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7596B1 - 기능성 목공교구 - Google Patents

기능성 목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596B1
KR102637596B1 KR1020220034027A KR20220034027A KR102637596B1 KR 102637596 B1 KR102637596 B1 KR 102637596B1 KR 1020220034027 A KR1020220034027 A KR 1020220034027A KR 20220034027 A KR20220034027 A KR 20220034027A KR 102637596 B1 KR102637596 B1 KR 10263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quare unit
woodworking
timbers
squa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381A (ko
Inventor
임채휘
Original Assignee
(주)보노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노보씨 filed Critical (주)보노보씨
Priority to KR102022003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596B1/ko
Publication of KR2023013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5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기능성 목공교구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목공교구는 이웃한 것끼리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매용 합판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단면 사각의 목재로 제작되는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 및 단면 원형의 목재로 제작되되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 또는 상기 판매용 합판과 선택적으로 분해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단위목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은 그 길이가 3의 배수로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목공교구{EDUCATIONAL INSTRUMENT OF WOODWORK}
본 발명은, 기능성 목공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의 재단 특성을 활용하여 블록 또는 블록형 장난감처럼 다양한 모양과 형상, 구조를 창출해 낼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이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두 손으로 직접 목공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공수업의 본래 목적인 나무의 성격과 도구 활용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는, 기능성 목공교구에 관한 것이다.
목공실습 교구, 즉 목공교구는 목재를 이용해서 다양한 모양과 형상,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통상의 목공교구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목공교구는 작업대(10), 수직프레임(20), 수평프레임(30), 가압블럭(40), 제1 간극조절블럭(50)을 포함하며, 이러한 부품, 유닛을 통해 여려 제품을 만들 수 있게끔 한다.
물론, 도 1 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목공교구들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목공교구는 그 구조적, 기능적인 한계로 인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즉 기존의 목공교구를 이용한 목공수업은 수업 의뢰자의 주문 형태로 재단이 되어 특정한 형태로만 제작이 가능하다. 때문에, 수업 중 재료의 파손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재단이 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사전 재단 후 수업이 진행되지 않으며, 재단된 나무의 보관 등 재고관리의 어려움이 많다.
특히, 기존 목공수업은 재단된 나무를 이용하여 정해진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 목공풀과 나사로 고정하는 한계성이 있으며, 가정에서 용이하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수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성 목공교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1068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0955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0027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42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의 재단 특성을 활용하여 블록 또는 블록형 장난감처럼 다양한 모양과 형상, 구조를 창출해 낼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이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두 손으로 직접 목공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공수업의 본래 목적인 나무의 성격과 도구 활용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는, 기능성 목공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이웃한 것끼리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매용 합판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단면 사각의 목재로 제작되는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 및 단면 원형의 목재로 제작되되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 또는 상기 판매용 합판과 선택적으로 분해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단위목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은 그 길이가 3의 배수로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공교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판매용 합판의 두께는 12mm, 15mm 또는 18mm이며,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은 길이가 각각 60mm에서 240mm까지 3의 배수로 결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의 단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다.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의 단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30mm 및 15mm이다.
상기 원형 단위목재의 지름이 35mm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의 재단 특성을 활용하여 블록 또는 블록형 장난감처럼 다양한 모양과 형상, 구조를 창출해 낼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이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두 손으로 직접 목공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공수업의 본래 목적인 나무의 성격과 도구 활용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목공실습 교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사각 단위목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원형 단위목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의 다양한 활용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를 이용해서 만든 전통모양조명등의 이미지이다.
도 12a 내지 도 12m은 도 11의 전통모양조명등을 만들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업 이미지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사각 단위목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사각 단위목재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의 구조도, 도 3은 도 2의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사각 단위목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원형 단위목재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의 다양한 활용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를 이용해서 만든 전통모양조명등의 이미지, 도 12a 내지 도 12m은 도 11의 전통모양조명등을 만들기 위한 순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작업 이미지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의 재단 특성을 활용하여 블록 또는 블록형 장난감처럼 다양한 모양과 형상, 구조를 창출해 낼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이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두 손으로 직접 목공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공수업의 본래 목적인 나무의 성격과 도구 활용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는 크게,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110)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단위목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110)는 이웃한 것끼리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매용 합판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단면 사각의 목재로 제작된다.
예컨대,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110)는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111~117)일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111~117)는 모두가 이웃한 것끼리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매용 합판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되 단면 사각의 목재로 제작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110) 즉,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111~117)는 그 길이(C)가 3의 배수로 재단된다. 이는 판매용 합판의 두께가 12mm, 15mm 또는 18mm인 것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개시되는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111~117)는 길이(C)가 각각 60mm에서 240mm까지 3의 배수로 결정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110)를 이루는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111~117)의 단면 가로(A) 및 세로(B)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다. 이때, 이들의 단면 가로(A) 및 세로(B)의 길이가 각각 30mm 및 15mm로 정해질 수 있다.
원형 단위목재(120)는 단면 원형의 목재로 제작되되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110) 또는 판매용 합판과 선택적으로 분해 조립되는 부품이다. 원형 단위목재(120)는 한 개 구비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복수 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형 단위목재(120)는 그 지름(D)이 35mm로 선정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는 사각 단위목재(110)와 원형 단위목재(120)가 규칙적인 사이즈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과의 상호작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물건, 물품을 제작할 수 있다.
앞서 잠시 언급한 것처럼 기존 목공 수업은 재단된 나무를 이용하여 정해진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 목공풀과 나사로 고정하는 한계성이 있으며, 가정에서 용이하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는 사각 단위목재(110)와 원형 단위목재(120)가 규칙적인 사이즈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과의 상호작용으로 다채롭게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를 이용한 활용은 25개의 기본 제작 과정(초급, 중급 및 급) 이후 활용되는 목공 블록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응용 제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돌 수 있어서 자신이 제작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도면을 그린 후, 소요가 예상되는 나무 블록, 즉 사각 단위목재(110)와 원형 단위목재(120)의 개수를 확인하여 다양한 목공품들을 완성 할 수 있다. 블록 장난금의 경우 제시되는 작품이외 해체 후 자신이 생각하는 새로운 형태로 재조립 가능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를 이용해서 제품을 만들 때는 전동드릴을 활용한 목공비트와 못으로 연결함으로써 나무 결합 시 입체적 사고를 통해 나무를 결합하기 위한 못의 위치와 가시적으로 보이는 못도 디자인적으로 표현하는 형태의 수업이 진행될 수 있게끔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를 이용한 수업 활용은 위의 내용외에서 성장 과정에서 집에서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두 손으로 직접 참여함으로 목공수업의 본래 목적인 나무의 성격과 도구 활용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다.
예컨대, 난이도 초급인 2칸 수납함의 경우, 도 5처럼 재료를 준비하고 순서대로 조립해서 도 6처럼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난이도 중급인 꽃병 받침대의 경우, 도 7처럼 재료를 준비하고 순서대로 조립해서 도 8처럼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난이도 상급인 나무 보석함의 경우, 도 9처럼 재료를 준비하고 순서대로 조립해서 도 10처럼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제품, 즉 2단수납함, 리모컨거치대, 의자화분받침대, 책꽂이, 티비선반 등도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100)를 이용해서 충분히 제작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 12a 내지 도 12m의 방법대로 해서 도 11과 같은 형태의 전통모양조명등 역시 만들 수도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의 효과도 배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의 재단 특성을 활용하여 블록 또는 블록형 장난감처럼 다양한 모양과 형상, 구조를 창출해 낼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이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두 손으로 직접 목공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공수업의 본래 목적인 나무의 성격과 도구 활용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의 구조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사각 단위목재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200) 역시,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210)와 적어도 하나의 원형 단위목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210)는 이웃한 것끼리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매용 합판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단면 사각의 목재로 제작되며, 본 실시예에서도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211~217)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211~217)는 모두가 이웃한 것끼리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매용 합판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되 단면 사각의 목재로 제작된다.
한편, 제1 내지 제7 사각 단위목재(211~217)들로 이루어지는 사각 단위목재(210)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는 시트 자리홈부(210a)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시트 자리홈부(210a)에 투명, 흑백 혹은 칼라로 된 장식 시트(23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부착의 방법은 테이프 등 다양할 수 있다.
이처럼 사각 단위목재(210)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장식 시트(23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면 이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제품의 외관의 미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장식 시트(230)에 숫자, 문자 등이 포함될 경우라면 아이들의 수학 학습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시중에서 판매되는 나무 합판의 재단 특성을 활용하여 블록 또는 블록형 장난감처럼 다양한 모양과 형상, 구조를 창출해 낼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이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두 손으로 직접 목공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공수업의 본래 목적인 나무의 성격과 도구 활용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공교구 중에서 사각 단위목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각 단위목재(310)는 자기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사각 단위목재 부분(310a,310b)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2개의 제1 및 제2 사각 단위목재 부분(310a,310b)이 개시되었으나 이들의 개수가 3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사각 단위목재 부분(310a,310b)들이 자기적으로 탈부착되게 제1 및 제2 사각 단위목재 부분(310a,310b)들에 자석(330)이 매입되게 마련된다.
이때, 제1 및 제2 사각 단위목재 부분(310a,310b)들이 3의 배수로 맞춰져 있을 경우, 위의 실시예들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목공교구
110 : 사각 단위목재
120 : 원형 단위목재

Claims (4)

  1. 이웃한 것끼리 또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판매용 합판과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단면 사각의 목재로 제작되는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 및
    단면 원형의 목재로 제작되되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 또는 상기 판매용 합판과 선택적으로 분해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단위목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은 그 길이가 3의 배수로 재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는 투명, 흑백 또는 칼라로 된 장식 시트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시트 자리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공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용 합판의 두께는 12mm, 15mm 또는 18mm이며,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은 길이가 각각 60mm에서 240mm까지 3의 배수로 결정되며,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의 단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공교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사각 단위목재들의 단면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30mm 및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공교구.
  4. 삭제
KR1020220034027A 2022-03-18 2022-03-18 기능성 목공교구 Active KR10263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027A KR102637596B1 (ko) 2022-03-18 2022-03-18 기능성 목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027A KR102637596B1 (ko) 2022-03-18 2022-03-18 기능성 목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81A KR20230136381A (ko) 2023-09-26
KR102637596B1 true KR102637596B1 (ko) 2024-02-19

Family

ID=8819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027A Active KR102637596B1 (ko) 2022-03-18 2022-03-18 기능성 목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5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71U (ko) 1995-06-05 1997-01-21 임재윤 왕골을 이용한 매트리스
JP3069452U (ja) * 1999-12-06 2000-06-23 梶浦株式会社 組立おもちゃ
US20030027786A1 (en) 2001-06-06 2003-02-06 Karsten Maeder Lipase inhibiting composition
JP3131646U (ja) * 2007-02-27 2007-05-17 株式会社学栄 知育用積木
KR20090009553A (ko) 2007-07-20 2009-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볼의 위치를 제어하는 볼 케이스
KR20160028770A (ko) * 2014-09-04 2016-03-14 송경호 전통 가옥의 미니어처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8770호(2016.3.14. 공개) 1부.*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13982호(1995.7.25. 발행)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381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0091A1 (en) Wood construction toy
KR102637596B1 (ko) 기능성 목공교구
Lovell Limited edition: prototypes, one-offs and design art furniture
US312420A (en) Toy block
JP3141768U (ja) サイコロ、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サイコロ型積み木
US7044824B2 (en) Roof system for a log building toy
Luusua et al. Perceptions of Log and Log Buildings among Finnish Architectural and Building Industry Professionals
Kashim et al. Culturally inspired design education: A Nigerian case study
CN212394362U (zh) 一种成套家具的饰面
CN210170847U (zh) 传统家具造型玩具
Floré Casimir's skilled experiments on craftmanship, materiality and use
CN206492216U (zh) 一种十字形拼接板
CN204936623U (zh) 一种用户自己拼装的笔筒和家具系列
CN201827188U (zh) 结构体联结组件
CN110319087A (zh) 一种应用多种京作硬木家具榫卯结构接合而成的教具
JP2006034615A (ja) 組立構造体
CN219836114U (zh) 一种益智玩具鲁班锁
Ingle The tree as a symbol of tradition and sustainability in Japanese and Irish Woodcraft
CN116076873A (zh) 一种构件组合书立
JP6810761B2 (ja) 面フレームと面フレーム接合部品によるフレーム造形物
TWM600188U (zh) 用於堆疊框體之積木榫接單元
Trivedi Making small batch producers in India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ustainable
Kopf A marquetry odyssey: historical objects and personal work
US20040250508A1 (en) Wood products with hidden joined markings and a finished veneer look
Inangda et al. Building in Thailand as Architectu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8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40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8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