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901B1 - Method for generating relief reg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ure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generating relief reg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ure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2901B1 KR102652901B1 KR1020210148036A KR20210148036A KR102652901B1 KR 102652901 B1 KR102652901 B1 KR 102652901B1 KR 1020210148036 A KR1020210148036 A KR 1020210148036A KR 20210148036 A KR20210148036 A KR 20210148036A KR 102652901 B1 KR102652901 B1 KR 102652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ief area
- mpr
- data
- area
- relie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10000003254 pala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983 hard pal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615 hard palate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43 melt-processib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84 soft pal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chitectu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 및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 및 정중 구개 봉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고 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의 심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A method for creating a relief area and a denture design device therefor are disclosed. A relief area generation method, a relief area generation method, and a denture design device theref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generate a relief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incisor papilla and the median palatal suture from patient data, and include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in the generated relief area. By applying , the user's manipulation can be minimized, the inconvenience can be reduced, and the patient's aesthetic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영상을 이용하여 의치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n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technology for designing dentures using dental images.
치아나 치아주변 조직이 손상된 경우, 인공적인 보철물을 사용하는 보철치료를 통하여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치아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경우, 손상된 치아의 상측을 덮는 크라운(Crown)이 보철물로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하나 이상의 치아가 결손된 경우, 주변의 치아를 기둥 삼아 다리를 가설하듯 양쪽 치아와 상실된 부분을 연결한 의치(틀니)가 사용될 수 있다.If a tooth or the tissue surrounding the tooth is damaged, the function and aesthetics of the tooth can be restored through prosthetic treatment using an artificial prosthesis. When one or more teeth are partially damaged, a crown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damaged tooth can be manufactured and used as a prosthesis. However, if one or more teeth are missing, dentures that connect both teeth and the missing part, as if building a bridge using the surrounding teeth as pillars, can be used.
의치(틀니)는 치아가 일부 남아있는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국소의치(부분틀니, partial denture)와, 치아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치아와 흡수된 잇몸을 수복해주는 총의치(완전틀니, complete denture)로 구분될 수 있다.Dentures (dentures) are divided into partial dentures (partial dentures) that can be used by patients with some remaining teeth, and complete dentures (complete dentures) that restore teeth and absorbed gums in a state where there are no teeth at all. It can be.
의치 제작에 있어서는 릴리프(Relief) 작업이 필수적이다. 릴리프는 환자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직(예를 들어, 잇몸 및 치아조직)에 의치가 가하는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직과 직접 닿지 않게 의치의 특정 부위에 소정의 여유 공간을 부여해주는 작업이다.Relief work is essential when making dentures. Relief is a process of providing a certain amount of free space to a specific part of the denture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tissue in order to reduce the irritation the denture exerts on the tissue (for example, gum and tooth tissue) based on the patient's dat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릴리프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환자 데이터에 마우스를 이용하여 직접 그림을 그리듯이 필요한 곳에 릴리프 영역을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릴리프 양이 많이 필요한 곳에서는 여러 번 조작(예를 들어, 클릭)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필수적으로 조작을 해야 되는 부위에는 매번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릴리프 영역을 생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relief work using the program, the user must create a relief area where necessary as if drawing directly on the patient data using a mouse. Therefore, in places where a large amount of relief is needed, the user may have to operate (for example, click) several times, and in areas that require essential manipulation, the user must manually operate each time to create a relief area, which is inconvenient. Th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kill level.
한국등록특허 10-2244787 (2021.04.21)Korean registered patent 10-2244787 (2021.04.21)
일 실시 예에 따라, 장치가 의치 제작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릴리프를 실행하기 위한 릴리프 영역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ethod for creating a relief area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as the device automatically creates and provides a relief area for executing the relief required for denture production, and a denture design device for the same. I suggest.
나아가, 장치가 정확하게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정확도가 향상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의치 디자인 장치를 제안한다.Furthermore, as the device accurately creates and provides a relief area, we propose a relief area creation method with improved accuracy and a denture design device for the same.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은, 환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환자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 및 정중 구개 봉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generating a relief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obtaining patient data, generating a relief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ncisor papilla and a median palatal suture from the acquired patient data, and the generated relief area.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to.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 데이터인 상악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IP: Incisive Papilla)에 관한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절치 유두에 관한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있다.The step of creating a relief area includes extracting landmarks related to the incisive papilla (IP: Incisive Papilla) from maxillary data, which is patient data, and generating an IP relief area including landmarks related to the incisive papilla. It can be included.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 데이터인 상악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 및 후구개 폐쇄에 관한 랜드마크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절치 유두 및 후구개 폐쇄에 관한 랜드마크들을 이용하여 상악 데이터에서 정중 구개 봉합(MPR: Median Palatine Raphae)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정중 구개 봉합을 포함하는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reating a relief area includes extracting landmarks related to the incisor papilla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from the maxillary data, which are patient data, and using the landmarks related to the incisor papilla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to suture the median palate from the maxillary data. Extracting the Median Palatine Raphae (MPR) and creating an MPR relief area including the median palatine suture.
상기 정중 구개 봉합을 포함하는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IP 릴리프 영역의 최후방 및 후구개 폐쇄까지의 거리를 수직적으로 3등분했을 때, 후구개 폐쇄 방향으로 2/3가 되는 지점을 추출하는 단계와, IP 릴리프 영역의 최후방 및 상기 2/3 지점 간을 연결하여 MPR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MPR 거리의 중앙에서 가로 폭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두 지점과 MPR 거리의 상하 두 지점을 연결하여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reating the MPR relief area including the median palatal suture, when the distance to the most posterior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of the IP relief area is vertic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for the maxillary data, 2/3 in the posterior palatal closure direction A step of extracting a point that is, calculating an MPR distance by connecting the rearmost and the 2/3 points of the IP relief area, and two points whose horizontal width is spaced apart by a prese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MPR distance. It may include the step of creating an MPR relief area by connecting two points above and below the MPR distance.
상기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환자의 상악 데이터를 변곡 정보를 포함하는 변곡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변곡 데이터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relief area includes converting the patient's maxillary data into inflection data including inflection information,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converted inflection data, and generating a relief region includ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May include steps.
상기 특징점은 변곡점, 국부적 최대점, 국부적 최소점 및 꼭지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feature point may be at least one of an inflection point, a local maximum point, a local minimum point, and a vertex.
상기 추출된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변곡 데이터에서 절치 유두를 중심으로 주변의 특징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특징점들로 연결되는 제1 계측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제1 계측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점들을 연결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a relief area includ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includes measuring feature points around the incisor papilla from the inflection data and extracting a first measurement region connected to the measured feature points, and extracting a first measurement region connected to the measured feature points. It may include creating an IP relief area by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at a preset distance in the measurement area.
상기 추출된 변곡점들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변곡 데이터의 절치 유두 최후방에서 후방부 방향으로 특징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특징점들로 연결되는 제2 계측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제2 계측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점들을 연결한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a relief area including the extracted inflection points includes measuring feature points from the rearmost part of the incisor papilla of the inflection data in the posterior direction and extracting a second measurement area connected to the measured feature points, and extracting the extracted second measurement area. It may include generating an MPR relief area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at a preset distance in the second measurement area.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은, 구개주름을 포함하는 구개주름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palatal wrinkle relief area including palatal folds.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은, 생성된 릴리프 영역을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릴리프 영역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lief area cre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user graphic interface for modifying the created relief area on the screen, and modifying the relief area by user manipulation through the user graphic interfac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획득된 환자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 및 정중 구개 봉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제어부와, 상기 릴리프 영역을 포함한 환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dentur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patient data, generates a relief area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ncisor papilla and a median palatal suture from the acquired patient data, and includes a relief area in the generated relief area.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applies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and an output unit that displays patient data including the relief area.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장치가 의치 제작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릴리프를 실행하기 위한 릴리프 영역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relief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s the device automatically creates and provides a relief area for executing relief essential for denture manufacturing. .
특히, 장치는 환자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 및 정중 구개 봉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고 그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evice generates a relief area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incisor papilla and the median palatal suture from patient data and applies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to the created relief area, thereby minimizing user manipulation and reducing hassle. there is.
또한, 장치가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여 제공함에 따라, 정확도가 향상되며, 환자의 심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Additionally, as the device creates and provides a relief area, accuracy is improved and the patient's aesthetic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나아가, 장치가 제공한 릴리프 영역을 사용자가 추가로 수정할 수 있어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accuracy can be improved by allowing the user to further modify the relief area provided by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를 이용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PR 영역을 이용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곡 데이터 변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곡을 이용하여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초기 실행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영역의 크기 설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a relief area cre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reating an IP relief area using 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n IP relief area using an MPR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flection data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creating a relief area using inf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execution of a relie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size of a relief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ur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described below will be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tailed below.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a method for creating a relief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 데이터를 획득한다(S110). 환자 데이터는 스캔 데이터일 수 있는데, 특히 상악의 스캔 데이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denture design device acquires patient data (S110). The patient data may be scan data, particularly scan data of the maxilla.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획득된 환자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Incisive papilla: IP, 이하 'IP'라 칭함) 및 정중 구개 봉합(MPR: Median Palatine Raphae, 이하 'MPR'이라 칭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한다(S120). 이때, 의치 디자인 장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데이터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를 '제1 생성 방식'이라 칭하고, 후자를 '제2 생성 방식' 이라 칭한다.Subsequently, the denture desig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cisive papilla (IP,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 and a median palatine suture (MPR: Median Palatine Rapha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PR') from the acquired patient data. Create a relief area (S120). At this time, the denture design device can create a relief area according to preset standards, and can create the relief area by extracting feature points of dat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rmer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generation method', and the latter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generation method'.
'제1 생성 방식'을 이용한 릴리프 영역 생성 예를 들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 데이터 중 하나인 상악 데이터로부터 IP 및 후구개 폐쇄를 추출하고, IP 및 후구개 폐쇄를 이용하여 MPR을 추출한 후, 추출된 MPR을 포함하는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MPR 릴리프 영역은 MPR 및 그 MPR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내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Relief area generation using the 'first generation method' Fo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extracts IP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from maxillary data, which is one of the patient data, extracts MPR using IP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and then extracts An MPR relief area containing the MPR can be created. Here, the MPR relief area may be an area including the MPR and a peripheral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MPR.
MPR 릴리프 영역 생성 시,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 데이터 중 하나인 상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IP 릴리프 영역의 최후방 및 후구개 폐쇄까지의 거리를 수직적으로 3등분했을 때, 후구개 폐쇄 방향으로 2/3가 되는 지점을 추출한다. 이어서, IP 릴리프 영역의 최후방 및 상기 2/3 지점 간을 연결함으로써 MPR 거리를 계산한다. 이어서, MPR 거리의 중앙에서 가로 폭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두 지점과 MPR 거리의 상하 두 지점을 연결하여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생성 방식'에 따른 MPR 릴리프 영역 생성 예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When creating the MPR relief area, the denture design device divides the distance to the most posterior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of the IP relief area vertically into thirds using maxillary data, which is one of the patient data, and divides 2/3 in the direction of posterior palatal closure. Extract the point where Next, the MPR distance is calculated by connecting between the rearmost and the above 2/3 points of the IP relief area. Next, an MPR relief area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two points separated by a preset horizontal width from the center of the MPR distance and two points above and below the MPR distance. An example of MPR relief area gen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gen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제2 생성 방식'을 이용한 릴리프 영역 생성 예를 들면, 릴리프 영역 생성 단계(S120)에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먼저 환자 데이터 중 하나인 상악 데이터를 변곡 정보를 포함하는 변곡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변곡 데이터(50)의 변곡 정보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컬러맵이나 명암 또는 수치 정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Relief area generation using the 'second generation method' For example, in the relief area creation step (S120), the denture design device first converts maxillary data, which is one of the patient data, into inflection data including inflec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inflection information of the inflection data 50 may be expressed visually, for example, through a color map, brightness, or numerical information.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변환된 변곡 데이터에서 특징점을 추출한 후, 추출된 특징점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한다. 특징점은 예를 들어, 변곡점, 국부적 최대점 및 최소점, 꼭지점 등일 수 있다. 그 중 변곡점은 곡선에서 오목한 모양이 바뀌는 위치의 점으로서, 위로 볼록인 상태에서 아래로 볼록인 상태로 변하거나 아래로 볼록인 상태에서 위로 볼록인 상태로 변하는 점들을 의미한다. 이하, 특징점 중에서 변곡점을 위주로 설명하나, 다른 특징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Next, the denture design device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the converted inflection data and then generates a relief area includ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Feature points may be, for example, inflection points, local maximum and minimum points, vertices, etc. Among them, an inflection point is a point where the concave shape of the curve changes, meaning points that change from convex upward to convex downward, or from convex downward to convex upward.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inflection point among the feature points, but other feature points are equally applicable.
예를 들어, 의치 디자인 장치는 변곡 데이터에서 IP를 중심으로 주변의 변곡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변곡점들로 연결되는 제1 계측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추출된 제1 계측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점들을 연결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Fo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may measure inflection points around IP from inflection data and extract a first measurement area connected to the measured inflection points. Subsequently, the denture design device may create an IP relief area by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at a preset distance in the extracted first measurement area.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다른 예로, 의치 디자인 장치는 변곡 데이터의 IP 최후방에서 후방부 방향으로 변곡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변곡점들로 연결되는 제2 계측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추출된 제2 계측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점들을 연결한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may measure inflection points from the IP of the inflection data in the rearmost direction to the posterior direction and extract a second measurement area connected to the measured inflection points. Subsequently, the denture design device may generate an MPR relief area by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extracted second measurement area.
'제2 생성 방식'에 따른 IP 릴리프 영역 및 MPR 릴리프 영역 생성 예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Examples of generating an IP relief area and an MPR relief area according to the 'second gen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릴리프 영역 생성 단계(S120)에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전술한 IP, MPR 이외에 구개주름을 포함하는 구개주름 릴리프 영역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개주름 릴리프 영역은 구개주름 및 그 구개주름을 중심으로 소정 거리 이내의 주변부를 포함하는 영역이다.In the relief area creation step (S120), the denture design device may additionally create a palatal wrinkle relief area including palatal wrinkles in addition to the IP and MPR described above. Here, the palatal fold relief area is an area including the palatal folds and the peripheral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the palatal folds.
릴리프 영역 생성 단계(S120) 이후, 의치 디자인 장치는 릴리프 영역을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릴리프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리프 영역의 크기(폭, 길이)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8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After the relief area creation step (S120), the denture design device displays a user graphic interface for modifying the relief area on the screen, and the relief area can be modified by user manipulation through the user graphic interface. For example, you can modify the size (width, length) of the relief area.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한다(S130). 예를 들어, 의치 디자인 장치는 릴리프 영역에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0.2mm)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한다. 미리 설정된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Next, the denture design device applies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to the created relief area (S130). Fo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applies a thickness profile of a preset value (eg, 0.2 mm) to the relief area. Preset values can be changed by the user.
두께 프로파일 적용 예를 들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릴리프 영역의 어떤 기준점에서 가장 큰 값 예를 들어 0.2mm이고 릴리프 영역의 가장자리에서는 0으로 수렴하는 식으로 릴리프 영역에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의치 디자인 장치는 릴리프 영역 전체에서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할 수도 있다.Applying a thickness profile Fo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can apply a thickness profile to the relief area such that at some reference point in the relief area the largest value, e.g. 0.2 mm, converges to zero at the edges of the relief area. As anothe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may apply a thickness profile to have a uniform thickness throughout the relief area.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고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작업은 릴리프 작업으로서, 환자의 환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직(예를 들어, 잇몸, 치아조직)의 일부 국소 부위에 의치가 가하는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해당 국소 부위에서 의치가 조직과 직접 닿지 않게 의치에 소정의 공간을 부여해주는 작업이다. 릴리프 영역은 그러한 국소 부위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The operation of creating a relief area and applying a thickness profile is a relief operation, based on the patient's patient data, in order to reduce the irritation exerted by the denture on some localized area of \u200b\u200bthe tissue (e.g. gums, tooth tissue). This is a process of giving a certain amount of space to the denture so that it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tissue. The relief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such local area.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P를 이용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n IP relief area using 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환자의 상악 데이터(30)에서 의치 배열에 사용되는 랜드마크 중 하나인 IP(310)를 이용하여 IP 릴리프 영역(320)을 생성한다. 이때, 의치 디자인 장치는 IP(310)를 중심으로 좌우로 제1 거리, 상하로 제2 거리 이격된 점들을 연결하여 IP 릴리프 영역(3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치 디자인 장치는 IP(310)를 중심으로 좌우로 각각 4mm, 상하로 각각 5mm 이격된 점들을 연결하여 IP 릴리프 영역(320)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거리, 제2 거리가 상이한 경우 IP 릴리프 영역(320)은 타원형이 되고, 동일한 경우 원형이 된다. 제1 거리, 제2 거리는 사전에 설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IP(310)는 입천장의 미드라인(300)의 앞쪽 끝부분에서 약간 솟은 부분이다. IP(310)의 전, 후방 길이는 평균 5.9mm이며 최대 8mm 정도 되므로, IP 릴리프 영역(320)은 IP(310)의 자체 길이뿐만 아니라, 주변부위와 이음이 될 수 있도록 여유 있게 제1 거리, 제2 거리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enture design device creates an IP relief area 320 using IP 310, one of the landmarks used in denture arrangement, in the patient's maxillary data 30. At this time, the denture design device may create the IP relief area 320 by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from the IP 310 at a first distance left and right and a second distance up and down. Fo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can create the IP relief area 320 by connecting points that are 4 mm apart on the left and right, and 5 mm apart on the top and bottom, centered on the IP 310. If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are different, the IP relief area 320 becomes oval, and if they are the same, it becomes circular. The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are set in advance and can be changed by the user. IP (310) is a slightly raised portion at the front end of the midline (300) of the palate. Since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IP (310) is 5.9 mm on average and the maximum is about 8 mm, the IP relief area 320 is not only the length of the IP (310) itself, but also has a first distance to allow for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The second distance can be set in advan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PR 영역을 이용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n IP relief area using an MPR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MPR 릴리프 영역(420)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의치 디자인 장치는 상악 데이터(30)를 대상으로 IP 릴리프 영역(320)의 최후방(422) 및 후구개 폐쇄(410)까지의 거리를 수직적으로 3등분했을 때, 후구개 폐쇄(410) 방향으로 2/3가 되는 지점(421)을 추출하고, IP 릴리프 영역(320)의 최후방(422) 및 2/3 지점(421) 간을 연결하여 MPR 거리(426)를 계산한 후, MPR 거리(426)의 중앙(425)에서 가로 폭(편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3mm) 이격된 두 지점(423, 424)과 MPR 거리(426)의 상하 두 지점(421, 422)을 연결하여 MPR 릴리프 영역(420)을 생성할 수 있다. MPR 릴리프 영역(4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일 수 있으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PR 릴리프 영역(420)의 가로 폭의 길이와 하방 연장 길이는 사전에 설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MPR의 경우 그 위치나 형태가 사람마다 다양하므로, 의치 디자인 장치는 대부분의 MPR을 포함할 수 있도록 MPR 릴리프 영역(420)의 가로 폭의 길이와 하방 연장 길이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후구개 폐쇄(410)는 연구개와 경구개의 경계에 있는 연조직이다.Referring to Figure 3, the denture design device creates an MPR relief area 420. For this purpose, the denture design device divides the distance from the maxillary data 30 to the rearmost 422 of the IP relief area 320 and the posterior palatal closure 410 vertically into thirds, and then divides the distance from the maxillary data 30 to the posterior palatal closure 410. After extracting the point 421 that is 2/3 in the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rearmost 422 and the 2/3 point 421 of the IP relief area 320 to calculate the MPR distance 426, MPR Two points (423, 424)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425) of the distance (426) by a preset distance (e.g., 3 mm) in horizontal width (one side) and two points (421, 422) above and below the MPR distance (426). The MPR relief area 420 can be created by connecting. The MPR relief area 420 may have an oval shape, as shown in FIG. 3,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horizontal width and downward extension length of the MPR relief area 420 are set in advance and can be chang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MPR, since its location and shape vary from person to person, the denture design device can preset the horizontal width and downward extension length of the MPR relief area 420 so as to include most MPRs. The posterior palatal closure 410 is the soft tissue at the border of the soft palate and the hard pal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곡 데이터 변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flection data conv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상악 데이터(30)를 변곡 정보를 포함하는 변곡 데이터(50)로 변환한 후, 변곡 데이터(50)에서 특징점, 예를 들어 변곡점들을 이용하여 릴리프 영역을 생성한다. 이때, 변곡 데이터(50)의 변곡 정보는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컬러맵이나 명암 또는 수치 정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변곡점들은 곡선에서 오목한 모양이 바뀌는 위치의 점으로서, 위로 볼록인 상태에서 아래로 볼록인 상태로 변하거나 아래로 볼록인 상태에서 위로 볼록인 상태로 변하는 점들을 의미한다. 의치 디자인 장치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상악 데이터(30)와 변곡 데이터(50)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enture design device converts the maxillary data 30 into inflection data 50 including inflection information, and then creates a relief area using feature points, for example, inflection points, in the inflection data 50. do. At this time, the inflection information of the inflection data 50 may be expressed visually, for example, through a color map, brightness, or numerical information. Additionally, inflection points are points where the concave shape of the curve changes, meaning points that change from convex upward to convex downward, or from convex downward to convex upward. The denture design device can change the maxillary data 30 and inflection data 50 as need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provide them through the scree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곡을 이용하여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s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creating a relief area using inf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변곡 데이터(50)를 대상으로 IP(310)의 주변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IP 릴리프 영역(612)을 생성한다. 특징점은 예를 들어, 변곡점, 국부적 최대점 및 최소점, 꼭지점 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denture design device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the inflection data 50 around the IP 310 and creates an IP relief area 612 includ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Feature points may be, for example, inflection points, local maximum and minimum points, vertices, etc.
예를 들어, 의치 디자인 장치는 IP(310)를 중심으로 주변의 변곡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변곡점들로 연결되는 제1 계측 영역(610)을 추출한다. 이어서, 의치 디자인 장치는 추출된 제1 계측 영역(610)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mm) 이격된 점들을 연결하여 IP 릴리프 영역(612)을 생성한다. IP 릴리프 영역(612)은 도 5 및 도 6에서는 타원형이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전에 설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이때, 의치 디자인 장치가 제1 계측 영역(610)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예: 1mm)의 여유를 부여하여 주변을 넓게 수용하는 IP 릴리프 영역(612)을 생성함에 따라, 변곡된 부분에 대한 릴리프가 가능하다.For example, the denture design device measures inflection points around the IP 310 and extracts a first measurement area 610 connected to the measured inflection points. Next, the denture design device creates an IP relief area 612 by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by a preset distance (eg, 1 mm) in the extracted first measurement area 610. The IP relief area 612 has an oval shape in FIGS. 5 and 6,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t distance is set in advance and can be changed by the user. At this time, as the denture design device generates the IP relief area 612 that widely accommodates the surrounding area by providing a margin of a preset distance (e.g., 1 mm) from the first measurement area 610, the relief for the inflected portion is increased. possible.
의치 디자인 장치는 변곡 데이터(50)를 대상으로 IP 최후방에서 후방부로 볼록 튀어나온 부위에 해당하는 변곡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변곡점들로 연결되는 제2 계측 영역(620)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2 계측 영역(620)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예를 들어, 제2 계측 영역을 기준으로 좌, 우측으로 편측 2mm 가로폭 연장, 최후방 부위에서 하방으로 5mm 연장)된 점들을 연결한 MPR 릴리프 영역(622)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MPR 릴리프 영역(622)은 타원형이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전에 설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이때, 의치 디자인 장치가 제2 계측 영역(620)보다 미리 설정된 거리의 여유를 부여하여 주변을 넓게 수용하는 MPR 릴리프 영역(622)을 생성함에 따라, 변곡된 부분에 대한 릴리프가 가능하다.The denture design device measures the inflectio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area that protrudes convexly from the rearmost part of the IP to the posterior part based on the inflection data 50, extracts the second measurement area 620 connected to the measured inflection points, and extracts the extracted second measurement area 620. 2 MPR relief area connecting points separated by a preset distance in the measurement area 620 (e.g., extending 2 mm in width on one side to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second measurement area, extending 5 mm downward from the rearmost area) (622) can be generated. 5 and 6, the MPR relief area 622 has an oval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t distance is set in advance and can be changed by the user. At this time, as the denture design device generates the MPR relief area 622 that accommodates the surrounding area wider by providing a margin of a preset distance than the second measurement area 620, relief for the inflected portion is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초기 실행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execution of a relie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릴리프 영역에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0.2mm)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릴리프 영역의 어떤 기준점에서 가장 큰 값 예를 들어 0.2mm이고 릴리프 영역의 가장자리에서는 0으로 수렴하는 식으로 릴리프 영역에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the denture design device applies a thickness profile of a preset value (eg, 0.2 mm) to the relief are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For example, a thickness profile can be applied to the relief area such that at some reference point in the relief area the largest value is, say 0.2 mm, and at the edges of the relief area it converges to 0. Preset values can be changed by the user.
도 7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생성된 IP 릴리프 영역(612) 및 MPR 릴리프 영역(622)에 대해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MPR 릴리프 영역(622)은 좌측 점(626)과 우측 점(628)으로 구성되는 가로 폭을 가진다. MPR 릴리프 영역(622)의 좌측 점(626) 및 우측 점(628)을 연결하여 상악 모델 데이터의 단면을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단면도는 참조부호 7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MPR 릴리프 영역(622)의 두께 프로파일은 릴리프 중심부(624)가 상악 모델 데이터 위에 미리 설정한 두께만큼 최대로 더해져서 쌓이는 형태를 가진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a thickness profile to the IP relief area 612 and the MPR relief area 622 creat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MPR relief area 622 has a horizontal width consisting of a left point 626 and a right point 628.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jaw model data viewed from the front by connecting the left point 626 and the right point 628 of the MPR relief area 622 is shown at reference numeral 70. At this time, the thickness profile of the MPR relief area 622 has a form in which the relief center 624 is piled up by adding a preset thickness to the maxillary model dat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릴리프 영역의 크기 설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the size of a relief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릴리프 영역의 크기(폭, 길이)를 사용자 설정을 통해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치 디자인 장치는 IP 릴리프 영역(320 또는 612)의 상, 하, 좌, 우 길이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정할 수 있고, MPR 릴리프 영역(420 또는 622)의 좌, 우, 상, 하 길이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정할 수 있다. 나아가, IP 릴리프 영역(320 또는 612) 및 MPR 릴리프 영역(420 또는 622)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 영역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치 디자인 장치는 방향 키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방향 키를 선택하는 동작을 통해 릴리프 영역의 크기(폭, 길이)를 수정할 수 있다. 또는 의치 디자인 장치는 IP 릴리프 영역(320 또는 612) 및 MPR 릴리프 영역(420 또는 622)의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하나에 (+), (-) 키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 또는 (-) 키를 선택하는 동작을 통해 릴리프 영역의 크기(폭, 길이)를 수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the denture design device can modify the size (width, length) of the relief are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6 through user setting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8, the denture design device can modify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IP relief area (320 or 612) by user manipulation, and the MPR relief area (420 or 622) The left, right, top, and bottom lengths can be modified by user manipulation. Furthermore, the entire area of at least one of the IP relief area 320 or 612 and the MPR relief area 420 or 622 can be enlarged or reduced by user manipulation. To this end, as shown in FIG. 8, the denture design device displays a direction key on the screen, and the user can modify the size (width, length) of the relief area through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direction key. Alternatively, the denture design device displays (+) and (-) keys on the screen on at least on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P relief area (320 or 612) and the MPR relief area (420 or 622), and allows the user to You can modify the size (width, length) of the relief area by selecting the (+) or (-) key.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ure desig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의치 디자인 장치(1)는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태블릿(Tablet), 스마트폰, 휴대폰 등이 있다.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디자인 프로그램, 스캔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러한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환자의 의치 제작을 위한 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일 수 있으나, 그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치 디자인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영상 처리가 가능하면 다른 프로그램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9, the denture design device 1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 image processing program. Electronic devices include personal computers (PCs), laptops, tablets, smartphones, and mobile phones.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s include design programs, scanning programs, and CAD programs. This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 may be a denture design program for manufacturing dentures for patients, but may also be applied to other general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nture design program will be used as an example, but the same can be applied to other programs if image processing is possible.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치 디자인 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The denture design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a storage unit 12, a control unit 14, an input unit 16, and an output unit 18.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손상된 치아를 포함하는 치아들로부터 환자 데이터를 획득한다. 환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환자의 스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스캔 데이터는 상악 데이터 및 하악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patient data from teeth including the patient's damaged teeth. Patient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scan data of the patient, where the scan data may be divided into maxilla data and mandible data.
저장부(12)에는 의치 디자인 장치의 동작 실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실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환자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 stores data such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executing the operation of the denture design device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For example, patient data of individual patients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and this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환자의 의치를 디자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의치 디자인을 위해 릴리프(Relief)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대해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한다.The control unit 14 designs the patient's dentures through control by a computer program. The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reates a relief area for denture design and applies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to the created relief area.
제어부(14)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고, 또는 데이터의 변곡점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를 '제1 생성 방식'이라 칭하고, 후자를 '제2 생성 방식'이라 칭한다.The control unit 14 may create a relief area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or may create a relief area by extracting an inflection point of data. The former is called the ‘first generation method’, and the latter is called the ‘second generation method’.
'제1 생성 방식'에 따르면, 제어부(14)는 랜드마크인 IP(310)를 이용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생성 방식'에 따른 IP 릴리프 영역 생성 예는 도 2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4)는 랜드마크인 IP 및 후구개 폐쇄를 이용하여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generation method', the control unit 14 can create an IP relief area using the IP 310, which is a landmark. An example of generating an IP relief area according to the 'first generation method'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 can create an MPR relief area using the landmarks IP and retropalatal closure.
나아가, 제어부(14)는 IP 중심의 IP 릴리프 영역, 또는 MPR 중심의 MPR 릴리프 영역 이외에, 구개주름을 포함하는 구개주름 릴리프 영역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4 may additionally create a palatal wrinkle relief area including palatal folds in addition to the IP relief area centered on the IP or the MPR relief area centered on the MPR.
'제2 생성 방식'에 따르면, 제어부(14)는 환자 데이터인 상악 데이터를 변곡 정보를 포함하는 변곡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변곡 데이터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변곡 데이터에서 IP를 중심으로 주변의 변곡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변곡점들을 포함하는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generation method', the control unit 14 converts maxillary data, which is patient data, into inflection data including inflection information,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the converted inflection data, and then generates a relief area includ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d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 measures inflection points around IP in the inflection data and creates an IP relief area including the measured inflection points.
다른 예로, 제어부(14)는 변곡 데이터의 IP 릴리프 영역의 최후방에서 후방부 방향으로 변곡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변곡점들을 포함하는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4 measures inflection points from the extreme rear to the rear of the IP relief area of the inflection data and generates an MPR relief area including the measured inflection points.
제어부(14)는 '제1 생성 방식' 또는 '제2 생성 방식'에 의해 생성된 릴리프 영역을 대상으로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릴리프 영역에, 미리 설정된 값(예를 들어, 0.2mm)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한다. 미리 설정된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4 applies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to the relief area created by the 'first generation method' or the 'second generation metho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 applies a thickness profile of a preset value (eg, 0.2 mm) to the relief area. Preset values can be changed by the user.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6)가 제어부(14)에 의해 생성된 릴리프 영역을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정을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4)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릴리프 영역을 수정하고, 출력부(18)는 수정된 릴리프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리프 영역의 크기(폭, 길이)를 수정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example, the input unit 16 may receive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correction from the user targeting the relief area created by the control unit 14. The control unit 14 may modify the relief area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signal, and the output unit 18 may output the modified relief area. For example, you can modify the size (width, length) of the relief area.
제어부(14)가 출력부(18)를 통해 '제1 생성 방식' 또는 '제2 생성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면, 입력부(16)는 소정의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4 displays a screen for selecting a 'first generation method' or 'second generation method' through the output unit 18, the input unit 16 inputs a user operation signal to select a predetermined method. You can receive it.
출력부(18)는 제어부(14)를 통해 생성된 릴리프 영역을 화면에 가상의 그래픽 객체로 표시하고, 릴리프 실행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출력부(18)는 릴리프 영역에 대한 사용자 수정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8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The output unit 18 displays the relief area cre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4 as a virtual graphic object on the screen and displays a screen for executing the relief. The output unit 18 may display a graphical interface for user modification of the relief area on the screen. An embodiment of thi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환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환자 데이터로부터 절치 유두(IP: Incisive Papilla, 이하 'IP'라 칭함) 릴리프 영역 및 정중 구개 봉합(MPR: Median Palatine Raphae, 이하 'MPR'이라 칭함) 릴리프 영역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IP 릴리프 영역은 IP를 중심으로 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MPR 릴리프 영역은 상기 IP 영역 최후방과 후구개폐쇄 까지의 거리에 대한 후방 2/3 지점을 포함하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In the method of creating a relief area using a denture design device, the denture design device
Obtaining patient data;
From the acquired patient data, a relief area including the Incisive Papilla (IP) relief area and the Median Palatine Raphae (MPR) relief area was created. steps; and
apply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to the created relief area; Includes,
The IP relief area is oval or circular centered on IP,
The MPR relief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ief area creation method is oval including the posteriormost point of the IP area and the posterior 2/3 of the distance to posterior palate closure.
환자 데이터인 상악 데이터로부터 IP에 관한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IP에 관한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reating the relief area comprises
Extracting landmarks related to IP from maxillary data, which is patient data; and
creating an IP relief area including landmarks related to the IP;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comprising:
환자 데이터인 상악 데이터로부터 IP 및 후구개 폐쇄에 관한 랜드마크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IP 및 후구개 폐쇄에 관한 랜드마크들을 이용하여 상악 데이터에서 MPR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MPR을 포함하는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reating the relief area comprises
Extracting landmarks related to IP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from maxillary data, which is patient data;
Extracting MPR from maxillary data using landmarks related to IP and posterior palatal closure; and
creating an MPR relief area including the MPR;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comprising:
상악 데이터를 대상으로 IP 릴리프 영역의 최후방 및 후구개 폐쇄까지의 거리를 수직적으로 3등분했을 때, 후구개 폐쇄 방향으로 2/3가 되는 지점을 추출하는 단계;
IP 릴리프 영역의 최후방 및 상기 2/3 지점 간을 연결하여 MPR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MPR 거리의 중앙에서 가로 폭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두 지점과 MPR 거리의 상하 두 지점을 연결하여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generating an MPR relief area including the MPR comprises
When the distance to the posteriormost part of the IP relief area and the posterior palatal closure is vertic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for the maxillary data, extracting a point that is 2/3 in the posterior palatal closure direction;
Calculating the MPR distance by connecting the rearmost and the 2/3 points of the IP relief area; and
Creating an MPR relief area by connecting two point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MPR distance by a preset horizontal width and two points above and below the MPR distance;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comprising:
환자의 상악 데이터를 변곡 정보를 포함하는 변곡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변곡 데이터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creating the relief area comprises
Converting the patient's maxillary data into inflection data including inflection information;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converted inflection data; and
generating a relief area including extracted feature points;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comprising:
특징점은 변곡점, 국부적 최대점, 국부적 최소점 및 꼭지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According to claim 5,
A method for generating a relief area, wherein the feature point is at least one of an inflection point, a local maximum point, a local minimum point, and a vertex.
변곡 데이터에서 IP를 중심으로 주변의 특징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특징점들로 연결되는 제1 계측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제1 계측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점들을 연결하여 IP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a relief area includ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includes
Measuring feature points around the IP from the inflection data and extracting a first measurement area connected to the measured feature points; and
Creating an IP relief area by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extracted first measurement area;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comprising:
변곡 데이터의 IP 최후방에서 후방부 방향으로 특징점들을 계측하여 계측된 특징점들로 연결되는 제2 계측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제2 계측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이격된 점들을 연결한 MPR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generating a relief area including the extracted inflection points comprises:
Measuring feature points from the rearmost IP of the inflection data toward the rear and extracting a second measurement area connected to the measured feature points; and
Creating an MPR relief area connecting points spaced apart from a preset distance in the extracted second measurement area;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comprising:
구개주름을 포함하는 구개주름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ief area creation method is
creating a palatal fold relief area including the palatal folds;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further comprising:
생성된 릴리프 영역을 수정하기 위한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릴리프 영역을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리프 영역 생성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ief area creation method is
displaying a user graphical interface for modifying the created relief area on the screen; and
modifying the relief area by user manipulation through the user graphical interface;
A method of generating a relief area further comprising:
상기 획득된 환자 데이터로부터 IP 릴리프 영역 및 MPR 릴리프 영역을 포함하는 릴리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릴리프 영역에 소정의 두께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제어부; 및
상기 릴리프 영역을 포함한 환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IP 릴리프 영역은 IP를 중심으로 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MPR 릴리프 영역은 상기 IP 영역 최후방과 후구개폐쇄 까지의 거리에 대한 후방 2/3 지점을 포함하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 디자인 장치.A data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patient data;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relief area including an IP relief area and an MPR relief area from the acquired patient data and applies a predetermined thickness profile to the generated relief area; and
an output unit that displays patient data including the relief area; Includes,
The IP relief area is oval or circular centered on IP,
The MPR relief area is an oval shape comprising the rearmost part of the IP area and the posterior 2/3rd of the distance to the posterior palate clos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036A KR102652901B1 (en) | 2021-11-01 | 2021-11-01 | Method for generating relief reg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ure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8036A KR102652901B1 (en) | 2021-11-01 | 2021-11-01 | Method for generating relief reg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ure theref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3988A KR20230063988A (en) | 2023-05-10 |
KR102652901B1 true KR102652901B1 (en) | 2024-04-01 |
Family
ID=8638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036A Active KR102652901B1 (en) | 2021-11-01 | 2021-11-01 | Method for generating relief reg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ure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2901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2448B1 (en) | 2017-08-04 | 2018-06-28 | 주식회사 디오 |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and system thereof |
JP2018149079A (en) | 2017-03-13 | 2018-09-27 | 三井化学株式会社 | Denture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denture plate, plate den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late denture |
KR102084570B1 (en) | 2019-09-19 | 2020-03-04 | 주식회사 큐브세븐틴 | Method of producing dentures and dentures produced thereby |
JP2020521517A (en) | 2017-05-29 | 2020-07-27 | チョウ, ジャン チンCHOU, Jang−Ching | Positioning device used for making dental prosthesis |
JP2020168057A (en) | 2019-04-01 | 2020-10-15 | 恵司 宇田川 | Denture base formation method and denture base formation system for roofless dentur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6858B1 (en) * | 2015-02-23 | 2016-12-1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for designing dental prosthesis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KR102226949B1 (en) * | 2019-01-21 | 2021-03-17 | 남관우 | Impression tray set and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
KR102244787B1 (en) | 2019-07-04 | 2021-04-26 | 서아라 | Device for making a partial denture fr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102376710B1 (en) * | 2020-01-16 | 2022-03-21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forming of border of full denture |
-
2021
- 2021-11-01 KR KR1020210148036A patent/KR1026529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49079A (en) | 2017-03-13 | 2018-09-27 | 三井化学株式会社 | Denture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denture plate, plate den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late denture |
JP2020521517A (en) | 2017-05-29 | 2020-07-27 | チョウ, ジャン チンCHOU, Jang−Ching | Positioning device used for making dental prosthesis |
KR101872448B1 (en) | 2017-08-04 | 2018-06-28 | 주식회사 디오 |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and system thereof |
JP2020168057A (en) | 2019-04-01 | 2020-10-15 | 恵司 宇田川 | Denture base formation method and denture base formation system for roofless denture |
KR102084570B1 (en) | 2019-09-19 | 2020-03-04 | 주식회사 큐브세븐틴 | Method of producing dentures and dentures produced thereb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3988A (en) | 2023-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44392B2 (en) |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modifying a digital three-dimensional model of a dentition | |
KR101045004B1 (en) | Customized Abut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s | |
US10327873B2 (en) | Method,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 digital design for use in manufacturing a molding-shell for a dental restoration | |
EP3197389B1 (en) | Creating a digital restoration design | |
KR102016018B1 (en) | Method for setting Gingival line to design prosthesis | |
JP6757671B2 (en) | Virtual secondary processing method for gingival model | |
US2022033107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argin line | |
KR102168539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 |
JP2013128694A (en) | Program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simulation | |
KR102138919B1 (en) | Method for adjusting prosthetic parameter and prosthetic CAD apparatus therefor | |
JP2020508777A (en) | Prosthesis design method and system based on archline | |
KR102652901B1 (en) | Method for generating relief region and apparatus for designing denture therefor | |
KR20230002049A (en) |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 |
KR102000242B1 (en) | METHOD FOR DESIGN virtual prostheses in edentulous areas | |
KR2021011594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gingival of denture | |
US20220331076A1 (en) | Method for using integrated library | |
US20240289955A1 (en) | Method for providing margin line information about oral cavity,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 |
KR102549576B1 (en) | Apparatus for designing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thereof | |
KR20220145598A (en) |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 |
KR20220107773A (en) | A method for processing a three-dimensional intraoral model,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method | |
KR102573908B1 (en) | Method for classifying facial shape and denture design apparatus therefor | |
KR10268848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margin line of abutment model | |
TWI669106B (en) | Method for whitening teeth and dentition simulation images | |
KR102388411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tray, data transfer method and simulation apparatus therefor | |
KR20250053351A (en) | Method for design of crown connector,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