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729B1 -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twin propeller ship - Google Patents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twin propeller sh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9729B1 KR102659729B1 KR1020210187835A KR20210187835A KR102659729B1 KR 102659729 B1 KR102659729 B1 KR 102659729B1 KR 1020210187835 A KR1020210187835 A KR 1020210187835A KR 20210187835 A KR20210187835 A KR 20210187835A KR 102659729 B1 KR102659729 B1 KR 102659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dder
- bulb
- center line
- twin
- ax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4 computer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B63H2025/388—Rudders with varying angle of attack over the height of the rudder blade, e.g. twisted 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축선에 탑재되는 비대칭 형태의 러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더는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 사이에 벌브(40)를 갖춘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상기 상부러더(20)와 상기 하부러더(30)는 선체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러더스톡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쌍축선의 스케그에 연계되는 러더와 벌브의 구조 개선에 의하여 반류의 일치에 의한 저항특성을 향상하여 선박의 추진에 따른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ymmetric rudder structure mounted on a twin-axle ship: the rudder is based on a structure with a bulb 40 between the upper rudder 20 and the lower rudder 30, and the upper rudder 20 And the lower rudder 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ull center line (C1) and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each rudder stock (C2).
Accordingl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rudder and bulb connected to the skeg of the twin-axle ship,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by matching the wake, which has the effect of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pulsion of the ship.
Description
본 발명은 쌍축선의 비대칭 러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쌍축선의 스케그에 연계되는 러더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항특성을 향상하기 위한 쌍축선의 비대칭 러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a twin-axial ship,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a twin-axial ship to improve resistance characteristics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rudder connected to the skeg of the twin-axial ship.
쌍축선은 엔진과 프로펠러를 각각 2기씩 장착한 선박으로써 추진력을 분산할 수 있고 엔진 고장 시에도 운항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쌍축선은 군함을 비롯한 특수선뿐아니라 여객선,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LNG 운반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3차원 해석에 의한 형상영향계수는 쌍축선이 단축선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저항성능에 있어서 단축선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A twin-shaft ship is a ship equipped with two engines and two propeller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tribute propulsion and operate even when the engine fails. Twin-axle ships can be applied not only to warships and other special ships, but also to passenger ships, ultra-large container ships, and LNG carriers. However, because the shape influence coefficient according to 3D analysis is larger for the twin axis line than the single axis line, the single axis line appears to be somewhat superior in terms of resistance performance.
쌍축선의 저항특성의 개선과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856865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06167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As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win shaft lin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856865 (Priority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106167 (Priority Document 2), etc. are known.
선행문헌 1에 따르면 수중날개는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1스테이션 내지 2스테이션 사이에 위치하며, 선박의 높이 방향으로는 선저로부터 설계흘수의 30% 내지 60% 사이에 위치하며, 설계흘수에 대해 -5도 내지 ??10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스케그 사이 영역의 급격한 압력 저하 현상을 개선하여 저항 증가분을 감소하는 효과를 기대한다.According to prior literature 1, the underwater wing is located between stations 1 and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and is located between 30% and 60% of the design draft from the bottom of the ship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hip, and is -5 for the design draft. It has a structure that slopes at an angle between degrees and ??10 degrees. According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crease in resistance is expected by improving the sudden pressure drop in the area between the skeg.
선행문헌 2는 프로펠러 후방에 설치되어 운항 방향을 조정하는 비대칭 단면 형상을 갖는 방향타를 포함하되, 한쪽 면은 평평한 형태를 구비하고, 다른쪽 면은 볼록한 형태를 구비하며, 프로펠러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볼록한 면의 방향을 설정한다. 이에, 추진 저항 감소에 유리하여 추진력의 손실을 축소하고 항해 방향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는 효과를 기대한다.Prior document 2 includes a rudder with an asymmetric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ropeller and adjusts the direction of operation, with one side having a flat shape and the other side having a 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ropeller. Set the direction of the convex surfac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be advantageous in reducing propulsion resistance, reducing loss of propulsion and efficiently adjusting the sailing direction.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러더 벌브를 적용하는 기술 사상을 고려하지 않는 점에서 선박 에너지 효율 개선의 효과를 기대하기에 한계성을 드러낸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or literature, the technical idea of applying rudder bulbs is not considered, which presents limitations in expecting the effect of improving ship energy efficiency.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쌍축선의 스케그에 연계되는 러더와 벌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반류의 일치에 의한 저항특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쌍축선의 비대칭 러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rudder and bulb connected to the skeg of the twin-axle ship to improve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by matching the wake, an asymmetric rudder structure of the twin-axle ship.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쌍축선에 탑재되는 비대칭 형태의 러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더는 상부러더와 하부러더 사이에 벌브를 갖춘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상기 상부러더와 상기 하부러더는 선체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러더스톡 중심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ymmetric rudder structure mounted on a twin-axle ship: the rudder is based on a structure equipped with a bulb between the upper rudder and the lower rudder, and the upper rudder and the lower rud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based on the hull center line and is formed asymmetrically based on the center line of each rudder stock.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쌍축선이 외향(outward) 추진인 경우 상부러더가 하부러더보다 내측으로 편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in axis ship is propelled outward, the upper rudder is located more inward than the lower rudder.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러더와 상기 하부러더는 러더스톡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편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udder and the lower rudder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udder stock center lin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벌브는 그 중심선이 러더스톡 중심선과 일치하는 위치에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l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n oval cross-section at a position where its center line coincides with the rudder stock center lin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러더의 양단을 지나는 축선은 벌브의 양단을 지나는 축선과 비틀림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s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ru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a twist angle with the axis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bulb.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쌍축선의 스케그에 연계되는 러더와 벌브의 구조 개선에 의하여 반류의 일치에 의한 저항특성을 향상하여 선박의 추진에 따른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rudder and bulb connected to the skeg of a twin-axle ship,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by matching the wake, which has the effect of causing an improvement in energy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opulsion of the shi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더를 선미에서 선추측으로 바라본 모식도
도 2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러더를 대비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더를 측면과 주요 단면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종래와 본 발명 러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화상자료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u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stern to the line.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ventional rudder compared to the ru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u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ide and main cross sections.
Figure 4 is image data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the conventional and present invention rudder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쌍축선에 탑재되는 비대칭 형태를 갖춘 러더 구조에 관하여 제안한다. 쌍축선을 대상으로 스케그에 연계되는 러더의 구조를 개선함을 요체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케그는 직진 안정성을 좋게 하기 위해 선미에 추가적으로 부착되지만 조종성능과 저항특성에 영향을 미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udder structure with an asymmetrical shape mounted on a twin-axle ship. The main point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rudder connected to the skeg for twin-axle ships,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skeg is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stern to improve straight-line stability, but it affects steering performance and resistance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러더는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 사이에 벌브(40)를 갖춘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udder is based on a structure equipped with a
도 1을 참조하면, 러더를 구성하는 상부러더(20), 하부러더(30), 벌브(40)가 나타난다. 러더에 벌브(40)를 적용하여 불연속적인 형상으로 인한 침식을 예방하고 자항성능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에너지 효율의 개선에 일조한다. 통상적으로 후류에서는 프로펠러 허브로부터 발생하는 강한 볼텍스에 기인하여 러더 주변의 유동을 복잡화시키면서 회전에너지 손실을 유발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러더(20)와 상기 하부러더(30)는 선체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러더스톡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처럼 종래의 단축선 또는 쌍축선 러더는 러더스톡 중심선(C2)에 대하여 대략 대칭을 이루고 있다. 도 2(b)처럼 본 발명의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는 러더스톡 중심선(C2)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러더(20)(30)의 비대칭 구조는 선체 스케그(10)의 반류에 잘 대응하여 후류 볼텍스 감소로 저항 및 자항요소를 개선할 가능성을 높인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쌍축선이 외향(outward) 추진인 경우 상부러더(20)가 하부러더(30)보다 내측으로 편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win axis ship is propelled outward, the
도 1과 같이 쌍축선의 외향(outward) 추진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체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상부러더(20)가 하부러더(30)보다 내측으로 편재되면 러더 주변의 유동을 단순화시켜 자항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It is preferred to use the outward propulsion of the twin-axle vessel as shown in Figure 1, but is not limited to this. If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러더(20)와 상기 하부러더(30)는 러더스톡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편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러더스톡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가 반대측에 위치한다. 상부러더(20)의 리딩엣지와 트레일링엣지는 벌브(40)의 축선(S2)보다 내측에 하부러더(30)의 리딩엣지와 트레일링엣지는 벌브(40)의 축선(S2)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벌브(40)의 축선(S2)은 그 일단부 중심점과 그 타단부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상부러더(20)와 상기 하부러더(30)의 편재되는 치수는 스케그(10)를 비롯하여 조종성능에 영향을 주는 여타의 부가물을 고려하여 결정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한편, 도 1 내지 도 3은 스케그(10)와 러더(20)(30)의 모식도로서 다소 과장적으로 표현한다. 도 3에서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의 주요 단면을 벌브(40)와 중첩하여 나타낸다.Meanwhile, Figures 1 to 3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벌브(40)는 그 중심선이 러더스톡 중심선(C2)과 일치하는 위치에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에서, 벌브(40)의 중심선인 축선(S2)은 러더스톡 중심선(C2)의 수직 하방향에 위치한다. 벌브(40)는 수평의 폭이 수직의 높이보다 큰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벌브(40)의 상면에서 축선(S2)의 일측으로 편재되어 상부러더(20)가 연결되고 벌브(40)의 하면에서 축선(S2)의 타측으로 편재되어 하부러더(30)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비대칭 러더 단면을 적용함에 따라 러더 유입각을 작게 유지하여 추력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FIG. 2, the axis S2,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러더의 양단을 지나는 축선(S1)은 벌브(40)의 양단을 지나는 축선(S2)과 비틀림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s S1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rud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intains a twist angle with the axis S2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도 3에서, 러더의 축선(S1)과 벌브(40)의 축선(S2)이 평행하지 않고 비틀린 상태를 나타낸다. 러더의 축선(S1)은 리딩엣지의 중심점과 트레일링엣지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이는 프로펠러 허브의 볼텍스를 발산시켜 벌브(40)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후류를 형성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축선(S1)(S2) 간의 비틀림 각도는 2~12˚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볼텍스로 인한 손실을 줄이고 러더 주변의 유동을 단순화하여 자항성능을 개선한다.In Figure 3, the axis S1 of the rudder and the axis S2 of the
이때,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는 각각의 축선(S1)을 기준으로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프로펠러 중심선에 대하여 러더의 축선(S1) 및 벌브(40)의 축선(S2)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틀림 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lthough omitted in the illustra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rudder axis S1 and the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와 본 발명의 러더 구조에 의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a)와 같은 종래의 러더 구조인 경우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처럼 스케그 반류와 불일치함에 의하여 볼텍스가 심화된다. 도 4(b)와 같이 본 발명의 스케그 및 러더 구조를 적용하면 선체 스케그의 반류에 일치하여 저항 및 자항요소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ure 4,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 using the rudder structures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udder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4(a), the vortex is deepened due to mismatch with the skeg wake, as indicated by the arrow. As shown in Figure 4(b), applying the skeg and rudd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resistance and self-propelled elements by matching the wake of the hull skeg.
그리고 이러한 제반 설계 요소로 인하여 쌍축선의 추진에 따른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And due to these various design elements, energy efficiency can be expected to improve as twin-axle ships are promoted.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케그 20: 상부러더
30: 하부러더 40: 벌브
C1: 선체 중심선 C2: 러더스톡 중심선
S1, S2: 축선10: Skeg 20: Upper rudder
30: Lower rudder 40: Bulb
C1: Hull center line C2: Rudder stock center line
S1, S2: axis
Claims (5)
상기 러더는 상부러더(20)와 하부러더(30) 사이에 벌브(40)를 갖춘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상기 상부러더(20)와 상기 하부러더(30)는 선체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러더스톡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하되,
상기 쌍축선이 외향(outward) 추진인 경우 상부러더(20)가 하부러더(30)보다 내측으로 편재되고,
상기 상부러더(20)와 상기 하부러더(30)는 러더스톡 중심선(C2)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편재되며,
상기 벌브(40)는 그 중심선이 러더스톡 중심선(C2)과 일치하는 위치에 수평의 폭이 수직의 높이보다 큰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축선의 비대칭 러더 구조.In the asymmetric rudder structure mounted on a twin-axle ship:
The rudder is based on a structure with a bulb 40 between the upper rudder 20 and the lower rudder 30,
The upper rudder 20 and the lower rudder 30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ull center line (C1) and ar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each rudder stock (C2),
When the twin axis is propulsion outward, the upper rudder 20 is located more inward than the lower rudder 30,
The upper rudder 20 and the lower rudder 30 ar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udder stock center line C2,
The bulb 40 is a biaxial asymmetric rudd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ulb 40 is formed with an oval cross-section where the horizontal width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height at a position where the center line coincides with the rudder stock center line C2.
상기 러더의 양단을 지나는 축선(S1)은 벌브(40)의 양단을 지나는 축선(S2)과 비틀림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축선의 비대칭 러더 구조.In claim 1,
An asymmetric rudder structure with a twin ax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s (S1)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rudder maintains a twist angle with the axis (S2)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the bulb (4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7835A KR102659729B1 (en) | 2021-12-24 | 2021-12-24 |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twin propeller sh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7835A KR102659729B1 (en) | 2021-12-24 | 2021-12-24 |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twin propeller shi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7898A KR20230097898A (en) | 2023-07-03 |
KR102659729B1 true KR102659729B1 (en) | 2024-04-23 |
Family
ID=8715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7835A Active KR102659729B1 (en) | 2021-12-24 | 2021-12-24 |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twin propeller shi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9729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6512B1 (en) | 1999-07-07 | 2002-08-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 rudder of ship |
KR101580403B1 (en) * | 2014-08-04 | 2015-12-24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rudder for ship and ship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6167A (en) | 2013-02-26 | 2014-09-0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Twin-Skeg Ship and Rudder for Reducing Thrust Power Loss in Thereof |
KR101856865B1 (en) | 2016-10-17 | 2018-05-11 | (주)한국해사기술 | energy saving device for twin skeg ship using hydrofoil |
-
2021
- 2021-12-24 KR KR1020210187835A patent/KR10265972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6512B1 (en) | 1999-07-07 | 2002-08-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 rudder of ship |
KR101580403B1 (en) * | 2014-08-04 | 2015-12-24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rudder for ship and ship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7898A (en) | 2023-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417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wisted type rudder | |
KR102701700B1 (en) | Sunmi Pin | |
KR101402485B1 (en) | A rudder for ship | |
US8215255B2 (en) | Ship rudder and ship provided therewith | |
KR102659729B1 (en) | Asymmetric rudder structure for twin propeller ship | |
KR101580402B1 (en) | A rudder for ship and ship thereof | |
JP6292551B2 (en) | Ship equipped with torsion rudder and torsion rudder | |
KR101911118B1 (en) | A rudder for ship | |
KR101580403B1 (en) | A rudder for ship and ship thereof | |
CN107539445B (en) | Rudder for ship | |
KR101939861B1 (en) | A rudder for ship | |
KR101402376B1 (en) | A rudder for ship | |
KR101580404B1 (en) | A rudder for ship and ship thereof | |
JP7107668B2 (en) | rudder | |
KR102232569B1 (en) | A rudder and a ship having the rudder | |
JP6380848B2 (en) | Ship | |
KR101402529B1 (en) | A rudder for ship | |
KR102221075B1 (en) | A propulsion apparatus for ship | |
KR101402441B1 (en) | A rudder for ship | |
KR102211151B1 (en) | A rudder and a ship having the rudder | |
KR102204035B1 (en) | Rudder and ship having the same | |
KR102170038B1 (en) | A rudder and a ship having the rudder | |
KR101381464B1 (en) | A rudder for ship | |
JP2002293294A (en) | High-lift twin rudder system for marine vessel | |
KR101381515B1 (en) | A rudder for shi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