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669B1 -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Google Patents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7669B1 KR102657669B1 KR1020230079780A KR20230079780A KR102657669B1 KR 102657669 B1 KR102657669 B1 KR 102657669B1 KR 1020230079780 A KR1020230079780 A KR 1020230079780A KR 20230079780 A KR20230079780 A KR 20230079780A KR 102657669 B1 KR102657669 B1 KR 1026576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portion
- outer band
- pair
- link
- j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의 연결조인트부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의 가변링크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의 링크띠 간격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의 멀티조인트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30: 연결조인트부 40: 가변링크부
50: 멀티조인트부재
Claims (5)
- 파이프(P)를 감싸도록 C형으로 절곡되어, 일측에 제 1개구(11)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연결볼트(12)가 구비되는 이너밴드부(10);
상기 이너밴드부(10)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분할되고, 제 1개구(11)와 대응하는 일측 단부가 이격되어 2개구(21)를 형성하며, 연결볼트(12)와 대응하는 타측에 한 쌍의 걸림편(22)이 돌출 형성되는 아우터밴드부(20);
상기 연결볼트(12)에 나사 체결되도록 중앙에 암나사부(31)가 형성되고, 암나사부(31)와 동심원상에 형성되어 한 쌍의 걸림편(22)을 구속하도록 조인트캡(32)이 형성되는 연결조인트부(30); 및
상기 제 1, 2개구(11)(21)와 대응하는 이너밴드부(10) 및 아우터밴드부(2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가변링크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부(30)는,
한 쌍의 걸림편(22)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 암나사부(31)가 형성되는 센터너트(33)와,
센터너트(33) 단부에 설치되고, 센터너트(33) 지름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마감플레이트(34)와,
마감플레이트(34)에 연결되는 조인트캡(32) 내주면에 형성되고, 조인트캡(32) 내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이너경사면(35)과,
이너경사면(35)과 대응하는 걸림편(22) 외주면에 형성되고, 아우터밴드부(20)에서 멀어질수록 연결볼트(12) 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아우터경사면(36)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캡(32)이 회전작동시, 암나사부(31)가 연결볼트(12)를 타고 피치 이송되어, 조인트캡(32)이 아우터밴드부(20) 측으로 이동되면, 이너경사면(35)과 아우터경사면(36) 간에 미끄럼운동에 의해 한 쌍의 걸림편(22) 사이 간격 축소 및 이너밴드부(10) 당김력이 발생되어 이너밴드부(10) 및 아우터밴드부(20)가 파이프(P) 외주면을 클램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부(40)는,
제 1, 2개구(11)(21)와 대응하는 이너밴드부(10) 및 아우터밴드부(20)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링크바디(41)와,
링크바디(41)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링크핀(42)과,
링크핀(42)을 경유하여 서로 이웃하는 이너밴드부(10)와 아우터밴드부(20) 단부를 연결핀(43a)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띠(43)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캡(32)이 회전작동시, 이너경사면(35)과 아우터경사면(36) 간에 미끄럼운동에 의해 한 쌍의 걸림편(22) 사이 간격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아우터밴드부(20)가 클램핑 작동되면, 한 쌍의 링크띠(43)에 의해 이너밴드부(10)의 양단부가 당겨지면서 클램핑 작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핀(42)은 링크바디(41)에 형성되는 핀홀(44)에 삽입 설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핀홀(44)은 아우터밴드부(20) 원주 방향으로 복수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핀홀(44)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링크핀(42) 간격을 조절하여, 이너밴드부(10)와 아우터밴드부(20)에 의한 클램핑 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밴드부(20) 원주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T홈(23)이 형성되고,
상기 T홈(23)에 체결되어 아우터밴드부(20) 원주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멀티조인트부재(50)가 설치되며,
상기 멀티조인트부재(50)는,
T홈(23)에 삽입되어 아우터밴드부(20) 원주방향으로 원호운동되고, 중앙에 너트홀(51a)이 관통되는 이송블록(51)과,
T홈(23)을 관통하여 이송블록(51)의 너트홀(51a)에 나사 체결되고, 단부에 쐐기촉(52a)이 형성되어 이너밴드부(10) 외주면에 파지되도록 구비되는 확장볼트(52)와,
확장볼트(52)에 나사 체결되어 피치 이송에 의해 아우터밴드부(20) 외주면에 가압되는 확장너트(53)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볼트(52)에 선반브라켓(B1)을 설치하여 선반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확장볼트(52)에 확장브라켓(B2)을 설치하여 이웃하는 파이프(P)의 아우터밴드부(20)에 설치되는 멀티조인트부재(50)와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9780A KR102657669B1 (ko) | 2023-06-21 | 2023-06-21 |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9780A KR102657669B1 (ko) | 2023-06-21 | 2023-06-21 |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7669B1 true KR102657669B1 (ko) | 2024-04-15 |
Family
ID=9071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9780A Active KR102657669B1 (ko) | 2023-06-21 | 2023-06-21 |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766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0351A (ja) * | 2001-04-17 | 2002-10-23 | Sekisui Chem Co Ltd | 管継手 |
KR20110119900A (ko) * | 2010-04-28 | 2011-11-03 | 신경식 |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
KR20140022357A (ko) * | 2007-03-03 | 2014-02-24 |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 파이프 커플링 |
KR102142506B1 (ko) | 2020-02-21 | 2020-08-07 | 남윤재 |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
CN213629310U (zh) * | 2020-08-01 | 2021-07-06 | 山东基泰铸造有限公司 | 一种沟槽管件连接用调节卡箍 |
KR200496913Y1 (ko) * | 2022-05-23 | 2023-06-01 | 유금열 | 파이프 고정장치 |
-
2023
- 2023-06-21 KR KR1020230079780A patent/KR10265766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0351A (ja) * | 2001-04-17 | 2002-10-23 | Sekisui Chem Co Ltd | 管継手 |
KR20140022357A (ko) * | 2007-03-03 | 2014-02-24 | 만 디젤 앤 터보 에스이 | 파이프 커플링 |
KR20110119900A (ko) * | 2010-04-28 | 2011-11-03 | 신경식 |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
KR102142506B1 (ko) | 2020-02-21 | 2020-08-07 | 남윤재 | 내측 및 외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 조립체 |
CN213629310U (zh) * | 2020-08-01 | 2021-07-06 | 山东基泰铸造有限公司 | 一种沟槽管件连接用调节卡箍 |
KR200496913Y1 (ko) * | 2022-05-23 | 2023-06-01 | 유금열 | 파이프 고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44426B1 (en) | Fitting for building structures and the like | |
US20080203727A1 (en) | Pipe ring apparatus and method | |
US11149450B2 (en) | Formwork base | |
CN105075042A (zh) | 线缆夹持装置 | |
US9255383B2 (en) | Device for fixing the hydraulic piping of construction equipment | |
CA2628647C (en) | Universal clamp | |
KR101335478B1 (ko) | 빔클램프 | |
US8287319B2 (en) | Clamp for male terminal | |
CA2767677A1 (en) |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 |
US20070284559A1 (en) |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 |
KR20180016561A (ko) | 클립 | |
KR102657669B1 (ko) | 이너 및 아우터 밴드부를 이용한 클램프조립체 | |
KR20190041975A (ko) | 건축용 클램프 | |
US8998159B2 (en) | Locking system for adjustable telescopic props | |
CN112567162B (zh) | 用于夹具组合件的止动器 | |
CN100564713C (zh) | 梁连接装置 | |
KR101414219B1 (ko) | 케이블 교량용 고정밀 케이블 고정장치 | |
ES2274924T3 (es) | Abrazadera de tubo. | |
US7523895B1 (en) | Sway brace and method for securing a pipe or conduit against sway | |
US9482267B1 (en) | Omni-directional connection assembly | |
KR102276622B1 (ko) | 너트형 이탈방지압륜을 이용한 관의 결합 구조 | |
JP6671658B2 (ja) | 固定金具 | |
KR102196115B1 (ko) |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 |
KR102052645B1 (ko) | 내진기능을 갖는 수도관 이탈방지용 압륜 | |
EP3021028B1 (en) |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