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681B1 - Trim airbag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rim airbag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6681B1 KR102656681B1 KR1020190009301A KR20190009301A KR102656681B1 KR 102656681 B1 KR102656681 B1 KR 102656681B1 KR 1020190009301 A KR1020190009301 A KR 1020190009301A KR 20190009301 A KR20190009301 A KR 20190009301A KR 102656681 B1 KR102656681 B1 KR 1026566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ior trim
- airbag
- trim
- deployed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2/00—Hollow articles
- B29L2022/02—Inflatable articles
- B29L2022/027—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상부 및 하부가 차체패널에 결합되고, 전면부와 후면부가 이격되어 내부에 챔버공간이 형성되며, 전면부는 실내공간을 향하고 후면부는 차체패널을 향하는 실내트림부; 및 챔버공간의 내부에 내장되며, 전개시 실내트림부의 후면부를 통해 차체패널측으로 전개됨으로써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팽창되며 실내트림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에어백쿠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이 소개된다.An interior trim part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coupled to the car body panel and the front and rear parts are spaced apart to form a chamber space inside, the front part fac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 rear part facing the car body panel; and an airbag cushion unit that is built inside the chamber space and, when deployed, expands toward the vehicle body panel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expands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panel, and causes the interior trim portion to protrude toward the interior space. Trim airbag is intro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전개됨으로써 차량 실내공간에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m airbag for a vehicle that protects occupant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y deploying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body panel.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에어백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를 통해 에어백쿠션으로 가스가 주입됨으로써 에어백쿠션이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전개되어 탑승자의 충격을 에어백쿠션이 흡수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Generally, an airbag device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to protect occupants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airbag device protects the occupants by injecting gas into the airbag cushion through an inflator during a vehicle collision, thereby deploying the airbag cushion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and absorbing the impact of the occupants.
종래의 차량의 트림부 에어백 장치 등은 트림부와 차체패널 사이에서 차량의 윈드실드 측으로 전개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이 경우 탑승자의 전후방 및 측방을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윈드실드가 깨짐으로써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가능성을 줄이는 장점이 있었다.Most of the airbag devices in the trim part of conventional vehicles were deployed between the trim part and the body panel to the windshield sid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it had the advantage of acting as a buffer to protect the front, rear, and sides of the occupants, while also reducing the possibility of injury to the occupants due to the windshield breaking.
그러나, 이러한 트림부 에어백 장치라고 하더라도 차량의 트림부에는 완충할 수 있는 쿠션이 전개되지 않음으로써 차량의 트림부로 탑승자가 충돌하게 되는 경우에는 충격이 완화되지 못하고 탑승자가 충격을 그대로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with such a trim portion airba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ushion that can cushion the vehicle is not deployed in the trim portion of the vehicle, so that when an occupant collides with the trim portion of the vehicle, the impact is not alleviated and the occupant receives the impact as is.
따라서, 차량용 트림에어백이라 하더라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차량용 트림에어백이 필요한 것이다.Therefore, even if it is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 new trim airbag for a vehicle i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recognit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전개됨으로써 차량 실내공간에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ims to provide a trim airbag for a vehicle that protects occupant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y deploying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body pane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은,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상부 및 하부가 차체패널에 결합되고, 전면부와 후면부가 이격되어 내부에 챔버공간이 형성되며, 전면부는 실내공간을 향하고 후면부는 차체패널을 향하는 실내트림부; 및 챔버공간의 내부에 내장되며, 전개시 실내트림부의 후면부를 통해 차체패널측으로 전개됨으로써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팽창되며 실내트림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에어백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terior trim part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coupled to the car body panel and the front and rear parts are spaced apart to form a chamber space inside, the front part fac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 rear part facing the car body panel; and an airbag cushion unit that is built inside the chamber space and, when deployed, expands toward the vehicle body panel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section, expands between the interior trim section and the vehicle body panel, and causes the interior trim section to protrude toward the interior space. there is.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 및 차체패널의 양측 측방 사이에서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됨으로써 에어백쿠션부가 실내트림부의 양측 측방에 배치된 윈드실드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car body panel, so that the airbag cushion portion can be deployed toward the windshiel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실내트림부의 하부는 차체패널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의 하부는 차체패널에 고정되며 실내트림부의 상부는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is fixed and coupled to the car body panel,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trim part is fixed to the car body panel, and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trim part may protrude toward the interior space.
에어백쿠션부 및 차체패널에 연결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량을 제한하는 고정테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xed tether that is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unit and the vehicle body panel and limits the amount of movement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unit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by limiting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unit when the airbag cushion unit is deployed.
실내트림부 후면부의 일측을 관통하는 테더통과홀이 형성되고, 고정테더는 테더통과홀에 배치되어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에어백쿠션부 및 차체패널에 연결될 수 있다.A tether passage hole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a fixed tether is placed in the tether passage hole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can be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part and the car body panel, respectively.
고정테더는 여유길이를 가지고 실내트림부 내부에 수납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고정테더가 펼쳐진 후 에어백쿠션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The fixed tether is stored inside the interior trim part with a spare length,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fixed tether is unfolded and t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pulled, thereby limiting the amount of movement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ndoor trim part protrudes toward the indoor space.
실내트림부 후면부에는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전개압력에 의해 실내트림부 후면부의 절개라인이 절개됨으로써 에어백쿠션부가 실내트림부 후면부를 통해 차체패널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A cut line is formed in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ut line in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is cut by the deployment pressure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so that the airbag cushion part can be deployed towards the car body panel through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절개라인은 실내트림부 후면부의 상방 및 하방에서 좌우로 연장된 한 쌍의 수평절개라인 및 한 쌍의 수평절개라인의 중단을 연결하는 연직절개라인으로 구성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 후면부가 연직절개라인을 기준으로 좌우로 펼쳐지며 개방될 수 있다.The cut line consists of a pair of horizontal cut lines extending left and right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a vertical cut line connecting the middle of the pair of horizontal cut lines,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It can be opened and spreads left and right based on the vertical incision line.
실내트림부의 상부에는 고정탭이 마련되어 차체패널과 고정탭이 마운팅되어 실내트림부의 상부와 차체패널이 고정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고정탭이 슬라이딩되어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A fixing tab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ar body panel and the fixing tab are mount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ar body panel are fixe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fixing tab slides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
고정탭에는 고정탭의 상부가 개방된 슬롯홀이 형성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의 고정탭이 슬롯홀을 따라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A slot hole with an open upper part of the fixing tab is formed in the fixing tab,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fixing tab of the interior trim part slides along the slot hol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can protrude toward the indoor space.
실내트림부의 상부에는 고정탭이 마련되어 차체패널과 고정탭이 마운팅되어 실내트림부의 상부와 차체패널이 고정되고, 고정탭의 하부에는 파단라인이 형성되며,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고정탭의 파단라인이 파단됨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A fixing tab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body panel and the fixing tab are mount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ar body panel are fixed. A break lin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tab, and the break line of the fixing tab is forme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By breaking,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may protrude toward the interior space.
실내트림부 및 에어백쿠션부는 차량 헤드라이닝 또는 차량 필라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terior trim portion and the airbag cushion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vehicle headlining or vehicle pillar portion.
실내트림부의 전면부 및 후면부는 블로우 성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interior trim part can be molded integrally through blow molding.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전개됨으로써 차량 실내공간에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occupant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y deploying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body panel.
특히,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됨으로써 실내트림부가 충돌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ior trim portion can alleviate a collision by deploying the airbag cushion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B-B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고정탭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고정탭을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deployed state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AA in a state where the airbag cushion portion is not deploye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AA with the airbag cushion portion deploye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BB with the airbag cushion portion deploye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ixing tab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fixing tab of the interior trim part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B-B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고정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 고정탭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deployed state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A-A with the airbag cushion part not deployed, and Figure 5 is a diagram with the airbag cushion part deployed. It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A-A,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B-B with the airbag cushion part deployed,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fixing tab of the interior trim part of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fixing tab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a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림에어백은 상부 및 하부가 차체패널(P)에 결합되고, 전면부(120)와 후면부(140)가 이격되어 내부에 챔버공간(130)이 형성되며, 전면부(120)는 실내공간(S)을 향하고 후면부(140)는 차체패널(P)을 향하는 실내트림부(100); 및 챔버공간(130)의 내부에 내장되며, 전개시 실내트림부(100)의 후면부(140)를 통해 차체패널(P)측으로 전개됨으로써 실내트림부(100)와 차체패널(P)의 사이에서 팽창되며 실내트림부(100)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에어백쿠션부(2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the body panel (P), and the
도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에는 실내트림부(100)가 마련된다. 실내트림부(100)의 전면부(120)와 후면부(140)는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챔버공간(130)이 형성되고, 챔버공간(130)에는 에어백쿠션부(200)가 내장된다. 도 2는 실내트림부(100)의 전면부(1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실내트림부(100)의 후면부(140)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내트림부(100)의 전면부(120)와 후면부(14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연결되고, 전면부(120)와 후면부(140) 사이에 도 4와 같이 챔버공간(130)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실내트림부(10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차체패널(P)에 결합되어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우선적으로 에어백쿠션부(200)는 후면부(140)를 통해 차체패널(P)측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실내트림부(100)의 후면부(140)와 차체패널(P)의 사이에서 팽창되어 차체패널(P)에 의해 에어백쿠션부(200)가 지지되면 실내트림부(100)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2 to 4,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종래의 차량용 트림에어백 등은 트림부에서 전개되어 트림부의 외곽으로만 전개됨으로써 트림 자체는 충격을 완화할 수가 없었다.Conventional vehicle trim airbags are deployed from the trim portion and deploy only to the outside of the trim portion, so the trim itself cannot alleviate the impact.
그러나,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은 실내트림부(100)와 차체패널(P)의 사이에서 에어백쿠션부(200)가 전개되어 실내트림부(100)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 흡수 작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은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 및 차체패널(P)의 양측 측방 사이에서 에어백쿠션부(200)가 전개됨으로써 에어백쿠션부(200)가 실내트림부(100)의 양측 측방에 배치된 윈드실드(W)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도 6에는 윈드실드(W)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윈드실드(W)가 배치되는 구간을 표현한 것이다.And, as shown in FIG. 6,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ploys the
이처럼,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에어백쿠션부(200)가 실내트림부(100)와 차체패널(P)의 사이에서 전개된 후에 실내트림부(100) 및 차체패널(P)의 양측 측방 사이에서 윈드실드(W)측으로 전개됨으로써 윈드실드(W)측에도 탑승자를 보호하는 구간이 형성된다. 결국, 윈드실드(W)측으로 탑승자가 튕겨지는 경우에도 탑승자가 보호됨과 동시에 윈드실드(W)가 깨지는 경우에도 에어백쿠션부(200)가 윈드실드(W)의 깨진 조각들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after the
또한, 윈드실드(W)측에도 에어백쿠션부(200)가 전개되고, 실내트림부(100)와 차체패널(P) 사이에서도 에어백쿠션부(200)가 전개되기 때문에 탑승자를 보호하는 부분이 연결됨으로써 좀 더 효과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도 4 내지 5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실내트림부(100)의 하부는 차체패널(P)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의 하부는 차체패널(P)에 고정되며 실내트림부(100)의 상부는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lower part of the
도 4 및 5를 살펴보면, 실내트림부(100)의 하부는 인플레이터(I)와 연결된 에어백쿠션부(200)를 통해 차체패널(P)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의 하부는 고정되고,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Looking at Figures 4 and 5, the lower part of the interior
그리고, 도 4 내지 5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은 에어백쿠션부(200) 및 차체패널(P)에 연결되고,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부(200)가 전개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량을 제한하는 고정테더(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트림부(100) 후면부(140)의 일측을 관통하는 테더통과홀(145)이 형성되고, 고정테더(300)는 테더통과홀(145)에 배치되어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에어백쿠션부(200) 및 차체패널(P)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고정테더(300)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지나치게 돌출되어 탑승자에게 상해를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필요량만큼만 돌출될 수 있도록 고정테더(300)를 마련하는 것이다.And,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테더(300)는 여유길이를 가지고 실내트림부(100) 내부에 수납되고,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고정테더(300)가 펼쳐진 후 에어백쿠션부(200)를 잡아당김으로써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실내트림부(100) 내부에 고정테더(300)의 여유길이를 차량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실내트림부(100)가 적절하게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fixed
그리고, 도 3과 같이 실내트림부(100) 후면부(140)에는 절개라인(160)이 형성되고,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전개압력에 의해 실내트림부(100) 후면부(140)의 절개라인(160)이 절개됨으로써 에어백쿠션부(200)가 실내트림부(100) 후면부(140)를 통해 차체패널(P)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3, a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절개라인(160)은 실내트림부(100) 후면부(140)의 상방 및 하방에서 좌우로 연장된 한 쌍의 수평절개라인(165) 및 한 쌍의 수평절개라인(165)의 중단을 연결하는 연직절개라인(170)으로 구성되고,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 후면부(140)가 연직절개라인(170)을 기준으로 좌우로 펼쳐지며 개방될 수 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이처럼 실내트림부(100) 후면부(140)에 절개라인(160)을 형성함으로써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절개라인(160)이 절개됨으로써 후면부(140)를 통해 에어백쿠션부(200)가 차체패널(P)측으로 전개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직절개라인(170)을 기준으로 좌우로 펼쳐지며 실내트림부(100)의 후면부(140)가 개방됨으로써 도 6과 같이 에어백쿠션부(200)가 윈드실드(W)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이와 같은 절개라인(160)은 점선으로 이루어져 각 점선이 관통되는 형상인 도트형 또는 점선의 일부만 파인 홈 형상인 노치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Such an
그리고, 도 3 내지 5 및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의 경우 실내트림부(100)의 상부에는 고정탭(180)이 마련되어 차체패널(P)과 고정탭(180)이 마운팅되어 실내트림부(100)의 상부와 차체패널(P)이 고정되고,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고정탭(180)이 슬라이딩되어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to 5 and 7, in the case of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도 4 내지 5에는 실내트림부(100)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탭(180)이 차체패널(P)과 볼팅결합(B)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4 and 5 show that the fixing
에어백쿠션부(200)의 미전개시에는 실내트림부(100)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필요가 없으므로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고정탭(180)을 통해 차체패널(P)에 결합된다. 이와 반대로,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고정탭(180)이 슬라이딩되어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When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정탭(180)에는 고정탭(180)의 상부가 개방된 슬롯홀(185)이 형성되고,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의 고정탭(180)이 슬롯홀(185)을 따라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의 고정탭(180)의 상부가 개방되어 슬롯홀(185)을 형성하고 슬롯홀(185)의 양측에 남아있는 고정탭(180)의 상부가 차체패널(P)에 볼팅결합(B)되었다가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에어백쿠션부(200)의 팽창되는 힘에 의해서 슬롯홀(185)을 따라서 고정탭(180)이 슬라이딩되는 것이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또한, 도 3 내지 5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실내트림부(100)의 상부에는 고정탭(180)이 마련되어 차체패널(P)과 고정탭(180)이 마운팅되어 실내트림부(100)의 상부와 차체패널(P)이 고정되고, 고정탭(180)의 하부에는 파단라인(190)이 형성되며, 에어백쿠션부(200)의 전개시 고정탭(180)의 파단라인(190)이 파단됨으로써 실내트림부(100)의 상부가 실내공간(S)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to 5 and 8, a
그리고,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내트림부(100) 및 에어백쿠션부(200)는 차량 헤드라이닝 또는 차량 필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A필러 등에 배치되어 전방 윈드실드와 전방석 측 윈드실드 측으로 전개될 수 있고, 차량의 B필러 등에 배치되어 전방석 및 후방석 측 윈드실드로 전개될 수 있으며, 차량의 C필러 등에 배치되어 후방 윈드실드와 후방석 측 윈드실드 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천장을 구성하는 헤드라이닝에 배치되어 설치방향에 따라 전방 윈드실드 및 후방 윈드실드로 전개되거나, 전방석 및 후방석 윈드실드 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여 전방위적으로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 the interior
그리고,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은 실내트림부(100)의 전면부(120) 및 후면부(140)는 블로우 성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블로우 성형을 통해 일체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실내트림부(100)의 전면부(120)와 후면부(140)가 연결되는 지점에 강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And, as shown in Figure 2, the
본 발명의 차량용 트림에어백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전개됨으로써 차량 실내공간에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rim airbag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occupant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by deploying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body panel.
특히,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됨으로써 실내트림부가 충돌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ior trim portion can alleviate a collision by deploying the airbag cushion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panel.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improvement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This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100 : 실내트림부 200 : 에어백쿠션부
300 : 고정테더 P : 차체패널
S : 실내공간100: Interior trim part 200: Airbag cushion part
300: Fixed tether P: Body panel
S: indoor space
Claims (13)
챔버공간의 내부에 내장되며, 전개시 실내트림부의 후면부를 통해 차체패널측으로 전개됨으로써 실내트림부와 차체패널의 사이에서 팽창되며 실내트림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에어백쿠션부;를 포함하며,
실내트림부의 하부는 차체패널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의 하부는 차체패널에 고정되며 실내트림부의 상부는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An interior trim part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coupled to the car body panel and the front and rear parts are spaced apart to form a chamber space inside, the front part fac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 rear part facing the car body panel; and
It is built inside the chamber space, and when deployed, it is deployed toward the car body panel through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so that it expands between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ar body panel, and causes the interior trim part to protrude toward the interior space; It includes;
A trim airbag for a vehicle,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is fixed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panel,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ortion is deployed,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pane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 및 차체패널의 양측 측방 사이에서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됨으로써 에어백쿠션부가 실내트림부의 양측 측방에 배치된 윈드실드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1,
A trim airba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between the interior trim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car body panel, and the airbag cushion portion is deployed toward the windshiel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terior trim portion.
에어백쿠션부 및 차체패널에 연결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에어백쿠션부가 전개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량을 제한하는 고정테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1,
A fixed tether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unit and the vehicle body panel, and limiting the amount of movement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unit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by limiting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unit when the airbag cushion unit is deployed. A trim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airbag.
실내트림부 후면부의 일측을 관통하는 테더통과홀이 형성되고, 고정테더는 테더통과홀에 배치되어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에어백쿠션부 및 차체패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4,
A trim airba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tether passage hole is formed penetrating one side of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a fixed tether is placed in the tether passage hole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nnected to the airbag cushion part and the car body panel, respectively.
고정테더는 여유길이를 가지고 실내트림부 내부에 수납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고정테더가 펼쳐진 후 에어백쿠션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이동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5,
The fixed tether is stored inside the interior trim part with a spare length,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fixing tether is unfolded and t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pulled to limit the amount of movement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Trim airbag.
실내트림부 후면부에는 절개라인이 형성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전개압력에 의해 실내트림부 후면부의 절개라인이 절개됨으로써 에어백쿠션부가 실내트림부 후면부를 통해 차체패널측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1,
A cut line is formed in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ut line in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is cut by the deployment pressure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so that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owards the car body panel through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irbag.
절개라인은 실내트림부 후면부의 상방 및 하방에서 좌우로 연장된 한 쌍의 수평절개라인 및 한 쌍의 수평절개라인의 중단을 연결하는 연직절개라인으로 구성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 후면부가 연직절개라인을 기준으로 좌우로 펼쳐지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7,
The cut line consists of a pair of horizontal cut lines extending left and right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a vertical cut line connecting the middle of the pair of horizontal cut lines,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rea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 trim airba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expands and opens left and right based on a vertical cut line.
실내트림부의 상부에는 고정탭이 마련되어 차체패널과 고정탭이 마운팅되어 실내트림부의 상부와 차체패널이 고정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고정탭이 슬라이딩되어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1,
A fixing tab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body panel and the fixing tab are mounted to fix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ar body panel.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fixing tab slides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Trim airbag for vehicles.
고정탭에는 고정탭의 상부가 개방된 슬롯홀이 형성되고,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실내트림부의 고정탭이 슬롯홀을 따라서 슬라이딩됨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9,
A trim airbag for a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lot hole is formed in the fixing tab with an open upper part of the fixing tab, an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the fixing tab of the interior trim part slides along the slot hol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
실내트림부의 상부에는 고정탭이 마련되어 차체패널과 고정탭이 마운팅되어 실내트림부의 상부와 차체패널이 고정되고, 고정탭의 하부에는 파단라인이 형성되며, 에어백쿠션부의 전개시 고정탭의 파단라인이 파단됨으로써 실내트림부의 상부가 실내공간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1,
A fixing tab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body panel and the fixing tab are mount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art and the car body panel are fixed. A break lin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tab, and the break line of the fixing tab is formed when the airbag cushion part is deployed. A trim airba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interior trim protrudes toward the interior space when broken.
실내트림부 및 에어백쿠션부는 차량 헤드라이닝 또는 차량 필러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In claim 1,
A trim airba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trim portion and the airbag cushion portion are disposed on the vehicle headlining or vehicle pillar portion.
실내트림부의 전면부 및 후면부는 블로우 성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림에어백.
In claim 1,
A trim airbag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interior trim part are integrally molded through blow mo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301A KR102656681B1 (en) | 2019-01-24 | 2019-01-24 | Trim airbag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9301A KR102656681B1 (en) | 2019-01-24 | 2019-01-24 | Trim airbag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2527A KR20200092527A (en) | 2020-08-04 |
KR102656681B1 true KR102656681B1 (en) | 2024-04-11 |
Family
ID=7204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9301A Active KR102656681B1 (en) | 2019-01-24 | 2019-01-24 | Trim airbag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6681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21684A (en) | 2004-12-06 | 2008-06-26 | キー セーフテ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Curtain airbag module |
JP2013052788A (en) * | 2011-09-05 | 2013-03-21 | Howa Textile Industry Co Ltd | Pillar trim mounting clip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2605B1 (en) | 2005-03-14 | 2006-10-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urtain airbag |
KR102366814B1 (en) * | 2015-05-22 | 2022-02-23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Curtain air bag and deployment method of curtain air bag |
KR102605170B1 (en) * | 2016-06-22 | 2023-11-2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Curtain airbag apparatus |
-
2019
- 2019-01-24 KR KR1020190009301A patent/KR1026566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21684A (en) | 2004-12-06 | 2008-06-26 | キー セーフテ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Curtain airbag module |
JP2013052788A (en) * | 2011-09-05 | 2013-03-21 | Howa Textile Industry Co Ltd | Pillar trim mounting cl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2527A (en) | 2020-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4124B1 (en) | Driver's seat airbag cushion structure | |
US9266494B2 (en) |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 |
JP5639263B2 (en) |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 |
KR101708217B1 (en) |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
KR102310283B1 (en) | Curtain Airbag Apparatus Of Vehicle | |
KR101708223B1 (en) | Side curtain airbag for vehicle | |
KR20080042612A (en) | Guidance device for deployment of curtain airbag | |
KR102656681B1 (en) | Trim airbag for vehicle | |
KR102263721B1 (en) | Passenger Airbag Aparatus Of Vehicle | |
KR101695234B1 (en) | Side curtain airbag for vehicle | |
KR100461067B1 (en) | Cushion extending structure of curtain air bag | |
KR101594774B1 (en) | Curtain airbag device | |
KR100990614B1 (en) | Mounting Brackets for Curtain Airbags | |
KR100629348B1 (en) | Curtain airbag | |
KR101251754B1 (en) | Cover structure of air-bag | |
KR101081701B1 (en) | Curtain Air Bag for Automobile | |
JP6567893B2 (en) | Interior member mounting structure | |
KR100512427B1 (en) | Airbag in vehicle | |
KR20090117421A (en) | Curtain airbag | |
KR102684770B1 (en) | Knee airbag for vehicle | |
KR20090066396A (en) | Curtain air-bag for automobile | |
KR100656618B1 (en) | Car Curtain Airbags | |
KR20090082648A (en) | Structure of side air bag for vehicle | |
KR101046085B1 (en) | Curtain airbag bracket | |
KR100579451B1 (en) |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