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7778B1 -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778B1
KR102647778B1 KR1020220045613A KR20220045613A KR102647778B1 KR 102647778 B1 KR102647778 B1 KR 102647778B1 KR 1020220045613 A KR1020220045613 A KR 1020220045613A KR 20220045613 A KR20220045613 A KR 20220045613A KR 102647778 B1 KR102647778 B1 KR 10264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path
time
delay
rea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6784A (ko
Inventor
전계익
공동욱
Original Assignee
알에프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프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프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778B1/ko
Priority to PCT/KR2022/012782 priority patent/WO2023200048A1/ko
Priority to US17/946,422 priority patent/US12160289B2/en
Publication of KR2023014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7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43Mixed mode, TDM and FDM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42Simultaneous measurement of distance and other co-ordinates
    • G01S13/44Monopulse radar, i.e. simultaneous lobing
    • G01S13/4445Monopulse radar, i.e. simultaneous lobing amplitude comparisons monopulse, i.e. comparing the echo signals received by an antenna arrangement with overlapping squinted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89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3/90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using synthetic aperture techniques, e.g.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echniques
    • G01S13/904SAR m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82Time delay steered arrays
    • H01Q3/2694Time delay steered arrays using also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2013/0236Special technical features
    • G01S2013/0245Radar with phased array antenna
    • G01S2013/0254Active array anten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제 1 증폭기, 위상 변위기, 가변 감쇄기 및 제 2 증폭기로 구성되는 빔포밍부를 다수(m)로 포함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마다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m/2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및 상기 m/2 개의 실시간 지연기들 각각으로 전달되는 RF 신호와 국부 발진 신호를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Method for rectifying beam squint of frequency conversion of active phase array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위상 천이기마다 실시간 지연기를 배치하여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빔 조향 방향을 설정한 RF 신호의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의 빔 편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믹서를 채용하여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위상 배열 안테나(Phase Array Antenna)를 채용하는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위상 배열 안테나 각각에 위상 천이기를 배치하여 빔조향에 필요한 위상을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위상 천이기를 사용한 위상 배열 안테나(Phase Array Antenna)를 채용하는 안테나 시스템이 밀리미터파 5G 통신 같은 순시 대역폭이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구동되는 경우에, 빔조향을 설정한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는 조향되는 RF 신호의 빔이 심각하게 편이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밀리미터파 5G 통신 방식은 28 GHz 신호를 기반으로 순시 대역폭이 800 MHz에 이르고 있다. 즉, 중심 주파수가 28GHz인 5G 통신 방식은 27.6 GHz ~ 28.4 GHz에서 동작될 수 있고, 이 경우 28GHz에서 특정 방향으로 빔이 조향되도록 설정되면, 27.6GHz 또는 28.4GHz에서는 빔편이 현상이 발생되어 설정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빔이 조향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08365에 게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위상 천이기마다 실시간 지연기를 배치하여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빔 조향 방향을 설정한 RF 신호의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의 빔 편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믹서를 채용하여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안테나, 제 1 증폭기, 위상 변위기, 가변 감쇄기 및 제 2 증폭기로 구성되는 빔포밍부를 다수(n)로 포함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마다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n/2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마다 배치되는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2개마다 제 2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n/4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및 상기 n/2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n/4 개의 제 2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 신호를 국부 신호 및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는 제 1 지연 경로, 제 2 지연 경로, 제 3 지연 경로, 제 4 지연 경로, 제 5 지연 경로 및 제 6 지연 경로로 구성되고, 제 2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2 배이며, 제 3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4 배이고, 제 4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8 배이며, 제 5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16 배이고, 제 6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32 배인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안테나, 제 1 증폭기, 위상 변위기, 가변 감쇄기 및 제 2 증폭기로 구성되는 빔포밍부를 다수(q)로 포함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인접하는 w 개의 빔포밍부마다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q/w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인접하는 y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마다 제 2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q/(w*y)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및 상기 q/w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q/(w*y) 개의 제 2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 신호를 국부 신호 및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는 제 1 지연 경로, 제 2 지연 경로, 제 3 지연 경로, 제 4 지연 경로, 제 5 지연 경로 및 제 6 지연 경로로 구성되고, 제 2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2 배이며, 제 3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4 배이고, 제 4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8 배이며, 제 5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16 배이고, 제 6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32 배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다수의 위상 천이기마다 실시간 지연기를 배치하여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빔 조향 방향을 설정한 RF 신호의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의 빔 편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믹서를 채용하여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이 적용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이 적용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회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채용되는 실시간 지연기의 세부 회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이 적용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안테나, 제 1 증폭기, 위상 천이기, 가변 감쇄기 및 제 2 증폭기로 구성되는 빔포밍부(BF1 내지 BF16)를 다수로 포함한다. 여기에서,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이 송신단에 채용되는 경우에는, 제 1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로, 제 2 증폭기는 게인 블록 증폭기로 구성되며,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이 수신단에 채용되는 경우에는, 증폭기의 방향이 반대이며 제 1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기로, 제 2 증폭기는 게인 블록 증폭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빔포밍부(BF1 내지 BF16)가 16개(m)로 구성되는 경우에,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마다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8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한다.
한편, 실시간 지연기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지연 경로(L1), 제 2 지연 경로(L2), 제 3 지연 경로(L3), 제 4 지연 경로(L4), 제 5 지연 경로(L5) 및 제 6 지연 경로(L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지연 경로(L2)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2 배이며, 제 3 지연 경로(L3)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4 배이고, 제 4 지연 경로(L4)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8 배이며, 제 5 지연 경로(L5)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16 배이고, 제 6 지연 경로(L6)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32 배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연 시간(T1)이 1ps인 경우에, 제 2 지연 시간(T2)은 2ps이고, 제 3 지연 시간(T3)은 4ps이며, 제 4 지연 시간(T4)은 8ps이고, 제 5 지연 시간(T5)은 16ps이며, 제 6 지연 시간(T6)은 32ps이므로, 지연 시간은 0ps ~ 63ps의 범위에서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 신호를 국부 신호 및 믹서(MX1, MX2, MX3, MX4)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상기 RF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와 능동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상기 RF 신호의 주파수)가 다를 경우 믹서(MX1, MX2, MX3, MX4)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주파수를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주파수의 실시간 지연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8(m/2) 개의 실시간 지연기 각각을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마다 배열함으로써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고, 빔포밍부(BF1 내지 BF16) 각각에 구성되어 있는 위상 천이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1 차적으로 실시간 지연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고, 2 차적으로 빔포밍부(BF1 내지 BF16) 각각에 구성되어 있는 위상 천이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빔 조향 방향을 설정한 RF 신호의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의 빔 편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이 적용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안테나, 제 1 증폭기, 위상 천이기, 가변 감쇄기 및 제 2 증폭기로 구성되는 빔포밍부(BF1 내지 BF16)를 다수로 포함한다. 여기에서,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이 송신단에 채용되는 경우에는, 제 1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로, 제 2 증폭기는 게인 블록 증폭기로 구성되며,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이 수신단에 채용되는 경우에는, 증폭기의 방향이 반대이며 제 1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기로, 제 2 증폭기는 게인 블록 증폭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빔포밍부(BF1 내지 BF16)가 16개(n)로 구성되는 경우에,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마다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8 개(TD11, TD12, TD21, TD22)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인접하는 2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마다 제 2 실시간 지연기 4 개(TD10, TD20)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한다.
한편, 제 1 실시간 지연기(TD11, TD12, TD21, TD22)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TD10, TD20)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지연 경로(L1), 제 2 지연 경로(L2), 제 3 지연 경로(L3), 제 4 지연 경로(L4), 제 5 지연 경로(L5) 및 제 6 지연 경로(L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지연 경로(L2)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2 배이며, 제 3 지연 경로(L3)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4 배이고, 제 4 지연 경로(L4)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8 배이며, 제 5 지연 경로(L5)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16 배이고, 제 6 지연 경로(L6)의 길이는 제 1 지연 경로(L1)의 32 배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연 시간(T1)이 1ps인 경우에, 제 2 지연 시간(T2)은 2ps이고, 제 3 지연 시간(T3)은 4ps이며, 제 4 지연 시간(T4)은 8ps이고, 제 5 지연 시간(T5)은 16ps이며, 제 6 지연 시간(T6)은 32ps이므로, 지연 시간은 0ps ~ 63ps의 범위에서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제 1 실시간 지연기(TD11, TD12, TD21, TD22)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TD10, TD20)의 동작 주파수 신호를 국부 신호 및 믹서(MX1, MX2, MX3, MX4)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상기 RF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와 능동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상기 RF 신호의 주파수)가 다를 경우 믹서(MX1, MX2, MX3, MX4)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를 상기 RF 신호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주파수의 실시간 지연기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8(n/2)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TD11, TD12, TD21, TD22) 및 4(n/4) 개의 제 2 실시간 지연기(TD10, TD20)를 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에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고, 빔포밍부(BF1 내지 BF16) 각각에 구성되어 있는 위상 천이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1 차적으로 제 1 실시간 지연기(TD11, TD12, TD21, TD22)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TD10, TD20)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고, 2 차적으로 빔포밍부(BF1 내지 BF16) 각각에 구성되어 있는 위상 천이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빔 조향 방향을 설정한 RF 신호의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의 빔 편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빔포밍부(BF1 내지 BF16)가 1024 개(p)로 구성되는 경우에, 인접하는 256 개(x)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마다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4 개(p/x)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4(p/x) 개의 실시간 지연기(TD1, TD2, TD3, TD4) 각각을 인접하는 256 개(x)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마다 배열함으로써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고, 1024 개(p)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 각각에 구성되어 있는 위상 천이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빔포밍부(BF1 내지 BF16)가 1024 개(q)로 구성되는 경우에, 인접하는 256 개(w)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마다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4(q/w) 개(TD11, TD12, TD21, TD22)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고, 상기 인접하는 2 개(y)의 제 1 실시간 지연기마다 제 2 실시간 지연기 2(q/(w*y)) 개(TD10, TD20)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은 4(q/w)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TD11, TD12, TD21, TD22) 및 2(q/(w*y)) 개의 제 2 실시간 지연기(TD10, TD20)를 캐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배열함으로써, 인접하는 256 개(w)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의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고, 1024 개(q)의 빔포밍부(BF1 내지 BF16) 각각에 구성되어 있는 위상 천이기를 이용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BF1 내지 BF16 : 빔포밍부
L1 : 제 1 지연 경로
L2 : 제 2 지연 경로
L3 : 제 3 지연 경로
L4 : 제 4 지연 경로
L5 : 제 5 지연 경로
L6 : 제 6 지연 경로
T1 : 제 1 지연 시간
T2 : 제 2 지연 시간
T3 : 제 3 지연 시간
T4 : 제 4 지연 시간
T5 : 제 5 지연 시간
T6 : 제 6 지연 시간
TD11, TD12, TD21, TD22 : 제 1 실시간 지연기
TD10, TD20 : 제 2 실시간 지연기

Claims (4)

  1. 삭제
  2. 안테나, 제 1 증폭기, 위상 변위기, 가변 감쇄기 및 제 2 증폭기로 구성되는 빔포밍부를 다수(n)로 포함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마다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n/2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인접하는 2 개의 빔포밍부마다 배치되는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2개마다 제 2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n/4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및
    상기 n/2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n/4 개의 제 2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 신호를 국부 신호 및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는 제 1 지연 경로, 제 2 지연 경로, 제 3 지연 경로, 제 4 지연 경로, 제 5 지연 경로 및 제 6 지연 경로로 구성되고,
    제 2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2 배이며,
    제 3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4 배이고,
    제 4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8 배이며,
    제 5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16 배이고,
    제 6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32 배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3. 삭제
  4. 안테나, 제 1 증폭기, 위상 변위기, 가변 감쇄기 및 제 2 증폭기로 구성되는 빔포밍부를 다수(q)로 포함하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인접하는 w 개의 빔포밍부마다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q/w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인접하는 y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마다 제 2 실시간 지연기(True Time Delay; TTD) q/(w*y) 개를 배치하여 인가되는 RF 신호의 지연 시간을 조절하는 것; 및
    상기 q/w 개의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q/(w*y) 개의 제 2 실시간 지연기의 동작 주파수 신호를 국부 신호 및 믹서를 사용하여 상기 RF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실시간 지연기 및 제 2 실시간 지연기는 제 1 지연 경로, 제 2 지연 경로, 제 3 지연 경로, 제 4 지연 경로, 제 5 지연 경로 및 제 6 지연 경로로 구성되고,
    제 2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2 배이며,
    제 3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4 배이고,
    제 4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8 배이며,
    제 5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16 배이고,
    제 6 지연 경로는 제 1 지연 경로의 32 배인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KR1020220045613A 2022-04-13 2022-04-13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Active KR10264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13A KR102647778B1 (ko) 2022-04-13 2022-04-13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PCT/KR2022/012782 WO2023200048A1 (ko) 2022-04-13 2022-08-26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US17/946,422 US12160289B2 (en) 2022-04-13 2022-09-16 Frequency conversion beam squint correction method of active phase array antenn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13A KR102647778B1 (ko) 2022-04-13 2022-04-13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784A KR20230146784A (ko) 2023-10-20
KR102647778B1 true KR102647778B1 (ko) 2024-03-14

Family

ID=8830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13A Active KR102647778B1 (ko) 2022-04-13 2022-04-13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160289B2 (ko)
KR (1) KR102647778B1 (ko)
WO (1) WO2023200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6598B1 (ko) * 2024-04-17 2025-04-1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우주감시레이다의 광대역 신호 빔편이 특성 개선을 위한 빔포밍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46B1 (ko) * 2015-12-04 2018-02-28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빔형성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9560B1 (en) * 2002-11-15 2006-03-0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daptive variable true time delay beam-forming system and method
US10135137B2 (en) * 2015-02-20 2018-11-20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Low cost space-fed reconfigurable phased array for spacecraft and aircraft applications
KR102391485B1 (ko) 2016-03-17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432027B1 (en) * 2017-07-20 2021-09-01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High resolution wide swath synthetic aperture radar system
US10784576B2 (en) * 2017-10-13 2020-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True time delay beam former modu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3871291A4 (en) * 2019-01-18 2022-07-27 ViaSa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ON OF A PHASE-CONTROLLED ARRAY ANTENNA
US11589140B2 (en) * 2020-06-08 2023-02-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beamforming device using phased array antenn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677145B1 (en) * 2020-09-08 2023-06-13 Amazon Technologies, Inc. Selective true-time delay for energy efficient beam squint mitigation in phased array antenn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46B1 (ko) * 2015-12-04 2018-02-28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빔형성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048A1 (ko) 2023-10-19
US12160289B2 (en) 2024-12-03
US20230336217A1 (en) 2023-10-19
KR20230146784A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2668B2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antenna arrays therein with enhanced half power beam width (HPBW) control
TWI544829B (zh) 無線網路裝置與無線網路控制方法
US8644367B2 (en) Antenna beam scan un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enna beam scan unit
CN101573634B (zh) 一种线性相控阵及其改进方法
US960218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hase shifter
US10840607B2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antenna arrays therein with enhanced half power beam width (HPBW) control
KR20050083785A (ko) 모바일 무선 기지국
EP3494614B1 (en) Method and transmitter for transmit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89911B2 (en) Compact combiner for phased-array antenna beamformer
US8730104B2 (en) Programmable wide-band radio frequency feed network
US9899736B2 (en) Low cost active antenna system
US20210257731A1 (en) Single beam steering system and multi-beam steering system
US11469501B2 (en) Beam steerable antenna system,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of beam steering an antenna array
KR102647778B1 (ko)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주파수 변환 빔 편이 보정 방법
WO2021170204A1 (en) Phased antenna array circuits
KR102647779B1 (ko)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빔 편이 보정 방법
Shimura et al. A 76–81 GHz active phase shifter for phased array automotive radar in 65nm CMOS
US20190158267A1 (en) Hybrid type transceiver for broadband large area beamforming
Wang et al. Interpolation based wideband beamforming architecture
US10797772B2 (en) Phase shifter, communication device, and phase shifting method
CN119231193B (zh) 一种异频同时接收相控阵天线
US20250150102A1 (en) Fine-tuning method of true time delay system
Nakazawa et al. Beam forming network for reconfigurable antenna of 21-GHz band broadcasting satellite
WO2025087509A1 (en) Transceiver with a beamforming device
Mubeen et al. Smart Antenna Implementation using Phase Shif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