ 이하의 높이에서 상기 윈도우 기판(R3)을 향해 낙하시키는 경우에 상기 윈도우 기판(R3)이 깨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된 상기 접착제층,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접착제층 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 및 상기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제공된 상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R4)은 약 8.7㎝의 높이에서 상기 펜이 자유 낙하하는 경우 파손될 수 있다. 즉, 상기 윈도우 기판(R4)은 적어도 약 8.7㎝의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펜을 약 8.7㎝ 이하의 높이에서 상기 윈도우 기판(R4)을 향해 낙하시키는 경우에 상기 윈도우 기판(R4)이 깨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펜 드랍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윈도우 기판은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을 구비하는 경우, 점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윈도우 기판(WD)은 유리 기판(GLS), 상기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SWT),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상에 제공되는 접착층(ADL),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는 코팅층(CTL), 및 상기 코팅층(CTL) 상에 제공되는 커버층(CV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양면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해지는 상기 충격파를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복수의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 중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먼 서브 전달층(SW1, SW2, 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SW1, SW2, 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 중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장 인접한 제1 서브 전달층(SW1)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나머지 서브 전달층들(SW2, 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 중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장 먼 제n 서브 전달층(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나머지 서브 전달층들(SW1, SW2)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내부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 중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먼 서브 전달층(SW1, SW2, 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SW1, SW2, 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의 1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서브 전달층(SW1)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의 10% 이상이며, 상기 제2 서브 전달층(SW2)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제1 서브 전달층(SW1)의 밀도 및 탄성 계수의 1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n 서브 전달층(SWn)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제n-1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의 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발생한 충격파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으로 전달된 상기 충격파는 상기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을 통하여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달되고, 상기 접착층(ADL)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거나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은 유기물, 유무기 복합재, 금속 및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폴리비닐계 수지(polyvinyls resin), 폴리실록산계 수지(polysilolanes resin),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polymethacrylates resin),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olyesters resin),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polyether-esters resin), 폴리우레탄계 수지(polyurethanes resin), 불소계 고분자(fluorinated polymers), 불소계 공중합체(fluorinated copolymers), 폴리스티렌계 수지(polystyrenesresin),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polycarbonates resin), 폴리실라잔계 수지(polysilazanes resin), 및 폴리비닐카바졸계 수지(polyvinylcarbazoles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을 표시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에서 반사를 최소화하는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층(CVL)은 사용자의 손 자국(예를 들면, 지문 자국)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 방지층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윈도우 기판(WD)은 유리 기판(GLS), 상기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SWT),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상에 제공되는 접착층(ADL),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는 코팅층(CTL), 및 상기 코팅층(CTL) 상에 제공되는 커버층(CV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기판(GLS)은 상기 양면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해지는 상기 충격파를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유기물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물 내에는 다수의 공극(pore, BB)이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에서, 상기 공극(BB)의 밀도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내부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내부의 밀도 및 탄성 계수가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면, 상기 유리 기판(GLS)에 가해지는 상기 충격파가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을 통하여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폴리비닐계 수지(polyvinyls resin), 폴리실록산계 수지(polysilolanes resin),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polymethacrylates resin),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폴리에스테르계 수지(polyesters resin),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polyether-esters resin), 폴리우레탄계 수지(polyurethanes resin), 불소계 고분자(fluorinated polymers), 불소계 공중합체(fluorinated copolymers), 폴리스티렌계 수지(polystyrenesresin),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polycarbonates resin), 폴리실라잔계 수지(polysilazanes resin), 및 폴리비닐카바졸계 수지(polyvinylcarbazoles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발생한 충격파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으로 전달된 상기 충격파는 상기 서브 전달층들(SW1, SW2, SWn)을 통하여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달되고, 상기 접착층(ADL)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거나 해소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을 표시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에서 반사를 최소화하는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층(CVL)은 사용자의 손 자국(예를 들면, 지문 자국)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 방지층일 수 있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윈도우 기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E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DPN) 및 윈도우 기판(W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N)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전기 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PD panel),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EWD panel), 및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pan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시 패널(DPN)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표시 패널(DPN)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DPN)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DPN)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DPN)은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DPN)은 표시 영역(미도시),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주변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미도시),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소들 각각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하나와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하나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표시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에서, 상기 표시 패널(DPN)은 어레이 기판(SUB), 및 상기 어레이 기판(SUB) 상에 제공되는 표시층(DD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레이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BS),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베이스 기판(BS)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제공되는 버퍼층(BUL),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보호막(PSV)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투명 절연 물질을 포함하여 광의 투과가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경성(rigid)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유리 세라믹 기판 및 결정질 유리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기판(BS)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이스 기판(BS)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액티브층(ACT), 상기 액티브층(ACT)과 절연되는 게이트 전극(GE), 및 상기 액티브층(ACT)에 접속하는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ACT)은 상기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ACT)은 비정질 실리콘(a-Si), 다결정 실리콘(p-Si) 및 산화물 반도체, 유기 반도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Zn, In, Ga, Sn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IGZO(Indium-Gallium-Zinc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ACT)에서,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속하는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 또는 주입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의 영역은 채널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액티브층(ACT)이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액티브층(ACT)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액티브층(ACT)으로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광 차단막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액티브층(ACT) 상에는 상기 액티브층(ACT)을 커버하는 게이트 절연막(GI)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I)은 상기 액티브층(ACT) 및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I)은 유기 절연막 및 무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막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절연막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계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poly-phenylene ethers resin), 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 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 수지(Benzocyclobutenes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및 실리콘 산질화물(SiON)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티브층(ACT)에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GE) 상에는 층간 절연막(ILD)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층간 절연막(ILD)은 상기 게이트 전극(GE)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ILD)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GI)과 같이, 유기 절연막 및 무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 절연막(ILD)의 일부는 제거되어, 상기 액티브층(ACT)의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ILD) 상에는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층간 절연막(ILD)에 의해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전극(SE) 및 상기 드레인 전극(DE)은 상기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게이트 전극(GE)이 상기 액티브층(ACT) 상에 배치되는 탑 게이트(top gate)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전극(GE)가 상기 액티브층(ACT)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BUL)은 상기 베이스 기판(BS)에서 상기 액티브층(ACT)으로 불순물이 확산되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UL)은 유기 절연막 및 무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BUL)은 외부에서 상기 표시 소자(OLED)로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BUL)은 상기 베이스 기판(BS)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막(PSV)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PSV)은 상기 드레인 전극(DE)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막(PSV)은 적어도 하나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막(PSV)은 무기 보호막 및 유기 보호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막(PSV)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하는 상기 무기 보호막 및 상기 무기 보호막 상에 배치되는 유기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층(DDL)은 상기 보호막(PS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에서, 상기 표시층(DD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표시 소자(OLED), 및 상기 표시 소자(OLED)를 커버하는 봉지막(SL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OLED)는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속하는 제1 전극(AD), 상기 제1 전극(AD)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EML), 및 상기 발광층(EML)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C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 및 상기 제2 전극(CD) 중 하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캐소드 전극(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AD)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CD)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AD) 및 상기 제2 전극(CD)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소자(OLED)가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AD)은 투과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CD)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AD)은 반사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CD)은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OLED)가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AD) 및 상기 제2 전극(CD) 모두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1 전극(AD)이 애노드 전극이며, 상기 표시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전극(AD)은 상기 보호막(PSV)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미도시), 및 상기 반사막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 및 상기 투명 도전막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백금(Pt),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GZO(gallium doped zinc oxide), ZTO(zinc tin oxide), GTO(Gallium tin oxide) 및 FTO(fluorine doped tin oxide)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AD) 및 상기 보호막(PSV) 상에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제1 전극(AD)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소 정의막(PDL)은 상기 제1 전극(AD)의 에지 및 상기 보호막(PSV)을 커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은 적어도 광 생성층(light generation layer, LGL)을 포함하는 다층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층(EML)은 정공을 주입하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의 수송성이 우수하고 상기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전자의 이동을 억제하여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한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광을 발하는 상기 광 생성층, 상기 광 생성층에서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정공 억제층(hole blocking layer, HBL), 전자를 상기 광 생성층으로 원활히 수송하기 위한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를 주입하는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EML) 중 상기 정공 주입층,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정공 억제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주입층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화소들(PXL1)에 공통으로 배치되는 공통층일 수 있다.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적색(red), 녹색(grean), 청색(blue) 및 백색(white)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광 생성층에서 생성되는 광의 색상은 마젠타(magenta), 시안(cyan), 옐로(yellow) 중 하나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극(CD)은 상기 발광층(EM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D)은 반투과 반사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CD)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박형 금속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D)은 상기 발광층(EML)에서 생성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상기 발광층(EML)에서 생성된 광의 나머지는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D)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1 전극(AD)의 상기 반사막에서 반사되어 보강 간섭에 의해 상기 제2 전극(CD)을 투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CD)은 상기 제1 전극(AD)의 상기 투명 도전막에 비하여 일함수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CD)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Li), 칼슘(Ca)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제2 전극(CD)을 투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2 전극(CD)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반사막에서 다시 반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막 및 상기 제2 전극(CD) 사이에서,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은 공진할 수 있다. 광의 공진에 의하여 상기 표시 소자들(OLED)의 광 추출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반사막 및 상기 제2 전극(CD)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의 색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층(EML)에서 출사된 광의 색상에 따라, 상기 반사막 및 상기 제2 전극(CD) 사이의 거리는 공진 거리에 부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봉지막(SLM)은 상기 표시 소자(OLED)로 산소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봉지막(SLM)은 복수의 무기막(미도시) 및 복수의 유기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봉지막(SLM)은 무기막, 및 무기막 상에 배치된 유기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지막(SLM)의 최상부에는 무기막이 배치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및 주석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 소자(OLED)를 외부 환경과 격리하기 위하여 상기 봉지막(SLM)을 적용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 소자(OLED)를 외부 환경과 격리하기 위하여, 상기 봉지막(SLM) 대신 봉지 기판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은 실런트를 통하여 상기 절연 기판(DPS)과 합착될 수 있다. 상기 봉지 기판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소자(OLED)를 외부 환경과 격리하는 경우, 상기 봉지막(SLM)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상기 표시 패널(DPN)의 적어도 일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상기 표시 패널(DPN)에서 광이 출사되는 방향의 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상기 표시 패널(DPN)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상기 양면을 가지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적어도 유리 기판(GLS), 및 충격파 전달층(SWT) 및 접착층(AD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기판(GLS)은 실리케이트를 포함하고, 이온 교환 공정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된 강화 유리일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일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은 상기 윈도우 기판(WD)을 상기 표시 패널(DPN)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WD)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는 코팅층(CTL), 및 상기 코팅층(CTL) 상에 제공되는 커버층(CV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타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CTL)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GLS)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커버층(CVL)은 상기 유리 기판(GLS)의 표면에서 반사를 최소화하는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층(CVL)은 사용자의 손 자국(예를 들면, 지문 자국)과 같은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 방지층일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 기판(WD)의 표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한 충격파는 상기 코팅층(CTL)을 통해 상기 유리 기판(GLS)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파는 상기 유리 기판(GLS)에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SWT) 및 상기 접착층(ADL)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L)으로 전달된 상기 충격파는 외부로 방출되거나, 상기 접착층(ADL) 내부에서 해소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D: 윈동 기판 GLS: 유리 기판
SWT: 충격파 전달층 ADL: 접착층
CTL: 코팅층 CVL: 커버층

Claims (19)

  1.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 및
    상기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제공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고,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합금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밀도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의 4% 이상이며,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탄성 계수의 2% 이상인 윈도우 기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 내부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윈도우 기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은 복수의 서브 전달층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 중 상기 유리 기판에 먼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은 윈도우 기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 중 상기 유리 기판에 먼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의 10% 이상인 윈도우 기판.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달층들은 유기물, 유무기 복합재 및 금속 중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은 유기물 및 상기 유기물 내에 분산된 기공들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기공 밀도는 상기 유리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윈도우 기판.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큰 윈도우 기판.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1㎛인 윈도우 기판.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인 윈도우 기판.
  13.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윈도우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기판은 유리 기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면 상에 제공되는 충격파 전달층, 및 상기 유리 기판의 타면 상에 제공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고,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합금 중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 내부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은 복수의 서브 전달층들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 중 상기 유리 기판에 먼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작은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서브 전달층들 중 상기 유리 기판에 먼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에 인접한 서브 전달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의 10% 이상인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전달층들은 유기물, 유무기 복합재 및 금속 중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 전달층은 유기물 및 상기 유기물 내에 분산된 기공들을 포함하고, 기공 밀도는 상기 유리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밀도 및 탄성 계수는 상기 유리 기판의 밀도 및 탄성 계수보다 큰 표시 장치.

KR1020160161407A 2016-11-30 2016-11-30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Active KR10266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07A KR102660202B1 (ko) 2016-11-30 2016-11-30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15/820,113 US11800736B2 (en) 2016-11-30 2017-11-21 Window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07A KR102660202B1 (ko) 2016-11-30 2016-11-30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07A KR20180062507A (ko) 2018-06-11
KR102660202B1 true KR102660202B1 (ko) 2024-04-26

Family

ID=6219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407A Active KR102660202B1 (ko) 2016-11-30 2016-11-30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00736B2 (ko)
KR (1) KR102660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0999B (zh) * 2016-01-28 2019-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减反射结构及其制造方法、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2555986B1 (ko) * 2018-10-29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64140B1 (ko) * 2019-02-19 2023-08-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시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2173555B2 (en) * 2020-01-16 2024-12-24 Intosee Co., Ltd Storage box having display panel
KR102774715B1 (ko) * 2020-06-03 2025-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14626A (ko) * 2020-07-29 2022-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4180A (ja) * 2016-06-30 2016-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示装置用保護基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763B2 (ja) * 2000-02-04 2004-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封止装置
GB0523163D0 (en) * 2005-11-14 2005-12-21 Suisse Electronique Microtech Patterning of conductive layers with underlying compressible spacer layer or spacer layer stack
JP4539547B2 (ja) * 2005-12-08 2010-09-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CN105093630A (zh) 2008-04-24 2015-11-25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明基板
KR101321341B1 (ko) 2011-07-01 2013-10-23 정형근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용 필터
CN104779265B (zh) * 2014-01-14 2020-07-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发光装置
KR102292101B1 (ko) 2014-03-18 2021-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84452B1 (ko)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4180A (ja) * 2016-06-30 2016-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示装置用保護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07A (ko) 2018-06-11
US20180151829A1 (en) 2018-05-31
US11800736B2 (en)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202B1 (ko) 윈도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10261546B2 (en) Display device
US20210143347A1 (en) Light emitting element
KR102746584B1 (ko) 플랙서블 표시 장치
KR102342596B1 (ko) 표시 장치
KR10241059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패널
US9921414B2 (en) Display device
KR102587768B1 (ko) 표시 장치
KR102416017B1 (ko) 표시 장치
KR2017012073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517527A (zh) 显示装置
KR102283006B1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6001581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775008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8388369A (zh) 显示装置
KR10264802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0361A (ko) 플라스틱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20590A (ko) 표시 장치
US9804312B2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43604A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822185B1 (ko)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1796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6218A (ko)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전자 기기
US20250185191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16189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