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6490B1 -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90B1
KR102646490B1 KR1020230050447A KR20230050447A KR102646490B1 KR 102646490 B1 KR102646490 B1 KR 102646490B1 KR 1020230050447 A KR1020230050447 A KR 1020230050447A KR 20230050447 A KR20230050447 A KR 20230050447A KR 102646490 B1 KR102646490 B1 KR 102646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filter
cake
plate
waste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근
Original Assignee
이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근 filed Critical 이형근
Priority to KR102023005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와: 상기 바디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판: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과 연통되어, 폐수를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으로 안내하는 배송부; 상기 필터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판은, 복수개의 결합홀을 가지는 제1 필터판; 상기 제1 필터판과 결합되는 제2 필터판; 상기 제1 필터판 및 제2 필터판의 복수개의 결합홀에 관통결합 되는 복수개의 통합유닛을 포함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Device for producing wastewater sediment into cakes}
본 발명은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수 처리시 발생하는 침전물에 대해 구조가 개선된 필터판을 이용하여 케이크(cake)화 시키는 폐수처리용 침전물 케이크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처리란, 시멘트, 골재, 식품, 화학, 제철, 수산물, 제약 또는 페인트 등을 취급하는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폐수에서 유독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정화 또는 회수하여 소정의 허용 한계 수질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독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리적 처리 또는 미생물학적 처리 등의 폐수처리 과정에선 부유물이나 슬러지 등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술한 부유물이나 슬러지 등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 부피가 크고 무겁다. 따라서 폐수처리 과정에는 부유물이나 슬러지 등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과정이 포함된다.
여기서 수분이 제거된 부유물이나 슬러지 등을 케이크(cake)로 이름할 수 있다.
한편, 탈수공법은 자연적인 탈수공법과 기계적인 탈수공법으로 대별되는데, 기계적인 탈수공법에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한 벡큠필터(vacuum filter), 여과판에 압력을 가하여 탈수공정을 행하는 필터프레스(filter press),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분리기, 벨트의 압축압력을 이용한 벨트프레스(belt press) 등의 탈수장치들이 이용된다.
이중, 필터프레스 탈수장치의 경우, 그 내부로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부유물이나 슬러지를 압송하는 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하여 케이크를 만드는데, 압송압력에는 한계가 있어, 케이크에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판에 열을 공급함에 있어 전체적으로 열을 분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크에 수분이 남아 있어 필터에 잔류한 케이크화 되지 않은 이물질이 남아 필터의 정화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22458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159865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필터판에 밀착하여 열을 전달하므로 케이크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터포에 밀착하여 진동을 전달하므로 필터의 자체 재생효과를 극대화하며 필터포에 잔류할 수 있는 케이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디와; 상기 바디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판;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과 연통되어, 폐수를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으로 안내하는 배송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필터판은, 복수개의 결합홀을 형성하는 제1 필터판; 상기 제1 필터판과 결합되는 제2 필터판; 상기 제1 필터판 및 제2 필터판의 복수개의 결합홀에 관통결합 되는 복수개의 통합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통합유닛은, 상기 제1 필터판 및 제2 필터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돌출 결합되어 일측에 밀착하여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부재 외주면에 구성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 외주면에 구성되며 열을 전달하는 열매개체;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열매개체는, 상기 통합유닛의 최외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1필터판 및 제2필터판에 형성된 열매개체결합홈에 밀착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통합유닛은, 상기 제1 필터판 및 제2 필터판에 지그재그로 결합되어 진동 및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필터판과 상기 제2 필터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전도체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판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배송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필터판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바디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 필터판은, 서로 밀착되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각 외각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홀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며, 표면에 구성된 요철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배송부는, 상기 필터판의 관통홀과 연통된 배송관과, 상기 배송관과 연결되며, 상기 배송관을 거쳐 상기 필터프레스로 폐수를 압송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매개체가 필터판에 밀착하여 열을 전달하므로 케이크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진동자가 필터포에 밀착하여 진동을 전달하므로 필터의 자체 재생효과를 극대화하며 필터에 잔류할 수 있는 케이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개체 및 진동자가 통합유닛으로 통합되어 제어가 편리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높은 활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1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필터판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필터판에 필터포가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필터판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필터판 A-A'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필터판 B-B'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에서 폐수가 여과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 제1, 제2, A, B,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1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필터판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필터판에 필터포가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의 필터판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필터판 A-A'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필터판 B-B'의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에서 폐수가 여과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100)는 바디(110), 필터프레스(120) 및 배송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스(120)는 복수의 필터판(121), 복수의 필터포(122), 복수의 통합유닛(210) 및 가압판(12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판(121)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필터판(121)은 크게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에는 상기 통합유닛(210)이 관통결합 될 수 있는 복수개의 결합홀(221)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홀(121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221)의 일측 끝단면에서 가이드부(220)가 돌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은 전면에는 폐수를 공급받는 밀폐공간(300)이 형성될 수 있는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전도체공간(350)이 형성될 수 있는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도체공간(350)은 상기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전도체공간(350)에는 전도체 물질인 액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여 열전도율을 높여주어 상기 각 필터판(121)들이 단시간에 고온으로 온도가 올라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온으로 올라간 필터판(121)들로 인하여 단시간에 폐수를 기준치의 함수율(L%)을 갖는 케이크(c)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도체공간(350)에 공급되어 있는 전도체 물질이 누설되지 않도록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 사이에 개스킷(gasket)(240)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합유닛(210)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통합유닛(210)은 진동자(211), 단열재(212), 열매개체(213)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자(211)는 상기 필터판(121)의 폐수가 공급되는 밀폐공간(300) 방향으로 돌출 결합되어 필터포(122)에 밀착하여 직접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진동자(211)가 필터포(122)에 밀착하여 직접 진동을 전달하므로 상기 필터포(122)는 자체적으로 필터의 재생효과를 올릴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필터포(122)에 잔류할 수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진동자(211) 몸통 외주면에 구성되는 단열재(212)는 열로 인한 진동자(211)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단열재(212)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열매개체(213)는 상기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에 형성된 가이드부(220)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열매개체(213)의 바닥부가 상기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 후면에 형성된 열매개체결합홈(214)에 밀착되어 상기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을 직접 가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열매개체(213)와 밀착되어 상기 전도체공간(350)에 공급되어 있는 전도체 물질을 가열하게 되므로 일정한 온도 유지 및 단시간에 고온으로 올리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공급받은 폐수의 케이크(c)화를 하는 과정에서 단시간에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각 필터판(121)을 고온으로 올려주어 케이크(c)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켜 상기 케이크(c)화를 하는데 필요한 시간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합유닛(210)은 전류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유닛(210)은 상기 제1필터판(121-1)과 제2필터판(121-2)에 효과적인 온도유지 및 단시간에 고온을 형성하고,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 배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그재그 배열로 인하여 협소한 공간에 다수개의 통합유닛(210)을 구성하여 케이크(c)화에 있어서 시간을 단축하고 상기 진동자(211)의 진동으로 인하여 필터포(122)가 자체적으로 필터 재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필터판(121-1) 및 제2필터판(121-2)은 일반적인 복수개의 볼트로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디(110)는 지지부재(111)와 슬라이딩레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1)는 상기 슬라이딩레일(112)을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딩레일(112)을 바닥명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스(120)는 상기 슬라이딩레일(112)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송부(130)에서 상기 필터프레스(120)로 폐수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각 필터판(121)은 서로 밀착되도록 이동하고, 상기 필터프레스(120)에서 폐수의 필터링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필터판(121)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필터판(121) 및 상기 가압판(123)의 양단에는 슬라이딩부재(1201)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슬라이딩부재(1201)는 지지부분(1201a)과 이송부분(1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분(1201a)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필터판(121) 및 상기 가압판(123)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분(1201a)의 하면은 상기 슬라이딩레일(1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분(1201b)은 상기 지지부분(1201a)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분(1201a)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스(120)의 이동을 위해, 상기 바디(110)에는 가압실린더(113)와 이송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실린더(113)는 상기 각 필터판(121)이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가압판(123)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판(123)은 상기 각 필터판(121) 중 상기 가압판(123)에 가장 인접한 필터판(121a)을 가압하여 상기 각 필터판(121)을 서로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이송부(114)는 상기 각 필터판(121)을 이송시켜 상기 각 필터판(121)이 이격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실린더(113)가 상기 가압판(123)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 즉 상기 가압실린더(113)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114)는 상기 가압판(123) 및 상기 각 필터판(121)을 순차적으로 도면상 우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부(114)는 이송모듈(1141)과 걸림모듈(1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모듈(1142)은 상기 이송부분(1201b)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1141)이 상기 이송부분(1201b)의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모듈(1142)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 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송부분(1201b)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모듈(1142)이 상기 이송부분(1201b)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모듈(1141)은 상기 가압판(123)과 상기 각 필터판(121)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각 필터판(121)에는 폐수가 유동할 수 있는 관통홀(121h)과 상기 관통홀(121h) 방향으로 함몰된 경사면(12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필터판(121)은 외각프레임(1211)과 내부플레이트(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외각프레임(1211)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123)이 이동하여 상기 필터판(121)을 가압하면, 상기 각 외각프레임(1211)은 서로 근접하면서 밀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각 외각프레임(1211)이 서로 밀착되면, 상기 각 외각프레임(1211) 사이에는 밀폐공간(300)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외각프레임(1211)이 제1외각프레임(1211a)과 제2외각프레임(1211b)을 포함한다면, 상기 제1외각프레임(1211a)과 상기 제2외각프레임(1211b) 사이에는 밀폐공간(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각프레임(1211)의 일면에는 폐수가 외부로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패킹(121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패킹(1213)은 상기 제1외각프레임(1211a) 및 상기 제2외각프레임(1211b)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외각프레임(1211a)과 상기 제2외각프레임(1211b) 사이의 틈새의 수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각프레임(1211)에는 상기 필터포(122)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1211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211h)은 상기 밀폐공간(300)을 외부로 연통시켜, 상기 밀폐공간(30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플레이트(1212)는 상기 각 외각프레임(121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플레이트(1212)는 관통부(1221)와 함몰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221)에는 상기 관통홀(121h)이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22)는 상기 관통홀(121h)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상기 경사면(1222a)을 구비한다.
상기 각 외각프레임(1211)이 서로 밀착되면, 서로 인접한 외각프레임(1211)과 내부플레이트(1212)는 상기 밀폐공간(300)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외각프레임(1211a)에는 제1내부플레이트(1212a)가 구비되고 상기 제2외각프레임(1211b)에는 제2내부플레이트(1212b)가 구비된다고 할 때, 제1외각프레임(1211a)과 제2외각프레임(1211b)이 서로 밀착되면, 제1외각프레임(1211a), 제2외각프레임(1211b), 제1내부플레이트(1212a) 및 제2내부플레이트(1212b)에 의해 상기 밀폐공간(300)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함몰부(1222)는 상기 경사면(1222a)과 연결되며,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요철면(12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면(1222b)은 상기 필터포(122)에서 여과된 물이 배출홀(1211h)로 빠르게 흘러내리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면(1222b)은 상기 필터포(122)에서 여과된 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필터포(122)에서 여과된 물이 다시 상기 필터포(122)를 통화하여 케이크(c)로 흡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면(1222b)은 상기 내부플레이트(1212)의 강성을 증가시켜, 케이크(c)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내부플레이트(121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포(122)는 상기 관통홀(121h)과 인접하여 상기 필터판(121)에 일부가 부착되고, 폐수를 상기 각 필터판(121) 방향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포(122)는 상기 각 필터판(121)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포(122)의 내부에는 관통구(122h)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122h)를 형성하는 상기 필터포(122)의 내측부는 상기 관통부(1221)에 부착되며, 상기 관통구(122h)는 상기 관통홀(121h)과 연통된다.
상기 가압판(123)은 상기 각 필터판(121)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판(123)은 상기 가압실린더(113)로부터 압력을 제공받아 상기 각 필터판(121)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송부(130)는 상기 필터프레스(120)와 연통되어, 폐수를 상기 필터프레스(120)로 안내한다.
이러한 배송부(130)는 배송관(131)과 가압펌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관(131)은 상기 필터판(121)의 관통홀(121h)과 연통되고, 상기 가압펌프(132)는 상기 배송관(131)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펌프(132)는 상기 배송관(131)을 거쳐 상기 필터프레스(120)로 폐수를 압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장치는 회수판(115)을 더 포함한 수 있다.
상기 회수판(115)은 상기 케이크(c)의 낙하 충격에 의해 상기 케이크(c)가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에 쿠션감이 있는 소재로 엠보싱 처리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필터 장치에서 폐수가 필터링 되어 케이크(c)가 형성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가압판(123)은 상기 가압실린더(113)에 의하여 압착되며, 상기 압착된 가압판(123)은 상기 필터판(121a)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필터판(121)의 외각프레(1211)임은 상기 가압판(123)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밀착하며 각 필터판(121)과 필터판(121) 사이에 밀폐공간(300)이 형성되고, 상기 외각프레(1211)임에 구성된 패킹(1213)은 상기 밀폐공간(300)으로 유입된 폐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가압실린더(113)가 가압판(123)을 가압하는 압력은 150kg/cm² 내지 200kg/cm²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 필터판(121)이 밀착되면, 상기 배송부(130)에서는 폐수를 상기 밀폐공간(300)으로 공급하며, 이때 가압펌프(132)는 5kg/cm² 내지 10kg/cm²로 폐수를 압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펌프(132)에 의해 폐수가 밀폐공간(300)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필터포(122)에 의해 여과된다.
상기 필터포(122)에 의해 여과된 물은 상기 요철면(1222b)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배출홀(1211h)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일정 부분의 여과된 물이 배출된 후 상기 통합유닛(210)의 열매개체(213)를 통하여 필터판(121)을 고온으로 만들어 상기 케이크(c)가 가열되면 상기 케이크(c)에 잔존하는 수분이 증발하고 상기 케이크(c)의 함수율(L%)이 현저하게 낮아진다.
이후 함수율(L%)이 현저히 낮아진 케이크(c)를 머금고 있는 상기 필터포(122)에 상기 통합유닛(210)의 진동자(211)를 통하여 진동을 공급하고 이로 인하여 필터포(122)에 잔류하게 될 이물질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실린더(113)의 압력을 제거하고 상기 각 필터판(121)이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크(c)가 회수판(115)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각 필터판(121)이 이격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통합유닛(210)을 통하여 진동자(211)에 진동이 계속 주어지도록 하여 잔류하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상기 케이크(c) 및 잔류 이물질은 상기 회수판(115)으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110: 바디 120: 필터프레스
121: 필터판 121-1: 제1필터판 121-2: 제2필터판
122: 필터포 130: 배송부
210: 통합유닛
211: 진동자 212: 단열재 213: 열매개체

Claims (10)

  1. 바디와:
    상기 바디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판;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과 연통되어, 폐수를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으로 안내하는 배송부;
    상기 복수개의 필터판이 서로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판은,
    복수개의 결합홀을 형성하는 제1 필터판;
    상기 제1 필터판과 결합되는 제2 필터판;
    상기 제1 필터판 및 제2 필터판의 복수개의 결합홀에 관통결합 되는 복수개의 통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유닛은,
    상기 제1 필터판 및 제2 필터판에 형성된 결합홀에 돌출 결합되어 일측에 밀착하여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 외주면에 구성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 외주면에 구성되며 열을 전달하는 열매개체;를 포함하며,
    상기 열매개체는,
    상기 통합유닛의 최외측에 구성되며, 상기 제1필터판 및 제2필터판에 형성된 열매개체결합홈에 밀착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있어서.
    상기 통합유닛은,
    상기 제1 필터판 및 제2 필터판에 지그재그로 결합되어 진동 및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판과 상기 제2 필터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전도체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판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배송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7. 제1항에있어서,
    상기 필터판의 양측에 구성되어 상기 바디에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8. 제1항에있어서,
    각각의 필터판은,
    서로 밀착되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 각각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플레이트는,
    관통홀이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홀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9. 제8항에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경사면과 연결되며, 표면에 구성된 요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10. 제1항에있어서,
    상기 배송부는,
    상기 필터판의 관통홀과 연통된 배송관과,
    상기 배송관과 연결되며, 상기 배송관을 거쳐 필터프레스로 폐수를 압송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KR1020230050447A 2023-04-18 2023-04-18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Active KR102646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447A KR102646490B1 (ko) 2023-04-18 2023-04-18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447A KR102646490B1 (ko) 2023-04-18 2023-04-18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490B1 true KR102646490B1 (ko) 2024-03-11

Family

ID=9024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447A Active KR102646490B1 (ko) 2023-04-18 2023-04-18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08386A (zh) * 2024-04-28 2024-05-31 江苏恒盛通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泥浆固化处理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329A (ko) * 2003-04-29 2004-11-05 김동철 필터 프레스용 히팅 플레이트
JP2006247465A (ja) * 2005-03-08 2006-09-21 Tsukishima Kikai Co Ltd フィルタープレス装置
JP4179928B2 (ja) * 2003-06-04 2008-11-1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脱水乾燥装置及び方法
KR101598652B1 (ko) 2009-07-07 2016-02-29 징진 인바이런먼탈 프로텍션 인코퍼레이티드 필터프레스 필터판 조별 진동장치
KR20160133193A (ko) * 2015-05-12 2016-11-22 이형근 필터 장치
KR102245839B1 (ko) 2019-04-23 2021-04-28 에스이에스티 주식회사 튜브형 가열 여과판, 튜브형 가열 여과판이 적용된 열 필터프레스 탈수 장치 및 그 탈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329A (ko) * 2003-04-29 2004-11-05 김동철 필터 프레스용 히팅 플레이트
JP4179928B2 (ja) * 2003-06-04 2008-11-1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脱水乾燥装置及び方法
JP2006247465A (ja) * 2005-03-08 2006-09-21 Tsukishima Kikai Co Ltd フィルタープレス装置
KR101598652B1 (ko) 2009-07-07 2016-02-29 징진 인바이런먼탈 프로텍션 인코퍼레이티드 필터프레스 필터판 조별 진동장치
KR20160133193A (ko) * 2015-05-12 2016-11-22 이형근 필터 장치
KR102245839B1 (ko) 2019-04-23 2021-04-28 에스이에스티 주식회사 튜브형 가열 여과판, 튜브형 가열 여과판이 적용된 열 필터프레스 탈수 장치 및 그 탈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08386A (zh) * 2024-04-28 2024-05-31 江苏恒盛通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泥浆固化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490B1 (ko) 폐수 침전물을 케이크로 생성하는 장치
KR101669643B1 (ko) 필터 프레스
CA2288926C (en) Enhanced heat transfer system
JP5564877B2 (ja) 電気浸透脱水装置
US5051194A (en) Procedure and chamber filter press for dewatering slurries and similar substances
KR102130335B1 (ko)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가 구비된 필터 프레스 시스템
WO19890079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permeable material
KR101332031B1 (ko) 슬러지 탈수용 타워 필터프레스 장치
KR20160133193A (ko) 필터 장치
JP5327000B2 (ja) 加圧脱水装置および加圧脱水方法
KR100330731B1 (ko) 슬러지의 탈수장치
KR100856509B1 (ko) 일방향 성형물 공급구조의 펄프 성형장치
KR20110128590A (ko) 두 장의 벨트를 이용한 연속비접촉양면가열가압건조방식 산업용 벨트프레스 탈수건조장치
KR100461627B1 (ko) 펠트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JP5969498B2 (ja) ウェーハをメタライズするデバイスと方法
KR102493583B1 (ko) 슬러지 탈수기
KR20080051670A (ko) 양방향 성형물 공급구조의 펄프 성형장치
CN214913698U (zh) 一种自带输送结构的厢式压滤机
KR20030090425A (ko) 집수조 청소차량
KR102245839B1 (ko) 튜브형 가열 여과판, 튜브형 가열 여과판이 적용된 열 필터프레스 탈수 장치 및 그 탈수 방법
JP4859739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
KR200365673Y1 (ko) 슬러지 탈수장치
FI71174B (fi) Defibroer
KR101103625B1 (ko) 2단양면건조방식 산업용탈수건조장치
KR101721531B1 (ko) 유동식 스크류 농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