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917B1 -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9917B1 KR102639917B1 KR1020210175129A KR20210175129A KR102639917B1 KR 102639917 B1 KR102639917 B1 KR 102639917B1 KR 1020210175129 A KR1020210175129 A KR 1020210175129A KR 20210175129 A KR20210175129 A KR 20210175129A KR 102639917 B1 KR102639917 B1 KR 102639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emale
- holder
- female connector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아우터 하우징이 필요 없어 조립 공수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암커넥터는, 복수의 제1 암단자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적어도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2 암단자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male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assembly man-hours and costs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outer housing. The female connector has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inserted and fastened, and is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A first housing having a groove formed thereon; and at least one second hous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into which 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품수의 감소로 조립 공수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male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assembly man-hours and cost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기구이다. 예를 들어, 암커넥터(female connector)와 수커넥터(male connector)는 서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단자가 마련된다.Generally, a connector is a connection device that electrically connects a power source and a device, a device to a device, and an internal unit of a device. For exampl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re form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nector assembly. Terminals are provided inside the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to transmit current and signals.
전체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에서, 복수의 회로로부터 각각 연장된 복수의 분기선을 통합하기 위하여 통합형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통합형 커넥터는 각 분기선의 복수의 단자에 연결된 복수의 이너 하우징 외에, 이너 하우징들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이너 하우징들을 수용하는 아우터 하우징이 구비된다.In the overall wiring harness, integrated connectors are used to integrate multiple branch lines each extending from multiple circuits. This integrated connector includes, in addition to a plurality of inner housing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of each branch line, an outer housing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housings and accommodates the inner housings.
이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이 부가됨에 따라 커넥터의 부품수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조립 공수가 추가되며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As the outer housing is added, the number of parts of the connector increases,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additional assembly man-hours and increased costs.
(특허문헌 1) KR 2021-0039104 A (Patent Document 1) KR 2021-0039104 A
본 발명은 별도의 아우터 하우징이 필요 없어 조립 공수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male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assembly man-hours and costs 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outer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는, 복수의 제1 암단자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적어도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2 암단자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into which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ed, and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and at least one second hous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into which 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ed.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술한 암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수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emale connector described above; and a male connector provided inside a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female connector is insert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emale connector may be formed by combining with the male connector.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아우터 하우징이 필요 없어,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조립 공수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outer housing,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assembly man-hours and cost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홀더가 제1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홀더가 제1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홀더와 제1 암단자가 제1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암단자가 제2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암단자가 제2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암단자가 다른 제2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제1 하우징에 제2 하우징이 결합되어 암커넥터를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assembled in the first housin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assembled in the first housin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lder and the first female terminal assembled in the first housing.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female terminal assembled in the second housing.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emale terminal assembled in the second housin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emale terminal is assembled to another second housing.
Figures 10 to 14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forming a female connector by combining a second housing with a first housing.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ssembl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수커넥터(1)와 암커넥터(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le connector (1) and a female connector (2).
수커넥터(1)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부(10)와,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예컨대 핀 단자와 같은 복수의 수단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단자는 암커넥터(2)의 제1 암단자(21) 또는 제2 암단자(41)와 접속하여 수커넥터와 암커넥터 간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The
하우징부(10)는, 암커넥터(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2)이 마련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다.The
수용공간(12)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에는 격벽(1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단자가 격벽을 관통하여 격벽에 부분적으로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수커넥터(1)는 예컨대 10개의 수단자(11)가 격자 형태로 배열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수용공간(12)의 내부로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 및 제1 하우징의 잠금레버(24)가 삽입될 수 있다. 잠금레버(24)의 상면에는 잠금돌기(25)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의 상부 내벽에는 제1 하우징의 잠금돌기(25)가 삽입되는 잠금홀(15)이 형성될 수 있다.The
잠금홀(15)은 잠금돌기(25)와 함께, 수커넥터(1)와 암커넥터(2)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The
수커넥터(1)와 암커넥터(2)의 결합시 수커넥터의 하우징부(10)에 있는 수용공간(12)의 내부로 암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암커넥터의 제1 하우징(20) 및 제1 하우징의 잠금레버(24)가 수용공간(12) 내에 삽입되고, 잠금돌기(25)가 잠금홀(15)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When the
이로써, 수커넥터(1)의 수단자(11)와 암커넥터(2)의 제1 암단자(21) 및 제2 암단자(41)가 접속하여 이들 커넥터 간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이 상태에서 잠금레버(24)는 그 일부가 수커넥터(1)의 하우징부(10)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노출된 잠금레버를 조작할 경우에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의 잠금돌기(25)가 잠금홀(15)에서 이탈하며 해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수커넥터에 결합된 암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this state, a portion of the
수커넥터(1)의 외면에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설치 대상물에 수커넥터를 고정시킬 때에 이용 가능한 플랜지(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가 모터에 볼팅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플랜지에는 예컨대 볼트공(17)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2)는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제1 하우징(20)은, 수커넥터(1)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다. 제1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 암단자(21)를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 수용홀(22)이 마련된다. The
제1 하우징(20)의 양측에는 제2 하우징(40)이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결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20)의 상면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잠금레버(24)가 마련되고, 잠금레버의 상면에는 잠금돌기(25)가 형성된다. 잠금레버와 잠금돌기는 암커넥터(2)와 수커넥터(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A
즉, 잠금레버(24)와 잠금돌기(25)는, 암커넥터(2)와 수커넥터(1)의 결합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변형되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제1 암단자(21)로서 예컨대 소켓 단자가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 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소켓 단자의 일측으로는 수커넥터(1)의 수단자(11)인 예컨대 핀 단자가 삽입되고, 타측으로는 케이블(3)이 고정될 수 있다. As the first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 수용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홀은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X)을 따라 앞뒤로 연장되어 제1 하우징을 관통한다. At least one terminal receiving
단자 수용홀(22)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 복수의 단자 수용홀은 제1 하우징(20)의 높이방향(Z)을 따라 상하 및/또는 제1 하우징의 폭방향(Y)을 따라 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When the
도면들에는 제1 하우징(20)에 6개의 단자 수용홀(22)이 격자 형태로 형성 및 배열된 예가 나타나 있으나, 단자 수용홀의 개수와 배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six
단자 수용홀(22)의 일측 벽부에는 제1 하우징(20)의 길이방향(X)을 따라 연장한 체결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는 단자 수용홀의 일측 벽부에서 외팔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 하우징의 높이방향(Z) 또는 폭방향(Y)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A
체결부(26)의 일면에는, 제1 암단자(21)의 일면에 형성된 홈부(21g)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돌기(27)가 형성될 수 있다. A
이에 따라, 제1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단자 수용홀(22)에 소정 길이로 삽입된 제1 암단자(21)는, 제1 암단자의 홈부(21g)와 체결부(26)의 체결돌기(27)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해당 단자 수용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더욱이 체결부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단자 수용홀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2)는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40)을 연결 가능하게 하는 홀더(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는 홀더 수용홀(28)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수용홀은 제1 하우징의 폭방향(Y)을 따라 좌우로 연장되어 제1 하우징을 관통한다. For this purpose, a
이에 따라, 홀더(30)가 제1 하우징(20)의 홀더 수용홀(28)을 관통하면서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홀더(30)는 제1 하우징(20)의 홀더 수용홀(28)에 삽입되어 제1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제1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결합홈(23) 내에 위치된 양측 단부에 의해 제1 하우징에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40)을 결합할 수 있게 하는 부재이다.The
이러한 홀더(30)는 대략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서 단자 수용홀(22)에 삽입된 제1 암단자(21)를 관통되게 수용하는 중공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This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 홀더(30)가 조립되어 안착된 후에 제1 암단자(21)가 단자 수용홀(22)에 삽입됨으로써, 제1 암단자는 홀더의 중공부(32)를 관통하여 지나감과 동시에 중공부 및 단자 수용홀에 수용될 수 있다. After the
더구나, 홀더 수용홀(28)의 일면에는, 홀더(30)의 일면에 형성된 돌기부(31)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홈(29)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1)와 체결홈(29)의 걸림 고정에 의해, 홀더(30)가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Furthermore, a
따라서 홀더(30)는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에 대한 제1 암단자(21)의 불완전한 장착을 방지하고 제1 암단자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단자 위치 확보 기구(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이로 인해, 홀더 삽입홀(28)을 관통하여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 안착된 홀더(30)가 제1 암단자(21)의 위치를 고정시켜, 제1 암단자가 제1 하우징 내에서 움직이거나 심지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홀더(30)의 길이방향(Y) 양측 단부에는 삽입부(33)가 그 길이방향(Y)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들 삽입부는 제2 하우징(40)의 삽입홀(48)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이, 제1 하우징(20)에 수용된 홀더(30)는 제1 하우징을 관통하여 제2 하우징(40)의 내부까지 연장하고, 이로써 홀더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0)의 일면에는, 홀더 수용홀(28)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홈(29)에 걸림 고정되는 돌기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이에 따라, 제1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홀더 수용홀(28)에 소정 길이로 삽입된 홀더(30)는, 홀더 수용홀의 체결홈(29)과 홀더의 돌기부(31)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홀더 수용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홀더 수용홀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더불어, 홀더 수용홀(28)의 체결홈(29)과 홀더(30)의 돌기부(31)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홀더 수용홀에 대한 홀더의 삽입량을 제한할 수 있어, 홀더의 삽입량을 적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은 적어도 일측에 결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홈은 제1 하우징의 폭방향(Y)으로 좌우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결합홈(23)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홈을 구성하는 표면들 중 홀더 삽입홀(28)이 형성된 표면을 메인면(23m)이라 칭하고, 메인면에 연결되고 메인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표면을 측면(23s)이라 칭한다.In order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예를 들면, 결합홈(23)은 하나의 메인면(23m)과 3개의 측면(23s)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하는 측면의 반대편에 개방면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결합홈(23)의 개방면은, 제2 하우징(40)이 제2 암단자(41)와 연결된 채로 결합홈과의 간섭 없이 결합홈에 원활히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한다.The open surface of the
더불어, 결합홈(23)은, 제2 하우징(40)과 수단자(11)의 연결을 위해, 개방면의 반대편, 즉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23s)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결합홈(23)은 제2 하우징(40)과의 결합을 위한 안내수단과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is
결합홈(2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결합홈에서 제2 하우징(4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돌기(35) 및 제1 안내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제2 하우징(40)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제1 안내돌기 및 제1 안내홈의 단면 형상, 크기, 위치, 개수에 맞춰 제2 안내홈(46) 및 제2 안내돌기(45)가 형성될 수 있다. On at least one side of the
이러한 안내돌기(35, 45) 및 안내홈(36, 46)은 결합홈(23)에 제2 하우징(40)이 삽입된 후 제2 하우징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로 작용할 수도 있다.These guide protrusions (35, 45) and guide grooves (36, 46) may act as stoppers that can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housing (40) after i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3).
또한, 결합홈(23)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제2 하우징(40)과 결합하고 그 안정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결합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37)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편은 메인면(23m)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 하우징(20)의 높이방향(Z)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또한, 결합편(37)에는 메인면(23m)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홀(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제2 하우징(40)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결합홀의 크기, 위치, 개수 등에 맞춰 결합돌기(47)가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도면들에는 결합홈(23)의 3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면(23s)에서 어느 하나에 2개의 결합편(37)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하나의 결합편(37)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결합편들의 배치와 개수는 반드시 도시되고 전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two
제2 하우징(40)은, 제1 하우징(20)의 결합홈(23)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다. 제2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2 암단자(41)를 설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 수용홀(42)이 마련된다. The
제2 하우징(40)의 양측, 예를 들면 상면 및 하면에는 제1 하우징(20)의 결합홈(23)에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수단으로서의 제2 안내홈(46) 및 제2 안내돌기(45)와, 결합수단으로서의 결합돌기(47)가 형성될 수 있다. On both sides of the
여기서, 결합홈(23)의 결합편(37)에 있는 결합홀(38)과 제2 하우징(40)의 결합돌기(47)는 그 배치가 서로 반대로 되어도 좋다. 다시 말해, 결합편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결합홀이 제2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arrangement of the
결합편(37)의 결합홀(38)과 결합돌기(47)는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4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에 변형되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The
제2 암단자(41)로서 예컨대 소켓 단자가 암커넥터(2)의 제2 하우징(40) 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소켓 단자의 일측으로는 수커넥터(1)의 수단자(11)인 예컨대 핀 단자가 삽입되고, 타측으로는 케이블(3)이 고정될 수 있다. As the second
제2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 수용홀(42)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홀은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X)을 따라 앞뒤로 연장되어 제2 하우징을 관통한다. At least one
단자 수용홀(42)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에, 복수의 단자 수용홀은 제2 하우징의 높이방향(Z)을 따라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When the
도면들에는 제2 하우징(40)에 2개의 단자 수용홀(42)이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으나, 단자 수용홀의 개수와 배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two terminal receiving holes 42 are formed in the
단자 수용홀(42)의 일측 벽부에는 제2 하우징(40)의 길이방향(X)을 따라 연장한 체결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는 단자 수용홀의 일측 벽부에서 외팔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2 하우징의 높이방향(Z) 또는 폭방향(Y)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A
체결부(43)의 일면에는, 제2 암단자(41)의 일면에 형성된 홈부(41g)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돌기(44)가 형성될 수 있다. A
이에 따라, 제2 하우징(40)의 일측으로부터 단자 수용홀(42)에 소정 길이로 삽입된 제2 암단자(41)는, 제2 암단자의 홈부(41g)와 체결부(43)의 체결돌기(44)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해당 단자 수용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더욱이 체결부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단자 수용홀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0)의 길이방향(Y) 양측 단부에는 삽입부(33)가 그 길이방향(Y)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 하우징(40)에는 삽입홀(48)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은 제2 하우징의 폭방향(Y)을 따라 좌우로 연장되어 제2 하우징을 관통한다.As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홀더(30)의 삽입부(33)가 제2 하우징(40)의 삽입홀(48)에 삽입되면서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 및 수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제2 암단자(41)가 단자 수용홀(42)에 삽입된 채로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20)에 결합될 때, 홀더(30)의 삽입부(33)가 제2 하우징의 삽입홀(48)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암단자는 홀더의 단부를 지나감과 동시에 단자 수용홀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When the
따라서 홀더(30)는 암커넥터(2)의 제2 하우징(40)에 대한 제2 암단자(41)의 불완전한 장착을 방지하고 제2 암단자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단자 위치 확보 기구(TPA)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이로 인해, 삽입홀(48)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40)의 내부에 안착된 홀더(30)의 삽입부(33)가 제2 암단자(41)의 위치를 고정시켜, 제2 암단자가 제2 하우징 내에서 움직이거나 심지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이와 같이, 제1 하우징(20)에 수용된 홀더(30)는 제1 하우징을 관통하여 제2 하우징(40)의 내부까지 연장하고, 이로써 홀더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은, 그 폭방향(Y)으로 좌우 양측면에 결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는 하나의 제1 하우징(20)과 한 쌍의 제2 하우징(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경우에, 동일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 하우징(40) 중 어느 하나가 제1 하우징(20)의 일측 결합홈(23)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의 타측 결합홈(23)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제2 하우징과 다른 하나의 제2 하우징은 서로 상하가 바뀌어 해당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of a pair of identically formed
이에 따라, 제1 하우징(20)의 폭방향(Y)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복수의 제2 암단자(41)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2)는 암단자(21, 41)들이 2 + 6 + 2의 개수 및 배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second
일례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가 모터에 설치되는 경우에,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에 연결된 6개의 제1 암단자(21)는 리졸버(Resolver)의 고정자를 위한 전원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암커넥터의 일측 제2 하우징(40)에 연결된 2개의 제2 암단자(41)는 온도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위한 전원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암커넥터의 타측 제2 하우징(40)에 연결된 2개의 제2 암단자(41)는 접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otor, the six firs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ssembly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4는 홀더가 제1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홀더가 제1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홀더와 제1 암단자가 제1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assembled in the first housing,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assembled in the first housin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lder and the first female terminal assembled in the first housin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홀더(30)가 제1 하우징(20)의 홀더 수용홀(28)을 관통하면서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6 , the
제1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홀더 수용홀(28)에 소정 길이로 삽입된 홀더(30)는, 홀더 수용홀의 체결홈(29)과 홀더의 돌기부(31)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홀더 수용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홀더 수용홀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The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 홀더(30)가 조립되어 안착된 후에 제1 암단자(21)가 단자 수용홀(22)에 삽입됨으로써, 제1 암단자는 홀더의 중공부(32)를 관통하여 지나감과 동시에 단자 수용홀에 수용될 수 있다. After the
제1 하우징(20)의 일측으로부터 단자 수용홀(22)에 소정 길이로 삽입된 제1 암단자(21)는, 제1 암단자의 홈부(21g)와 체결부(26)의 체결돌기(27)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해당 단자 수용홀(22)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더욱이 체결부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단자 수용홀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The first
또한,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 안착된 홀더(30)가 제1 암단자(21)의 위치를 고정시켜, 제1 암단자가 제1 하우징 내에서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7은 제2 암단자가 제2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제2 암단자가 제2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암단자가 다른 제2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female terminal assembled in the second housing,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emale terminal assembled in the second housin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emale terminal is assembled to another second housing.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암단자(41)가 제2 하우징(40)의 일측으로부터 단자 수용홀(42)에 소정 길이로 삽입된다. 제2 암단자의 홈부(41g)와 체결부(43)의 체결돌기(44)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제2 암단자는 해당 단자 수용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더욱이 체결부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단자 수용홀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second
도 10 내지 도 14는 제1 하우징에 제2 하우징이 결합되어 암커넥터를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Figures 10 to 14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forming a female connector by combining a second housing with a first housing.
제2 암단자(41)가 단자 수용홀(42)에 삽입된 채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하우징(40) 중 어느 하나가 제1 하우징(20)의 일측 결합홈(23)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20)의 타측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With the second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20)의 결합홈(23)에 삽입될 때, 결합홈 내 제1 안내돌기(35) 및 제1 안내홈(36)이 제2 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제2 안내홈(46) 및 제2 안내돌기(45)와 맞춰지고 안내돌기가 안내홈 내에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2 하우징의 결합방향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또한,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20)의 결합홈(23)에 삽입될 때, 결합홈의 결합편(37)에 있는 결합홀(38)과 제2 하우징의 외면에 있는 결합돌기(47)가 만나 서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의 결합홈 내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제2 하우징(40)이 제1 하우징(20)의 결합홈(23)에 삽입됨과 동시에, 홀더(30)의 삽입부(33)가 제2 하우징의 삽입홀(48)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암단자(41)는 홀더의 단부를 지나감과 동시에 단자 수용홀(42)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at the
삽입홀(48)에 삽입되어 제2 하우징(40)의 내부에 안착된 홀더(30)의 삽입부(33)가 제2 암단자(41)의 위치를 고정시켜, 제2 암단자가 제2 하우징 내에서 움직이거나 심지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제1 하우징(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제2 하우징(40)이 결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2)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coupling the
이어서,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커넥터(1)와 암커넥터(2)가 조립됨으로써,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Next,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2, the
수커넥터(1)와 암커넥터(2)의 결합시 수커넥터의 하우징부(10)에 있는 수용공간(12)의 내부로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 및 제1 하우징의 잠금레버(24)가 삽입되고, 잠금돌기(25)가 잠금홀(15)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When the male connector (1) and the female connector (2) are combined, the first housing (20) of the female connector (2) and the first housing are lock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 in the housing portion (10) of the male connector. The
이로써, 암커넥터(2)의 제1 암단자(21) 및 제2 암단자(41)와 수커넥터(1)의 수단자(11)가 접속하여 이들 커넥터 간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rst
여기서, 제1 암단자(21)에는 수단자(11)가 제1 하우징(20)의 단자 수용홀(22)을 통해 바로 삽입될 수 있는 한편, 제2 암단자(41)에는 수단자(11)가 제1 하우징의 관통홀(34)을 거쳐 제2 하우징(40)의 단자 수용홀(42)을 통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이 상태에서 잠금레버(24)는 그 일부가 수커넥터(1)의 하우징부(10)의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노출된 잠금레버를 조작할 경우에 잠금돌기(25)가 잠금홀(15)에서 이탈하며 해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수커넥터(1)에 결합된 암커넥터(2)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this state, a portion of the locking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2)의 제1 하우징(20)과 한 쌍의 제2 하우징(40)은 종래의 이너 하우징들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별도의 아우터 하우징 없이도 수커넥터(1)에 원활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아우터 하우징이 필요 없어,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조립 공수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outer housing,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assembly man-hours and cost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커넥터 2: 암커넥터
3: 케이블 10: 하우징부
11: 수단자 12: 수용공간
13: 격벽 15: 잠금홀
16: 플랜지 17: 볼트공
20: 제1 하우징 21: 제1 암단자
21g, 41g: 홈부 22, 42: 단자 수용홀
23: 결합홈 23m: 메인면
23s: 측면 24: 잠금레버
25: 잠금돌기 26, 43: 체결부
27, 44: 체결돌기 28: 홀더 수용홀
29: 체결홈 30: 홀더
31: 돌기부 32: 중공부
33: 삽입부 34: 관통홀
35: 제1 안내돌기 36: 제1 안내홈
37: 결합편 38: 결합홀
40: 제2 하우징 41: 제2 암단자
45: 제2 안내돌기 46: 제2 안내홈
47: 결합돌기 48: 삽입홀1: male connector 2: female connector
3: Cable 10: Housing part
11: means 12: accommodation space
13: Bulkhead 15: Locking hole
16: Flange 17: Bolt hole
20: first housing 21: first female terminal
21g, 41g:
23: Coupling
23s: side 24: lock lever
25: locking
27, 44: fastening protrusion 28: holder receiving hole
29: Fastening groove 30: Holder
31: protrusion 32: hollow part
33: Insertion part 34: Through hole
35: first guide protrusion 36: first guide groove
37: coupling piece 38: coupling hole
40: second housing 41: second female terminal
45: second guide projection 46: second guide groove
47: coupling protrusion 48: insertion hole
Claims (16)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2 암단자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이 연결되게 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는 홀더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수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홀더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단부에는 삽입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홀더 수용홀의 일면에는, 상기 홀더의 일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걸림 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암커넥터.
a first housing into which a plurality of first female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ed, and a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at least one second hous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into which a plurality of second female terminals are inserted and fastened; and
A hold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o connect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cluding,
A holder receiving hole is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holder receiving hole and extends to penetrate the first housing,
The holder has a hollow portion, and an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t an end of the holder,
A female connector in which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receiving hole into which a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is locked.
상기 결합홈은, 하나의 메인면과, 상기 메인면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3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upling groove includes one main surface and three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main surface and partially surrounding the main surface.
상기 3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측면에 수단자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2,
A female connector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 connecting a male member formed on one side connecting two opposing sides among the three sides.
상기 결합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돌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1 안내돌기 및 상기 제1 안내홈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안내돌기가 형성된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2,
At least one first guide protrusion and at least one first guide groove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to guide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A female connector in which the first guide protrusion, at least one second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groove, and at least one second guide protrusion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결합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결합편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2,
At least one coupling piece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iece includes a coupl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coupling piece,
A female connector in which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수용홀의 일측 벽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제1 암단자의 일면에 형성된 홈부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one terminal receiving hole is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is formed on one wall of the terminal receiving hole,
A female connector in which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and is locked to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female terminal.
상기 홀더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상기 결합홈 내에 위치되는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female connector where the end of the hold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is located within the coupling groove.
상기 홀더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조립된 후, 상기 제1 암단자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단자 수용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암단자는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단자 수용홀에 수용되는 암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8,
After the holder is assembled inside the first housing, the first fema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receiving hole of the first housing, so that the first female terminal penetrates the hollow portion and is received in the terminal receiving hole. Female connector.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됨으로써 단자 위치 확보 기구(TPA)로 작용하는 암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9,
The holder is a female connector that functions as a terminal position securing mechanism (TPA) by being seated inside the first housing.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수용홀의 일측 벽부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한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제2 암단자의 일면에 형성된 홈부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one terminal receiving hole is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on one wall of the terminal receiving hole,
A female connector in which a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and is locked to a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female terminal.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면서 수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female connector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portion as it is inserted.
한 쌍의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암커넥터.
According to paragraph 1,
A female connector in which one of a pair of second housings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other second housing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a coupl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에는 6개의 제1 암단자가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하우징에는 각각 2개의 제2 암단자가 체결되는 암커넥터.
According to clause 13,
Six first female terminals are fastened to the first housing,
A female connector in which two second female terminals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pair of second housings.
상기 암커넥터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수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커넥터와 결합하여 형성된 커넥터 어셈블리.
A fe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8 to 14; and
A male connecto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inside into which the female connector is inserted.
Including,
A connector assembly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emale connector with the male connector.
상기 수커넥터는,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수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암커넥터의 제1 암단자에는 수단자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단자 수용홀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암커넥터의 제2 암단자에는 수단자가 상기 제1 하우징의 관통홀을 거쳐 상기 제2 하우징의 단자 수용홀을 통해 삽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5,
The male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means installed therein,
A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female terminal of the female connector through the terminal receiving hole of the first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mal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emale terminal of the female connector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first housing and a terminal receiving hole of the second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129A KR102639917B1 (en) | 2021-12-08 | 2021-12-08 |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5129A KR102639917B1 (en) | 2021-12-08 | 2021-12-08 |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474A KR20230086474A (en) | 2023-06-15 |
KR102639917B1 true KR102639917B1 (en) | 2024-02-23 |
Family
ID=8676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5129A Active KR102639917B1 (en) | 2021-12-08 | 2021-12-08 |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991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7713A (en) * | 2001-06-04 | 2002-12-20 | Yazaki Corp | Multi-pole connector combining method and multi-pole connector |
JP6886971B2 (en) * | 2016-05-24 | 2021-06-16 | 日本端子株式会社 | Connector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57563B2 (en) * | 1997-08-08 | 2006-03-22 | 住友電装株式会社 | connector |
JP3813711B2 (en) * | 1997-10-02 | 2006-08-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Combined connector |
KR200444963Y1 (en) * | 2007-07-23 | 2009-06-19 | 경신공업 주식회사 | Variable connector |
JP4823284B2 (en) * | 2008-09-19 | 2011-11-24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
2021
- 2021-12-08 KR KR1020210175129A patent/KR1026399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7713A (en) * | 2001-06-04 | 2002-12-20 | Yazaki Corp | Multi-pole connector combining method and multi-pole connector |
JP6886971B2 (en) * | 2016-05-24 | 2021-06-16 | 日本端子株式会社 | Connector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474A (en) | 2023-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282732B (en) | Grounding connector and wiring harness including the grounding connector | |
KR101083449B1 (en) |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EP2507874B1 (en) |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 |
US6305990B1 (en) |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 |
JP5606830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CN101861682A (en) | Multi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CN103403977A (en) | Modular plug connector | |
EP3151345B1 (en) | Electric connector | |
JP2008235189A (en) | Connector housing | |
US12255422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KR101234175B1 (en) | Self-aligning connector | |
US11189946B2 (en) | Compact combination connector | |
KR102059929B1 (en) |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therefor | |
CN103097775B (en) | Electronic circuit unit to be mounted on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102639917B1 (en) |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 |
WO2021079604A1 (en) | Branch connector | |
US10374370B2 (en) | Electronic unit attaching structure | |
US12224525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KR102481782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KR200486277Y1 (en) | A door connector | |
CN112242626A (en) | Plug connection with a tension release device | |
KR102583249B1 (en) | Connector | |
CN218448545U (en) | Hybrid Connectors and Hybrid Connector Assemblies | |
US20250071913A1 (en) |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wire harness | |
JP2022186123A (en) |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