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9907B1 -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907B1
KR102639907B1 KR1020210011703A KR20210011703A KR102639907B1 KR 102639907 B1 KR102639907 B1 KR 102639907B1 KR 1020210011703 A KR1020210011703 A KR 1020210011703A KR 20210011703 A KR20210011703 A KR 20210011703A KR 102639907 B1 KR102639907 B1 KR 10263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ntroller
vcu
module
modu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562A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011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907B1/ko
Priority to US18/273,703 priority patent/US20240106236A1/en
Priority to PCT/KR2022/000728 priority patent/WO2022164097A1/ko
Publication of KR2022010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9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35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 H02J3/1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is actively controlled by a bridge converter, e.g. active filters
    • H02J3/1857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is actively controlled by a bridge converter, e.g. active filters wherein such bridge converter is a multilevel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02J3/1835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 H02J3/1842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with stepless control wherein at least one reactive element is actively controlled by a bridge converter, e.g. active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35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each including a switchable capacitor, the capacitors having a nominal charge voltage which corresponds to a given fraction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capacitors being selectively connected in series to determine the instantaneous output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밸브 섹션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컨버터,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 각각과 연결된 VCU 제어기 및 상기 VCU 제어기와 연결된 상위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VCU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 각각으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위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특정 서브 모듈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 중 특정 서브 모듈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MULTI=LEVEL CONVERTER TYPE STATCOM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연 송전 시스템 또는 신전력 송전 시스템(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은 교류 전력 계통에 전력 전자 제어 기술을 도입하여, 전력 계통의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운영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유연 송전 시스템은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송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 송전 시스템은 송전 선로의 설비 이용률을 극대화하고, 송전 용량을 증대시키며, 전압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FACTS기기 중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은 선로에 병렬로 연계되어 무효전력을 보상함으로서 전압안정도를 개선하고 전력전송용량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갖는 설비이다.
초기 STATCOM의 컨버터는 2-레벨이나 3-레벨 컨버터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대용량 전력 전송의 한계와 높은 스위칭 손실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대용량 IGBT 소자의 개발과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의 도입으로 대용량 송전이 가능하게 되었다.
MMC는 모듈화된 하프 브리지(Half-Bridge) 또는 풀 브리지(Full-Bridge) 인버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계단 형태의 정현파 전압을 형성한다. 따라서, 직렬 연결된 서브 모듈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대용량 송전이 가능하다.
한편 MMC-STATCOM 시스템의 경우, 상위 제어기에 해당하는 VBE(Valve Base Electronic)로부터 N개 직렬 연결된 서브모듈(Sub-module)로 구성된 밸브(Valve) 로 광(optic) 케이블을 결선해야 한다.
이 경우 광(optic) 케이블 수가 많아지고, VBE와 거리가 멀어지면 optic-power가 큰 제품이나 optical loss가 작은 케이블을 선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비용과 설치 및 제작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기존 밸브의 각각의 SMI (Sub-Module Interface)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시 각각의 서브 모듈에 다운로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경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시 발생하는 물리적인 시간 증가와 작업자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목적은 MMC-STATCOM 시스템의 밸브(Valve)의 서브 모듈(Sub-module) 제어기(SMI)와 연계시키는 중간 제어기로 기존의 제어시스템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Converter 전력변환기기의 기능 추가/강화를 구현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복수개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밸브 섹션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컨버터,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 각각과 연결된 복수개의 VCU 제어기 및 상기 복수개의 VCU 제어기와 연결된 상위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VCU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 각각으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위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특정 서브 모듈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명령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 중 특정 서브 모듈로 전송하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밸브섹션은, 상기 VCU 제어기를 통해 서브 모듈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해당 서브 모듈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위 제어기는, 상기 VCU 제어기로부터 복수개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서브 모듈 제어명령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VCU 제어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 각각과 지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VCU 제어기는 상기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CU 제어기는 밸브 섹션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상 별 VCU 제어기를 별도로 운영함으로써 케이블 결선 구조 단순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상 별 VCU 제어기를 별도로 운영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부하 경감, 빠른 응답을 통한 보호기능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상 별 VCU 제어기를 별도 운영함으로써 점검 및 유지보수 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상 별 VCU 제어기를 별도로 운영함으로써, MMC-STATCOM 시스템 운전 중 이벤트 발생시, 사고 전후의 상태/데이터/정보 등을 VCU 제어기에 저장하고 외부에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이벤트 상황의 원인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MMC-STATCOM, Container STATCOM 시스템 구성 시 Valve의 빈 공간에 VCU 제어기를 설치함으로써 컴팩트한(Compact type)의 시스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전압형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서브 모듈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VCU 제어기를 포함하는 STATCOM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VCU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VCU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VCU 제어기가 구비된 컴팩트형 STATCOM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례 일 뿐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될 수있다. 따라서, 이하에 개시된 특정 구성 및 기능은 청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MMC 방식의 전압형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MMC 방식의 STATCOM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MMC 방식의 STATCOM(100)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를 사용하여 전류를 변환하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일 수 있다. MMC 방식의 STATCOM(100)은 다수(수십개~수백개)의 서브 모듈로 구성되어, 짧은 제어 주기(예를 들어, 100us~200us) 내에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다음 제어 주기에 온/오프 되어야 할 서브 모듈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C 방식의 STATCOM(100)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와 상위 제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을 스위칭 함으로써,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거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서브 모듈(115)의 턴 온(turn-on) 및 턴 오프(turn-off)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과 각각의 서브 모듈에 포함되어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SMI(Sub-Module Interface, 114) 및 상위제어기(120)에 포함된 Valve Base Electronics(VBE, 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3상(3-phase)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상의 양극 또는 음극에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모듈은 하나의 암(Arm, 130)을 구성할 수 있다. 암(Arm, 130)은 실시 예에 따라, 밸브(Valve)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3상 MMC로서, 6개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상, B상 및 C상의 3상 각각에 대해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6개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A상 양극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로 구성되는 제1암, A상 음극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로 구성되는 제2암, B상 양극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로 구성되는 제3암, B상 음극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로 구성되는 제4암, C상 양극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로 구성되는 제5암, C상 음극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로 구성되는 제6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상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은 레그(Leg)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상에 포함되는 양극 및 음극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은 레그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A상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로 구성되는 A상 레그, B상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로 구성되는 B상 레그, C상에 대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로 구성되는 C상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로 구성되는 암 및 레그 각각은 전력 계통의 3상, 즉 A 상과 B 상 및 C상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은 극성에 따라 양극 암(미도시)과 음극 암(미도시)을 구성할 수도 있다.
VBE는 상위 제어기(120)로부터 서브 모듈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서브 모듈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서브 모듈에 각각 연결된 하나의 제어기일 수 있다.
상위 제어기(120)는 MMC 방식의 전압형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위 제어기(120)는 HVDC 시스템의 제어 및 보호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C&P(Control and Protection)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VBE와 상위 제어기(12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상위 제어기(120)는 VBE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위 제어기(120)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 각각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서브 모듈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에 포함되는 서브 모듈(115)은, 전력 에너지를 저장하는 캐패시터, 전력 반도체 소자, 스위칭 소자 및 보호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모듈(115)은 1개의 캐패시터 (101)와 4개의 IGBT 소자 (102)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서브 모듈(115)은 직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상을 구성한다. 다수의 서브 모듈(115)은 VBE 또는 다른 상위 제어기(120)로부터 ON/OFF 제어 명령을 하달 받아서 IGBT를 제어할 수 있다.
캐패시터의 크기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의 크기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캐패시터의 용량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서브 모듈(115)의 적정한 동작 전압이 설정될 수 있다.
보호 스위치(103)는 서브 모듈(115)을 보호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보호 스위치는 바이 패스(By-Pass)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하나의 서브 모듈(115)에 발생한 고장으로 인해 시스템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여분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따라서, 바이 패스 스위치(103)는 고장난 서브 모듈(115)은 바이 패스시키고, 여분의 서브 모듈(115)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서브 모듈 중 n번째 서브 모듈(Module n)은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 및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과 직렬로 연결된다.
이 경우,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로부터 입력된 전류는 n번째 서브 모듈(Module n)을 통해 n+1번째 서브 모듈(Module n+1)로 흐르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시스템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블록도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3상(3-phase)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상에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은 하나의 클러스터(Cluster)를 구성할 수 있다. 클러스터(Cluster)는 실시 예에 따라, 밸브 섹션(Valve section)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3상 MMC로서, 3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상, B상 및 C상의 3상 각각에 대해 A상 클러스터, B상 클러스터, C상 클러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로 구성되는 클러스터는 전력 계통의 3상, 즉 A 상과 B 상 및 C상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서브모듈 제어기(Sub module interface, 114, 이하 SMI)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115)과 연결되어, 서브 모듈로부터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SMI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에 각각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VCU(Valve Connection Unit) 제어기는(113)는 상위 제어기(120)로부터 서브 모듈(115)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서브 모듈(115) 또는 SMI(114)로 전달할 수 있다.
상위 제어기(120)는 MMC 방식의 STATCOM(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위 제어기(120)는 STATCOM의 제어 및 보호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C&P(Control and Protection) 시스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면, MMC 방식의 STATCOM(100)에 있어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110)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밸브 섹션(valve section)과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에 포함된 서브 모듈 각각과 연결된 VCU 제어기(113) 및 상위 제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밸브 섹션(111) 각각은 복수개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VCU 제어기(113)는 서브 모듈에 포함되어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SMI(Sub-Module Interface, 114)와 연결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밸브 섹션 각각은 VCU 제어기(113)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단위 밸브 섹션 하나당 하나의 VCU 제어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밸브 섹션은 복수개의 서브 모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밸브 섹션에 포함된 복수개의 서브 모듈 각각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서브 모듈 각각과 VCU 제어기(113)는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MMC-STATCOM 시스템의 전체 제어는 C&P level인 상위 제어기(120)에서 총괄하고, Valve 제어 지령치, Valve 정보는 기존의 VBE 대신 각 상별로 구비된 VCU(Valve Connection Unit)를 통해 상위 제어기와 통신하고, Sub-Module의 제어기인 SMI (Sub-Module Interface)를 통해 멀티레벨 컨버터를 운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VCU 제어기의 블록 제어도는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VCU 제어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VCU 제어기(2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40), 메모리(250), 통신부(260), 프로세서(270), 디스플레이(28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VCU 제어기(200)의 통신부(260)는 복수개의 서브 모듈 단위(밸브섹션) 및 상위 제어기와 통신을 통한 데이터 처리 및 서브 모듈로 제어 지령치 전달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CU 제어기의 프로세서(270)는 VCU 제어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VCU 제어기의 프로세서(270)는 VCU 제어기와 연결된 밸브 섹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태정보, 센싱정보 취합 및 데이터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위 제어기 또는 VBE와 통신하여 서브 모듈 제어와 관련된 명령을 수신하고 해당 명령을 밸브 섹션에 포함된 서브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섹션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정보를 상위 제어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VCU 제어기의 프로세서(270)는 밸브 섹션에 포함된 복수개의 서브 모듈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경우, 해당 밸브 섹션에 포함된 서브 모듈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해당 서브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VCU 제어기의 프로세서(270)는 메모리(250)를 통해 밸브 섹션에 ?l마된 서브 모듈의 이벤트 발생 시 서브 모듈 각각의 상태 데이터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에 멀티레벨 컨버터에서 구비된 하나의 VBE와 하나의 상위 제어 대신에 VCU 제어기를 밸브 섹션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기존 C&P와 Valve 사이에 VCU(Valve Connection Unit)라는 기기가 VBE를 대체함과 동시에 각 상별로 추가됨에 따라 물리적인 인터페이스가 간단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상별로 VCU 제어기가 구비됨으로써 단위 Sub-module의 데이터 처리 후 필요 데이터만 C&P 데이터 통신함에 따라 기존 시스템에서의 VBE 보다 연산/처리하는 데이터 경감됨에 따라 데이터 처리 부하 저감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VCU 제어기의 프로세서는 서브 모듈의 상태정보, 센싱정보 취합/처리/판단을 통해서 빠른 보호기능 수행이 가능해지므로 서브모듈의 보호기능 강화 및 디스플레이를 통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ub-Module 의 제어기 (SMI : Sub-Module Interface) S/W 업그레이드 시 필요 프로그램의 전송(Transfer)을 통한 기능을 추가 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보수 및 유지가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VCU 제어기의 프로세서는 메모리를 통하여 Valve 이벤트 발생시 상태 데이터 저장, 외부 통신을 통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VCU 제어기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레벨 컨버터 각각과 지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공간은 지면과 멀티레벨 컨버터의 접지 및 합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VCU 제어기는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된 밸브 섹션과 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밸브 섹션 각각과 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VCU 제어기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VCU 제어기(113)는 밸브 섹션(11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 7과 같이 VCU 제어기(113)를 밸브 섹션(111)과 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또는 멀티레벨 컨버터의 일측에 배치시킴으로서 모바일 STATCOM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컨테이너형 STATCOM 시스템 또한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대규모 공간을 필요로 했던 STATCOM 시스템뿐만 아니라 MMC-STATCOM 시스템을 모바일(Mobile) 또는 컴팩트 형태의 컨테이너로 시스템을 구성 제작할 경우, 제어 시스템 기기의 공간 활용에 제약 조건 없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서비스 및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서비스 및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복수개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밸브 섹션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컨버터,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 각각과 연결된 복수개의 VCU 제어기 및 상기 복수개의 VCU 제어기와 연결된 상위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과 상기 VCU 제어기 사이에는,
    서브 모듈 제어기(SMI)가 배치되고,
    상기 서브 모듈 제어기는,
    일측에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이 각각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VCU 제어기가 연결되며,
    상기 각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상기 VCU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VCU 제어기로부터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 중 상기 제어명령 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서브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VCU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 각각으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위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특정 서브 모듈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 정보를 상기 서브 모듈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각각의 VCU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들 중 상응하는 밸브 섹션 하부와 지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상응하는 밸브 섹션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모듈들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필요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서브 모듈 제어기를 통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상기 각 서브 모듈로 전달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밸브섹션은,
    상기 서브 모듈 제어기를 통해 서브 모듈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전원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개의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밸브 섹션을 포함하는 멀티레벨 컨버터,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 각각과 연결된 VCU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VCU 제어기는,
    일측에 상기 복수개의 서브 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서브 모듈 제어기가 연결되고, 타측에 상위 제어기가 연결되며,
    상기 서브 모듈 제어기로부터 각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각 서브 모듈의 상태 정보를 상기 상위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상위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중 특정 서브 모듈에 상응하는 제어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명령 정보를 상기 서브 모듈 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각각의 VCU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밸브 섹션들 중 상응하는 밸브 섹션 하부와 지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상응하는 밸브 섹션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모듈들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필요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서브 모듈 제어기를 통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상기 각 서브 모듈로 전달하는,
    VCU 제어기.
  7. 삭제
  8. 삭제
KR1020210011703A 2021-01-27 2021-01-27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Active KR10263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03A KR102639907B1 (ko) 2021-01-27 2021-01-27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18/273,703 US20240106236A1 (en) 2021-01-27 2022-01-14 Multi-level converter-type statcom system and operation method
PCT/KR2022/000728 WO2022164097A1 (ko) 2021-01-27 2022-01-14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03A KR102639907B1 (ko) 2021-01-27 2021-01-27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62A KR20220108562A (ko) 2022-08-03
KR102639907B1 true KR102639907B1 (ko) 2024-02-27

Family

ID=8265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703A Active KR102639907B1 (ko) 2021-01-27 2021-01-27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06236A1 (ko)
KR (1) KR102639907B1 (ko)
WO (1) WO20221640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60B1 (ko) * 2013-12-26 2015-12-11 주식회사 효성 초고압 직류 송전시스템의 모듈장치
KR20150130863A (ko) * 2014-05-14 2015-1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743360B (zh) * 2014-12-11 2018-01-19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子模块分布式控制方法、装置和系统
KR102082140B1 (ko) * 2015-02-11 2020-0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시스템에서 전력 값 측정 방법
KR101678802B1 (ko) * 2016-04-26 2016-11-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97062A (ko) * 2017-02-22 2018-08-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KR20190065675A (ko) * 2017-12-04 2019-06-12 전자부품연구원 멀티레벨 컨버터를 구비한 hvdc 시스템의 커패시터 용량 추정장치 및 그 커패시터 용량 추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62A (ko) 2022-08-03
US20240106236A1 (en) 2024-03-28
WO2022164097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236B2 (ja) 電力変換装置
EP3024109B1 (en) Valve bas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modular multi-level convertor
EP242795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determine the cell capacitor voltage of a cell of a multi- cell power converter
EP3544171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EP3465863B1 (en)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cell with integrated current sensor
WO2013060359A1 (en) Direct current breaker and electrical power system comprising such direct current breaker
EP3493386B1 (en) Electric pow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EP3930135B1 (en) Power supply system
CN102832831A (zh) 用于三电平整流器的开关分支以及三相三电平整流器
US20230046346A1 (en) Power System
RU2696592C1 (ru) Модульный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KR102639907B1 (ko) 멀티레벨 컨버터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동작 방법
JP7462056B2 (ja) 電力変換装置
CN108011389A (zh) 一种复合型直流输电设备
US12283897B2 (en)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KR102652321B1 (ko)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의 서브 모듈 제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JP2015220783A (ja) 自励式電力変換装置
KR102572441B1 (ko) 서브 모듈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vbe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US20230246565A1 (en) External storage device for control apparatus of power conversion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of power conversion system
JP7134306B2 (ja) 電力変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装置
KR20180097062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EP3876407A1 (en) Method for detecting electric arc, and inverter
KR20230149415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서브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20240102510A (ko) 무효 전력 보상 장치
KR20220082417A (ko) Mmc 방식의 statcom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401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7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