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535B1 - A device for fixing the crossbar of a vehicle roof rack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fixing the crossbar of a vehicle roof r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1535B1 KR102641535B1 KR1020210156124A KR20210156124A KR102641535B1 KR 102641535 B1 KR102641535 B1 KR 102641535B1 KR 1020210156124 A KR1020210156124 A KR 1020210156124A KR 20210156124 A KR20210156124 A KR 20210156124A KR 102641535 B1 KR102641535 B1 KR 102641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ed surface
- vehicle
- bracket
- door frame
- roo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레일이 설치되지 않은 차량에서 루프랙 크로스바를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루프랙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문틀과 루프패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레일홈에 끼워지는 삽입편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편에서 절곡되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 상부에는 크로스바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문틀의 절곡면에 걸리는 걸림편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경사면 상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접촉편이 마련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 마련된 체결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가 나사 결합될 때,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가 조여짐으로써 상기 차량의 문틀에 고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oof rack crossbar fixing device that can easily install a roof rack crossbar in a vehicle without roof rails and at the same time ensure safety. A rail provided longitudinally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A first bracke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iece that fits into a groove, is bent from the insertion piece to form a first inclined surface at a certain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ha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a crossbar on an upper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and bending of the door frame. A second bracke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that catches on the surface, forms a second inclined surface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cking piece, and has a contact piece that contacts the first inclined surface on an upper part of the second slope, and the first bracket includes When the bolt and nut are screwed together through the fastening hole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tightened, so that the door frame of the vehicle can be fix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루프랙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본 루프레일이 설치되지 않은 차량의 루프에 루프랙 크로스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차량 루프랙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oof rack crossbar fixing device, and particularly to a vehicle roof rack crossbar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roof rack crossbar to the roof of a vehicle that does not have basic roof rails installed.
루프랙(Roof Rack)은 자동차의 트렁크 설계와 화물 제한없이 차량의 상부에 물건을 운반할 수 있게 한 장치로써, 최근에는 스포츠 장비들이나 캠핑을 위한 텐트나 어닝 등 다양한 장비를 설치하고 운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Roof Rack is a device that allows objects to be transported to the top of a vehicle without the design of the car's trunk and cargo restrictions. Recently, it has been used to install and transport various equipment such as sports equipment, tents and awnings for camping, etc. .
루프랙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크로스바와 이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SUV 등의 차량의 경우 루프 양쪽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는 루프레일(Roof Rail)에 고정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The roof rack consists of a crossbar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fixing device to secure it. In the case of vehicles such as SUVs, the method of fixing to roof rails mounted longitudinally on both sides of the roof is mainly used.
반면, 루프레일이 설치되지 않거나 구조상 루프레일의 설치가 어려운 차량들의 경우, 위와 다른 방식으로 루프랙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20-0112140호에서는 차량의 창문틀에 고정하는 방식의 자동차 루프바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vehicles where roof rails are not installed or where roof rails are difficult to install due to structural reasons, the roof rack can be installed in a different way than above. For example, Publication Patent No. 10-2020-0112140 discloses a vehicle roof bar fixing device that is fixed to the window frame of a vehicle.
그러나, 위의 종래기술에서는 루프바 양단에 구비되는 2개의 후크를 단순히 차량의 양쪽 창문틀에 걸어서 루프바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설치는 간단할 수 있겠지만 루프바를 잡아주는 힘이 약해서 차량 운행중에 루프바가 쉽게 이탈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한 대형사고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어 안전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roof bar is supported by simply hanging two hook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roof bar on both window frames of the vehicle. Installation may be simple, but the force holding the roof bar is weak, so the roof bar may break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There is a serious problem in terms of safety a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easily come off and there is a risk of a major accident due to thi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히는 기술적 과제는 루프레일이 설치되지 않은 차량에서 루프랙 크로스바를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 루프랙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vehicle roof rack crossbar fixing device that can easily install a roof rack crossbar in a vehicle without roof rails and at the same time ensure safet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랙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루프레일이 설치되지 않은 차량에 루프랙 크로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량의 문틀과 루프패널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레일홈에 끼워지는 삽입편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편에서 절곡되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제1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 상부에는 크로스바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마련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문틀의 절곡면에 걸리는 걸림편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경사면 상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접촉편이 마련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 마련된 체결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가 나사 결합될 때,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가 조여짐으로써 상기 차량의 문틀에 고정될 수 있다.The roof rack crossba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is for fixing the roof rack crossbar to a vehicle without roof rails, and is installed in a rail groov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A first bracke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iece to be fitted, and is bent from the insertion piece to form a first inclined surface at a certain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ha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crossbar at the upper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and is attached to the bent surface of the door frame.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forms a second inclined surface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cking piece, and includes a second bracket having a contact piece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on an upper par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When the bolt and nut are screwed together through the fastening hole provid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tightened, so that the door frame of the vehicle can be fixed.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나사 결합시에 상기 볼트가 상기 문틀의 상부면과 나란한 상태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제2경사면에 체결보조판이 형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fastening auxiliary plate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bolt has an inclina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ame when the screw is coupled.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접촉편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돌기가 제1경사면 상단에 마련된 스토퍼홀에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홀은 제1경사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 결합시에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스토퍼홀을 따라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topper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contact piece is inserted into a stopper hole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topper hole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so that when the screw is coupled, The distance at which the stopper protrusion can move upward along the stopper hole may be limit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랙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의하면, 설치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각각의 문틀 좌우 양쪽에서 클램프 방식으로 문틀을 조여줌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루프랙을 잡아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운행 중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roof rack crossba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is simple, so anyone can easily assemble it, and the roof rack can be held more firmly by tightening the door fram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door frame using a clamp method, thereby improving vehicle operation. Safety can be ensured.
또한, 클램핑을 위한 볼트 조임량의 최대치를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조임에 따른 차체의 변형이나 회손을 막을 수 있다.Additionally, by limiting the maximum amount of bolt tightening for clamping,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car body due to excessive tightening can be prevented.
또한, 볼트의 삽입 기울기를 문틀 상부의 형상이나 곡률에 맞추어 설계함으로써 인장강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ensile strength can be maximized by designing the insertion slope of the bolt to match the shape or curva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door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랙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roof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a roof rack install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랙이 차량에 설치된 모습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roof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roof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vehic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프랙(10)은 크로스바(20)와 고정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roof ra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ssbar 20 and a
본 발명에 따른 루프랙(10)은 차량 루프패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루프레일이 장착되지 않은 차량에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 양쪽에서 결합된 고정장치(30)가 차량 문틀(1)에 직접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루프레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The roof ra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that is not equipped with roof rails that are installed longitudinally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roof panel.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여기서, 문틀(1)은 차량의 바디 프레임을 이루는 요소들 중 루프패널(2)과 접하면서 차량 필러들(예컨대, A필러와 B필러, B필러와 C필러, 또는 A필러와 C필러)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랙(10)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문틀(1)과 루프패널(2)이 이어지는 지점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레일홈(3)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문틀(1)에는 차량도어가 안착되도록 안쪽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절곡면(4)이 마련되어야 한다.Here, the door frame 1 is in contact with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30)는 레일홈(3)과 절곡면(4) 사이의 문틀(1)부분을 마치 클램프와 같이 꽉 조여서 잡아줌으로써, 종래에 양쪽 문틀에만 걸어서 고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결합 강도나 안전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That is,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장치(30)는 차량 문틀(1)의 루프측, 즉 레일홈(3)의 내벽을 잡아주는 제1브라켓(100)과 차량 문틀(1)의 도어측, 즉 절곡면(4)을 잡아주는 제2브라켓(20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은 양쪽에서 볼트(300)와 너트(310)를 이용한 나사결합을 통해 서로를 잡아당겨 차량 문틀(1)을 클램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to 5, the
제1브라켓(100)의 하단부에는 차량 루프의 레일홈(3)에 삽입되며, 레일홈(3)의 한쪽 내벽과 밀착되는 삽입편(110)이 구비된다. 삽입편(110)은 고정장치(30)가 클램핑될 때 내벽에 더욱 밀착되어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때 레일홈(4)에서의 이탈을 막고 올바른 정렬을 위해 레일홈(4)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어 ‘L’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삽입편(110)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경사면(120)은 수평면, 즉 루프패널(2)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경사각은 제2브라켓(200)과의 결합 용이성이나 인장 강도 등을 고려할 때, 대략 60°~ 80° 사이의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제1경사면(120) 내부에는 제1체결공(125)과 후술할 제2브라켓(200)의 스토퍼돌기(235)가 삽입되는 스토퍼홀(126)이 형성된다.Inside the first
제1체결공(125)은 제1경사면(120) 하부 중심에 위치하며, 제1경사면(120) 후면의 제1체결공(125) 양측에는 너트(310)가 안착될 수 있는 한 쌍의 받침대(31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너트(310)는 체결의 편의와 경사각을 고려하여 원통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형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The
스토퍼홀(126)은 제1경사면(120) 상부에서 중심선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고정장치(30)가 문틀(1)을 클램핑하기 위해 볼트(300)가 조여질 때, 스토퍼홀(126)은 삽입된 스토퍼돌기(235)가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과도한 볼트 조임으로 인한 차량 문틀의 변형이나 훼손을 방지하면서 최대의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볼트 조임량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The
제1경사면(120)의 상단부에는 크로스바(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30)가 마련되며, 결합부(130)는 크로스바(20)의 크기나 형태, 및 결합수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
제2브라켓(200)의 하단부에는 차량 문틀(1)의 절곡면(4)에 밀착되어 걸리는 걸림편(210)이 구비되며, 제2경사면(220)이 걸림편(210)에서 절곡되어 연장된다.The lower end of the
이때, 제2경사면(220)은 제1경사면(120)보다 더 낮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경사면(230)의 상단부에는 제1경사면(120)과 서로 맞닿아 접촉되는 접촉편(230)이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접촉편(230)에는 제2경사면과 접하는 면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돌기(235)가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235)는 제1브라켓(100)의 스토퍼홀(126)에 삽입된다.The
접촉편(230)은 볼트(300)가 조여질 때 마찰력으로 인해 제1경사면(120)과 밀착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후 볼트(300)의 조임량이 점점 커짐에 따라 제1경사면(120)을 따라 약간의 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돌기(235)도 스토퍼홀(126) 내에서 함께 상승하게 되며, 일정거리 이동이 되면 스토퍼돌기(235)가 스토포홀(126)의 내벽에 막혀 더 이상 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제2경사면(220) 내부에는 제2체결공(225)이 형성된다. 제2경사면(220)의 전면에서 제1체결공(125)과 제2체결공(225)을 관통하여 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볼트(300)는 제1경사면(110)의 후면에 마련된 너트(310)와 나사 결합된다. A
이때, 볼트(300)는 제1경사면(120)과 제2경사면(220)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삽입된다. 다시 말해서, 제1체결공(125)과 제2체결공(126)의 위치를 조절하여 적어도 제2경사면(220)에 대하여 수직하게 볼트(300)를 삽입할 수도 있으나, 고정장치(30)가 문틀(1)을 잡아주는 힘, 즉 인장 강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볼트(300)가 문틀(1) 상부면과 나란한 상태의 기울기를 갖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의 절곡면(4)과 레일홈(3)의 내벽면을 잇는 평면의 기울기에 맞추어 수평에서 약간 아래로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를 위해, 제2경사면(220)의 전면에는 볼트(300)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체결보조판(240) 형성될 필요가 있다. 체결보조판(240)에는 볼트(300)가 관통하는 체결구가 마련되며, 지지보강을 위해 굴곡된 형태로 연장되어 제2경사면(2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fasten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 : 문틀 2 : 루프패널
3 : 레일홈 4 : 절곡면
10 : 루프랙 20 : 크로스바
30 : 고정장치 100 : 제1브라켓
110 : 삽입편 120 : 제1경사면
125 : 제1체결공 126 : 스토퍼홀
130 : 결합부 200 : 제2브라켓
210 : 걸림편 220 : 제2경사면
225 : 체결공 230 : 접촉편
235 : 스토퍼돌기 240 : 체결보조판
300 : 볼트 310 : 너트1: Door frame 2: Roof panel
3: Rail groove 4: Bend surface
10: Roof rack 20: Crossbar
30: Fixing device 100: First bracket
110: Insert 120: First slope
125: first fastening hole 126: stopper hole
130: Coupler 200: Second bracket
210: Jamming piece 220: Second slope
225: fastening hole 230: contact piece
235: stopper projection 240: fastening auxiliary plate
300: bolt 310: nut
Claims (3)
차량의 문틀(1)과 루프패널(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레일홈(3)에 끼워지는 삽입편(110)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편에서 절곡되어 수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제1경사면(120)을 형성하며, 상기 제1경사면 상부에는 크로스바(20)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130)가 마련되는 제1브라켓(100)과,
상기 문틀의 절곡면(4)에 걸리는 걸림편(21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경사면(220)을 형성하며, 상기 제2경사면 상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과 접촉되는 접촉편(230)이 마련되는 제2브라켓(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에 마련된 체결공(125, 225)을 통해 볼트(300)와 너트(310)가 나사 결합될 때,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가 조여짐으로써 상기 차량의 문틀(1)에 고정되며,
상기 나사 결합시에 상기 볼트(300)가 상기 문틀(1)의 상부면과 나란한 상태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제2경사면(220)에 체결보조판(240)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편(230)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돌기(235)가 제1경사면 상단에 마련된 스토퍼홀(126)에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홀(126)은 제1경사면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 결합시에 상기 스토퍼돌기가 상기 스토퍼홀을 따라 위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랙 크로스바 고정장치.
In the roof rack crossbar fixing device (30) for fixing the roof rack crossbar to a vehicle without roof rails installed,
An insertion piece (110) is provided that is inserted into a rail groove (3)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door frame (1) and the roof panel (2) of the vehicle, and is bent at the insertion piece to form a certain angle with the horizontal plane and forms a first inclined surface. A first bracket (100) forming (120)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130) for coupling with the crossbar (20) at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lope,
A locking piece 210 is provided that hangs on the bent surface 4 of the door frame, and forms a second inclined surface 220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locking pie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lope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lope. It includes a second bracket 200 on which a contact piece 230 is provided,
When the bolt 300 and the nut 310 are screwed together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25 and 225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slope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tightened, thereby tightening the vehicle. It is fixed to the door frame (1),
A fastening auxiliary plate 240 is form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0 so that the bolt 300 has an inclina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ame 1 when screwed,
A stopper protrusion 235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contact piece 230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hole 126 provided at the top of the first slope,
The stopper hole 126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limits the distance that the stopper protrusion can move upward along the stopper hole when the screw is coup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124A KR102641535B1 (en) | 2021-11-13 | 2021-11-13 | A device for fixing the crossbar of a vehicle roof r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6124A KR102641535B1 (en) | 2021-11-13 | 2021-11-13 | A device for fixing the crossbar of a vehicle roof ra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0126A KR20230070126A (en) | 2023-05-22 |
KR102641535B1 true KR102641535B1 (en) | 2024-03-29 |
Family
ID=8654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6124A Active KR102641535B1 (en) | 2021-11-13 | 2021-11-13 | A device for fixing the crossbar of a vehicle roof r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153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93501A2 (en) | 1985-02-25 | 1986-09-03 | G.E.V. Ricambi S.p.A. | Roof rack for use on motor cars with or without gutters |
JP2015085918A (en) | 2013-11-01 | 2015-05-07 | 精興工業株式会社 | Roof carri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13261A1 (en) * | 1995-04-07 | 1996-10-10 | Silvretta Sherpas Sportartikel | Support element for motor vehicle roof rack |
-
2021
- 2021-11-13 KR KR1020210156124A patent/KR1026415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93501A2 (en) | 1985-02-25 | 1986-09-03 | G.E.V. Ricambi S.p.A. | Roof rack for use on motor cars with or without gutters |
JP2015085918A (en) | 2013-11-01 | 2015-05-07 | 精興工業株式会社 | Roof carr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0126A (en) | 2023-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78257B2 (en) | Roof rack for a vehicle | |
US20100148535A1 (en) | Door structure for vehicle | |
US20110088325A1 (en) | Motor Vehicle Door Comprising a Window-Lifting Rail Retained by a Module Support | |
CN113492920B (en) | Pick up car and automobile body thereof | |
US20200324632A1 (en) | Truck bed cover locking device, truck bed and truck | |
US8517450B2 (en) | Safeguard for the sliding door of a motor vehicle | |
US20140169020A1 (en) | Adjustable Headlamp Attachment with Pedestrian Protection | |
KR102641535B1 (en) | A device for fixing the crossbar of a vehicle roof rack | |
US7175060B1 (en) | Bed slide that mounts in a vehicle using pre-existing mounting points | |
CN112572302A (en) | Connecting assembly, roof luggage rack connecting structure and automobile | |
US7581981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fitting device | |
US4767154A (en) | Automobile roof structure | |
US6945589B2 (en) | Truck bed cap assembly device | |
CN207128836U (en) | The box-like mounting structure of back prop and its attachment structure on automobile | |
JP4819487B2 (en) | Sliding door mounting structure | |
KR101001199B1 (en) | Protective fenc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
JPH0238158A (en) | Roof carrier for vehicle | |
CN211169403U (en) | Fixing mechanism and fixing frame of elevator guide rail | |
CN218141014U (en) | Fixing structure of auxiliary battery | |
KR102582750B1 (en) | Horizontal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roof rail | |
CN222179169U (en) | Stopper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 |
CN216105504U (en) | Auxiliary device for fixing front edge plate of escalator | |
KR100262173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ar roof | |
KR200150451Y1 (en) | Combined structure of vehicle roof rack and integrated fixing bracket for seat belt | |
KR100941092B1 (en) | Vehicle Towing Hook Mount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4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3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