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047B1 -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 Google Patents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9047B1 KR102649047B1 KR1020210185988A KR20210185988A KR102649047B1 KR 102649047 B1 KR102649047 B1 KR 102649047B1 KR 1020210185988 A KR1020210185988 A KR 1020210185988A KR 20210185988 A KR20210185988 A KR 20210185988A KR 102649047 B1 KR102649047 B1 KR 1026490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ight source
- window frame
- base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7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omprising light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21V33/0016—Furnishing for windows and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의 프레임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광변색부를 구성하여, 창틀에 랩핑이나 도장 등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광변색부의 발광색을 변화시켜 가면서 용이하게 창틀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테리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that can change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nd more specifically, to construct a photochromic part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frame of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photochromic part can be used even without wrapping or painting the window frame. This relates to a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llowing the interior atmosphere to be created in a variety of ways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color of the window frame by changing the luminous col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의 프레임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광변색부를 구성하여, 창틀에 랩핑이나 도장 등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광변색부의 발광색을 변화시켜 가면서 용이하게 창틀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테리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that can change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nd more specifically, to construct a photochromic part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frame of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photochromic part can be used even without wrapping or painting the window frame. This relates to a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llowing the interior atmosphere to be created in a variety of ways by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color of the window frame by changing the luminous color.
종래에는 기본 백색의 창틀에 인테리어에 따라 랩핑 또는 도장을 하여 색에 변화를 주었다. 도 1은 종래의 랩핑소재가 부착된 창틀(90)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9190호(2002.06.08.)에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the color of a basic white window frame was changed by wrapping or painting it depending on the interior. Figure 1 relates to a window frame 90 to which a conventional wrapping material is attached, which is disclosed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79190 (June 8, 2002).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랩핑소재가 부착된 창틀(90)은, 벽체두께에 맞추어 재단되어 벽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틀몸체(91)와,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보조부재(931)가 상호 결합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틀몸체(91)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가틀몸체(91)에 결합되는 표피부재(93)와, 상기 표피부재(93)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제1마감소재(95)와, 상기 가틀몸체(91)의 상면 측에 형성되는 제2마감소재(97)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window frame 90 to which a conventional wrapping material is attached includes a frame body 91 that is cut to match the wall thickness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and a plate-shaped auxiliary member 931 having a thicknes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ㄱ' shape and surround the side and upper surface of the gartle body 91, and the outer skin member 93 is coupled to the gartle body 9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kin member 93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finishing material 95 formed on the surface and a second finishing material 9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gartle body 91.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랩핑소재가 부착된 창틀(90)은 상황에 따라 그 색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색 변경을 위해서는 다시 다른 색으로 랩핑을 수행해야 하는 관계로 용이한 색 변경이 어려웠다.However, it was difficult to easily change the color of the window frame 90 to which the conventional wrapping material was attached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change the color depending on the situation or because changing the color required wrapping with a different color again.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상황에 맞게 창틀의 색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related industries are demanding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that allows changing the color of window frames to suit the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의 프레임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광변색부를 구성하여, 창틀에 랩핑이나 도장 등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광변색부의 발광색을 변화시켜 가면서 용이하게 창틀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테리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photochromic part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frame of a window frame, so that the color of the window frame can be easily changed by changing the luminous color of the photochromic part without wrapping or painting the window frame. Accordingly, the interior atmosphere can be creat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으로 창틀의 실내측 전면부 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가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indoor interior effect by allowing the color of the indoor front part of the window frame to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변색부가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필요한 경우에만 프레임부에 광변색부를 부착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레임부로부터 광변색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photochromic unit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unit, so that the photochromic unit can be attached to the frame unit only when necessary, and otherwise be separated from the frame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변색부가 기존의 창틀 프레임부에 호환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기존에 출시된 어느 창틀에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photochromic part to be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window frame,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any window frame that has been released previous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인테리어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 조사되는 광의 양, 색 등을 변화시켜 실내 분위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change the indoor atmosphere by changing the amount and color of light irradiated when trying to change the indoor interi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에 커버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 커버부를 분리해 광원 교체 등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achably couple the cover to the support so that maintenance, such as replacing the light source, can be easily performed by removing the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신호를 받아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하여,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사용해 광원의 밝기, 색, 온/오프 등의 제어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control signals and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so that it is easier to control the brightness, color, on/off, etc. of the light source using a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창틀의 바디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광을 발산하는 광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hotochromic part that emits light by being coupled to a frame part that forms the body of the window fra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광변색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실내측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hromic part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interior side of the frame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광변색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와, 상기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hromic unit includes a support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a light source part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and emits light, and a light source par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ver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부가 결합되는 면을 제공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전면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연장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a base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while providing a surface to which the light source portion is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surrounding one side of the uni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part and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frame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연장부가 만나는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만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s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base portion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meet and/or a portion where the base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eet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ding connection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a shape that detachably couples the cover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2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3경사부와, 상기 제3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por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obliquel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portion, and a third inclined portion obliquely extended from an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portion. It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 connect the end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the base. Do it a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대향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includes a front cover part facing the base part, and a fastening part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cover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connecting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3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광변색부는,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hromic un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light source uni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ith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창틀의 프레임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광변색부를 구성하여, 창틀에 랩핑이나 도장 등을 하지 않더라도, 상기 광변색부의 발광색을 변화시켜 가면서 용이하게 창틀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테리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chromic part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frame of a window frame,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color of the window frame by changing the luminous color of the photochromic part without wrapping or painting the window fram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create a variety of interior atmospheres.
본 발명은, 다양한 색상으로 창틀의 실내측 전면부 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가 높이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lor of the indoor front part of the window frame to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resulting in the effect of enhancing the indoor interior effect.
본 발명은, 광변색부가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필요한 경우에만 프레임부에 광변색부를 부착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레임부로부터 광변색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hromic pa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so that the photochromic part can be attached to the frame only when necessary, and in other cases, the photochromic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본 발명은, 광변색부가 기존의 창틀 프레임부에 호환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기존에 출시된 어느 창틀에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figuring the photochromic part to be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window frame, allowing it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o any existing window frame.
본 발명은, 실내 인테리어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 조사되는 광의 양, 색 등을 변화시켜 실내 분위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indoor atmosphere to be easily changed by changing the amount and color of light irradiated when trying to change the indoor interior.
본 발명은, 지지부에 커버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켜, 커버부를 분리해 광원 교체 등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cover part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to easily perform maintenance, such as replacing the light source, by removing the cover part.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받아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성하여,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사용해 광원의 밝기, 색, 온/오프 등의 제어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structing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making it easier to control the brightness, color, on/off, etc. of the light source using a remote controller, etc.
도 1은 종래의 랩핑소재가 부착된 창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광변색부의 분해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의 사용상태도.Figure 1 is a view showing a window frame with a conventional wrapping material attache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photochromic part.
Figure 4 is a state of use of a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window frame that can change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f there is a conflict with the meaning of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Follow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1)은 창틀에 랩핑이나 도장 등을 하지 않더라도, 발광색을 변화시켜 가면서 용이하게 창틀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인테리어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The window frame (1), which can change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the light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color of the window frame by changing the luminous color even without wrapping or painting the window frame, thereby creating a diverse interior atmosphere. It has a feature that allows you to produce it.
이러한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1)은, 프레임부(10), 광변색부(30)를 포함한다.The
상기 프레임부(10)는, 창틀의 바디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프레임부(10)의 재질을 어느 특정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PVC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광변색부(30)는, 상기 프레임부(10)에 결합되어 광을 발산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변색부(30)는 상기 프레임부(10) 중 프레임부(10)의 실내측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창틀의 실내측 전면부 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광변색부(30)는 상기 프레임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바,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프레임부(10)에 광변색부(30)를 부착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프레임부(10)로부터 광변색부(30)를 분리시킬 수 있다.The
도 3은 광변색부의 분해도면으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광변색부(30)는, 지지부(31), 광원부(33), 커버부(35), 제어부(37)를 포함한다.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photochromic unit. When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상기 지지부(31)는, 상기 프레임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31)는 기존의 프레임부(10)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가 상기 프레임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되면, 이러한 지지부(31)에 후술할 광원부(33)와, 커버부(35)가 결합이 되는바, 상기 지지부(31)를 프레임부(1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광변색부(30)를 프레임부(10)로부터 분리해 낼 수가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창틀 프레임부(10)를 훼손하는 것 없이, 이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광에 의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3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지지부(31)는, 베이스부(311), 제1연장부(313), 제2연장부(315), 제3연장부(317), 연결부(31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upport portion 31 includes a base portion 311, a first extension portion 313, a second extension portion 315, a third extension portion 317, and a connection portion 319. do.
상기 베이스부(311)는, 상기 광원부(33)가 결합되는 면을 제공하면서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 전면 상에 위치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3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평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311 refers to a configuration located on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상기 제1연장부(313)는, 상기 베이스부(311)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0)의 일측면을 감싸는 구성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평한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연장부(313)는 상기 베이스부(31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art 31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ase part 311 and surrounds one side of the
상기 제2연장부(315)는, 상기 베이스부(311)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0)의 타측면을 감싸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제2연장부(315)는 수평한 평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15)도 상기 베이스부(311)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봄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장부(313)와 상기 제2연장부(315)는 대칭을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5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portion 311 and surrounds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제3연장부(317)는, 상기 제2연장부(315)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제3연장부(317)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제3연장부(317)와 상기 제2연장부(3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L'자 형상의 상기 제2연장부(315)와 상기 제3연장부(317)에 의해 프레임부(10)가 감싸지게 되면서, 상기 프레임부(10)로부터 상기 지지부(31)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third extension portion 317 is configur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5.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317, the third extension portion 317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317 are configur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5.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5 may be configured as an overall 'L' shape. As the
상기 연결부(319)는, 상기 베이스부(311)와 상기 제1연장부(313)가 만나는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311)와 상기 제2연장부(315)가 만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35)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319)는, 상기 커버부(35)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319)는, 베이스부(311)의 중심축(X)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1수직부(3191)와, 상기 제1수직부(3191)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중심축(X)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1경사부((3192)와, 상기 제1경사부(3192)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2경사부(3193)와, 상기 제2경사부(3193)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중심축(X)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3경사부(3194)와, 상기 제3경사부(3194)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311)의 중심축(X)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2수직부(3195)와, 상기 제2수직부(3195)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311)를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319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319 is located at a portion where the base portion 311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3 meet and/or a portion where the base portion 311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15 meet. This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35). Preferably, the connecting portion 319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ouples the cover portion 35 in a detachable manner. The connection portion 319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3191 extending ver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X) of the base portion 311, and a base portion 311 from an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91. )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3192) obliquely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X) of A second inclined portion 3193 extending, a third inclined portion 3194 obliquel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3193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X) of the base portion 311, and 3. A second vertical portion 3195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3194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X) of the base portion 311, the end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195, and the base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3196 extending horizontally to connect 311.
상기 광원부(33)는, 상기 지지부(31)에 결합되어 빛을 발산하는 구성으로, 상기 광원부(33)는 LED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1)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내 인테리어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 상기 광원부(33)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 색 등을 변화시켜 실내 분위기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게 된다.The light source unit 33 is configured to emit light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1, and the light source unit 33 may be an LED or the like. The light source unit 33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on the support unit 31 as shown in FIG. 3 . When it is desired to change the indoor interior, the indoor atmosphere can be easily changed by changing the amount and color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33.
상기 커버부(35)는, 상기 지지부(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커버부(35)는 상기 지지부(31)와의 결합으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형성된 공간에 상기 광원부(33)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상기 광원부(33)는 상기 지지부(31)에 결합된 상기 커버부(3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1)에 상기 커버부(3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상기 커버부(35)를 분리함으로써 광원 교체 등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part 35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1. The cover part 35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1 to form a space on the inside, and the cover part 35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1 to form a space inside the space. The light source unit 33 is positioned. Ultimately, the light source unit 33 can be protected by the cover unit 35 coupled to the support unit 31. In addition, since the cover part 3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1,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a light source, can be easily performed by separating the cover part 35.
도 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커버부(35)는, 전면커버부(351), 체결부(3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ver part 35 includes a front cover part 351 and a fastening part 353.
상기 전면커버부(351)는, 상기 베이스부(31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수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311)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311)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part 351 is form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base part 311, and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flat shape, and is preferably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base part 311. It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base portion 311.
상기 체결부(353)는, 상기 전면커버부(351)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부(31) 방향으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체결부(353)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부(31)와 상기 커버부(35)가 결합되었을 때, 내측에 광원부(33)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353)의 단부(3531)는 상기 연결부(319)와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전술한 연결부(319)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353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vertically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cover portion 351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31, respectively.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art 353, when the support part 31 and the cover part 35 are coupled, a space in which the light source part 33 can be located can be formed inside. The end portion 3531 of the fastening portion 353 may be formed in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shape of the afor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319 for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19.
상기 제어부(37)는,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광원부(33)를 제어하는 구성을 말한다.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통해 원격에서 제어신호를 보내면, 이러한 신호를 감지한 제어부(37)가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33)의 밝기, 색, 온/오프 등을 제어하게 되는바,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창틀(1)의 광원색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37 refers to a configuration that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33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When a control signal is sent remotely through a remote controller, etc., the control unit 37, which detects this signal, controls the brightness, color, on/off, etc. of the light source unit 33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making it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light source color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의 사용상태도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창틀(1)은 상기 프레임부(10)의 실내 전측에 광변색부(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바, 기존의 창틀 프레임부(10)에 호환가능한 광변색부(30)를 프레임부(10)에 결합시키고, 전원을 인가해 빛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무체색 등으로 단조로웠던 창틀의 색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실내 공간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또한 이러한 광변색부(30)는 기존의 창틀 프레임부(10)를 훼손시키는 것 없이 프레임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창틀에 부착시키거나 뗄 수 있게 된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scope equivalent to the written disclosure, and/or within the scope of technology or knowledge in the art. The written examples illustrate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bov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dditionall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other embodiments as well.
1: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
10: 프레임부
30: 광변색부
31: 지지부
311: 베이스부
313: 제1연장부
315: 제2연장부
317: 제3연장부
319: 연결부
3191: 제1수직부
3192: 제1경사부
3193: 제2경사부
3194: 제3경사부
3195: 제2수직부
3196: 수평부
33: 광원부
35: 커버부
351: 전면커버부
353: 체결부
3531: 단부
37: 제어부1: A window frame that can change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10: frame part
30: Photochromic section
31: support part
311: base part
313: 1st extension
315: second extension
317: Third extension
319: connection
3191: First vertical part
3192: 1st Sgt.
3193: 2nd Light Division
3194: 3rd Light Division
3195: Second vertical part
3196: horizontal part
33: Light source unit
35: cover part
351: Front cover part
353: fastening part
3531: end
37: control unit
Claims (10)
상기 광변색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와, 상기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부가 결합되는 면을 제공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전면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연장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연장부가 만나는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만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된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1경사부와, 상기 제1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2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제3경사부와, 상기 제3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2수직부와, 상기 제2수직부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It includes a photochromic part that is coupled to the frame part that forms the body of the window frame and emits light,
The photochromic unit includes a support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a light source part coupled to the support and emitting light, and a cover part re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base portion positioned on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while providing a surface to which the light source portion is couple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surrounding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It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ortion and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frame portion,
The support part includes a connection part located at a part where the base part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meet and/or a part where the base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meet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part,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por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obliquel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and an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obliquely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portion, a third inclined portion obliquely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base portion, and an end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hird inclined portion to the base. A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comprising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unit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 connect the end of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
상기 광변색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실내측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According to paragraph 1,
A window frame capable of changing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wherein the photochromic portion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interior side of the frame portion.
상기 광변색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와, 상기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부가 결합되는 면을 제공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전면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연장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연장부가 만나는 부분 및/또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만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대향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각각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이 가능한 창틀.It includes a photochromic part that is coupled to the frame part that forms the body of the window frame and emits light,
The photochromic unit includes a support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a light source part coupled to the support and emitting light, and a cover part re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base portion positioned on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while providing a surface to which the light source portion is coupled,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surrounding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It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ortion and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frame portion,
The support part includes a connection part located at a part where the base part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meet and/or a part where the base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meet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part,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to detachably couple the cover portion,
The cover part includes a front cover part facing the base part, and a fastening part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cover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respectively, and an end of the fastening part is complementary to the connecting part. A window frame that can change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to a shape.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3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 가능한 창틀.According to claim 1 or 8,
The support portion is a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hird extension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상기 광변색부는,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광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해 다양한 색으로 변색 가능한 창틀.According to claim 1 or 8,
The photochromic unit is a window frame that can change color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light source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5988A KR102649047B1 (en) | 2021-12-23 | 2021-12-23 |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5988A KR102649047B1 (en) | 2021-12-23 | 2021-12-23 |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6482A KR20230096482A (en) | 2023-06-30 |
KR102649047B1 true KR102649047B1 (en) | 2024-03-19 |
Family
ID=8695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5988A Active KR102649047B1 (en) | 2021-12-23 | 2021-12-23 |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904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662Y1 (en) * | 2004-03-25 | 2004-07-07 | 영흥기업(주) | Double windows and doors associativity |
KR101693194B1 (en) * | 2016-06-30 | 2017-01-05 | 조두희 | Media automatic door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1763A (en) * | 1996-04-24 | 1997-11-11 | Hidejiro Hamashima | Sash bar |
KR200279190Y1 (en) | 2002-03-29 | 2002-06-22 | 심학보 | window frame attached wrap |
-
2021
- 2021-12-23 KR KR1020210185988A patent/KR1026490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662Y1 (en) * | 2004-03-25 | 2004-07-07 | 영흥기업(주) | Double windows and doors associativity |
KR101693194B1 (en) * | 2016-06-30 | 2017-01-05 | 조두희 | Media automatic doo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6482A (en) | 2023-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914263S1 (en) | Ceiling light | |
USD948773S1 (en) | LED ceiling light | |
CN105042434B (en) | The light fixture skeleton structure that can be attached on architectural top and integrated lamp island | |
USD599458S1 (en) | Combined ceiling fan and light | |
US10139099B2 (en) | Light ring loudspeaker system | |
USD996379S1 (en) | Modular display | |
US9375103B1 (en) | Illuminated image assembly | |
KR102649047B1 (en) | Window Frame That Can Be Changed To Various Colors Using A Light Source | |
US10933541B2 (en) | Robot and method of installing signal lamp in robot | |
CN103747373A (en) | Sound box with LED (light emitting diode) color light effect | |
USD886264S1 (en) | Ceiling attaching type air conditioner | |
CN104481099A (en) | Columnar decorating part capable of forming suspended ceiling layer structure protruding out of plane | |
USD476596S1 (en) | African American flag | |
US20050144715A1 (en) | Shower screen provided with lighting | |
KR102347942B1 (en) | LED mood light | |
CN204386071U (en) | The column decoration protruding from plane furred ceiling layer structure can be formed | |
CN210197128U (en) | Integrated LED optical fiber light-emitting ceiling | |
KR200487421Y1 (en) | Profile for Stretching Sheet Illumination System | |
KR101673570B1 (en) | Lighting apparatus that can express variety color and images | |
KR102776409B1 (en) | Outer wall side finishing material of the building equipped with LED | |
CN213025257U (en) | Laser house number plate with crystal | |
CN218668350U (en) | Edge line folding structure and integrated top wall | |
KR200444967Y1 (en) | Ceiling light | |
KR101840664B1 (en) | Variable Construction Wall | |
KR200475565Y1 (en) | t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