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4160B1 -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 Google Patents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160B1
KR102644160B1 KR1020230123218A KR20230123218A KR102644160B1 KR 102644160 B1 KR102644160 B1 KR 102644160B1 KR 1020230123218 A KR1020230123218 A KR 1020230123218A KR 20230123218 A KR20230123218 A KR 20230123218A KR 102644160 B1 KR102644160 B1 KR 10264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memorial
enshrinement
tablets
enshri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걸
정장원
Original Assignee
이진걸
정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걸, 정장원 filed Critical 이진걸
Priority to KR1020230123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1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위패만을 봉안하기 위한 위패 봉안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은 위패를 봉안하는 봉안소가 탑의 형태로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봉안되는 위패 수를 극대화한 위패 봉안당으로서, 상기 각 층의 봉안소를 서로 연통하여 개방감을 부여하도록 상기 봉안소의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공동부, 상기 각 층의 봉안소를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부, 상기 각 층의 봉안소마다 안치되는 위패의 수를 확장하도록 상기 봉안소에 세워지는 봉안가벽, 및 상기 봉안소의 각 내벽 및 상기 봉안가벽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위패가 안치되는 안치대를 포함한다. 따라서, 봉안되는 위패의 수를 대량으로 증대시켜 봉안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Mortuary tablet enshrined hall that increased the number of enshrined tablets}
본 발명은 복수의 위패만을 봉안하기 위한 위패 봉안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골당은 유골을 담은 유골함과 함께 위패를 함께 봉안하여 보관한다.
그러나, 납골당은 유골함에 의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보관비용의 증대로 인해 장기간 보관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의 유입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의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납골은 산 또는 바다에 뿌리거나, 수목에 묻은 뒤에 위패만을 봉안하여 고인을 기리는 위패 봉안당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위패 봉안당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35185호(2021.12.02.공고)에 "개별형 위패단"으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위패 봉안당은 벽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받침판 상에 아래위 수평으로 구비된 한 쌍의 레일부를 따라 다수의 위패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좌우로 움직여 일렬로 배열되고, 각 레일부의 중간에 다수 구비되는 연결부재의 분리를 통해 각 위패를 개별로 분리함으로써, 위패의 훼손에 따른 교환 또는 위패에 표시된 내용의 수정 및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위패단은 통상 단층으로 된 사찰에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위패를 봉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사를 지낼 때, 제사상 앞에 위패를 꺼내 지내기 어려워 위패단에 복수 개의 위패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사를 지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제사를 지내는 고인의 대상이 불분명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패는 설치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되기 때문에 수분 또는 균에 의해 오염되면서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35185호(2021. 12. 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패를 봉안하는 봉안소를 탑의 형태로 복수 층으로 구성하고, 봉안소의 내부에 위패를 설치할 수 있는 봉안가벽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위패를 안치하는 안치대를 각 벽면마다 설치함으로써, 대량의 위패를 용이하게 봉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층의 봉안소를 공동부에 의해 서로 연통하여 개방감을 부여할 수 있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사를 지낼 때, 위패이송기구를 통해 안치부에 안치된 위패를 반출하여 제사를 지내기 위한 고인을 명확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패이송기구에 의해 위패를 반입 및 반출하여 용이하게 위패를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수품받침부에 제사를 지내는 술에 의해 살균하는 위패살균부가 구성되어 균에 의해 위패가 오염되어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패살균부에서 술을 안개와 같이 분무하기 때문에 고인의 영혼을 연출할 수 있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은 위패를 봉안하는 봉안소가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탑의 형태를 이루는 봉안되는 위패 수를 극대화한 위패 봉안당으로서, 상기 각 층의 봉안소를 서로 연통하여 개방감을 부여하도록 상기 봉안소의 중앙부분에 관통형성되는 공동부, 상기 각 층의 봉안소를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부, 상기 각 층의 봉안소마다 안치되는 위패의 수를 확장하도록 상기 봉안소에 세워지는 봉안가벽, 및 상기 봉안소의 각 벽면 및 상기 봉안가벽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위패가 안치되는 안치대를 포함한다.
상기 안치대는 상기 복수 개의 위패가 각각 외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안치부를 갖는 안치패널, 및 상기 안치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수품을 올려놓는 제수품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치패널은 상기 안치패널에 안치된 위패 중 제사를 지내기 위한 위패를 상기 제수품받침부가 위치한 위치로 반입 또는 반출하도록 상기 제수품받침부가 위치하는 상기 안치패널의 하부로 상기 위패를 반입 또는 반출하는 반출입구, 및 상기 안치패널에 안치된 복수 개의 위패 중 선택된 위패를 상기 반출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반출입구에 위치한 위패를 상기 안치부로 이송하는 위패이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패이송기구는 상기 위패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안치패널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안치패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 및 상기 파지부가 상기 위패에 밀착되거나, 상기 위패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파지부를 상기 위패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파지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수품받침부는 상기 안치부에서 상기 위패를 반출하여 안치시키는 위패받침부, 및 상기 위패받침대를 통해 술을 안개와 같이 미립자의 형태로 분무하여 술에 포함된 알코올에 의해 위패를 살균하는 위패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패살균부는 상기 위패받침부에 전방에 위치하여 제사를 지내기 위한 술을 따르는 술잔부, 상기 술잔부에 담긴 술을 저장하는 술통, 및 상기 위패의 주변으로 상기 술통에 담긴 술을 상기 위패받침부에서 분무하여 상기 위패를 살균함과 동시에 분무되어 발생하는 안개에 의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술분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수품받침부는 상기 위패받침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개 및 상기 위패를 조명하는 받침부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치부에 상기 위패를 자력에 의해 탈부착하도록 상기 안치부와 상기 위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안치자성체, 및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안치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안치피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패를 봉안하는 봉안소를 탑과 같은 형태로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봉안소에 봉안가벽을 설치한 후 각 벽면에 복수 개의 위패가 안치되는 안치대를 설치함으로써, 대량의 위패를 용이하게 봉안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봉안소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공동부를 형성하여 봉안소의 내부에 개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안치대의 안치부에 안치된 위패를 위패이송기구를 통해 제수품받침부로 반출 및 반입하여 제사의 대상이 되는 고인을 명확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치부에서 위패의 반입 또는 반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수품받침부에 술을 분무하여 위패를 살균하기 위한 위패살균부를 구성하여 균에 의해 위패에 곰팡이의 균을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패살균부에서 술을 안개와 같이 미립자 형태로 분무함으로써, 안개에 의해 고인의 영혼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의 일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구성하는 안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구성하는 안치대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구성하는 안치대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구성하는 안치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구성하는 안치대의 파지구동부에 의해 위패를 파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을 구성하는 안치대의 위패살균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위패(300)를 봉안하는 봉안소(110)가 복수의 층을 이뤄 대량의 위패(300)를 봉안할 수 있으며, 납골함은 봉안하지 않고 위패(300)만을 봉안할 수 있다.
그리고, 위패 봉안당(100)의 외형은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외형적으로 탑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공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공동부(120)는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봉안소(11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봉안소(110)의 내부에 개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공동부(120)는 각 봉안소(110)의 중앙 부분을 상하로 일직선의 형태로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각 봉안소(110)의 공동부(120)의 테두리에는 공동부(120)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계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계단부(130)는 상,하층에 위치하는 봉안소(110)로 이동할 수 있다.
계단부(130)는 공동부(120)에 위치하여 공동부(120)에 위치한 계단부(130)를 통해 상하층을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계단부(130)는 공동부(120)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계단부(130)는 공동부(120)가 아닌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봉안소(110)의 여러 군데에 복수의 계단부(130)가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일층에 위치하는 봉안소(110)에는 각 층의 봉안소(110)로 계단부(130)를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1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봉안가벽(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봉안가벽(150)은 각 층에 위치한 봉안소(110)마다 설치되어 봉안소(110)의 내부를 구획함으로써, 봉안되는 위패(300)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봉안가벽(150)은 봉안소(110)의 중간 부분에 벽의 형태로 세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봉안가벽(150)의 상단부는 천정에서 이격되어 봉안가벽(150)의 상단부를 통해 빛이 유입되거나, 공기가 유통되어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다.
봉안가벽(150)은 봉안가벽(150)과 봉안소(110)의 내벽의 사이로 사람이 지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도록 봉안소(110)의 내벽 및 봉안가벽(150)끼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봉안가벽(150)은 각 층의 봉안소(110)마다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세워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안치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치대(200)는 복수 개의 위패(300)를 안치할 수 있으며 안치대(200)는 각 봉안소(110)의 봉안가벽(150) 및 봉안소(110)의 내벽면에 설치되 수 있다.
안치대(200)는 각 층의 봉안소(110)에 복수 개의 안치대(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안치대(200)는 봉안가벽(150) 및 봉안소(110)의 내벽면마다 설치될 수 있다.
안치대(200)에는 복수 개의 위패(300)가 상하 및 좌우로 배열되는 형태로 안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대(200)는 안치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치패널(210)은 판의 형태로 봉안소(110)의 내벽면 또는 봉안가벽(150)에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위패(300)가 각각 안치되는 안치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치부(211)는 안치패널(210)에 상하, 및 좌우로 일정간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치부(211)는 안치패널(210)의 외부에서 안치된 위패(300)를 투과하여 볼 수 있도록 안치패널(210)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안치부(211)는 위패(30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위패(300)에 표시된 명표가 관통된 부분을 향해 삽입되는 형태로 안치될 수 있다.
안치부(211)는 안치패널(210)의 후면을 통해 위패(300)가 삽입되어 안치될 수 있도록 위패(300)의 둘레와 대응되는 둘레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치부(211)에서 명표가 보여지도록 관통된 테두리에는 안치부(211)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위패(300)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치턱부(21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치부(211)에 안치되는 위패(300)는 위패(300)를 외부에서 바라보는 방향인 안치패널(210)의 전면으로는 안치턱부(211a)에 의해 위패(300)가 걸려 이탈되지 않지만, 안치패널(210)의 후면을 통해 위패(300)를 안치부(211)로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다.
한편, 안치부(211)에 안치되는 위패(300)는 자력에 의해 안치부(211)에 부착되어 탈착가능하게 안치되면서 안치부(211)에서 위패(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치부(211)와 위패(300)가 마주하는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는 자력을 제공하는 안치자성체(310)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안치자성체(31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안치피자성체(211b)가 설치되어 안치부(211)에 안치되는 위패(300)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형태로 탈착가능하면서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대(200)는 반출입구(213), 및 제수품받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출입구(213)는 안치패널(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를 하기에 설명할 위패이송기구(270)를 통해 안치패널(210)에서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다.
반출입구(213)는 안치패널(210)의 하부 중앙에 관통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반출입구(213)는 통상의 사람의 허리의 높이보다는 높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수품받침부(230)는 위패(300)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수품을 받칠 수 있다.
제수품받침부(230)에는 반출입구(213)를 통해 반입 또는 반출되는 위패(300)가 안치되는 위패받침부(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수품받침부(230)보다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패받침부(231)에는 받침피자성체(231a)가 설치되고, 위패(300)에 설치된 안치자성체(310)가 이 받침피자성체(231a)에 부착되며, 결국 반출입구(213)를 통해 반출되는 위패(300)가 자력에 의해 위패받침부(231)에 부착됨으로써 위패받침부(231)에서 위패(300)가 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수품받침부(230)는 위패살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패살균부(250)는 제사를 지내기 위한 술에 포함된 알코올에 의해 위패(300)를 살균할 수 있다.
위패살균부(250)는 술을 위패(300)에 분무하는 형태로 위패(300)를 살균할 수 있으며, 이때 분무되는 술은 마치 안개와 같이 미립자의 형태로 분무되어 위패(300)의 주변에 안개효과에 따른 고인의 영혼을 연출할 수 있다.
위패살균부(250)는 술잔부(251), 술통(253), 및 술분무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술잔부(251)는 술을 따를 수 있으며, 술잔부(251)는 술잔의 형태로 제수품받침부(230)의 상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술통(253)은 술잔부(251)와 대응되는 제수품받침부(2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술통(253)은 술잔부(251)의 하부를 통해 연결되어 술잔부(251)에 따라지는 술이 술통(25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술분무부(255)는 술통(253)에 설치되어 술통(253)으로 유입되는 술을 흡수하고 흡수된 술을 미립자의 형태로 분무할 수 있다.
술분무부(255)는 초음파진동자로 구현되어 흡수된 술을 초음파진동에 의해 마치 안개와 같은 미립자의 형태로 분무하여 위패(300)의 주변에 안개가 발생한 것과 같은 효과를 연출함과 함께 술에 포함된 알코올이 위패(300)에 묻어 위패(300)를 살균할 수도 있다.
이때, 위패받침부(231)에는 술분무부(255)에서 미립자형태로 분무되는 술을 위패(300)의 둘레로 방출하는 분무공(231b)이 형성될 수 있다.
위패받침부(231) 또는 위패받침부(231)가 위치하는 제수품받침부(230)의 주변에는 위패(300)를 조명하기 위한 받침부조명(240)이 설치되어 받침부조명(240)에서 조사되는 빛이 위패(300)로 분무되는 안개와 같은 미립자 형태의 술에 조사됨으로써, 시각적인 안개의 효과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조명(240)은 위패받침부(231)에 위패(300)가 안치되었을 때,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위패(300)에 설치되는 안치자성체(310)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스위치(미도시)가 위패받침부(231)에 설치되어 위패받침부(231)에 위패(300)가 안치되면 위패(300)의 안치자성체(310)에 의해 조명스위치(자력스위치)가 작동하여 받침부조명(240)를 통해 위패(300)를 조명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대(200)는 위패이송기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위패이송기구(270)는 각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를 반출입구(213)로 이송하여 반출하거나, 반출입구(213)에 반출된 위패(300)를 원래의 위치된 안치부(211)로 다시 안치하도록 안치패널(210)에서 위패(300)를 이송할 수 있다.
위패이송기구(270)는 외부에서 위패이송기구(270)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차단하고, 위패이송기구(270)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안치패널(21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위패이송기구(270)는 파지부(271), 수평구동부(275), 상하구동부(280), 및 파지구동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271)는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271)는 자력에 의해 위패(300)를 파지하거나, 공압에 의해 위패(300)를 흡착하는 형태로 파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파지부(271)는 자력에 의해 위패(300)를 파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파지부(271)는 자력에 의해 위패(300)를 파지하기 위해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의 후면에는 파지피자성체(330)가 설치되고, 파지부(271)에는 파지피자성체(330)에 부착되는 자력을 제공하는 파지자성체(27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271)에 구성되는 파지자성체(272)는 전자석으로 구현되어 전기공급에 따라 자력을 발생하여 파지피자성체(330)에 부착되거나, 전기공급이 차단되어 자력을 상실하면서 파지피자성체(3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물론, 파지자성체(272)의 자력은 안치자성체(310)의 자력보다 더 큰 자력을 제공하여 안치부(211)에 위패(300)가 부착되는 자력보다 파지부(271)에 위패(300)가 부착되는 자력이 더 커서 파지부(271)의 이동에 따라 안치부(211)에서 위패(300)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자성체(272)와 파지피자성체(330)는 위패(300)와 파지부(271)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파지부(271)에 위패(300)가 동일한 위치에 부착되어 파지될 수 있다.
파지구동부(273)는 파지몸체에서 파지부(271)를 위패(300)의 후방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위패(300)를 안치부(211)에서 반출하거나 안치부(211)로 반입할 수 있다.
파지구동부(273)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바(273b)의 끝단에 파지부(271)가 결합되고, 랙기어바(273b)는 파지구동몸체(273a)를 관통하여 파지구동몸체(273a)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패(300)의 후방에서 전후방으로 파지부(271)를 이송하고, 파지구동몸체(273a)에는 랙기어바(273b)의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이 설치되어 파지구동모터(273c)에 의해 피니언이 회전하면 파지구동몸체(273a)에서 랙기어바(273b)가 위패(300)의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위패(300)의 후방에서 파지부(271)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파지구동부(273)는 랙기어와 피니언에 의해 구동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벨트에 파지구동몸체(273a)를 결합하여 벨트를 회전시키는 형태, 또는 파지구동몸체(273a)를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파지구동봉의 회전에 따라 나사체결에 의해 이동시키는 형태 등 다양한 공지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수평구동부(275)는 안치패널(210)에서 파지부(271)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수평구동부(275)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평구동봉(275b)이 파지구동몸체(273a)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파지구동몸체(273a)가 수평구동봉(275b)에 나사체결되고, 수평구동봉(275b)은 양단에 수평구동몸체(275a)에 결합되며 수평구동몸체(275a)에는 수평구동봉(275b)을 회전시키는 수평구동모터(273c)가 설치되어 수평구동모터(273c)에 의해 수평구동봉(275b)이 회전하면 나사체결에 의해 파지구동몸체(273a)가 수평구동봉(275b)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파지구동부(273)에 결합된 파지부(271)를 안치패널(21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구동몸체(275a)에는 수평구동봉(275b)의 회전 시에 수평구동봉(275b)에 결합된 파지구동몸체(273a)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봉이 파지구동몸체(273a)를 관통하여 수평구동봉(275b)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하구동부(280)는 파지부(271)를 안치패널(210)의 상하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하구동부(280)는 수평구동부(275)를 안치패널(2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수평구동부(275)에 간접적으로 결합된 파지부(271)를 상하로 이송할 수 있다.
상하구동부(280)는 안치패널(210)의 양측에 상하구동봉(281a)이 설치되고, 상하구동봉(281a)에서 수평구동몸체(275a)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구동봉(281a)이 안치패널(2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수평구동몸체(275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안치패널(2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하구동봉(281a) 중 어느 하나는 수평구동몸체(275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하구동봉(281a)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평구동몸체(275a)와 나사체결되어 상하구동봉(281a)이 회전함에 따라 나사체결에 의해 수평구동몸체(275a)가 상하로 이동하는 형태로 안치패널(210)에서 수평구동부(275)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치패널(210) 양측에 위치하는 상하구동봉(281a) 중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하구동봉(281a)에는 상하구동모터(281b)가 설치되어 상하구동모터(281b)가 나사산이 형성된 상하구동봉(281a)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상하구동봉(281a)을 따라 수평구동몸체(275a)가 안치패널(210)의 상하로 이동하면서 파지부(27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안치대(200)에는 위패이송기구(270)를 통해 반입반출구로 위패(300)를 반입하거나 반출하기 위해 조작하는 조작패널(277)이 설치될 수 있으며, 조작패널(277)에는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한 위패(300)가 위치하는 안치부(211)를 선택하는 선택버튼과, 반입 또는 반출 버튼을 누르면, 위패이송기구(270)를 통해 선택된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를 파지부(271)가 파지하여 반출입구(213)를 통해 반출하거나, 반출입구(213)에 반출된 위패(300)를 파지부(271)가 파지하여 초기에 위치하였던 안치부(211)에 재안치시킬 수 있다.
이때, 위패이송기구(270)는 각 안치부(211) 및 반출입구(213)의 위치정보(좌표)가 미리 저장되고, 선택된 안치부(211)의 위치정보 및 반출입구(213)의 위치정보에 따라 선택된 안치부(211)로 파지부(271)가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위치정보는 수평구동모터(273c) 또는 파지구동모터(273c)의 회전값이거나, 파지부(271)에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안치패널(210)에서 각 안치부(211) 및 반출입구(213)에 서로 다른 위치정보를 위치감지센서로 제공하는 형태로도 위치를 찾아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위패(300)를 봉안하는 봉안소(110)가 복수 개의 층으로 탑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고, 봉안소(110)의 중앙 부분에는 복수 층의 봉안소(110)을 관통하는 형태의 공동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 층의 봉안소(110)는 계단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일층의 봉안소(110)에는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11)가 설치된다.
한편, 각 봉안소(110)에는 수용하는 위패(300)의 수를 확장하기 위해 봉안소(110)의 내부에 봉안가벽(150)이 세워지며, 각 층의 봉안소(110)의 내벽과 봉안가벽(150)에는 복수 개의 위패(300)를 안치하기 위한 안치대(200)가 설치된다.
안치대(200)는 안치패널(210)에 복수 개의 위패(300)가 각각 안치되는 안치부(211)가 복수 개 형성되고, 각 안치부(211)는 안치되는 위패(300)를 안치패널(210)의 전방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안치부(211)에서 위패(300)를 바라보는 전방에는 위패(30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위패(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치턱부(211a)가 관통된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위패(300)는 안치부(211)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위패(300)에 안치자성체(310)가 설치되면 안치부(211)에는 안치자성체(31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안치피자성체(211b)가 설치된다.
안치패널(210)의 하부에는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수품을 올려 놓는 제수품받침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수품받침부(230)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를 이송하여 안치패널(210)의 내외로 반출하거나, 반입하는 반출입구(21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수품받침부(230)에서 반출입구(213)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반출되는 위패(300)가 안치되는 위패받침부(231)가 제수품받침부(230)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위패받침부(231)에는 반출입구(213)를 통해 위패받침부(231)에 안치되는 위패(300)를 자력에 의해 부착하기 위한 받침피자성체(231a)가 설치되고, 위패(300)의 안치자성체(310)가 자력에 의해 받침피자성체(231a)에 부착되어 위패받침부(231)에서 위패(300)가 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수품받침부(230)에는 위패(300)를 술의 알코올에 의해 살균하기 위한 위패살균부(250)가 구성되며, 위패살균부(250)는 술을 붇는 술잔부(251)와 술잔부(251)에 채워지는 술을 하부에서 받는 술통(253)이 설치되고, 술통(253)에는 술분무부(255)가 설치되어 술통(253)의 술을 미립자형태로 분무하여 분무공(231b)을 통해 위패(300)의 주변에서 안개와 같은 형태로 술을 분무할 수 있다.
이때, 술분무부(255)는 초음파진동자로 구현되어 술을 초음파진동에 의해 진동시켜 미립자의 형태로 분무할 수 있다.
안치패널(210)의 후방에는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를 반출입구(213)로 이송하거나, 반출입구(213)의 위패(300)를 안치부(211)로 반입하도록 위패(300)를 이송하는 위패이송기구(270)가 설치된다.
위패이송기구(270)는 안치대(200)에 설치된 조작패널(277)에 의해 작동한다.
그리고, 위패이송기구(270)는 위패(300)를 파지하는 파지부(271)를 파지구동부(273)를 통해 전후방으로 이송하여 안치부(211) 또는 반출입구(213)에서 위패(300)를 반입하거나 반출하며, 수평구동부(275)와 상하구동부(280)를 통해 파지부(271)를 안치패널(2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안치패널(2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치부(211) 또는 반출입구(213)에서 위패(300)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파지부(271)는 파지피자성체(330)가 위패(300)의 후면에 설치되고, 전자석에 의해 구현되는 파지자성체(272)가 파지부(271)에 설치되어 파지자성체(272)에 자력이 발생하면 위패(300)가 자력에 의해 파지부(271)에 파지되고, 자력이 상실되면 파지부(271)에서 위패(300)가 이탈되는 형태로 위패(300)를 파지하거나, 파지된 위패(300)를 파지부(27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제사를 지내기 위해 1층의 출입구(111)를 통하여 봉안소(110)의 내부로 진입하고, 계단부(130)을 통해 원하는 층의 봉안소(110)로 이동한다.
봉안소(110)는 공동부(120)에 의해 모든 층이 연결되어 각 봉안소(110)마다 개방감을 부여함으로써, 봉안소(110) 특유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각 층의 봉안소(110)로 이동한 후 위패(300)가 안치된 안치패널(210)을 찾아 이동하고, 위패(300)가 안치된 안치패널(210)을 찾으면,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수품을 제수품받침대에 올려놓고 제사를 지낼 준비를 한다.
제사 준비가 완료되면, 제수품받침부(230)로 위패(300)를 모셔 오기 위해 조작패널(277)을 조작하여 위패(300)가 안치된 안치부(211)의 정보를 입력하고 반출버튼을 작동한다.
반출버튼이 작동하면, 위패이송기구(270)의 수평구동부(275) 및 상하구동부(280)가 작동하여 파지부(271)를 위치정보에 따라 입력된 안치부(211)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수평구동부(275)는 수평구동모터(273c)가 수평구동봉(275b)을 회전시키면, 수평구동봉(275b)에 나사체결된 파지구동몸체(273a)가 수평구동봉(275b)을 따라 이동하여 선택된 안치부(211)가 위치한 수평구동봉(275b)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구동모터(281b)가 상하구동봉(281a)을 회전시키면, 상하구동봉(281a)에 나사체결된 수평구동몸체(275a)가 상하구동봉(281a)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선택된 안치부(211)의 위치로 파지구동부(273)를 이송하는 형태로 파지부(2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파지부(271)가 선택된 안치부(211)로 이동하면, 위패(300)를 안치부(211)에서 반출하기 위해 파지구동부(273)가 작동하여 파지부(271)를 안치부(211)에 안치된 위패(300)와 근접하게 위치시키고, 파지부(271)의 파지자성체(272)에 자력을 부여한다.
파지자성체(272)에 자력이 발생하면, 위패(300)의 파지피자성체(330)가 파지자성체(272)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고, 파지부(271)에 위패(300)가 파지되면, 파지구동부(273)가 파지부(271)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안치부(211)에서 위패(300)를 반출한다.
이때, 파지피자성체(330)와 파지자성체(272)가 부착되는 자력이 안치부(211)의 안치피자성체(211b)와 위패(300)의 안치자성체(310)가 부착되는 자력보다 더 크기 때문에 파지부(271)의 후방 이동 시에 파지부(271)에 위패(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안치부(211)에서 위패(300)가 반출될 수 있다.
한편, 파지구동부(273)에 의해 파지부(271)에 위패(300)가 파지된 상태에서 안치부(211)에서 이탈되면, 위패(300)를 반출입구(213)를 통해 반출하기 위해 다시 상하구동부(280) 및 수평구동부(275)에 의해 반출입구(213)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파지구동부(273)가 작동하여 파지부(271)에 파지된 위패(3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반출입구(213)를 통해 반출한다.
반출입구(213)를 통해 반출되는 위패(300)는 위패받침부(231)에 안치되며, 위패받침부(231)에 위패(300)가 안치되면, 위패(300)에 설치된 안치자성체(310)가 위패받침부(231)에 설치된 받침피자성체(231a)에 부착되는 형태로 위패받침부(231)에서 위패(300)가 이탈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위패받침부(231)에 위패(300)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 위패받침부(231)의 조명스위치(미도시)가 위패(300)에 설치된 안치자성체(310)의 자력에 의해 작동하여 제수품받침부(230) 또는 위패받침부(231)에 설치된 받침부조명(240)이 위패(300)를 조명하여 반출입구(213)를 통해 위패(300)가 반출되었음을 알린다.
그리고, 위패(300)가 위패받침부(231)에 안치되면, 파지부(271)의 파지자성체(272)에 전기의 공급이 차단되어 파지자성체(272)의 자력이 상실되고, 파지부(271)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반출입구(213)의 내부로 파지부(271)가 삽입된다.
이렇게 반출입구(213)를 통해 위패(300)가 반출되면 제사를 지내는 데, 제사를 지낼 때 술은 별도의 술잔을 통해 제사를 올린 뒤에 제수품받침부(230)에 설치된 술잔부(251)에 붓는다.
술잔부(251)에 술을 부으면, 술통(253)으로 이동하고, 술통(253)의 술은 흡수부재를 통해 술분무부(255)를 통해 마치 안개와 같이 미립자의 형태로 분해되면서 위패(300)의 둘레에 형성된 분무공(231b)을 통해 분무되어 고인의 영혼을 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분무공(231b)을 통해 분무되는 술에는 통상적으로 알코올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분무되는 술이 위패(300)에 닿으면서 위패(300)의 균을 살균하여 장기간 보관되는 위패(300)에 곰팡이와 같은 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사가 종료되어 조작패널(277)을 통해 반입버튼을 조작하면, 파지구동부(273)가 작동하여 위패(300)를 향해 파지부(271)가 이동하고, 파지부(271)에 위패(300)가 밀착되면, 파지자성체(272)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파지자성체(272)에 위패(300)의 파지피자성체(330)가 부착되는 형태로 파지부(271)에 위패(300)가 파지된다.
위패(300)가 파지부(271)에 파지되면, 파지구동부(273)가 다시 작동하면서 반출입구(213)를 통해 위패(300)가 안치패널(210)의 내부로 반입되고, 안치패널(210)의 내부로 위패(300)가 반입되면, 수평구동부(275)와 상하구동부(280)가 작동하여 위패(300)를 반출하였던, 안치부(211)로 이동한다.
안치부(211)로 위패(300)가 파지된 파지부(271)가 이동하면, 파지구동부(273)가 다시 작동하여 안치부(211)를 향해 위패(300)를 이동시키고, 안치부(211)에 위패(300)가 안치되면, 파지부(271)에서 위패(300)를 분리하기 위해 파지자성체(272)에 전기를 차단하여 자력을 상실시킨다.
파지자성체(272)의 자력이 상실되면, 안치부(211)의 안치피자성체(211b)에 위패(300)의 안치자성체(310)가 부착되어 안치부(211)에 위패(300)가 고정되고 파지구동부(273)에 의해 파지부(271)가 후방으로 이동한 후, 상하구동부(280) 및 수평구동부(275)를 통해 파지부(271)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그 상태로 반입을 종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100)은 봉안소(110)가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각 봉안소(110)에 봉안가벽(150)을 형성하여 봉안되는 위패(300) 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봉안소(110)가 공동부(120)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개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봉안소(110)의 내벽면 및 봉안가벽(150)에 복수 개의 위패(300)가 안치되는 안치대(200)를 설치하여 많은 양의 위패(300)를 봉안할 수 있다.
또한, 안치대(200)에 안치된 위패(300)를 위패이송기구(270)를 통해 제수품받침부(230)로 이동시켜 제사를 지냄으로써 제사의 대상을 명확히 할 수 있다.
또한, 제수품받침부(230)에 제사를 지내기 위한 술에 의해 위패(300)를 살균하는 위패살균부(250)가 구성되어 위패(300)에 균이 증식에 따라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패살균부(250)에서 술을 안개와 같이 분무하는 형태로 위패(300)의 둘레에서 분무함으로써 고인의 영혼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위패 봉안당 110: 봉안소
111: 출입구 120: 공동부
130: 계단부 150: 봉안가벽
200: 안치대 210: 안치패널
211: 안치부 211a: 안치턱부
211b: 안치피자성체 213: 반출입구
230: 제수품받침부 231: 위패받침부
231a: 받침피자성체 231b: 분무공
240: 받침부조명 250: 위패살균부
251: 술잔부 253: 술통
255: 술분무부 270: 위패이송기구
271: 파지부 272: 파지자성체
273: 파지구동부 273a: 파지구동몸체
273b: 랙기어바 273c: 파지구동모터
275: 수평구동부 275a: 수평구동몸체
275b: 수평구동봉 275c: 수평구동모터
277: 조작패널 280: 상하구동부
281a: 상하구동봉 281b; 상하구동모터
300: 위패 310: 안착자성체
330: 파지피자성체

Claims (8)

  1. 위패를 봉안하는 봉안소가 탑의 형태로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봉안되는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으로서,
    상기 각 층의 봉안소를 서로 연통하여 개방감을 부여하도록 상기 봉안소의 중앙부분에 관통형성되는 공동부,
    상기 각 층의 봉안소를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부,
    상기 각 층의 봉안소마다 안치되는 위패의 수를 확장하도록 상기 봉안소에 세워지는 봉안가벽, 및
    상기 봉안소의 각 벽면 및 상기 봉안가벽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위패가 안치되는 안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안치대는
    상기 복수 개의 위패가 각각 외부에서 투과되어 보이는 안치부를 갖는 안치패널, 및
    상기 안치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사를 지내기 위한 제수품을 올려놓는 제수품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수품받침부는
    상기 안치부에서 상기 위패를 반출하여 안치시키는 위패받침부, 및
    상기 위패받침부를 통해 술을 안개와 같이 미립자의 형태로 분무하여 술에 포함된 알코올에 의해 위패를 살균하는 위패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패널은
    상기 안치패널에 안치된 위패 중 제사를 지내기 위한 위패를 상기 제수품받침부가 위치한 위치로 반입 또는 반출하도록 상기 제수품받침부가 위치하는 상기 안치패널의 하부로 상기 위패를 반입 또는 반출하는 반출입구, 및
    상기 안치패널에 안치된 복수 개의 위패 중 선택된 위패를 상기 반출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반출입구에 위치한 위패를 상기 안치부로 이송하는 위패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패이송기구는
    상기 위패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안치패널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
    상기 파지부를 상기 안치패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 및
    상기 파지부가 상기 위패에 밀착되거나, 상기 위패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파지부를 상기 위패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파지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패살균부는
    상기 위패받침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제사를 지내기 위한 술을 따르는 술잔부,
    상기 술잔부에 담긴 술을 저장하는 술통, 및
    상기 위패의 주변으로 상기 술통에 담긴 술을 상기 위패받침부에서 분무하여 상기 위패를 살균함과 동시에 분무되어 발생하는 안개에 의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술분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수품받침부는
    상기 위패받침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개 및 상기 위패를 조명하는 받침부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에 상기 위패를 자력에 의해 탈부착하도록 상기 안치부 또는 상기 위패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안치자성체, 및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안치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안치피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KR1020230123218A 2023-09-15 2023-09-15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Active KR10264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218A KR102644160B1 (ko) 2023-09-15 2023-09-15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218A KR102644160B1 (ko) 2023-09-15 2023-09-15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160B1 true KR102644160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218A Active KR102644160B1 (ko) 2023-09-15 2023-09-15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1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3487A (ja) * 1990-04-10 1991-12-25 Kajima Corp 地下式霊園
KR20040081842A (ko) * 2003-03-17 2004-09-23 이근호 자동화 납골보관소
KR200411753Y1 (ko) * 2005-12-30 2006-03-16 배재열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101018430B1 (ko) * 2010-07-07 2011-03-02 김경열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KR102335185B1 (ko) 2021-05-13 2021-12-02 라왕균 개별형 위패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3487A (ja) * 1990-04-10 1991-12-25 Kajima Corp 地下式霊園
KR20040081842A (ko) * 2003-03-17 2004-09-23 이근호 자동화 납골보관소
KR200411753Y1 (ko) * 2005-12-30 2006-03-16 배재열 불상을 이용한 안치단 시건구조
KR101018430B1 (ko) * 2010-07-07 2011-03-02 김경열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KR102335185B1 (ko) 2021-05-13 2021-12-02 라왕균 개별형 위패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786219T2 (de) Sanitäranordnung.
US20180256771A1 (en) Chip sanitizing device
GB2604662A (en) Flower vase cremation urn (vase urn)
KR102644160B1 (ko) 봉안 위패 수를 증대시킨 위패 봉안당
CN106882530A (zh) 一种细菌培养基智能取用装置
CN203145558U (zh) 旋转塔式自动拜祭系统
EP36615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kin disinfection
KR101376200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살균 디스펜서
JP6653930B1 (ja) 納骨堂
CN105833318A (zh) 隔离病房用脚踏式消毒机
JPH06125817A (ja) 無菌スリッパ供給装置
KR100931639B1 (ko) 디자인 납골함
JPH08128235A (ja) 自動搬送霊廟礼拝装置
KR20120064349A (ko) 소독장치를 구비하는 도서 이동카트
CN221980893U (zh) 一种具有辅助支撑结构的外科护理架
JP2022123905A (ja) 除菌ミスト噴霧装置
JP2014161701A (ja) 消毒装置
JP4414960B2 (ja) 照明装置付き遊技機島
CN219440090U (zh) 一种病房过道人员进出简易消杀装置
CN114191215B (zh) 一种医学护理用治疗盘
JP3245825U (ja) 納骨位牌墓および納骨位牌墓を安置する屋内小型墓苑
CN216008019U (zh) 充气式消毒屋
CN216133459U (zh) 自动消毒共享轮椅收纳架
AU2020264344A1 (en) Flower Vase Cremation Urn (Vase Urn)
CN213076743U (zh) 一种消杀亭的鞋底消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