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3652B1 -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 Google Patents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652B1
KR102643652B1 KR1020220027357A KR20220027357A KR102643652B1 KR 102643652 B1 KR102643652 B1 KR 102643652B1 KR 1020220027357 A KR1020220027357 A KR 1020220027357A KR 20220027357 A KR20220027357 A KR 20220027357A KR 102643652 B1 KR102643652 B1 KR 10264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tone
shaped
natural
mortar cement
squar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9889A (ko
Inventor
임회규
Original Assignee
임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회규 filed Critical 임회규
Priority to KR102022002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652B1/ko
Publication of KR2023012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6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2Moulds for making units for prefabricated buildings, i.e. units each comprising an important section of at least two limiting planes of a room or space, e.g. cells; Moulds for making prefabricated stai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으로 축조되는 화단과 같은 건축구조물과 양측면에 자연석을 노출시키는 담장 및 사각형 본체로 이루어진 자연석블럭을 연장하여 시공되는 굽은 구간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자연석과 몰타르시멘트를 이용하여 블럭을 형성함에 있어서, 블럭 몸체의 체적이 일측면으로부터 끝단면까지 점진적으로 좁아진 자연석블럭을 제조할 수 있는 V자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함체의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V자형으로 좁아지면서 하면이 폐쇄되게 이루어진 V자형 거푸집(300)에 접합된 내부사각판(130)의 양측 경사면에 자연석(500)이 양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배열하여 상기 자연석(500)이 하방향으로 침하되는 것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V자형 거푸집(300)의 상단부와 배열된 자연석(500)간의 빈공간을 통해 몰타르시멘트(600)를 주입하여, 상기 몰타르시멘트(600)가 상기 자연석(500)과 단일체로 결합되어 V자형 몸체(700)를 이루면서 좌,우의 양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전,후의 양면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동일한 넓이의 규격으로 평행되게 이루어진 V자형으로 형성된 자연석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V자형으로 형성된 자연석블럭을 제조하기 위하여, 외부사각판(100)의 내측에 내부삼각판(140)이 삽입되는 규격의 간격을 두고 내부사각판(130)을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을 형성시키고, 상기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 양측의 끝단면에 1개조의 외부삼각판(110)을 고정 수단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내부사각판(130)과 내부사각판(130) 사이의 빈공간에 상기 내부삼각판(140)이 삽입되게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native rock block and for native rock block making a V mold}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축공사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원형구조물 또는 양면 노출담장 축조용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자연석을 몰타르시멘트에 결합시켜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되는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게 형성된 V자형 거푸집은 다수개의 내부사각판(130)이 단일체로 접합된 본체 거푸집(200)을 형성하여 양끝단면을 1개조의 외부삼각판(110)을 이용하여 V자형으로 고정하고 그 내부를 다수개의 내부삼각판(140)으로 분리하여 V자형 거푸집(300)을 형성하여, 상기 V자형 거푸집(300)에 접합된 내부사각판(130)의 양측 경사면에 자연석(500)이 양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배열하여 몰타르시멘트(600)를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V자형으로 좁아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2282102(공개일자 : 2021. 02. 09 발명의 명칭 : 자연석의 전면부가 노출된 축조용 블럭 제조방법 및 그 축조용 블록)에는 자연석이 거푸집의 내부에서 몰타르시멘트와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석이 하면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하방지 초기양생단계(135);와 침하방지 중기양생단계(155);와 침하방지 말기양생단계(175);와 같이 자갈과 이용하여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공개특허 10-2022-0013279(공개일자 : 2021. 09. 30 발명의 명칭 : 양면이 연결된 자연석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 자연석블럭)에는 제1 자연석 거치단계(120);와 제2 자연석 거치단계(160);에 자연석을 거푸집의 상단모서리에 언쳐지게하는 방법으로 자연석블럭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선행기술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공개특허 1) 공개번호 : 10-2021-0014551 공개일자 : 2021. 02. 09 도면 1.
청구항 1
거푸집(400)의 내부에 배열되는 규격의 호박돌(310)과 자갈(320)을 채취하여 용도별로 분리하는 석재류 선별단계(100);
상기 호박돌(310)과 자갈(320)을 민물(510)로 세척하여 흙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석재류 세척단계(105);
상기 호박돌(310)과 자갈(320) 및 몰타르시멘트(5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5면이 폐쇄되고, 상단의 1면이 개방된 사각형틀(410)을 조립하는 거푸집 설치단계(110);
몰타르시멘트(500)에 민물(510)을 희석하여 교반하는 몰타르시멘트 반죽단계(115);
상기 사각형틀(410)의 내부에 자갈(320)을 투입하여 바닥면에 불규칙적으로 배열하는 자갈 저층배열단계(120);
상기 몰타르시멘트 반죽단계(115)에서 교반된 몰타르시멘트(500)를 상기 바닥면에 배열된 자갈(320)의 상단부에 주입하여, 자갈(320)의 외면을 도포시키는 몰타르시멘트 저층주입단계(130);
이후, 상기 몰타르시멘트 저층주입단계(130)에서 자갈(320)의 상층부까지 주입된 몰타르시멘트(500)가 순차적으로 투입될 자갈(320)이 자체 하중에 의해 저면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방지 초기양생단계(135);
상기 침하방지 초기양생단계(135)에서 몰타르시멘트(500)의 경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자갈(320)을 불규칙하게 배열하는 자갈 중층배열단계(140);
상기 자갈 중층배열단계(140)에서 배열된 자갈(320)의 외면을 도포시키며 매립시키는 몰타르시멘트 중층주입단계(150);
이후, 상기 몰타르시멘트 중층주입단계(150)에서 자갈(320)의 상층부까지 주입된 몰타르시멘트(500)가 순차적으로 투입될 호박돌(310)과 자갈(320)이 자체 하중에 의해 저면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방지 중기양생단계(155);
상기 침하방지 중기양생단계(155)에서 몰타르시멘트(500)의 경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호박돌(310)을 배열하는 호박돌 노출배열단계(160);
상기 호박돌 노출배열단계(160)에서 배열된 호박돌(310)이 노출되는 면까지 몰타르시멘트(500)를 주입하는 몰타르시멘트 상층주입단계(170);
이후, 상기 몰타르시멘트 상층주입단계(170)에서 호박돌(310)의 노출면까지 주입된 몰타르시멘트(500)가 순차적으로 투입될 자갈(320)이 자체 하중에 의해 저면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방지 말기양생단계(175);
상기 침하방지 말기양생단계(175)에서 몰타르시멘트(500)의 경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자갈(320)을 불규칙하게 배열하는 자갈 노출배열단계(180);
이후, 부분적으로 노출된 호박돌(310)과 자갈(320) 주변의 몰타르시멘트(500)를 미장칼(600)과 붓(610)으로 외관을 정리하는 면고르기 단계(185);
상기 면고르기 단계(185) 이후, 호박돌(310)과 자갈(320)의 일부분이 몰타르시멘트(500)내부에서 경화되어 단일체가 되게 하는 몰타르시멘트 양생및경화단계(190);
상기 몰타르시멘트 양생및경화단계(190)에서 축조용블럭(700)의 경화가 완료된 시점에서 사각형틀(410)을 탈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200);
상기와 같이 거푸집(400)의 제거가 완료되고 추가적인 건조 단계로 이어지는 축조용 블럭 완성단계(21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연석의 전면부가 노출된 축조용 블럭 제조방법 및 그 축조용 블럭.
(공개특허 2) 공개번호 : 10-2022-0013279 공개일자 : 2021. 02. 04 도면 1.
청구항 1
유로폼이 전후 및 좌우의 사면체로 결합된 외부거푸집 설치단계(100);
외부거푸집(200)의 내측 중심부에 ▽형결합체(211)와 받침대(212)로 결합된 내부거푸집(210)을 설치하여 유입되는 1차주입 몰타르시멘트(230)가 하단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내부거푸집 설치단계(110);
상기 외부거푸집(200)의 내측 상단모서리에 제1 자연석(220)의 일부분이 언쳐지는 제1 자연석 거치단계(120);
상기 외부거푸집(200)의 내측 상단모서리와 제1 자연석(220)간의 빈틈으로 1차주입 몰타르시멘트(230)를 외부거푸집(200)의 상단면까지 주입시키는 몰타르시멘트 1차주입단계(130);
상기 1차주입 몰타르시멘트(230)가 경화된 상태에서 상단면에 위치한 제1 자연석(220)의 방향을 뒤집어 하단면으로 향하게 하는 경화 및 위치변경단계(140);
상기 위치가 변경된 내부거푸집(210)을 순차적으로 탈거하여 그 탈거된 빈공간의 형태가 입구는 좁고 내부가 넓은 ▽형으로 1차주입 몰타르시멘트(230)가 경화된 상태를 노출시키는 내부거푸집 탈거단계(150);
상기 외부거푸집(200)의 내측 상단모서리에 제2 자연석(260)의 일부분이 언쳐지는 제2 자연석 거치단계(160);
상기 외부거푸집(200)의 내측 상단모서리와 제2 자연석(260)간의 빈틈으로 2차주입 몰타르시멘트(270)를 외부거푸집(200)의 상단면까지 주입시키는 과정에서 ▽형으로 형성된 빈공간에 2차주입 몰타르시멘트(270)가 주입되는 몰타르시멘트 2차주입단계(170);
상기 2차주입 몰타르시멘트(270)가 경화된 상태에서 외부거푸집(200)을 탈거하여 자연석블럭(300)을 노출시키는 경화 및 외부거푸집 탈거단계(1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이 연결된 자연석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 자연석블럭.
본 발명은 자연석이 거푸집의 내부에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V자형 거푸집(300)을 형성하여, 그 내측의 양측면에 자연석(500)이 걸쳐지게 배열한 상태에서 몰타르시멘트(600)를 주입하여 V자형으로 형성된 자연석블럭과 그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함체의 상단부는 넓고 하단부는 V자형으로 좁아지면서 하면이 폐쇄되게 이루어진 V자형 거푸집(300)에 접합된 내부사각판(130)의 양측 경사면에 자연석(500)이 양방향으로 지지되도록 배열하여 상기 자연석(500)이 하방향으로 침하되는 것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V자형 거푸집(300)의 상단부와 배열된 자연석(500)간의 빈공간을 통해 몰타르시멘트(600)를 주입하여, 상기 몰타르시멘트(600)가 상기 자연석(500)과 단일체로 결합되어 V자형 몸체(700)를 이루면서 좌,우의 양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전,후의 양면은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동일한 넓이의 규격으로 평행되게 이루어진 V자형으로 형성된 자연석블럭과 외부사각판(100)의 내측에 내부삼각판(140)이 삽입되는 규격의 간격을 두고 내부사각판(130)을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을 형성시키고, 상기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 양측의 끝단면에 1개조의 외부삼각판(110)을 고정 수단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내부사각판(130)과 내부사각판(130) 사이의 빈공간에 상기 내부삼각판(140)이 삽입되게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럭의 형태가 상광하협한 V자형으로 형성되어 양면에 자연석을 노출시키는 담장 또는 원형의 구조물과 같이 자연석을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어 일상생활의 주변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3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외부사각판(100)에 복수개의 내부사각판(130)을 적정한 간격으로 접합하여 단일체를 형성한 본체 거푸집(200)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V자형 거푸집(300)의 내부에 다수개의 자연석(500)을 배열한 후, 몰타르시멘트(600)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가)는 도 4의 상태에서 경화되어 거푸집에서 분리한 V자형 자연석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나)는 (가)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실시예로서, V자형 자연석블럭(800)을 양면으로 서로 겹쳐지게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담장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직선 구간은 일반적인 사각형 자연석블럭(850)으로 형성되고, 곡선 구간은 V자형 자연석블럭(800)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의 본체 거푸집(200)이 본체 거푸집 받침대(900)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 외부사각판
101 : 상단면
102 : 측면
103 : 나사못결합공
110 : 외부삼각판
111 : 상단면
112 : 측면
113 : 나사못결합공
120 : 나사못
130 : 내부사각판
131 : 상단면
132 : 측면
140 : 내부삼각판
141 : 상단면
142 : 측면
200 : 본체 거푸집(상기 외부사각판의 내부에 복수개의 내부사각판을 적정한 간격으로 접합하여 단일체를 형성한 것)
300 : V자형 거푸집(상기 1개조의 본체거푸집을 양방향에서 1개조의 외부삼각판으로 고정하여 다수개의 내부삼각판을 삽입한 것)
500 : 자연석
600 : 몰타르시멘트
700 : V자형 몸체(V자형거푸집의 내부에 자연석을 배열하여 몰타르시멘트를 주입한 상태)
800 : V자형 자연석블럭(자연석이 몰타르시멘트와 결합된 V자형 몸체가 경화되어 단일체가 된 것)
801 : 이탈방지시설
850 : 사각형 자연석블럭(몸체가 사각형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자연석블럭)
900 : 본체 거푸집 받침대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로 표기된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300)은 목재로 이루어진 합판 또는 수분접촉에 변형이 적고 반복적인 재사용이 용이한 플라스틱과 같은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직사각형의 외부사각판(100) 한면에 다수개의 내부사각판(130)을 부착함에 있어서, 상기 외부사각판(100)의 상단면(101)과 내부사각판(130)의 상단면(131)이 일치되며 상기 외부사각관(100)의 측면(102)과 내부사각판(130)의 측면(132)이 서로 평탄하게 접착제를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접합하고, 추가적으로 접합되는 내부사각판(130)은 상기 최초에 부착된 내부사각판(130)의 측면(132)에서 내부삼각판(140)이 삽입되는 규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내부사각판(130)을 접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접합되는 내부사각판(130)은 최초 접합된 내부사각판(130)과 같이 외부사각판(100)의 상단면(101)과 내부사각판(130)의 상단면(131)이 일치되며 상기 외부사각판(100)의 측면(102)과 내부사각판(130)의 측면(132)이 서로 평탄하게 접합되게 하여 본체 거푸집(20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을 1개조의 외부삼각판(110)에 의해 V자형으로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나사못결합공(113, 103)을 관통하는 나사못(120)으로 결합되고 이로인해 다수개의 내부사각판(130)의 하단면이 V자형으로 폐쇄되게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사각판(130)과 내부사각판(130)사이의 빈공간에 내부삼각판(140)을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V자형 거푸집(30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졌으며, 상기 V자형 거푸집(300)은 도 8에 표현된것과 같이 본체 거푸집(200)의 외측면 각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본체 거푸집 받침대(900)에 의해 기립되게 이루어졌다.
상기 도 1로 표기된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300)을 이용하여 V자형으로 형성된 자연석블럭(800)을 설명한다.
도 4는 V자형 거푸집(300)의 내부에 다수개의 자연석(500)을 배열한 후, 몰타르시멘트(600)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가)는 도 4의 상태에서 경화되어 거푸집에서 분리한 V자형 자연석블럭(800)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나)는 (가)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자연석(500)은 내부사각판(130)이 V자형으로 각을 이루는 경사면에 상기 자연석(500)의 하단부가 접촉되어 하방향으로 침하되는 것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자연석(500)의 한측면이 내부삼각판(140)에 접촉되어 기립상태가 유지되게한 상태에서 상기 자연석(500)과 전,후,좌,우면에 형성된 빈공간을 통해서 물에 희석되어 걸죽해진 몰타르시멘트(600)를 주입하여 V자형 거푸집(300)의 상단면(111, 141, 131)까지 차오르게 주입하여 V자형 몸체(700)를 형성하여, 음지에서 2일 내지 3일간 경화 및 양생하여 V자형 거푸집(300)을 탈거하여 V자형 자연석블럭(800)을 얻을 수 있게 이루어졌다.
이때, V자형 거푸집(300)으로 부터 V자형 자연석블럭(800)을 탈거하는 순서는 외부삼각판(110)과 본체 거푸집(200)을 V자형으로 고정시키고 있는 나사못(120)을 빼낸 후 1개조의 외부삼각판(110)을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으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을 고무망치와 같은 타격공구를 이용하여 본체 거푸집(200)을 두드리듯이 작은 충격을 주어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을 분리시키고 난후에 양생이 완료된 V자형 자연석블럭(800)과 내부삼각판(140)을 순차적으로 때어낼 수 있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V자형 자연석블럭(80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V자형 자연석블럭(800)을 양면으로 서로 겹쳐지게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담장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지면의 경계를 나누기 위하여 평탄하게 정리된 지반위에 V자형 자연석블럭(800)을 서로 겹쳐지게 배열하여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양면에 자연석(500)이 노출되게 하였으며, 도 7과 같이 직선 구간은 일반적인 사각형 자연석블럭(850)으로 형성되고 곡선으로 이어지는 구간이 V자형 자연석블럭(800)으로 빈틈없이 연결되게 구성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선 구간은 양방향으로 배열하여 직선으로 축조할 수 있고, 곡선 구간은 V자형의 특성을 이용하여 블럭과 블럭간 사이에 빈공간이 없이 축조 가능토록 발명되었다.

Claims (2)

  1. 삭제
  2. 외부사각판(100)의 내측에 내부삼각판(140)이 삽입되는 규격의 간격을 두고 내부사각판(130)을 순차적으로 접합하여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을 형성시키고, 상기 1개조의 본체 거푸집(200) 양측의 끝단면에 1개조의 외부삼각판(110)을 고정 수단으로 결합시킨 후, 상기 내부사각판(130)과 내부사각판(130) 사이의 빈공간에 상기 내부삼각판(140)이 삽입되게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KR1020220027357A 2022-03-02 2022-03-02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Active KR10264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357A KR102643652B1 (ko) 2022-03-02 2022-03-02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357A KR102643652B1 (ko) 2022-03-02 2022-03-02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89A KR20230129889A (ko) 2023-09-11
KR102643652B1 true KR102643652B1 (ko) 2024-03-06

Family

ID=8802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357A Active KR102643652B1 (ko) 2022-03-02 2022-03-02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6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356A (ko) * 1995-10-26 1997-05-28 조용현 자연석 콘크리트 시멘트블록의 제조방법
KR102282102B1 (ko) * 2019-07-30 2021-07-28 임회규 자연석의 전면부가 노출된 축조용 블럭 제조방법 및 그 축조용 블럭
KR102415415B1 (ko) * 2020-07-24 2022-07-01 임회규 양면이 연결된 자연석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 자연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89A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47859C (zh) 整体式基座
JP2001295298A (ja) 柱状構造物用基礎とその施工方法
KR102643652B1 (ko) 자연석블럭 제조용 v자형 거푸집
KR101563952B1 (ko) 조경용 담장 및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과 블록가공기
KR101021475B1 (ko) 프리케스트 콘크리트패널을 활용한 조립식 콘크리트도로 및 그 시공방법
JP6231519B2 (ja) 構築用組みブロック
JP2018031131A (ja) 低層建築物及び基礎工事用アンカーホルダー
KR102139214B1 (ko) 격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1598036U (zh) 拼接浇筑式围墙立柱
KR102341776B1 (ko)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102415415B1 (ko) 양면이 연결된 자연석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 자연석블럭
KR102282102B1 (ko) 자연석의 전면부가 노출된 축조용 블럭 제조방법 및 그 축조용 블럭
JP2002061320A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嵩上げ工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型枠板の型枠固定金具
KR101778018B1 (ko) 보강토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블록 제조방법
KR100774020B1 (ko) 노출 콘크리트벽
KR101164126B1 (ko) 폴리머콘크리트 거푸집 및 이를 사용한 박스암거 시공방법
JP6854689B2 (ja) 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及び境界部材
KR101530601B1 (ko) 무늬 콘크리트패널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을 포함하는 옹벽 시공방법 및 그 무늬 콘크리트패널
JP3231219U (ja) 緩勾配に対応した擁壁ブロックの裏型枠
KR10269287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돌담패널 제조공법
JP2002054254A (ja) 建築用壁構造材
KR102506180B1 (ko) 전단키홈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암거 블록
CN221608914U (zh) 一种带榫卯结构的预制空心板
JP7698331B2 (ja) 残存型枠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20115477A (ko) 자연석 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 자연석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6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