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3692B1 -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 Google Patents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692B1
KR102653692B1 KR1020190066008A KR20190066008A KR102653692B1 KR 102653692 B1 KR102653692 B1 KR 102653692B1 KR 1020190066008 A KR1020190066008 A KR 1020190066008A KR 20190066008 A KR20190066008 A KR 20190066008A KR 102653692 B1 KR102653692 B1 KR 10265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trunk
isolation board
board
fu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462A (ko
Inventor
이희승
Original Assignee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6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6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006Gas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486Fuel tan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the tank or parts thereof are essentially made 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에 관합니다.
특히 차실과 트렁크가 공간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SUV 차량의 경우에는 LPG 연료 봄베를 차실과 완벽하게 격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연료 봄베가 차량의 탑승자에게 노출된 상태로 차량을 운전하는 상황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연료 봄베를 격리함과 동시에, 봄베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게다가 트렁크 카펫 위로 놓이는 다양한 하중이 연료 봄베에 전해지지 않도록 내하중성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해결과제를 충실히 달성한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를 제안합니다.

Description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THE ISOLATION BOARD FOR FUEL TANK OF LPG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보드에 관하며, 특히 LPG 차량의 트렁크 안에 설치되는 보드에 관한다.
가솔린이나 경유를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보다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이 미세먼지 확산 방지에 더 친화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 많은 사람이 LPG 차량을 선택할 것이며, 더 많은 차량이 연료를 LPG로 변경하면서 LPG 연료 탱크를 차량 안에 설치할 것으로 전망된다. 탑승자가 있는 차실 안에는 안전 등의 이유로 연료 탱크를 설치할 수 없다. 그러므로 LPG 차량은 트렁크에 LPG 연료 탱크가 설치되었다.
종래 LPG 차량은 세단 유형의 차량이었으며 차실과 연료 탱크가 설치된 트렁크가 구조적으로 격리되었다. 그러나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과 같은 유형에서는 차실과 트렁크가 구조적으로 격리되어 있지 않다. 이런 차량에 연료 탱크를 설치하는 경우라면, 연료 탱크가 위치하는 부분과 차실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격리할 수 있을까?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연료 탱크에서 발생하는 각종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를 저감함으로써 승차감을 확보해야 하고, 그러면서도 동시에 연료 탱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하고 개발하면서 계속 시행착오를 반복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선행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0408호
선행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96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실과 트렁크가 물리적으로/구조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차량에서도 LPG 연료 탱크가 위치하는 공간을 차실과 완벽히 격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이해하고 제안하는 "격리"라는 개념은 단순히 연료탱크를 보이지 않게 차단했다는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성 확보뿐만 아니라, 각종 NVH를 저감하고 동시에 연료 탱크를 간단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격리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국면은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로서, 차실과 트렁크가 공간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차량에서 이너 튜브 형상의 연료 봄베 또는 원판형 연료 봄베인 연료 탱크가 설치되는 트렁크 바닥의 움푹 들어간 연료 탱크 포지션을 위쪽에서 격리하도록 사각 시트 형상의 복수 레이어로 이루어진 격리 보드로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격리 보드는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의 보드 지지대 및 트렁크 양측 측벽 브라켓 위에 놓이고, 각 레이어마다 동일한 위치에 상기 연료 탱크의 게이지를 관리하는 홀과 상기 보드 지지대와 상기 격리 보드를 체결구로 체결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레이어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재질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국면은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로서, 사각 시트 형상의 복수 레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료 탱크 위로 차음 시트 레이어와 상기 차음 시트 레이어 위로 금속 시트 레이어와, 상기 금속 시트 레이어 위로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트렁크 보드가 차례로 적층되어 상하 한 개의 어셈블리로 체결되되, 상기 트렁크 보드는 나머지 레이어들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도록 네 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되며, 이러한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가 상기 연료 탱크가 설치되는 트렁크 바닥 중앙의 움푹 들어간 연료 탱크 포지션을 위쪽에서 격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음 시트 레이어는 펠트 시트와 수지 시트 이중 레이어로,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이중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국면은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로서, 이너 튜브 형상의 연료 봄베 또는 원판형 연료 봄베인 연료 탱크가 설치되는 차량 트렁크 바닥의 움푹 들어간 연료 탱크 포지션을 위쪽에서 격리하도록 사각 시트 형상의 복수 레이어로 이루어진 격리 보드 어셈블리이며,
상기 연료 탱크 위로 차음 시트 레이어와, 상기 차음 시트 레이어 위로 금속 시트 레이어와, 상기 금속 시트 레이어 위로 아래쪽 나머지 레이어들을 감싸면서 위치하는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트렁크 보드가 차례로 적층되면서 상하 한 개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의 보드 지지대 위에 놓이고, 각 레이어마다 동일한 위치에 상기 연료 탱크의 게이지를 관리하는 홀과 상기 보드 지지대와 상기 격리 보드를 체결구로 체결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차실과 트렁크가 공간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SUV 차량을 LPG 차량으로 제조하거나 개조하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유형의 차량에 LPG 연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LPG 연료 봄베를 차실과 완벽하게 격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격리 보드는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연료 봄베를 격리함과 동시에, 봄베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트렁크 카펫 위로 놓이는 다양한 하중이 연료 봄베에 전해지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하중의 문제는 본 발명의 보드를 지지하는 연료 탱크 포지션의 네 개의 보드 지지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격리 보드는 트렁크 하중이 연료 봄베의 안정성 문제를 초래 않도록 안정성을 충분히 보장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LPG 차량의 연료 탱크 포지션(10)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격리 보드(100)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리 보드(100)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격리 보드(100) 어셈블리의 각 부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격리 보드(100)가 연료 탱크 포지션(10) 위에 설치된 상태를 횡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격리 보드(100)의 단면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LPG 차량에는 LPG 연료 봄베가 설치된다. 선행 특허문헌 2 명세서(도 3,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의 기다란 원통형 봄베(실린더형 봄베)를 트렁크에 설치하는 경우, 트렁크의 공간이 매우 비좁아진다. 그러나 더욱 큰 문제는 차실과의 격리에 있다. 세단 형태의 차량에서는 차실과 트렁크가 구조적으로 격리되어 있지만, SUV 형태의 차량에서는 차실과 트렁크가 공간적으로 격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다란 원통형 봄베를 사용할 수 없다.
한편 차량의 트렁크 룸의 바닥에는 스페어 타이어용 적재공간인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용 홈에 이너 튜브 형상의 연료 봄베를 설치해서 LPG 차량을 제조, 시판해 왔다. 그것은 선행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도넛TM 봄베이기도 했다. 선행특허문헌 2에서는 "원판형 봄베"로 표현했다(선행특허문헌 2의 도 10). 그런데 이러한 이너 튜브 형상의 연료 봄베 또는 원판 형상의 연료 봄베를 스페어 타이어용 적재공간에 설치함으로써 트렁크 적재 공간이 작아지지 않게 하더라도, 차실과 트렁크의 격리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SUV 형태의 차량에서 트렁크 트림(Trunk Trim)은 연료 봄베를 시각적으로 은폐할 뿐이다. 이런 종류의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용 적재공간에 연료 봄베를 설치해서 트렁크 카펫으로 덮었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차실과 충분히 격리되어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해결했다. 먼저 스페어 타이어용 적재공간으로 활용되어 왔던, 연료 탱크가 설치되는 트렁크 바닥의 움푹 들어간 위치를 "연료 탱크 포지션"이라고 칭하자.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의 연료 탱크 포지션(10)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점선으로 표시한 연료 탱크 포지션(10)은 차량(1)의 트렁크(2)에 설치된다. 연료 봄베(11)는 네 개의 브라켓(12)에 의해 차체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격리 보드는 이 연료 봄베(11)가 설치된 연료 탱크 포지션(10)을 위쪽에서 격리한다. 그러면 이 연료 탱크 포지션(10)을 기준으로 뒤쪽으로는 에이프론(Apron: 4)이, 차실 쪽으로는 익스텐션 카펫(Extension Carpet: 5)이, 양쪽으로는 트림(3)(더욱 상세하게는 좌우에 설치된 측벽 브라켓, 이하 같다)에 의해 막히게 된다.
여기에서 두 가지 해결과제가 대두된다. 첫째 연료 봄베(11) 위로 지나친 하중에 가해지면 안 된다는 것이다. 후술하는 격리 보드로 연료 탱크 포지션(10)을 위쪽에서 격리하더라도 단순히 연료 봄베(11) 위쪽에서 덮는 것만으로는 불가하다. 트렁크 특성상 100 kg 이상의 짐이 실리게 되고, 그러면 그 하중이 격리 보드를 통해 전적으로 연료 봄베(11)에 가해지기 때문에 안전성과 안정성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둘째 본 발명의 격리 보드는 연료 탱크 포지션(10)을 체결수단으로 위에서 견고하게 봉인하게 되는데 보드 아래 쪽 상태를 용이하게 볼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연료 봄베(11)에는 연료를 엔진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여러 구성뿐만 아니라 연료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게이지(15)가 설치되어 있다. 격리 보드에 의한 완벽한 연료 탱크 포지션(10) 격리는 게이지(15) 관리에도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봄베 브라켓(12) 위로 격리 보드 지지대(13)를 복수 개 설치하였다. 이 보드 지지대(13) 위에 격리 보드가 놓이게 됨으로써 트렁크 하중이 연료 봄베(11)에 직접 전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는 것처럼, 격리 보드의 양쪽 단부는 측벽 브라켓(미도시) 위에 놓이고, 전후 단부는 각각 에이프론(4)과 익스텐션 카펫(5) 위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차실과 연료 탱크 포지션(10)을 물리적으로 격리함과 동시에 봄베로의 하중 전달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연료 탱크 포지션(10) 위로 설치된 사각 형태의 격리 보드(100)를 위쪽에서 바라본 상태로 나타내었다. 도 3의 실시예의 격리 보드(100)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수밀확인 덮개(191, 191) 구성이 추가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연료 탱크 포지션 위로 격리 보드(100)가 위치하고 양쪽의 차량 트림(3), 에이프론(4) 및 익스텐션 카펫(5)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 있다. 덮개만으로 격리되어 있다고 말할 수는 없고, 이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연료 탱크 포지션은 격리 보드(10)와 자동차의 각 트렁크 부재에 의해 물리적으로 차단된다.
본 발명의 격리 보드(100)는 복수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결합되어 있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최상층의 제1레이어(110)는 트렁크 보드이며,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1레이어(110)을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공(113)이 설치된다. 이 체결공(113)들에 체결구를 삽입(체결구는 아래의 레이어들(120, 130)의 대응 위치에 각가 설치된 체결공(123, 133)을 관통한다)하여 도 1의 보드 지지대(13)에 형성된 홀까지 견고하게 넣음으로써 격리 보드(100)가 연료 탱크 포지션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연료 봄베의 게이지(15)가 위치하는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게이지 관리 홀이 형성되고, 이 게이지 관리 홀 위로 게이지 덮개(190)가 구성된다. 이 게이지 덮개(190)를 개폐함으로써 전술한 두 번째 문제가 해결된다.
트렁크 자체는 완전한 사각 형상은 아니다. 연료 탱크 포지션의 좌우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 브라켓(도 5의 150)을 설치함으로써 연료 탱크 포지션(10)은 대략 사각 형상의 구역이 된다. 그리고 그 위로 사각 형상의 격리 보드(100)가 설치되는데, 그러면 측벽 브라켓을 기준으로 연료 탱크 포지션 좌우 바깥 쪽의 구역 중 차량 뒤쪽 방향으로 대략 사디리꼴 모양의 깊이를 갖는 구역이 생긴다. 이 좌우 양쪽의 구역에 격리 보드(100)와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 사이드 커버(198)를 설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격리 보드의 상세한 구성을 각 어셈블리의 요소와 부분으로 분해해서 나타내었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격리 보드는 두 개 이상의 사각 시트 형상의 레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제1레이어(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패널로 다른 레이어(120, 130)들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4개의 단부들이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1레이어(110)의 수밀확인용 홀(117, 117)과 제2레이어(120)의 수밀확인용 홀(127, 127), 제3레이어(130)의 수밀확인용 홀(137, 137)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이들은 격리 보드 어셈블리에서는 하나의 홀처럼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레이어(110)에는 수밀확인 덮개(191, 191)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레이어(110)에만 수밀확인용 홀과 수밀확인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수밀확인용 홀은 세차 시 혹은 차량이 침수될 때 물이 격리 보드 안으로 유입되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제1레이어(110)의 게이지 관리 홀(115)와 제2레이어(120)의 게이지 관리 홀(125)와, 제3레이어(130)의 게이지 관리 홀(135)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러므로 이들은 격리 보드 어셈블리에서는 하나의 홀처럼 기능한다. 그리고 제1레이어(110)에 게이지 덮개(190)가 설치된다.
제1레이어(110)의 재질은 앞서 언급한 바대로 합성수지 재질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3mm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류의 강성설계를 적용한 재질을 사용했으나,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레이어(120)의 재질은 금속 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틸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스틸 플레이트를 격리 보드 어셈블리에 추가함으로써 트렁크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대한 내하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연료 탱크 포지션을 효과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레이어(110)와 제2레이어(120) 사이에 흡음재 시트를 개재하는 구성은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렇지 않으면 스틸 플레이트에서 발생하거나 스틸 플레이트를 통과해서 전해지는 노이즈가 위쪽으로 전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상기 흡음재 시트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흡음재 시트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아라미드 부직포계 흡음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니들펀치부직포계 흡음재, 아라미드부직포계 흡음재, 케블라(Kevlar)단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섬유를 혼합하여 얻은 부직포계 흡음재,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한 멜트브론 방식의 부직포계 흡음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료 탱크에서는 다양한 노이즈가 발생한다. 연료 탱크에서 발생한 공명음은 여러 방향으로 방사되며, 차량의 여러 부재와 부품을 통해 차실 안으로 전달된다. 특히 차실과 트렁크가 물리적으로 완전 분리되어 있지 않는 SUV 형태의 차량에서는 더욱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3레이어(130) 재질은 흡차음 시트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흡차음 특성을 갖는 재질의 이중 레이어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강력한 차음재로 알려진 에틸렌비닐공중합체(EVA),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시트 등의 수지 시트를 제1흡차음재로 사용하고, 그 밑으로 펠트 시트르 제2흡차음재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가 포함된 펠트를 사용할 수 있다.
연료 탱크 포지션에 발생하는 진동과 노이즈는 본 발명의 격리 보드에 의해 흡차음될 수 있다. 먼저 제3레이어(130)의 펠트 시트와 수지 시트가 노이즈를 흡수하고 차단한다. 그다음 제2레이어(120)의 스틸 플레이트 및 재1레이어(110)의 폴리프로필렌 패널이 노이즈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흡음재 시트를 레이어 사이에 개재해서 연료 봄베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차실로 더욱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4의 3개의 레이어를 상하로 맞춤 다음에, 격리 보드의 정해진 위치에 따라 제3레이어(130) 아래쪽에서 위쪽 방향으로 너트(160)를 체결하여 각 레이어의 시트들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일체화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틸 플레이트에는 스터드들이 다수 부착되어 있고, 여기에 너트(160)들을 각각 체결함으로써 격리 보드 어셈블리가 완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격리 보드(100)를 연료 탱크 포지션 (10) 위로 설치한 상태를 횡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격리 보드(100) 어셈블리를 관통해 있는 체결공(113) 안으로 체결구(180)가 삽입되어 연료 탱크 포지션(10)의 보드 지지대(13)에 격리 보드(100)를 설치한다. 격리 보드(100) 좌우 양쪽 차량 트림 아래쪽에는 측벽 브라켓(150)이 설치되고, 이 측벽 브라켓(150) 위로 격리 보드(100)의 좌우 양쪽 단부가 전후 길이방향에 걸쳐 위치한다. 이렇게 격리 보드(100)가 연료 탱크 포지션(10) 위쪽에 설치되고 위치함으로써, 차체 바닥(9) 위에 떠 있는 연료 봄베(11)가 효과적으로 격리되며, 연료 봄베(11)에서 발생하는 공명음이나 노이즈는 격리 보드(100)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재질로 적층된 레이어에 의해서 흡수되고 차단된다.
한편, 격리 보드(100)의 좌우 양쪽 단부에는 부직포를 덧대어서 측벽 브라켓(150)과의 접촉 부분에서 노이즈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격리 보드(100)의 단면의 예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다소 과장해서 표현했지만, 각 레이어의 두께와 밀착도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하로 적층되어 격리 보드(100)의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레이어는 위에서부터 트렁크 보드(110), 스틸 플레이트(120), 차음 시트(130)이며, 또한 차음 시트(130)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시트(131)와 펠트 시트(132)로 구성되어 노이즈를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트렁크 보드(110)와 스틸 플레이트(120) 사이에 흡음재 시트를 개재함으로써 스틸 플레이트(120)에서 방사되는 노이즈를 더욱 차단할 수 있다.
격리 보드(100)를 연료 탱크 포지션(10)에 설치한 다음에 그 위로 트렁크 카펫(19)을 덮는다. 트렁크 카펫(19)이 격리 보드(100) 위에서 함부로 움직이지 않도록 움직임 규제를 위한 벨크로 점착재를 사용할 수 있다. 연료 봄베(11)의 게이지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먼저 트렁크 카펫(19)을 개방하고, 그다음 격리 보드(100)에 형성된 게이지 덮개(190)를 개방한다. 그러면 게이지 관리 홀을 통해 봄베 게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4)

  1. 차실과 트렁크가 공간적으로 격리되지 않은 차량에서 이너 튜브 형상의 연료 봄베 또는 원판형 연료 봄베인 연료 탱크가 설치되는 트렁크 바닥의 움푹 들어간 연료 탱크 포지션을 위쪽에서 격리하도록 사각 시트 형상의 복수 레이어로 이루어진 격리 보드로 격벽을 형성하며, 상기 격리 보드는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의 보드 지지대 및 트렁크 양측 측벽 브라켓 위에 놓이고, 각 레이어마다 동일한 위치에 상기 연료 탱크의 게이지를 관리하는 홀과 상기 보드 지지대와 상기 격리 보드를 체결구로 체결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레이어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재질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2.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로서, 사각 시트 형상의 복수 레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료 탱크 위로 차음 시트 레이어와 상기 차음 시트 레이어 위로 금속 시트 레이어와, 상기 금속 시트 레이어 위로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트렁크 보드가 차례로 적층되어 상하 한 개의 어셈블리로 체결되되, 상기 트렁크 보드는 나머지 레이어들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도록 네 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되며, 이러한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가 상기 연료 탱크가 설치되는 트렁크 바닥 중앙의 움푹 들어간 연료 탱크 포지션을 위쪽에서 격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시트 레이어는 펠트 시트와 수지 시트 이중 레이어로,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것인,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4. 이너 튜브 형상의 연료 봄베 또는 원판형 연료 봄베인 연료 탱크가 설치되는 차량 트렁크 바닥의 움푹 들어간 연료 탱크 포지션을 위쪽에서 격리하도록 사각 시트 형상의 복수 레이어로 이루어진 격리 보드 어셈블리이며,
    상기 연료 탱크 위로 차음 시트 레이어와, 상기 차음 시트 레이어 위로 금속 시트 레이어와, 상기 금속 시트 레이어 위로 아래쪽 나머지 레이어들을 감싸면서 위치하는 합성수지 패널로 이루어진 트렁크 보드가 차례로 적층되면서 상하 한 개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상기 연료 탱크 포지션의 보드 지지대 위에 놓이고, 각 레이어마다 동일한 위치에 상기 연료 탱크의 게이지를 관리하는 홀과 상기 보드 지지대와 상기 격리 보드를 체결구로 체결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LPG 연료 탱크 격리 보드 어셈블리.
KR1020190066008A 2019-06-04 2019-06-04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Active KR102653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008A KR102653692B1 (ko) 2019-06-04 2019-06-04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008A KR102653692B1 (ko) 2019-06-04 2019-06-04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462A KR20200139462A (ko) 2020-12-14
KR102653692B1 true KR102653692B1 (ko) 2024-04-01

Family

ID=7377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008A Active KR102653692B1 (ko) 2019-06-04 2019-06-04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6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616A (ko) * 2013-12-17 2015-06-2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연료 탱크 수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462A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2465A (en) Noise insulating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5890833B2 (ja) 広帯域吸音体
US6983822B2 (en) Sound absorptive protective mat
CN101195362B (zh) 用于车辆能量存储模块的声学周边密封件
WO2015125872A1 (ja) 車体パネル構造体
ES2455193T3 (es) Aislamiento acústico, en particular para el interior de automóviles
US20060246799A1 (en) Sound attenuating/absorb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10065539B (zh) 用于机动车的地板元件
US20040129493A1 (en) Molded lightweight foam acoustical barrier and method of attenuating noise
US20070092690A1 (en) Interior finishing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JP2012166717A (ja) 車両外装用吸音構造体並びに車両の吸音構造
JP5880352B2 (ja) 自動車の後部遮音構造
KR102653692B1 (ko)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
US11143071B2 (en) Hybrid acoustic silencer
KR102653693B1 (ko) Lpg 차량용 연료 탱크 격리 보드용 측벽 브라켓 및 사이드 커버
JP2008162549A (ja) 防音構造
US20110285178A1 (en) Acoustically absorptive vehicle headliner
US10493726B2 (en) Flat motor vehicle composite structure component having a metal sheet component and a flat inherently rigid reinforcement component of porous plastic connected to same
CN112937471A (zh) 用于覆盖机动车辆的车身区域的覆盖装置和机动车辆
JPH0623474Y2 (ja) 自動車のフロア構造
US20230382318A1 (en) Vehicle interior panel with one or more damping pads
GB2563220A (en) Sound attenuation sheet
CN212637366U (zh) 踏板支架与前围钣金的总成及汽车
JP3146967U (ja) 車両用ルーフの内装材
JP2024030777A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