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8609B1 -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09B1
KR102648609B1 KR1020190019288A KR20190019288A KR102648609B1 KR 102648609 B1 KR102648609 B1 KR 102648609B1 KR 1020190019288 A KR1020190019288 A KR 1020190019288A KR 20190019288 A KR20190019288 A KR 20190019288A KR 102648609 B1 KR102648609 B1 KR 10264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ing
power
information
exter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096A (ko
Inventor
조성준
이정민
최한솔
하영미
김유수
박경민
이주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09B1/ko
Priority to PCT/KR2019/015759 priority patent/WO2020171349A1/en
Priority to EP19916428.6A priority patent/EP3888341A4/en
Priority to US16/698,741 priority patent/US11251655B2/en
Publication of KR2020010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용 코일, 무선 충전 회로,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한 때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다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무선 충전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
전자 장치들은 최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별도의 단자를 구비하고, 전력 공급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무선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무선 충전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가 별도의 충전 커넥터와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고,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올려 놓는 근접 접촉을 통해서, 배터리의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각각에 커패시터(capacitor)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중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들 중 일방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커패시터 떨림 현상이 통화 품질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용 코일,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 상기 전력 관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한 때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다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용 코일,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통신 회로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 상기 전력 관리 모듈,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중 통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을 중단하고 대기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의 수신을 허용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용 코일,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통신 회로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 상기 전력 관리 모듈,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통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상기 무선 충전 회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활성화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충전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기 전까지 무선 충전 전력 송수신을 제어함으로써 커패시터 떨림 현상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통화 품질 저해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 및 배터리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기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력 관리 모듈(188) 및 배터리(189)에 대한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충전 회로(210), 전력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210)는 전자 장치(101)에 대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회로(210)는 외부 전원의 종류(예: 전원 어댑터, USB 또는 무선충전),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력의 크기(예: 약 20와트 이상), 또는 배터리(189)의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충전 방식(예: 일반 충전 또는 급속 충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전자 장치(101)와, 예를 들면, 연결 단자(178)을 통해 유선 연결되거나, 또는 안테나 모듈(197)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예를 들면,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레벨 또는 전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다른 전압 또는 다른 전류 레벨을 갖는 복수의 전력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력 조정기(220)는 상기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189)의 전력을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에게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조정기(220)는 LDO(low drop out) regulator 또는 switching regulat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게이지(230)는 배터리(189)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예: 배터리(189)의 용량, 충방전 횟수, 전압,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충전 회로(210), 전압 조정기(220), 또는 전력 게이지(230)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사용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충전과 관련된 충전 상태 정보(예: 수명,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과충전, 과방전(over discharge), 과열, 단락, 또는 팽창(swelling))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상기 결정된 충전 상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배터리(189)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189)의 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력 관리 모듈(188)은 배터리(189)에 대한 충전을 조정(예: 충전 전류 또는 전압 감소, 또는 충전 중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외부 제어 장치(예: 프로세서(12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보호 회로(protection circuit module(PCM))(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는 배터리(189)의 성능 저하 또는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예: 사전 차단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회로(240)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셀 밸런싱, 배터리의 용량 측정, 충방전 횟수 측정, 온도 측정, 또는 전압 측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BMS))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의 상기 사용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충전 상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모듈(176) 중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 전원 게이지(2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188)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모듈(176) 중 상기 해당하는 센서(예: 온도 센서)는 배터리 보호 회로(240)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이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배터리(189)의 인근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기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제1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제2 전자 장치(302)(예: 도 1의 전자 장치(102))가 모두 무선 전력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 표현하였으나 둘 중 하나의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만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문서에서는 제1 전자 장치(301)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제2 전자 장치(302)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설명하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와 동일한 구성이거나 무선 전력 송신 기능만 제거된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311)(예: 도 1의 프로세서(120)), 전력 관리 모듈(PMIC, power management IC)(321), 배터리(331)(예: 도 1의 배터리(189)), 무선 충전 회로(wireless charging IC)(341), 무선 충전용 코일(351), 연결 단자(361)(예: 도 1의 연결 단자(178)) 및/또는 통신 회로(371)(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Tx mode 단말)로 동작하는 경우, 무선 충전 회로(341)는 무선 전력 송신 회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는 프로세서(312)(예: 도 1의 프로세서(120)), 전력 관리 모듈(PMIC, power management IC)(322), 배터리(332)(예: 도 1의 배터리(189)), 무선 충전 회로(wireless charging IC)(342), 무선 충전용 코일(352), 연결 단자(362)(예: 도 1의 연결 단자(178)) 및/또는 통신 회로(372)(예: 도 1의 통신 모듈(1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302)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Rx mode 단말)로 동작하는 경우, 무선 충전 회로(342)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351, 352)은 인쇄 회로 기판(예: FPCB) 상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도전성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회로(341,342)는 full bridge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충전 회로(341,342)는 무선 전력 송신 동작에서 상기 full bridge회로를 inverter(DC → AC)로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무선 전력 수신 동작에서는 full bridge 회로를 rectifier (AC → DC)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회로(341, 342)는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송신 회로 또는 무선 전력 수신 회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회로(341, 342)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에 따라 제 2 전자 장치(302)와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밴드 통신은 코일(351)과 코일(352)간의 무선 전력 전송 상황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신호의 frequency나 amplitude 변조를 통해 제 1 전자 장치(301) 및 제 2 전자 장치(302)들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1, 302)의 ID(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모델명 또는 식별 정보) 또는 충전 동작 모드 정보(예를 들어, 송/수신 되는 전력, 전압, 정류에 관한 정보 및 동작 모드 변경을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301) 및 제 2 전자 장치(302)들 간의 통신은 아웃-밴드(out-band)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웃-밴드 통신은 무선 전력 신호와는 다른 것으로, NFC, 블루투스, 또는 WiFi 와 같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21, 322)는 유선 및 무선 입력 전원을 배터리(331)로 충전하는 charger 기능, USB 단자에 연결된 외부 전원 장치(예: travel adapter)와 통신(예: USB battery charging 스펙, USB PD(power delivery)통신, AFC 통신, 및/또는 QC(quick charge) 통신)하는 기능, 시스템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 및 각 소자마다 필요로 하는 전압 레벨에 맞는 전원을 공급해주는 기능, 및/또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드에서 무선 충전 회로(341, 342)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 (361, 362)는 USB 표준을 따르는 단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단자(361, 362)는 USB 충전, 및/또는 OTG(on the go) 전원 공급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361, 362)는 외부 전원 소스(예: TA(travel adaptor), Battery pack)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연결 단자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71, 372) 셀룰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예: 3G, LTE, 5G, Wibro 또는 Wimax)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371, 372)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BLE), UWB)을 이용해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 302)는 통신 회로(371, 372)를 통해 주파수 통신을 이용한 통화 이벤트(예: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 302)들은 통신 회로(371, 372)를 통해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301, 302)는, 전자기 유도 방식, 전자기 공진 방식, RF 무선 파워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 302)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충전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 코일에서 전기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초한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은, 예를 들어,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또는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 302)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무선 충전용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을 특정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 단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기 공진 방식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AF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에서 정의된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를 서로 근접시켜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을 위하여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가 서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해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배터리(331)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모드(Tx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301)는 유선 전력 공급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외부 전원을 무선 전력 송신 모드에 우선적으로 활용하고 남은 전력을 배터리(331)로 충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연결 단자(361)에 외부 전원(303)(예: 상용 전원)이 연결된 경우, 제1 전자 장치(301)는 외부 전원(303)으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제2 전자 장치(302)로 송신할 수 있고, 연결 단자(361)에 외부 전원(303)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배터리(331)에 저장된 전력을 제2 전자 장치(302)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1 전자 장치(301))가 무선 전력 송신 모드(Tx mode)로 동작하는 것은, 상기 전자 장치가 코일(351)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에게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분 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가 무선 전력 수신 모드(Rx mode)로 동작하는 것은, 상기 전자 장치(302)가 코일(352)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2)를 충전하는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드(Tx mode)가 활성화되면, 지정된 표준(예: WPC 표준)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와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PC 표준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관련 동작 단계는 핑 단계(ping detection phase 또는 ping phase),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는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phase), 또는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핑 단계는 핑 신호(ping signal)을 전송(transmit)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전자 장치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회로가 핑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핑 신호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회로는 응답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회로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및 구성 단계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간의 통신을 통해 전력 전송량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게 전송할 지정된 무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전송 단계는 상기 지정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이고, 예를 들면,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게 상기 지정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3개의 단계를 수행하여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고, 무선 전력 송신 모드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3개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301)가 핑 단계(ping phase)에 진입하는 경우,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지 않고, 핑 신호만을 송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핑 단계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지는 않지만 외부 전자 장치(302)로부터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301)는 전력 전송 단계로 진입하여, 외부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지 않기 위해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2)가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301)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302)가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은,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전력의 수신을 중단함으로써 배터리(332) 충전을 중단하고 대기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가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고, 제2 전자 장치(302)가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332)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수행 중 제1 전자 장치(301) 또는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제1 전자 장치(301) 및 제2 전자 장치(302)의 코일(351, 352)에서 송수신한 전력을 관리하는 무선 충전 회로(341, 342)에 포함된 커패시터에서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패시터 떨림 현상은 통화 품질을 저해하는 노이즈(noise)로 작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중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 및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401에서, 제1 전자 장치(301)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Tx mode)로 동작하고, 제2 전자 장치(302)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Rx mode)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회로(341)는, 프로세서(311)의 제어 하에,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342)는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수신한 무선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2)를 충전하도록 전력 관리 모듈(322)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무선 충전 수행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주파수 통신에 기초한 통화 송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배터리(332) 충전을 중단하고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342)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332)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상태가 아닌,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동작 4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제1 전자 장치(301)로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관련 동작 단계를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도록 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회로(341)로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0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핑 단계는,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예: 제1 전자 장치(301))가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지 않고, 핑 신호(ping signal)만을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가 핑 단계에 진입한 경우, 제1 전자 장치(301)는 핑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가 핑 단계에 진입한 경우,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전력을 제2 전자 장치(302)로 송신하지 않지만,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무선 충전과 관련된 패킷 형태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41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발생한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41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342)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동작 41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코일(352)을 통해 제1 전자 장치(301)로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관련 동작 단계를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전환하도록 하여,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도록 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회로(341)로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1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다시 진입하여,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를 해제하고,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41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해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개시된 동작흐름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중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301) 및 제2 전자 장치(302) 각각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Tx mode)로 동작하고, 제2 전자 장치(302)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Rx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01)는 전력 전송 단계로 진입하여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해,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전력을 제2 전자 장치(302)로 전송하는 중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가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도록 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동작 53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핑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는 핑 신호(ping signal)만을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는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 중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가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전환하도록 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동작 55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력 전송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해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60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수신한 무선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2)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력 관리 모듈(322)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6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배터리(332) 충전 수행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동작 601로 분기하여, 제2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전력을 계속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동작 605로 분기하여, 배터리(332) 충전을 중단하고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342)가 비활성화된 상태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332)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상태가 아닌,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동작 6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로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가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도록 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동작 60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경우, 동작 611에서,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를 활성화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342)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동작 61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로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가 전력 전송 단계에 진입 하여,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도록 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동작 61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342)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수신한 무선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2) 충전을 재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중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 및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01에서, 제1 전자 장치(301)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동작하고, 제2 전자 장치(302)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무선 충전 수행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주파수 통신에 기초한 통화 송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배터리 충전을 중단하고 대기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제1 전자 장치(301)로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관련 동작 단계를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도록 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회로(341)로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핑 단계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1)가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지 않고, 핑 신호(ping signal)만을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71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한 때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시간은 디폴트(default)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값일 수도 있다.
동작 71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전력 전송 단계에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에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해 무선 충전 전력을 제2 전자 장치(302)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71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우선적으로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예를 들어,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아직 종료되지 않은 경우 제1 전자 장치(301)로 제1 정보를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제1 정보를 재수신할 수 있고,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제1 정보를 재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다시 지정된 시간 동안 핑 단계에 진입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721에서,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발생한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2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동작 72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다시 진입한 때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2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다시 진입한 때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전력 전송 단계에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에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72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회로(341)는, 프로세서(311) 제어 하에,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342)는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수신한 무선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2) 충전을 재개하도록 전력 관리 모듈(322)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개시된 동작흐름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중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301) 및 제2 전자 장치(302) 각각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Tx mode)로 동작하고, 제2 전자 장치(302)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Rx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0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한 때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진입한 때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동작 81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해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전송할 수 잇다.
동작 81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제1 정보를 재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정보를 재수신한 경우, 동작 805로 분기하여, 제1 전자 장치(301)는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단계에 다시 진입하도록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정보를 재수신하지 않은 경우, 동작 815로 분기하여,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계속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가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제2 전자 장치(302)의 배터리(332) 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는 수신한 무선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2)를 충전하도록 전력 관리 모듈(322)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는 배터리 충전 수행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수행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동작 905로 분기하여, 제2 전자 장치(302)는 배터리(332) 충전을 중단하고 대기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수행 중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동작 901로 분기하여 제2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 전력을 계속 수신하여 배터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로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0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이 재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무선 충전 회로는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없을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이 재 수신되는 경우, 동작 911에서,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로 제1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정보 재전송 후 동작 913으로 분기하여,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이 재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동작 913으로 분기하여, 제2 전자 장치(302)는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913에서 발생한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한 결과,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동작 909로 분기하여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이 재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경우, 동작 915로 분기하여, 제2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는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동작 91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02)의 프로세서(312)는 수신한 무선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재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301)와 제2 전자 장치(302) 간에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중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동작하는 제1 전자 장치(301)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의 제1 전자 장치(301)의 동작흐름도이다.
동작 100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회로(341)는, 프로세서((311) 제어 하에,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통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주파수 통신에 기초한 통화 송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1)를 비활성화하여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기능을 off하여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동작 10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발생한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잇다.
동작 100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1)를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의 무선 충전 회로(341)는, 제2 전자 장치(302)로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기능을 on하여 충전 전력 송신을 재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2 전자 장치(302)를 식별하고, 무선 충전 전력을 제2 전자 장치(302)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무선 충전용 코일(351),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3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341),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321), 배터리(331)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 상기 전력 관리 모듈(321) 및 상기 배터리(331)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1)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311)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한 때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다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1) 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재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다시 중단하고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다시 중단한 때부터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제1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단계를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제1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1)는, 상기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 중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제2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단계를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1)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하여,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1) 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핑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가 근접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근접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연결 단자(36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311) 는, 상기 연결 단자(361)에 외부 전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 단자(361)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배터리(331)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전력 관리 모듈(321)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2)는, 무선 충전용 코일(352),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3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342),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322), 배터리(332), 통신 회로(372)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2), 상기 전력 관리 모듈(322), 상기 배터리(332) 및 상기 통신 회로(372)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2)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312)는,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332)를 충전하는 중 통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332) 충전을 중단하고 대기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2)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의 수신을 허용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2)에서 프로세서(312) 는,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1 전자 장치(301))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를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재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2)에서 제1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1 전자 장치(301))의 동작 단계를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2)에서 프로세서(312) 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활성화한 이후,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1 전자 장치(301))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해 제2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2)에서 제2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단계를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2)에서 프로세서(312)는, 무선 충전 회로(342)를 통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2)에서 프로세서(312)는,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2)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301)는 무선 충전용 코일(351),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3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341),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321), 배터리(331), 통신 회로(371)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 상기 전력 관리 모듈(321), 상기 배터리(331) 및 상기 통신 회로(371)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311)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311)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통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341)를 활성화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상기 프로세서(311)는, 무선 충전 회로(341)를 활성화한 후 핑 신호를 송신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의 근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근접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에서 프로세서(311)는,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회로(341)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1)는 연결 단자(361)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311)는, 상기 연결 단자(361)에 외부 전원(예: 도 3의 외부 전원(303))이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 단자(361)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배터리(331)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전력 관리 모듈(321)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충전용 코일;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 상기 전력 관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통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 전력의 송신이 중단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고,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중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핑 신호만을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한 때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근접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근접 거리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근접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다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재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다시 중단하고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다시 중단한 때부터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상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단계를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인,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형태의 정보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 중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핑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을 다시 송신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단계를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인,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단자에 외부 전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한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 단자에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충전용 코일;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회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관리 모듈;
    배터리;
    통신 회로;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 상기 전력 관리 모듈,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충전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중 통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을 중단하고 대기 상태로 동작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중단하고 핑 신호만을 송수신하는 상태로 동작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근접 거리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근접 거리에 위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무선 전력 충전이 가능한 근접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대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의 수신을 다시 허용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활성화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 전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재전송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단계를 전력 전송 단계에서 핑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인,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활성화한 이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제2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동작 단계를 핑 단계에서 전력 전송 단계로 전환하기 위한 패킷 형태의 정보인, 전자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화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가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19288A 2019-02-19 2019-02-19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ctive KR10264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88A KR102648609B1 (ko) 2019-02-19 2019-02-19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CT/KR2019/015759 WO2020171349A1 (en) 2019-02-19 2019-11-18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EP19916428.6A EP3888341A4 (en) 2019-02-19 2019-11-18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HARGE CONTROL METHOD
US16/698,741 US11251655B2 (en) 2019-02-19 2019-11-2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88A KR102648609B1 (ko) 2019-02-19 2019-02-19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96A KR20200101096A (ko) 2020-08-27
KR102648609B1 true KR102648609B1 (ko) 2024-03-18

Family

ID=7204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88A Active KR102648609B1 (ko) 2019-02-19 2019-02-19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1655B2 (ko)
EP (1) EP3888341A4 (ko)
KR (1) KR102648609B1 (ko)
WO (1) WO2020171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4375B2 (en) 2020-07-02 2023-11-21 Apple Inc. State of charge information for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US11081911B1 (en) * 2020-08-21 2021-08-03 Apple Inc. Enhanced wireless power transfer
WO2022045863A1 (ko) * 2020-08-31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
KR102752195B1 (ko) * 2020-09-16 2025-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치 안테나 및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270893B (zh) * 2021-06-22 2024-04-12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关断系统控制方法及其应用系统
CN118282056B (zh) * 2024-06-04 2024-09-03 歌尔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设备、方法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540B1 (ko) 2011-03-21 201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무선 충전기, 무선 충전되는 전자 기기
US9054747B2 (en) 2012-03-26 2015-06-09 Lg Innotek Co., Ltd. Mobile terminal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EP2870677B1 (en) * 2012-07-06 2018-09-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ally changing frequency in wireless power transfer
WO2014020464A2 (en) * 2012-07-30 2014-02-06 Koninklijke Philips N.V. Wireless inductive power transfer
TWM450898U (zh) * 2012-11-30 2013-04-11 ming-xiang Ye 具有旁路控制之雙向無線充放電裝置
KR20140117185A (ko) * 2013-03-26 2014-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KR102126713B1 (ko) * 2013-08-13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65346B1 (ko) * 2015-03-27 2022-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방법
JP6700911B2 (ja) * 2016-03-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20068B1 (ko) 2016-08-31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630656B1 (ko) * 2016-11-0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13219A (ko) * 2017-08-01 2019-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1655B2 (en) 2022-02-15
EP3888341A1 (en) 2021-10-06
WO2020171349A1 (en) 2020-08-27
KR20200101096A (ko) 2020-08-27
US20200266650A1 (en) 2020-08-20
EP3888341A4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074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US115752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 and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102732914B1 (ko) 외부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648609B1 (ko)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4715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102659965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주파수 간섭 제어 방법
US113229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wireless power-sharing
KR102434405B1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645147B1 (ko) 복수의 부분들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
US11862990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3383479B (zh) 用于对外部装置无线充电的电子装置
KR10271982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2020004237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102653440B1 (ko) 무선 전력 송신 및 수신 장치 및 그 전력 조정 방법
KR20210128607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698751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22012020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발열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