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2727B1 -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727B1
KR102652727B1 KR1020190126938A KR20190126938A KR102652727B1 KR 102652727 B1 KR102652727 B1 KR 102652727B1 KR 1020190126938 A KR1020190126938 A KR 1020190126938A KR 20190126938 A KR20190126938 A KR 20190126938A KR 102652727 B1 KR102652727 B1 KR 10265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nnector
display module
guid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345A (ko
Inventor
김균수
김기종
김민기
백승환
백인수
신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727B1/ko
Priority to CN202010869796.XA priority patent/CN112735308A/zh
Priority to US17/036,388 priority patent/US11244586B2/en
Publication of KR2021004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검사방법은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된 제1 회로부, 및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되며 가이드부에 연결된 제2 회로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회로부를 스테이지의 제1 안착부 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제1 안착부와 인접한 제2 안착부 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회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DISPLAY DEVICE AND DISPLAY MODULE TESTING METHOD}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모듈은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아 동작할 수 있다. 표시모듈은 회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아 영상을 표시하거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회로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성회로필름을 통해 표시모듈에 연결되거나, 회로 기판에 구비되어 표시모듈에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검사방법은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된 제1 회로부, 및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되며 가이드부에 연결된 제2 회로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회로부를 스테이지의 제1 안착부 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제1 안착부와 인접한 제2 안착부 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회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상기 제1 회로부와 비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이 상기 제2 안착부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부는 제1 회로필름 및 상기 제1 회로필름 위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부는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제2 회로필름 위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회로필름과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비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회로필름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가이드부는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가이드부의 경계에는 복수의 홀들이 정의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정의된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제1 회로필름과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가 제거된 상기 제2 회로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회로필름의 측면이 상기 제1 안착부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커넥터에 표시모듈 검사장치의 제1 검사커넥터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넥터에 상기 표시모듈 검사장치의 제2 검사커넥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검사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커넥터로 표시검사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검사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커넥터로 입력검사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부는 제2 회로필름, 상기 제2 회로필름 위에 실장된 제2 커넥터, 상기 제2 회로필름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커넥터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보강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스테인리스 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되며 제1 회로 필름 및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회로부, 및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되며 제2 회로 필름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입력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제1 회로부와 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와 비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회로부에 연결된 가이드부의 일부는 평면 상에서 제1 회로부와 비중첩할 수 있다. 제2 회로부의 위치는 제2 안착부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회로부는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에 제1 검사커넥터 및 제2 검사커넥터를 각각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체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위에 배치된 제1 회로부 및 제2 회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위에 배치된 제1 회로부 및 제2 회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II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DD)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표시장치(DD)는 전면(FS)에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전면(FS)은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다. 전면(FS)은 투과영역(TA) 및 투과영역(TA)과 인접한 베젤영역(BZ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투과영역(TA)에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은 정적 영상 및 동적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창 및 아이콘들이 도시되었다.
투과영역(TA)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영역(T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베젤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에 인접할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전면(FS)의 법선 방향은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DR3, 이하 제3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IM)이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상기 전면과 상기 배면은 제3 방향(DR3)으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 각각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을 평면이라 정의하고, "평면 상에서 보았다"는 것은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TC)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DD)는 표시장치(DD)에 접촉하는 입력은 물론, 근접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표시장치(DD)는 윈도우(100), 전자모듈(200), 제어모듈(300), 및 외부 케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100) 및 외부 케이스(400)는 결합되어 표시장치(DD)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전자모듈(200) 위에 배치되어 전자모듈(200)의 전면(IS)을 커버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는 다층 또는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0)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지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윈도우(100)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F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전면(FS)은 실질적으로 윈도우(100)의 전면(FS)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전자모듈(200)은 윈도우(1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모듈(200)은 영상(IM)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모듈(200)은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A)을 포함하는 전면(I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A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동시에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표시영역(AA)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영역(TA)은 표시영역(AA)의 전면 또는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투과영역(T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하거나, 외부 입력(TC)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영역(AA) 내에서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과 외부 입력(TC)이 감지되는 영역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비표시영역(NAA)은 베젤영역(BZA)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NAA)은 표시영역(AA)에 인접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AA)은 표시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비표시영역(NAA)에는 구동 회로 또는 구동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200)은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A)이 윈도우(100)를 향하는 평탄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표시영역(NAA)의 일부는 휘어질 수 있다. 이 때, 비표시영역(NAA) 중 일부는 전자모듈(200)의 배면을 향하게 되어, 표시장치(DD)의 전면에서의 베젤영역(BZA)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표시영역(NAA)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전자모듈(200)은 표시모듈(DM), 제1 회로부(CP1), 및 제2 회로부(CP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및 입력센서(IS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실질적으로 영상(IM)을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패널(DP)이 생성하는 영상(IM)은 표시영역(AA)을 통해 전면(IS)에 표시되어 외부에서 투과영역(TA)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또는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센서(ISP)는 표시패널(DP)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센서(ISP)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는 표시패널(D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는 표시패널(DP)과 제어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는 비표시영역(NAA)에 배치된 표시패널(DP)의 표시패드들(PDD)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는 표시패널(DP)이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표시패널(DP)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310)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입력센서(ISP)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입력센서(ISP)와 제어부(3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비표시영역(NAA)에 배치된 입력센서(ISP)의 감지패드들(PDS)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입력센서(ISP)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센서(ISP)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310)에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로부(CP1) 및 제2 회로부(CP2) 각각에는 회로칩(미도시)이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회로칩은 제어부(31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표시패널(DP) 또는 입력센서(ISP)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전자모듈(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제어부(310) 및 전원 공급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전자모듈(200)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전자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 영상 입력 모듈, 음향 입력 모듈, 메모리, 외부 인터페이스, 발광 모듈, 수광 모듈, 및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들은 마더보드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마더보드는 리지드 타입의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듈들 중 일부는 상기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 회로 필름을 통해 상기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 및 제2 회로부(CP2) 각각은 제어부(310)에 접속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모듈(200)에 있어서, 표시패널(DP) 및 입력센서(ISP)은 서로 다른 제어부(310)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회로부(CP1) 및 제2 회로부(CP2) 중 어느 하나는 제어부(310)에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공급부(320)는 표시장치(DD)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20)는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400)는 제어모듈(3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400)은 윈도우(100)와 함께 표시장치(DD)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400)는 전자모듈(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진 외부 케이스(4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케이스(400)는 서로 조립되는 복수 개의 바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400)는 글라스, 플라스틱, 메탈로 구성된 복수 개의 프레임 및/또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400)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모듈(200) 및 제어모듈(300)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위에 배치된 제1 회로부 및 제2 회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지(ST)에는 제1 안착부(SP1) 및 제2 안착부(SP2)가 정의될 수 있다. 제1 안착부(SP1) 및 제2 안착부(SP2)는 스테이지(ST)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모듈(DM, 도 2 참조), 표시모듈(DM, 도 2 참조)에 연결된 제1 회로부(CP1), 및 표시모듈(DM, 도 2 참조)에 연결되며 가이드부(GP)에 연결된 제2 회로부(CP2)를 준비한다(S100).
제1 회로부(CP1)는 스테이지(ST)의 제1 안착부(SP1) 위에 배치될 수 있다(S200). 제1 회로부(CP1)는 제1 안착부(SP1)에 의해 스테이지(ST) 상에 배치되는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는 제1 회로필름(CF1) 및 제1 커넥터(CN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필름(CF1)은 연성회로필름일 수 있다. 제1 회로필름(CF1)은 제1 커넥터(CN1)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표시패널(DP, 도 2 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커넥터(CN1)는 제1 회로필름(CF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CN1)는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는 다수 개의 암단자가 서로 대칭되게 열을 지어 결합된 암커넥터 홀더 또는 다수의 수단자가 서로 대칭되게 열을 지어 결합된 수커넥터 홀더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CN1)의 종류가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 및 가이드부(GP)는 제1 회로부(CP1) 및 스테이지(ST) 위에 배치될 수 있다(S300). 제2 회로부(CP2)의 위치는 제2 안착부(SP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제2 회로필름(CF2) 및 제2 커넥터(CN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로필름(CF2)은 제1 회로필름(CF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필름(CF2)은 연성회로필름일 수 있다. 제2 회로필름(CF2)은 제2 커넥터(CN2)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입력센서(ISP, 도 2 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커넥터(CN2)는 제2 회로필름(CF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회로필름(CF2) 및 제2 커넥터(CN2)는 제1 회로필름(CF1)과 중첩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커넥터(CN1) 및 제2 커넥터(CN2)는 비중첩할 수 있다. 제2 커넥터(CN2)는 제1 커넥터(CN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GP) 및 제2 회로필름(CF2)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GP)는 연성회로필름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가이드부(GP)의 일부는 제1 회로부(CP1)와 비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GP)는 제2 회로필름(CF2)의 일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부(GP)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제2 회로부(CP2) 전체는 제1 회로부(CP1)와 중첩한다. 따라서, 제2 회로부(CP2)의 위치는 스테이지(ST)에 제공된 안착부들(SP1, SP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없다. 제2 회로부(CP2)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 제2 커넥터(CN2)에 제2 검사커넥터(TC2, 도 7 참조)를 연결할 때 제2 커넥터(CN2)의 핀이 파손되거나 제2 커넥터(CN2)가 변형되는 체결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회로부(CP2)에 연결된 가이드부(GP)의 일부는 평면 상에서 제1 회로부(CP1)와 비중첩할 수 있다. 가이드부(GP)는 제2 안착부(SP2)를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CN1) 및 제2 커넥터(CN2)에 제1 검사커넥터(TC1, 도 7 참조) 및 제2 검사커넥터(TC2, 도 7 참조)를 각각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체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회로필름(CF2)와 가이드부(GP)의 경계에는 복수의 홀들(HA)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홀들(HA)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홀들(HA) 각각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홀들(HA) 각각의 형상은 가이드부(GP)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복수의 홀들(HA)은 제1 회로필름(CF1)과 중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회로부(CP1)를 배치하는 단계(S200)에서, 제1 회로필름(CF1)의 측면(CF1-S)은 제1 안착부(SP1)의 측면(SP1-S)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회로부(CP1)는 제1 안착부(SP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는 제1 안착부(SP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는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검사커넥터(TC1, 도 7 참조)를 제1 커넥터(CN1)에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들을 체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체결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회로부(CP2) 및 가이드부(GP)를 배치하는 단계(S300)에서, 가이드부(GP)의 측면(GP-S)은 제2 안착부(SP2)의 측면(SP2-S)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GP)는 제2 안착부(SP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GP)는 제2 안착부(SP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검사커넥터(TC2, 도 7 참조)를 제2 커넥터(CN2)에 결합할 수 있다. 커넥터들을 체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체결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지(ST)의 상면(ST-U)으로부터 제1 안착부(SP1)의 상면(SP1-U)까지의 제1 깊이(TK-SP1)가 스테이지(ST)의 상면(ST-U)으로부터 제2 안착부(SP2)의 상면(SP2-U)까지의 제2 깊이(TK-SP2)와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깊이(TK-SP2)는 제1 깊이(TK-SP1)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안착부(SP2)는 가이드부(GP)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모듈 검사장치는 제1 검사커넥터(TC1) 및 제2 검사커넥터(TC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을 검사하는 단계(S400)에서, 제1 검사커넥터(TC1)는 제1 커넥터(CN1, 도 4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검사커넥터(TC1)를 통해 제1 커넥터(CN1, 도 4 참조)에 표시검사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검사신호는 표시패널(DP, 도 2 참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 검사장치는 표시패널(DP, 도 2 참조)의 동작을 검사할 수 있다.
제2 검사커넥터(TC2)는 제2 커넥터(CN2, 도 4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검사커넥터(TC2)를 통해 제2 커넥터(CN2, 도 4 참조)에 입력검사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검사신호는 입력센서(ISP, 도 2 참조)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모듈 검사장치는 입력센서(ISP, 도 2 참조)의 동작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GP)는 제2 안착부(SP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는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검사커넥터(TC2)는 제2 커넥터(CN2, 도 4 참조)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CN2, 도 4 참조)에 몰드 함몰, 핀 함몰, 또는 구동 이상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4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GP, 도 4 참조)를 제거하는 단계(S500)에서 가이드부(GP, 도 4 참조)는 복수의 홀들(HA, 도 4 참조)이 정의된 방향을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복수의 홀들(HA, 도 4 참조)은 가이드부(GP, 도 4 참조)가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GP, 도 4 참조)가 제거된 제2 회로필름(CF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돌기(SW)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SW)는 복수의 홀들(HA, 도 4 참조)이 제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GP, 도 4 참조)는 표시모듈(DM, 도 2 참조)을 검사한 후 제거될 수 있다. 표시모듈 검사장치는 가이드부(GP, 도 4 참조)를 이용하여 회로필름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표시모듈(DM, 도 2 참조)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상에서 제2 회로부(CP2)는 제1 회로부(CP1)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 및 제2 회로부(CP2)가 제어모듈(300, 도 2 참조)에 연결될 때 차지하는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림한 표시장치(DD, 도 2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커넥터(CN1)는 제2 커넥터(CN2)와 비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 검사방법은 제1 커넥터(CN1) 및 제2 커넥터(CN2)에 몰드 함몰, 핀 함몰, 또는 구동 이상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커넥터(CN1) 및 제2 커넥터(CN2)는 제어모듈(300, 도 2 참조)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장치(DD, 도 2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위에 배치된 제1 회로부 및 제2 회로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모듈(DM, 도 2 참조), 표시모듈(DM, 도 2 참조)에 연결된 제1 회로부(CP1-1), 및 표시모듈(DM, 도 2 참조)에 연결되며 가이드부(GP-1)에 연결된 제2 회로부(CP2-1)를 준비한다(S100). 제1 회로부(CP1-1)는 스테이지(ST-1)의 제1 안착부(SP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S200).
제2 회로부(CP2-1) 및 가이드부(GP-1)는 제1 회로부(CP1-1) 및 스테이지(ST-1)의 제2 안착부(SP2-1) 위에 배치될 수 있다(S300).
가이드부(GP-1)는 제1 회로부(CP1-1) 및 제2 회로부(CP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가이드부(GP-1)는 제2 회로부(CP2-1)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가이드부(GP-1)의 일부는 제1 회로부(CP1-1)와 비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GP-1)는 제2 안착부(SP2-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1)는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CN1-1) 및 제2 커넥터(CN2-1)에 검사커넥터들을 연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체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모듈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III-I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회로부(CP2-1)는 제2 회로필름(CF2-1), 제2 커넥터(CN2-1), 및 보강부(SF)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SF)는 제2 회로필름(CF2-1) 아래에 배치되며 제2 커넥터(CN2-1)를 지지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강부(SF)는 제2 커넥터(CN2-1)와 인접한 제2 회로필름(CF2-1)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SF)는 스테인리스 강일 수 있다.
가이드부(GP-1)는 보강부(SF)의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GP-1)는 자석일 수 있다. 가이드부(GP-1)는 자력에 의해 보강부(SF)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로부(CP1-1)는 가이드부(GP-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부(CP2-1) 및 가이드부(GP-1)를 배치하는 단계(S300)에서, 가이드부(GP-1)의 측면(GP-1S)은 제2 안착부(SP2-1)의 측면(SP2-1S)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9를 통해 설명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부(GP-1, 도 9 참조)를 제거하는 단계(S500)에서 가이드부(GP-1, 도 9 참조)는 보강부(SF)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가이드부(GP-1, 도 9 참조)는 표시모듈(DM, 도 2 참조)을 검사한 후 제거될 수 있다. 표시모듈 검사장치는 가이드부(GP-1, 도 9 참조)를 이용하여 회로필름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표시모듈(DM, 도 2 참조)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모듈 검사방법은 제1 커넥터(CN1-1) 및 제2 커넥터(CN2-1)에 몰드 함몰, 핀 함몰, 또는 구동 이상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커넥터(CN1-1) 및 제2 커넥터(CN2-1)는 제어모듈(300, 도 2 참조)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장치(DD, 도 2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M: 표시모듈
CP1: 제1 회로부 CP2: 제2 회로부
SP1: 제1 안착부 SP2: 제2 안착부
GP: 가이드부

Claims (20)

  1.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된 제1 회로부, 및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되며 가이드부에 연결된 제2 회로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회로부를 스테이지의 제1 안착부 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제1 안착부와 인접한 제2 안착부 위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회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가 상기 제1 회로부와 비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이 상기 제2 안착부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부는 제1 회로필름 및 상기 제1 회로필름 위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부는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제2 회로필름 위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회로필름과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비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회로필름과 일체로 제공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가이드부는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제2 회로필름 및 상기 가이드부의 경계에는 복수의 홀들이 정의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홀들이 정의된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이 상기 제1 회로필름과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가 제거된 상기 제2 회로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회로필름의 측면이 상기 제1 안착부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커넥터에 표시모듈 검사장치의 제1 검사커넥터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커넥터에 상기 표시모듈 검사장치의 제2 검사커넥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검사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 커넥터로 표시검사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검사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커넥터로 입력검사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부는 제2 회로필름, 상기 제2 회로필름 위에 실장된 제2 커넥터, 상기 제2 회로필름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커넥터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보강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모듈 검사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자석인 표시모듈 검사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스테인리스 강인 표시모듈 검사방법.
  17.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표시면이 정의된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되며 제1 회로 필름 및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회로부; 및
    상기 표시모듈에 연결되며 제2 회로 필름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며,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돌기들과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입력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회로부는 상기 제1 회로부와 중첩하는 표시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2 커넥터와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KR1020190126938A 2019-10-14 2019-10-14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 Active KR102652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38A KR102652727B1 (ko) 2019-10-14 2019-10-14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
CN202010869796.XA CN112735308A (zh) 2019-10-14 2020-08-26 显示装置以及显示模组检查方法
US17/036,388 US11244586B2 (en) 2019-10-14 2020-09-29 Display device and display module tes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938A KR102652727B1 (ko) 2019-10-14 2019-10-14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45A KR20210044345A (ko) 2021-04-23
KR102652727B1 true KR102652727B1 (ko) 2024-04-02

Family

ID=7538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938A Active KR102652727B1 (ko) 2019-10-14 2019-10-14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44586B2 (ko)
KR (1) KR102652727B1 (ko)
CN (1) CN1127353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29544A1 (en) * 2017-05-10 2018-11-15 Hann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s for test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CN109686720A (zh) * 2018-11-08 2019-04-2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覆晶薄膜封装结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679A (ko) * 2006-09-27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N101441340B (zh) * 2008-12-17 2010-06-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器及电路板的固定方法
CN102620132B (zh) * 2012-03-30 2014-01-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壁挂结构及相应的液晶显示装置
KR101409568B1 (ko) * 2012-11-28 2014-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CN203038637U (zh) * 2013-01-31 2013-07-03 惠州市桑莱士光电有限公司 镶嵌式液晶显示模组电性能测试治具
KR101652303B1 (ko) 2015-01-05 2016-08-30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
JP6546525B2 (ja) 2015-12-24 2019-07-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628305B1 (ko) 2015-12-30 2016-06-09 (주) 네스텍코리아 전자부품 테스트용 자동 소켓
JP2017228162A (ja) 2016-06-23 2017-12-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アレイ基板、表示装置及びセンサ電極の検査方法
CN206331779U (zh) * 2016-11-11 2017-07-14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点灯测试装置及其支撑设备
KR102433103B1 (ko) * 2017-10-02 2022-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724522A (zh) * 2017-10-27 2019-05-07 群光电子(苏州)有限公司 一种产品厚度检验装置
CN207965406U (zh) * 2018-03-08 2018-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测试治具及测试系统
CN109489942A (zh) * 2018-12-04 2019-03-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的检测装置与方法
US12008191B2 (en) * 2019-10-09 2024-06-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Single-chip device for driving a panel including fingerprint sensing pixels, display pixels and touch sensors, electronic module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ingle-chip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29544A1 (en) * 2017-05-10 2018-11-15 Hann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In-cell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s for test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CN109686720A (zh) * 2018-11-08 2019-04-2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覆晶薄膜封装结构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44586B2 (en) 2022-02-08
CN112735308A (zh) 2021-04-30
US20210110746A1 (en) 2021-04-15
KR20210044345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9003B (zh) 显示装置及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TWI498630B (zh) 具有凹槽顯示器層之電子器件
US9600112B2 (en) Signal trace patterns for flexible substrates
CN113168210B (zh) 具有粘接结构的电子装置
KR102307693B1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26565A (ko) 보호 필름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39429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220241A1 (en) Touch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isplay product
KR20210149265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539083B (zh) 拼接显示装置
CN204155244U (zh) 触摸显示模组和电子显示产品
KR102652727B1 (ko) 표시장치 및 표시모듈 검사방법
KR102656427B1 (ko) 표시 모듈 검사 장치
KR20210076299A (ko) 표시 장치 및 입력 센서
US1174234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a laser and display panel perforation
US20240419213A1 (en) Substrate loading device and substrate loading method
JP2010225351A (ja) コネクター付き装置の検査方法、コネクター付き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ー付き装置用検査装置
KR202100862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22705473U (zh) 衬底装载装置
KR20220106869A (ko) 표시 모듈 검사 장치
CN114008867B (zh) 连接器
KR20210022235A (ko) 전자 모듈 및 전자 모듈 제조 방법
CN218976942U (zh) 显示模块弯折设备
CN113966649B (zh) 用于电子部件的支撑件
CN114913793A (zh) 显示模块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