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49B1 -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3949B1 KR102653949B1 KR1020230136498A KR20230136498A KR102653949B1 KR 102653949 B1 KR102653949 B1 KR 102653949B1 KR 1020230136498 A KR1020230136498 A KR 1020230136498A KR 20230136498 A KR20230136498 A KR 20230136498A KR 102653949 B1 KR102653949 B1 KR 102653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one
- inflatable
- balloon
- centering
- rotating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90—Launching from or landing on platforms
- B64U70/97—Means for guiding the UAV to a specific location on the platform, e.g. platform structures preventing landing off-cent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30—Lighter-than-air aircraft, e.g. aerostatic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장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센터링 시스템(20) 및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풍선 드론(3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 및 위도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의 센터링을 조절하고, 상기 풍선 드론(30)은 내측에 헬륨이 수용되고,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풍선 드론(30)이 안착되는 안착부(21), 상기 안착부(21)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풍선 드론(30)을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위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회전판(26), 상기 안착부(21)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롤(27) 및 상기 안착부(21)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롤(28)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에어의 흡입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위도 방향은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경도 방향은 상기 제1 회전롤(27)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구형의 풍선 드론이 비행 후, 자동으로 헬륨 가스의 주입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착륙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로 센터링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선 드론은 풍선과 유사한 신개념 소형 드론을 의미한다. 풍선 드론은 사람과 충돌해도 안전할 뿐만 아니라, 저속으로 이동하며, 항공촬영도 할 수 있어, 새로운 종류의 드론 시장을 열 것으로 주목된다.
비행기와 유사한 기존 드론은 특정 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없을 때에도 전기모터 또는 엔진을 이용하여 끊임없이 프로펠러를 돌려야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풍선 드론은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인 헬륨을 풍선 드론에 채워 공중에 머무를 수 있다.
풍선 드론은 사람과 충돌해도 상처를 입히지 않아, 사람이 다칠 염려가 없다. 몸으로 부딪쳐도 되고, 손으로 슬쩍 밀어도 거리를 충분히 벌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사람이 붐비는 실내에서 운용하기에 적합하다. 풍선 드론의 비행 속도는 사람 보통 걸음의 절반 수준으로 느린 편이다. 풍선 드론에 카메라를 장착하면 피사체를 공중에서 느린 속도로 이동하며, 지켜보는 독특한 영상을 찍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풍선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은 상기 풍선 드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풍선 드론이 정확한 기준 위치에 착륙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풍선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은 상기 풍선 드론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착륙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풍선 드론의 관리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형의 풍선 드론이 비행 후, 자동으로 헬륨 가스의 주입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착륙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로 센터링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선 드론이 자동으로 헬륨 가스의 주입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센터링 작업을 통해 기준 위치 및 상태로 착륙할 수 있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선 드론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회전판의 에어 흡입 및 1차 회동을 통해 상기 풍선 드론이 기준 경도로 이동하고, 상기 풍선 드론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회전롤 및 제2 회전롤의 2차 회동을 통해 기준 위도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회전판의 에어 흡입 및 3차 회동을 통해 기준 위치로 센터링할 수 있어, 풍선 드론의 관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은 지면에 장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센터링 시스템(20) 및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풍선 드론(3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 및 위도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의 센터링을 조절하고, 상기 풍선 드론(30)은 내측에 헬륨이 수용되고,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풍선 드론(30)이 안착되는 안착부(21), 상기 안착부(21)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풍선 드론(30)을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위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회전판(26), 상기 안착부(21)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롤(27) 및 상기 안착부(21)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롤(28)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에어의 흡입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위도 방향은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경도 방향은 상기 제1 회전롤(27)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선 드론(30) 착륙 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35) 및 상기 센서부(35)에 의해 감지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센터링 정보를 획득하여, 하부 회전판(26),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센서부(35)에 의해 감지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센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부(41) 및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센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정보는 상기 하부 회전판(26)에 의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도 방향 회전에 대한 센터링 지점인 기준 경도 지점 및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에 의한 상기 풍선 드론(30)의 경도 방향 회전에 대한 센터링 지점인 기준 위도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경도 지점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1차로 회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은상기 풍선 드론(30)의 외측에서 상기 풍선 드론(30)의 최하단에 위치한 지점이고,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하부 회전판(26)의 1차 회동 후,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위도 지점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이 2차로 각각 회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2차 회동 후,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경도 지점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3차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롤(27)은 원통의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원통부(27a) 및 상기 제1 원통부(27a)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축(27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롤(28)은 원통의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원통부(28a) 및 상기 제2 원통부(28a)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축(2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21)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링부(22), 상기 링부(22)의 좌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보강부(23), 상기 링부(22)의 우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보강부(24) 및 상기 제1 보강부(23) 및 제2 보강부(24)의 상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부(25)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22)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볼록하고, 굴곡진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풍선 드론(30)의 좌측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24)는 상기 제1 보강부(23)와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25)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중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부(22)는 상면 중심에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일면 타측에 제1 원통부(27a)가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홀(23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전면 및 후면 타측에 제1 지지축(27b)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홀(23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24)는 일면 일측에 제2 원통부(28a)가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공(2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24)는 전면 및 후면 일측에 제2 지지축(28b)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24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면 중앙에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홀(26a)이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오목홀(26a)은 상면 중앙에 삽입홀(26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면 가장자리에 에어를 이용하여 상기 풍선 드론(30)을 잡아 당겨 밀착시킬 수 있도록 흡입홀(26c)이 다수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지면에 다수 장착되는 장착부(11), 상기 장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부(12),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부(13) 및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부(14)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12)는 상면에 하부 회전판(26)이 삽입되는 관통홀(1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13)는 상부에 제1 경사부(13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13a)는 상부 일측에 제1 굴곡부(13b)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14)는 상부에 제2 경사부(14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부(14a)는 상부 일측에 제2 굴곡부(14b)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은 구형의 풍선 드론이 비행 후, 자동으로 헬륨 가스의 주입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착륙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로 센터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은 풍선 드론이 자동으로 헬륨 가스의 주입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센터링 작업을 통해 기준 위치 및 상태로 착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은 풍선 드론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회전판의 에어 흡입 및 1차 회동을 통해 상기 풍선 드론이 기준 경도로 이동하고, 상기 풍선 드론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회전롤 및 제2 회전롤의 2차 회동을 통해 기준 위도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회전판의 에어 흡입 및 3차 회동을 통해 기준 위치로 센터링할 수 있어, 풍선 드론의 관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베이스 및 센터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풍선 드론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센터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센터링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호 A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기호 B의 상세도이다.
도 8은 센서부 및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9는 하부 회전판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회전롤 및 제2 회전롤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베이스 및 센터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풍선 드론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센터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센터링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호 A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기호 B의 상세도이다.
도 8은 센서부 및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9는 하부 회전판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회전롤 및 제2 회전롤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5)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베이스(10) 및 센터링 시스템(2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5)는 베이스(10), 센터링 시스템(20) 및 풍선 드론(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10)는 지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풍선 드론(30)은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 및 위도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의 센터링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위도 방향은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경도 방향은 상기 제1 회전롤(27)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은 풍선 드론(30)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풍선 드론(30)의 내측에는 헬륨이 수용된다. 이때, 풍선 드론(30)은 내측이 비어 있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는 센터링 시스템(2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센터링 시스템(2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호 A의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기호 B의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센터링 시스템(20)은 안착부(21), 하부 회전판(26),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안착부(21)에는 상기 풍선 드론(30)이 안착된다.
그리고, 하부 회전판(26)은 상기 안착부(21)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풍선 드론(30)을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위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1 회전롤(27)은 상기 안착부(21)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 회전롤(27)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회전롤(28)은 상기 안착부(21)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 회전롤(28)은 제1 회전롤(27)과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에어의 흡입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8은 센서부(35) 및 컨트롤러(4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5)는 센서부(35) 및 컨트롤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센서부(35)는 상기 풍선 드론(30) 착륙 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센서부(35)는 GPS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는 상기 센서부(35)에 의해 감지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센터링 정보를 획득하여, 하부 회전판(26),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구동을 각각 제어한다.
한편, 컨트롤러(40)는 분석부(41) 및 제어부(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석부(41)는 상기 센서부(35)에 의해 감지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센터링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42)는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센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구동을 각각 제어한다.
이때, 센터링 정보는 기준 위도 지점 및 기준 경도 지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기준 경도 지점은 상기 하부 회전판(26)에 의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도 방향 회전에 대한 센터링 지점이다.
그리고, 기준 위도 지점은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에 의한 상기 풍선 드론(30)의 경도 방향 회전에 대한 센터링 지점이다.
도 9는 하부 회전판(26)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도록 제어한다.
그 이후,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경도 지점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1차로 회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은 위도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은 상기 풍선 드론(30)의 외측에서 상기 풍선 드론(30)의 최하단에 위치한 지점을 의미한다.
도 10은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하부 회전판(26)의 1차 회동 후,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 이후,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위도 지점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이 2차로 각각 회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은 센터링 시스템(20) 하부의 사전에 설정된 센터 위치로 이동한다.
그 이후,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2차 회동 후,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도록 제어한다.
그 이후,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경도 지점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3차로 회동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은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풍선 드론(30)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에 대한 센터링이 완료된다.
한편, 제1 회전롤(27)은 제1 원통부(27a) 및 제1 지지축(27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원통부(27a)는 원통의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지지축(27b)은 상기 제1 원통부(27a)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 지지축(27b)은 원통의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2 회전롤(28)은 제2 원통부(28a) 및 제2 지지축(28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2 원통부(28a)는 원통의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지지축(28b)은 상기 제2 원통부(28a)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축(28b)은 원통의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안착부(21)는 링부(22), 제1 보강부(23), 제2 보강부(24) 및 테두리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링부(22)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보강부(23)의 하단은 상기 링부(22)의 좌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보강부(24)의 하단은 상기 링부(22)의 우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테두리부(25)는 상기 제1 보강부(23) 및 제2 보강부(24)의 상단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링부(22)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볼록하고, 굴곡진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좌측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보강부(24)는 상기 제1 보강부(23)와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25)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중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 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링부(22)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22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22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보강부(23)의 일면 타측에는 제1 원통부(27a)가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홀(23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사각홀(23a)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사각홀(23a)의 단면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보강부(23)의 전면 및 후면 타측에는 제1 지지축(27b)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홀(23b)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결합홀(23b)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홀(23b)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보강부(24)의 일면 일측에는 제2 원통부(28a)가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공(24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보강부(24)의 전면 및 후면 일측에는 제2 지지축(28b)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24b)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회전판(26)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홀(26a)이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때, 오목홀(26a)은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홀(26a)의 상면 중앙에는 삽입홀(26b)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에어를 이용하여 상기 풍선 드론(30)을 잡아 당겨 밀착시킬 수 있도록 흡입홀(26c)이 다수 관통 형성된다.
도 11은 베이스(10)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10)는 장착부(11), 플레이트부(12), 제1 고정부(13) 및 제2 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장착부(11)는 지면에 다수 장착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12)는 상기 장착부(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플레이트부(12)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측이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13)는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부(13)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부(14)는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 타측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제2 고정부(14)는 제1 고정부(13)와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에는 하부 회전판(26)이 삽입되는 관통홀(12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12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하부 회전판(26)은 관통홀(12a)에 관통 삽입되어, 관통홀(12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방향 및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13)의 상부에는 제1 경사부(13a)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경사부(13a)의 상부 일측에는 제1 굴곡부(13b)가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1 굴곡부(13b)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14)의 상부에는 제2 경사부(14a)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부(14a)의 상부 일측에는 제2 굴곡부(14b)가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2 굴곡부(14b)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5)는 구형의 풍선 드론(30)이 비행 후, 자동으로 헬륨 가스의 주입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착륙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로 센터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5)는 풍선 드론(30)이 자동으로 헬륨 가스의 주입 및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센터링 작업을 통해 기준 위치 및 상태로 착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5)는 풍선 드론(3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 회전판(26)의 에어 흡입 및 1차 회동을 통해 상기 풍선 드론(30)이 기준 경도로 이동하고,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2차 회동을 통해 기준 위도로 이동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의 에어 흡입 및 3차 회동을 통해 기준 위치로 센터링할 수 있어, 풍선 드론(30)의 관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5)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5: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10: 베이스 11: 장착부
12: 플레이트부 12a: 관통홀
13: 제1 고정부 13a: 제1 경사부
13b: 제1 굴곡부 14: 제2 고정부
14a: 제2 경사부 14b: 제2 굴곡부
20: 센터링 시스템 21: 안착부
22: 링부 22a: 관통공
23: 제1 보강부 23a: 사각홀
23b: 결합홀 24: 제2 보강부
24a: 사각공 24b: 결합공
25: 테두리부 26: 하부 회전판
26a: 오목홀 26b: 삽입홀
26c: 흡입홀 27: 제1 회전롤
27a: 제1 원통부 27b: 제1 지지축
28: 제2 회전롤 28a: 제2 원통부
28b: 제2 지지축 30: 풍선 드론
32: 제1 고정 클립 33: 제2 고정 클립
33a: 주입홀 35: 센서부
40: 컨트롤러 41: 분석부
42: 제어부
10: 베이스 11: 장착부
12: 플레이트부 12a: 관통홀
13: 제1 고정부 13a: 제1 경사부
13b: 제1 굴곡부 14: 제2 고정부
14a: 제2 경사부 14b: 제2 굴곡부
20: 센터링 시스템 21: 안착부
22: 링부 22a: 관통공
23: 제1 보강부 23a: 사각홀
23b: 결합홀 24: 제2 보강부
24a: 사각공 24b: 결합공
25: 테두리부 26: 하부 회전판
26a: 오목홀 26b: 삽입홀
26c: 흡입홀 27: 제1 회전롤
27a: 제1 원통부 27b: 제1 지지축
28: 제2 회전롤 28a: 제2 원통부
28b: 제2 지지축 30: 풍선 드론
32: 제1 고정 클립 33: 제2 고정 클립
33a: 주입홀 35: 센서부
40: 컨트롤러 41: 분석부
42: 제어부
Claims (7)
- 지면에 장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센터링 시스템(20); 및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풍선 드론(30);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 및 위도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의 센터링을 조절하고,
상기 풍선 드론(30)은
내측에 헬륨이 수용되고,
상기 센터링 시스템(20)은
상기 풍선 드론(30)이 안착되는 안착부(21);
상기 안착부(21)의 하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풍선 드론(30)을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위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하부 회전판(26);
상기 안착부(21)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롤(27); 및
상기 안착부(21)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어,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풍선 드론(30)을 경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회전롤(28);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에어의 흡입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위도 방향은
상기 안착부(21)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경도 방향은
상기 제1 회전롤(27)의 전후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방향이고,
상기 풍선 드론(30) 착륙 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35); 및
상기 센서부(35)에 의해 감지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센터링 정보를 획득하여, 하부 회전판(26),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센서부(35)에 의해 감지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센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분석부(41); 및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센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정보는
상기 하부 회전판(26)에 의한 상기 풍선 드론(30)의 위도 방향 회전에 대한 센터링 지점인 기준 경도 지점; 및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에 의한 상기 풍선 드론(30)의 경도 방향 회전에 대한 센터링 지점인 기준 위도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경도 지점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1차로 회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 센터점은
상기 풍선 드론(30)의 외측에서 상기 풍선 드론(30)의 최하단에 위치한 지점이고,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하부 회전판(26)의 1차 회동 후,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위도 지점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이 2차로 각각 회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42)는
상기 제1 회전롤(27) 및 제2 회전롤(28)의 2차 회동 후, 상기 풍선 드론(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에어를 흡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석부(41)에 의해 획득된 기준 경도 지점에 따라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3차로 회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롤(27)은
원통의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원통부(27a); 및
상기 제1 원통부(27a)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지지축(27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롤(28)은
원통의 형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원통부(28a); 및
상기 제2 원통부(28a)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2 지지축(2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1)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에 구비되는 링부(22);
상기 링부(22)의 좌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보강부(23);
상기 링부(22)의 우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보강부(24); 및
상기 제1 보강부(23) 및 제2 보강부(24)의 상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테두리부(25);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22)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볼록하고, 굴곡진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풍선 드론(30)의 좌측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24)는
상기 제1 보강부(23)와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25)는
상기 풍선 드론(30)의 중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22)는
상면 중심에 상기 하부 회전판(26)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2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일면 타측에 제1 원통부(27a)가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홀(23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부(23)는
전면 및 후면 타측에 제1 지지축(27b)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홀(23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24)는
일면 일측에 제2 원통부(28a)가 배치될 수 있도록 사각공(2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24)는
전면 및 후면 일측에 제2 지지축(28b)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24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면 중앙에 상기 풍선 드론(3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홀(26a)이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오목홀(26a)은
상면 중앙에 삽입홀(26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판(26)은
상면 가장자리에 에어를 이용하여 상기 풍선 드론(30)을 잡아 당겨 밀착시킬 수 있도록 흡입홀(26c)이 다수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지면에 다수 장착되는 장착부(11);
상기 장착부(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부(12);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부(13); 및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부(14);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12)는
상면에 하부 회전판(26)이 삽입되는 관통홀(1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13)는
상부에 제1 경사부(13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부(13a)는
상부 일측에 제1 굴곡부(13b)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14)는
상부에 제2 경사부(14a)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부(14a)는
상부 일측에 제2 굴곡부(14b)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6498A KR102653949B1 (ko) | 2023-10-13 | 2023-10-13 |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6498A KR102653949B1 (ko) | 2023-10-13 | 2023-10-13 |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3949B1 true KR102653949B1 (ko) | 2024-04-03 |
Family
ID=9066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36498A Active KR102653949B1 (ko) | 2023-10-13 | 2023-10-13 |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3949B1 (ko)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4616A (ko) * | 2009-09-02 | 2011-03-0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형 탑재부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탑재를 위한 무인지상차량 |
KR20130085064A (ko) * | 2010-02-11 | 2013-07-26 | 호워드 엠. 친 | 로켓 발사 시스템 |
US9499265B2 (en) * | 2014-07-02 | 2016-11-22 | Skycatch, Inc. |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interface |
US20190138028A1 (en) * | 2017-08-16 | 2019-05-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and system for land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
KR101992581B1 (ko) | 2018-12-28 | 2019-06-24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드론 및 풍선을 이용한 기상 관측 장치 |
US20200001994A1 (en) * | 2018-06-28 | 2020-01-02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Telepresence drones and telepresence drone systems |
US20200057455A1 (en) * | 2016-10-18 | 2020-02-20 | Altaeros Energ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lighter-than-air airborne platform |
US20200262583A1 (en) * | 2019-02-15 | 2020-08-20 | Hoverfly Technologies, Inc. | Landing structur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
US20210144306A1 (en) * | 2017-07-06 | 2021-05-13 |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 Mobile image pickup device |
KR20210073320A (ko) * | 2019-12-10 | 2021-06-18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드론용 도킹 시스템 |
KR20230059585A (ko) * | 2021-10-26 | 2023-05-03 | (주)엑스오비스 | 공연용 드론 |
KR20230100833A (ko) * | 2021-12-28 | 2023-07-06 | 양찬열 | 공간 연출 기능이 구비된 다수의 비행 오브젝트 및 자율 비행 제어 시스템 |
-
2023
- 2023-10-13 KR KR1020230136498A patent/KR10265394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4616A (ko) * | 2009-09-02 | 2011-03-0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구형 탑재부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탑재를 위한 무인지상차량 |
KR20130085064A (ko) * | 2010-02-11 | 2013-07-26 | 호워드 엠. 친 | 로켓 발사 시스템 |
US9499265B2 (en) * | 2014-07-02 | 2016-11-22 | Skycatch, Inc. |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interface |
US20200057455A1 (en) * | 2016-10-18 | 2020-02-20 | Altaeros Energie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lighter-than-air airborne platform |
US20210144306A1 (en) * | 2017-07-06 | 2021-05-13 |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 Mobile image pickup device |
US20190138028A1 (en) * | 2017-08-16 | 2019-05-0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and system for land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
US20200001994A1 (en) * | 2018-06-28 | 2020-01-02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Telepresence drones and telepresence drone systems |
KR101992581B1 (ko) | 2018-12-28 | 2019-06-24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드론 및 풍선을 이용한 기상 관측 장치 |
US20200262583A1 (en) * | 2019-02-15 | 2020-08-20 | Hoverfly Technologies, Inc. | Landing structur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
KR20210073320A (ko) * | 2019-12-10 | 2021-06-18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드론용 도킹 시스템 |
KR20230059585A (ko) * | 2021-10-26 | 2023-05-03 | (주)엑스오비스 | 공연용 드론 |
KR20230100833A (ko) * | 2021-12-28 | 2023-07-06 | 양찬열 | 공간 연출 기능이 구비된 다수의 비행 오브젝트 및 자율 비행 제어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97515B2 (en) | Charging/re-charging drone assembly system and apparatus | |
CN107054641B (zh) | 磁定向制动器 | |
US10424231B2 (en) | Self charging lightweight drone apparatus | |
JP6395835B2 (ja) | Uavのバッテリー電源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US9262929B1 (en) | Ground-sensitive trajectory generation for UAVs | |
ES2912892T3 (es) | Base de estacionamiento y de gestión automática para drones | |
US20180057135A1 (en) | Self-righting aeronautical vehicle and method of use | |
CN205652330U (zh) | 带投影仪的飞行机器人 | |
CN106586006B (zh) | 一种可在地面全向滚动的陆空两栖旋翼飞行器及其安装和控制方法 | |
KR101668643B1 (ko) | 시선각 장치가 환형으로 회전가능한 구형의 무인항공기 | |
CN103365298A (zh) | 无人飞行器的飞行辅助系统和方法 | |
US20170361930A1 (en) | Flying vehicle | |
US20150291272A1 (en) | Self-righting frame and aeronautical vehicle | |
KR101962389B1 (ko) | 드론 비행 연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놀이기구 | |
EP3386851A1 (en) | Propeller alignment devices | |
CN107215158B (zh) | 陆空两用旋翼飞行器 | |
KR102653949B1 (ko) | 풍선드론 스테이션 및 센터링 시스템 | |
ES2973530T3 (es) | Sistema y método de atracción de cine de cúpula | |
CN107813959A (zh) | 一种通用型无人机弹射平台 | |
CN206417211U (zh) | 一种可在地面全向滚动的陆空两栖旋翼飞行器 | |
CN105030429A (zh) | 一种飞行担架 | |
US20250115379A1 (en) | Unmanned Aerial Vehicle And Landing System | |
CN105129088A (zh) | 一种球形单轴舵导向智能飞行器 | |
CN115571362A (zh) | 无人机群多通道发射平台和回收系统及其使用方法 | |
WO2017099554A1 (ko) | 지면 이동 및 자력 상승 가능한 드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