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8347B1 -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 Google Patents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347B1
KR102638347B1 KR1020160128634A KR20160128634A KR102638347B1 KR 102638347 B1 KR102638347 B1 KR 102638347B1 KR 1020160128634 A KR1020160128634 A KR 1020160128634A KR 20160128634 A KR20160128634 A KR 20160128634A KR 102638347 B1 KR102638347 B1 KR 10263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μin
max
processing device
biopharmaceu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7867A (en
Inventor
마이클 미츠너
짐 하임바흐
앤드류 하리스
Original Assignee
론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론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론자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60128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347B1/en
Publication of KR2018003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4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0Materi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2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constructed of material selected for its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 B01J2219/025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ly-resistant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reactor vessel proper
    • B01J2219/0277Metal based
    • B01J2219/0286Ste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반응기 용기 및 반응기 스테인리스 강 표면과 같은 개선된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 및 이를 감별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는 단백질성 가공 물질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표면은 약 20 Ra Max (μin) 초과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를 갖는다.Disclosed herein are improved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s, such as reactor vessels and reactor stainless steel surfaces, and methods for their differentiation. In some embodiments,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vessel having a surface configured to contact a proteinaceous processing material,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20 Ra Max (μin). surface roughness).

Description

반응기 표면 피니쉬 교정{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Reactor surface finish correction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본 발명은 바이오반응기 용기(bioreactor vessel) 및 생산 표면(production surface), 및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오반응기 용기들 및 생산 표면의 세정능(cleanability)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ioreactor vessels and production surfaces,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cleanability of bioreactor vessels and production surfaces.

제약 및 바이오약제 산업에서, 스테인리스 강 장치 표면 피니쉬는 고도의 세정 성능을 보장하도록 유의해서 조절된다. 시운전(commissioning) 전에, 이것은 강건(robust) 설계 규격을 개발하고 인증 시험 동안 적합성을 확인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단 시운전되면, 장치를 진행중인 정비 프로그램(on-going maintenance program)을 사용하여 검사하여 표면이 복구를 필요로 할 때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사전-시운전 및 시운전-후 둘 다에서, 적당한 수준의 표면 이상(surface anomaly)과 세정능에 대한 이의 영향이 사전에 알려지지 않아, 일관적이지 않으며 제어되지 않는 표면 특징 요건들로 인해 이미 시운전된 용기들 사이에 증가된 교정 및 용기의 시운전, 제작, 및 작동 정비에 있어서의 추가된 비용을 야기하였다. In the pharmaceutical and biopharmaceutical industry, stainless steel device surface finishes are carefully controlled to ensure a high level of cleaning performance. Prior to commissioning, this is achieved by developing robust design specifications and verifying compliance during certification testing. Once commissioned, the device should be inspected using an on-going maintenance program to determine when surfaces require repair. However, both pre-commissioning and post-commissioning, the appropriate level of surface anomaly and its effect on cleanability are not known in advance, resulting in inconsistent and uncontrolled surface characteristic requirements. This results in increased calibration between vessels and added costs in commissioning, manufacturing, and operational maintenance of the vessels.

이와 같이, 개선된 반응기 용기와 스테인리스 강 표면 및 이들을 감별하는 방법들이 요구된다.As such, improved reactor vessels and stainless steel surfaces and methods for differentiating them are needed.

반응기 용기와 스테인리스 강 표면과 같은 개선된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biopharmaceutical processing equipment), 및 이들을 감별하는 방법들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는 단백질성(proteinaceous) 가공 물질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표면은 약 20 Ra Max(μin) 초과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를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면은 약 35 Ra Max(μin) 초과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20 Ra Max(μin) 초과 및 약 2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35 Ra Max(μin) 초과 및 약 1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90 Ra Max(μin) 초과 및 약 1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150 Ra Max(μin)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316L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Disclosed herein are improved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equipment, such as reactor vessels and stainless steel surfaces, and methods for their differentiation. In some embodiments,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vessel having a surface configured to contact a proteinaceous processing material,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20 Ra Max (μin).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35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20 Ra Max (μin)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2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35 Ra Max (μin)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greater than about 90 Ra Max (μin)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about 1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be formed from 316L stainless steel.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는 단백질성 가공 물질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표면은 약 2.6mm의 표면 피팅(pitting)의 최대 깊이를 초과하는 표면 이상이 없는 표면 피니쉬를 갖는다. 더욱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공 장치 표면은 약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를 초과하는 표면 이상이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면은 약 1.2mm의 표면 피팅의 최대 깊이를 초과하는 표면 이상이 없을 수 있다. 상기 표면은 316L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면은 약 20 Ra Max(μin) 초과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35 Ra Max(μin) 초과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20 Ra 초과 및 약 2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표면은 약 35 Ra 초과 및 약 2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35 Ra 초과 및 약 1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150 Ra Max(μin)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1.2mm의 표면 피팅의 최대 깊이, 및 약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 중 어느 것을 초과하는 표면 이상이 없는 표면 피니쉬를 가질 수 있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vessel having a surface configured to contact a proteinaceous processing material, wherein the surface exceeds a maximum depth of surface pitting of about 2.6 mm. It has a surface finish with no surface abnormalities. Moreover, in some embodiments, the processing device surface may be free of surface abnormalities exceeding a maximum scratch depth of about 1.0 mm.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be free of surface abnormalities exceeding a maximum depth of surface fitting of about 1.2 mm. The surface may be formed of 316L stainless steel.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2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35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20 Ra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2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greater than about 35 Ra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2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35 Ra and less than or equal to about 1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about 1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surface finish free of surface abnormalities exceeding either a maximum depth of surface pitting of about 1.2 mm, and a maximum depth of scratching of about 1.0 mm.

일부 실시형태에서,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를 수리하는 방법은, 표면 이상의 존재여부에 대해 가공 물질과 접촉하는 용기의 표면을 검사하는 단계, 표면 상의 표면 이상의 물리적 특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이상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으로부터 표면 이상을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물리적 특징은 피트 깊이(pit depth) 및/또는 스크래치 깊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 이상은 피트일 수 있으며, 소정의 역치는 약 2.6mm의 최대 피트 깊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 이상은 피트일 수 있고, 소정의 역치는 약 1.2mm의 최대 피트 깊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 이상은 마이크로피트(micropit)일 수 있으며 소정의 역치는 검사 면적당 약 2600의 최대 마이크로피트 밀도(micropit density)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 이상은 스크래치일 수 있고 소정의 역치는 약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 이상은 표면 거칠기일 수 있고 소정의 역치는 약 150 Ra Max(μin) 이하의 표면 피니쉬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소정의 역치는 약 1.2mm의 최대 피트 깊이, 검사 면적당 약 2600의 최대 마이크로피트 밀도, 약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 및/또는 약 150 Ra Max(μin) 이하의 표면 피니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 이상의 존재여부에 대해 가공 물질과 접촉하는 용기의 표면을 검사하는 단계는 반응기 용기의 표면을 외관 검사하는 단계 및 이상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깊이 게이지 기구를 사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으로부터 표면 이상을 교정하는 단계는 표면 이상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버핑(buffing) 장치로 표면을 버핑시킴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method of repairing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includes inspecting a surface of a vessel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for the presence of a surface abnormality, measu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n the sur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urface abnormality exists. If i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may include correcting surface abnormalities from the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physical characteristic may be pit depth and/or scratch depth.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abnormality may be a pit,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maximum pit depth of about 2.6 mm.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abnormality may be a pit,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may be a maximum pit depth of about 1.2 mm.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abnormalities may be micropits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may be a maximum micropit density of about 2600 per inspection area.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abnormality may be a scratch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may be a maximum scratch depth of about 1.0 mm.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abnormality may be surface roughness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may be a surface finish of about 150 Ra Max (μin) or less. In some embodiments, the predetermined thresholds include a maximum pit depth of about 1.2 mm, a maximum micropit density per inspection area of about 2600, a maximum scratch depth of about 1.0 mm, and/or a surface finish of about 150 Ra Max (μin) or less. It can be included. In some embodiments, inspecting the surface of the vessel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for the presence of a surface abnormality includes at least one of visually inspecting the surface of the reactor vessel and using a depth gauge instrument to measure the depth of the abnormality. may include. Correcting surface abnormalities from a surface may include buffing the surface with a buffing device sufficient to remove the surface abnormalities.

도 1은 바이오약제 반응기 용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피트가 있는(pitted) 쿠폰,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 거친 쿠폰, 및 마이크로피트가 있는 쿠폰을 도시한다;
도 3은 피트가 있는 쿠폰,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 및 거친 쿠폰에의 BSA 오염물의 적용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UV 광으로 실험된 예시적인 쿠폰을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강하 막 시험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요인들의 쌍(pairs of factors)에 대한 제거율 %의 윤곽 플롯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밀도 계수, 종횡비, 및 깊이의 함수로서의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를 예시하는 회귀 분석을 요약한다;
도 8은 깊이와 직경으로 구성된 2-변수 행렬(matrix) 내에 외관 검사에 불합격한 쿠폰의 %로서 캡쳐된 UV 조명을 사용한 형광의 시각 효과를 도시한다;
도 9는 "정규화된 제거율 %" 및 표면 거칠기를 분석하는 선형 회귀를 도시한다;
도 10은 "정규화된 제거율 %" 및 피트 밀도를 분석하는 잔차 플롯(residual plot)을 도시한다;
도 11은 스크래치 깊이 v. 평균 정규화된 제거율 %의 선형 회귀를 도시한다;
도 12는 스크래치 깊이당 형광성 외관 불합격(fluorescent visual failure)의 백분율을 도시한다;
도 13은 상이한 시험 오염물(challenging soil) 및 세정제의 부록 연구(addendum study)의 분석에 사용되는 ANOVA 방법들을 도시한다;
도 14는 상이한 시험 오염물 및 세정제의 부록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는 ANOVA 방법들을 도시한다;
도 15는 밀도 계수, 종횡비, 및 깊이의 함수로서의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도시한다;
도 16은 스크래치 깊이의 함수로서의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를 도시한다;
도 17은 밀도 계수, 종횡비, 및 피팅의 깊이의 함수로서의 잔류 TOC에 대한 다중 회귀를 도시한다;
도 18은 스크래치 깊이의 함수로서의 잔류 TOC에 대한 잔차 플롯을 도시한다;
도 19는 부록 TOC 결과의 그래프 요약을 도시한다;
도 20은 부록 TOC 결과의 ANOVA 요약을 도시한다.
1 shows an example of a biopharmaceutical reactor vessel;
Figure 2 shows pitted coupons, scratched coupons, rough coupons, and micropitted coupons;
Figure 3 shows an exemplary method for application of BSA soil to pitted, scratched, and rough coupons;
Figure 4 shows an exemplary coupon tested with UV light;
Figure 5 shows an exemplary falling film test apparatus;
Figure 7 shows contour plots of % removal rate for pairs of factors;
Figure 6 summarizes a regression analysis illustrating multiple regression for % removal as a function of density coefficient, aspect ratio, and depth;
Figure 8 shows the visual effect of fluorescence using UV illumination captured as the percentage of coupons failing visual inspection in a two-variable matrix consisting of depth and diameter;
Figure 9 shows a linear regression analyzing "normalized % removal" and surface roughness;
Figure 10 shows a residual plot analyzing "normalized % removal" and pit density;
11 shows scratch depth v. Linear regression of mean normalized % removal rate is shown;
Figure 12 shows the percentage of fluorescent visual failure per scratch depth;
Figure 13 shows the ANOVA method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addendum study of different challenging soils and cleaning agents;
Figure 14 shows the ANOVA method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appendix study of the different test contaminants and cleaners;
Figure 15 show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 removal as a function of density coefficient, aspect ratio, and depth;
Figure 16 shows multiple regression for % removal rate as a function of scratch depth;
Figure 17 shows multiple regression for residual TOC as a function of density coefficient, aspect ratio, and depth of fitting;
Figure 18 shows a residual plot for residual TOC as a function of scratch depth;
Figure 19 shows a graphical summary of the appendix TOC results;
Figure 20 shows the ANOVA summary of the Appendix TOC results.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오반응기 용기 및 제조 표면, 및 보다 구체적으로, 바이오반응기 용기 및 제조 표면의 세정능에 관한 것이며, 이것이 이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상이한 실시형태들에 걸쳐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냄을 주지한다.As specifi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ioreactor vessels and manufacturing surfaces,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cleanability of bioreactor vessels and manufacturing surfaces, which is now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different embodiments.

요소 또는 성분 앞에 오는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관사 "a" 및 "an"은 요소 또는 성분의 사례(즉, 발생) 수에 관해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a" 또는 "an"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독되어야 하며, 요소 또는 성분의 단수 단어형은 또한, 수가 명백히 단수를 의도하지 않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The articles “a” and “an” as used herein preceding an element or component are intended to be non-limiting as to the number of instances (i.e., occurrences) of the element or component. Accordingly, “a” or “an” should be read as including one or at least one, and the singular word form of an element or component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the number is clearly intended to be singular.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발명" 또는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용어들이며 특정 발명의 임의의 단일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및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모든 가능한 양상들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invention” or “the invention” are non-limiting ter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any single aspect of a particular invention, but rather include all possible aspects as set forth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사용된 구성분(ingredient), 성분 또는 반응물의 양을 수식하는 용어 "약"은, 예를 들면, 농축물 또는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형적인 측정 및 액체 취급 과정을 통해 일어날 수 있는 수치적 양에 있어서의 차이(variation)를 나타낸다. 게다가, 차이는 측정 과정에서의 부주의한 오차, 제조상의 차이, 공급원, 또는 조성물을 제조하거나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구성분들의 순도 등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용어 "약"은 보고된 수치 값의 10% 이내를 의미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용어 "약"은 보고된 수치 값의 5% 이내를 의미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용어 "약"은 보고된 수치 값의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이내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bout" modifies the amount of an ingredient, ingredient or reactant used, e.g., through typical measurement and liquid handling procedures used to prepare concentrates or solutions. It represents a variation in a numerical quantity that can occur. Additionally, differences may arise from inadvertent errors in the measurement process, differences in manufacturing, source of origin, or purity of ingredients used to prepare the composition or perform the method. In one aspect, the term “about” means within 10% of the reported numerical value. In another aspect, the term “about” means within 5% of the reported numerical value. In another aspect, the term “about” means within 10, 9, 8, 7, 6, 5, 4, 3, 2, or 1% of the reported numerical value.

바이오약제 및 제약 산업은 소정의 시스템 내의 일상적인 작업을 위해 용인될 수 있는 용기 표면 상의 허용가능한 수준의 표면 이상 - 예를 들면, 피팅, 스크래칭, 및 표면 피니쉬 편차 - 을 정의하는 ASME BPE(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ioprocessing Equipment) 표준의 2014년 판에 근거한 엄중한 규격을 주로 채택해 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표면 이상"은, 사전-시운전 또는 시운전-후에 형성되든 간에, 소정의 표면 상의 임의의 결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네 가지 유형의 표면 결함들이 바이오약제 제품 접촉 표면들에서 흔히 관찰된다 - 스크래치, 거칠기, 마이크로피트, 및 피팅.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사전-시운전"은 반응기가 가동되도록 위치하여 제품의 생산에 사용되기 전 반응기의 설계 및 생산 동안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시운전-후"는 반응기가 제공되어 제품을 생산한 후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피트" 또는 "피팅"은 일반적으로 고리형, 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인 측정 가능한 깊이를 갖는 표면 공동(void)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스크래치"는 측정 가능한 깊이를 갖는 실질적으로 선형인 형상을 갖는 표면 공동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기", "반응기 용기" 및/또는 "가공 장치"는 탱크, 파이프, 필터, 바이오반응기, 제품 보관 용기(product hold vessel), WFI 보관 용기, 크로마토그래피 스키드, 한외여과/정용여과(diafiltration) 스키드, 필터 하우징, 및 재순환 CIP를 통해 세정되는 임의의 공정 접촉 표면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공정 재료와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갖는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The biopharmaceut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use ASME BPE (the American It has primarily adopted stringent specifications based on the 2014 edition of the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ioprocessing Equipment standard. As used herein, “surface abnormality” means any defect on a given surface, whether formed pre-commissioning or post-commissioning. For example, four types of surface defects are commonly observed in biopharmaceutical product contact surfaces - scratches, roughness, micropits, and pitting. As used herein, “pre-commissioning” means during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a reactor before the reactor is placed into operation and used in the production of product. As used herein, “post-commissioning” means after the reactor has been provided and produced the product. As used herein, a “pit” or “fitting” is a surface void of measurable depth that is generally annular, circular, oval, or rectangular in shape. As used herein, “scratch” means a surface cavity having a substantially linear shape with a measurable depth. As used herein, “vessel,” “reactor vessel,” and/or “processing device” includes tanks, pipes, filters, bioreactors, product hold vessels, WFI hold vessels, chromatography skids, and ultrafiltration. /diafiltration refers to any device or system having at least one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process material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diafiltration skids, filter housings, and any process contact surfaces that are cleaned via recirculating CIP. do.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고 아래에 일부 재현되어 있는 ASME BPE (2014)의 표 SF-2.4-1은 시운전된 반응기들에 대한 표면 거칠기(마이크로인치 및 마이크론 둘 다로 Ra Max로 나타낸 바와 같음)에 관한 바이오약제 산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확립한다. 이러한 표준을 채택하는 것은 탱크가 노화됨에 따라 진행중인 정비에 있어서의 난제를 야기한다. 피트 직경과 같은 특성들은 일단 장치가 작동중이면 해당 영역에서 측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리고, 다른 산업 출판물들이 생물막 형성에 대한 표면 피니쉬의 영향을 탐구하였지만, 본 발명 이전에는 어떠한 것도 이러한 ASME BPE 규격을 초과하는 결함들이 화학 세정(예를 들면 CIP) 성능에 유해하다는 것을 보여주지 못했다.Table SF-2.4-1 of ASME BPE (2014),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nd reproduced in part below, provides surface roughness (as expressed in R a Max in both microinches and microns) for the commissioned reactors.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biopharmaceutical industry. Adopting these standards poses challenges for ongoing maintenance as tanks age. Properties such as pit diameter are very difficult to measure in this area once the device is in operation. And, although other industry publications have explored the impact of surface finish on biofilm formation, none prior to this invention had shown that defects exceeding these ASME BPE specifications were detrimental to chemical cleaning (e.g. CIP) performance.

표 SF-2.4-1Table SF-2.4-1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1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1

아래에 사용된 바와 같은 표면 거칠기는 Ra Max로서 마이크로인치(μin)(이하, "Ra Max(μin)"라고 칭함)로 측정된다.Surface roughness, as used below, is R a Max, measured in microinches (μ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 Max (μin)”).

본원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표준의 채택이 몹시 엄중하거나 수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반응기 재료의 비용은 표면 거칠기가 감소하면 증가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추가시켰다; 즉, 표면이 평활할수록, 재료는 더 비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양상은 바이오약제 반응기 용기들의 사전-시운전 및 시운전-후 분석을 위한 정성적 및 정량적 역치 결정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역치의 적용에 기반하여 반응기들을 분석, 세정 및 설계, 건설, 및/또는 보수하는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다.As detailed herein, adoption of these standards can be either extremely stringent or straightforward, thus adding to manufacturing costs because the cost of reactor materials increases as surface roughness decreases; That is, the smoother the surface, the more expensive the material. As suc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eterm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hresholds for pre-commissioning and post-commissioning analysis of biopharmaceutical reactor vessels, as well as analyzing, cleaning and designing, constructing, and/or designing reactor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se thresholds. Or it provides repair methods.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 성능이 제품 접촉 표면들의 노화(aging) 및/또는 화학적 열화(chemical degradation)에 의해 영향을 받을 때를 평가함으로써 교정을 위한 기준을 더 잘 정의하는 것이다. 아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피트, 스크래치, 및 표면 피니쉬 변화의 영향은, 세정 저하에 있어서의 진정한 변곡점을 확인하기 위한 광범위한 영역의 오염물 유형 및 세정 조건을 사용하여 실험실 세팅에서 탐구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결론을 위한 건전한 통계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결함들의 전형적인 경계를 넘어선 넓은 범위를 탐구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관 검사 및/또는 정비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또는 새로운 반응기 용기들의 시운전 동안 표면 이상 작용 한계를 정의하기 위한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역치 또는 변곡점을 확인한다.As described herei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tter define criteria for calibration by assessing when cleaning performance is affected by aging and/or chemical degradation of product contact surfaces. . As described below, the effects of pits, scratches, and surface finish variations were explored in a laboratory setting using a wide range of contaminant types and cleaning conditions to identify the true inflection point in cleaning degradation. These studies explored a broad range of defects beyond their typical boundaries to provide a sound statistical basis for conclusions.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threshold or inflection point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fining surface abnormality limits as part of a visual inspection and/or maintenance program or during commissioning of new reactor vessels.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표면 이상 또는 결함의 세정 효과는 교반 용액에서의 침지를 통해 표면에 적용되는 소 혈청 알부민(BSA)의 단백질성 오염물의 제거상의 어려움을 사용하여 탐구되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백질성"은 적어도 하나의 단백질, 아미노산 잔기, 또는 지질 및 기타의 거대 분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바이오약제 생산과 전형적으로 관련된 기타의 유기 분자를 함유하는, 유체와 같은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정한 단백질성 오염물은, 정확하게 억제되는 표면 결함으로 세정 성능에 도전할 대용물(surrogate)로서 작용한다.The effectiveness of cleaning surface abnormalities or defects as described herein was explored using the difficulty in removing proteinaceous contaminants of bovine serum albumin (BSA) applied to the surface via immersion in an agitated solution. As used herein, “proteinaceous” refers to fluids containing at least one protein, amino acid residues, or other organic molecules typically associated with biopharmaceutical produc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ipids and other macromolecules. refers to any substance such as These specific proteinaceous contaminants act as surrogates that will challenge the cleaning performance with surface defects being precisely suppressed.

실시예에 기재된 모든 데이터 및 관찰사항을 고려하여, 다음의 역치들이 반응기 표면의 세정능 및/또는 표면 이상을 교정할 필요를 결정하는데 (함께 또는 별도로) 적용될 수 있으며, 외관 검사 프로그램의 기초로서 작용할 수 있다: Taking into account all data and observations described in the examples, the following thresholds can be applied (together or separately) to determine the cleanability of the reactor surface and/or the need to correct surface abnormalities and will serve as the basis for a visual inspection program. You can:

1. 피트 깊이가 약 2.6mm 미만 및,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1.2mm 이하에서 유지되는 한 피팅은 세정능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깊이에서, 피트 밀도 및 직경은 무관하다.1. Fitting does not affect cleanability as long as the pit depth remains below about 2.6 mm and, in some embodiments, below about 1.2 mm. At these depths, pit density and diameter are irrelevant.

2. 스크래치 깊이가 약 1.2mm 미만 및,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1.0mm 이하에서 유지되는 한 스크래치는 세정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스크래치 길이 및 각도는 본원에 나타낸 범위 내에서 무관하였다.2. Scratches do not affect cleanability as long as the scratch depth remains below about 1.2 mm and, in some embodiments, below about 1.0 mm. Scratch length and angle were independent within the ranges indicated herein.

3. 마이크로피트는 검사 면적당 적어도 약 2600까지는 세정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3. Micropits do not affect cleaning performance, at least up to about 2600 per inspection area.

4. 표면 피니쉬는 적어도 약 150 Ra Max(μin)까지는 세정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4. Surface finish does not affect cleaning ability at least up to about 150 Ra Max (μin).

이러한 역치들은 반응기 용기의 시운전 및/또는 반응기 용기 표면의 교정 또는 보수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역치들은 반응기 용기를 설계 및 건설할 때 뿐만 아니라 온-라인 반응기들의 정비 동안 적용될 수 있다. 어떠한 적합한 교정 방법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핑 장치-예를 들면, 그라인더-가 표면으로부터 표면 이상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교정은 이상을 메우는 역용접(backweld)에 이어 평활하게 연마함을 포함할 수 있다.These thresholds may be applied to commissioning of the reactor vessel and/or calibration or repair of the reactor vessel surface. That is, these thresholds can be applied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reactor vessels as well as during maintenance of on-line reactors. Any suitable calibration method may be used. For example, a buffing device - such as a grinder - can be used to remove surface abnormalities from the surface. In embodiments, for example, correction may include backweld to fill the abnormality followed by grinding smooth.

도 1은 예시적인 바이오약제 반응기 용기를 도시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응기 용기(100)는 단백질성 가공 물질 - 예를 들면, 발효 배지 및 접종제 - 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반응기 표면(102) 및 상기 반응기 표면(102)을 세정하도록 구성된 CIP 장치(104)를 가질 수 있다. 반응기 용기(100)는 센서들, 프로브들, 배플(baffle)들, 유입구들, 배출구들, 및 임의의 기타 구성성분(나타내지 않음)과 같은 바이오약제의 생산에 필요한 임의의 다른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에서, 반응기 용기(100) 및 반응기 표면(102)은 316L, 304, 또는 기타의 18-8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스테인리스 강으로부터 형성된다. 인코넬(Inconel), 티탄 합금 등과 같은 기타의 금속들이 특정 분야 및 제조 방법에 적합하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1 depicts an exemplary biopharmaceutical reactor vessel. As shown in FIG. 1 , reactor vessel 100 includes a reactor surface 102 configured to contact proteinaceous processing material—e.g., fermentation medium and inoculant—and a CIP device configured to clean the reactor surface 102. You can have (104). Reactor vessel 100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biopharmaceuticals, such as sensors, probes, baffles, inlets, outlets, and any other components (not shown). You can. In some aspects, reactor vessel 100 and reactor surface 102 are formed from stainless steel, such as 316L, 304, or other 18-8 stainless steel. Other metals such as Inconel, titanium alloys, etc. may be used as they are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s.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응기 표면(102)은 본원에 기재된 역치를 초과하는 표면 이상이 없는 표면 피니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기 표면(102)은 약 2.6mm의 표면 피팅의 최대 깊이와 같거나 이를 초과하는 피트들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102)은 약 1.2mm의 최대 깊이와 같거나 이를 초과하는 피트들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102)은 약 1.2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와 같거나 이를 초과하는 스크래치들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102)은 약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와 같거나 이를 초과하는 스크래치들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준 CIP 세정 기술을 사용한 반응기 표면의 세정능이 보장된다.In some embodiments, reactor surface 102 may have a surface finish free of surface abnormalities exceeding the thresholds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reactor surface 102 may not have pits equal to or exceeding the maximum depth of surface pitting of about 2.6 mm. In some embodiments, surface 102 may not have pits equal to or exceeding a maximum depth of about 1.2 mm. In some embodiments, surface 102 may have no scratches equal to or exceeding a maximum scratch depth of about 1.2 mm. In some embodiments, surface 102 may have no scratches equal to or exceeding a maximum scratch depth of about 1.0 mm. In this way, cleanability of the reactor surfaces using standard CIP cleaning techniques is guaranteed.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응기 표면(102)은 약 20 Ra Max(μin) 초과의 표면 피니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기 표면(102)은 약 20 Ra Max(μin) 내지 약 250 Ra Max(μin), 및 바람직하게는 약 150 Ra Max(μin)의 표면 피니쉬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102)은 약 35 Ra Max(μin) 초과의 표면 피니쉬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102)은 약 35 Ra Max(μin) 내지 약 250 Ra Max(μin), 및 바람직하게는 약 150 Ra Max(μin)의 표면 피니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응기 표면(102)은 검사 면적당 약 2600 이상의 마이크로피트 밀도를 갖지 않을 수 있다.Additionally, in some embodiments, reactor surface 102 may have a surface finish greater than about 20 Ra Max (μin). For example, the reactor surface 102 can have a surface finish of about 20 Ra Max (μin) to about 250 Ra Max (μin), and preferably about 15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surface 102 may have a surface finish greater than about 35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surface 102 may have a surface finish of about 35 Ra Max (μin) to about 250 Ra Max (μin), and preferably about 150 Ra Max (μin). Additionally, in some embodiments, reactor surface 102 may not have a density greater than about 2600 micropits per inspection area.

기재된 바와 같이, 반응기 용기들은 덜-평활한 표면 사전-시운전을 포함하도록 시운전될 수 있으며, 즉, 상기 반응기는 산업에서 이전에 실시되었던 것 보다 거친 강을 사용하여 설계 및 건설될 수 있다. 즉, 공정 유체와 접촉하는 반응기 및 반응기 표면은 20 Ra Max(μin) 초과, 예를 들면, 약 20 Ra Max(μin) 내지 약 150 Ra Max(μin)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20 Ra Max(μin) 이하의 표면 거칠기가 본 발명의 교시-20 Ra Max(μin) 이하의 거칠기를 갖는 반응기 표면의 허용가능한 세정이 달성된다-와 상반된다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20 Ra Max(μin) 초과의 표면 거칠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반응기를 건설하는 초기 비용 및 미래의 교정 비용이 20 Ra Max(μin) 이하의 표면 거칠기에 비해 절감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온-라인 또는 사전-시운전에 제공하기 전에, 반응기 표면(102)은 약 25 Ra Max(μin), 약 30 Ra Max(μin), 약 40 Ra Max(μin), 약 50 Ra Max(μin), 약 60 Ra Max(μin), 약 70 Ra Max(μin), 약 80 Ra Max(μin), 약 90 Ra Max(μin), 약 100 Ra Max(μin), 약 110 Ra Max(μin), 약 120 Ra Max(μin), 약 130 Ra Max(μin), 약 140 Ra Max(μin), 약 150 Ra Max(μin), 약 160 Ra Max(μin), 약 170 Ra Max(μin), 약 180 Ra Max(μin), 약 190 Ra Max(μin), 및 약 200 Ra Max(μin)의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면은 약 35 Ra Max(μin) 초과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응기 표면은 약 60 Ra Max(μin) 내지 약 150 Ra Max(μin)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응기 표면은 약 150 Ra Max(μin)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다. As described, reactor vessels can be commissioned to include less-smooth surface pre-commissioning, i.e., the reactor can be designed and constructed using tougher steel than previously practiced in industry. That is, the reactor and reactor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process fluid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20 Ra Max (μin), for example, from about 20 Ra Max (μin) to about 150 Ra Max (μin). This is not to say that a surface roughness of 20 Ra Max (μin) or less is contradictory to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at acceptable cleaning of reactor surfaces with a roughness of 20 Ra Max (μin) or less is achieved. ) Surface roughnesses above 20 Ra Max (μin) can be used, resulting in reduced initial costs of constructing the reactor and future remediation costs compared to surface roughnesses below 20 Ra Max (μin).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prior to providing on-line or pre-commissioning, the reactor surface 102 has a temperature of about 25 Ra Max (μin), about 30 Ra Max (μin), or about 40 Ra Max (μin). , about 50 Ra Max (μin), about 60 Ra Max (μin), about 70 Ra Max (μin), about 80 Ra Max (μin), about 90 Ra Max (μin), about 100 Ra Max (μin), about 110 Ra Max (μin), about 120 Ra Max (μin), about 130 Ra Max (μin), about 140 Ra Max (μin), about 150 Ra Max (μin), about 160 Ra Max (μin), about 170 Ra Max (μin), about 180 Ra Max (μin), about 190 Ra Max (μin), and about 200 Ra Max (μi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have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about 35 Ra Max (μin). Preferably, in some embodiments, the reactor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about 60 Ra Max (μin) to about 150 Ra Max (μin). Preferably, in some embodiments, the reactor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about 150 Ra Max (μin).

이러한 역치는 CIP 세정을 필요로 하는 것, 특히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반응기와 같은 단백질성 재료를 함유하도록 구성된 것과 같은 임의의 바이오반응기 용기 및/또는 제조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These thresholds can be applied to any bioreactor vessel and/or manufacturing surface, such as those requiring CIP cleaning, especially those configured to contain proteinaceous materials, such as reactors for culturing cells.

실시예Example

바이오약제 제조 표면을 위한 적합한 표면 이상 역치의 결정을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가 포함된다.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 강 가공 장치에서 관찰되었던 탱크 피니쉬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들의 세정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발명은 외관 검사 및/또는 정비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또는 새로운 반응기 용기의 시운전에서 표면 이상 작용 한계를 정의하기 위한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변곡점을 확인시켜 준다.Various examples are included to illustrate the determination of suitable surface abnormality thresholds for biopharmaceutical manufacturing surfaces. In the examples, the effect on cleaning performance of several factors affecting tank finish observed in stainless steel processing equipment was studied.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n inflection point that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fining surface abnormality limits as part of a visual inspection and/or maintenance program or in the commissioning of a new reactor vessel.

예시적 방법들Exemplary Methods

피크, 스크래치, 및 새로운 탱크에 대한 최근의 AMSE BPE 가이드를 브래킷하고 변곡점까지 확장하기 위해 설계된 거칠기 특징을 갖는 쿠폰들을 제조하였다. 스크래치, 거칠기, 및 마이크로피팅에 대해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일-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크래치는 쿠폰을 가로질러 대각선으로 생긴 ASME BPE 범위를 포함한 다양한 깊이에서 평가하였다. 각 쿠폰은 단지 하나의 스크래치를 가졌다. 표면 거칠기는 20 Ra Max(μin) 내지 150 Ra Max(μin)에서 평가하였다. 정량할 수 없는 깊이를 갖는 마이크로피트는 전기화학 에칭을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이것은 검사 면적당 40 피트의 규격 및 검사 면적당 2600 피트의 과장된 조건을 사용한 마이크로피트 밀도의 평가를 가능케 한다. 피팅 결함이 최대 연구 그룹이었으며, 종횡비(피트의 깊이를 직경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됨) 및 밀도의 탐사를 포함하였다. 절반-분획 설계 실험적 접근법(half-fraction designed experimental approach)을 사용하여, 세정 능력에 대한 이들 표면 결함의 영향과 상호작용(있다면)을 결정하였다.Coupons were manufactured with peak, scratch, and roughness characteristics designed to bracket the recent AMSE BPE guide for new tanks and extend to the inflection point. A single-variable study was performed on scratches, roughness, and micropitting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Scratches were evaluated at various depths, including the ASME BPE range, made diagonally across the coupon. Each coupon had only one scratch. Surface roughness was evaluated from 20 Ra Max (μin) to 150 Ra Max (μin). Micropits with unquantifiable depth were created using electrochemical etching. This allows evaluation of micropit density using a specification of 40 feet per inspection area and an exaggeration of 2600 feet per inspection area. Pitting defects were the largest group studied and included exploration of aspect ratio (defined as the depth of the pit divided by the diameter) and density. A half-fraction designed experimental approach was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and interaction (if any) of these surface defects on cleaning performance.

이러한 실험에서의 표면 피니쉬 연구는, 전형적인 가압 용기 시공 재료를 나타내도록 주지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20 Ra Max(μin)의 베이스(base) 피니쉬를 갖는 ¼" 두께 스테인리스 강 316L(SS316L) 플레이트로 제조된 쿠폰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쿠폰은 목적하는 결함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판매처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피트가 있는 쿠폰들은 목적하는 깊이와 직경에서 드릴링에 의해 밀링(milling)하였다.Surface finish studies in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¼" thick stainless steel 316L (SS316L) plates with a base finish of 20 Ra Max (μin), except where noted to represent typical pressurized vessel construction materials. This was performed using manufactured coupons. Coupons were manufactured using multiple vendors to achieve the desired defects. Coupons with pits were milled by drilling at the desired depth and diameter.

Ra Max(μin)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표면 거칠기는 단일 요인 실험으로서 설계되었다. 30 Ra Max(μin), 60 Ra Max(μin), 90 Ra Max(μin), 120 Ra Max(μin), 및 150 Ra Max(μin)의 쿠폰을 기준선 20 Ra Max(μin) 쿠폰들과의 비교를 위해 이 평가에서 생성하였다. 스크래치 깊이의 요소가 또한 단일 요인으로서 탐구되었다. 이들은, 쿠폰을 가로질러 45o 각도 및 1.0mm의 최소 폭에서 동일한 길이(50.8mm)를 갖는 금속 절삭 디스크를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깊이만이 변하였다. 9개의 쿠폰들을 0.2mm, 0.4mm, 0.6mm, 0.8mm, 1.0mm, 1.2mm, 2.6mm, 4.0mm, 및 5.0mm의 스크래치 깊이로 생성하였다.Surface roughness as measured by Ra Max (μin) was designed as a single factorial experiment. Comparison of coupons of 30 Ra Max (μin), 60 Ra Max (μin), 90 Ra Max (μin), 120 Ra Max (μin), and 150 Ra Max (μin) with baseline 20 Ra Max (μin) coupons was created in this evaluation for . The factor of scratch depth was also explored as a single factor. These were created using metal cutting discs with equal length (50.8 mm) at a 45 o angle across the coupon and a minimum width of 1.0 mm. Only the depth changed. Nine coupons were created with scratch depths of 0.2 mm, 0.4 mm, 0.6 mm, 0.8 mm, 1.0 mm, 1.2 mm, 2.6 mm, 4.0 mm, and 5.0 mm.

피트 및 스크래치에 대한 연구를 위해, 추가의 부식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밀링된 결함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도록 정하였다. 이것은 상기 연구에 추가의 제어되지 않는 변동성을 부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부식 효과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마이크로피트가 있는 쿠폰들을 전기화학적으로 생성하였다. 균일하게 분포된 구멍들이 밀착지(contact paper)에 천공되어 있는 격자를 쿠폰 위에 배치하였다. 종이를 사용하여 구멍들이 전류를 국부 지점에서 흐르도록 하면서 전기화학 에칭에 적용된 영역을 차폐시켰다. 에칭은 전류에 접속된 스테인리스 강 프로브를 사용하여 산/염 욕에서 일어났다. 애노드를 쿠폰에 적용하고 캐소드를 프로드에 적용하였다. 40개 마이크로-피트를 갖는 하나의 쿠폰을 생성하였고, 2600개 마이크로-피트를 갖는 또 다른 쿠폰을 생성하였다.For the study of pits and scratches, it was decided to conduct the study on milled defects without exposing them to further corrosion. This was done to avoid adding additional uncontrolled variability to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rrosion effects, coupons with micropits were electrochemically created. A grid with evenly distributed holes perforated in contact paper was placed on the coupon. Paper was used to shield the area subjected to electrochemical etching while the holes allowed current to flow at a localized point. Etching took place in an acid/salt bath using a stainless steel probe connected to an electric current. The anode was applied to the coupon and the cathode was applied to the prod. One coupon with 40 micro-fts was created and another coupon with 2600 micro-fts.

피팅에 대해 두 가지 완전-요인 설계 실험(full-factorial designed experiment)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설계는 다섯개(5)의 상이한 밀도 성분, 다섯개(5)의 상이한 피트 깊이, 및 다섯개(5)의 상이한 직경을 초래하는 절반-요인적 접근법(half factorial approach)을 위한 템플릿(templet)을 제공하였다. 깊이와 직경의 조합은 또한 종횡비(깊이/직경)의 네번째 암시적 변수(fourth implicit variable)를 야기하였다. 분석을 위해, 종횡비; 깊이; 및 밀도를 평가하였다. 변수의 선택은 실제 장치에서의 피트의 직경 측정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현장 경험에 기초하였다.Two full-factorial designed experiments were used for fitting. This design provides a template for a half factorial approach resulting in five (5) different density components, five (5) different pit depths, and five (5) different diameters. did. The combination of depth and diameter also resulted in a fourth implicit variable of aspect ratio (depth/diameter). For analysis, aspect ratio; depth; and density were evaluated. The selection of parameters was based on field experience and the difficulties in measuring pit diameters in actual devices.

각 유형의 하나의 쿠폰만을 생성하였다. 각 쿠폰을 제조하고 여러 날의 경과에 걸쳐 적어도 세번(3) 세정함으로써 복제(replicate)를 달성하였다. 이 종이에 보고된 피트가 있는 쿠폰들의 특정 세트가 아래 표 4에 상술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탐구된 다양한 유형의 요인들을 보여주는 피트가 있는 쿠폰,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 거친 쿠폰, 및 마이크로피트가 있는 쿠폰을 도시한다.Only one coupon of each type was created. Replicates were achieved by preparing each coupon and cleaning it at least three (3) times over the course of several days. The specific set of coupons with pits reported in this paper are detailed in Table 4 below. Figure 2 also shows coupons with pits, coupons with scratches, rough coupons, and coupons with micropits showing the different types of factors explored.

[표 4] 쿠폰 요인들 - 밀도, 직경, 깊이, 및 종횡비[Table 4] Coupon Factors - Density, Diameter, Depth, and Aspect Ratio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2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2

쿠폰들의 잔류물 오염:Residue contamination of coupons:

이 설계에서 쿠폰에 잔류물을 적용하기 전에, 모든 쿠폰들을 USP <1051> 세정 유리 장치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세정하였다. 표 5는 세정 공정을 요약한다. CIP-100 화학물질로의 세정은 초음파욕 중에서 수행하였다. CIP 100® 알칼리성 공정 및 연구 세정제는 스테리스 코포레이션(Steris Corporation)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Prior to applying residue to the coupons in this design, all coupons were cleaned using a similar method to the USP <1051> Cleaning Glass Apparatus. Table 5 summarizes the cleaning process. Cleaning with CIP-100 chemicals was performed in an ultrasonic bath. CIP 100 ® alkaline process and research cleaner is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teris Corporation.

[표 5] 시험 전 쿠폰의 세정[Table 5] Cleaning of coupons before testing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3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3

소 혈청 알부민(BSA)을 표면 피니쉬 세정능을 시험하기 위한 단백질 대용물로서 선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베타-시트(beta-sheet) 확인을 위한 열처리를 통해 제거가 조정될 수 있는 대표적인 단백질성 오염물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거율이 표면 피니쉬 차이의 상대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유의해서 조절되도록 하였다. 도 3은 BSA 오염물을 피트가 있는 쿠폰,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 및 거친 쿠폰에 적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혼합물 중의 BSA 및 플루오레세인의 농도는 적합한 오염 중량 및 형광 검출을 위해 최적화하였다. 건조 후 쿠폰들의 열처리는 단백질의 변성을 야기하였으며, 이것이 쿠폰의 표면에 대한 이의 결합을 증진시켰다. 열처리를 위한 온도는 BSA 및 플루오레세인의 동시 용해를 최적화하도록 경험적으로 결정되었다. 이것은 잔류물을 대조물 쿠폰들에 적용하고 쿠폰들을 80℃ 내지 110℃의 온도 범위에 걸쳐 6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달성되었다. 그후, 처리된 쿠폰들을 플루오레세인(UV 광으로 실험된 예시적인 쿠폰을 도시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제의 흐름 하에서 UV 광으로의 실험에 의해 게이징됨) 및 BSA(주위 조명 하에서 쿠폰들의 외관 검사를 통해 게이징됨)를 제거하는데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시험 온도는 조건에서의 차이를 검출하기에 충분한 긴 시험 시간을 제공하면서 두 가지 성분 오염물의 제거 간의 시간 차를 최소화시키는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되었다. 이것은 60분 동안의 쿠폰들의 90℃ 열처리와 BSA 오염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5분 간의 세정 시간인 것으로 판명되었다.Bovine serum albumin (BSA) was chosen as a protein surrogate to test the surface finish cleaning ability because it is a representative proteinaceous contaminant whose removal can be adjusted through heat treatment to identify beta-sheets. Because. This allowed the removal rate to be carefully controlled to evalu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surface finish differences. 3 shows an exemplary method for applying BSA soil to pitted coupons, scratched coupons, and rough coupons. The concentrations of BSA and fluorescein in the mixture were optimized for suitable contamination weight and fluorescence detection. Heat treatment of the coupons after drying caused denaturation of the protein, which enhanced its binding to the surface of the coupon. The temperature for heat treatment was determined empirically to optimize simultaneous dissolution of BSA and fluorescein. This was achieved by applying the residue to control coupons and heating the coupons for 60 minutes over a temperature range of 80°C to 110°C. The treated coupons were then labeled with fluorescein (gauged by testing with UV light under a flow of detergent, as shown in Figure 4, which shows an exemplary coupon tested with UV light) and BSA (coupon testing under ambient ligh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long it would take to remove the gases (gauged through visual inspection). The test temperature was selected based on conditions that minimiz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removal of the two component contaminants while providing a test time long enough to detect differences in conditions. This turned out to be a 90°C heat treatment of the coupons for 60 minutes and a 5 minute cleaning time to completely remove the BSA contaminants.

오염된 쿠폰들의 세정Cleaning of contaminated coupons

오염된 쿠폰들을 오(5) 분 동안 가성 시판 세정 용액 중에서 세정하였다. 이 시간은 자연 그대로의(pristine) 쿠폰으로부터 대용물 BSA/플루오레세인 혼합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스크리닝 시험에서 경험적으로 결정되었다. 아래에 기재된 세정 계획으로의 쿠폰 노출 순서를 세 가지(3) 복제 실행 각각에 대해 무작위화하였다. 세정제 흐름에 관한 쿠폰들의 방향 또한 무작위화하였다. Soiled coupons were cleaned in caustic commercial cleaning solution for five (5) minutes. This time was determined empirically in a screening test to completely remove the surrogate BSA/fluorescein mixture from pristine coupons. The order of coupon exposure to the cleaning schedule described below was randomized for each of the three (3) replicate runs. The direction of the coupons with respect to the detergent flow was also randomized.

도 5는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예시적인 강하 막 시험 장치(500)를 도시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은 세정을 위해 쿠폰들(502)에 대해 3000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로 유동의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강하 막 시스템(500) 상에서 수행되었다. 레이놀즈 수는 용기의 측벽 아래에 강하 막의 최악의 경우의 조건(worst case condition)을 모의하도록 선택되었다. 사용되는 세정제 용액은 60℃에서 1% CIP100®(Steris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함)이었다. 각 실험 세트는 설계된 표면 결함이 없는 쿠폰들과의 상대적 비교를 가능케 하도록 두 개의 자연 그대로의, 20 Ra Max(μin) 대조물 쿠폰들을 사용하였다. 세정 후, 모든 쿠폰들(502)을 남은 잔류물에 대해 평가하기 전에 건조되도록 하였다.Figure 5 shows an exemplary falling film test apparatus 500 used in the examples below. As shown, the test was performed on a falling film system 500 designed to generate energy of flow at 3000 Reynolds number over coupons 502 for cleaning. The Reynolds number was chosen to simulate the worst case condition of a falling film down the sidewall of the vessel. The detergent solution used was 1% CIP100®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teris) at 60°C. Each set of experiments used two pristine, 20 Ra Max (μin) control coupons to allow relative comparison with coupons without engineered surface defects. After cleaning, all coupons 502 were allowed to dry before being evaluated for remaining residue.

세정도(cleanliness) 평가Cleanliness evaluation

세정도를 평가하는데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1) 중량 측정법(Gravimetric determination)이 오염물의 제거 백분율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정량적 접근법으로서 사용되었고; (2) BSA를 연구의 일부 동안 플루오레세인 마커와 조합하여, 자외선 광(UV) 하에서 형광에 의해 게이징되는 바와 같이 피트 중의 물질 체류의 정량적 평가를 가능케 하였고; (3) 최악의 경우의 공정 오염물을 상이한 세정 사이클 레시피로 평가하여 모의된 공정 조건하에서 BSA를 사용하여 수득된 표면 피니쉬 결과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Three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cleanliness: (1) Gravimetric determination was used as the main quantitative approach to evaluate the percent removal of contaminants; (2) BSA was combined with a fluorescein marker during part of the study, allowing quantitative assessment of material retention in the pit as gauged by fluorescence under ultraviolet light (UV); (3) Worst case process contaminants were evaluated with different cleaning cycle recipes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surface finish results obtained using BSA under simulated process conditions.

부록 실시예에서, 총 유기 탄소를 또한 평가하였다. 요점(2)에 기재된 형광 방법이, 세정 변곡점의 직교 확인을 제공하는 한 외관 검사를 강화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로 사용하기 위해 단독으로 의도되었다. 공정 오염물을 사용한 이러한 부록 연구들은 면봉 방법(swab methodology)을 사용한 잔류 질량 및 잔류 총 유기 탄소(TOC)의 평가를 포함하였다. TOC 시험은 기존 세정성 유효검사 시험 방법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었다.In the appendix examples, total organic carbon was also evaluated. The fluorescence method described in point (2) is intended solely for use on a laboratory scale to enhance visual inspection insofar as it provides orthogonal confirmation of the cleaning inflection point. These appendix studies using process contaminants included evaluation of residual mass and residual total organic carbon (TOC) using swab methodology. TOC testing is included to provide a link to existing cleanability validation test methods.

중량측정 분석이, 제거된 퍼센트(%)로서 표현된, 제거된 총 오염물의 정량적 척도로서 사용되었다. 중량은 오염 전, BSA/플루오레세인을 적용하고 열처리한 후, 및 세정 및 후 건조(post drying) 계획 후 얻었다. 각각의 값을 대조물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스크래치, 거칠기, 및 마이크로-피팅에 대해; 정규화된 대조물이 또한 변수의 연속체(continuum)의 일부로서 포함되었다. 플루오레세인의 첨가가 고도로 민감한 마커를 생성하였으며, 이것은 UV 광하에서 검사하는 경우 피트 및 기타의 기형 내의 남은 잔류물의 평가를 가능케 하였다. 이러한 정성적 및 정량적 측정은 세정에 대한 표면 결함의 다중 측면(facet)들의 평가를 가능케 하였다.Gravimetric analysis was used as a quantitative measure of total contaminants removed, expressed as percent removed. Weights were obtained before contamination, after BSA/fluorescein application and heat treatment, and after cleaning and post drying schedule. Each value was normalized to the control. against scratches, roughness, and micro-pitting; Normalized controls were also included as part of the continuum of variables. The addition of fluorescein created a highly sensitive marker, which allowed assessment of remaining residues in pits and other anomalies when examined under UV light. The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asurements allowed evaluation of multiple facets of surface defects for cleaning.

부록 실시예Appendix Examples

부록 실시예의 목적은 단백질 대용물의 세정능을 방해하는 상당한 변수들이 최악의 경우의 공정 오염물에 적용될 수 있는지와 실제 세정 공정 파라미터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표 6에 입증된 바와 같이 두 가지 추가의 잔류물 및 다섯 가지 세정 계획을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ppendix examples was to evaluate the actual cleaning process parameters and whether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terfere with the cleaning performance of protein substitutes can be applied to worst case process contaminants. This example included two additional residues and five cleaning schemes as demonstrated in Table 6.

세정 조건은 바이오약제 시설 내의 다른 전형적인 계획을 나타내도록 선택되었다. 부록 실시예는 BSA 대용물 오염물 및 CIP 100®을 사용하여 수행된 세부 분석을 다른 공정 오염물 및 세정제 조합과 연결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부록 실시예는 각각의 공정 오염물과 쌍을 이룬 기타의 세정 화학물질이, 연구의 주요 부분 동안 생성된 변곡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Cleaning conditions were chosen to represent other typical schemes within a biopharmaceutical facility. The appendix examples are designed to relate detailed analyzes performed using BSA surrogate contaminants and CIP 100® to other process contaminant and cleaner combinations. Appendix examples evaluate how different cleaning chemicals paired with each process contaminant can affect the inflection points generated during the main part of the study.

[표 6] 부록 실시예에 대한 세정 조건 및 오염물[Table 6] Cleaning conditions and contaminants for appendix example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4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4

초기 쿠폰들의 하부세트를 피트가 있는 쿠폰,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 및 자연 그대로의 쿠폰 대조물로 이루어진 DOE로부터 선택하였다. 이러한 쿠폰들이 표 7에 열거되어 있다.A subset of initial coupons was selected from the DOE consisting of pitted coupons, scratched coupons, and pristine coupon controls. These coupons are listed in Table 7.

[표 7] 부록 쿠폰들[Table 7] Appendix coupon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5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5

오염물을 차폐된 쿠폰들을 오염물의 비이커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이전과 같이 적용하였다. 세정 시간을 제외하고서 이러한 부록 연구에서 오염된 쿠폰들의 세정하에 요약된 모든 다른 과정들이 평가에 사용되었다. 용해물에 대한 세정 시간은 대조물 쿠폰을 사용하여 60℃에서 1% CIP 100® 중에 완전히 세정하기 위한 지속시간에 의해 결정되었다. 마찬가지로, 탱크 고리 대용물의 경우, 자연 그대로의 대조물 쿠폰의 완전 세정을 위한 시간을 열거된 조건하에서 결정하였다. 중량측정 분석 및 UV 형광으로의 검사 이외에, 총 유기 탄소(TOC)는 면봉 샘플을 합격/불합격 기준으로서 500ppb(parts per billion)이었다.Contamination was applied as before by dipping shielded coupons into a beaker of contaminant. Except for cleaning time, all other procedures outlined under Cleaning of Contaminated Coupons in this appendix study were used for evaluation. Washing time for the lysate was determined by the duration for complete washing in 1% CIP 100® at 60°C using a control coupon. Likewise, for tank ring substitutes, the time for complete cleaning of pristine control coupons was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s listed. In addition to gravimetric analysis and testing by UV fluorescence, total organic carbon (TOC) was 500 parts per billion (ppb) as a pass/fail criterion for swab samples.

실시예 1: 피팅Example 1: Fitting

BSA 대용물을 사용한 피트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은 종횡비, 깊이, 및 밀도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음을 밝혀내었다(p-값 > 0.05). 그러나, 피트 깊이(p-값 = 0.091) 및 피트 깊이와 종횡비 간의 상호작용(p-값 = 0.064) 둘 다는 통계적 유의도에 대한 역치에 가까웠다. 이것은 깊이 대 직경 상호작용이 잔류물 제거를 위해 중요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Statistical analysis of pit data using the BSA surrogate reveal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spect ratio, depth, and density (p-value > 0.05). However, both pit depth (p-value = 0.091)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it depth and aspect ratio (p-value = 0.064) were close to the threshol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indicates that depth versus diameter interaction may be important for residue removal.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의 결과가 아래 표 8에 요약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거율 %는, 대조물 100% 제거를 나타내고 다른 모든 결과는 이러한 값을 참조하도록 정규화된다. 형광에 대한 합격/불합격 지표 바로 옆의 괄호 안의 값은 UV 광하에서 검사에 불합격한 쿠폰들의 백분율을 나타낸다.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zes are summarized in Table 8 below. In this case, the % removal represents 100% removal of the control and all other results are normalized to reference this value. The value in parentheses immediately next to the pass/fail indicator for fluorescence indicates the percentage of coupons that failed inspection under UV light.

[표 8] 피트가 있는 쿠폰들에 대한 정규화된 결과[Table 8] Normalized results for coupons with pit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6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6

제거 효율에 미치는 상이한 피트 변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 회귀를 사용하여 세정능이 종횡비, 피트 깊이, 및/또는 밀도의 함수라는 가설을 시험하였다. 직경에 대한 깊이의 함수인 종횡비가 피트 기준에 대한 바람직한 척도이며, 따라서, 이들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네 가지 모든 변수의 조합이 적절한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직경, 피트 깊이, 및 종횡비가 서로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 가지 변수 중의 두 개만이 이 실험의 맥락 내에서 동시에 분석될 수 있어, 깊이와 종횡비가 평가를 위해 선택되었다. 도 6은 밀도 계수, 종횡비, 및 깊이의 함수로서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를 도시하는 회귀 분석을 요약한다.To evaluate the impact of different pit variables on removal efficiency,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cleanability is a function of aspect ratio, pit depth, and/or density. The aspect ratio as a function of depth to diameter is the preferred measure for a fit criterion and was therefo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se data. Not all combinations of all four variables are appropriate because diameter, pit depth, and aspect ratio a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Only two of these three variables could be analyzed simultaneously within the context of this experiment, so depth and aspect ratio were chosen for evaluation. Figure 6 summarize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ing multiple regression for % removal as a function of density coefficient, aspect ratio, and depth.

도 7은 요인들의 쌍에 대한 제거율 %의 윤곽 플롯을 도시한다. 상기 윤곽 플롯은 피팅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은 영역을 강조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플롯은 유의적인 변수들의 함수로서 잔류물 제거 효율에 있어서 변곡점의 예비 표시(preliminary indication)를 제공한다. 그래프에서 담녹색 영역은 감소된 제거 효율을 갖는 영역을 나타낸다. 이것은 직경 > 2.5mm 및 깊이 > 3.5mm를 갖는 사분면이 필시 세정 효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 같다는 것을 나타낼 것이다.Figure 7 shows a contour plot of % removal rate for pairs of factors. The contour plot helps highlight the areas most affected by the fitting. These plots provide a preliminary indication of the inflection point in residue removal efficiency as a function of significant variables. Light green areas in the graph represent areas with reduced removal efficiency. This would indicate that quadrants with a diameter > 2.5 mm and a depth > 3.5 mm are likely to negatively affect cleaning efficacy.

도 8은 깊이와 직경으로 구성된 2-변수 행렬 내에 외관 검사에 불합격한 쿠폰들의 퍼센트로서 캡쳐된 UV 조명을 사용한 형광의 시각 효과를 도시한다. 행렬 접근법을 사용하여, 선택된 설계 공간 내의 확인된 변곡점을 갖는 도 8에 도시된 불합격을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쿠폰들에 합격/불합격 값을 할당하였다. 쿠폰들은 임의의 형광 잔류물이 검출된다면, 표면 상의 총 피트의 수에 관계없이, 불합격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형광 마커를 사용한 외관 검사는 직경이 > 4.0mm이면서 깊이 > 2.6mm인 경우에 불합격을 감지하였다. 이 결과는 깊이 및 직경 조합이 더 높을수록 질량 제거는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는 회귀 모델과 일치한다. 도 8의 결과는 세정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변곡점을 보다 확정적으로 확인하도록 도와준다. 데이터는 깊이와 직경의 상호작용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중량측정 분석으로부터의 결과를 뒷받침한다. 결론은 중량측정 분석으로부터 유도된 것보다 더 개별적이지만, 동일한 일반적인 경향을 가리킨다. 즉, 직경 > 4.0mm 및 깊이 > 2.6mm를 갖는 사분면은 세정 효율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장 큰 가능성을 보인다.Figure 8 shows the visual effect of fluorescence using UV light captured as the percentage of coupons that failed visual inspection in a two-variable matrix of depth and diameter. Using a matrix approach, the rejections shown in Figure 8 were graphed with identified inflection points within the selected design space. Coupons were assigned pass/fail values. Coupons were considered rejected if any fluorescent residue was detected, regardless of the total number of pits on the surface. Visual inspection using fluorescent markers detected failure when the diameter was > 4.0 mm and the depth was > 2.6 mm.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a regression model showing a trend toward lower mass removal for higher depth and diameter combinations. The results in Figure 8 help to more definitively identify the inflection point that affects cleaning performance. The data support the results from the gravimetric analysis by demonstrating the interactive effect of depth and diameter. The conclusions are more individualized than those derived from gravimetric analysis, but point to the same general trends. That is, quadrants with diameter > 4.0 mm and depth > 2.6 mm show the greatest potential to negatively impact cleaning efficiency.

실시예 2: 표면 거칠기Example 2: Surface roughness

표면 거칠기의 효과를 탐구하는 실시예 쿠폰들은 약 20 Ra Max(μin) 내지 약 150 Ra Max(μin)의 표면 거칠기가 필적하는 세정 효율을 가짐을 나타낸다. 도 9는 "정규화된 제거율 %"가 표면 거칠기의 함수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선형 회귀를 도시한다. p-값이 충분히 크므로(p >0.05), 제거율 %는 적어도 여기서 시험된 한계 내에서 표면 거칠기의 함수가 아닌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추가로, UV 조건하에서 외관 불합격은 없었다.Example coupons exploring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show that surface roughnesses of about 20 Ra Max (μin) to about 150 Ra Max (μin) have comparable cleaning efficiencies. Figure 9 shows a linear regression used to show that “normalized % removal” is a function of surface roughness. Since the p-value is sufficiently large (p >0.05), it is concluded that % removal is not a function of surface roughness, at least within the limits tested here. Additionally, there were no visual failures under UV conditions.

표 9의 요약 데이터는 거칠기가 20 Ra Max(μin)에서 150 Ra Max(μin)로 증가함에 따라 필적하는 세정능(즉, > 97% 질량 제거율)을 보여준다. 이것은 회귀 분석으로부터의 결론을 뒷받침한다.Summary data in Table 9 shows comparable cleaning performance (i.e. > 97% mass removal) as roughness increases from 20 Ra Max (μin) to 150 Ra Max (μin). This supports the conclusion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표 9] 쿠폰 거칠기에 의한 정규화된 제거율 %의 요약[Table 9] Summary of normalized % removal rate by coupon roughnes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7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7

이와 같이, 표면 거칠기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으로 Ra Max(μin) 값과 잔류 질량 간에 통계적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p-값 > 0.05). 또한, 외관 검사 동안 형광 불합격이 주지되지 않았다.Likewis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face roughness data revealed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Ra Max (μin) values and residual mass (p-value > 0.05). Additionally, no fluorescence failures were noted during the visual inspection.

실시예 3: 마이크로피트Example 3: Micropits

마이크로피팅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으로, 적어도 실시예 3에서 시험된 범위 내에서, 밀도 계수와 잔류 질량 간에 통계적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p-값 > 0.05). 또한, 외관 검사 동안 형광 불합격이 주지되지 않았다.Statistical analysis of the micropitting data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density coefficient and residual mass, at least within the range tested in Example 3 (p-value > 0.05). Additionally, no fluorescence failures were noted during the visual inspection.

도 10은 "정규화된 제거율 %"가 피트 밀도의 함수임을 시험하는데 사용되는 선형 회귀법을 도시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실시예 3에서 시험된 범위 내에서, 제거율 %에 대한 피트 밀도의 유의적인 (p >0.05) 효과는 없었다. UV하에 외관 불합격도 없었다.Figure 10 shows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used to test that “normalized % removal” is a function of pit density. As shown in Figure 10, there was no significant (p >0.05) effect of pit density on % removal, at least within the range tested in Example 3. There were no appearance failures under UV.

마이크로피트가 있는 쿠폰들에 대한 정규화된 제거율 %의 요약이 표 10에 캡처되어 있다.A summary of normalized % removal rates for coupons with micropits is captured in Table 10.

[표 10] 마이크로피팅에 대한 정규화된 제거율 %의 요약[Table 10] Summary of normalized % removal rate for micropitting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8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8

실시예 4: 스크래치Example 4: Scratch

BSA 대용물을 사용한 스크래치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으로, 스크래치 깊이와 제거 효율 간에 강한 상관성이 밝혀졌으며(p-값 = 0.000), 제거는 스크래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었다. 형광 마커를 사용한 외관 검사는 깊이가 > 1.0mm인 경우 불합격을 감지하였다. Statistical analysis of scratch data using the BSA surrogate reveal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cratch depth and removal efficiency (p-value = 0.000), with removal deteriorating with increasing scratch depth. Visual inspection using fluorescent markers detected failure if the depth was > 1.0 mm.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에 대한 세정도 측정 둘 다에 대한 결과가 아래 표 11에 요약되어 있다. Results for both cleanliness measurements for scratched coupons are summarized in Table 11 below.

[표 11] 스크래치에 대한 정규화된 결과[Table 11] Normalized results for Scratch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9
Figure 112017121406961-pat00009

도 11은 스크래치 깊이 v. 평균 정규화된 제거율 %의 선형 회귀를 도시한다. 실시예 4에서 조사된 스크래치 깊이는 도 11에 나타낸 선형 회귀를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 유의적인(p-값 = 0.000) 것으로 결정되었다. 회귀는 데이터 변동성의 대략 87%가 모델에 기인할 수 있어,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제거율 %가 감소한다는 조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11 shows scratch depth v. Linear regression of mean normalized % removal rate is shown. The scratch depth examined in Example 4 was determined to be significant (p-value = 0.000) when analyzed using linear regression shown in Figure 11. The regression shows that approximately 87% of the data variability can be attributed to the model, lending credence to the finding that % removal rate decreases with increasing depth.

도 12는 실시예 4에 대한 형광 외관 불합격의 비율을 도시한다. 형광 분석은 또한 잔류물의 제거를 방지하는 깊이에 있어서의 증가에 대한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도 12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깊이가 1.0mm를 지나 증가함에 따라, 형광 검사 동안의 불합격의 양도 증가하였다. 결과는 깊이가 1.0mm 초과인 스크래치의 존재가 플루오레세인의 UV 검사로 관찰될 수 있는 잔류물의 양을 트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Figure 12 shows the percentage of fluorescence appearance failures for Example 4. Fluorescence analysis also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increase in depth preventing removal of residues. As Figure 12 shows, as the depth increased past 1.0 mm, the amount of rejections during fluorescence testing also increa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sence of scratches greater than 1.0 mm in depth can trap the amount of residue that can be observed by UV inspection of fluorescein.

모든 결과들을 고려하면, 스크래치에 대해 <1.0mm의 규격이 교정을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깊이를 초과하는 스크래치가 이 연구에서 시험된 범위 내에서 외관 불합격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Taking all results into account, a specification of < 1.0 mm for scratches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calibration, as scratches exceeding this depth indicated visual failure within the range tested in this study.

부록 실시예: Appendix Examples:

공정 오염물 및 다양한 세정제를 갖는 탱크 고리 대용물을 사용한 부록 실시예는 오염물과 세정제 상호작용이 결과에 있어서 최우선 요인일 수 있다는 복잡한 해석을 갖는다. 정규화된 중량측정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형광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고, TOC 면봉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적용 가능한 경우, 상응하는 BSA 시험 결과가 동일한 쿠폰에 대해 나타나 있다.The appendix examples using tank ring surrogates with process contaminants and various cleaners have a complex interpretation in that contaminant and cleaner interactions may be the overriding factor in the results. The normalized weight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The fluorescenc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and the TOC swab results are shown in Table 14. Where applicable, corresponding BSA test results are shown for the same coupon.

[표 12] 부록 연구에 대한 제거율 %의 결과[Table 12] Results of % removal rate for appendix studie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0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0

[표 13] 부록 연구에 대한 형광 불합격의 결과[Table 13] Results of fluorescence failure for the appendix study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1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1

[표 14] 부록 연구에서 TOC 분석의 결과[Table 14] Results of TOC analysis in the appendix study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2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2

도 13 및 14는 각 오염물 조합의 "정규화된 제거율 %"가 세정제의 함수임을 입증하는 ANOVA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 및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제는 제거 백분율에 영향을 미친다(p-값 = 0.001). 이와 같이, 후속적인 회귀 분석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범주 변수로서 세정제/오염물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Figures 13 and 14 show ANOVA methods demonstrating that the “normalized % removal” of each contaminant combination is a function of the cleaning agent. As shown in Figures 13 and 14, the cleaning agent affects the percent removal (p-value = 0.001). As such, subsequent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leaner/contaminant combination as a categorical variable, as shown in Figure 15.

도 15는 밀도 계수, 종횡비, 및 깊이의 함수로서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을 도시한다. 이 분석은 세정제 만이 제거에 있어서 유의적인 요인임을 보여준다(p-값 = 0.007). 오염물/세정제 조합의 우세한 영향은 실시예에서 탐구된 피트 거동에 있어서의 임의의 근본적인 경향을 차폐한다. Figure 15 show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 removal as a function of density coefficient, aspect ratio, and depth. This analysis shows that only the cleaning agent was a significant factor in removal (p-value = 0.007). The dominant influence of the contaminant/cleaner combination masks any underlying trends in pit behavior explored in the examples.

도 16은 스크래치 깊이의 함수로서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를 도시한다. 여기서, 스크래치 깊이와 세정제 어느 것도 질량 제거의 예측에 있어서 유의적인 변수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p-값 > 0.05). 오염물 제거에 있어서의 변동성은 도 13에 보여진 제거율 값의 무작위 분포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다른 조절되지 않은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였다.Figure 16 shows multiple regression for % removal rate as a function of scratch depth. Here, neither scratch depth nor cleaner were considered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mass removal (p-value > 0.05). Variability in contaminant removal appeared to be related to other uncontrolled parameters, as indicated by the random distribution of removal rate values shown in Figure 13.

이러한 부록 실시예에서, 용해물 오염물은 최악의 경우의 공정 오염물을 나타내도록 선택되었다. 시험된 세정 계획의 대부분이 반드시 최악의 경우의 오염물에서 표적화되는 것은 아니었다. 이것은 오염물 vs 세정 계획의 선택이 양립할 수 없는 데이터의 변동성을 초래한다(예를 들면, 용해물 vs 1% CIP100 또는 정제수). 작업 설비에서, 세정 계획은 양립할 수 없는 조건에 대해 데이터에서 발견되는 변동성이 해당 규모에서의 성능(at-scale performance)을 반드시 반영하지 않을 수 있도록 장치의 소정 부품(piece) 내의 최악의 경우의 오염물을 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In these appendix examples, melt contaminants were chosen to represent worst case process contaminants. Most of the cleaning schemes tested were not necessarily targeted at worst case contaminants. This results in data variability that is incompatible with the choice of contaminant vs. cleaning scheme (e.g., lysate vs. 1% CIP100 or purified water). In operational equipment, cleaning plans must be designed to provide worst-case results within a given piece of equipment so that the variability found in the data for incompatible conditions may not necessarily reflect at-scale performance. Can be selected to target contaminants.

세정제 이외의 유의적인 변수들은 회귀 분석으로부터 유도될 수 없지만, 표 13의 형광 결과는 BSA 대용물의 거동에 대한 유사한 경향을 보여준다. 보다 높은 깊이/직경 쿠폰들(5mm x 5mm에서의 P-05 및 P-23에 이어 4mm 깊이 x 1.2mm 직경에서의 P-16)은 검사 불합격에 대한 보다 큰 경향을 나타낸다. 보다 깊은 스크래치(4mm에서 S-04) 또한 UV 광하에서 외관 불합격의 보다 큰 가능성을 보여준다. 각 쿠폰에 대한 형광 불합격의 경향은 오염물 및 세정제에서 일관적이다.Although no significant variables other than the detergent could be derived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he fluorescence results in Table 13 show similar trends for the behavior of the BSA surrogates. Higher depth/diameter coupons (P-05 and P-23 at 5 mm x 5 mm followed by P-16 at 4 mm depth x 1.2 mm diameter) show a greater tendency to fail inspection. Deeper scratches (S-04 at 4 mm) also show a greater likelihood of visual failure under UV light. The trend of fluorescence rejection for each coupon is consistent across contaminants and cleaners.

마지막으로 연구로부터의 TOC 결과로 돌아가서, 모든 세정제 조합은 평균 면봉 결과가 더 적은 500ppb TOC인 포인트까지 용해물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었다. 면봉 결과에 있어서의 변동성은 CIP 100® 세정제에서 가장 낮았다. 정제수는 1 ppm 초과의 평균 TOC 결과를 회복하는 모든 면봉으로 용해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비효과적이었다. 확인하기 위해, 다중 회귀를 사용하여 용해물 오염물의 세정능이 종횡비, 밀도, 피트 깊이, 및 세정제의 함수라는 가설을 시험하였다. 이 분석에서 범주 변수로서 확립된 세정제와 정제수 결과는 비정상적으로 높은 결과로 인해 분석으로부터 제거되었다.Finally, returning to the TOC results from the study, all cleaner combinations were able to remove lysate contaminants to the point where the average swab result was less than 500 ppb TOC. Variability in swab results was lowest with CIP 100® cleaner. Purified water was ineffective in removing the lysate with any swab recovering an average TOC result of greater than 1 ppm. To confirm,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cleaning capacity of melt contaminants is a function of aspect ratio, density, pit depth, and detergent. The detergent and purified water results, which were established as categorical variables in this analysis, were removed from the analysis due to unusually high results.

도 17은 피팅의 밀도 계수, 종횡비, 및 깊이의 함수로서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를 도시한다. 피트가 있는 쿠폰들의 TOC 평가로부터의 회귀 결과는 중량측정 평가로부터의 결과를 반영한다. 이 분석은 세정제만이 제거에 있어서 유의적인 요인임을 보여준다(p-값 = 0.006). 오염물/세정제 조합의 우세한 영향은, 적어도 시험된 범위 내에서, 피트 거동에 있어서의 임의의 근본적인 경향을 차폐한다. Figure 17 shows multiple regression for % removal as a function of density coefficient, aspect ratio, and depth of the fit. The regression results from the TOC evaluation of pitted coupons mirror the results from the gravimetric evaluation. This analysis shows that only the cleaning agent was a significant factor in removal (p-value = 0.006). The dominant influence of the contaminant/cleaner combination masks any underlying trends in pit behavior, at least within the range tested.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들에 대한 회귀 결과를 도 18에 나타낸다. 즉, 도 18은 스크래치 깊이의 함수로서 제거율 %에 대한 다중 회귀를 도시한다. 다시, 스크래치 깊이와 세정제 어느 것도 질량 제거의 예측에 있어서 유의적인 변수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p-값 > 0.05). 세정제에 대한 p-값은 0.097이었으며, 이것은 중량측정 평가에서 보여지는 것보다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들에 대한 TOC 제거와 세정제 간의 미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The regression results for coupons with scratches are shown in Figure 18. That is, Figure 18 shows a multiple regression for % removal rate as a function of scratch depth. Again, neither scratch depth nor cleaner wa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mass removal (p-value > 0.05). The p-value for the cleaner was 0.097, indicating a weaker correlation between the cleaner and TOC removal on scratched coupons than seen in the gravimetric evaluation.

피트가 있는 쿠폰과 스크래치가 있는 쿠폰에 대한 조합된 TOC 결과를 도 19 및 도 20에서 ANOVA를 사용하여 비교한다. 도 19는 부록 TOC 결과의 그래프 요약을 도시한다. 도 20은 부록 TOC 결과의 ANOVA 요약을 도시한다. ANOVA는 응집물 TOC 결과가 임의의 다른 세정제보다 CIP-100에서 통계적으로 더 낮았음을 보여준다(p-값 < 0.05). CIP-150 및 NaOH에 대한 결과는 구분이 안되었으며(p-값 > 0.05), 정제수 결과는 임의의 세정제보다 1자릿수 더 높은 TOC 값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은 부록 연구 결과가 세정제와 오염물의 상호작용에 의해 좌우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The combined TOC results for pitted and scratched coupons are compared using ANOVA in Figures 19 and 20. Figure 19 shows a graphical summary of the appendix TOC results. Figure 20 shows the ANOVA summary of the Appendix TOC results. ANOVA shows that aggregate TOC results were statistically lower for CIP-100 than any other cleaner (p-value <0.05). The results for CIP-150 and NaOH were indistinguishable (p-value > 0.05), and the purified water results showed TOC values one order of magnitude higher than any of the cleaners. This analysis supports the claim that the appendix study results we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the cleaning agent and contaminants.

실시예의 논의Discussion of Examples

실시예 1 내지 4 및 부록 실시예들의 결과는, 변곡점보다 더 작은 표면 이상이 표준 CIP 세정 기술 및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규모에서 장치의 세정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같지 않음을 나타낸다. The results of Examples 1-4 and the Appendix Examples indicate that surface abnormalities smaller than the inflection point do not appear to affect the cleanability of the device at scale using standard CIP cleaning techniques and chemistries.

피트: BSA 대용물을 사용한 피트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은 종횡비, 깊이, 및 밀도 간에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음을 밝혀내었다(p-값 > 0.05). 그러나, 피트 깊이(p-값 = 0.091), 및 피트 깊이와 종횡비 간의 상호작용(p-값 = 0.064) 둘 다는 통계적 유의도에 대한 역치에 가까웠으며 미미한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깊이 대 직경 상호작용이 잔류물 제거를 위해 중요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회귀 모델 데이터로부터 유도되고 도 7에 제시된 윤곽 플롯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이러한 그래프 결과는 직경 > 3.5mm 및 깊이 > 2.5mm를 갖는 사분면이 세정 효율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같음을 나타낸다.Pit: Statistical analysis of pit data using the BSA surrogate reveal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spect ratio, depth, and density (p-value > 0.05). However, both pit depth (p-value = 0.091)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it depth and aspect ratio (p-value = 0.064) were close to the threshol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may indicate a minor effect. This indicates that depth versus diameter interaction may be important for residue removal, which was supported by the contour plot derived from the regression model data and presented in Figure 7. These graphical results indicate that quadrants with diameter > 3.5 mm and depth > 2.5 mm are likely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leaning efficiency.

표면 상의 피트 및 물질 내의 형광 물질의 추가의 관찰은, 그것을 초과하는 쿠폰들이 세정되지 않는 특정 변곡점 뿐만 아니라 흠 하나 없는(unblemished) 표면을 시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료는 직경 > 4.0mm 및 깊이 > 2.6mm를 갖는 피트에서 일관적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동향은 또한 연속 척도 중 많은 것에 대해 세정에 영향을 미치는 직경 > 2.5mm 및 깊이 > 3.5mm를 갖는 중량측정 데이터의 회귀 분석에서 보여졌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반응기 표면은 약 2.6mm 초과, 및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1.2mm 초과의 깊이를 갖는 피트를 갖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깊이 및 직경 조합이 더 높을수록 질량 제거는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주는 회귀 모델과 일치한다.Further observation of pits on the surface and fluorescent material in the material suggested an unblemished surface as well as a certain inflection point beyond which coupons were not cleaned. Specifically, the material was consistently found in pits with diameters > 4.0 mm and depths > 2.6 mm. This trend was also seen in a regression analysis of gravimetric data with diameter > 2.5 mm and depth > 3.5 mm affecting cleaning for many of the continuous scales. As such, in some embodiments, the reactor surface should not have pits with a depth greater than about 2.6 mm, and in some embodiments, greater than about 1.2 mm.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a regression model showing a trend toward lower mass removal at higher depth and diameter combinations.

용해물 공정 오염물을 사용하여, 임의의 피트 특징 및 중량측정 또는 TOC 제거 사이에 상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p-값 > 0.05). 그러나, 둘 다의 경우에서, 세정제는 질량 제거(p-값 = 0.007) 및 TOC 제거(p-값 = 0.006)에서 유의적인 예측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Using melt process contaminants,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y pit characteristics and gravimetric or TOC removal (p-value > 0.05). However, in both cases, the detergen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in mass removal (p-value = 0.007) and TOC removal (p-value = 0.006).

모든 결과를 고려하여, 반응기 표면은 이 연구에서 시험된 범위 내에서 외관 불합격을 나타내는 이 값보다 더 큰 깊이로서 약 2.6mm의 최대 피트 깊이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약 1.2mm가 교정을 위한 기준(basis)이다. 규격을 오로지 깊이에만 기초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가장 정확한 현장 계측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직경이 특정 역치를 초과함에 따라 깊이 만이 중요해진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러한 단일 변수에 대한 피팅 검사 기준을 채택하는 것은 교정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Taking all results into account, the reactor surface can be maintained at a maximum pit depth of approximately 2.6 mm, with depths greater than this value indicating an apparent failure within the range tested in this study. In some embodiments, about 1.2 mm is the basis for correction. Basing specifications solely on depth provides the fastest and most accurate field measurements. Because the data show that only depth becomes important as diameter exceeds a certain threshold, adopting a fit-check criterion for this single variable provides a conservative approach to calibration.

스크래치: 피트와 같이, 스크래치는 약 1.0mm보다 더 깊은 경우 발생하는 형광하에서 가시적인 불합격으로 세정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크래치는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추적 염료(tracking dye)를 보유할 뿐만 아니라 중량 측정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된 제거 백분율을 보유한다. BSA 대용물을 사용한 스크래치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으로 스크래치 깊이와 제거 효율 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밝혀졌으며(p-값 = 0.000), 제거는 스크래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저하되었다. 형광 마커를 사용한 외관 검사는 깊이가 약 1.0mm 초과인 경우 불합격을 감지하였다. 용해물 공정 오염물을 사용하여, 스크래치 깊이와 제거 효율 간의 상관성은 중량측정 및 TOC 결과 둘 다에 대해 유의적이지 않았다(p-값 > 0.05). 그러나, 피트 결과에 기초하여, 세정제 조건/오염물 상호작용이 피트 깊이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차폐시키는 것 같다(중량측정 및 TOC 결과 둘 다에 대해 p-값 > 0.097). 모든 결과를 고려하여, 반응기 표면은 약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로 시운전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Scratches: Like pits, scratches can affect cleaning performance with visible failures under fluorescence that occur when deeper than approximately 1.0 mm. Scratches not only retain more tracking dye as depth increases, but also reta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ed percent removal by gravimetric measurements. Statistical analysis of scratch data using BSA surrogates reveal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cratch depth and removal efficiency (p-value = 0.000), with removal deteriorating with increasing scratch depth. Visual inspection using a fluorescent marker detected failure when the depth exceeded approximately 1.0 mm. Using melt process contaminants, the correlation between scratch depth and removal efficiency was not significant (p-value > 0.05) for both gravimetric and TOC results. However, based on the pit results, the detergent condition/contaminant interaction appears to mask the relative importance of pit depth (p-value > 0.097 for both gravimetric and TOC results). Taking all results into account, the reactor surface can be commissioned or maintained with a maximum scratch depth of approximately 1.0 mm.

마이크로피팅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으로, 적어도 여기서 시험된 범위 내에서, 밀도 계수와 잔류 질량 간에 통계적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p-값 > 0.05). 또한, 형광 불합격도 외관 검사 동안 주지되지 않았다. 표면 거칠기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으로 Ra Max(μin) 값과 잔류 질량 간에 통계적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p-값 > 0.05). 또한, 형광 불합격도 외관 검사 동안 주지되지 않았다.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icropitting data reveal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density coefficient and residual mass (p-value > 0.05), at least within the range tested here. Additionally, fluorescence failure was not noted during visual inspectio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face roughness data revealed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Ra Max (μin) values and residual mass (p-value > 0.05). Additionally, fluorescence failure was not noted during visual inspection.

부록 실시예는 공정중 오염물(in-process soil)을 사용하여 이들 파라미터의 유용성을 입증하도록 설계되었다. 연구는 오염물과 세정제 조합이 표면 결함 자체보다 제거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량측정 윤곽 플롯에서의 유사한 경향에 의해 뒷받침되는 높은 직경 및 깊이 조합에서의 일관적인 형광 불합격은 제거에 있어 유사한 경향이 실제 공정 조건하에 나타남을 보여준다.The appendix examples are designed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se parameters using in-process soil.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contaminant and cleaning agent combination had a greater effect on removal than the surface defects themselves. Nonetheless, the consistent fluorescence rejection at high diameter and depth combinations, supported by similar trends in the gravimetric contour plots, shows that similar trends in removal occur under actual process conditions.

표 15는 피트, 스크래치, 및 표면 거칠기의 중량측정 분석에 관한 연구로부터의 통계적 결론을 요약한다. p-값 < 0.05는 특정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간주됨을 나타내는 반면, R2 값은 회귀 모델에 기인할 수 있는 데이터 변동성의 백분율을 나타낸다.Table 15 summarizes statistical conclusions from studies on gravimetric analysis of pits, scratches, and surface roughness. A p-value <0.05 indicates that certain variables a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R 2 value indicates the percentage of data variability that can be attributed to the regression model.

[표 15] BSA 시험으로부터의 중량측정 결론[Table 15] Gravimetric conclusion from BSA test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3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3

표 16은 중량측정 분석에 관한 부록 실시예로부터의 결론을 요약한다. 모든 경우에, 최악-경우 용해물 공정 오염물이 시험 쿠폰들에 적용되었고, 잔류 질량은 상이한 피트 및 스크래치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평가되었다. 회귀는 범주 변수로서 포함된 세정제 시험 조건으로 수행되었다.Table 16 summarizes conclusions from the appendix examples regarding gravimetric analysis. In all cases, worst-case melt process contaminants were applied to test coupons and residual mass was evaluated as a function of different pit and scratch parameters. Regression was performed with detergent test condition included as a categorical variable.

[표 16] 부록 실시예로부터의 중량측정 결론[Table 16] Weight measurement conclusion from appendix example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4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4

표 17은 면봉 샘플링으로부터 검출된 잔류 TOC에 대한 부록 실시예로부터의 결론을 요약한다. 모든 경우에, 수득된 TOC 값은 세정 후 검출될 수 있는 용해물 오염물의 양을 나타낸다. 회귀를 다시 데이터에 대해 수행하여, 잔류 TOC에 대한 피트 및 스크래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세정제 시험 조건은 범주 변수로서 포함되었다. 모든 TOC 면봉은 이들 조건하에서 1ppm을 초과하기 때문에 결과에서는 80℃에서 정제수로 헹군 후 수득된 값을 배제한다:Table 17 summarizes conclusions from the appendix examples regarding residual TOC detected from swab sampling. In all cases, the TOC values obtained represent the amount of lysate contaminants that can be detected after cleaning. Regression was again performed on the data to evaluate the impact of pits and scratches on residual TOC. Cleanser test condition was included as a categorical variable. The results exclude values obtained after rinsing with purified water at 80°C because all TOC swabs exceed 1 ppm under these conditions:

[표 17] 부록 연구로부터의 TOC 결론[Table 17] TOC conclusions from appendix studie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5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5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지만, 포괄적이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다수의 변형 및 변화가 기재된 실시형태들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가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들은, 실시형태들의 원리, 응용 또는 시장에서 발견되는 기술들을 능가한 기술적 개선을 가장 잘 설명하거나,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가 이외의 사람들이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but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chosen to best explain the principles, applications, or technological improvements over techniques found in the marketplace of the embodiments, or to enable persons other tha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has been don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의약품 및 바이오약제품의 제조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장치, 설비 및 방법은 원핵 및/또는 진핵 세포주를 포함한 임의의 목적하는 세포주를 배양하는데 적합하다. 게다가, 실시형태에서, 장치, 설비 및 방법은 현탁 세포 또는 부착-의존성(anchorage-dependent)(부착성: adherent) 세포를 배양하는데 적합하고 의약품 및 바이오약제품, 예를 들면, 폴리펩타이드 산물, 핵산 산물(예를 들면 DNA 또는 RNA), 또는 세포 및/또는 바이러스, 예를 들면, 세포 및/또는 바이러스 요법에서 사용되는 것들의 제조를 위해 구성된 생산 작업에 적합하다.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s and biopharmaceutical products. The devices, equipment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are suitable for culturing any desired cell line, including prokaryotic and/or eukaryotic cell lines. Moreover, in embodiments, the devices, equipment and methods are suitable for culturing suspension cells or anchorage-dependent (adherent) cells and producing pharmaceutical and biopharmaceutical products, such as polypeptide products, nucleic acids. It is suitable for production operations configured for the preparation of products (e.g. DNA or RNA), or cells and/or viruses, e.g. those used in cell and/or virus therapy.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재조합 치료 또는 진단 제품과 같은 산물을 발현 또는 생산한다.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세포에 의해 생산된 산물의 예는 항체 분자(예를 들면, 단클론성 항체, 이특이적 항체), 항체 모방체(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지만 항체와 구조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폴리펩타이드 분자, 예를 들면, DARPin, 애피바디, 아드넥틴, 또는 IgNAR), 융합 단백질(예를 들면, Fc 융합 단백질, 키메라성 사이토킨), 기타의 재조합 단백질(예를 들면, 글리코실화 단백질, 효소, 호르몬), 바이러스 치료제(예를 들면, 항암 온콜리틱 바이러스, 유전자 요법 및 바이러스 면역요법을 위한 바이러스 벡터), 세포 치료제(예를 들면, 다능성 줄기 세포, 중간엽 줄기 세포 및 성체 줄기 세포), 백신 또는 지질-캡슐화 입자(예를 들면, 엑소좀, 바이러스-유사 입자), RNA(예를 들면, siRNA) 또는 DNA(예를 들면, 플라스미드 DNA), 항생제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서, 장치, 설비 및 방법은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ells express or produce a product, such as a recombinant therapeutic or diagnostic product.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examples of products produced by cells include antibody molecules (e.g., monoclonal antibodies, bispecific antibodies), antibody mimetics (which bind specifically to an antigen but are not structurally similar to an antibody). Unrelated polypeptide molecules (e.g., DARPins, affibodies, adnectins, or IgNARs), fusion proteins (e.g., Fc fusion proteins, chimeric cytokines), other recombinant proteins (e.g., glycosylated proteins, enzymes, hormones), viral therapeutics (e.g., oncolytic viruses on cancer, viral vectors for gene therapy and viral immunotherapy), cellular therapeutics (e.g., pluripotent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and adult stem cells), vaccines or lipid-encapsulated particles (e.g., exosomes, virus-like particles), RNA (e.g., siRNA) or DNA (e.g., plasmid DNA), antibiotics or amino acids,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embodiments, devices, equipment and methods may be used to produce biosimilars.

언급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 장치, 설비 및 방법은 진핵 세포, 예를 들면, 포유류 세포 또는 하등 진핵 세포, 예를 들면, 효모 세포 또는 사상 진균 세포, 또는 원핵 세포, 예를 들면,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포 및/또는 진핵 또는 원핵 세포의 산물, 예를 들면, 대규모 방식으로 진핵 세포에 의해 합성된 단백질, 펩타이드, 항생제, 아미노산, 핵산(예를 들면 DNA 또는 RNA)을 생산할 수 있다. 본원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장치, 설비, 및 방법은 벤치-규모, 파일럿-규모, 및 전체 생산 규모 수용량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목적하는 용적 또는 생산 수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As mentioned, in embodiments, the devices, facilities and methods may be used in eukaryotic cells, such as mammalian cells or lower eukaryotic cells, such as yeast cells or filamentous fungal cells, or prokaryotic cells, such as Gram- Can produce products of positive or Gram-negative cells and/or eukaryotic or prokaryotic cells, such as proteins, peptides, antibiotics, amino acids, nucleic acids (e.g. DNA or RNA) synthesized by eukaryotic cells on a large scale. .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the devices, equipment, and methods may include any desired volume or production capacit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bench-scale, pilot-scale, and full production scale capacities.

더욱이 본원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장치, 설비, 및 방법은 교반 탱크, 에어리프트(airlift), 섬유, 마이크로섬유, 중공 섬유, 세라믹 매트릭스, 유동 상, 고정 상, 및/또는 분출 층(spouted bed) 바이오반응기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반응기(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반응기"는 발효기 또는 발효 유닛, 또는 임의의 기타 반응 용기를 포함할 수 있고, 용어 "반응기"는 "발효기"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일부 양상에서, 예시적인 바이오반응기 유닛은 다음 중의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영양분 및/또는 탄소 공급원의 공급, 적합한 가스(예를 들면, 산소)의 주입, 발효 또는 세포 배양 배지의 입구 및 출구 유동, 기상 및 액상의 분리, 온도 유지, 산소 및 CO2 수준 유지, pH 수준 유지, 진탕(예를 들면, 스터링), 및/또는 세정/살균. 발효 유닛과 같은 예시적인 반응기 유닛은 유닛 내에 다중 반응기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은 1, 2, 3, 4,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60, 70, 80, 90, 또는 100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오반응기를 각 유닛에 가질 수 있고/있거나 설비는 설비 내에 단일 또는 다중 반응기를 갖는 다중 유닛을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반응기는 배치, 반 공급-배치, 공급-배치, 관류, 및/또는 연속 발효 공정에 적합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반응기 직경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바이오반응기는 약 100mL 내지 약 50,000L의 용적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는 100mL, 250mL, 500mL, 750mL, 1리터, 2리터, 3리터, 4리터, 5리터, 6리터, 7리터, 8리터, 9리터, 10리터, 15리터, 20리터, 25리터, 30리터, 40리터, 50리터, 60리터, 70리터, 80리터, 90리터, 100리터, 150리터, 200리터, 250리터, 300리터, 350리터, 400리터, 450리터, 500리터, 550리터, 600리터, 650리터, 700리터, 750리터, 800리터, 850리터, 900리터, 950리터, 1000리터, 1500리터, 2000리터, 2500리터, 3000리터, 3500리터, 4000리터, 4500리터, 5000리터, 6000리터, 7000리터, 8000리터, 9000리터, 10,000리터, 15,000리터, 20,000리터, 및/또는 50,000리터의 용적을 포함한다. 추가로, 적합한 반응기는 다중-사용, 1회-사용, 일회용, 또는 비-일회용일 수 있으며, 금속 합금,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예를 들면, 316L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스테인리스 강) 및 인코넬, 플라스틱, 및/또는 유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devices, equipment, and methods may be used in agitated tanks, airlifts, fibers, microfibers, hollow fibers, ceramic matrices, fluidized beds, fixed beds, and/or spouted beds. ) may include any suitable reacto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bioreactors. As used herein, “reactor” may include a fermentor or fermentation unit, or any other reaction vessel, and the term “reactor” is used interchangeably with “fermenter.” For example, in some aspects, exemplary bioreactor units may perform one or more or all of the following: supply of nutrients and/or carbon sources, injection of suitable gases (e.g., oxygen), fermentation, or Inlet and outlet flow of cell culture medium, separation of gas and liquid phases, maintenance of temperature, maintenance of oxygen and CO2 levels, maintenance of pH level, agitation (e.g., stirring), and/or cleaning/sterilization. Exemplary reactor units, such as fermentation units, may contain multiple reactors within the unit, for example, the unit may have 1, 2, 3, 4, 5, 10, 15, 20, 25, 30, 35, 40, There may be 45, 50, 60, 70, 80, 90, or 100, or more bioreactors in each unit and/or the facility may contain multiple units with single or multiple reactors within the facility. In various embodiments, the bioreactor may be suitable for batch, semi-fed-batch, fed-batch, perfusion, and/or continuous fermentation processes. Any suitable reactor diameter may be used. In embodiments, the bioreactor may have a volume of about 100 mL to about 50,000 L. Non-limiting examples include 100 mL, 250 mL, 500 mL, 750 mL, 1 liter, 2 liters, 3 liters, 4 liters, 5 liters, 6 liters, 7 liters, 8 liters, 9 liters, 10 liters, 15 liters, 20 liters, 25 liters. Liter, 30 liter, 40 liter, 50 liter, 60 liter, 70 liter, 80 liter, 90 liter, 100 liter, 150 liter, 200 liter, 250 liter, 300 liter, 350 liter, 400 liter, 450 liter, 500 liter, 550 liters, 600 liters, 650 liters, 700 liters, 750 liters, 800 liters, 850 liters, 900 liters, 950 liters, 1000 liters, 1500 liters, 2000 liters, 2500 liters, 3000 liters, 3500 liters, 4000 liters, 4500 liters , 5000 liters, 6000 liters, 7000 liters, 8000 liters, 9000 liters, 10,000 liters, 15,000 liters, 20,000 liters, and/or 50,000 liters. Additionally, suitable reactors may be multi-use, single-use, disposable, or non-disposable and may be made of metal alloys such as stainless steel (e.g., 316L or any other suitable stainless steel) and Inconel. , plastic, and/or glass.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본원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재된 장치, 설비, 및 방법은 또한 이러한 산물의 분리, 정제, 및 단리를 위한 작업 및/또는 장치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은 임의의 적합한 유닛 작업 및/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스틱-빌트(stick-built) 설비, 모듈식, 이동식 및 임시 설비, 또는 기타의 적합한 건축물, 설비, 및/또는 레이아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설비 및 환경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모듈식 클린룸(clean-room)들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기재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하나의 장소 또는 설비에서 수용되고/되거나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별도의 또는 다수의 장소 및/또는 설비에서 수용되고/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embodiment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herein, the devices, equipment,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also include any suitable unit operations not otherwise noted, such as operations and/or devices for the separation, purification, and isolation of such products. and/or devices. Any suitable equipment and environment may be used, such as conventional stick-built equipment, modular, portable and temporary equipment, or other suitable structures, equipment and/or layouts. For example, modular clean-rooms may be used in some embodiments. Additionally,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described herein may be housed and/or practiced in a single location or facility, or alternatively, may be housed in separate or multiple locations and/or facilities and /or can be executed.

비제한적인 예로, 제한 없이, 전문이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어 있는 U.S. 공보 제2013/0280797호; 제2012/0077429호; 제2011/0280797호; 제2009/0305626호; 및 U.S. 특허 제8,298,054호; 제7,629,167호; 및 제5,656,491호에는 적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설비, 장치, 및/또는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and without limitation, the U.S. Pat. Publication No. 2013/0280797; No. 2012/0077429; No. 2011/0280797; No. 2009/0305626; and U.S. Patent No. 8,298,054; No. 7,629,167; and 5,656,491 describe exemplary equipment, devices, and/or systems that may be suitable.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진핵 세포, 예를 들면, 포유류 세포이다. 포유류 세포는, 예를 들면, 인간 또는 설치류 또는 소 세포주 또는 세포 균주일 수 있다. 이러한 세포, 세포주 또는 세포 균주의 예는, 예를 들면, 마우스 골수종(NSO)-세포주, 중국 햄스터 난소(CHO)-세포주, HT1080, H9, HepG2, MCF7, MDBK Jurkat, NIH3T3, PC12, BHK(새끼 햄스터 신장 세포), VERO, SP2/0, YB2/0, Y0, C127, L 세포, COS, 예를 들면, COS1 및 COS7, QC1-3, HEK-293, VERO, PER.C6, HeLA, EBl, EB2, EB3, 온콜리틱 또는 하이브리도마-세포주이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세포는 CHO-세포주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CHO 세포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CHO-K1 세포, CHO-K1 SV 세포, DG44 CHO 세포, DUXB11 CHO 세포, CHOS, CHO GS 녹아웃 세포, CHO FUT8 GS 녹아웃 세포, CHOZN, 또는 CHO-유래된 세포이다. CHO GS 녹아웃 세포(예를 들면, GSKO 세포)는, 예를 들면, CHO-K1 SV GS 녹아웃 세포이다. CHO FUT8 녹아웃 세포는, 예를 들면, Potelligent® CHOK1 SV(Lonza Biologics, Inc.)이다. 진핵 세포는 또한 조류 세포, 세포주 또는 세포 균주, 예를 들면, EBx® 세포, EB14, EB24, EB26, EB66, 또는 EBvl3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ell is a eukaryotic cell, such as a mammalian cell. Mammalian cells may be, for example, human or rodent or bovine cell lines or cell strains. Examples of such cells, cell lines or cell strains include, for example, mouse myeloma (NSO)-cell line, Chinese hamster ovary (CHO)-cell line, HT1080, H9, HepG2, MCF7, MDBK Jurkat, NIH3T3, PC12, BHK (cub Hamster kidney cells), VERO, SP2/0, YB2/0, Y0, C127, L cells, COS, e.g. COS1 and COS7, QC1-3, HEK-293, VERO, PER.C6, HeLA, EBl, EB2, EB3, oncolytic or hybridoma-cell lines. Preferably, the mammalian cells are CHO-cell lines. In one embodiment, the cells are CHO cells. In one embodiment, the cells are CHO-K1 cells, CHO-K1 SV cells, DG44 CHO cells, DUXB11 CHO cells, CHOS, CHO GS knockout cells, CHO FUT8 GS knockout cells, CHOZN, or CHO-derived cells. CHO GS knockout cells (eg, GSKO cells) are, for example, CHO-K1 SV GS knockout cells. CHO FUT8 knockout cells are, for example, Potelligent® CHOK1 SV (Lonza Biologics, Inc.). The eukaryotic cell may also be an avian cell, cell line or cell strain, such as EBx® cells, EB14, EB24, EB26, EB66, or EBvl3.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진핵 세포는 줄기 세포이다. 줄기 세포는, 예를 들면, 배아 줄기 세포(ESC), 성체 줄기 세포, 유도 다능성 줄기 세포(iPSC), 조직 특이적 줄기 세포(예를 들면, 조혈 줄기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MSC)를 포함한 다능성 줄기 세포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ukaryotic cell is a stem cell. Stem cells include, for example, embryonic stem cells (ESCs), adul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tissue-specific stem cells (e.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It may be pluripotent stem cells including.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본원에 기재된 세포 중 어느 것의 분화된 형태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배양물 중의 임의의 일차 세포로부터 유래된 세포이다.In one embodiment, the cell is a differentiated form of any of the cells described herein. In one embodiment, the cells are cells derived from any primary cell in culture.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인간 간세포, 동물 간세포, 또는 비-유조직 세포(non-parenchymal cell)와 같은 간세포이다.  예를 들면, 세포는 평판배양 가능한 대사 정량 인간 간세포, 평판배양 가능한 유도 정량 인간 간세포, 평판배양 가능한 Qualyst Transporter CertifiedTM 인간 간세포, 현탁 정량 인간 간세포(10-공여자 및 20-공여자 통합 간세포 포함), 인간 간 쿠퍼 세포, 인간 간 성상 세포, 개 간세포(단일 및 통합 비글 간세포 포함), 마우스 간세포(CD-1 및 C57BI/6 간세포 포함), 랫트 간세포(스프라그 돌리(Sprague-Dawley), 위스타 한(Wistar Han) 및 위스타(Wistar) 간세포 포함), 원숭이 간세포(사이노몰구스 및 레서스 원숭이 간세포 포함), 고양이 간세포(도메스틱 쇼트웨어(Domestic Shorthair) 간세포 포함), 및 토끼 간세포(뉴질랜드 화이트(New Zealand White) 간세포 포함)일 수 있다. 예시적인 간세포는 트라이앵글 리서치 랩스, 엘엘씨(Triangle Research Labs, LLC, 6 Davis Drive Research Triangle Park, North Carolina, USA 27709)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the cells are hepatocytes, such as human hepatocytes, animal hepatocytes, or non-parenchymal cells. For example, cells include plateable metabolic quantitative human hepatocytes, plateable derived quantitative human hepatocytes, plateable Qualyst Transporter Certified TM human hepatocytes, suspension quantitative human hepatocytes (including 10-donor and 20-donor pooled hepatocytes), and human Liver Kupffer cells, human hepatic stellate cells, canine hepatocytes (including single and integrated Beagle hepatocytes), mouse hepatocytes (including CD-1 and C57BI/6 hepatocytes), rat hepatocytes (Sprague-Dawley, Wistar Hahn ( Wistar Han and Wistar hepatocytes), monkey hepatocytes (including Cynomolgus and Rhesus monkey hepatocytes), cat hepatocytes (including Domestic Shorthair hepatocytes), and rabbit hepatocytes (New Zealand White) White) may include liver cells. Exemplary hepatocyt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Triangle Research Labs, LLC, 6 Davis Drive Research Triangle Park, North Carolina, USA 27709.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진핵 세포는 하등 진핵 세포, 예를 들면, 효모 세포(예를 들면, 피치아 속(예를 들면, 피치아 파스토리스, 피치아 메타놀리카, 피치아 클루이베리, 및 피치아 앵구스타), 코마가타엘라 속(예를 들면, 코마가타엘라 파스토리스, 코마가타엘라 슈도파스토리스 또는 코마가타엘라 파피이), 사카로마이세스 속(예를 들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사에, 세레비시에, 사카로마이세스 클루이베리, 사카로마이세스 우바룸), 클루이베로마이세스 속(예를 들면,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락티스,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막시아누스), 칸디다 속(예를 들면, 칸디다 우틸리스, 칸디다 카카오이, 칸디다 보이디니이), 지오트리쿰 속(예를 들면, 지오트리쿰 페르멘탄스),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야로위아 리포리티카, 또는 쉬조사카로마이세스 폼베이다. 피치아 파스토리스 종이 바람직하다. 피치아 파스토리스 균주에 대한 예는 X33, GS115, KM71, KM71H; 및 CBS7435이다.In one embodiment, the eukaryotic cell is a lower eukaryotic cell, such as a yeast cell (e.g., a member of the Pichia genus (e.g., Pichia pastoris, Pichia methanolica, Pichia clujberg, and Pichia Angusta), the genus Comagataella (e.g., Comagataella pastoris, Comagataella pseudopastoris or Comagataella papii), the genus Saccharomyces (e.g., Saccharomyces cerevisae, cerevisiae, Saccharomyces kluyveri, Saccharomyces uvarum), Kluyveromyces genera (e.g. Kluyveromyces lactis, Kluyveromyces maxianus), Candida genus (e.g. For example, Candida utilis, Candida cacaoi, Candida voidinii), Geotrichum genus (e.g. Geotrichum fermentans), Hansenula polymorpha, Yarrowia lipolytica, or Schizosaccharomai Seth pombeida.Pichia pastoris species is preferred.Examples for Pichia pastoris strains are X33, GS115, KM71, KM71H; and CBS7435.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진핵 세포는 진균 세포(예를 들면, 아스페르길러스(예를 들면, A. 니거, A. 푸미가투스, A. 오리지에, A. 니둘라), 아크레모늄(예를 들면, A. 써모필룸), 케토미움(예를 들면, C. 써모필룸), 크리소스포리움(예를 들면, C. 써모필룸), 코르디셉스(예를 들면, C. 밀리타리스), 코리나스커스, 크테노마이세스, 푸사리움(예를 들면, F. 옥시스포룸), 글로메렐라(예를 들면, G. 그라미니콜라), 하이포크레아(예를 들면, H. 제코리나), 마그나포르테(예를 들면, M. 오르지에), 마이셀리오프토라(예를 들면, M. 써모필레), 넥트리아(예를 들면, N. 헤마토코카), 뉴로스포라(예를 들면, N. 크라싸), 페니실리움, 스포로트리쿰(예를 들면, S. 써모필레), 티엘라비아(예를 들면, T. 테레스트리스, T. 헤테로탈리카), 트리코데르마(예를 들면, T. 레세이), 또는 버티실리움(예를 들면, V. 달리아))이다.In one embodiment, the eukaryotic cell is a fungal cell (e.g., Aspergillus (e.g., A. niger, A. fumigatus, A. origiera, A. nidula), Acremonium (e.g. For example, A. thermophilum), Ketomium (e.g. C. thermophilum), Chrysosporium (e.g. C. thermophilum), Cordyceps (e.g. C. Militaris), Corinascus, Ctenomyces, Fusarium (e.g. F. oxysporum), Glomerella (e.g. G. graminicola), Hypocreaa (e.g. H. zecorina), Magnaporte (e.g. M. orgier), Mycelioptora (e.g. M. thermophile), Nectria (e.g. N. haematococa), Neurospora Ra (e.g. N. crassa), Penicillium, Sporotrichum (e.g. S. thermophile), Thiellavia (e.g. T. terrestris, T. heterotalica) , Trichoderma (e.g. T. reesei), or Verticillium (e.g. V. dahlia)).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진핵 세포는 곤충 세포(예를 들면, Sf9, Mimic™, Sf9, Sf21, High Five™(BT1-TN-5B1-4), 또는 BT1-Ea88 세포), 해조류 세포(예를 들면, 암포라, 바실라리오피세에, 두날리엘라, 클로렐라, 클라미도모나스, 시아노피타(시아노박테리아), 난노클로롭시스, 스피룰리나, 오로크로모나스 속의 세포), 또는 식물 세포(예를 들면, 단자엽 식물(예를 들면, 옥수수, 쌀, 밀, 또는 세타리아), 또는 쌍자엽 식물(예를 들면, 카사바, 감자, 대두, 토마토, 담배, 알팔파, 피스코미트렐라 파텐스 또는 아라비돕시스)로부터의 세포)이다.In one embodiment, the eukaryotic cell is an insect cell (e.g., an Sf9, Mimic™, Sf9, Sf21, High Five™ (BT1-TN-5B1-4), or BT1-Ea88 cell), an algae cell (e.g. For example, cells of the genera Amphora, Basilariophyceae, Dunaliella, Chlorella, Chlamydomonas, Cyanophyta (cyanobacteria), Nannochloropsis, Spirulina, Orochromonas), or plant cells (e.g. , cells from monocot plants (e.g., maize, rice, wheat, or Setaria), or dicot plants (e.g., cassava, potato, soybean, tomato, tobacco, alfalfa, Physcomitrella patens or Arabidopsis) )am.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박테리아성 또는 원핵 세포이다.In one embodiment, the cell is a bacterial or prokaryotic cell.

실시형태에서, 원핵 세포는 그람-양성 세포, 예를 들면, 바실러스,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트렙토코커스, 스타필로코커스 또는 락토바실러스이다. 사용될 수 있는 바실러스는, 예를 들면, B. 서브틸리스, B. 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 , B. 리체니포 르미스, B. 나토, 또는 B. 메가테리움이다. 실시형태에서, 세포는 B. 서브틸리스, 예를 들면, B. 서브틸리스 3NA B. 서브틸리스 168이다. 바실러스는, 예를 들면, 바실러스 제네틱 스톡 센터(the Bacillus Genetic Stock Center, Biological Sciences 556, 484 West 12th Avenue, Columbus OH 43210-1214)로부터 입수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the prokaryotic cell is a Gram-positive cell, such as Bacillus, Streptomyces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or Lactobacillus. Bacilli that can be used are, for example, B. subtilis, B. amyloliquefaciens , B. licheniphormis , B. natto, or B. megaterium . In an embodiment, the cell is B. subtilis, such as B. subtilis 3NA and B. subtilis 168. Bacillus is available, for example, from the Bacillus Genetic Stock Center (Biological Sciences 556, 484 West 12 th Avenue, Columbus OH 43210-1214).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원핵 세포는 그람-음성 세포, 예를 들면, 살모넬라 spp. 또는 에쉐리키아 콜리, 예를 들면, TG1, TG2, W3110, DH1, DHB4, DH5a, HMS 174, HMS174 (DE3), NM533, C600, HB101, JM109, MC4100, XL1-블루 및 오리가미(Origami), 뿐만 아니라 E.콜리 B-균주로부터 유래된 세포, 예를 들면, BL-21 또는 BL21(DE3)이며, 이들 모두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the prokaryotic cell is a Gram-negative cell, such as Salmonella spp. or Escherichia coli, such as TG1, TG2, W3110, DH1, DHB4, DH5a, HMS 174, HMS174 (DE3), NM533, C600, HB101, JM109, MC4100, XL1-Blue and Origami, as well as well as cells derived from E. coli B-strains, such as BL-21 or BL21(DE3), all of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적합한 숙주 세포는, 예를 들면, DSMZ(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and Zellkulturen GmbH, Braunschweig, Germany) 또는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ATCC)과 같은 균주 수집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Suitable host cell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from strain collections such as DSMZ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and Zellkulturen GmbH, Braunschweig, Germany) or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실시형태에서, 배양된 세포는 치료 용도를 위한 단백질, 예를 들면, 항체, 예를 들면, 단클론성 항체, 및/또는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실시형태에서, 배양된 세포는 펩타이드, 아미노산, 지방산 또는 기타의 유용한 생화학적 중간체 또는 대사물을 생산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 약 4000 달톤 내지 약 140,000 달톤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분자들이 생산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분자들은 광범위한 복합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글리코실화를 포함한 번역후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ultured cells are used to produce proteins, such as antibodies, such as monoclonal antibodies, and/or recombinant proteins, for therapeutic uses. In an embodiment, the cultured cells produce peptides, amino acids, fatty acids or other useful biochemical intermediates or metabolites. For example, in embodiments, molecules having molecular weights from about 4000 daltons to about 140,000 daltons or more may be produced. In embodiments, these molecules can be of a wide range of complexity and can includ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including glycosylation.

실시형태에서, 단백질은, 예를 들면, 보톡스(BOTOX), 미오블록(Myobloc), 뉴로블록(Neurobloc), 디스포트(Dysport)(또는 보툴리눔 신경독소의 기타의 혈청형), 알루코시다제 알파, 답토마이신, YH-16, 크리오고나도트로핀 알파, 필그라스팀, 세트로렐릭스, 인터류킨-2, 알데스류킨, 테세률린, 데니류킨 디프티톡스, 인터페론 알파-n3(주사), 인터페론 알파-nl, DL-8234, 인터페론, Suntory(감마-1a), 인터페론 감마, 티모신 알파 1, 타소네르민, DigiFab, ViperaTAb, EchiTAb, CroFab, 네시리티드, 아바타셉트, 알레파셉트, Rebif, 엡토터미날파, 테리파라티드(골다공증), 칼시토닌 주사제(골 질환), 칼시토닌(비내, 골다공증), 에타너셉트, 헤모글로빈 글루타머 250(소), 드로트레코긴 알파, 콜라게나제, 카페리티드,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 인자(국소 겔, 상처 치유), DWP401, 다베포에틴 알파, 에포에틴 오메가, 에포에틴 베타, 에포에틴 알파, 데시루딘, 레피루딘, 비발리루딘, 노나코그 알파, 모노닌(Mononine), 엡타코그 알파(활성화됨), 재조합 인자 VIII+VWF, 리콤비네이트(Recombinate), 재조합 인자 VIII, 인자 VIII(재조합), 알픈메이트(Alphnmate), 옥토코그 알파, 인자 VIII, 팔리퍼민, 인디키나제, 테넥테플라제, 알테플라제, 파미테플라제, 레테플라제, 나테플라제, 몬테플라제, 폴리트로핀 알파, rFSH, hpFSH, 미카푼긴, 페그필그라스팀, 레노그라스팀, 나르토그라스팀, 서모렐린, 글루카곤, 엑세나티드, 프람린티드, 이니글루세라제, 갈설파제, 류코트로핀, 몰그라모스티른, 트립토렐린 아세테이트, 히스트렐린(피하 이식물, Hydron), 데슬로렐린, 히스트렐린, 나파렐린, 류프롤리드 서방출 데포트(ATRIGEL), 류프롤리드 이식물(DUROS), 고세렐린, 유트로핀, KP-102 프로그람, 소마트로핀, 메카서민(성장 부전), 엔파비르티드(enlfavirtide), Org-33408, 인슐린 글라진, 인슐린 글루이신, 인슐린(흡입), 인슐린 리스프로, 인슐린 데터니르, 인슐린(구강, RapidMist), 메카서민 린파베이트, 아나킨라, 셀모류킨, 99 mTc-압시티드 주사, 미엘로피드, 베타세론,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게폰(Gepon), 사그라모스팀, 오프렐베킨, 인간 백혈구-유래된 알파 인터페론, 빌리브(Bilive), 인슐린(재조합), 재조합 인간 인슐린, 인슐린 아스파르트, 메카세닌, 로페론-A, 인터페론-알파 2, 알파페론, 인터페론 알파콘-1, 인터페론 알파, 아보넥스(Avonex)' 재조합 인간 황체형성 호르몬, 도나제 알파, 트라퍼민, 지코노티드, 탈티렐린, 디보터미날파, 아토시반, 베카플러민, 엡티피바티드, 제마이라(Zemaira), CTC-111, 샨박(Shanvac)-B, HPV 백신(4가), 옥트레오티드, 란레오티드, 안세스티른, 아갈시다제 베타, 아갈시다제 알파, 라로니다제, 프레자티드 구리 아세테이트(국소 겔), 라스부리카제, 라니비주맙, 악티뮨(Actimmune), PEG-인트론, 트리코민, 재조합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 탈감작 주사, 재조합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PTH) 1-84(sc, 골다공증), 에포에틴 델타, 유전자이식 안티트롬빈 III, 그란디트로핀, 비트라제, 재조합 인슐린, 인터페론-알파(경구 로젠지), GEM-21S, 바프레오티드, 이두르설파제, 옴나파트릴라트, 재조합 혈청 알부민, 세르톨리주맙 페골, 글루카피다제, 인간 재조합 C1 에스테라제 억제제(혈관부종), 라노테플라제, 재조합 인간 성장 호르몬, 엔푸버티드(바늘 없는 주사, Biojector 2000), VGV-1, 인터페론(알파), 루시낙탄트, 아빕타딜(흡입, 폐 질환), 이카티반트, 에칼란티드, 오미가난, 오로그랍(Aurograb), 펙시가난아세테이트, ADI-PEG-20, LDI-200, 데가렐릭스, 신트레델린베수도톡스, Favld, MDX-1379, ISAtx-247, 리라글루티드, 테리파라티드(골다공증), 티파코긴, AA4500, T4N5 리포솜 로션, 카투막소맙, DWP413, ART-123, 크리살린, 데스모테플라제, 아메디플라제, 코리폴리트로핀알파, TH-9507, 테두글루티드, 디아미드(Diamyd), DWP-412, 성장 호르몬(서방출 주사), 재조합 G-CSF, 인슐린(흡입, AIR), 인슐린(흡입, Technosphere), 인슐린(흡입, AERx), RGN-303, DiaPep277, 인터페론 베타(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HCV)), 인터페론 알파-n3(경구), 벨라타셉트, 경피 인슐린 패치, AMG-531, MBP-8298, 제레셉트(Xerecept), 오페바칸, AIDSVAX, GV-1001, LymphoScan, 란피르나제, 리폭시산, 루수풀티드, MP52(베타-트리칼슘포스페이트 담체, 골 재생), 흑색종 백신, 시풀류셀-T, CTP-37, 인세지아(Insegia), 비테스펜, 인간 트롬빈(동결됨, 외과적 출혈), 트롬빈, TransMID, 알피메프라제, 푸리카제, 털리프레신(정맥내, 간신 증후군), EUR-1008M, 재조합 FGF-I(주사 가능, 혈관 질환), BDM-E, 로티갑티드, ETC-216, P-113, MBI-594AN, 두라마이신(흡입, 낭성 섬유증), SCV-07, OPI-45, 엔도스타틴, 안지오스타틴, ABT-510, 바우만 버크 억제제 농축물, XMP-629, 99 mTc-Hynic-Annexin V, 카할랄리드 F, CTCE-9908, 테베렐릭스(연장 방출), 오자렐릭스, 로르니뎁신, BAY-504798, 인터류킨4, PRX-321, 펩스칸(Pepscan), 이복타데킨, 르락토페린, TRU-015, IL-21, ATN-161, 실렌지티드, 알부페론, 비파식스(Biphasix), IRX-2, 오메가 인터페론, PCK-3145, CAP-232, 파시레오티드, huN901-DMI, 난소암 면역치료 백신, SB-249553, Oncovax-CL, OncoVax-P, BLP-25, CerVax-16, 다중-에피토프 펩타이드 흑색종 백신(MART-1, gp100, 티로시나제), 네미피티드, rAAT(흡입), rAAT(피부과), CGRP(흡입, 천식), 페그수너셉트, 티모신베타4, 플리티뎁신, GTP-200, 라모플라닌, GRASPA, OBI-1, AC-100, 연어 칼시토닌(경구, eligen), 칼시토닌(경구, 골다공증), 엑사모렐린, 카프로모렐린, 카데바(Cardeva), 벨라퍼민, 131I-TM-601, KK-220, T-10, 울라리티드, 데펠레스타트, 헤마티드, 크리살린(국소), rNAPc2, 재조합 인자 V111(PEGylated 리포솜성), bFGF, PEGylated 재조합 스타필로키나제 변이체, V-10153, 소노리시스 프롤리스(SonoLysis Prolyse), NeuroVax, CZEN-002, 섬 세포 신합성 요법, rGLP-1, BIM-51077, LY-548806, 엑세나티드(제어 방출, Medisorb), AVE-0010, GA-GCB, 아보렐린, ACM-9604, 리나클로티드 아세테이트, CETi-1, 헤모스판, VAL(주사 가능), 속효성 인슐린(주사 가능, Viadel), 비강내 인슐린, 인슐린(흡입), 인슐린(경구, eligen), 재조합 메티오닐 인간 렙틴, 피트라킨라 피하 주사, 습진), 피트라킨라(흡입된 건조 분말, 천식), 물티킨(Multikine), RG-1068, MM-093, NBI-6024, AT-001, PI-0824, Org-39141, Cpn10(자가면역 질환/염증), 탈락토페린(국소), rEV-131(안과), rEV-131(호흡기 질환), 경구 재조합 인간 인슐린(당뇨병), RPI-78M, 오프렐베킨(경구), CYT-99007 CTLA4-Ig, DTY-001, 발라테그라스트, 인터페론 알파-n3(국소), IRX-3, RDP-58, 타우페론(Tauferon), 담즙염 자극 리파제, 메리스파제, 알라닌 포스파타제, EP-2104R, 멜라노탄-II, 브레멜라노티드, ATL-104, 재조합 인간 마이크로플라스민, AX-200, SEMAX, ACV-1, Xen-2174, CJC-1008, 디노르핀 A, SI-6603, LAB GHRH, AER-002, BGC-728, 말라리아 백신(바이로솜, PeviPRO), ALTU-135, 파보바이러스 B19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재조합 뉴라미니다제), 말라리아/HBV 백신, 안트락스 백신, Vacc-5q, Vacc-4x, HIV 백신(경구), HPV 백신, Tat 톡소이드, YSPSL, CHS-13340, PTH(1-34) 리포솜성 크림(Novasome), 오스타볼린-C, PTH 유사체(국소, 건선), MBRI-93.02, MTB72F 백신(결핵), MVA-Ag85A 백신(결핵), FARA04, BA-210, 재조합 흑사병 FIV 백신, AG-702, OxSODrol, rBetV1, Der-p1/Der-p2/Der-p7 알레르겐-표적화 백신(먼지 진드기 알레르기), PR1 펩타이드 항원(백혈병), 돌연변이 ras 백신, HPV-16 E7 리포펩타이드 백신, 라비린틴 백신(선암), CML 백신, WT1-펩타이드 백신(암), IDD-5, CDX-110, 펜트리스, 노르렐린, CytoFab, P-9808, VT-111, 이크로캅티드, 텔베르민(피부과, 당뇨성 족 궤양), 루핀트리비르, 레티쿨로스, rGRF, HA, 알파-갈락토시다제 A, ACE-011, ALTU-140, CGX-1160, 안지오텐신 치료 백신, D-4F, ETC-642, APP-018, rhMBL, SCV-07(경구, 결핵), DRF-7295, ABT-828, ErbB2-특이적 면역독소(항암), DT3SSIL-3, TST-10088, PRO-1762, 콤보톡스(Combotox), 콜레시스토키닌-B/가스트린-수용체 결합 펩타이드, 111In-hEGF, AE-37, 트라스니주맙-DM1, 길항제 G, IL-12(재조합), PM-02734, IMP-321, rhIGF-BP3, BLX-883, CUV-1647(국소), L-19 기반 방사선면역치료제(암), Re-188-P-2045, AMG-386, DC/1540/KLH 백신(암), VX-001, AVE-9633, AC-9301, NY-ESO-1 백신(펩타이드), NA17.A2 펩타이드, 흑색종 백신(맥동 항원 치료제), 전립선 암 백신, CBP-501, 재조합 인간 락토페린(안구 건조), FX-06, AP-214, WAP-8294A(주사 가능), ACP-HIP, SUN-11031, 펩타이드 YY [3-36](비만, 비강내), FGLL, 아타시셉트, BR3-Fc, BN-003, BA-058,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 1-34(비내, 골다공증), F-18-CCR1, AT-1100(셀리악병/당뇨병), JPD-003, PTH(7-34) 리포솜성 크림(노바솜), 두라마이신(안과, 안구 건조), CAB-2, CTCE-0214, GlycoPEGylated 에리트로포이에틴, EPO-Fc, CNTO-528, AMG-114, JR-013, 인자 XIII, 아미노칸딘, PN-951, 716155, SUN-E7001, TH-0318, BAY-73-7977, 테베렐릭스(즉시 방출), EP-51216, hGH(제어 방출, Biosphere), OGP-I, 시푸비르티드, TV4710, ALG-889, Org-41259, rhCC10, F-991, 티모펜틴(폐 질환), r(m)CRP, 간선택성 인슐린, 수발린, L19-IL-2 융합 단백질, 엘라핀, NMK-150, ALTU-139, EN-122004, rhTPO, 트롬보포이에틴 수용체 효능제(혈소판 감소 장애), AL-108, AL-208, 신경 성장 인자 길항제(통증), SLV-317, CGX-1007, INNO-105, 경구 테리파라티드(eligen), GEM-OS1, AC-162352, PRX-302, LFn-p24 융합 백신(Therapore), EP-1043, S 폐렴 소아과 백신, 말라리아 백신, 수막염균 B군 백신, 신생아 B군 연쇄상 구균 백신, 안트락스 백신, HCV 백신(gpE1+gpE2+MF-59), 중이염 요법, HCV 백신(코어 항원+ISCOMATRIX), hPTH(1-34)(경피, ViaDerm), 768974, SYN-101, PGN-0052, 아비스쿰닌, BIM-23190, 결핵 백신, 다중-에피토프 티로시나제 펩타이드, 암 백신, 엔카스팀, APC-8024, GI-5005, ACC-001, TTS-CD3, 혈관-표적화 TNF(고형 종양), 데스모프레신(구강 제어-방출), 오너셉트, 및 TP-9201이다.In an embodiment, the protein is, for example, BOTOX, Myobloc, Neurobloc, Dysport (or other serotypes of botulinum neurotoxin), aleucosidase alpha, Daptomycin, YH-16, cryonadotropin alfa, filgrastim, cetrorelix, interleukin-2, aldesleukin, teseriulin, denileukin diftitox, interferon alpha-n3 (injection), interferon alpha- nl, DL-8234, interferon, Suntory (gamma-1a), interferon gamma, thymosin alpha 1, tasonermin, DigiFab, ViperaTAb, EchiTAb, CroFab, nesiritide, abatacept, alefacept, Rebif, eptoterminalpa , Teriparatide (osteoporosis), calcitonin injection (bone disease), calcitonin (intranasal, osteoporosis), etanercept, hemoglobin glutamer 250 (bovine), drotrecogin alfa, collagenase, cafferitide,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topical gel, wound healing), DWP401, darbepoetin alfa, epoetin omega, epoetin beta, epoetin alfa, desirudin, lepirudin, bivalirudin, nonacog alfa, Mononine, Eptaco He Alpha (Activated), Recombinant Factor VIII+VWF, Recombinate, Recombinant Factor VIII, Factor VIII (Recombinant), Alphnmate, Octocog Alpha, Factor VIII, Palifermin, Indikinase, Tenecteplase, alteplase, pamiteplase, reteplase, nateplase, monteplase, follitropin alfa, rFSH, hpFSH, micafungin, pegfilgrastim, lenograstim, nartogras Tim, thermorelin, glucagon, exenatide, pramlintide, iniglucerase, galsulfase, leukotropin, molgramostyrne, triptorelin acetate, histrelin (subcutaneous implant, Hydron), Slorelin, histrelin, nafarelin, leuprolide sustained-release depot (ATRIGEL), leuprolide implant (DUROS), goserelin, utropin, KP-102 program, somatropin, Mecacermin ( growth failure), enlfavirtide, Org-33408, insulin glargine, insulin gluicine, insulin (inhaled), insulin lispro, insulin deternir, insulin (oral, RapidMist), mecasermin linfabate, anakinra, Selmoleukin, 99 mTc-Abcitide Injection, Myelopide, Betaseron, Glatiramer Acetate, Gepon, Sagramostim, Ofrelbekin, Human Leukocyte-Derived Alpha Interferon, Bilive, Insulin ( recombinant), recombinant human insulin, insulin aspart, mecacenin, loferon-A, interferon-alpha 2, alphaferon, interferon alphacon-1, interferon alpha, Avonex' recombinant human luteinizing hormone, donase alpha , trafermin, ziconotide, taltirelin, divoterminalpa, atosiban, becaplermin, eptifibatide, Zemaira, CTC-111, Shanvac-B, HPV vaccine (quadrivalent) , octreotide, lanreotide, ancestine, agalsidase beta, agalsidase alpha, laronidase, fresatide copper acetate (topical gel), rasburicase, ranibizumab, Actimmune , PEG-intron, tricomine, recombinant house dust mite allergy desensitization injection, recombinant human parathyroid hormone (PTH) 1-84 (sc, osteoporosis), epoetin delta, transgenic antithrombin III, granditrophin, vitrase, recombinant insulin. , interferon-alpha (oral lozenge), GEM-21S, vapreotide, idursulfase, omnapatrilat, recombinant serum albumin, certolizumab pegol, glucarpidase, human recombinant C1 esterase inhibitor (vascular edema), lanoteplase,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enfuvertide (needle-free injection, Biojector 2000), VGV-1, interferon (alpha), lucinactant, aviptadil (inhalation, pulmonary disease), icatibant , Ecalantide, Omiganan, Aurograb, Pexiganan Acetate, ADI-PEG-20, LDI-200, Degarelix, Syntredelin Vesudotox, Favld, MDX-1379, ISAtx-247, Liraglutide, Teriparatide (osteoporosis), Tipacogin, AA4500, T4N5 liposome lotion, catumaxomab, DWP413, ART-123, chrysalin, desmoteplase, amediplase, corypolytropin alfa, TH-9507, teduglutide, diamide (Diamyd), DWP-412, growth hormone (extended-release injection), recombinant G-CSF, insulin (inhaled, AIR), insulin (inhaled, Technosphere), insulin (inhaled, AERx) ), RGN-303, DiaPep277, interferon beta (for hepatitis C virus infection (HCV)), interferon alpha-n3 (oral), belatacept, transdermal insulin patch, AMG-531, MBP-8298, Xerecept , Opevacan, AIDSVAX, GV-1001, LymphoScan, ranfirnase, lipoxylic acid, rusupultide, MP52 (beta-tricalcium phosphate carrier, bone regeneration), melanoma vaccine, sipuleucel-T, CTP-37, Insegia, Vitesfen, human thrombin (frozen, surgical hemorrhage), thrombin, TransMID, alfimeplase, furicase, tulipresin (intravenous, hepatorenal syndrome), EUR-1008M, recombinant FGF- I (injectable, vascular disease), BDM-E, rotigaptide, ETC-216, P-113, MBI-594AN, duramycin (inhaled, cystic fibrosis), SCV-07, OPI-45, endostatin, angiostatin, ABT-510, Bauman-Burke Inhibitor Concentrate, , Interleukin 4, PRX-321, Pepscan, Ivotadechin, Lelactoferrin, TRU-015, IL-21, ATN-161, Cilengitide, Albuferon, Biphasix, IRX-2 , omega interferon, PCK-3145, CAP-232, pasireotide, huN901-DMI, ovarian cancer immunotherapy vaccine, SB-249553, Oncovax-CL, OncoVax-P, BLP-25, CerVax-16, multi-epitope peptide Melanoma vaccine (MART-1, gp100, tyrosinase), nemipitide, rAAT (inhalation), rAAT (dermatology), CGRP (inhalation, asthma), pegsunercept, thymosin beta4, plitidepsin, GTP-200 , ramoplanin, GRASPA, OBI-1, AC-100, salmon calcitonin (oral, eligen), calcitonin (oral, osteoporosis), examorelin, capromorelin, Cardeva, belafermin, 131I-TM-601 , KK-220, T-10, ularitide, defelestat, hematide, chrysalin (topical), rNAPc2, recombinant factor V111 (PEGylated liposomal), bFGF, PEGylated recombinant staphylokinase variant, V-10153, SonoLysis Prolyse, NeuroVax, CZEN-002, islet nephrogenic therapy, rGLP-1, BIM-51077, LY-548806, Exenatide (controlled release, Medisorb), AVE-0010, GA- GCB, arborrelin, ACM-9604, linaclotide acetate, CETi-1, Hemospan, VAL (injectable), short-acting insulin (injectable, Viadel), intranasal insulin, insulin (inhaled), insulin (oral, eligen), recombinant methionyl human leptin, Fitrakinra subcutaneous injection, eczema), Fitrakinra (inhaled dry powder, asthma), Multikine, RG-1068, MM-093, NBI-6024, AT- 001, PI-0824, Org-39141, Cpn10 (autoimmune disease/inflammation), Talatoferrin (topical), rEV-131 (ophthalmology), rEV-131 (respiratory disease), oral recombinant human insulin (diabetes), RPI- 78M, Ofrelbekin (oral), CYT-99007 CTLA4-Ig, DTY-001, Balategrast, Interferon alpha-n3 (topical), IRX-3, RDP-58, Tauferon, bile salt-stimulated lipase , merispase, alanine phosphatase, EP-2104R, melanotan-II, bremelanotide, ATL-104, recombinant human microplasmin, AX-200, SEMAX, ACV-1, Xen-2174, CJC-1008, Dino Lepin A, SI-6603, LAB GHRH, AER-002, BGC-728, malaria vaccine (virosome, PeviPRO), ALTU-135, parvovirus B19 vaccine, influenza vaccine (recombinant neuraminidase), malaria/HBV Vaccine, Anthrax vaccine, Vacc-5q, Vacc-4x, HIV vaccine (oral), HPV vaccine, Tat toxoid, YSPSL, CHS-13340, PTH(1-34) liposomal cream (Novasome), Ostabolin-C, PTH analog (topical, psoriasis), MBRI-93.02, MTB72F vaccine (tuberculosis), MVA-Ag85A vaccine (tuberculosis), FARA04, BA-210, recombinant plague FIV vaccine, AG-702, OxSODrol, rBetV1, Der-p1/Der -p2/Der-p7 allergen-targeted vaccine (dust mite allergy), PR1 peptide antigen (leukemia), mutant ras vaccine, HPV-16 E7 lipopeptide vaccine, labyrinthin vaccine (adenocarcinoma), CML vaccine, WT1-peptide vaccine. (Cancer), IDD-5, CDX-110, Fentris, Norelin, CytoFab, P-9808, VT-111, Icrocaptide, Telvermin (dermatology, diabetic foot ulcer), Rupintrivir, Reticul Ross, rGRF, HA, alpha-galactosidase A, ACE-011, ALTU-140, CGX-1160, angiotensin therapeutic vaccine, D-4F, ETC-642, APP-018, rhMBL, SCV-07 (oral, tuberculosis), DRF-7295, ABT-828, ErbB2-specific immunotoxin (anticancer), DT3SSIL-3, TST-10088, PRO-1762, Combotox, cholecystokinin-B/gastrin-receptor binding peptide, 111In -hEGF, AE-37, Trasnizumab-DM1, Antagonist G, IL-12 (recombinant), PM-02734, IMP-321, rhIGF-BP3, BLX-883, CUV-1647 (topical), L-19 based Radioimmunotherapy (cancer), Re-188-P-2045, AMG-386, DC/1540/KLH vaccine (cancer), VX-001, AVE-9633, AC-9301, NY-ESO-1 vaccine (peptide) , NA17.A2 peptide, melanoma vaccine (pulsatile antigen therapy), prostate cancer vaccine, CBP-501, recombinant human lactoferrin (dry eye), FX-06, AP-214, WAP-8294A (injectable), ACP-HIP , SUN-11031, peptide YY [3-36] (obesity, intranasal), FGLL, atacicept, BR3-Fc, BN-003, BA-058, human parathyroid hormone 1-34 (intranasal, osteoporosis), F -18-CCR1, AT-1100 (celiac disease/diabetes), JPD-003, PTH(7-34) liposomal cream (Novasome), duramycin (ophthalmology, dry eye), CAB-2, CTCE-0214, GlycoPEGylated erythropoietin, EPO-Fc, CNTO-528, AMG-114, JR-013, factor (immediate release), EP-51216, hGH (controlled release, Biosphere), OGP-I, sifuvirtide, TV4710, ALG-889, Org-41259, rhCC10, F-991, thymopentine (pulmonary disease), r( m)CRP, liver-selective insulin, subalin, L19-IL-2 fusion protein, elafin, NMK-150, ALTU-139, EN-122004, rhTPO, thrombopoietin receptor agonist (thrombocytopenia disorder), AL -108, AL-208, nerve growth factor antagonist (pain), SLV-317, CGX-1007, INNO-105, oral teriparatide (eligen), GEM-OS1, AC-162352, PRX-302, LFn-p24 Fusion vaccine (Therapore), EP-1043, S pneumoniae pediatric vaccine, malaria vaccine, Meningococcal group B vaccine, Neonatal group B streptococcal vaccine, Anthrax vaccine, HCV vaccine (gpE1+gpE2+MF-59), otitis media therapy, HCV vaccine (core antigen + ISCOMATRIX), hPTH(1-34) (transdermal, ViaDerm), 768974, SYN-101, PGN-0052, Aviscumnin, BIM-23190, tuberculosis vaccine, multi-epitope tyrosinase peptide, cancer vaccine, Encasstim, APC-8024, GI-5005, ACC-001, TTS-CD3, vascular-targeted TNF (solid tumors), desmopressin (oral controlled-release), Onercept, and TP-9201.

일부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타이드는 아달리무맙(HUMIRA), 인플릭시맙(REMICADE™), 리툭시맙(RITUXAN™/MAB THERA™) 에타너셉트(ENBREL™), 베바시주맙(AVASTIN™), 트라스투주맙(HERCEPTIN™), 페그릴그라스팀(NEULASTA™), 또는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및 바이오베터(biobetter)를 포함한 임의의 기타의 적합한 폴리펩타이드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polypeptide is selected from adalimumab (HUMIRA), infliximab (REMICADE™), rituximab (RITUXAN™/MAB THERA™) etanercept (ENBREL™), bevacizumab (AVASTIN™), tra stuzumab (HERCEPTIN™), pegrilgrastim (NEULASTA™), or any other suitable polypeptide, including biosimilars and biobetter.

기타의 적합한 폴리펩타이드는 아래 및 미국 특허 제2016/0097074호의 표 1에 열거된 것이다:Other suitable polypeptides are listed below and in Table 1 of US Patent No. 2016/0097074:

[표 1][Table 1]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6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6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7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7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8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8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9
Figure 112017121406961-pat00019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0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0

실시형태에서, 폴리펩타이드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호르몬, 혈병화/응고 인자, 사이토킨/성장 인자, 항체 분자, 융합 단백질, 단백질 백신, 또는 펩타이드이다.In embodiments, the polypeptide is a hormone, clotting/coagulation factor, cytokine/growth factor, antibody molecule, fusion protein, protein vaccine, or peptide as shown in Table 2.

[표 2] 예시적인 제품[Table 2] Example products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1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1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2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2

실시형태에서, 단백질은 다중특이적 단백질, 예를 들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특이적 항체이다. In an embodiment, the protein is a multispecific protein, such as a bispecific antibody as shown in Table 3.

[표 3] 이특이적 포맷[Table 3] Bispecific format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3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3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4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4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5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5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6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6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7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7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8
Figure 112017121406961-pat00028

Claims (23)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biopharmaceutical processing equipment)로서,
단백질성 가공 물질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 및 상기 표면을 세정하도록 구성된 제자리 세정(clean-in-place, CIP) 장치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표면은 25 Ra Max(μin) 이상 2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
As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equipment,
A vessel comprising a surface configured to contact the proteinaceous processing material, and a clean-in-place (CIP) device configured to clean the surface,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25 Ra Max (μin) or more and 250 Ra Max (μin)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35 Ra Max(μin) 초과 및 2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greater than 35 Ra Max (μin) and less than or equal to 250 Ra Max (μ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90 Ra Max(μin) 초과 및 1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greater than 90 Ra Max (μin) and less than or equal to 150 Ra Max (μ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150 Ra Max(μin)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150 Ra Max (μ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316L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urface is formed of 316L stainless steel.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로서,
단백질성 가공 물질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용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표면이 2.6mm의 표면 피팅(pitting)의 최대 깊이를 초과하는 표면 이상(surface anomaly)이 없는 표면 피니쉬(finish)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
As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container having a surface configured to contact the proteinaceous processing material,
wherein the surface has a surface finish free of surface anomalies exceeding a maximum depth of surface pitting of 2.6 m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장치 표면이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를 초과하는 표면 이상을 갖지 않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7.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processing device surface has no surface abnormalities exceeding a maximum scratch depth of 1.0 m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1.2mm의 표면 피팅의 최대 깊이를 초과하는 표면 이상을 갖지 않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7.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urface has no surface abnormalities exceeding a maximum depth of surface fitting of 1.2 m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316L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 7.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urface is formed of 316L stainless ste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20 Ra Max(μin) 초과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 7.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greater than 20 Ra Max (μ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35 Ra 초과 및 250 Ra Max(μin) 이하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 7.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greater than 35 Ra and less than or equal to 250 Ra Max (μ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150 Ra Max(μin)의 사전-시운전 표면 거칠기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7.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urface has a pre-commissioning surface roughness of 150 Ra Max (μ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1.2mm의 표면 피팅의 최대 깊이, 및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 중 어느 것을 초과하는 표면 이상이 없는 표면 피니쉬를 갖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7. The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surface has a surface finish free of surface abnormalities exceeding any of a maximum depth of surface pitting of 1.2 mm, and a maximum depth of scratches of 1.0 mm.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으로서,
가공 물질과 접촉하는 용기의 표면을 표면 이상의 존재여부에 대해 검사하는 단계;
상기 표면 상의 표면 이상의 물리적 특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이상이 소정의 역치(threshold)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면으로부터 표면 이상을 교정(remediat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
As a repair method for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inspecting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material for the presence of surface abnormalities;
measu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beyond the surface on the surface; and
If the surface abnormality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remediating the surface abnormality from the surface.
A repair method of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특징이 피트 깊이 및/또는 스크래치 깊이인,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 is pit depth and/or scratch depth.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상이 피트이고, 상기 소정의 역치가 2.6mm의 최대 피트 깊이인,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The repair method of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urface abnormality is a pit,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maximum pit depth of 2.6 m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상이 피트이고, 상기 소정의 역치가 1.2mm의 최대 피트 깊이인,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The method of repairing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urface abnormality is a pit,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maximum pit depth of 1.2 m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상이 마이크로피트(micropit)이고, 상기 소정의 역치가 검사 면적(inspection area)당 2600의 최대 마이크로피트 밀도인,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urface abnormalities are micropits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maximum micropit density of 2600 per inspection are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상이 스크래치이고, 상기 소정의 역치가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인,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The repair method of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urface abnormality is a scratch,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maximum scratch depth of 1.0 m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상이 표면 거칠기이고, 상기 소정의 역치가 150 Ra Max(μin) 이하의 표면 피니쉬인,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The repair method of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urface abnormality is surface roughness, and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s a surface finish of 150 Ra Max (μin) or les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역치가, 1.2mm의 최대 피트 깊이, 검사 면적당 2600의 최대 마이크로피트 밀도, 1.0mm의 최대 스크래치 깊이, 및 150 Ra Max(μin) 이하의 표면 피니쉬를 포함하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edetermined thresholds include a maximum pit depth of 1.2 mm, a maximum micropit density of 2600 per inspection area, a maximum scratch depth of 1.0 mm, and a surface finish of less than or equal to 150 Ra Max (μin). Repair method for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equipment. 제14항에 있어서, 가공 물질과 접촉하는 용기의 표면을 표면 이상의 존재여부에 대해 검사하는 단계가, 반응기 용기의 표면을 외관 검사하는 단계 및 이상(anomaly)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깊이 게이지 기구(depth gauge instrument)를 사용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inspecting the surface of the vessel in contact with the processed material for the presence of a surface anomaly comprises visually inspecting the surface of the reactor vessel and a depth gauge device to measure the depth of the anomaly. A method of repairing a biopharmaceutical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teps of using a depth gauge instrume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표면 이상을 교정하는 단계가 표면 이상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버핑 장치(buffing apparatus)로 표면을 버핑시킴을 포함하는, 바이오약제 가공 장치의 수리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correcting surface abnormalities from the surface comprises buffing the surface with a buffing apparatus sufficient to remove the surface abnormalities.
KR1020160128634A 2016-10-05 2016-10-05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Active KR1026383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634A KR102638347B1 (en) 2016-10-05 2016-10-05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634A KR102638347B1 (en) 2016-10-05 2016-10-05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67A KR20180037867A (en) 2018-04-13
KR102638347B1 true KR102638347B1 (en) 2024-02-21

Family

ID=6197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634A Active KR102638347B1 (en) 2016-10-05 2016-10-05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3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8066A (en) 2018-06-29 2021-10-21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Methods and equipment for casting webs of materials containing alkaloi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053A1 (en) * 2002-04-04 2003-10-09 Felbaum John W. Inert-metal lined steel-bodied vessel end-closure device
JP2007502371A (en) * 2003-05-23 2007-02-08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リミティド Method for preventing protein contamination and composition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74977A (en) * 1970-12-02 1974-11-20 Fairey Stainless Ltd Double-walled containers and their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9053A1 (en) * 2002-04-04 2003-10-09 Felbaum John W. Inert-metal lined steel-bodied vessel end-closure device
JP2007502371A (en) * 2003-05-23 2007-02-08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リミティド Method for preventing protein contamination and composition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67A (en)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0142B2 (en) Cell culture system and method
WO2020041454A1 (en) A process for creating reference data for predicting concentrations of quality attributes
CN111344558A (en) Automated Cell Culture Control Using Raman Spectroscopy
JP756699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rowing cell cultures while preventing lactate accumulation
KR1028075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uffer solutions
US20120103810A1 (en) High-sensitivity proteolysis assay
JP7335873B2 (en) Perfusion device for use in a bioreactor system
WO2018031769A1 (en) Biopharmaceutical batch recipe review by exception
KR102638347B1 (en)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JP2023156329A (en) Host cell for producing protein of interest
US10808216B2 (en) Reactor surface finish remediation
JP6974341B2 (en) Improved fermentation process
WO2012052170A1 (en) Secretion of recombinant polypeptides in the extracellular medium of diatoms
ES2922351T3 (en) Buffer formulation method and system
CN110418849A (en) The method analyzed multiple cells and detect the protein sequence variants in biological product manufacture
JP2020505059A (en) Methods for assessing monoclonality
CN110072602A (en) Filter assemblies with filter locking design
Markley et al. ProdudngProteinsUsing Iransgenic 0ibody-0leosinled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4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