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3982B1 - 건축 자재용 판재 - Google Patents

건축 자재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982B1
KR102643982B1 KR1020230100485A KR20230100485A KR102643982B1 KR 102643982 B1 KR102643982 B1 KR 102643982B1 KR 1020230100485 A KR1020230100485 A KR 1020230100485A KR 20230100485 A KR20230100485 A KR 20230100485A KR 102643982 B1 KR102643982 B1 KR 10264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ywood
joined
core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인호
Original Assignee
차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인호 filed Critical 차인호
Priority to KR102023010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2011/0203Miscellaneous features of stair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0205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 E04F2011/0207Stairway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for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treads mainly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구조물의 디딤판, 문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건축 자재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원목의 디테일한 미감, 예를 들어, 원목의 색상, 표면 텍스쳐, 마감 품질 등을 그대로 구현해 원목의 디자인적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원목 판재의 휨, 크랙, 깨짐 등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강도와 내구성을 극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통원목 대비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자재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자재용 판재{Wood plate for building material}
본 발명은 계단 구조물의 디딤판, 문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건축 자재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원목의 디테일한 미감, 예를 들어, 원목의 색상, 표면 텍스쳐, 마감 품질 등을 그대로 구현해 원목의 디자인적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원목 판재의 휨, 크랙, 깨짐 등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강도와 내구성을 극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통원목 대비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자재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계단은 실내 공간에 있어서 가장 입체적인 구조인 만큼 다양한 개성을 담기에 좋은 인테리어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최근의 인테리어 트렌드를 담아내기엔 종래의 계단은 소재의 한계와 더불어 마감의 질이 좋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계단 디딤판의 대표 재료로서, 가장 자연친화적이면서도 유려한 미감을 제공하는 원목의 경우 통원목, 집성목을 현장에서 재단하여 축조하였으며, 재료 물성상 휨이나 깨짐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즉, 통원목을 이용한 계단은 재료가 주는 우수한 미감이 가장 큰 장점이고, 특히, 노출계단으로 시공할 경우 계단의 측면까지 단일의 디자인 컨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범위가 넓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원목 계단재는 가격이 고가임은 물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용 과정에서의 크랙, 휨 변형 등의 저항성이 낮아 내구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집성 원목 계단재는 소정 크기로 자른 원목을 이어 붙여 만든 계단재로서 통원목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쪽으로 이어 붙였기 때문에 변형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집성 원목 계단재는 나무를 이어 붙인 모양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계단재는 계단 구조물의 디딤판만으로 이용되거나 디딤판과 첼판(계단의 세로면)에 동시 시공하거나, 노출 금속판 위에 디딤판으로만 계단재를 얹거나, 디딤판 금속을 계단재로 감싸 구성하는 등 계단 구조물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통원목 뿐만 아니라 집성 원목 계단재에서도 그 정도는 적지만, 변형은 불가피한데, 특히, 이러한 계단재가 야외 시설물에 시공되는 경우 야외 온도변화에 그대로 노출이 되면서 동절기엔 냉기 또는 하절기엔 열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팽창하거나 수축하면서 내부 균열 및 휨변형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계단의 디딤판이 휘거나 파손될 경우 평면성이 고르게 나타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시설물을 편리하게 이용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상 심각한 하자를 초래하게 된다.
공개특허 10-2014-011030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계단 구조물의 디딤판, 문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건축 자재용 판재에 있어, 통원목의 디테일한 미감, 예를 들어, 원목의 색상, 표면 텍스쳐, 마감 품질 등을 그대로 구현해 원목의 디자인적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원목 판재의 휨, 크랙, 깨짐 등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강도와 내구성을 극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통원목 대비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자재용 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의 제1 원목판이 상하 적층 접합된 합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45도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가지는 제1 합판부; 및 복수의 제2 원목판이 전후 적층 접합된 합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상기 제1 경사면과 평행한 제2 경사면을 가져 상기 제1 경사면에 제2 경사면이 맞닿도록 제1 합판부 전단에 접합되는 제2 합판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원목판과 제2 원목판은 수직으로 이어지되, 서로 수직으로 이어진 제1 원목판과 제2 원목판은 동일한 두께와 재질의 원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합판부의 하면과 제2 합판부의 후면 사이 지점에서 제1 합판부와 제2 합판부에 동시에 접합 고정되는 제3 합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합판부는,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상면에 접합되는 상판; 및 상기 코어부재의 하면에 접합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접합되며 하면에 일정 깊이의 상부유도홈이 함몰 형성되는 상부자켓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합되며 상면의 상기 상부유도홈 대응지점에 하부유도홈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하부자켓판; 및 상기 상부자켓판과 하부자켓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부유도홈과 하부유도홈 사이의 대응지점에는 평평한 판상이었다가 열 전달시 상기 상부유도홈과 하부유도홈 내부를 향하도록 파형으로 굴곡 변형되는 바이메탈 재질의 변형편이 형성되는 금속재질 박판구조의 코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편은, 열 전달시 상기 상부유도홈을 향해 호 형태로 굽어지는 제1 바이메탈; 및 상기 제1 바이메탈에 연결되며 열 전달시 상기 하부유도홈을 향해 호 형태로 굽어지는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자켓판의 하면 전단에는 일정 높이의 제1 상부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 후단에는 상기 제1 상부지지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제2 상부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자켓판의 상면 전단에는 상기 제1 상부지지대에 접합되는 제1 하부지지대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상면 후단에는 상기 제2 상부지지대에 접합되는 제2 하부지지대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서로 접합된 제1 상부지지대와 제1 하부지지대 및 제2 상부지지대와 제2 하부지지대 사이에 상부자켓판과 하부자켓판의 이격에 의한 장입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코어판이 상기 장입공간에 장입되도록 하며, 상기 코어판은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복수 개의 코어판 각각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일정 높이의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고, 인접한 코어판 사이에는 망사구조의 연결망이 개재되 인접한 코어판을 연결하되, 상기 고정핀은 인접한 코어판에 겹쳐진 연결망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부자켓판 또는 하부자켓판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단 구조물의 디딤판, 문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건축 자재용 판재에 있어, 통원목의 디테일한 미감, 예를 들어, 원목의 색상, 표면 텍스쳐, 마감 품질 등을 그대로 구현해 원목의 디자인적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원목 판재의 휨, 크랙, 깨짐 등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강도와 내구성을 극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통원목 대비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용 판재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용 판재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통원목 계단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집성 원목 계단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합판부와 제2 합판부의 코너 이음새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계단재가 파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용 판재의 일측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용 판재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용 판재가 계단 구조물의 디딤판으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3 합판부의 변형예가 적용된 건축 자재용 판재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3 합판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변형편이 굽힘 변형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코어부재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코어판과 연결망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인접한 코어판 사이에 연결망이 연결된 평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용 판재(이하, 판재라 함)은 크게, 제1 합판부(10), 제2 합판부(20) 및 제3 합판부(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는 판재의 외관을 구성하며, 판재가 계단 또는 문짝 등의 건축자재 재료로 사용될 시 건축자재의 최 외곽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는 전체가 원목으로 이루어지되, 통원목이 아닌, 얇은 원목 박판이 다층 접합된 합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합판부(10)는 복수의 제1 원목판(11)이 상하 적층 접합된 합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45도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12)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원목판(11) 중 최 상단의 제1 원목판(11a)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마감재 역할을 수행하는 원목판이며, 그 두께는 나머지 하부의 제1 원목판(11) 대비 적어도 두 배 이상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원목판(11a)의 두께는 4~6mm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최 상단의 제1 원목판(11a) 두께를 나머지 제1 원목판(11)들 대비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는 이유는,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의 접합 공정 이후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의 이음새 부분의 모깎기 가공 처리시 최 상단의 하부 제1 원목판(11a)이 외부로 노출되어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의 경계 지점이 상대적으로 도드라보이지 않게 하고, 아울러, 찍힘 등에 의한 외면 손상 피해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함이다.
최 상단의 제1 원목판(11a) 아래로 적층 접합된 나머지 제1 원목판(11)들은 제1 합판부(10)의 두께감을 부여하고, 제1 합판부(10)의 수축, 팽창, 뒤틀림 등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골조 또는 완충 구조물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제2 합판부(20)는 복수의 제2 원목판(21)이 전후 적층 접합된 합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합판부(10)는 복수의 제1 원목판(11)이 상하로 적층 접합된 구조를 이룬다면, 제2 합판부(20)는 제1 합판부(1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원목판(21)이 전후로 적층 접합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합판부(20)는 제1 합판부(1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합판부(10)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제2 합판부(20)의 상단에는 상기 제1 경사면(12)과 평행한 제2 경사면(22)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합판부(10)의 전단에 제2 합판부(20)를 접합할 시 제1 경사면(12)에 제2 경사면(22)이 맞닿도록 제1 합판부(10)에 제1 합판부(10)를 접합할 수 있다.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가 결합하면 대략 "ㄱ"자 형의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접합이라 함은 인접한 기재 사이에 결합제나 접착제 등을 주입하여 양자간을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제2 합판부(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2 원목판(21) 중 최 전방의 제2 원목판(21a)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마감재 역할을 수행하는 원목판이며, 그 두께는 나머지 제2 원목판(21) 대비 적어도 두 배 이상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 전방의 제2 원목판(21a) 두께를 나머지 제2 원목판(21)들 대비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는 이유는, 전술한 제1 합판부(10)에서와 동일하며, 그 설명으로부터 참조될 수 있다.
최 전방의 제2 원목판(21a) 후방으로 적층 접합된 나머지 제2 원목판(21)들은 제2 합판부(20)의 두께감을 부여하고, 제2 합판부(20)의 수축, 팽창, 뒤틀림 등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골조 구조물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가 상호 접합되면 대응위치에 놓인 각각의 제1 원목판(11)과 제2 원목판(21)은 수직으로 이어지는 한편, 서로 수직으로 이어진 제1 원목판(11)과 제2 원목판(21)은 동일한 두께와 재질의 원목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최 상단의 제1 원목판(11a)과 최 전방의 제2 원목판(21a)은 서로 수직으로 이어지게 되고, 서로 같은 두께와 재질로 구성되 외관 일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최 상단의 제1 원목판(11a)과 최 전방의 제2 원목판(21a)은 외부 마감재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다른 원목판들 대비 두껍게 마련되어 모깎기 공정시 충분한 두께감으로 인해 나머지 제1 원목판(11)과 제2 원목판(21)의 외부 노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3 합판부(100)는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 양자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의 변형을 억제하는 코어 역할을 수행한다.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는 모두 목재로 이루어지지만, 제3 합판부(100)는 목재와 금속재질 연합 구성으로서 제1 합판부(10) 및 제2 합판부(20)와의 외관 통일성은 물론 목재 대비 우수한 강성을 수 있도록 한다.
제3 합판부(100)는 계단 구조물의 디딤판이나 첼판으로 사용될 시 외부 노출을 제한하도록 제1 합판부(10)의 하면과 제2 합판부(20)의 후면 사이 지점에서 제1 합판부(10)와 제2 합판부(20)에 동시에 접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합판부(100)를 하부로 치우치는 방향으로 위치해 시공하면 실질적으로, 디딤판의 상면은 제1 합판부(10)로 구성되고, 제3 합판부(100)는 계단 구조물에 가려져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제3 합판부(100)는 크게, 코어부재(110), 코어부재(110)의 상면에 접합되는 상판(120) 및 코어부재(110)의 하면에 접합되는 하판(130)을 포함하는 합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부재(110)는 제3 합판부(100)의 중심부분을 구성하고, 상판(120)은 코어부재(110)와 제1 합판부(10) 사이에, 하판(130)은 코어부재(110) 하면에 배치 구성될 수 있다.
상판(120)과 하판(130)은 각각 코어부재(110)를 상부와 하부에서 커버해 강도를 보강하고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코어부재(110)는 금속재질의 코어판(1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할 수 있는 목재 합판구조의 내부 중심에서 강도를 보강하여 반복 하중이 가해졌을 때 이러한 외력에 의한 변형 저항을 높이고 금속이 가지는 강도를 통해 전체적인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부재(110)는 크게, 상부자켓판(111), 하부자켓판(112) 및 코어판(1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은 내부로 코어판(113)을 수용하도록 각각 코어판(113)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 구성되며, 금속재질의 코어판(113)이 열기에 의해 팽창할 경우 이러한 팽창을 수용하면서 코어판(113)의 팽창에 의해 코어부재(110) 내부가 균열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코어판(113)에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이 접착제 등으로 강하게 접합 고정이 되어 있으면, 열기에 노출됨에 따라 금속의 코어판(113)이 열팽창하여 코어판(113) 주변 목재에 균열을 일으키며, 이 과정에서 접착력이 파괴되는 문제와 더불어, 이러한 금속의 신축을 방해하면 코어판(113) 내부에 열응력이 생기게 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은 각각 상판(120)의 하면과 하판(130)의 상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이 지점으로 코어판(113)을 완전히 고정하지 않고, 국부적으로 고정 및 수납함과 동시에 특히, 코어판(113) 자체에서 선팽창에 따른 부피변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특유한 구조를 가지도록 해 내부에서 코어판(113)이 선팽창을 하더라도 이러한 팽창 현상에 의해 주변 구조물이 뒤틀리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자켓판(111)은 상판(120)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구조물로서 하면에 일정 깊이의 상부유도홈(111a)이 함몰 형성되고, 하면 전단에는 일정 높이의 제1 상부지지대(111b)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 후단에는 상기 제1 상부지지대(111b)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제2 상부지지대(111c)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자켓판(111)의 하면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제1 상부지지대(111b)와 제2 상부지지대(111c)가 돌출되고, 제1 상부지지대(111b)와 제2 상부지지대(111c) 사이 구간에는 일정 부분 상부유도홈(111a)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부유도홈(111a)에는 열에 의해 변형된 코어판(113)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고, 제1 상부지지대(111b)와 제2 상부지지대(111c)에는 후술 될 하부자켓판(112)의 제1 하부지지대(112b)와 제2 하부지지대(112c)가 접합 고정될 수 있다.
하부자켓판(112)은 상기 상부자켓판(111)에 상하로 대칭되는 구성으로, 배치 방향을 제외하면 상부자켓판(11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하부자켓판(112)은 상면의 상기 상부유도홈(111a) 대응지점에 하부유도홈(112a)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고, 상면 전단에는 상기 제1 상부지지대(111b)에 접합되는 제1 하부지지대(112b)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상면 후단에는 상기 제2 상부지지대(111c)에 접합되는 제2 하부지지대(112c)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은 서로 접합된 제1 상부지지대(111b)와 제1 하부지지대(112b) 및 제2 상부지지대(111c)와 제2 하부지지대(112c)에 의해 일정 높이 상하로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에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의 이격에 의한 장입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은 실질적으로 접합되는 접합면적은 제1 상부지지대(111b), 제1 하부지지대(112b) 및 제2 상부지지대(111c), 제2 하부지지대(112c) 부분으로 제한되고, 이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서로 이격돼 장입공간(S)을 형성하여 상기 코어판(113)이 상기 장입공간(S)에 장입되도록 한다.
이때, 장입공간(S)은 코어판(113)이 최대로 열팽창했을 때의 길이, 면적 또는 체적보다 큰 공간으로 형성돼, 코어판(113)이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을 균열시키지 아니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코어판(113)은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 사이, 특히, 장입공간(S) 내부에 개재되는 금속재질 박판구조로서, 실질적으로 제1 합판부(10)의 강도 향상을 담당하는 구성이다.
코어판(113)은 평평한 판상으로 예시되되, 상부유도홈(111a)과 하부유도홈(112a) 사이의 대응지점에 평평한 판상이었다가 열 전달시 상기 상부유도홈(111a)과 하부유도홈(112a) 내부를 향하도록 파형으로 굴곡 변형되는 바이메탈 재질의 변형편(113a)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코어판(113)은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평평한 판상이었다가, 하절기와 같이 외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판재에 열기가 가해지게 되면 전체적인 부분에서 선팽창이 일어나는 한편, 변형편(113a)이 형성된 구간에서는 변형편(113a)의 구조가 파형으로 변형되면서 코어판(113)의 전체적인 선팽창을 일부분에서 수축으로 보상해 코어판(113)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변형편(113a)은 상부유도홈(111a)과 하부유도홈(112a)의 대응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형으로 변형되는 변형편(113a)의 일부분들을 수용해 균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변형편(113a)은 팽창률이 다른 얇은 두 금속판을 붙여 놓은 상태로 온도가 올라가면 두 금속 중에서 열팽창률이 큰 쪽이 더 많이 늘어나 열팽창률이 작은 금속 쪽으로 휘게 하는 바이메탈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예컨대, 열 전달시 상기 상부유도홈(111a)을 향해 볼록한 호 형태로 굽어지는 제1 바이메탈(b1) 및 제1 바이메탈(b1)에 연결되며 열 전달시 상기 하부유도홈(112a)을 향해 볼록한 호 형태로 굽어지는 제2 바이메탈(b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호 형태로 굽어지는 제1 바이메탈(b1)과 제2 바이메탈(b2)로 변형편(113a)을 구성하여 열 전달에 따라 변형편(113a)을 파형으로 굴곡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변형편(113a)을 구성하는 바이메탈의 개수, 길이 등은 적절히 변형실시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단일의 바이메탈만을 이용하여 변형편(113a)을 일방향으로만 굽어지게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편(113a)의 굴곡 변형은 코어판(113) 자체의 선팽창을 충분히 보상할 만한 수준으로서, 장입공간(S) 내부에서 코어판(113)의 전후 선팽창을 억제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변형편(113a)의 전후 양 단부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현해 변형편(113a)의 굽힙 변형이 수반되더라도 코어판(113) 전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변형편(113a) 자체를 바이메탈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상부유도홈(111a)과 하부유도홈(112a) 내부를 향하도록 파형으로 영구적으로 굴곡 변형된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변형편(113a) 자체가 코어판(113)의 전후방향 이동을 억제하는 스톱퍼 작용할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코어판(113)은 시공 될 판재의 좌우 폭 재원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은 각각 상판(120)과 하판(130)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어판(113)의 경우 금속재이므로, 가공 난이도를 고려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여러 개 이용하여 장입공간(S)에 장입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조 현장에서는 코어판(113)의 면적을 상부자켓판(111)과 하부자켓판(112)에 맞추어 재단하지 않고, 규격화된 하나의 크기의 코어판(113)을 이용할 수 있고, 판재의 면적이 커지는 만큼 코어판(113)의 개수를 더해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택하도록 한다.
이때, 코어판(113)은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장입공간(S) 내에서 코어판(113)의 가고정을 위해 각각의 코어판(113) 상면 또는 하면에는 일정 높이의 고정핀(113b)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코어판(113)을 인접한 상부자켓판(111) 또는 하부자켓판(112)에 국부적으로 고정시켜 인접한 코어판(113) 사이 간격을 설정해 유지시킬 수 있는 한편, 이때, 인접한 코어판(113) 사이에는 인접한 코어판(113) 사이 공간의 강도 부여 및 인접한 코어판(113) 사이의 인접 지지력을 고려해 망사구조의 연결망(114)이 개재되 인접한 코어판(113)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망(114)은 금속 망사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망(114)에 형성된 망 홀의 크기는 고정핀(113b)보다 크게 형성돼, 고정핀(113b)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고정핀(113b)은 인접한 코어판(113)에 일정 부분 겹쳐진 연결망(114)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부자켓판(111) 또는 하부자켓판(112)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연결망(114)을 인접한 코어판(113) 사이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망(114)은 금속성 재료이기 때문에, 인접한 코어판(113) 사이의 연결부위에 소정의 강도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고정핀(113b)이 연결망(114)의 어느 지점에든 관통할 수 있으므로, 코어판(113)과 연결망(114)의 연결 지점의 위치 선택이 다소 자유로운 점을 토대로 코어판(113) 사이 간격, 연결망(114)과 코어판(113)의 중첩량 등을 필요에 따라 쉽게 조정해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제1 합판부
20: 제2 합판부
100: 제3 합판부

Claims (5)

  1. 복수의 제1 원목판이 상하 적층 접합된 합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단에 45도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가지는 제1 합판부; 및
    복수의 제2 원목판이 전후 적층 접합된 합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상기 제1 경사면과 평행한 제2 경사면을 가져 상기 제1 경사면에 제2 경사면이 맞닿도록 제1 합판부 전단에 접합되는 제2 합판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원목판과 제2 원목판은 수직으로 이어지되, 서로 수직으로 이어진 제1 원목판과 제2 원목판은 동일한 두께와 재질의 원목판이며,
    상기 제1 합판부의 하면과 제2 합판부의 후면 사이 지점에서 제1 합판부와 제2 합판부에 동시에 접합 고정되는 제3 합판부;를 더 포함하고,
    제3 합판부는,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상면에 접합되는 상판; 및
    상기 코어부재의 하면에 접합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용 판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접합되며 하면에 일정 깊이의 상부유도홈이 함몰 형성되는 상부자켓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접합되며 상면의 상기 상부유도홈 대응지점에 하부유도홈이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하부자켓판; 및
    상기 상부자켓판과 하부자켓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부유도홈과 하부유도홈 사이의 대응지점에는 평평한 판상이었다가 열 전달시 상기 상부유도홈과 하부유도홈 내부를 향하도록 파형으로 굴곡 변형되는 바이메탈 재질의 변형편이 형성되는 금속재질 박판구조의 코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용 판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형편은,
    열 전달시 상기 상부유도홈을 향해 호 형태로 굽어지는 제1 바이메탈; 및
    상기 제1 바이메탈에 연결되며 열 전달시 상기 하부유도홈을 향해 호 형태로 굽어지는 제2 바이메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자켓판의 하면 전단에는 일정 높이의 제1 상부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 후단에는 상기 제1 상부지지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게 제2 상부지지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자켓판의 상면 전단에는 상기 제1 상부지지대에 접합되는 제1 하부지지대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상면 후단에는 상기 제2 상부지지대에 접합되는 제2 하부지지대가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서로 접합된 제1 상부지지대와 제1 하부지지대 및 제2 상부지지대와 제2 하부지지대 사이에 상부자켓판과 하부자켓판의 이격에 의한 장입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코어판이 상기 장입공간에 장입되도록 하며,
    상기 코어판은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복수 개의 코어판 각각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일정 높이의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고,
    인접한 코어판 사이에는 망사구조의 연결망이 개재되 인접한 코어판을 연결하되, 상기 고정핀은 인접한 코어판에 겹쳐진 연결망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부자켓판 또는 하부자켓판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용 판재.
KR1020230100485A 2023-08-01 2023-08-01 건축 자재용 판재 Active KR10264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485A KR102643982B1 (ko) 2023-08-01 2023-08-01 건축 자재용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485A KR102643982B1 (ko) 2023-08-01 2023-08-01 건축 자재용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982B1 true KR102643982B1 (ko) 2024-03-05

Family

ID=9029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485A Active KR102643982B1 (ko) 2023-08-01 2023-08-01 건축 자재용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4135B1 (ko) 2024-07-22 2025-03-04 주식회사 태진핸드레일 가설 안전 난간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9270A1 (en) * 2003-12-18 2005-06-30 Flooring Industries Ltd. Skirting board, floor cover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kirting board
KR20140110308A (ko) 2013-03-07 2014-09-17 이재현 산책로 계단 탄성 포장재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9270A1 (en) * 2003-12-18 2005-06-30 Flooring Industries Ltd. Skirting board, floor coverin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kirting board
KR20140110308A (ko) 2013-03-07 2014-09-17 이재현 산책로 계단 탄성 포장재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4135B1 (ko) 2024-07-22 2025-03-04 주식회사 태진핸드레일 가설 안전 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1667C (en) Raised panel-style door
US6112496A (en) Metal and wood door with composite perimeter
KR102643982B1 (ko) 건축 자재용 판재
JPH0988315A (ja) 床 材
JP2007510831A (ja) 馬車置き場の扉を模擬した外観を有するユニット式オーバヘッド車庫扉
CA2121851C (en) Wood-surfaced door
CN108643512A (zh) 一种锁扣结构及具有该种锁扣结构的实木复合地板
FR2764326A1 (fr) Porte d'entree de local
CN210263700U (zh) 一种建筑装修用双凹槽轻质保温墙板
CN212478341U (zh) 一种新型板材结构
CN215332418U (zh) 一种蜂窝板门
EP4028603B1 (fr) Système de construction modulaire
CN211362669U (zh) 芯板及其应用的细木工板
JP6048930B2 (ja) 建具用框組状パネル
KR200241616Y1 (ko) 문틀재
CN215761289U (zh) 一种实木门
EP0953086B1 (en) A joint structure and a method utilizing said structure
JP3508118B2 (ja) 木質の枠材を芯材とするフラッシュ構造の引き戸又は扉の製造方法。
JP3870181B2 (ja) 建具
CN221119702U (zh) 一种木门结构
CN215761290U (zh) 一种三层实木门
JPS5918067Y2 (ja) 木彫扉
JP7053376B2 (ja) 引戸用上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4636B1 (ko) 조립식 판넬 및 그 판넬의 제조방법
JP4289320B2 (ja) 扉枠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