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6162B1 -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162B1
KR102646162B1 KR1020220090694A KR20220090694A KR102646162B1 KR 102646162 B1 KR102646162 B1 KR 102646162B1 KR 1020220090694 A KR1020220090694 A KR 1020220090694A KR 20220090694 A KR20220090694 A KR 20220090694A KR 102646162 B1 KR102646162 B1 KR 10264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device
girder structure
horizontal frame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3963A (ko
Inventor
이종국
박대용
심운보
Original Assignee
해강산업주식회사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강산업주식회사,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강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62B1/ko
Publication of KR2024001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는, 교량의 상부 슬라브 구조물 시공시 거더 구조물의 앵커부 측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시공 작업 환경과 부합하는 받침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로서,
수평 프레임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단 측을 상기 거더 구조물의 앵커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 고정부와, 상기 체결 고정부의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단부 측에 연결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연장 프레임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고정부의 체결과 연계하여 상기 거더 구조물 측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 프레임부 측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SUPPORTING BRACKET DEVICE FOR CONSTRUCTING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교량 구조물들은 지면 측에 시공된 교각(또는 주탑) 구조물 측에 거더 구조물(예: 트러스형, 박스형)들이 직,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가설 시공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거더 구조물 상에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쳐서 상부 슬라브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차량들의 통행이 가능한 도로층을 갖는 상태로 교량 가설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슬라브 구조물의 시공 시에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작업 등을 위한 고소 작업 환경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일명 "까치발"이라고 불리우는 외팔보(CANTILEVER) 형태의 작업용 지지 브래킷들을 거더 구조물 측에 연결 설치하여, 이 지지 브래킷들에 의해 받침 지지되는 상태로 작업 발판 및 거푸집 설치(지지) 등이 가능한 고소 작업 환경이 구축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지지 브래킷들은 고소 지점에 배치된 거더 구조물 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할 때, 고소 작업 안전성 및 작업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27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상부 슬라브 구조물 시공시 요구되는 작업 환경 확보와 부합하는 안정적인 받침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구현하여 이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부 슬라브 구조물 시공시 거더 구조물의 앵커부 측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시공 작업 환경과 부합하는 받침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로서,
수평 프레임부;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단 측을 상기 거더 구조물의 앵커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 고정부;
상기 체결 고정부의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단부 측에 연결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부; 및
상기 연장 프레임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고정부의 체결과 연계하여 상기 거더 구조물 측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 프레임부 측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 지지부;
를 포함하는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또는 주탑) 구조물 측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된 거더 구조물 측에 체결 고정 및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연결 설치되어 상부 슬라브 구조물(도로층) 시공시 요구되는 작업 환경(발판 및 거푸집 설치)의 구축과 부합하는 구조를 갖는 브래킷 장치 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받침 지지 방식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이에 따른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2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는, 수평 프레임부(10), 체결 고정부(20), 연장 프레임부(30) 및 받침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수평 프레임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교량의 상부 슬라브 구조물(S) 시공시 요구되는 작업 환경(예: 발판 및 거푸집 설치) 확보와 부합하는 일종의 외팔보(CANTILEVER) 형태의 지지대 역할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수평 프레임부(10)는 예를 들어, 사각형(또는 원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내구성, 내부식성 및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부(10) 측에는 가드(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가드(12)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수평 프레임부(10)의 길이 방향 일단 측에서 세워진 상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가드(12)는 수평 프레임부(10)의 파이프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금속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팅 체결 방식 또는 용접 접합 방식으로 수평 프레임부(10)의 단부 측에 세워진 상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체결 고정부(20)는 수평 프레임부(10)의 일측 단부가 거더 구조물(G)의 앵커부(G1) 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거더 구조물(G)은 도 1에서와 같은 트러스(TRUSS) 타입의 금속 거더(GIRDE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앵커부(A)는 거더 구조물(G)의 상현재(G1, 상부 강재) 외부면 일측에 돌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고정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체결 로드(22)를 구비하고, 이 체결 로드(22)의 체결 연결력으로 수평 프레임부(10) 측을 앵커부(A)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 로드(22)는 도 3에서와 같이 앵커부(A) 측에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로드 일단이 체결 연결되고, 로드 타단은 수평 프레임부(10) 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별도의 너트 부재(24)와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체결되는 상태로 체결 조작 및 세팅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러면, 거더 구조물(G)의 앵커부(A) 측에 수평 프레임부(10)의 일단이 연결 고정되어 받침 지지력 확보와 부합하는 브래킷 기능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체결 고정부(20)는 도 4에서와 같이 체결핀(26)으로 구성되어, 핀의 끼움 결합에 의한 체결 방식의 연결 고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평 프레임부(10) 및 앵커부(A) 측에 핀홀(C)을 각각 형성하여, 이 핀홀(C)들 측에 체결핀(26)을 끼워서 체결하는 방식으로 앵커부(A) 측에 수평 프레임부(10)의 단부 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고정부(20)는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체결 방식의 연결 고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장 프레임부(30)는 수평 프레임부(10) 측에서 외팔보 형태의 브래킷 구조와 부합하는 프레임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연장 프레임부(30)는 수평 프레임부(10) 측과 연계하여 브래킷 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구현하면서 후술하는 받침 지지부(40) 측이 안정적인 받침 지지력 확보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연장 프레임부(30)는 도 2에서와 같이 수평 프레임부(10)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 중에서 체결 고정부(20) 측이 형성된 일단과 연결된 상태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 프레임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받침 지지부(40) 측이 거더 구조물(G)의 상현재(G1) 하부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 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 프레임부(30)의 아래쪽 단부와 수평 프레임부(10)의 저면 측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상태로 보강 프레임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프레임부(32)는 후술하는 받침 지지부(40)의 받침 지지 작용시 수평 프레임부(10)와 연장 프레임부(30) 간의 연결 형태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게 보강력을 부여할 수 있다.
연장 프레임부(30) 및 보강 프레임부(32)는 수평 프레임부(10)의 금속 파이프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금속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부위는 예를 들어 용접 접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받침 지지부(40)는 연장 프레임부(30) 측에서 거더 구조물(G) 측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수평 프레임부(10) 측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받침 지지부(40)는 거더 구조물(G)의 상현재(G1) 측에 접촉되되, 앵커부(A) 바로 아래쪽의 외부면 일측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받침 지지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받침 지지부(40)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장 프레임부(30) 측에 형성되는 받침 지지구(42)와, 이 받침 지지구(42) 측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로드(44) 및 이 지지 로드(44)의 단부 측에 배치되는 받침판(4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받침 지지구(42) 및 지지 로드(44)는 연장 프레임부(30) 측에서 거더 구조물(G)의 상현재(G1)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즉, 받침 지지구(42)는 도 5에서와 같이 연장 프레임부(30)의 하부 측에 고정 형성되고, 지지 로드(44)는 받침 지지구(42) 측에 암,수 나사부 결합으로 일단이 연결되되, 타단이 거더 구조물(G)의 상현재(G1) 측을 향하는 상태를 이루도록 세팅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 로드(44)는 받침 지지구(42) 측에 고정되되, 정,역 회전 조작시 로드 축선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요구되는 설치 여건에 따라 지지 로드(44)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수평 프레임부(10)의 설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받침판(46)은 도 5에서와 같이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면이 거더 구조물(G)의 상현재(G1) 외부면 일측에 접촉 지지될 수 있는 상태로 지지 로드(44)의 단부(자유단) 측에 연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46)은 상현재(G1) 측에 접촉될 때 접촉 충격이나 진동, 슬립 현상 등이 억제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가 덧대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수평 프레임부(10), 체결 고정부(20), 연장 프레임부(30) 및 받침 지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래킷 장치(M)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래킷 장치(M)는 교량의 상부 슬라브 구조물(S)의 시공시 도 1 및 도 6에서와 같이 거더 구조물(G)들 측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 고정된 상태로 교량 가설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됨으로써, 구조물 시공을 위한 고소 작업 환경의 구축과 부합하는 받침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격 배치된 브래킷 장치(M)들은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가드(12) 및 보강 프레임부(32) 측에 비계 파이프(R)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세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거더 구조물(G) 측에 연결 설치된 브래킷 장치(M)들의 수평 프레임부(10) 측에 작업 발판(P)을 설치하거나, 거푸집(F)을 설치함으로써, 상부 슬라브 구조물(S)의 시공을 위한 고소 작업 환경이 구축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브래킷 장치(M)는 예를 들어, 트러스 거더 구조물(G)의 상현재(G1) 측에 체결 고정 및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연결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소 지점에서 한층 더 향상된 사용 편의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는, 받침 지지부(40) 측과 대응하는 지지 유도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유도부(50)는 받침 지지부(40) 측의 접촉 자세를 보정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 유도부(50)는 도 7에서와 같이 받침 지지부(40)의 지지 로드(44) 측에서 받침판(46)의 접촉 자세를 보정 유도하기 위한 유도구(52)와, 이 유도구(52)의 유도 동작과 연계하여 받침 지지구(42) 측을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잡아주기 위한 홀더(54)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도구(52)는 도 7에서와 같이 받침판(46)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분기된 상태로 연장된 두 개의 유도팁(T)을 가지며, 지지 로드(44)의 로드 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세팅될 수 있다.
지지 로드(44) 측에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유도용 탄성부재(E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로드(44) 측에서 받침판(46) 측을 향하여 유도구(52)를 탄력적으로 밀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유도팁(T)은 받침판(46)의 접촉 동작시 팁 끝단 측이 받침판(46) 보다 먼저 거더 구조물(G) 측에 접촉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며, 팁 끝단은 접촉 마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팁(T)의 팁 끝단은 볼 타입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접촉 가이드구(T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접촉 가이드구(T1)는 로울러 형태를 가지며 팁 끝단 측에서 가이드축(T2)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유도팁(T1)은 거더 구조물(G) 측에 접촉될 때,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이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54)는 도 7에서와 같이 연장 프레임부(30) 측에서 받침 지지구(42) 측을 고정 상태로 잡아주되, 지지축(T3)을 중심으로 자세 전환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받침 지지구(42) 측을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홀더(54) 측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보정용 탄성부재(E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보정용 탄성부재(E2)는 지지축(T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받침 지지구(42)의 하부 양측 지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 유도부(50)는 도 9에서와 같이 받침 지지부(40)의 받침판(46) 측이 거더 구조물(G) 측에 접촉되는 동작과 연계하여, 유도구(52)의 두 개의 유도팁(T) 측이 거더 구조물(G) 측에 먼저 접촉되는 상태로 가이드 동작되면서 받침판(46)의 접촉 자세가 탄력적으로 보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유도구(T)의 가이드 동작과 연계하여 받침 지지구(42) 및 지지 로드(44)의 자세가 홀더(54)에 의해 보정 유도된 상태로 받침판(46)의 접촉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유도부(50)의 작용에 의하면, 거더 구조물(G) 측의 접촉 대상 부위의 형태와 부합하는 상태로 받침판(46)의 접촉 자세가 보정 유도될 수 있으므로, 받침 지지부(40) 측의 접촉 지지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받침 지지부(40)는 확인구(48)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확인구(48)는 받침판(46)의 접촉 동작시 육안으로 접촉 지지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동작되도록 형성된다.
즉, 확인구(48)는 도 10에서와 같이 길이 방향 단부 측에 접촉부(H1) 및 확인부(H2)가 형성되며, 지지 로드(44) 내측에서 로드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세팅될 수 있다.
확인구(48)는 지지 로드(44) 내측에서 확인용 탄성부재(E3)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H1) 측이 받침판(46)의 접촉면 측에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세팅되고, 확인부(H2) 측은 접촉부(H1) 측이 눌려질 때 지지 로드(44)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세팅된다.
그리고, 확인부(H2)는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표면 처리(예: 빨간색, 노란색)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확인구(48)는 도 11에서와 같이 받침 지지부(40)의 받침판(46) 측이 거더 구조물(G) 측에 접촉될 때, 이와 연계된 접촉부(H1) 측의 눌림에 의한 확인부(H2) 측의 돌출(노출) 상태에 따라 받침판(46)의 접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구(48)는 도 11에서와 같이 받침판(46) 측이 거더 구조물(G) 측에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는 확인부(H2) 측이 지지 로드(44)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고, 도 12에서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접촉 지지될 때에는 비돌출 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므로, 확인구(48)는 받침 지지부(40)의 받침 지지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브래킷 장치(M)의 설치 안정성이 한층 더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10: 수평 프레임부 20: 체결 고정부 30: 연장 프레임부
40: 받침 지지부 M: 브래킷 장치 G: 거더 구조물

Claims (7)

  1. 교량의 상부 슬라브 구조물 시공시 거더 구조물의 앵커부 측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시공 작업 환경과 부합하는 받침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로서,
    수평 프레임부;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단 측을 상기 거더 구조물의 앵커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 고정부;
    상기 체결 고정부의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단부 측에 연결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부;
    상기 연장 프레임부 측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고정부의 체결과 연계하여 상기 거더 구조물 측에 접촉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 프레임부 측을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 지지부; 및
    상기 거더 구조물 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받침 지지부의 접촉 지지 자세를 보정 유도하기 위한 유도구와, 이 유도구의 유도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연장 프레임부 측에서 지지축을 중심으로 자세 전환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받침 지지부 측을 잡아줄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홀더를 구비한 지지 유도부;
    를 포함하는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는,
    나사부 결합 또는 끼움 결합에 의한 체결력으로 수평 프레임부의 단부 측을 상기 거더 구조물의 앵커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지지부는,
    상기 연장 프레임부 측에 형성되는 받침 지지구와, 이 받침 지지구 측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로드 및 이 지지 로드의 단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거더 구조물 측에 접촉 지지되기 위한 받침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도부의 유도구는,
    상,하 방향으로 분기된 상태로 연장된 두 개의 유도팁을 가지며, 상기 받침 지지부의 접촉 지지 동작과 연계하여 상기 두 개의 유도팁의 팁 끝단 측이 상기 거더 구조물 측에 접촉되는 상태로 보정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세팅되는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 지지부는, 확인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확인구는,
    상기 지지 로드 내측에서 로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받침판의 접촉 지지 동작시 일단의 접촉부 측이 상기 거더 구조물 측에 눌려지면서 타단의 확인부 측이 상기 지지 로드의 단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KR1020220090694A 2022-07-22 2022-07-22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Active KR10264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94A KR102646162B1 (ko) 2022-07-22 2022-07-22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94A KR102646162B1 (ko) 2022-07-22 2022-07-22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963A KR20240013963A (ko) 2024-01-31
KR102646162B1 true KR102646162B1 (ko) 2024-03-12

Family

ID=8971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694A Active KR102646162B1 (ko) 2022-07-22 2022-07-22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1387B1 (ko) 2024-03-11 2024-09-04 주식회사 덕흥 캔틸레버 슬라브 시공을 위한 안전장치가 구비된 받침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5004A (ja) 2006-03-22 2007-10-04 Sanken Kizai Kk 足場支持治具
KR101744498B1 (ko) 2016-02-02 2017-06-20 오석환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KR101798540B1 (ko) * 2017-04-19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다용도 켄틸레버 브라켓 장치
KR102336613B1 (ko) 2021-07-12 2021-12-07 황하수 설치 및 해체가 신속 용이한 교량용 캔틸레버 브래킷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798A (ko) 2009-03-12 2010-09-27 한응학 건축부자재 설치용 브라켓
KR101908811B1 (ko) * 2016-12-22 2018-10-16 주식회사 포스코 교량용 거푸집
KR102026976B1 (ko) * 2017-05-02 2019-09-30 이성원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KR20190056120A (ko) * 2017-11-16 2019-05-24 쌍용건설 주식회사 교량용 캔틸레버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5004A (ja) 2006-03-22 2007-10-04 Sanken Kizai Kk 足場支持治具
KR101744498B1 (ko) 2016-02-02 2017-06-20 오석환 캔틸레버 부재의 지지 구조
KR101798540B1 (ko) * 2017-04-19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다용도 켄틸레버 브라켓 장치
KR102336613B1 (ko) 2021-07-12 2021-12-07 황하수 설치 및 해체가 신속 용이한 교량용 캔틸레버 브래킷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963A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US20140196382A1 (en) Support post structure
KR102646162B1 (ko) 교량 시공용 지지 브래킷 장치
JP2018048450A (ja) 吊り足場の支持構造、支持方法及び構築方法
KR101354641B1 (ko) 긴장재와 측방 정착블록을 이용한 일부 타정식 사장교 시공 방법
KR102080492B1 (ko) 거더교의 캔틸레버 시공 방법
KR101787321B1 (ko) 프리스트레스트 무교대 교량법
KR20090094423A (ko)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JP2018188952A (ja) 足場板留め具
KR20190012433A (ko) 시스템 동바리의 멍에 고정 장치
JP2023007329A (ja) 親綱支柱及びクランプ補強冶具
JP6534628B2 (ja) 落橋防止構造
JP2022130986A (ja) 滑り免震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101458091B1 (ko) 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케이블교의 시공방법
JP5543323B2 (ja) 吊り足場支持金具
JP5118841B2 (ja) 落橋防止装置
KR101931662B1 (ko)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JP6984864B2 (ja) 親綱支柱及びその設置方法
CN105484171B (zh) 一种变坡顶进预制框架桥涵体外索预应力加固方法
JP7313910B2 (ja) 手摺装置
JP6473426B2 (ja) 落橋防止構造
JP4071759B2 (ja) 吊ケーブルの押込み方法及び押込み装置
JP6858511B2 (ja) 跳ねだしブラケット
KR102735387B1 (ko) 가력수단을 갖는 인장력 보강용 새들
KR102768079B1 (ko) 프레임의 전도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