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6014B1 - 헤드셋 - Google Patents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014B1
KR102636014B1 KR1020230109306A KR20230109306A KR102636014B1 KR 102636014 B1 KR102636014 B1 KR 102636014B1 KR 1020230109306 A KR1020230109306 A KR 1020230109306A KR 20230109306 A KR20230109306 A KR 20230109306A KR 102636014 B1 KR102636014 B1 KR 10263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eaker
ear
baffle
moun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102023010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014B1/ko
Priority to US18/676,510 priority patent/US202500714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패드가 구비된 헤드 밴드; 헤드 밴드의 양쪽에 설치되는 길이 조절부재; 길이 조절부재에 설치되며, 스피커가 배플에 의해 내장된 이어 컵; 이어 컵에 설치되는 이어 패드; 하나의 이어 컵에 설치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회전부재; 회전부재의 주변으로 이어 컵에 설치되며, 스피커 및 마이크와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스피커의 음향을 사용자의 귀에 명확하고 크게 들리게 해주는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플은 이어 컵의 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쪽이 개방되며, 공간의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스피커가 걸리면서 끼워지는 걸림턱을 가진 제1장착부가 형성되고, 공간의 반대편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걸림턱을 가진 제2장착부가 형성되며, 제2장착부의 외면에 이어 컵의 제1판에 부착되면서 이어 패드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2판이 형성된 배플 바디와, 걸림턱에 걸리면서 제2장착부에 끼워지며, 다수의 관통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배플판으로 구성하되, 배플 바디의 공간은 제1장착부에 장착된 스피커의 음향이 집중되는 집중공간부와, 음향을 제2장착부를 향해 배출하는 배출공간부와, 음향을 배플판을 향해 확산시켜서 배출하는 확산공간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셋{Headset}
본 발명은 이어 컵에 내장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해주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은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의 전화통화 혹은 음악 감상 등을 할 때,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헤드셋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화 혹은 음향기기 등의 장치에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를 재생하였다.
그리고, 헤드셋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의 전화통화 혹은 음악 감상 등을 하면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오락게임 또는 음악 등을 청취하면서 독서를 즐길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기판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퍼 및 트위터; 상기 우퍼 및 트위터가 내장되어 안착 및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우퍼 및 트위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음향을 합성시키는 음향합성실을 형성시키는 격벽과, 상기 음향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다수의 음향홀을 형성시킨 전자파 실드 성형 재료로 제작된 외형케이스; 및 상기 외형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외형케이스에 형성된 음향홀과 연통되는 음향홀이 형성된 배플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저음 강화 및 전자파 차폐 헤드폰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우퍼에서 음향이 출력되면 일부가 우퍼의 후방에 위치된 외형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면서 돌아다니다가 잡음으로 변형되었으며, 외형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외부에서 발생된 잡음이 유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우퍼에서 출력된 음향이 음향합성실에서 잡음과 섞일 수 있는 우려와 함께, 음질이 저하된 음향이 사용자의 귀에 제공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52594호(2001.10.19.등록.)
이에 본 발명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이어 컵의 내부에서 잡음과 섞이는 것을 종래보다 막아주면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사용자의 귀에 명확하고 크게 들리게 해주는 배플을 갖춘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며, 중앙에 헤드 패드가 구비된 헤드 밴드; 헤드 밴드의 양쪽에 각각 헤드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길이 조절부재; 각 길이 조절부재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며, 스피커가 배플에 장착되어 내장된 이어 컵; 각 이어 컵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이어 패드; 이어 패드의 반대편으로 하나의 이어 컵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마이크가 구비된 회전부재; 회전부재의 주변으로 이어 컵에 설치되며, 스피커 및 마이크와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된 케이블을 포함하되, 이어 컵은 스피커가 배플에 장착되어 내장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공간의 한쪽이 개방되며, 공간의 개방된 입구에 제1판이 형성되고, 이어 패드는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관통구멍의 한쪽에 제1판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헤드셋에 있어서, 배플은 이어 컵의 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양쪽이 개방되며, 공간의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스피커가 걸리면서 끼워지는 걸림턱을 가진 제1장착부가 형성되고, 공간의 반대편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걸림턱을 가진 제2장착부가 형성되며, 제2장착부의 외면에 제1판에 부착되면서 이어 패드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제2판이 형성된 배플 바디와, 걸림턱에 걸리면서 제2장착부에 끼워지며, 다수의 관통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배플판으로 구성하되, 공간은 제1장착부에 이웃하며, 제1장착부에서 제2장착부를 향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집중되는 집중공간부와, 집중공간부와 연결되어 음향을 제2장착부를 향해 배출하는 배출공간부와, 배출공간부와 연결되어 제2장착부에 이웃하며, 제1장착부에서 제2장착부를 향할수록 집중공간부보다 넓게 형성되어 음향을 배플판을 향해 확산시켜서 배출하는 확산공간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어 컵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음향의 일부가 변형되어 형성된 잡음 및, 이어 컵의 외부에서 발생된 잡음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섞이는 것을 배플의 배플 바디로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음향은 배플 바디에서 집중공간부에 집중되었다가 배출공간부를 통해 확산공간부로 배출됨에 의해, 확산되면서 커지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배플을 통과한 음향은 사용자의 귀에 명확하고 크게 들리게 되면서, 양호한 음질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어 컵의 제1판에 배플 바디의 제2판이 넓게 지지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배플이 흔들림과 동시에, 잡음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플 바디의 공간의 내면이 집중곡면, 배출곡면, 확산곡면으로 형성되어 음향의 충돌 및 반사되는 현상을 줄여주기 때문에, 음향의 진행 방향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와 함께, 충돌 및 반사되는 현상에 의한 음향의 변형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음향의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양호한 음질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피커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가 사용자의 기울어진 귀에 맞게 배플 바디에 기울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스피커의 중심과 사용자의 귀의 중심이 거의 일치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곧바로 사용자의 기울어진 귀로 향하기 때문에, 청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어 컵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잡음을 흡음재로 흡수해주기 때문에, 배플 바디의 내부에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잡음이 섞이는 것을 더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진망으로 먼지를 차단해주기 때문에, 배플판의 다수의 관통구멍으로 먼지가 끼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먼지 끼임에 의한 음향의 음질 저하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플 바디의 제1장착부에 장착되는 스피커보다 지름이 큰 스피커를 배플 바디의 제3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를 선택해서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피커의 지름 크기에 따라 배플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의 배플 바디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의 배플 바디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의 배플 바디의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의 사용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따른 헤드셋의 배플 바디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헤드셋(1000)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며, 중앙에 헤드 패드(110)가 구비된 헤드 밴드(100); 상기 헤드 밴드(100)의 양쪽에 각각 상기 헤드 밴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길이 조절부재(200); 각 상기 길이 조절부재(200)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며, 스피커(410)가 배플(400)에 장착되어 내장된 이어 컵(300); 각 상기 이어 컵(300)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이어 패드(500); 상기 이어 패드(500)의 반대편으로 하나의 이어 컵(300)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마이크(610)가 구비된 회전부재(600); 상기 회전부재(600)의 주변으로 이어 컵(300)에 설치되며, 스피커(410) 및 마이크(610)와 연결되는 연결단자(710)가 구비된 케이블(7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 패드(110)는 사용자의 두부에 쿠션감을 제공하게 되며, 길이 조절부재(200)는 상기 사용자의 두부 길이에 맞게 헤드 밴드(100)의 양쪽에서 상기 헤드 밴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600)는 한쪽 끝에 마이크(610)가 구비되면서 다관절 형태의 암으로 구성되며, 케이블(700)의 연결단자(710)는 음향기기 등과 같은 장치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 컵(3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310)의 한쪽이 개방되며, 상기 공간(310)의 개방된 입구에서 제1판(320)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배플(400)은 이어 컵(300)의 공간(310)에 삽입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간(421)의 양쪽이 개방되며, 상기 공간(421)의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서 스피커(410)가 걸리면서 끼워지는 걸림턱(422a)을 가진 제1장착부(4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간(421)의 반대편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서 걸림턱(423a)을 가진 제2장착부(42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장착부(423)의 외면 즉, 테두리에서 제1판(320)에 부착되는 제2판(424)이 돌출 형성된 배플 바디(4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410)는 제1장착부(422)에 끼워지면서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며, 제2판(424)의 후면은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제1판(320)의 전면에 부착되고, 배플 바디(420)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부(422)는 제2장착부(423)와의 사이에 각도(θ)가 형성되도록 공간(421)의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기울어져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스피커(410)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422)가 사용자의 기울어진 귀로 향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1장착부(422)의 중심을 지나는 제1가상선(C1)과, 제2장착부(423)의 중심을 지나는 제2가상선(C2)의 사이에는 각도(θ)가 형성된다.
상기 배플(400)은 걸림턱(423a)에 걸리면서 제2장착부(423)에 끼워지며, 다수의 관통구멍(431)이 외면에 형성된 배플판(43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배플판(430)은 제2장착부(423)에 끼워지면서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되며,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421)은 제1장착부(422)에 이웃하며, 상기 제1장착부(422)에서 제2장착부(423)를 향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스피커(4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집중되는 집중공간부(421a);, 상기 집중공간부(421a)와 연결되어 음향을 제2장착부(423)를 향해 배출하는 배출공간부(421b);, 상기 배출공간부(421b)와 연결되어 제2장착부(423)에 이웃하며, 제1장착부(422)에서 상기 제2장착부(423)를 향할수록 집중공간부(421a)보다 넓게 형성되어 음향을 배플판(430)을 향해 확산시켜서 배출하는 확산공간부(421c)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집중공간부(421a)의 내면은 곡면 형태의 집중곡면(421a')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간부(421b)의 내면은 곡면 형태의 배출곡면(421b')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공간부(421c)의 내면은 곡면 형태의 확산곡면(421c')이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음향이 부딪힐 수 있는 공간(421)의 내면을 각이 없도록 곡면화하여, 그 곡면을 따라 상기 음향을 용이하게 이동하게 함으로써 양호한 음질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이어 패드(500)는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구멍(5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510)의 한쪽에 제1,2판(320)(424)이 끼워지는 끼움홈(5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귀는 관통구멍(510)에 삽입되며, 이어 패드(500)는 상기 사용자의 귀 주변에 쿠션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헤드셋(1000)은 이어 컵(300)의 공간(310)에 삽입되는 흡음재(330)와, 제2판(424)에 부착되는 방진망(44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흡음재(330)는 스피커(4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이어 컵(300)의 공간(310)에 삽입되며, 흡음 효과 및 신축성 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방진망(440)은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제2판(424)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2판(424)과 함께 이어 패드(500)의 끼움홈(520)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헤드셋(10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410)를 걸림턱(422a)에 걸리게 하면서 제1장착부(422)에 끼우고, 배플판(430)을 걸림턱(423a)에 걸리게 하면서 제2장착부(423)에 끼운다.
그러면, 상기 배플 바디(420)에 스피커(410) 및 배플판(430)이 장착되면서 배플(40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 컵(300)의 공간(310)에 흡음재(330)를 삽입한 후, 배플 바디(420)를 삽입시키면서 상기 배플 바디(420)의 제2판(424)을 이어 컵(300)의 제1판(320)에 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피커(410)는 배플(400)에 의해 이어 컵(300)에 내장되며, 상기 배플(400)의 제2판(424)은 이어 컵(300)의 제1판(320)에 지지된다.
그 다음, 상기 배플 바디(420)의 제2판(424)에 방진망(440)을 부착시킨 후, 이어 패드(500)의 끼움홈(520)에 제1,2판(320)(424)과 상기 방진망(440)의 테두리를 끼운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이어 컵(300)에는 각각 한 쌍의 이어 패드(500)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본 발명의 헤드셋(1000)을 착용시키면, 제1,2장착부(422)(423)의 사이에는 각도(θ)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장착부(422)는 사용자의 기울어진 귀를 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1장착부(422)에 장착된 스피커(410)도 사용자의 기울어진 귀를 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700)의 연결단자(710)를 음향기기 등에 연결시킨 후, 스피커(410)에서 음향을 출력시킨다.
상기 스피커(410)에서 출력된 음향은 배플 바디(420)의 공간(421)을 지나게 되는데, 상기 음향은 집중곡면(421a')을 따라 용이하게 안내되어 제1장착부(422)에서 제2장착부(423)를 향할수록 좁게 형성된 집중공간부(421a)에 최대한 집중되고, 집중된 상기 음향은 배출곡면(421b')을 따라 용이하게 안내되어 배출공간부(421b)를 통해 확산공간부(421c)로 배출되며, 집중된 상기 음향은 확산곡면(421c')을 따라 용이하게 안내되어 제1장착부(422)에서 제2장착부(423)를 향할수록 집중공간부(421a)보다 넓게 형성된 확산공간부(421c)에서 확산하게 되면서 커지게 된다.
즉, 상기 스피커(410)에서 출력된 음향은 충돌 및 반사되는 현상을 줄어들게 해주는 곡면화된 공간(421)의 내면에 용이하게 안내되어 배플판(430)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플 바디(420)는 스피커(410)에서 음향 출력 시, 상기 음향의 일부가 스피커(410)의 후방 즉, 이어 컵(300)의 공간(310)으로 유입되어 변형된 잡음이 공간(4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상기 이어 컵(300)의 외부에서 발생된 잡음도 공간(4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잡음은 흡음재(330)에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410)는 제1장착부(422)의 중심을 지나는 제1가상선(C1)과, 제2장착부(423)의 중심을 지나는 제2가상선(C2)의 사이에는 각도(θ)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기울어진 귀를 향하기 때문에, 배플 바디(420)의 공간(421)을 지나게 된 상기 스피커(410)의 음향은 배플판(430)의 다수의 관통구멍(431)을 통과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기울어진 귀를 향하게 된다.
결국, 상기 스피커(410)의 음향은 본 발명의 헤드셋(1000)의 배플(400)에 의해 잡음이 섞이지 않으면서 커진 상태로 사용자의 귀에 전달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따른 상기 헤드셋(1000)의 제1장착부(422)의 외면에는 스피커(410)보다 지름이 큰 스피커(410)가 걸리면서 끼워지는 걸림턱(425a)을 가진 제3장착부(425)가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지름이 큰 상기 스피커(410)를 걸림턱(425a)에 걸리게 하면서 제3장착부(425)에 끼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스피커(410)를 대신하여, 상기 스피커(410)보다 지름이 큰 스피커(410)를 제3장착부(425)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헤어 밴드 110 : 헤드 패드
200 : 길이 조절부재 300 : 이어 컵
310 : 공간 320 : 제1판
330 : 흡음재 400 : 배플
410 : 스피커 420 : 배플 바디
421 : 공간 421a : 집중공간부
421a' : 집중곡면 421b : 배출공간부
421b' : 배출곡면 421c : 확산공간부
421c' : 확산곡면 422 : 제1장착부
422a : 걸림턱 423 : 제2장착부
423a : 걸림턱 424 : 제2판
425 : 제3장착부 425a : 걸림턱
430 : 배플판 431 : 관통구멍
440 : 방진망 500 : 이어 패드
510 : 관통구멍 520 : 끼움홈
600 : 회전부재 610 : 마이크
700 : 케이블 710 : 연결단자
1000 : 헤드셋

Claims (6)

  1.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며, 중앙에 헤드 패드(110)가 구비된 헤드 밴드(100); 상기 헤드 밴드(100)의 양쪽에 각각 상기 헤드 밴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길이 조절부재(200); 각 상기 길이 조절부재(200)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며, 스피커(410)가 배플(400)에 장착되어 내장된 이어 컵(300); 각 상기 이어 컵(300)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이어 패드(500); 상기 이어 패드(500)의 반대편으로 하나의 이어 컵(300)에 회전되게 설치되며, 마이크(610)가 구비된 회전부재(600); 상기 회전부재(600)의 주변으로 이어 컵(300)에 설치되며, 스피커(410) 및 마이크(610)와 연결되는 연결단자(710)가 구비된 케이블(700)을 포함하되,
    상기 이어 컵(300)은 스피커(410)가 배플(400)에 장착되어 내장되는 공간(310)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310)의 한쪽이 개방되며, 상기 공간(310)의 개방된 입구에 제1판(320)이 형성되고,
    상기 이어 패드(500)는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구멍(5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510)의 한쪽에 제1판(320)이 끼워지는 끼움홈(520)이 형성된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배플(400)은 이어 컵(300)의 공간(310)에 삽입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간(421)의 양쪽이 개방되며, 상기 공간(421)의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스피커(410)가 걸리면서 끼워지는 걸림턱(422a)을 가진 제1장착부(4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421)의 반대편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걸림턱(423a)을 가진 제2장착부(42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장착부(423)의 외면에 제1판(320)에 부착되면서 이어 패드(500)의 끼움홈(520)에 끼워지는 제2판(424)이 형성된 배플 바디(420)와,
    상기 걸림턱(423a)에 걸리면서 제2장착부(423)에 끼워지며, 다수의 관통구멍(431)이 외면에 형성된 배플판(430)으로 구성하되,
    상기 공간(421)은 제1장착부(422)에 이웃하며, 상기 제1장착부(422)에서 제2장착부(423)를 향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스피커(4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집중되는 집중공간부(421a)와, 상기 집중공간부(421a)와 연결되어 음향을 제2장착부(423)를 향해 배출하는 배출공간부(421b)와, 상기 배출공간부(421b)와 연결되어 제2장착부(423)에 이웃하며, 제1장착부(422)에서 상기 제2장착부(423)를 향할수록 집중공간부(421a)보다 넓게 형성되어 음향을 배플판(430)을 향해 확산시켜서 배출하는 확산공간부(421c)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공간부(421a)의 내면은 집중곡면(421a')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간부(421b)의 내면은 배출곡면(421b')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공간부(421c)의 내면은 확산곡면(421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422)는 제2장착부(423)와의 사이에 각도(θ)가 형성되도록 공간(421)의 한쪽의 개방된 입구에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컵(300)의 공간(310)에는 흡음재(3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424)에는 방진망(44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422)의 외면에는 스피커(410)보다 지름이 큰 스피커(410)가 걸리면서 끼워지는 걸림턱(425a)을 가진 제3장착부(4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KR1020230109306A 2023-08-21 2023-08-21 헤드셋 KR102636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306A KR102636014B1 (ko) 2023-08-21 2023-08-21 헤드셋
US18/676,510 US20250071469A1 (en) 2023-08-21 2024-05-29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306A KR102636014B1 (ko) 2023-08-21 2023-08-21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014B1 true KR102636014B1 (ko) 2024-02-08

Family

ID=8989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306A KR102636014B1 (ko) 2023-08-21 2023-08-21 헤드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50071469A1 (ko)
KR (1) KR1026360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94Y1 (ko) 2001-07-06 2001-11-16 (주) 굿 엠 중저음 강화 및 전자파 차폐 헤드폰
KR20070001782A (ko) * 2004-04-16 2007-01-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헤드폰 장치
KR101619980B1 (ko) * 2014-11-04 2016-05-12 김종호 헤드셋 이어스피커의 구조
KR101757376B1 (ko) * 2016-09-12 2017-07-12 헤드셋코리아 주식회사 멀티 스피커 내장 헤드 셋의 음향 청취를 개선한 헤드 셋
US20210084400A1 (en) * 2019-09-13 2021-03-18 Audio-Technica Corporation Headphone and earmuf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94Y1 (ko) 2001-07-06 2001-11-16 (주) 굿 엠 중저음 강화 및 전자파 차폐 헤드폰
KR20070001782A (ko) * 2004-04-16 2007-01-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헤드폰 장치
KR101619980B1 (ko) * 2014-11-04 2016-05-12 김종호 헤드셋 이어스피커의 구조
KR101757376B1 (ko) * 2016-09-12 2017-07-12 헤드셋코리아 주식회사 멀티 스피커 내장 헤드 셋의 음향 청취를 개선한 헤드 셋
US20210084400A1 (en) * 2019-09-13 2021-03-18 Audio-Technica Corporation Headphone and earmu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50071469A1 (en) 202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6973B2 (en) Structure for earphones with multiple sound tracks
US6704429B2 (en)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surroundings blockade
KR101781710B1 (ko) 멀티-드라이버 이어버드
US5909498A (en) Transducer device for use with communication apparatus
CN102123334B (zh) 带有周向麦克风狭槽的通信头戴式耳麦
US5909490A (en) Omnidirectional audio in a communications device
US20050018838A1 (e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isolating in-ear driver
WO2003019978A3 (en) Bass reflex-type headphone
WO2002082788A8 (en) Cellular phone headset coupled to acoustic tubes
US3939310A (en) Stereophonic headset with ear to ear acoustical passageway
US20140211970A1 (en) Earphone arrangements
US20090180657A1 (en) Person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audio leakage
US12177617B2 (en) Wireless headset with improved wind noise resistance
KR20140055716A (ko) 외부음향 청취 헤드폰
US20100111345A1 (en) Miniature stylish noise and wind canceling microphone housing, providing enchanced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for wirless headsets
KR102636014B1 (ko) 헤드셋
JP2024500180A (ja) 耳掛け式パーソナル音響装置
CN201758441U (zh) 一种安全防护型被动降噪耳机
CN215529258U (zh) 高效防噪音耳机用隔音塞
CN215581647U (zh) 耳机
KR101757376B1 (ko) 멀티 스피커 내장 헤드 셋의 음향 청취를 개선한 헤드 셋
US20070036149A1 (en) Telephone conversation isolation and enhancement systems
CN216649909U (zh) 音响和电子设备
WO2018113252A1 (zh) 音箱前置的移动通讯终端
CN113645334A (zh) 用于减少漏音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