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2602B1 - Led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Led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602B1
KR102652602B1 KR1020220123329A KR20220123329A KR102652602B1 KR 102652602 B1 KR102652602 B1 KR 102652602B1 KR 1020220123329 A KR1020220123329 A KR 1020220123329A KR 20220123329 A KR20220123329 A KR 20220123329A KR 102652602 B1 KR102652602 B1 KR 10265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eam
deadbolt
bar
side portion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249A (ko
Inventor
밍 리우
쑤에차오 순
Original Assignee
션전 리야드 옵토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션전 리야드 옵토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션전 리야드 옵토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6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8Interlock mechanisms; Means for avoiding unauthorised use or function, e.g. tamperpro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베젤 및 간격을 두고 베젤 내에 설치되는 제1 수평빔과 제2 수평빔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바 형태의 노치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의 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 및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의 전측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고정플레이트에 잠금 장치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제1 바형 락홀이 설치되며, 잠금 장치는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데드볼트를 포함하고, 제1 데드볼트는 제1 바형 락홀을 관통 가능하며, 또한 제1 바형 락홀과 대응되는 제1 잠금해제 위치 및 제1 바형 락홀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잠금 위치를 가지고, 어댑터플레이트는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플러그인하여 결합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해결수단은 관련 기술에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캐비닛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Description

LED 디스플레이 장치{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은 피치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앞뒤로 유지보수 기능을 갖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캐비닛, 캐비닛 전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캐비닛 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자기흡착 구조를 통해 캐비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어댑터플레이트는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플러그인하여 결합된다.
하지만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한 후, 어댑터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모듈을 플러그인하여 결합하는 과정에서, 어댑터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추력은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된다. 추력이 자기흡착 구조의 자기흡착력보다 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캐비닛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관련 기술에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캐비닛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젤 및 간격을 두고 상기 베젤 내에 설치되는 제1 수평빔과 제2 수평빔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바 형태의 노치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의 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 및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의 전측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제1 수평빔, 제2 수평빔, 및 베젤의 일부 사이에 바 형태의 노치가 형성되고, 고정플레이트에 잠금 장치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제1 바형 락홀이 설치되고, 잠금 장치는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데드볼트를 포함하고, 제1 데드볼트는 제1 바형 락홀을 관통 가능하며, 또한 제1 바형 락홀과 대응되는 제1 잠금해제 위치 및 제1 바형 락홀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잠금 위치를 가지며, 어댑터플레이트는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플러그인하여 결합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진일보로, 어댑터플레이트에 제2 바형 락홀이 설치되며, 잠금 장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 데드볼트를 더 포함하고, 제2 데드볼트는 제2 바형 락홀을 관통하며, 또한 제2 바형 락홀과 대응되는 제2 잠금해제 위치 및 제2 바형 락홀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2 잠금 위치를 가지고, 제1 데드볼트가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며, 제1 데드볼트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는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한다.
진일보로, 제1 데드볼트는 회전축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제2 데드볼트는 회전축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제1 바형 락홀은 제2 바형 락홀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2 데드볼트는 제1 데드볼트와 수직되게 설치된다.
진일보로, 잠금 장치는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락시트를 더 포함하고, 회전축은 락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데드볼트는 기둥 형상이고, 제2 데드볼트는 블록 형상이다.
진일보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램프플레이트 및 램프플레이트의 후측에 설치되는 후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1 바형 락홀은 후면플레이트에 설치되며, 고정플레이트에는 커넥터를 퇴피시키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커넥터는 램프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암커넥터 및 어댑터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수커넥터를 포함한다.
진일보로, 제1 수평빔과 제2 수평빔은 모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횡단부, 제2 횡단부 및 제3 횡단부를 포함하며, 제1 수평빔의 제2 횡단부와 제2 수평빔의 제2 횡단부 사이의 거리는 제1 수평빔의 제1 횡단부와 제2 수평빔의 제1 횡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제1 수평빔의 제2 횡단부와 제2 수평빔의 제2 횡단부 사이의 거리는 제1 수평빔의 제3 횡단부와 제2 수평빔의 제3 횡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진일보로, 베젤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세로변부분, 제1 가로변부분, 제2 세로변부분 및 제2 가로변부분을 포함하고, 제1 수평빔과 제2 수평빔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 수평빔의 양단은 제1 세로변부분과 제2 세로변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수평빔의 양단은 제1 세로변부분과 제2 세로변부분에 각각 연결되며, 제1 수평빔, 제2 수평빔, 제1 세로변부분의 일부 및 제2 세로변부분의 일부는 바 형태의 노치를 형성하고, 직사각형 프레임은 베젤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수직빔을 더 포함하며, 복수의 제1 수직빔은 직사각형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 제1 수직빔의 양단은 제1 가로변부분과 제1 수평빔에 각각 연결되며, 제1 세로변부분에 가장 가까운 제1 수직빔, 제1 수평빔의 일부, 제1 세로변부분의 일부 및 제1 가로변부분의 일부는 제1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제2 세로변부분에 가장 가까운 제1 수직빔, 제1 수평빔의 일부, 제2 세로변부분의 일부 및 제1 가로변부분의 일부는 제2 직사각형홀을 형성하며, 인접되는 2개의 제1 수직빔, 제1 수평빔의 일부 및 제1 가로변부분의 일부는 제3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제1 직사각형홀의 형태는 제2 직사각형홀의 형태와 동일하며, 제1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은 제3 직사각형홀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크고, 제1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넓이보다 크다.
진일보로, 직사각형 프레임은 베젤 내의 복수의 제2 수직빔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수직빔은 베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2 수직빔 각각의 양단은 제2 가로변부분과 제2 수평빔에 각각 연결되고, 제1 세로변부분에 가장 가까운 제2 수직빔, 제2 수평빔의 일부, 제1 세로변부분의 일부 및 제2 가로변부분의 일부는 제4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제2 세로변부분에 가장 가까운 제2 수직빔, 제2 수평빔의 일부, 제2 세로변부분의 일부 및 제2 가로변부분의 일부는 제5 직사각형홀을 형성하며, 인접되는 2개의 제2 수직빔, 제2 수평빔의 일부 및 제2 가로변부분의 일부는 제6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제4 직사각형홀의 형태는 제5 직사각형홀의 형태와 동일하며, 제4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은 제6 직사각형홀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크고, 제4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넓이보다 크다.
진일보로, 디스플레이 모듈과 자기흡착구조는 모두 복수이고,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복수의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의 전측에 접합된다.
진일보로, 베젤의 전측, 제1 수평빔의 전측 및 제2 수평빔의 전측에 모두 복수의 고정시트가 설치되고, 각 자기흡착구조는 모두 하나의 고정시트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1 자기흡착부재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2 자기흡착부재를 포함하며, 제1 자기흡착부재는 제2 자기흡착부재와 자기흡착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고, 복수의 자기흡착구조의 앞면은 동일 평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직사각형 프레임,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프레임은 베젤 및 간격을 두고 베젤 내에 설치되는 제1 수평빔과 제2 수평빔을 포함한다. 제1 수평빔, 제2 수평빔, 및 베젤의 일부 사이에 바 형태의 노치가 형성된다.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는 바 형태의 노치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고정플레이트의 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이렇게 하면, 바 형태의 노치에는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가 수용될 수 있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더 가볍고 얇아지게 된다. 고정플레이트에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의 전측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측에 제1 바형 락홀이 설치된다. 본 출원에서, 잠금 장치는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데드볼트를 포함하고, 제1 데드볼트는 제1 바형 락홀을 관통 가능하며, 또한 제1 바형 락홀과 대응되는 제1 잠금해제 위치 및 제1 바형 락홀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잠금 위치를 가지고, 어댑터플레이트는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플러그인하여 결합된다.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어댑터플레이트를 고정플레이트의 후측으로부터 탈착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한 후, 어댑터플레이트를 다시 고정플레이트에 장착하여 커넥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 상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플러그인하여 결합해야 한다. 어댑터플레이트를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과 플러그인하기 전에, 제1 데드볼트를 제1 잠금해제 위치에서 제1 잠금 위치로 전환하고, 제1 데드볼트를 제1 바형 락홀과 어긋나게 결합하여, 제1 데드볼트가 제1 바형 락홀을 잠금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을 직사각형 프레임에 잠근다. 어댑터플레이트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커넥터를 통해 플러그인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어댑터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추력이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되며, 추력이 자기흡착구조의 자기인력보다 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은 잠금 장치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에 단단히 잠겨지므로, 추력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직사각형 프레임에서 밀어낼 수 없으며, 디스플레이 모듈이 떨어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안전 보호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어댑터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의 후측에 쉽게 장착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해결수단은 관련 기술에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캐비닛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의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부적절한 한정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입체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단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A부분의 확대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입체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도5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단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도7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B부분의 확대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일부 구조가 분해되는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댑터플레이트의 정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의 고정플레이트에서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입체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도1의 잠금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입체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4는 도13의 잠금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정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는 도1의 잠금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입체 구조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6은 도15의 잠금 장치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정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은 도1의 고정플레이트에서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도1의 고정플레이트에서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는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거한 경우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0은 도1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거한 경우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후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1은 도20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거한 경우의 제1 데드볼트가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정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2는 도1의 직사각형 프레임의 정면 예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자명한 것은,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전부 실시예는 아니다.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실제적으로 단지 설명성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 및 그 적용 또는 사용에 대한 그 어떤 한정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콘텍스트에 명확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는 복수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및/또는 "포괄"을 사용할 경우, 이는 특징, 단계, 동작, 디바이스,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적하는 것이다.
다른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부재와 단계의 상대적인 배치, 수자 표현식 및 수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동시에, 알아야 할 것은, 설명의 편리를 위해 도면에서 도시되는 각 부분의 사이즈는 실제적인 비율 관계에 따라 드로잉된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술, 방법 및 기기에 대해 상세하게 논의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절한 경우 상기 기술, 방법 및 기기는 등록된 명세서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도시 및 논의되는 모든 예시에서, 임의의 구체적인 값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유사한 부호 및 알파벳은 아래의 도면에서 유사한 항목을 나타내므로, 어느 한 항이 하나의 도면에서 정의될 경우, 이후의 도면에서 이에 대해 추가적으로 논의할 필요는 없다.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직사각형 프레임(10),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20) 및 디스플레이 모듈(40)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프레임(10)은 베젤(11) 및 간격을 두고 베젤(11) 내에 설치되는 제1 수평빔(12)과 제2 수평빔(13)을 포함한다. 제1 수평빔(12), 제2 수평빔(13), 및 베젤(11)의 일부 사이에 바 형태의 노치가 형성된다.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20)는 바 형태의 노치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21) 및 고정플레이트(21)의 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플레이트(22)를 포함하며, 고정플레이트(21)에는 잠금 장치(30)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의 후측에 제1 바형 락홀(41)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30)는 고정플레이트(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3) 및 회전축(33)에 설치되는 제1 데드볼트(31)를 포함한다. 제1 데드볼트(31)는 제1 바형 락홀(41)을 관통 가능하며, 또한 제1 바형 락홀(41)과 대응되는 제1 잠금해제 위치 및 제1 바형 락홀(41)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잠금 위치를 가진다. 어댑터플레이트(22)는 커넥터(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40)과 플러그인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20)는 바 형태의 노치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21) 및 고정플레이트(21)의 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바 형태의 노치에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20)가 수용될 수 있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으므로, 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더 가볍고 얇아지게 된다. 고정플레이트(21)에 잠금 장치(30)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40)의 후측에 제1 바형 락홀(41)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30)는 고정플레이트(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3) 및 회전축(33)에 설치되는 제1 데드볼트(31)를 포함한다. 제1 데드볼트(31)는 제1 바형 락홀(41)을 관통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바형 락홀(41)과 대응되는 제1 잠금해제 위치 및 제1 바형 락홀(41)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잠금 위치를 가진다. 어댑터플레이트(22)는 커넥터(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40)과 플러그인하여 결합된다.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어댑터플레이트를 고정플레이트(21)의 후측으로부터 탈착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한 후, 어댑터플레이트(22)를 다시 고정플레이트(21)에 장착하여 커넥터(50)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10) 상의 디스플레이 모듈(40)과 플러그인하여 결합해야 한다. 어댑터플레이트(22)를 커넥터(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40)과 플러그인하기 전에, 제1 데드볼트(31)를 제1 잠금해제 위치에서 제1 잠금 위치로 전환하고, 제1 데드볼트(31)를 제1 바형 락홀(41)과 어긋나게 결합하여, 제1 데드볼트(31)가 제1 바형 락홀(41)을 잠금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에 잠근다. 어댑터플레이트(22)와 디스플레이 모듈(40)이 커넥터(50)를 통해 플러그인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어댑터플레이트(22)에 인가되는 추력이 커넥터(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40)에 전달되며, 추력이 자기흡착구조의 자기인력보다 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잠금 장치(30)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10)에 단단히 잠겨지므로, 추력은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에서 밀어낼 수 없으며, 디스플레이 모듈(40)이 떨어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안전 보호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어댑터플레이트(22)가 고정플레이트(21)의 후측에 쉽게 장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은 관련 기술에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캐비닛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바형 락홀(41)이 제1 데드볼트(31)와 대응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40)의 앞면 상의 제1 데드볼트(31)의 윤곽의 투영이 제1 바형 락홀(41)과 겹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앞면 상의 제1 데드볼트(31)의 윤곽의 투영이 제1 바형 락홀(4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3, 도4, 도7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어댑터플레이트(22)에 제2 바형 락홀(221)이 설치되며, 잠금 장치(30)는 회전축(33)에 설치되는 제2 데드볼트(34)를 더 포함하고, 제2 데드볼트(34)는 제2 바형 락홀(221)을 관통 가능하며, 또한 제2 바형 락홀(221)과 대응되는 제2 잠금해제 위치 및 제2 바형 락홀(221)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2 잠금 위치를 가진다. 여기서,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며, 또한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잠금 장치(30)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10)에 단단히 잠겨지고, 이와 동시에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므로, 제2 데드볼트(34)는 어댑터플레이트(22)에서의 제2 바형 락홀(221)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33)을 회전시켜, 제1 데드볼트(31)를 제1 잠금 위치에서 제1 잠금해제 위치로 전환할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서 제2 잠금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잠금 장치(30)는 어댑터플레이트(22)를 고정플레이트(21)에 고정한다. 이때, 제1 데드볼트(31)는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에서 떼내어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명자는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해 전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너트를 탈부착하기 위한 한 세트의 탈부착 도구(예를 들면, 소켓 렌치)가 필요하고,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나사를 탈부착하기 위한 다른 한 세트의 탈부착 도구(예를 들면, 스패너)가 필요하며, 이렇게 두 세트의 탈부착 도구를 사용하여 어댑터플레이트에 대한 전측 및 후측 유지보수를 실현함으로써, 조작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발견해 내었다.
도3, 도4, 도7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어댑터플레이트(22)에는 제2 바형 락홀(221)이 설치되며, 잠금 장치(30)는 회전축(33)에 설치되는 제2 데드볼트(34)를 포함하고, 제2 데드볼트(34)는 제2 바형 락홀(221)을 관통 가능하며, 또한 제2 바형 락홀(221)과 대응되는 제2 잠금해제 위치 및 제2 바형 락홀(221)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2 잠금 위치를 가진다. 여기서,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며, 또한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어댑터플레이트(22)에 대해 전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직사각형 프레임(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고, 어댑터플레이트(22)는 잠금 장치(30)에 의해 고정플레이트(2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플레이트(21)를 탈부착할 시 어댑터플레이트(22)를 고정플레이트(21)와 함께 탈부착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댑터플레이트(22)의 전측 유지보수를 실현한다. 어댑터플레이트(22)에 대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회전축(33)을 회전시켜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게 될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플레이트(22)에서의 제2 바형 락홀(221)은 고정플레이트(21)에서 이탈할 수 있어, 어댑터플레이트(22)를 직사각형 프레임(10)으로부터 탈착하여, 어댑터플레이트(22)에 대한 후측 유지보수를 실현함으로써, 관련 기술에서의 다른 한 세트의 탈부착 도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어댑터플레이트(22)에 대한 후측 유지보수를 실현할 수 있으며, 탈부착 도구의 사용 개수를 감소한다. 이렇게 하면, 어댑터플레이트(22)에 대한 전측 및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관련 기술에서의 두 세트의 탈부착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조작이 간단해진다.
도4, 도8, 도12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해제 위치로 되는 과정에서, 또는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 위치로 되는 과정에서, 제1 데드볼트(31) 및 제2 데드볼트(34)가 모두 상응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확보하기 위해, 제1 데드볼트(31)는 회전축(33)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제2 데드볼트(34)는 회전축(33)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1 바형 락홀(41)은 제2 바형 락홀(221)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제2 데드볼트(34)는 제1 데드볼트(31)와 수직되게 설치된다.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데드볼트(31)는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데드볼트(31)는 안정적이고 신뢰성있게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12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3)가 고정플레이트(21)에 신뢰성 있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잠금 장치(30)는 고정플레이트(21)에 설치되는 락시트(32)를 더 포함하며, 회전축(33)은 락시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데드볼트(31)는 기둥 형상이고 제2 데드볼트(34)는 블록 형상이다. 기둥 형상의 제1 데드볼트(31)는 가공이 편리하고 쉽게 성형된다.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블록 형상의 제2 데드볼트(34)는 확실한 잠금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2 데드볼트(34)는 블록 형상이므로,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해제 위치와 제2 잠금 위치 사이에서 전환을 실현하도록 우수한 조작 위치를 형성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다.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시트(32)의 일부 구조는 바 형태이고, 바 형태의 락시트(32)는 제2 바형 락홀(221) 내에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바 형태의 락시트(32)는 제2 데드볼트(34)를 상승시켜,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 위치와 제2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는 과정에서 어댑터플레이트(22) 상의 구조(예를 들면, 구성부품)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4, 도8,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드볼트(34)가 신속하게 제2 잠금 위치에서 제2 잠금해제 위치로 전환되거나, 또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서 제2 잠금 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잠금 장치(30)는 어댑터플레이트(22)와 제2 데드볼트(34)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고정구조(60)를 더 포함한다.
도4, 도8,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구조(60)는 위치고정홀(61) 및 위치고정홀(61)과 위치고정하여 결합되는 위치고정부재(62)가 포함되며, 위치고정홀(61)은 어댑터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위치고정부재(62)는 제2 데드볼트(34)에 설치된다. 위치고정홀(61)과 위치고정부재(62)는 위치고정하여 결합됨으로써, 위치고정구조(60)의 구조가 간단하다.
물론, 도면에 미도시된 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재는 어댑터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위치고정홀은 제2 데드볼트에 설치될 수 있다.
도4, 도8,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홀(61)은 어댑터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위치고정부재(62)는 제2 데드볼트(34)에 설치된다. 위치고정부재(62)는 위치고정볼(621) 및 탄성부재(622)를 포함한다. 제2 데드볼트(34)는 제한홀(341)을 가지고, 탄성부재(622)는 제한홀(341) 내에 위치하며, 위치고정볼(621)은 제한홀(341) 내에 제한된다. 제2 데드볼트(34)가 제2 잠금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위치고정볼(621)의 일부는 위치고정홀(6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622)는 위치고정볼(621)로 제2 데드볼트(3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탄력을 인가하여, 위치고정볼(621)이 항상 탄력의 작용을 받게 한다. 위치고정볼(621)이 제한홀(341) 내에 안정적으로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위치고정볼(621)의 적도면은 제한홀(341) 내에 위치한다. 상기 위치고정볼(621)과 탄성부재(622)의 결합으로 위치고정부재(62)는 신축 기능을 갖게 되며, 위치고정볼(621)이 압착력을 받아 위치고정부재(62)가 수축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제2 잠금 위치와 제2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위치고정볼(621)이 단지 탄력만 받아 위치고정부재(62)가 돌출되는 경우, 제2 데드볼트(34)는 안정적으로 제2 잠금 위치 또는 제2 잠금해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다.
도4, 도8,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홀(61)은 어댑터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위치고정부재(62)는 제2 데드볼트(34)에 설치된다. 어댑터플레이트(22)는 어댑터플레이트 본체(222) 및 어댑터플레이트 본체(222)의 후측에 설치되는 받침케이스(223)를 포함하며, 제2 바형 락홀(221)은 받침케이스(223)에 설치되고, 어댑터플레이트 본체(222)에는 제2 바형 락홀(221)과 대응하여 설치되는 퇴피홀이 설치되며, 위치고정홀(61)은 받침케이스(223)에 설치된다. 어댑터플레이트(22)를 고정플레이트로부터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제2 데드볼트(34)가 제2 바형 락홀(221)을 자주 관통하여, 제2 데드볼트(34)가 어뎁터플레이트(22)와 부딪쳐, 어댑터플레이트(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바형 락홀(221)을 받침케이스(223)에 설치한다. 받침케이스(223)는 제2 데드볼트(34)와 어댑터플레이트 본체(222)를 이격할 수 있어, 제2 데드볼트(34)와 어댑터플레이트 본체(222)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데드볼트(34)가 어댑터플레이트 본체(222)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댑터플레이트 본체(222)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받침케이스(223)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이다.
도4, 도8, 도10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플레이트(22)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정플레이트(21)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어댑터플레이트(22)는 복수의 받침케이스(223), 잠금 장치(30) 및 위치고정구조(60)를 포함한다. 잠금 장치(30)의 개수는 받침케이스(223) 개수의 짝수배이고, 위치고정구조(60)의 개수는 잠금 장치(30) 개수의 짝수배이며, 각 받침케이스(223)는 모두 2개의 장착부(2231) 및 2개의 장착부(2231)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부(2232)를 포함하고, 2개의 잠금 장치(30)의 제2 데드볼트(34)는 2개의 장착부(2231)와 일일이 대응되게 설치되며, 각 위치고정구조(60)의 위치고정홀(61)과 위치고정부재(62) 중의 하나는 장착부(2231)에 설치되고, 각 위치고정구조(60)의 위치고정홀(61)과 위치고정부재(62) 중의 다른 하나는 제2 데드볼트(34)에 설치된다.
도17 내지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1)를 제1 수평빔(12) 및 제2 수평빔(13)에 연결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21)는 고정플레이트 본체(212) 및 고정플레이트 본체(212)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돌출 가장자리(214)를 포함한다. 돌출 가장자리(214)의 일부는 제1 체결부재(71)를 통해 제1 수평빔(12)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돌출 가장자리(214)의 나머지 부분은 제2 체결부재(72)를 통해 제2 수평빔(13)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체결부재(71) 및 제2 체결부재(72)는 모두 바람직하게는 나사이다.
도17 내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1)가 바 형태의 노치를 가릴 수 있고,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 본체(212)의 넓이는 바 형태 노치의 넓이보다 크다. 고정플레이트 본체(212)는 중간부분(2121) 및 중간부분(2121)의 양단에 설치되는 단부(2122)를 포함하며, 단부(2122)의 넓이는 중간부분(2121)의 넓이보다 작다. 상기 사이즈는 고정플레이트 본체(212)의 형태와 바 형태 노치의 형태 및 어댑터플레이트(22)의 형태와 서로 대응되도록 하여, 쉽게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10, 도17 내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플레이트(22)를 고정플레이트(21)에 장착할 경우, 고정플레이트(21)와 어댑터플레이트(22)의 구성부재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 본체(212) 상에 복수의 퇴피홀(2123)이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복수의 퇴피홀(2123)은 어댑터플레이트(22) 상의 구성부재를 퇴피시킬 수 있어, 어댑터플레이트(22)가 고정플레이트에 평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3, 도4,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40)은 램프플레이트(42) 및 램프플레이트(42)의 후측에 설치되는 후면플레이트(4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40)에 제1 바형 락홀(41)을 쉽게 가공하기 위해, 제1 바형 락홀(41)은 후면플레이트(43)에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21)에는 커넥터(50)를 퇴피시키는 관통홀(211)이 설치되고, 커넥터(50)는 램프플레이트(42)에 설치되는 암커넥터(53) 및 어댑터플레이트(22)에 설치되는 수커넥터(54)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암커넥터(53)가 수커넥터(54)와 플러그인하여 결합되는 것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관통홀(211)의 설치는 고정플레이트(21)와 커넥터(5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도2, 도5, 도6, 도21 내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빔(12)과 제2 수평빔(13)은 모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횡단부(121), 제2 횡단부(122) 및 제3 횡단부(123)를 포함한다. 제1 수평빔(12)의 제2 횡단부(122)와 제2 수평빔(13)의 제2 횡단부(122) 사이의 거리는 제1 수평빔(12)의 제1 횡단부(121)와 제2 수평빔(13)의 제1 횡단부(121)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제1 수평빔(12)의 제2 횡단부(122)와 제2 수평빔(13)의 제2 횡단부(122) 사이의 거리는 제1 수평빔(12)의 제3 횡단부(123)와 제2 수평빔(13)의 제3 횡단부(123)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이렇게 하면, 상기 사이즈는 바 형태의 노치가 중간이 넓고 양단이 좁은 특점을 가지도록 하여, 바 형태 노치의 형태와 어댑터플레이트(22)의 형태를 서로 대응되도록 하여, 어댑터플레이트(22)를 적합하게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공간을 절약하고,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감소하는데 유리하며, 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다 더 가볍고 얇아지게 된다.
도1, 도2, 도5, 도6, 도21 내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1)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세로변부분(111), 제1 가로변부분(112), 제2 세로변부분(113) 및 제2 가로변부분(114)를 포함한다. 제1 수평빔(12)과 제2 수평빔(13)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제1 수평빔(12)의 양단은 제1 세로변부분(111)과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수평빔(13)의 양단은 제1 세로변부분(111)과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각각 연결되며, 제1 수평빔(12), 제2 수평빔(13), 제1 세로변부분(111)의 일부 및 제2 세로변부분(113)의 일부는 전술한 바 형태의 노치를 형성한다. 직사각형 프레임(10)은 베젤(11)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수직빔(14)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1 수직빔(14)은 직사각형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제1 수직빔(14)의 양단은 제1 가로변부분(112)과 제1 수평빔(12)에 각각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직사각형 프레임(10)이 충분한 구조 강도를 가지게 된다. 제1 세로변부분(111)에 가장 가까운 제1 수직빔(14), 제1 수평빔(12)의 일부, 제1 세로변부분(111)의 일부 및 제1 가로변부분(112)의 일부는 제1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가장 가까운 제1 수직빔(14), 제1 수평빔(12)의 일부, 제2 세로변부분(113)의 일부 및 제1 가로변부분(112)의 일부는 제2 직사각형홀을 형성하며, 인접되는 2개의 제1 수직빔(14), 제1 수평빔(12)의 일부 및 제1 가로변부분(112)의 일부는 제3 직사각형홀을 형성한다. 제1 직사각형홀의 형태는 제2 직사각형홀의 형태와 동일하고, 제1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은 제3 직사각형홀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크며, 제1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크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으로부터 떼내어 전측 유지보수를 수행해야 할 경우,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전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40)이 자기흡착구조의 자기인력에서 이탈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으로부터 힘을 주어 당기면 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으로부터 떼내어 전측 유지보수를 수행해야 할 경우, 제1 데드볼트(31)가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도록 전환되고, 제1 직사각형홀 또는 제2 직사각형홀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앞으로 밀어, 디스플레이 모듈(40)이 직사각형 프레임(10)과 분리되게 한 다음, 디스플레이 모듈(40)이 경사지게 거치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40)을 회전한다. 제1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크므로,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제1 직사각형홀 또는 제2 직사각형홀을 관통하여 나올 수 있어, 직사각형 프레임(10)의 후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40)을 떼낼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직사각형홀은 인접되는 2개의 변이 수직되고, 마주하는 2개의 변이 평행되는 것을 만족하며, 내부에는 돌기, 끼인각, 면취 및 원호 변환 등 구조가 있을 수 있다. "제1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에서의 "횡단면"은 제1 직사각형홀의 축선과 수직된다. "제1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크다"는 제1 직사각형홀의 2개의 대각선 거리 중의 하나가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크거나 또는 제1 직사각형홀의 2개의 대각선 거리가 모두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큰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 직사각형홀은 수동 조작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직사각형홀 또는 제2 직사각형홀로부터 탈부착을 실현하게 된다.
도1, 도2, 도5, 도6, 도21 내지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10)은 베젤(11) 내의 복수의 제2 수직빔(15)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수직빔(15)은 베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제2 수직빔(15)의 양단은 제2 가로변부분(114)과 제2 수평빔(13)에 각각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직사각형 프레임(10)이 충분한 구조 강도를 가지게 된다. 제1 세로변부분(111)에 가장 가까운 제2 수직빔(15), 제2 수평빔(13)의 일부, 제1 세로변부분(111)의 일부 및 제2 가로변부분(114)의 일부는 제4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가장 가까운 제2 수직빔(15), 제2 수평빔(13)의 일부, 제2 세로변부분(113)의 일부 및 제2 가로변부분(114)의 일부는 제5 직사각형홀을 형성하며, 인접되는 2개의 제2 수직빔(15), 제2 수평빔(13)의 일부 및 제2 가로변부분(114)의 일부는 제6 직사각형홀을 형성한다. 제4 직사각형홀의 형태는 제5 직사각형홀의 형태와 동일하고, 제4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은 제6 직사각형홀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크며, 제4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크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으로부터 떼내어 후측 유지보수를 수행해야 할 경우, 제4 직사각형홀 또는 제5 직사각형홀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을 앞으로 밀어, 디스플레이 모듈이 직사각형 프레임(10)과 분리되게 한 다음, 디스플레이 모듈이 경사지게 거치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할 수도 있다. 제4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넓이보다 크므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4 직사각형홀 또는 제5 직사각형홀을 관통하여 나올 수 있어, 직사각형 프레임(10)의 후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떼낼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4 직사각형홀은 인접되는 2개의 변이 수직되고, 마주하는 2개의 변이 평행되는 것을 만족하며, 내부에는 돌기, 끼인각, 면취 및 원호 변환 등 구조가 있을 수 있다. 제4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에서의 횡단면은 제4 직사각형홀의 축선과 수직된다. "제4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크다"는 제4 직사각형홀의 2개의 대각선 거리 중의 하나가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크거나 또는 제4 직사각형홀의 2개의 대각선 거리가 모두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큰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6 직사각형홀은 수동 조작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4 직사각형홀 또는 제5 직사각형홀로부터 탈부착을 실현하게 된다.
도9, 도21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및 제조의 편리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40)과 자기흡착구조는 모두 복수이고, 각 디스플레이 모듈(40)은 복수의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접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40)은 4개이고, 자석흡인구조의 개수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의 4배이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40)은 적어도 4개의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접합된다.
구체적으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모듈(40)은 10개의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접합된다.
물론,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2개, 3개, 5개 및 그이상 일수도 있다. 자기흡착구조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도9, 도21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1)의 전측, 제1 수평빔(12)의 전측 및 제2 수평빔(13)의 전측에는 모두 고정시트가 설치되고, 각 자기흡착구조는 모두 하나의 고정시트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1 자기흡착부재(51) 및 디스플레이 모듈(40)의 후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2 자기흡착부재(52)를 포함하며, 제1 자기흡착부재(51)는 제2 자기흡착부재(52)와 자기흡착하여 결합된다. 이렇게 하면, 각 제1 자기흡착부재(51)가 대응되는 하나의 제2 자기흡착부재(52)와 자기흡착하여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40)을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복수의 자기흡착구조의 제1 자기흡착부재(51)는 직사각형 프레임(10) 앞면과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어, 평탄한 장착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40)이 비교적 높은 평탄도를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장착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방위 단어 "전, 후, 상, 하, 좌, 우", "가로, 세로, 수직, 수평" 및 "상부, 하부"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일반적으로 도면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쉽게 설명하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반대되는 설명을 하지 않는 한, 이러한 방위 단어는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의 방위를 가지거나 또는 특정의 방위로 구성 및 작동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방위 단어 "내, 외"는 각 부재 자체의 윤곽을 상대로 하는 내외를 가리킨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상에서", "…상방에서", "…상면에서", "상의" 등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특징과 다른 디바이스 또는 특징의 공간적인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디바이스의 도면에서 설명되는 방위 이외의 사용 또는 동작 중의 서로 다른 방위를 포함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서의 디바이스가 거꾸로 될 경우, "다른 디바이스 또는 구조 상방에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구조 상에서"로 설명된 디바이스는, 이후 "다른 디바이스 또는 구조의 하방에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구조 하에서"로 위치가 확정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상방에서"는 "…상방에서" 및 "…하방에서"의 2가지 방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기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위치가 확정(90도 회전 또는 다른 방위)될 수도 있으며,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에 대해 상응하게 해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제2" 등 단어를 사용하여 부품을 한정하는 것은, 단지 해당 부품들을 쉽게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상기 단어는 특별한 의미가 없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상기 설명되는 것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수행되는 임의의 수정, 균등한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도면은 하기 도면부호를 포함한다.
10: 직사각형 프레임 11:베젤
111: 제1 세로변부분 112: 제1 가로변부분
113: 제2 세로변부분 114: 제2 가로변부분
12: 제1 수평빔 121: 제1 횡단부
122: 제2 횡단부 123: 제3 횡단부
13: 제2 수평빔 14: 제1 수직빔
15: 제2 수직빔 20: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
21: 고정플레이트 212: 고정플레이트 본체
2121: 중간부분 2122: 단부
2123: 퇴피홀 214: 돌출 가장자리
211: 관통홀 22: 어댑터플레이트
221: 제2 바형 락홀 222: 어댑터플레이트 본체
223: 받침케이스 2231: 장착부
2232: 돌기부 30: 잠금 장치
31: 제1 데드볼트 32: 락시트
33: 회전축 34: 제2 데드볼트
341: 제한홀 40: 디스플레이 모듈
41: 제1 바형 락홀 42: 램프플레이트
43: 후면플레이트 50: 커넥터
51: 제1 자기흡착부재 52: 제2 자기흡착부재
53: 암커넥터 54: 수커넥터
60: 위치고정구조 61: 위치고정홀
62: 위치고정부재 621: 위치고정볼
622: 탄성부재 71: 제1 체결부재
72: 제2 체결부재

Claims (10)

  1. 베젤(11) 및 간격을 두고 상기 베젤(11) 내에 설치되는 제1 수평빔(12)과 제2 수평빔(13)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10);
    바 형태의 노치에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21)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21)의 후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댑터플레이트(22)를 포함하는 어댑터플레이트 컴포넌트(20); 및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빔(12), 상기 제2 수평빔(13), 및 상기 베젤(11)의 일부 사이에 상기 바 형태의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잠금 장치(30)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의 후측에 제1 바형 락홀(41)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장치(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3) 및 상기 회전축(33)에 설치되는 제1 데드볼트(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드볼트(31)는 상기 제1 바형 락홀(41)을 관통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1 바형 락홀(41)과 대응되는 제1 잠금해제 위치 및 상기 제1 바형 락홀(41)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1 잠금 위치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플레이트(22)는 커넥터(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과 플러그인하여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플레이트(22)에 제2 바형 락홀(221)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 장치(30)는 상기 회전축(33)에 설치되는 제2 데드볼트(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데드볼트(34)는 상기 제2 바형 락홀(221)을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2 바형 락홀(221)과 대응되는 제2 잠금해제 위치 및 상기 제2 바형 락홀(221)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제2 잠금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데드볼트(31)가 상기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데드볼트(34)는 상기 제2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데드볼트(31)가 상기 제1 잠금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데드볼트(34)는 상기 제2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드볼트(31)는 상기 회전축(33)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데드볼트(34)는 상기 회전축(33)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바형 락홀(41)은 상기 제2 바형 락홀(221)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데드볼트(34)는 상기 제1 데드볼트(31)와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설치되는 락시트(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33)은 상기 락시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데드볼트(31)는 기둥 형상이고, 상기 제2 데드볼트(34)는 블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은 램프플레이트(42) 및 상기 램프플레이트(42)의 후측에 설치되는 후면플레이트(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형 락홀(41)은 상기 후면플레이트(43)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는 상기 커넥터(50)를 퇴피시키는 관통홀(211)이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램프플레이트(42)에 설치되는 암커넥터(53) 및 상기 어댑터플레이트(22)에 설치되는 수커넥터(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빔(12)과 상기 제2 수평빔(13)은 모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횡단부(121), 제2 횡단부(122) 및 제3 횡단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빔(12)의 상기 제2 횡단부(122)와 상기 제2 수평빔(13)의 상기 제2 횡단부(12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수평빔(12)의 상기 제1 횡단부(121)와 상기 제2 수평빔(13)의 상기 제1 횡단부(121)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1 수평빔(12)의 상기 제2 횡단부(122)와 상기 제2 수평빔(13)의 상기 제2 횡단부(12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수평빔(12)의 상기 제3 횡단부(123)와 상기 제2 수평빔(13)의 상기 제3 횡단부(123)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11)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세로변부분(111), 제1 가로변부분(112), 제2 세로변부분(113) 및 제2 가로변부분(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빔(12)과 상기 제2 수평빔(13)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빔(12)의 양단은 상기 제1 세로변부분(111)과 상기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수평빔(13)의 양단은 상기 제1 세로변부분(111)과 상기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수평빔(12), 상기 제2 수평빔(13), 상기 제1 세로변부분(111)의 일부 및 상기 제2 세로변부분(113)의 일부는 상기 바 형태의 노치를 형성하고,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10)은 상기 베젤(11)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수직빔(14)을 더 포함하며, 복수의 제1 수직빔(14)은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각 상기 제1 수직빔(14)의 양단은 상기 제1 가로변부분(112)과 상기 제1 수평빔(12)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세로변부분(111)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수직빔(14), 상기 제1 수평빔(12)의 일부, 상기 제1 세로변부분(111)의 일부 및 상기 제1 가로변부분(112)의 일부는 제1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수직빔(14), 상기 제1 수평빔(12)의 일부, 상기 제2 세로변부분(113)의 일부 및 상기 제1 가로변부분(112)의 일부는 제2 직사각형홀을 형성하며, 인접되는 2개의 상기 제1 수직빔(14), 상기 제1 수평빔(12)의 일부 및 상기 제1 가로변부분(112)의 일부는 제3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직사각형홀의 형태는 상기 제2 직사각형홀의 형태와 동일하며, 상기 제1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은 상기 제3 직사각형홀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10)은 상기 베젤(11) 내의 복수의 제2 수직빔(15)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수직빔(15)은 상기 베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2 수직빔(15)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제2 가로변부분(114)과 상기 제2 수평빔(1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세로변부분(111)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2 수직빔(15), 상기 제2 수평빔(13)의 일부, 상기 제1 세로변부분(111)의 일부 및 상기 제2 가로변부분(114)의 일부는 제4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세로변부분(113)에 가장 가까운 상기 제2 수직빔(15), 상기 제2 수평빔(13)의 일부, 상기 제2 세로변부분(113)의 일부 및 상기 제2 가로변부분(114)의 일부는 제5 직사각형홀을 형성하며, 인접되는 2개의 상기 제2 수직빔(15), 상기 제2 수평빔(13)의 일부 및 상기 제2 가로변부분(114)의 일부는 제6 직사각형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4 직사각형홀의 형태는 상기 제5 직사각형홀의 형태와 동일하며, 상기 제4 직사각형홀의 최소 횡단면적은 상기 제6 직사각형홀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4 직사각형홀의 대각선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의 넓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과 자기흡착구조는 모두 복수이고, 각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은 복수의 상기 자기흡착구조를 통해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10)의 전측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11)의 전측, 상기 제1 수평빔(12)의 전측 및 상기 제2 수평빔(13)의 전측에 모두 복수의 고정시트가 설치되고, 각 상기 자기흡착구조는 하나의 상기 고정시트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1 자기흡착부재(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0)의 후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2 자기흡착부재(5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기흡착부재(51)는 상기 제2 자기흡착부재(52)와 자기흡착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고, 복수의 상기 자기흡착구조의 상기 제1 자기흡착부재(51)의 앞면은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KR1020220123329A 2021-09-29 2022-09-28 Led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652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155852.4A CN113903272B (zh) 2021-09-29 2021-09-29 Led显示装置
CN202111155852.4 2021-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249A KR20230046249A (ko) 2023-04-05
KR102652602B1 true KR102652602B1 (ko) 2024-03-29

Family

ID=7918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29A Active KR102652602B1 (ko) 2021-09-29 2022-09-28 Led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00655B2 (ko)
EP (1) EP4160581B1 (ko)
JP (1) JP7336579B2 (ko)
KR (1) KR102652602B1 (ko)
CN (1) CN113903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6699S1 (en) * 2019-11-18 2023-08-22 Roe Visual Co., Ltd. LED display screen
CN215679957U (zh) * 2021-08-25 2022-01-28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箱体与显示屏
CN114286572B (zh) * 2022-01-28 2025-03-07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Led显示装置的对插组件、led箱体组件及led显示装置
USD1040122S1 (en) * 2022-05-12 2024-08-27 Shenzhen Tyworth Display Co., Ltd. LED display
USD1040123S1 (en) * 2022-05-12 2024-08-27 Shenzhen Tyworth Display Co., Ltd. LED display
USD1027884S1 (en) * 2022-09-21 2024-05-21 Yancheng Yiwei Photoelectric Technology Co., Ltd. LED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65922U (zh) * 2019-04-02 2019-12-10 深圳市领灿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2514B2 (ja) * 2013-05-24 2017-03-29 富士通株式会社 取付装置、電子機器、及びロック構造
JP2015200710A (ja) * 2014-04-04 2015-1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取付金具および表示装置取付治具
CN104318874B (zh) * 2014-11-14 2016-09-07 厦门强力巨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CN204332282U (zh) 2014-12-16 2015-05-13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
CN106463083B (zh) * 2014-12-29 2020-02-18 平面系统公司 具有隐藏磁性致动定位的安装件
CN204634179U (zh) * 2015-04-28 2015-09-09 国家电网公司 提高电力系统信息机房机柜空间利用率的机柜套件
CN105070219A (zh) * 2015-09-17 2015-11-18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Led显示屏单元、大屏幕led显示屏机及其组装方法
CN105427759B (zh) * 2016-01-12 2019-05-17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具有其的显示装置
CN106205402A (zh) 2016-07-29 2016-12-07 深圳市易事达电子有限公司 Led显示屏及其显示屏单元
CN107134227B (zh) 2017-07-17 2023-08-01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CN107945668B (zh) * 2017-11-27 2020-07-10 深圳市光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吊装锁结构及led显示屏
EP3499052B1 (en) * 2017-12-15 2021-11-17 L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and tiling apparatus therefor
RU2738104C1 (ru) * 2017-12-15 2020-12-08 Мицубиси Электрик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многодисплейная система
KR102421442B1 (ko) * 2018-01-31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19210513A1 (zh) 2018-05-04 2019-11-07 深圳雷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显示屏以及显示系统
CN209312363U (zh) * 2018-10-11 2019-08-27 深圳市光祥科技股份有限公司 Led斜角箱体及led显示屏
US11310927B2 (en) * 2018-11-23 2022-04-19 Shenzhen Gloshine Technology Co., Ltd. LED display screen
EP3888076A2 (en) * 2018-11-29 2021-10-06 Barco N.V. Alignment for tiles of tiled displays
CN109751489B (zh) * 2018-11-30 2025-06-13 深圳视爵光旭电子有限公司 显示屏
KR102593327B1 (ko) * 2018-12-19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CN109931317B (zh) 2019-03-05 2024-10-18 深圳市光祥科技股份有限公司 拉紧锁以及led显示屏箱体
CN210039482U (zh) * 2019-05-23 2020-02-07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屏安装支架
CN110145668A (zh) * 2019-06-06 2019-08-20 桂林智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手持稳定器
CN110706610A (zh) * 2019-10-18 2020-01-17 深圳视爵光旭电子有限公司 Led显示屏箱体
CN110827704A (zh) * 2019-11-18 2020-02-21 深圳市创显光电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箱体和led显示屏
CN211016305U (zh) * 2019-12-11 2020-07-14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显示屏模块单元
CN110992844B (zh) * 2019-12-23 2021-10-08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Led模块安装结构、led箱体及显示屏
US11011084B1 (en) 2020-02-04 2021-05-18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Modular mounting system
US11477897B2 (en) * 2020-03-02 2022-10-18 Shenzhen Absen Optoelectronic Co., Ltd. Support frame and LED display screen system including such support frame
CN213070439U (zh) * 2020-07-13 2021-04-27 深圳市玖润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大屏幕显示屏箱体
CN112017554A (zh) * 2020-09-22 2020-12-01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显示屏组件
CN213716389U (zh) * 2020-12-21 2021-07-16 深圳市光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箱体
CN216212066U (zh) * 2021-09-29 2022-04-05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Led显示装置的箱体组件及led显示装置
CN216212061U (zh) * 2021-09-29 2022-04-05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Led显示装置的转接板组件及led显示装置
CN216212064U (zh) * 2021-09-29 2022-04-05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Led显示装置
CN216212067U (zh) * 2021-09-29 2022-04-05 深圳利亚德光电有限公司 Led显示装置的箱体及led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65922U (zh) * 2019-04-02 2019-12-10 深圳市领灿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50177A (ja) 2023-04-10
US20230096344A1 (en) 2023-03-30
EP4160581B1 (en) 2025-06-04
CN113903272A (zh) 2022-01-07
JP7336579B2 (ja) 2023-08-31
EP4160581A1 (en) 2023-04-05
US11800655B2 (en) 2023-10-24
CN113903272B (zh) 2024-10-22
KR20230046249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602B1 (ko) Led 디스플레이 장치
EP3262626B1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display module
US8601765B2 (en) Locking system
US9263861B2 (en) Mounting rail and module latching system
CN110632712B (zh) 可插拔模块的解锁结构与操作方法
CN107933929B (zh) 一种可适应地板变形的快卸式椅腿锁
CN213393002U (zh) 一种显示屏单元以及拼接式显示屏
CN216212066U (zh) Led显示装置的箱体组件及led显示装置
CN214378795U (zh) 一种可伸缩天线组件
CN104747637A (zh) 一种新型簧片锁紧条
CN110306885B (zh) 锂电池模组
CN112032164B (zh) 机械连接装置
CN108808474B (zh) 一种配电柜
CN212269157U (zh) 一种新型电梯轿厢防护装置
CN216907886U (zh) 防撞组件和清洁机器人
JP7101701B2 (ja) ブレーカ用ロックアウトキー取付具
CN216820331U (zh) Led箱体组件的调节装置及led箱体组件
CN216339198U (zh) 一种护栏对接结构
CN215769851U (zh) 门禁设备
CN111026237A (zh) 机箱的锁止装置和机箱
CN220302484U (zh) 蜂窝壳体结构及具有其的设备
JP2019040698A (ja) 端子着脱装置、及び、その集合体
CN215183608U (zh) 智能开关面板组件连接结构
CN113700719B (zh) 自锁结构以及设备
CN203273228U (zh) 万用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