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1867B1 - 캡슐, 및 상기 캡슐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캡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 - Google Patents

캡슐, 및 상기 캡슐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캡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867B1
KR102651867B1 KR1020187022039A KR20187022039A KR102651867B1 KR 102651867 B1 KR102651867 B1 KR 102651867B1 KR 1020187022039 A KR1020187022039 A KR 1020187022039A KR 20187022039 A KR20187022039 A KR 20187022039A KR 102651867 B1 KR102651867 B1 KR 10265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onveyor cap
beverage
outlet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0360A (ko
Inventor
루카 도질리오니 마이어
Original Assignee
투토에스프레소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투토에스프레소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투토에스프레소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8010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2Details of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 soluble constituents
    • A23F5/262Extraction of water soluble constituents the extraction liquid flowing through a stationary bed of solid substances, e.g. in percolation colum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55Means for influencing the liquid flow inside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음료 준비를 위한 캡슐(1) 및 상기 캡슐을 나가는 음료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캡슐 상에 장착되는 컨베이어 캡(7)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은 주입구 벽(2), 배출구 벽(3) 및 적어도 하나의 음료 성분(I)을 수용하는 내부 체적(1a)을 정의하는 측벽(4)을 포함하고, 배출구 벽(3)은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캡(7)은 상기 컨베이어 캡의 내측면(7a) 및 배출구 벽(3) 사이의 밀폐 공간(19)을 정의하도록 상기 캡슐 상에 장착되고, 하나 이상의 음료 전달 개구(16)를 가지는 상기 컨베이어 캡(7)은 상기 컨베이어 캡(7)이 캡슐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 및 상기 컨베이어 캡은, 캡슐(1) 및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인해 캡슐 음료 배출구(5)가 컨베이어 캡(7)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 캡슐 조립체(10)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캡슐, 및 상기 캡슐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캡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
본 발명은 수집 수단, 즉 음료를 수집하여 최종 용기를 향해 운반하는 수단을 가지는 캡슐을 가지는 캡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로스트 및 분쇄 커피, 용해성 프리-믹스, 응축 유아 우유, 또는 농축 시럽과 같은 사전 포장된 식품을 함유한 캡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Favre의 WO2005006927의 예와, Yoakim & Borne의 EP2239212의 또 다른 예가 있다. 이들 실시 예는, 원하는 음료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지만, 사용시 더러워지는 배출 수단(outlet means)에 의지하게 되며, 소비자에게 잠재적인 위험한 오염물의 발전을 위한 부엽토(humus)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세정 및 세척을 필요로 하는 배출 수단을 필요로 한다.
시공 기술(construction technology)에 의해 접근이 방해 받기 때문에, 배출 수단을 청소할 수 없는 음료 시스템에서는, 차(tea)를 커피 이후에 즉시 끓일(brewing) 때 이전에 내린(dispensed) 커피 음료의 향(aroma)과 맛(flavor)이 차 음료에 공급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게 됨으로써, 향(aroma)의 교차-오염인 이른바 "맛-교차(flavor-crossover)"가 생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WO2008011913은, 분배 장치(dispensing apparatus)에 서 사용자의 용기(예를 들어, 머그잔, 주전자, 컵 또는 유리)를 향해 운방하고 실제로 음료 있는 배출 수단을 대체하는 공급 챔버(delivery chamber)를 정의하는 캡을 이용하는 캡슐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해결책은 제조 과정에서 관통되고(pierced) 음료 준비 과정에서 개방되어서 출구 경로를 생성하는 섹텀(sectum) 또는 막(membrane)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캡슐 안의 중심 배출 수단(central outlet means)을 의미한다. 이 해결책은 분쇄 커피와 외부 대기 사이에 설치된 기-관통된(pre-pierced) 막(membrane)에 의존하며, 따라서 공기 및 이에 포함된 산소에 캡슐 내로의 경로를 제공하여 캡슐 내부에 함유된 커피의 빠른 열화를 제공한다.
또한 막의 관통은 제조 공정에 복잡성을 추가하는데, 막의 부정확 또는 불완전한 관통은 완성된 음료의 품질에 극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맛-교차 오염을 피하거나 감소시키면서 캡슐 내에 함유된 성분이 대기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안에 수용된 성분(들)을 보존할 수 있고, 동시에 음료를 준비되었을 때 쉽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밀폐된 캡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관통된 막의 개방, 전단(shearing), 찢김(tearing) 또는 어떠한 상기 막의 손상을 기초로 하지 않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손상은 과량의 유속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적절한 음료 준비를 위한 허용 가능한 유속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자유 통로(free passage)를 정의할 때 넓은 작동 허용 오차를 따르기 때문이다.
디스펜서(dispenser)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용기로 실행되고, 음료의 배출 경로 영역, 즉, 식료품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잠재적으로 위험한 먼지 축적 또는 박테리아의 성장 없이, 완벽하게 분배될 음료의 다양성을 허용하는 물 배출 수단을 위한 간편한 해결책을 구비한 시스템이 결국 필요하다.
로스트 및 분쇄 커피, 용해성 프리-믹스, 응축 유아 우유,또는 농축 시럽과 같은 사전 포장된 식품을 함유한 캡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Favre의 WO2005006927의 예와, Yoakim & Borne의 EP2239212의 또 다른 예가 있다. 이들 실시 예는, 원하는 음료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지만, 사용시 더러워지는 배출 수단(outlet means)에 의지하게 되며, 소비자에게 잠재적인 위험한 오염물의 발전을 위한 부엽토(humus)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세정 및 세척을 필요로 하는 배출 수단을 필요로 한다.
시공 기술(construction technology)에 의해 접근이 방해 받기 때문에, 배출 수단을 청소할 수 없는 음료 시스템에서는, 차(tea)를 커피 이후에 즉시 끓일(brewing) 때 이전에 내린(dispensed) 커피 음료의 향(aroma)과 맛(flavor)이 차 음료에 공급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게 됨으로써, 향(aroma)의 교차-오염인 이른바 "맛-교차(flavor-crossover)"가 생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WO2008011913은, 분배 장치(dispensing apparatus)에 서 사용자의 용기(예를 들어, 머그잔, 주전자, 컵 또는 유리)를 향해 운방하고 실제로 음료 있는 배출 수단을 대체하는 공급 챔버(delivery chamber)를 정의하는 캡을 이용하는 캡슐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해결책은 제조 과정에서 관통되고(pierced) 음료 준비 과정에서 개방되어서 출구 경로를 생성하는 섹텀(sectum) 또는 막(membrane)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캡슐 안의 중심 배출 수단(central outlet means)을 의미한다. 이 해결책은 분쇄 커피와 외부 대기 사이에 설치된 기-관통된(pre-pierced) 막(membrane)에 의존하며, 따라서 공기 및 이에 포함된 산소에 캡슐 내로의 경로를 제공하여 캡슐 내부에 함유된 커피의 빠른 열화를 제공한다.
또한 막의 관통은 제조 공정에 복잡성을 추가하는데, 막의 부정확 또는 불완전한 관통은 완성된 음료의 품질에 극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맛-교차 오염을 피하거나 감소시키면서 캡슐 내에 함유된 성분이 대기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 안에 수용된 성분(들)을 보존할 수 있고, 동시에 음료를 준비되었을 때 쉽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밀폐된 캡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관통된 막의 개방, 전단(shearing), 찢김(tearing) 또는 어떠한 상기 막의 손상을 기초로 하지 않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손상은 과량의 유속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적절한 음료 준비를 위한 허용 가능한 유속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자유 통로(free passage)를 정의할 때 넓은 작동 허용 오차를 따르기 때문이다.
디스펜서(dispenser)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의 용기로 실행되고, 음료의 배출 경로 영역, 즉, 식료품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잠재적으로 위험한 먼지 축적 또는 박테리아의 성장 없이, 완벽하게 분배될 음료의 다양성을 허용하는 물 배출 수단을 위한 간편한 해결책을 구비한 시스템이 결국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표(aim)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음료의 제조를 위한 캡슐 및 음료 배출구가 있고, 상기 캡슐을 나가는 음료의 컨베이어 역할을 하는 캡슐의 측면에서 상기 캡슐 상에 장착 된 캡을 포함하는, 음료 또는 액체 음식(liquid food)을 준비하기 위한 캡슐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은 캡슐의 배출구 벽을 개방시키는 관통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캡슐은 하나 이상의 음료수 성분이 내부에 수용 될 수 있는 내부 체적을 한정하는 주입구 벽, 배출구 벽 및 측벽을 포함하며; 배출구 벽은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캡은 캡슐 상에 장착되어 출구 벽과 컨베이어 캡의 내부 표면 사이에 외장 공간을 형성한다; 캡에는 하나 이상의 음료 전달 개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액체와 접촉하는 표면을 최소화하기 적합한 컨베이어의 구조를 제공하며, 상이한 유속 및/또는 상이한 액체 용적을 갖는 완성 된 음료로부터 유래하는 요구를 저장량도 허용한다.
컨베이어 캡은 캡과 캡슐 사이의 상대 이동이 부과 될 수 있도록 캡슐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어느 부분이 정지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캡은 캡슐에 대해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캡슐은 캡에 대해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캡슐 및 캡 모두는 이동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캡과 캡슐의 이동은 캡슐과 캡을 함께 가깝게하기 위한 것이다. 즉, 캡슐 및/또는 캡을 움직일 때, 캡슐의 출구와 캡의 출구 사이의 거리는 더 짧아진다.
캡슐 음료 출구는 일반적으로 밀폐 된 캡슐을 제공하도록 폐쇄된다.
여기에서 "폐쇄"또는 "일반적으로 폐쇄"라는 표현은, 음료 분배를 위해 음료 배출구가 개방되기 전까지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수용되는 캡슐 바디의 내부 체적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되어 것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컨베이어 캡은 이동을 위해 캡슐의 측벽 및 캡슐을 개방하기 위한 출구 벽과 상호 작용하여 캡슐 음료 출구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컨베이어 캡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캡슐의 출구 벽 및 캡슐의 측벽(바람직하게는 측벽의 바닥 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측벽으로부터 돌출한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캡슐의 출구 벽은 컨베이어 캡에 의해 수용된다.
캡슐은 컨베이어 캡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하고, 안내 수단은 캡슐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 및 캡슐의 외벽 또는 캡 배출구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측벽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안내 수단과 플랜지(배출구 벽으로부터 또는 측벽으로부터 돌출 됨)의 조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컨베이어 캡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며, 상기 캡은 상기 컨베이어 캡의 측면부의 일부에, 컨베이어 캡과 협응하는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측벽 또는 캡슐의 배출구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는 컨베이어 캡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며, 캡은 캡슐의 플랜지에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측면부를 갖는다.
캡슐에 대한 캡의 상대 이동은 캡슐의 측벽의 일부를 따라 또는 캡슐로부터 돌출 된 플랜지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컨베이어의 측면부를 제공하여, 컨베이어의 캡슐이 안내되고 제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캡슐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라는 말은, 컨베이어 캡이 장착되는 표면을 형성하는 캡슐의 측벽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캡슐의 임의의 부분으로 정의(design)되며, 컨베이어 캡이 안내 수단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안내 수단은 측벽으로부터 또는 캡슐의 배출구(또는 바닥) 벽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 일 수 있다.
컨베이어 캡은 음료를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제공된 표면을 갖는다. 컨베이어 캡의 안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의 된 바와 같이 캡슐의 안내 수단과 협동하는 측벽 또는 측벽의 일부분이다. 또한, 컨베이어 캡은 안내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플랜지를 구비할 수 있고, 캡슐의 안내 수단과 협동하도록 의도된다.
가능한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과 캡슐은 관련 측벽에 대해 상이한 위치에서 서로 협력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관련된 측벽에 대한 상이한 위치에서의 협력이 측벽에서의 협력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제공 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에는 출구 벽 또는 캡슐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가 제공 될 수 있다. 컨베이어 캡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의 상대 이동을 적절하게 안내하기 위해 캡슐의 플랜지와 협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배출구 벽 또는 그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캡슐의 상기 플랜지는 컨베이어 캡의 관련 안내 수단과 협동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의 안내 수단은 캡슐의 관련 안내 수단과 협동하도록 배치 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는 컨베이어 캡의베이스(예를 들어, 내부 바닥면)로부터 돌출 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는 컨베이어 캡의 측벽에 대해 내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일 양태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의 안내 수단 플랜지는 캡슐의 축과 컨베이어 캡의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캡슐의 축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캡슐 및 컨베이어 캡(예를 들어, 측벽 및/또는 플랜지)의 안내 수단은 튜브형을 가지며, 이러한 튜브형은 중단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 형상은 완전하지 않을 수있다. 2 개 이상의 분리 된 돌출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누락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형성 될 수 있다. 관형의 단면은 캡슐의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원형 일 수 있다. 그러나, 안내 수단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타원형 또는 사변형 또는 다각형 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과 캡슐은 캡을 캡슐에 결합하고 유지하면서 동시에 이들 구성 요소들간에 필요한 이동을 허용하는 보완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상보적인 수단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에 맞잠금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맞잠금 연결은 예를 들어, 캡슐과 컨베이어 캡 위에 배치 된 마루의 상호 체결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마루와 캡슐 및 컨베이어 캡 상에 배치 된 적어도 하나의 홈 사이의 상호 맞물림(또는 그 반대)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일 양태에 따르면, 캡슐의 측면 벽 및 컨베이어 캡(및/또는 캡슐의 양쪽 플랜지 및 컨베이어 캡의 양쪽 플랜지)은 서로 협동하여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맞잠금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루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캡슐 또는 컨베이어 캡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루가 제공되는 반면, 캡슐과 컨베이어 사이의 다른 요소에는 상기 언급된 마루를 수용하고 결합하도록 배열 된 적어도 하나의 홈이 제공된다. 또한, 캡슐 및 컨베이어 캡 모두는 마루 및 홈 모두를 구비 할 수 있다.
마루(들) 및/또는 홈(들)은 캡슐 상에 컨베이어 캡을 유지하도록(즉, 이들 요소들의 느슨한 커플 링을 피하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대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어, 상기 상대 이동을 제한하고 이들 요소들의 분리를 피하도록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이동을 제어한다.
캡과 결합하고 유지하는 보완적인 수단은 캡슐이 폐쇄된 상대 위치에서 캡슐 및 컨베이어 캡을 유지하도록 구성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음료 준비 전에 캡슐의 운송 또는 조작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우발적인 상대적인 이동을 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캡슐의 닫힌 위치로부터 캡슐의 개방 위치로의 상대적인 이동은 캡슐에 캡과 결합하고 유지시키는 상기 상보적인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을 극복함으로써 달성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들) 및/또는 홈(들)은 캡슐 상에 컨베이어 캡을 유지하고(즉, 이들 요소의 느슨한 커플 링을 피하면서) 컨베이어에 대한 캡슐의 우발적인 이동을 피하도록, 상기 이동이 요구되지 않을 때, 캡 상에 컨베이어 캡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2 개의 마루가 캡슐 상에 배열 될 수 있고 하나의 마루가 컨베이어 상에 배치 될 수 있어서, 캡슐이 폐쇄되는 상대 위치에서 컨베이어의 단일 마루가 2 개의 리지(즉, 이들 요소의 느슨한 결합을 피함), 또한 캡슐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논의 된 바람직하지 않은 상대 이동을 피할 수 있다. 소정의 힘을 인가함으로써, 마루 사이의 간섭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을 극복함으로써, 캡슐과 개방 위치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얻어진다.
명백하게, 컨베이어에 2 개의 마루가 배치되고 캡슐에 1 개의 마루가 배치 된 역방향 구성도 가능하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 및 캡슐은 마찰에 의해(예를 들어, 서로 결합 된) 결합 된 형태로 유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캡슐 및 컨베이어 캡의 표면을 협동시킴으로써 달성 될 수 있다. 상기 상호 작용하는 표면은 원하는 마찰을 제공하도록 원추형이거나 약간 기울어 질 수 있다. 상호 작용하는 표면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도록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컨베이어 캡의 가이드 수단(예를 들어, 컨베이어 캡의 측벽 및/또는 플랜지)은 캡슐의 적절한 안내 수단(예를 들어, 캡슐의 측벽 및/또는 플랜지)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캡슐의 축을 고려하면, 컨베이어 캡의 안내 수단은 컨베이어 캡의 관련 안내 수단의 외부에(즉, 외부와 결합하여) 배치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대의 배열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의 안내 수단은 컨베이어 캡의 관련 안내 수단에 대해 외부에 배치된다(즉,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배출구 벽/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캡슐의 실시 예를 고려하면, 전형적으로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는 캡슐의 플랜지를 감쌀 수(embrace)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캡슐의 플랜지는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를 포함 할 수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컨베이어 캡을 수용하는 캡슐의 측벽에 의해 결합이 얻어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캡슐은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구비한다. 배출구는 정상적으로 폐쇄된다. 적어도 캡슐 또는 컨베이어는 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유리하게도, 컨베이어 캡의 존재는 음료 준비를 위한 시스템의 일부, 예를 들어 캡슐 조립체 홀더와 생산 된 음료 사이의 접촉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인한 캡슐의 개방은, 그 안에 수용된 성분(들)을 보존 할 수 있는 통상적으로 폐쇄 된 캡슐을 제공 할 수 있게 하며, 컨베이어 캡의 수단에 의한 효과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컨베이어 캡에 의한 개구는 음료 준비를 위한 시스템 내의 컨베이어 캡에 의해 제공된 것 이외의 개방 수단을 제공 할 필요 없이 캡슐의 효과적인 개방을 제공 할 수 있고 및/또는 음료 준비를 위한 시스템의 필요없이 캡슐에 개구를 생성하기 위하여 캡슐 내부에 액체 압력을 형성하여 배출구 수단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 음료 출구를 개방하도록 의도 된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캡슐 조립체의 압축을 제공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의 출구와 캡슐의 출구 벽 사이의 거리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캡슐과 음료수 출구를 개방하도록 의도 된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은 캡슐 조립체를 홀더에 삽입하기 전에 그리고 일반적으로 음료수 조제 시스템에서 수동으로 제공 될 수있다 예:디스펜스 기계).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은 캡슐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캡슐 몸체는 컨베이어 캡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캡슐 음료 출구에 압력을 가하여 개방시킨다. 이 실시 예의 이점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하여 캡슐 음료 출구의 효과적인 개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실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 음료 출구는 캡슐의 출구 벽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손 가능한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얇은 부분 또는 홈에 의해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 상에 제공되는 음료 용 배출구는 캡슐 벽의 일부, 벽의 상기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감소 된 영역을 제공하고 캡슐 배출구 벽 상에 배출구를 정의하는 홈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캡의 돌출 요소 또는 요소는 파단 가능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개방을 일으킨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출구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막을 포함한다. "관통 개구(through-opening)"라는 용어는 배출구 벽, 즉 배출구 벽의 2 개의 측면 사이의 통로를 통해 유체 통로를 제공하는 구멍, 개구 또는 슬롯과 같은 임의의 개구를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출구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막에 의해 폐쇄 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캡슐의 출구 벽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예 :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구멍 또는 슬롯)이 있으며 이는 막을 밀봉하여 폐쇄한다. 즉, 음료는 관통 개구를 통해 캡슐로부터 배출될 수 없다.
밀봉 막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밀봉 막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주입 벽으로부터 배출구 벽 까지의 캡슐 내부의 브루잉 액체 경로의 유동을 지칭하는 용어 "상류"및 "하류"를 지칭)에 대해 상류 또는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경우 모두 밀봉 막은 캡슐(및 관통 개구)을 폐쇄을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수용되고 외부 환경이 캡슐 몸체의 내부 체적을 격리하여 캡슐로부터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구성 모두에서, "음료 배출구를 개방한다"는 표현은 캡슐의 내부 체적이 음료가 캡슐 몸체를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통해 컨베이어 캡 쪽으로 배출 할 수 있도록 외부 환경과 유체 소통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음료 출구가 폐쇄 될 때, 음료는 상기 개구(들)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 될 수 있는 밀봉 막의 존재로 인해, 상기 개구를 통해 캡슐을 나올 수 없다.
밀봉 막은 하나 이상의 재료와 결합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당 업계에 공지 된 밀봉 가능한 호일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재료는 PE, PP및/또는 필터링 부직포 재료와 같은 상이한 인장신도를 가지거나 또는, 예를 들어. 산소 불투과성 밀봉 수단을 제공하고 캡슐을 폐쇄하여, 소위 "선반-안정(shelf-stable)" 캡슐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안적으로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3 중 적층 PP/EVOH/PE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와 같은 산소-불투과성 비금속 재료일 수 있다.
따라서, 캡슐 출구 벽의 파손 가능한 부분은, 예를 들어 밀봉 막에 의해 폐쇄 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에 의해 제공 될 수 있다
밀봉 막은 서로 결합된 여러 재료의 "샌드위치(sandwich)" 로서 제동될 수 있으며, 비-연속성의 하나 이상의 재료들이 존재(present)하여, 하나 이상의 재료들이 빠져(missing) 액체의 통과가 상이하게 영향을 받고 및/또는 밀봉 막의 기계적 특성이 다른 밀봉 막의 "섬(island)" 또는 "슬롯(slot)"을 생성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캡슐 음료 출구(들), 예를 들어. 밀봉 막에 의해 폐쇄된 개구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컨베이어 캡에 의해 개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막은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에 의해 개방된다.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은 상기 밀봉 막을 파단 및/또는 전단 및/또는 천공 및/또는 변형 시키도록 구성된 돌출 요소와 상기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에 대한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사이에서 선택 될 수 있다.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의 조합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 막은 상기 밀봉 막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능한 실시 예에 따라,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컨베이어 캡의 상기 개방 수단은 파열 및/또는 전단 및/또는 천공 및/또는 변형 (예를 들어 소성 변형)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캡의 관련 부분의 형상에 따라 밀봉 막을 밀봉한다.
다시 말하면,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막은 찢김(예를 들면, 찢김(lacerating)), 전단 (shearing), 또는 천공(예 : 펑크(puncturig) 또는 피어싱(piercing)) 또는 밀봉 막의 변형(예 : 소성 변형)에 의해 컨베이어 캡의 개구 수단에 의해 열린다. 위에서 언급 한 밀봉 막을 여는 하나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캡슐을 개방하는 2개 이상의 방법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밀봉 막의 "변형"에 의한 개방 방법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및 특히 밀봉 막을 구비한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과 접촉)은 밀봉 막의 변형(예 : 소성 변형) 또는 이동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밀봉 막은 캡슐 본체와의 구속부로부터, 예를 들어 밀봉 막이 캡슐 본채, 바람직하게는 그의 배출구 벽에 구속(예를 들어, 용접 또는 접착.)되는 환형 영역으로부터 분리 또는 이동 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밀봉 막이 관통 개구의 위(상류)에 배치 될 때,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는 바람직하게는 관통 구멍에 대응하여 배치 된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와 접촉하도록되어 있으며, 따라서 캡슐의 돌출 요소를 캡슐의 내부 체적을 향해 이동시켜 밀봉 막의 파열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음료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컨베이어 캡은 바람직하게 캡과 캡슐의 배출구 벽 사이의 밀폐 공간 내에 배치 된 개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개방 수단은 돌출 요소 및/또는 캡슐의 출구 벽을 관통하도록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를 포함하고,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캡의 돌출 요소는 캡슐의 출구 벽에 제공된 음료 출구에 압력을 가하여, 적어도 부분적인 개방을 유발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으로부터 돌출 된 요소는 천공에 의해 출구를 개방한다. 즉, 컨베이어 캡의 돌출 요소는 개구를 제공하도록 바닥 벽을 파괴한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은, 컨베이어 캡의 해당 부분에 따라, 밀봉 막을 파단 및/또는 전단시키고 및/또는 천공 및/또는 변형 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밀봉 막의 상술 한 개방 방법 (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캡슐, 예를 들어, 캡슐 내에 사용될 수 있다. 밀봉 막의 적어도 일부는 천공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천공(punctured)되거나 관통(pierced) 될 수 있음), 밀봉 막의 적어도 일부는 찢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찢김(lacerated)을 입는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돌출 요소는 캡슐의 배출구 벽에 생성된 개구에 수용되며; 돌출 요소는 또한 캡슐의 몸체, 예를 들어 컵(cup) 내로 연장되고 캡슐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음료의 유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음료 용 개구가 돌출 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 (즉, 폐쇄)되기 때문에, 캡슐 내로 펌핑 된 물은 개구를 통해 즉시 빠져 나갈 수 없으므로 캡슐 내의 압력은 캡슐은 돌출 요소 둘레에서 출구 벽의 출구 영역을 변형시키고 캡슐로부터보다 높은 유속의 유속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도록 증가한다. 따라서, 일 측면 상의 돌출 요소는 음료용 배출구를 완전히 개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음료 용 성분으로부터 음료 성분을 더 잘 추출하도록 캡슐에 내부 압력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음료의 압력 보조 전달(pressure assisted delivery)의 추가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EP 1549185가 참조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캡슐의 배출구 벽은 캡슐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부분이 제공된 복수의 배출구를 갖는다; 배출구는, 폐쇄되어 캡슐을 밀봉하고, 캡슐 음료 출구의 돌출 요소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캡의 접촉부의 작용하에 개방된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배출구 벽에 배치 된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는 캡슐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고,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에 의해 접촉되도록 의도되며, 돌출 요소에 압력을 가하여 밀봉 막을 향하여 그것의 이동을 일으켜 개방을 일으킨다. 전술 한 바와 같이,이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막은 출구 벽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의 위(상류)에 배치된다.
출구의 개방은 캡슐의 출구 벽의 돌출부 위로의 캡의 압력에 의해 순수하게 기계적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원인 이름의 EP2628694 참조); 개방 단계는 또한 캡에 의한 기계적 작용과 캡슐 내의 음료에 의해 형성된 압력의 조합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원인의 이름의 EP1960293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은 캡의 내부 표면 (즉, 캡과 캡슐 사이에 형성된 인클로저에 대한 내부 표면)에 배치되고 캡슐의 출구 벽을 향하여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캡의 돌출 요소 (들)는 출구 벽의 파손 가능한 부분, 또는 유출 벽의 적어도 하나의 얇은 부분 또는 홈에 의해 한정되고, 또는 관련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 파열 및/또는 전단 및/또는 천공, 및/또는 파손, 및/또는 변형 및/또는 천공을 수행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밀봉 막은 출구 벽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밀봉 (폐쇄)하도록 의도된다.
전술 한 바와 같이,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 음료수 배출구는 바람직하게는 파단 가능 부분에 배치 된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은 캡슐 음료 출구의 돌출 요소를 위한 인접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캡슐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 예는 배출구 벽의 나머지에 대하여 감소 된 두께의 홈에 의해 형성된 출구 벽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음료 출구 영역을 포함하는 개방 수단을 구비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 및 밀봉 막에 의해 한정된다. 천공은 상기 출구 영역에서 수행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는 컨베이어 캡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 될 수 있고, 압력을 가함으로써 캡슐의 음료 출구를 개방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압축에 의해 압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폐쇄하는 밀봉 막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에 의해 개방된다.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은 컨베이어의 관련 부분의 형상에 따라 밀봉 막을 찢거나 및 / 또는 전단시키고, 및 / 또는 천공하고, 및 / 또는 파단시키고, 및 / 또는 변형시키고, 및 / 또는 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는 감소 된 두께의 홈, 즉 라인에 의해 정의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한정된 상기 출구 영역에 대응하여 캡슐의 출구 벽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 될 수있다. 이들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은 돌출부가 없으며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캡슐 내부로 밀어 내어 언급 된 음료 배출구 영역을 개방하기 위하여 출구 벽의 돌출 요소와 접촉 할 인접면이 제공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동일 출원인의 명칭으로 출원되고 본 특허 출원의 동일한 출원일을 갖는 바와 같이, 캡슐 음료수 출구는 돌출 요소 또는 돌출부 및 하우징을 가짐에 따라서 배출구 벽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구 벽의 돌출 요소 (부분)는 돌출 벽의 내부면으로부터 이격 된 돌출 요소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갖는 캡슐의 외부로 연장되어 출구 벽에 하우징을 제공한다. 음료가 분배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캡슐이 단힌 상태 일 때) 하우징은 비어 있고, 음료가 캡슐로부터 분배 될 때(예를 들어, 캡슐이 개방 상태 일 때) 돌출 요소(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다시 말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 계류중인 특허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캡슐이 폐쇄 될 때, 출구 벽의 돌출 요소 (부분)의 내부면은 출구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다 적어도 돌출부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파괴하여 벽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제공한다. 또한 이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은 돌출부가 없으며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캡슐 내부로 밀어 넣어 상기 음료 출구 영역을 개방하기 위해 출구 벽의 돌출 요소와 접촉 할 인접면이 제공 될 수 있다.
전술 한 실시 예들의 조합이 가능할 수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은 그 측면에 제공된 컨베이어 사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캡슐의 측벽 (예를 들어, 측벽의 일부 또는 캡슐으로부터 돌출 된 플랜지의 일부)과 협동하도록 가이드 요소를 구비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은 캡슐 외부의 외부 공간과 컨베이어 캡 및 캡슐의 출구 벽에 의해 한정된 외장 공간 사이에 공기가 흐르게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공기는 어느 방향이든 흐를 수 있다.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컨베이어 캡의 상기 음료 전달 개구가 위치하는 평면과는 다른 평면에 위치된다. 상기 개구는 캡슐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 인 회전 패턴으로 배열 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캡슐 음료수 출구는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해 중앙 및 / 또는 둘레로 제공 될 수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음료 전달 개구는 중앙 및 / 또는 둘레로 배열 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은 적어도 하나의 중심에 위치한 음료 전달 개구를 가지며,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캡슐 음료 출구는 컨베이어 캡의 적어도 하나의 음료 전달 개구에 대해 오프셋되어 위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은 주변부에 위치 된 복수의 캡슐 음료 출구를 가지며, 컨베이어 캡은 중심 음료 전달 개구를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출구는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출구는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출구는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하여 기울어 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료 출구는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하여 기울어 진 직선을 따라 연장 될 수 있고, 예 중심 축을 향하지 않는다.
음료수 출구가 곡선을 따라 연장 될 수도 있다. 아치 모양의 선을 따라. 만곡 된 음료수 출구는 중심 축에 대해 동심원으로 배열되거나 중심 축에 대해 기울어 질 수 있다.
공지 된 바와 같이, 음료 분배기에서의 사용시, 캡슐은 캡슐 홀더 장치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은 음료 분배 단계 동안 음료에 의해 접촉되지 않도록 캡슐 홀더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해 음료 출구 주위로 연장되는 벽을 더 포함한다. 유아에게 우유를 제공하기 위해 캡슐이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컨베이어 캡으로부터 돌출 된 벽은 식품 안전성 측면에서 강화 된 보호 및 품질, 캡슐에서 분배 된 음료에 어떤 향미 교차의 방해를 제공하기 위해 모든 컨베이어 벽을 덮도록 확장된다.
추가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라, 캡슐 홀더와 음료의 접촉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고 컨베이어 캡으로부터의 음료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컨베이어 캡의 음료 전달 개구, 바람직하게는 중앙 음료 전달 개구 상기 용기 공간을 떠나는 음료수 흐름을 안내하는 요소, 바람직하게는 원뿔 요소가 제공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및 / 또는 청구 된 바와 같은 캡슐 조립체로부터 음료수를 제조하기위한 시스템 및 상기 캡슐 조립체 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음료 준비 용 시스템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공하여 상기 캡슐 음료 출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얻어지는 이들 2 가지 구성 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후속하여 컨베이어 캡에 의한 캡슐의 개방은, 전용의 천공 수단을 사용할 필요없이 캡슐 음료 출구의 효과적인 개방을 제공 할 수 있게한다. 캡슐을 개방하고 음료를 전달하는 수단으로서의 액체의 주입 후에 캡슐 내부의 압력을 증가, 즉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의존 할 필요가 없다.
실제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행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물에 의해 생성 된 압력은 EP 196029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캡슐의 출구 벽을 개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캡슐 내부의 압력은, 모두 본 출원인의 EP 1549185 또는 EP 1549184에 개시된 음료의 분배 단계를 제어하는데 도움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 조립체 용 홀더는 시스템의 홀더 시트(예를 들어, 분배기의 홀더 시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될 수 있고, 캡슐을 개방하기 위해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 홀더가 상기 홀더 시트에 삽입 될 때 음료 배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시트에 삽입되고, 예를 들어 분배기에 있는 레버를 통해 상기 상대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밀봉 기밀 품질을 달성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캡슐은 분배 기계에 삽입 될 수 있고 기계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서보-제어(servo-controlled) 모터를 통해 밀봉 품질을 제공한다. 또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 홀더는 분배 기계의 고정 구성 요소 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용 캡슐 조립체로부터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캡슐로부터 상기 음료를 상기 캡슐에 의해 정의된 밀폐 공간 및 상기 캡슐의 배출구 벽에 장착된 컨베이어 캡으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캡슐의 음료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여, 캡슐의 측벽이 컨베이어 캡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캡슐 조립체 및/또는 음료 준비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 및/또는 청구된 특징 및 양태가 상기 방법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밀폐공간으로 또는 상기 밀폐공간에서 외부로 향하는 공기 흐름을 허용하여 상기 밀폐 공간 내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 간의 차이를 줄이거나 상쇄(cancel)하도록 전용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은 음료수의 흐름 수준 이상의 밀폐 공간으로 공급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 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흐름은 음료수 흐름과 접촉하도록 유도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대해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조립체 및 시스템은 수집기(collector)가 컨베이어 캡 및 컨베이어 캡의 적절한 음료 배출구 수단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및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한 음료용 고정된 수집기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캡슐을 몇 번의 분배(dispensing) 사이클 후에 또는 각 사이클 후에 교차 오염(cross contamination)이나 오래된 잔유물(stale residues)로 인한 박테리아의 잠재적 성장(development)을 피하기 위해 캡슐을 사용하는 분배 기계를 청소할 필요가 없다. 민감한 음료가 분배되는 경우, 예를 들면. 유아용 우유의 경우, 캡슐은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캡슐의 영역과 캡슐 홀더 사이에 접촉이 없으므로 음료는 완전히 보호된다; 실제로 배출구는 캡슐 조립체의 일부, 즉 컨베이어의 캡의 일부이기 때문에, 기계의 배출구를 청소할 필요없이, 언급된 유아용 우유에서 커피, 양파 스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른 음료에 동일한 분배 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밀폐 챔버에 들어가는 공기가 음료와 혼합되어 다량의 유제(emulsion) 및 완성 된 음료의 커피 위에 "거품(forth)"층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컨베이어의 공기 덕트의 다른 구성은 완성 된 음료 또는 음료의 총 거품 량을 제어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본 발명의 비 제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개시된다.
도 1은 컨베이어 캡(conveyor cap)의 돌출 요소(projecting element)에 의해 개방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깨지기 쉬운 부분을 포함하는 캡슐 음료 배출구 및, 주입구 벽에서의 강성의 뚜껑(rigid lid)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제1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1a는 도 1에 따른 조립체의 정 단면도이다.
도1b는 도 1에 따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c 및 도 1d는 도 1에 따른 캡슐의 음료 출구의 대안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고, 도 1c의 상세도 B는 도 1d의 확대도로서 표현된다.
도 1e 및 도 1f는 컨베이어 캡이 음료 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도 1c에 따른 캡슐의 부분 상면도 및 부분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는 주입구 벽 및 캡슐 음료 출구에 막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제 2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로서, 캡슐 조립체는 및 주입구 벽에서의 막, 및 컨베이어 캡의 돌출 요소에 의해 개방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캡슐 음료 배출구를 포함한다.
도 2a는 도 2에 따른 조립체의 정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에 따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제 3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를 나타내며, 캡슐 조립체는 주입구 벽에서의 강성 뚜껑, 내부 구획요소, 및 캡슐 및 캡슐 음료 출구가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에 의해 개방되도록 의도된 돌출 요소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도 3a는 도 3에 따른 조립체의 정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에 따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단면도 및 분해도로서, 막은 강성의 뚜껑 대신에 주입구 벽에 배열된다.
도 3d는 도 3c에 따른 조립체의 정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제 4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를 나타내며, 캡슐 조립체는, 주입구 벽에서의 막, 감소 된 체적을 갖는 캡슐, 및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에 의해 개방되도록 의도된 돌출 요소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캡슐 음료 배출구를 포함한다.
도 4a는 도 4에 따른 조립체의 정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에 따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캡과 캡슐의 커플 링에 의해 생성 된 밀폐 공간에 대해 각각 내측벽과 외측벽으로부터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캡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발명 캡슐을위한 캡슐 홀더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8은 캡슐 음료수 출구가 여전히 폐쇄 된 상태에서 캡슐 홀더(또는 기계)에 삽입 된 캡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캡슐 음료 출구를 개방 한 후의 도 8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그림 10은 캡슐 홀더가 없는 도 8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조립체의 출구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입구 벽에 견고한 뚜껑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며, 캡슐 조립체는 캡슐 음료 출구는 뚜껑에 의해 개방되도록 의도 된 돌출 요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도 13은 도 12의 캡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조립체의 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막이 강성 뚜껑 대신에 입구 벽에 배열되는 도 12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캡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2 내지 도 16의 캡슐의 음료 출구 영역 및 컨베이어 캡의 대응하는 영역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18a는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캡슐 조립체의 캡슐의 사시도 확대도이다.
도 18c는 도 18a의 캡슐 조립체의 캡슐의 사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로서, 음료 배출구는 밀봉 막에 의해 폐쇄 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포함하고, 밀봉 막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 아래에 배열된다.
도 19b는 닫힌 상태, 다시 말하면 개방 상태에 도달하기 전의 19a의 캡슐 조립체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19c는 닫힌 위치, 다시 말하면 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도 19a 및 도 19b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그림 19d는 개방 상태, 다시 말하면, 음료 공급 준비 상태의 도 19a의 캡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9e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며, 음료 배출구는 밀봉 막에 의해 폐쇄 된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포함한다.
도 19f는 도 19a 또는 19e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0a 내지도 20d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를 위한 컨베이어 캡의 가능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1a 내지도 21c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를 위한 컨베이어 캡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2a 내지도 22c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를 위한 컨베이어 캡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3a 내지도 23c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를 위한 컨베이어 캡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4a 및 도 24b는 음료를 수집하기 위한 측면 돌출부가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 용 컨베이어 캡의 가능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를 위한 홈이 제공된 컨베이어 캡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캡슐 음료 출구에 외부 리브가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를 위한 캡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7은 캡슐 조립체, 특히 컨베이어 캡의 돌출 요소에 의해 개방되도록 의도 된 적어도 하나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캡슐 음료 출구의 가능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27a, 도 27b 및 도 27c는 캡슐 출구 벽의 파손가능부의 상이한 평면에서 3 개의 단면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의 다른 가능한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분해도이며, 음료 배출구는 밀봉 막에 의해 폐쇄 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포함하고 밀봉 막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 상에 배열된다.
도 28b는 닫힌 위치에 있는 도 28a의 캡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8c는 도 28a 및 도 28b의 조립체의 열린 위치, 즉 음료 공급 준비가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밀봉 막이 생략 됨)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는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캡슐(1) 및 캡슐의 출구 측에서 캡슐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 캡(7)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를 나타낸다. 캡슐은 적어도 하나의 제품(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음료수 성분(ingridient)(I))을 수용하는(housed) 내부 체적(1a)을 정의하는 주입구 벽(2), 배출구 벽(3) 및 측벽(4)을 가진다. 제품은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액체 또는 용매(예: 물)와 혼합된다. "음료"라는 단어는 커피, 차, 스프, 인스턴트 우유, 특히 유아용 우유와 어린이용 스프와 같은 캡슐에서 준비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액체 음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물 또는 우유, 고체 농축물과 용매 사이의, 대기 또는 게다가(anyway) 보다 낮은 온도 또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음료를 준비하는 온도 범위(80-95 °C) 보다 낮은 온도에서 혼합을 제공하는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캡슐(1)은 배출구 벽(3)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가진다; 상기 배출구는 바람직하게 닫혀있으며, 음료 준비가 시작될 때까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사실상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은, 캡슐의 컨베이어 캡(7) 및 캡슐(1)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압축(compression) 및/또는 천공(perforation)에 의해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는 캡슐 몸체와 별도로 제조되는 컨베이어 캡(7)을 구비한다. 즉, 이는 컨베이어 캡의 내부 표면(7a)과 배출구 벽(3) 사이의 밀폐 공간(enclosure space)(19)을 정의하기 위해 캡슐(1) 상에 장착되는 본래 분리된 부품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은 주입구 벽 또는 배출구 벽의 1/4과 적어도 동일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과 적어도 동일한 면을 가진다.
캡슐(1) 및 컨베이어 캡(7)은 공정에 의해 또한 당 업계에 공지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1) 및/또는 컨베이어 캡(7)은 예를 들어, 열-사출 공정 또는 열-성형 공정을 이용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캡슐(1) 및 컨베이어 캡(7)은 또한 다른 공정들, 예를 들어, 성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다른 예로써 동시-주입 열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캡슐(1) 및/또는 컨베이어 캡(7)에는 산소 및 가스 투과(gas permeation)에 대한 장벽(barrier) 역할을 하는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공지된 장벽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PP-EVOH-PP, PS-EVOH-PE EVOH와 같은 폴리스티렌 및/또는 폴리에틸렌의 다층 구조, 또는 통상의 기술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다층 구조로써 나타낼 수 있는 예를 들어 EVOH이다. 이러한 재료는 알루미늄 보다 저렴하다. 다층 구조체는 열 성형에 사용되는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층 구조체는 캡슐 몸체와 동시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커피 캡슐의 동시 주입은 당업자에게 일방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다. 장벽은 또한 코팅으로써 외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플라스틱 물질에 적절한 나노 복합체를 첨가함으로 추가 유형의 장벽을 얻을 수 있다. 컨베이어 캡은 캡슐 몸체 상에 유지되고 캡슐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를 캡슐 몸체 상에 장착된다.
일단 캡슐(1)에 결합- 즉, 장착하면, 컨베이어 캡(7)은 캡슐(1)의 배출구 벽(3)과 밀폐 공간(19)으로 참조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밀폐 공간(19)은 캡슐(1)에서 배출(exit)되는 음료가, 공기와 혼합되기 위해 및 컨베이어 캡(7)의 수단에 의해 최종 용기(즉, 컵)로 안내하기(directed)위해 바람직하게 비교적 저압에서 고압으로 될 수 있는 압력에서 공급되는 공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7)은 실질적으로 컵 형상 또는 오목 형상(예를 들어, 외부 돔 형상)이지만, 상이한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은 실질적으로 베이스(base) 중 하나가 없는 원통형이며; 도 12 내지 도 17, 도 19, 도 20, 도 21, 도 22에서 컨베이어 캡은 내부 돔 형상, 즉 액체와 접촉하는 표면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볼록형(convex)이되, 저장 용량(storage volume)은 용량이 상이한 유속을 및/또는 다른 액체 양을 함유한 완성된 음료를 허용하지는 않는다.
컨베이어 캡(7)은 측벽(8) 및 베이스(9)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캡(7)에는 준비된 음료의 배출을 허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음료 전달 개구(16)가 제공되고, 유리 또는 컵. 일단 캡슐의 바닥 벽(즉, 캡슐의 배출구 벽) 상에 장착 된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9)는 캡슐의 배출구 벽(3)으로부터 이격되어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9)는 캡슐(1)로부터 나오는 음료용 배출구로서 기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전달 개구(16)를 구비한다.
캡슐은 컨베이어 캡(7)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4a, 4b)을 갖는다. 안내 수단은 측벽(4)의 적어도 일 부분(4a)(바람직하게는 측벽(4)의 바닥 부분(4a)), 및 상기 측벽(4), 캡슐의 상기 배출구 벽(3),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4b)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컨베이어 캡(7)은 컨베이어 캡의 측벽(8)의 적어도 일부분(at least part)을 캡슐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중첩(superimposed)시킴으로써 캡슐(1)의 바닥부(bottom portion)에 장착된다. 사실, 캡슐은 컨베이어 캡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캡은, 컨베이어 캡과 함께, 캡슐의 측벽의 일부분 또는 캡슐의 플랜지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측면부를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7)은 컨베이어 캡의 측벽(8)의 적어도 일부분를 측벽(4)의 적어도 일부분(4a)(바람직하게는 바닥 부분(4a))중첩시킴으로써 캡슐(1)의 바닥부에 장착된다(예를 들어 도 4, 7-10, 19a - 19f 참조).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내 수단은 캡슐의 배출구 벽(3)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4b)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1-3, 12-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내 수단은 캡슐의 측벽(4)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4b)를 포함하여, 연장부(extension)를 제공한다(예를 들어 도 4 및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안내 수단은 플랜지(4b) 및 측벽(4)의 일 부분(4a)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aspect)에 따르면, 플랜지(4b)는 원형(circular) 플랜지 이며, 캡슐의 중심축(X-X) 둘레에 원형으로 배열된다. 또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플랜지(4b)는 측벽(4)에 대해 캡슐의 중심축(X-X)과 동일한 거리 또는 더 가깝게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7-10, 도 19a 내지 도 19f를 참조하면, 캡(7)은, 컨베이어 캡의 측벽(8)을 하부(바닥 부분)(4a)에 중첩시킴으로써 캡슐(1)의 바닥 부분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 부분(4a)은 또한 플랜지(4b)로 연장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7)에는 캡슐의 안내 수단과 협동하도록 배치된 플랜지(9a)가 전형적으로 베이스(9)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실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1)은 컨베이어 캡(7)의 관련 플랜지(9a)(즉, 돌출 벽)와 협동하는 플랜지(4b)(즉, 돌출 벽)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의 플랜지(4b)는 캡슐(1)의 배출구 벽(3)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일 양태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7)의 플랜지(9a)는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9)로부터 그리고 특히 컨베이어 캡의 내부 표면(7a)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출구 벽(3)을 향한다. 가능한 다른 실시 예에서, 플랜지(4b)는 캡슐(1)의 측벽(4)으로부터 돌출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플랜지(4b, 9a)는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랜지(4b, 9a)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원형 중공부(circular hollow)를 갖는다.
도 18a 내지도 18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1) 및 컨베이어 캡(7)은 캡슐의 측벽(4)(또는 그 일부)에서 협력하는 안내 수단, 및, 예를 들어 캡슐의 배출구 벽(3) 상에 배열된 플랜지(4b)와 같은 측벽(4)에 대해 내부적으로 협력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1)의 측벽(4)은 컨베이어 캡(7)의 측벽(8)과 협력하여 이들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한다. 캡슐의 플랜지(4b)는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9a)와 협력한다. 캡슐의 플랜지(4b)는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9a)와 협력한다. 결과적으로,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캡슐(1) 및 컨베이어 캡(7)의 관련 측벽(4, 8)과 플랜지(4b, 9b) 사이의 결합에 의해서도 안내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 예에서, 캡슐의 측벽과 컨베이어 캡의 측벽 사이의 맞물림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로서,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 이동은 플랜지(4b, 9a) 사이의 체결을 통해서만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 캡(7)의 플랜지(9a)는 캡슐(1)의 플랜지(4a)를 수용 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 예에서, 도시되진 않았지만, 캡슐(1)의 플랜지(4a)는 컨베이어 캡(7)의 플랜지(9a)를 받아들인다(embrace).
일 실시 예에서, 캡슐(1)의 플랜지(4b) 및/또는 컨베이어 캡(7)의 플랜지(9a) 및 일반적으로 캡슐의 안내 수단 및/또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에 구비되고 추출된 음료가 흐르는 공간(19)에 배치된, 컨베이어 캡의 안내 수단은, 배출구(5) 및 전달 개구(delivery opening)(16) 사이에서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홈(95)(예를 들어, 컷-아웃(cut-out) 또는 누락부(missing portion))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 통로(through passage)(예를 들어, 개구부(opening))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1)의 플랜지(4b) 및/또는 컨베이어 캡(7)의 플랜지(9a)에는 홈(들) 또는 개구부 또는 컷-아웃 또는 누락부가 제공되어 음료 배출구(5)와 전달 개구(16) 사이에 위치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도 18a 내지도 18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캡슐(1)의 플랜지(4b)의 외부면에는 복수의 홈(95)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도 18 내지도 18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캡슐에는 컨베이어 캡(7)의 측벽(8)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90)가 제공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시트(90)는 컨베이어 캡(7)의 측벽(8)의 적어도 상단부(12)를 수용하도록 배열 될 수 있다.
시트(90)는 측벽(4)의 일 부분(4a)에 대해 측 방향으로 배열된 플랜지(91) 또는 캡슐의 안내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플랜지에 의해 구비 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시트(90)는 2 개의 벽,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캡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그 측벽(8)을 수용(house)하기 위해 그 사이에 갭을 제공하는 2 개의 마주보는 벽(facing walls)에 의해 형성 될 수 있다.
시트(90)를 형성하는 2 개의 벽, 예를 들어 측벽(4) 및 플랜지(91)는, 두 개의 사이에 가변적이고 바람직하게 감소하는 거리를 갖고, 켄베이어 캡 및 특히 그 측벽(8)이 시트 내에 삽입될 때 마찰을 제공하도록, 다른 측벽에 약간 기울어 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시트(90)의 제공은 유체 누출을 피하기 위해 컨베이어 캡과 캡슐 사이의 효과적인 밀봉 밀폐 결합(effective seal tight engagement)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캡의 측벽(8) 및 캡슐의 측벽(4)의 표면은 컨베이어 캡을 캡슐에 결합 및 보유하도록 의도된 마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요소의 느슨한 결합을 피할 수 있다. 좌석(90), 예를 들어 측벽(4)을 마주하는 추가적 플랜지(910)에 의해, 컨베이어 캡, 예를 들어 측벽(8)과 협동하도록 의도되며, 원하는 마찰을 제공하고 및/또는 이들 요소들 사이의 유체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컨베이어 캡(7)은 캡슐(1) 상에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되어 캡슐의 개방을 허용한다. 보다 상세하게, 캡슐 음료 배출구(5) 및 컨베이어 캡(7)은 캡슐 음료 배출구가 정상적으로 폐쇄되고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 캡(7)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7)은 캡슐 음료 배출구가 폐쇄되는 말단 위치(distal position)(예를 들어, 첨부 도면에 도시) 및 컨베이어 캡이 캡슐의 배출구 벽(3)에 근접하는 근접 위치(proximal postion)로부터 이동 가능하며, 컨베이어 캡은 캡슐 음료 배출구의 개방을 제공한다.
컨베이어 캡(7)은 캡슐의 측벽(4), 예를 들어, 캡슐의 측벽(4)의 하부(바닥) 원통형 부분(4a)과 함께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속 될 수 있다(예를 들어,(예를 들어, 도 4 및 도 7-10 및 도 19a 내지도 19f와 같이). 바닥 부분(4a)의 표면은, 컨베이어 수단의 측벽(8)이거나, 축 X-X에 수직으로 또한 연장되는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즉, 중심 축(X-X)에 평행하게) 연장된다(예를 들어, 회전 대칭축).
보다 상세하게, 도 4 및 도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캡슐의 측벽(4)의 일부, 특히 측벽(4)의 바닥 부분(4a)을 감싸도록(embrace) 구성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0-3 및 도 12-1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플랜지(4b) 또는 캡슐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의 일부와 함께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속된다. 플랜지(4b)는 측벽(4)의 부속물(appendix), 예를 들어 측벽(4)의 연장부(extension)(도 4 참조)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플랜지(4b)는 캡슐의 배출구 벽(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3, 12-17 및 18a-18c 참조).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 예에 따르면(예를 들어 도1-3, 12-17 및 18a-18c), 컨베이어 캡(7)은 실질적으로 배출구 벽(3)에 대응하여 돌출하는 플랜지(4b)와 함께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플랜지(4b)는 바람직하게는 수직하여 연장되어, 즉. 캡슐의 중심 축(X-X)(예를 들어, 회전 대칭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플랜지(4b) 및 캡슐의 측벽(4)은 캡슐의 중심축(X-X)에 대하여 동심(concentric)이 되도록 배열된다.
컨베이어 캡이 캡슐 상에 장착되고, 그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면, 이들 구성요소 사이에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캡슐(1)에 대한 컨베이어 캡(7)의 구속은 상이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과 캡슐 사이의 이동은 축 방향 이동이고, 이동 방향은 캡슐의 중심축(X-X)(예를 들어, 회전 대칭축)과 일치하거나 평행하다.
그러나, 컨베이어 캡과 캡슐 사이의 상이한 이동이 제공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의 중심 축(X-X)(예를 들어, 회전 대칭축)에 대한 경사 이동 방향이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성요소의 움직임 또는 축(선형) 구성 요소와 회전 구성 요소의 조합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형 상대 이동(helical relative movenment), 예를 들어.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나사식(screwing-like) 상대 운동이 제공 될 수 있다.
캡슐에 대한 컨베이어 캡의 이동,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 이동은 캡슐 음료 출구(5)에 압력을 가하여 개방을 허용한다. 이미 전술 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9)와 캡슐의 배출구 벽(3)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고, 캡슐 음료 배출구(5)에 기계적 작용(힘)을 가함(exerting)으로써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을 제어하도록, 캡슐의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캡슐 본체에 대하여 장착된다.
필요한 움직임, 바람직하게 축 방향 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캡(7)의 측벽(8)(및/또는 플랜지(9a)) 및 캡슐(1)(예를 들어, 플랜지(4b) 또는 캡슐의 측벽(4)의 일 부분(4a))은, 이러한 구성요소들 간의 요구되는 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캡슐 및 캡과 결합하고 유지하는 상보적인 수단을 구비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의 외부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돌출 마루(ridge)(11a)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캡슐의 내부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마루(ridge)(11)를 포함하는 맞잠금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이 구비된다(예를 들어, 도1, 및 구체적인 확대도 도 17 참조). 돌출 마루(11, 11a) 또는 유사한 맞잠금 요소는 캡슐의 벽 및 컨베이어 캡의 측벽(8)의 내측면의 대향면들 각각에 접촉한다. 이들의 배열은 컨베이어 캡을 캡슐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들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전술 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측벽(8)은 측벽(4)의 바닥 부분(4a) 또는 캡슐의 플랜지(4b)에 인접하고, 벽(8, 4a, 4b)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예를 들어 동심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도 1-4, 도 12-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두 개의 대응하는 마루(11, 11a)는, 캡이 캡슐 상에 장착된 후에 캡슐(1)과 컨베이어 캡(1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캡과 캡슐 상에 각각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캡(7)의 측벽(8)의 내부면 상 및, 캡슐의, 측벽(4)의 일 부분(4a)의 외표면, 또는 플랜지(4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루(11)가 캡(7)의 플랜지(9a)의 내부면에 제공되고, 마루(11a)가 캡슐의 플랜지(4b)의 외부면 상에 제공되더라도, 이러한 배열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반전이 가능하다.
일 양태에 따르면, 캡슐의 마루(11a)에 대한 도 18a-18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마루(들) 및/또는 홈(들)(groove(s))은 예를 들어, 누락부 또는 개구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폐쇄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마루(들) 또는 홈(들)의 누락 부분은, 연장된 경로에서의 파손으로 보일 수 있다. 마루(들), 홈(들)의 개구 또는 누락 부분은 그들을 통해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캡슐의 배출구 벽을 나간 음료는 컨베이어 캡의 전달 개구(16)에 도달할 수 있다.
전술된 마루(들) 및 홈(들)의 배열은 또한, 캡(1)의 안내 수단 및 컨베이어 캡(7)의 안내 수단 모두가 플랜지(4b, 9a)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a-18c에 도시 된 실시 예에서, 플랜지(4b 및 9a) 모두는 마루(11, 11a)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전술 한 바와 같이, 캡슐(1)은 컨베이어 캡(7)과 맞잠금 연결을 제공하여 캡슐로부터 컨베이어 캡의 분리(느슨한 결합)를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 할 수 있다.
도 18a-18c 중 하나의 다른 실시 예에서, 플랜지(4a, 9a) 중 하나(또는 둘 모두)는 이하 도 5-11을 참조하여 각각 논의되는 홈(14, 15)을 구비 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5-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의 측벽(4)은 원주(circumferential) 마루(11a)(또는, 동등한 돌출 요소)를 가지며, 및 컨베이어 캡(7)의 측벽(8)의 내부면은 마루 11a를 수용하기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마루(14, 116)를 가진다. 도 5-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길이 L만큼 이격된 두 개의 홈(14, 15)이 있고, 길이 L은 캡(7)의 측벽(8)의 상 단부(top end)(12) 및 캡슐 본체의 측벽(8)에 위치한 정지부(stop)(13) 사이의 거리보다 크지 않다. 따라서, 캡슐 및 캡의 조립체가 압축될 때, 홈(14)은 마루(11a)를 떠나도록 강제되고, 홈(15)은 홈(14)을 대체하고 마루(11a)를 수용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은 기계적 힘에 의해, 즉 캡슐 내로 주입 된 액체 압력을 사용하지 않고 컨베이어 캡에 의해 개방된다; 그러나, 공급되는 뜨거운 물에 의해 캡슐(1) 내부에 형성된 압력이 컨베이어 캡과 캡슐 음료 배출구(5) 사이의 기계적 상호 작용에 의해 개방된 캡슐 음료 출구(5)를 더 개방하는 것을 도울 수 있거나 및/또는 예를 들어 출원인의 명칭의 상기 인용 특허 출원에서 논의 된 바와 같이, 분배된 음료의 유속을 제어하도록 협력한다는 것을 더 인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 음료 출구(5)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홈(5a)에 의해 한정되는 출구 벽(3)의 파단가능부(breakable portion)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홈에 인접한 출구 벽(3)의 두께와 비교하여 감소 된 두께의 영역을 제공한다.
상이한 가능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 요소(5b)는 상기 파손 가능한 부분에 위치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즉, 캡슐 음료 배출구(5)를 정의하는 배출구(3)의 파손 가능한 부분이 연관될 수 있거나(도 3-17의 실시 예 참조), 및/또는 돌출 요소(5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벽(3)의 파손 가능한 부분과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캡(7)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2b 및 27의 실시 예에서, 캡슐의 음료 배출구(5)는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51)과 협조하도록 의도된다. 도 3-17 및 18a-18c의 실시 예에서, 개방 수단은 캡슐의 바닥 벽(3)의 배출구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는 요소(5b) 상에 침해(impinge)하는 인접면(abutting surface)(52)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9a-19f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는 밀봉 막(sealing membrane)(206)에 의해 폐쇄 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through-opening)(205)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캡슐의 배출구 벽은 밀봉 막, 예를 들어, 밀폐된 캡슐을 밀봉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밀봉 호일(sealing foil)에 의해 일반적으로 폐쇄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205)(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홀(들)(hole(s)) 또는 작은 구멍(들)(aperture(s)) 또는 슬롯(들)(slot(s)))이 제공된다. 밀봉 된 밀폐 캡슐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밀봉 호일을 포함한다.
밀봉 막에 의해 폐쇄 된 하나 이상의 개구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컨베이어 캡에 의해 개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 막(206)은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에 의해 개방되고, 바람직하게 컨베이어 캡의 상기 개방 수단(51)은 찢김(tear) 및/또는 전단(shear) 및/또는 천공(perforate) 및/또는 찢김(lacerate) 및/또는 변형(deform) 및/또는 구멍 뚫기(puncture), 컨베이어 캡의 관련 부분의 형상, 밀봉 막에 따라 달라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8a-28c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출구(5)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05) 및 관통 개구(205) 위(상류)에 배치 된 밀봉 막(206)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캡슐의 배출구 벽은 밀봉 막에 의해 폐쇄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205)(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홀(들) 또는 구멍(들) 또는 슬롯(들))를 구비한다. 관통 개구(들)를 통해 캡슐로부터의 음료의 배출을 방지하는 밀폐된 폐쇄 캡슐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 된 밀봉 호일(sealing foil)을 포함한다.
밀봉 막에 의해 폐쇄 된 하나 이상의 개구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컨베이어 캡에 의해 개방된다(즉, 음료가 캡슐을 빠져 나와 캡슐을 빠져 나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208)가 배출구 벽(3)에 배열되고 캡슐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돌출 요소(208)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밀봉 막(206)을 향한 움직임을 야기하는 컨베이어 캡(7)의 인접부(abutting portoin)(52)에 접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밀봉 막은 개방되고, 관통 개구(들)를 통해 음료의 배출을 허용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도 1, 도 2 및 도 2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은 컨베이어 캡의 내부면(7a)에 배열되고, 배출구 벽(3)의 상기 파단가능부(5)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배출구 벽(3)을 향하는 돌출 요소(5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배출구 벽(3)이(캡슐과 함께) 컨베이어 캡(7)을 향해 움직일 때, 컨베이어 캡(7)의 돌출 요소(51)는, 개구를 야기하는 하나 이상의 홈(5a)을 포함하는 캡슐 음료 배출구(5) 상에, 특히 배출구 벽(3)의 파단 가능부 상에 압력을 가한다.
도 1b, 도 1b 및 도 2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캡슐은, 중앙 음료 배출구(즉, 중심 축(X-X)에 실질적으로 배열됨), 및 개구를 제공하기 위해 캡슐 음료 배출구(5)에 접촉하도록 배열된 돌출 요소(51)를 구비한 컨베이어 캡(7)을 구비할 수 있다.
캡슐 음료 출구(5)를 정의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홈(5a), 즉 배출구 벽(3)의 파단가능부는 효과적인 파단을 야기하기 위해 상이한 형상으로 제공 될 수 있다.
도 1c 및 1d는 도 1에 따른 캡슐의 음료 배출구의 대안적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 예는 명백하게 도 2의 캡슐 조립체에도 적용될 수 있고, 도 1e 및 도 1f에 도시 된 것과 유사한 기계-캡슐 상호작용을 제공 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도 1c 및 도 1d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홈(5a)은 배출구 벽(3)의 4 개의 이동가능부(3')를 형성하는 중심 십자형 및 네 개의 원호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가능한 실시 예를 정의하기 위해, 홈(5a)의 수 및 형성된 이동가능부(3')의 수는 변경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7-27c에 도시 된 다른 실시 예에서, 배출구 벽(3)의 이동 가능한 파단가능부(3')는 다른 평면 상에 배치 될 수 있다. 즉, 도 27a-27c의 상이한 단면도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배출구 벽(3)은 캡슐의 바닥에 대해 상이한 높이로, 바람직하게는 중심 주위의 나선형(helical or spiral) 배열로 배치된 파단가능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컨베이어 캡(7)의 돌출 요소(51)가 상기 파단가능부(3')와 접촉 할 때 용이하고, 반복 가능하고 효율적으로 캡슐의 개구를 제공하게 한다.
파단가능부(3')의 수는 다른 가능한 실시 예를 정의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컨베이어 캡(7), 특히 그 돌출 요소(51)가 캡슐 음료 배출구(5)에 압력을 가할 때, 배출구 벽(3)의 네 개의 이동가능부(3')는,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예와 같이, 안쪽으로(예를 들어, 캡슐의 내부 체적을 향하여) 이동된다.
완전한 원형 선이 아닌 상기 원호를 제공함으로써, 이동가능부(3')의 구속 점(constraining point)이 형성된다.
홈(5a)의 형상은 컨베이어 캡(7)의 돌출 요소(5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배출구(5)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돌출 요소(51)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홈(5a)은 배출구 벽안의 대응 원형 개구를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홈(5a)이 파괴되거나, 배출구 벽의 이동가능부(3')는 캡슐의 내부 체적을 향하여 움직인다.
돌출 요소(51)는, 상보적 형상을 가지는 캡슐의 배출구(5)를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 내부 체적 안으로 삽입된다.
이는 캡슐 내에서, 사용 후, 배출된 조립체(10)의 폐기 중, 캡슐로부터 남아있는 액체의 의도치 않은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예를 들어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요소(51)는, 컨베이어 캡(7)이 캡슐(1)과 결합할 때 캡슐 음료 배출구(5)에서 챔버(515(예, 시트(seat))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측방향 돌출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측방향 돌출부(510)는, 음료가 준비되고 있을 때, 캡슐 음료 배출구로부터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예를 들어, 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방향 돌출부(510)는 그러므로, 바람직하게 음료가 캡슐(1)에서 배출됨에 따라 채워질 수 있는 챔버(515)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챔버(515)는 전형적으로 상부에서 개방되어, 챔버(515)가 완전히 채워지고 음료가 챔버(515)에 더 공급될 때, 챔버(515)의 음료의 넘침(overflow)은 컨베이어 캡(7)의 전달 개구(들)(16)를 향해 흐른다. 음료 준비가 완료될 때, 캡슐(1)(컨베이어 캡(7)과 함께) 분배 기계(dispensing machine)으로부터 제거되고, 챔버(515)는 분배되지 않은 음료를 유지하고 이러한 분배되지 않은 음료가 흘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방향 돌출부(510)는 돌출 요소(51)로부터 돌출된 방사부(radial portion), 및 후속 축방향부(axial portion)를 구비한다. 다른 형태(conformation)가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측방향 돌출부(510)는 원추형(conical) 구성(즉, 호퍼(hopper)와 같이)으로 돌출 요소(51) 주위에서 돌출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1)은 캡슐 음료 배출구(5)에서, 컨베이어 캡(7)에 결합될 때, 또는 챔버(515) 안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어떠한 경우에도, 돌출 요소(51)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배출 돌출부(110)를 구비하여, 음료를 캡슐(1)로부터 챔버(515)까지 잘 안내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배출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돌출 요소(51)에 맞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배출 돌출부(11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25와 같이, 돌출 요소(51)는 그 측면에 하나 이상의 홈(511)을 구비할 수 있다. 홈(511a)은 사용 시에 캡슐(1), 즉, 캡슐 음료 배출구(5)에 결합되는 돌출 요소(51)의 부분에 구비된다. 홈(511a)은 돌출 요소(51)가 그 내부에 삽입될 때 음료 배출구(5)의 폐색(occlusion)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홈은 돌출 부분(51)이 캡슐(1) 안으로 삽입될 때, 음료에 대한 유체 경로(즉, 채널)를 보장할 수 있다.
홈의 수 및 구성은 다른 실시 예들 사이에서 달라질 수 있다. 도면들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홈(511)은 돌출 요소(51)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많거나 적은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단 하나의 홈 또한 구비될 수 있다. 홈은 바람직하게 돌출 요소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지향(oriented axially)되지만, 다른 구성(예를 들어, 돌출 요소(51) 주위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홈) 또한 사용된다.
부가적 또는 대한적으로, 리브(rib)(512)는 전형적으로, 돌출 요소(51)의 측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radial manner)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브(512)는 바람직하게, 돌출 요소(51) 상에 위치함으로써, 캡슐(1)이 관련 컨베이어 캡(7)에 결합할 때, 리브(512)는 캡슐 음료 배출구(5)에 위치한다.
리브(512)에는 홈(122b)이 구비된다. 전형적으로, 리브(512)와 홈(511a)은 함게 구비되고, 돌출 요소(51)의 측면 상의 홈(511a)과 리브(512)의 홈(511b)은 서로 결합한다. 다시 말하면, 돌출 요소(51)의 측면의 홈(511a)은 리브(512)의 홈(511b)으로서 계속된다.
도 3, 4, 5-17 및 18a-18에 도시된 예와 같이, 또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캡슐 음료 배출구(5)는 캡슐의 바닥 벽(3)의 상기 파단가능부(들)에 배열된 돌출 요소(5b)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1)은 배출구 벽(3) 안의 홈(5a)을 구비하며, 홈을 따라 벽(3)을 파단하고 바닥 벽(3)의 그 위치에서 배출 개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출구 벽은 홈(5a)에 대응하여 감소된 두께를 가진다. 홈(5a)은, 돌출 요소(5b)를 구비하는 배출 영역(outlet area)를 정의하며, 돌출 요소(5b)는 캡슐(1)의 밖으로 연장되며, 배출 영역 안의 배출구 벽(3)의 국부적인 "천공(perforation)"을 작동할 것이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17에 도시된 예와 같이, 캡슐 음료 배출구(5)의 돌출 요소(5b)는 배출구 벽(3)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protruding flange)의 형상을 가진다. 홈(5a)은 실질적으로 캡슐 밖으로(즉, 음료수 성분(I)이 수용된 중공 체적 밖으로) 연장된 돌기 요소(5b)의 외주부(perimeter)를 정의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돌기 요소(5b)의 외주부의 부분(5c)은 홈(5a)을 구비하지 않아, 힌지(hinge)로서 작용할 수 있는 컨베이어 캡(7)에 의해 돌출 요소(5b)에 힘이 가해질 때 파손되지 않는 연결부(connection portoin)를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출 요소(5b)는, 실질적으로 캡슐의 중심축(X-X)의 수직하는 평면에 구획화된 L-형이다. 다시 말하면, 도 3 및 12-17에 도시된 예와 같이, 홈(5a)과 돌출 요소(5b)는, 서로에 대해 경사지도록, 적절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뤄 실질적으로 L-형의 구성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두 부분(5', 5'')을 형성하도록 배출구 벽(3)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감소된 압축력이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홈(5a)에서 음료 배출구의 효율적인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컨베이어 캡(7)으로부터 캡슐로의 힘의 효과적인 전달을 제공한다.
도 17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요소(5b) 및 홈(5a)은 제1 부분(5')의 연장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경사지도록(바람직하게 실질적인 직각으로) 배열된 제2 부분(5'')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부분(5'')은 캡슐의 중심 축(X-X)을 향해 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제1 부분(5')의 폭에 대해 증가된 폭을 제공한다.
캡슐 음료 배출구(5)의 파단가능부에 배치된 돌출 요소(5b)는 그 상대 운동으로 인해 컨베이어 캡(7)과 상호 작용하여,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을 야기한다. 보다 상세하게,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은 캡슐 음료 배출구(5)의 돌출 요소(5b)를 위한 접촉 표면(52)을 포함한다. 실제로, 표면(52)은 컨베이어 캡(7)의 내부 표면(7a)의 일부이며, 맞닿는 부분으로 작용하여, 캡슐 음료 배출구의 돌출 요소(5b)와 접촉하여 그 위에 압력을 가하여 캡슐 음료 배출구의 개방을 야기한다.
도 3-1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캡슐 음료 배출구(5)는, 음료 배출구가 배출구 벽의 중심 영역에 가깝게 위치하는 다른 배열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캡슐의 중심 축(X-X)으로부터 이격되어 주위에(peripherally) 배열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음료수 배출구(5)는 캡슐의 중심축(X-X)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바람직하게 돌출 요소(5b)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5)는 캡슐의 중심축에 대해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가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해 기울어 질 수 있는 실시 예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음료 출구는 중심에 대하여 기울어진(예를 들어, 중심축 선을 향하지 않고 경사각(예를 들어 약 30°)을 제공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수 배출구는 또한 곡선, 예를 들어 실질적은 아치형(arch-shaped)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캡슐 음료 배출구(5)가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abutting portion)(52)와 연동하도록 의도된 돌출 요소(5b)를 포함하는 캡슐 음료 배출구(5)의 실시 예에서, 후자는 또한, 컨베이어 캡에 필요한 구도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캡(7)의 음료 전달 개구(16)에 바람직하게 배열된 돌출 요소(51)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 요소(51)는 컨베이어 캡의 요구된 강성(stiffening)을 제공하고, 배출구 벽(3)에 맞닿도록 의도된다.
캡슐(1)의 주입구 벽(2)은 또한 통상 폐쇄되고 음료수 준비용 액체가 적어도 하나의 음료수 성분(I)이 수용된 캡슐의 내부 체적(1a) 안에 주입되도록 한다.
임의의 유형의 주입구 벽(2)이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이용 가능한 것들 중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구 벽은 주변 플랜지(30)에 고정되고, 캡슐의 입구를 덮는 막(29)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주입구 벽은 플랜지(30) 및 막(29)에 의해 형성된다(예를 들어, 도2, 3c, 4, 15, 19a-19f의 실시 예 참조).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서, 벽(2)은 예를 들어, 플랜지(30) 또는 캡슐의 측벽에 결합된 강성의 뚜껑(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 예(예를 들어, 도1, 도 3, 도 7-14의 실시 예 참조)의 주입구 벽은, 캡슐 내로 진입하는 물의 통로 및 뚜껑 상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천공 요소(perforating elements)(28)에 의해 구멍 뚫릴 수 있는(pierceable) 밀봉 막(2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막(29 및 23)은 캡슐에 저장된 성분의 감각 수용성의 특징(organoleptic characteristic)을 보존하기 위해 산소에 대해 불투과성(impermeable)이다. 막(23 및 29)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초음파 융착 또는 열 용접에 의해, 예를 들어, 주입구 벽(2)의 형성부분 및 측벽(4)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플랜지(30)에서 캡슐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막 및 캡슐은 퇴비 가능한(compostable) 물질로 제조된다.
도 1, 도 3-9, 도 12-14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강성 뚜껑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 예로 돌아가서, 주입구 벽(2)은 캡슐(1)의 몸체에 물을 공급(feed)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예: 구멍(hole))을 구비하는 강성 뚜껑(22)을 포함한다. 산소가 불투과되는 밀봉 필름(film) 또는 막(23)은, 필름(23)이 천공 요소(28)에 의해 구멍 뚫리고 뚜껑(22)에 대해 가압하기 전까지, 일반적으로 뚜껑(22)을 닫기 위하여 뚜껑(22) 상에 위치한다; 필름은 요소(28)로부터 이격될 수 있거나, 구멍 뚫리기 전, 표준 위치에서 상기 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볶은 커피 및 분쇄된 커피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예를 들어, 로스팅(roasting) 후 가스 제거)은 이러한 운동에 기여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더 상세한 내용은 참조가 이뤄진 본 출원인의 EP 1807318에서 찾을 수 있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뚜껑(22)은 밀봉 막(23) 및 원형 경로(22b)로 덮인 부분(22a)을 포함하고, 부분(22a)에 대해 외부로 배열된다; 경로(22b)는 밀봉 막(23)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밀봉 막(23)은 캡슐 안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구 개구(들)(예: 구멍)이 구비된 뚜껑(22)의 부분을 덮도록 배열된다. 뚜껑(22)의 부분(22b)이 구비되고, 부분(22b)은 막(바람직하게 원형 경로를 가짐)에 의해 덮인 부분(22a)에 대해 외부에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1)가 사용된 음료 준비를 위한 브루잉 시스템(brewing system)의 주입 수단(injection means)을 수용( house)하도록 설계된다.
원형 경로(22b)의 표면, 및 일반적으로 밀봉 막(23)에 의해 덮이지 않고 음료 준비 시스템의 주입 수단을 수용하고자 하는 뚜껑(22)의 부분은, 막(23)이 배열된 평면보다 아래 단계(lower level)(즉, 주입구 벽에 대해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 의해, 브루잉 시스템의 물 주입 수단은 임의의 막을 천공하지 않는다: 막(23)은 강성의 뚜껑(22) 상에 제공된 요소(28)에 의해 관통된다. 이 실시 예로 인해, 캡슐은 물 주입 수단이 막을 천공할 수 없거나 더 이상 수용할 수 없는 브루잉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뚜껑(22)의 부분(22b)은 주입 수단이 길어질수록 플랜지(30)의 평면에 대해 더 낮아질 수 있다.
캡슐 음료 배출구(5) 주위에 보강 리브(5d)가 제공되어 캡슐 음료 배출구(5) 주위의 영역을 보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그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5d)는 캡슐에 대해 외부에서 캡슐(1)의 바닥 벽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리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상이한 형상(바람직하게는 도 25와 같이, 환형)을 가질 수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일 수 있지만, 또한 불연속적일 수 있다. 즉, 캡슐 음료수 출구(5)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는 다수의 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리브(5d)의 대안으로서 또는 바람직하게, 캡슐의 강성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반경 리브(5e)가 캡슐 자체에 대해 외부적으로 캡슐의 바닥 벽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반경 방향 리브(5e)는 보강 리브(5d)와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리브(5d 및/또는 5e)의 높이는 플랜지(4b)의 높이보다 낮다.
캡슐(1)은 공지된 유형의 필터(24)(예를 들어, 도 3, 도 3a, 도 3c, 도 3d, 도 4, 도 7-10, 도 12-16, 및 도 19a-19f 참조) 당업계의 공지된 방식으로(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영 용접에 의해) 캡슐 몸체, 예를 들어, 측벽(4)의 단차에 바람직하게 고정된다. 필터(24)는 바닥 벽의 개방 수단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바닥 벽(3)으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있다. 추가의 필터링 요소, 즉 구획 요소(partitioning element)(25)가 뚜껑(22) 아래 또는 막(29)의 아래에 배치되어 브루잉 단계동안 성분(I)의 위치를 유지하고 캡슐(1)의 내부 체적(1a)을 감소 시킬 수 있다. 구획 요소는 캡슐의 측벽(4)의 내부 표면에 구속되고, 주입구 벽(2)으로부터 원하는 거리에 배치되는 필터링 막(2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체적(1a)의 구획 요소로서 작용하는 필터링 막(25)은 캡슐(1)의 주입구 벽(2)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된다.(도 3-3d의 예시적 실시 예 참조)
필터(24, 25)에 적합한 재료는 종이, PP와 같은 부직포, 플라스틱 또는 생분해성(biodegradable) 플라스틱 등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재료이다.
필터링 막 또는 구획 요소(25)는 캡슐의 내부 체적(1a)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음료수 제조를 위해 감소된 양의 성분이 필요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당 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에스프레소 커피 제조에 필요한 볶은 커피 분말의 부피는 미국식 커피의 제조에 사용되는 볶은 커피 분말의 부피 또는 예를 들어 핫 초콜릿을 준비하기 위한 용해성 성분보다 적다.
감소된 내부 체적(1a)을 갖는 도 3, 4, 12-16에 도시된 캡슐은 에스프레소 제조용 커피 분말을 수용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캡슐의 치수는 내부 체적(1a)의 필요한 체적을 제공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16에 도시된 캡슐은, 예를 들어, 같은 홀더(holder) 안의 캡슐의 사용을 허용하는 컨베이어 캡(7)의 높이의 증가에 의한 캡슐 조립체(10)의 전체적인 치수를 유지하는 반면, 도 1 및 2에 도시된 캡슐의 내부 체적과 대비하여, 감소된 성분(I)을 수용하는 내부 체적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캡슐(1)의 치수는 감소될 수 있고, 컨베이어 캡(7)의 치수는 그에 따라 설계될 수 있어, 캡슐 조립체(10)는 바람직하게는 캡슐 조립체가 사용되어야 하는 음료 준비용 시스템의 홀더(26)의 치수 및 형상에 대응하는 원하는 전체적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캡(7)의 형상은 상이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홀더 및 캡슐의 예시적 실시 예의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캡(7)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캡슐이 사용되는 음료 준비를 위한 시스템의 홀더(26)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측 방향 핀(fin) 또는 마루(80)(예를 들어 도 1 참조) 또는 측벽(4)의 외부면 및/또는 컨베이어 캡의 외부면에서 돌출된 유사한 요소는, 상이한, 즉, 성분(들)의 필요한 양을 수용할 수 있는 원하는 치수의 캡슐의 내부 체적을 유지함과 동시에 더 큰 치수를 가지는 홀더에 캡슐을 적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핀 또는 마루(80)는 외부 몸체에 미적 장식(aesthetic embellishment)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형상 및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 및 특히 구 베이스 벽(9)은 적어도 하나의 음료 분배를 위한 전달 개구(16)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전달 개구(16)를 중심에 배열, 즉, 캡슐(1)의 중심 축(X-X)에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전달 개구(16)는 배출구로부터 음료의 유동을 안내(direct)하고 제어하기 위한 운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17 및 도 19a-19f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추형으로 제공될 수 잇는 컨베이어 요소(17)를 수용하는 중앙 전달 개구(16)가 제공된다. 요소(17)는 실질적으로 십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음료 전달 단부(beverage conveying end), 예를 들어 음료 전달 포인트(17a)를 갖도록 성형된다. 요소(17)는 예를 들어, 복수의 핀(18)(도 5 참조)에 의해 음료 전달 개구(16)의 중앙에 지지될 수 있다. 컨베이어 요소(17)의 내부면은 브루잉 단계 동안 캡슐의 바닥 벽(3)에 가능한 지지를 허용하도록 편평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공기가, 캡(7) 외부로부터 밀폐 공간(19)으로, 또는 밀폐 공간(19) 내부로부터 캡의 부로 흐르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20)은, 상기 홀(20)을 통한 음료의 가능한 누수 및 음료의 접촉을 피하도록, 캡(7)의 베이스(9) 상에 구비된다.
도 5-6 및 도 1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각각의 구멍(20)은, 캡(7)의 베이스 벽(9)으로부터 캡슐의 배출구 벽(3)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타원형 요소(elliptical element)(21)에 대응하는 상부면 상에 위치한다. 캡슐(1)로부터 밀폐 공간(19)으로 음료가 분배될 때, 구멍(20)은, 주변 압력 및 상기 밀폐 공간 안 사이의 압력차를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상기 밀폐 공간으로, 또는 밀폐 공간으로부터 밖으로의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공기 통로로 작용한다.
대안적으로, 편리한 공기 흐름 통로는, 완성된 음료의 원활한 흐름을 얻기 위하여, 공간의 적절한 조정에 의해,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콘베이어 요소(17) 및 캡(7)의 외부 벽 사이에서 생성되는 공기 차(air gap)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0-11을 참조하여 개시된 캡슐 조립체(10)의 예를 참조하면, 캡슐 조립체(10)는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기 위해,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음료 준비 시스템을 위한 캡슐 홀더(26)와 함께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10)를 참조하면,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 이동은 기계적으로 제공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홀더(26)는 시스템의 홀더 시트(holder seat)에 삽입 가능하고,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기 위한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 이동은 조립체(10)가 홀더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시트에 삽입될 때 제공된다.
실제로, 홀더(26)가 음료 준비 시스템의 홀더 시트(예를 들어, 음료 분배기의 홀더 시트)에 삽입되고 브루잉 시스템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예를 들어, 모터를 사용하여 폐쇄될 때, 액밀 밀봉(liquid tight sealing)은 캡슐에 물이 공급되기 전에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도이 제공되도록 기계적 힘이 홀더(26)를 가압하도록 조립체(10)에 작용하여,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을 허용하는 캡슐 조립체(10)의 압축을 제공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준비를 위한 시스템은 이동가능 요소(movable element),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이른바 플랜지(30) 상의 주입구 벽(2)에 대응하는 캡슐 조립체(10)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이동가능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준비를 위한 이동가능 요소, 예를 들어 분배 장치의 이동가능 요소는, 캡슐 안에 보충되도록 의도된 브루잉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 수단과 연관될 수 있다. 이동가능 요소는, 홀더(26)가 캡슐 조립체(10)를 지지하는 위치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캡슐과 접하고, 홀더(26)를 가압하고, 이동가능 요소 및 캡슐(예를 들어, 플랜지(30))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 수밀 밀봉 영역(water tight sealing area)을 제공하기 위해 움직인다. 다시 말하면,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홀더(26)는 컨베이어 캡(7)에 대응하여 캡슐 조립체(10)를 지지하고, 이동가능 요소는 캡슐의 주입구 벽(2)에 대응하여 캡슐 조립체(10)와 접촉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성에 따르면, 홀더는 음료 준비 시스템의 이동가능 요소에 의해 이동된다.
일반적으로, 이동가능 요소 및 홀더가 캡슐 조립체(10)를 유지하고 음료 준비를 위한 수밀 밀봉을 제공하도록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경우, 캡슐 조립체에 압축력이 가해져서 캡슐을 홀더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컨베이어 캡(7)의 상대적인 운동이 결정되어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이 야기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라, 홀더는,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을 야기하는 컨베이어 캡(7)과 캡슐(1)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분배기의 고정 요소에 대해 이동한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5-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6)는, 큰 구멍 및 컨베이어 캡(7)의 대응 부분에 따라 성형된 부분(27)을 포함하는 베이스를 가진다. 부분(27)은, 음료가 분배될 때, 음료와 캡슐 홀더(26)사이의 접촉을 피하거나 감소하기 위해, 컨베이어 캡(7)의 음료 전달 개구(16)으로부터 이격된 캡슐 조립체(10)의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 벽의 대응 부분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부분(27)은 홀더(26)의 베이스 또는 하부에 구비된 구멍을 정의하는 환형 구조의 형태로 감소된 영역을 가지며; 홀더의 베이스의 부분(27)은, 캡슐(1)의 배출구 벽(3)의 관통을 수행하기 위해 조립체가 가압되는 강성 면(인접부(52))을 제공하도록, 캡슐 조립체에 주변부에 배열되고, 돌출 요소(5b)가 위치하는 캡슐 조립체의 부분을 지지한다.
홀더(26)에는 필요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뜨거운 물의 공급원 아래에서 캡슐을 수동으로 배치하기 위한 핸들이 제공 될 수 있다. 홀더(26)는 이 경우에 당 업계에 공지된 수단, 예를 들면, 상기 홀더를 상기 고온의 물의 공급원에 고정하기 위한 바요넷(bayonet) 고정 수단, 클릭-온 수단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용 핸들을 구비 한 홀더가 상기 EP1792849에 개시되어 있으며; 두 가지 실시 예 사이의 차이는 본 발명의 홀더 에서 컨베이어 캡(7)의 음료 전달 개구(16) 아래에 수집 수단(collecting mean)이 없다는 것이다.
가능한 사용 모드에 따라, 캡슐 조립체(10)는 홀더(26) 내에 위치되고 홀더는 고온의 물 공급원 아래에 위치된다. 캡슐 조립체(10)는, 예를 들어 음료 준비를 위한 시스템의 홀더 시트에 홀더를 삽입함으로써 및/또는 캡슐 조립체를 향한 음료 준비를 위한 시스템의 이동가능부의 움직임 때문에 홀더(26) 안으로 가압된다.
캡슐 조립체에 작용하는 힘, 예를 들어. 압축력은 컨베이어 캡(7)과 캡슐(1) 사이의 상대 이동(캡슐 조립체(10)의 압축을 제공하는 상대적 운동)으로 인하여 캡슐 음료 출구(5)의 개방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능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배출구(5)의 돌출 요소(5b)가 컨베이어 캡(7)의 인접부(52)와 접촉하거나, 또는 컨베이어 캡(7)의 돌출 요소(51)가 캡슐의 음료 배출구(들)(5)와 접촉한다.
두 경우 모두, 캡슐 음료 배출구(5)를 정의하는 홈(5a)은, 용기 공간(19) 내로의 음료 유동을 위한 출구를 제공하도록 컨베이어 캡(7)과 캡슐(1)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하에서 파괴된다.
아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 19a-19f를 참조하면, 음료 배출구(5)가 밀봉 막(206)에 의해 밀봉된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205)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 캡슐 조립체에 가해진 힘, 예를 들어 컨베이어 캡(7)과 캡슐(1)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한 압축력은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을 제공한다. 실제로, 컨베이어 캡(7)의 돌출 요소(51)는 음료 배출구(들)(5) 및 특히 밀봉 막(206)과 접촉하여 밀봉 막의 관통을 야기한다. 따라서, 캡슐이 개방되고 관통 개구(205)는 캡슐의 내부 체적의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시키며, 여기서 성분은 컨베이어 캡(7)의 밀폐 공간(19)을 통해 외부 환경(external ambient)과 함께 저장된다.
천공 요소를 구비한 강성 뚜껑을 가지는 조립체가 사용될 때(도 1, 1a, 1b, 3, 3a, 3b, 7, 8, 9, 12-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로 공급된 가압된 물은 천공 요소(28)에 대해 막(23)을 가압하고, 필름을 열고 뚜껑(22)을 통해 캡슐 내로 유동된다. 캡슐(1)이 강성 뚜껑(22)을 구비하지 않고, 막(29)을 구비한다면(도 2, 3c, 3d 및 4의 예를 참조), 캡슐이 분배 기계에 삽입될 때, 예를 들어 스파이크(spike) 또는 주입 바늘(needle)과 같은 주입 수단은 막(23)을 관통하여 캡슐 안으로 액체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캡슐(1)의 바닥으로 넘쳐흐르는(outflow) 음료는 캡(7)의 베이스(9)를 침해(impinge)하고, 및 캡슐(1)의 벽(3)의 배출구(5)에 대해 오프셋(offset)된 베이스(9) 안의 음료 전달 개구(16)로 가급적(preferably) 안내될 것이다.
컨베이어 요소(17)의 도움으로, 음료는 분사(spray) 또는 유출(splillage)없이 최종 용기로 향할 수 있다. 공기 통로(20) 또는 적절한 크기의 공기-갭의 바람직한 존재는 출구에서의 음료의 흐름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게하고, 음료 및 그에 따른 크림(crema) 최상층의 공기량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17은 음료가 컨베이어 요소(17)를 통과하는데 소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음료가 캡슐의 배출구 벽(3)의 배출구 개구(5)로부터 전달 될 때 일반적으로 음료의 온도 저하를 감소 시키도록 설계된 실시 예를 개시한다. 도 12-17에서, 유사한 부분은 도 1-11의 이전 실시 예에 사용 된 동일한 참조 번호로 정의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한 주된 차이점은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 벽(31)의 형상에 있다. 조립체(10)는 캡슐의 배출구 벽(3)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4b)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벽(8)을 갖는 캡(7)을 갖는다. 캡슐의 외부면 상의 다른 돌출 마루(11a)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컨베이어 캡(7)의 내부면에 돌출 마루(11)를 포함하는 맞잠금 연결부(interlocking connection)(도 17에 확대 된 세부 사항 참조)가 컨베이어 캡과 캡슐을 함께 잠그도록 제공된다.
캡(7)의 측벽(8)은 캡슐의 배출구 벽(3)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4b)에 대해 외부에 위치된다. 돌출 마루(11, 11a) 또는 유사한 요소는 모두 캡슐 벽(예를 들어, 플랜지(4b))의 대향 표면 및 컨베이어 캡의 측벽(8)의 내측면과 각각 접촉한다.
베이스 벽(31)의 형상은 도 5-11의 편평한 형상과는 반대로 내부 볼록부(inner convexity)(32)를 제공하고, 도 3-4b에 도시 된 실시 예의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 벽의 내부 오목부에 반대된다.
내측 볼록부(32)(예를 들어, 도 12-17 및, 20, 21, 22에 도시 됨)가 제공된 베이스 벽(31)의 형상은, 캡슐을 나가는 액체와 접촉하는 컨베이어 캡의 표면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의 중심축(X-X)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내부 볼록부(32)를 제공하는 베이스 벽(31)의 표면은 두 점(P1, P2) 사이의 연결면(connecting surface)의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두 점 P1, P2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원추곡선(conical section)(또한 원추곡선으로 지칭)은 P1 및 P2 지점에서의 단부(end)의 접선 조건(tangent condition)을 부과하여 설계되었다. 단부에서 전술한 접선 조건에 의해, 내측 볼록부(32)를 갖는 연결면은 지점 P1과 P2를 최소 면적으로 연결하는 표면이며, 따라서 컨베이어 캡(7)과 캡슐에서 나가는 액체의 접촉면이 감소된다.
두 지점(P1, P2)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원추곡선은 캡슐의 축(X-X)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회전 표면으로서 내부 볼록부(32)를 갖는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 벽(31)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10)에 사용될 수 있는 컨베이어 캡(7)의 가능한 대안적 실시 예가 도 20-2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특히, 도 20a-20d의 실시 예에 따라, 컨베이어 캡(7)의 바닥 벽(31)은 측 방향 가장자리에서 측 방향 내측 챔버(70)를 형성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벽(31)은 컨베이어 캡(7)의 측면 가장자리(edge)에 챔버(또는 포켓)(70)를 형성하도록 아래로(downwards) 돌출한다. 챔버(70)는 실질적으로 U 자형 단면을 전형적으로 구비하며, 컨베이어 캡(7)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환형 챔버(70)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은 분배 장치 내에서 컨베이어 캡(7)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허용 할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캡(7)의 경화(stiffening)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언급 된 기능보다, 컨베이어 캡(7)의 바닥 벽(31)의 이러한 연속 형상은 컨베이어 캡(7)에 추가적인 미적 가치를 제공하는 한편, 캡의 내부면과 분배된 음료 사이의 제한된 접촉면을 제공한다.
캡슐(1)은 바람직하게는 음료가 측면 챔버(70)로 들어가서 내부에 포획(trapped)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캡슐(1)과 컨베이어 캡(7)이 결합 될 때, 캡슐의 배출구 벽(3) 또는 안내 수단(4b)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71)는, 측면 챔버(70)가 예를 들어, 도 20d에 도시된 예와 같이, 캡슐로부터 나가는 음료의 경로와 유체적 연결(fluidically connected)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21a-21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컨베이어 캡(7)에 대해 내부로 돌출하는 플랜지(20a)를 구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1b의 예에서 반경 방향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지만, 다른 수를 가지고 불균등하게 비스듬한 각을 가지게 배치될 수 있는 플랜지(20a)는 컨베이어 캡(7)의 추가 강화(stiffening)를 제공하며, 또한 캡슐 배출구 벽뿐만 아니라 분배 개구(16)를 향한 경로에서 음료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플랜지(20a)는 바람직하게는 축(X-X)에 평행한 방향을 고려하여 분배 개구(1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들은 분배 개구(16)로부터 이격되어 상류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랜지(20a)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요소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는 편평하고 실질적으로 평면 상에 놓여있다. 상이한 구성에서, 이들은 구부러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는 평면 상에 놓여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곡면부(curved portion) 및 적어도 하나의 파형부(undulated portion)를 포함하는 곡면에 따라 연장된다.
플랜지(들)(20a)는 컨베이어 캡(7)의 내부면 상에 배열된 보강 마루(stiffening ridge)(20c)에 대응하여 배치 될 수 있다. 보강 마루(20c)는 바람직하게 컨베이어의 중심 축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 된 원형 라인을 따라 제공된다
플랜지(20a)는 예를 들어, 도 23a-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볼록부(32)가 제공되지 않은 컨베이어 캡의 실시 예에서도 제공 될 수 있다.
예를 들어도 23a-23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플랜지(20a)는 상이한 길이로 제공 될 수 있다. 즉, 플랜지(20a)의 단부는(캡슐의 축에 대응하는) 컨베이어 캡의 중심 축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배치 될 수 있다. 또한 도 23a-23c를 참조하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플랜지(20a)는 횡 방향 요소(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횡단 요소(20')는 만곡 될 수 있어, 컨베이어 캡의 축에 대해 동심원 상으로 배열된 만곡부를 제공 할 수 있다.
마루(20b)는 비어있을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 캡(7) 내에서 음료는 마루(20b)를 따라 내부적으로 흐를 수 있다.
캡슐의 바닥 벽(3)(즉, 배출구 벽(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필터(24)를 지지하기 위해, 캡슐의 벽(3)은 벽(3)으로부터 캡슐의 몸체로 연장되는 복수의 마루(33)를 구비한다. 뚜껑(22)은, 예를 들어 도 12-1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캡슐(1)의 측벽 상에 구비된 숄더(35)에 접촉되고 용접 될 수 있는 단차(34)를 갖는 브루잉 장치의 천공/주입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경로(22b)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 한 바, 및 도 19a-19f에 도시 된 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는 밀봉 막(206)에 의해 폐쇄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05)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캡슐의 배출구 벽은, 밀봉 막(206)에 의해 폐쇄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들)(206)(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홀(들) 또는 구멍(들)(aperture) 또는 슬롯(들))을 구비한다.
밀봉 막(206) 또는 호일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 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 층을 포함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밀봉 막 또는 호일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의 단일 또는 복수의 층으로 제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밀봉 호일 또는 막은 가스 장벽 특성(gas barrier property)을 제공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층과 결합된 알루미늄 층을 포함하지만, 플라스틱 층(들), 통상적인 산소-장벽(oxygen-barrier)을 포함하는 삼중 적층물(tri-laminates), 적절한 바이오 물질의 호일 또는 층(들)을 포함하고, 또한 코팅, 적절하게는 산소-장벽 특성을 구비한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막(206)은 캡슐에 저장된 성분의 감각기적 특성(organoleptic characteristics)을 보존하기 위해 산소에 대해 불투과성이다. 막(206)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초음파, 열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해 캡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뚜껑(22)은 또한 본체(1)와 같이 산소에 불투과성인 재료로 만들어지고, 산소-불투과성 품질을 가지는 적절한 압출 또는 적층 플라스틱의 평평한 시트로부터 열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관통 개구(205)의 형상 및/또는 치수 및/또는 수는 상이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관통 개구(205)는, 배출구 벽(3), 일반적으로 캡슐 몸체에 부착된 밀봉 막(206)에 의해 밀봉된(도 19f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몸체의 바닥, 및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관통 개구의 주변부 주위의 상기 배출구 벽(3)에 구비된다. 도 19f에 도시된 예에서, 밀봉 막은 단일 관통 개구(205)를 둘러싸는 환형 면으로 구속된다.
다만, 예를 들어 도 19a-19d의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 개구(205)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 디스크 형상을 가진 막(206)은 개구(205)를 폐쇄한다.
또한 이 경우에, 밀봉 막은 배출구 벽(3)의 주변 환형 면에 구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 벽(3)의 다른 영역을 밀봉하는 것보다 하나 이상의 밀봉 막(206)이 구비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실시 예는 컨베이어 캡(예를 들어, 돌출 요소(51))이 각각의 밀봉 막(206)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막은, 재료의 다른 비-연속적인 층을 가지는 막 안의 영역들에 의해 구비되는, 다른 신장 수율(elongation yield)을 갖는 다른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막은 서로 결합된 여러 재료의 "샌드위치(sandwich)" 로서 제동될 수 있으며, 비-연속성의 하나 이상의 재료들이 존재(present)하여, 하나 이상의 재료들이 빠져(missing) 액체의 통과가 상이하게 영향을 받고 및/또는 밀봉 막의 기계적 특성이 다른 밀봉 막의 "섬(island)" 또는 "슬롯(slot)"을 생성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층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섬" 또는 "슬롯"을 형성하는 상기 상술된 영역은, 예를 들어, 한 층의 일부의 제거(removal) 또는 절개(incision) 또는 마모(abrasion)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거, 절개 또는 마모는 다층 막의 한 층의 일부분 또는 전체 두께에 대해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막은 비탄성 물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층), 바람직하게는 장벽 거동(barrier behavior),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산소 불 투과성 물질을 갖는 물질에 결합된 탄성 물질(예를 들어, PP 또는 PE 플라스틱 층)의 층을 포함 할 수 있다. 밀봉 막의 샌드위치는 또한 필터링 층, 예를 들어 부직(non-woven) 재료로 만들어진 층을 포함 할 수 있다. 막의 층은 반드시 서로 구속(예를 들어, 접착)되지는 않지만, 하나 이상의 층이 다른 층에 배열(구속되지는 않음) 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직 재료로 만들어진 층은 접착(gluing)없이 다른 층에 배열 될 수 있다.
배출구 벽(3)은 다른 면(plane)들 상에 연장되어(즉,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한 다른 층(level)), 캡슐 몸체의 내부 체적 안쪽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시트(207)가 형성되어 컨베이어 캡(7)의 개구 수단(51)은, 캡슐의 개방 위치안의 캡슐의 상대적인 이동 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시트(107)를(예를 들어, 시트(207) 안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개구 수단을 도시한 도 19d와 같이)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 예에서 또한, 캡슐(1)은 배출구 벽(3)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 음료 배출구(5) 즉, 막(206)에 의해 밀봉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포함하고, 배출구는 바람직하게 폐쇄되고, 음료 준비의 시작까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예를 들어, 캡슐의 위치 및 캡슐이 폐쇄되는 컨베이어 캡은 도 19b, 19c에 도시됨)
사실상,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방은 바람직하게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제1 캡슐 및 캡슐의 컨베이어 캡(7)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한 천공에 의해 수행된다.(열린 상태의 예는 도 19d에 도시됨)\
밀봉 막(206)에 의해 폐쇄된 하나 이상의 개구(205)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 캡(7)에 의해 개방(예를 들어, 음료 배출구(16)와 유체 연통)된다. 보다 상세하게, 밀봉 막(206)은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51)에 의해 개방된다.
컨베이어 캡(7)은 말단 폐쇄 위치(distal closed position)로부터 이동 가능하다.(도 19b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음료 배출구는 근접 위치에서 폐쇄되고, 컨베이어 캡은 캡슐의 배출구 벽(3)에 근접하며, 수단(51)은 캡슐 음료 배출구의 개구를 제공한다.(도 19d에 도시된 예에 따라)
캡슐에 대한 컨베이어 캡의 이동은 축 방향 이동이 바람직하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캡슐의 개방이 필요한 때, 컨베이어 캡(7)의 베이스(9)와 배출구 벽(3)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캡슐의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51)은 컨베이어 캡, 밀봉 막(206)의 관련 부분의 형상에 따라 찢어지거나(tear)(예를 들어, 날카로운 것으로 찢기거나(lacerate)) 전단 및/또는 천공되거나(예를 들어, 펑크(puncture)) 및/또는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관통 개구(205)는(밀봉 막을 통해) 더 이상 닫히지 않고 컨베이어 컵(7)의 밀폐 공간(19) 및 음료를 전달하기 위해 외부 대기와 유체 연통한다.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은 막의 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이퍼 형상으로 제공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51)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51)를 포함하며,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 특히 컨베이어 캡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캡슐의 출구 벽(3)을 향해 연장하는 돌출 요소(51)는 밀봉 막(206)을 찢거나 및/또는 천공 및/또는 전단하여 캡슐을 개방한다. 막(206)의 천공 및/또는 찢음 및/또는 전단은 막과의 접촉점 또는 돌출 요소(51)와 막과의 접촉점에 대한 상이한 위치에 대응하여 제공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컨베이어 캡(7)의 돌출 요소(51)가 밀봉 막(206)과 접촉하더라도, 밀봉 막은, 예를 들어 돌출 요소(51)의 접촉에 의해 야기 된 멤브레인의 변형으로 인해, 개방 될 수 있고 따라서 찢어지거나(tear 및/또는 찢어지거나(lacerate) 및/또는 천공 될 수 있다
또한 캡슐의 개방으로 인해, 캡슐의 내부 체적과 관통 개구(205)를 통해 외부 환경과의 유체 연통을 성립 시키며, 이는 밀봉 막의 어떠한 찢김 또는 천공 없이도 밀봉 막의 변형 또는 이동에 의해 얻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밀봉 막(206)은 캡슐 몸체와의 구속 부분으로부터 분리(detach)되거나 이동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속 부분은 밀봉 막(206)이 캡슐 몸체, 바람직하게는 그 배출구 벽(3)에 구속(예를 들어, 접착(glued))되는 환형 영역이다.
바람직하게 관통 구멍이 없는 출구 벽의 구속 부로부터의 밀봉 막(206)의 변형 또는 이동 및 그에 따른 분리는,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 이동에 기인한, 컨베이어 캡의 돌출 요소(51)와 밀봉 막(206)의 접촉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통해 얻어진다 한다.
명백하게, 캡슐의 폐쇄 상태(예를 들어,도 19b 및 19c 참조)에서,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51)(돌출 요소)은 밀봉 막(206)으로부터 이격 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도면 19b 및 19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또는 밀봉 막(206)과 이미 접촉하지만, 캡슐은 여전히 닫혀있을 수 있다.
컨베이어 캡(7)의 돌출 요소(들)(51)의 개수, 형상 및 치수는 상이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 수단(51)은 도 19a 내지 19f에 도시 된 요소(51)에 대해 그 형상 및 개수가 상이 할 수 있다.
캡슐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은 전술 한 바와 같이 캡슐의 개방을 제공한다.
밀봉 막(206)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경우, 즉 함께 결합 된 여러 재료의 "샌드위치(sandwich)"로 제공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재료가 비 연속적으로 존재하여 하나 이상의 재료가 누락 된 밀봉 막의 "섬" 또는 " "슬롯"은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51)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기인 한 효과적인 개방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밀봉 막의 상이한 기계적 특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컨베이어 캡은, 출구 벽(3)의 개구가 캡슐 내부에 주입 된 브루잉 액체의 압력을 통해 작동되는 동안, 캡슐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막(206)은 캡슐 내부에 주입 된 액체의 압력을 통해 개방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절개(imcision) 또는 마모(abrasion)에 의해 막 두께를 감소시키는 막의 재료의 제거가 캡슐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 막은 복수의 층을 포함한다. 즉, 함께 결합 된 여러 재료의 "샌드위치"및 하나 이상의 재료가 연속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제공되어, "섬"또는 "슬롯"을 생성한다. 하나 이상의 물질이 누락 된 밀봉 막은 캡슐 내부에 주입 된 액체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막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여, 막의 하나 이상의 물질(들)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음료를 제조 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앞서 개시된 캡슐 조립체(10)의 다른 특징은 도 19a-19f를 참조하여 설명 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도 19a-19f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예를 들어 캡슐의 측벽(4)의 하부(하부) 원통형 부분(4a)과 함께 측벽(4)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속된다. 바닥 부(4a)의 표면은, 컨베이어 수단의 측벽(8)이 또한 축(X-X)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뿐 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즉, 캡슐의 중심 축(X-X_에 평행하게, 예를 들어, 회전 대칭축과 같은)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도 19b, 19c, 19d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캡슐의 측벽(4)의 일부, 특히 측벽(4)의 바닥 부(4a)를 측 방향으로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미 언급 된 바와 같이, 다른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도 1-3 및 도 12-1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캡(7)은 캡슐에의 돌출된, 플랜지(4b) 또는 플랜지의 일부와 함께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속 될 수 있다. 입구 벽(2)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용될 수 있는 타입 중 어떠한 타입이라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주입구 벽은 캡슐의 입구를 덮고, 주변 플랜지(30)를 고정하는 막(29)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입구 벽(2)의 다른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2)은 예를 들어도 1, 도 3, 도 7-14를 참조하여 이미 개시된 예와 같이, 플랜지(30) 또는 캡슐의 측벽에 결합 된 강성의 뚜껑(22)을 포함 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7-14를 참조하여 이미 개시된 바와 같이, 입구 벽(2)은 물을 캡슐(1)의 몸체 내로 공급하기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예를 들어, 구멍)가 제공된 강성 뚜껑(2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산소 불투과성인 밀봉 필름 또는 막(23)은, 뚜껑(22)에 대하여 필름(23)이 가압되어 천공 요소(28)에 의해 천공되기 까지, 일반적으로 뚜껑(22)을 닫기 위하여 그 위에 배치된다. 필름은 요소(28)로부터 이격 될 수 있거나 또는 천공되기 전에 그 표준 위치에서 상기 요소와 접촉 할 수있다. 이 실시 양태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참조가 이루어진, 본 출원인의 EP 1807318에서 찾을 수 있다.
필터(24)가 또한 제공 될 수 있다. 당 업계에 공지 된 유형의 필터(24는, 캡슐 바디, 예를 들어, 측벽(4)의 단차에 당해 분야에 공지 된 방식으로(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열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24)는 캡슐의 바닥 벽(3)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바닥 벽의 개방 수단의 이동을 허용 할 수있다. 전술 한 바와 같이, 필터(24)는 밀봉 막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결합(예를 들어, 접착) 될 수 있다.
횡 방향 핀 또는 마루(80), 또는 캡슐의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및/또는 컨베이어 캡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유사한 요소(예를 들어, 도 19a-19f에 도시 됨)가, 요구되는 양의 성분(들)을 수용하기 위해 원하는 치수의 캡슐의 내부 체적을 유지하면서, 상이한 즉 더 큰 치수를 지닌 홀더에 캡슐을 채택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핀(80)은 외부 몸체에 미적 장식을 제공하기 위해 또한 또는 대안 적으로 이용 될 수 있으며, 따라서도 19f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이한 모양 및 패턴으로 제공 될 수 있다.
배출구 벽(3)의 보강 수단(85)은, 특히 캡슐 바디가 열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캡슐 바디 및 특히 배출구 벽(3)을 보강하도록 제공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보강 수단(85)은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 표면에서 출구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리지 또는 핀을 포함 할 수 있다. 마루(85)는 공동을 포함 할 수 있는데, 즉 공동은 상이한 벽면(즉,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해 상이한 레벨) 상에 배출구 벽(3) 표면을 배치함으로써 제공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루(85)는 캡슐 몸체의 내부 공간 내부로 돌출 된 하나 이상의 시트(207)와 일치 할 수 있으며, 개방된 상태에서 캡슐의 상대적인 이동 후에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5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보강 수단(85)의 개수, 형상 및 위치는 상이한 가능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 될 수 있다. 보강 수단(85)은 음료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개구(205)를 구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조립체(1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 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도 28a-28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막(206)에 의해 폐쇄된 관통 개구(205)를 포함하며, 밀봉 막은 관통 구멍(205) 위(상류)에 배치된다.
밀봉 막(206)은 예를 들어 출구 벽(3)에서 캡슐의 일부에 구속(예 : 접착 또는 용접)된다.
캡슐의 배출구 벽은, 밀봉 막, 예를 들어 밀봉된 닫힌 캡슐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 된 밀봉 호일 에 의해 일반적으로 폐쇄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205)(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홀 또는 구멍(aperture) 또는 슬롯)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폐쇄"또는 "일반적으로 폐쇄"라는 표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수용되는 캡슐 바디의 내부 체적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된다는 것을 나타 내기 위해 사용되며, 즉 캡슐은 폐쇄되고 음료는 통과 개구(들)을 통해 캡슐로부터 나가지 못한다.
관통 개구(205)는 예컨대 도 28a-28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V 자형을 갖는 슬롯(205)의 형태로 형성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하나 이상의 개구(205)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컨베이어 캡(7)에 의해 개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208)가 배출구 벽(3)에 배치되어 캡슐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고, 컨베이어 캡(7)의 인접면(52)에 의해 접촉되도록 의도된다.
돌출 요소(208)는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205)에 의해 형성된 출구 벽(3)의 가동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능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관통 개구(205)(또는 슬롯)의 V 자 형상은 돌출 요소(208)가 배열되는 출구 벽의 이동가능부를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 이동 후에도 28c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인접면(52)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캡의 개방 수단은 캡슐의 돌출 요소(208)와 접촉하여 그 위에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돌출 요소(208)는 캡슐 몸체의 내부 체적을 향해 밀려지고 밀봉 막(206)의 파열을 야기한다(명확성을 위해 밀봉 막(206)은 도 28c에 도시되지 않음). 따라서, 캡슐은 개방되고 내부 체적은 관통 개구(205)를 통해 외부 환경과 유체 연통한다. 바꿔 말하면, 관통 구멍(들)(205) 내의 음료의 통과는 더 이상 밀봉 막(206)에 의해 방지되지 않는다.
밀봉 막(206)은 도 19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유형일 수 있다. 또한, 도 19 및 도 28의 실시 예에 도시 된 캡슐은 열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3)

  1. 음료 준비를 위한 캡슐(1) 및 상기 캡슐을 나가는 음료를 운반하기 위해 상기 캡슐 상에 장착되는 컨베이어 캡(7)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로서,
    상기 캡슐은 주입구 벽(2), 배출구 벽(3) 및 적어도 하나의 음료 성분(I)을 수용하는 내부 체적(1a)을 정의하는 측벽(4)을 포함하고, 배출구 벽(3)은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캡(7)은 상기 컨베이어 캡의 내측면(7a)과 배출구 벽(3) 사이의 밀폐 공간(19)을 정의하도록 상기 캡슐 상에 장착되고, 상기 밀폐 공간은 캡슐을 나가는 음료가 컨베이어 캡에 의해 최종 용기로 안내되도록 공급되는 공간이며, 상기 컨베이어 캡(7)은 하나 이상의 음료 전달 개구(16)를 갖는, 캡슐 조립체(10)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7)은 캡슐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와 상기 컨베이어 캡은,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으로 인해 캡슐 음료 배출구(5)가 컨베이어 캡(7)에 의해 개방되도록, 상호작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조립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컨베이어 캡(7)을 위한 안내 수단(4a, 4b)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캡은 상기 캡슐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캡슐(1)의 상기 안내 수단(4a, 4b)을 수용하여, 상기 안내 수단이 컨베이어 캡(7)의 상기 이동을 가이드하는 캡슐 조립체(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컨베이어 캡을 위한 안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안내 수단은 캡슐의 측벽(4)의 적어도 한 부분(4a), 및 캡슐의 상기 배출구 벽(3), 상기 측벽(4) 또는 그 조합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4b)로부터 선택되는 캡슐 조립체(10).
  4.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캡(7)은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는 닫혀있는 이격 위치(distal position)로부터, 및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의 개구를 제공하고 컨베이어 캡(7)이 캡슐(1)의 배출구 벽(3)에 근접한 인접 위치(proximal position)로 이동 가능한 캡슐 조립체(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도록 의도된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캡슐 조립체의 압력을 제공함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공되는 캡슐 조립체(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과 상기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도록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에 압력을 가하는 캡슐 조립체(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7)은 캡슐의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밀폐 공간(19) 내에 배열된 개방 수단(51, 52)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수단(51, 52)은 돌출 요소(51) 및/또는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를 위한 컨베이어 캡의 인접부(52)를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9. 제7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캡(7)의 상기 개방 수단(51, 52)은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도록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에 압력을 가하는 캡슐 조립체(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는 캡슐의 배출구 벽(3)의 파손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파손 가능한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홈(5a)에 의해 형성되는 캡슐 조립체(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의 상기 개방 수단(51, 52)은, 상기 컨베이어 캡의 내측면(7a)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 벽(3)의 상기 파손 가능한 부분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 벽(3)을 향하는 돌출 요소(51)를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는, 상기 캡슐의 상기 배출구 벽(3)의 상기 파손 가능한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 공간(19) 내에서 연장되는 돌출 요소(5b)를 더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의 상기 개방 수단은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의 상기 돌출 요소(5b)와 체결하는 인접부(52)를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는 밀봉 막(206)에 의해 폐쇄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205)를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막은 컨베이어 캡(7)의 개방 수단(51, 52)에 의해 개방되며, 개방 수단은 상기 밀봉 막(206)을 찢거나, 전단하거나, 천공하거나 그리고/또는 변형시키도록 구성된 돌출 요소(51)를 포함하고, 및/또는
    컨베이어 캡(7)의 상기 개방 수단은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208)를 위한 컨베이어 캡(7)의 인접부(52)를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벽(2)은 적어도 하나의 주입구 개구를 가지는 막(29) 또는 강성 뚜껑(22)을 포함하고, 밀봉 막(23)은 뚜껑의 하나 이상의 천공 요소(28)에 의해 관통될 수 있는 캡슐 조립체(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뚜껑(22)은 밀봉 막(23)에 의해 덮인 부분(22a), 및 밀봉 막(23)에 의해 덮인 상기 부분(22a)에 대해 외부에 배열된 환형 경로(22b)를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10).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7)은 공기가 상기 컨베이어 캡 외측으로부터 상기 밀폐 공간(19)으로, 또는 상기 밀폐 공간 내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캡 외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공기 통로(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20)는 상기 컨베이어 캡의 상기 음료 전달 개구(16)가 위치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캡슐 조립체(10).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에 위치한 음료 전달 개구(16)를 가지며, 캡슐의 적어도 하나의 캡슐 음료 배출구(5)는 컨베이어 캡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전달 개구(16)에 대해 오프셋되어 위치하는 캡슐 조립체(10).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둘레에 위치된 복수의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캡은 하나의 중심 음료 전달 개구(16)를 가지는 캡슐 조립체(10).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캡슐의 중심 축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가지는 캡슐 조립체(10).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의 음료 전달 개구(16)에는 상기 밀폐 공간(19)을 떠나는 음료수 흐름을 안내하는 요소(17)가 구비되는 캡슐 조립체(1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흐름을 안내하는 요소(17)는 원추형 요소인 캡슐 조립체(10).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7)은 상기 캡슐의 안내 수단(4a, 4b)과 협동하는 안내 수단(8, 9a)을 가지며, 상기 컨베이어 캡의 안내 수단은 측벽(8) 또는 컨베이어 캡의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컨베이어 캡으로부터 돌출된 플랜지(9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캡슐 조립체(10).
  25. 제24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9a)는 컨베이어 캡의 베이스(9)로부터 돌출하고, 컨베이어 캡의 플랜지는 상기 컨베이어 캡의 측벽(8)에 대해 내부에 배열되는 캡슐 조립체(10).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안내 수단(4, 4a, 4b) 및/또는 상기 컨베이어 캡의 안내 수단(8, 9a)은 적어도 하나의 홈(95)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통로를 구비하는 캡슐 조립체(10).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캡(7)과 상기 캡슐(1)은 상기 캡슐 상에 컨베이어 캡을 결합 및 보유하는 동시에 상기 캡슐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기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보적인 수단(11, 11a, 14)를 포함하며, 상기 상보적인 수단은 캡슐과 컨베이어 캡 사이에 맞잠금 연결(interlocking connection)을 제공하는 캡슐 조립체(10).
  28.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캡슐 조립체(10), 및 캡슐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26)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기 위해 캡슐(1)과 컨베이어 캡(7)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6)는 상기 시스템의 홀더 시트에 삽입 가능하고, 캡슐 조립체(10)가 상기 홀더에 수용되고 홀더가 상기 홀더 시트에 삽입될 때,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제공되는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6)는, 음료가 분배될 때 상기 음료와 상기 홀더(26) 사이의 접촉을 감소 또는 피하기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 캡(7)의 음료 전달 개구(16)로부터 이격된 상기 캡슐 조립체의 컨베이어 캡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치수가 정해진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기계적으로 제공되는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캡슐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기 상대적인 이동은, 브루잉 시스템이 닫혀있고, 물이 캡슐에 제공되기 전에 액밀 밀봉(liquid tight sealing)이 캡슐에 제공될 때, 수행되는 시스템.
  33.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캡슐 조립체(10)로부터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캡슐로부터 상기 캡슐 및 캡슐 상에 장착된 컨베이어 캡에 의해 정의되는 밀폐 공간으로 음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캡슐 음료 배출구(5)를 개방하기 위해 캡슐(1)과 컨베이어 캡(7)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22039A 2015-12-31 2017-01-02 캡슐, 및 상기 캡슐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캡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 Active KR102651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15/081470 2015-12-31
EP2015081470 2015-12-31
EPPCT/EP2016/057844 2016-04-08
EP2016057844 2016-04-08
PCT/EP2017/050028 WO2017114970A1 (en) 2015-12-31 2017-01-02 A capsule assembly comprising a capsule and a conveyor cap configured to open said caps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360A KR20180100360A (ko) 2018-09-10
KR102651867B1 true KR102651867B1 (ko) 2024-03-26

Family

ID=5773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039A Active KR102651867B1 (ko) 2015-12-31 2017-01-02 캡슐, 및 상기 캡슐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캡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27913B2 (ko)
EP (1) EP3397574B1 (ko)
JP (1) JP6995046B2 (ko)
KR (1) KR102651867B1 (ko)
CN (1) CN108602614B (ko)
AU (1) AU2017204680B2 (ko)
BR (1) BR112018013419B1 (ko)
CA (1) CA3009284A1 (ko)
RU (1) RU2018127746A (ko)
WO (1) WO2017114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755B2 (en) * 2007-07-13 2023-12-05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KR20170087528A (ko) * 2010-07-22 2017-07-28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음료수 제조를 위한 1인용 캡슐
ITUA20161940A1 (it) * 2016-03-23 2017-09-23 Macchiavelli Srl Capsula per prodotti da infusione, in particolare per caffè.
EP3536637B1 (en) 2018-03-05 2020-09-16 Nootrie AG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CA3188318A1 (en) * 2020-09-02 2022-03-10 Christophe Sebastien Paul Heydel Biodegradable capsule with integrated opening means
KR20230084472A (ko) * 2020-10-05 2023-06-13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음료 캡슐을 위한 생분해성 상단 멤브레인
US11805934B1 (en) * 2020-10-21 2023-11-07 Adrian Rivera Brewing material lid and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WO2024097178A1 (en) * 2022-11-01 2024-05-10 Pani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beverag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0461A1 (en) 2004-09-17 2006-03-23 Tuttoespresso S.P.A. Disposable capsule for drinks
JP2012530522A (ja) 2009-06-17 2012-12-06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所定量の飲料を作るためのシステム、カプセル及び方法
JP2015529485A (ja) 2012-07-16 2015-10-08 トゥットエスプレッソ エス.アール.エル. 飲料供給用のカプセル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1194A (en) * 1928-03-10 1929-02-05 Rosenstein Fritz Beverage maker and dispenser
JPS61122727U (ko) * 1985-01-17 1986-08-02
US5813317A (en) * 1997-12-15 1998-09-29 Chang; Keng-Hao Brewing pot
DE60304325T2 (de) * 2002-01-16 2006-09-07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Geschlossene kapsel mit öffnungsmittel
JP4865720B2 (ja) * 2004-10-25 2012-02-0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付勢用シール部材を有するカプセル
PT1775234E (pt) * 2005-10-14 2008-08-29 Nestec Sa Cápsula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PT1864917E (pt) * 2006-06-06 2008-10-08 Nestec Sa Cápsula com gotejamento reduzido
ITMI20061503A1 (it) 2006-07-28 2008-01-29 Illycaffe Spa Perfezionamenti di capsule contenenti una sostanza in polvere da cui estrarre una bevanda,preferibilmente caffe' espresso
DE502007004474D1 (de) * 2007-01-15 2010-09-02 Swiss Caffe Asia Ltd Kapsel, Mittel zum Penetrieren des Bodens einer Kapsel und Vorrichtung für die Zubereitung eines Getränks
US7836820B2 (en) * 2007-09-19 2010-11-23 Sunbeam Products, Inc. Brewing device having a delayed release mechanism
ITMO20070323A1 (it) * 2007-10-22 2009-04-23 Illycaffe Spa Contenitore
WO2010046923A1 (en) * 2008-10-14 2010-04-29 Dinesh Talrej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with cartridge containing an edible substance designed to avoid contamination
MX2011007187A (es) * 2009-11-19 2011-08-04 Nestec Sa Capsula y metodo para preparar una bebida tal como cafe a partir de dicha capsula.
PL2592978T3 (pl) * 2010-07-14 2014-09-30 Unilever Nv Sposób parzenia napoju i wkład zawierający nadający się do parzenia materiał
EP2409931A1 (en) 2010-07-22 2012-01-25 Nestec S.A. 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in a food preparation machine at high pressure
US20130156889A1 (en) * 2011-12-14 2013-06-20 Dairy Farmers Of America, Inc. Greek yogurt dips and spreads and production thereof
ES2603736T3 (es) * 2012-01-12 2017-03-01 Sarong Societa' Per Azioni Cápsula para bebidas
EP2662316A1 (en) * 2012-05-07 2013-11-13 Nestec S.A. An ingredient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EP2662314A1 (en) * 2012-05-07 2013-11-13 Nestec S.A. An ingredient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ES2429638B1 (es) * 2012-05-11 2014-09-10 Francisco NAVARRO ALCÁNTARA Envase para la preparación de una bebida bajo presión de un fluido
EP2872421B1 (en) * 2012-07-16 2017-03-22 Tuttoespresso S.r.l. Brewing system with adaptable sealing element
EP2892825B1 (en) * 2012-09-05 2017-05-10 Nestec S.A. A beverage capsule with safety feature
KR20150140737A (ko) 2013-04-11 2015-12-16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식품 제조 캡슐
CH708662A1 (de) * 2013-10-04 2015-04-15 Delica Ag Kapsel und System zur Zubereit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0461A1 (en) 2004-09-17 2006-03-23 Tuttoespresso S.P.A. Disposable capsule for drinks
JP2012530522A (ja) 2009-06-17 2012-12-06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所定量の飲料を作るためのシステム、カプセル及び方法
JP2015529485A (ja) 2012-07-16 2015-10-08 トゥットエスプレッソ エス.アール.エル. 飲料供給用のカプセル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7574B1 (en) 2023-06-07
CN108602614B (zh) 2020-01-10
WO2017114970A1 (en) 2017-07-06
CN108602614A (zh) 2018-09-28
KR20180100360A (ko) 2018-09-10
AU2017204680B2 (en) 2022-03-24
JP6995046B2 (ja) 2022-01-14
EP3397574C0 (en) 2023-06-07
AU2017204680A1 (en) 2018-07-12
BR112018013419A2 (pt) 2018-12-11
BR112018013419B1 (pt) 2022-09-06
EP3397574A1 (en) 2018-11-07
CA3009284A1 (en) 2017-07-06
RU2018127746A (ru) 2020-02-03
US11027913B2 (en) 2021-06-08
US20190016527A1 (en) 2019-01-17
JP2019506199A (ja)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867B1 (ko) 캡슐, 및 상기 캡슐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캡을 포함하는 캡슐 조립체
EP3237307B1 (en) Capsule for producing beverages
DK2590876T3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from a food preparation machine
EP2941392B1 (en) Capsule for beverages
EP3116804B1 (en)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MX2008010975A (es) Capsula con ingrediente para bebida y metodo de produccion de bebida con base en la capsula.
CN113413063A (zh) 饮料制备系统及胶囊
US12065304B2 (en) Capsule system seatable within a cartridge for a beverage machine
WO2018020391A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having an easily perforable bottom
HK1262470B (en) A capsule assembly comprising a capsule and a conveyor cap configured to open said capsule
HK1262470A1 (en) A capsule assembly comprising a capsule and a conveyor cap configured to open said capsule
HK1166046B (en) A capsule for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from a food prepara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