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52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5526B1 KR102655526B1 KR1020180118976A KR20180118976A KR102655526B1 KR 102655526 B1 KR102655526 B1 KR 102655526B1 KR 1020180118976 A KR1020180118976 A KR 1020180118976A KR 20180118976 A KR20180118976 A KR 20180118976A KR 102655526 B1 KR102655526 B1 KR 102655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me
- message
- synchronization
- delay
- ts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5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41 tunne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djustment in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7—Bidirectional timestamps, e.g. NTP or PTP for compensation of clock drift and for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 단말의 체류 시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의 송신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의 송신 시각에 기반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상기 단말의 체류 시간을 UPF(user plane function)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5th generation (5G) or pre-5G communication system to support higher data rates after 4th generation (4G)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ce time of th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frame from the terminal, and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frame. This may include determining a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the terminal's residence time using a user plane function (UPF).
Description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generally t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wireless data traffic follow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4G ( 4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an improved 5G ( 5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or a pre-5G communication system. For this reason,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r pre-5G communication system is called a Beyond 4G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or a Post LTE (Long Term Evolution) system.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To achieve high data rates, 5G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in ultra-high frequency (mmWave) bands (such as the 60 GHz band). In order to alleviate the path loss of radio waves in the ultra-high frequency band and increase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radio waves, the 5G communication system uses beamforming, massive array multiple input/output (massive MIMO), and full dimension multiple input/output (FD-MIMO). ),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and large scale antenna technologies are being discussed.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to improve the network of the system, the 5G communication system uses evolved small cells, advanced small cells, cloud radio access networks (cloud RAN), and ultra-dense networks. ,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wireless backhaul, moving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Coordinated Multi-Points (CoMP),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s underway.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the 5G system uses FQAM (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and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which are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methods, and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which is an advanced access technology. ),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are being developed.
이동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유선망에서만 제공되던 시각 동기화(clock synchronization) 기술이 무선망에서도 제공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다만, 무선 구간(air link)에서의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향링크(downlink, DL)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비대칭성(asymmetric) 문제로 인하여 무선망에서의 시각 동기화 기술 도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 통신망에서 단말간 시각 동기화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A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need to provide clock synchronization technology, which was only provided in wired networks, also in wireless networks has emerg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time synchronization technology in wireless networks due to the asymmetric problem of uplink (UL) and downlink (DL) propagation delay in the air link. This can be.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 method for providing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ermi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required.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discussion, this disclosure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선망에만 지원되던 시각 동기화 (clock synchronization) 기능이 무선 통신망에도 지원되도록, 무선 구간(air link)의 상향 링크 (uplink, UL)와 하향 링크 (downlink, DL)의 전파 지연 (propagation delay) 비대칭성(asymmetric)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for the uplink (UL) and downlink (DL) of the wireless section (air link) so that the clock synchronization function, which is only supported in wired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s also supporte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ving the propagation delay asymmetry problem.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 단말의 체류 시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의 송신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의 송신 시각에 기반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상기 단말의 체류 시간을 UPF(user plane function)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ce time of th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frame from the terminal, and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frame. This may include determining a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the terminal's residence time using a user plane function (UP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PF(user plane function)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단말의 체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상기 단말의 체류 시간 및 상기 UPF의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 내의 상향링크 프레임의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 user plane function (UP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wireless access network stay time and a terminal's stay time from a base station, and the wireless access network stay time. It may include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residence time of an uplink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ime, the residence time of the terminal,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UP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UPF(user plane function)의 체류 시간 및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 시각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UPF의 체류 시간 및 상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망 내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ce time of a user plane function (UPF) and a reception time of a downlink frame from a base station, and the downlink frame A process of determining a stay time in a wireless access network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reception time of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a stay time of a downlink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stay time of the UPF and the stay time in the wireless access network. can do.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송수신부와, 단말로부터 단말의 체류 시간 및 상향링크 프레임의 송신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의 송신 시각에 기반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상기 단말의 체류 시간을 UPF(user plane function)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ce time of th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frame from the transceiver and the terminal,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frame based on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uplink fram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determines a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transmits the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the terminal's residence time through a user plane function (UP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PF(user plane function)는, 송수신부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단말의 체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상기 단말의 체류 시간 및 상기 UPF의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 내의 상향링크 프레임의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user plane function (UPF)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the terminal's residence time from a transceiver and a base station, and determines the wireless access network residence time and at least one processor that determines a residence time of an uplink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terminal and the UP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송수신부와, 기지국으로부터 UPF(user plane function)의 체류 시간 및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수신 시각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UPF의 체류 시간 및 상기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망 내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체류 시간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ce time of a user plane function (UPF) and the reception time of a downlink frame from a transceiver and a base station,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reception time of the downlink frame. At least one processor determines a stay time in a wireless access network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reception time, and determines a stay time of a downlink fr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stay time of the UPF and the stay time in the wireless access network. can do.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Devices and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nable synchronization to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공장자동화 (factory automation)와 같이, 노드 간의 시각 동기화 (clock synchronization)가 필요한 응용 분야에 무선 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Additionally, devices and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o be utilized in application fields that require clock 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such as factory automation.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망 객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time sensitive network)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망에서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을 지원하는 유선망에서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각 동기화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각 동기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의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에서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에서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간 측정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 시스템 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 브릿지(bridge) 모델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에서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서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 core network objec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e synchronization in a wired network that does not support time sensitive network (TS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e synchronization in a wired network supporting TS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of time synchroniz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shows a flowchart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9 shows a flowchart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for solving the problem of time synchroniz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 illustrates a method of measuring delay time between adjacent TSN syste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4 illustrates a method of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SN syste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5 illustrates 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of a TSN bridge mod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6 illustrates 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i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7 illustrates 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disclosure,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e present disclosure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below, a hardware approach method is explained as an example. However, sinc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technology using both hardware and software,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o not exclude software-based approaches.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 내의 각 엔티티들(entities)의 체류 시간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망의 체류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무선 통신망에서의 시각 동기화(clock synchronization)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s a technology for supporting cloc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determin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residence time of each entity with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referring to signals, terms referring to channels, terms referring to control information, terms referring to network entities, terms referring to device components,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is is exemplified. 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terms described below, and other terms having equivalent technical meaning may be used.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s various embodiments using terms used in some communication standards (e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but this is only an example for explana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easily modified and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접속 망(radio access network, RAN) 102 및 코어 망(core network, CN) 1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radio access network (RAN) 102 and a core network (CN) 104.
무선 접속 망 102는 사용자 장치, 예를 들어, 단말 120과 직접 연결되는 네트워크로서, 단말 12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무선 접속 망 102는 기지국 110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지국들의 집합을 포함하며, 복수의 기지국들은 상호 간 형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 간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유선이거나 무선일 수 있다. 기지국 110110은 CU(central unit) 및 DU(distributed unit)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CU가 복수의 DU들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gNB(next generation node 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20은 무선 접속 망 102에 접속하고,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 120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The
코어 망 104는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네트워크로서, 무선 접속 망 102을 제어하고, 무선 접속 망 102를 통해 송수신되는 단말 120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처리한다. 코어 망 104는 사용자 플랜(user plane) 및 제어 플랜(control plane)의 제어, 이동성(mobility)의 처리, 가입자 정보의 관리, 과금, 다른 종류의 시스템(예: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과의 연동 등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상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코어 망 104은 서로 다른 NF(network function)들을 가진 기능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객체(entity)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망 104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130a,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130b, UPF(user plane function) 130c, PCF(policy and charging function) 130d,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130e, UDM(user data management) 130f,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130g, UDR(unified data repository) 130h을 포함할 수 있다.The
단말 120은 무선 접속 망 102과 연결되어 코어 망 104의 이동성 관리 기능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을 수행하는 AMF 130a에 접속한다. AMF 130a는 무선 접속 망 102의 접속과 단말 102의 이동성 관리 (mobility management)를 모두 담당하는 기능 또는 장치이다. SMF 130b는 세션을 관리하는 NF이다. AMF 130a는 SMF 130b와 연결되고, AMF 130a는 SMF 130b로 단말 120에 대한 세션 관련 메시지를 라우팅한다. SMF 130b는 UPF 130c와 연결하여 단말 120에게 제공할 사용자 평면 자원(Resource)를 할당하며, 기지국 110과 UPF 130c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터널을 수립한다. PCF 130d는 단말 120이 사용하는 세션에 대한 정책(policy) 및 과금(charging)에 관련된 정보를 제어한다. NRF 130e는 이동통신 사업자 네트워크에 설치된 NF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NRF 130e는 모든 NF들과 연결될 수 있다. 각 NF들은 사업자 네트워크에서 구동을 시작할 때, NRF 130e에 등록함으로써 NRF 130e로 해당 NF가 네트워크 내에서 구동되고 있음을 알린다. UDM 130f는 4G 네트워크의 HSS(home subscriber server)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NF로서, 단말 120의 가입정보, 또는 단말 120이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하는 컨텍스트(context)를 저장한다. The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NEF 130g는 제3자(3rd party) 서버와 5G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NF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UDR 130h에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업데이트, 또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UDR 130h은 단말 120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거나, 정책 정보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노출(Exposure)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제3자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UDR 103h는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NF에 제공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2 can be understoo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base station includes a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The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In terms of hardware, the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 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The
저장부 23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제어부 2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 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3 can be understoo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20. Hereinafter used ‘…’ wealth', '… Terms such as 'unit'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includes a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The
저장부 320은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제어부 3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망 객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에 예시된 구성 130은 도 1의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130g, 130h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FIG. 4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 core network objec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코어 망 객체는 통신부 410, 저장부 420, 제어부 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ore network object includes a
통신부 410은 네트워크 내 다른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통신부 410은 코어 망 객체에서 다른 장치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즉, 통신부 410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 410은 모뎀(modem),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 410은 코어 망 객체가 백홀 연결(예: 유선 백홀 또는 무선 백홀)을 거쳐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 다른 장치들 또는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저장부 420은 코어 망 객체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4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420은 제어부 4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제어부 430은 코어 망 객체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430은 통신부 4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430은 저장부 4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 4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430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30은 코어 망 객체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identify a connection node, a term referring to network entities, a term referring to messages, a term referring to an interface between network objects, and a term referring to various typ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ollowing are exampl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terms described below, and other terms referring to objects having equivalent technical meaning may be used.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3GPP 단체에서 정의하는 가장 최신의 표준인 5GS(5G system) 및 NR(new radio)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무선 통신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는 3GPP 5세대 이동통신 표준(예: 5GS 및 NR)에 적용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this disclosure uses terms and names defined in the 5GS (5G system) and NR (new radio) standards, which are the most recent standards defined by the 3GPP organization among currently existing communication standard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names, and can be equally applied to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omplying with other standards. In particular,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3GPP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eg, 5GS and NR).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time sensitive network)을 지원하지 않는 유선망에서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선망의 시각 동기화는 IEEE 1588 버전(version, v) 1 규격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e synchronization in a wired network that does not support time sensitive network (TS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ime synchronization of a wired network can operate based on the IEEE 1588 version (v) 1 standard.
도 5를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마스터(master) 510는 시각의 기준 (reference clock)을 제공하는 노드이고, 슬레이브(slave) 520는 제공되는 기준 시각에 자신의 시각을 맞추고자 시각 동기화(clock synchronization)를 수행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 510 및 슬레이브 520는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와 공장 자동화를 위한 전자 장치(예: 공장용 컴퓨터, 로봇 팔)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망이 TSN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방향에 따른 지연 시간이 비대칭적(unsymmetric)이므로 마스터(master) 510와 슬레이브(slave) 520간의 지연시간 추정이 부정확할 수 있다. 이때문에, 시각 동기화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마스터 510는 타임스탬프(timestamp) 필드에 현재 시각(T1) 502을 기록한 지연 측정 요청(delay measurement request) 이더넷(ethernet) 프레임을 슬레이브 520로 송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520는 이러한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한 후,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T2) 504을 지연 측정 응답(delay measurement response)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슬레이브 520는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의 전송시각(T3) 506을 타임스탬프 필드에 기록한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을 마스터 510로 송신할 수 있다. 마스터 510는 슬레이브 520으로부터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을 시각(T4) 508에 수신한 후, 지연 측정 요청 이더넷 프레임과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의 지연시간을 평균 내어 지연시간(d)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지연시간(d)는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various embodiments, the
<수학식 1>을 참고하면, d는 추정된 지연시간, T1은 마스터 510가 슬레이브 520로 지연 측정 요청을 송신한 시각, T2는 슬레이브 520가 마스터 510로부터 지연 측정 요청을 수신한 시각, T3는 슬레이브 520이 마스터 510로 지연 측정 응답을 송신한 시각, T4는 마스터 510가 슬레이브 520로부터 지연 측정 응답을 수신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마스터 510가 추정한 마스터 510와 슬레이브 520간의 지연시간(d)이 정확한 경우, 슬레이브 520는 마스터 510가 송신한 타임스탬프에 추정된 지연시간(d)을 더함으로써 슬레이브 520의 클락(clock)을 맞출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스터 510과 슬레이브 520간의 시각 동기가 획득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링크 1(link 1)과 링크 2(link 2)의 지연은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이므로 전송 방향에 대칭적이다. 다만, 브릿지(bridge) 네트워크(network, NW)를 지나가는 지연은 대기 지연 (queuing delay)과 처리 지연 (processing delay)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송 방향에 대칭적이지 아니하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T1과 T4는 마스터 510의 클락을 기준으로 한 시각이고, T2와 T3는 슬레이브 520의 클락을 기준으로 한 시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지연 추정이 부정확하므로, 시각 동기화가 부정확할 수 있다.Referring to <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을 지원하는 유선망에서의 시각 동기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선망의 시각 동기화는 IEEE 1588 버전 2 규격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e synchronization in a wired network supporting TS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ime synchronization in a wired network can operate based on the IEEE 1588
도 6을 참고하면, 유선망이 TSN을 지원하는 경우, TSN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마스터 610와 슬레이브 620간의 지연시간 추정이 정확해지기 때문에, 시각 동기화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TSN 브릿지 네트워크는 체류 시간 보정(residence time correcti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시각(T1) 602에, 마스터 610가 슬레이브 620로 지연 측정 요청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한 후, TSN 브릿지 네트워크는 지연 측정 요청 이더넷 프레임이 TSN 브릿지 네트워크에 들어온 시각(TB1) 604과 나간 시각(TB2) 606을 이용하여 체류 시간(TB2-TB1)을 계산할 수 있다. TSN 브릿지 네트워크는 계산된 체류 시간(TB2-TB1)을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보정(correction) 필드에 기록할 수 있다. 브릿지 네트워크를 지나가는 지연 중 대기 지연과 처리 지연은, 상술한 계산된 체류 시간(TB2-TB1)에 명시되므로, 이더넷 프레임이 겪은 지연시간에서 체류시간이 보정되는 경우, 전송 방향에 대칭적인 전파 지연만 남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슬레이브 620는 시각(T2)에 지연 측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시각(T3) 612에, 슬레이브 620가 마스터 610로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한 후, TSN 브릿지 네트워크는 슬레이브 620의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이 TSN 브릿지 네트워크에 들어온 시각(TB3) 614과 나간 시각(TB4) 616을 이용하여 체류 시간 (TB4-TB3)을 계산할 수 있다. TSN 브릿지 네트워크는 계산된 체류 시간(TB4-TB3)을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보정 필드에 반영할 수 있다.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이 겪은 지연에서 이러한 체류시간(TB4-TB3)이 보정되는 경우, 전송 방향에 대칭적인 전파 지연 만 남을 수 있다. 시각(T4) 618에서 마스터 610이 슬레이브 620로부터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하고, 마스터가 추정한 지연 시간(d)는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wired network supports TSN, the delay time estimation between the
<수학식 2>를 참고하면, d는 추정된 지연시간, T1은 마스터 610가 슬레이브 620로 지연 측정 요청을 송신한 시각, T2는 슬레이브 620가 마스터 610로부터 지연 측정 요청을 수신한 시각, T3는 슬레이브 620이 마스터 610로 지연 측정 응답을 송신한 시각, T4는 마스터 610가 슬레이브 620로부터 지연 측정 응답을 수신한 시각, TB1은 지연 측정 요청 이더넷 프레임이 TSN 브릿지 네트워크에 들어온 시각, TB2는 지연 측정 요청 이더넷 프레임이 TSN 브릿지 네트워크에서 나간 시각, TB3는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이 TSN 브릿지 네트워크에 들어온 시각, TB4는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이 TSN 브릿지 네트워크에서 나간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슬레이브 620는 마스터 610가 송신한 타임스탬프에 추정된 지연시간(d)과 보정 필드를 더함으로써 슬레이브 620의 클락을 맞출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스터 610와 슬레이브 620간의 시각 동기가 획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TSN은 체류 시간 지연 보정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각 동기화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of time synchroniz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고하면, 무선 통신망(예: 3GPP NW)이 TSN 기능을 제공하는 이더넷 스위치 (예: TSN SW(switch)) 720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시각 동기화를 제공할 때의 문제점이 도시될 수 있다. 첫 번째로, 3GPP NW의 각 엔티티인 단말(예: UE) 120, 기지국(예: gNB) 110 및 UPF 130c는 각 엔티티 내의 체류시간 보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두 번째로, 단말과 기지국간의 무선 구간(air link)은 상향링크(uplink, UL)와 하향링크(downlink, DL)의 지연시간이 비대칭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마스터 710은 시각(T1) 702에서, 슬레이브 730로 지연 측정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TSN SW 720는 체류 시간 보정을 수행할 수 있고, 슬레이브 730는 시각(T2) 704에서 지연 측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730는 시각(T3) 706에서 지연 측정 응답을 마스터 710로 송신할 수 있다. 시각(T4) 708에서 마스터 710는 슬레이브 730로부터 지연 측정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g., 3GPP NW) is used with an Ethernet switch (e.g., TSN SW (switch)) 720 that provides TSN functionality, problems in providing time synchronization can be shown. there is. First, each entity of 3GPP NW, UE (e.g., UE) 120, base station (e.g., gNB) 110, and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상향링크 시, 기지국 11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8 shows a flowchart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the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단말의 체류 시간 및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송신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이 단말에서 머무르는 시간, 즉, 단말의 체류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단말의 체류 시간과, 단말이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는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는 시각은 SDAP(service data application protocol)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803 단계에서, 기지국은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송신 시각을 이용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송신 시각과, 기지국이 UPF로 GTP-U(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 - user plane)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시각을 이용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In
805 단계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 및 단말의 체류 시간을 UPF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을 GTP-U 헤더에 포함시켜 UPF로 송신할 수 있다. UPF는 수신한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과 단말의 체류 시간 및 UPF 내에서의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상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체류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을 보정 필드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향링크에서의 무선 구간 지연의 비대칭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In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하향링크 시, 단말 120의 동작 방법을 예시한다.Figure 9 shows a flowchart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9 illustrates an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120 during downlink.
도 9를 참고하면, 901 단계에서, 단말은 UPF의 체류 시간 및 하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수신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UPF에서의 체류 시간 및, 기지국이 UPF로부터 하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UPF의 체류 시간은 GTP-U 헤더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903 단계에서, 단말은 하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수신 시각을 이용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기지국이 UPF로부터 GTP-U 페이로드를 수신하는 시각과,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할 때의 시각을 이용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In
905 단계에서, 단말은 UPF의 체류 시간 및 결정된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체류 시간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망 체류 시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은 단말에서의 하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체류 시간, UPF의 체류 시간 및 결정된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을 이용하여,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하향링크 이더넷 프레임의 체류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을 보정 필드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향링크에서의 무선 구간 지연의 비대칭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In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각 동기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망의 프로토콜을 도시한다.FIG. 10 illustrat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for solving the problem of time synchroniz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을 참고하면, 이더넷 프레임이 단말 120을 통해서 무선 통신망에 진입한 후, 단말 120과 기지국 110간은 SDAP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등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이더넷 프레임을 읽거나 고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 120과 기지국 110간의 통신은 기지국 110의 클락에 동기된 MAC(media access control)/RLC(radio link control)/PHY(physical layer) 프레임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 110과 UPF 130c는 GTP-U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UPF 130c 또한 이더넷 프레임을 직접 읽거나 고치지 않을 수 있다. UPF 130c에서 이더넷 프레임이 무선 통신망의 외부로 나갈 수 있다. TSN을 지원하는 이더넷 스위치(TSN SW) 1020에서도, 이더넷 프레임이 외부에서 진입할 수 있다. 진입한 이더넷 프레임은 내부 처리를 거친 후, 다시 외부로 나갈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망은 하나의 TSN을 지원하는 이더넷 스위치로 모델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무선 통신망의 내부로 들어온 이더넷 프레임에 체류 시간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마스터 1010는 슬레이브 1030으로 지연 측정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지연 측정 요청을 수신한 슬레이브 1030는 지연 측정 응답을 마스터 1010로 송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fter an Ethernet frame enter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terminal 120,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20 and the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에서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을 참고하면, 단말 120, 기지국 110 및 UPF 130c는 각 엔티티에 대한 체류 시간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엔티티는 상향링크 이더넷이 엔티티 각각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R(residence time)_UE, R_gNB, R_UPF로 계산할 수 있다. 단말 120은 R_UE와, 기지국 110으로 상향링크 이더넷을 송신하는 시각 T(time)_UL을 SDAP에 포함시켜 기지국 1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T_UL은 기지국 110과 단말 120이 공통으로 알고 있는 MAC/RLC/PHY 프레임 시각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단말 120이 상향링크 이더넷을 송신하는 시점에서의 MAC/RLC/PHY의 프레임 시각이 T_UL로 기록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상향링크 무선 구간의 지연 시간 및 기지국 110의 체류 시간을 모두 합하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의 체류 시간 R_RAN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이 UPF 130c로 GTP-U 페이로드(payload)를 송신하는 시각이 T_TX인 경우, R_RAN은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terminal 120, the
<수학식 3>을 참고하면, R_RAN은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 T_TX는 기지국 110이 UPF 130c로 GTP-U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시각, T_UL은 단말 120이 상향링크 이더넷을 송신할 때의 프레임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R_RAN 값을 GTP-U 헤더에 포함시켜 UPF 130c로 송신할 수 있다. UPF 130c는 이더넷 프레임이 무선 통신망에서 외부로 나가는 곳이므로, UPF 130c는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 R_3GPP를 보정 필드(field)에 반영해야 한다.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 R_3GPP는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3>, R_RAN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wireless access network, T_TX is the time when the
<수학식 4>를 참고하면, R_3GPP는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 R_UE는 단말 120 내의 체류 시간, R_RAN은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 BH는 백홀(backhaul) 지연 시간, R_UPF는 UPF 130c 내의 체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R_3GPP는 엔티티 내의 체류 시간과, 무선 구간과 백홀 구간의 지연시간이 모두 더해진 값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 120과 기지국 110 사이의 무선 구간의 지연시간은 전송방향에 대칭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 110과 UPF 130c사이의 백홀 구간은 유선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간은 전파 지연만 있는 구간으로 가정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백홀 구간의 지연시간은 전송방향에 대칭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송방향에 대칭적인 백홀 구간의 지연시간을 제외하여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 R_3GPP'은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
<수학식 5>를 참고하면, R_3GPP'는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 R_UE는 단말 120 내의 체류 시간, R_RAN은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 R_UPF는 UPF 130c 내의 체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UPF 130c는 외부로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하기에 전에 계산된 R_3GPP'를 보정 필드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T_UL은 단말 120이 상향링크 이더넷을 무선 구간으로 송신하는 경우, PHY 프레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PHY 프레임은 기지국 11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간과 동기화될 수 있다. T_UL'은 기지국 110이 상향링크 이더넷을 무선 구간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PHY 프레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PHY 프레임은 기지국 110의 GPS 시간과 동기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 110은 GPS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T_TX는 기지국 110이 UPF 130c로 GTP-U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경우, GPS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120, 기지국 110 및 UPF 130c에서 체류 시간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이 전달될(delivered)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은 GTP-U를 통해, 하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은 SDAP 및 MAC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마스터 1110는 슬레이브 1130로 지연 측정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마스터 기지국 1110이 송신한 지연 측정 요청은 UPF 130c 및 TSN SW 1120에서 보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5>, R_3GPP' may mean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modifi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_UE may represent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terminal 120, R_RAN may represent the residence time of the wireless access network, and R_UPF may represent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에서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를 참고하면, 무선 통신망 내의 각 엔티티들은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에 대해서도 상향링크의 경우와 유사하게 체류시간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UPF 130c는 UPF 130c 내의 하향링크 이더넷의 체류 시간을 GTP-U 헤더에 포함시켜 기지국 1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GTP-U에 수신한 시각 T_RX를 기록하고, T_RX를 SDAP에 포함시켜 단말 120로 송신할 수 있다. 단말 110은 하향링크로 해당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 T_DL을 MAC/RLC/PHY 프레임 시각을 기준으로 얻은 후 무선 구간의 체류 시간 R_RAN을 <수학식 6>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each entity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perform dwell time correction on a delay measurement response Ethernet frame similar to the uplink case. In various embodiments, the
<수학식 6>을 참고하면, R_RAN은 무선 구간의 체류 시간, T_DL은 단말 120이 하향링크 이더넷을 수신할 때의 프레임 시각, T_RX는 기지국 110이 UPF 130c로부터 GTP-U 페이로드를 수신하는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 120이 지연 측정 응답 이더넷 프레임을 외부로 전송하는 시점에, 단말 120 내의 체류 시간을 반영하여,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 R_3GPP'는 <수학식 7>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6>, R_RAN is the residence time of the wireless section, T_DL is the frame time when the terminal 120 receives the downlink Ethernet, and T_RX is the time when the
<수학식 7>을 참고하면, R_3GPP'는 수정된 무선 통신망 내의 체류 시간, R_UE는 단말 120 내의 체류 시간, R_RAN은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체류 시간, R_UPF는 UPF 130c 내의 체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단말 120은 계산된 R_3GPP'를 보정 필드에 추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슬레이브 1230는 마스터 1210로부터 수신한 마스터 타임스탬프와, 보정 값 및 지연시간(d)에 기반하여 마스터 1210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7>, R_3GPP' may mean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modifi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_UE may represent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terminal 120, R_RAN may represent the residence time of the wireless access network, and R_UPF may represent the residence time within the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T_DL은 단말 120이 무선 구간으로부터 이더넷을 수신하는 경우, PHY 프레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PHY 프레임은 기지국 110의 GPS 시간과 동기화될 수 있다. T_DL'은 기지국 110이 무선 구간으로 하향링크 이더넷을 송신하는 경우, PHY 프레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PHY 프레임은 기지국 110의 GPS 시간과 동기화될 수 있다. T_RX는 기지국 110이 UPF 130c로부터 GTP-U 페이로드를 수신하는 기지국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120, 기지국 110 및 UPF 130c에서 체류 시간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 비대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이 전달될(delivered)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은 GTP-U를 통해, 하향링크 무선 구간 지연은 SDAP 및 MAC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슬레이브 1230는 마스터 1210로 지연 측정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TSN SW 1220는 지연 측정 응답이 지나가는 시간의 타임스탬프(T3)를 기록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T_DL may mean PHY frame time when the terminal 120 receives Ethernet from a wireless section. At this time, the PHY frame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GPS time of the
802.1AS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의 시각 동기화 절차는, 상술한 IEEE 1588에서의 시각 동기화 절차와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나, 절차상으로 상이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인접한 2개의 TSN 시스템(예: 앤드-스테이션(end-station) 또는 브릿지) 간의 주기적인 연결(link) 지연 시간의 측정 절차와, 브릿지에서의 체류 시간(residence time)을 포함한 보정 필드의 업데이트 절차가 상술한 상이한 절차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앤드-스테이션은 마스터 도는 슬레이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는 상술한 절차들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The time synchronization procedure in a network supporting 802.1AS has the same basic principle as the time synchronization procedure in IEEE 1588 described abov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dure. For example, a procedure for measuring the periodic link delay time between two adjacent TSN systems (e.g. end-stations or bridges) and a correction field including residence time on the bridge. The update procedure may be included in the different procedures described above. In various embodiments, an end-station may refer to a node that can perform a master or slave role. Hereinafter, Figures 13 and 14 explain specific operating methods for the above-described procedures.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간 측정 방법을 도시한다.FIG. 13 illustrates a method of measuring delay time between adjacent TSN syste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3을 참고하면, 피어 지연 개시자(peer delay initiator) 1302가 지연 시간 측정을 요청하고, 피어 지연 응답자(peer delay responder) 1304가 지연 시간 측정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피어 지연 개시자는 지연 시간 측정을 요청하는 노드이고, 피어 지연 응답자는 지연 시간 측정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피어 지연 개시자 및 피어 지연 응답자는 서로 다른 TSN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어 지연 개시자와 피어 지연 응답자는, 각각 브릿지와 브릿지, 브릿지와 마스터, 브릿지와 슬레이브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peer delay initiator 1302 requests delay time measurement, and a peer delay responder 1304 receives a request for delay time measurement. In various embodiments, a peer delay initiator may refer to a node that requests delay time measurement, and a peer delay responder may refer to a node that receives a request for delay time measurement. Additionally, peer delay initiator and peer delay responder may refer to different TSN systems. For example, peer delay initiator and peer delay responder may mean bridge and bridge, bridge and master, and bridge and slave, respectively.
1301 단계에서,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는, 시각(t1) 1312에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로 지연 시간 측정을 요청하는 Pdelay_Req 이더넷 프레임을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로 송신할 수 있다.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는 시각(t2) 1314에 Pdelay_Req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하고,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t2) 1314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시간(tir) 1320은 시각(t1) 1312과 시각(t2) 1314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In
1303 단계에서,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는, 저장한 시각(t2) 131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delay_Resp 이더넷 프레임을 시각(t3) 1316에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는 Pdelay_Resp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한 시각(t3) 1316을 저장할 수 있다.In
1305 단계에서,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는, 저장한 시각(t3) 131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delay_Resp_Follow_Up 이더넷 프레임을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로 송신할 수 있다.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는, 시각(t4)에 Pdelay_Resp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는 Pdelay_Resp_Follow_Up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는 Pdelay_Resp 이더넷 프레임과 Pdelay_Resp_Follow_Up 이더넷 프레임을 확인함으로써 시각(t2) 1314와 시각(t3 In
) 1316을 알 수 있다.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는 상술한 시각(t1) 1312, 시각(t2) 1314, 시각(t3) 1316, 시각(t4) 1318을 이용하여 인접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간(D)을 결정할 수 있다. 인접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간(D)은 하기의 <수학식 8>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You can see 1316. The peer delay initiator 1302 can determine the delay time (D) between adjacent TSN systems using the above-described time (t 1 ) 1312, time (t 2 ) 1314, time (t 3 ) 1316, and time (t 4 ) 1318. there is. The delay time (D) between adjacent TSN systems can be defined as <Equation 8> below.
<수학식 8>을 참고하면, D는 인접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각, t1은 피어 지연 개시자 1302가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로 지연 시간 측정을 요청하는 시각, t2는 피어 지연 응답자 1304가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로부터 Pdelay_Req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각, t3는 피어 지연 응답자 1304가 피어 지연 개시자 1302로 Pdelay_Resp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는 시각, t4는 피어 지연 개시자 1302가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로부터 Pdelay_Resp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시간(tri) 1322은 시각(t3) 1316과 시각(t4) 1318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술한 인접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간은 시간(tir) 1320과 시간(tri) 1322의 평균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여기서 시간(tir) 1320과 시간(tri) 1322의 평균은 평균 경로 지연(meanPathDelay)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개시자 시간 인식 시스템 1310이 응답자 시간 인식 시스템 1308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시간(tir) 1320만큼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응답자 시간 인식 시스템 1308이 개시자 시간 인식 시스템 1310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시간(tri) 1322만큼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시간(tir) 1320은 평균 경로 지연과 지연 비대칭값의 차이(meanPathDelay - delayAsymmetr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시간(tri) 1322는 평균 경로 지연과 지연 비대칭값의 합(meanPathDelay + delayAsymmetry)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피어 지연 응답자 1304는 피어 지연 개시자 1302에 의해 알려진 타임스탬프 1306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어 지연 개시자 1302에 의해 알려진 타임스탬프 1306는 t1과, t1, t2, t4와, t1, t2, t3, t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술한 인접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간은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주기적인 지연 시간의 계산과 함께, TSN 시스템 간의 neighborRateRatio도 함께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eighborRateRatio는 피어 지연 개시자 1302의 로컬 클락 프리퀀시(local clock frequency) i와, 피어 지연 응답자 1304의 로컬 클락 프리퀀시 r의 비((local clock frequency i)/(local clock frequency r))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로컬 클락 프리퀀시는 해당 TSN 시스템의 고유한 발진 진동수, 주기의 역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8>, D is the delay time between adjacent TSN systems, t 1 is the time when the peer delay initiator 1302 requests delay time measurement from the peer delay responder 1304, and t 2 is the peer delay time of the peer delay responder 1304. The time at which the Pdelay_Req Ethernet frame is received from the initiator 1302, t 3 is the time at which the peer delay responder 1304 transmits the Pdelay_Resp Ethernet frame to the peer delay initiator 1302, t 4 is the time at which the peer delay initiator 1302 transmits the Pdelay_Resp Ethernet frame from the peer delay responder 1304. This may mean the time at which the frame was received. In various embodiments, time (t ri ) 1322 may mean the difference between time (t 3 ) 1316 and time (t 4 ) 1318. In various embodiments, the delay time between adjacent TSN systems described above may be determined as the average of time (t ir ) 1320 and time (t ri ) 1322, where the average of time (t ir ) 1320 and time (t ri ) 1322 can be expressed as mean path delay (meanPathDelay). In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initiator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 시스템 간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 FIG. 14 illustrates a method of time synchronization between TSN syste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를 참고하면, 시간 인식 시스템(time-aware system)은 TSN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1401 단계에서, 시간 인식 시스템 i-1 1402의 마스터 포트(master port) 1402-1는 시각(ts, i-1) 1412에 시간 인식 시스템 i 1404의 슬레이브 포트 1408로 Sync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포트 1408은 시각(tr,i) 1416에 상술한 Sync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시각(ts, i-1) 1412과 시각(tr,i) 1416의 차이는, TSN 시스템 i-1 1402과 TSN 시스템 i 1404간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i-1 1414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a time-aware system may refer to a TSN system. In
1403 단계에서, 시간 인식 시스템 i-1 1402의 마스터 포트 1402-1는 시간 인식 시스템 i 1404의 슬레이브 포트 1408로 Follow_Up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Follow_Up 프레임은 preciseOriginTimestamp, correctionFieldi -1 및 rateRatioi -1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reciseOriginTimestamp는 TSN 도메인 내의 그랜드 마스터(Grandmaster)가 Sync 프레임을 송신한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correctionFieldi-i는 preciseOriginTimestamp와 TSN 시스템 i-1 1402이 Sync 프레임을 송신한 시각의 차이를 반영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rateRatioi - 1는 그랜드 마스터의 클락 프리퀀시와 TSN 시스템 i-1 1402의 클락 프리퀀시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Grandmaster Clock Frequency)/(Local Clock Frequency i-1)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그랜드 마스터는 TSN 시스템에서 시각 동기화를 위한 Sync 프레임을 최초로 송신하는 마스터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In
1405 단계에서, 시간 인식 시스템 i 1404의 마스터 포트 1410는 시각(ts,i) 1420에서 시간 인식 시스템 i+1 1406의 슬레이브 포트 1406-1로 Sync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포트 1406-1는 시각(tr, i+1) 1424에 상술한 Sync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시각(ts,i) 1420와 시각(tr, i+1) 1424의 차이는, TSN 시스템 i 1404와 TSN 시스템 i+1 1406의 전파 지연 i 1422 을 의미할 수 있다.In
1407 단계에서, 시간 인식 시스템 i의 마스터 포트 1410는 시간 인식 시스템 i+1 1406의 슬레이브 포트 1406-1로 Follow_Up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Follow_Up 프레임은 preciseOriginTimestamp, correctionFieldi 및 rateRatioi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orrectionFieldi 및 rateRatioi는 시간 인식 시스템 i 1404에 의해 계산된 값일 수 있다. correctionFieldi는 correctionFieldi = correctionFieldi-1 + LinkDelayi -1 + ResidenceTimei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LinkDelayi -1은 도 13에서 설명된 TSN 시스템 간의 지연 시간(D)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계산되어 평균값으로 저장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LinkDelayi - 1는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i-1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체류 시간(residence time) i 1418은 TSN 시스템 i 1404에 머무르는 시간을 나타내며, TSN 시스템 i 1404가 Sync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tr,i) 1416과, TSN 시스템 i 1404가 TSN 시스템 i+1 1406로 Sync 프레임을 송신하는 시각(ts,i) 1420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rateRatioi는 TSN 시스템 i 1404와 TSN 시스템 i+1 1406의 로컬 클락 프리퀀시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rateRatioi = rateRatioi - 1 x (Local Clock Frequencyi -1)/(Local Clock Frequencyi)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Local Clock Frequencyi -1)/(Local Clock Frequencyi)은, 도 13의 주기적인 지연 시간 측정 시에 neighborRateRatio로 계산되어 계속 업데이트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더넷 LAN 구축 시, 링크 지연(link delay)의 값은 수백 ns이고, rateRatio는 1에 가까운 값이나, 체류 시간은 10ms까지 허용되는 값이므로, TSN 시스템은 체류 시간의 값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rateRatio는 1을 기준으로 200bpm 이하의 차이를 갖는 값일 수 있다.In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 브릿지(bridge) 모델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FIG. 15 illustrates 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of a TSN bridge mod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5를 참고하면, 단말 120은 인접한 TSN 시스템과 공유하는 링크에 대한 주기적인 지연 시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 120은 링크 1 지연(D_Link1)을, UPF 130c는 링크 2 지연(D_Link2)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5에서, 단말 120, 기지국 110 및 UPF 130c를 포함하는 5G 시스템은 인접한 브릿지 2 1520에게 Sync 프레임 및 Follow_Up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 링크 지연 및 5G 시스템에 체류하는 시간인 R_5GS를 보정 필드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5G 시스템 내의 단말 120과 기지국 110 사이의 무선 지연과, 기지국 110과 UPF 130c 사이의 백홀(backhaul, BH) 지연은, 미리 결정된 지연 QoS 클래스를 적용하여 고정적이고 대칭적인 값으로 가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술한 R_5GS는 5G 시스템 구간 내의 단말 120, 기지국 110 및 UPF 130c에서의 체류 시간과 무선 지연과 백홀 지연의 합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G 시스템은 Sync 프레임에 링크 1 지연과 R_5GS를 보정 필드에 업데이트 함으로써 보정 필드의 값이 T3-T1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마스터 1510는 5G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 120로, 시간 T1에 Sync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마스터 1510는 Follow_Up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링크 1 지연(D_Link1)은 마스터 1510이 Sync 프레임을 송신한 시각 T1과 단말 120이 Sync 프레임을 수신한 시각 T2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타임 스탬프는 T1으로, 보정 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UPF 130c는 시각 T3에 브릿지 2 1520로 Sync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브릿지 2 1520는 T4에 Sync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UPF 130c는 Follow_Up 프레임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T2와 T3의 차이는 R_5GS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T3와 T4의 차이는 링크 2 지연(D_Link2)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T1으로, 보정 필드는 T3-T1으로 설정될 수 있다. 브릿지 2 1520은 T5에 슬레이브 1530로 Sync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1530는 T6에 Sync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T4와 T5의 차이는 브릿지 2 1520의 체류 시간 R_Bridge2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브릿지 2 1520은 Follow_Up 프레임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T5와 T6의 차이는 링크 3 지연(D_Link3)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T1, 보정 필드는 (T3-T1)+(T5-T3)로 설정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16은 IEEE 802.1AS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3GPP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를 이용한 시각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5, terminal 120 can periodically measure delay time on a link shared with an adjacent TSN system. That is, the terminal 120 can periodically measure the
도 16을 참고하면, 단말 120과 UPF 130c는 이웃한 TSN 시스템과 주기적인 링크 지연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 내의 체류 시간인 R_3GPP는, 상술한 도 11에서 설명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UPF 130c가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백홀의 지연 시간은 관리 시스템, 또는 별도의 측정 방법을 통해 UPF 130c가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도 16에서, R_UE는 단말 120에서의 체류 시간, R_UPF는 UPF 130c에서의 체류 시간, R_TSN는 TSN SW 1620에서의 체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BH는 지연이 대칭적인 백홀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Air)은 지연이 대칭적이지 아니한 3GPP 무선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6에서, 마스터 1610는 시각 T1에 단말 120으로 Sync 프레임과 Follow_Up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T1으로, 보정 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UPF 130c는, 단말 120 및 기지국 110을 통해 전송된 Sync 프레임 및 Follow_Up 프레임을 TSN SW 16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타임 스탬프는 T1으로, 보정 필드는 링크 지연(D_Link)과 3GPP 네트워크에서의 체류 시간인 R_3GPP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TSN SW 1620은 슬레이브 1630으로 Sync 프레임과 Follow_Up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T1으로, 보정 필드는 링크 1 지연(D_Link1)과, 3GPP 네트워크에서의 체류 시간(R_3GPP)과, 링크 2 지연(D_Link2)과, TSN SW 1620에서의 체류 시간(R_TSN)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6에서, T_UL은 단말 120이 무선으로 상향링크 이더넷을 송신하는 경우, PHY 프레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PHY 프레임은 기지국 GPS 시간과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T_UL'은 기지국 110이 무선으로부터 상향링크 이더넷을 수신하는 경우, PHY 프레임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PHY 프레임은 기지국 GPS 시간과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T_TX는 기지국 110이 UPF 130c로 GTP-U 페이로드를 송신하는 GPS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17은 IEEE 802.1AS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3GPP 네트워크에서, 하향링크를 이용한 시각 동기화 과정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6,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서의 시각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다.Figure 17 illustrates a time synchronization method in the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7을 참고하면, 단말 120과 UPF 130c는 이웃한 TSN 시스템과 주기적인 링크 지연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 내의 체류 시간인 R_3GPP는, 상술한 도 12에서 설명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단말 120이 파악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7에서 설명된 방법의 차이점은, UPF 130c가 기지국 110으로 전달하는 값이 R_UPF가 아닌 백홀의 지연시간을 포함한 R_CN이라는 점이고, 기지국 110은 R_UPF 대신 이러한 R_CN을 단말 12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백홀의 지연시간은 관리 시스템, 또는 별도의 측정 방법을 통해 UPF 130c가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도 17에서, R_UE는 단말 120에서의 체류 시간, R_UPF는 UPF 130c에서의 체류 시간, R_TSN는 TSN SW 1720에서의 체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BH는 지연이 대칭적인 백홀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Air)은 지연이 대칭적이지 아니한 3GPP 무선 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7에서, 마스터 1730는 시각 T3에 TSN SW 1720로 Sync 프레임과 Follow_Up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T3, 보정 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TSN SW 1720는 전송된 Syn 프레임 및 Follow_Up 프레임을 UPF 130c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타임 스탬프는 T3, 보정 필드는 링크 3 지연(D_Link3)과 TSN SW 1720의 체류 시간(R_TSN)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Sync 프레임 및 Follow_Up 프레임은 기지국 110 및 단말 120을 통해 슬레이브 1710으로 송신될 수 있다. 슬레이브 1710은 시각 T4에 Sync 프레임과 Follow_Up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타임 스탬프는 T3로, 보정 필드는 링크 3 지연(D_Link3)과 TSN SW 1720에서의 체류 시간(R_TSN)과 링크 2 지연(D_Link2)과 3GPP 시스템에서의 체류 시간(R_3GPP)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or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When implemented as software,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stores one or more programs (software modules) may be provided.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re configured to be executable by one or more processors in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execution). One or more programs include instructions that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execut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or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These programs (software modules, softwar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including flash memory, read only memory (ROM), and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magnetic disc storage device, compact disc-ROM (CD-ROM), digital versatile discs (DVDs), or other types of disk storage. It can be stored in an optical storage device or magnetic cassette. Alternatively, it may be stored in a memory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some or all of these. Additionally, multiple configuration memories may be included.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gram may be distribu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 intra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storage area network (SAN), or a combination thereof. It may be stored on an attachable storage device that is accessible. This storage device can be connected to a device perform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rough an external port. Additionally, a separate storage device on 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perform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elements included in the disclosure are expressed in singular or plural numbers depending on the specific embodiment presented. However, singular or plural expressions are selected to suit the presented situ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singular or plural components, and even components expressed in plural may be composed of singular or singular. Even expressed components may be composed of plural elements.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and equivalents.
Claims (28)
TSN(time sensitive network) 노드로부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5GS 내에서 소비된 체류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TSN의 노드로부터의 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5GS 내의 UE(user equipment)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의 보정 필드(correction field)에 상기 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 것인, 방법.
In the method performed by the user plane function (UPF) device of the 5th generation system (5GS),
Receiving a message for synchronization from a time sensitive network (TSN) node;
generating an updated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ime spent within 5GS and information regarding link delay from a node of the TSN;
Including transmitting the updated message to a user equipment (UE) in the 5GS,
The updated message is one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link delay is added to a correction field of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는sync 프레임 또는 follow up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1,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includes a sync frame or a follow up frame.
상기 체류 시간은 상기 UE에 의해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의 보정 필드에 추가되는 것인, 방법.
In claim 1,
The dwell time is added by the UE to a correction field of the updated message.
상기 체류 시간은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UE에 의해 슬레이브 노드로 메시지가 송신되는 시간 간의 차이인 것인, 방법.
In claim 1,
The residence tim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is received and the time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lave node by the UE that has received the updated message.
5GS 내의 UPF(user plane function) 장치로부터 상기 5GS 내에 소비된 체류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 및 보정 필드(correction field) 내의 TSN(time sensitive network)의 노드로부터의 링크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체류 시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TSN와 연관된 슬레이브 노드로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의 상기 보정 필드에 상기 체류 시간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 것인,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UE (user equipment) of 5GS (5th generation system),
For synchronization, includ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residence time spent within the 5GS from a user plane function (UPF) device within the 5GS, and link delay information from a node of a time sensitive network (TSN) in a correction field. receiving a message;
identifying the residence time; and
Transmitting an updated message to a slave node associated with the TSN, wherein the updated message has information about the residence time added to the correction field of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는sync 프레임 또는 follow up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5,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includes a sync frame or a follow up frame.
상기 링크 지연은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의 보정 필드에 추가된 것인, 방법.
In claim 5,
The link delay is added to a correction field of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상기 체류 시간은 상기 UPF 장치가 상기 TSN 노드로부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 및 상기 UE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송신한 시간 간의 차이인 것인, 방법.
In claim 5,
The residence tim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UPF device receives a message for synchronization from the TSN node and the time when the UE transmits the updated message.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TSN(time sensitive network) 노드로부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5GS 내에서 소비된 체류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TSN의 노드로부터의 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5GS 내의 UE(user equipment)에게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의 보정 필드(correction field)에 상기 링크 지연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 것인, UPF 장치.
In the UPF (user plane function) device in the 5th generation system (5GS), the UPF device,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upled to the transceiver,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e messages for synchronization from TSN (time sensitive network) nodes and
generate an updated message contain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dwell time spent within 5GS, and information regarding link delay from a node of the TSN;
Configured to transmit the updated message to a user equipment (UE) in the 5GS,
The updated message is a UPF device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link delay is added to a correction field of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는sync 프레임 또는 follow up 프레임을 포함하는 UPF 장치.
In claim 9,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is a UPF device including a sync frame or a follow up frame.
상기 체류 시간은 상기 UE에 의해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의 보정 필드에 추가되는 것인, UPF 장치.
In claim 9,
The dwell time is added by the UE to a correction field of the updated message.
상기 체류 시간은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가 수신되는 시간과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UE에 의해 슬레이브 노드로 메시지가 송신되는 시간 간의 차이인 것인, UPF 장치.
In claim 9,
The residence tim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is received and the time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lave node by the UE that has received the updated message.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5GS 내의 UPF(user plane function) 장치로부터 상기 5GS 내에 소비된 체류 시간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 및 보정 필드(correction field) 내의 TSN(time sensitive network)의 노드로부터의 링크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체류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TSN와 연관된 슬레이브 노드로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는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의 상기 보정 필드에 상기 체류 시간에 관한 정보가 추가된 것인, UE.
In a UE (user equipment) in 5GS (5th generation system), the UE,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coupled to the transceiver,
The at least one processor,
For synchronization, includ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residence time spent within the 5GS from a user plane function (UPF) device within the 5GS, and link delay information from a node of a time sensitive network (TSN) in a correction field. receive a message,
identify said residence time;
Configured to transmit an updated message to a slave node associated with the TSN,
The updated message is one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stay time is added to the correction field of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는sync 프레임 또는 follow up 프레임을 포함하는 UE.
In claim 13,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is a UE including a sync frame or a follow up frame.
상기 링크 지연은 상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의 보정 필드에 추가된 것인, UE.
In claim 13,
The link delay is added to the correction field of the message for synchronization.
상기 체류 시간은 상기 UPF 장치가 상기 TSN 노드로부터 동기화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한 시간 및 상기 UE가 상기 업데이트된 메시지를 송신한 시간 간의 차이인 것인, UE.In claim 13,
The residence tim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UPF device received a message for synchronization from the TSN node and the time when the UE transmitted the updated message.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10257 WO2020036399A1 (en) | 2018-08-13 | 2019-08-13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201980053894.1A CN112690025B (en) | 2018-08-13 | 2019-08-13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6/539,913 US11191052B2 (en) | 2018-08-13 | 2019-08-13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EP19850414.4A EP3834517A4 (en) | 2018-08-13 | 2019-08-13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7/449,239 US11792759B2 (en) | 2018-08-13 | 2021-09-28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586 | 2018-08-13 | ||
KR20180094586 | 2018-08-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9058A KR20200019058A (en) | 2020-02-21 |
KR102655526B1 true KR102655526B1 (en) | 2024-04-09 |
Family
ID=6967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8976A Active KR102655526B1 (en) | 2018-08-13 | 2018-10-05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3834517A4 (en) |
KR (1) | KR102655526B1 (en) |
CN (1) | CN112690025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18325B (en) * | 2020-06-28 | 2023-11-28 | 珠海世纪鼎利科技股份有限公司 |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acquiring 5G user residence time under NSA architecture |
KR20220042915A (en) | 2020-09-28 | 2022-04-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fomration of first communication network to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in communication system |
CN113316184B (en) * | 2021-05-21 | 2022-09-02 | Tcl通讯(宁波)有限公司 | 5G network injection time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display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CN115776732A (en) * | 2021-09-06 | 2023-03-10 |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 Network bridge determination method, data schedu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08661A1 (en) | 2002-03-29 | 2004-01-15 | Myles Andrew F. |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
WO2008143907A1 (en) | 2007-05-15 | 2008-11-27 | Zwire, Inc. | Clock synchroniz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US20080304521A1 (en) | 2007-06-05 | 2008-12-1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Internal signaling method to support clock synchronization of nodes connected via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US20150110231A1 (en) | 2013-10-18 | 2015-04-23 | Ixia |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lock synchronization |
US20170064661A1 (en) | 2015-09-02 | 2017-03-02 | Fujitsu Limited | Base station system, radio device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389B1 (en) * | 2008-08-14 | 2010-10-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Time synchronization method with fixed delay time and bridge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
US8416812B2 (en) * | 2008-09-22 | 2013-04-09 | Codrut Radu Radulescu | Network timing synchronization systems |
WO2013117217A1 (en) * | 2012-02-07 | 2013-08-15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and device for resident time calculation and synchronization |
US8879552B2 (en) * | 2012-02-22 | 2014-11-04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Precision time protocol offloading in a PTP boundary clock |
US9112631B2 (en) * | 2013-09-11 | 2015-08-18 | Khalifa University of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 Method and devices for frequency distribution |
US9671822B2 (en) * | 2014-12-11 | 2017-06-06 | Khalifa University Of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 Method and devices for time transfer using end-to-end transparent clocks |
-
2018
- 2018-10-05 KR KR1020180118976A patent/KR102655526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8-13 EP EP19850414.4A patent/EP3834517A4/en active Pending
- 2019-08-13 CN CN201980053894.1A patent/CN112690025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08661A1 (en) | 2002-03-29 | 2004-01-15 | Myles Andrew F. |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
WO2008143907A1 (en) | 2007-05-15 | 2008-11-27 | Zwire, Inc. | Clock synchroniz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US20080304521A1 (en) | 2007-06-05 | 2008-12-1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Internal signaling method to support clock synchronization of nodes connected via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US20150110231A1 (en) | 2013-10-18 | 2015-04-23 | Ixia |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lock synchronization |
US20170064661A1 (en) | 2015-09-02 | 2017-03-02 | Fujitsu Limited | Base station system, radio device and method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3GPP S1-18055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690025A (en) | 2021-04-20 |
KR20200019058A (en) | 2020-02-21 |
EP3834517A1 (en) | 2021-06-16 |
CN112690025B (en) | 2024-10-22 |
EP3834517A4 (en) | 2021-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92759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60238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77857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burst arrival time reference clock based on time-sensitive communication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KR10265552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231644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 |
CN110971326A (en) | A method and device for time synchronization | |
CN113796117B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ime ma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 |
CN11376768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burst arrival time reference clock based on time sensitive communication assistanc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US20230291489A1 (en) |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5g time synchronization | |
WO2023000926A1 (en) | Clock synchroniz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CN116887392B (en) | Transmission delay compens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6847449A (en) | Timing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
RU2777434C1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synchronising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WO2024140462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23005099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TW202410660A (en) | Tim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 |
WO2025103212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CN120151246A (en) | Time delay measur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thereof | |
KR2021003830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ts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