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9590B1 -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 Google Patents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590B1
KR102639590B1 KR1020210070524A KR20210070524A KR102639590B1 KR 102639590 B1 KR102639590 B1 KR 102639590B1 KR 1020210070524 A KR1020210070524 A KR 1020210070524A KR 20210070524 A KR20210070524 A KR 20210070524A KR 102639590 B1 KR102639590 B1 KR 102639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feed line
protecting
peripheral surfac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2264A (ko
Inventor
이강섭
Original Assignee
이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섭 filed Critical 이강섭
Priority to KR102021007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5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5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은, 변전소로부터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관에 있어서, 급전선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며 하부 중앙이 개방된 헤드부; 헤드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절곡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볼트 홀을 구비하는 한 쌍의 테일부; 및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중공부 안에 삽입된 급전선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이물질 및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아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Protection tube for protecting electricity feeder}
본 발명은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전선에 이물질이 낙하하여 발생하는 지락 사고를 방지하고, 급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급전선의 손상 및 부식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철도는 그 전기 방식에 따라 직류식과 교류식으로 분류되며, 우리 나라는 60Hz, 25KV 교류 전철이 건설되어 운행되고 있다.
전기 철도에서 전기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로를 전차선로라 하며, 이러한 전차선로는 그 집전 구조상으로 가공식(架空式)과 제3 궤조식(第三軌條式)으로 구분된다. 가공식은 동선을 궤조 상부에 가설하여 그 밑에서 팬터그래프(Pantograph)에 의하여 집전하는 방식이며, 제3 궤조식은 가선이 없는 방식으로 지하철 등에서 제2의 급전 레일을 노면 위에 설치하고, 집전편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가공식 전차선로의 경우, 전차선로는 전기차에 직접 접촉하는 전차선과, 이를 지지하는 전주, 그리고 급전선 등으로 구성된다.
전차선은 레일면의 상측에 일정한 높이로 가선되고,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의 습판과 직접 접촉하여 차내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말하며, 이러한 전차선은 조가선에 의해 드롭바 및 행거로서 조가된다.
급전선이란 변전소로부터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으로, 직류 방식에서는 급전선이 없으며, 콘크리트벽, 천정 등에 가설하거나 지중 케이블로 할 수 밖에 없는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공식 전차선로에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기 철도에 사용되는 급전선의 경우, 60KV 특별 고전압의 나전선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별 고전압 전기 회로의 경우 인체의 안전 및 기기 보호를 위하여 공기 절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급전선에 이물질이 낙하(落下)하여 지락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선의 단선 및 소선 단선 사고로 인해 전차선에 대한 전력 공급이 끊겨서 전차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급전선에 이물질이 낙하하여 발생하는 지락 사고를 방지하고, 급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급전선의 손상 및 부식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이 요구된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10-1681150호(방호관)(2016년 11월 30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전선을 감싸는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급전선의 외주면을 밀착하는 아암부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급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급전선의 손상 및 부식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은, 변전소로부터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관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며 하부 중앙이 개방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절곡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볼트 홀을 구비하는 한 쌍의 테일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중공부 안에 삽입된 상기 급전선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상기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이물질 및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아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아암부는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암부의 내주면은 상기 급전선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아암부의 외주면은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급전선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밀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아암부는 상기 헤드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헤드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암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돌기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에 따르면, 급전선을 감싸는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급전선의 외주면을 밀착하는 아암부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급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급전선의 손상 및 부식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에 따르면, 급전선을 감싸는 헤드부의 내주면에 밀착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급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에 따르면, 신축성이 좋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제조함으로써, 전차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낙하하는 이물질로 인한 급전선의 크랙 등의 균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에 형성된 밀착 돌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에 형성된 밀착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에 형성된 밀착 돌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구성하는 아암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구성하는 아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와 아암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의 A-A선 단면도로서, 도 2에서는 헤드부(110) 안에 급전선(10)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에서는 헤드부(110)로부터 급전선(1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의 설치시,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의 재질(예를 들어, 실리콘이나 러버 재질)의 특성상 헤드부(110)가 탄성 변형되면서 급전선(10)의 외주면에 밀착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헤드부(110)가 탄성 변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은 변전소로부터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선(10)을 보호하는 구조물로서, 전체적으로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은, 급전선(10)이 삽입되는 헤드부(110), 헤드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테일부(120) 및 헤드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결되는 아암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급전선(10)이 삽입되는 중공부(관통부)(111)를 구비하고, 하부 중앙이 개방(Opening)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의 헤드부(110)는 급전선(10)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밀착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에 형성된 밀착 돌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에 형성된 밀착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에 형성된 밀착 돌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0)의 내주면에는 급전선(10)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밀착 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착 돌기(112)는 단면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을 급전선(10)에 설치할 때에, 헤드부(110)의 중공부(111) 안에 급전선(10)을 삽입한 후 볼트(140)를 체결하면, 밀착 돌기(112)가 탄성 변형되면서 급전선(10)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의 헤드부(110)는 급전선(10)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밀착 돌기(112)가 형성됨으로써, 급전선(10)의 유동을 방지하여 급전선(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돌기(113)는 헤드부(110)의 내주면에 폭 방향으로 길게 띠 형상(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밀착 돌기(113)는 헤드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줄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와 반대로, 밀착 돌기는 헤드부(11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띠 형상(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돌기(114)는 헤드부(110)의 내주면에 엠보싱(embos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아암부(130)도 헤드부(110)와 마찬가지로 급전선(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주면에 밀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테일부(120)는 판상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절곡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복수의 볼트 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120)는 헤드부(110)가 급전선(10)을 감싼 상태에서 볼트 홀(121)에 삽입된 볼트(140)에 의해 급전선(1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30)는 헤드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중공부(111) 안에 삽입된 급전선(10)의 외주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30)는 헤드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결되어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암부(130)의 내주면은 급전선(1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아암부(130)의 외주면은 헤드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아암부(130)는 급전선(10)의 유동을 방지하고 급전선(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 물(빗물이나 결로 등으로 인한 수분 등을 모두 포함)이 유입되어 헤드부(110)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급전선(10)의 손상 및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아암부(130)가 반호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급전선(10)의 형태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아암부(130)는 헤드부(110)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구성하는 아암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구성하는 아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연속적 형태의 아암부(130)를 나타내고 있고, 도 8에서는 불연속적 형태의 아암부(130)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30)가 헤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30)가 헤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아암부(130)는 헤드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거나, 헤드부(110)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돌기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아암부(130)가 헤드부(1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의 헤드부와 아암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아암부(130)가 홈과 해당 홈에 결합하는 돌기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30)는 일단에 돌기(131)가 형성되고, 헤드부(110)는 대응되는 위치에 홈(115)이 형성되어, 더브테일 구조로 헤드부(110)와 아암부(13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110)와 아암부(130)를 별개로 구성할 경우,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헤드부(110)와 아암부(130)의 재질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부(110)와 아암부(130)의 재질을 달리하여 구성할 경우, 헤드부의 재질은 급전선(10) 보호를 위해서 다소 경질의 실리콘이나 러버로 제작하고, 아암부(130)는 급전선(10)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소 연질의 실리콘이나 러버로 제작함으로써, 급전선(10)의 유동방지 및 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원가를 고려하여 제작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에 국한되지 않으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에 슬래그를 함유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정련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수집하고,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에 그 슬래그를 파쇄하여 만든 슬래그 분말을 혼합하여 탄성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을 갖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100)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은, 급전선을 감싸는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급전선의 외주면을 밀착하는 아암부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급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물질 및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급전선의 손상 및 부식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은, 급전선을 감싸는 헤드부의 내주면에 밀착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급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은, 신축성이 좋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을 제조함으로써, 전차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낙하하는 이물질로 인한 급전선의 크랙 등의 균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급전선
100: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110: 헤드부
111: 중공부 112: 밀착 돌기
115: 홈 120: 테일부
121: 볼트 홀 130: 아암부
135: 돌기 140: 볼트

Claims (7)

  1. 변전소로부터 전차선에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관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며 하부 중앙이 개방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절곡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 형성되고 볼트 홀을 구비하는 한 쌍의 테일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중공부 안에 삽입된 상기 급전선의 외주면을 밀착하는 아암부를 포함하되,
    상기 아암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급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반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암부의 내주면은 상기 급전선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아암부의 외주면은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고 이물질 및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급전선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밀착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부와 함께 상기 급전선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헤드부, 상기 한 쌍의 테일부 및 상기 아암부는 상기 급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돌기는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헤드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헤드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돌기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KR1020210070524A 2021-06-01 2021-06-01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Active KR10263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24A KR102639590B1 (ko) 2021-06-01 2021-06-01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24A KR102639590B1 (ko) 2021-06-01 2021-06-01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64A KR20220162264A (ko) 2022-12-08
KR102639590B1 true KR102639590B1 (ko) 2024-02-21

Family

ID=8443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524A Active KR102639590B1 (ko) 2021-06-01 2021-06-01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5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65B1 (ko) * 2019-11-14 2020-06-01 일렉트릭솔루션즈 주식회사 전선용 방호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093B1 (ko) * 2012-09-19 2019-07-11 한국전력공사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1681150B1 (ko) 2014-12-08 2016-11-30 이강섭 방호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65B1 (ko) * 2019-11-14 2020-06-01 일렉트릭솔루션즈 주식회사 전선용 방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264A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024B2 (en) Gantry type movable catenary system at a railway crossing
KR100440818B1 (ko) 전동차량용탄성및강성의콘택라인시스템을결합시키기위한장치및방법
KR101265229B1 (ko) 점탄성 감쇠스프링을 이용한 강체전차선 진동흡수장치
US9855848B2 (en) Current collector for a rail-mounted vehicle
KR101902361B1 (ko) 강체 전차 선로용 절연구분장치
KR200454907Y1 (ko) 급전분기선용 절연 지지클램프
KR102639590B1 (ko)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KR20070000138U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절연캡
EP1484214B1 (en) Profile for supporting the contact wire in a rigid overhead railway electrification system
KR20100134831A (ko) 특 고압 전차선 송전선로의 안전보호 장치.
KR200463795Y1 (ko) 전철용 급전선의 가선지지금구
KR102599071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EP4194260B1 (en) Busbar for holding a contact wire, rigid overhead catenary system and railtrack comprising such a busbar
KR101810796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KR102570045B1 (ko) 급전선 방호관용 새들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KR100928464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KR200243197Y1 (ko) 전철용 판애자
US5456962A (en) Ice guard for grooved trolley wire
KR200256209Y1 (ko) 전철용 급전선의 지지애자
ES2583930T3 (es) Armamento de catenaria
JP2021138323A (ja) 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及び、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用カバー
KR102579550B1 (ko) 전차 선로용 급전선 지지앵글 클램프
US454177A (en) Conduit for underground or supway electric systems
KR100614949B1 (ko) 전기철도용 절연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