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41314B1 -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314B1
KR102641314B1 KR1020230113411A KR20230113411A KR102641314B1 KR 102641314 B1 KR102641314 B1 KR 102641314B1 KR 1020230113411 A KR1020230113411 A KR 1020230113411A KR 20230113411 A KR20230113411 A KR 20230113411A KR 102641314 B1 KR102641314 B1 KR 10264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hovel blade
dual
hydraulic oil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진
오병현
Original Assignee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5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now-plough blade, e.g. flexible, or by snow-plough blade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4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used as a supplementary power source, e.g. to store energy in idle periods to balance pump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삽날(고무삽날, 쇠삽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제설기의 과부하 사고방지를 위한 유압회로를 포함하여 제설기의 전체적인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듀얼삽날 제설기는 쇠삽날의 사용중에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거나 동력 손실을 보존하기 위한 유압 제어에 관련한 기술이 개시되지 않아 듀업삽날 제설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듀얼삽날을 제어하기 위한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 제설판의 좌우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한 틸팅용 유압제어부, 제설판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용 유압제어부를 포함하여 듀얼삽날 제설기를 종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유압 제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Dual shovel snow plow hydraul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듀얼삽날(고무삽날, 쇠삽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제설기의 과부하 사고방지를 위한 유압회로를 포함하여 제설기의 전체적인 작동 유압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예측하지 못한 폭설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대란 및 이로 인해 야기되는 사고사례는 기상계측이 발달함에도 매해 겪는 일종의 통과의례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폭설재앙은 안일, 늑장대응이 빚은 '후진국형 인재(人災)'로써 이를 대비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자에 들어서는 자치단체별로 각종 제설장비를 충분하게 확보하며, 특히 겨울철엔 폭설에 따른 비상경비체제에 돌입하게 된다.
일례로서 제설장비의 일종인 제설기를 차량의 전방에 장착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면서 적설을 도로의 갓길로 밀어내어 도로에 쌓인 눈을 신속하게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 장착하여 적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통상의 제설기는 리프트 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제설판의 하단에 부착된 제설삽날을 노면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저속으로 주행함으로써 상기 제설기가 노면의 적설, 압설을 도로변으로 밀어내면서 제설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의 제설기를 이용한 제설작업은 단순히 노면의 쌓인 눈을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나, 아무리 제설삽날을 노면에 밀착시킨다고 해도 노면의 상태 등이 불균일하고, 도로 위에는 맨홀뚜껑을 비롯한 각종 구조물 등 장애물이 많이 있는 반면, 제설기에 가해지는 힘은 정밀하게 제어되지 못하기 때문에 노면에 잔설이 남을 수밖에 없고, 남아있는 잔설은 제설차량의 타이어에 의해 노면에 압착하게 되어 제거하기 어려운 압설을 형성하기 때문에 문제점이 많이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설기의 후방에 추가로 후방삽날을 두도록 하여 전방삽납이 제거하지 못한 잔설을 후방삽날이 제거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방삽날과 후방삽날이 구비된 제설기에 관련한 최신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2530381호, 명칭/ 적설 상황을 측정하여 듀얼삽날을 적용하는 제설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적설 상황을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듀얼삽날 모드를 선택할 시점이거나 상기 듀얼삽날 모드에서 싱글삽날 모드로 복귀할 시점임을 자동으로 알려주어 최적의 맞춤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쇠삽날의 사용중에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거나 동력 손실을 보존하기 위한 유압 제어에 관련한 기술이 개시되지 않아 듀업삽날 제설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듀얼삽날을 제어하기 위한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 제설판의 좌우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한 틸팅용 유압제어부, 제설판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승강용 유압제어부를 포함하여 듀얼삽날 제설기를 종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유압 제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쇠삽날을 사용하는 듀업삽날 모드시 장애물 등에 의한 과부하가 쇠삽날 실린더에 작용하면 사고방지 밸브가 과부하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 이상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순간 자동으로 개방하여 유압유를 유압유 탱크로 회수하면서 과부하 사고를 방지하는 사고방지 회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삽날만을 사용하는 싱글삽날 모드시 적설높이 감지센서가 쇠삽날을 사용할 적설높이에 해당함을 감지하면 컨트롤러가 승강용 메인제어밸브를 작동하여 승강 실린더가 축소될 수 있도록 유압유의 흐름을 조절하여 제설판을 자동으로 상승시켜 지면과의 간격을 확보함과 동시에 쇠삽날을 하부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쇠삽날을 사용하는 듀얼삽날 모드시 진동 감지센서가 고무삽날을 사용할 진동폭에 해당하면 컨트롤러가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를 작동하여 승강 실린더가 신장될 수 있도록 유압유의 흐름을 조절하면서 제설판을 자동으로 하강시켜 고무삽날이 노면에 근접하게 함과 동시에 쇠삽날을 상부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쇠삽날 실린더에 부하가 작용하여 압력이 증가하면 쇠삽날 실린더와 연결된 어큐뮬레이터가 부하에 따른 압력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삽날을 사용하는 제설작업시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쇠삽날의 파손을 방지하고, 쇠삽날의 사용에 따른 무부하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쇠삽날의 사용시 노면상태에 따라 다른 강도의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완충력을 발휘함은 물론 동력손실을 보장함으로써 듀업삽날 제설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노면상태에 따라 쇠삽날의 사용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쇠삽날을 하부로 펼치거나 상부로 접어줌으로써 작업자는 신경을 쓰지 않고 제설차량의 운전에만 집중하여 추돌사고를 방지하면서도 모든 환경에서도 최대의 제설효과 및 맞춤 제설을 효율적으로 시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틸팅용 유압제어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승강용 유압제어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어큐뮬레이터 및 전자유량조절밸브(18)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삽날 제설기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삽날 제설기의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삽날 제설기의 평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10), 틸팅용 유압제어부(20), 승강용 유압제어부(3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적설상황에 따라 고무삽날(1)과 쇠삽날(2)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10)라는 신규의 기술이 접목된다.
이를 위한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10)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유압유 저장탱크(3)에 저장된 유압유를 유압펌프(3a)를 이용하여 펌핑한 후 공급라인(P) 및 상기 공급라인(P)에 일측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은 다수의 쇠삽날 실린더(11)의 일측 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유압라인(12)을 통해 쇠삽날(2)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수의 쇠삽날 실린더(11)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다수의 쇠삽날 실린더(11)의 타측 포트에 각각 일측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은 리턴라인(T)과 연결된 제2 유압라인(13) 및 상기 리턴라인(T)을 통해 쇠삽날 실린더(11)의 유압유는 유압유 저장탱크(3)로 리턴함으로써 쇠삽날 실린더(11)의 신축조작에 따라 쇠삽날(2)을 상하로 회전하면서 펼치거나 접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제2 유압라인(12)(13)에는 컨트롤러(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가 설치된 유압회로를 갖는다.
상기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는 공급라인(P)의 유압유를 제1, 제2 유압라인(12)(13)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공급함과 아울러 리턴라인(T)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작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제1 유압라인(12)의 한쪽 포트는 차단됨에 반해 제2 유압라인(13)의 양쪽 포트는 연결됨으로써 후술하는 사고방지 밸브(15)의 개방시 유압유를 제2 유압라인(13) 및 리턴라인(T)을 통해 유압유 저장탱크(3)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쇠삽날(2)을 사용하는 듀얼삽날 모드시 노면의 돌출물이나 장애물 등이 쇠삽날(2)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과부하가 쇠삽날 실린더(11)에 작용하면서 쇠삽날(2)이나 쇠삽날 실린더(11)가 파손되거나 차량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 대책의 일환으로 사고방지 밸브(15)라는 기술이 유기적으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10)는 도 2와 같이 쇠삽날 실린더(11)와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제2 유압라인(12)(13)에 사고방지 밸브(15)가 설치되고, 이러한 사고방지 밸브(15)는 유압이 가해지면 열리고, 유압을 제거하면 닫히는 더블 카운터 밸런스밸브(counter balance valve)가 적용될 수 있으며, 쇠삽날(2)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쇠삽날 실린더(11)에 과부하가 작용할 때 설정된 압력값 이상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순간 자동으로 개방하면서 쇠삽날 실린더(11)의 유압유는 제2 유압라인(13) 및 리턴라인(T)을 통해 유압유 저장탱크(3)로 회수됨으로써 제설작업시 과부하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사고방지 밸브(15)는 체크밸브를 구비하여 쇠삽날 실린더(11) 쪽으로만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갖고, 유압유 저장탱크(3) 쪽으로는 압력조정밸브(15a)가 개방되어야만 흐름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압력조정밸브(15a)의 압력값 조정에 따라 제2 유압라인(13)의 개방 시점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쇠삽날 실린더(11)에 작용하는 부하가 압력조정밸브(15a)의 설정된 압력값에 도달하면 비로소 사고방지 밸브(15)가 개방됨에 과부하에 따른 쇠삽날 실린더(11)의 유압유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방지 밸브(15)가 개방되지 않는 설정 압력값 이내에서 상기 쇠삽날 실린더(11)에 부하가 작용하여 압력이 증가하면 쇠삽날 실린더(11)와 연결된 어큐뮬레이터(17)가 부하에 따른 압력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유기적으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쇠삽날 실린더(11)의 일측 포트에 연결된 제2 유압라인(13)에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유압 보정라인(16)이 연결되고, 상기 유압 보정라인(16)의 선단에는 어큐뮬레이터(17)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압 보정라인(16)의 중간 지점에 전자유량조절밸브(18)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어큐뮬레이터(17)는 쇠삽날 실린더(11)에 부하가 작용하여 압력이 증가하면 부하에 따른 압력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무부하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쇠삽날(2)의 사용시 노면상태에 따라 다른 강도의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완충력을 발휘하고, 동력손실을 보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유량조절밸브(18)는 체크밸브(18a)를 가진 교축밸브의 입구 측으로 들어와 출구 측으로 나갈 때에는 교축작용을 하지만 역방향으로 흐를 때에는 체크밸브(18a)가 열려 by-pass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틸팅용 유압제어부(20)는 제설판(4)의 좌우 회전각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유압유 저장탱크(3)의 유압유를 유압펌프(3a)로 펌핑한 후 공급라인(P) 및 제1 유압라인(22)을 통해 제설판(4)의 좌우 회전각을 조절하는 어느 한쪽의 틸팅 실린더(21)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 실린더(21)가 신장되면서 수평 상으로 회전하는 제설판(4)에 의해 자동으로 수축하게 되는 다른 한쪽 틸팅 실린더(21a)의 유압유는 제2 유압라인(23) 및 리턴라인(T)을 통해 유압유 저장탱크(3)로 리턴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틸팅 실린더(21)(21a)의 신축에 따라 제설판(4)의 좌우 회전각을 자유롭게 조절하며, 이러한 제1, 제2 유압라인(22)(23)에는 컨트롤러(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틸팅용 메인제어밸브(24)가 설치된 유압회로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컨트롤러(40)는 제설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5) 및 회전각 포텐셔미터(6)로부터 제설판(4)의 회전각 정보가 입력되면 틸팅용 메인제어밸브(2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양쪽의 틸팅 실린더(21)(21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제설판(4)의 수평 회전각을 차량의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여 제설판(4)의 부하 방지 및 제설효과를 극대화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용 유압제어부(30)는 제설판(4)의 상승 또는 하강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상기 유압유 저장탱크(3)의 유압유를 유압펌프(3a)로 펌핑한 후 공급라인(P) 및 상기 공급라인(P)에 일측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은 승강 실린더(31)의 일측 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유압라인(32)을 제설판(4)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승강 실린더(31)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 실린더(31)의 타측 포트에 일측이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은 리턴라인(T)과 연결된 제2 유압라인(33) 및 상기 리턴라인(T)을 통해 유압유 저장탱크(3)로 리턴함으로써 승강 실린더(31)의 신축조작에 따라 제설판(4)을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제2 유압라인(32)(33)에는 컨트롤러(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승강용 메인제어밸브(34)가 설치된 유압회로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트롤러(40)는 고무삽날(1)을 사용하는 싱글삽날 모드시 제설기에 설치된 적설높이 감지센서(7)가 쇠삽날(2)을 사용할 적설높이에 해당함을 감지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승강용 메인제어밸브(3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승강 실린더(31)가 축소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제설판(4)을 상승시켜 노면과의 간격(G)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쇠삽날 실린더(11)가 신장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쇠삽날(2)을 하부로 회전시켜 펼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적설높이 감지센서(7)가 쇠삽날(2)을 사용할 적설높이에 해당함을 감지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어 수동으로 제설판(4)을 상승한 후 쇠삽날(2)을 하부로 회전시키는 수동모드로 조작 가능함은 물론 자동모드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러(40)는 쇠삽날(2)을 사용하는 듀얼삽날 모드시 제설기에 설치된 진동 감지센서(8)가 고무삽날(1)을 사용할 진동폭에 해당함을 감지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쇠삽날 실린더(11)가 축소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쇠삽날(2)을 상부로 회전시켜 접어줌과 동시에 상기 승강용 메인제어밸브(34)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승강 실린더(31)가 신장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제설판(4)을 하강시켜 고무삽날(1)이 노면에 근접하게 하여 고무삽날(1)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신경을 쓰지 않고 제설차량의 운전에만 집중하여 추돌사고를 방지하면서도 모든 환경에서도 최대의 제설효과 및 맞춤 제설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G: 간격 P: 공급라인
T: 리턴라인 1: 고무삽날
2: 쇠삽날 3: 유압유 저장탱크
4: 제설판 5: 속도센서
6: 회전각 포텐셔미터 7: 적설 높이감지센서
8: 진동 감지센서 10: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
11: 쇠삽날 실린더 12, 22, 32: 제1 유압라인
13, 23, 33: 제2 유압라인 14: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
15: 사고방지 밸브 16: 유압 보정라인
17: 어큐뮬레이터 18: 전자유량조절밸브
20: 틸팅용 유압제어부 21, 21a: 틸팅 실린더
24: 틸팅용 메인제어밸브 30: 승강용 유압제어부
31: 승강 실린더 34: 승강용 메인제어밸브
40: 컨트롤러

Claims (6)

  1. 유압유 저장탱크(3)의 유압유를 유압펌프(3a)로 펌핑하여 공급라인(P) 및 제1 유압라인(12)을 통해 쇠삽날(2)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다수의 쇠삽날 실린더(11)에 공급함과 동시에 제2 유압라인(13) 및 리턴라인(T)을 통해 유압유 저장탱크(3)로 리턴시키고, 상기 제1, 제2 유압라인(12)(13)에는 컨트롤러(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가 설치된 유압회로를 갖는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10)와;
    상기 유압유 저장탱크(3)의 유압유를 유압펌프(3a)로 펌핑하여 공급라인(P) 및 제1 유압라인(22)을 통해 제설판(4)의 좌우 회전각을 조절하는 어느 한쪽의 틸팅 실린더(21)에 공급함과 동시에 다른 한쪽 틸팅 실린더(21a)의 유압유를 제2 유압라인(23) 및 리턴라인(T)을 통해 유압유 저장탱크(3)로 리턴시키고, 상기 제1, 제2 유압라인(22)(23)에는 컨트롤러(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틸팅용 메인제어밸브(24)가 설치된 유압회로를 갖는 틸팅용 유압제어부(20)와;
    상기 유압유 저장탱크(3)의 유압유를 유압펌프(3a)로 펌핑하여 공급라인(P) 및 제1 유압라인(32)을 통해 제설판(4)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31)에 공급함과 동시에 제2 유압라인(33) 및 리턴라인(T)을 통해 유압유 저장탱크(3)로 리턴시키고, 상기 제1, 제2 유압라인(32)(33)에는 컨트롤러(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승강용 메인제어밸브(34)가 설치된 유압회로를 갖는 승강용 유압제어부(3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듀얼삽날용 유압제어부(10)는 쇠삽날 실린더(11)와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제2 유압라인(12)(13)에 사고방지 밸브(15)가 설치되고, 상기 사고방지 밸브(15)는 쇠삽날(2)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쇠삽날 실린더(11)에 과부하가 작용할 때 설정된 압력값 이상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순간 자동으로 개방하면서 유압유를 유압유 저장탱크(3)로 회수하여 쇠삽날(2)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고무삽날(1)을 사용하는 싱글삽날 모드시 제설기에 설치된 적설높이 감지센서(7)가 쇠삽날(2)을 사용할 적설높이에 해당함을 감지하는 정보가 입력되면 승강용 메인제어밸브(34)의 제어를 통해 승강 실린더(31)가 축소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제설판(4)을 상승시켜 노면과의 간격(G)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의 제어를 통해 쇠삽날 실린더(11)가 신장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쇠삽날(2)을 하부로 회전시켜 펼치며;
    상기 컨트롤러(40)는 쇠삽날(2)을 사용하는 듀얼삽날 모드시 제설기에 설치된 진동 감지센서(8)가 고무삽날(1)을 사용할 진동폭에 해당함을 감지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듀얼삽날용 메인제어밸브(14)의 제어를 통해 쇠삽날 실린더(11)가 축소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쇠삽날(2)을 상부로 회전시켜 접어줌과 동시에 상기 승강용 메인제어밸브(34)의 제어를 통해 승강 실린더(31)가 신장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제설판(4)을 하강시켜 고무삽날(1)이 노면에 근접하게 하고;
    상기 컨트롤러(40)는 제설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5) 및 회전각 포텐셔미터(6)의 정보가 입력되면 틸팅용 메인제어밸브(24)의 제어를 통해 양쪽의 틸팅 실린더(21)(21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축되도록 유압유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제설판(4)의 수평 회전각을 차량의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하며;
    상기 쇠삽날 실린더(11)의 일측 포트에 연결된 제2 유압라인(13)에는 유압 보정라인(16)이 연결되고, 상기 유압 보정라인(16)의 선단에는 어큐뮬레이터(17)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유압 보정라인(16)의 중간 지점에 전자유량조절밸브(18)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어큐뮬레이터(17)는 쇠삽날 실린더(11)에 부하가 작용하여 압력이 증가하면 부하에 따른 압력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113411A 2023-08-29 2023-08-29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Active KR10264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411A KR102641314B1 (ko) 2023-08-29 2023-08-29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411A KR102641314B1 (ko) 2023-08-29 2023-08-29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314B1 true KR102641314B1 (ko) 2024-02-27

Family

ID=9005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411A Active KR102641314B1 (ko) 2023-08-29 2023-08-29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3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182B1 (ko) * 2006-02-16 2007-05-04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의 유압장치
KR101567934B1 (ko) * 2015-05-27 2015-11-10 이텍네트웍스(주) 적설량과 도로상황에 따른 제설압력 조절이 가능한 제설기
KR101928252B1 (ko) * 2018-10-25 2018-12-11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차량의 속도에 따라 제설판의 회전각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스마트형 제설기
KR102530381B1 (ko) * 2023-03-06 2023-05-10 리텍 주식회사 적설 상황을 측정하여 듀얼삽날을 적용하는 제설기
KR102546924B1 (ko) * 2022-08-22 2023-06-2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 삽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182B1 (ko) * 2006-02-16 2007-05-04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기의 유압장치
KR101567934B1 (ko) * 2015-05-27 2015-11-10 이텍네트웍스(주) 적설량과 도로상황에 따른 제설압력 조절이 가능한 제설기
KR101928252B1 (ko) * 2018-10-25 2018-12-11 이텍산업 주식회사 제설차량의 속도에 따라 제설판의 회전각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스마트형 제설기
KR102546924B1 (ko) * 2022-08-22 2023-06-23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 삽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30381B1 (ko) * 2023-03-06 2023-05-10 리텍 주식회사 적설 상황을 측정하여 듀얼삽날을 적용하는 제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6600C (en) Improved folding pusher
EP197955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ydraulic machine in a control system
EP2263965B1 (en) Method of Operating a Working Machine
US6412200B1 (en) Retractable side wing assembly
KR101707677B1 (ko) 제설기용 삽날의 승하강을 돕기 위한 유압장치
GB2138883A (en) Hydraulically-actuated vehicle traffic-way controllers
US11466417B2 (en) Plow assembly
US11466416B2 (en) Plow assembly
JP6663404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KR101567934B1 (ko) 적설량과 도로상황에 따른 제설압력 조절이 가능한 제설기
KR102641314B1 (ko) 듀얼삽날 제설기 유압 제어시스템
US5596823A (en) Hydraulic system for a double acting cylinder
US6467553B1 (en) Hydraulic plow balancing system
US3373515A (en) Snow gate attachment for graders
US10316480B2 (en) Adjustable snow plow
EP1288506B1 (de) Hydrauliksystem für die Eigengewichtsentlastung von Anbaugeräten
US7000338B2 (en) Positioning device for side wing
CA2256802A1 (en) Excavation apparatus for mining layers of earth
NO841610L (no) Slipeanordning, f.eks. for veibaner.
EP3812338A1 (en) Lorry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maximum allowed lifting moment of a hydraulic lorry crane
KR101180903B1 (ko) 노면상태에 따라 제설판이 자동 연동하는 제설력 향상시스템
US11591759B2 (en) Method to prevent binding in road milling machines
US20230257951A1 (en) Cylinder sequencing for a dual stage lift system for a snow wing
KR101347032B1 (ko) 제설삽날의 노면접지 무압력 조정방법 및 그 조정장치
US5903987A (en) Side plow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