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491B1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Google Patents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0491B1 KR102650491B1 KR1020230042389A KR20230042389A KR102650491B1 KR 102650491 B1 KR102650491 B1 KR 102650491B1 KR 1020230042389 A KR1020230042389 A KR 1020230042389A KR 20230042389 A KR20230042389 A KR 20230042389A KR 102650491 B1 KR102650491 B1 KR 1026504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surface
- exhaust pipe
- protrusion
- upper flange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 F16L23/14—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for rectangular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이 사각으로 이루어지는 배기관 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면과 상부 플랜지면에는 배기관 본체간 수직의 방향으로 쉽고 빠르게 연결되게 하면서 간단한 조작돌기의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배기관 본체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More specifically, the lower flange surface and the upper flange surfac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xhaust pipe body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are easily and quick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exhaust pipe bodies, and are simple. This relates to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that allows the exhaust pipe bodies to be firmly fixed simply by manipulating the operating protrusion.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각 층 또는 각 세대에서 환기를 수행하기 위해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구가 설치되며, 배기구는 여러 층 또는 여러 세대에서 함께 배기를 수행하기 위해 공동배기구를 설치한다.In general, buildings are installed with exhaust vents that exhaust air to perform ventilation on each floor or in each household, and common exhaust vents are installed to exhaust air on multiple floors or multiple households together.
이러한 공동배기구는 수직으로 세워진 덕트에 각 층별 또는 세대별과 연통되는 연통덕트를 설치하여 하나의 연결된 덕트를 통해 배기를 수행하게 된다.This common exhaust vent is installed in a vertically erected duct with a communication duct communicating with each floor or household, and exhaust is carried out through one connected duct.
하지만, 공동배기구는 하나의 연속된 덕트가 수직으로 세워지기 때문에 지진의 발생 또는 공기 배출에 의한 충격이 발생 시 덕트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However, since the common exhaust port is a single continuous duct standing vertical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ct is easily damaged when an earthquake occurs or a shock occurs due to air discharge.
등록특허 제1820914호(2018.01.22.)의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에서는 다수 개의 주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고, 각각의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보조배기관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ipe for construction of Registered Patent No. 1820914 (January 22, 2018), a plurality of main exhaust pipes are combined in a one-touch method, and the auxiliary exhaust pipes connected to each main exhaust pipe are configured to be combined in a one-touch method.
따라서 보조배기관을 용이하게 주배기관으로부터 분리시켜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주배기관 및 보조배기관의 일부를 자바라식의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길이 조절이 자유로우며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auxiliary exhaust pip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exhaust pip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of replacement work, and by forming part of the main exhaust pipe and auxiliary exhaust pipe into a bellows-type corrugated pipe, the length can be freely adjusted and it can provide a buffering effect.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happen.
하지만 종래의 건축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주배기관이 원형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단면이 사각인 관에는 원형관과 같이 회전에 의한 결합방식을 적용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배기관간 결합이 볼트와 너트 체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배기관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증가하여 작업 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ipe for construction, the main exhaust pip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However, not only can the rotational connection method not be applied to a pipe with a square cross section like a circular pipe, but al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xhaust pipes requires bolts and nuts. Since it is done by fastening, there is an uneconomical problem in that the time and manpower required for the exhaust pipe installation work increases, increasing the work cos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각형의 배기관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사방의 플랜지면간을 연결하면서 자동으로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게 하면서 각 플랜지면에 구비되는 록킹수단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배관 설치에 따른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our flange surface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tangular exhaust pipe, automatically preventing lateral flow, and locking devices provided on each flange surf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simple manipulation of means to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cost due to piping installation as much as possible.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는, 사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동일한 폭으로 수평 연장되도록 하여 플랜지면을 형성하며, 상부 플랜지면의 상부면에는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부면이 상향 만곡지도록 맞춤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면에는 상기 맞춤 돌기의 외경과 동일한 사이즈로 내경을 형성하도록 판면이 상향 만곡지도록 삽입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맞춤 돌기가 상기 삽입관부에 맞춤 결합되면서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결합되는 배기관 본체; 상기 배기관 본체의 사면으로 형성되는 각 상부 플랜지면에서 판면을 수직 관통되도록 형성한 장공의 이동홀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단부는 일측으로 일정 길이가 절곡되게 하여 하부 플랜지면에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부 플랜지면에는 일정 길이가 밀착되도록 절곡단부를 형성하고, 이동홀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시킨 하단부에는 이동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홀의 폭보다는 큰 길이로 조립돌기를 형성하는 걸림쇠; 상부 플랜지면에 형성되는 이동홀의 하부면 주연부를 따라 하부면을 일정 높이 이상 하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돌출면은 높이차를 갖도록 하되 양측의 돌출면 사이는 경사지게 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양단에는 돌출면보다 일정 높이가 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하여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걸림쇠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조립돌기에는 상부 플랜지면의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고, 하부면의 판면으로부터는 일정 높이로서 하향 돌출 또는 절곡되도록 조작돌기를 구비하는 이동판; 상기 가이드 돌기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걸림쇠와 함께 이동하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이동판 사이의 상기 걸림쇠에는 스프링이 축결합되어 상기 조작돌기의 승강 조작과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하면서 상기 이동판이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하여 하측 배기관 본체의 상부 플랜지면과 상측 배기관 본체의 하부 플랜지면간이 상호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탄력지지수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The prefabricated cavity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square cross-s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horizontally extended with the same width to form a flang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surface is at a certain height. A custom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curved upward while protruding upward, and an insertion pip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flange surface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curved upward to form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custom protrusion, so that the custom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An exhaust pipe body that is custom-fitted to the pipe and is coupled to prevent lateral flow; Each upper flange formed on the slope of the exhaust pipe main body passes through a long moving hol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plate surface, and the upper end is bent at a certain length on one side to form a larger size on the lower flange surface. A bending end is formed so that a certain leng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surface while penetrating the hole, and an assembly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through the movable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hole with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movable hole;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hole formed on the upper flange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made to protrude downward by a certain height or more, and the protruding surfaces on both sides are made to have a height difference, but the protruding surface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at an incline, and the protruding surface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at a certain level rather than the protruding surface. A guide protrusion that protrudes more downwardly in height to form a departure barrier; The assembly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atch includes a moving plate that is slide-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flange surface and has a manipula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or bends downwar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 spring is axially coupled to the latch between the spring holder and the moving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and moves together with the latch, so that the moving plate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guide protrusion and raises and lowers the operating protrusion. It is made up of a combination of elastic support means that allow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lower exhaust pipe body and the lower flange surface of the upper exhaust pipe body to be mutually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to raise and lower it to a certain height.
하측 배기관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면과 상측 배기관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면 사이에는 실링과 함께 열에 강한 재질로서 가스켓이 삽입되도록 한다.A gasket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along with a seal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flange surface formed at the top of the lower exhaust pipe body and the lower flange surfa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exhaust pipe body.
상기 걸림쇠 상단의 절곡단부는 돌출단부의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의 걸림쇠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하부 플랜지면의 관통홀 주면을 미끄러져 상부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bent end of the top of the clasp allows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ruding end to slope down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ward the vertical clasp, so that it slides on the main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flange surface and moves upward more smoothly.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의해 사각의 배기관들을 수직의 방향으로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하면서 배기관들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배기관 설치에 따른 인건비와 작업 시간을 최대한 점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By using the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the square exhaust pipes can be accurate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xhaust pipes can be firmly fixed, while at the same time, labor costs and work time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exhaust pipe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의 주요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의 주요 구성을 예시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의 배기관 본체간 맞춤 돌기와 삽입관부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서 하부 배기관 본체의 상부 플랜지면에 상부 배기관 본체의 하부 플랜지면이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서 하부 배기관 본체의 상부 플랜지면에 상부 배기관 본체의 하부 플랜지면을 결합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서 조작돌기를 상향 가압하여 걸림쇠가 상승되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서 조작돌기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서 하부 배기관 본체의 상부 플랜지면과 상부 배기관 본체의 하부 플랜지면을 고정시킨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llustrat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sertion pipe portion and the fitting protrusion between the exhaust pipe main body of the prefabricated cavity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flange surface of the upper exhaust pipe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lower exhaust pipe body in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flange surface of the upper exhaust pipe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lower exhaust pipe body in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atch is raised by pressing the operating protrusion upward in the prefabricated cavity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sliding and moving the manipulation protrusion in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lower exhaust pipe body and the lower flange surface of the upper exhaust pipe body are fixed in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in some cases,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의 주요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의 주요 구성을 예시한 분리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는 크게 배기관 본체(10)와 걸림쇠(20)와 가이드 돌기(30)와 이동판(40) 및 탄력지지수단(5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As shown, the prefabricated cavity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n exhaust pipe
본 발명의 배기관 본체(10)는 사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동일한 폭으로 수평 절곡되도록 하여 플랜지면(11)(12)을 형성한다.The
즉, 배기관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면(11)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하부 플랜지면(12)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 플랜지면(11)의 상부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향 만곡지도록 맞춤 돌기(13)를 형성한다.That is, an
본 발명의 맞춤 돌기(13)는 사방의 상부 플랜지면(11)을 따라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하며, 하부 플랜지면(12)에는 각 맞춤 돌기(13)와 동일 수직선상에 맞춤 돌기(13)가 맞춤 결합되도록 판면을 하향 개방되도록 하면서 상향 만곡지도록 삽입관부(14)를 형성한다.The
따라서 서로 다른 배기관 본체(10)를 수직으로 연결하면서 하부측 배기관 본체(10)의 상부 플랜지면(11)에 상부측 배기관 본체(10)의 하부 플랜지면(12)이 얹혀지도록 하여 플랜지면(11)(12)간 밀착되게 함으로써 삽입관부(14)의 내부로 맞춤 돌기(13)가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Therefore, while connecting the different
이렇게 상측의 배기관 본체(10)와 하부의 배기관 본체(10)간을 상하부 플랜지면(11)(12)간 맞춤 돌기(13)와 삽입관부(14)의 결합에 의해 배기관 본체(10)간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결합되게 한다.In this way, the upper
배기관 본체(10)간 측방 유동과 함께 상하부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쇠(20)와 가이드 돌기(30)와 이동판(40) 및 탄력지지수단(50)을 형성한다.In order to prevent upward and downward flow as well as lateral flow between the exhaust pipe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걸림쇠(20)는 상부 플랜지면(11)의 판면을 수직 관통되도록 하는 이동홀(16)과 함께 그 상부의 하부 플랜지면(12)에 형성되는 관통홀(15)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며, 걸림쇠(20)의 상단부는 일정 길이가 수평 절곡되도록 하여 절곡단부(21)를 형성하고, 이동홀(16)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되도록 한 하단부에는 이동홀(1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홀(16)의 폭보다는 큰 길이로 조립돌기(22)가 형성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ure 4, the
걸림쇠(20)가 통과하는 하부 플랜지면(12)의 이동홀(16) 하부 주연부에는 하부 플랜지면(12)의 하부면을 일정 높이 이상 하향 돌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돌기(30)가 형성되도록 한다.A
가이드 돌기(30)는 양측으로 형성되는 돌출면이 높이차를 갖도록 하면서 높이차를 갖는 돌출면 사이는 경사지도록 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형상이며, 가이드 돌기(30)의 양단에는 돌출면보다도 더 하향 돌출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31)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이러한 가이드 돌기(30)는 이동홀(16)의 하부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도록 하여 걸림쇠(20)가 일정 길이를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홀(16)의 단부보다는 일측으로 일정 길이가 더 연장되도록 한다.These
가이드 돌기(30)는 걸림쇠(20)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가장 높이가 낮고 잠금 위치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잠금 위치에서 가장 높은 높이로 하향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하부 플랜지면(12)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쇠(20)의 하단에서는 판면의 외측으로부터 조립돌기(22)에 이동판(40)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한다.At the bottom of the
이동판(40)은 걸림쇠(20)가 하부 플랜지면(12)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홀(16)의 사이즈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걸림쇠(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조립돌기(22)와 맞춤 조립되게 함으로써 걸림쇠(2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며, 이러한 이동판(40)의 판면으로부터는 일정 높이를 하향 돌출되게 하거나 하향 절곡되도록 하여 이동판(40)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손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게 하는 조작돌기(41)가 구비되도록 한다.The moving
따라서 이동판(40)은 수평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조작돌기(41)는 이동판(40)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도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ly, while the moving
한편, 가이드 돌기(30)와 이동판(40)의 사이에는 걸림쇠(20)에 축결합되는 스프링 홀더(51)와 스프링(52)으로 이루어지는 탄력지지수단(50)이 구비되도록 한다.Meanwhile, an elastic support means (50) consisting of a spring holder (51) and a spring (52) axially coupled to the catch (20) is provid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30) and the moving plate (40).
탄력지지수단(50)은 가이드 돌기(3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걸림쇠(20)에 축지지되는 스프링 홀더(51)는 걸림쇠(20)가 이동홀(16)을 따라 이동 시 동시에 이동하여 가이드 돌기(30)의 하부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하며, 스프링 홀더(51)와 이동판(40)의 사이에는 걸림쇠(20)에 스프링(52)이 축지지되면서 스프링 홀더(51)를 가이드 돌기(30)에 더욱 밀착되게 하는 동시에 이동판(40)이 일정 높이 탄력적으로 승강할 수가 있다.The elastic support means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30), and the spring holder (51) supported by the latch (20) moves simultaneously when the latch (20) moves along the moving hole (16). It is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스프링(52)의 탄발력에 의해서 이동판(40)은 항상 하부로 가압 탄성을 받게 되어 이동판(40)이 연결되는 걸림쇠(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곡단부(21)가 항상 하부 플랜지면(12)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서 걸림쇠(20) 상단의 절곡단부(21)는 돌출단부의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의 걸림쇠(20)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하부 플랜지면(11)의 관통홀(15) 주면을 미끄러져 상부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걸림쇠(20)에 축설되는 스프링(52)은 도면에서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도 가능하나 판스프링으로도 할 수가 있다.Meanwhil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상부측 배기관 본체(10)와 하부 배기관 본체(10)의 상부 플랜지면(11)과 하부 플랜지면(12)의 사이에는 실링과 함께 열에 강한 재질로서 가스켓(미도시)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 gasket (not shown)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along with a seal is inserted between the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in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배기관을 공동 배기구를 따라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각 배기관 본체(10)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일체로 수평의 상부 플랜지면(11)과 하부 플랜지면(12)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xhaust pipes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to be connected vertically along a common exhaust port. For this purpose, each
따라서 배기관간을 수직의 방향으로 연결 시 하측의 배기관과 상측의 배기관은 플랜지면(11)(12)간 밀착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exhaust pip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xhaust pipe and the upper exhaust pipe are connected by close contact between the flange surfaces (11) and (12).
다만, 배기관 본체(10)의 상부 플랜지면(11)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맞춤 돌기(13)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플랜지면(12)에는 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삽입관부(14)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배기관 본체(10)간 연결 시 이들 맞춤 돌기(13)가 삽입관부(14)에 맞춤 결합되면서 배기관 본체(10)들이 정확하게 동일 수직선상에서 연결되도록 한다.However, a
맞춤 돌기(13)와 삽입관부(14)간의 결합은 배기관 본체(10)의 상부 플랜지면(11)과 하부 플랜지면(12)을 결합하도록 하면서 매우 쉽고 정확하게 연결할 수가 있도록 한다.The coupling between the
이렇게 배기관 본체(10)간을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하면 걸림쇠(20)가 구비되는 부위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플랜지면(11)의 이동홀(16)을 관통하여 상부에 위치되는 절곡단부(21)가 하부 플랜지부(12)에 형성한 관통홀(15)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If the
이때 걸림쇠(20)에 축지지되는 스프링 홀더(51)는 가이드 돌기(30)의 일단부측 이탈방지턱(31)에 밀착되어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조작돌기(41)를 도 6에서와 같이 상향 가압하게 되면 스프링(52)이 수축되면서 걸림쇠(20)를 일정 높이 상향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걸림쇠(20) 상단부의 절곡단부(21)는 하부 플랜지면(12)의 관통홀(15) 상부로 상승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조작돌기(41)를 상향 가압한 상태에서 연속해서 도 7에서와 같이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 돌기(30)에 면밀착된 스프링 홀더(51)가 걸림쇠(20)와 함께 일방향으로 가이드 돌기(30)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는 순간 절곡단부(21)의 단부가 이동홀(16)의 상부에서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스프링(52)은 더욱 압축되면서 하부 플랜지면(12)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조작돌기(41)의 수평 이동에 의해 스프링 홀더(51)가 가이드 돌기(30)의 경사면에서 가장 하향 돌출되도록 한 돌출면에 위치하게 되면 스프링(52)의 팽창력에 의해 걸림쇠(20)가 하향 이동하여 상측 배기관 본체(10)의 하부 플랜지면(12)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일방향으로 조작돌기(41)를 밀어 도 8에서와 같이 걸림쇠(20)가 이동홀(16)의 단부에 접촉하거나 스프링 홀더(51)가 타측의 이탈방지턱(31)에 접촉되도록 하면 스프링(52)의 팽창력에 의해 걸림쇠(20)의 절곡단부(21)를 하향 가압하여 하부 플랜지면(12) 상부면에서 긴밀하게 압착되면서 하측 배기관 본체(10)의 상부 플랜지면(11)과 상측 배기관 본체(10)의 상부 플랜지면(11)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In this state, continue to push the operating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측 배기관 본체(10)의 상부 플랜지면(11)에서 사방으로 구비되는 각 조작돌기(41)를 순차적으로 상부로 밀어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하측 배기관 본체(10)와 상측 배기관 본체(10)를 매우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each operating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속해서 배기관 본체(10)들을 연결하여 배기관을 설치하게 되면 설치 소요 시간과 함께 인건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If the exhaust pipe is install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특히, 본 발명의 구성은 각 배기관 본체(10)의 하부 플랜지면(12)의 상부로는 하부 플랜지면(12)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절곡단부(21) 외에는 조작 구성이 없으므로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보다 청결한 유지 관리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operating stru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배기관 본체
11 : 상부 플랜지면 12 : 하부 플랜지면
13 : 맞춤 돌기 14 : 삽입관부
15 : 관통홀 16 : 이동홀
20 : 걸림쇠
21 : 절곡단부 22 : 조립돌기
30 : 가이드 돌기
31 : 이탈방지턱
40 : 이동판
41 : 조작돌기
50 : 탄력지지수단
51 : 스프링 홀더 52 : 스프링10: exhaust pipe body
11: upper flange surface 12: lower flange surface
13: Custom projection 14: Insertion tube portion
15: through hole 16: moving hole
20: latch
21: bent end 22: assembly protrusion
30: Guide projection
31: Breakaway bump
40: moving plate
41: operating protrusion
50: elastic support means
51: spring holder 52: spring
Claims (3)
상기 배기관 본체의 사면으로 형성되는 각 상부 플랜지면에서 판면을 수직 관통되도록 형성한 장공의 이동홀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단부는 일측으로 일정 길이가 절곡되게 하여 하부 플랜지면에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부 플랜지면에는 일정 길이가 밀착되도록 절곡단부를 형성하고, 이동홀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시킨 하단부에는 이동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홀의 폭보다는 큰 길이로 조립돌기를 형성하는 걸림쇠;
상부 플랜지면에 형성되는 이동홀의 하부면 주연부를 따라 하부면을 일정 높이 이상 하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돌출면은 높이차를 갖도록 하되 양측의 돌출면 사이는 경사지게 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양단에는 돌출면보다 일정 높이가 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하여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가이드 돌기;
상기 걸림쇠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조립돌기에는 상부 플랜지면의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하고, 하부면의 판면으로부터는 일정 높이로서 하향 돌출 또는 절곡되도록 조작돌기를 구비하는 이동판;
상기 가이드 돌기의 하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걸림쇠와 함께 이동하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이동판 사이의 상기 걸림쇠에는 스프링이 축결합되어 상기 조작돌기의 승강 조작과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하면서 상기 이동판이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하여 하측 배기관 본체의 상부 플랜지면과 상측 배기관 본체의 하부 플랜지면간이 상호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탄력지지수단;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
It is made of a square cross-s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extend horizontally with the same width to form a flange surface, and a custom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surface so that it protrudes upward at a certain height and the upper surface curves upward, An exhaust pipe main body in which an insertion pip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flange surface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curved upward to form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fitting protrusion is fitted to the insertion pipe portion to prevent lateral flow;
Each upper flange formed on the slope of the exhaust pipe main body passes through a long moving hole form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plate surface, and the upper end is bent at a certain length on one side to form a larger size on the lower flange surface. A bending end is formed so that a certain leng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surface while penetrating the hole, and an assembly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extending downwardly through the movable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hole with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movable hole;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hole formed on the upper flange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made to protrude downward by a certain height or more, and the protruding surfaces on both sides are made to have a height difference, but the protruding surface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at an incline, and the protruding surface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at a certain level rather than the protruding surface. A guide protrusion that protrudes more downwardly in height to form a departure barrier;
The assembly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atch includes a moving plate that is slide-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flange surface and has a manipula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or bends downwar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 spring is axially coupled to the latch between the spring holder and the moving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and moves together with the latch, so that the moving plate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guide protrusion and raises and lowers the operating protrusion. Elastic support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at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lower exhaust pipe body and the lower flange surface of the upper exhaust pipe body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
하측 배기관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면과 상측 배기관 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면 사이에는 실링과 함께 열에 강한 재질로서 가스켓이 삽입되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
In claim 1,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in which a gasket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is inserted along with a seal between the upper flange surface formed at the top of the lower exhaust pipe body and the lower flange surfac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exhaust pipe body.
상기 걸림쇠 상단의 절곡단부는 돌출단부의 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의 걸림쇠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으로써 하부 플랜지면의 관통홀 주면을 미끄러져 상부로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축용 조립식 공동 배기구.In claim 1,
The bent end of the top of the catch has a cross section of the protruding end inclined down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ward the vertical catch, so that it slides on the main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flange surface and moves upward more smoothly. A prefabricated joint exhaust port for constru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2389A KR102650491B1 (en) | 2023-03-31 | 2023-03-31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2389A KR102650491B1 (en) | 2023-03-31 | 2023-03-31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0491B1 true KR102650491B1 (en) | 2024-03-22 |
Family
ID=9048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2389A Active KR102650491B1 (en) | 2023-03-31 | 2023-03-31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049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2807B2 (en) * | 1996-05-10 | 2001-02-05 | 昇 丸山 | Ventilation structure in buildings |
KR101020262B1 (en) * | 2010-11-26 | 2011-03-07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베스트 |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System of Apartment |
KR101820914B1 (en) | 2017-08-16 | 2018-01-22 | (주)대성건축사사무소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KR102184739B1 (en) * | 2020-06-30 | 2020-11-30 |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
2023
- 2023-03-31 KR KR1020230042389A patent/KR1026504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2807B2 (en) * | 1996-05-10 | 2001-02-05 | 昇 丸山 | Ventilation structure in buildings |
KR101020262B1 (en) * | 2010-11-26 | 2011-03-07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베스트 | Prefabricated Common Exhaust System of Apartment |
KR101820914B1 (en) | 2017-08-16 | 2018-01-22 | (주)대성건축사사무소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KR102184739B1 (en) * | 2020-06-30 | 2020-11-30 |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376887A1 (en) | Universal height absorbing toilet seal | |
KR102650491B1 (en) | Vent of Architectural Prefabricated Joint | |
KR102430710B1 (en) | Frame assembly structure for installing window type air-conditioner on window sill | |
EP0521810A2 (en) | A mobile extractor hood with a concertina type collector pipe | |
US7823349B2 (en) | Masonry wall vent | |
KR101426711B1 (en) | Reinforcement unit for sealing gab of window system | |
KR20190002138A (en) | Guide rail for sliding door | |
KR200489499Y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Floor Plate | |
KR102230141B1 (en) | Communication cable protec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architecture | |
KR102697490B1 (en) | Outlet box that adjusts the height with a slide control device in the height extension Coupling box of the insulated wall | |
KR102356833B1 (en) | Pest blocking cap for drain hole of window frame | |
KR102561124B1 (en) | Height adjustment bracket for sprinkler | |
KR102335677B1 (en) | Groove joint | |
KR101964624B1 (en) | Cable duct structure for floor od bilding | |
KR200392746Y1 (en) | bury in wall type electric wire box with air damper | |
KR200445441Y1 (en) | Spacer for Outlet Box | |
KR200420685Y1 (en) | Ladder and floor hermetic cable tray | |
EP1971006A1 (en) | Intallation box with movable spout | |
KR102763599B1 (en) | Floor panel assembly for appartment house | |
CN221036054U (en) | Ventilation pipeline convenient to clearance | |
CN119860462B (en) | Building electromechanical pipeline installation equipment | |
KR200173231Y1 (en) | Fabricated rectangular pipe for air duct | |
KR100950223B1 (en) | Under structure for sectional water tank | |
KR200186516Y1 (en) | adjustable retangular pipe for airduct | |
CN221991923U (en) | Air duct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