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51441B1 - 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 Google Patents

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441B1
KR102651441B1 KR1020210178637A KR20210178637A KR102651441B1 KR 102651441 B1 KR102651441 B1 KR 102651441B1 KR 1020210178637 A KR1020210178637 A KR 1020210178637A KR 20210178637 A KR20210178637 A KR 20210178637A KR 102651441 B1 KR102651441 B1 KR 102651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wheels
plate
roller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9888A (en
Inventor
김남욱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Priority to KR102021017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441B1/en
Publication of KR2023008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8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44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컨베이어프레임을 연결하여 장착된 컨베이어롤러 아래에 배치되어 승강하면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디버터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롤러들 사이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이송휠, 이 이송휠이 장착된 고정브라켓과, 일부 이송휠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링을 매개로 일부 이송휠과 연결된 회전축을 구비한 이송수단; 고정브라켓과 이송휠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고,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면서 고장율이 낮아 유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verter that is disposed under conveyor rollers mounted by connecting two conveyor frames and moves cargo while lifting. I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wheel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between conveyor rollers, and a fixed unit on which these transfer wheels are mounted. A conveying means including a bracket and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some of the conveying wheels via a driving ring to rotate some of the conveying wheels; By including a fixing bracket and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transfer wheel,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reducing installation costs, enabling accurate operation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due to a low failure rate.

Figure R1020210178637
Figure R1020210178637

Description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본 발명은 디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승강플레이트가 적층되고, 모터 또는 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전후 이동하면서 승강플레이트가 승강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면서 제작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verter, and more specifically, a base plate, a sliding plate, and a lifting plate are stacked, and the sliding plate moves back and forth by a motor or cylinder to raise and lower the lifting plate, 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This relates to a diverter that has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to lifting movement, making it easy to operate and reducing production costs.

일반적으로 물류 창고, 택배회사 등 물류를 다루는 현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물품을 연속적으로 이송 및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 벨트, 체인 또는 롤러를 이용한 컨베이어장치가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conveyor devices using belts, chains, or rollers are used as devices for continuously transporting and transporting various types of goods in logistics fields such as warehouses and delivery companies.

여기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해 롤러식 컨베이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물품 분류를 위한 위치의 컨베이어롤러들 아래에 디버터가 배치되고, 이 디버터의 이송휠들이 컨베이어롤러들 사이를 승강하면서 물품의 이송 방향을 다른 각도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when using a roller-type conveyor device to sort goods, a diverter is placed below the conveyor rollers at the position for sorting goods, and the transfer wheels of this diverter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conveyor rollers to chang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goods. It can be configured to switch to a different angle.

일례로, 디버터는 승강하는 승강장치와, 승강장치에 장착된 다수의 휠들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디버터 위에 물품이 진입하면 다수의 휠이 승강플레이트에 의해 상승하면서 회전함으로써, 물품이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verter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that moves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on the lifting device. Therefore, when an article enters the diverter, the plurality of wheels rise and rotate by the lifting plate, so that the article can be diverted to a different direction and discharged.

하지만, 종래의 디버터는 일렬 배치된 휠들 틈새로 운반물의 모서리, 또는 플라스틱 용기의 하면의 돌출 리브 등이 걸려 작업이 중단되고, 장시간 운행으로 휠들이 흔들리거나 휠들이 장착된 승강플레이트가 흔들려 인접한 컨베이어롤러에 간섭되어 고장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와 더불어, 구조 및 설치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아 제작 비용이 높으며, 고장율이 높아 유지 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verter, the edge of the transported object or the protruding rib on the bottom of the plastic container gets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wheels arranged in a row, causing work to be stopped, and the wheels are shaken due to long-term operation, or the lifting plate on which the wheels are mounted is shaken, causing damage to the adjacent conveyor. Failure occurred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roller.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such as complex structure and installation, high manufacturing costs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and high maintenance costs due to a high failure ra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0526호(2005.10.11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20526 (announced on October 11, 20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8041호(2011.11.30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88041 (announced on November 30, 2011)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플레이트 위를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에 의해 승강플레이트가 승강하게 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된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a lifting movement,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install, by allowing the lifting plate to be raised and lowered by a sliding plate that moves back and forth on the base plate. To provide a diverter having.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휠들이 짝을 이루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링 또는 구동링에 감기고, 구동링에 감긴 일부 이송휠이 회전하면 모든 이송휠이 함께 회전하도록 된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form the reciprocating movement into a lifting movement in which the transfer wheels are paired and wound around a connecting ring or a driving ring in a zigzag form, and when some of the transfer wheels wound around the driving ring rotate, all the transfer wheels rotate together. The aim is to provide a diverter with a structure.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는 양측 컨베이어프레임을 연결하여 장착된 컨베이어롤러 아래에 배치되어 승강하면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디버터에서, 컨베이어롤러들 사이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이송휠, 이 이송휠이 장착된 고정브라켓과, 일부 이송휠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링을 매개로 일부 이송휠과 연결된 회전축을 구비한 이송수단; 고정브라켓과 이송휠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the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is a diverter that is placed under a conveyor roller installed by connecting both conveyor frames and moves the cargo while lifting, the conveyor A conveying means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ying wheels disposed adjacently between rollers, a fixing bracket on which the conveying wheels are mounted, and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some of the conveying wheels through a driving ring to rotate some of the conveying wheels; It may include;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fixing bracket and the transfer wheel.

여기서, 일례로 승강수단은 양측 컨베이어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평판형상이고, 중앙부에 가공된 관통홀과, 관통홀 주변에 가공된 다수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for example, the lifting means has a flat plate shape fixed by connecting the lower parts of both conveyor frames, and may be provided with a bas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machin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machined around the through hole.

또,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상향 굴절되어 만들어진 가이드플랜지, 이 가이드플랜지의 전, 후부에 장착된 슬라이딩롤러, 가이드플랜지에 측면상 상하의 사선으로 가공된 승강안내홀, 중앙부에 상향 볼록하게 부착되고 상면에 슬라이딩롤러장착홀이 좌우로 길게 가공된 고정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flange is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placed on the base plate, and the left and right edges are bent upward, sliding rollers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flange, and a lifting guide hole is machined in diagonal lines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guide flange. , a slid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ixed cover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to be convex upward and hav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s machin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urface.

또, 슬라이딩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하방 굴절되어 만들어진 장착부, 장착부에 설치되면서 승강안내홀에 장착된 승강롤러와, 전후부에서 하방 돌출되고 회전축의 양측단이 장착되도록 회전축체결홀이 가공된 축결합부를 구비하고, 고정브라켓이 상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has a flat shape placed on the sliding plate, and has a mounting part made by bending the left and right edges downward, a lifting roller installed in the mounting part and mounted in a lifting guide hole, and a lifting roller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ront and back and i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It may be provided with a shaft coupling portion in which a rotating shaft fastening hole is machined, and a lifting plate with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upper surface.

또,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홀을 통해 고정되고 관통홀을 통해 중심회전축이 관통되어 장착되는 구동모터, 중심회전축에 장착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의 고정커버에 수용되는 편심체와, 편심체에 장착되어 중심회전축에 대해 편심 회전하고 슬라이딩롤러장착홀에 장착되는 편심회전롤러를 구비한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rive motor that is fixed through a fixing hole in the base plate and installed with the central rotation axis penetrating through a through hole, an eccentric body mounted on the central rotation shaft and accommodated in the fixing cover of the sliding plate, and an eccentric body mounted on the eccentric body and mounted on the central rotation shaft. A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eccentric rotating roller that rotates eccentrically and is mounted in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한편, 다른 예로, 승강수단은 양측 컨베이어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평판형상이고,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고정편을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lifting means may have a flat plate shape fixed by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both conveyor frames, and may be provided with a base plate having an upwardly protruding fixing piece in the center.

또,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상향 굴절되어 만들어진 가이드플랜지, 이 가이드플랜지의 전, 후부에 장착된 슬라이딩롤러, 가이드플랜지에 측면상 상하의 사선으로 가공된 승강안내홀,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체결편과, 이 체결편에 인접하여 가공된 통과홀을 구비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flange is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placed on the base plate, and the left and right edges are bent upward, sliding rollers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flange, and a lifting guide hole is machined in diagonal lines up and down on the side of the guide flange. , may be provided with a sliding plate having an upwardly protruding fastening piece in the center and a through hole machined adjacent to the fastening piece.

또, 슬라이딩플레이트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하방 굴절되어 만들어진 장착부, 장착부에 설치되면서 승강안내홀에 장착된 승강롤러와, 전후부에 하방 돌출되고 회전축의 양측단이 장착되는 회전축체결홀이 가공된 축결합부를 구비하고, 고정브라켓이 상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has a flat shape placed on the sliding plate, and has a mounting part made by bending the left and right edges downward, a lifting roller installed in the mounting part and mounted in a lifting guide hole, and a lifting roller that protrudes downward on the front and rear parts and is equipped with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It may be provided with a shaft coupling portion in which a rotating shaft fastening hole is machined, and a lifting plate with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upper surface.

또, 고정편에 후부가 고정되고, 통과홀을 통과하여 체결편에 로드가 장착된 실린더를 구비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r part may be fixed to the fixing piece, and a driving part including a cylinder with a rod mounted on the fastening piece tha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는 중앙 부근에서 4측 모서리측으로 절개되어 선단부가 승강하도록 가공된 절개부를 더 구비하고, 승강플레이트는 장착부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굴절되고, 절개부의 선단 부위에 놓이는 받침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승강플레이트가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승강할 때, 절개부의 선단 부위가 탄성으로 오르내리면서 받침부와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Here, the base plate further includes a cut portion that is cut from near the center toward the four corners and processed to elevate the distal end, and the lifting plate is bent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portion placed o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ut portion, When the lifting plate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the tip portion of the cut portion can be elastically raised and lowered to mainta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또, 승강롤러는 구름면이 오목하게 가공되고, 승강안내홀은 상부의 지름이 나머지 부위의 지름보다 넓게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롤러는 승강안내홀의 지름이 넓은 부위를 통해 삽입된 후 나머지 부위에 오목한 구름면이 끼워지고, 나머지 부위의 범위에서 구름운동하게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ting roller may have a concave rolling surface, and the upper diameter of the lifting guide hole may be processed to be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maining portion. Accordingly, the lifting roller can be inserted through the wide-diameter portion of the lifting guide hole, then a concave rolling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remaining portion, and the lifting roller can roll in the remaining portion.

또, 승강플레이트의 축결합부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축의 양단부가 장착되는 구동축체결홀이 더 가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rive shaft fastening hole into which both ends of a drive shaft install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re mounted may be further processed in the shaft coupling portion of the lifting plate.

한편, 이송수단은 컨베이어 롤러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렬로 배치되면서 연결링으로 연결된 다수의 이송휠, 이 이송휠들 중 일부 이송휠과 구동링으로 연결된 구동휠, 이 구동휠이 장착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transport means is located between the conveyor rollers and arranged in a row, a plurality of transport wheels connected by connecting rings, a drive wheel connected to some of these transport wheels with a drive ring, and a rotating shaft on which the drive wheel is mounted. It may include a drive shaft installed to do so.

여기서, 대부분의 이송휠의 외연에 연결링이 2열로 감기고, 이때 이웃한 이송휠들이 각각 쌍을 이루게 하여 1번째 열에 연결링이 감기며, 각기 다른 쌍의 이송휠들을 연결하여 2번째 열에 연결링이 감김으로써, 모든 이송휠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구동휠과 일부 이송휠의 1번째 열에 구동링이 감기고, 일부 이송휠과 다른 이송휠의 2번째 열에 연결링이 감기게 되어 구동휠의 회전력이 일부 이송휠에 전달되며, 구동휠이 회전하면 구동링에 의해 일부 이송휠이 회전하고, 일부 이송휠이 회전하면 연결링에 의해 나머지 이송휠들이 회전하게 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ng ring is wound in two rows around the outer edge of most of the conveying wheels, and at this time, neighboring conveying wheels are each paired, and the connecting ring is wound on the first row, and the connecting ring is wound on the second row by connecting different pairs of conveying wheels. Through this winding,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all transport wheels, and the driving ring is wound around the first row of the drive wheels and some transport wheels, and the connecting ring is wound around the second row of some transport wheels and other transport wheels,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wheels is It is transmitted to some of the transport wheels, and when the drive wheels rotate, some of the transport wheels are rotated by the driving ring, and when some of the transport wheels rotate, the remaining transport wheels can be rotated by the connecting ring.

또한, 이송휠은 외연에 2열로 가공되어 연결링 또는 구동링이 감기는 장착홈을 구비하고, 장착홈들에 의해 돌출된 3개 휠프레임탑들 중 이웃한 2개의 휠프레임탑의 외연 일부위가 평평하게 가공되고, 이웃한 이송휠들이 휠프레임탑의 평평하게 가공된 일부위가 마주하게 배치되고, 이로 인해 넓어진 틈새로 연결링 또는 구동링이 통과하여 장착홈에 끼워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wheel is machined in two rows on the outer edge and has mounting grooves around which the connecting ring or driving ring is wound, and is located on a portion of the outer edge of two neighboring wheel frame towers among the three wheel frame towers protruding by the mounting grooves. is machined flat, and adjacent transport wheels are arranged so that the flatly machined portions of the wheel frame top face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connecting ring or driving ring can pass through the widened gap and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또한, 이송수단은 "ㄴ"자 형상인 고정브라켓, 이 고정브라켓의 수직면에 일렬로 돌출 고정된 고정너트, 이 고정너트의 선단 부위에 끼워진 와셔, 이송휠의 내부에 장착된 휠베어링과, 이 휠베어링을 관통하여 이송휠과 함께 고정너트의 선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고정볼트의 머리와 와셔 사이에 이송휠의 휠베어링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includes an "ㄴ" shaped fixing bracket, a fixing nut protruding and fixed in a row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a washer fitted into the tip of the fixing nut, a wheel bearing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transfer wheel, and A fixing bolt that penetrates the wheel bearing and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fixing nut along with the transfer wheel may be further provided. Therefore, the wheel bearing of the transfer wheel can be fixed between the head of the fixing bolt and the washer.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배치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구동부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 승강롤러에 의해 승강플레이트가 승강하게 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고,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면서 고장율이 낮아 유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plate placed on the base plate moves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unit, the lifting plate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roller, so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reducing installation costs and ensuring accurate operation. While this is possible, the failure rate is low,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maintenance costs.

그리고 이송휠들이 짝을 이루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링 또는 구동링에 감기고, 구동링에 감긴 일부 이송휠이 회전하면 모든 이송휠이 함께 회전하도록 된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wheels are paired and wound around the connecting ring or driving ring in a zigzag shape, and when some of the transfer wheels wound around the drive ring rotate, all the transfer wheels rotate together, and a divert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an upward movement. It is provided.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가 롤러 컨베이어장치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수단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수단의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링과 구동링의 장착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승강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구동모터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플레이트와 구동모터의 작동 관계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승강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서, 실린더를 구비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베이스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a와 도 15b는 도 13에 도시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도 13에 도시된 승강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과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승강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uch.
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roller conveyor device.
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with a drive motor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ransport means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means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ring and driving ring shown in Figure 3.
FIGS. 6A and 6B are diagrams showing the base plate shown in FIG. 2.
FIGS.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the sliding plate shown in FIG. 2.
FIGS. 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the lifting plate shown in FIG. 2.
Figure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rive motor shown in Figure 2.
Figure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ing plate and the driving motor shown in Figure 2.
Figures 11 and 12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ure 2.
Figure 1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with a cylinder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A and 14B are diagrams showing the base plate shown in FIG. 13.
Figures 15a and 15b are views showing the sliding plate shown in Figure 13.
Figures 16a and 16b are diagrams showing the lifting plate shown in Figure 13.
Figures 17 and 18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ing device shown in Figure 11.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among the configurations mentioned in various embodiments, similar configurations and related configurations in each embodiment may be replaced, replaced, or added. However, when explain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구비한 디버터(D)는 도 1에서와같이, 직선 방향으로 운반물을 이송하도록 설치된 롤러 컨베이어장치(R)들이 교차하는 부위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디버터(D)는 이송휠(110)이 컨베이어롤러(C)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되고, 필요시 운반물(A)을 직선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전환시켜 이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송휠(110)은 컨베이어롤러(C)들 사이마다 배치되거나, 롤러(C)들 사이를 일정 패턴으로 1칸 또는 2칸씩 띄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컨베이어롤러(C)는 양측에 배치된 컨베이어프레임(RF)을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diverter (D) equipped with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elow the area where the roller conveyor devices (R) installed to transport goods in a straight direction intersect. This diverter (D) is configured so that the transport wheel 110 is located between the conveyor rollers (C) to rise or fall, and can be installed to transfer the transported object (A) by switching it in a direction other than a straight line when necessary. there is. At this time, the transfer wheel 11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conveyor rollers (C), or may be arranged with one or two spaces between the rollers (C) in a certain pattern. Additionally, the conveyor roller (C) can b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conveyor frames (RF) arranged on both sides.

<제1실시 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구동모터를 구비한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는 도 2에서 보듯이, 이송수단(100)과 승강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with a drive motor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includes a transfer means 100 and a lift means 200, as shown in FIG. 2.

먼저, 이송수단(100)은 여기서, 이송수단(100)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듯이, 이송휠(110), 고정브라켓(120), 연결링(130), 구동링(140), 구동휠(150), 회전축(160)과 구동축(170)을 구비할 수 있다. First, the transfer means 100 here, 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transfer means 100 includes a transfer wheel 110, a fixing bracket 120, a connection ring 130, a drive ring 140, and a drive. It may be provided with a wheel 150, a rotation shaft 160, and a drive shaft 170.

여기서, 이송휠(110)은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대략 'ㄴ'자 형상의 고정브라켓(120)의 수직 면에 일렬로 다수 배치되고, 이웃한 이송휠(110)들끼리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이 감겨 연결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링(130) 및 구동링(140)은 지그재그 형태로 감겨 설치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 이송휠(110)은 도 4에서처럼 외연에 2열로 장착홈(111)이 가공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 number of transport wheels 110 are arranged in a row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approximately 'ㄴ' shaped fixing bracket 120, and a connecting ring ( 130) or the driving ring 140 may be wound and connecte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ring 130 and the driving ring 140 are wound and installed in a zigzag shap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ly, the transfer wheel 110 may have mounting grooves 111 machined in two rows on its outer edge as shown in FIG. 4 .

이 이송휠(110)은 도 4에서처럼 이웃한 이송휠(110)들 간의 가격을 최대한 좁혀 틈새를 최소로 함으로써, 이송하는 운반물의 모서리 또는 하면의 돌출 리브 등이 틈새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송휠(110)들 간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을 끼우기 위한 간격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이송휠(110)의 외연 일부위가 직선으로 평평하게 가공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송휠(110)은 도 4에서처럼 2열의 장착홈(111)이 가공되면서 성형된 3개의 휠프레임탑(112) 중 고정브라켓(120) 반대측 2개의 휠프레임탑(112)의 일부위 높이가 나머지 1개의 휠프레임탑(112)보다 낮게 가공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윗쪽 확대도에서 이송휠(110)들이 서로 마주하는 부위가 평평하게 가공되어 있듯이, 2개의 휠프레임탑(112)에서 일부위만 평평하게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한 2개의 이송휠(110)들은 회전하여 높이가 낮은 2개의 휠프레임탑(112)을 마주보게 되면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휠(110)에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이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is transfer wheel 110 minimizes the gap between adjacent transfer wheels 110 as much as possible, thereby preventing the edges of the transported object or the protruding ribs on the bottom from getting caught in the gap. At this time, if the gap between the transport wheels 110 is narrowed, the gap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ring 130 or the driving ring 140 may not be guaranteed. Considering this, a portion of the outer edge of the transfer wheel 110 may be processed to be straight and flat.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transfer wheel 110 is formed by processing two rows of mounting grooves 111 as shown in FIG. The height of a portion of the wheel frame top 112 may be processed to be lower than the remaining wheel frame top 112. That is, just as the portions where the transport wheels 110 face each other in the enlarged upper view of FIG. 4 are machined flat, only some portions of the two wheel frame tops 112 can be machined flat. Therefore, when the two neighboring transport wheels 110 rotate to face the two low-height wheel frame tops 112, a gap can be provided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ring 130 or driving ring 140 can pass. there is. Through this, the connecting ring 130 or the driving ring 140 can be mounted on the transfer wheel 110.

그리고 이송휠(110)은 중앙에 휠베어링(113)이 장착되고, 고정브라켓(120)의 수직면에 일렬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고정브라켓(120)에 일렬로 고정된 고정너트(114)에 와셔(116)가 끼워지고, 휠베어링(113)을 관통한 고정볼트(115)가 고정너트(114)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너트(114)와 와셔(116)는 고정브라켓(120)을 가운데에 두고 휠베어링(113)의 양측면을 단단히 조이게 되므로 이송휠(110)의 흔들림 또는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휠(110)은 도 3에서처럼 컨베이어롤러(C)들 사이의 협소한 틈새에 배치되어 승강되어도 컨베이어롤러(C)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wheel 110 has a wheel bearing 113 mounted at the center and can be rotatably fastened in a line to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120. Looking at this fastening structure, the washer 116 is inserted into the fixing nut 114 fixed in line to the fixing bracket 120, and the fixing bolt 115 penetrating the wheel bearing 113 is attached to the fixing nut 114. can be concluded. At this time, the fixing nut 114 and washer 116 tightly tighten both sides of the wheel bearing 113 with the fixing bracket 120 in the center, thereby preventing the transfer wheel 110 from shaking or shaking. Accordingly, the transfer wheel 110 can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nveyor rollers (C) even if it is placed in a narrow gap between the conveyor rollers (C) and is lifted as shown in FIG. 3.

또, 도 5에서 보듯이, 다수의 이송휠(110) 중 일부 이송휠(110)은 구동링(140)을 매개로 구동휠(150)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이송휠(110)은 이웃한 이송휠(110)들끼리 짝을 이루어 연결링(130)을 매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1개의 이송휠(110)에는 2개의 장착홈(111)에 각각 연결링(130) 및/또는 구동링(140)이 감길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som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wheels 110 are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 wheel 150 via the drive ring 140, and the remaining transfer wheels 110 are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 wheel 150. Adjacent transfer wheels 110 may be installed in pairs to rotate together via the connecting ring 13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ring 130 or the driving ring 140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That is, one transport wheel 110 may have a connecting ring 130 and/or a driving ring 140 wrapped around two mounting grooves 111, respectively.

이에 대해 일례로, 이들 이송휠(110), 연결링(130) 및 구동링(140)의 연결 구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송휠(110) 중 대부분의 이송휠(110)과 연결링(130)의 연결구조는, 제1이송휠(110a)과 제2이송휠(110b)은 1번째 열의 장착홈(111)에 감긴 연결링(130)에 의해 연결되고, 제2이송휠(110b)과 제3이송휠(110c)은 2번째 열의 장착홈(111)에 감긴 다른 연결링(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 제3이송휠(110c)과 제4이송휠(110d)은 1번째 열의 장착홈(111)에 구동링(140)이 감기고, 제4이송휠(110d)과 제5이송휠(110e)은 2번째 열의 장착홈(111)에 연결링(130)이 감겨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이송휠(110c)과 제4이송휠(110d)를 제외한 나머지 이송휠(130)들은 이웃한 이송휠(130)들 끼리 연결링(130)으로 감겨 연결될 수 있다. 이렇듯,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이 이송휠(110)에 지그재그 형태로 장착됨으로써, 구동링(140)이 장착된 2개의 이송휠(110)이 회전하면 나머지 이송휠(110)들이 연결링(130)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ransfer wheel 110, the connecting ring 130, and the driving ring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First,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ost of the transfer wheels 110 and the connecting ring 130 is that the first transfer wheel 110a and the second transfer wheel 110b have the first row of mounting grooves 111. It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ring 130 wound around, and the second transfer wheel 110b and the third transfer wheel 110c may be connected by another connecting ring 130 wound around the mounting groove 111 in the second row. In addition, the third transfer wheel (110c) and the fourth transfer wheel (110d) have a driving ring 140 wound around the first row of mounting grooves 111, and the fourth transfer wheel (110d) and the fifth transfer wheel (110e) Can be connected by wrapping the connecting ring 130 around the mounting groove 111 in the second row. In addition, the remaining transfer wheels 130, excluding the third transfer wheel 110c and the fourth transfer wheel 110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rapping the neighboring transfer wheels 130 with the connecting ring 130. In this way, the connecting ring 130 or the driving ring 140 is mounted on the transport wheel 110 in a zigzag shape, so that when the two transport wheels 110 equipped with the driving ring 140 rotate, the remaining transport wheels 110 They can rotate together by the connecting ring 130.

또한, 고정브라켓(120)은 도 4에서 보듯이 대략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이 고정브라켓(120)의 수직면에는 이송휠(110)이 장착되는 고정너트(114)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수평면에는 도 4에서처럼 상측의 이송휠(110)과 하측의 구동휠(150)을 연결하는 구동링(140)이 통과하도록 가공된 구동링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 고정브라켓(120)의 수평면에는 승강플레이트(230)의 상면에 고정되기 위한 홀이 다수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너트(114)는 블라인드 너트일 수 있다. 이외에 고정브라켓(120)은 승강플레이트(23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 고정브라켓(120)은 이송휠(110)을 포함한 하중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직면이 수평면에서 예각 또는 둔각의 경사 부위와, 이 경사부의 끝에서 다시 수직의 수직 부위를 갖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fixing bracket 120 may have an approximately “L” shape as shown in FIG. 4 .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is fixing bracket 120, fixing nuts 114 on which the transport wheel 110 is mounted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on the horizontal surface, the upper transport wheel 110 and the lower driving wheel 150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4. A driving ring hole 121 may be provided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driving ring 140 passes. In addition, a number of holes may be machined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120 for fixing i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30. Here, the fixing nut 114 may be a blind nut. 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120 may be fixed to the lifting plate 230 by welding.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load bearing capacity including the transport wheel 110, the fixing bracket 120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in which the vertical surface has an inclined portion at an acute or obtuse angle from the horizontal plane and a vertical portion that is vertical again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there is.

또한, 연결링(130)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이웃한 2개의 이송휠(110)의 장착홈(111)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겨 설치되고, 어느 이송휠(110)의 회전을 다른 이송휠(110)에 전달할 정도의 장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링(130)은 마찰력이 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벨트 또는 기어 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연결링(130)은 이웃한 이송휠(110)들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도 하므로, 운반물의 모서리나 하면의 돌출리브 등이 틈새에 끼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connecting ring 130 is wound and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111 of the two adjacent transport wheels 110 in a zigzag shape, and the rotation of one transport wheel 110 is controlled by the other transport wheel 110. It can have enough tension to transmit to . For this purpose, the connecting ring 130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with high friction, or may be made of a belt or gear.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ring 130 fills the gap between neighboring transport wheels 1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corners of the transported object or protruding ribs on the bottom being caught in the gap.

또한, 구동링(140)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이송휠(110) 중 일부 이송휠(110)과 구동휠(150)에 감겨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링(140)은 고정브라켓(120)의 구동링홀(121)을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링(140)은 구동휠(150)의 회전이 일부 이송휠(110)로 전달되도록 마찰력이 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벨트 또는 기어 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driving ring 140 may be installed wrapped around some of the transport wheels 110 and the drive wheel 150 among the transport wheels 110, as mentioned above. At this time, the driving ring 140 may be disposed through the driving ring hole 121 of the fixing bracket 120. Additionally, the driving ring 140 may be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with high friction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150 is partially transmitted to the transfer wheel 110, and may also be made of a belt or gear.

또한, 구동휠(150)은 승강플레이트(230)의 하면에 고정된 회전축(16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구동휠(150)은 도 3에서처럼 다열의 이송휠(110)에 맞춰 회전축(160)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iving wheel 150 may be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16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30.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drive wheels 150 can be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160 in accordance with the multiple rows of transfer wheels 110.

또한, 회전축(160)은 승강플레이트(230)의 하면에 견고히 고정되고, 구동축(17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otation shaft 160 may be firm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30 and rotated by the driving shaft 170.

그리고 구동축(170)은 회전축(160)의 옆에 나란히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체인 또는 벨트로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축(170)의 동력이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축(160)이 회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rive shaft 17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next to the rotation shaft 160 and interconnected with a plurality of chains or belt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ower of the drive shaft 170 may be transmitted by a chain or belt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60.

한편, 승강수단(200)은 도 2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10), 슬라이딩플레이트(220), 승강플레이트(230)와 구동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lifting means 200 may include a base plate 210, a sliding plate 220, a lifting plate 230, and a driving unit 240.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도 2에서 보듯이, 컨베이어롤러(C)의 양측에 설치된 롤러프레임(RF)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되고, 상측에 슬라이딩플레이트(220)와 승강플레이트(230)가 배치되는 부재이다. 이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도 6a와 도 6b에서처럼 평면상 양측의 롤러프레임(RF)을 연결하여 고정되는 좌우 길이와, 도 1에서처럼 다수의 열로 배치된 이송휠(110)이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전후 길이를 갖는 크기일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대략 사각형상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the base plate 210 is fixed by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roller frame (RF)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roller (C), and a sliding plate 220 and a lifting plate 230 are arranged on the upper side. It is absence. This base plate 210 has a left and right length fixed by connecting the roller frames (RF) on both sides in a plane as shown in FIGS. 6A and 6B, and is long enough to accommodate the transport wheels 110 arranged in multiple rows as shown in FIG. 1. It may be of a size having a front-to-back length of . For example, the base plate 210 may have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이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도 6a와 도 6b에서처럼 평면상 좌우측 테두리에 롤러프레임(RF)의 하부와 볼팅 체결을 위해 가공된 체결구(211), 중앙 부근에 구동모터(241)가 고정되도록 가공된 다수의 고정홀(212), 중앙에 가공된 관통홀(213)과, 중앙 부위에서 4측 모서리측으로 가공된 절개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is base plate 210 has fasteners 211 processed for bolting with the lower part of the roller frame (RF) on the left and right edges in a plan view, and a drive motor 241 processed to be fixed near the center.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12, a through hole 213 machined in the center, and a cut portion 214 machined from the center to the four corners.

이때, 절개부(214)의 선단 부위는 도 11 또는 도 12에서처럼 승강플레이트(230)의 받침부(232)가 놓여 체결되고, 승강플레이트(230)가 승강하는 동안 받침부(232)와 함께 절개부(210)가 탄성으로 오르락내리락하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받침부(232)와 절개부(210)의 체결로 슬라이딩플레이트(230)의 승강이 자유로운 대신 승강 이외의 방향 즉,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한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절개부(214)의 대략 'v'자 형상은 절개선을 길게 하여 절개부(214)의 반복적인 탄성 승강에 파단되지 않도록 가해지는 압력이 최대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절개선 길이를 짧게 하여 절개부(214)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반복적인 탄성 승강에 의한 파단 가능성이 점점 높아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l end of the cut portion 214 is fastened to the support portion 232 of the lifting plate 230 as shown in Figure 11 or 12, and is cut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232 while the lifting plate 230 is lifted. The part 210 may rise and fall elastically. Due to this, by fastening the support portion 232 and the cutout portion 210, the sliding plate 230 can be freely raised and lowered, but positional deviation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raised and lowered portion, i.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roughly 'v' shape of the incision 214 is intended to lengthen the incision line and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cision 214 as much as possible so as not to break it due to repeated elastic lifting and lowering. In other words, as the length of the incision section 214 becomes shorter, the possibility of fracture due to repetitive elastic lifting may increase.

슬라이딩플레이트(220)는 도 2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왕복 이동하는 부재이다. 이 슬라이딩플레이트(220)는 도 7a와 도 7b에서 보듯이, 평면상 대략 베이스플레이트(210) 위에서 일정 거리만큼 왕복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일례로 대략 사각형상일 수 있다. 또, 슬라이딩플레이트(220)는 정면상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가 상향으로 굴절되어 가공된 가이드플랜지(221), 좌측면상 가이드플랜지(221)의 전부와 후부에 상하의 사선으로 가공된 승강안내홀(222), 좌측면상 가이드플랜지(221)의 승강안내홀(222) 근처에 장착된 슬라이딩롤러(223)와, 정면상 중앙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가공된 고정커버(224)와, 고정커버(224) 아래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가공된 슬라이딩안내홀(225)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sliding plate 220 is a member that reciprocat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sliding plate 220 is large enough to move approximately a certain distance on the base plate 210 in plan,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sliding plate 220 has a guide flange 221 in which the left and right parts on the front are bent upward and machined, and a lifting guide hole 222 machined in an upper and lower diagonal line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flange 221 on the left side. ), a sliding roller 223 mounted near the lifting guide hole 222 of the guide flange 221 on the left side, a fixed cover 224 processed to be convex upward in the center of the front view, and below the fixed cover 224 It may be provided with a sliding guide hole (225) machined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여기서, 승강안내홀(222)은 도 11과 도 12에서 보듯이, 일례로 우상향의 사선으로 가공되고, 승강플레이트(230)의 승강롤러(233)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승강안내홀(222)은 상부의 지름(r1)이 나머지 부위의 지름(r2)보다 넓게 가공되고, 이 넓은 지름(r1)을 통해 삽입된 후 나머지 부위에 승강롤러(233)의 오목한 구름면(F)이 걸쳐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는 동안 승강롤러(233)가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으로써, 승강플레이트(230)가 승강하게 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lifting guide hole 222 is, for example, machined diagonally upward to the right, and the lifting roller 233 of the lifting plate 230 can be mounted. The upper diameter (r1) of this lifting guide hole (222) is processed to be wid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remaining part, and after being inserted through this wider diameter (r1), the concave rolling surface of the lifting roller (233) is formed in the remaining part. (F) can be installed so that it hangs over. Accordingly, while the sliding plate 220 reciprocates, the lifting roller 233 rises or falls along the lifting guide hole 222, thereby allowing the lifting plate 230 to go up and down.

또, 슬라이딩롤러(223)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놓이고,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는 동안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liding roller 223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and can perform a rolling motion while the sliding plate 220 moves back and forth.

또, 고정커버(224)는 정면상 상면에 좌우로 길게 가공된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고정커버(224)에는 구동모터(241)의 편심체(243)가 위치되고,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에는 정면상 아래에 위치한 구동모터(241)의 편심회전롤러(244)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은 도 7a와 도 7b에서 보듯이, 일측 부위의 지름(r1)이 나머지 부위의 지름(r2)보다 더 넓게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지름(r1)을 통해 편심회전롤러(244)가 끼워진 후 나머지 부위로 옮겨짐으로써,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에 편심회전롤러(244)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을 사이에 두고 편심회전롤러(244)가 조립 및 장착될 수도 있다. 또, 편심회전롤러(244)는 승강롤러(233)처럼 구름면이 오목하게 가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ed cover 224 may be provided with sliding roller mounting holes 224a that are long and machined left and right on the front upper surface. The eccentric body 243 of the drive motor 241 is located in this fixed cover 224, and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of the drive motor 241 located below the front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You can. Here,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may be processed so that the diameter (r1) of one part is wid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remaining part. Therefore,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can be installed in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by inserting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through the wide diameter r1 and then moving it to the remaining area. In addition,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may be assembled and mounted across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In addition,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can be processed to have a concave rolling surface like the lifting roller 233.

그리고 슬라이딩안내홀(225)은 대략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과 직교 방향 즉, 슬라이딩플레이트(220)의 전후 이동방향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회전롤러(244)가 편심 회전하는 동안 슬라이딩안내홀(225)에 의해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liding guide hole 225 may be machined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that is, in the forward/backward movement direction of the sliding plate 220. Therefore, while the eccentric rotation roller 244 rotates eccentrically, positional deviation can be prevented by the sliding guide hole 225.

그러므로 도 10에서처럼 편심체(243) 및 편심회전롤러(244)가 편심 회전하면서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이 가공된 고정커버(224)를 전후로 밀거나 당겨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전후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0, the eccentric body 243 and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rotate eccentrically and push or pull the fixed cover 224 on which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is machin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sliding plate 220 reciprocates back and forth. do.

승강플레이트(230)는 도 2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20)에 장착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는 동안 승강하는 부재이다. 이 승강플레이트(230)는 도 2 및 도 8a와 도 8b에서처럼, 상면에 이송휠(110) 및 고정브라켓(12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플레이트(230)는 정면상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이면서 전, 후측의 일부위가 하방 굴절되어 가공된 장착부(231), 장착부(23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굴절되어 가공된 받침부(232), 장착부(231)에 장착된 승강롤러(233)와, 정면상 중앙 부근에서 하방 굴절되어 전후측면에 가공된 한 쌍의 축결합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lifting plate 230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220 and is a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while the sliding plate 220 moves back and forth. This lifting plate 230 may be equipped with a transfer wheel 110 and a fixing bracket 120 on its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S. 2 and 8A and 8B. This lifting plate 230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front,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31 that is processed by bend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downward, and a support portion 232 that is processed by b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mounting portion 231. , It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roller 233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31 and a pair of shaft coupling portions 234 that are bent downward near the center of the front view and machin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여기서, 장착부(231)에는 승강롤러(233)가 장착될 수 있다. Here, a lifting roller 233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31.

또, 승강롤러(233)는 구름면(F)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름면(F)의 오목한 부위가 슬라이딩플레이트(220)의 승강안내홀(222)의 테두리에 걸쳐짐으로써, 승강롤러(233)가 승강안내홀(2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고, 오목한 부위가 승강안내홀(222)의 일부 테두리에 접촉되어 승강롤러(233)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전후 이동하면 승강롤러(233)가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플레이트(230) 역시 승강하게 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ifting roller 233 may have a concave rolling surface (F). As a result, the concave part of the rolling surface (F) hangs over the edge of the lifting guide hole 222 of the sliding plate 220, preventing the lifting roller 233 from being separated while mounted in the lifting guiding hole 222. And, the concave portion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lifting guide hole 222 to rotate the lifting roller 233. And when the sliding plate 220 moves back and forth, the lifting roller 233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ifting guide hole 222, and the lifting plate 230 may also move up and down.

또, 축결합부(234)에는 도 8a에서처럼 구동축(170)의 양단부가 장착되는 구동축체결홀(234a)과, 회전축(160)의 양단부가 장착되는 회전축체결홀(234b)이 가공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160)이 구동축(170) 대신 별도의 모터로 구동되는 경우, 구동축체결홀(234a)이 배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ft coupling portion 234 may be machined with a drive shaft fastening hole 234a into which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170 are mounted, and a rotation shaft fastening hole 234b into which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160 are mounted, as shown in FIG. 8A. Here, when the rotation shaft 160 is driven by a separate motor instead of the drive shaft 170, the drive shaft fastening hole 234a can be excluded.

그리고 받침부(232)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절개부(214)의 선단 부위에 얹혀져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플레이트(230)의 승강이 가능한 반면,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대해 승강플레이트(230)의 승강 이외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support portion 232 may be fastened to the tip of the cutout portion 214 of the base plate 210. Accordingly, while the lifting plate 230 can be raised and lowered, deviation of the lifting plate 230 from the base plate 210 in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other than the lifting and lowering can be prevented.

구동부(240)는 도 9에서 보듯이, 구동모터(241), 구동모터(241)에 의해 회전하는 중심회전축(242), 중심회전축(242)에 장착된 편심체(243)와, 이 편심체(243)에 장착되어 중심회전축(242)에 대해 편심으로 회전하는 편심회전롤러(244)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drive unit 240 includes a drive motor 241, a central rotation shaft 242 rotated by the drive motor 241, an eccentric body 243 mounted on the central rotation shaft 242, and this eccentric body. It may be provided with an eccentric rotation roller 244 that is mounted on (243) and rotates eccentrically about the central rotation axis 242.

이때, 편심회전롤러(244)는 구름면(F)이 대략 오목하게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구름면(F)의 오목한 부위에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이 걸쳐짐으로써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 편심회전롤러(244)가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에 장착된 상태에서, 편심회전롤러(244)의 오목한 부위가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의 일부 테두리에 접촉되어 편심회전롤러(244)가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또,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은 승강안내홀(222)처럼 일부위의 지름이 나머지 부위의 지름보다 넓게 가공되고, 넓은 지름을 통해 편심회전롤러(244)가 삽입되어 나머지 부위에 구름면(F)의 오목한 부위가 걸쳐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lling surface (F) of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may be processed to be approximately concave. Accordingly, the mounted state can be maintained by covering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over the concave portion of the rolling surface F. In addition, when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is mounted on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the concave portion of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thereby causing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 may be rotated. In addition,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like the lifting guide hole 222, is machined so that the diameter of some parts i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maining parts, and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is inserted through the wide diameter to create a rolling surface ( The concave part of F) can be stretched.

여기서, 도 2, 도 6a 내지 도 7b와, 도 9에서 보듯이, 구동모터(241)는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홀(212)을 통해 고정되고, 중심회전축(242)이 관통홀(213)을 관통한 상태에서 편심체(243)가 슬라이딩플레이트(220)의 고정커버(224)에 수용되며, 편심회전롤러(244)가 고정커버(224)의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에 장착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S. 2, 6A to 7B, and FIG. 9, the drive motor 241 is fixed to the base plate 210 through the fixing hole 212, and the central rotation axis 242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213. ), the eccentric body 243 is accommodated in the fixed cover 224 of the sliding plate 220, and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is installed in the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4a of the fixed cover 224. You can.

<작동><Operation>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동모터(241)를 동력원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using the drive motor 241 as a power sour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먼저, 도 11에서처럼 승강플레이트(230)가 하강한 최초의 위치에서는 도 10에서처럼 슬라이딩장착홀(224a)에 장착된 편심회전롤러(244)가 슬라이딩안내홀(225)의 6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롤러(233)는 승강안내홀(222)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First, at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lifting plate 230 is lowered as shown in FIG. 11, the eccentric rotating roller 244 mounted on the sliding mounting hole 224a as shown in FIG. 10 can be positioned at the 6 o'clock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 hole 225. there is. At this time, the lifting roller 233 may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guide hole 222.

다음으로, 구동모터(241)가 작동하면 도 10에서 보듯이 편심회전롤러(244)가 회전하여 슬라이딩안내홀(225)의 12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220)를 전방으로 밀게 될 수 있다. 이때, 도 12에서처럼 슬라이딩롤러(223)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승강롤러(233)가 상승하면서 승강플레이트(230)가 함께 상승하게 될 수 있다. Next, when the drive motor 241 operates, as shown in FIG. 10, the eccentric rotation roller 244 rotates and is positioned at the 12 o'clock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 hole 225, pushing the sliding plate 220 forward. there i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2, the sliding plate 220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10 by the sliding roller 223, and the lifting roller 233 rises along the lifting guide hole 222 to raise the lifting plate ( 230) may rise together.

끝으로, 다시 편심회전롤러(244)가 회전하여 슬라이딩안내홀(225)의 6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서 슬리이딩플레이트(220)가 후진하여 원위치되고,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승강롤러(233)가 하강하면서 승강플레이트(230)도 하강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 Finally, the eccentric rotation roller 244 rotates again and is positioned at the 6 o'clock direction of the sliding guide hole 225, and the sliding plate 220 moves backward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ifting roller ( As 233) is lowered, the lifting plate 230 can also be lower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제2실시 예><Second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에서의 이송수단(100)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필요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하기로 하고, 승강수단(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transfer means 100 in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in the same way, it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necessary, and the lifting mean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승강수단(200)은 도 13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10), 슬라이딩플레이트(220), 승강플레이트(230)와 구동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lifting means 200 may include a base plate 210, a sliding plate 220, a lifting plate 230, and a driving unit 240.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도 13에서 보듯이, 컨베이어롤러(C)의 양측에 설치된 롤러프레임(RF)의 하단을 연결하여 고정되고, 상측에 슬라이딩플레이트(220)와 승강플레이트(230)가 배치되는 부재이다. 이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도 14a와 도 14b에서처럼 평면상 양측의 롤러프레임(RF)을 연결하여 고정되는 좌우 길이와, 도 1에서처럼 다수의 열로 배치된 이송휠(110)이 배치될 수 있을 정도의 전후 길이를 갖는 크기일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대략 사각형상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base plate 210 is fixed by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roller frames (RF)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roller (C), and a sliding plate 220 and a lifting plate 230 are arranged on the upper side. It is absence. This base plate 210 has a left and right length fixed by connecting the roller frames (RF) on both sides in a plane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and is long enough to accommodate the transport wheels 110 arranged in multiple rows as shown in FIG. 1. It may be of a size having a front-to-back length of . For example, the base plate 210 may have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이 베이스플레이트(210)는 도 14a와 도 14b에서처럼 평면상 좌우측 테두리에 롤러프레임(RF)에 볼팅 체결을 위해 가공된 체결구(211), 중앙에 실린더(245)의 후부가 고정되도록 상향 돌출된 고정편(215)과, 중앙 부위에서 4측 모서리측으로 가공된 절개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this base plate 210 has fasteners 211 processed for bolting to the roller frame (RF) on the left and right edges in plan, and protrudes upward to secure the rear of the cylinder 245 in the center. It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215 and cut portions 214 machined from the center to the four corners.

이때, 절개부(214)의 선단 부위는 도 17 및 도 18에서처럼 승강플레이트(230)의 받침부(232)가 놓여 체결되고, 승강플레이트(230)가 승강하는 동안 받침부(232)와 함께 절개부(210)가 탄성으로 오르락내리락하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받침부(232)와 절개부(210)의 체결로 슬라이딩플레이트(230)의 승강이 자유로운 대신 승강 이외의 방향 즉,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한 위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절개부(214)의 대략 'v'자 형상은 절개선을 길게 하여 절개부(214)의 반복적인 탄성 승강에 파단되지 않도록 가해지는 압력이 최대한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절개선 길이를 짧게 하여 절개부(214)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반복적인 탄성 승강에 의한 파단 가능성이 점점 높아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l end of the cut portion 214 is fastened to the support portion 232 of the lifting plate 230 as shown in FIGS. 17 and 18, and is cut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232 while the lifting plate 230 is lifted. The part 210 may rise and fall elastically. Due to this, by fastening the support portion 232 and the cutout portion 210, the sliding plate 230 can be freely raised and lowered, but positional deviation in directions other than the raised and lowered portion, i.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roughly 'v' shape of the cut part 214 is intended to lengthen the cut line and distribu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ut part 214 as much as possible so as not to break it due to repeated elastic lifting and lowering. In other words, as the length of the incision section 214 becomes shorter, the possibility of fracture due to repetitive elastic lifting may increase.

슬라이딩플레이트(220)는 도 13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면에서 왕복 이동하는 부재이다. 이 슬라이딩플레이트(220)는 도 15a와 도 15b에서 보듯이, 평면상 대략 베이스플레이트(210) 위에 일정 거리만큼 왕복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일례로 대략 사각형상일 수 있다. 또, 슬라이딩플레이트(220)는 정면상 좌측 부위 및 우측 부위가 상향으로 굴절되어 가공된 가이드플랜지(221), 좌측면상 가이드플랜지(221)의 전부와 후부에 상하의 사선으로 가공된 승강안내홀(222), 좌측면상 가이드플랜지(221)의 승강안내홀(222) 근처에 장착된 슬라이딩롤러(223), 평면상 중앙 부위에는 정면상 상향으로 돌출되어 실린더(245)의 로드(246)가 장착되는 체결편(226)과, 체결편(226) 근처에 가공된 통과홀(227)을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sliding plate 220 is a member that reciprocat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sliding plate 220 is large enough to move approximately a certain distance on the base plate 210 in plan, and may have a roughly square shap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sliding plate 220 has a guide flange 221 in which the left and right parts on the front are bent upward and machined, and a lifting guide hole 222 machined in an upper and lower diagonal line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flange 221 on the left side. ), a sliding roller 223 mounted near the lifting guide hole 222 of the guide flange 221 on the left side, and a fastening in which the rod 246 of the cylinder 245 is mounted on the center portion of the plan view,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It may be provided with a piece 226 and a through hole 227 machined near the fastening piece 226.

여기서, 승강안내홀(222)은 도 17과 도 18에서 보듯이, 일례로 우상향의 사선으로 가공되고, 승강플레이트(230)의 승강롤러(233)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는 동안 승강롤러(233)가 비스듬하게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됨으로써, 승강플레이트(230)가 승강하게 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lifting guide hole 222 is, for example, machined diagonally upward to the right, and the lifting roller 233 of the lifting plate 230 can be mounted. Accordingly, while the sliding plate 220 reciprocates, the lifting roller 233 diagonally rises or falls along the lifting guide hole 222, thereby allowing the lifting plate 230 to move up and down.

또, 슬라이딩롤러(223)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접촉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는 동안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liding roller 22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and can perform a rolling motion while the sliding plate 220 moves back and forth.

또, 통과홀(227)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된 실린더(245)가 통과하여 실린더(245)의 로드(246)가 체결편(226)에 고정되도록 가공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는 동안 실린더(245)와 슬라이딩플레이트(220)의 간섭이 없을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227 is processed so that the cylinder 245 fixed to the base plate 210 passes through and the rod 246 of the cylinder 245 is fixed to the fastening piece 226, and the sliding plate 220 is The size may be such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cylinder 245 and the sliding plate 220 during reciprocating movement.

그리고 체결편(226)에는 도 17에서 보듯이 통과홀(227)을 통과하여 위치된 실린더(245)의 로드(246)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로드(246)가 전후로 왕복 이동하게 되면 체결편(226)을 매개로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게 될 수 있다. And the rod 246 of the cylinder 245 located through the passage hole 227 can be fixed to the fastening piece 226, as shown in FIG. 17. Therefore, when the rod 246 reciprocates back and forth, the sliding plate 220 may reciprocate via the fastening piece 226.

승강플레이트(230)는 도 13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10)에 장착되고,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왕복 이동하는 동안 승강하는 부재이다. 이 승강플레이트(230)는 도 13 및 도 16a와 도 16b에서 보듯이, 상면에 이송휠(110) 및 고정브라켓(12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플레이트(230)는 정면상 좌측부위와 우측 부위이면서 전, 후측의 일부위가 하방 굴절되어 가공된 장착부(231), 장착부(23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굴절되어 가공된 받침부(232), 장착부(231)에 장착된 승강롤러(233)와, 정면상 중앙 부근에서 하방 굴절되어 전후측면에 가공된 한 쌍의 축결합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lifting plate 230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210 and is a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while the sliding plate 220 moves back and forth. As shown in FIGS. 13 and 16A and 16B, the lifting plate 230 may be equipped with a transfer wheel 110 and a fixing bracket 120 on its upper surface. This lifting plate 230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rom the front,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31 that is processed by bending the front and rear portions downward, and a support portion 232 that is processed by b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mounting portion 231. , It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roller 233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31 and a pair of shaft coupling portions 234 that are bent downward near the center of the front view and machin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여기서, 장착부(231)에는 승강롤러(233)가 장착될 수 있다. Here, a lifting roller 233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31.

또, 승강롤러(233)는 구름면(F)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름면(F)의 오목한 부위가 슬라이딩플레이트(220)의 승강안내홀(222)의 테두리에 걸쳐짐으로써, 승강롤러(233)가 승강안내홀(2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고, 오목한 부위가 승강안내홀(222)의 일부 테두리가 접축되어 승강롤러(233)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전후 이동하면 승강롤러(233)가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승강하면서 승강플레이트(230) 역시 승강하게 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ifting roller 233 may have a concave rolling surface (F). As a result, the concave portion of the rolling surface (F) hangs over the edge of the lifting guide hole 222 of the sliding plate 220, causing the lifting roller 233 to break away while mounted in the lifting guiding hole 222. This prevents the lifting roller 233 from rotating by contacting the concave portion with some edges of the lifting guide hole 222. And when the sliding plate 220 moves back and forth, the lifting roller 233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ifting guide hole 222, and the lifting plate 230 may also move up and down.

또, 축결합부(234)에는 도 16a에서처럼 구동축(170)의 양단부가 장착되는 구동축체결홀(234a)과, 회전축(160)의 양단부가 장착되는 회전축체결홀(234b)이 가공될 수 있다. 이때, 구동축(170)은 회전축(16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coupling portion 234 may be machined with a drive shaft fastening hole 234a into which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170 are mounted, and a rotation shaft fastening hole 234b into which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160 are mounted, as shown in FIG. 16A. At this time, the drive shaft 170 may be install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60.

그리고 받침부(232)는 도 17과 도 18에서 보듯이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절개부(214)의 선단 부위에 얹혀져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플레이트(230)의 승강이 가능한 반면,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대해 승강플레이트(230)의 승강 이외의 전, 후, 좌, 우 방향에 대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support portion 232 may be mounted on and fastened to the tip of the cut portion 214 of the base plate 210. Accordingly, while the lifting plate 230 can be raised and lowered, deviation of the lifting plate 230 from the base plate 210 in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other than the lifting and lowering can be prevented.

구동부(240)는 도 17에서 보듯이, 실린더(245)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7, the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 cylinder 245.

여기서, 도 13, 도 17과 도 18에서 보듯이, 실린더(245)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고정편(215)에 후부가 고정되고, 실린더(245)의 로드(246)는 슬라이딩플레이트(220)의 체결편(226)에 장착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S. 13, 17, and 18, the rear of the cylinder 245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215 of the base plate 210, and the rod 246 of the cylinder 245 is attached to the sliding plate 220. ) can be mounted on the fastening piece 226.

<작동><Operation>

이하,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여 실린더(245)를 동력원으로 하는 승강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using the cylinder 245 as a power sour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먼저, 도 17에서처럼 승강플레이트(230)가 하강한 최초의 위치에서 실린더(245)의 로드(246)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승강롤러(233)는 승강안내홀(222)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7, the rod 246 of the cylinder 245 may not be pulled out at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lifting plate 230 is lowered. At this time, the lifting roller 233 may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guide hole 222.

다음으로, 실린더(245)의 로드(246)가 인출되면 도 18에서 보듯이,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롤러(223)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승강롤러(233)가 상승하면서 승강플레이트(230)가 함께 상승하게 될 수 있다. Next, when the rod 246 of the cylinder 245 is pulled out, the sliding plate 220 can be moved forward, as shown in FIG. 18. At this time, the sliding plate 220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10 by the sliding roller 223, and as the lifting roller 233 rises along the lifting guide hole 222, the lifting plate 230 moves forward. We can rise together.

끝으로, 실린더(245)의 로드(246)가 후퇴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22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되고, 승강안내홀(222)을 따라 승강롤러(233)가 하강하면서 승강플레이트(230)도 하강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 Finally, as the rod 246 of the cylinder 245 retreats, the sliding plate 220 moves rearwar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s the lifting roller 233 descends along the lifting guide hole 222, the lifting plate 230 also moves. It can be lower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5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pentagram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patent registration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terpret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o be.

100:이송수단
110:이송휠 111:장착홈
112:휠프레임탑 113:휠베어링
114:고정너트 115:고정볼트
116:와셔 120:고정브라켓
121:구동링홀 130:연결링
140:구동링 150:구동휠
160:회전축 170:구동축.
200:승강수단
210:베이스플레이트 211:체결구
212:고정홀 213:관통홀
214:절개부 215:고정편
220:슬라이딩플레이트 221:가이드플랜지
222:승강안내홀 223:슬라이딩롤러
224:고정커버 224a:슬라이딩롤러장착홀
225:슬라이딩안내홀 226:체결편
227:통과홀 230:승강플레이트
231:장착부 232:받침부
233:승강롤러 234:축결합부
234a:구동축체결홀 234b:회전축체결홀
240:구동부 241:구동모터
242:중심회전축 243:편심체
244:편심회전롤러 245:실린더
246:로드.
A:운반물 B:롤러 컨베이어장치
RF:컨베이어프레임 C:컨베이어롤러
D:디버터 F:구름면.
100: means of transportation
110: Transfer wheel 111: Mounting groove
112: Wheel frame top 113: Wheel bearing
114: fixing nut 115: fixing bolt
116: Washer 120: Fixing bracket
121: Driving ring hole 130: Connecting ring
140: Driving ring 150: Driving wheel
160: Rotation axis 170: Drive axis.
200: Elevating means
210: base plate 211: fastener
212: Fixing hole 213: Through hole
214: Cut 215: Fixing piece
220: Sliding plate 221: Guide flange
222: Elevating guide hall 223: Sliding roller
224: Fixed cover 224a: Sliding roller mounting hole
225: Sliding guide hall 226: Conclusion section
227: Passing hole 230: Elevating plate
231: Mounting part 232: Support part
233: Elevating roller 234: Shaft coupling part
234a: Drive shaft fastening hole 234b: Rotation shaft fastening hole
240: Driving part 241: Driving motor
242: Central axis of rotation 243: Eccentric body
244: Eccentric rotating roller 245: Cylinder
246:Load.
A:Carried material B:Roller conveyor device
RF: Conveyor frame C: Conveyor roller
D: Diverter F: Cloud Plane.

Claims (7)

양측 컨베이어프레임(RF)을 연결하여 장착된 컨베이어롤러(C) 아래에 배치되어 승강하면서 운반물을 이동시키는 디버터에서,
상기 컨베이어롤러(C)들 사이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이송휠(110), 이 이송휠(110)이 장착된 고정브라켓(120)과, 일부 이송휠(11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링(140)을 매개로 일부 이송휠(110)과 연결된 회전축(160)을 구비한 이송수단(100);
상기 고정브라켓(120)과 이송휠(11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200)은,
상기 양측 컨베이어프레임(RF)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평판형상이고, 중앙부에 가공된 관통홀(213)과, 관통홀(213) 주변에 가공된 다수의 고정홀(212)를 구비하는 베이스플레이트(2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상향 굴절되어 만들어진 가이드플랜지(221), 이 가이드플랜지(221)의 전, 후부에 장착된 슬라이딩롤러(223), 가이드플랜지(221)에 측면상 상하의 사선으로 가공된 승강안내홀(222), 중앙부에 상향 볼록하게 부착되고 상면에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이 좌우로 길게 가공된 고정커버(224)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220),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220)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하방 굴절되어 만들어진 장착부(231), 장착부(231)에 설치되면서 승강안내홀(222)에 장착된 승강롤러(233)와, 전후부에서 하방 돌출되고 회전축(160)의 양측단이 장착되도록 회전축체결홀(234b)이 가공된 축결합부(23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20)이 상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2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고정홀(212)을 통해 고정되고 관통홀(213)을 통해 중심회전축(242)이 관통되어 장착되는 구동모터(241), 중심회전축(242)에 장착되면서 슬라이딩플레이트(220)의 고정커버(224)에 수용되는 편심체(243)와, 편심체(243)에 장착되어 중심회전축(242)에 대해 편심 회전하고 슬라이딩롤러장착홀(224a)에 장착되는 편심회전롤러(244)를 구비한 구동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In the diverter, which is placed under the conveyor roller (C) mounted by connecting both conveyor frames (RF) and moves the cargo while lifting,
A plurality of transport wheels 110 arranged adjacently between the conveyor rollers (C), a fixing bracket 120 on which the transport wheels 110 are mounted, and a driving ring ( A transfer means (100) having a rotating shaft (160) connected to some transfer wheels (110) via 140);
It includes an elevating means (200) for elevating the fixing bracket (120) and the transfer wheel (110),
The lifting means 200 is,
A base plate that has a flat plate shape that is fixed by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conveyor frames (RF) on both sides, and has a through hole 213 machin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12 machined around the through hole 213. (210),
A guide flange 221, which has a flat shape disposed on the base plate 210 and whose left and right edges are bent upward, a sliding roller 223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flange 221, and a guide flange. A sliding plate having a lifting guide hole (222) machined diagonally at the top and bottom on the side at (221), and a fixed cover (224) attached to the central part to be convex upward and with sliding roller mounting holes (224a) machin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urface. (220),
A mounting portion 231 that has a flat shape disposed on the sliding plate 220 and has left and right edges bent downward, a lifting roller 233 installed on the mounting portion 231 and mounted in the lifting guide hole 222, and , a lifting plate (234)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and has a rotating shaft fastening hole (234b) machined so th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160) are mounted, and the fixing bracket (1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230) Wow,
A driving motor 241 is fixed through the fixing hole 212 of the base plate 210 and is mounted through the central rotation axis 242 through the through hole 213, and is mounted on the central rotation axis 242 and includes a sliding plate ( An eccentric body 243 accommodated in the fixed cover 224 of 220), and an eccentric rotating roller (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riving unit 240 provided with (244).
청구항 1에서,
상기 승강수단(200)은,
상기 양측 컨베이어프레임(RF)의 하부를 연결하여 고정되는 평판형상이고,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고정편(215)을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2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상향 굴절되어 만들어진 가이드플랜지(221), 이 가이드플랜지(221)의 전, 후부에 장착된 슬라이딩롤러(223), 가이드플랜지(221)에 측면상 상하의 사선으로 가공된 승강안내홀(222),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체결편(226)과, 이 체결편(226)에 인접하여 가공된 통과홀(227)을 구비하는 슬라이딩플레이트(220),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220) 위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이고, 좌, 우측 테두리부위가 하방 굴절되어 만들어진 장착부(231), 장착부(231)에 설치되면서 승강안내홀(222)에 장착된 승강롤러(233)와, 전후부에 하방 돌출되고 회전축(160)의 양측단이 장착되는 회전축체결홀(234b)이 가공된 축결합부(234)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20)이 상면에 고정된 승강플레이트(230)와,
상기 고정편(215)에 후부가 고정되고, 통과홀(227)을 통과하여 체결편(226)에 로드(246)가 장착된 실린더(245)를 구비하는 구동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In claim 1,
The lifting means 200 is,
A base plate 210 that has a flat plate shape fixed by connecting the lower portions of the conveyor frames (RF) on both sides and has an upwardly protruding fixing piece 215 in the center,
A guide flange 221, which has a flat shape disposed on the base plate 210 and whose left and right edges are bent upward, a sliding roller 223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guide flange 221, and a guide flange. A sliding device having a lifting guide hole 222 machined diagonally at the top and bottom on the side at (221), a fastening piece 226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er, and a passing hole 227 machined adjacent to the fastening piece 226. plate (220),
A mounting portion 231 that has a flat shape disposed on the sliding plate 220 and whose left and right edges are bent downward, a lifting roller 233 installed on the mounting portion 231 and mounted in the lifting guide hole 222, and A lifting plate ( 230) Wow,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riving unit 240 having a cylinder 245 whose rear end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215 and a rod 246 mounted on the fastening piece 226 through the through hole 227. A diverter with a structure that converts reciprocating movement into lifting moveme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중앙 부근에서 4측 모서리측으로 절개되어 선단부가 승강하도록 가공된 절개부(21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230)는 장착부(23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굴절되고, 절개부(214)의 선단 부위에 체결되는 받침부(23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230)가 베이스플레이트(210)에 대해 승강할 때, 절개부(214)의 선단 부위가 탄성으로 오르내리면서 받침부(232)와의 접촉이 유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로 승강 이외의 위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In claim 1 or claim 2,
The base plate 210 further includes a cut portion 214 that is cut from the center to the four corners and processed to elevate the distal end,
The lifting plate 230 is bent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part 231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rt 232 fastened to the distal end of the cut part 214,
When the lifting plate 230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10, the tip of the cutout part 214 moves up and down elastically,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232, and engaging in other activities other than lifting up and down through mutual fastening.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position deviation is prevented.
청구항 2에서,
상기 승강롤러(233)는 구름면(F)이 오목하게 가공되고,
상기 승강안내홀(222)은 상부의 지름(r1)이 나머지 부위의 지름(r2)보다 넓게 가공되며,
상기 승강롤러(233)는 승강안내홀(222)의 넓은 지름(r1) 부위를 통해 삽입된 후 나머지 부위의 좁은 지름(r2) 부위에 오목한 구름면(F)이 끼워지고, 나머지 부위의 범위에서 구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이동이 승강 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In claim 2,
The lifting roller 233 has a concave rolling surface (F),
The lifting guide hole 222 is processed so that the upper diameter (r1) is wider than the remaining diameter (r2),
The lifting roller 233 is inserted through the wide diameter (r1) portion of the lifting guide hole 222, and then the concave rolling surface (F) is inserted into the narrow diameter (r2) portion of the remaining portion, and the concave rolling surface (F) is inserted into the remaining portion.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characterized by rolling motion,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의 축결합부(234)에는 회전축(16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구동축(170)의 양단부가 장착되는 구동축체결홀(234a)이 더 가공되고,
상기 이송수단(100)은 컨베이어 롤러(C)들 사이에 위치되어 일렬로 배치되면서 연결링(130)으로 연결된 다수의 이송휠(110), 이송휠(110)들 중 일부 이송휠(110)과 구동링(140)으로 연결된 구동휠(150), 이 구동휠(150)이 장착되면서 승강플레이트(230)에 체결된 회전축(160)과, 이 회전축(160)을 회전시키도록 승강플레이트(230)에 체결된 구동축(170)을 포함하고,
다수의 이송휠(110)의 외연에 연결링(130)이 2열로 감기고, 이때 이웃한 이송휠(110)들이 각각 쌍을 이루게 하여 1번째 열에 연결링(130)이 감기며, 각기 다른 쌍의 이송휠(110)들을 연결하여 2번째 열에 연결링(130)이 감김으로써, 모든 이송휠(110)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상기 구동휠(150)과 일부 이송휠(110)의 1번째 열에 구동링(140)이 감기고, 일부 이송휠(110)과 다른 이송휠(110)의 2번째 열에 연결링(130)이 감기게 되어 구동휠(150)의 회전력이 일부 이송휠(110)에 전달되며, 상기 구동휠(150)이 회전하면 구동링(140)에 의해 일부 이송휠(110)이 회전하고, 일부 이송휠(110)이 회전하면 연결링(130)에 의해 나머지 이송휠(110)들이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In claim 1 or claim 2,
The shaft coupling portion 234 of the lifting plate 230 is further machined with a drive shaft fastening hole 234a on which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170 install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60 are mounted,
The transport means 100 is located between the conveyor rollers (C)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port wheel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ing 130, some transport wheels 110 among the transport wheels 110, and A driving wheel 150 connected to the driving ring 140, a rotating shaft 160 fastened to the lifting plate 230 while the driving wheel 150 is mounted, and a lifting plate 230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160. It includes a drive shaft 170 fastened to,
The connecting ring 130 is wound in two rows around the outer edge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wheels 110, and at this time, the neighboring transfer wheels 110 are each paired, and the connecting ring 130 is wound around the first row, and each of the different pairs By connecting the transfer wheels 110 and wrapping the connecting ring 130 around the second row,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all transfer wheels 110, and the drive wheels 150 and some of the transfer wheels 110 are driven in the first row. The ring 140 is wound, and the connecting ring 130 is wound around some of the transfer wheels 110 and the second row of the other transfer wheels 110,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wheel 150 is transmitted to some of the transfer wheels 110. When the drive wheel 150 rotates, some of the transfer wheels 110 are rotated by the driving ring 140, and when some of the transfer wheels 110 rotate, the remaining transfer wheels 110 are rotated by the connecting ring 130.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청구항 5에서,
상기 이송휠(110)은 외연에 2열로 가공되어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이 감기는 장착홈(111)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111)들에 의해 돌출된 3개 휠프레임탑(112)들 중 이웃한 2개의 휠프레임탑(112)의 외연 일부위가 평평하게 가공되고, 이웃한 이송휠(110)들이 휠프레임탑(112)의 평평하게 가공된 일부위가 마주하게 배치되고, 이로 인해 넓어진 틈새로 연결링(130) 또는 구동링(140)이 통과하여 장착홈(111)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In claim 5,
The transport wheel 110 is machined in two rows on the outer edge and has mounting grooves 111 around which the connecting ring 130 or driving ring 140 is wound, and three wheels protrude from the mounting grooves 111. Among the frame towers 112, the outer edges of two neighboring wheel frame towers 112 are machined flat, and the adjacent transport wheels 110 have the flat portions of the wheel frame towers 112 facing each other.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which is arranged so that the connecting ring 130 or driving ring 140 passes through the widened gap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11.
청구항 6에서,
상기 이송수단(100)은 "ㄴ"자 형상인 고정브라켓(120), 이 고정브라켓(120)의 수직면에 일렬로 돌출 고정된 고정너트(114), 이 고정너트(114)의 선단 부위에 끼워진 와셔(116), 이송휠(110)의 내부에 장착된 휠베어링(113)과, 이 휠베어링(113)을 관통하여 이송휠(110)과 함께 고정너트(114)의 선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15)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볼트(115)의 머리와 와셔(116) 사이에 이송휠(110)의 휠베어링(113)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In claim 6,
The transport means 100 includes a fixing bracket 120 having an “L” shape, a fixing nut 114 protruding and fixed in a line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120, and a fixing nut 114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fixing nut 114. A washer 116, a wheel bearing 113 mounted inside the transfer wheel 110, and a fixing bolt that penetrates the wheel bearing 113 and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fixing nut 114 along with the transfer wheel 110. (115) further provided,
A divert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vement is converted into lifting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bearing 113 of the transfer wheel 110 is fixed between the head of the fixing bolt 115 and the washer 116.
KR1020210178637A 2021-12-14 2021-12-14 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Active KR1026514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37A KR102651441B1 (en) 2021-12-14 2021-12-14 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637A KR102651441B1 (en) 2021-12-14 2021-12-14 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88A KR20230089888A (en) 2023-06-21
KR102651441B1 true KR102651441B1 (en) 2024-03-26

Family

ID=8699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637A Active KR102651441B1 (en) 2021-12-14 2021-12-14 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4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637336A (en) * 2024-12-25 2025-03-18 安徽金鹏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Door and window section bar material temporary storag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016A1 (en) 2003-08-05 2005-02-24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Motorized roller transverse drive
JP2016145094A (en) 2015-02-06 2016-08-12 伊東電機株式会社 Transfer equipment
JP2018131336A (en) 2014-01-28 2018-08-23 伊東電機株式会社 Transfer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3271B (en) * 1995-03-21 1997-12-29 Peem Foerderanlagen Gmbh INSTALLATION ON A ROLLER RAILWAY
KR100520526B1 (en) 2003-06-11 2005-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oad diverter using link system
KR101088041B1 (en) 2009-10-09 2011-11-30 주식회사 태성기연 High speed up / down diverter conveyor
KR20150000331U (en) * 2013-07-11 2015-0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 device for disk roller convey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016A1 (en) 2003-08-05 2005-02-24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Motorized roller transverse drive
JP2018131336A (en) 2014-01-28 2018-08-23 伊東電機株式会社 Transfer equipment
JP2016145094A (en) 2015-02-06 2016-08-12 伊東電機株式会社 Transfe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888A (en)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5366T3 (en) Conveyor
KR101559146B1 (en) Auto diverter for change of direction
JP6037456B2 (en) Cross feed driven roller belt and conveyor
US9156618B2 (en) Plastic, modular and self-engaging bristle brush
KR102651441B1 (en) Diverter with structure in which reciprocating motion is converted into vertical motion
WO2003072464A1 (en) Rodless conveyor belt or chain
US7850001B2 (en) Low friction roller belt
US8191702B2 (en) Article lifting device
US10246272B2 (en) Load-conveying an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s
US4476974A (en) Continuous article handling conveyor
KR20200011086A (en) A Belt Conveyor Having Brush Roller
EP0399103A1 (en) Transport carrier conveyor
US5316131A (en) Easy maintenance high speed endless belt conveyor
KR102122481B1 (en) Chain conveyor
US3575281A (en) Suspended tray conveyor
US8348049B2 (en) Conveyor system
US7131531B1 (en) Roller shoes in modular-belt conveyors
KR200419872Y1 (en) Horizontal conveying pallet conveyor
KR101051416B1 (en) Plate glass feeder
US6401906B1 (en) S-shaped board unscrambler
EP2001770A1 (en) Conveyor for conveying and buffering products
CN212424552U (en) Grid type lifting conveyor
CA2336620C (en) Contact assembly for accumulation conveyors
KR20240002104A (en) Diverter of vertical elevation type for conveyor apparatus
US614847A (en) Endless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