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528B1 - Method and system for story compos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story compos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8528B1 KR102658528B1 KR1020200158394A KR20200158394A KR102658528B1 KR 102658528 B1 KR102658528 B1 KR 102658528B1 KR 1020200158394 A KR1020200158394 A KR 1020200158394A KR 20200158394 A KR20200158394 A KR 20200158394A KR 102658528 B1 KR102658528 B1 KR 102658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y
- user terminal
- sentence
- topic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이야기의 주제에 따른 문장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문장을 생성하여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이야기 구성방법이 제공된다. 이야기 구성방법은 사용자단말에서 입력되는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조합하여 예시문장을 생성하고, 그에 포함된 인물들 간의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문장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다.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omposition method is provided that allows users to easily construct sentences according to the topic of the story, thereby constructing a story by generating sentences that reflect the user's intention. The story composition method generates example sentences by combining a number of word dat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sentence data based on the affin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included in it, and uses this to create a new story that reflects the user's intention. can be cre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되도록 문장을 생성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이야기 구성방법 및 이야기 구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omposition method and story composition system that constructs a story by generating sentences to reflect the user's intention.
동화나 소설 등과 같은 이야기는 저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연결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동화나 소설 등은 종이책이나 전자북의 형태로 일반 독자들에게 제공되거나 학생들의 교육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Stories such as fairy tales and novels are composed of a number of sentences with a certain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ntion. These fairy tales and novels are provided to general readers in the form of paper books or e-books, or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student education.
한편, 일반인들이 이야기의 저자, 즉 작가와 같이 의도가 반영된 적절한 논거에 따른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일반인이나 학생들과 같은 비전문가를 대상으로 기존의 동화나 소설 등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들만의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하는 작문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Meanwhile, it is quite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compose a story based on appropriate arguments that reflect the same intentions as the author of the story. Accordingly, writing education is being provided to non-experts such as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new stories through existing stories such as fairy tales and novels.
그러나, 기존의 작문교육은 주제나 상황을 자료로 제시하여 이야기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첨삭 등을 통해 수정하거나 의견을 제시하는데에만 집중되어 있다. However, existing writing education focuses only on having students write a story by presenting a topic or situation as data, and then modifying it through editing or presenting opinions.
이에, 기존의 작문교육으로는 주제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논거를 갖는 다수의 문장을 구성하고, 이들을 구조적으로 결합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existing writing education does not provide help to the general public who are not accustomed to composing multiple sentences with appropriate arguments depending on the topic or situation and structurally combining them to compose a stor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이야기의 주제에 따른 문장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문장을 생성하여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이야기 구성방법 및 이를 위한 이야기 구성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omposition method that allows users to easily construct sentences according to the topic of the story, thereby constructing a story by generating sentences that reflect the user's intention. The goal is to provide a story composition system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이야기 구성방법은, 이야기구성서버에서 이야기에 대한 주제정보 및 인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이야기구성서버로 전송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정렬하여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예시문장을 보정하여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tting topic informa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for a story in a story composition server; Classifying a plurality of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according to the hexagram principle, and sorting the plurality of classified word data to generate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and generating one or more sentence data by correcting the example sentence.
이러한 이야기 구성방법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야기 구성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사용자단말과 이야기구성서버를 포함한다. For this story composition method, the story compos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and a story composition server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그리고, 이야기구성서버는, 구성할 이야기에 대한 주제정보, 인물정보 및 상기 인물정보의 인물 상호간 호감도지수를 설정하는 설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하여 정렬하고, 정렬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하고, 설정된 상기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예시문장을 보정하며, 보정된 예시문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장구성모듈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includes a setting module that sets topic information for the story to be composed, character information, and an affinity index between characters in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classifying and sorting a plurality of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hexadecimal principle, generating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from the plurality of sorted word data, and correcting the example sentences based on the set favorability index. It includes a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that generates one or more sentence data from example sentences.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이야기 구성방법은, 사용자단말에서 입력되는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조합하여 예시문장을 생성하고, 그에 포함된 인물들 간의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문장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는 다수의 문장데이터를 통해 이야기를 쉽고 빠르게 구성할 수 있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example sentenc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ord dat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generates sentence data based on the affin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ntence, and uses this. This allows you to create a new stor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quickly construct a story through a large number of sentence data that reflects the user's inten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이야기의 등장인물 간 호감도가 변경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존 이야기와 전혀 다른 의미를 갖는 새로운 이야기의 구성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affinity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story, so that a new story with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from the existing story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야기 구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야기구성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야기 구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이야기 구성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ry compos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of Figure 1.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ory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7 are diagram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ory compo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general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echnicians working in the field,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dditionally, some terms may b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ymbols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different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That is, even if all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 are shown in multiple drawings, the multiple drawings do not represent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components. These ordinal numbers are used to distinguish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 numbers. For example, components combined with these ordinal number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 limited order of use or arrangement based on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titut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characteristic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through other media. In addition, the fact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야기 구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야기구성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ry composi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야기 구성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이야기구성서버(100) 및 사용자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ory composit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and a user terminal 200 that can be connected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300.
사용자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이야기구성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구성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주제, 인물, 상황 등을 포함하는 이야기구성정보를 이야기구성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can access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300.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story com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opic, characters, situations, etc. of the story to be constructed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또한, 사용자단말(200)은 이야기구성서버(100)로부터 구성하고자 하는 이야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이미지데이터를 제공받고, 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단어데이터를 이야기구성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어데이터는 이미지데이터에 대한 인물, 장소, 상황, 시간, 행동 등을 나타내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등의 품사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one or more image data for a story to be composed from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and transmit one or more word data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in response. Here, word data may be parts of speech such as nouns, verbs, adjectives, adverbs, and conjunctions that represent people, places, situations, times, actions, etc. for image data.
이야기구성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이야기구성정보에 따라 해당 이야기의 주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황별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may extract one or more contextu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topic of the story according to the story com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200.
또한, 이야기구성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하나 이상의 단어데이터로부터 해당 이야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may generate one or more sentence data for the story from one or more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이야기구성서버(100)는 문장데이터를 그 생성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문장데이터를 조합하여 해당 이야기 주제에 대응되는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stores sentence data sequentially according to its creation order, and combines the stored sentence data to construct a new story corresponding to the story topic.
이러한 이야기구성서버(100)는 설정모듈(110), 문장구성모듈(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is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may include a setting module 110, a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and a database 130.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기존의 이야기들, 예컨대 출판되거나 공개된 동화나 소설 등의 다수의 이야기들 각각에 대한 데이터가 학습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후술될 문장구성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이야기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In the database 130, data on each of existing stories, such as published or published fairy tales or novels, may be stored as learning data. Additionally, the database 130 may store story data generated by the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에, 본 실시예의 이야기구성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등을 통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결과에 따라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기 설정된 이야기의 주제에 대응되는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of this embodiment can perform learning through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using learn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30. In addition, by generating one or more sentence data from a plurality of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s, a new story corresponding to the theme of the preset story can be constructed.
이야기구성서버(100)의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이 활용될 수 있다.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model used for learning of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various models such as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and DRNN (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can be used.
이야기구성서버(100)의 설정모듈(110)은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이야기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구성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주제, 즉 제목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등장인물 및 상기 등장인물 간의 호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모듈(110)은 주제 및 인물설정부(111)와 호감도설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tting module 110 of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sets the subject of the story to be composed, that is, the title, based on the story com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determines the characters and the affinity between the characters accordingly. can be set. The setting module 110 may include a topic and character setting unit 111 and a favorability setting unit 113.
주제 및 인물설정부(111)는 이야기구성정보에 기초하여 구성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주제 및 등장인물을 설정할 수 있다. 주제 및 인물설정부(111)는 사용자단말(200)로 다수의 이야기 주제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구성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주제로 설정할 수 있다. The topic and character setting unit 111 can set the topic and characters of the story to be composed based on the story composition information. The topic and character setting unit 111 provides a plurality of story topics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can set one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s the topic of the story to be composed.
또한, 주제 및 인물설정부(111)는 설정된 이야기 주제에 따른 다수의 등장인물을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인물을 이야기 주제에 대한 등장인물로 설정할 수 있다. 주제 및 인물설정부(111)는 설정된 이야기주제 및 등장인물을 각각 주제정보 및 인물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pic and character setting unit 111 provides a plurality of characters according to the set story topic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can set one or more character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s characters for the story topic. there is. The topic and character setting unit 111 can output the set story topic and characters as topic informa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respectively.
호감도설정부(113)는 주제 및 인물설정부(111)에 의한 주제정보 및 인물정보로부터 등장인물 간의 호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호감도지수는 인물간 상호 호감도에 대한 점수로 설정될 수 있는데, 0~100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likeability setting unit 113 can set the likeability index between characters from the topic informa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opic and character setting unit 111. The likeability index can be set as a score for mutual likeability between characters, and can be set to a value between 0 and 100.
호감도설정부(113)는 주제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존 이야기 데이터 중 주제정보에 대응되는 이야기 데이터를 참조하여 인물정보의 상호간 호감도에 따른 인물간 호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The likeability setting unit 113 may set a likeability index betwee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mutual likeability of character information by referring to story data corresponding to the topic information among the existing stor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30 based on the topic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호감도설정부(113)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호감도정보에 기초하여 인물정보의 인물간 호감도 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keability setting unit 113 may set the likeability index between people in the person information based on the likeabili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예컨대, 사용자단말(200)은 주제 및 인물설정부(111)에서 제공된 다수의 등장인물 중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 결과를 이야기구성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200)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인물 간 호감도정보를 설정하여 이야기구성서버(100)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호감도설정부(113)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호감도정보에 기초하여 인물간 호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select at least one charact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provided by the topic and character setting unit 111 and transmit the selection result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can set the favorability information between at least one selected person and transmit it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Accordingly, the likeability setting unit 113 can set the likeability index between people based on the likeabili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문장구성모듈(120)은 설정모듈(110)에 의해 설정된 주제정보, 인물정보 및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구성할 이야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장을 구성하고, 구성된 문장을 조합하여 주제정보에 대응되는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다. 문장구성모듈(120)은 이미지추출부(121), 단어분류부(123), 연결항목추천부(125) 및 문장구성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constructs one or more sentences for the story to be composed based on the topic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and favorability index set by the setting module 110, and combines the composed sentences to create a story corresponding to the topic information. can be created. The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may include an image extraction unit 121, a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a connection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and a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이미지추출부(121)는 주제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황별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추출부(121)는 추출된 이미지데이터를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extraction unit 121 may extract one or more image data for each situation from the database 130 based on subject information. The image extraction unit 121 may transmit the extracted image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단어분류부(123)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단어데이터를 분류하여 정렬하고, 정렬된 단어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단어분류부(123)는 육하원칙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단어데이터를 분류하고 정렬할 수 있다.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may classify and sort one or more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generate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from the sorted word data.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can classify and sort one or more word data based on the hexadecimal principle.
연결항목추천부(125)는 단어분류부(123)에서 생성된 예시문장에 포함될 하나 이상의 연결항목을 추천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연결항목은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등의 품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may recommend and output one or more connected items to be included in the example sentence generated by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Connected items can take the form of parts of speech such as verbs, adjectives, adverbs, and conjunctions.
연결항목추천부(125)는 예시문장 내 등장인물 간 설정되어 있는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연결항목추천부(125)는 호감도지수의 크기에 따라 긍정적 연결항목 및 부정적 연결항목 중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may recommend one or more connected items based on the favorability index set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example sentence. The connection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can recommend one of a positive connection item and a negative connection item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vorability index.
예컨대, 예시문장 내 인물 간 상호 호감도지수가 50이상인 경우에, 연결항목추천부(125)는 하나 이상의 긍정적 연결항목을 추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예시문장 내 인물 간 상호 호감도지수가 50미만인 경우에, 연결항목추천부(125)는 하나 이상의 부정적 연결항목을 추천하여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utual favorabil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example sentence is 50 or more,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may recommend and output one or more positive connected items. On the other hand, if the mutual favorabil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example sentence is less than 50,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may recommend and output one or more negative connected items.
문장구성부(127)는 연결항목추천부(125)에서 출력된 하나 이상의 연결항목에 기초하여 단어분류부(123)에서 생성된 예시문장을 보정할 수 있다. 문장구성부(127)는 하나 이상의 보정된 예시문장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may correct the example sentence generated by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based on one or more connected items output from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may generate and output one or more corrected example sentences.
문장구성부(127)는 생성된 하나 이상의 보정된 예시문장을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하나의 보정된 예시문장을 문장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may transmit one or more generated corrected example sentences to the user terminal 200. Then, one corrected example sentence selected in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generated as sentence data.
문장구성모듈(120)은 문장구성부(127)에서 생성된 문장데이터를 그 생성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주제정보에 따른 이야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다시 말해 구성하고자 하는 이야기에 대한 다수의 문장데이터가 생성되면, 문장구성모듈(120)은 저장된 다수의 문장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can sequentially store sentence data generated in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according to its creation order. The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tory according to the preset topic information is completed, that is, when a plurality of sentence data for the story to be constructed is generated, the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generates a story using the plurality of stored sentence data. You can.
여기서, 문장구성모듈(120)은 다수의 문장데이터 및 이로부터 생성된 이야기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문장구성모듈(120)은 저장된 상기 이야기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can store a plurality of sentence data and stories generated therefrom in the database 130. Additionally, the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120 can perform learning using the stored story as learning dat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문장구성모듈(120)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예시문장 내 인물 간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항목을 추천하며, 상기 연결항목을 이용하여 예시문장을 보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장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주제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120 of this embodiment generates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from a plurality of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nnects one or more based on the favorabil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example sentences. Items are recommended, and one or more sentence data can be generated by correcting example sentences using the connection items. And, using sentence data, a new story that reflects the user's intention can be constructed according to preset topic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야기 구성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이야기 구성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ory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4 to 7 are diagram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ory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과 함께 앞서 설명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이야기 구성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ory composition method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along with FIGS. 3 to 7.
도면을 참조하면, 이야기구성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로 다수의 이야기 각각의 주제, 예컨대 이야기 제목과 해당 이야기의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수신한 다수의 이야기 각각의 주제 중 구성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야기에 대한 등장인물을 선택할 수 있다. 이야기구성서버(100)의 설정모듈(110)은 사용자단말(200)의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할 이야기에 대한 주제정보 및 인물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10).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may transmit the topic of each of a plurality of stories, for example, the story title and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s of the story,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can select a story to be composed among the topic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ies received and select characters for the selected story. The setting module 110 of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can set topic informa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for the story to be composed based on the selection result of the user terminal 200 (S10).
이어, 설정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주제정보에 대응되는 기존 이야기의 내용으로부터 인물정보에 따른 등장인물 상호간의 호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S20). Next, the setting module 110 can set the favorabil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of the existing story corresponding to the topic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30 (S20).
이러한 호감도지수는 인물 상호간 0~100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질수록 상호간의 호감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is likability index can be set to a value between 0 and 100 between characters, and a relatively higher value can mean that the likability of each person is higher.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정보로 [콩쥐팥쥐]가 설정되고, 인물정보로 [콩쥐], [팥쥐], [아버지], [원님]이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Kongjwi Patjwi] may be set as subject information, and [Kongjwi], [Patjwi], [Father], and [Wonnim] may be set as person information.
설정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존 콩쥐팥쥐 이야기로부터 전술된 인물 상호간의 호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콩쥐]와 [아버지] 및 [콩쥐]와 [원님] 간에는 상호간 가장 높은 호감도, 예컨대 100의 호감도지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콩쥐]와 [팥쥐], [팥쥐]와 [콩쥐] 및 [원님]과 [팥쥐] 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호감도지수로 설정될 수 있다. The setting module 110 can set the affinity index between the above-mentioned characters from the existing Kongjwi Patjwi story stored in the database 130. At this time, the highest affinity between [Kongjwi] and [Father] and [Kongjwi] and [Wonnim] can be set to the highest mutual favorability index, for example, 100. Additionally, the affinity index can be set to be relatively low between [Kongjwi] and [Patjwi], [Patjwi] and [Kongjwi], and [Wonnim] and [Patjwi].
다음으로, 이야기구성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다수의 단어데이터들을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하고, 이로부터 설정된 이야기 주제에 대한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0).Next,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combines a plurality of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generate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and from this, one or more sentence data for the set story topic can be generated ( S30).
먼저, 이야기구성서버(100)는 주제정보에 따라 이야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황별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31).First,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may extract one or more contextual image data for the story according to the topic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200 (S31).
사용자단말(200)은 수신한 상황별 이미지데이터에 대응하여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이야기구성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야기구성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S32). The user terminal 200 may transmit a plurality of word data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mage data for each situation.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may generate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from a plurality of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S32).
이야기구성서버(100)의 문장구성모듈(120)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문장구성모듈(120)의 단어분류부(123)는 육하원칙에 따라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단어데이터를 정렬하여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of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can receive a plurality of word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of the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120 may classify a plurality of word data according to the hexadecimal principle and sort the classified word data to generate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도 5를 참조하면, 주제정보가 [콩쥐팥쥐]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단어데이터로 [콩쥐], [아버지], [옛날에], [어느 마을], [함께], [살다]가 전송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topic information is set to [Kongjwi and Patjwi], the word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 is [Kongjwi], [Father], [Once upon a time], [A village], [Together] and [Live] can be transmitted.
단어분류부(123)는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정렬하여 하나의 예시문장으로 [옛날에 어느 마을 콩쥐 아버지 함께 살다]를 생성할 수 있다.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can classify multiple word data according to the hexadecimal principle. And, by sorting the classified word data, one example sentence can be created: [Once upon a time, Kongjwi's father lived together in a village].
이와 같이, 단어분류부(123)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단어데이터의 조합으로 예시문장을 생성하게 되므로, 생성된 예시문장은 문법에 부합되지 않은 어색한 문장이 될 수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generates example sentence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word dat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generated example sentences may be awkward sentences that do not conform to grammar.
이에, 연결항목추천부(125)는 기 설정된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항목을 추천하여 출력할 수 있다(S33). 이때, 연결항목은 호감도지수의 크기에 따라 긍정적 의미의 연결항목 또는 부정적 의미의 연결항목으로 추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may recommend and output one or more connected items based on a preset favorability index (S33). At this time, the connection item may be recommended as a connection item with a positive meaning or a connection item with a negative meaning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vorability index.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쥐]와 [아버지] 간 상호 호감도지수는 100으로 설정되어 있다. 연결항목추천부(125)는 예시문장 내 콩쥐와 아버지가 등장인물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콩쥐]와 [아버지] 간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긍정적 의미의 연결항목, 예컨대 [오손도손], [행복하게] 등을 추천하여 출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mutual favorability index between [Kongjwi] and [father] is set to 100.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determines that Kongjwi and the father in the example sentence are characters, and based on the preset affinity index between [Kongjwi] and [father], connects items with positive meaning, such as [Osondoson], [Happily]. ] can be recommended and printed.
계속해서, 문장구성부(127)는 연결항목추천부(125)에서 추천된 하나 이상의 연결항목을 이용하여 단어분류부(123)에서 생성된 예시문장을 보정하여 보정된 예시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S34). Subsequently,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may correct the example sentence generated by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using one or more connection items recommended by the connection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to generate a corrected example sentence. (S3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구성부(127)는 연결항목추천부(125)에서 추천된 [오손도손] 및 [행복하게]를 이용하여 2개의 보정예시문장, 즉 [옛날 어느 마을에 콩쥐와 아버지가 오손도손 함께 살았어요] 및 [옛날 어느 마을에 콩쥐와 아버지가 행복하게 함께 살았어요]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uses [Oson Doson] and [Happy] recommended in the connected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to create two corrected example sentences, namely, [Kongjwi and Father in a Village Once upon a time] [Osondoson lived together] and [Kongjwi and his father lived happily together in a village once upon a time] can be created respectively.
이어, 문장구성부(127)는 생성된 다수의 보정예시문장을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상황별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5). Next, the sentence construction unit 127 transmits the generated plurality of corrected example sentences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can generate sente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for each situ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S35) ).
문장구성부(127)는 다수의 보정예시문장 중 연결항목 부분, 즉 [오손도손] 및 [행복하게]의 부분을 별도의 표시, 예컨대 글자색을 달리하거나, 크기 또는 두께를 달리 표시하여 사용자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이야기구성서버(100)에서 추천한 단어, 즉 연결항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displays the connected item parts, that is, the parts of [Ohson Doson] and [Happy] among a number of corrected example sentences, separately, for example, by displaying different font colors or different sizes or thicknesses to display the user terminal (200). )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words recommended by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that is, the connected items.
다음으로, 문장구성모듈(120)은 생성된 문장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주제, 즉 주제정보에 따른 이야기의 구성이 완료되면, 다시 말해 이야기의 다수의 문장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다(S40). Next, the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0 can sequentially store the generated sentence data. The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tory according to the topic, that is, topic information, is completed, that is, when multiple sentence data of the story are generated, a new story can be created by combining them (S40).
생성된 이야기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문장구성모듈(120)의 학습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야기는 사용자단말(200)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The generated story can be stored in the database 130 and used as learning data for the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120. Additionally, the story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displayed to the us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야기 구성방법은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로부터 예시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예시문장 내 인물 간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예시문장을 보정하여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장데이터를 조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야기 주제에 따른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ry 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generates example sentences from a plurality of word data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rrects the example sentences based on the likeabil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example sentences. The above sentence data can be generated. And, by combining these sentence data, a new story can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tory topic set by the user.
즉,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단어데이터만으로 인물간 호감도지수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갖는 문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는 다수의 문장데이터를 쉽게 구성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sentence data with various meanings according to the favorability index between people using only a plurality of word data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struct a large number of sentence data reflecting the user's intention, and create a new story by combining them.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존 이야기의 내용으로부터 등장인물 상호간 호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module 110 can set the favorability index between characters from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story stored in the database 130.
또한, 설정모듈(110)은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이야기의 등장인물 선택 시 이와 함께 전송되는 인물간 호감도정보에 기초하여 인물 상호간 호감도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tting module 110 can set the affinity index between characters based on the favorability information between character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 of the story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200.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주제정보가 [콩쥐팥쥐]로 설정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6, the topic information may be set to [Kongjwi Patjwi]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설정모듈(11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존의 콩쥐팥쥐 이야기에 기초하여 [콩쥐]의 [팥쥐]에 대한 호감도지수 10 및 [팥쥐]의 [콩쥐]에 대한 호감도지수 0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etting module 110 can set an affinity index of 10 for [Kongjwi]'s [Patjwi] and an affinity index of 0 for [Patjwi]'s [Kongjwi] based on the existing Kongjwi Patjwi story stored in the database 130.
이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단어데이터로 [콩쥐], [팥쥐], [밭], [일하다] 및 [하루종일]이 이야기구성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Subsequently, [Kongjwi], [Patjwi], [field], [work], and [all day]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as word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문장구성모듈(120)의 단어분류부(123)는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하고 정렬하여 [하루종일 밭에서 콩쥐 팥쥐 일하다]의 예시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of the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120 can generate an example sentence of [working in the field all day] by classifying and sorting a large number of word data according to the six and four principles.
그리고, 연결항목추천부(125)는 기 설정된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빈정대다], [비야냥거리다] 등의 부정적 연결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nection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may recommend negative connection items such as [sarcasm] and [sarcasm] based on a preset favorability index.
이에, 문장구성부(127)는 연결항목을 이용하여 2개의 보정예시문장으로 [팥쥐는 하루종일 밭에서 일하는 콩쥐를 빈정댔어요]와 [팥쥐는 하루종일 밭에서 일하는 콩쥐를 비아냥거렸어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보정예시문장 중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하나의 문장을 문장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uses the linking item to create two corrective example sentences: [Patjwi was making fun of Kongjwi, who worked in the field all day] and [Patjwi was making fun of Kongjwi, who worked in the field all day]. can be created. In addition, one senten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200 among the generated corrected example sentences can be generated as sentence data.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모듈(110)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기존의 콩쥐팥쥐 이야기로부터 [콩쥐]와 [팥쥐] 간의 상호 호감도지수를 설정하므로, 문장구성부(127)에 의해 생성된 문장데이터는 이와 대응되는 기존 이야기의 문장과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setting module 110 sets the mutual favorability index between [Kongjwi] and [Patjwi] from the existing Kongjwi and Patjwi stories stored in the database 130, so that the sentences generated by the sentence construction unit 127 The meaning of sentence data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sentences of existing stories that correspond to it.
반면,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주제정보가 [콩쥐팥쥐]로 설정되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콩쥐]와 [팥쥐] 상호간 호감도정보가 이야기구성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7, the topic information is set to [Kongjwi and Patjwi]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utual affinity information between [Kongjwi] and [Patjwi] is sent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 can be transmitted.
설정모듈(110)은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호감도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호감도지수에서 [팥쥐]의 [콩쥐]에 대한 호감도지수를 80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 The setting module 110 can change the favorability index for [Kongjwi] from the existing favorability index to 80 based on the favorabili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set it.
이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단어데이터로 [콩쥐], [팥쥐], [밭], [일하다] 및 [하루종일]이 이야기구성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장구성모듈(120)의 단어분류부(123)는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하고 정렬하여 [하루종일 밭에서 콩쥐 팥쥐 일하다]의 예시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Kongjwi], [Patjwi], [field], [work], and [all day]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as word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word classification unit 123 of the sentence construction module 120 can classify and sort a large number of word data according to the six and four principles to generate an example sentence of [Kongjwi and Patjwi work in the field all day].
연결항목추천부(125)는 변경 설정된 호감도지수에 기초하여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전혀 다른 의미, 즉 [도와주다], [안쓰러워하다] 등의 긍정적 연결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item recommendation unit 125 can recommend positive connection items, such as [help], [pity], etc., which have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from the one previously described in FIG. 6, based on the changed favorability index.
이에, 문장구성부(127)는 연결항목을 이용하여 2개의 보정예시문장으로 [팥쥐는 하루종일 밭에서 일하는 콩쥐를 도와줬어요]와 [팥쥐는 하루종일 밭에서 일하는 콩쥐를 안쓰러워했어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보정예시문장 중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된 하나의 문장을 문장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ntence construction unit 127 uses the connection item to generate two corrected example sentences, [Patjwi helped Kongjwi, who worked in the field all day] and [Patjwi felt sorry for Kongjwi, who worked in the field all day]. You can. In addition, one senten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200 among the generated corrected example sentences can be generated as sentence data.
이와 같이, 본 실시에에서는 설정모듈(110)이 사용자단말(200)에서 전송된 호감도정보에 기초하여 [콩쥐]와 [팥쥐] 간의 상호 호감도지수를 변경하여 설정함으로써, 문장구성부(127)에 의해 생성된 문장데이터는 이와 대응되는 기존 이야기의 문장과 그 의미가 확연하게 달라지게 된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setting module 110 changes and sets the mutual liking index between [Kongjwi] and [Patjwi] based on the lik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reby sending the message to the sentence composition unit 127. The sentence data generated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eaning from the sentences in the existing story that correspond to it.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야기의 등장인물 상호 간의 호감도지수를 변경할 수 있어, 기존의 이야기와 대비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affinity index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story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reby creating a new story that reflects the user's inten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tory.
상술한 본 발명의 이야기 구성방법은,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또는 상기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구동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이야기 구성방법은 이야기구성서버(10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에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탑재되고, 이의 구동에 따라 각 장치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 및 이를 이용한 이야기를 생성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The story compo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it, or as a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and driven o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ly, the story compo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form of a program or application to perform this, and when run, one or more devices are used to compose a new story. Operations such as generating sentence data and a story using it ar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이야기구성서버 110: 설정모듈
111: 주제 및 인물설정부 113: 호감도설정부
120: 문장구성모듈 121: 이미지추출부
123: 단어분류부 125: 연결항목추천부
127: 문장구성부 13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단말 300: 유/무선 네트워크100: Story composition server 110: Setting module
111: Topic and character setting section 113: Likeability setting section
120: Sentence composition module 121: Image extraction unit
123: Word classification unit 125: Connection item recommendation unit
127: Sentence structure 130: Database
200: User terminal 300: Wired/wireless network
Claims (10)
사용자단말이 이야기 구성서버에게 이야기의 주제, 인물, 상황을 포함하는 이야기구성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상기 이야기구성정보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주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황별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이야기구성서버에게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상기 이야기구성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야기 주제 및 등장인물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복수의 이야기 주제 및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선택된 주제 및 등장인물을 주제정보 및 인물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설정한 주제정보 및 인물정보를 바탕으로 등장인물 간 호감도지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단어데이터를 육하원칙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다수의 단어데이터를 정렬하여 하나 이상의 예시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상기 호감도지수의 크기에 기반하여 긍정적 의미의 연결항목 또는 부정적 의미의 연결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추출된 하나 이상의 연결항목을 이용하여 예시문장을 보정하여 보정예시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생성된 보정예시문장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보정예시문장 중 상기 사용자단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문장을 문장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호감도지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야기구성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야기 데이터 중 주제정보에 대응하는 이야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물정보의 상호간 호감도에 따른 인물간 호감도지수를 설정하는 이야기 구성방법.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tory composition method,
A step where the user terminal transmits story com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opic, characters, and situation of the story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extracts one or more contextual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topic of the story based on the story com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one or more word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generating a plurality of story topics and characters based on the story com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story topics and characters to the user terminal;
Setting the selected topic and character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by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as topic informa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Setting a favorability index between characters based on the topic informa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set by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classifies one or more word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hexadecimal principle and sorts the classified word data to generate one or more example sentences;
A step where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generates a connection item with a positive meaning or a connection item with a negative meaning based on the size of the favorability index;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generates a corrected example sentence by correcting the example sentence using one or more extracted connection item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rrected example sentence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generating one senten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among the correction example sentences as sentence data.
Includes,
The step of setting the favorability index is,
A story composition method in which the story composition server sets a favorability index between characters according to the mutual favorability of character information based on story data corresponding to topic information among the stor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394A KR102658528B1 (en) | 2020-11-24 | 2020-11-24 | Method and system for story compos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394A KR102658528B1 (en) | 2020-11-24 | 2020-11-24 | Method and system for story compos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372A KR20220071372A (en) | 2022-05-31 |
KR102658528B1 true KR102658528B1 (en) | 2024-04-18 |
Family
ID=8177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8394A Active KR102658528B1 (en) | 2020-11-24 | 2020-11-24 | Method and system for story compos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85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20283A (en) | 2023-01-31 | 2024-08-07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A method for learning a language model, a method for generating a controlled story using the language model, and a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
KR102668347B1 (en) | 2024-01-17 | 2024-05-24 | (주)진문콘텐츠스튜디오 |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writing practice instruction to train web novel writer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64606A1 (en) | 2010-12-23 | 2012-06-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ory making ser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66002A (en) * | 2015-12-04 | 2017-06-14 | 이현진 | System for learning with using story-retelling and terminal used in it |
KR101818107B1 (en) * | 2016-06-03 | 2018-01-15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torytelling authoring |
CN110521213B (en) * | 2017-03-23 | 2022-02-18 | 韩国斯诺有限公司 | Story image making method and system |
-
2020
- 2020-11-24 KR KR1020200158394A patent/KR1026585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64606A1 (en) | 2010-12-23 | 2012-06-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ory making ser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372A (en) | 202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mithey Fulmer | Editor's comments: The craft of writing theory articles—Variety and similarity in AMR | |
Pantaleo | Critical thinking and young children's exploration of picturebook artwork | |
Loubser | Oral and Manuscript Culture in the Bible: Studies on the Media Texture of the New Testament--Explorative Hermeneutics | |
Nguyen |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Pedagogical features | |
KR10265852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tory compos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Chamberlin-Quinlisk | TESOL and media education: Navigating our screen-saturated worlds | |
Schcolnik et al. | Using presentation software to enhance language learning | |
Lonsdale | Engaging the" Othered": using zines to support student identities | |
Balliett | Killer visual strategies: Engage any audience, improve comprehension, and get amazing results using visual communication | |
Mills | Doing digital composition on the social web: Knowledge processes in literacy learning | |
CN109933762B (en) | Courseware making method, courseware making device, courseware mak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10256548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English by Using Block | |
Rosen | Written language and the sense of audience | |
KR20110065984A (en) |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language learning method based on user's selected words in user setting situation | |
Danielian et al. | Teaching gifted children: Success strategies for teaching high-ability learners | |
Weidler-Lewis et al. | The identity affordances of tools: an examination of visual design tool use in STEM | |
Holstead | Magazine Design: Defining the Visual Architecture | |
Thaler | Lit 21-New Literary Genres in the Language Classroom | |
Gerrard | Writing in multiple media | |
Smith | Exploring and analyzing literature through multimodal composition | |
McGee | Reconsidering paragraphing pedagogy: A descriptivist perspective | |
Bradbury | New Science and the" New Species of Writing": Eighteenth-Century Prose Genres | |
Campbell | Genre | |
Gruber | Chapter Fourteen–Presentation Aids | |
Rea et al. | Writing and Rhetoric: A Guide to First-Year Composition at LS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